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카도 (오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카도(The Mikado)는 길버트와 설리번이 제작한 오페라로, 1885년 초연되었다. 일본을 배경으로 하지만, 실제 일본보다는 영국 사회를 풍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오페라는 흥행에 성공하여, "짧고 굵은 충격", "죄에 맞는 처벌을 받게 하라"와 같은 문구와 "푸바"와 같은 용어를 유행시켰다. 특히, 20세기 이후에는 인종차별적 묘사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현대적 각색을 통해 수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오페라 - 집시 남작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집시 남작》은 헝가리 시골을 배경으로 망명에서 돌아온 지주와 집시 소녀의 사랑, 보물 찾기, 전쟁 참여를 통해 신분과 사랑, 인간의 결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 오페레타 - 박쥐 (오페레타)
    요한 슈트라우스 2세가 작곡한 3막 오페레타 박쥐는 앙리 메이야크와 뤼도비크 알레비의 희곡 《밤의 만찬》을 바탕으로 리하르트 제네와 카를 하프너가 대본을 썼으며, 복잡하게 얽힌 인물들의 이야기를 코믹하게 풀어낸 작품으로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사용되고 있다.
  • 오페레타 - 집시 남작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집시 남작》은 헝가리 시골을 배경으로 망명에서 돌아온 지주와 집시 소녀의 사랑, 보물 찾기, 전쟁 참여를 통해 신분과 사랑, 인간의 결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 일본을 배경으로 한 작품 - 둥지탈출
    《둥지탈출》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다양한 시간대에 방송되며 시즌별 방송 시간과 출연진 변화가 있었고, 박상원, 강주은, 기동민, 박미선 등 연예인과 자녀들이 출연하여 둥지탈출기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 일본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일본 침몰 (2006년 영화)
    일본 침몰은 고마쓰 사쿄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일본 열도가 침몰하는 재난 상황에서 사람들이 재난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2006년 일본 영화이며, 등장인물 설정과 스토리 전개에서 원작 및 이전 영화와 차이가 있고 오노데라와 아베의 교제가 중심축을 이룬다.
미카도 (오페라)
기본 정보
미카도 오페라 표지
오페라 《미카도》의 표지
원어 제목The Mikado; or, The Town of Titipu
번역 제목미카도, 또는 티티푸 마을
장르오페라 코미크
초연1885년 3월 14일
초연 장소런던 사보이 극장
작곡가아서 설리번
대본가W. S. 길버트
등장인물
미카도일본의 황제
난키푸미카도의 아들, 떠돌이 악사
코코티티푸의 고등 관리
푸바만능 관리
피슈투시수상
고토미카도의 부인
유미유미코코의 신부
피프보유미유미의 친구
피티싱유미유미의 친구
음악
1막 시작우리는 학교의 소녀들
1막 끝미카도를 보라
2막 시작바보 삼촌의 작은 농담
2막 끝모두에게 건배
관련 정보
원작미야코도 하루미
영화미카도 (영화)

2. 역사적 배경

1895년경의 보컬 스코어 표지


19세기 말 영국은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1885년 런던 나이츠브리지에서 열린 일본 전시회는 이러한 유행을 더욱 부추겼다. W. S. 길버트는 이 전시회에서 영감을 받아 ''미카도''를 구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당시 영국은 자포니즘의 영향으로 일본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20][21][22]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일본을 배경으로 한 오페라 ''미카도''가 탄생하고 성공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길버트는 일본을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그림 같은 처리, 풍경 및 의상을 위한 범위를 제공"할 수 있었고,[23][24] 당시 영국 사회의 문제점을 풍자하면서도 직접적인 비판을 피할 수 있었다.

''미카도''는 1885년 3월 14일 런던 사보이 극장에서 초연되어 672회 연속 상연이라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187] 그러나 일본 천황을 조롱한다는 이유로 주영 일본 공사가 상영 중지를 요구하기도 했다.[187]

2. 1. 일본 문화의 유행

1885-87년 나이츠브리지에서 열린 일본 전시회는 런던에서 일본 문화 유행을 일으킨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이 전시회는 일본의 건축, 예술, 생활 양식을 영국 대중에게 소개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14] W. S. 길버트는 이 전시회에서 영감을 받아 ''미카도''를 구상했다고 알려져 있다.[14]

당시 영국 사회는 일본과의 무역 증가와 더불어 일본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자포니즘 현상을 겪고 있었다.[20][21][22]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일본을 배경으로 한 오페라 ''미카도''가 탄생하고 성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길버트는 일본을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그림 같은 처리, 풍경 및 의상을 위한 범위를 제공"할 수 있었고,[23][24] 당시 영국 사회의 문제점을 풍자하면서도 직접적인 비판을 피할 수 있었다.

''미카도'' 초연 당시, 길버트와 설리번은 레오노라 브라함, 제시 본드, 시빌 그레이 등 작은 키의 여배우들을 "세 명의 어린 하녀"로 묶어 일본 여학생처럼 보이게 했다.[24] 또한, 일본 마을에서 온 일본인 여성에게 춤 지도를 부탁하는 등 실제 일본 문화를 반영하려 노력했다.[24]

2. 2. 길버트와 설리번의 협업

길버트와 설리번의 오페라 중 ''미카도'' 바로 앞 작품은 ''공주 이다''(1884)였는데, 9개월 동안 상연되었는데, 이는 사보이 오페라 기준으로는 짧은 기간이었다.[5] ''공주 이다''의 티켓 판매가 줄어들자, 기획자 리처드 도일리 카르테는 1877년 이후 처음으로 기존 작품이 막을 내릴 때 새로운 길버트와 설리번 작품이 준비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1884년 3월 22일, 카르테는 길버트와 설리번에게 6개월 안에 새로운 오페라를 제작해야 한다는 계약상의 통지를 보냈다.[6] 설리번의 절친한 친구인 지휘자 프레데릭 클레이는 1883년 12월에 심각한 뇌졸중을 겪어 그의 경력을 사실상 끝냈다. 자신의 불안정한 건강 상태와 더 진지한 음악에 전념하려는 열망을 가지고 설리번은 카르테에게 "길버트와 제가 이미 쓴 작품과 같은 성격의 작품을 또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라고 답했다.[7][8]

이미 마법의 로젠지를 복용한 후 원치 않게 사랑에 빠지는 사람들에 대한 새로운 대본 작업을 시작했던 길버트는 설리번의 망설임에 놀랐다. 그는 설리번에게 재고해 달라고 편지를 썼지만, 작곡가는 1884년 4월 2일에 오페라에 대해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라고 답했다. 설리번은 "단 한 음절도 잃지 않도록 계속해서 음악을 억제해 왔습니다. ... 저는 유머러스한 단어가 유머러스한 (진지하지 않은) 상황에서 나오고, 상황이 부드럽거나 극적인 것이라면 단어가 유사한 성격을 띠는 인간적인 관심과 개연성이 있는 이야기를 설정하고 싶습니다"라고 말했다.[9]

길버트는 설리번의 편지가 그에게 "상당한 고통"을 안겨주었다고 썼다. 설리번은 그들의 1877년 오페라 ''요술사''의 줄거리와 너무 비슷하다는 이유로 "로젠지 줄거리"를 설정할 수 없다고 답했다.[10] 1884년 4월이 지나면서 길버트는 자신의 줄거리를 수정하려고 시도했지만 설리번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당사자들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길버트는 "그래서 7년 동안 지속된 음악적, 문학적 협회가 끝났습니다. - 예외적인 명성을 가진 협회 - 금전적 결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지금까지 단 하나의 충돌이나 불협화음도 없이 유지되었습니다."라고 썼다.[11]

그러나 1884년 5월 8일, 길버트는 "초자연적인 요소가 없는 다른 줄거리를 구성하면 설정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 일관된 줄거리, 시대착오에서 자유롭고, 완전한 선의로, 제 능력껏 구성된 줄거리"라고 쓰며 물러설 준비를 했다.[12] 교착 상태는 깨졌고, 5월 20일에 길버트는 설리번에게 ''미카도''의 줄거리 스케치를 보냈다.[12] ''미카도''가 무대에 오르기까지는 10개월이 더 걸렸다. 수정된 버전의 ''요술사''는 그들의 단막극 ''배심 재판''(1875)과 함께 카르테와 관객들이 다음 작품을 기다리는 동안 사보이에서 상연되었다. 길버트는 결국 1892년에 알프레드 셀리에와 함께 쓴 ''곡예사''에서 그의 "로젠지 줄거리"를 활용했다.

frame


1914년에 프랑수아 셀리에와 브리지먼은 길버트가 어떻게 영감을 얻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기록했다. 그들은 "길버트는 한동안 자신의 나라를 떠나기로 결정한 후, 자신의 독특한 유머에 적합한 주제를 다른 곳에서 찾았다. 사소한 사고가 그에게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했다. 어느 날, 수년 동안 그의 서재 벽에 걸려 있던 오래된 일본 칼이 제자리에서 떨어졌다. 이 사건은 그의 시선을 일본으로 향하게 했다. 마침 일본인 일행이 영국에 도착하여 나이츠브리지에 그들만의 작은 마을을 세웠다"라고 썼다.[14]

하지만 이 이야기는 대부분 허구이다.[15] 길버트는 ''미카도''의 영감에 대해 두 번 인터뷰를 받았다. 두 인터뷰 모두에서 칼이 언급되었고, 그중 하나에서 그는 그것이 오페라의 영감이라고 말했지만, 칼이 떨어진 적이 있다고는 결코 말하지 않았다. 셀리에와 브리지먼이 나이츠브리지의 일본 마을 전시회에 대해 오류를 범했는데, 그 전시회는 길버트가 설리번에게 줄거리의 윤곽을 보낸 지 8개월 후이자 길버트가 제1막을 완성한 지 거의 2개월 후인 1885년 1월 10일에 열렸다.[15][16] 길버트 학자인 브라이언 존스는 그의 기사 "결코 떨어지지 않은 칼"에서 "작가가 사건에서 시간이 더 멀어질수록, 그것은 더 생생하게 기억된다"고 언급한다.[17]

레슬리 베일리는 1952년에 "며칠 후 길버트는 하링턴 가든에 있는 새 집에 있는 자신의 서재를 왔다 갔다 하며 그 교착 상태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었는데, 벽을 장식하고 있던 거대한 일본 칼이 쾅 하는 소리와 함께 바닥으로 떨어졌다. 길버트는 그것을 집어 들었다. 그의 배회가 멈췄다. 그는 나중에 '그것이 광범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고 말했다. 항상 시의적절한 것을 재빨리 파악하는 그의 언론적 정신은 최근에 인근에서 개관한 일본 전시회로 향했다. 길버트는 전시회에서 온 작은 일본 남녀가 이국적인 옷을 입고 나이츠브리지의 거리를 엉금엉금 걷는 것을 보았다. 이제 그는 글쓰기 책상에 앉아 깃털 펜을 집어 들었다. 그는 자신의 줄거리 책에 메모를 시작했다"라고 썼다.[18] 이 이야기는 1999년 영화 ''Topsy-Turvy''에서 거의 이와 같은 형태로 극화되었다.[19]

그러나 길버트가 ''미카도''를 구상했을 때는 나이츠브리지에서 열린 1885-87년 일본 전시회가 열리지 않았지만, 일본과의 유럽 무역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증가했고, 1860년대와 1870년대를 통해 모든 일본적인 것에 대한 영국의 열풍이 일어났다. 이것은 일본을 배경으로 하는 오페라를 위한 적절한 시기를 만들었다.[20][21][22] 길버트는 한 저널리스트에게 "우리가 ... 일본에 위치한 이유에 대한 좋은 이유를 제시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 그림 같은 처리, 풍경 및 의상을 위한 범위를 제공했으며, 저는 ... 한 명의 판사이자 실제 처형자인 최고 치안 판사의 아이디어가 벌레 한 마리도 해치지 않으면서 대중을 기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23][24]

