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SO/IEC 8859-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IEC 8859-2는 중부 및 동유럽 언어의 문자 인코딩을 위한 8비트 문자 집합 표준이다. 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체코어, 핀란드어, 독일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로토카스어, 세르비아어 라틴 문자,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상 소르브어, 하 소르브어, 투르크멘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이 표준은 ASCII 문자를 포함하며, 코드표를 통해 각 문자에 해당하는 유니코드 코드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SO/IEC 8859 - ISO/IEC 8859-8
    ISO/IEC 8859-8은 히브리어 텍스트 표현을 위해 설계된 ISO/IEC 8859 문자 인코딩의 일부로, 양방향 텍스트 지원 특징을 포함하며 RFC-1556에서 두 가지 변형을 정의한다.
  • ISO/IEC 8859 - ISO/IEC 8859-15
    ISO/IEC 8859-15는 ISO 8859-1을 확장하여 유로 기호와 일부 유럽어 문자를 추가한 8비트 문자 인코딩 방식이지만, UTF-8로 대체되어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
ISO/IEC 8859-2
일반 정보
공식 명칭ISO/IEC 8859-2
다른 이름ISO-IR-101
csISOLatin2
라틴어 2
l2
IBM1111
MIMEISO-8859-2
기반US-ASCII
확장ISO-8859-1
관련 인코딩Windows-1250
MacCroatian
언어 지원
지원 언어중앙 및 동유럽 언어 (라틴 문자)
포함 언어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체코어
독일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세르비아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표준
표준ECMA-94:1986
ISO/IEC 8859
기타
참고Windows-1251 과 관련 있음

2. 지원 언어

ISO/IEC 8859-2는 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체코어, 핀란드어, 독일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로토카스어, 세르비아어 라틴 문자,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상 소르브어, 하 소르브어, 투르크멘어를 지원한다.[1][2][3]

핀란드어의 경우 Å 문자는 공식 핀란드어 알파벳의 일부이지만, 실제로는 고유한 사용법이 없고 외래어 이름에만 사용이 제한된다.[1] 독일어는 2017년 독일 철자 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대문자 ẞ를 추가했지만, SS를 대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필요하지 않다.[2]

루마니아어의 경우, 이 문자 세트는 ȘȚ (아래에 쉼표가 있는 S, T)를 Ş 및 Ţ (세디야가 있는 S, T)와 통합했는데, 이는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1250 및 초기 유니코드를 포함한 사실상 모든 다른 문자 세트와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유니코드는 이후 이들을 분리하여 루마니아어 데이터 처리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기존 데이터와 입력 방법에는 여전히 이전 세디야 코드 포인트가 포함되어 텍스트 검색을 복잡하게 한다.[3]

추가적으로, 영어도 지원이 된다.

2. 1. 중부 유럽

ISO/IEC 8859-2는 중부 유럽 지역의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문자 인코딩이다. 이 인코딩으로 표기할 수 있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핀란드어의 경우 Å 문자는 공식 핀란드어 알파벳의 일부이지만, 실제로는 고유한 사용법이 없고 외래어 이름에만 사용이 제한된다.[1] 독일어는 2017년 독일 철자 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대문자 ẞ를 추가했지만, SS를 대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필요하지 않다.[2]

루마니아어의 경우, 이 문자 세트는 ȘȚ (아래에 쉼표가 있는 S, T)를 Ş 및 Ţ (세디야가 있는 S, T)와 통합했는데, 이는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1250 및 초기 유니코드를 포함한 사실상 모든 다른 문자 세트와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유니코드는 이후 이들을 분리하여 루마니아어 데이터 처리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기존 데이터와 입력 방법에는 여전히 이전 세디야 코드 포인트가 포함되어 텍스트 검색을 복잡하게 한다.[3]

ISO/IEC 8859-2는 슬라브어파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1. 슬라브어파

ISO/IEC 8859-2는 다음 언어들을 표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원래 루마니아어도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1990년대 말 개정 과정에서 루마니아어에서 사용되는 문자는 세디유가 붙은 S와 T (Şş Ţţro)가 아니라, 아래 콤마가 붙은 문자 (Șș Țțro)라는 것이 밝혀졌다. 1999년 판에서는 문자로는 세디유가 붙은 S, T만 포함하지만, "세디유가 붙은 문자를 아래 콤마가 붙은 글자 대신 사용해도 좋다"고 주석으로 기술하였다. 2001년에 콤마가 붙은 S, T를 포함하는 ISO/IEC 8859-16이 정의되었으므로, 루마니아어에는 이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1. 2. 기타

ISO/IEC 8859-2는 다음 언어들을 표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지원 언어



독일어와 알바니아어는 ISO/IEC 8859-1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ISO/IEC 8859-2에서 정의된 문자 중 ß|에스체트de는 독일어, Çç|체, 어sq는 알바니아어 이외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ISO/IEC 8859-2는 이러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는 루마니아어도 대상 언어였지만, 1990년대 말의 개정에서 유니코드와의 대응표를 추가하는 작업 중, 루마니아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ISO/IEC 8859-2에 있는 세디유가 붙은 S와 T가 아니라, 아래 콤마가 붙은 문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결국, 1999년 판에서는 문자로는 세디유가 붙은 S, T만 포함하지만, "세디유가 붙은 문자를 아래 콤마가 붙은 글자 대신 사용해도 좋다"고 주석으로 기술하게 되었다. 그 후 2001년에 콤마가 붙은 S, T를 포함하는 ISO/IEC 8859-16이 정의되었으므로, 루마니아어에는 이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S-DOS코드 페이지 852 및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코드 페이지 1250은 모두 같은 지역을 지원하며, 라틴 문자에 관해서는 같은 문자를 포함하고 있지만, 부호 위치는 호환성이 없다.

