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터 궤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터 궤간은 철도 궤간의 한 종류로, 궤도의 폭이 1미터(1000mm)인 것을 의미한다. 표준궤보다 곡선 반경을 작게 할 수 있어 건설 비용이 저렴하고, 전 세계적으로 95,000km 이상의 노선에서 사용되고 있다. 1860년대 노르웨이에서 처음 건설되었으며, 프랑스에서 미터법을 기준으로 궤간이 개발되어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다. 현재는 스위스, 스페인 북부, 많은 도시의 노면 전차에서 사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삼척 레일바이크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궤간 - 광궤
광궤는 표준궤보다 넓은 궤간을 가진 철도 시스템으로, 고속 운행이나 대형 차량 운용에 사용되었으나, 표준궤와의 호환성 문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표준궤로 전환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주요 철도망의 표준으로 사용되며 고속철도에도 활용되지만 표준궤로의 전환 또는 혼합 궤간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 궤간 - 협궤
협궤 철도는 표준궤보다 좁은 궤간의 철도로, 급곡선에 유리하고 건설비가 저렴하여 과거 광산, 임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운영된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미터 궤간 | |
|---|---|
| 개요 | |
| 궤간 | 1,000 mm (3 ft 3 3⁄8 in) |
| 설명 | 1,000 mm (3 ft 3 3⁄8 in) 사이의 간격을 가진 궤도 |
| 사용 현황 | |
| 국가 | 여러 국가에서 사용 |
| 총 연장 | 약 95,000 km |
| 상세 정보 | |
| 관련 궤간 | 피트 (미터 궤) 케이프 궤 표준궤 러시아 궤 |
| 역사적 맥락 | 건설 비용 절감 및 급경사 극복의 이점 때문에 산악 지형이나 재정적 제약이 있는 지역에서 널리 사용됨. |
| 장점 | 건설 비용 절감 급경사 극복 용이 좁은 공간 활용 |
| 단점 | 고속 운행에 부적합 수송량 제한 표준궤와의 환승 필요 |
| 주요 사용 국가 및 노선 | |
| 아시아 | 일본: 일본국유철도의 지방 노선, 사철 노선 등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철도의 일부 노선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철도의 일부 노선 태국: 태국 철도의 대부분 노선 베트남: 베트남 철도의 대부분 노선 미얀마: 미얀마 철도의 대부분 노선 필리핀: 필리핀 국철의 일부 노선 |
| 유럽 | 스페인: 페로카릴레스 데 라 헤네랄리타트 발렌시아나 등 포르투갈: 포르투갈 철도의 일부 노선 스위스: 레티셰 철도 등 독일: 하르츠 협궤 철도 등 그리스: 필리온 철도 등 |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부 노선 탄자니아: 탄자니아 철도 등 케냐: 케냐 철도 등 |
| 남아메리카 | 아르헨티나: 일부 노선 칠레: 일부 노선 브라질: 일부 노선 |
| 참고 궤간 | |
| 기타 궤간 | (610 mm / 2 ft) 궤간 (762 mm / 2 ft 6 in) 궤간 (914 mm / 3 ft) 궤간 (1,067 mm / 3 ft 6 in) 궤간 (1,435 mm / 4 ft 8 1⁄2 in) 표준궤 (1,524 mm / 5 ft) 러시아 궤간 |
2. 특성
표준궤에 비해 곡률 반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건설 비용이 저렴하다. 차량 성능은 케이프 궤간 철도와 비슷하며, 더 작은 차량과 좁은 궤간으로 인한 불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표준궤에 비해서 허용 최고 속도와 축중이 낮으나, 일부 협궤 차량은 표준궤 차량만큼의 성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
현대 협궤 철도 노선은 186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협궤의 일종인 1067mm(3피트 6인치) 궤간의 철도는 기술자였던 칼 아브라함 필이 설계하여 노르웨이에서 처음 건설되었다. 그 궤간의 철도는 영국의 광산 회사의 도움을 받아 전 세계의 많은 국가로 확산되었다. 예를 들어, 스페인에서는 1867년에 우엘바의 산후안델푸에르토에 도달하는 철도가 1067mm 궤간으로 개통되었다. 이후, 아프리카 (남아프리카에서 수단까지, 남아프리카에서는 후에 케이프 게이지라고 불리게 됨) 및 동남아시아에 존재했던 영국의 식민지에서도 그 궤간에 의한 철도 건설이 진행되었고, 그 지역의 주요 궤간이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95,000km의 철도가 미터 궤간으로 부설되어 있다.[13] 대한민국에서는 삼척 레일바이크가 이 궤간을 사용한다. 일부 통계에서는 1067mm와 같은 유사한 궤간을 미터 궤간에 포함하기도 한다.[10]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미터 궤간 철도를 운영하고 있다.
