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포니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포니즘은 19세기 후반 서양 미술과 문화에 일본 미술의 영향을 받은 현상을 의미한다. 17세기부터 제한적인 교류를 통해 일본 미술이 서양에 영향을 미쳤으며, 19세기 중반 쇄국 정책이 끝나고 일본이 개방되면서 일본 예술품이 유럽에 소개되었다. 특히 우키요에는 유럽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어, 구도, 평면적 표현, 색채 사용 등에서 새로운 시도를 이끌었다. 자포니즘은 회화, 판화, 공예, 건축, 정원, 공연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났으며,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 등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이러한 영향은 20세기 유럽 시각 표현 전반에 걸쳐 나타났으며, 한국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상주의 - 인상주의 음악
인상주의 음악은 클로드 드뷔시와 모리스 라벨을 중심으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발전한 음악 사조로, 몽환적인 분위기와 섬세한 음색, 독특한 화성과 선율을 특징으로 한다. - 인상주의 - 신인상주의
신인상주의는 조르주 쇠라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에 발전한 미술 사조로, 과학적 이론에 기반한 점묘법, 분할주의 등의 기법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려 했으며, 폴 시냐크, 카미유 피사로 등이 참여하여 후기 인상주의와 아나키즘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미술 - 인상주의
인상주의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시작된 미술 운동으로, 빛과 색채의 순간적인 인상을 담아내며 아카데미 미술에 반발, 클로드 모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에드가 드가 등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회화 양식을 제시하여 현대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미술 - 로마 아카데미 드 프랑스
로마 아카데미 드 프랑스는 루이 14세가 1666년에 설립한 프랑스 예술 기관으로, 로마 대상을 받은 예술가들에게 로마에서 예술과 건축을 연구할 기회를 제공하며, 현재는 빌라 메디치에 위치하여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를 지원하고 일반인에게도 일부 개방한다.
자포니즘 | |
---|---|
용어 | |
정의 | 19세기와 20세기에 유럽에서 일본 미술을 모방한 것 |
어원 | 프랑스어 "Japonisme"(자포니즘)에서 유래 |
역사적 배경 | |
요약 | 1854년 매슈 페리 제독의 흑선 사건 이후 일본 미술품이 서양에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시작되었다. |
영향 |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 에드가 드가 등이 일본 미술의 영향을 받았다. 미술뿐만 아니라 건축, 디자인,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미술 | |
특징 | 평면적인 구도 강렬한 색채 사물의 세밀한 묘사 자연주의적 경향 |
주요 작가 | 빈센트 반 고흐 클로드 모네 에드가 드가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 구스타프 클림트 피에르 보나르 메리 커샛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
건축 및 디자인 | |
특징 | 단순하고 기능적인 디자인 자연 소재의 사용 일본 전통 건축 양식의 차용 |
예시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건축 아르누보 디자인 |
기타 | |
관련 용어 | 자포네스크 |
2. 역사
19세기 중반 만국 박람회(국제 박람회)를 통해 일본 미술(우키요에, 린파, 공예품 등)이 유럽의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872년 미술 평론가 필리프 뷔르티는 이 유행을 "자포니즘"이라고 칭했으며,[50] 1876년에는 "japonisme"이라는 단어가 프랑스 사전에 등장했다.[51]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일본 붐에 대해 프랑스 번역가 루이 파뷔레는 "일본은 거인과 같은 큰 걸음으로 세계에 등장했고, 오늘날 전 세계의 눈이 이 나라에 쏠리고 있다"고 기록했다.[52]
자포니즘은 빈센트 반 고흐의 『명소 에도 백경』 모사, 클로드 모네의 「라 자포네즈」, 에드가 드가 등 화가들의 색채 감각에 영향을 미쳤다.
루이 비통의 「다미에」나 「모노그램」 캔버스도 고딕 및 아르 누보의 영향 외에 체크 무늬나 가문의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
2. 1. 쇄국 정책과 초기 교류 (1639년~1858년)

에도 시대(1603년~1867년) 동안 일본은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나가사키 해안가에 데지마라는 인공섬을 건설하여 이곳을 통해서만 수입이 이루어지도록 명령하면서 쇄국 정책을 펼쳤다.[66] 이 시기 일본은 서양 국가 중 유일하게 네덜란드와 교역했는데, 이러한 제한적인 접촉에도 불구하고 일본 미술은 서양에 영향을 미쳤다.[67][8] 네덜란드 상인들은 매년 서양 물품을 가득 실은 배를 이끌고 일본을 방문했는데,[68][9] 이 화물에는 회화 관련 논문과 판화들이 포함되어 있었다.[68][9] 시바 고칸(1747년~1818년)은 이러한 수입품을 연구한 일본 화가 중 한 명으로,[68][9] 수입된 자료에서 배운 기법을 활용하여 일본 최초로 에칭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68][9] 그는 선형 원근법 기법을 자신의 우키요에 화풍과 결합하기도 했다.