1885년 ''뉴욕 데일리 트리뷴''과의 인터뷰에서 길버트는 레오노라 브라함, 제시 본드, 시빌 그레이의 작은 키가 오페라의 "세 명의 어린 하녀"인 "세 명의 일본 여학생"으로 묶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한 일본 마을의 차 심부름꾼인 젊은 일본 여성이 일본 춤을 세 여성에게 지도하기 위해 리허설에 왔다고 말했다.[24] 1885년 2월 12일, ''미카도''가 개봉하기 한 달 전,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는 일본 마을의 개장을 보도하며 "우아하고 환상적인 춤이 ... 세 명의 어린 하녀를 특징으로 한다!"라고 언급했다.[25] ''트리뷴'' 인터뷰에서 길버트는 또한 그와 설리번이 오페라의 제목 캐릭터(사보이 베테랑 리처드 템플이 연기하며 제2막에만 등장)가 부른 유일한 솔로곡을 삭제하기로 결정했지만, 드레스 리허설을 목격한 회사 구성원들과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게 단체로 와서 삭제된 '넘버'를 복원해 달라고 간청했다"고 말했다.[24]

2. 3. 초연과 반응

1885년 3월 14일 런던 사보이 극장에서 초연된 『미카도』는 672회 연속 상연이라는 대성공을 거두었는데, 이는 당시 사보이 극장 역사상 두 번째로 긴 기록이었다.[187] 이 작품은 당시 런던 나이츠브리지에서 열린 일본 전시회의 인기에 힘입어 유례없는 일본 붐을 일으켰고, 자포니즘 또는 오리엔탈리즘의 일종으로 평가받는다.

『미카도』는 일본풍의 등장인물들이 벌이는 희극을 통해 당시 영국 정부를 풍자한 작품이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일본 천황을 조롱한다는 이유로 주영 일본 대사가 상영 중지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187] 1907년 재연 때에도 항의가 있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미카도』는 세계 각지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187] 이 작품의 성공으로 'Mikado'라는 단어는 일본을 나타내는 대명사로 널리 퍼지기도 했다.[209]

『미카도』는 당시 영국의 세태, 특히 상류 계급이나 지배 계급에 대한 신랄한 풍자를 담고 있었지만, 작품의 무대를 영국에서 최대한 먼 "미지의 나라·일본"으로 설정함으로써 "이것은 먼 나라 이야기이며 영국과는 관계없다"는 식으로 비판을 피하려 했다.

현대에 들어서도 『미카도』는 공연되고 있지만, 인종 문제에 민감한 미국에서는 아시아계 커뮤니티로부터 종종 항의를 받고 있다.[188] 이는 작품이 일본 문화를 희화화하고, 일본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한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진보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항의가 정당하며, 문화적 다양성과 존중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카도』의 공연 방식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3. 등장인물

더워드 릴리가 난키푸 역을 맡음


오페라 '미카도'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주요 등장인물은 미카도 (베이스 또는 베이스-바리톤), 난키푸 (테너), 코코 (코믹 바리톤), 푸바 (바리톤), 피쉬-투쉬 (바리톤[26]), 고-투 (베이스-바리톤[26]), 윰윰 (소프라노), 피티-싱 (메조 소프라노), 핍-보 (소프라노 또는 메조 소프라노), 카티샤 (알토) 등이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은 일본어와 관련이 없으며, 중국이나 동남아시아고유명사를 연상시키는 영어 유아어를 사용하였다. 또는 영어의 음감으로 불쾌하게 들리는 음(Pooh-Bah 등)과 같은 영어의 울림을 고려한 기교적인 조어가 사용되었으며, 길버트는 일본어 사용을 의도적으로 피하고 있다.[209]

3. 1. 주요 등장인물


  • 미카도 (베이스 또는 베이스-바리톤): 일본을 다스리는 최고 권력자. 자신의 취향에 따라 법을 정한다.
  • 난키푸 (테너): 윰윰을 사랑하여 방랑 악사로 변장한 미카도의 아들.
  • 코코 (코믹 바리톤): 티티푸의 고위 사형집행인.
  • 푸바 (바리톤): "그 외 모든 것들의 고위 경"으로, 코코를 제외한 모든 관직을 겸임하는 인물.
  • 피쉬-투쉬 (바리톤): 귀족.[26]
  • 고-투 (베이스-바리톤): 귀족.[26]
  • 윰윰 (소프라노): 코코의 피후견인이자 약혼녀.
  • 피티-싱 (메조 소프라노): 코코의 피후견인.
  • 핍-보 (소프라노 또는 메조 소프라노): 코코의 피후견인.
  • 카티샤 (알토): 난키푸를 사랑하는 나이 많은 여인.
  • 기타: 여학교 학생, 귀족, 경비병, 쿨리 합창단.


등장인물들의 이름은 일본어와 관련이 없으며, 중국이나 동남아시아고유명사를 연상시키는 영어 유아어를 사용하였다. 또는 영어의 음감으로 불쾌하게 들리는 음(Pooh-Bah 등)과 같은 영어의 울림을 고려한 기교적인 조어가 사용되었으며, 길버트는 일본어 사용을 의도적으로 피하고 있다.[209]

3. 2. 기타 등장인물

피쉬-투쉬는 귀족 (바리톤)이다.[26]

고-투는 귀족 (베이스-바리톤)이다.[26]

핍-보는 코코의 피후견인 (소프라노 또는 메조 소프라노)이다.

피티-싱은 코코의 피후견인 (메조 소프라노)이다.

4. 줄거리

미카도》는 2막으로 구성된 오페라로, 가상의 일본 마을 티티푸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1막에서는 티티푸의 사형집행인 코코와 그의 후견인 얌얌의 약혼, 그리고 얌얌을 사랑하는 방랑 악사 난키푸의 등장이 주된 내용이다. 난키푸는 사실 미카도의 아들이지만, 나이 많은 여인 카티샤의 구애를 피해 신분을 숨기고 있었다. 미카도가 티티푸에 한 달 안에 처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마을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하자, 코코는 얌얌을 잃고 절망에 빠진 난키푸에게 한 달 동안 얌얌과 결혼한 후 처형되는 조건으로 거래를 제안한다.

2막에서는 얌얌의 결혼 준비, 그리고 코코와 푸바가 미카도에게 거짓 처형 보고를 하는 내용이 전개된다. 미카도는 아들 난키푸를 찾으러 왔지만, 코코 일행은 난키푸가 처형되었다고 거짓말을 한다. 그러나 카티샤가 사망 증명서에서 난키푸의 이름을 발견하고, 미카도는 황태자 살해 공모에 대한 처벌을 논의한다. 코코는 난키푸를 살리기 위해 카티샤에게 구혼하고, 결국 카티샤와 결혼하게 된다. 난키푸가 살아있다는 사실에 미카도는 놀라지만, 코코의 재치 있는 해명으로 상황은 마무리되고 모두가 축하하며 막을 내린다.

각 막의 주요 등장인물과 사건은 다음과 같다.

구분등장인물주요 사건
1막코코, 얌얌, 난키푸, 푸바, 피쉬 터쉬, 카티샤난키푸의 등장, 코코의 사형집행인 임명 배경, 코코와 난키푸의 거래
2막미카도, 카티샤, 코코, 얌얌, 난키푸, 푸바, 피티싱얌얌의 결혼 준비, 미카도의 등장과 거짓 처형 보고, 카티샤의 난키푸 발견, 코코의 카티샤 구혼, 난키푸 생존 확인


4. 1. 1막

코코 – 1926년 의상 디자인, Charles Ricketts


가상의 일본 마을인 티티푸의 신사들이 모여있다("우리가 누군지 알고 싶다면"). 잘생겼지만 가난한 음유 시인 난키푸가 도착하여 자신을 소개한다("떠돌이 음유 시인 나는"). 그는 코코(이전에는 값싼 재단사)의 후견인인 그의 연인, 유미 유미라는 여학생에 대해 묻는다. 신사 중 한 명인 피쉬-터쉬는 미카도가 바람을 피우는 것을 사형으로 정했을 때, 티티푸 당국이 바람을 피우다 사형을 선고받은 죄수인 코코를 대영 사형 집행관으로 임명하여 이 법령을 좌절시켰다고 설명한다("우리의 위대한 미카도, 훌륭한 분").[27] 코코는 다음으로 머리가 잘릴 예정인 죄수였기 때문에, 마을 당국은 그가 "자신의 머리를 자르기 전에는 다른 사람의 머리를 자를 수 없다"고 추론했고, 코코가 스스로 처형할 가능성이 없었기 때문에 처형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하지만 거만한 귀족 푸-바를 제외한 모든 마을 관리들은 전직 재단사 밑에서 일하는 것을 너무 자랑스러워하여 사임했다. 푸-바는 현재 그들의 모든 직책을 맡고 있으며 그들의 모든 급여를 수집한다. 그는 난키푸에게 유미 유미가 그가 돌아온 바로 그날 코코와 결혼할 예정이라고 알린다("젊은이, 절망하라").

코코가 등장하여("보라, 대영 사형 집행관을") 스스로를 과시하며 처형되면 "놓칠 사람이 없는" 사람들의 목록을 읽는다("언젠가 일어날 수도 있는 일처럼"), "박하를 먹고 당신 얼굴에 내뿜는" 사람들과 같은 사람들이다.[27] 유미 유미가 코코의 다른 두 후견인인 핍-보와 피티-싱과 함께 나타난다("작은 아가씨들의 행렬이 온다", "학교에서 온 세 명의 작은 아가씨들").[27] 푸-바는 소녀들이 그에게 충분한 존경심을 보여주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부디, 경"). 난키푸가 도착하여 유미 유미에 대한 그의 사랑을 코코에게 알린다. 코코는 그를 쫓아내지만, 난키푸는 그의 연인을 만나 유미 유미에게 자신의 비밀을 밝힌다. 그는 미카도의 아들이자 상속자이지만, 아버지의 궁정의 나이 많은 여인인 카티샤의 애정적인 구애를 피하기 위해 변장하고 여행을 다닌다. 그들은 법이 그들이 바람을 피우는 것을 금지한다는 것을 한탄한다("당신은 코코에게 약혼하지 않았던가").

코코와 푸-바는 미카도가 티티푸에서 한 달 안에 처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마을이 마을의 지위로 강등되어 "돌이킬 수 없는 파멸"을 초래할 것이라는 소식을 받는다. 푸-바와 피쉬-터쉬는 스스로 사형 선고를 받은 코코 자신이 머리가 잘릴 명백한 선택이라고 지적한다("나는 매우 자랑스럽다").[27] 하지만 코코는 누군가가 스스로 머리를 자르려고 시도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위험하다"고 주장하며 자살은 사형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다행히도, 코코는 유미 유미를 잃고 절망에 빠진 난키푸가 자살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난키푸의 마음을 바꿀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 코코는 그와 거래를 한다. 난키푸는 한 달 동안 유미 유미와 결혼할 수 있으며, 그 기간이 끝나면 스스로 처형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면 코코는 젊은 미망인과 결혼할 것이다.

모두가 난키푸와 유미 유미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모인다("엄하고 우울한 걸음걸이로"), 하지만 축제는 난키푸를 남편으로 주장하기 위해 온 카티샤의 등장으로 중단된다.[27] 하지만 마을 사람들은 젊은 커플을 동정하고, 난키푸의 비밀을 밝히려는 카티샤의 시도는 그들의 외침에 묻힌다. 속았지만 굴복하지 않은 카티샤는 복수할 의사가 있음을 분명히 한다.

