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크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크티는 산스크리트어로 "숭배, 헌신, 사랑" 등을 의미하며,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힌두교에서는 신에게 헌신하는 다양한 방법(바크티 요가, 아홉 가지 형태의 박티, 바바 등)과 무르티(상) 숭배가 나타난다. 불교에서는 부처와 보살에 대한 헌신이 초기부터 나타났으며, 대승 불교에서 발전하여 다양한 의례와 기도로 나타난다. 자이나교에서도 티르탄카라와 구루에 대한 헌신이 중요하며, 찬송가 낭송과 같은 실천이 이루어진다.
산스크리트어 '박티'는 "숭배하다", "의지하다" 등의 의미를 가진 동사 어근에서 파생되었으며, 애착, 헌신, 사랑, 숭배 등을 의미한다.[30][24][25][26][1][27] 박티는 단순한 감정적인 헌신을 넘어, 지성과 감정의 조화를 통해 신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종교적 실천이다.[28]
भक्ति|바크티sa는 힌두교에서 모크샤(영적 자유, 해방, 구원)로 가는 여러 영적 경로 중 하나를 의미하며,[37] 박티 마르가 또는 박티 요가라고 불린다.[35][36] 다른 경로는 지식 마르가(지식의 길), 카르마 마르가(업의 길), 라자 마르가(명상과 묵상의 길)이다.[37][38]
2. 용어
인도 종교에서 ''박티''를 적절하게 번역하는 영어 단어는 없다.[44][43] "헌신, 믿음, 헌신적 믿음" 등은 ''박티''의 특정 측면을 나타내지만, 더 많은 의미를 지닌다. 이 개념에는 깊은 애정, 애착의 의미가 포함되지만, "소망은 이기적이고, 애정은 이타적"이기에 소망은 포함되지 않는다.
베다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박티는 인간 관계에서 "상호 애착, 헌신, 애정, 헌신"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다.[30] 구루에 대한 헌신은 ''구루-박티'',[31][32] 개인적인 신[30][33] 또는 무형의 영성(니르구나)에 대한 헌신을 나타낼 수 있다.[34]
''박티''는 시크교와 힌두교에서 중요한 용어이다.[45][46]
2. 1. 힌두교에서의 용어
''바크티''(산스크리트어: भक्ति)는 "숭배하다, 의지하다, 몸을 맡기다"를 의미하는 동사 어근 ''bhaj-'' 또는 "부수다"를 의미하는 ''bhañj-''에서 파생된 산스크리트어 단어이다.[30][24][25][26] 이 단어는 또한 "애착, 헌신, 애정, 경의, 믿음 또는 사랑, 숭배, 영적, 종교적 원리 또는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경건함"을 의미한다.[1][27]
''바크티''는 카마와 유사하지만 다르다. 카마는 정서적 관계를 의미하며, 때로는 감각적 헌신과 에로틱한 사랑을 수반한다. 반면에 바크티는 영적인 것으로, 감정과 지성을 모두 포함하는 종교적 개념이나 원리에 대한 사랑과 헌신이다.[28] 카렌 페첼리스는 바크티라는 단어를 비판 없는 감정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헌신적인 참여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28] ''박티''를 실천하는 사람을 ''박타''라고 부른다.[29]
''바크티''는 힌두교에서 모크샤(영적 자유, 해방, 구원)로 가는 여러 대체 영적 경로 중 하나를 의미하며,[37] ''박티 마르가'' 또는 ''박티 요가''라고 불린다.[35][36] 다른 경로는 ''지식 마르가''(지식의 길), ''카르마 마르가''(업의 길), ''라자 마르가''(명상과 묵상의 길)이다.[37][38]
2. 2. 불교에서의 용어
박티(팔리어: ''bhatti'')는 불교의 일반적인 측면으로, 부처와 보살[93][94] 또는 다른 불교 신들에게 공양, 절, 염불, 개인 기도 또는 단체 기도를 드리는 것을 의미한다.[95] 카렐 베르너에 따르면, 불교 박티는 "가장 초창기부터 시작되었다".[96] 아마도 모든 인도 문헌에서 박티라는 용어가 가장 먼저 언급된 것은 초기 불교의 ''테라가타''(『장로 게송』)일 것이다.[97] 하 데이얼은 박티가 "가장 초창기부터 불교 이상(理想)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고 썼다.[97] 존 S. 스트롱은 인도 불교 박티의 핵심 의미는 "부처에 대한 기억"(산스크리트어: 붓다누스므리티)이라고 썼다.[98]
불교 신앙 실천의 가장 초창기 형태 중 하나는 탑과 신체의 유물(사리)을 통해 부처를 숭배하는 초기 불교의 전통이었다.[99] 이후(약 서기 3세기 이후), 부처 형상을 이용한 신앙 역시 부처 박티의 매우 인기 있는 형태가 되었다.[100]
스리랑카 학자 인두마티 카루나라트나는 불교 역사 전체에 걸쳐 ''박티''의 의미가 바뀌었다고 지적한다.[111] 초기 불교의 자료, 예컨대 ''테라가타''에서 ''박티''는 '[불교] 종교에 대한 충실한 헌신'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고, 지식과 함께 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이 용어가 감정적인 헌신의 진보된 형태라는 의미로 발전했다. 따라서 이러한 헌신의 의미는 초기 불교의 믿음에 대한 관점과는 달랐다.