3. 역사
한편 프랑스에서는 협궤 철도용 궤간으로 야드 파운드법이 아닌 미터법을 기준으로 한 1000mm(=1m) 궤간이 개발되어 1880년에 법률로 확립되었다[6] . 이로 인해 아프리카 중앙부(세네갈에서 코트디부아르까지), 마다가스카르,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식민지에서는 1000mm 궤간에 의한 철도 건설이 진행되었다. 독일은 선행한 프랑스의 예를 따라 현재의 카메룬과 탄자니아에 걸쳐 있는 철도를 미터 게이지로 건설했다.
1853년에 건설된 카르카젠트와 알시라 간을 잇는 14.7km는 스페인에서 처음으로 미터 게이지를 채택한 철도가 되었다[7] . 1880년대 후반에는 협궤 철도는 1000mm 또는 1067mm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 망설였다[8] . 1889년 말까지 이미 600km가 넘는 협궤 철도가 운행되고 있었고 (거의 모두가 미터 게이지), 스페인의 철도 네트워크는 1,300km를 넘어섰다[9] .
유럽에서는 현재 광범위한 미터 게이지에 의한 철도 네트워크가 스위스, 스페인 북부 및 많은 도시의 노면 전차에서 운행되고 있지만, 프랑스, 독일, 벨기에에서는 대부분의 노선이 20세기 중반에 폐지되었다.
4. 사용
이러한 유사한 궤간까지 합하면, 20세기 말 시점에서 미터 궤간 노선의 길이는 224,000km로,[11] 세계 모든 철도 시스템 전체 길이의 약 20%에 해당한다.
5. 국가별 도입 사례
국가/영토 철도 비고 아르헨티나 헤네랄 마누엘 벨그라노 철도 11080km 볼리비아 국가 철도망 3600km 브라질 국가 철도망 23489km, 대부분 화물, 일부 여객/화물 노선 (포르탈레자 지하철, 테레시나 지하철 포함) 칠레 칠레 국영 철도, 페로노르, 안토파가스타에서 볼리비아 철도, 아리카-라파스 철도 2923km 베냉 국가 철도망 578km 부르키나파소 아비장-와가두구 철도 카메룬 국가 철도망 1104km 콩고 민주 공화국 여러 미터 궤간 철도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와가두구 철도 케냐 케냐 철도 (케냐 철도 공사 운영) 나이로비 표준 궤도역-시내 중심가 연결 마다가스카르 국가 철도망 (마다레일 운영) 875km, 두 개의 연결되지 않은 시스템 말리 다카르-나이저 철도 641km 모로코 구 스페인령 모로코 산업 철도 세네갈 다카르-나이저 철도 1287km 탄자니아 탄자니아 철도 공사 운영 철도 약 2600km 토고 국가 철도망 568km 튀니지 국가 철도망 1674km (471km 표준 궤도와 함께 사용) 우간다 우간다 철도 (우간다 철도 공사 운영) 말라바-캄팔라, 말라바-토로로, 토로로-굴루-파크와치 연결 (일부 운행/재건 중) 덴마크 지역 철도 일부만 남음, 오르후스 트램 (폐쇄) 이집트 카이로 트램 운영 중단 파키스탄 미르푸르 카스–나와브샤 철도, 하이데라바드–코크라파르 지선 일부 폐지, 일부 광궤로 전환
이 외에도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의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의 미터 궤간 철도가 운영되거나 과거에 운영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각 대륙별 하위 섹션을 참조할 수 있다.
