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태평양 공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태평양 공군(PACAF)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공군 구성군으로, 1944년 극동 공군으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냉전 기간에는 소련, 중국 등과의 대치 상황에서 전략적 억지력을 제공했다. 현재는 일본, 대한민국, 알래스카, 괌 등에 주요 부대를 두고 있으며, 특히 제5공군(일본), 제7공군(대한민국), 제11공군(알래스카)은 해당 지역의 방위와 안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레드 플래그 훈련 등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전투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 항공대의 부대 통합 관리를 위해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 설치된 극동 공군(Far East Air Forces, 1941년에 설립된 것과는 다름)이 설립되었다. 3개의 항공군을 산하에 두고 일본군과의 전투를 벌였다.[10][11]
2. 역사
1945년 12월 6일, 미국 육군 태평양 항공사령부(Pacific Air Command, United States Army)로 개편되어 5개의 항공군을 보유하고 태평양 각지에 전개했다. 1947년 1월 1일에는 극동 공군(Far East Air Forces)으로 다시 변경되었다.[12][13][14][15]
1957년 7월 1일 현재의 태평양 공군(Pacific Air Forces)이 되었다. 그동안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투입되었고, 냉전 시기에도 최전선 부대로 전개되었다.
1986년 골드워터-니콜스 법에 따라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예하 부대가 되었다.[39]
2012년 9월 28일, 제13공군의 기능이 태평양 공군으로 통합되었다. 제7공군을 제외한 제13공군 케니 사령부의 전투 지휘 기능과 주요 부대는 태평양 공군으로 이관되었고, 제13공군 제1분견대(Detachment 1, 13 AF, 별칭 케니 사령부 재팬)의 일본 조정 기능은 제5공군이 이어받았다.[39]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 8월 3일,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이끄는 극동 육군의 항공군인 '''극동항공군'''(극동 공군)이 조지 캐니 중장의 지휘 아래 창설되었다.[10] 극동 공군은 서남태평양 지역 연합항공군의 공동본부 역할도 수행했다.[11]
1944년 10월,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태평양 전구의 모든 육군을 이끄는 육군원수가 되면서 제7공군이 극동 공군에 배속되었다.[9]
1945년 12월 6일, 극동 공군은 '''미국 육군 태평양 항공사령부'''(PACUSA)로 재편성되었고, 예하 서수항공군은 다음과 같이 재배치되었다.[12][13][14]
항공군 | 기지 | 임무 |
---|---|---|
제5항공군 | 일본 도쿄 후추 비행장 | 일본 열도와 한반도에서 연합국의 점령 지원 |
제7공군 | 하와이주 히캄 비행장 | 하와이 제도, 미드웨이 제도, 마셜 제도, 중앙태평양 섬 방위 |
제8공군 | 오키나와 가데나 육군 비행장 | 류큐 제도와 이오섬 방위 |
제13항공군 | 필리핀 클라크 비행장 | 필리핀 제도, 뉴기니, 솔로몬 제도 방위 |
제20공군 | 마리아나 제도 괌, 하몬 비행장 | 서태평양 전략적 억제 임무 |
제8공군은 1946년 6월 7일 전략항공사령부로 전속되었다.
