루이지애나 크리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18세기 루이지애나에서 프랑스어와 아프리카에서 유래된 여러 언어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전한 크리올 언어이다. 아카디아인과 노예화된 아프리카인들의 유입으로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형성되었으며, 서아프리카 언어가 프랑스어 어휘에 영향을 미쳤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피진어에서 발전하여 크리올 언어가 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다가 2010년대부터 언어적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Kouri-Vini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현재 6,000명 미만이 사용하며,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 언어는 루이지애나 남부와 남서부에 주로 분포하며, 독특한 음운론, 문법, 어휘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지애나주의 문화 - 루이지애나주의 기
파란 바탕에 주의 표어와 함께 어미 펠리컨이 새끼들에게 먹이를 주는 모습이 담긴 루이지애나주의 기는, 주의 상징 동물인 갈색 펠리컨을 통해 희생과 헌신을 나타내며 1912년 처음 제정되어 2010년 현재 디자인으로 수정되었다. - 프랑스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차고스 크리올
- 프랑스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아이티어
아이티어는 아이티에서 사용되는 크리올 언어로,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어원을 가지며 프랑스어에 뿌리를 두고 서아프리카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1987년 아이티 헌법에서 프랑스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문학 작품에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 미국의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루이지애나 크리올 | |
---|---|
개요 | |
이름 | 루이지애나 크리올 |
다른 이름 | 크리올 프랑스어 |
현지 이름 | Kouri-Vini (쿠리-비니), Kréyòl (크레욜), Fransé (프랑세) |
민족 | 루이지애나 프랑스인(이준, 크리올) |
사용 국가 | 미국 |
사용 지역 | 루이지애나 (특히 세인트마틴 패리시, 나치토체스 패리시, 세인트랜드리 패리시, 제퍼슨 패리시, 라파예트 패리시, 칼카슈 패리시, 푸앵트 쿠페 패리시, 뉴올리언스) 캘리포니아주 (주로 남부 캘리포니아), 일리노이주, 텍사스주 (주로 동부 텍사스) |
화자 수 | 10,000명 미만 (2023년 기준)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크리올어 |
어파 | 프랑스어 기반 크리올어 |
언어 코드 | |
ISO 639-3 | lou |
Glottolog | loui1240 |
상태 | |
국가 | 루이지애나주 |
심각도 |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에 의해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 |
2. 역사적 배경
루이지애나는 1699년부터 프랑스에 의해 식민지화되었고, 18세기 중반 경 아카디아에서 아카디아인들이 강제로 이주해왔다.[5][6] 프랑스는 기후가 가혹하여 노동력이 필요했고, 카리브해 섬 식민지에서 했던 것처럼 노예화된 아프리카인들을 수입했다.[6] 루이지애나로 끌려온 노예의 3분의 2는 말린케어, 세레르어, 볼로프어, 풀라르어, 그리고 밤바라어를 사용하는 세네감비아 지역 출신이었다. 그중 가장 큰 집단은 밤바라족이었다. 세네갈과 루이지애나에서 인도 회사가 독점권을 행사하여 아프리카인들의 조상적 동질성에 기여했을 수 있다. 1731년의 푼트쿠페 노예 반란은 밤바라족에 의해 조직되었고, 이들은 쿠데타를 계획하기 위해 조상 언어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결국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발전했으며, 서아프리카 언어는 다양한 프랑스어 어휘 제공자에 대한 기층 언어가 되었다. 프랑스 정권은 1743년까지 노예화된 사람들의 수입을 계속했다.[6]
이 언어는 18세기 루이지애나에서 표준 프랑스어의 어휘 제공 언어와 아프리카에서 온 여러 기층 언어 또는 부가 언어의 화자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전했다.[7][6] 크리올로 확립되기 전, 그 전신은 피진어로 여겨졌다.[8]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외래 민족들 사이에서 발생한 접촉 언어로 분류된다.[9] 일단 피진어가 다음 세대에게 ''공통어''로 전달되면, 크리올 언어로 분류될 수 있었다.[6][7]
역사적으로 이 언어에 대한 표준 이름은 없었다. 언어 공동체 구성원들은 다양한 표현으로 이 언어를 지칭해왔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케이준주의가 부상하기 전, 많은 루이지애나 프랑스어 사용자들이 스스로를 루이지애나 크리올로 인식했기 때문에 그들의 언어를 크레올로 인식하기도 했다. 2010년대부터 언어 운동가들은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의 언어적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Kouri-Vini라는 용어를 홍보하기 시작했다.[3]