초기 일본의 주요 수출품은 은(1668년 이후 금지)과 금(1763년 이후 금지)이었으나, 이후에는 구리, 도자기, 부채, 종이, 가구, 도검, 갑옷, 자개 공예품, 병풍, 칠기 등 공예품으로 변화했다.[69][10]
쇄국 시대에도 일본 물품은 유럽 상류층이 선호하는 사치품이었다.[70][11] 17세기에는 조선 도공들이 규슈 지역으로 이주해 오면서 일본의 도자기 생산이 증가했다.[71][12] 이들은 고령석 광산을 발견하고 고품질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전통의 혼합은 이마리 도자기와 가키에몬과 같은 독특한 양식을 가진 일본만의 산업으로 발전했다.[70][11] 이는 후에 유럽과 중국의 도공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70]
명청 교체 시기 혼란으로 인해 중국 경덕진의 도자기 생산이 수십 년간 중단되면서 일본의 도자기 수출은 더욱 증가했다.[70][11] 일본 도공들은 유럽인들의 취향에 맞는 도자기를 제작하여 이러한 공백을 메웠다.[70] 도자기와 칠기는 일본에서 유럽으로 수출되는 주요 품목이 되었다.[72][13] 유럽에서는 도자기를 전시하기 위해 곳곳에 선반을 설치한 도자기실을 만드는 것이 유행했으며,[72][13] 중산층도 몇 점 정도는 소장할 수 있었다. 마리 앙투아네트와 마리아 테레지아는 일본 칠기 수집가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컬렉션은 루브르 박물관과 베르사유 궁전에서 자주 전시된다.[73][14] 아시아 칠기를 모방한 유럽의 공예 기법을 재패닝이라고 한다.[74][15]
2. 2. 개방과 자포니즘의 확산 (19세기)
가에이 시대(1848년~1854년) 동안 200년이 넘는 쇄국 정책 이후, 다양한 국적의 외국 상선들이 일본을 방문하기 시작했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오랜 쇄국 정책을 종식하고 사진술과 인쇄 기술을 포함한 서양의 수입품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무역의 새로운 개방과 함께 일본의 예술품과 공예품이 파리와 런던의 작은 골동품 상점에 등장하기 시작했다.[75] 자포니슴은 특히 우키요에를 중심으로 한 일본 미술품 수집 열풍으로 시작되었다. 우키요에의 첫 표본 중 일부가 파리에서 발견되었다.[76]이 시기에 유럽의 예술가들은 엄격한 유럽의 학구적 방법론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었다.[77] 1856년경 프랑스 화가 펠릭스 브라크몽은 자신의 판화가인 오귀스트 들라트르의 작업실에서 《호쿠사이 만화》라는 화첩의 사본을 발견했다.[78] 이 발견 이후 일본 판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이러한 판화들은 골동품 상점, 찻집, 대형 상점에서 판매되었다.[78] '라 포르트 시누아즈'(La Porte Chinoise)와 같은 상점들은 일본과 중국 수입품 판매를 전문으로 했다.[78] 특히 '라 포르트 시누아즈'는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 에두아르 마네, 에드가 드가와 같은 예술가들을 끌어들였으며, 이들은 이러한 판화에서 영감을 얻었다.[79] 이 상점을 비롯한 다른 상점들은 일본 예술과 기법에 관한 정보 전파를 촉진하는 모임을 조직했다.[77]
19세기 중반 만국 박람회(국제 박람회)에 출품된 것을 계기로 일본 미술(우키요에, 린파, 공예품 등)이 주목받아 유럽의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870년에는 프랑스 미술계에서 자포니즘의 영향이 이미 현저했고,[49] 1872년 미술 평론가 필리프 뷔르티가 그 유행을 "자포니즘"이라고 칭하며 해설했으며,[50] 1876년에는 "japonisme"이라는 단어가 프랑스 사전에 등장했다.[51]
2. 3. 자포네즈리의 시대
쇄국 정책이 200년 넘게 지속된 후, 가에이 시대(1848년~1854년) 동안 다양한 국적의 외국 상선들이 일본을 방문하기 시작했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오랜 쇄국 정책을 종식하고 사진술과 인쇄 기술을 포함한 서양의 수입품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무역의 새로운 개방과 함께 일본의 예술품과 공예품이 파리와 런던의 작은 골동품 상점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75] 특히 우키요에를 중심으로 한 일본 미술품 수집 열풍이 불었다.[76]
자포네즈리(Japonaiserie|자포네즈리프랑스어)는 일본 취미를 뜻하며, 자포니즘의 전 단계로 해석된다.
1856년경 프랑스 화가 펠릭스 브라크몽은 자신의 판화가인 오귀스트 들라트르의 작업실에서 《호쿠사이 만화》라는 화첩의 사본을 발견했다.[78] 이 발견 이후 일본 판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이러한 판화들은 골동품 상점, 티 웨어하우스, 대형 상점에서 판매되었다.[78] 라 포르트 시누아즈(La Porte Chinoise)와 같은 상점들은 일본과 중국 수입품 판매를 전문으로 했다.[78] 특히 라 포르트 시누아즈는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 에두아르 마네, 에드가 드가와 같은 예술가들을 끌어들였으며, 이들은 이러한 판화에서 영감을 얻었다.[79]
2. 4. 영국에서의 자포니즘
1862년 런던 만국 박람회를 통해 영국에서 도자기나 장식품 등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미술계에서는 로세티 서클(화가 로세티를 중심으로 한 라파엘 전파 그룹) 사람들을 중심으로 일본 열풍이 일어났다.[54] 메이지 시대에 일본 곡예사들이 다수 해외에서 공연하였고, 영국에서도 1870년대에 이미 마술과 곡예를 선보이는 흥행이 열렸다. 1873년 빈 만국 박람회 후, 그곳에 전시되었던 건물과 정원이 알렉산드라 팰리스 & 파크Alexandra Palace and Park|알렉산드라 팰리스 & 파크영어로 이전되어 일본 마을(Japanese Village)이라고 불렸다. 1885년 런던 나이츠브리지에 재패니즈 빌리지(일본 마을)라는 일본 물품을 판매하거나 구경거리를 제공하는 오두막이 생겼고, 같은 무렵 사보이 극장에서는 윌리엄 길버트와 아서 설리번의 오페레타 『미카도』가 큰 성공을 거두었다.[55] 리버티 백화점은 일본풍 디자인의 직물과 가구를 판매하기 시작했고, 여성 잡지에서는 일본풍을 도입한 새로운 드레스가 지면을 장식하게 되었다.[56]3. 주요 특징
19세기 중반 만국 박람회(국제 박람회)에 출품된 일본 미술(우키요에, 린파, 공예품 등)은 유럽의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870년 프랑스 미술계에서 자포니즘의 영향이 이미 나타났고[49], 1872년 미술 평론가 필리프 뷔르티는 이러한 유행을 "자포니즘"이라고 칭하며 해설했다.[50] 1876년에는 "japonisme"이라는 단어가 프랑스 사전에 등장했다.[51]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일어난 일본 붐에 대해 프랑스 번역가 루이 파뷔레는 "일본은 거인과 같은 큰 걸음으로 세계에 등장했고, 오늘날 전 세계의 눈이 이 나라에 쏠리고 있다"고 기록했다.[52]
자포니즘은 고흐의 『명소 에도 백경』 모사, 클로드 모네의 「라 자포네즈」, 드가를 비롯한 화가들의 색채 감각에 영향을 미쳤다. 루이 비통의 「다미에」 캔버스나 「모노그램」 캔버스는 고딕 양식, 아르 누보의 영향 외에도 체크 무늬나 가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음악 분야에서는 자코모 푸치니의 『나비 부인』이 자포니즘의 영향을 받았으며, 윌리엄 길버트와 아서 설리번의 오페레타 『미카도』는 런던 나이츠브리지에서 열린 일본 전시회에서 영감을 받았다.