1947년 1월 1일, 극동사령부의 항공구성군으로 지정되면서, 이름이 다시 극동 공군으로 변경되었다. 제7공군은 해산되어 소속 전력이 모두 극동 공군으로 전속되었다.[15]
2. 2. 한국 전쟁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무장 세력이 남한을 침공하면서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16] 6월 27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남한의 침략 저항을 돕기로 결의했다.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더글러스 맥아더 대장(일본 주둔 미군 사령관)에게 부대를 전투에 투입하도록 승인했다. 맥아더는 조지 E. 스트라테마이어 극동 공군 사령관에게 전선과 38선 사이에서 북한군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무장 세력이 감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공군은 북한군에 대항하기 위해 태평양에 상당한 전력을 배치하고 있었다. 당시 극동 공군(FEAF)의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았다:[17][18][19]
부대 | 위치 | 주력 항공기 |
---|---|---|
제5공군 (일본) | 이타즈케 비행장, 규슈 존슨 공군 기지, 혼슈 나고야 비행장, 혼슈 다치카와 비행장, 혼슈 요코타 공군 기지, 혼슈 미사와 비행장, 혼슈 | F-80, F-82, B-26, C-54 |
제20공군 (오키나와 및 마리아나 제도) | 나하 공군 기지, 오키나와 카데나 공군 기지, 오키나와 앤더슨 공군 기지, 괌 | F-80, F-82, RB-29/B-29 |
제13공군 (필리핀) | 클라크 공군 기지, 루손 | F-80, C-54, RB-17 |
당시 FEAF의 전투 부대는 록히드 F-80 슈팅스타 제트 전투기, 노스아메리칸 F-82 트윈 머스탱 전천후 호위 전투기, 더글러스 B-26 인베이더 경 공격 폭격기, 록히드 RF-80A 슈팅스타 전술 정찰기,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중폭격기를 장비했다. 지원 부대는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 수송기와 사진 지도 제작 임무를 위해 개조된 RB-17 플라잉 포트리스를 운용했다. FEAF 인원은 보트 원 프로젝트에 따라 신생 대한민국 공군(ROKAF)을 훈련, 지원하고 함께 비행했으며, 주로 미 공군(USAF) 재고에서 이관되어 ROKAF 휘장으로 재도색된 F-51D 머스탱 전투기를 운용하여 차단/지상 공격 및 근접 항공 지원 역할을 수행했다.[20][21]
소련이 제작한 미그-15 제트 전투기가 조선인민군 공군(KPAF)에 투입되면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 공군 F-80 및 F-82 부대는 1951년 12월과 1953년 봄 사이에 노스아메리칸 F-86 세이버 제트 전투기로 재장비되었다.[22] 결국, 이 미 공군 F-86 부대는 KPAF에 대해 10:1의 격추율을 기록했다. 한국 전쟁(1950–1953) 동안, 미 해군 및 소규모 연합군과 함께, FEAF의 제5공군이 연합군의 공중전 작전의 주축을 담당했다.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자, 극동공군의 모든 전투행위는 중단되었다.
2. 3. 냉전

1954년 7월 1일, 히캄 공군기지에서 태평양 공군이 창설되어 일본 후추 기지의 극동공군에 예속되었다.[17] 1957년 7월 1일, 극동사령부와 극동 공군이 태평양 사령부와 태평양 공군으로 병합되었다.[17]
냉전 기간 동안 태평양 공군은 소련, 중국과의 대치 상황에서 최전선 부대로서 전략적 억지력을 제공했다. 1950년대 중후반, 중국 공산당과 중화민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1954년과 1958년 대만 해협 위기가 발생했고, 1958년에는 미 공군 F-104C 전투 비행대가 칭취안캉 공군 기지에 배치되기도 했다.[23] 마쭈와 진먼 문제는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리처드 닉슨이 존 F. 케네디가 중화인민공화국의 중화민국 전초 기지 침공 시 핵무기 사용을 꺼린다고 비난하면서 쟁점이 되었다.[24]
1960년까지 태평양 공군은 35개 비행대대로 구성된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춘 억지력을 유지했으며, 6개국에 걸쳐 10개의 주요 기지에서 작전을 수행했다.[17]
2. 4. 베트남 전쟁
1960년대 초, 베트남에서 공산군의 군사력과 화력이 증가했다. 그 결과, 태평양 공군은 병력과 더 나은 무기 및 장비를 추가하여 이 지역에서 증강을 시작했다.[25]1964년 통킹만 사건에 대응하여, 전술항공사령부(TAC)의 조종사, 항법사 및 지원 인력이 미국 본토(CONUS)에서 다낭 공군기지와 판랑 공군기지와 같은 태평양 공군 기지로 배치되었다. 태국 내 타클리 왕립 태국 공군 기지와 코랏 왕립 태국 공군 기지도 TAC 전투비행대대의 배치에 사용되었다.[25]