1978년, 연구자들은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존재를 인정하는 식민지 시대의 살인 재판 문서를 발견했다.[6][10] 1807년 문서에는 C.C. 로빈이 기록한 노예 여성의 경험에 언어의 문법적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프랑스어 사용 식민지 개척자와 아이티 혁명으로 첫 번째 제국을 서반구에 세운 생도맹그(Saint-Domingue)에서 온 노예 아프리카인들이 루이지애나에 도착하기 전이었다. 로빈이 수집한 진술은 현재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전형적인 언어적 특징으로 알려진 것들을 보여주었다.[6]
"크리오요"라는 용어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1762–1803)의 법정 문서에 나타난다. 스페인 측은 이 언어가 노예와 백인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10] 아프리카 노예의 수입은 프랑스가 7년 전쟁에서 영국에 패배한 후 1763년 스페인에 식민지를 양도한 후 증가했다.[11]
2. 1. 기원과 발전
루이지애나는 1699년부터 프랑스에 의해 식민지화되었고, 18세기 중반 경 아카디아에서 아카디아인들이 강제로 이주해왔다.[5][6] 프랑스는 기후가 가혹하여 노동력이 필요했고, 카리브해 섬 식민지에서 했던 것처럼 노예화된 아프리카인들을 수입했다.[6] 루이지애나로 끌려온 노예의 3분의 2는 말린케어, 세레르어, 볼로프어, 풀라르어, 그리고 밤바라어를 사용하는 세네감비아 지역 출신이었다. 그중 가장 큰 집단은 밤바라족이었다. 세네갈과 루이지애나에서 인도 회사가 독점권을 행사하여 아프리카인들의 조상적 동질성에 기여했을 수 있다. 1731년의 푼트쿠페 노예 반란은 밤바라족에 의해 조직되었고, 이들은 쿠데타를 계획하기 위해 조상 언어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결국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발전했으며, 서아프리카 언어는 다양한 프랑스어 어휘 제공자에 대한 기층 언어가 되었다. 프랑스 정권은 1743년까지 노예화된 사람들의 수입을 계속했다.[6]이 언어는 18세기 루이지애나에서 표준 프랑스어의 어휘 제공 언어와 아프리카에서 온 여러 기층 언어 또는 부가 언어의 화자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전했다.[7][6] 크리올로 확립되기 전, 그 전신은 피진어로 여겨졌다.[8]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외래 민족들 사이에서 발생한 접촉 언어로 분류된다.[9] 일단 피진어가 다음 세대에게 ''공통어''로 전달되면, 크리올 언어로 분류될 수 있었다.[6][7]
역사적으로 이 언어에 대한 표준 이름은 없었다. 언어 공동체 구성원들은 다양한 표현으로 이 언어를 지칭해왔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케이준주의가 부상하기 전, 많은 루이지애나 프랑스어 사용자들이 스스로를 루이지애나 크리올로 인식했기 때문에 그들의 언어를 크레올로 인식하기도 했다. 2010년대부터 언어 운동가들은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의 언어적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Kouri-Vini라는 용어를 홍보하기 시작했다.[3]
1978년, 연구자들은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존재를 인정하는 식민지 시대의 살인 재판 문서를 발견했다.[6][10] 1807년 문서에는 C.C. 로빈이 기록한 노예 여성의 경험에 언어의 문법적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프랑스어 사용 식민지 개척자와 아이티 혁명으로 첫 번째 제국을 서반구에 세운 생도맹그(Saint-Domingue)에서 온 노예 아프리카인들이 루이지애나에 도착하기 전이었다. 로빈이 수집한 진술은 현재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전형적인 언어적 특징으로 알려진 것들을 보여주었다.[6]
"크리오요"라는 용어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1762–1803)의 법정 문서에 나타난다. 스페인 측은 이 언어가 노예와 백인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10] 아프리카 노예의 수입은 프랑스가 7년 전쟁에서 영국에 패배한 후 1763년 스페인에 식민지를 양도한 후 증가했다.[11]
2. 2. 언어 변화, 소멸 위기 및 부활 노력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경우, 루이지애나 크리올과 루이지애나 프랑스어 사이에 ''디글로시아''가 발생했다. 언어학자 마이클 피콘은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어휘 기반에 기여하는 것으로, 농장주, 농장 감독관, 소규모 토지 소유주, 군 장교/병사 및 이중 언어 사용자, 자유 흑인과 관련된 프랑스어의 일종을 묘사하기 위해 "플랜테이션 사회 프랑스어"라는 용어를 제안했다.[12] 수 세기 동안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노예 제도와 관련된 부정적인 연관성 때문에 언어 사용자들이 조롱당할까 봐 꺼릴 정도로 낙인이 찍혔다.[12]루이지애나 매입의 결과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사회적 지위는 더욱 하락했다. 미국과 미국 정부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언어 사용을 불법으로 만들었다. 1921년, 루이지애나 주는 공립 교육을 영어로만 진행하도록 의무화했다.[13] 어린이와 성인은 종종 체벌, 벌금, 사회적 모욕으로 처벌받았다. 21세기에는 다른 방법이 시행되었다. 사회 경제적 상승의 약속과 공개적 망신이 나머지 역할을 수행하여 많은 루이지애나 크리올 사용자들이 낙인 찍힌 언어를 버리고 영어를 선택하도록 했다.[14] 또한, 루이지애나의 산업, 기술 및 인프라 개발은 루이지애나 크리올어 공동체의 고립을 줄였고, 더 많은 영어 사용자의 유입을 초래하여 영어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켰다.[15] 이로 인해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차용어, 코드 전환 및 구문적 원어 번역을 포함하여 영어의 최근 영향을 더 많이 보여준다.[31]
