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도비트 슈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도비트 슈투르는 슬로바키아의 언어 개혁가이자 정치인으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운동의 핵심 인물이다. 그는 1815년 우흐로베츠에서 태어나 1856년 사망했다. 슈투르는 슬로바키아어의 표준화를 주도하고, 슬로바키아의 자치와 권리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 1843년 중앙 슬로바키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슬로바키아어 표준을 제정했으며, 슬로바키아 민족 신문을 발행하여 민족 의식을 고취했다. 1848년 혁명 시기에는 헝가리에 대항하는 무장 봉기를 준비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슬로바키아에서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지만, 반유대주의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작가 - 카를 고틀리프 폰 빈디슈
카를 고틀리프 폰 빈디슈는 희극, 헝가리 관련 서적 등을 저술하고 잡지 편집자로 활동했으며, 헝가리 왕국의 역사, 지리, 자연 과학 및 켐펠렌 씨의 체스 선수에 관한 책을 출판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을 썼다. - 슬로바키아의 철학자 - 얀 콜라르
얀 콜라르는 슬로바키아의 시인이자 범슬라브주의 사상가로, 슬라브 민족의 단결과 문화 교류를 강조하며 슬라브 민족주의 운동에 기여하고 《슬라바의 딸》을 저술했다. - 슬로바키아의 철학자 - 얀 예세니우스
얀 예세니우스는 헝가리 귀족 출신의 의사이자 해부학자, 외교관, 웅변가로서 프라하 카렐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공개 부검을 실시하고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1621년 처형당했다. - 슬로바키아의 문헌학자 - 얀 콜라르
얀 콜라르는 슬로바키아의 시인이자 범슬라브주의 사상가로, 슬라브 민족의 단결과 문화 교류를 강조하며 슬라브 민족주의 운동에 기여하고 《슬라바의 딸》을 저술했다. - 슬로바키아의 문헌학자 -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는 슬라브 민족의 언어, 문학, 역사, 문화를 연구하여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한 슬로바키아의 언어학자, 민족학자, 역사가이며, 대표적인 저서로는 《슬라브 고대》가 있다.
류도비트 슈투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류도비트 벨리스라프 슈투르 |
출생 | 1815년 10월 28일 |
출생지 | 헝가리 왕국 자유그로츠 (현재의 슬로바키아 우흐로베츠) |
사망 | 1856년 1월 12일 |
사망지 | 헝가리 왕국 모도르 (현재의 슬로바키아 모드라) |
필명 | B. 두나이스키 베들리비 루도로프 볼레스라프 자호르스키 브라트 슬로벤스카 아인 슬라베 아인 운가리셔 슬라베 카를 빌드번 프라볼루프 로코샨 슬로바크 스타리 벨리슬라프 즈페보밀 |
로마자 표기 | Ľudovít Velislav Štúr (류도비트 벨리스라프 슈투르) |
직업 | |
직업 | 혁명가 철학자 정치가 작가 |
사상 및 운동 | |
사상 | 낭만주의 |
기타 정보 | |
![]() |
2. 생애
1815년 10월 28일 오스트리아 제국 헝가리 왕국 내 우흐로베츠(Uhrovec) 마을에서 복음주의 루터교 교사인 아버지 사무엘(Samuel)과 어머니 안나(Anna)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로부터 라틴어 등 기초 교육을 받았고, 죄르(Győr)의 문법학교와 브라티슬라바(당시 프레스부르크)의 루터교 학당(Lýceum)에서 수학하며 슬라브족 민족 의식에 눈떴다.
학창 시절부터 체코-슬라브 학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연구 비용 부족으로 잠시 학업을 중단하기도 했으나 이후 복귀하여 슬라브 역사와 문학 연구 및 교육에 힘썼다. 독일 할레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등의 사상적 영향을 받았다.
1840년 귀국 후 모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에 본격적으로 투신했다. 그는 헝가리 내에서 슬로바키아 민족의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키고 정치적 자치권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특히 1843년 동료들과 함께 중앙슬로바키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준 슬로바키아어 제정을 주도했으며[11], 이는 훗날 슬로바키아 민족 통합의 중요한 기틀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헝가리 당국의 탄압으로 공직에서 해임되기도 했으나, 슬로바키아 민족 신문(Slovenskje národňje novinislk)을 창간하고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1847년 즈볼렌 시 대표로 헝가리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어 농노제 폐지, 시민권 도입, 슬로바키아어 교육 보장 등을 요구하는 연설을 통해 슬로바키아 민족의 권익을 대변했다. 1848년 혁명이 발발하자 Žiadosti slovenského národa|슬로바키아 민족의 요구sk 청원서를 통해 슬로바키아의 자치권과 민주적 권리를 요구했으나[1], 헝가리 정부의 탄압을 받아 프라하로 피신해야 했다.