영국 작가 아서 코난 도일은 셜록 홈즈 시리즈 중 하나인 《고명한 의뢰인》(1925년)에서 쇼무 천황 및 쇼소인을 언급했다. 당시 영국에서는 일본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고, 쇼소인은 1946년 일반에 공개되기 전까지 일본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 도일이 일본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고용 외국인으로 도쿄 제국 대학에 초청되어 10년 이상 일본에서 생활한 친구 윌리엄 K. 바턴에게 들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58][59]
3. 1. 우키요에의 영향
우키요에 판화는 서양 미술에 큰 영향을 미친 일본 예술 양식 중 하나였다. 서양 예술가들은 우키요에의 독특한 공간 구성, 평면의 단순화, 색채에 대한 추상적인 접근 방식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을 받은 서양 예술가들의 작품에서는 대각선 구도, 비대칭, 여백의 강조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80][21]

에두아르 마네의 『에밀 졸라의 초상』은 자포니즘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마네의 일본 취향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마네의 아틀리에에서 그려졌으며, 그림 속 일본 그림은 마네의 소장품이다.[57] 네덜란드의 빈센트 반 고흐의 『탕기 영감』도 이와 비슷한 감각으로 제작되었다.
가쓰시카 호쿠사이나 기타가와 우타마로 등 우키요에 화가들의 작품은 피에르 보나르, 마네, 앙리 드 툴루즈-로트레크, 메리 커샛, 에드가 드가,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제임스 맥닐 휘슬러, 클로드 모네, 고흐, 카미유 피사로, 폴 고갱, 구스타프 클림트 등 유럽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판화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유럽에서는 석판화가 주류였지만 목판화는 아니었다. 하지만 일본의 영향을 빼고 로트레크의 석판화 포스터를 논할 수 없다. 목판화 자포니즘 작품으로는 흑백이지만 고갱과 펠릭스 발로통의 작품을 예로 들 수 있다.
영국에 일본 미술을 전파하는 데에는 휘슬러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당시 파리는 일본 물품의 집산지였고, 휘슬러는 파리에 머물면서 훌륭한 일본 미술품 컬렉션을 모았다. 미국에서는 아리타시 출신의 에토 겐지로가 코네티컷주의 코스코브 아트 콜로니에 참가하여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일본화 기법을 전수하면서 미국의 자포니즘 형성에 기여했다.
고흐의 작품 중 일부는 우키요에의 스타일을 모방하거나 우키요에 자체를 모티브로 삼았다. 예를 들어 『탕기 영감』의 배경에는 6개의 우키요에가 그려져 있다. 고흐는 1886년 게이사이 에이센의 우키요에를 파리의 잡지 『파리 일뤼스트레』(''Paris Illustré'')에서 보고, 1887년에 『유녀』를 그렸다. 고흐는 이 시기에 이미 벨기에의 안트베르펜에서 우키요에 판화를 수집하고 있었다.
우키요에는 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림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이 윤곽선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어 입체감이 거의 없다. 이러한 특징은 아르누보에 영향을 주었다. 우키요에의 직선과 곡선을 활용한 표현 방법은 이후 전 세계 모든 분야의 회화와 그래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우키요에에서 차용한 형태와 색채 구성은 현대 미술에서 추상 표현이 성립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 자포니즘은 가구, 의류, 보석 등 모든 공예품의 그래픽 디자인에 일본적인 요소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19세기 중반 사실주의 프랑스 화가 라투르의 《테이블의 구석》과 세기말 프랑스 화가 로트렉의 포스터를 비교해 보면 자포니즘의 영향을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로트렉의 포스터는 당시 서양인들에게는 매우 참신한 표현 방법을 사용한 그림이었다.
로트렉의 그림에는 테이블의 선이 화면을 반으로 가르듯이 비스듬하게 들어가 있다. 자포니즘 이전의 그림에서는 라투르의 그림처럼 수평선이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로트렉 그림의 대담한 대각선 구도는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우키요에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라투르의 그림은 원근법, 음영, 세부 묘사를 통해 입체감을 표현했지만, 로트렉의 그림은 평면의 조합으로 묘사되어 입체감을 포기했다. 인물과 물체의 윤곽을 선으로 표현하는 것 또한 자포니즘 이전 유럽에서는 보기 드문 표현 방법이었다. 로트렉 그림의 대담하고 선명한 원색 사용은 유화와 석판화라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라투르의 그림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자포니즘 이전의 그림에서는 지평선이 화면 중앙 부근에서 하부에 수평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자포니즘 이후에는 지평선이 화면 상부에 그려지거나, 배경 전체가 지면 또는 바닥이 되는 경우가 흔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자포니즘의 영향은 20세기에 들어 유럽의 모든 시각 표현에서 보편화되면서, 자포니즘과 비(非)자포니즘을 구별하는 것이 무의미해졌다.