사나스 나나야카라에 따르면, 초기 불교의 귀의와 헌신은 자아 포기가 아닌, 부처를 따라 살아야 할 이상으로 삼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이미 주석서인 아비담마 텍스트 ''푸갈라판냐티''에서, 불교 신자는 자신의 ''사다''를 ''바드히''가 될 때까지 발전시켜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이전 텍스트에서는 언급되지 않았고 힌두교의 ''박티'' 사상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붓다고사가 단순한 숭배의 의미로 부처에게 귀의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는 사례가 있는데, 이는 의미의 역사적 변화를 나타낸다. 부처의 유물과 부처 형상 숭배와 관련하여 불교 헌신에서도 유사한 발전이 이루어졌다.[101]
후기 신앙 중심 문헌, 예를 들어 ''아바다나''에서는 불교 교리에서 믿음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믿음(''슈라다'')은 헌신(''박티'')과는 다른 맥락에서 논의된다. ''박티''는 종종 불교 신자에게는 비효율적이고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신에 대한 숭배 행위를 묘사하는 데 경멸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박티''는 종종 대상으로서의 인물과 명확하게 연결되는 반면, ''슈라다''는 인물과의 연관성이 적고 진실성과 더 관련이 있다. 슈라다는 업과 공덕 이전의 작용과 같은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춘다.[102] 인도 불교 헌신의 한 출처는 ''디비야아바다나''인데, 이 텍스트는 부처, 탑, 기타 불교 성지에 공양을 드림으로써 생성되는 막대한 양의 공덕에 초점을 맞춘다.[103]
이 텍스트는 부처에 대한 믿음과 현세적인 신(예: 힌두 신)에 대한 박티를 대조하며, 이 경우 박티를 영적으로 덜 발달한 사람들을 위한 것으로 본다.[104] 하지만 다른 구절에서는 이 용어가 긍정적으로 사용되며, 한 이야기에서 현자 우파굽타는 악마 마라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부처에 대한 아주 작은 박티라도 현명한 자에게 열반을 가져다준다. 요컨대, 당신[마라]이 망상에 눈이 멀어 현자에게 했던 사악한 일들은 당신의 마음에 들어온 슈라다의 풍부한 물로 모두 씻겨 내려갔다.
> ''디비야아바다나'' 360.1–4 [''아쇼카아바다나'' 22.7-9] [105][104]
11세기 벵골 불교 학자 라만찬드라 카비바르티는 『박티 샤타카』라는 불교 박티에 관한 저서를 저술했다.[106]
오늘날, 정서적 헌신은 심지어 테라바다 불교에서도 불교 수행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 미얀마의 테라바다 학자인 윈스턴 킹에 따르면, "따뜻하고, 개인적이며, 감정적인" ''박티''는 수도승과 평신도 지식인과는 별개로 미얀마 불교 전통의 일부였다.[107][108] 부처는 가톨릭 신자들이 예수를 소중히 여기는 것처럼, 매일 신실한 불교도들에게 소중히 여겨진다. 정통 스승들은 부처에 대한 헌신을 억제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독실한 불교도들에게는 "매우 깊은 헌신적인 질"이 실제로 수행의 일부였고, 여전히 그러하다. 킹은 이것이 "부처 형상에 대한 수많은 파고다 숭배자"와 그들이 형상 앞에서, 그리고 다른 곳에서는 하지 않는 공양에서 관찰할 수 있다고 말한다.[107]
2. 3. 자이나교에서의 용어
자이나교에서 박티는 티르탄카라와 구루를 숭배하는 종교적 실천을 의미한다.[30][24][25][26]
3. 역사
산스크리트어 단어 ''bhakti''는 "숭배하다, 의지하다, 몸을 맡기다"를 의미하는 동사 어근 ''bhaj-'' 또는 "부수다"를 의미하는 ''bhañj-''에서 파생되었다.[30][24][25][26] 이 단어는 또한 "애착, 헌신, 애정, 경의, 믿음 또는 사랑, 숭배, 영적, 종교적 원리 또는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경건함"을 의미한다.[1][27]
''Bhakti''라는 용어의 의미는 카마와 유사하지만 다르다. 카마는 정서적 관계를 의미하며, 때로는 감각적 헌신과 에로틱한 사랑을 수반한다. 반면에 바크티는 영적인 것으로, 감정과 지성을 모두 포함하는 종교적 개념이나 원리에 대한 사랑과 헌신이다.[28] 카렌 페첼리스는 바크티라는 단어를 비판 없는 감정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헌신적인 참여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28]
베다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바크티라는 용어는 인간 관계에서 "상호 애착, 헌신, 애정, 헌신"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다.[30] 그것은 정신적 스승(구루)에 대한 헌신(''구루-박티'')[31][32], 개인적인 신[30][33] 또는 무형의 영성(니르구나)에 대한 헌신을 나타낼 수 있다.[34]
인도 종교에서 ''박티''라는 개념을 적절하게 번역하거나 나타내는 단일 영어 단어는 없다. "헌신, 믿음, 헌신적 믿음"과 같은 용어는 ''박티''의 특정 측면을 나타내지만, 훨씬 더 많은 의미를 지닌다. 이 개념에는 깊은 애정, 애착의 의미가 포함되지만, "소망은 이기적이고, 애정은 이타적"이기 때문에 소망은 포함되지 않는다.