혁명 기간 동안 프라하 슬라브 회의에 참여하고[3], 슬로바키아 국민 평의회를 조직하여 헝가리 정부에 맞선 슬로바키아 무장 봉기를 이끌었다.[1][4] 그러나 봉기는 결국 실패로 돌아갔고, 1849년 슬로바키아 지원병 부대는 해체되었다.[1]
혁명 실패 후 정치 활동에 제약을 받으며 개인적인 불행(가족들의 연이은 죽음)을 겪었지만, 모드라(Modra)에서 경찰의 감시 아래 생활하면서도 슬라브 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1855년 12월 사냥 중 발생한 총기 오발 사고로 부상을 입고 투병하다 1856년 1월 12일 모드라에서 사망했다.
사후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추앙받으며, 그의 초상화는 체코슬로바키아 및 슬로바키아 화폐에 사용되었고, 그의 이름을 딴 도시 슈투로보(Štúrovo)도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15년 10월 28일 우흐로베츠(Uhrovec) 마을(당시 헝가리 왕국 영토, 훗날 알렉산데르 두브체크가 태어난 집과 같은 곳)에서 복음주의 루터교 교사인 아버지 사무엘(Samuel)과 어머니 안나(Anna)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복음주의 루터교회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어릴 적 아버지로부터 라틴어를 포함한 기초 교육을 받았다.1827년부터 1829년까지 헝가리 죄르(Győr)에 위치한 문법학교에 다니며 역사학, 헝가리어, 독일어, 고대 그리스어를 공부했다. 이 시기 그는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얀 콜라르, 이르지 도브로프스키와 같은 슬라브 민족주의 사상가들을 존경하게 되었다.
1829년에는 브라티슬라바(당시 프레스부르크)의 명문 루터교 학당(Lýceum)에 입학하여 1836년까지 수학했다. 이 학당은 당시 헝가리 내에서 개신교 고등 교육을 제공하는 주요 기관 중 하나였으며, 유명한 교수 유라이 팔코비치(Juraj Palkovič) 아래 체코슬로바키아 언어 및 문학을 배웠다. 학당 내 '체코-슬라브 학회'(Česko-slovanská spoločnosť)의 회원이 되어 활동하면서 모든 슬라브족에 대한 민족적 관심을 키워나갔다. 1831년에는 처음으로 시를 창작하기도 했다.
1834년 1월부터 9월까지는 연구 비용 부족 등 생활고로 인해 학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고향 우흐로베츠로 돌아가 카로이 자이(Károly Zay) 백작의 서기로 일했다. 하지만 같은 해 말 브라티슬라바로 돌아와 학업을 재개했으며, 체코-슬라브 학회의 역사 및 문학 서클에서 더욱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학회 서신 교환 담당, 프레스부르크 상인 집안의 개인 교습, 학당 내 어린 학생 지도 등을 맡았으며, 외국의 주요 학자들과 교류했다. 1834년 12월 17일에는 체코-슬라브 학회 서기로 선출되었다. 이후 모교인 루터교 학당에서 역사와 문예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학생들에게 슬라브족 문학과 역사를 가르쳤고, 시를 꾸준히 써서 시집을 인쇄하고 출판했다. 그의 노력으로 체코-슬라브 학회 회원 수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1837년 4월에는 학회 활동이 잠시 금지되었다가 재개된 후 '체코슬로바키아 언어 문학 연구소'가 설립되는 데 기여했다. 이 시기 체코, 크로아티아, 폴란드 등지의 신문과 잡지에 슬라브 민족 관련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1838년 9월, 브라티슬라바를 떠나 독일 할레로 유학길에 올랐다. 할레로 가는 도중 프라하에서 한 달 이상 머물며 체코의 애국적인 지식인들과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할레 대학교에서 1840년까지 언어학, 역사, 철학을 공부했으며, 특히 독일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과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사상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유학 중이던 1839년 봄에는 독일 동부의 루사티아(Lusatia) 지역을 여행하며 그곳에 거주하는 슬라브족(소르브인)들과 교류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체코어로 여행기 《1839년 봄에 있었던 루사티아 여행》(Cesta do Lužic vykonaná na jar 1839)을 집필하여 체코의 학술 잡지 '차소피스 체스코호 무세아'(Časopis Českého Musea)에 발표했다.
1840년 프라하와 흐라데츠크랄로베를 거쳐 브라티슬라바로 돌아왔다. 같은 해 10월부터는 모교인 복음주의 루터교 학당에서 유라이 팔코비치 교수의 부교수 자격으로 문법과 슬라브 역사를 가르치며 교육자로서의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2. 2.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

1835년 5월, 류도비트 슈투르는 요제프 후르반을 설득하여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에 참여시켰다. 같은 해, 체코-슬라브 협회 회원들의 우수 작품을 모은 연감 "Plody"("열매")의 공동 편집인이 되었으며, 여기에는 슈투르 자신의 시도 포함되었다. 그는 체코-슬라브 협회의 부회장으로서 리체움의 고학년 학생들에게 슬라브족의 역사와 문학을 가르쳤다.