4. 2. 2막

''모두 발치될 것이오''
''겁에 질린 아마추어들에 의해.''"
(W. S. 길버트의 만화)]]

제럴딘 울마가 뉴욕 공연에서 윰-윰 역을 맡아 "우리는 매우 깨어있어요, 달과 함께."라는 자막이 달렸다.


올버니, 뉴욕의 200주년을 기념하는 정치 풍자극


윰윰의 친구들은 그녀의 결혼식을 준비하고 있다 ("Braid the raven hair"). 그녀는 자신의 아름다움을 생각한다 ("The sun whose rays"). 하지만 피티싱과 핍보는 난키푸와의 다가오는 결혼의 짧은 기간을 상기시킨다. 난키푸와 피쉬-터시와 함께 그들은 기분을 좋게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Brightly dawns our wedding-day"). 하지만 곧 코코와 푸-바가 등장하여, 결혼한 남자가 바람을 피우다 참수형을 당하면, 그의 아내는 산 채로 묻혀야 한다는 법률의 변화를 알린다 ("Here's a how-de-do").[27] 윰윰은 이런 상황에서 결혼하기를 꺼리고, 그래서 난키푸는 즉시 그를 참수하라고 코코에게 도전한다. 마음이 약한 코코는 누구도 처형한 적이 없고, 난키푸를 처형할 수 없다는 것이 드러난다. 대신 그는 난키푸와 윰윰을 결혼시키기 위해 보낸다 (티티푸의 대주교로서 푸-바가). 그는 가상의 처형 증거로 미카도에게 거짓 선서 진술서를 제출하겠다고 약속한다.

미카도와 카티샤는 티티푸에 도착하여 큰 행렬을 동반한다 ("Mi-ya Sa-Ma", "From Every Kind of Man"). 미카도는 자신의 정의 시스템을 설명한다 ("A more humane Mikado"). 코코는 통치자가 처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왔다고 추정한다. 피티싱과 푸-바의 도움을 받아 그는 가상의 처형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The criminal cried") 그리고 푸-바가 검시관으로서 서명하고 맹세한 사망 증명서를 미카도에게 넘겨준다. 코코는 마을의 중요한 관리들(즉, 푸-바) 대부분이 의식에 참석했다고 교활하게 언급한다. 하지만 미카도는 완전히 다른 문제로 온 것이다. 그는 아들을 찾고 있다. 그들이 미카도의 아들이 "난키푸라는 이름으로 불린다"는 말을 듣자 셋은 공황 상태에 빠지고, 코코는 난키푸가 "해외로 갔다"고 말한다. 한편, 카티샤는 사망 증명서를 읽고 처형된 사람이 난키푸였다는 사실에 공포를 느낀다. 미카도는 이해와 동정을 표명하지만 ("See How the Fates"), 황제의 왕위 계승자의 죽음을 모의한 죄에 대한 법적 처벌에 대해 카티샤와 논의한다. "끓는 기름... 또는 녹은 납"과 같은 고통스러운 처벌이다. 세 명의 공모자들이 고통스러운 처형에 직면하자 코코는 난키푸에게 아버지에게 자신을 드러내라고 간청한다. 난키푸는 카티샤가 자신이 살아있는 것을 알게 되면 처형을 요구할까 두려워하지만, 만약 카티샤가 코코와 결혼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면, 난키푸는 안전하게 "다시 살아날" 수 있을 것이고, 카티샤는 그에게 아무런 권리가 없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The flowers that bloom in the spring"). 카티샤는 "무언가 끔찍하지만", 코코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카티샤와의 결혼이거나, 자신, 피티싱, 푸-바에게 고통스러운 죽음이거나.

코코는 카티샤가 자신의 손실을 슬퍼하는 것을 발견하고 ("Alone, and yet alive") 그녀의 자비에 자신을 던진다. 그는 그녀에게 오랫동안 그녀에 대한 열정을 품어왔다고 말하며 결혼을 간청한다. 카티샤는 처음에는 그를 거절하지만, 곧 마음이 찢어진 새에 대한 그의 이야기에 감동받는다 ("Tit-willow"). 그녀는 동의하고 ("There is beauty in the bellow of the blast") 의식이 수행되면 (푸-바, 등록관에 의해), 그녀는 그와 그의 공범자들을 위해 미카도의 자비를 간청한다. 난키푸와 윰윰이 다시 나타나 카티샤의 분노를 촉발한다. 미카도는 난키푸가 살아 있다는 사실에 놀란다. 그의 처형에 대한 이야기가 "감동적인 세부 사항"과 함께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코코는 처형에 대한 왕실 명령이 내려졌을 때, 피해자는 법적으로 죽은 것이나 다름없고, "그리고 그가 ''죽었다면'', 왜 그렇게 말하지 않겠어요?"[27] 미카도는 "이보다 더 만족스러울 수는 없다"고 판단하고 티티푸의 모든 사람이 축하한다 ("For he's gone and married Yum-Yum").

5. 음악

The Mikado영어』는 길버트와 설리번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많이 녹음된 오페라 중 하나로,[272] 1926년 도일리 카트 오페라 컴퍼니의 앨범이 대표적인 명반으로 꼽힌다. 현대에는 1992년 매케라스/텔락 앨범이 좋은 평가를 받는다.[272]

주요 앨범
연도지휘자오케스트라비고
1926년해리 노리스도일리 카트[273]
1936년이시도어 고드프리도일리 카트[274]
1950년이시도어 고드프리뉴 프로머네이드 오케스트라도일리 카트[275]
1956년서 말콤 서전트프로 아르테 관현악단
1957년이시도어 고드프리뉴 심포니 오브 런던도일리 카트[276]
1984년버트홀드 캐리어스트래트퍼드 페스티벌[277]
1990년존 프라이스 존스뉴 도일리 카트[278]
1992년찰스 매케라스웨일스 국립 오페라매케라스/텔락[279]



1906년과 1907년에 각각 고몽(Gaumont) 사와 월타도(Walta Doré) 사에서 『미카도』의 사용곡 12곡을 담은 뮤직 비디오를 제작하여 『''Highlights from The Mikado''』로 출판했다. 두 영상 모두 ''포노신''으로 녹음되었으며, 1907년 판에는 조지 손(George Thorne)이 코코 역으로 출연했다.[280]

1926년 도일리 카트 오페라 컴퍼니는 『미카도』 발췌 부분을 담은 짧은 프로모션 영상을 제작했다. 다렐 판코트(미카도 역), 헨리 리턴(코코 역), 레오 셰필드(푸바 역), 엘시 그리핀(얌얌 역), 버사 루이스(카티샤 역) 등 명배우들이 출연했다.[281][282][283]

1939년 유니버설 픽처스(Universal Pictures)는 90분 분량의 영화 『''The Mikado''』를 공개했다. 파인우드 스튜디오(Pinewood Studios)에서 테크니컬러(Technicolor)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마틴 그린(코코 역), 시드니 그랜빌(푸바 역), 케니 베이커(난키푸 역), 진 콜리(얌얌 역) 등이 출연했다. 도일리 카트의 전 음악 감독 제프리 토이(Geoffrey Toye)가 지휘와 프로듀서를 맡았다. 영화화 과정에서 음악에 많은 수정이 가해졌고, 빅터 셔징어(Victor Schertzinger)가 감독을 맡았다. 윌리엄 V. 스콜(William V. Skall)은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에 올랐고,[284][285] 마르셀 바테(Marcel Vertès)가 예술 감독 및 의상 디자인을 담당했다.[286]

1966년 도일리 카트 오페라 컴퍼니는 무대 버전에 가까운 『''The Mikado''』를 제작했다. 존 리드, 케네스 스탠퍼드, 발레리 마스터슨, 필립 포터, 도널드 아담스, 크리스틴 팔머, 페기 앤 존스 등이 출연했고, 이시도어 고드프리(Isidore Godfrey)가 지휘했다.[287]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영상 기술과 연주를 비판했다.[288]

이 외에도 1972년 ''길버트와 설리번 포 올(Gilbert and Sullivan for All)'' , 1982년 브렌트 워커(Brent Walker) 영상[289], 1984년 스트랫퍼드 페스티벌(Stratford Festival), 1986년 잉글리시 내셔널 오페라 버전(단편) 등 다양한 비디오 녹화가 이루어졌다.[290]

5. 1. 음악적 특징


  • 서곡은 포트푸리 형식으로, "미-야 사-마", "태양은 모든 광선을 불태우네", "폭풍의 고함소리에 아름다움이 있네", "검은 머리를 땋아라", "엄격하고 음울한 걸음걸이로" 등의 곡들을 포함한다. 이 서곡은 설리번의 지시에 따라 해밀턴 클라크가 편곡했다.[28]
  • 현대 프로덕션에서는 『미카도』의 대사나 어투를 현대적으로 변경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극 중 2곡에 나오는 "니거"라는 단어는 원래 민스트럴 쇼에서 유래한 표현으로,[259] 20세기 초까지는 차별적인 의미가 아니었다.[260] 그러나 1947년 미국 공연에서 관객의 항의가 있은 후, 이 단어가 포함된 가사는 수정되었다.[261][262]
  • "여성 소설가"와 같이 시대착오적이거나 차별적으로 여겨질 수 있는 표현들도 현대 관객을 위해 수정되기도 한다.[263][264][265][266]

5. 2. 주요 곡 해설

다음은 오페라 《미카도》의 주요 곡들에 대한 해설이다.

  • 2. "A Wand'ring Minstrel I" (방랑하는 음유시인): 주인공 난키푸가 자신을 소개하는 노래이다.
    방랑하는 음유시인 난키푸, ''미카도 이야기''에서. 그림: 앨리스 B. 우드워드.
    난키푸는 유랑하는 음유시인으로 변장했지만, 사실은 미카도의 아들이다. 그는 얌얌과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 신분을 숨기고 티티푸에 도착한다.[28]

  • 7. "Three little maids from school are we" (우리는 학교에서 온 세 명의 어린 소녀들): 얌얌, 피보, 핏티싱이 함께 부르는 활기찬 노래이다. 이들은 학교에서 갓 돌아온 소녀들로, 세상 물정 모르고 순진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곡은 세 소녀의 쾌활한 성격과 앞으로 펼쳐질 이야기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다.[211]

  • 13. "The sun whose rays are all ablaze" (태양은 모든 광선을 불태우네): 얌얌이 자신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며 부르는 아리아이다. 원래 1막에 있었으나, 초연 직전에 2막으로 옮겨졌다. 얌얌은 자신의 미모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면서도, 한편으로는 코코와의 결혼을 앞두고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한다.

  • 22. "On a tree by a river" ("Willow, tit-willow") (강가 나무 위에서): 코코가 슬픈 사랑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다. 흔히 "Tit-Willow"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코코는 자신을 거부하는 카티샤를 향한 애절한 마음을 버드나무에 비유하여 노래한다. 이 곡은 코믹한 상황 속에서도 진지한 감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18. "The criminal cried as he dropped him down" (범죄자는 그를 떨어뜨리며 울부짖었다): 코코, 핏티싱, 푸바가 미카도에게 난키푸를 처형했다고 거짓 보고를 하는 장면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들은 난키푸의 처형 장면을 과장되고 우스꽝스럽게 묘사하며, 미카도를 속이려 한다.