미국의 동남아시아 노력이 증가함에 따라, TAC는 CONUS 기지에서 태평양 공군으로 전체 항공기 비행단을 영구적으로 재배치했으며, 베트남과 태국의 태평양 공군 기지에 로테이션되는 임시 임무(TDY)에 대한 전술 전투기 및 정찰 비행대대의 수를 증가시켰고, 대한민국, 일본 및 필리핀으로 부대를 파견했다. 매일, 비행 승무원들은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상공의 작전 지역 전체의 목표물에 자신들의 비행기를 쏟아부었다.[25]
베트남 전쟁 절정기(1968년)에, 태평양 공군은 다음 국가의 주요 공군 기지에서 병력을 지휘했다.[26]
1962년에 태평양 공군은 남베트남의 주요 전쟁 수행 조직인 제2항공사단을 창설했다. 분쟁이 격화되면서, 제7공군은 1966년 4월 1일에 제2항공사단을 대체하며 창설되었다. 1964년부터 태국에 있는 태평양 공군 부대는 제13공군의 지휘를 받았고, 1973년에는 방콕에 제7/제13 공군 합동 사령부가 설립되어 인도차이나에서 작전하는 태평양 공군 병력을 지휘했다(1973년 8월 15일까지). 그리고 1976년 초 동남아시아에서 미 공군이 최종 철수할 때까지 태국을 지휘했다.[26][27]
2. 5. 냉전 이후
1986년, 골드워터-니콜스 법에 따라 태평양 공군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예하 부대가 되었다.[39] 1991년, 필리핀 피나투보 화산 폭발로 클라크 공군기지가 폐쇄되고 제13공군이 재배치되었다. 1992년, 군사 수송 사령부(MAC) 해체에 따라 극동 지역의 전술 수송 비행단, C-130 수송기 등이 태평양 공군으로 이관되었다.냉전 종식 이후, 태평양 공군은 테러와의 전쟁, 인도적 지원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2년 9월 28일, 제13공군의 기능이 태평양 공군으로 통합되었다.[39] 제13공군 케니 사령부가 수행하던 제7공군을 제외한 태평양 공군의 모든 전투 지휘 등의 기능과 주요 부대는 태평양 공군으로 이관되었으며, 제13공군 제1분견대(Detachment 1, 13 AF, 별칭 케니 사령부 재팬)의 일본에서의 조정 등의 기능은 제5공군이 이어받았다.
3. 주요 부대
태평양 공군은 3개의 서수 공군과 여러 비행단으로 구성되어 있다.[32][33]
- '''제5공군''': 1944년 8월 3일부터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 '''제7공군''': 1945년 7월 14일부터 1947년 1월 1일까지, 1955년 1월 5일부터 1957년 7월 1일까지, 1966년 4월 1일부터 1975년 6월 30일까지, 그리고 1986년 9월 8일부터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 '''제11공군''': 1990년 8월 9일부터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이 외에도 과거 제13공군(1944년 8월 3일 – 1955년 6월 1일; 1957년 7월 1일 – 2012년 9월 28일)과 제20공군(1945년 12월 6일 – 1955년 3월 1일)도 태평양 공군 소속이었다.
태평양 공군 본부는 진주만-히캄 합동기지에 있으며, 제319원정정찰대대가 2022년 10월 일본 가노야 비행장에 창설되어 무인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 태평양 공군 군악대는 일본 요코타 공군 기지(아시아)와 미국 하와이 진주만-히캄 합동기지(하와이)에 각각 있다.
3. 1. 제5공군 (주일 미 공군)
- - 제5공군(5th AF)은 일본 요코타 비행장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일본 내 미 공군 작전을 담당한다. 그 역할은 일본을 방어하고, 지역 사건에 대응하며, 미국과 일본 간의 미일 상호 방위 원조 협정 동맹을 강화하는 것이다.[34]
'''상설 부대'''
- 제5공군 본부 (요코타 공군 기지, 일본)
- 제18비행단 (가데나 공군 기지, 일본) – E-3B/C 센트리, HH-60G 페이브 호크, F-15C/D 이글, E-8C J-STARS 및 KC-135R 스트라토탱커
- 제35전투비행단 (미사와 공군 기지, 일본) – F-16CJ/DJ 파이팅 팔콘
- 제374수송비행단 (요코타 공군 기지) – C-12J 휴론, C-130J 허큘리스 및 UH-1N 이로쿼이
- 제605항공작전단 (요코타 공군 기지)
- 제5공군 예하 비행단
비행단 | 위치 | 운용 기종 |
---|---|---|
제18비행단 | 가데나 비행장 | E-3B/C 센트리, HH-60G 페이브 호크, F-15C/D 이글, KC-135R 스트라토탱커 |
제35전투비행단 | 미사와 비행장 | F-16C/D-50 |
제374공수비행단 | 요코타 비행장 | C-130J-30, C-12J, UH-1N |
3. 2. 제7공군 (주한 미 공군)
오산 공군기지에 본부를 둔 제7공군은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을 유지하고,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휴전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35] 더불어민주당은 제7공군을 포함한 주한 미군의 역할을 중요하게 평가하며, 한미 동맹을 강화하고 한반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상시 부대'''