1836년, 슈투르는 체코의 역사학자 프란티셰크 팔라츠키에게 편지를 보내, 당시 상부 헝가리의 개신교도들이 사용하던 체코어가 일반 슬로바키아인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렵게 되었음을 지적했다. 그는 체코인들이 슬로바키아 단어를 받아들인다면, 슬로바키아인들도 일부 체코 단어를 공식적으로 수용하여 통일된 체코슬로바키아어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체코 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슈투르와 동지들은 완전히 새로운 슬로바키아어 표준을 만들기로 결정했다.[2] 같은 해 4월 24일, 슈투르는 체코-슬라브 협회 회원들을 이끌고 데빈 성(현재 브라티슬라바 일부)을 방문했다. 이 방문은 대 모라비아의 역사적 기억과 연결되어 민족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활동의 시작을 알렸다. 참가자들은 이곳에서 민족 대의에 충성을 맹세하고, 자신들의 이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상부 헝가리 지역을 순회하기로 결의했다. 또한 슬라브식 이름을 추가로 채택하기도 했다 (예: 요제프 후르반은 요제프 밀로슬라프 후르반이 됨).[3]
1836년부터 1838년까지 슈투르는 모교인 리체움의 체코슬로바키아 언어 및 문학 학과에서 팔코비치 교수의 무보수 조수로 일하며 슬라브 문학사를 가르쳤다. 그는 꾸준히 시를 썼고, 그의 지도 아래 체코-슬라브 협회 회원 수는 증가했다. 이 시기 그의 시 "Óda na Hronku"("흐론카에게 보내는 송가")가 처음 인쇄되어 출판되었다. 1837년 4월, 리체움 학생들 사이의 소요로 인해 체코-슬라브 협회가 금지되었으나, 슈투르는 일주일 후 체코슬로바키아 언어 및 문학 연구소를 설립하여 협회의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Tatranka", "Hronka", "Květy"(체코어), "Časopis českého musea", "Danica"(크로아티아어), "Tygodnik literacki"(폴란드어) 등 다양한 신문과 저널에 글을 기고했다.
1838년부터 1840년까지 독일 작센안할트 할레의 할레 대학교에서 언어학, 역사, 철학을 공부했다. 이 시기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과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그의 시집 ''둠키 베체르니''("저녁 생각")가 체코 잡지 ''크베티''에 실리기도 했다. 할레로 가기 전 프라하에서 한 달 이상 머물며 체코 민족 운동가들과 교류했으며, 1839년 봄에는 슬라브족이 거주하는 독일의 루사티아 지역을 여행하고 그곳의 슬라브인들과 접촉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체코어로 여행기 ''체스타 도 루지츠 비코나나 나 야르 1839''("1839년 봄에 루사티아로 떠난 여행")를 써서 ''차소피스 체스코호 무세아''에 발표했다.
1840년, 프라하와 흐라데츠크랄로베를 거쳐 브라티슬라바(당시 포조니)로 돌아왔다. 같은 해 10월부터 다시 에반젤리컬 루터란 리체움에서 팔코비치 교수의 부교수로 활동하며 문법과 슬라브 역사를 가르치고, 체코슬로바키아 언어 연구소 활동을 재개했다.
1841년부터 1844년까지 팔코비치의 문학 잡지 ''타트란카''의 공동 편집자로 일했다. 1841년에는 슬로바키아 정치 신문 발행을 추진했으며, 옛 체코어로 ''스타리 아 노비 베크 스로바코프''("슬로바키아인의 구시대와 신시대")를 저술했다(이 책은 1935년에야 출판되었고, 슬로바키아어 번역은 1994년에 이루어졌다). 1841년 8월 16일, 동지들과 함께 슬로바키아 문화의 상징인 크리반 산에 올랐는데, 이는 오늘날에도 연례 등반 행사로 기념되고 있다. 1842년에는 헝가리 정부의 민족 억압 중단을 요구하는 첫 번째 슬로바키아 탄원서("슬로벤스키 프레스톨니 프로스보피스")를 빈의 황실에 제출했으나, 같은 해 신청한 신문 발행 허가는 거부되었다.

1843년 2월 2일, 슈투르와 동지들은 프레스부르크(브라티슬라바)에서 다양한 방언을 사용하는 슬로바키아인들을 하나로 묶기 위해 중앙 슬로바키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표준 슬로바키아어[11]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같은 해 6월, 리체움의 체코슬로바키아 언어 연구소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고 슈투르는 심문을 받았다. 7월에는 헝가리 내 슬라브족에 대한 헝가리인들의 부당한 처사를 고발하는 변론서 Die Beschwerden und Klagen der Slaven in Ungarn über die gesetzwidrigen Übergriffe der Magyaren|헝가리의 슬라브족이 헝가리인들의 불법적 행위에 대해 제기하는 불만과 고소deu를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출판했다. 헝가리 내에서는 출판이 거부되었기 때문이다. 7월 11일부터 16일까지 흘보케에 있는 요제프 밀로슬라프 후르반의 교구에서 슈투르, 후르반, 미할 밀로슬라프 호자 등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 지도자들이 모여 새로운 슬로바키아어 표준 제정 및 보급 방안을 논의했다. 7월 17일에는 도브라보다에서 이전 베르놀라크 표준어의 대표적 작가였던 얀 홀리를 방문하여 새로운 표준어 제정 계획을 알렸다. 10월 11일, 조사 위원회는 슈투르의 활동에서 불법적인 점을 찾지 못했으나, 강의 중단 명령과 함께 팔코비치 교수 대리직 해임을 통보했다. 그럼에도 슈투르는 강의를 계속했지만, 결국 12월 31일 대리직에서 최종적으로 해임되었다.