  • 16. "Mi-ya Sa-ma": 미카도와 카티샤가 함께 등장하며 부르는 노래이다.[231]

6. 주제와 풍자

''미카도''는 희극이지만, 죽음, 잔혹함, 권력, 부패, 사회 계층, 관습 등 다양한 주제를 풍자하고 있다.

이 오페라는 일본 제국의 황제를 지칭하는 "미카도"(御門 또는 帝 또는 みかど)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용어는 문자 그대로 황궁의 "존경스러운 문"을 의미하며, 은유적으로는 그 거주자와 궁 자체를 지칭한다. 19세기에 영어권에서 흔히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구식이 되었다.[52] 작가인 길버트는 "오페라의 미카도는 먼 시대의 상상의 군주였으며, 어떤 재치로도 기존의 제도를 비웃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썼다.[53] 즉, "미카도"는 "결코 일본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영국 정부의 실패에 대한 이야기였다."[54]

길버트는 오페라의 배경을 일본이라는 외국으로 설정함으로써 영국 사회와 제도에 대해 더욱 날카롭게 비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55] G. K. 체스터턴은 오페라의 풍자를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의 풍자와 비교하면서, "길버트는 현대 영국의 악을 쫓고 박해하여 문자 그대로 의지할 다리가 없게 만들었는데, 스위프트가 그랬던 것과 정확히 같다"고 평했다.[56]

당시 런던 나이츠브리지에서 열린 일본 전시회가 인기를 끌면서 영국에서는 일본 붐이 일어났다. 『미카도』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만들어진 작품으로, 자포니즘 또는 오리엔탈리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187] 이 작품은 일본풍 등장인물들이 벌이는 희극을 통해 당시 영국 정부와 상류 계급, 지배 계급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187]

작품의 무대는 영국에서 최대한 먼 "미지의 나라·일본"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이것은 먼 나라 이야기이며 영국과는 관계없다"는 식으로 비판을 피하려는 의도였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은 일본어와는 무관하며, 영어유아어를 사용하거나, 영어의 음감을 고려한 기교적인 조어를 사용하였다. 길버트는 의도적으로 일본어 사용을 피했다.[209]

6. 1. 죽음과 형벌

미카도는 희극이지만, 죽음과 잔혹함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병치는 길버트가 이러한 주제들을 사소한 문제, 심지어는 가벼운 문제로 취급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리 위대한 미카도, 덕망 있는 자"라는 노래에서 피시-투시는 "방황하는 눈을 깜빡이거나 / 비혼의 한숨을 쉬는 젊은이는 / 곧 죽음을 선고받았네 – / 그는 대개 반대했네."라고 노래한다. 이 수사 기법은 과소법이라고 하며, 상황을 극적으로 축소하는 표현이다.[50]

길버트의 거꾸로 된 세상에서 죽음은 사업적인 사건으로 취급된다. 푸-바는 고위 처형자인 코코를 "근면한 기계공"이라고 부른다. 코코 또한 자신의 피비린내 나는 직책을 직업으로 취급하며 "성공적인 결과를 볼 수 없다면 전문적인 일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한다. 물론 죽음에 대한 농담은 미카도에서 처음 시작된 것은 아니다. 난키-푸가 한 달 후에 죽는 데 동의하면 윰-윰과 결혼할 수 있다는 플롯 장치는 존 플레처의 17세기 연극 한 달 동안의 아내에서 사용되었다.[51]

코코의 마지막 연설은 오페라 전체에서 죽음이 허구였으며, 한두 마디 말로 사라질 수 있는 문제였음을 확인한다. 죽은 것과 "죽은 것과 다름없는" 것은 동일시된다. ''미카도'' 초연에 대한 리뷰에서, 비평가는 쇼를 전반적으로 칭찬한 후, 쇼의 유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약점과 어리석음에 대한 가차 없는 노출 - 심각하고 끔찍한 것들조차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치장됨 - 우리 행동을 유발하는 모든 동기가 이기심과 비겁함의 끊임없는 근원으로 거슬러 올라감... 참수, 내장 제거, 끓는 기름이나 녹은 납에 담그는 것은 [등장인물]의 (그리고 관객의) 주의를 끔찍한 끈기로 고정시키는 결과이다... [길버트]는 의심할 여지 없이 사회에 자신의 기이하고 조롱하는, 전도된 철학을 불어넣는 데 성공했으며, 그로 인해 동시대인들에게 뚜렷한 정신적 영향을 미친 후기 영국인들 중 선두에 설 수 있는 확고한 자격을 갖추었다."라고 평했다.[51]

코코가 한 남자가 참수당했을 때 그의 아내가 산 채로 묻힌다는 것을 밝히는 장면: 길버트의 어린이 책 ''미카도의 이야기''에서. 그림: 앨리스 B. 우드워드.


작품 내에서 죽음은 여러 방식으로 희화화된다. 자진 참수는 "시도하기 매우 어렵고 위험한 일"이자 단지 "어색한" 일로 묘사되며, 난키-푸의 삶이 "한 달 안에 짧게 끝날" 것이라는 논의는 코믹하며 가짜 멜랑콜리에 불과하다. 산 채로 묻히는 것은 "답답한 죽음"으로, 끓는 기름이나 녹은 납으로 처형하는 것은 미카도가 "유머러스하지만 오래가는" 처벌이라고 묘사된다.[50]

6. 2. 권력과 부패

이 오페라는 일본 제국의 황제를 지칭하는 용어인 "미카도"(御門 또는 帝 또는 みかど)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문자적으로는 황궁의 "존경스러운 문"을 의미하며, 은유적으로는 그 거주자와 궁 자체를 지칭한다. 이 용어는 19세기에 영어권에서 흔히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구식이 되었다.[52] 길버트는 "오페라의 미카도는 먼 시대의 상상의 군주였으며, 어떤 재치로도 기존의 제도를 비웃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썼다.[53] "미카도"는 "결코 일본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영국 정부의 실패에 대한 이야기였다."[54]

길버트는 오페라의 배경을 외국으로 설정함으로써 영국 사회와 제도에 대해 더욱 날카롭게 비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55] G. K. 체스터턴은 오페라의 풍자를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의 풍자와 비교했다. "길버트는 현대 영국의 악을 쫓고 박해하여 문자 그대로 의지할 다리가 없게 만들었는데, 스위프트가 그랬던 것과 정확히 같다. ... 나는 이 연극 전체에서 일본인에게 맞는 농담이 하나라도 있는지 의심스럽다. 그러나 연극의 모든 농담은 영국인에게 맞다. ... 영국에 관해서라면, 푸 바는 풍자 그 이상이다. 그는 진실이다."[56]

오페라에 등장하는 거만한 관리 푸 바[63]는 코코보다 높은 지위의 인물로, 사형 집행 외 모든 대신(Lord High Everything Else)이다.

6. 3. 사회 계층과 관습

당시 런던 나이츠브리지에서 열린 일본 전시회가 인기를 끌면서 영국에서는 일본 붐이 일어났다. 『미카도』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만들어진 작품으로, 자포니즘 또는 오리엔탈리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187] 이 작품은 일본풍의 등장인물들이 벌이는 희극을 통해 당시 영국 정부와 상류 계급, 지배 계급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187]

작품의 무대는 영국에서 최대한 먼 "미지의 나라·일본"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이것은 먼 나라 이야기이며 영국과는 관계없다"는 식으로 비판을 피하려는 의도였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은 일본어와는 무관하며, 중국이나 동남아시아고유명사를 연상시키는 영어유아어를 사용하거나, 영어의 음감을 고려한 기교적인 조어를 사용하였다. 길버트는 의도적으로 일본어 사용을 피했다.[209]

작품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과 그들의 사회 계층은 다음과 같다.

등장인물설명사회 계층
제(미카도) (베이스, 베이스 바리톤)일본을 지배하는 가장 높은 사람으로, 그의 호불호가 곧 법률이다.최고 통치자
난키 푸 (테너)떠돌이 유랑예인으로 변장한 황태자이며 얌얌을 사랑한다.황태자
코코 (바리톤)본래는 신분이 낮은 재봉사였으나, 후에 티티푸의 사형 집행 대신(Lord High Executioner of Titipu)이 된다. 얌얌의 후견인이자 약혼자이다.하층민 출신, 사형 집행 대신
푸 바 (바리톤)코코보다 높은 지위의 인물로, 사형 집행 외 모든 대신(Lord High Everything Else)이다.고위 관료
피슈 타슈 (바리톤[208])푸 바보다 높은 귀족이다.귀족
고 투 (베이스[208])귀족귀족
얌얌 (소프라노)티티푸에 살고 있는 아름다운 딸로, 코코의 피후견인이자 약혼자이다.코코의 피후견인
핏티 싱 (메조소프라노)얌얌의 자매이자 코코의 피후견인이다.코코의 피후견인
피프 보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얌얌의 자매이자 코코의 피후견인이다.코코의 피후견인
카티샤 (콘트랄토)난키 푸의 약혼녀이자 나이든 추녀로, 황제의 의붓딸이 되는 것에 야심을 품고 있다.황족 (예정)
기타합창단 여학생, 귀족, 경비원, 쿨리해당 없음



이들의 관계와 관습, 특히 결혼과 관련된 관습은 당시 영국 사회의 모습을 풍자적으로 보여준다. 예를 들어, 신분이 낮은 재봉사였던 코코가 사형 집행 대신이 된 것이나, 황태자 난키 푸가 나이 많고 추녀인 카티샤와의 결혼을 피하기 위해 가출하는 등의 설정은 당시 사회의 부조리함을 드러낸다.

7. 현대적 해석과 논란

현대 프로덕션에서는 《미카도》의 대사나 어투를 현대적으로 변경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극 중 2곡에 나오는 "니거"라는 단어는 민스트럴 쇼에서 유래한 표현이다.[258][259] 20세기 초까지는 차별적인 의미가 아니었으나,[260] 1947년 도일리 카트 오페라 컴퍼니의 미국 투어 공연에서 관객의 항의를 받아 가사가 수정되었다.[261][262]

조지 엘리엇에게 풍자된 "여성 소설가"나 가이 포크스 나이트의 인형을 빗댄 "''guy''"와 같은 표현도 현대에 맞게 수정되거나, 시사 문제를 다룬 농담으로 대체되기도 한다.[263][264][261][265][266][267] 코코 역으로 유명한 가수 리처드 스와트는 가사 변경에 대한 설명을 담은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268]

7. 1. 인종차별 논란

19세기 영국에서는 나이츠브리지에서 열린 일본 전시회의 영향으로 일본 문화와 풍속이 큰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일본 붐을 배경으로 탄생한 《미카도》는 일본풍의 등장인물들이 벌이는 희극을 통해 영국 정부를 풍자한 작품으로, 자포니즘 또는 오리엔탈리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초연 후 2년간 장기 공연되었지만, 일본 천황을 조롱한다는 이유로 주영 일본 대사가 상영 중지를 시도하기도 했다.[187]

작품은 당시 영국 상류 계급과 지배 계급에 대한 신랄한 풍자를 담고 있으며, 무대를 영국에서 최대한 먼 "미지의 나라·일본"으로 설정함으로써 비판을 피하려는 의도를 보였다.

