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크티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크티 운동은 산스크리트어 'bhaj'에서 유래한 용어로, 힌두교에서 신에 대한 헌신, 사랑, 숭배를 의미한다. 기원전 1천년경의 고대 인도 경전에서 그 사상이 나타났으며, 《바가바드 기타》를 통해 영적 자유를 얻는 길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7-8세기 남인도에서 시작되어 샤이바교의 나야나르와 바이슈나바교의 알바르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이후 카르나타카, 오디샤, 북인도로 확산되었다. 바크티 운동은 지역 언어로 된 문학의 발전을 가져왔고, 사회적으로는 카스트 제도의 차별을 완화하고 여성과 하위 계층에게 구원의 길을 열어주는 등 중세 힌두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크교 등 다른 종교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학계에서는 그 기원, 본질, 역사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크티 운동 - 바가바타파
    바가바타파는 9세기부터 존재해온 크리슈나 숭배의 한 형태로, 상키아 철학의 푸루샤 개념을 차용하고 비슈누 등 다른 신들과 융합되었으며, 굽타 제국 시대에는 바이슈나바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차투르-뷰하스 개념을 도입하고 브라만교와 통합되어 박티 운동의 촉매 역할을 했다.
  • 힌두교에 관한 - 수드라
    수드라는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네 번째 바르나로 농민, 장인, 노동자 등의 직업에 종사했으며, 문헌에 따라 기원과 지위 묘사가 다르지만, 자유민으로 군 복무가 가능하거나 바크티 운동 시인이 등장하기도 하고 발리 힌두교에서 사원 승려 역할을 맡기도 했다.
  • 힌두교에 관한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바크티 운동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주요 종교힌두교
창시자라마누자
철학바크티
주요 신비슈누, 시바, 샥티
역사적 배경
발생 시기중세 시대
발생 지역인도 남부
확산 지역인도 전역
철학 및 사상
핵심 사상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
특징형식주의적 의례에 대한 반발
신과 개인 간의 직접적 관계 강조
카스트 제도 비판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열려 있음
주요 성인 및 시인
비슈누파알바르
라마누자
차이타니아 마하프라부
투카람
시바파나야나르
바사바
아카 마하데비
미라바이
샥티파툴시 다스
영향
사회적 영향카스트 제도 완화에 기여
종교적 평등 증진
인도 문화 및 예술 발전
문학적 영향지역 언어 시가 발전
인도 음악 발전
바크티 운동 (Bhakti movement)
다른 이름바크티 마르가
종류비슈누파
시바파
샥티파
특징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통한 구원
신앙을 중요시하고 개인의 감정을 중시
카스트나 종교적 구별 없이 누구든 참여 가능
주요 인물라마누자
바사바
미라바이
차이타니아 마하프라부
카비르
구루 나나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주요 종교힌두교
창시자라마누자
철학바크티
주요 신비슈누, 시바, 샥티
역사적 배경
발생 시기중세 시대
발생 지역인도 남부
확산 지역인도 전역
철학 및 사상
핵심 사상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
특징형식주의적 의례에 대한 반발
신과 개인 간의 직접적 관계 강조
카스트 제도 비판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열려 있음
주요 성인 및 시인
비슈누파알바르
라마누자
차이타니아 마하프라부
투카람
시바파나야나르
바사바
아카 마하데비
미라바이
샥티파툴시 다스
영향
사회적 영향카스트 제도 완화에 기여
종교적 평등 증진
인도 문화 및 예술 발전
문학적 영향지역 언어 시가 발전
인도 음악 발전
바크티 운동 (Bhakti movement)
다른 이름바크티 마르가
종류비슈누파
시바파
샥티파
특징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통한 구원
신앙을 중요시하고 개인의 감정을 중시
카스트나 종교적 구별 없이 누구든 참여 가능
주요 인물라마누자
바사바
미라바이
차이타니아 마하프라부
카비르
구루 나나크

2. 용어

산스크리트어 단어 ''bhakti''는 "나누다, 공유하다, 참여하다, 속하다"라는 뜻을 가진 어근 bhaj|바지sa에서 유래되었다.[9][10] 이 단어는 또한 "애착, 헌신, 애정, 존경, 신앙 또는 사랑, 숭배, 영적 또는 종교적 원리 또는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경건"을 의미한다.[11][12]

''Bhakti''라는 용어의 의미는 카마(Kama)와 유사하지만 다르다. 카마는 감정적인 연결, 때로는 관능적인 헌신과 에로틱한 사랑을 의미한다. 반면에 바크티는 영적인 것이며, 감정과 지성 모두를 포함하는 종교적 개념이나 원리에 대한 사랑과 헌신이다. 카렌 페첼리스는 이 단어를 비판적이지 않은 감정이 아니라 헌신적인 참여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힌두교의 바크티 운동은 중세 시대에 하나 이상의 신과 여신을 중심으로 구축된 종교적 개념에 대한 사랑과 헌신에 대해 나타난 사상과 참여를 의미한다. 바크티 운동은 카스트 제도에 반대하고 지역 언어를 사용하여 대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했다. ''bhakti''를 실천하는 사람을 ''bhakta''라고 한다.