''바크티''는 시크교와 힌두교에서 중요한 용어이다. 둘 다 많은 개념과 핵심적인 영적 아이디어를 공유하지만, 속성이 없는 신에 대한 헌신인 ''니르구니'' 바크티는 시크교에서 특히 중요하다.[45][46] 힌두교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계속되며, ''사구니''와 ''니르구니'' 바크티(속성이 있거나 없는 신에 대한 헌신) 또는 영성으로 가는 대체 경로가 힌두교도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에 포함된다.[37]
3. 1. 힌두교의 박티 역사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의 마지막 구절(6.23)에는 ''바크티''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는데,[47][48] 이는 기원전 1천 년경으로 추정된다. 이 구절은 "신에 대한 사랑"으로 번역되며,[40][50] 고대 인도 문헌에서 ''바크티''라는 단어를 사용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다만 학자들은 이 구절이 진본인지, 나중에 삽입된 것인지, 그리고 "바크티"와 "데바"라는 용어가 현대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다.[51][52]
학계에서는 "바크티"가 인도 역사에서 힌두 서사시와 푸라나 시대(기원전 후기 천년 - 서기 초기 천년)에 주로 발전한 후 베다 운동이라는 것에 동의한다.[54][55]
바가바드 기타는 "바크티"라는 단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여 종교적 길을 나타내는 최초의 텍스트이며, 세 가지 가능한 종교적 접근 방식 또는 요가 중 하나인 바크티 요가를 언급한다.[56] 바가바타 푸라나는 크리슈나 바크티에 중점을 두고 이 개념을 더 자세히 발전시킨다.[30]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는 "구루-바크티"(자신의 영적 스승에 대한 헌신)의 증거를 제시한다.[35][57]
바크티 운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3. 1. 1. 박티 운동
''바크티 운동''은 기원후 1천 년대 후반, 남인도의 타밀나두에서 샤이바 나야나르[58]와 바이슈나바 알바르를 시작으로 급속도로 성장한 힌두교 종교 운동이었다. 그들의 사상과 실천은 기원후 12~18세기 동안 인도 전역에 바크티 시와 헌신을 불어넣었다.[14][58] 알바르("신에 몰입한 자")는 비슈누의 찬송가를 부르며 사원에서 사원으로 방랑한 바이슈나바 시인 성자들이었다. 그들은 비슈누의 신성한 거처를 찬양했고, 많은 사람들을 바이슈나비즘으로 개종시켰다.[58]
알바르와 마찬가지로 샤이바 나야나르 시인들도 영향력이 있었다. 63명의 나야나르 시인들이 지은 찬송가 모음인 ''티루무라이''는 여전히 남인도에서 큰 중요성을 지닌다. 가장 유명한 시인 셋, 아파르 (기원후 7세기), 캄판타르 (7세기), 순다라르 (9세기)의 찬송가는 ''테바람'', 즉 ''티루무라이''의 첫 번째 권으로 묶였다. 시인들의 순회 생활 방식은 사원과 순례지를 만드는 데 기여했고, 시바에 대한 헌신을 전파했다.[60] 초기 타밀-시바 바크티 시인들은 흑 야주르베다를 인용했다.[61] 알바르와 나야나르는 바크티 전통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가바타 푸라나는 남인도 알바르 성자를 언급하고 ''바크티''를 강조함으로써 많은 학자들이 남인도 기원을 부여하게 만들었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증거가 ''바크티'' 운동이 인도 다른 지역에서 병행적으로 발전했을 가능성을 배제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62][63]
학자들은 인도에서 발전하고 퍼진 비슈누, 시바, 샥티 및 기타 신들에 초점을 맞춘 ''바크티'' 운동은 기원후 8세기경 인도의 이슬람의 도래[64]와 그에 따른 종교적 폭력에 대한 반응이었다고 말한다.[2][3][65]
바크티 운동은 15세기부터 동인도와 북인도를 휩쓸었고, 기원후 15~17세기 사이에 절정에 달했다.[66] 이 운동은 신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에 초점을 맞추고, 카스트, 계급, 성별에 관계없이 신과의 친밀하고 사랑스러운 관계를 강조했다.
바크티 시와 사상은 힌두교 문화, 종교 및 세속의 많은 측면에 영향을 미쳤고, 인도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58] 수피즘,[68] 기독교,[9] 및 자이나교로 그 영향력을 확장했다.[10] 시크교는 바크티 운동 시기인 15세기에 구루 나나크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학자들은 이를 인도 전통의 바크티 종파라고 부른다.[69]
미라바이, 수르다스, 나르싱 메타와 같은 성자들은 오늘날에도 보편적으로 불리는 많은 바잔을 작곡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바크티로 가는 길을 열어주었다.
