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조인은 미조람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사람'을 뜻하는 '미'와 고원 또는 시원함을 의미하는 '조'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들은 중국 남부에서 기원하여 여러 지역을 거쳐 미조람에 정착했으며, 다양한 씨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조어와 영어를 사용하며, 기독교를 주요 종교로 믿는다. 미조 문화는 섬유, 대나무, 등나무 공예, 춤, 음악 등 다채로운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틀라움응아이흐나라는 사회적 행동 규범을 중시한다. 인도 독립 이후에는 족장 제도 폐지, 미조 민족 전선의 봉기, 평화 협정 체결 등을 거쳐 미조람이 주(州)로 승격되었다. 미조람은 높은 문맹률을 보이며, 미조어의 공식 언어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동인도의 민족 - 친족 (민족)
    친족은 미얀마 북서부 친 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다양한 방언과 문화를 공유하는 민족으로,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군부의 억압에 저항하며 자결권을 요구하고 있다.
  • 방글라데시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 방글라데시의 민족 - 드라비다인
    드라비다인은 인도 남부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드라비다어족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어족 중 하나로 여겨진다.
미조인
기본 정보
미조 전통 체라우 춤
미조 전통 체라우 춤
민족명미조족 (Mizo hnam)
총 인구1,400,000+ (2011–2019년)
거주 지역
미조람 주
미조 디아스포라
기타 거주 지역400,000명
50,000명
22,000명
8,000명
6,000명
사용 언어미조어, 버마어
종교다수: 기독교
소수: 유대교, 불교, 미조 전통 종교
관련 민족쿠키시어족 사용 민족
언어 표기lus
추가 정보
참고루샤이 구릉에 거주하는 여러 부족을 포괄하는 식민지 시대 용어 (루세이 부족과 혼동하지 말 것)

2. 어원

'미조'라는 용어는 두 개의 미조어 단어, '미'와 '조'에서 유래되었다. '미'(mín/民중국어)는 미조어로 "사람" 또는 "시민"을 의미한다. '조'라는 용어는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한 견해에 따르면, '조'는 '고원' 또는 '외딴 곳'을 의미한다(Willem van Schendel의 용어 '조미아'). 또 다른 의미는 "시원한" 또는 "상쾌한"(즉, 고지대의 시원하고 상쾌한 공기/환경의 느낌)이다. "조"는 모든 시원/차가운 온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용어는 "바우트"이다.

미조는 인도 미조람(식민지 시대에는 루샤이 언덕)에 거주하는 하위 집단 또는 씨족의 광범위한 민족 분류이다. 특히 중앙 쿠키친어군 화자를 포함한 많은 하위 집단 구성원이 미조 범주에 합류하여 이를 채택했다.

3. 기원 및 역사

3. 1. 기원

일부 미조족은 자신들의 조상이 친룽으로 알려진 곳을 떠나 이주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15] 일부는 이 위치가 중국 남부에 있으며, 야룽강 유역 근처에 위치해 있다는 데 동의한다.[15] 미조족은 옛 친룽 문명의 화려함에 대한 노래와 이야기를 영향력 있는 사람들을 통해 다음 세대로 전해왔다.[15] 하지만, 고고학적으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3. 2. 정착 과정

K. S. 라투레트에 따르면, 기원전 210년 중국에서 왕조 통치가 폐지되고 제국 전체가 하나의 행정 체제로 통합되면서 혁명을 포함한 정치적 격변이 일어났다. 반란이 일어나고 중국 전역에 혼란이 휩싸였으며, 미조족은 그러한 이주 물결의 일부로 중국을 떠났다. 그들은 처음으로 5세기에 샨 주에 도착했다. 미조족이 친룽에서 그곳에 도착했을 때, 샨족은 이미 자신들의 주에 확고하게 자리를 잡고 있었다. 샨족은 미조족을 손님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배척하지도 않았다. 미조족은 8세기에 카바우 계곡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샨 주에서 거의 300년 동안 거주했다.