이에 항의하여 1844년 3월, 22명의 학생들이 프레스부르크(브라티슬라바)를 떠났고, 그중 13명은 레보차의 복음주의 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이 학생들을 지지했던 얀코 마투슈카는 이 사건을 계기로 훗날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가가 된 "타트라산맥 위에 번개가 쳐도"(Nad Tatrou sa blýska)를 작사했다. 1844년, 슈투르는 새로운 표준 슬로바키아어의 문법과 필요성을 설명하는 Nárečja slovenskuo alebo potreba písaňja v tomto nárečí|슬로바키아 방언 또는 이 방언으로 글을 쓰는 필요성slk을 저술했다. 같은 해 5월 19일, 두 번째 슬로바키아 탄원서가 빈에 제출되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점차 다른 슬로바키아 작가들(주로 슈투르의 제자들)이 새로운 표준 슬로바키아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8월 27일, 슈투르는 최초의 전국적 슬로바키아 협회인 타트린(Tatrin) 창립 대회에 참여했다.
1845년 8월 1일, 새로운 슬로바키아어로 쓰인 Slovenskje národňje novini|슬로바키아 민족 신문slk 창간호가 발행되었고(1848년 6월 9일까지 발행), 일주일 후에는 문학 부록 Orol Tatranský|타트라 독수리slk도 창간되었다(1848년 6월 6일까지 발행). 슈투르는 이 신문을 통해 슬로바키아 민족의 정치적 프로그램을 구체화해 나갔다. 그는 슬로바키아인이 고유한 언어, 문화, 교육 시스템을 가질 권리가 있으며, 헝가리 내에서 정치적 자치권을 확보하고 슬로바키아 의회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해, 독일어로 쓰인 소책자 Das neunzehnte Jahrhundert und der Magyarismus|19세기와 마자르주의deu를 빈에서 출판했으며, 새로운 표준 슬로바키아어 문법을 설명한 저서 Nauka reči Slovenskej|슬로바키아어의 이론slk을 프레스부르크(브라티슬라바)에서 출판했다.
1847년 8월, 타트린 협회 제4회 대회에서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 모두 새롭게 제정된 표준 슬로바키아어를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슈투르가 주도하여 제정한 이 표준 슬로바키아어는 오늘날 슬로바키아의 공용어로 이어지고 있다.
2. 3. 헝가리 의회 활동
1846년, 슈투르는 제미안스케 포드흐라지에의 유복한 귀족 가문인 오스트롤루츠키 가문을 알게 되었고, 이들의 도움은 그가 훗날 프레스부르크(현재의 브라티슬라바)에서 열린 헝가리 의회의 대의원으로 활동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1847년 10월 30일, 그는 즈볼렌 시의 대표로서 프레스부르크(당시 포조니)에서 열린 헝가리 의회(헝가리어: Országgyűlés)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슈투르는 1847년 11월 17일부터 1848년 혁명 발발 직전인 1848년 3월 13일까지 의회에서 다섯 차례 중요한 연설을 했다. 이 연설들을 통해 그는 헝가리 왕국 내 농노제 폐지, 시민권 도입,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슬로바키아어 사용 보장 등을 강력히 요구했다.
1848년 혁명의 분위기 속에서 1848년 5월, 슈투르는 "Žiadosti slovenského národa|슬로바키아 민족의 요구sk"라는 청원서를 작성했다. 이 문서를 통해 그는 슬로바키아 의회 개설, 슬로바키아어를 공용어로 지정,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모든 교육 과정에서의 슬로바키아어 사용, 그리고 슬로바키아 민족의 자치권 확대를 요구했다. 나아가 보통 선거 실시, 언론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 보장 등 민주적 권리 신장과 함께, 농민들을 압제로부터 해방시키고 토지를 돌려줄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는 당시 헝가리 민족주의 성향이 강했던 헝가리 정부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오히려 헝가리 정부는 1848년 5월 12일, 슈투르를 포함한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하며 탄압에 나섰다。 헝가리 당국의 추적을 피해 슈투르는 1848년 5월 31일 프라하로 망명했다.