3. 2. 기타 일본 미술의 영향
우키요에 판화는 서양 미술에 영향을 미친 주요 일본 예술 양식 중 하나였다. 서양 예술가들은 구도 공간의 다양한 활용, 평면의 단순화, 색채에 대한 추상적 접근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러한 양식의 영향을 받은 서양 예술가들의 작품에서는 대각선의 활용, 비대칭, 여백의 강조가 두드러진다.[80]4. 예술가와 자포니즘
19세기 중반 만국 박람회(국제 박람회)를 통해 일본 미술(우키요에, 린파, 공예품 등)이 유럽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872년 미술 평론가 필리프 뷔르티는 이 유행을 "자포니즘"이라 칭했고, 1876년 프랑스 사전에 "japonisme"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51] 19세기 말~20세기 초 일본 붐에 대해 프랑스 번역가 루이 파뷔레는 "일본은 거인과 같은 큰 걸음으로 세계에 등장했고, 오늘날 전 세계의 눈이 이 나라에 쏠리고 있다"고 기록했다.[52]
자포니즘은 빈센트 반 고흐의 『명소 에도 백경』 모작, 클로드 모네의 「라 자포네즈」, 에드가 드가 등의 화가들의 색채 감각에 영향을 미쳤다. 루이 비통의 「다미에」,「모노그램」 캔버스도 가문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에두아르 마네의 『에밀 졸라의 초상』은 자포니즘의 대표적인 작품으로,[57] 빈센트 반 고흐의 『탕기 영감』도 유사한 감각으로 제작되었다.
가쓰시카 호쿠사이, 기타가와 우타마로 등 우키요에 화가들은 피에르 보나르, 마네, 앙리 드 툴루즈-로트레크, 메리 커샛, 에드가 드가,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제임스 맥닐 휘슬러, 클로드 모네, 고흐, 카미유 피사로, 폴 고갱, 구스타프 클림트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영국에 일본 미술을 전파하는 데 휘슬러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국에서는 아리타시 출신 에토 겐지로가 코네티컷주 코스코브 아트 콜로니에서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일본화 기법을 전수하여 '''자포니즘'''을 일으켰다.
우키요에는 윤곽선으로 구분된 공간과 그림, 입체감이 거의 없는 특징을 가지며, 이는 아르누보에 영향을 주었다. 우키요에의 직선, 곡선 표현은 회화, 그래픽뿐 아니라 가구, 의류, 보석 등 모든 공예품 디자인에 일본적 요소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음악에서는 자코모 푸치니의 『나비 부인』, 윌리엄 길버트와 아서 설리번의 오페레타 『미카도』가 자포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19세기 중반 사실주의 화가 라투르의 《테이블의 구석》과 로트렉의 포스터를 비교하면 자포니즘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로트렉 그림은 테이블 선이 화면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대담한 구도로,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우키요에에서 영감을 받았다. 라투르 그림은 수평 구도가 일반적이었다. 로트렉은 원근법, 음영 대신 평면적 묘사, 선명한 윤곽선, 대담한 원색으로 입체감을 표현하지 않았는데, 이는 자포니즘 이전 유럽 회화에서 드문 표현이었다.
아서 코난 도일은 셜록 홈즈 시리즈 《고명한 의뢰인》(1925년)에서 쇼무 천황, 쇼소인을 언급했다. 당시 영국에서 일본은 잘 알려지지 않았고, 쇼소인은 1946년 일반 공개 전까지 일본에서도 유명하지 않았다. 도일은 윌리엄 K. 바턴에게서 일본에 대한 지식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바턴은 위생 공학 교수로 도쿄 제국 대학에 초청된 고용 외국인이었다.[58][59]
4. 1. 회화
빈센트 반 고흐는 펠릭스 레가메가 ''더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와 ''르 몽드 일뤼스트레''에 게재한 삽화를 보고 일본 판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22] 반 고흐는 1885년부터 파리의 작은 상점에서 우키요에 판화를 수집했고, 1887년에는 파리에서 일본 판화 전시회를 열었다.[22]반 고흐의 ''탕기 영감의 초상''(1887)은 히로시게와 구니사다 등 일본 판화가들의 작품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23] 반 고흐는 일본 목판화의 다채로운 색채에 영감을 받아 자신의 작품에도 생동감을 불어넣었다.[24]
알프레드 스테방스는 1862년 런던과 1867년 파리 만국 박람회 이후 일본 미술을 수집했다.[27] 1860년대 중반부터 자포니즘은 스테방스 그림의 기본적인 요소가 되었으며 그의 ''파리의 일본 여인''(1872)과 ''분홍색 옷을 입은 여인''(1866)과 같이 기모노를 입은 젊은 여성들의 초상화를 여러 점 그렸으며, 일본적인 요소가 그의 다른 많은 그림에 등장한다.[28]
에드가 드가는 1860년대에 일본 판화를 수집하기 시작했고,[29] 1875년경부터 자신의 판화에 자포니즘을 도입했다.[29] 드가는 호쿠사이 만화등을 보았으며,[18] 호쿠사이, 우타마로, 스케노부의 영향을 받아 여성의 일상생활과 독특한 자세 배치를 묘사했다.[30]

드가의 판화 《루브르 박물관의 마리 카사트: 에트루리아 미술관》(1879-80)에서는 두 인물을 사용하고 선을 사용하여 깊이를 만드는 일본 판화의 구도를 사용했다.[31]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는 19세기 후반 사실주의를 거부하고 일본 미학의 단순함과 기술성에서 영향을 받았다.[36]
에두아르 마네의 『에밀 졸라의 초상』은 자포니슴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여겨진다.[57]
가쓰시카 호쿠사이나 기타가와 우타마로를 포함한 우키요에 화가들의 작품은 피에르 보나르, 마네, 앙리 드 툴루즈-로트레크, 메리 커샛, 에드가 드가,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제임스 맥닐 휘슬러, 클로드 모네, 고흐, 카미유 피사로, 폴 고갱, 구스타프 클림트 등에 영향을 주었다.