카바우 계곡에서 미조족은 현지 버마인과 문화적 영향을 주고받았다. 미조족은 카바우에서 버마인으로부터 경작법 기술을 배웠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그들의 많은 농기구에 미조족이 버마인에게 부여한 이름인 접두사 "Kawl"이 붙어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방치아의 묘역에 있는 조각된 돌


미얀마의 카바우 계곡에 있는 캄팟은 미조족의 다음 정착지로 알려져 있다. 미조족이 자신들의 초기 마을이라고 주장하는 지역은 흙으로 된 성벽으로 둘러싸여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있었다. 통치자의 거주지는 난 야르(궁궐 부지)라고 불리는 중앙 구획에 있었다. 마을의 건설은 미조족이 이미 상당한 건축 기술을 습득했음을 보여준다. 그들은 캄팟을 떠나기 전에 난 야르에 반얀 나무를 심어 그들이 마을을 만들었다는 증표로 삼았다고 한다.

1900년대 초의 전형적인 미조족 마을


14세기 초에 그들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인도-미얀마 국경을 넘어 루샤이 언덕으로 들어갔다. 그들은 마을을 건설하고 그들의 씨족 이름을 따서 "세이푸이", "사이문", "보충", "비아테", "방치아" 등이라고 불렀다. 친 언덕의 언덕과 험난한 지형으로 인해 여러 마을로 분열되었고 민족 분산이 일어났다.

3. 3. 주요 정착지

셀레시는 미조 부족의 가장 크고 유명한 정착지 중 하나로, 1740년에서 1750년 사이에 카웅방 남쪽과 졸세이 사이에 위치했다.[20] 티아우 강 건너 부족들의 습격을 막기 위해 뜻을 모은 일곱 명의 추장들이 협력하여 건설했으며, 역사적으로 7,000채의 가옥을 자랑했지만, 이는 과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당시 인구 면에서 가장 큰 정착지였다는 데에는 의견이 일치한다.[20]

Tualte의 정확한 건립 날짜는 추적하기 어렵지만, 1861년에 1,000채의 가옥과 많은 인구를 포함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20] Tualte에는 Pasalṭha Vanapa(Thangzachhinga), Chawngduma, Zampuimanga, Keikawla, Tawkthiala 등 미조족 중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들이 거주했다.[20] Tualte는 Vanhnuailiana 한 사람의 통치를 받았는데, 그의 증조부 Lalsavunga는 미조 역사상 가장 부유한 족장 중 한 명이었다. Tualte는 마우탐 기근이 시작되면서 쇠퇴했다.[20][21]

덩틀랑 마을은 탕루아 추장 반누아이탕가와 반푸이아에 의해 설립되었다. 덩틀랑은 두 지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차크추아크와 차웅하위에서 온 일부 동맹 파위족이 합류했다. 덩틀랑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알려져 있지 않지만, 몇몇 장소가 덩틀랑이 위치했던 곳으로 추정된다.[21]

미조람 부족 분포

4. 언어

현대 미조족은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조람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인 미조어를 사용하며, 영어도 함께 사용한다.[22]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미조어는 성조 언어로, 음절의 의미가 성조에 따라 달라진다.[23]

다른 지역 방언으로는 하마르어, 비아테어 등이 있다. 미조족은 고대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미조족이 자체 문자를 사용했다는 전설이 있는데, 어느 날 모든 마을 사람들이 농장에 간 사이에 배고픈 개가 문자가 적힌 종이를 모두 먹어치웠고, 사람들은 읽고 쓰는 법을 잊어버렸다고 한다.