2. 4. 1848년 혁명과 무장 봉기
1848년 5월, 슈투르는 얀 프란치스키-리마브스키 등과 함께 슬로바키아 민족의 요구를 담은 공식 청원서 Žiadosti slovenského národa|지아도스티 슬로벤스케호 나로다sk("슬로바키아 국민의 요구")를 공동 작성했다.[1] 이 청원서는 립토프스키 스베티 미쿨라시에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으며, 헝가리 내 자치, 헝가리 의회 비례 대표권, 슬로바키아 의회 창설, 슬로바키아어의 공식 언어 지정 및 교육 언어 사용, 보통선거권, 언론 및 집회의 자유 보장, 농노 해방 및 토지 반환 등을 요구했다.[1][2]그러나 헝가리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1848년 5월 12일, 슈투르, 후르반, 호자 등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했다.[1] 탄압을 피해 슈투르는 1848년 5월 31일 프라하로 피신하여 6월 2일부터 프라하 슬라브 회의에 참여했다.[1][3] 프라하에서의 전투로 슬라브 회의가 중단되자, 슈투르는 1848년 6월 19일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로 이동하여 크로아티아 잡지 Slavenski Jug|슬라벤스키 유그hr의 편집자로 활동했다.[1]
슈투르는 자그레브에서 일부 세르비아인들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후르반과 함께 헝가리 정부에 대항하는 슬로바키아 무장 봉기를 준비하기 시작했다.[1][4] 1848년 9월, 그는 비엔나로 가서 봉기 준비에 참여했으며, 9월 15일에서 16일 사이에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의 최고 정치 및 군사 기구인 슬로바키아 국민 평의회가 비엔나에서 창설되었다.[1][4] 평의회는 슈투르, 후르반, 호자를 정치 지도부로 하고, 체코 출신인 B. 블루데크, F. 자흐, B. 야네체크를 군사 전문가로 구성했다.[1]
1848년 9월 19일, 슬로바키아 국민 평의회는 미야바에서 헝가리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고 슬로바키아 민족에게 무장 봉기에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1][4] 그러나 평의회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어서 점령 지역만을 통제할 수 있었다.[1] 슈투르와 지도부는 봉기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1848년 10월 7일 프라하에서 회동했다.[1][4] 11월 비엔나로 돌아온 슈투르는 슬로바키아 자원 봉사자들과 함께 차드차에서 출발하여 헝가리 북부를 가로지르는 군사 작전(소위 '자원 봉사 캠페인')에 참여하여 1849년 3월 프레쇼프에 도달했다.[1] 비록 봉기 초기에 코시체와 프레쇼프 등 주요 도시를 점령하는 성과도 있었으나,[4] 헝가리군의 반격과 탄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4]
1849년 3월 20일, 슈투르는 올로모우츠에서 오스트리아 황제를 만나 슬로바키아 민족의 요구 사항을 전달하는 대표단을 이끌었다.[1] 이후 3월부터 6월까지 비엔나에서 오스트리아 정부와 협상을 시도했지만, 구체적인 성과를 얻지 못했다.[1][4] 결국 슬로바키아 자원 봉사 부대는 1849년 11월 21일 프레스부르크(현재의 브라티슬라바)에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었고,[1][4] 봉기는 실패로 끝났다. 실망한 슈투르는 우흐로베츠에 있는 부모의 집으로 물러났다.[1]
2. 5. 좌절과 죽음
1848년 혁명 이후 슬로바키아 봉기가 좌절되면서, 슈투르가 이끌던 슬로바키아 지원병 부대는 1849년 11월 21일을 기해 해체되었다. 이후 그는 정치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었다. 1850년 가을, 슬로바키아 민족 신문 발행을 시도했으나 헝가리 정부로부터 거부당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슬로바키아 학교와 타트린 협회 문제 해결을 위해 빈으로 파견된 대표단에 참여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이 시기 슈투르는 여러 개인적인 불행을 겪었다. 1851년 1월 13일 동생 카롤(Karol)이 사망하자, 그의 일곱 자녀를 돌보기 위해 모드라(Modra)에 있는 동생의 집으로 이사하여 경찰의 감시 속에서 생활했다. 같은 해 7월 27일에는 아버지 사무엘이 세상을 떠났고, 1853년 3월 18일에는 그의 플라토닉 친구였던 아델라 오스트롤루츠카(Adela Ostrolúcka)가 빈에서 사망했으며, 같은 해 8월 28일에는 어머니 안나가 트렌친(Trenčín)에서 사망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슈투르는 슬로바키아어 표준화 작업과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1851년 10월, 표준 슬로바키아어 개혁에 관한 브라티슬라바 회의에 참여했다. 이 회의는 주로 M. M. 호자(M. M. Hodža)와 마틴 하탈라(Martin Hattala)가 주도하여 기존의 음성 표기법을 어원 표기법 중심으로 개정했으며, 슈투르도 이 과정에 기여했다. 이 개혁을 통해 마련된 표준 슬로바키아어는 이후 약간의 수정을 거쳐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모드라에 머물면서 그는 슬라브 민족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연구와 집필에 몰두했다. 1852년에는 체코어로 쓴 에세이 O národních písních a pověstech plemen slovanských|슬라브 민족의 국가 노래와 신화에 관하여cze를 완성하여 이듬해 보헤미아에서 출판했다. 또한 독일어로 중요한 저서인 Das Slawenthum und die Welt der Zukunft|슬라브주의와 미래의 세계ger를 집필했다. 이 책에서 그는 슬로바키아 민족이 처한 어려운 상황을 분석하고, 러시아와의 연대를 통한 범슬라브주의를 해결책으로 제시하며 사상적 전환을 보여주었다. 이 책은 사후에 러시아어 (1867년, 1909년), 독일어 (1931년), 슬로바키아어 (1993년)로 출판되었다. 1853년에는 그의 시집 Spevy a piesne|노래와 가요slo가 브라티슬라바에서 출판되었다. 1854년 5월에는 도브라 보다(Dobrá Voda)에서 열린 얀 홀리(Ján Hollý) 기념비 제막식에서 추모 연설을 하기도 했다.