오늘날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6,000명 미만이 사용한다.[3][2] 국가 인구 조사 데이터에는 언어 사용에 대한 수치가 포함되어 있지만, 응답자들이 민족적 정체성에 따라 자신의 언어를 식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루이지애나에서는 종종 신뢰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케이준으로 자신을 식별하는 루이지애나 크리올 사용자들은 종종 자신의 언어를 '케이준 프랑스어'라고 부르지만, 언어학적 근거에 따르면 그들의 언어는 루이지애나 크리올로 간주될 것이다.[16]
루이지애나의 프랑스어를 언어 부활시키려는 노력은 크리올을 배제하고 ''케이준 프랑스어''에 중점을 두었다.[17] 자이데코 음악가 키스 프랭크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음악을 홍보할 뿐만 아니라, 특히 트위터를 통해 자신의 크리올 유산과 언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프랭크는 2012년에 사용자가 여러 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댓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페이스북 및 트위터 계정에 연결된 소형 소셜 네트워크 역할을 하는 "ZydecoBoss 앱"이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소셜 미디어 활동 외에도, 프랭크는 2012년에 크리올 문화 축하 행사 역할을 하는 "크리올 르네상스 축제"라는 크리올 음악 축제를 만들었다.[18]
소수의 지역 사회 단체는 루이지애나 크리올을 홍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CREOLE, Inc.[19]와 벨마 존슨이 설립한 "크리올 테이블"이 있다.[20] 노스웨스턴 주립 대학교는 루이지애나 크리올 유산을 가진 사람들을 모으고, 크리올 언어 문서화 프로젝트를 통해 루이지애나 크리올을 보존하기 위해 설계된 크리올 유산 센터를 개발했다.[21] 또한, 언어 활동가 크리스토프 랜드리가 이끄는 언어 부활에 참여하는 언어 학습자와 활동가들의 활발한 온라인 커뮤니티가 있다.[22]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인기 있는 정서법,[23] Valdman et al.의 ''루이지애나 크리올 사전''의 디지털화된 버전과 아드리엔 기요리-채트먼이 이끄는 팀이 Memrise에서 호스팅하는 어휘 학습을 위한 무료 반복 간격 과정이 만들어졌다.[24] 첫 번째 언어 입문서가 2017년에 출시되었고[25][26] 2020년에는 완전한 길이의 언어 가이드와 관련 웹사이트로 개정되었다.[27] 2022년에는 루이지애나 크리올어로 된 현대 시 선집이 출판되었으며, 이 언어로 완전히 쓰여진 첫 번째 책이었다.[28] 2023년 12월 ''이코노미스트'' 기사에서는 "루이지애나 크리올어가 소규모 부활을 누리고 있다"는 제목으로 부활 노력을 강조했으며, 특히 언어 활동가 Jourdan Thibodeaux와 Taalib Pierre-Auguste에 초점을 맞췄다.[13]
3. 지리적 분포
루이지애나 크리올어 사용자는 주로 루이지애나 남부와 남서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크리올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이 지역 전체에 분포되어 있다. 세인트 마틴 교구는 크리올어 사용 지역의 중심부를 형성한다. 바이유 테쉬를 따라 세인트 랜드리, 아보옐, 이베리아, 세인트 메리 교구에도 상당한 규모의 공동체가 존재한다. 포인트 쿠페 교구의 폴스 강, 테레본 교구, 그리고 어센션, 세인트 찰스, 세인트 제임스 및 세인트 존 더 침례 교구의 하부 미시시피 강을 따라 작은 공동체들이 있다.[29]
과거에는 케인 강에 나키토시 교구에도 크리올어 사용자가 있었다. 인접한 텍사스 남동부 (보몬트, 휴스턴, 포트 아서, 갤버스턴)[10] 및 시카고 지역에도 상당한 규모의 루이지애나 크리올어 사용 공동체가 있었다. 루이지애나에서 가장 오래된 식민지 정착지인 나키토시는 그 시작부터 주로 크리올어를 사용했다.[30]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는 현지 루이지애나 크리올어 사용자는 로스앤젤레스, 샌디에이고, 샌버너디노 및 캘리포니아 북부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 새크라멘토, 플루머스, 테하마, 모노, 유바)에 거주한다.[31] 역사적으로 미시시피와 앨라배마(몽 루이 섬에)에도 크리올어를 사용하는 공동체가 있었지만, 현재 이 지역에는 사용자가 남아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32]
4. 음운론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음운론은 다른 프랑스어 기반 크리올 언어의 음운론과 공통점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러한 언어에 비해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일반적으로 프랑스어의 음운론과 특히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에서 덜 벗어난다.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
---|---|---|---|---|---|
비음 | m | n | ɲ | ŋ | |
파열음/파찰음 | 무성음 | p | t | tʃ | k |
유성음 | b | d | dʒ | ɡ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ʃ | |
유성음 | v | z | ʒ | ||
탄음 | ɾ | ||||
설측음 | l |