현재 미조람에서는 헌터식 표기법을 사용하여 미조어를 표기하기 위해 로마자가 사용된다. 현지에서는 일반적으로 ''"Mizo A AW B"'' 또는 ''"Mizo Hawrawp"''로 알려져 있다.[24] 미조어는 미조람 인구의 91.3%가 읽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 주는 인도에서 세 번째로 높은 문맹률을 기록하고 있다.[25] 미조람은 91.58%[49]의 문맹률로 인도 주들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문맹률을 보이며, 국가가 교육을 강조하는 데 있어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사람들은 미조어를 인도 헌법 제8부속서에 공식 언어로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50]

5. 문화

미조 문화는 다양한 부족과 씨족으로 인해 다양하고 풍부하다. 19세기 이후, 이는 주로 기독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미조족의 주요 축제는 크리스마스 또는 현지에서 "크리스마스"로 알려져 있다.[26] 또한, 남성 의복은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아 코트를 입는다.[27] 미조족은 여전히 고대 관습과 가치를 소중히 여기지만, 많은 것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화했다. 최근에는 기본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28]

미조람 주립 박물관에 전시된 미조 전통 의상


전형적인 남성용 미조 전통 의상은 다양한 색상의 큰 ''푸안''(puan)과 다양한 착용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들은 무릎 위까지 오는 더 짧은 푸안을 착용한다. 여름 동안 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허리에 옷을 두르고 머리에는 일종의 터번을 쓰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현대에는 전통적인 무늬가 들어간 티셔츠를 선호한다.

미조 여성의 전통 의상은 다양하다. 가장 인기 있는 의상은 세 가지 의류 품목으로 구성된 ''푸안''으로, 셔츠, 레깅스 한 쌍, 두파타와 비슷한 머리 덮개가 있으며, 추리다르와 쿠르타와 매우 유사하다. 푸안은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의상 중 하나이지만, 특별한 행사나 결혼식에는 '푸안체이'(Puanchei)를 입는 것을 좋아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상의 또는 셔츠와 치마처럼 긴 하의로 구성된 투피스 의상이다. 멋진 블라우스는 ''카르체이''(Kawrchei)라고 불린다. 이것은 면으로 손으로 짠 것이다. 춤을 출 때 블라우스는 종종 푸안체이와 함께 입는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선명한 색상과 체크 무늬를 가지고 있다.

5. 1. 사회

미조 문화는 다양한 부족과 씨족으로 인해 다양하고 풍부하다.[26] 19세기 이후, 미조 문화는 주로 기독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미조족의 주요 축제는 현지에서 "크리스마스"로 알려진 크리스마스이다.[26] 남성 의복은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아 코트를 입는다.[27] 미조족은 여전히 고대 관습과 가치를 소중히 여기지만, 많은 것이 변화했다. 최근에는 기본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28]

5. 2. 예술 및 공예

미조람의 시장에서는 다양한 예술 및 공예 제품이 판매된다. 주요 공예품은 섬유, 대나무, 등나무, 바구니 세공이다.[29] 많은 여성들이 직조와 바구니 세공에 종사하고 있다. 미조람은 대나무 등나무 공예로 유명하여 관련 산업이 번성하고 있다.[29] 인도 경제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미조 장인들은 대나무 바구니 외에도 등나무 걸상, 호리병 공예, 그리고 각 지역과 하위 지역에서 도자기를 제작한다.[30]

아이자울, 미조람의 수공예 전시회

5. 3. 음식

미조족이 즐겨 먹는 비채식 요리의 대부분은 바나나 잎에 담겨 나오며 풍성한 요리를 대표한다. 요리를 준비할 때 겨자유와 마늘, 생강, 고추와 같은 향신료를 사용한다. 다른 지역에 비해 식단에 덜 매운 음식을 사용한다.[29] 그들의 주식이며 채식 및 비채식 커리와 함께 먹는다. 음식의 향은 죽순을 사용하여 낸다.[29] 바이(다양한 채소로 만든 스튜), 복사 렙(훈제 돼지고기), 부치아르(죽), 아르사 부치아르(닭고기 죽)는 전형적인 미조 요리의 몇 가지 예이다.[29]

5. 4. 춤과 음악

미조족은 공연 예술에 뛰어나다. 체라우 춤은 대나무 춤이라고도 하며, 미조족의 가장 오래된 춤으로 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미조족이 대규모 이주 전에 친룽 중국에 거주할 때부터 시작되었다.[31] 이 춤은 현재 거의 모든 축제와 행사에서 공연된다.[31] 다른 춤으로는 체이 람, 쿠알 람, 차이 람, 틀랑 람, 파르 람, 사르람카이 등이 있다. 미조어로 ''람''(Lam)은 "춤"을 의미한다.