하지만 현대, 특히 인종 문제에 민감한 미국에서는 아시아계 커뮤니티로부터 인종차별적이라는 항의를 받고 있다.[188]

1990년대부터는 "단순화된 동양의 스테레오 타입"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으며,[254] 2014년 시애틀 공연 이후 이러한 비판은 더욱 거세졌다. 길버트의 전기 작가 앤드루 크라우저는 《미카도》가 "어떤 등장인물도 인종적으로 차별하는 것이 아니며, 영국인과 다를 바 없다"고 옹호하며, 판타지의 일본을 통해 영국의 문화를 그린 것이라고 주장했다.[255] 그러나 프로덕션 디자인과 전통적인 무대는 종종 "무신경하게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255]

공개 토론회에서는 《미카도》의 스타일을 바꿀 필요는 없지만, 제작자와 연출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해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257]

현대 프로덕션에서는 《미카도》의 대사나 어투를 현대적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극 중 두 곡에 등장하는 "니거"라는 단어는 원래 민스트럴 쇼에서 유래한 것이지만,[259] 20세기 초부터 차별적인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260] 관객의 항의를 받아 가사가 수정되었다.[261][262] 이 외에도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차별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표현들은 현대 관객의 정서에 맞게 수정되고 있다.[266]

7. 2. 현대적 각색과 공연



1961년까지 도일리 카트 오페라 컴퍼니는 영국에서 『미카도』 및 다른 길버트와 설리번 작품의 저작권을 소유하여, 허가받은 프로덕션의 음악과 대사 변경을 금지했다. 1961년 이후 저작권이 퍼블릭 도메인이 되면서 다양한 각색이 등장했다.[292]

현대 프로덕션에서는 『미카도』의 대사나 어투를 현대적으로 바꾸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극 중 두 곡에 나오는 "니거"라는 단어는 빅토리아 시대 민스트럴 쇼의 영향으로, 1947년 미국 공연에서 관객 항의를 받아 대본과 악보가 수정되었다.[258][259][260][261][262] 조지 엘리엇이 풍자한 "여성 소설가"나 가이 포크스 나이트 인형을 빗댄 "''guy''" 같은 표현도 현대에 맞게 수정되거나 시사 문제를 다룬 농담이 추가되기도 한다.[263][264][261][265][266][267]

1962년 클라이브 레빌 주연의 새들러스 웰스 오페라 공연 이후, 여러 프로 컴퍼니들이 《미카도》를 상연했다. 1986년 잉글리쉬 국립 오페라는 에릭 아이들과 레슬리 개릿을 기용하고 조나단 밀러 연출로 1920년대 해안 호텔을 배경으로 한 프로덕션을 선보여 호평받았다.

1963년, 1982년부터 1984년, 1993년에는 캐나다 스트랫퍼드 축제에서 『미카도』가 여러 차례 상연되었다.[223]

1990년대부터 아시아계 미국인 커뮤니티는 《미카도》를 "단순화된 동양의 스테레오 타입"이라고 비판했다.[254] 2014년 워싱턴주시애틀 공연 후 비판이 거세지자, 길버트 전기 작가 앤드루 크라우저는 "등장인물들은 인종차별적이지 않으며 영국인과 다를 바 없다"고 옹호하면서도, 프로덕션 디자인과 전통적인 무대는 무신경하게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255]

주요 각색 및 공연 사례는 다음과 같다.

  • ''The Jazz Mikado'' (1927년): 베를린 상연.
  • ''The Swing Mikado'' (1938년): 시카고 초연, 흑인 출연진의 스윙 재즈 버전.
  • ''The Hot Mikado'' (1939년): 브로드웨이 초연, 흑인 출연진의 재즈 및 스윙 버전.
  • ''The Bell Telephone Hour''판 (1960년): 마틴 그린 연출, 그루초 막스, 스탠리 할로웨이, 헬렌 트로벨 출연.
  • ''The Cool Mikado'' (1962년): 마이클 위너 감독의 영국 뮤지컬 영화, 1960년대 팝 음악을 사용한 일본 배경 갱스터 코미디.
  • ''The Black Mikado'' (1975년): 카리브해 섬을 배경으로 한 화려하고 섹시한 작품.[293]
  • ''Tokyo Theatre Company''의 사이타마현 지치부시 판.[253]
  • ''Metropolitan Mikado'': 넷 셜린과 알리스타 비튼의 정치 풍자극, 1985년 런던 퀸 엘리자베스 홀 초연.
  • ''Hot Mikado'' (1986년): 워싱턴 D.C. 초연, 재즈와 스윙 버전, 이후 여러 차례 재상연.
  • ''Essgee Entertainment''의 1995년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판.[294]

8. 한국적 관점

1885년 초연된 영국의 오페라미카도』는 19세기 말 영국에서 유행한 일본 붐을 배경으로, 자포니즘 또는 오리엔탈리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당시 런던 나이츠브리지의 일본 전시회가 인기를 끌면서 일본 문화가 유행했고, 『미카도』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일본풍의 등장인물들을 통해 영국 정부를 풍자했다.

작품은 일본 천황을 조롱한다는 이유로 주영 일본 대사가 상영 중지를 시도하기도 했으나, 결국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187]. 'Mikado'라는 단어가 일본을 대표하는 대명사로 널리 퍼지게 된 것도 이 작품의 영향이다[209].

그러나 『미카도』는 영국 상류층에 대한 신랄한 풍자를 담고 있으면서도, 비판을 피하기 위해 "먼 나라 이야기"로 설정하는 방식을 취했다. 현대에는 인종 문제에 민감한 미국에서 아시아계 커뮤니티로부터 항의를 받기도 한다[188].

8. 1. '미카도'와 일제강점기

1885년 초연된 영국의 오페라 '미카도'는 당시 영국 사회를 풍자하기 위해 일본을 배경으로 설정한 작품이다. '미카도'는 천황을 의미하는 단어로, 당시 영어권에서도 사용되었으나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24] .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미카도'라는 단어는 일본 천황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 오페라의 제목과 내용은 한국인들에게 민감하게 받아들여졌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천황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를 수립했고,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한 후에는 천황의 권위를 조선인들에게 강요했다. 따라서 '미카도'는 단순한 오페라 제목을 넘어, 일본 제국주의와 식민 지배를 상징하는 단어로 인식되었다.

작품 자체는 영국 사회를 풍자하기 위한 것이었지만[226], 일본을 희화화하고 동양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담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254] .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부각되면서, 일본과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계 미국인 커뮤니티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졌다[254] .

1907년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이 영국을 방문했을 때 영국 정부가 런던 내 모든 극장과 뮤직홀에 '미카도' 상연을 금지한 사건[242]은 이 작품이 가진 민감성을 보여주는 사례다.

9. 영향

영화 ''리틀 샵 오브 호러즈'' 포스터는 "봄에 피어나는 꽃, 트라 라!" 노래를 패러디하여 "bloom"을 "kill"로 바꿨다.


미카도》는 문화, 예술, 대중 매체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영어권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용되거나 패러디되었으며, 작품 속 표현들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기도 했다.

정치인들은 종종 ''미카도''의 노래 구절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보수당의 피터 릴리는 "언젠가 일어날 수도 있는 일"을 패러디하여 자신이 반대하는 특정 집단을 구체화했다.[163] 코미디언 앨런 셔먼은 "작은 목록" 노래를 변형하여 "분석가가 필요해"라는 제목을 붙였다.[173] ''유레카의 성'' 특별편에서는 쌍둥이가 노래에 맞춰 크리스마스에 원하는 것을 묘사한다. 2024년 ''더 뉴 리퍼블릭''의 기사에서는 카쉬 파텔의 위협을 ''미카도''의 "작은 목록" 노래와 비교했다.[174] 리차드 수아트와 A.S.H. 스미스는 ''미카도''의 역사와 관련된 책을 출판했다.[175]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런어라운드"에서 한 로봇은 이 노래의 일부를 암송한다.[153]

''미카도''의 다른 노래들은 영화, 텔레비전 등에서 인용되었다. 영화 ''리틀 샵 오브 호러즈'' 포스터는 "봄에 피어나는 꽃, 트라 라!"를 패러디했다.[176] ''프로듀서''에서는 한 참가자가 "나는 방랑하는 음유시인"으로 오디션을 보지만, 즉시 해고된다. 영화 ''브릭''에서 로라는 "태양은 빛을 쏟아내네"를 낭독한다. ''배트맨'' 에피소드에서 악당은 "나는 방랑하는 음유시인"을 부른다. ''탑 캣''에서 디블 경관은 같은 노래를 슬프게 부른다. ''블랙애더 고즈 포스''에서는 해당 노래의 녹음이 재생되고, 블랙애더 대위가 노래 일부를 부른다. "폭발의 고함소리에는 아름다움이 있다"는 리차드 톰슨과 주디스 오웬이 공연했다.[177]

"우리는 학교에서 온 세 명의 어린 소녀들"은 영화 ''불의 전차''에 등장한다. 이 노래는 ''치어스'', ''프레이저'', ''천사'', ''심슨 가족'',[178] ''잭과 코디의 우리집'', ''애니매니악스'' 등 여러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등장한다. 캐피톨 스텝스는 "우리는 학교에서 온 세 명의 어린 쿠르드족"이라는 패러디를 공연했다. ''디나 쇼 쇼''에서 조안 서덜랜드와 엘라 피츠제럴드가 이 노래를 함께 불렀다.[37][179]

"티트-윌로우"는 앨런 셔먼의 노래 "브롱크스 조류 관찰자"에 언급된다.[180] ''딕 캐빗 쇼''에서 그루초 마르크스와 캐빗이 이 노래를 불렀다.[37] ''머펫 쇼''에는 로울프 더 도그와 샘 이글이 이 노래를 불렀다. 영화 ''누가 앤티 루를 죽였나?''에서 셸리 윈터스는 살해되기 직전 이 노래를 부른다.[181] 존 베트제먼의 영화 ''메트로-랜드''에서는 W. S. 길버트의 죽음을 애도하며 이 노래가 들린다.[182]

9. 1. 패러디 및 인용

1886년 "세 명의 어린 소녀"를 묘사한 광고


영화, 텔레비전, 연극, 광고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미카도'' 또는 그 노래를 언급하거나 패러디 또는 모방했으며, 대본의 구절은 영어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현이 되었다.[153]

  • 1968년과 1969년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최소 5명을 살해한 조디악 킬러는 경찰에 보낸 편지에 ''미카도''의 구절을 사용했다.[154] TV 쇼 ''밀레니엄''의 시즌 2(1998) 에피소드 "미카도"는 조디악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155]
  • ''미카도''는 대부분의 노래 작곡가로 설리번의 이름을 올린 ''오페라의 스모''에서 패러디되었다.[156]
  • 글래디스 미첼의 탐정 소설 ''오페라의 죽음''(1934)은 ''미카도'' 공연을 배경으로 한다.[157]
  • 2007년, 아시아계 미국인 극단인 로드스톤 극단은 도리스 베이즐리와 켄 나라사키가 제작한 오리지널 연극 ''미카도 프로젝트''를 제작했다. 이 연극은 아시아계 미국인 극단이 ''미카도''의 개정판을 제작하여 공연에서 인식된 인종차별 문제와 씨름하면서 기금을 모으려는 가상의 극단을 전제로 한 오페라의 해체였다.[158] 이것은 2010년에 영화로 각색되었다.[159]


''미카도'' 및 다른 사보이 오페라의 등장인물을 보여주는 벽지

  • ''미카도''를 언급한 영화 및 텔레비전 작품으로는 1978년 영화 ''웃기는 영화''의 클라이맥스가 있는데, 이 장면은 ''미카도'' 공연 중에 벌어진다.
  • TV 시트콤 ''어떻게 만났니?''의 2010년 에피소드 "로봇 대 레슬러"에서, 상류층 파티에서 마셜은 골동품 중국 꽹과리를 친다. 호스트는 그에게 "젊은이, 저 꽹과리는 W. S. 길버트가 1885년 런던 초연에서 친 이후로 한 번도 울린 적이 없는 500년 된 유물입니다!"라고 꾸짖는다. 마셜은 "그의 아내는 W. S. 길버트가 런던 초연에서 친 이후로 한 번도 울린 적이 없는 500년 된 유물입니다"라고 재치 있게 응수한다.[160]


1888년 ''The Capitalist''에서

  • 데니 오닐과 데니스 코완의 만화 슈퍼히어로 시리즈 ''퀘스천''에 등장하는 악당 자경단원인 "미카도"는 일본 가면을 쓰고 범죄자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처벌한다. 즉, "죄에 맞는 처벌"을 내리는 것이다.[161]
  • 1888년, 에드 J. 스미스는 텍사스 주 포트워스에 대한 자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미카도''를 무대에서 패러디한 ''The Capitalist; or, The City of Fort Worth''를 썼다.[162]
  • 2-8-2 철도 기관차는 1893년 이 기관차를 미국에서 일본으로 수출하면서 "미카도"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팬들은 집 안에 ''미카도'' 방을 장식했고, 미국 전역에 ''미카도'' 클럽이 설립되었으며, 1886년에는 미시간 주의 한 도시가 오페라의 이름을 따랐다.[37]

9. 2. 용어 및 표현

길버트와 설리번의 오페라 《미카도》는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영어권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용되고 패러디되었다.