위 표는 반모음 /j/와 /w/를 제외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자음 음소를 나타낸다.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는 /tʃ/ '약한 커피'와 /dʒɛl/ '입'과 같이 후치경 파찰음 /tʃ/와 /dʒ/를 특징으로 한다. 비음 구개음 /ɲ/은 일반적으로 모음 사이에 있을 때 비음 구개 접근음이 되며, 이로 인해 앞선 모음이 비음화된다. 단어의 끝에서는 일반적으로 /n/ 또는 /ŋ/로 대체된다.[33]
위 표는 언어학자들이 확인한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구강 모음과 비강 모음을 보여준다.[6]
이 언어 사용자들은 프랑스어에서 나타나는 위/y프랑스어, 외/ø프랑스어 및 외/œ프랑스어와 같은 원순 모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지역, 사회언어학적 집단, 심지어 동일한 화자 내에서도 높은 수준의 언어 변이가 나타난다.[15][31][34] 이러한 과정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diri/~/dyri/ '쌀', 프랑스어 ''du riz'' /dyri/와 비교
- /vje/~/vjø/ '오래된', 프랑스어 ''vieux'' /vjø/와 비교
- /dʒɛl/~/dʒœl/ '입', 프랑스어 ''gueule'' /ɡœl/와 비교
중저 모음 ɛ프랑스어은 ɾ프랑스어 뒤에서 근개모음 æ프랑스어로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fɾɛ프랑스어~fɾæɾ프랑스어 '형제'와 같다.[6]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모음은 비음화되며, 예를 들어 [ʒɛ̃n] '젊은', [pɔ̃m] '사과'와 같이 비음 자음 앞에 위치한다. 대부분의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달리,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진행적 비음화도 나타내는데, 즉 [kɔ̃nɛ̃] '알다'와 같이 비음 자음 다음에 오는 모음도 비음화된다.[35]
4. 1. 자음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
---|---|---|---|---|---|
비음 | m | n | ɲ | ŋ | |
파열음/파찰음 | 무성음 | p | t | tʃ | k |
유성음 | b | d | dʒ | ɡ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ʃ | |
유성음 | v | z | ʒ | ||
탄음 | ɾ | ||||
설측음 | l |
위 표는 반모음 /j/와 /w/를 제외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자음 음소를 나타낸다.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는 /tʃ/ '약한 커피'와 /dʒɛl/ '입'과 같이 후치경 파찰음 /tʃ/와 /dʒ/를 특징으로 한다. 비음 구개음 /ɲ/은 일반적으로 모음 사이에 있을 때 비음 구개 접근음이 되며, 이로 인해 앞선 모음이 비음화된다. 단어의 끝에서는 일반적으로 /n/ 또는 /ŋ/로 대체된다.[33]
4. 2. 모음
wikitable
위 표는 언어학자들이 확인한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구강 모음과 비강 모음을 보여준다.[6]
4. 2. 1. 모음 원순화
이 언어 사용자들은 프랑스어에서 나타나는 위/y프랑스어, 외/ø프랑스어 및 외/œ프랑스어와 같은 원순 모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지역, 사회언어학적 집단, 심지어 동일한 화자 내에서도 높은 수준의 언어 변이가 나타난다.[15][31][34] 이러한 과정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diri/~/dyri/ '쌀', 프랑스어 ''du riz'' /dyri/와 비교
- /vje/~/vjø/ '오래된', 프랑스어 ''vieux'' /vjø/와 비교
- /dʒɛl/~/dʒœl/ '입', 프랑스어 ''gueule'' /ɡœl/와 비교
4. 2. 2. 모음 저모음화
중저 모음 ɛ프랑스어은 ɾ프랑스어 뒤에서 근개모음 æ프랑스어로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fɾɛ프랑스어~fɾæɾ프랑스어 '형제'와 같다.[6]4. 2. 3. 모음의 역행 및 진행 비음화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모음은 비음화되며, 예를 들어 [ʒɛ̃n] '젊은', [pɔ̃m] '사과'와 같이 비음 자음 앞에 위치한다. 대부분의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달리,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진행적 비음화도 나타내는데, 즉 [kɔ̃nɛ̃] '알다'와 같이 비음 자음 다음에 오는 모음도 비음화된다.[35]5. 문법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주어-동사-목적어 (SVO) 어순을 보인다.[31]
일반적으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문법은 아이티 크리올어의 문법과 매우 유사하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정관사는 단수형으로 ''a''와 ''la''이며, 복수형으로는 ''yè''가 된다. 프랑스어와 달리, 크리올어에서는 정관사를 명사 뒤에 붙인다. 남성 명사, 여성 명사와 같은 명사 성 시스템이 전혀 없으므로, 관사는 발음 평가 기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a''는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고, ''la''는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는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또 다른 프랑스어와 다른 점은 동사의 활용 부족이다. 동사가 인칭이나 수에 따라 변하지 않고, 시제에 따라서도 변하지 않는다. 동사의 시제는 분사와의 조합 또는 단순히 문맥에 의해 명확해진다.