전통 의상을 입은 체라우 춤


아득한 옛날부터, 미조족은 다양한 악기를 사용해왔다. 이들은 크게 타악기, 관악기, 현악기로 나눌 수 있다.

  • '''타악기'''에는 크왕(드럼), 다르(징), 다크후앙/잠루앙 (큰 놋쇠 드럼), 다르부 (세 음 징), 다르망 (작은 징), 벵붕(실로폰과 유사한 악기), 탈크왕, 세키 (속이 빈 나팔)가 있다.
  • '''관악기'''에는 로우챔(백파이프와 유사한 악기), 툼핏, 타우타우로우트 (대나무 트럼펫), 펭라우 (대나무 플루트), 부창쿠앙 (갈대 또는 벼 줄기 피리), 흐나툼 (잎)가 있다.
  • '''현악기'''에는 팅탕 (트링-트랑으로 발음, 기타), 렘라위(하프), 투이움 다르 (각각 독특한 음을 가진 세 개의 현)가 있다.


다크후앙, 잠루앙 또는 잠루앙이라고도 함


크왕은 오늘날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유일한 미조족의 전통 악기이다. 옛날에는 크왕이 종교 의식에서 역할을 하지 않았지만, 오늘날에는 모든 교회 예배에서 크왕의 사용이 필수적이다.[32]

5. 5. 틀라움응아이흐나 (Tlawmngaihna)

틀라움응아이흐나(t͡lɔmŋaɪʔna)는 미조 문화의 사회적 행동 규범으로, 영어로 직접 번역되는 단어가 없다. 본질적으로 자신을 생각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윤리적이고, 상냥하며, 사려 깊고, 도움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미조 문화에는 "Sem sem dam dam, ei bil thi thi"(셈 셈 담 담, 에이 빌 티 티/Sem sem dam dam, ei bil thi thilus)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모두 가지면 멸망하고 나누면 산다"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속담은 1958년 기근 당시 미조 언덕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다.[33]

미조족의 틀라움응아이흐나의 또 다른 부분은 Nghah Loh Dawr 상점이다. 미조람에서는 길가에 헛간이나 작은 상점이 있어 채소과일이 보관되어 있고 물건의 가격이 적혀 있지만, 상인은 보이지 않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필요한 물건을 가져가고 상자에 현금을 넣을 것이라고 믿는다. 고객은 거스름돈이 필요하면 같은 통에서 가져갈 수 있도록 권장된다. 이 상점들은 신뢰라는 원칙하에 운영된다.[34]

6. 종교

미조족은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애니미즘 신봉자였다. 루사이 부족은 자연에 기반한 정령과 기타 자연에 존재하는 생명체를 믿는 ''루사이 애니미즘''을 따랐다.[35]

19세기에 영국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영국령 인도 제국은 군주제를 복속시켰고, 이후 1954년 아삼-루샤이 지구 (추장의 권리 획득) 법에 의해 이를 폐지했다. 기독교 선교사들의 교육 보급은 2011년까지 91.58%의 높은 문맹률을 기록하게 했다.[49]

20세기 중후반, 아삼 주와 미조람 주에 거주하는 소수의 미조족 및 관련 민족들이 1951년 한 공동체 지도자가 그들이 성경 속 인물 므나세의 후손이며, 므나세는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라는 꿈을 꾼 후 유대교를 실천하기 시작했다.[36] 이들의 수는 이들 주(州)의 370만 명이 넘는 인구 중 기껏해야 수천 명에 불과하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중동 민족(유대 민족 포함)과의 유전적 연관성은 매우 낮으며,[37][38] 이스라엘의 랍비 당국은 브네이 메나셰를 정통 유대교 관습에 따라 유대교로 개종한 이후 유대인으로 인정했다.