이 운동은 전통적으로 힌두교의 영향력 있는 사회 개혁으로 간주되었으며, 개인 중심적인 대안적 영적 길을 제공하여, 출생 카스트나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었다.[66]
3. 2. 불교의 박티 역사
초기 불교부터 부처와 탑, 사리 등의 유물 숭배가 존재했다. 카렐 베르너에 따르면, 불교 박티는 "가장 초창기부터 시작되었다".[96] 인도 문헌에서 박티라는 용어가 가장 먼저 언급된 것은 초기 불교의 ''테라가타''(『장로 게송』)이다.[97] 하 데이얼은 박티가 "가장 초창기부터 불교 이상(理想)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고 썼다.[97] 존 S. 스트롱은 인도 불교 박티의 핵심 의미는 "부처에 대한 기억"(산스크리트어: 붓다누스므리티)이라고 썼다.[98]
불교 신앙 실천의 가장 초창기 형태 중 하나는 탑과 사리를 통해 부처를 숭배하는 것이었다.[99] 이후(약 서기 3세기 이후), 부처 형상을 이용한 신앙 역시 부처 박티의 매우 인기 있는 형태가 되었다.[100]
스리랑카 학자 인두마티 카루나라트나는 불교 역사 전체에 걸쳐 ''박티''의 의미가 바뀌었다고 지적한다.[111] 초기 불교에서는 지식과 함께 불교에 대한 헌신을 의미했지만, 이후 감정적인 헌신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초기 불교의 믿음과는 다른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 사나스 나나야카라에 따르면, 초기 불교의 귀의와 헌신은 자아 포기가 아닌, 부처를 따라 살아야 할 이상으로 삼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아비담마 텍스트 ''푸갈라판냐티''에서, 불교 신자는 자신의 믿음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언급되었는데, 이는 힌두교의 ''박티'' 사상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붓다고사는 단순한 숭배의 의미로 부처에게 귀의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는데, 이는 의미의 역사적 변화를 나타낸다. 부처의 사리와 부처 형상 숭배와 관련하여 불교 헌신에서도 유사한 발전이 이루어졌다.[101]
후기 신앙 중심 문헌에서는 믿음이 불교 교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헌신과는 다른 맥락에서 논의된다. ''박티''는 종종 신에 대한 숭배 행위를 묘사하는 데 경멸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박티''는 대상으로서의 인물과 명확하게 연결되는 반면, 믿음은 인물과의 연관성이 적고 진실성과 더 관련이 있으며, 업과 공덕 이전의 작용과 같은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춘다.[102]
11세기 벵골 불교 학자 라만찬드라 카비바르티는 『박티 샤타카』라는 불교 박티에 관한 저서를 저술했다.[106]
오늘날, 정서적 헌신은 테라바다 불교에서도 불교 수행의 중요한 부분이다. 미얀마 학자 윈스턴 킹에 따르면, "따뜻하고, 개인적이며, 감정적인" ''박티''는 미얀마 불교 전통의 일부였다.[107][108] 부처는 가톨릭 신자들이 예수를 소중히 여기는 것처럼, 매일 신실한 불교도들에게 소중히 여겨진다. 정통 스승들은 부처에 대한 헌신을 억제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독실한 불교도들에게는 "매우 깊은 헌신적인 질"이 수행의 일부였고, 여전히 그러하다. 킹은 이것이 "부처 형상에 대한 수많은 파고다 숭배자"와 그들이 형상 앞에서 하는 공양에서 관찰할 수 있다고 말한다.[107]
3. 2. 1. 대승 불교의 박티
인도 대승 불교에서는 정토교의 초월적인 부처 아미타불과 문수보살, 관세음보살(동아시아에서는 관음보살, 티베트에서는 찬레지크로 알려짐), 타라 여신 등을 숭배하며 신앙심이 깊어졌다.[110][111][112][121]
대승 불교는 깨달음을 초월적이고 영원한 상태로 보았으며(《법화경》에서 발견됨), 이를 궁극적 실재(법신)와 같다고 생각했다.[101] 보살 또한 보시를 하고 위험에서 사람들을 구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존재로 여겨졌다.[121]
대승 불교의 박티는 보살, 보리심(모든 중생을 위해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마음), 방편을 중요하게 생각한다.[121] 대승 박티 수행에는 여러 형태의 푸자 의식과 기도가 있다. 불교념송(부처를 기억함)의 대승 형태는 시각화 수행과 부처나 보살의 이름을 외는 것(예: 염불)을 포함하는데, 이는 인도에서 많이 가르쳐진 일반적인 신앙 수행 방법이었다.[117]
4. 유형 및 분류
산스크리트어 단어 '박티(bhakti)'는 "숭배하다, 의지하다, 몸을 맡기다"를 의미하는 동사 어근 'bhaj-' 또는 "부수다"를 의미하는 'bhañj-'에서 파생되었으며,[30][24][25][26] "애착, 헌신, 애정, 경의, 믿음 또는 사랑, 숭배, 영적, 종교적 원리 또는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경건함"을 의미한다.[1][27]
'박티'는 카마와 유사하지만 다르다. 카마는 정서적 관계(때로는 감각적 헌신과 에로틱한 사랑을 수반)를 의미하는 반면, 박티는 감정과 지성을 모두 포함하는 종교적 개념이나 원리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뜻하는 영적인 것이다.[28] 카렌 페첼리스는 박티를 비판 없는 감정이 아닌, 헌신적인 참여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28] '박티'를 실천하는 사람을 '박타'라고 부른다.[29]
베다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박티는 인간 관계에서 "상호 애착, 헌신, 애정, 헌신"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며,[30] 정신적 스승(구루)에 대한 헌신('구루-박티'),[31][32] 개인적인 신,[30][33] 또는 무형의 영성(니르구나)에 대한 헌신을 나타낼 수 있다.[34]
인도 종교에서 '박티'는 "헌신, 믿음, 헌신적 믿음" 등으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이는 '박티'의 특정 측면만 나타낼 뿐, "소망은 이기적이고, 애정은 이타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소망은 포함되지 않는 등 훨씬 더 많은 의미를 지닌다.