19세기 자료에 따르면,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한정사는 특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3] 무관사 명사는 비특정적이다. 특정 명사의 경우, 명사가 전제되어 있다면 정관사(단수: ''-la'', 복수: ''-la-ye'')나 부정관사(''en,'' 단수; ''de'' 또는 ''-ye'', 복수)를 사용한다. 오늘날,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정관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는 ''le'', ''la'', ''lê''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동일)와 명사 뒤에 위치하는 후치 정관사 -''la''(단수), -''yé''(복수)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변이는 특히 일부 언어학자들이 탈크리올화되었다고 특징지은, 테시 강을 따라 사용되는 방언에서 나타나며, 이는 루이지애나 프랑스어가 루이지애나 크리올에 미친 영향의 한 예시이다. 이 개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15][31][33]
이 방언을 사용하는 일부 화자들은 소유격 대명사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문법적 수와 문법적 성의 일치에 매우 가변적인 체계를 보인다.[34]
루이지애나 크리올어는 프랑스어와 달리 동사의 활용이 부족하다. 동사는 인칭이나 수에 따라 변하지 않고, 시제에 따라서도 변하지 않는다. 동사의 시제는 분사와의 조합 또는 단순히 문맥에 의해 명확해진다.[6]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초기 형태는 굴절이 없이 각 동사의 한 형태만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망제/mɑ̃ʒelou는 '먹다'를 의미한다. 오늘날 이 언어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동사 종류를 사용한다. 단일 형태만 있는 동사(브와/bwɑlou '마시다')와 '장형' 또는 '단형'을 가진 동사(망제/mɑ̃ʒelou, 망/mɑ̃ʒlou) '먹다')가 그것이다.[6]
다른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위 표에 나열된 바와 같이 시제, 상, 법의 동사 앞의 표지를 특징으로 한다.
5. 1. 한정사
19세기 자료에 따르면,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한정사는 특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3] 무관사 명사는 비특정적이다. 특정 명사의 경우, 명사가 전제되어 있다면 정관사(단수: ''-la'', 복수: ''-la-ye'')나 부정관사(''en,'' 단수; ''de'' 또는 ''-ye'', 복수)를 사용한다. 오늘날,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정관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는 ''le'', ''la'', ''lê''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동일)와 명사 뒤에 위치하는 후치 정관사 -''la''(단수), -''yé''(복수)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변이는 특히 일부 언어학자들이 탈크리올화되었다고 특징지은, 테시 강을 따라 사용되는 방언에서 나타나며, 이는 루이지애나 프랑스어가 루이지애나 크리올에 미친 영향의 한 예시이다. 이 개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15][31][33]이 방언을 사용하는 일부 화자들은 소유격 대명사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문법적 수와 문법적 성의 일치에 매우 가변적인 체계를 보인다.[34] 일반적으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문법은 아이티 크리올어의 문법과 매우 유사하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정관사는 단수형으로 ''a''와 ''la''이며, 복수형으로는 ''yè''가 된다. 프랑스어와 달리, 크리올어에서는 정관사를 명사 뒤에 붙인다. 남성 명사, 여성 명사와 같은 명사 성 시스템이 전혀 없으므로, 관사는 발음 평가 기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a''는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고, ''la''는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는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또 다른 프랑스어와 다른 점은 동사의 활용 부족이다. 동사가 인칭이나 수에 따라 변하지 않고, 시제에 따라서도 변하지 않는다. 동사의 시제는 분사와의 조합 또는 단순히 문맥에 의해 명확해진다.
5. 2. 동사
루이지애나 크리올어는 프랑스어와 달리 동사의 활용이 부족하다. 동사는 인칭이나 수에 따라 변하지 않고, 시제에 따라서도 변하지 않는다. 동사의 시제는 분사와의 조합 또는 단순히 문맥에 의해 명확해진다.[6]==== 동사 형태 ====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초기 형태는 굴절이 없이 각 동사의 한 형태만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망제/mɑ̃ʒelou는 '먹다'를 의미한다. 오늘날 이 언어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동사 종류를 사용한다. 단일 형태만 있는 동사(브와/bwɑlou '마시다')와 '장형' 또는 '단형'을 가진 동사(망제/mɑ̃ʒelou, 망/mɑ̃ʒlou) '먹다')가 그것이다.[6]
==== 시제, 상, 법 ====
다른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아래 표에 나열된 바와 같이 시제, 상, 법의 동사 앞의 표지를 특징으로 한다.