1855년 12월 22일, 모드라 근교에서 사냥을 하던 중 실수로 자신의 총을 쏘는 사고를 당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마지막 날들은 친구 얀 칼린치아크(Ján Kalinčiak)의 보살핌 속에서 보냈으나, 결국 상처가 악화되어 1856년 1월 12일 밤 9시에 모드라에서 사망했다 . 그의 장례는 국민장으로 치러졌다.
3. 언어 개혁
1843년 2월 2일, 프레스부르크(현 브라티슬라바)에서 슈투르와 그의 동료들은 다양한 방언을 사용하는 슬로바키아인들을 하나로 묶을 공동의 언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중앙 슬로바키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슬로바키아어 표준을 만들기로 결정했다.[11] 이 결정은 슬로바키아 민족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발걸음이 되었다.
같은 해 7월, 슈투르는 흘보케에서 J. M. 후르반, M. M. 호자 등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의 주요 지도자들과 만나 새로운 표준어를 제정하고 대중에게 소개할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합의했다. 이어 7월 17일에는 도브라보다를 방문하여, 이전에 안톤 베르놀라크가 만든 슬로바키아어 표준을 지지했던 중요한 작가 얀 홀리에게 새로운 표준어 제정 계획을 설명하고 지지를 구했다.
그러나 슈투르의 이러한 민족 운동 활동은 당시 슬로바키아를 지배하던 헝가리 당국의 견제와 탄압을 받았다. 1843년 6월 말, 특별 위원회가 리체움의 체코슬로바키아어 연구소를 조사하고 슈투르를 심문했으며, 10월 11일에는 그의 활동에서 불법적인 점은 발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강의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결국 1843년 12월 31일, 슈투르는 복음주의 루터파 리세움의 교수 대리직에서 최종적으로 해임되었다. 이러한 부당한 조치에 항의하여 1844년 3월, 22명의 학생들이 프레스부르크를 떠났고, 그중 13명은 레보차에 있는 복음주의 학교로 옮겨 학업을 계속했다. 이 학생들 중 한 명이었던 얀코 마투슈카는 이 사건을 계기로 훗날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가가 된 〈타트라 위에 번개가 친다〉(Nad Tatrou sa blýska)를 작사했다.
직위에서 해임된 후에도 슈투르는 1843년부터 1847년까지 개인 학자로서 활동하며 언어 개혁 운동을 멈추지 않았다. 1844년에는 새로운 표준어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책 《슬로바키아 방언 또는 이 방언으로 글을 쓰는 필요성》(Nárečja slovenskuo alebo potreba písaňja v tomto nárečí)을 저술했다. 같은 해, 다른 슬로바키아 작가들도 점차 슈투르가 제안한 새로운 표준 슬로바키아어를 받아들여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8월 27일에는 최초의 전국적인 슬로바키아 문화 협회인 타트린(Tatrin) 창립 대회에 참여하여 민족 문화 운동의 구심점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1845년 8월 1일, 슈투르는 새로운 표준 슬로바키아어로 쓰인 《슬로바키아 민족 신문》(Slovenskje národňje novini)을 창간하여 1848년 6월 9일까지 발행했으며, 일주일 뒤에는 문학 부록 《타트라 독수리》(Orol Tatranský)를 창간하여 1848년 6월 6일까지 발행했다. 이 신문들을 통해 그는 슬로바키아 민족이 고유한 언어, 문화, 학교를 가져야 하며, 헝가리 왕국 내에서 정치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자체적인 슬로바키아 의회를 설립해야 한다는 정치적 프로그램을 구체화하고 널리 알렸다. 또한 같은 해 빈에서는 독일어로 쓴 소책자 《19세기와 마자르주의》(Das neunzehnte Jahrhundert und der Magyarismus)를 출판하여 당시 헝가리 정부의 헝가리 동화 정책을 비판했다.
1846년에는 포조니(브라티슬라바)에서 새로운 표준 슬로바키아어의 문법 체계를 집대성한 중요한 저서 《슬로바키아어 이론》(Nauka reči Slovenskej)을 출판하여 언어 개혁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11] 마침내 1847년 8월, 타트린 협회 제4차 대회에서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양측 대표들이 슈투르가 제안한 새로운 표준 슬로바키아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로 합의하면서, 슬로바키아 민족의 언어 통일에 결정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이렇게 슈투르의 주도로 마련된 표준 슬로바키아어는 이후 약간의 수정을 거쳐 오늘날 슬로바키아의 공용어로 사용되는 슬로바키아어의 기초가 되었다.
4. 사상
류도비트 슈투르는 슬로바키아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권리 신장을 추구했으며, 그의 사상은 초기 슬로바키아 민족주의에서 점차 범슬라브주의로 확장되는 특징을 보였다.