3. 역사

바크티 운동은 7세기에서 8세기 사이 남인도 타밀나두(Tamilakam) 지역에서 시작되어 남인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30] 초기 타밀 바크티 운동은 신과 신자 사이의 개인적인 관계, 그리고 신의 은총에 대한 열렬한 감정적 경험을 특징으로 한다.[31]

타밀나두의 바크티 운동은 샤이바교(Shaivism)(시바(Shiva) 또는 그의 아들 무루간/카르티케야(Murugan/Kartikeya)를 숭배)와 바이슈나바교(Vaishnavism)(티루말(Tirumāl)을 숭배)의 두 갈래로 나뉘어 발전하였다.[31] 바이슈나바교의 알바르(Alvars)와 샤이바 나야나르(Nayanars)는 5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활동했으며,[32] 이들은 다양한 사회 계급 출신으로, 수드라(Shudra)도 포함되었다.[33] 이들은 개인적인 신에 대한 사랑을 강조하고,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도 표현하였다.

18세기까지 바크티 시와 사상은 타밀 바크티 성자들과 북부 바크티 지도자들의 영향으로 인도 아대륙 전역에 퍼졌다.[32][38] 그러나 타밀어 사용 지역을 제외하면 바크티 운동은 대부분 2천년기에 훨씬 늦게 나타났다.

일부 학자들은 2천년기에 인도에서 바크티 운동이 급속히 확산된 것은 이슬람[48]의 도래와 인도에서의 이슬람 통치 및 힌두-무슬림 갈등에 대한 반응이라고 주장한다.[7][49] 웬디 도니거는 바크티 운동의 성격이 이슬람이 인도에 도착했을 때 "신에게 항복하는" 일상적인 관행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보았다.[7] 이는 수피즘[52]과 같은 이슬람의 헌신적인 관행과 15세기 이후 인도의 시크교, 기독교[53], 자이나교 등 다른 종교에도 영향을 미쳤다.[54]

3. 1. 기원과 초기 발전

산스크리트어 단어 '바크티'는 "나누다, 공유하다, 참여하다, 속하다"라는 뜻을 가진 어근 에서 유래되었다.[9][10] 이 단어는 또한 "애착, 헌신, 애정, 존경, 신앙 또는 사랑, 숭배, 영적 또는 종교적 원리 또는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경건"을 의미한다.[11][12]

'바크티'라는 용어의 의미는 카마(Kama)와 유사하지만 다르다. 카마는 감정적인 연결, 때로는 관능적인 헌신과 에로틱한 사랑을 의미한다. 반면에 바크티는 영적인 것이며, 감정과 지성 모두를 포함하는 종교적 개념이나 원리에 대한 사랑과 헌신이다. 카렌 페첼리스는 이 단어를 비판적이지 않은 감정이 아니라 헌신적인 참여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힌두교의 바크티 운동은 중세 시대에 하나 이상의 신과 여신을 중심으로 구축된 종교적 개념에 대한 사랑과 헌신에 대해 나타난 사상과 참여를 의미한다. 바크티 운동은 카스트 제도에 반대하고 지역 언어를 사용하여 대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했다. '바크티'를 실천하는 사람을 '바크타'라고 한다.

기원전 1천년기의 고대 인도 경전, 예를 들어 『슈베타슈와타라 우파니샤드』(Śvetāśvatara Upaniṣad), 『카타 우파니샤드』(Kaṭha Upaniṣad), 그리고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ita)에는 바크티(Bhakti)가 언급되어 있다.[124]

타밀나두(Tamil Nadu) 출토 시바 바크티 수행자 동상(11세기 이후)


《슈베타슈와타라 우파니샤드》(Śvetāśvatara Upaniṣad)의 세 개의 에필로그 구절 중 마지막 구절인 6.23절은 '바크티(Bhakti)'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 구절은 '바크티(Bhakti)'라는 단어의 사용으로 주목할 만하며, "신에 대한 사랑"을 언급한 가장 초기의 예시 중 하나로 널리 인용되어 왔다.[14][17] 학자들은[18][19] 이 구절이 원래의 것인지, 혹은 나중에 삽입된 것인지, 그리고 이 고대 텍스트에서 "바크티(Bhakti)"와 "신(God)"이라는 용어가 인도에서 발견되는 중세 및 현대 시대의 바크티(Bhakti) 전통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논쟁해 왔다.

맥스 뮐러(Max Muller)는 '바크티(Bhakti)'라는 단어가 에필로그의 마지막 한 구절에만 나타나며, 나중에 삽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후대의 《산딜리야 수트라》(Sandilya Sutras)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유신론적인 의미를 지니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20]

그리어슨(Grierson)과 카루스(Carus)는 에필로그의 첫 번째 구절인 6.21절도 '데바 프라사다(Deva Prasada, 데바의 은총)'라는 단어의 사용으로 주목할 만하지만, 《슈베타슈와타라 우파니샤드》(Śvetāśvatara Upaniṣad)의 에필로그에서 '데바(Deva)'는 "범신론적인 브라흐만(Brahman)"을 가리키며, 6.21절에서 슈베타슈와타라(Śvetāśvatara) 현자에게 돌리는 마지막 공로는 "그의 영혼의 선물 또는 은총"을 의미할 수 있다고 덧붙인다.[14]