로트렉의 포스터 그림은 히로시게의 우키요에에서 볼 수 있는 구도가 영감을 준 것으로,[57] 대담하게 비스듬한 선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며, 평면의 조합으로 묘사되어 입체감 표현은 전혀 포기되어 있고, 인물이나 물체의 윤곽이 선으로 표현되는 것도 자포니슴 이전의 유럽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표현 방법이었다.
화가 | 출생 | 사망 | 국적 | 화풍 |
---|---|---|---|---|
알프레드 스테방스 | 1823년 | 1906년 | 벨기에 | 사실주의, 풍속화 |
제임스 티소 | 1836년 | 1902년 | 프랑스 | 풍속화, 사실주의 |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 | 1834년 | 1903년 | 미국 | 토널리즘, 사실주의, 인상주의 |
에두아르 마네 | 1832년 | 1883년 | 프랑스 | 사실주의, 인상주의 |
클로드 모네 | 1840년 | 1926년 | 프랑스 | 인상주의 |
빈센트 반 고흐 | 1853년 | 1890년 | 네덜란드 | 후기 인상주의 |
에드가 드가 | 1834년 | 1917년 | 프랑스 | 인상주의 |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 1841년 | 1919년 | 프랑스 | 인상주의 |
카미유 피사로 | 1830년 | 1903년 | 덴마크-프랑스 |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
폴 고갱 | 1848년 | 1903년 | 프랑스 | 후기 인상주의, 원시주의 |
모티머 멘페스 | 1855년 | 1938년 | 호주 | 심미주의 |
앙리 드 툴루즈-로트레크 | 1864년 | 1901년 | 프랑스 | 후기 인상주의, 아르 누보 |
메리 커샛 | 1844년 | 1926년 | 미국 | 인상주의 |
요르요스 헨드리크 브레이트너 | 1857년 | 1923년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 인상주의 |
버사 럼 | 1869년 | 1954년 | 미국 | 일본풍 판화 |
윌리엄 브래들리 | 1801년 | 1857년 | 영국 | 초상화 |
오브리 비어즐리 | 1872년 | 1898년 | 영국 | 아르 누보, 심미주의 |
아서 웨슬리 다우 | 1857년 | 1922년 | 미국 | 미술 공예 부흥, 일본풍 판화 |
구스타브 레오나르 드 젱 | 1829년 | 1893년 | 벨기에 | 사회적 사실주의, 사실주의, 오리엔탈리즘 |
알폰스 무하 | 1860년 | 1939년 | 체코 | 아르 누보 |
구스타프 클림트 | 1862년 | 1918년 | 오스트리아 | 아르 누보, 상징주의 |
피에르 보나르 | 1867년 | 1947년 | 프랑스 | 후기 인상주의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1867년 | 1959년 | 미국 | 프레리 양식 |
찰스 레니 매킨토시 | 1868년 | 1928년 | 스코틀랜드 | 상징주의, 미술 공예, 아르 누보, 글래스고 양식 |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 | 1848년 | 1933년 | 미국 | 보석 및 유리 디자이너 |
헬렌 하이드 | 1868년 | 1919년 | 미국 | 일본풍 판화 |
조르주 페르디낭 비고 | 1860년 | 1927년 | 프랑스 | 만화 |
4. 2. 판화
가쓰시카 호쿠사이나 기타가와 우타마로 등 우키요에 화가들의 작품은 유럽, 특히 판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럽에서는 석판화가 주류였지만, 로트레크의 석판화 포스터는 일본의 영향을 빼놓고 논할 수 없다. 목판화를 이용한 자포니즘 작품으로는 폴 고갱과 펠릭스 발로통의 흑백 작품을 들 수 있다.19세기 중반 프랑스 사실주의 화가 라투르의 《테이블의 구석》과 로트렉의 포스터를 비교하면 자포니즘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로트렉의 그림은 테이블의 선이 화면을 비스듬하게 가로지르는 대담한 구도를 보여주는데, 이는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우키요에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반면 라투르의 그림은 수평적인 구도가 일반적이었다.
또한 로트렉의 그림은 원근법과 음영 대신 평면적인 묘사와 선명한 윤곽선, 대담한 원색 사용으로 입체감을 표현하지 않았다. 이는 자포니즘 이전 유럽 회화에서는 보기 드문 표현 방식이었다.
4. 3. 건축 및 정원

일본 정원의 미학은 조시아 콘더의 저서 ''일본의 조경''(1893, Kelly & Walsh)을 통해 영어권에 소개되었으며, 이는 서양에 최초의 일본 정원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912년에 두 번째 판이 출판되었다.[98] 콘더의 원칙은 때때로 따르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받았다.[99]
타사 (사부로) 에이다영어는 여러 영향력 있는 정원을 조성했는데, 1910년 런던에서 열린 영일 박람회를 위해 두 곳, 윌리엄 워커, 초대 웨이버트리 남작을 위해 4년에 걸쳐 한 곳을 건설했다.[100] 후자는 현재 아일랜드 국립 종마 농장에서 볼 수 있다.[101]
새뮤얼 뉴섬의 저서 ''일본 정원 건설''(1939)은 서양에서 알프스 지역의 돌밭을 모방하여 고산 식물을 재배하려는 19세기 중반의 열망에서 비롯된 암석 정원 건설에 있어 일본 미학을 수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정원사 협회에 따르면, 일본 조경사 세이몬 쿠스모토는 영국에서 약 200개의 정원 개발에 참여했다. 1937년에는 첼시 플라워 쇼에서 암석 정원을 전시했으며, 보그너 레지스의 번그리브 부동산, 허트포드셔의 코터드에 있는 일본 정원, 런던의 뒤 케인 코트 안뜰에서 작업했다.