5. 2. 1. 동사 형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초기 형태는 굴절이 없이 각 동사의 한 형태만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망제/mɑ̃ʒelou는 '먹다'를 의미한다. 오늘날 이 언어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동사 종류를 사용한다. 단일 형태만 있는 동사(브와/bwɑlou '마시다')와 '장형' 또는 '단형'을 가진 동사(망제/mɑ̃ʒelou, 망/mɑ̃ʒlou) '먹다')가 그것이다.[6]일반적으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문법은 아이티 크리올어의 문법과 매우 유사하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정관사는 단수형으로 ''a''와 ''la''이며, 복수형으로는 ''yè''가 된다. 프랑스어와 달리, 크리올어에서는 정관사를 명사 뒤에 붙인다. 남성 명사, 여성 명사와 같은 명사 성 시스템이 전혀 없으므로, 관사는 발음 평가 기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a''는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고, ''la''는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는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또 다른 프랑스어와 다른 점은 동사의 활용 부족이다. 동사가 인칭이나 수에 따라 변하지 않고, 시제에 따라서도 변하지 않는다. 동사의 시제는 분사와의 조합 또는 단순히 문맥에 의해 명확해진다.
5. 2. 2. 시제, 상, 법
wikitable
다른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위 표에 나열된 바와 같이 시제, 상, 법의 동사 앞의 표지를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문법은 아이티 크리올어의 문법과 매우 유사하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정관사는 단수형으로 ''a''와 ''la''이며, 복수형으로는 ''yè''가 된다. 프랑스어와 달리, 크리올어에서는 정관사를 명사 뒤에 붙인다. 남성 명사, 여성 명사와 같은 명사 성 시스템이 전혀 없으므로, 관사는 발음 평가 기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 ''a''는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고, ''la''는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붙는다.
루이지애나 크리올어의 또 다른 프랑스어와 다른 점은 동사의 활용 부족이다. 동사가 인칭이나 수에 따라 변하지 않고, 시제에 따라서도 변하지 않는다. 동사의 시제는 분사와의 조합 또는 단순히 문맥에 의해 명확해진다.
6. 어휘
루이지애나 크리올의 어휘는 주로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프랑스어가 이 언어의 어휘 제공 언어이다. 지형, 동물, 식물과 같은 일부 지역 어휘는 아메리카 원주민 기원이다. 민속과 부두교 영역에서 이 언어는 서아프리카 및 중앙 아프리카 언어에서 유래된 소수의 어휘 항목을 가지고 있다.[36] 이 프랑스어 외 어휘의 대부분은 북미의 다른 프랑스어 기반 크리올 언어와 공유되며, 루이지애나 크리올은 루이지애나 프랑스어와 어휘의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공유한다.[36]
==== 수사 ====
숫자 | 루이지애나 크리올 | 프랑스어 |
---|---|---|
1 | 엉, 잉 | 엉 |
2 | 데 | 두 |
3 | 트로, 트와 | 트루아 |
4 | 카 | 카트르 |
5 | 싱크 | 생크 |
6 | 시스 | 시스 |
7 | 세 | 세트 |
8 | 위 | 위 |
9 | 네프 | 뇌프 |
10 | 디 | 디 |
==== 인사말 ====
루이지애나 크리올 | 프랑스어 | 영어 |
---|---|---|
봉주! | Bonjour ! | 안녕! |
콩멘 레 자페르? | Comment ça va ? | 잘 지내세요? |
코멘 사 바? / 코멘 사페 쿠리? | Comment ça va ? | 어떻게 지내세요? |
모 비앙, 메르시. | Je vais bien, merci. | 잘 지내요, 고마워요. |
와 (트와) 플리 타르. | À plus tard. | 나중에 봐요. |
모 림 트와. | Je t'aime. | 사랑해요. |
스웬-트와 / 스윈-트와. | Prenez soin de vous/toi. | 안녕히 가세요/안녕히 계세요. |
봉주 / 봉마탱. | Bonjour. | 좋은 아침입니다. |
봉스와. | Bonsoir. | 좋은 저녁입니다. |
본뉘 / 봉스와. | Bonne nuit. | 안녕히 주무세요. |
==== 일반적인 표현 ====
루이지애나 크리올 | 프랑스어 | 영어 |
---|---|---|
딜로 투주 꾸리 라리비에르. | L'eau va toujours à la rivière. | 물은 항상 강으로 흐른다. |
디 모잉 키 부 라메잉, 마 디 부 키 부 예. | Dites moi qui vous aimez, et je vous dirai qui vous êtes. | 당신이 누구를 사랑하는지 말해 주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 주겠다. |
크라셰 넹 라에르, 리 바 톰베 엉호 부 네. | Crachez dans l'air, il vous en tombera sur le nez. | 공중에 침을 뱉으면 코에 떨어진다. |
쿠페 조레 밀레 파 페 슈발. | Couper les oreilles du mulet, n'en fait pas un cheval. | 노새의 귀를 자른다고 해서 말이 되는 것은 아니다. |
콩페 토르티 바 두스망, 메 리 리베 코테 비트 팡당 콩페 슈브레 아페 도르미. | Compère Tortue va doucement, mais il arrive au bût pendant que Compère Chevreuil dort. | 거북이는 천천히 가지만, 노루가 자는 동안 통에 도착한다. |