도리스 스리니바산(Doris Srinivasan)[21]은 이 우파니샤드가 유신론에 관한 논문이지만, 다양한 신성한 이미지를 창의적으로 담고 있으며, "개인적인 신에 대한 세 가지 베다적 정의"를 허용하는 포괄적인 언어를 사용한다고 말한다. 이 우파니샤드에는 신이 베단타 일원론적 신학에서 궁극적인 존재(브라흐만- 아트만, 자아, 영혼)와 동일시될 수 있는 구절, 삼키아 학파 교리의 이원론적 관점을 지지하는 구절, 그리고 삼위일체의 신성한 영혼(이슈바라, 유신론적 신), 개인적인 영혼(자아), 자연(프라크리티, 물질)이 존재하는 삼중 브라흐만의 종합적인 참신성을 보여주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21][22]

츠치다(Tsuchida)는 이 우파니샤드가 《우파니샤드》의 일원론적 사상과 요가의 자기 계발 사상을 신 루드라(Rudra)의 의인화와 종합적으로 결합했다고 썼다.[23] 히리얀나(Hiriyanna)는 이 텍스트가 시바 바크티(Shiva Bhakti)의 형태로 "개인적 유신론"을 소개하고, 일신교로의 전환을 보여주지만, 개인이 자신의 신에 대한 정의와 감각을 발견하도록 격려하는 일신교적 맥락에서 이루어진다고 해석한다.[24]

기원전 5세기에서 2세기 사이에 저술된 후베다 시대 경전인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ita)는 영적 자유와 해탈에 이르는 세 가지 길 중 하나로 박티 마르가(bhakti marga, 헌신의 길)를 소개한다. 다른 두 가지 길은 카르마 마르가(karma marga, 행위의 길)와 냐나 마르가(jnana marga, 지식의 길)이다.[25][26]

『바가바드 기타』 6.31절부터 6.47절까지는 모든 것의 근원인 크리슈나(Krishna, 비슈누의 화신)가 박티 요가(bhakti yoga)와 사랑의 헌신을 최고의 영적 경지에 이르는 여러 길 중 하나로 설명한다.[27][28]

3. 2. 남인도에서의 발전

박티 운동은 서기 7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타밀나두(Tamilakam)에서 시작되어 한동안 남인도(South India)에 큰 영향을 미쳤다.[30] 초기 타밀(Tamils) 박티 운동은 "신과 신자 사이의 개인적인 관계"와 "신의 은총에 대한 열렬한 감정적 경험"을 특징으로 한다.[31]

타밀나두(Tamil Nadu)의 박티 운동은 샤이바교(Shaivism) (시바(Shiva) 또는 그의 아들 무루간/카르티케야(Murugan/Kartikeya)와 같은 지역 신을 숭배했던 자들)와 바이슈나바교(Vaishnavism) (티루말(Tirumāl)과 같은 지역 신을 숭배했던 자들)의 두 갈래로 나뉘어 발전하였다.[31]

바이슈나바교(Vaishnavism)의 알바르(Alvars)와 샤이바 나야나르(Nayanars)는 서기 5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살았다.[32] 이들은 개인적인 신에 대한 사랑을 강조하였고,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도 표현하였다. 이들은 다양한 사회 계급 출신이었으며, 수드라(Shudra)도 포함되었다.[33]

알바르는 "신에게 몰입된 자들"을 의미하며, 각지를 다니면서 비슈누를 찬양하는 바이슈나바 시인 성자들이었다.[37] 이들은 스리랑감(Srirangam)과 같은 사원들을 세우고, 바이슈나바교(Vaishnavism) 사상을 전파했다. 알바르의 시는 디비야 프라반담(Divya Prabhandham)으로 편찬되었으며, 바이슈나바들에게 영향력 있는 경전이 되었다. 바가바타 푸라나(Bhagavata Purana)에서 남인도 알바르 성자들을 언급하고 박티를 강조한 점은 남인도가 박티 운동의 기원이라는 주장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35][36]

샤이바 나야나르 역시 박티 시인 성자들이었다. 63명의 나야나르 시인 성자들이 지은 시바 찬송가 모음집인 티루무라이(Tirumurai)는 샤이바교에서 중요한 경전이 되었다. 이들의 순회 생활은 사원과 순례지 건설, 그리고 시바 중심의 영적 사상 전파에 기여했다.[37] 초기 타밀-시바 박티 시인들은 인도 전역에서 존경받는 힌두 경전에 영향을 주었다.

티루탈리나타르 시바 사원(Thiruthalinathar Shiva temple), 티룹파투르(Tiruppathur), 샤이바 시단타(Shaiva Siddhanta) 사원의 나야나르 갤러리. 샤이바 시단타 전통의 중요한 기반 중 하나는 나야나르들의 샤이바 박티이다.


안달(Andal) 묘사, 바이슈나바(Vaishnavism) 박티 운동의 주요 시인

3. 3. 인도 전역으로 확산

타밀 바크티 성자들과 후대 북부 바크티 지도자들의 영향으로 18세기까지 바크티 시와 사상은 인도 아대륙 전역에 퍼졌다.[32][38] 그러나 타밀어 사용 지역을 제외하고는 바크티 운동이 대부분 2천년기에 훨씬 늦게 나타났다.