7. 씨족

미조족에는 5개의 주요 씨족 또는 부족이 있는데, 이는 ''awzia''로 알려진 H마르, 루세이, 랄테, 라이(파위), 그리고 마라(라케르)이다.[15] 일부 라이족과 마라족은 정치적, 언어적 차이로 인해 미조족으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다.[40]

Hmar족


미조어의 루세이 방언으로 ''Hmar''는 "북쪽"을 의미하며, Hmar족이 루세이족의 북쪽에 살았음을 나타낸다. 그들은 친룽 동굴에서 나온 만마시의 후손이며, Hmar 방언에서는 신룽으로 알려져 있다.

Hmar족은 왕족 하위 씨족을 가지고 있다. L.H. 송게에 따르면, 그들은 현재의 미얀마 카바우 계곡에 있는 캄파트에 도달한 후 그곳에 정착하여 족장 제도를 시작했다. 세 명의 족장(Hmar: ''Reng'')이 Hmar 왕(Hmar: ''Rengpui'') 차운망가에 의해 그의 왕국을 이끌도록 선택되었다. 차운망가는 이후 왕국의 남부 지역에 대한 권한을 레르시아에게, 북부 지역에 대한 권한을 징트홀바에게, 중앙 지역에 대한 권한을 루오푸이아에게 부여했다. 그 후 세 개의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레르시아 왕 ( 920–970 A.D.)은 미조족의 가장 위대한 왕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그는 샨족버마족과의 교역을 확립했고, 그의 왕국은 40,000 평방 마일에 걸쳐 있었다.

3명의 파나이 씨족원의 사진


Biate, Champhai, Vangchhia와 같은 미조람의 역사적인 도시들은 역사적으로 Hmar족이 거주했다.

L에서 R로 앉아있는 루세이 족장 사진: 카이루마 비에이트 마을 족장, 탄루마 바울테 족장, 캄리아나 룽렝 족장, 수아크누나 타치프 족장 L에서 R로 서있는 사람들: 랄루아이아 레이에크 족장, 흐랑붕가 트리푸라 잠푸이 뜰랑둥 족장, 알려지지 않음.


루세이족은 영국이 처음 만난 미조족이었으며, 그래서 처음에는 모두 루샤이족으로 알려졌다.[43] 루세이족은 서기 1700년경에 현재의 루샤이 언덕에 들어오기 시작했다.[44] "루세이"라는 단어는 "머리"를 의미하는 "Lu"와 "긴"을 의미하는 "sei"라는 두 개의 루세이 미조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45] 그들은 10명의 평민과 6명의 왕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민은 파추아우, 창테, 초아웅투, 하우흐나르, 추앙가, 차우항, 흐라셀, 토차왕, 반차왕, 차크추아크이며, 왕족은 자뎅, 팔리안, 탕루아, 리붕, 로쿰, 사이로이다.[45]

"Ralte"라는 단어는 "적"을 의미하는 "ral"과 복수 표시어 "te"의 두 단어로 구성된다. Ralte족은 높은 목소리 때문에 미조인 중 가장 시끄러운 구성원으로 여겨진다.

라이(Lai)는 파위(Pawi)라고도 불리며, 루세이가 이마 위에 머리를 묶는 사람들에게 부여한 이름이다.[44] 파위족은 스스로를 파위(Pnot awi)라고 부르지만, 라이(Lai)라고도 불린다.[44] 미얀마 친 주의 수도인 하카는 파위족의 주요 정착지이며, 그곳에서 하카 친족으로 알려져 있다. 하카 친족은 자신들을 미조족으로 식별하지 않고 라이 또는 친족이라는 이름을 선호한다.