만년에 그는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더욱 발전시켰다. 1852년 모드라에서 체코어로 작성한 에세이 O národních písních a pověstech plemen slovanských|오 나로드니흐 피스니흐 아 포베스테흐 플레멘 슬로반스키흐ces("슬라브 민족의 국가 노래와 신화에 관하여")는 이듬해 보헤미아에서 출판되었다.[1] 또한, 독일어로 중요한 철학 서적인 Das Slawenthum und die Welt der Zukunft|다스 슬라벤툼 운트 디 벨트 데어 추쿤프트deu("슬라브주의와 미래의 세계")를 집필했다. 이 책에서 슈투르는 당시 슬로바키아인들이 처한 절망적인 상황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으로 러시아와의 협력을 강조하며 슬로바키아 민족주의를 넘어선 범슬라브주의적 시각을 뚜렷하게 제시했다.[1] 이 저서는 그의 사후 러시아에서 1867년과 1909년에 러시아어로 먼저 출간되었으며, 이후 원본인 독일어판(1931년)과 슬로바키아어판(1993년)으로도 출판되었다.[1]
슈투르의 사상이 슬로바키아 민족주의에서 범슬라브주의로 이동한 배경에는 당시 헝가리 왕국 내에서 슬로바키아 민족이 겪던 정치적, 사회적 어려움이 있었다. 그는 슬라브 민족 간의 연대를 통해 이러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특히 러시아를 슬라브 민족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협력 파트너로 인식했다. 이는 그의 범슬라브주의 사상의 핵심적인 요소였다.
5. 저작
류도비트 슈투르는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의 지도자로서 언어학, 정치,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저작을 남겼다. 그의 저술 활동은 슬로바키아어 표준화와 민족 정체성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1843년, 그는 헝가리 왕국 내 슬로바키아인들이 겪는 억압과 불법적인 처우를 고발하는 Die Beschwerden und Klagen der Slaven in Ungarn über die gesetzwidrigen Übergriffe der Magyaren|디 베슈베르덴 운트 클라겐 데어 슬라벤 인 웅가른 위버 디 게제츠비드리겐 위버그리페 데어 마갸렌de (헝가리의 슬라브족이 헝가리인들의 불법적 행위에 대해 제기하는 불만과 고소)를 저술했다. 이 책은 헝가리 내 출판이 거부되었으나,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출판되어 슬로바키아인들의 현실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1844년에는 새로운 슬로바키아어 표준 제정의 필요성을 역설한 Nárečja slovenskuo alebo potreba písaňja v tomto nárečí|나레치야 슬로벤스쿠오 알레보 포트레바 피사냐 프 토름토 나레치sk (슬로바키아 방언 또는 이 방언으로 글을 쓸 필요성)를 저술했고, 이 책은 1846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슈투르는 중앙 슬로바키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문어 표준을 제안하며, 당시 얀 콜라르 등이 주장하던 체코-슬로바키아 언어 통일론을 비판했다. 이어서 1846년에는 새로운 슬로바키아어의 문법 체계를 설명한 Nauka reči Slovenskej|나우카 레치 슬로벤스케이sk (슬로바키아어 문법)를 출판하여 언어 표준화 작업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정치 평론가로서 슈투르는 1845년 독일어로 Das neunzehnte Jahrhundert und der Magyarismus|다스 노인첸테 야르훈데르트 운트 데어 마갸리스무스de (19세기와 마자르주의)라는 소책자를 빈에서 출판하여 당시 헝가리 민족주의(마자르주의)의 팽창을 비판했다. 같은 해 8월 1일에는 새로운 슬로바키아어로 쓰인 최초의 정치 신문인 Slovenskje národňje novini|슬로벤스케 나로드네 노비니sk (슬로바키아 민족 신문)를 창간했다. 이 신문은 1848년 6월까지 발행되었으며, 문학 부록인 Orol Tatranský|오롤 타트란스키sk (타트라 독수리)와 함께 슬로바키아 민족의 정치적, 문화적 권리를 주장하고 슬로바키아 정치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말년에는 문학과 철학 저술에 몰두했다. 1852년에는 체코어로 O národních písních a pověstech plemen slovanských|오 나로드니흐 피스니흐 아 포베스테흐 플레멘 슬로반스키흐cs (슬라브 민족의 민요와 설화에 관하여)를 저술하여 이듬해 보헤미아에서 출판했다. 또한 같은 해 독일어로 그의 중요한 철학 저서인 Das Slawenthum und die Welt der Zukunft|다스 슬라벤툼 운트 디 벨트 데어 추쿤프트de (슬라브주의와 미래의 세계)를 완성했다. 이 책에서 그는 슬로바키아 민족이 처한 어려운 상황을 분석하고, 러시아와의 연대를 통한 범슬라브주의를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이 책은 그의 사후 러시아어로 먼저 번역 출판되었고(1867, 1909), 원본 독일어판은 1931년에야 출판되었다. 1853년에는 그의 시집인 Spevy a piesne|스페비 아 피에스네sk (노래와 시)가 프레스부르크에서 출판되었다.