코숑 코네 시르 키 부아 라페 프로테. | Le cochon sait bien sur quel [arbre] bois il va se frotter. | 돼지는 어떤 [나무] 나무에 비빌지 잘 알고 있다. |
실라 키 리트 봉디 크라 바 플레 디망슈. | Celui qui rit le vendredi va pleurer le dimanche. | 금요일에 웃는 사람은 일요일에 울 것이다. |
시엔 잡포 리 파 모르드. | Le chien qui jappe ne mord pas. |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
샤트 브릴레 페 디 푀. | Le chat brûlé a peur du feu. | 불에 탄 고양이는 불을 무서워한다. |
부키 페 고보; 라팽 망제 리. | Le bouc fait le gombo ; le lapin le mange. | 염소가 검보를 만들고, 토끼가 그것을 먹는다. |
6. 1. 수사
wikitable숫자 | 루이지애나 크리올 | 프랑스어 |
---|---|---|
1 | 엉, 잉 | 엉 |
2 | 데 | 두 |
3 | 트로, 트와 | 트루아 |
4 | 카 | 카트르 |
5 | 싱크 | 생크 |
6 | 시스 | 시스 |
7 | 세 | 세트 |
8 | 위 | 위 |
9 | 네프 | 뇌프 |
10 | 디 | 디 |
6. 2. 인사말
wikitable루이지애나 크리올 | 프랑스어 | 영어 |
---|---|---|
봉주! | Bonjour ! | 안녕! |
콩멘 레 자페르? | Comment ça va ? | 잘 지내세요? |
코멘 사 바? / 코멘 사페 쿠리? | Comment ça va ? | 어떻게 지내세요? |
모 비앙, 메르시. | Je vais bien, merci. | 잘 지내요, 고마워요. |
와 (트와) 플리 타르. | À plus tard. | 나중에 봐요. |
모 림 트와. | Je t'aime. | 사랑해요. |
스웬-트와 / 스윈-트와. | Prenez soin de vous/toi. | 안녕히 가세요/안녕히 계세요. |
봉주 / 봉마탱. | Bonjour. | 좋은 아침입니다. |
봉스와. | Bonsoir. | 좋은 저녁입니다. |
본뉘 / 봉스와. | Bonne nuit. | 안녕히 주무세요. |
6. 3. 일반적인 표현
루이지애나 크리올 | 프랑스어 | 영어 |
---|---|---|
딜로 투주 꾸리 라리비에르. | L'eau va toujours à la rivière. | 물은 항상 강으로 흐른다. |
디 모잉 키 부 라메잉, 마 디 부 키 부 예. | Dites moi qui vous aimez, et je vous dirai qui vous êtes. | 당신이 누구를 사랑하는지 말해 주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말해 주겠다. |
크라셰 넹 라에르, 리 바 톰베 엉호 부 네. | Crachez dans l'air, il vous en tombera sur le nez. | 공중에 침을 뱉으면 코에 떨어진다. |
쿠페 조레 밀레 파 페 슈발. | Couper les oreilles du mulet, n'en fait pas un cheval. | 노새의 귀를 자른다고 해서 말이 되는 것은 아니다. |
콩페 토르티 바 두스망, 메 리 리베 코테 비트 팡당 콩페 슈브레 아페 도르미. | Compère Tortue va doucement, mais il arrive au bût pendant que Compère Chevreuil dort. | 거북이는 천천히 가지만, 노루가 자는 동안 통에 도착한다. |
코숑 코네 시르 키 부아 라페 프로테. | Le cochon sait bien sur quel [arbre] bois il va se frotter. | 돼지는 어떤 [나무] 나무에 비빌지 잘 알고 있다. |
실라 키 리트 봉디 크라 바 플레 디망슈. | Celui qui rit le vendredi va pleurer le dimanche. | 금요일에 웃는 사람은 일요일에 울 것이다. |
시엔 잡포 리 파 모르드. | Le chien qui jappe ne mord pas. |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
샤트 브릴레 페 디 푀. | Le chat brûlé a peur du feu. | 불에 탄 고양이는 불을 무서워한다. |
부키 페 고보; 라팽 망제 리. | Le bouc fait le gombo ; le lapin le mange. | 염소가 검보를 만들고, 토끼가 그것을 먹는다. |
7. 문자 체계
현재 루이지애나 크리올 알파벳은 23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ISO 기본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다. (단, c, q, x는 포함되지 않음) 그리고 여러 특수 문자와 분음 부호가 있다.[37]
문자 | 이름[38] | 이름 (IPA) | 분음 부호 | 음소 대응[39][23] |
---|---|---|---|---|
A a | a | Áá, Àà, Ââ | ||
Æ æ | æ | |||
B b | bé | |||
Ç ç | çé | |||
D d | dé | |||
E e | e | Éé, Èè, Êê, Ëë | e = ; é = ; è = | |
F f | èf | |||
G g | gé | |||
H h | hash | |||
I i | i | Íí, Ìì, Îî, Ïï | i = ; ì = | |
J j | ji | |||
K k | ka | |||
L l | èl | |||
M m | èmm | |||
N n | ènn | |||
Ñ ñ | ñé | |||
O o | o | Óó, Òò, Ôô, Öö | o = ; ò = | |
Œ œ | œ | |||
P p | pé | |||
R r | ær, èr | , | (initial) ; (medial) ; (final) | |
S s | ès | |||
T t | té | |||
U u | u | Ûû | ||
V v | vé | |||
W w | double-vé | |||
Y y | igrèk | Ÿÿ | ||
Z z | zèd |
참조
[1]
논문
Louisiana Creole structure dataset
https://apics-online[...]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5-15
[2]
웹사이트
Structure dataset 53: Louisiana Creole
http://apics-online.[...]