1953년, 인도는 주권 민주 공화국으로 정의하는 헌법을 채택했다. 당시, 더 큰 라이/친 인구의 일부인 미조람 남부의 라이족에게는 그들의 정체성을 지원하기 위해 헌법 제6일정에 따라 자치구 위원회가 부여되었다. 롱틀라이는 라이 자치구 위원회의 본부로 설립되었다.[46]

라케르 족장과 그의 가족 사진


마라족은 루세이족에게 라케르, 아라칸족에게 쉔두, 파위족에게 조퉁으로 불리지만, 스스로를 마라족이라고 부른다.[44] 그들은 루샤이 언덕의 남동부에 거주한다.[44] 마라족은 인도의 틀로사이, 비흐투, 즈흐노, 하우타이, 차피와 미얀마(버마)의 사비, 리알라이, 헤이마 등 다섯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44] 마라족은 북쪽에서 기원했다고 하지만, 그들 모두가 동쪽의 압력으로 인해 현재 거주지로 오기까지 중앙 친 주의 다양한 지역에서 이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현재 지역으로의 이주 경로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44] 시아하와 사이코는 모두 틀로사이족이며, 그들은 레이탁과 자파이 사이에 위치한 레이사이에서 왔다고 주장한다.[44] 루세이 언덕에서의 그들의 거주는 약 200-300년 전에 정착된 것으로 여겨진다.[44]

7. 1. H마르 (Hmar)



미조어의 루세이 방언으로 ''Hmar''는 "북쪽"을 의미하며, Hmar족이 루세이족의 북쪽에 살았음을 나타낸다. 그들은 친룽 동굴에서 나온 만마시의 후손이며, Hmar 방언에서는 신룽으로 알려져 있다.

Hmar족은 왕족 하위 씨족을 가지고 있다. L.H. 송게에 따르면, 그들은 현재의 미얀마 카바우 계곡에 있는 캄파트에 도달한 후 그곳에 정착하여 족장 제도를 시작했다. 세 명의 족장(Hmar: ''Reng'')이 Hmar 왕(Hmar: ''Rengpui'') 차운망가에 의해 그의 왕국을 이끌도록 선택되었다. 차운망가는 이후 왕국의 남부 지역에 대한 권한을 레르시아에게, 북부 지역에 대한 권한을 징트홀바에게, 중앙 지역에 대한 권한을 루오푸이아에게 부여했다. 그 후 세 개의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레르시아 왕 ( 920–970 A.D.)은 미조족의 가장 위대한 왕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그는 샨족버마족과의 교역을 확립했고, 그의 왕국은 40,000 평방 마일에 걸쳐 있었다.

Biate, Champhai, Vangchhia와 같은 미조람의 역사적인 도시들은 역사적으로 Hmar족이 거주했다.

7. 2. 루세이 (Lusei)



루세이족은 영국이 처음 만난 미조족이었으며, 그래서 처음에는 모두 루샤이족으로 알려졌다.[43] 루세이족은 서기 1700년경에 현재의 루샤이 언덕에 들어오기 시작했다.[44] "루세이"라는 단어는 "머리"를 의미하는 "Lu"와 "긴"을 의미하는 "sei"라는 두 개의 루세이 미조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45] 그들은 10명의 평민과 6명의 왕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민은 파추아우, 창테, 초아웅투, 하우흐나르, 추앙가, 차우항, 흐라셀, 토차왕, 반차왕, 차크추아크이며, 왕족은 자뎅, 팔리안, 탕루아, 리붕, 로쿰, 사이로이다.[45]

7. 3. 랄테 (Ralte)

"Ralte"라는 단어는 "적"을 의미하는 "ral"과 복수 표시어 "te"의 두 단어로 구성된다. Ralte족은 높은 목소리 때문에 미조인 중 가장 시끄러운 구성원으로 여겨진다.

7. 4. 라이 (Lai)

라이(Lai)는 파위(Pawi)라고도 불리며, 루세이가 이마 위에 머리를 묶는 사람들에게 부여한 이름이다.[44] 파위족은 스스로를 파위(Pnot awi)라고 부르지만, 라이(Lai)라고도 불린다.[44] 미얀마 친 주의 수도인 하카는 파위족의 주요 정착지이며, 그곳에서 하카 친족으로 알려져 있다. 하카 친족은 자신들을 미조족으로 식별하지 않고 라이 또는 친족이라는 이름을 선호한다.