부대 | 위치 | 운용 기종 |
---|---|---|
제7공군 사령부 | 오산 공군기지 | |
제8전투비행단 | 군산 공군기지 | F-16C/D 파이팅 팰콘 |
제51 전투비행단 | 오산 공군기지 | A-10C 썬더볼트 II, F-16C/D 파이팅 팰콘 |
제607 항공우주작전센터 | 오산 공군기지 | |
제607 항공 지원단 | 오산 공군기지 | |
제607 항공 지원 작전단 | 오산 공군기지 | |
제607 지원단 | 오산 공군기지 |
3. 3. 제11공군 (알래스카 공군)
제11공군은 알래스카, 하와이를 포함한 태평양 전역과 미국 영토인 괌에서 미 공군의 작전을 담당한다.[36]'''상시 부대'''
부대명 | 기지 | 비고 |
---|---|---|
제11공군 본부 |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 |
제3 비행단 |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 C-130H 허큘리스, C-17A 글로브마스터 III, F-22A 랩터, E-3B 센트리 운용 |
제15비행단 | 진주만-히컴 합동기지, 하와이 | C-17A 글로브마스터 III, C-37B, C-40A, F-22A 랩터 운용 |
제36비행단 | 앤더슨 공군 기지, 괌 | |
제354전투비행단 | 이엘슨 공군기지, 알래스카 | F-16C/D 파이팅 팔콘, F-35A 라이트닝 II 운용 |
제611 항공 우주 작전 센터 |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 |
제611 항공 지원단 |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 |
제613 항공 우주 작전 센터 | 진주만-히컴 합동기지 | |
제613 지원단 | 진주만-히컴 합동기지 | |
제673 공군 기지 비행단 |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 |
태평양 공군 지역 지원 센터 | 엘멘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
'''제11공군 예하 부대'''
부대명 | 기지 | 비고 |
---|---|---|
제90전투비행대대(90th FS) | 엘멘도프-리처드슨 통합기지 | F-22A 운용 |
제517공수비행대대(517th AS) | 엘멘도프-리처드슨 통합기지 | C-17A 운용 |
제525전투비행대대(525th FS) | 엘멘도프-리처드슨 통합기지 | F-22A 운용 |
제537공수비행대대(537th AS) | 엘멘도프-리처드슨 통합기지 | C-130H 운용 (인원만, 기재는 주 방위군과 공용) |
제962항공관제비행대대(962d AACS) | 엘멘도프-리처드슨 통합기지 | E-3B/C 운용 |
제18어그레서 비행대대(18th AGRS) | 일슨 공군기지 | F-16C/D-30 운용 |
제353전투훈련중대(353d CTS) | 일슨 공군기지 | 훈련 지원 비행대대 (기재 없음) |
제355전투비행대대(355th FS) | 일슨 공군기지 | F-35A 운용 |
제356전투비행대대(355th FS) | 일슨 공군기지 | F-35A 운용 |
4. 프로그램
- 레드 플래그 훈련
- 레드 플래그 – 알래스카 (옛 "코페 선더 (Cope Thunder영어)")
5. 한국과의 관계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극동공군의 모든 전투 행위는 중단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태평양 공군은 한반도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1955년 3월 1일, 오산 공군기지에 제314항공사단을 재소집하여 주한 미국 공군으로 지정, 주한 미군을 지원하도록 하였다.[17][18][1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억지력을 제공하고, 한미 연합 방위 태세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미국 공군은 한국 전쟁에서 북한 공군에 대항하기 위해 태평양에 상당한 전력을 배치하고 있었다. 당시 극동 공군(FEAF)의 전투 부대는 록히드 F-80 슈팅스타 제트 전투기, 노스아메리칸 F-82 트윈 머스탱 전천후 호위 전투기, 더글러스 B-26 인베이더 경 공격 폭격기, 록히드 RF-80A 슈팅스타 전술 정찰기,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중폭격기 등을 장비했다.
한국 전쟁 (1950–1953) 동안, 미 해군 및 소규모 연합군과 함께, FEAF의 제5공군이 연합군의 공중전 작전의 주축을 담당했다. 소련이 제작한 미그-15 제트 전투기가 북한 공군에 투입되면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 공군 F-80 및 F-82 부대는 1951년 12월과 1953년 봄 사이에 노스아메리칸 F-86 세이버 제트 전투기로 재장비되었다.[22]
베트남 전쟁의 절정기(1968년)에, 태평양 공군은 대한민국에서 제5공군을 통해 병력을 지휘했다.[26]
참조
[1]
웹사이트
Pacific Air Forces (USAF) >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 Display
http://www.afhra.af.[...]