칸나다어 사용 지역(대략 현대 카르나타카주)에서는 12세기에 바사바와 그의 샤이바 링가야티즘이 등장하면서 바크티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는 카스트 차별과 베다의 권위를 거부하고 여성의 종교적 평등을 증진했으며, 엘리트 사제들이 운영하는 사찰의 이미지와 달리 항상 목에 걸고 다니는 작은 링가를 숭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39] 바크티 운동에서 또 다른 중요한 칸나다 인물은 마드바차르야(12-13세기경)로, 베단타의 학자이자 이원론(드바이타 베단타) 신학을 장려했다.[40]

오디샤주의 바크티 운동(즈냐나미스리타 박티 또는 다디야 박티)도 12세기에 시작되었다. 자야데바(12세기 저서 ''기타 고빈다''의 저자)를 포함한 여러 학자들이 참여했으며, 14세기까지 대중 운동이 되었다.[41] 발라마 다사, 아추타난다, 자소반타 다사, 아난타 다사 및 자간나타 다사와 같은 인물들은 오디샤 전역에서 공개적인 상키르탄을 통해 바크티를 전파했다. 자간나타는 오디샤 바크티 운동의 중심이었고, 지금도 그러하다.

바크티 운동은 나중에 북쪽으로도 확산되었는데, 특히 15세기와 16세기 북부 바크티 요가의 전성기에 그러했다. 아마도 북부 바크티 인물 중 가장 초기 인물은 님바르카차르야(12세기경)였을 것이다. 그는 안드라프라데시주 출신의 브라만으로 브린다반으로 이주했다. 그는 라마누자와 유사한 신학인 베다베다(차이와 비차이)를 옹호했다.[42] 다른 중요한 북부 박타로는 남데브(c. 1270-1350), 라마난다, 에크나트(c. 1533-99)가 있다.[43]

산트 마트 운동은 이슬람, 나트 전통 및 바이슈나바교에서 유래했으며, 15세기 카비르가 여기서 나왔다. 카비르는 내면적 경험을 선호하여 외적 종교를 거부하는 힌디어 시로 유명한 성자였다. 그의 사후, 그의 추종자들은 카비르 판트를 설립했다.[44] 힌두교와 이슬람교 모두를 바탕으로 한 산트 마트 바크티 배경을 공유하는 유사한 운동은 구루 나낙(1469-1539), 시크교의 첫 번째 구루에 의해 설립되었다.[45]

벵골에서 바이슈나바 헌신적인 노래의 가장 유명한 작곡가는 찬디다스(1339–1399)였다.[46] 그는 벵골 바이슈나바-사하지야 운동에서 유명했다. 북부 힌두 바크티 전통 중 가장 영향력 있는 것 중 하나는 벵골의 차이타냐 마하프라부(1486–1534)의 크리슈나교 가우디야 바이슈나바교였다. 차이타냐는 벵골 바이슈나바들에 의해 크리슈나 자신이 아바타르로 여겨지게 되었다.[46] 또 다른 중요한 북부 바이슈나바 바크티 지도자는 발라바차르야 마하프라부(1479–1531 CE)였는데, 그는 브라지 (브라자)에서 푸슈티마르그 전통을 설립했다.[47]

일부 학자들은 2천년기에 인도에서 바크티 운동이 급속히 확산된 것은 이슬람[48]의 도래와 인도에서의 이슬람 통치 및 힌두-무슬림 갈등에 대한 반응이라고 주장한다.[7][49] 그러한 견해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레카 판데는 지역 언어로 열정적인 바크티 찬송을 부르는 것이 남인도에서 무함마드가 태어나기 전부터 전통이었다고 말한다.[50] 판데에 따르면, 무슬림 정복의 심리적 영향이 처음에는 힌두교도들의 공동체적 바크티에 기여했을 수 있다.[50]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무슬림 침략, 남인도 힌두 바크티 사원의 정복, 과 같은 악기의 압수 및 용해가 18세기 바크티 전통의 이전이나 쇠퇴에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51]

웬디 도니거에 따르면, 바크티 운동의 성격은 이슬람이 인도에 도착했을 때 "신에게 항복하는" 일상적인 관행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7] 그것은 차례로 수피즘[52]과 같은 이슬람의 헌신적인 관행과 15세기 이후 인도의 다른 종교, 예를 들어 시크교, 기독교[53]자이나교에 영향을 미쳤다.[54]

클라우스 위츠는 바크티 운동의 역사와 성격을 힌두교의 우파니샤드와 베단타 토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였다. 그는 거의 모든 바크티 운동 시인에게 있어 "우파니샤드 가르침은 만연한 기저를 형성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초를 형성한다. 우리는 여기 서구에는 유례가 없는 상황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비유일신론적이고 독립된 지혜 전통(베다에 의존하지 않음)으로 간주될 수 있는 최고의 지혜는 최고 수준의 바크티와 최고 수준의 신 실현과 융합된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55]