2. 2. 동부 유럽

ISO/IEC 8859-2는 다음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지원 언어



독일어와 알바니아어는 ISO/IEC 8859-1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ISO/IEC 8859-2에서 정의된 문자 중 ß|에스체트de는 독일어, Çç Ëë|체와 어sq는 알바니아어 이외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8859-2는 이러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는 루마니아어도 대상 언어였지만, 1990년대 말의 개정에서 유니코드와의 대응표를 추가하는 작업 중, 루마니아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ISO/IEC 8859-2에 있는 세디유가 붙은 S와 T가 아니라, 아래 콤마가 붙은 문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결국, 1999년 판에서는 문자로는 세디유가 붙은 S T만 포함하지만, "세디유가 붙은 문자를 아래 콤마가 붙은 글자 대신 사용해도 좋다"고 주석으로 기술하게 되었다. 그 후 2001년에 콤마가 붙은 S T를 포함하는 ISO/IEC 8859-16이 정의되었으므로, 루마니아어에는 이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S-DOS코드 페이지 852 및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코드 페이지 1250은 모두 같은 지역을 지원하며, 라틴 문자에 관해서는 같은 문자를 포함하고 있지만, 부호 위치는 호환성이 없다.

2. 3. 서부 유럽

ISO/IEC 8859-2는 다음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지원 언어



독일어와 알바니아어는 ISO/IEC 8859-1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ISO/IEC 8859-2에서 정의된 문자 중 ß|에스체트de는 독일어, Çç Ëë|체와 어sq는 알바니아어 이외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ISO/IEC 8859-2는 이러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는 루마니아어도 대상 언어였지만, 1990년대 말의 개정에서 유니코드와의 대응표를 추가하는 작업 중, 루마니아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ISO/IEC 8859-2에 있는 세디유가 붙은 S와 T가 아니라, 아래 콤마가 붙은 문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결국, 1999년 판에서는 문자로는 세디유가 붙은 S, T만 포함하지만, "세디유가 붙은 문자를 아래 콤마가 붙은 글자 대신 사용해도 좋다"고 주석으로 기술하게 되었다. 그 후 2001년에 콤마가 붙은 S, T를 포함하는 ISO/IEC 8859-16이 정의되었으므로, 루마니아어에는 이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코드표

다음은 ISO/IEC 8859-2의 코드표이다. 00에서 1F, 7F, 80에서 9F에 해당되는 문자들은 ISO/IEC 8859-2에 배정되지 않았다. 코드번호 20은 일반 공백 (SPACE), A0은 줄 바꿈 없는 공백(NON-BREAKING SPACE) 문자이다. 코드번호 AD는 소프트 하이픈 (SOFT HYPHEN)으로 웹 브라우저 환경에 따라 홀로는 완전히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0—1—2—3—4—5—6—7—8—9—A—B—C—D—E—F
0—colspan="16" style="background-color:#D0D0D0;" |
1—colspan="16" style="background-color:#D0D0D0;" |
2—SP!"#[$]%&'()*+,-./
3—0123456789:;<=>?
4—@ABCDEFGHIJKLMNO
5—PQRSTUVWXYZ || ~ || style="background-color:#D0D0D0;" |

|-

! 8—

| colspan="16" style="background-color:#D0D0D0;" |

|-

! 9—

| colspan="16" style="background-color:#D0D0D0;" |

|-

! A—

| NBSP || Ą || ˘ || Ł || ¤ || Ľ || Ś || § || ¨ || Š || Ş || Ť || Ź || SHY || Ž || Ż

|-

! B—

| ° || ą || ˛ || ł || ´ || ľ || ś || ˇ || ¸ || š || ş || ť || ź || ˝ || ž || ż

|-

! C—

| Ŕ || Á || Â || Ă || Ä || Ĺ || Ć || Ç || Č || É || Ę || Ë || Ě || Í || Î || Ď

|-

! D—

| Đ || Ń || Ň || Ó || Ô || Ő || Ö || × || Ř || Ů || Ú || Ű || Ü || Ý || Ţ || ß

|-

! E—

| ŕ || á || â || ă || ä || ĺ || ć || ç || č || é || ę || ë || ě || í || î || ď

|-

! F—

| đ || ń || ň || ó || ô || ő || ö || ÷ || ř || ů || ú || ű || ü || ý || ţ || ˙

|}

4.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Microsoft Outlook Message Encodings https://technet.micr[...] 2017-01-10
[2] 웹사이트 The Czech and Slovak Character Encoding Mess Explained http://luki.sdf-eu.o[...] 2022-02-27
[3] 웹사이트 Usage Statistics and Market Share of ISO-8859-2 for Websites, October 2022 https://w3techs.com/[...] 2022-10-23
[4] 웹사이트 Historical trends in the usage statistics of character encodings for websites, February 2022 https://w3techs.com/[...]
[5] 웹사이트 Icu-data/Charset/Data/XML/Ibm-912_P100-1995.XML at main · unicode-org/Icu-data https://github.com/u[...]
[6] 웹사이트 Icu-data/Charset/Data/Ucm/Ibm-912_P100-1999.ucm at main · unicode-org/Icu-data https://github.com/u[...]
[7] 웹인용 Microsoft Outlook Message Encodings https://technet.micr[...]
[8] 문서 The Czech and Slovak Character Encoding Mess Explained http://luki.sdf-eu.o[...]
[9] URL http://w3techs.com/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