인상주의 화가 클로드 모네는 수련 연못 위의 다리와 같은 일본적 요소를 따라 지베르니의 정원 일부를 조성했으며, 이를 여러 차례 그렸다. 이 연작에서 그는 다리나 수련과 같은 몇몇 선택된 지점에만 세부 사항을 묘사함으로써, 그가 대규모 컬렉션을 가지고 있던 우키요에 판화에서 발견되는 전통적인 일본 시각적 기법의 영향을 받았다.[102][103][104] 그는 또한 더욱 이국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 많은 수의 일본 고유종을 심었다.
4. 4. 공연 예술
1876년, 잉글랜드에서 아시아를 소재로 한 최초의 인기 있는 무대 작품인 희극 오페라 《코시키》(원제 《미카도》였으나 일본의 항의로 개명됨)가 작곡되었다.[96] 1885년에는 길버트와 설리번의 《미카도》가 초연되었는데, 이 작품은 유럽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어 2년 안에 17개 극단이 9,000회 이상 공연하였다.[97] 1887년 독일어로 번역된 《미카도》는 1890년대 내내 독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연극으로 남았다.
《미카도》의 뒤를 이어 유럽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일본 관련 연극은 시드니 존스의 오페라 《게이샤》(1896년)였다. 이 작품은 일본을 대표하는 전형적인 인물에 게이샤를 추가하였다. 게이샤라는 인물상은 독일과 서양 전역에서 일본을 의미하는 '대상물' 중 하나가 되었다. 1904년부터 1918년까지 유럽에서는 게이샤 연극이 붐을 이루었는데,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 부인》이었다. 1900년, 푸치니는 데이비드 벨라스코의 동명 연극을 보고 큰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18세기 일본의 가부키 극장에서 고안된 회전 무대는 자포니즘 열풍의 영향으로 1896년 뮌헨의 레지덴츠 극장에 도입되어 서양 연극에 소개되었다. 독일 연극에 대한 일본의 영향은 처음에는 무대 디자인에서 나타났다. 카를 라우텐슐라거는 1896년에 가부키의 회전 무대를 채택했고, 10년 후 막스 라인하르트는 프랑크 베데킨트의 《프륄링스 에르바헨》(Frühlings Erwachen) 초연에서 이를 사용했다. 곧 이 회전 무대는 베를린에서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다.
유럽인들은 일본 여행이나 문헌을 통해서, 또는 유럽을 순회하는 일본 극단을 통해 가부키를 경험했다. 1893년 가와카미 오토지로와 그의 배우들이 파리에 도착했고, 1900년에 다시 방문했으며 1902년에는 베를린에서 공연했다. 가와카미의 극단은 《게사》와 《쇼군》이라는 두 작품을 공연했는데, 둘 다 서양화되어 음악 없이 공연되었고 대부분의 대사가 생략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공연들은 무언극과 춤에 가까워졌다. 극작가들과 평론가들은 그들이 본 것을 '연극의 재연극화'로 빠르게 받아들였다. 이러한 연극의 배우들 중에는 가와카미 사다얏코가 있었는데, 그는 유럽 최초의 일본인 스타로서 로이 풀러와 이사도라 덩컨과 같은 현대 무용의 선구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00년에 빅토리아 여왕 앞에서 공연했으며, 유럽의 스타로서의 지위를 누렸다.[96][97]
5. 한국과 자포니즘
한국에서 자포니즘은 원문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다만, 자포니즘은 우키요에를 비롯한 일본 미술이 서구권에 영향을 준 현상을 지칭하며, 에두아르 마네의 『에밀 졸라의 초상』이나 빈센트 반 고흐의 『탕기 영감』과 같은 작품들이 그 예시이다.[57]
5. 1. 한국의 일본 미술 수용
한국에서 일본 미술, 특히 우키요에와 민화가 어떻게 수용되고 재해석되었는지는 원문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가쓰시카 호쿠사이나 기타가와 우타마로 등 우키요에 화가들의 작품은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에두아르 마네의 『에밀 졸라의 초상』은 자포니즘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여겨지며, 네덜란드의 빈센트 반 고흐의 『탕기 영감』도 이와 유사한 감각으로 제작되었다.[57]
6. 영향 및 유산
1872년 미술 평론가 필리프 뷔르티가 1870년 프랑스 미술계에서 이미 뚜렷했던 자포니즘의 영향[49]을 "자포니즘"이라 칭하며 해설했고,[50] 1876년에는 "japonisme"이라는 단어가 프랑스 사전에 등장했다.[51]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일어난 일본 붐에 대해 프랑스 번역가 루이 파뷔레는 "일본은 거인과 같은 큰 걸음으로 세계에 등장했고, 오늘날 전 세계의 눈이 이 나라에 쏠리고 있다"고 기록했다.[52]
자포니즘은 고흐가 명소 에도 백경을 모사하거나, 클로드 모네의 「라 자포네즈」, 드가를 비롯한 화가들의 색채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등 화가를 비롯한 예술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현재도 제조, 판매되고 있는 프랑스 가방 브랜드 루이 비통의 「다미에」 캔버스나 「모노그램」 캔버스도, 당시의 고딕 취미, 아르 누보의 영향 외에 체크 무늬나 가문의 영향도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7. 박물관
미국에서는 일본 미술에 대한 관심이 수집가들과 박물관으로 하여금 현재까지도 중요한 컬렉션을 만들도록 하였고, 이는 여러 세대의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심지는 아시아 미술의 선구적인 수집가였던 이저벨라 스튜어트 가드너로 인해 보스턴이었을 것이다.[105] 그 결과, 보스턴 미술관은 현재 일본 외 지역에서 가장 훌륭한 일본 미술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06] 프리어 미술관과 아서 M. 새클러 갤러리는 미국 최대의 아시아 미술 연구 도서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곳에서는 일본 미술과 함께 휘슬러의 일본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8. 갤러리







9. 참고 문헌
- 캐린 브로이어 (2010). 《자포네스크: 인상주의 시대의 일본 판화》. 뉴욕: 프레스텔 출판사.