4. 신학

힌두교의 바크티 운동에서는 신의 본질(브라흐만(브라흐만))을 니르구나(Nirguna)와 사구나(Saguna)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생각했다.[82] 니르구나 브라흐만은 형태, 속성, 특징이 없는 궁극적인 실재를 의미했고, 사구나 브라흐만은 형태, 속성, 특징을 지닌 신을 의미했다.[82]

이 두 관점은 고대의 범신론적 무형의 신과 유신론적 전통에서 각각 유사점을 찾을 수 있으며, 《바가바드 기타》(바가바드 기타)의 대화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82] 이 둘은 지혜(냐나(jñana))에 초점을 맞춘 무형의 방식과 사랑에 초점을 맞춘 유형의 방식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본 동일한 브라흐만으로 간주될 수 있다.[82] 니르구나 바크티 시는 냐나에 더 중점을 두고, 사구나 바크티 시는 사랑(프레마(prema))에 중점을 둔다.[82] 바크티에서 강조되는 것은 신자의 신에 대한 사랑과 신의 신자에 대한 사랑이 상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82]

제인 딘 포울러(Jeaneane Fowler)는 바크티 신학의 근본이 되는 니르구나와 사구나 브라흐만의 개념이 베단타(베단타) 학파, 특히 아디 샹카라(Adi Shankara)의 8세기 아드바이타 베단타(아드바이타 베단타)(절대적 비이원론/일원론), 라마누자(Ramanuja)의 12세기 비시슈타드바이타 베단타(일치와 다양성을 전제로 하는 한정된 비이원론), 그리고 마드바차르야(Madhvacharya)(12-13세기경)의 드바이타 베단타(드바이타 베단타)(신과 아트만(아트만) 사이의 진정한 이원론을 전제로 함)의 사상과 함께 더욱 심오한 발전을 거쳤다고 말한다.

데이비드 로렌젠(David Lorenzen)에 따르면, 니르구나 브라흐만에 대한 바크티의 개념은 "속성이 없고, 정의할 수 있는 성격조차 없는 신에 대한 진심 어린 헌신"을 제시하기 때문에 학자들에게는 당혹스러운 것이었다.[82] 그러나 "방대한 니르구니 바크티 문헌"을 고려할 때, 니르구나 브라흐만에 대한 바크티는 사구나 브라흐만에 대한 바크티와 함께 힌두 전통의 현실의 일부였다.[82] 따라서 이들은 바크티 운동에서도 신을 상상하는 두 가지 대안적인 방식이었다.[82]

니르구나와 사구나 형태의 바크티는 12세기 바크티에 관한 두 논문, 즉 《산딜야 바크티 수트라》(Sandilya Bhakti Sutra)와 《나라다 바크티 수트라》(Narada Bhakti Sutr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산딜야》는 니르구나 바크티에 기울어져 있고, 《나라다》는 사구나 바크티에 기울어져 있다.[81]

5. 사회적 영향

바크티 운동은 중세 힌두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에는 브라만(Brahmin), 크샤트리아(Kshatriya), 바이샤(Vaishya) 계급의 남성들만이 목샤(moksha)를 얻을 수 있었지만, 바크티 운동은 개인의 신앙을 통해 모든 사람이 구원받을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 운동은 여성, 슈드라(Shudra) 계급, 불가촉천민(untouchable)에게도 영적 구원의 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바크티 운동이 사회적 불평등을 전제로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84]

바크티 운동은 지역 언어로 된 헌신적인 노래와 문학을 발전시켰다. 카비르(Kabir)와 같은 시인 성자들은 드바이타(Dvaita)의 유신론적 이원론부터 아드바이타 베단타(Advaita Vedanta)의 절대 일원론(monism)까지 다양한 철학적 입장을 옹호했다. 카비르는 우파니샤드 양식으로 진리를 아는 상태를 묘사했다.

15세기 초 바크티 시인 바갓 피파(Bhagat Pipa)는 몸 안에 신이 있다고 노래했다.[85]

안달(Andal)과 같은 여성 시인 성자들도 등장하여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안달은 나치야르 티루몰리(Nachiyar Thirumozhi)라는 타밀어 찬송가를 통해 신에 대한 사랑을 노래했다.[88]

바크티 운동은 유럽의 종교 개혁(Protestant Reformation)과 비견될 만큼 큰 영향을 미쳤다. 신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와 영적 사상의 자유로운 추구를 강조했으며, 공동체 노래, 축제, 순례 등 새로운 형태의 영적 활동을 가져왔다.[32][89]

바크티 운동은 봉사(세바(Seva))와 자선(다나(dāna))을 강조하며, 무료 공동 취사장과 같은 사회적 기여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강화했다.[90] 나낙(Nanak)이 도입한 채식주의 구루 카 랑가르는 시크교 공동체의 중요한 제도가 되었다.[91] 다두 다얄(Dadu Dayal)과 같은 성자들은 아힘사(비폭력), 사회적 평등, 채식주의 식당, 상호 봉사를 옹호했다. 바크티 사원과 마타(힌두교 수도원)는 재해 구호, 빈민 지원, 공동 노동 제공, 무료 급식소 운영, 교육 지원 등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다.[92]