2017-08-15
[3]
웹사이트
Rediscovering America: Kouri-Vini: The return of the US' lost language
https://www.bbc.com/[...]
2023-03-01
[4]
웹사이트
Louisiana Creole
https://www.ethnolog[...]
2017-08-15
[5]
웹사이트
Acadian
https://www.britanni[...]
2020-12-07
[6]
논문
Louisiana Creo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7]
서적
If I Could Turn My Tongue Like That: The Creole Language of Pointe Coupee parish, Louisiana.
Louisiana State University
[8]
논문
Creole is, Creole Ain't: Diachronic and Synchronic Attitudes Toward Creole Identity in Southern Louisiana.
2000
[9]
서적
Pidgins, Creoles, & Mixed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0]
논문
Language and Identity Among Louisiana Creoles in Southeast Texas: Initial Observations
2018
[11]
백과사전
Seven Years War
Columbia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Language Attrition in Louisiana Creole French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2016-03-27
[13]
뉴스
Louisiana Creole is enjoying a modest revival
https://www.economis[...]
2023-12-20
[14]
논문
The social consequences of writing Louisiana Fren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Le créole de Breaux Bridge, Louisiane: étude morphosyntaxique, textes, vocabulaire
Helmut Buske Verlag
[16]
논문
Language labels and language use among Cajuns and Creoles in Louisiana
http://repository.up[...]
2003
[17]
논문
A Linguistic Comparison of Haitian Creole and Louisiana Creole
http://postcolonial.[...]
2005-05-04
[18]
논문
"On A Mission": Preserving Creole Culture One Tweet at a Time. Keith Frank, Zydeco, and the Use of Social Media
https://journals.ope[...]
2015-04-08
[19]
웹사이트
CREOLE, Inc.
http://louisianacreo[...]
2020-10-10
[20]
웹사이트
About Us
https://web.archive.[...]
2017-11-05
[21]
웹사이트
Creole Heritage Center
https://www.nsula.ed[...]
2020-12-08
[22]
논문
“New Speaker Language: The Morphosyntax of New Speakers of Endangered Languages.”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Cambridge
2015
[23]
서적
A Guide to Louisiana Creole Orthography
https://www.academia[...]
Louisiana Historic and Cultural Vistas
[24]
웹사이트
Kouri-Vini (Louisiana Creole Language)
https://app.memrise.[...]
2020-10-10
[25]
서적
Ti Liv Kréyòl: A Louisiana Creole Primer
https://www.academia[...]
Public Domain
[26]
웹사이트
Ti Liv Kréyòl: A Louisiana Creole Primer – Louisiana Historic and Cultural Vistas
http://www.mylhcv.co[...]
2017-08-14
[27]
서적
Ti Liv Kréyòl: A Learner's Guide to Louisiana Creole
https://learnlouisia[...]
TSÒHK
[28]
서적
Févi
https://www.editions[...]
Les Cahiers du Tintamarre
[29]
웹사이트
A Linguistic and Cultural Comparison of Haitian Creole and Louisiana Creole
http://postcolonial.[...]
2014-03-11
[30]
논문
Colonial Natchitoches: A Creole Community on the Louisiana-Texas Frontier
2009-05
[31]
서적
If I could turn my tongue like that : the Creole language of Pointe Coupee Parish, Louisiana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03
[32]
논문
The Creole of Mon Louis Island, Alabama, and the Louisiana Connection
1991
[33]
서적
The survey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Volume 2: Portuguese-based, Spanish-based, and French-based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4]
논문
Rethinking decreolization: Language contact and change in Louisiana Creole
https://www.reposito[...]
University of Cambridge
2019-07-19
[35]
서적
Language in Louisiana: Community and Culture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19-08-01
[36]
서적
New Orleans and the global South : Caribbean, Creolization, carnival
Georg-Olms-Verlag AG
[37]
웹사이트
Alphabet
https://louisianacre[...]
[38]
웹사이트
Louisiana Creole Alphabet (Updated)
https://www.youtube.[...]
[39]
웹사이트
Guide to Louisiana Creole Orthography
http://www.mylhcv.co[...]
2016-01-05
[40]
웹사이트
Nouzòt Popá (The Our Father in Louisiana Creole)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