연도 (출판 기준) | 원제 | 한국어 제목 | 비고 |
---|---|---|---|
1843 | Die Beschwerden und Klagen der Slaven in Ungarn über die gesetzwidrigen Übergriffe der Magyaren|디 베슈베르덴 운트 클라겐 데어 슬라벤 인 웅가른 위버 디 게제츠비드리겐 위버그리페 데어 마갸렌de | 슬로바키아인의 헝가리인 횡포에 대한 불만과 호소 |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출판 |
1845 | Das neunzehnte Jahrhundert und der Magyarismus|다스 노인첸테 야르훈데르트 운트 데어 마갸리스무스de | 19세기와 마자르주의 | 소책자, 오스트리아 빈에서 출판 |
1845-1848 | Slovenskje národňje novini|슬로벤스케 나로드네 노비니sk | 슬로바키아 민족 신문 | 주간 신문, 문학 부록 Orol Tatranský|오롤 타트란스키sk(타트라 독수리) 포함 |
1846 | Nárečja slovenskuo alebo potreba písaňja v tomto nárečí|나레치야 슬로벤스쿠오 알레보 포트레바 피사냐 프 토름토 나레치sk | 슬로바키아 방언 또는 이 방언으로 글을 쓸 필요성 | 1844년 저술, 새로운 슬로바키아어 표준 도입 주장 |
1846 | Nauka reči Slovenskej|나우카 레치 슬로벤스케이sk | 슬로바키아어 문법 | 새로운 슬로바키아어 표준 문법 설명 |
1853 | O národních písních a pověstech plemen slovanských|오 나로드니흐 피스니흐 아 포베스테흐 플레멘 슬로반스키흐cs | 슬라브 민족의 민요와 설화에 관하여 | 1852년 저술, 체코어로 작성, 보헤미아에서 출판 |
1853 | Spevy a piesne|스페비 아 피에스네sk | 노래와 시 | 시집 |
사후 출판 (1867, 1909 러시아어판) | Das Slawenthum und die Welt der Zukunft|다스 슬라벤툼 운트 디 벨트 데어 추쿤프트de | 슬라브주의와 미래의 세계 | 1852년 저술, 범슬라브주의 사상 제시, 원본 독일어판은 1931년 출판 |
6. 유산
슈투르는 20세기 동안 체코슬로바키아와 슬로바키아의 지폐 도안 인물로 여러 차례 등장했다. 1987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 50 코루나 지폐에, 1993년부터는 슬로바키아 500 코루나 지폐에 그의 초상이 사용되었다.
헝가리 국경에 위치한 도시 파르칸(Párkány|파르카니hu)은 1948년 그의 업적을 기려 슈투로보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0년 11월 28일, 밀란 안탈이 피슈케스테토 천문대에서 발견한 직경 약 9.6km의 소행성 3393 슈투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산하의 류도비트 슈투르 언어학 연구소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한편, 슈투르는 반유대주의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그는 유대인 해방에 반대했으며, 슬로바키아 유대인은 슬로바키아 민족의 일원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분열을 조장했다.[5][6]
참조
[1]
서적
A magyar nép történelme: a mohácsi vésztől az első világháborúig
https://books.google[...]
Anonymus
1956
[2]
서적
Beitragen Zur Geschichte Des Slowakischen Volkes. Ii. Die Slowakische Nationale Frage in Der Reformepoche Ungarns (1790-1848)
1969
[3]
간행물
Štúr, Ľudovít
http://show.ernie.uv[...]
Study Platform on Interlocking Nationalisms
2020
[4]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ixth Edi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5]
논문
Židia v listoch a publicistike Ľudovíta Štúra
https://fphil.uniba.[...]
2016
[6]
논문
Holocaust Memory and Antisemitism in Slovakia: The Postwar Era to the Present
Indiana University Press
2018
[7]
웹사이트
Ľudovít Štúr(* 1815 Uhrovec — † 1856 Modra)— kodifikátor spisovnej slovenčiny, politik, estetik, pedagóg, básnik a publicista, jedna z ústredných osobností slovenského kultúrno-politického života polovice 19. storočiaRead more: http://zlatyfond.sme.sk/autor/53/Ludovit-Stur/#ixzz36Xy7o2TH
http://zlatyfond.sme[...]
2014-07-05
[8]
웹사이트
Ľudovít Štúr – kodifikátor spisovnej slovenčiny, básnik, politik, publicista, redaktor, pedagóg
http://dikda.eu/ludo[...]
2014-07-05
[9]
웹사이트
Dňa 12. januára 1856 zomrel Ľudovít Štúr. Pokojne skonal, „po velkých bolestech a mnohém krvácení“ . Životom vyplnil štyridsať rokov, dva mesiace a štrnásť dní.
http://www.historywe[...]
2014-07-05
[10]
웹사이트
Životopis Ľudovíta Štúra
http://www.stur.sk
2014-07-05
[11]
문서
当時、やや先行してアントン・ベルノラークが考案した「ベルノラーク語」、そして古典的な「聖書チェコ語」の改良版を標準語に定める2つの動きが並行していた。稲野強「スロヴァキアにおけるスラヴ思想の変遷過程:1848年のチェコ・スロヴァキア問題の前提として」『東欧史研究』3号、1980年、22-37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