6. 다른 인도 종교에 미친 영향

바크티는 여러 자이나교 종파에서 널리 행해졌는데, 이 종파에서는 티르탄카라(Jina)와 인간 구루를 고등 존재로 여기고 공양, 찬가, 그리고 아르티(Arti) 기도를 통해 숭배한다.[93] 존 코트는 후기 힌두교와 자이나교의 바크티 운동이 자이나 전통의 반달(vandal)과 푸자(puja) 개념에서 기원을 공유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93]

중세 시대 비유일신론적 인도 전통, 예를 들어 불교와 자이나교 내의 바크티 전통은 학자들에 의해 보고되었는데, 이는 헌신과 기도 의식이 주로 붓다(Buddha)와 마하비라(Jina Mahavira)를 비롯한 깨달은 구루(guru)에게 바쳐졌다는 것을 의미한다.[94] 카렐 베르너(Karel Werner)는 팔리어로 된 '바티'(Bhatti)가 상좌부 불교에서 중요한 수행이었으며, "불교에 깊은 헌신 또는 '바크티/바티'가 존재한다는 것과 그것이 초기부터 시작되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라고 말한다.[95]

일부 학자들은 시크교를 인도 전통의 바크티 종파라고 부른다.[96] 시크교에서는 "니르구니 바크티"가 강조된다. 즉, 구나(속성 또는 형태)가 없는 신에 대한 헌신이다.[97][98] 하지만 신의 니르구니와 사구니 형태를 모두 받아들인다.[99]

시크교의 경전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는 시크교 구루들의 찬송가와 13명의 힌두교 바가트와 2명의 무슬림 바가트의 찬송가가 포함되어 있다.[100]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찬송가가 포함된 일부 바가트들은 첫 번째 시크교 구루인 구루 나낙의 탄생 이전에 자신의 사상을 가르친 바크티 시인들이었다. 경전에 찬송가가 수록된 13명의 힌두 바가트들은 바크티 운동의 시성들이었으며, 남데브, 피파, 라비다스, 베니, 비칸, 다나, 자야데바, 파르마난드, 사다나, 사인, 수르다스, 트릴로찬이 포함되고, 두 명의 무슬림 바가트는 카비르와 수피 성자 바바 파리드였다.[101][102][103] 시크교 경전에 있는 5,894개의 찬송가 대부분은 시크교 구루들로부터 온 것이고, 나머지는 바가트들로부터 온 것이다. 시크교 경전에서 비시크교 바가트들의 기여가 가장 높은 세 명은 바가트 카비르(292개의 찬송가), 바가트 파리드(134개의 찬송가), 바가트 남데브(60개의 찬송가)였다.[104]

시크교는 바크티 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105][106][107] 바크티 시인 성자들의 찬송가를 통합했지만, 단순히 바크티 운동의 연장은 아니었다.[108] 예를 들어, 카비르와 라비다스와 같은 바크티 산트들의 몇 가지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다.[109][108]

구루 나낙은 첫 번째 시크교 구루이자 시크교의 창시자이며, 바크티 성자였다.[110] 존 메일드는 가장 중요한 예배 형태가 바크티라고 가르쳤다고 말한다.[111] 신의 깨달음인 ''남-심란''은 시크교에서 중요한 바크티 수행이다.[112][113][114] 구루 아르잔은 그의 『수크마니 사히브』에서 참된 종교는 신에 대한 사랑의 헌신이라고 주장했다.[115][116] 시크교 경전인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는 시크교도가 끊임없이 바크티를 행하도록 제안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111][117] 시크교의 바크티 주제에는 샤크티(힘) 사상도 통합되어 있다.[119]

마하라슈트라와 비하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펀자브 외부의 일부 시크교 종파들은 구르드와라에서 등불을 사용한 ''아르티''를 실천한다.[120][121] 아르티와 헌신적인 기도 의식은 한때 시크교의 일부였던 라비다시아 종파에서도 볼 수 있다.[122][123]

7. 현대 학계의 논쟁

현대 학자들은 바크티 운동에 대한 19세기와 20세기 초의 이론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들은 바크티 운동의 기원, 본질, 역사에 대한 정확성에 대해 논쟁한다.[124]

카렌 페칠리스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학자들이 바크티를 유일신론적인 개혁 운동으로 보았다고 설명한다. 이들에게 유일신론과 개혁은 인도 문화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이러한 관점은 인도에 대한 지식을 추구하던 조직적인 문화 접촉 시대에 형성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바크티의 유일신론을 자신들과 동일시했고, 개혁 운동으로 간주된 바크티는 제국에 봉사하는 개입이라는 오리엔탈리스트의 의제와 유사하게 제시되었다고 보았다.[124]

마들렌 비아르도는 장닌 밀러와 마찬가지로 바크티 운동이 개혁이나 혁신이 아니라, 베다, 바가바드 기타의 가르침, 카타 우파니샤드,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에서 찾을 수 있는 사상의 연속이라고 말한다.[124][125]

존 스트래튼 홀리는 바크티 운동이 남쪽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이동했다는 기존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며, 브린다반북인도의 또 다른 중심지로 언급하며 이 운동이 다중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한다.[126] 그는 바크티 운동이 개혁이라는 이론에 대해 인도 학자들 사이의 논쟁과 헤지의 우려를 설명한다. 바사바와 같이 특정 저자의 문헌 전체를 역사적 맥락과 함께 고려하면 개혁도 개혁의 필요성도 없었다고 본다.[126]