1953년, 인도는 주권 민주 공화국으로 정의하는 헌법을 채택했다. 당시, 더 큰 라이/친 인구의 일부인 미조람 남부의 라이족에게는 그들의 정체성을 지원하기 위해 헌법 제6일정에 따라 자치구 위원회가 부여되었다. 롱틀라이는 라이 자치구 위원회의 본부로 설립되었다.[46]

7. 5. 마라 (Mara)



마라족은 루세이족에게 라케르, 아라칸족에게 쉔두, 파위족에게 조퉁으로 불리지만, 스스로를 마라족이라고 부른다.[44] 그들은 루샤이 언덕의 남동부에 거주한다.[44] 마라족은 인도의 틀로사이, 비흐투, 즈흐노, 하우타이, 차피와 미얀마(버마)의 사비, 리알라이, 헤이마 등 다섯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44] 마라족은 북쪽에서 기원했다고 하지만, 그들 모두가 동쪽의 압력으로 인해 현재 거주지로 오기까지 중앙 친 주의 다양한 지역에서 이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현재 지역으로의 이주 경로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44] 시아하와 사이코는 모두 틀로사이족이며, 그들은 레이탁과 자파이 사이에 위치한 레이사이에서 왔다고 주장한다.[44] 루세이 언덕에서의 그들의 거주는 약 200-300년 전에 정착된 것으로 여겨진다.[44]

8. 정치, 언어 및 경제 상황

인도 독립 이후, 미조람의 행정 체제에서 민주적인 변화와 함께 반 족장 운동이 일어났다. 독재적인 족장들에 대한 반감이 널리 퍼졌고, 미조 연합에 대한 지지가 높았다.[47] 1955년 아이자울에서 열린 여러 미조 마을 대표자 회의에서 별도의 언덕 주(hill state)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지역 주민들은 마우탐 기근 동안 아삼 정부가 제대로 지원하지 않았다고 느꼈다.[47]

1960년 정부가 아삼어를 주의 공식 언어로 지정했을 때, 1961년의 공식 언어 법안에 대한 많은 항의가 있었다. 그 후 1966년 3월 미조 민족 전선 봉기가 일어났으며, 그 결과 아이자울, 룽레이 및 기타 마을의 군사 시설에 대한 공격이 발생했다.[47] 이전에는 미조 민족 기근 전선으로 알려졌던 미조 민족 전선은 인도에서 독립을 선언했다.[47]

인도 정부는 1972년 1월 21일에 미조람을 연방 직할지로 지정했다. 푸 랄덴가, 미조 민족 전선의 의장[48]은 1986년 인도 정부와 평화 협정에 서명하여 미조람이 인도의 일부임을 명시했다. 푸 랄덴가는 1987년 과도 정부에서 장관이 되었으며, 이 정부는 의회와 연립하여 구성되었다. 미조람의 주 승격은 1987년 2월 20일에 선포되었다.[47]

미조람은 91.58%[49]의 문맹률로 인도 주들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문맹률을 보인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사람들은 미조어를 인도 헌법 제8부속서에 공식 언어로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50]

