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공화국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존재했던 베트남 공화국의 육군이다. 프랑스의 지원으로 창설된 베트남 국군을 모체로 하며, 미국으로부터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받아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주요 임무는 베트콩 및 북베트남군에 대한 전투였으며, 미국의 '베트남화' 정책에 따라 점차 국방의 역할을 수행했다. 육군은 4개의 군단과 특수전술구역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보병 및 특수 부대, 기갑 부대를 운용했다. 주요 지휘관으로는 까오 반 비엔, 응오 꽝 쯔엉 등이 있었다. 육군은 M16 소총과 M41 워커 불독 전차 등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 다양한 장비를 사용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전 후에는 사회주의 정권의 박해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공화국 육군 -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는 1956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활동한 부대로, 북베트남 침투, 방첩 임무, 민사 작전 등을 수행했으나 소수 민족 차별 문제와 전쟁 격화로 1970년 해산되었다. - Military of South Vietnam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Military of South Vietnam - 베트남 공화국군
베트남 공화국군은 1955년 베트남 공화국 수립과 함께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군 및 베트콩과 싸웠으나, 부패와 낮은 사기 등으로 1975년 베트남 공화국 붕괴와 함께 해체된 군대이다. - 대리전 -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은 1965년 미국군의 베트남 북부 폭격에 반대하며 결성된 일본의 시민 단체로, 반전 운동과 미일안보조약 반대 시위를 주도했으나 1974년 해산되었다. - 대리전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베트남 공화국 육군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육군 베트남 공화국 |
원어 명칭 | Lục quân Việt Nam Cộng Hòa |
프랑스어 명칭 | Armée de la république du Viêt Nam |
약칭 | LQVNCH (베트남어), ARVN (영어 및 프랑스어), SVA (영어) |
창설일 | 1955년 10월 26일 |
해체일 | 1975년 4월 30일 |
국가 | 남베트남 |
소속 | 베트남 공화국군 |
병과 | 육군 |
규모 | 정규군: 410,000명 지역 민병대: 532,000명 지역군: 284,000명 민병대: 248,000명 총합: 1972년 942,000명 |
사령부 | 사이공 |
별칭 | QLVNCH |
표어 | 결전 - 결승 () |
군가 | Lục quân Việt Nam hành khúc |
기념일 | 육군 기념일 (1955년 12월 30일)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즈엉반민 |
전투 | |
참전 | 베트남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
2. 역사
1949년 3월 8일, 엘리제 협정을 통해 베트남국이 바오다이 황제를 국가 원수로 하는 독립국으로 인정받으면서 베트남 국군이 창설되었다. 베트남 국군은 프랑스 연합의 프랑스 원정군과 함께 호찌민이 이끄는 베트민군에 맞서 싸웠으며, 나산 전투(1952년), 아틀라스 작전(1953년), 디엔비엔푸 전투(1954년)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10]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해체되었고, 1956년까지 모든 프랑스 연합군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철수했다. 1955년, 응오딘지엠 수상의 명령에 따라 베트남 국군은 빈쑤옌의 무장 세력을 진압했다.[11][12]
1955년 10월 26일,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응오딘지엠 대통령에 의해 베트남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베트남 국군이 재편되어 '''베트남 공화국군'''(Quân Đội Việt Nam Cộng Hòa, QDVNCH)이 되었다. 초기 베트남 공화국군의 주요 목표는 응오딘지엠 정권에 반대하는 베트콩(VC) 게릴라 부대였다. 미국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베트남 공화국군을 지원하기 위해 군사 고문단을 파견하고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
1963년, 헨리 케벗 로지 주니어 등 미국 관리들의 조장으로 쿠데타가 발생하여 응오딘지엠이 암살되었다. 즈엉반민 장군이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 정권이 수립되었으나, 이후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역할이 커지면서 베트남 공화국군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다.
베트남 전쟁은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갈등으로 묘사되지만, 베트남 공화국군은 대규모 미군 개입 전후로 전투의 주요 부담을 졌고, 미군과 함께 많은 주요 작전에 참여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M113 장갑차를 "전투 택시"가 아닌 승차 전투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개척했으며, 장갑 기병(ACAV) 개조는 베트남 공화국군의 경험을 바탕으로 채택되었다. 남베트남 제3기갑 기병 중대는 M113을 이용한 새로운 전술과 뛰어난 용기로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3][14]
1969년부터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미군 철수와 베트남 공화국군의 전투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베트남화" 정책을 시작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대게릴라전 역할에서 벗어나 베트콩과 북베트남군(PAVN)에 맞서는 주요 지상 방어군으로 성장했다. 1968년부터 베트남 공화국은 모든 가능한 인력을 군에 동원하여 1972년까지 100만 명의 병력을 확보했다. 1970년에는 캄보디아 침공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고, 미군 주도 전쟁 시기에 비해 작전 횟수가 세 배나 증가했다.
1972년, 북베트남군은 부활절 공세를 개시하여 베트남 비무장 지대를 넘어 남베트남을 공격했다. 이 공격은 보병, 포병, 기갑 부대를 결합한 전면 공격이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큰 손실을 입었고, 북베트남군은 꽝찌성과 국경 일대 지역을 점령했다.
응우옌 반 티우 대통령은 호앙 쑤언 람 장군을 해임하고 응우 꽝 뜨엉 장군으로 대체했다. 미국의 라인배커 작전을 통한 공중 지원과 베트남 공화국군의 격렬한 전투 끝에 부활절 공세는 저지되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반격하여 일부 북베트남군을 몰아냈지만, 꽝찌성에 대한 통제권은 유지하지 못했다.