셸던 폴록은 바크티 운동이 브라만과 상류 계급, 산스크리트어에 대한 반란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바크티 운동의 초기 지지자들 중 많은 수가 브라만이나 상류 계급 출신이었고, 초기 및 후기 바크티 시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졌기 때문이다.[127] 폴록은 1세기 동남아시아 힌두교, 예를 들어 캄보디아인도네시아에서 베다 시대가 알려지지 않은 곳에서 바크티 경향의 증거와 상류 계급 타밀 힌두 귀족과 상인들이 힌두교의 바크티 사상을 소개한 사실을 고려하여, 바크티 운동의 근원과 본질은 반란이라기보다는 영적이고 정치적인 추구였다고 생각한다.[127][128]

존 가이는 8세기 중국의 힌두 사원과 비문, 특히 취안저우의 개원사에서 타밀 상인에 대한 내용이 중국 무역 도시에 바크티 모티프를 보여준다고 말한다.[129] 이는 샤이바, 바이슈나바 및 힌두교 브라만 수도원들이 중국에서 바크티 주제를 존중했음을 보여준다.[129]

카렌 페칠리스에 따르면, 학자들은 바크티 운동에 대한 "급진적인 타자성, 유일신론 및 정통의 개혁"이라는 이전 전제를 버리고, 중세 인도에서 바크티의 출현을 베다 전통 중심 주제의 부흥, 재구성 및 재맥락화로 특징짓고 있다.[124]