  • '''"short, sharp shock"''' (1막 "I am so proud" 노래 가사): '일시적인 가혹한 벌'을 의미하며,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광기》의 곡, 정치적 성명, 책 제목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었다.
  • '''"Let the punishment fit the crime"''' (2막 미카도 노래 가사): '범죄에 상응하는 처벌'을 의미하며, 영국의 정치 토론에서 자주 언급된다.[303][304] TV 시리즈 《사립탐정 매그넘》의 에피소드 제목으로 사용되었고, 해당 에피소드에는 《미카도》의 곡들이 일부 포함되었다.[305]
  • '''푸바 (Pooh-Bah)''' : 작중 많은 직책을 겸임하는 거만하고 젠체하는 인물로, 영어에서 "pooh-bah"는 그러한 사람을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된다.[306] P.G. 우드하우스의 소설 《Something Fresh》에 등장하며,[307] 2009년 영국의 정치인 피터 만델슨이 여러 직책을 겸임하여 푸바에 비유되기도 했다.[308] 미국에서는 직함은 거창하지만 권한이 제한적인 사람을 조롱하는 의미로 사용된다.[309]

참조

[1] 웹사이트 Longest runs in the theatre up to 1920. http://www.dgillan.s[...] Don Gillan 2015-09-23
[2] 문서 The longest-running piece of musical theatre was the operetta ''[[Les Cloches de Corneville]]'', which held the title until ''[[Dorothy (opera)|Dorothy]]'' opened in 1886, which pushed ''The Mikado'' down to third place.
[3] 웹사이트 Article on ''The Mikado'' https://www.gsarchiv[...] H. L. Mencken 2008-09-24
[4] 간행물 The top 10 Gilbert and Sullivan operettas, ranked and rated https://www.classica[...] BBC Music Magazine 2022-03-09
[5] 서적 Traubner, p. 162
[6] 서적 Jacobs, p. 187
[7] 웹사이트 The Carpet Quarrel Explained https://www.gsarchiv[...] The Gilbert and Sullivan Archive 1997-06-28
[8] 서적 Ainger, p. 226
[9] 서적 Ainger, p. 230
[10] 서적 Ainger, p. 231
[11] 서적 Ainger, p. 232
[12] 서적 Ainger, p. 233
[13] 웹사이트 The Japanese exhibition, 1885–87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14] 서적 Cellier and Bridgeman, p. 186
[15] 서적 Jones (1985), p. 22
[16] 서적 Jones (2007), p. 687
[17] 서적 Jones (1985), p. 25
[18] 서적 Baily, pp. 235–36
[19] 간행물 Topsy-Turvy http://www.time.com/[...] 1999-12-27
[20] 서적 Jones (2007), pp. 688–93
[21] 간행물 Some Thoughts on the Japanese Village at Knightsbridge Sir Arthur Sullivan Society Magazine 2024-03
[22] 문서 Daniels also suggests that Gilbert, Sullivan and/or Carte may have been aware, for months in advance, that the exhibition was scheduled to open. See Daniels, pp. 21–22
[23] 웹사이트 Quoted at Lyricoperasandiego.com http://www.lyricoper[...]
[24] 뉴스 The Evolution of ''The Mikado'' New York Daily Tribune 1885-08-09
[25] 뉴스 The Illustrated London News 1885-02-12
[26] 문서 The actor who originally played Pish-Tush proved unable satisfactorily to sing the low notes in the Act Two quartet, "Brightly dawns our wedding day". The Pish-Tush line in this quartet lies lower than the rest of the role and ends on a bottom F. Therefore, an extra bass character, called Go-To, was introduced for this song and the dialogue scene leading into it. The [[D'Oyly Carte Opera Company]] continued generally to bifurcate the role, but vocal scores generally do not mention it. Other companies, however, have generally eliminated the role of Go-To and restored the material to Pish-Tush, when the role is played by someone with a sufficient vocal range.
[27] 웹사이트 "Swindlers (including the Master of the Rolls?) Not Wanted: Bentham and Justice Reform" http://www.ucl.ac.uk[...] UCL Bentham Association 2013-02-15
[28] 서적 Hughes, pp. 131–32
[29] 문서 The original version of this number included Pish-Tush. His part in it was first reduced, and then eliminated. However, some vocal scores still include Pish-Tush in this number in his reduced role.
[30]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Royal Command Performance http://www.stagebeau[...] StageBeauty.net
[31] 서적 Rollins and Witts, Appendix, p. VIII
[32] 서적 Cellier and Bridgeman, p. 192
[33] 서적 Rollins and Witts, ''passim''
[34] 웹사이트 Photos of, and information about, the 1926 ''Mikado'' costume designs. https://www.gsarchiv[...] 2008-09-22
[35] 간행물 D'Oyly Carte and the Pirates University of Kansas 1970-05
[36]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American productions http://www.library.r[...]
[37] 뉴스 "''Mikado'' madness: The first franchise in showbiz" https://www.santafen[...] Pasatiempo 2020-10-16
[38] 웹사이트 "Gilbert & Sullivan's American Ally" https://blogs.loc.go[...] 2020-08-05
[39] 서적 Jacobs, p. 214 and Ainger, pp. 247, 248 and 251
[40] 서적 Rollins and Witts, p. 59
[41] 서적 Rollins and Witts, pp. 59–64
[42] 웹사이트 "Carte, Richard D'Oyly (1844–1901)"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9
[43] 간행물 "Arthur Sullivan in Deutschland" Sir Arthur Sullivan Society Magazine 2024-Spring
[44] 서적 Joseph (1994), pp. 81 and 163
[45] 서적 Bradley (2005), p. 25
[46] 간행물 "The One World of Gilbert and Sullivan" Saturday Review 1968-10-26
[47] 서적 MacMillan, pp. 25–27 https://archive.org/[...]
[48] 뉴스 "''The Mikado'' review at London Coliseum – 'still delivers the goods'" https://www.thestage[...] The Stage 2015-11-23
[49] 웹사이트 "Production History" http://www.stratford[...] 2014-02-15
[50] 웹사이트 "''The Mikado''" https://www.gsarchiv[...] 2022-09-20
[51] 간행물 The Theatre 1885-04-01
[52] 서적 "Institutions before the Reform" https://archive.org/[...] The Early Institutional Life of Japan: A Study in the Reform of 645 A.D. 1903
[53] 서적 Dark and Grey, p. 101
[54] 뉴스 "Gilbert & Sullivan... the greatest show takes to the road" http://www.yourcante[...] Your Canterbury 2014-06-02
[55] 뉴스 "Updated ''Mikado'' promises to be as rousing as ever" http://www.suntimes.[...] Chicago Sun-Times 2010-12-06
[56] 웹사이트 "Mikado Genesis" https://web.archive.[...]
[57] 서적 Jones (1985), pp. 22–25
[58] 뉴스 "Local production of ''The Mikado'' raises questions on theatre and race" http://www.therapidi[...] The Rapidian 2016-04-22
[59] 서적 Allen, p. 239
[60] 간행물 "The Japanese March in ''The Mikado''" The Musical Times 1985
[61] 웹사이트 this translation http://www.qsulis.de[...]
[62] 웹사이트 "Historia Miya San" http://www.geocities[...]
[63] 서적 Williams (2010), p. 267
[64] 문서 A character in the [[Bab Ballad]] "King Borriah Bungalee Boo" (1866) is the haughty "Pish-Tush-Pooh-Bah", which is split into two in ''The Mikado'' – the terms ''[[wikt:pish|pish]],'' ''[[wikt:tush|tush]],'' ''[[wikt:pooh|pooh]],'' and ''[[wikt:bah|bah]]'' are all expressions of contempt.
[65] 웹사이트 "A Study Guide to the production of ''The Mikado''" http://www.ppt.org/d[...]
[66] 서적 "Queen Victoria's Secrets" https://books.google[...] 1998
[67] 웹사이트 "For Tricks that Are Dark" https://web.archive.[...]
[68] 서적 Faris, p. 53
[69] 웹사이트 Review of ''The Mikado'' discussing reception by the Japanese https://web.archive.[...]
[70] 웹사이트 "Edward Gorey in Japan; Translation or Transformation: A Chat with Motoyuki Shibata" http://www.goreyogra[...] 2008
[71] 서적 Helen Carte to drop the always-profitable show from her Gilbert and Sullivan repertory season
[72] 뉴스 London Greets Fushimi; He Visits King Edward – Wants to Hear "The Mikado"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07-05-07
[73] 간행물 The Fushimi incident: theatre censorship and The Mikado Cass; Routledge
[74] 서적 The Story of the Savoy Opera in Gilbert and Sullivan's Day D. Appleton and Company
[75] 웹사이트 Article about the 1946 Mikado in Japan https://web.archive.[...]
[75] 뉴스 GIs play Mikado in Tokyo https://books.google[...] Life magazine 1946-09-09
[76] 뉴스 Japan: No Mikado, Much Regret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47-06-16
[77] 뉴스 Ernie Pyle Theater Tokyo presents Gilbert and Sullivan's The Mikado http://nla.gov.au/nl[...] Japan Times 1970-02-05
[78] 웹사이트 Sumiko Enbutsu: The Mikado in the Town of Chichibu http://www.tkyt.com/[...] 2009-03-09
[79] 뉴스 Japanese Hail The Mikado, Long-Banned Imperial Spoof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3-04-03
[80] 뉴스 The Mikado – Diary http://infoweb.newsb[...] The Times 1992-07-23
[81] 웹사이트 The Chichibu Mikado http://www.japansoci[...] 2011-03-22
[82] 뉴스 Stereotypes in The Mikado Stir Controversy in Seattle https://www.nbcnews.[...] NBC news 2014-07-17
[83] 뉴스 Pomona College Hears Call From Asians for More Ethnic Programs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21-10-19
[84] 웹사이트 History of Yellowface: The Mikado https://aatrevue.com[...] Asian American Theatre Review 2019-07-13
[85] 웹사이트 The Mikado and Racism http://www.andrewcro[...] Andrew Crowther: Playwright and Biographer 2014-07-20
[86] 웹사이트 Who the Hell Put These People in Charge of Popular Culture?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4-08-16
[87] 웹사이트 Last Night's Polite But Necessary Discussion at the Seattle Rep About Race, Theater, and the Mikado Controversy http://slog.thestran[...] TheStranger.com 2014-08-19
[88] 뉴스 New York City Production of 'The Mikado' Canceled Following Accusations of Racism https://www.nbcnews.[...] NBC News 2015-09-18
[89] 웹사이트 Cultural Appropriation or Swiftian Satire? Gilbert and Sullivan’s The Mikado https://review.gale.[...] Gale 2019-11-22
[90] 뉴스 Is The Mikado Too Politically Incorrect to Be Fixed? Maybe Not. https://www.nytimes.[...] 2016-12-30
[90] 웹사이트 New York Gilbert & Sullivan Players Reveals Concepts for Reimagined The Mikado; Kelvin Moon Loh Joins Creative Team! http://www.broadwayw[...] BroadwayWorld.com 2016-10-06
[91] 웹사이트 Building a Better Mikado, Minus the Yellowface http://www.americant[...] American Theatre 2016-04-20
[92] 뉴스 Lamplighters' transplanted Mikado retains its charm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16-08-08