'박티'는 힌두교에서 모크샤(영적 자유, 해방, 구원)로 가는 여러 영적 경로 중 하나로,[37] '박티 마르가' 또는 '박티 요가'라고 불린다.[35][36] 다른 경로는 '지식 마르가'(지식의 길), '카르마 마르가'(업의 길), '라자 마르가'(명상과 묵상의 길)이다.[37][38]
'박티'는 시크교와 힌두교에서 중요한 용어이다. 두 종교 모두 많은 개념과 핵심적인 영적 아이디어를 공유하지만, 속성이 없는 신에 대한 헌신인 '니르구니' 박티는 시크교에서 특히 중요하다.[45][46] 힌두교에서는 '사구니'와 '니르구니' 박티(속성이 있거나 없는 신에 대한 헌신) 등 다양한 영성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37]
4. 1. 힌두교의 박티 유형
힌두교에서 박티는 신에 대한 헌신과 사랑을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바가바드 기타는 박티를 해탈에 이르는 중요한 길 중 하나로 제시하며, 바가바타 푸라나는 아홉 가지 구체적인 박티 수행 방법을 소개한다.[73][74][75]샨딜랴 박티 수트라와 나라다 박티 수트라는 헌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라마나 마하리쉬는 박티를 신에게 굴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80][81][82]
전통적으로 신에 대한 헌신을 표현하는 다섯 가지 감정적 태도인 ''바바''가 있으며, 신자들은 자신의 기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신에게 헌신한다.[85][86] 힌두교에서는 신의 형상을 나타내는 무르티 숭배가 이루어지며, 프라나 프라티슈타 의례를 통해 무르티에 생명력을 부여한다.[91]
4. 1. 1. 박티 요가
바가바드 기타는 카르마 요가, 자냐나 요가와 함께 박티 요가를 해탈에 이르는 길 중 하나로 소개한다.[73][74] 바가바타 푸라나는 박티 요가를 확장하여 박티 요가 수행자를 위한 아홉 가지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한다.[75] 바가바드 기타의 박티는 당시 종교의 두 가지 지배적인 관행, 즉 사냐신의 고립과 종교 의례 수행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76]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박티 요가를 "절대자와의 합일을 달성하기 위한 체계화된 헌신의 길"로 묘사한다.[77]바가바드 기타의 제12장을 포함한 다양한 장에서 크리슈나는 박티 요가를 최고의 영적 경지에 이르는 길 중 하나로 묘사한다.[78] 예를 들어, 제6장에서 기타는 박티 요가 수행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 하나됨에 확고히 서서 모든 존재 안에 머무는 나를 경배하는 요기는
> 그가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든, 내 안에 머문다.
>
> 자기 자신의 모습에서 모든 것에서 평등함을 보는 자, 아르주나,
> 쾌락이나 고통 속에서, 그는 최고의 요가 수행자로 여겨진다.
>
> 모든 요가 수행자 중에서 자신의 내면 자아를 나와 합일시키고,
> 믿음으로 나를 경배하는 자가 나에게 가장 헌신적인 자로 여겨진다.[79]
샨딜랴 박티 수트라와 나라다 박티 수트라는 헌신을 정의하고 그 중요성과 우월성을 강조하며 그 형태를 분류한다.[80][81][82]
라마나 마하리쉬에 따르면 박티는 "마음으로 신에게 굴복하는 것"이다. 이는 자기 탐구의 부속물로 실천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아트마-박티: 자신의 ''아트만''(최고 자아)에 대한 헌신
# 이쉬바라-박티: 무형의 존재(신, 우주적 주)에 대한 헌신
# 이쉬타 데바타-박티: 개인적인 신 또는 여신에 대한 헌신
# 구루-박티: 구루에 대한 헌신
4. 1. 2. 아홉 가지 형태의 박티
바가바타 푸라나(7.5.23절)는 다음과 같은 아홉 가지 형태의 박티를 가르친다.[1]번호 | 형태 | 설명 |
---|---|---|
1 | श्रवण|슈라바나sa | 고대 텍스트를 듣는 것 |
2 | कीर्तन|키르타나sa | 기도 |
3 | स्मरण|스마라나sa | 고대 텍스트의 가르침을 기억하는 것 |
4 | पादसेवन|파다-세바나sa | 발을 섬기는 것 |
5 | अर्चन|아르차나sa | 숭배 |
6 | नमस्कार|나마스카르sa 또는 वन्दन|반다나sa | 신에게 절하기 |
7 | दास्य|다샤sa | 신에 대한 봉사 |
8 | साख्यत्व|사크야트바sa | 신과의 우정 |
9 | आत्मनिवेदन|아트마-니베다나sa | 신에게 자신을 헌신하는 것 |
바가바타 푸라나는 프라흘라다와 고피가 보여준 것과 같은 박티의 많은 예를 설명한다.[1] 특히 바가바타 푸라나에 나오는 고피들의 행동은 박티의 본질을 보여주는데, 크리슈나와 헤어진 고피들은 그의 이야기를 듣고(''śravaṇa''), 그의 영광스러운 행위를 칭찬하며(''kīrtana''), 그를 생각하는 다른 행위들을 통해 헌신을 실천했다.[1]
4. 1. 3. 바바(Bhavas)
전통 힌두교에서는 신에 대한 헌신을 표현하는 다섯 가지 감정적 태도, 즉 ''바바''를 제시한다.[85][86] ''바바''는 신자가 자신의 기질에 따라 신에 대한 헌신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이다.다섯 가지 ''바바''는 다음과 같다.