[2]
웹사이트
Pacific Air Forces > Pacific Air Forces > Display
http://www.pacaf.af.[...]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irforcem[...]
2018-01-31
[4]
웹사이트
Leadership
https://www.pacaf.af[...]
[5]
웹사이트
Leadership
https://www.pacaf.af[...]
[6]
웹사이트
Leadership
https://www.pacaf.af[...]
[7]
웹사이트
AIR VICE-MARSHAL CARL NEWMAN
https://www.pacaf.af[...]
[8]
웹사이트
Leadership
https://www.pacaf.af[...]
[9]
웹사이트
GENERAL GEORGE CHURCHILL KENNEY > Air Force > Biography Display
http://www.af.mil/Ab[...]
[10]
문서
The United States Far East Air Forces was a separate command from the World War II [[Far East Air Force (United States)]] (28 October 1941 – 5 February 1942) which fought in the Philippine and Dutch East India campaigns. Initially it was composed mostly of aircraft and personnel from the [[Philippine Army Air Corps]]. It was largely destroyed during the [[Battle of the Philippines (1941–42)]] and the surviving personnel and aircraft were later reorganized in Australia as the U.S. [[Fifth Air Force]].
[11]
웹사이트
PACAF History Fact Sheet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12]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Occupation
http://www.history.a[...]
[13]
웹사이트
HyperWar: Army Air Forces in WWII: Volume VII: Services Around the World [Chapter 17]
http://ibiblio.org/h[...]
[14]
웹사이트
USAF Historical Research Agency
http://www.afhra.af.[...]
[15]
웹사이트
PACAF page, AFHRA
http://www.afhra.af.[...]
[16]
서적
American Caesar, Douglas MacArthur 1880–1964
Little, Brown
1978
[17]
웹사이트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PACAF History Factsheet
http://www.afhra.af.[...]
[18]
서적
Final Cut: The Postwar B-17 Flying Fortress: The Survivors
Pictorial Histories Publishing Company
1993
[19]
서적
Air Force Combat Wings Lineage and Honors Histories 1947–1977
Maxwell AFB, Alabama: Office of Air Force History
1984
[20]
문서
Dean Hess
[21]
문서
Bout One
[22]
웹사이트
Korean Service 1950-1954
http://afhra.maxwell[...]
2022-01-11
[23]
웹사이트
Second Taiwan Strait Crisis
https://www.globalse[...]
[24]
웹사이트
1960 Presidential Debates @ CNN.com
http://www-cgi.cnn.c[...]
[25]
서적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Southeast Asia: The Advisory Years to 1965
Office of Air Force History, United States Air Forceriority in Korea. Annapolis: U.S. Naval Institute Press, 2005.
1991
[26]
서적
A War Too Long: The History of the USAF in Southeast Asia, 1961–1975
Office of Air Force History, United States Air Force
1996
[27]
서적
The Secret Vietnam War: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Thailand, 1961–1975
McFarland & Company
[28]
뉴스
AF seeks backup runway in western Pacific.
http://www.airforcet[...]
Pacific Daily News
2011-10-11
[29]
웹사이트
http://www.mvariety.com/cnmi/cnmi-news/local/71785-air-force-still-mulls-saipan-tinian-alternatives
[30]
웹사이트
See lineage and honors at https://ww35.usafunithistory.com/PDF/A-E/AIR%20MATERIAL%20FORCE,%20PACIFIC%20AREA.pdf.
[31]
웹사이트
O'Shaughnessy Assumes Command of Pacific Air Forces > U.S. Indo-Pacific Command > 2015
https://www.pacom.mi[...]
[32]
웹사이트
PACAF Units
https://www.pacaf.af[...]
US Air Force
2020-04-25
[33]
간행물
Air Power Review
Key Publishing
2020
[34]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5af.paca[...]
US Air Force
2020-04-25
[35]
웹사이트
Units
https://www.7af.paca[...]
US Air Force
2020-04-25
[36]
웹사이트
Joint Base Elmendorf-Richardson > Units > Air Force
https://www.jber.jb.[...]
2020-04-25
[37]
웹사이트
https://archive.is/2[...]
[38]
웹사이트
http://www.jiji.com/[...]
[39]
뉴스
13th Air Force inactivates, merges with PACAF
http://www.af.mil/Ne[...]
Pacific Air Forces Public Affairs
2012-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