- 필립 데니스 케이트; 마틴 아이델버그; 윌리엄 R. 존스턴; 제럴드 니덤; 가브리엘 P. 웨이스버그 (1975). 《자포니즘: 프랑스 미술에 미친 일본의 영향 1854–1910》. 켄트 주립대학교 출판사.
- 조 얼 (1999). 《메이지 시대의 화려함: 제국의 일본 보물: 칼릴리 컬렉션의 걸작》. 세인트피터스버그, 플로리다: 브로튼 인터내셔널. ISBN 1-874780-13-7. OCLC 42476594.
- 그레고리 어빈, 편집. (2013). 《자포니즘과 현대 미술 운동의 부상: 메이지 시대의 예술: 칼릴리 컬렉션》. 뉴욕: 템스 & 허드슨. ISBN 978-0-500-23913-1. OCLC 853452453.
- 라이오넬 램본 (2005). 《자포니즘: 일본과 서양 간의 문화적 교차》. 뉴욕: 파이돈.
- 아야코 오노 (2003). 《영국의 자포니즘: 휘슬러, 멘페스, 헨리, 호넬, 그리고 19세기 일본》. 뉴욕: 루틀리지 커존.
- 데이비드 A. 슬로슨 (1987). 《일본 정원 예술의 비밀 가르침》. 뉴욕/도쿄: 고단샤.
- 벨린다 톰슨 (2014). 〈반 고흐, 고갱, 베르나르, 앙크탱의 작품 속 자포니즘〉. 《모네, 고갱, 반 고흐… 일본의 영감》. 폴크방/슈타이들.
- Breuer, Karin (2010). 《Japanesque: The Japanese Print in the Era of Impressionism》. New York: Prestel Publishing.
- Cate, Phillip Dennis; Eidelberg, Martin; Johnston, William R.; Needham, Gerald; Weisberg, Gabriel P. (1975). 《Japonisme: Japanese Influence on French Art 1854–1910》. Kent State University Press.
- Earle, Joe (1999). 《Splendors of Meiji: treasures of imperial Japan: masterpieces from the Khalili Collection》. St. Petersburg, Fla.: Broughton International. ISBN 1-874780-13-7. OCLC 42476594.
- Irvine, Gregory, 편집. (2013). 《Japonisme and the Rise of the Modern Art Movement: The Arts of the Meiji Period: The Khalili Collection》. New York: Thames & Hudson. ISBN 978-0-500-23913-1. OCLC 853452453.
- Lambourne, Lionel (2005). 《Japonisme: Cultural Crossings Between Japan and the West》. New York: Phaidon.
- Ono, Ayako (2003). 《Japonisme in Britain: Whistler, Menpes, Henry, Hornel and nineteenth-century Japan》. New York: Routledge Curzon.
- Slawson, David A. (1987). 《Secret Teachings in the Art of Japanese Gardens》. New York/Tokyo: Kodansha.
- Thomson, Belinda (2014). 〈Japonisme in the Works of Van Gogh, Gauguin, Bernard and Anquetin〉. 《Monet, Gauguin, Van Gogh… Japanese Inspirations》. Folkwang/Steidl.
참조
[1]
웹사이트
Japonism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2013-06-07
[2]
웹사이트
Commodore Perry and Japan (1853–1854) {{!}} Asia for Educators {{!}} Columbia University
http://afe.easia.col[...]
2020-02-02
[3]
서적
[4]
웹사이트
Japanese Influence On Western Architecture Part 2: The Early Craftsmen Movement
https://nakamotofore[...]
Nakamoto Forestry
2019-05-28
[5]
간행물
Ukiyo-e Print History
[6]
서적
[7]
서적
[8]
문서
Introduction
Museum Folkwang, Essen
[9]
서적
[10]
서적
Japonisme: the Japanese influence on Western art since 1858
https://www.worldcat[...]
Thames and Hudson
2007
[11]
서적
[12]
간행물
Japanese Porcelain in the Philippines
https://www.jstor.or[...]
2013
[13]
문서
Exchange of Influences in the Fine Arts between Japan and Europe
Japonisme in Art: An International Symposium
[14]
웹사이트
Marie Antoinette and Japanese lacquer.
http://vogue.com/art[...]
2018-01-20
[15]
간행물
A Study of the Methods and Operations of Japanning Practice
https://books.google[...]
1920-03-11
[16]
서적
[17]
뉴스
Le japonisme en France dans la seconde moitié du XIXe siècle à la faveur de la diffusion de l'estampe japonaise
http://www.persee.fr[...]
Cahiers de l'Association internationale des études francaises
1961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문서
Stevens ging als geen ander mee met het toentertijd sterk in mode zijnde Japonisme.
[26]
문서
Alfred (Emile-Léopold) Stevens
Oxford Art Online
2013-12-27
[27]
웹사이트
Alfred Stevens
https://www.19thc-ar[...]