- ''샨타'': 신에 대한 평온한 사랑.
- ''다샤'': 하인의 태도.
- ''사캬'': 친구의 태도.
- ''바찰랴'': 아이를 향한 어머니의 태도.
- ''마두르야'': 연인을 향한 여인의 태도.[86]
여러 성인들이 이러한 ''바바''를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신비주의자 라마크리슈나는 이 다섯 가지 ''바바''를 모두 수행했다고 한다.[87] 라마에 대한 하누만의 태도는 ''다샤 바바''로 여겨진다.[88] 아르주나와 브린다반의 목동들이 크리슈나에게 접근하는 방식은 ''사캬 바바''로 간주된다.[87][89] 라다의 크리슈나에 대한 사랑은 ''마두르야 바바''이다.[87] 크리슈나의 양어머니 야쇼다가 보여준 태도는 ''바찰랴 바바''이다.[90] ''차이타냐 차리타마리타''에 따르면, 차이타냐는 브라자 로카의 네 가지 영적 감정(다샤, 사캬, 바찰랴, 신가라)을 전파하기 위해 왔다고 한다. 신가라는 친밀한 사랑의 관계를 의미한다.
4. 1. 4. 무르티(Murti)
무르티와 ''비그라함''은 힌두교에서 신의 형상을 설명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무르티''는 특정 신, 즉 남신 또는 여신의 형태나 현현을 상징하는 뚜렷한 형태를 가진 물체를 의미한다. ''무르티''를 숭배하기 전에는 프라나프라티슈타라는 의례를 수행하는데, 이는 이미지에 ''프라나''(생명력)를 부여하고 신이 무르티에 거하도록 초청하는 것이다.[91]4. 2. 불교의 박티 유형
박티(팔리어: ''bhatti'')는 불교의 일반적인 측면으로, 부처와 보살[93][94] 또는 다른 불교 신들에게 공양, 절, 염불, 개인 기도 또는 단체 기도를 드리는 것이었다.[95] 카렐 베르너에 따르면, 불교 박티는 "가장 초창기부터 시작되었다".[96] 아마도 모든 인도 문헌에서 박티라는 용어가 가장 먼저 언급된 것은 초기 불교의 ''테라가타''(『장로 게송』)일 것이다.[97] 하 데이얼은 박티가 "가장 초창기부터 불교 이상(理想)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고 썼다.[97] 존 S. 스트롱은 인도 불교 박티의 핵심 의미는 "부처에 대한 기억"(산스크리트어: 붓다누스므리티)이라고 썼다.[98]불교 신앙 실천의 가장 초창기 형태 중 하나는 탑과 신체의 유물(사리)을 통해 부처를 숭배하는 초기 불교의 전통이었다.[99] 이후(약 서기 3세기 이후), 부처 형상을 이용한 신앙 역시 부처 박티의 매우 인기 있는 형태가 되었다.[100]
스리랑카 학자 인두마티 카루나라트나는 불교 역사 전체에 걸쳐 ''박티''의 의미가 바뀌었다고 지적한다.[111] 초기 불교의 자료, 예컨대 테라가타에서 ''박티''는 '[불교] 종교에 대한 충실한 헌신'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고, 지식과 함께 했다. 하지만 이후에는 이 용어가 감정적인 헌신의 진보된 형태라는 의미로 발전했다.
사나스 나나야카라에 따르면, 초기 불교의 귀의와 헌신은 자아 포기가 아닌, 부처를 따라 살아야 할 이상으로 삼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이미 주석서인 아비담마 텍스트 ''푸갈라판냐티''에서, 불교 신자는 자신의 ''사다''를 ''바드히''가 될 때까지 발전시켜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이전 텍스트에서는 언급되지 않았고 힌두교의 ''박티'' 사상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붓다고사가 단순한 숭배의 의미로 부처에게 귀의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는 사례가 있는데, 이는 의미의 역사적 변화를 나타낸다. 부처의 유물과 부처 형상 숭배와 관련하여 불교 헌신에서도 유사한 발전이 이루어졌다.[101]
후기 신앙 중심 문헌(예: ''아바다나'')에서는 불교 교리에서 믿음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믿음(''슈라다'')은 헌신(''박티'')과는 다른 맥락에서 논의된다. ''박티''는 종종 불교 신자에게는 비효율적이고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신에 대한 숭배 행위를 묘사하는 데 경멸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박티''는 종종 대상으로서의 인물과 명확하게 연결되는 반면, ''슈라다''는 인물과의 연관성이 적고 진실성과 더 관련이 있다. 슈라다는 업과 공덕 이전의 작용과 같은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춘다.[102]
오늘날, 정서적 헌신은 심지어 테라바다 불교에서도 불교 수행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 미얀마의 테라바다 학자인 윈스턴 킹에 따르면, "따뜻하고, 개인적이며, 감정적인" ''박티''는 수도승과 평신도 지식인과는 별개로 미얀마 불교 전통의 일부였다.[107][108] 부처는 가톨릭 신자들이 예수를 소중히 여기는 것처럼, 매일 신실한 불교도들에게 소중히 여겨진다. 정통 스승들은 부처에 대한 헌신을 억제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독실한 불교도들에게는 "매우 깊은 헌신적인 질"이 실제로 수행의 일부였고, 여전히 그러하다.