참조

[1] 웹사이트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22-04-01
[2] 웹사이트 Myanmar Mizo https://lalremruataz[...] 2023-10-30
[3] 웹사이트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22-04-01
[4] 웹사이트 Myanmar Mizo https://lalremruataz[...] 2023-10-30
[5] 웹사이트 Celebrating Chin culture https://trojaneer.co[...]
[6] 웹사이트 SINGAPORE-A MIZO KAL TUM LEH AWM MEK TAN THU PAWIMAWH https://www.timesofm[...]
[7] URL https://misual.life/[...] 2024-08
[8] 웹사이트 India's Bnei Menashe community in crisis as Manipur rocked by ethnic violence https://www.timesofi[...]
[9] Webarchive Religion data of census 2011 https://blog.cpsindi[...] cpsindia.org 2016-10
[10] 웹사이트 Mizoram Population 2022 {{!}} Sex Ratio & Literacy rate 2023 https://www.census20[...] 2023-09-13
[11] 웹사이트 Interesting facts about the Kuki tribe https://www.indiatod[...] 2023-05-06
[12] 웹사이트 MNF steps up campaign for unification of Manipur's Thadou Kuki, Zo-Zomi tribals | Tripuraindia https://www.tripurai[...]
[13] 간행물 Geographies of knowing, geographies of ignorance: Jumping scale in Southeast Asia https://www.research[...] 2022-04-16
[14] 서적 The Camera as Wit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PDF https://landrevenue.[...] 2024-08
[16] 서적 Mizoram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5
[17] 서적 In Search of Chin Identity: A Study in Religion, Politics and Ethnic . https://books.google[...] National Institute of Asian Studies
[18] 웹사이트 India Writes to Myanmar Seeking Help to Protect Mizo Family Tree https://thewire.in/c[...] 2023-12-12
[19] 서적 Mizo Chiefs And The Chiefdom https://books.google[...] MD Publications
[20] 서적 Culture and folklore of Mizoram https://books.google[...] Publications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 Broadcasting 2005
[21] 서적 Mizo Saga
[22] 웹사이트 Mizoram, Ministry of Development of North Eastern Region, North East India https://mdoner.gov.i[...] 2023-12-12
[23] 웹사이트 Mizo Speech : Homepage https://www.iitg.ac.[...] 2023-12-12
[24] 웹사이트 Mizo alphabet - A Aw B https://azassk.blogs[...] 2023-12-12
[25] 웹사이트 From Traffic Rules To One Of Most Literate States: Things We Can Learn From Mizoram https://www.indiatim[...] 2023-12-12
[26] 간행물 Christianization and Its Impact on Mizo Culture https://www.neliti.c[...] 2020
[27] 웹사이트 Traditional Dresses of Mizoram - Holidify https://www.holidify[...] 2023-12-12
[28] 간행물 Christianization and its Impact on Mizo Culture https://al-kindipubl[...] 2020-01-31
[29] 웹사이트 Culture of Mizoram - Mizo Culture & Traditions - Holidify https://www.holidify[...] 2023-12-12
[30] PDF https://www.mospi.go[...] 2024-08
[31] 웹사이트 Dances: Mizoram https://mizoram.nic.[...] 2023-12-12
[32] 웹사이트 music: Mizoram https://mizoram.nic.[...] 2023-12-12
[33] 웹사이트 What We Need To Learn From Tlawmngaihna, The Mizo Spirit of Helping Others https://www.thebette[...] 2023-12-12
[34] 웹사이트 Shop Without a Keeper (Nghah Loh Dawr) {{!}} Incredible India https://www.incredib[...] 2023-12-12
[35] 문서 Assam Lushai Hills District (Acquisition of Chiefs' Rights) Act, 1954 www.indianemployees.com 2023-09-13
[36] 간행물 "Double Conversion among the 'Children of Menasseh'" in Georg Pfeffer and Deepak K. Behera (eds) ''Contemporary Society Tribal Studies'' New Delhi: Concept
[37] 웹사이트 The Jewish Connection Myth or Reality http://www.e-pao.net[...] 2023-12-12
[38] 웹사이트 The lost and found Jews in Manipur and Mizoram http://www.e-pao.net[...]
[39] 서적 Tawng Un Hrilhfiahna Gilzom Offset
[40] 웹사이트 https://www.nitmz.ac[...]
[41] 웹사이트 Mizo Thawnthu: Lersia Chanchin https://www.timesofm[...]
[42] 웹사이트 Faihriem: VANGCHHE TOBUL http://faihriem.blog[...] 2013-04-12
[43] 웹사이트 Historical Backdrop and Cultural Life of the Mizo Ethnic Tribe http://www.irjmsh.co[...] 2024-02-16
[44] PDF http://mzuir.inflibn[...]
[45] 웹사이트 https://landrevenue.[...]
[46] 서적 Mizoram: A Study in Comprehensive Geography Northern Book Center
[47] 서적 Mizoram History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48] 서적 Making of Mizoram: Role of Laldenga M.D. Publications
[49] 문서 Census of India 2011, Provisional Population
[50] 뉴스 Requests to include 38 languages in Constitution pending: Govt http://www.thehindu.[...] 2012-08-17
[51] 서적 Indirect Rule In Mizoram 1890-1954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