[92] 뉴스 Review: Guilt-free Mikado unveiled by Lamplighters http://www.mercuryne[...] The Mercury News 2016-08-08
[93] 웹사이트 The McAdo by Gilbert & Sullivan Austin https://ctxlivetheat[...] CTXLiveTheatre.com 2023-06-11
[94] 서적
[95] 서적 https://books.google[...]
[96]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Taboo Words http://chronicle.com[...]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4-05-19
[97] 서적
[98] 인용
[99] 웹사이트 Silly Novels by Lady Novelists http://faculty.winth[...] 1896
[100] 서적
[101] 서적 Gilbert and Sullivan and their world Thames and Hudson
[102] 뉴스 The opera novice: The Mikado by Gilbert & Sullivan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3-02-01
[102] 뉴스 Mikado Survives Some Updatin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8-01-10
[103] 웹사이트 The Independent review of 2004 London Mikado https://archive.toda[...]
[104] 서적 They'd None of 'em Be Missed Pallas Athene Arts
[105] 웹사이트 Mikado-themed advertising cards https://www.gsarchiv[...] The Gilbert and Sullivan Archive
[106] 서적 Wilson and Lloyd
[107] 웹사이트 See here and here
[108] 서적 Impressions that Remained Baily
[109] 웹사이트 Who Was Who in the D'Oyly Carte Opera Company (1875–1982) https://gsarchive.ne[...] 2023-10-10
[110] 서적 Rollins and Witts
[111] 서적 Gänzl
[112] 기타
[113] 서적 Rollins and Witts
[114] 서적 Rollins and Witts
[115] 서적 Rollins and Witts
[116] 기타
[117] 서적 Rollins and Witts
[118] 서적 Rollins and Witts
[119] 서적 Rollins and Witts
[120] 서적 Rollins and Witts
[121] 서적 Rollins and Witts
[122] 서적 Rollins and Witts
[123] 서적 Rollins and Witts, 1st Supplement
[124] 서적 Rollins and Witts, 3rd Supplement
[125] 서적 Rollins and Witts, 4th Supplement
[126] 뉴스 Retired opera singer Cynthia Morey lands 'yum' film role in Quartet http://www.oxfordmai[...] Oxford Mail 2013-02-02
[127] 웹사이트 Recordings of The Mikado http://gasdisc.oakap[...] 2012-06-06
[128]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26 recording http://gasdisc.oakap[...] 2016-07-31
[129]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36 recording http://gasdisc.oakap[...] 2016-07-31
[130]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50 recording http://gasdisc.oakap[...] 2016-07-31
[131]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57 recording http://gasdisc.oakap[...] 2016-07-31
[132]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84 Stratford recording http://gasdisc.oakap[...] 2016-07-31
[133]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90 recording http://gasdisc.oakap[...] 2016-07-31
[134]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92 recording http://gasdisc.oakap[...] 2016-07-31
[135] 서적 Silent Film Sound Columbia University Press
[136] 웹사이트 The 1926 D'Oyly Carte Mikado Film http://gasdisc.oakap[...] 2016-07-31
[137] 기타
[138] 간행물 The Genealogy of Clip Culture transcript Verlag
[139] 웹사이트 The Mikado http://www.gilbertan[...] Pilot Press, London (souvenir programme) 2016-07-31
[140] 웹사이트 The Technicolor Mikado Film (1939) http://gasdisc.oakap[...] 2016-07-31
[141] 웹사이트 The Mikado (Blu-ray) http://www.dvdtalk.c[...] 2011-03-27
[142] 웹사이트 Photos from the 1966 film https://web.archive.[...]
[143] 뉴스 The Mikado (1967) https://movies.nytim[...] The New York Times 1967-03-15
[144] 웹사이트 The Brent Walker Mikado (1982) http://gasdisc.oakap[...] 2009-04-05
[145] 웹사이트 Professional Shows from the Festival http://www.gsfestiva[...] 2012-10-15
[146] 서적 preface by [[Rupert D'Oyly Carte]] 1921
[147] 서적 The Public Domain: How to Find Copyright-Free Writings, Music, Art & More Nolo Press 2006
[148] 서적 The Works of John Philip Sousa Integrity Press, Westerville, Ohio 1984
[149] 웹사이트 Notable Gilbert & Sullivan adaptations http://grimsdyke.com[...] 2016-12-29
[150] 웹사이트 The Black Mikado http://gasdisc.oakap[...] 2001-11-25
[151] 뉴스 Theatre: It Was 15 Years Ago Today; The great Ned and Ken show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9-07-25
[152]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Essgee's Mikado http://essgee.com/ht[...]
[153] 웹사이트 Gilbert & Sullivan in Popular Culture: The Mikado http://gsvloc.org/gi[...] 2017-06-11
[154] 뉴스 The Zodiac Killer's most uncrackable cipher has, at last, been solved https://www.sfgate.c[...] SFGate 2020-12-11
[155] 웹사이트 "Millennium'' Episode Profile of 'The Mikado'" http://millennium-th[...] 2010-08-16
[156] 웹사이트 VeggieTales: 'Sumo of the Opera' https://www.commonse[...] 2020-06-12
[157] 서적 Death at the Opera Grayson & Grayson (London: 1934) 1934
[158] 웹사이트 The Mikado Project http://www.lodestone[...] 2010-10-02
[159] 뉴스 The Mikado Project (Trouble In Titipu) http://www.huffingto[...] The Huffington Post 2011-04-21
[160] 뉴스 "How I Met Your Mother'' 'Robots Vs. Wrestlers'" https://www.avclub.c[...] The A.V. Club 2010-05-10
[161] 간행물 Who's Who in the DC Universe 1987
[162] 웹사이트 The Capitalist; or, The City of Fort Worth (The Texas Mikado) http://digitalcollec[...] 2012-11-09
[163] 뉴스 Ballads, songs and speech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9-20
[164] 웹사이트 Death Penalty http://keithwiley.co[...] 2001-04-01
[165] 웹사이트 TV.com Magnum, P.I. Episode Guide http://www.tv.com/ma[...]
[166] 웹사이트 The Hamptons https://www.seinfeld[...]
[167] 웹사이트 Pooh-Bah https://www.collinsd[...] 2022-06-01
[168] 간행물 Whence Poo-Bah 1993-01-01
[169] 문서 Another such example is [[Rab Butler|R. A. Butler's]] biography, in which there is a chapter called "The Pooh-Bah Years", when Butler held multiple cabinet portfolios.
[170] 뉴스 Lord Mandelson likened to Pooh-Bah, Lord High Everything Else in The Mikado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2009-12-03
[171] 웹사이트 pooh-bah – Definition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09-06-14
[172] 웹사이트 Loyal Order of Water Buffaloes http://freemasonry.b[...] 2004-04-08
[173] 문서 Allan in Wonderland 1964
[174] 뉴스 The Who’s Who on Kash Patel’s Crazy Enemies List https://newrepublic.[...] The New Republic 2024-12-03
[175] 서적 "They'd none of 'em be missed'" Pallas Athene 2008
[176] 웹사이트 Little Shop of Horrors – Screen to Stage http://mondomusicals[...] Mondo Musicals! 2008-02-14
[177] 웹사이트 Song-o-matic – There is Beauty http://www.richardth[...] 2011-01-15
[178] DVD The Simpsons: The Complete Fifth Season 2004
[179] 웹사이트 The Dinah Shore Chevy Show, March 17, 1963 (Season 7, episode 7) http://www.tv.com/sh[...] 2012-04-21
[180] 서적 My Son, the Celebrity Warner Bros. Records 1963
[181] 웹사이트 Whoever Slew Auntie Roo? (1971) http://www.britmovie[...] 2009-12-21
[182] 서적 The Best of Betjeman Penguin Books
[183] 웹사이트 Longest runs in the theatre up to 1920. http://www.dgillan.s[...]
[184] 문서 オペレッタ『Les Cloches de Corneville 』が長年トップであったが、1886年に『Dorothy 』が開幕してから『ミカド』は第3位に繰り下がった
[185] 뉴스 Article on The Mikado http://math.boisesta[...] Baltimore Evening Sun 1910-11-29
[186] 서적 喜歌劇ミカド:十九世紀英国人がみた日本 中央公論新社
[187] 서적 キプリングの日本発見 中央公論社 2002
[188] 뉴스 大炎上した日本風オペラ「ザ・ミカド」はなぜ怒りを買ったのか https://www.huffingt[...] Huffingtonpost 2015-09-30
[189] 문서 Traubner
[190] 문서 Jacobs
[191] 웹사이트 The Carpet Quarrel Explained http://diamond.boise[...] 1997-06-28
[192] 문서 Ainger
[193] 문서 Ainger
[194] 문서 Ainger
[195] 문서 Ainger
[196] 웹사이트 The Japanese exhibition, 1885–87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3-01-29
[197] 문서 Cellier and Bridgeman
[198] 문서 Jones 1985
[199] 웹사이트 The Japanese exhibition, 1885–87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3-01-29
[200] 문서 Jones 2007
[201] 문서 Jones 1985
[202] 문서 Baily
[203] 뉴스 Topsy-Turvy http://www.time.com/[...] Time 1999-12-27
[204] 문서 Jones 2007
[205] 웹사이트 Quoted at Lyricoperasandiego.com http://www.lyricoper[...]
[206] 뉴스 The Evolution of The Mikado New York Daily Tribune 1885-08-09
[207] 뉴스 Illustrated London News Illustrated London News 1885-02-12
[208] 문서 元々ピシュ・タッシュ役に配役された役者が第2幕でのカルテット「Brightly dawns our wedding day 」の低音がうまく歌えなかった。ピシュ・タッシュが歌うはずであった箇所を他の役より低くして下のFにまで下げた。そのため他のバスの登場人物であるゴー・トゥがこの曲に登場し、セリフに突入することになった。ドイリー・カート・オペラ・カンパニーはこのように2人体制を続けたが、楽譜ではこのことには言及していない。他のカンパニーでは一般的に声域が可能であればピシュ・タッシュのみでゴー・トゥを外す。
[209] 간행물 変容するジャポニズム―舞台作品の変遷 学習院大学人文科学論集 2016
[210] 문서 1938年に内閣訓令によってヘボン式を排したローマ字表記の統一(内閣訓令式)が図られたためである。
[211] 문서 オリジナル版はピシュタシュも含まれていたが、出番が減らされた後に削除された。しかし現在もヴォーカル・スコアにはまだ出番が減らされた時のままの楽譜もある。
[212]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Royal Command Performance http://www.stagebeau[...] 2009-06-16
[213] 웹사이트 Photos of, and information about, the 1926 ''Mikado'' costume designs. http://math.boisesta[...]
[214] 간행물 "D'Oyly Carte and the Pirates" https://hdl.handle.n[...] University of Kansas 1970-05
[215]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American productions http://www.library.r[...]
[216] 문서 Gilbert, Sullivan and Carte had tried various techniques for gaining an American copyright that would prevent unauthorised productions. In the case of ''Princess Ida'' and ''The Mikado'', they hired an American, George Lowell Tracy, to create the piano arrangement of the score, hoping that he would obtain rights that he could assign to them. The U.S. courts held, however, that the act of publication made the opera freely available for production by anyone. Jacobs, p. 214 and Ainger, pp. 247, 248 and 251
[217] 문서 Rollins and Witts, p. 59
[218] 문서 Rollins and Witts, pp. 59–64