4. 3. 자이나교의 박티 유형
자이나교의 여러 분파에서 티르탄카라(지나)와 인간 구루에게 공물, 노래, 아라티 기도를 바치는 것은 널리 퍼져 있는 박티의 고대 관행이다.[126]자이나교는 중세 인도의 박티 학파에 참여했으며, 힌두교 전통보다 연구가 덜 이루어졌지만 풍부한 박티 문학(스타반) 전통을 가지고 있다.[127] 자이나교의 '아바시야카 수트라'는 신자의 윤리적 의무 중 티르탄카라에게 바치는 찬송가를 낭송하는 것을 두 번째 필수 행동으로 포함한다. 이것은 이 박티를 부정적인 업을 파괴하는 수단 중 하나로 설명한다. 폴 던다스에 따르면, 헌신적인 활동에 대한 이러한 텍스트 참조는 박티가 초창기부터 자이나교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음을 시사한다.[128]
제프리 D. 롱에 따르면, 자이나교는 윤리와 금욕 수행에 대한 강력한 초점과 함께, 힌두교와 마찬가지로 강한 박티 또는 헌신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자이나교 공동체는 화려한 사원을 짓고, 종교의 창시자, 성인, 스승에 대한 대중의 헌신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아비셰카(Abhisekha), 축제 기도, 공동체 낭송, 무르티 푸자(상 앞에서 행하는 의식)는 자이나교 수행에서 통합된 박티의 예시이다. 그러나 일부 자이나교 승려들은 박티를 거부한다.[129][130][131]
5. 다른 종교에서의 박티
''박티''는 시크교와 힌두교에서 중요한 용어이다.[45] 시크교(Sikhism영어)와 힌두교는 많은 개념과 핵심적인 영적 아이디어를 공유하지만, 속성이 없는 신에 대한 헌신인 ''니르구니 박티''는 시크교에서 특히 중요하다.[45] 힌두교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계속되며, 사구니와 니르구니 박티(속성이 있거나 없는 신에 대한 헌신) 또는 영성으로 가는 대체 경로가 힌두교도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에 포함된다.[37]
참조
[1]
서적
Sanskrit Dictionary
[2]
웹사이트
Bhakti
https://www.britanni[...]
2009
[3]
간행물
Bhakti Traditions
Bloomsbury
[4]
서적
Concepts of Person in Religion and Though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5]
서적
Poems to Siva: The Hymns of the Tamil Saint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논문
Earning God through the "One-Hundred Rupee Note": Nirguṇa Bhakti and Religious Experience among Hindu Renouncers in North India
2018
[7]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Rosen Publishing
[8]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India, 1707–185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Singing to the Jinas: Jain Laywomen, Maṇḍaḷ Singing, and the Negotiations of Jain Devo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Hindu-Christian Dialogue: Perspectives and Encounters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2]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Contemporary Hinduism: Ritual, Culture,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ABC-CLIO
[14]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 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Civilization
Wiley-Blackwell
[17]
논문
The Impact of Devotionalism and Attendance on Ordinary and Emergency Helping Behavior
https://www.jstor.or[...]
[18]
서적
India's Agony Over Religion: Confronting Diversity in Teacher Education
SUNY Press
[19]
서적
Princeton Readings in Islamist Thou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논문
Tathāgatagarbha Thought: A Basis of Buddhist Devotionalism in East Asia
https://www.jstor.or[...]
[21]
논문
Devotionalism Reclaimed: Re-mapping Sacred Geography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https://www.jstor.or[...]
[22]
논문
Lay and Monastic Forms of Pure Land Devotionalism: Typology and History
https://www.jstor.or[...]
[23]
논문
The Evolution of Marian Devotionalism within Christianity and the Ibero-Mediterranean Polity
https://www.jstor.or[...]
[24]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Love Divine: studies in bhakti and devotional mystic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
웹사이트
Bhakti .
https://www.encyclop[...]
2020-10-16
[27]
웹사이트
bhakti
http://spokensanskri[...]
[28]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Songs of Experienc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1]
서적
Guru Bhakti Yoga
Divine Life Society
[32]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Swami Vivekananda
http://www.dlshq.org[...]
Advaita Ashrama
[33]
서적
World religions in America: an introducti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4]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A survey of Hinduism
SUNY Press
[36]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Fully Human Fully Divine
Partridge India
[38]
서적
Comparative Religion
Motilal Banarsidass
[39]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The Monist
https://books.google[...]
[41]
논문
Transcendental and Pragmatic Aspects of Religion
[42]
논문
Hindu and Christian Bhakti: A Common Human Response to the Sacred
[43]
서적
Gale Encyclopedia of Religion
Thomson Gale
[44]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Time and religion-making in modern Sikhism
Routledge
[47]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48]
서적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9]
웹사이트
Shvetashvatara Upanishad 6.23
https://sa.wikisourc[...]
[50]
서적
Man in the Universe: Some Continuities in Indian Though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1]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Volume 1
Motilal Banarsidass
[52]
서적
The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The Shvetashvatara Upanisha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 with special reference to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Clarendon
[56]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57]
서적
Bhakti and philosophy
Lexington Books
[58]
서적
Sources of Ind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59]
논문
Mīrābāī and Her Contributions to the Bhakti Movement
https://www.jstor.or[...]