참조

[1] 웹사이트 CBSE Class 12 History #CrashCourse: Bhakti movement's emergence and influence https://www.indiatod[...] 2019-01-24
[2] 서적 The Bhakti Movement: Renaissance or Revivalis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10-04
[3] 서적 Temples of Kr̥ṣṇa in South India: History, Art, and Traditions in Tamil nāḍu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02
[4] 서적 Keywords for India: A Conceptual Lexicon for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02-20
[5] 서적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6] 서적 Bhakti – the Yoga of Love LIT Verlag Münster
[7] 웹사이트 Bhakti http://www.britannic[...]
[8] 학술지 Bhakti and Its Public 2007
[9]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Love Divine: studies in bhakti and devotional mysticism Routledge
[11] 서적 Monier-Williams Sanskrit English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12] 웹사이트 bhakti http://spokensanskri[...]
[13] 웹사이트 Shvetashvatara Upanishad 6.23 https://sa.wikisourc[...]
[14] 서적 The Monist https://books.google[...]
[15]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16] 웹사이트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archive.org/[...]
[17] 서적 Man in the Universe: Some Continuities in Indian Though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0
[18]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19] 웹사이트 The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archive.org/[...]
[20] 웹사이트 The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archive.org/[...]
[21] 서적 Many Heads, Arms, and Eyes Brill 1997
[22] 학술지 Commentary: Theism in Indian Thought 1978-10
[23] 학술지 Some Remarks on the Text of the Svetasvatara-Upanisad 1985
[24] 서적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2000
[25] 서적 Modern Indian Interpreters of the Bhagavadgit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6] 서적 The Strides of Vishnu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Yoga: Essays in Honour of Gerald James Larson Brill Academic Publishers
[28] 서적 The Bhagavad Gita: Twenty-fifth–Anniversary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9] 서적 The Hindu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30] 서적 Early History of the Vaishnava Faith and Movement in Assam: Śaṅkaradeva and His Times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31]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32] 서적 Sources of Indian Trad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Advaitic Theism of the Bhagavata Purana South Asia Books
[36] 서적 Encyclopedia Indica
[37] 서적 The many colors of Hinduism: a thematic-historical introduc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38]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40]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Pancha Sakhas of Medieval Odisha https://www.historyo[...] 2018-04-15
[42]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46]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47]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48]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Brill Academic Publishers
[49] 서적 The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50] 서적 Divine Sounds from the Heart—Singing Unfettered in their Own Voices Cambridge UK
[51] 서적 The Vernacular Veda: Revelation, Recitation, and Ritual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52]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Wiley-Blackwell
[53]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India, 1707–1858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서적 Singing to the Jinas: Jain laywomen, Maṇḍaḷ singing, and the negotiations of Jain devo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Supreme Wisdom of the Upaniṣads: An Introduction Motilal Banarsidass
[56] 학술지 Mīrābāī and Her Contributions to the Bhakti Movement 1965
[57] 서적 Sonic Liturgy: Ritual and Music in Hindu Tradition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58] 서적 The Divine Player: A Study of Kṛṣṇa Līlā Motilal Banarsidass
[59] 서적 A dictionary of Indian literature Orient Longman
[60] 서적 Peasants and Monks in British Ind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1] 서적 The Hindi Classical Tradition: A Braj Bhāṣā Reader Routledge
[62] 서적 Singing to the Goddess: Poems to Kālī and Umā from Bengal Oxford University Press
[63] 서적 Early History of the Vaiṣṇava Faith and Movement in Assam: Śaṅkaradeva and his times Motilal Banarsidass
[64] 서적 Learning History Civis Standard Seven https://books.google[...] Jeevandeep Prakashan Pvt Ltd
[65] 서적 Divine Sounds from the Heart—Singing Unfettered in their Own Voices: The Bhakti Movement and its Women Saints (12th to 17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0-09-13
[66] 학술지 Ankiya-bhaona of Sankaradeva and Madhavadeva performed in the Sattra Institutions of Assam: A study. https://www.proquest[...] 2019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Bharatiya Vidya Bhavan 1960
[70] 서적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71] 서적 History of Oriya literature https://drive.google[...] Sahitya Akademi 1962
[72] 서적 Medieval Indian Literature: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97
[73] 서적 Banglapedia: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74] 서적 Sainthood: Its Manifestations in World Relig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75] 서적 Hinduism: Past and Pres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76] 웹사이트 Saundarya Lahari in Tamil (Volume 19) http://www.tamilarts[...] Tamil Arts Academy 2020-09-26
[77] 서적 TENCON 2008 - 2008 IEEE Region 10 Conference IEEE 2008-11
[78] 서적 Sources of Indian Tradition Motilal Banarsidass
[79] 서적 The Yoga Tradi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80] 서적 The indispensable Vivekananda Orient Blackswan
[81] 서적 The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Academic 2011
[82] 서적 Praises to a Formless God: Nirguni Texts from North Indi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83] 서적 The Sacred Thread: Hinduism in Its Continuity and Divers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6
[84] 학술지 Taming the Ascetic: Devotionalism in a Hindu Monastic Order 1987
[85] 서적 Songs of the Saints from the Adi Grant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0
[86] 서적 The Hagiographies of Anantadas: The Bhakti Poets of North India Routledge 2000
[87] 서적 The Hagiographies of Anantadas: The Bhakti Poets of North India Routledge 2000
[88] 웹사이트 Andal-Nacciyar Tirumoli – Poetry Makes Worlds https://archana.facu[...] 2022-08-01
[89]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2011
[90] 서적 Thoughtful Fundraising: Concepts, Issues, and Perspectives Routledge
[91] 서적 The Sikhs Brill Academic 1992
[92]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ivil Society Springer 2009
[93] 서적 Jains in the World: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94]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2011
[95] 서적 Love Divine: Studies in Bhakti and Devotional Mysticism Routledge 1995
[96] 서적 A Popular Dictionary of Sikhism: Sikh Religion and Philosophy Routledge 1997
[9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98] 서적 Time and religion-making in modern Sikhism Routledge 2011
[99] 서적 Comparative Religious and Philosophies: Anthropomorphism and Divinity Atlantic 2008
[10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01] 학술지 Songs of the Saints from the Adi Granth
[102] 서적 Comparative Religious and Philosophies: Anthropomorphism and Divinity, The Encyclopedia of Sikhism Atlantic, Hemkunt Press 2008, 2009
[103] 서적 The Making of Sikh Scrip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04] 서적 A Guide to Religious Thought and Practices Fortress Press 2015
[105] 서적 1995
[10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107] 웹사이트 Sikhism https://www.britanni[...] 2014
[108] 서적 Sikhism and Indian Civilization Discovery Publishing House
[109] 문서 Sikhs' beliefs and practices
[110] 저널 Religious Movements in Hindu Social Contexts: A Study of Paradigms for Contextual "Church" Development http://ijfm.org/PDFs[...] 2007
[111] 서적 Sikhism https://archive.org/[...] Heinemann
[112] 서적 Sikhism, Origin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113] 서적 Religion and the Body: Modern Sc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Religious Meaning BRILL Academic 2012
[114] 서적 The Intimate Other: Love Divine in Indic Religions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115] 서적 The Sikh and Sikhism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116] 서적 Searches in Sikhism Hemkunt Press 2008
[117] 서적 Sikhism Toda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18] 웹사이트 Sri Guru Granth Sahib http://www.srigurugr[...] srigranth.org
[119] 저널 Sikh Cultural Center 1985
[120] 서적 South Asian Religions: Tradition and Tod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1] 서적 Re-imagining South Asian Religion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22]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3] 서적 Sikh Identity: An Exploration of Groups Among Sikhs https://books.google[...] Ashgate
[124] 서적 Hinduism: The Anthropology of a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5] 서적 Does Bhakti appear in the Rgveda?: An enquiry into the background of the hymns
[126] 서적 The Language of the Gods in the World of Me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7] 서적 The Language of the Gods in the World of Me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8]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129] 서적 The Emporium of the World: Maritime Quanzhou, 1000–1400 Brill Academic
[130] 웹사이트 CBSE Class 12 History #CrashCourse: Bhakti movement's emergence and influence https://www.indiatod[...] 2019-01-24
[131] 서적 The Bhakti Movement: Renaissance or Revivalism? Taylor & Francis 2022-10-04
[132] 서적 Temples of Kr̥ṣṇa in South India: History, Art, and Traditions in Tamil nāḍu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02
[133] 서적 Keywords for India: A Conceptual Lexicon for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02-20
[134] 서적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135] 서적 Bhakti – the Yoga of Love LIT Verlag Münster
[136] 웹사이트 Bhakti http://www.britannic[...]
[137] 저널 Bhakti and Its Public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