[219] 웹사이트 Carte, Richard D'Oyly (1844–1901)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9-12
[220] 문서 Joseph (1994), pp. 81 and 163
[221] 문서 Bradley (2005), p. 25
[222] 서적 The conductor Ernest MacMillan, along with other musician internees, recreated the score from memory with the aid of a libretto. See MacMillan https://books.google[...]
[223] 웹사이트 Production History http://www.stratford[...] 2014-02-15
[224] 서적 Institutions before the Reform https://books.google[...] Shueisha 1903
[225] 문서 Dark and Grey, p. 101
[226] 뉴스 Gilbert & Sullivan... the greatest show takes to the road http://www.yourcante[...] Your Canterbury 2014-06-02
[227] 뉴스 Updated ''Mikado'' promises to be as rousing as ever http://www.suntimes.[...] Chicago Sun-Times 2010-12-06
[228] 웹사이트 Mikado Genesis https://web.archive.[...]
[229] 문서 Jones (1985), pp. 22–25
[230] 문서 Allen, p. 239
[231] 간행물 The Japanese March in ''The Mikado'' The Musical Times 1985
[232] 웹사이트 this translation http://www.qsulis.de[...]
[233] 웹사이트 Historia Miya San https://web.archive.[...]
[234] 문서 このキャラクターはジェイムス・プランシェの『''The Sleeping Beauty in the Wood''』(1840年)の''Great-Grand-Lord-High-Everything'' である''Baron Factotum'' に由来する。
[235] 문서 ''Bab Ballad''の『''King Borriah Bungalee Boo''』(1866年)の登場人物で横柄な''Pish-Tush-Pooh-Bah''を2つに分けたものである。ピシュ、タシュ、プー、バーの4つ共侮辱的な語句である。
[236] 웹사이트 A Study Guide to the production of ''The Mikado'' http://www.ppt.org/d[...] Pittsburgh Public Theater
[237] 서적 Queen Victoria's Secrets https://books.google[...] 1998
[238] 웹사이트 For Tricks that Are Dark http://pamphletpress[...] Pamphlet Press
[239] 문서 Faris, p. 53
[240] 웹사이트 Review of ''The Mikado'' discussing reception by the Japanese http://pamphletpress[...]
[241] 웹사이트 Edward Gorey in Japan; Translation or Transformation: A Chat with Motoyuki Shibata http://www.goreyogra[...] 2008
[242] 문서 これによりリチャード・ドイリー・カートの2番目の妻でカンパニー責任者ヘレン・カートはギルバート・アンド・サリヴァンのレパートリー・シーズンから常に人気のこの作品を外すことにした。See Wilson and Lloyd, p. 83
[243] 뉴스 London Greets Fushimi; He Visits King Edward – Wants to Hear "The Mikado" http://query.nytimes[...] The New York Times 1907-05-07
[244] 간행물 The Fushimi incident: theatre censorship and The Mikado Cass; Routledge
[245] 서적 The Story of the Savoy Opera in Gilbert and Sullivan's Day D. Appleton and Company
[246] 웹사이트 Article about the 1946 ''Mikado'' in Japan http://math.boisesta[...]
[247] 간행물 "Japan: No ''Mikado'', Much Regret"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47-06-16
[248] 간행물 "Ernie Pyle Theater Tokyo presents Gilbert and Sullivan's ''The Mikado''" http://nla.gov.au/nl[...] ''Japan Times'' 1970-02-05
[249] 웹사이트 Sumiko Enbutsu: ''The Mikado in the Town of Chichibu'' http://www.tkyt.com/[...]
[250] 뉴스 "Japanese Hail ''The Mikado'', Long-Banned Imperial Spoof"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03-04-03
[251] 뉴스 "The Mikado – Diary" http://infoweb.newsb[...] ''The Times'' 1992-07-23
[252] 웹사이트 this link http://www4.ncsu.edu[...]
[253] 웹사이트 ''The Chichibu Mikado'' http://www.japansoci[...] The Japan Society
[254] 뉴스 "Stereotypes in ''The Mikado'' Stir Controversy in Seattle" http://www.nbcnews.c[...] NBC news 2014-07-17
[255] 웹사이트 "The Mikado and Racism" http://andrewcrowthe[...] Andrew Crowther: Playwright and Biographer 2014-07-20
[256] 간행물 "Who the Hell Put These People in Charge of Popular Culture?" https://www.huffpost[...] ''Huffington Post'' 2014-08-16
[257] 웹사이트 "Last Night's Polite But Necessary Discussion at the Seattle Rep About Race, Theater, and the Mikado Controversy" http://slog.thestran[...] TheStranger.com 2014-08-19
[258] 서적 Gilbert (1992) p. 41, note 1 1992
[259] 서적 Gilbert (1992) https://books.google[...] 1992
[260] 간행물 "The Politics of Taboo Words" http://chronicle.com[...]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4-05-19
[261] 서적 Bradley (1996) p. 572. 1996
[262] 문서 ココの曲は「ニガーのセレナーデ歌手」から「バンジョー・セレナーデ歌手」に(Dover, p. 9; and Green, p. 416)、ミカドの女性への罰は強面にすることになった(Bradley (1996) p. 623; and Green p. 435).
[263] 문서 "Silly Novels by Lady Novelists" http://faculty.winth[...] 1896
[264] 문서 Benford, Chapter IX
[265] 서적 Gilbert and Sullivan and their world Thames and Hudson 1973
[266] 뉴스 "The opera novice: ''The Mikado'' by Gilbert & Sullivan"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13-02-01
[267] 간행물 ''The Independent'' review of 2004 London ''Mikado'' http://arts.independ[...]
[268] 서적 ''They'd None of 'em Be Missed'' Pallas Athene Arts 2008
[269] 문서 Wilson and Lloyd, p. 37
[270] 웹사이트 See here http://www.musicals1[...]
[271] 서적 Impressions that Remained 1923
[272] 웹사이트 "Recordings of ''The Mikado''" http://gasdisc.oakap[...] Gilbert & Sullivan Discography 2009-07-13
[273]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26 recording http://www.cris.com/[...] Gilbert & Sullivan Discography
[274]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36 recording http://www.cris.com/[...] Gilbert & Sullivan Discography
[275]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50 recording http://www.cris.com/[...] Gilbert & Sullivan Discography
[276]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57 recording http://www.cris.com/[...] Gilbert & Sullivan Discography
[277]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84 Stratford recording http://www.cris.com/[...] Gilbert & Sullivan Discography
[278]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90 recording http://www.cris.com/[...] Gilbert & Sullivan Discography
[279] 웹사이트 Review of the 1992 recording http://www.cris.com/[...] Gilbert & Sullivan Discography
[280] 서적 Silent Film Sound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281]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the 1926 film from the G&S Discography http://www.cris.com/[...]
[282] 문서 1907年、ジョージ・ソーンの『''Tit-Willow'' 』などがイギリス初の''Phonoscène'' として[[バッキンガム宮殿]]で上映された。
[283] 논문 The Genealogy of Clip Culture transcript Verlag 2010
[284] 웹사이트 Cinegram of the 1939 ''Mikado'' film containing photos, cast biographies and other information http://math.boisesta[...]
[285] 웹사이트 The Technicolor ''Mikado'' Film (1939) http://www.cris.com/[...] 2001
[286] 웹사이트 The Mikado (Blu-ray) http://www.dvdtalk.c[...] DVDTalk 2011-03-27
[287] 웹사이트 Photos from the 1966 film http://math.boisesta[...]
[288] 뉴스 The Mikado (1967) http://movies.nytime[...] The New York Times 1967-03-15
[289] 웹사이트 The Brent Walker Mikado (1982) http://gasdisc.oakap[...] 2009-04-05
[290] 웹사이트 Professional Shows from the Festival http://www.gsfestiva[...] Musical Collectibles catalogue website 2012-10-15
[291] 서적 Gilbert 1921
[292] 서적 The Public Domain: How to Find Copyright-Free Writings, Music, Art & More Nolo Press 2006
[293] 웹사이트 The Black Mikado recording information http://www.cris.com/[...]
[294]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Essgee's ''Mikado'' http://essgee.com/ht[...]
[295] 웹사이트 The Mikado Project http://www.lodestone[...] LodestoneTheatre.org 2010-10-02
[296] 뉴스 The Mikado Project (Trouble In Titipu) https://www.huffpost[...] The Huffington Post 2011-04-21
[297] 서적 Death at the Opera Grayson & Grayson 1934
[298] 웹사이트 ''Millennium'' Episode Profile of 'The Mikado' http://millennium-th[...] Millennium-This Is Who We Are, Graham P. Smith 2010-08-16
[299] 웹사이트 How I Met Your Mother "Robots Vs. Wrestlers" http://www.avclub.co[...] The Onion 2010-05-10
[300] 웹사이트 Mikado-themed advertising cards http://math.boisesta[...] The Gilbert and Sullivan Archive 2007
[301] 간행물 Who's Who in the DC Universe 1987
[302] 웹사이트 The Capitalist; or, The City of Fort Worth (The Texas Mikado) http://digitalcollec[...] Baylor University Libraries Digital Collections 2012-11-09
[303] 뉴스 Ballads,songs and speech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9-20
[304] 웹사이트 Keith Wiley webpage http://keithwiley.co[...]
[305] 웹사이트 TV.com Magnum, P.I. Episode Guide http://www.tv.com/ma[...]
[306] 웹사이트 Pooh Bah http://dictionary.oe[...]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9-12-07
[307] 문서 他にラブ・バトラーの伝記でも政界での役職を兼任していた頃を「プーバー時代」と呼んだ。
[308] 뉴스 Lord Mandelson likened to Pooh-Bah, Lord High Everything Else in ''The Mikado''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2009-12-03
[309] 웹사이트 pooh-bah – Definition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09-06-14
[310] 웹사이트 Loyal Order of Water Buffaloes http://freemasonry.b[...] Grand Lodge Freemasonry site 2004-04-08
[311] 웹사이트 Little Shop of Horrors – Screen to Stage http://mondomusicals[...] Mondo Musicals! 2008-02-14
[312] 웹사이트 Song-o-matic – There is Beauty http://www.richardth[...] 2011-01-15
[313] 기타 Commentary for "Cape Feare" 20th Century Fox 2004
[314] 웹사이트 Alvin and the Chipmunks:The ALVINNN!!! Edition - 2-Disc Collector's Set DVD Review http://www.dvdizzy.c[...] dvdizzy.com 2012-04-21
[315] 웹사이트 ''The Dinah Shore Chevy Show'', March 17, 1963 (Season 7, episode 7) http://www.tv.com/sh[...] TV.com 2012-04-21
[316] 서적 My Son, the Celebrity ワーナー・ブラザース・レコード 1963
[317] 웹사이트 Whoever Slew Auntie Roo? (1971) http://www.britmovie[...] 2009-12-21
[318] 웹사이트 Soundtrack for The Shootist http://www.imdb.com/[...]
[319] 서적 Allan in Wonderland Warner Bros. Records 1964
[320] 서적 They’d none of ‘em be missed http://www.pallasath[...] Pallas Athene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