[60]
서적
The many colors of Hinduism: a thematic-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61]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Advaitic Theism of the Bhagavata Purana
https://books.google[...]
South Asia Books
[63]
서적
Encyclopedia Indica
Anmol Publications PVT. LTD.
[64]
문서
[65]
서적
A Storm of Songs: India and the Idea of the Bhakti Move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The Sants: Studies in a Devotional Tradition of India
Motilal Banarsidass
[67]
서적
Genealogy of Devotion - Bhakti, Tantra, Yoga, and Sufism in North In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69]
서적
A Popular Dictionary of Sikhism: Sikh Religion and Philosophy
Routledge
[70]
웹사이트
BHAAV SAMADHI VICHAAR SAMADHI - KAKA BHAJANS
https://www.kakabhaj[...]
2022-06-11
[71]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2]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73]
서적
Modern Indian Interpreters of the Bhagavadgit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74]
서적
The Strides of Vishnu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5]
서적
Bhakti Yoga: Tales and Teachings from the Bhagavata Purana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2017-07-11
[76]
서적
The Embodiment of Bhakt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1-06
[77]
서적
Hindu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78]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Yoga: Essays in Honour of Gerald James Larson
Brill Academic Publishers
[79]
서적
The Bhagavad Gita: Twenty-fifth–Anniversary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0]
서적
The Yoga Tradi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81]
서적
The indispensable Vivekananda
Orient Blackswan
[82]
서적
Sources of Indian Tradition
Motilal Banarsidass
[83]
서적
Acting as a Way of Salva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84]
간행물
Bhagavata Purana
[85]
서적
Other Asias
Wiley-Blackwell
2007-12-28
[86]
서적
Hindu Psychology
Routledge
[87]
서적
Ramakrishna and his disciples
Vedanta Press
[88]
서적
Essence of Hinduism
Bharatiya Vidya Bhavan
[89]
서적
Glory of Spiritual India
Pustak Mahal
[90]
서적
Teaching of Yoga
APH Publishing
[91]
서적
Everyday Hinduism
Wiley Blackwell
2015
[92]
서적
The Greek Experience of India: From Alexander to the Indo-Greek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93]
서적
Buddhism in the Modern World: Adaptations of an Ancient Tra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94]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2011
[95]
서적
Tantric Buddhism and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Durkheim, Emotional Energy and Visions of the Consort
https://books.google[...]
Routledge
[96]
서적
Love Divine: Studies in Bhakti and Devotional Mysticism
Routledge
1995
[97]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970
[98]
서적
The Legend and Cult of Upagupta: Sanskrit Buddhism in North India and South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99]
서적
Buddhist Monks and Monasteries of India: Their History and Their Contribution to Indian Cultur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1988
[100]
서적
Buddhist Monks and Monasteries of India: Their History and Their Contribution to Indian Cultur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1988
[101]
서적
The Place of Bhakti in Buddhism
Centre of Buddhist Studies, The University of Hong Kong
2021
[102]
서적
Thus Have I Seen: Visualizing Faith in Early India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03]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4]
서적
Thus Have I Seen: Visualizing Faith in Early Indian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8
[105]
문서
Sanskrit: svalpāpi hy atra bhaktir bhavati matimatāṃ nirvāṇaphaladā saṃkṣepād yat kṛtam. te vṛjinam iha muner mohāndhamanasā sarvaṃ prakṣālitaṃ tat tava hṛdaye gataiḥ śraddhāmbuvisaraiḥ
[106]
서적
Shared Devotion, Shared Food: Equality and the Bhakti-caste Question in Wester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07]
서적
A thousand lives away: Buddhism in contemporary Burm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8]
간행물
Bhakti in Early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09]
간행물
Devotion
https://www.scribd.c[...]
Government of Ceylon
2000
[110]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11]
간행물
Devotion
https://www.scribd.c[...]
Government of Ceylon
2000
[112]
서적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http://www.ahandfulo[...]
George Allen & Unwin
1963
[113]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14]
서적
Buddhist Monks and Monasteries of India: Their History and Their Contribution to Indian Cultur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115]
서적
Buddhist Monks and Monasteries of India: Their History and Their Contribution to Indian Cultur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116]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17]
논문
Bhakti and Sraddha
https://www.jstage.j[...]
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1992-12
[118]
간행물
Prajñaparamita
Springer
[119]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120]
서적
Mahāyā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2nd Edition
Routledge
[121]
서적
Popular Buddhist Texts from Nepal: Narratives and Rituals of Newar Buddhism
SUNY Press
[122]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23]
서적
Buddhist Monks and Monasteries of India: Their History and Their Contribution to Indian Cultur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124]
서적
The Bodhisattva Doctrine in Buddhist Sanskrit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ubl
[125]
웹사이트
Buddhism and Bhakti
https://www.boloji.c[...]
2023-12-05
[126]
서적
Jains in the World :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27]
서적
Singing to the Jinas: Jain Laywomen, Mandal Singing, and the Negotiations of Jain Devo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8]
서적
The Jai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9]
서적
Jainism: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130]
서적
Jain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31]
서적
Carving Devotion in the Jain Caves at Ellor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32]
웹사이트
バクティとは
https://kotobank.jp/[...]
[133]
서적
ヒンドゥー教
ミネルヴァ書房
[134]
웹사이트
바크티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