5. 1. 아시아
5. 2. 유럽
5. 3. 아메리카
아르헨티나에서는 헤네랄 마누엘 벨그라노 철도가 11080km의 미터 궤간을 운영하고 있다.[2] 볼리비아는 3600km의 국가 철도망을 갖추고 있다.[2] 브라질은 23489km의 미터 궤간 철도를 운영하는데, 대부분 화물 철도이며, E.F. 비토리아-미나스 여객/화물 노선 및 R.R.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포르탈레자 지하철과 테레시나 지하철도 미터 궤간을 사용한다.[2] 칠레에서는 칠레 국영 철도(Empresa de los Ferrocarriles del Estado, 페로노르), 안토파가스타에서 볼리비아 철도, 아리카-라파스 철도 등에서 총 2923km의 미터 궤간 철도를 운영하고 있다.[2]
미국에서는 과거에 미터 궤간 철도가 존재했다. 시에라 럼버 컴퍼니 철도는 1881년 캘리포니아주 라이온스빌에서 레드우드 숲으로 건설된 미터 궤간 철도로, 증기 기관차 3대를 사용했고 1907년까지 운영되었다.[5] 현재는 식스 플래그스 매직 마운틴의 혼다 익스프레스와 캘리포니아의 디즈니 캘리포니아 어드벤처 테마파크의 레드카 트롤리에서 미터 궤간을 사용하고 있다.
5. 4. 아프리카
베냉에서는 국가 철도망으로 578km를 운영하고 있다.[1]
부르키나파소에서는 아비장-와가두구 철도가 운행 중이다.[1]
카메룬에서는 1104km의 미터 궤간 철도가 있다.[1]
콩고 민주 공화국에는 여러 미터 궤간 철도가 있다.[1]
코트디부아르에서는 아비장-와가두구 철도가 운행 중이다.[1]
케냐에서는 케냐 철도 공사가 운영하는 케냐 철도가 있으며, 나이로비 표준 궤도역에서 시내 중심가까지 미터 궤간으로 연결되어 있다.[1]
마다가스카르에서는 875km의 미터 궤간 철도가 있으며, 마다레일에서 운영하는 두 개의 연결되지 않은 시스템이 있다.[1]
말리에서는 641km의 다카르-나이저 철도가 있다.[1]
모로코에는 구 스페인령 모로코의 여러 산업 철도가 있었다.[1]
세네갈에서는 1287km의 다카르-나이저 철도가 있다.[1]
탄자니아에서는 탄자니아 철도 공사가 약 2600km의 미터 궤간 철도를 운영하고 있다. (궤간 분리 TAZARA 철도)[1]
토고에는 568km의 미터 궤간 철도가 있다.[1]
튀니지에서는 1674km의 미터 궤간 철도가 471km의 표준 궤도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1]
우간다에서는 우간다 철도 공사가 운영하는 우간다 철도가 있으며, 말라바에서 캄팔라 시내 중심가까지, 말라바에서 토로로까지, 토로로에서 굴루를 거쳐 파크와치까지 미터 궤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중 일부 구간은 운행 중이거나 재건 중이다.[1]
5. 5. 오세아니아
뉴질랜드에서는 웰링턴 케이블카가 운행 중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Complete information on Railway Gauges
http://www.preservea[...]
2017-04-30
[2]
간행물
Los ferrocarriles de uso público en Puerto Rico (1870-1990)
https://revistas.ucm[...]
1994
[3]
웹사이트
Contexto histórico e inventario del ferrocarril en Puerto Rico, 1850-1953 - Primera parte: Trasfondo histórico
https://redescubrien[...]
[4]
간행물
Conservando una Romántica Tradición
http://ferrocarriles[...]
1972
[5]
웹사이트
The Sierra Lumber Company
http://www.pacificng[...]
Pacific Narrow Gauge
[6]
논문
Ferro-carriles de vía ancha y de vía estrecha (Capítulo V)
2020-03-27
[7]
웹사이트
Cronología Básica del Ferrocarril Español de Vía Ancha
http://www.docutren.[...]
2020-03-27
[8]
웹사이트
Ancho más conveniente para los ferrocarriles de interés local
http://ropdigital.ci[...]
2020-03-27
[9]
웹사이트
Situación de los ferrocarriles de vía estrecha en España
http://ropdigital.ci[...]
2020-03-27
[10]
논문
Transmondia. La revue de tous les transports
[11]
논문
Condicionantes Legales y Técnicos del Ferrocarril de Vía Estrecha a lo largo de su Historia en España
http://www.docutren.[...]
Centro de Innovación del Transporte (CENIT), Barcelona
2020-03-26
[12]
웹사이트
The Sierra Lumber Company
http://www.pacificng[...]
Pacific Narrow Gauge
2020-05-20
[13]
웹인용
Forum 1520
https://web.archive.[...]
2008-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