Association of Historians of Nineteenth-Century Art
2020-09-10
[28]
웹사이트
The Psyché (My Studio), ca. 1871
https://artmuseum.pr[...]
Princeton University Art Museum
2020-08-20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기타
[37]
서적
Samurai and supermen : national socialist views of Japan
https://www.worldcat[...]
P. Lang
2005
[38]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https://www.jsme.or.[...]
2020-12-28
[39]
기타
[40]
기타
[41]
서적
Britain and Japan: Biographical Portraits
Global Oriental
2010
[42]
웹사이트
Japanese Garden
https://irishnationa[...]
2017-05-19
[43]
웹사이트
Giverny {{!}} Collection of japanese prints of Claude Monet
https://www.giverny.[...]
2013-11-30
[44]
문서
Genevieve Aitken, Marianne Delafond. ''La collection d'estampes Japonaises de Claude Monet''. La Bibliotheque des Arts. 2003.
[45]
웹사이트
The japanese prints
http://fondation-mon[...]
2020-05-26
[46]
서적
Journeys east: Isabella Stewart Gardner and Asia
Isabella Stewart Gardner Museum
2009
[47]
뉴스
Art of Asia
http://www.mfa.org/c[...]
2010-10-15
[48]
웹사이트
George Hendrik Breitner – ''Girl in White Kimono''
http://www.rijksmuse[...]
"[[Rijksmuseum]], Amsterdam"
[49]
서적
Rethinking Japan. 1. Literature, visual arts &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50]
간행물
Aspects of Japonisme
Cleveland Museum of Art
1975-04
[51]
기타
フランスにおけるジャポニスムのある側面について
[52]
서적
『キプリングの日本発見』
중앙공론사
2002
[53]
기타
[54]
서적
『薩摩と西欧文明: ザビエルそして洋学、留学生』
https://books.google[...]
ザビエル渡来450周年記念シンポジウム委員会図書出版 南方新社
2000
[55]
서적
『イギリス文化入門』
https://books.google[...]
삼수사
[56]
저널
19 世紀末イギリスの日本趣味 -ティー・ガウンと子どもファンシー・ドレスを中心に-
https://doi.org/10.1[...]
2010
[57]
기타
[58]
기타
聖武天皇と奈良の正倉院
青弓社
2010
[59]
기타
聖武天皇(と正倉院)
東京堂出版
2001
[60]
웹인용
Japonism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2013-06-07
[61]
웹인용
Commodore Perry and Japan (1853–1854) {{!}} Asia for Educators {{!}} Columbia University
http://afe.easia.col[...]
2020-02-02
[62]
기타
[63]
웹사이트
Japanese Influence On Western Architecture Part 2: The Early Craftsmen Movement
https://nakamotofore[...]
Nakamoto Forestry
2019-05-28
[64]
저널
Ukiyo-e Print History
[65]
기타
[66]
기타
[67]
기타
[68]
기타
[69]
서적 인용
Japonisme: the Japanese influence on Western art since 1858
https://www.worldcat[...]
Thames and Hudson
2007
[70]
기타
[71]
저널
Japanese Porcelain in the Philippines
https://www.jstor.or[...]
2013
[72]
간행물
Exchange of Influences in the Fine Arts between Japan and Europe
1980
[73]
웹인용
Marie Antoinette and Japanese lacquer.
http://vogue.com/art[...]
2018-01-20
[74]
저널
A Study of the Methods and Operations of Japanning Practice
https://books.google[...]
1920-03-11
[75]
문서
1975
[76]
간행물
"Le japonisme en France dans la seconde moitié du XIXe siècle à la faveur de la diffusion de l'estampe japonaise"
http://www.persee.fr[...]
1961
[77]
문서
2010
[78]
문서
1975
[79]
문서
1975
[80]
문서
2010
[81]
문서
2014
[82]
문서
2014
[83]
문서
2014
[84]
문서
Stevens ging als geen ander mee met het toentertijd sterk in mode zijnde Japonisme.
[85]
문서
Alfred (Emile-Léopold) Stevens
[86]
웹인용
Alfred Stevens
https://www.19thc-ar[...]
Association of Historians of Nineteenth-Century Art
2020-09-10
[87]
웹인용
The Psyché (My Studio), ca. 1871
https://artmuseum.pr[...]
Princeton University Art Museum
2020-08-20
[88]
문서
1975
[89]
문서
1975
[90]
문서
2010
[91]
문서
2010
[92]
문서
2003
[93]
문서
2003
[94]
문서
2003
[95]
문서
2003
[96]
서적
Samurai and supermen : national socialist views of Japan
https://www.worldcat[...]
P. Lang
2005
[97]
웹인용
International Conference
https://www.jsme.or.[...]
2020-12-28
[98]
문서
1987
[99]
문서
1987
[100]
서적
Britain and Japan: Biographical Portraits
Global Oriental
2010
[101]
웹인용
Japanese Garden
https://irishnationa[...]
2017-05-19
[102]
웹인용
Giverny {{!}} Collection of japanese prints of Claude Monet
https://www.giverny.[...]
2013-11-30
[103]
서적
La collection d'estampes Japonaises de Claude Monet
La Bibliotheque des Arts
2003
[104]
웹인용
The japanese prints
http://fondation-mon[...]
[105]
서적
Journeys east: Isabella Stewart Gardner and Asia
https://archive.org/[...]
Isabella Stewart Gardner Museum
2009
[106]
뉴스
Art of Asia
http://www.mfa.org/c[...]
2017-09-27
[107]
웹인용
George Hendrik Breitner – ''Girl in White Kimono''
https://archive.toda[...]
Rijksmuseum, Amsterdam
2012-05-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