1973년 파리 평화협정에 따라 미국은 베트남에서 모든 군대를 철수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홀로 싸워야 했지만, 미국이 남긴 무기와 기술을 보유했다.
1974년 여름,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리처드 닉슨이 사임하고 제럴드 포드가 대통령이 되었다. 의회는 남베트남에 대한 자금 지원을 삭감했다. 미국의 원조 중단, 남베트남 국민의 불만 증가, 정치 지도자와 군 참모총장의 부패와 무능력은 1975년 사이공 함락의 원인으로 꼽힌다.
후에 함락은 1975년 3월 26일에 시작되어 베트남 공화국군의 조직적인 패주로 이어졌고, 남베트남 정부는 붕괴되었다. 응우옌 반 티우 대통령은 4월 21일에 사임하고 나라를 떠났다.[23] 사이공 함락으로 남베트남은 멸망했다.
미국은 베트남 공화국군에 M1 카빈 793,994정,[24] M1 개런드 220,300정과 M1C/M1D 소총 520정,[25] M16 소총 640,000정, M79 수류탄 발사기 3만 4천개, 무전기 4만개, 2.5톤 트럭 2만대, M41 워커 불독 경전차 214대, M577 지휘차량 77대, M113 (장갑차/ACAV) 930대, V-100 120대, M48 패튼 전차 190대를 제공했다.
2. 1. 베트남 국군 (1949-1955)
1949년 3월 8일, 엘리제 협정을 통해 베트남국이 바오다이 황제를 국가 원수로 하는 독립국으로 인정받으면서 베트남 국군(VNA)이 창설되었다. 베트남 국군은 프랑스 연합의 프랑스 원정군과 함께 호찌민이 이끄는 베트민군에 맞서 싸웠다. 이들은 나산 전투(1952년), 아틀라스 작전(1953년), 디엔비엔푸 전투(1954년)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10]베트남 국군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빠르게 현대적인 군대로 성장했다. 보병, 포병, 통신, 기갑, 공수부대, 공군, 해군, 그리고 국가 군사학교를 포함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1953년까지 병사와 장교 모두 베트남인이었으며, 장교들은 달랏과 같은 '장교 학교'(Écoles des Cadres)에서 훈련을 받았다. 응우옌반힌 장군도 프랑스 연합 공군 출신이었다.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해체되었고, 1956년까지 모든 프랑스 연합군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철수했다. 1955년, 응오딘지엠 수상의 명령에 따라 베트남 국군은 빈쑤옌의 무장 세력을 진압했다.[11][12]
2. 2. 베트남 공화국군 (1955-1975)
1955년 10월 26일,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응오딘지엠 대통령에 의해 베트남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베트남 국군이 재편되어 '''베트남 공화국군'''(Quân Đội Việt Nam Cộng Hòa, QDVNCH)이 되었다. 1955년 12월 30일에는 육군항공대가 베트남 공화국 공군(KLVNCH)으로 독립하여 육해공 3군 체제가 갖춰졌다. 초기 베트남 공화국군의 주요 목표는 응오딘지엠 정권에 반대하는 베트콩(VC) 게릴라 부대였다. 미국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베트남 공화국군을 지원하기 위해 군사 고문단을 파견하고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응오딘지엠의 동생 응오딘누가 기획한 전략촌 계획은 농촌 주민들을 요새화된 마을로 강제 이주시키는 정책으로, "비인도적"이라는 서구 언론의 비판을 받았다. 또한 가톨릭 신자였던 응오딘지엠은 까오다이교, 호아하오교 등 무장 종교 집단을 탄압하고, 불교 사찰을 습격하여 베트콩을 색출한다는 명목하에 탄압을 하였다. 이 때문에 해외 언론의 비판을 받았다. 1963년 8월 21일 남베트남군 특수부대가 자 뢰 사원 습격을 감행하여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963년, 헨리 케벗 로지 주니어 등 미국 관리들의 조장으로 쿠데타가 발생하여 응오딘지엠이 암살되었다. 즈엉반민 장군이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 정권이 수립되었으나, 이후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역할이 커지면서 베트남 공화국군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다. 또한 군 수뇌부의 부패 문제도 심각했다. 미국은 베트남 공화국군을 비판하면서도 군수품과 자금 지원을 계속했다.
베트남 전쟁은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갈등으로 묘사되지만, 베트남 공화국군은 대규모 미군 개입 전후로 전투의 주요 부담을 졌고, 미군과 함께 많은 주요 작전에 참여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M113 장갑차를 "전투 택시"가 아닌 승차 전투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개척했으며, 장갑 기병(ACAV) 개조는 베트남 공화국군의 경험을 바탕으로 채택되었다. 남베트남 제3기갑 기병 중대는 M113을 이용한 새로운 전술과 뛰어난 용기로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3][14] 1960년부터 1974년 사이에 베트남 공화국군은 254,256명의 사망자를 기록했으며, 1972년에 39,587명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15] 반면 베트남 전쟁 중 약 58,000명의 미군이 사망했다.[3]
1969년부터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미군 철수와 베트남 공화국군의 전투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베트남화" 정책을 시작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대게릴라전 역할에서 벗어나 베트콩과 북베트남군(PAVN)에 맞서는 주요 지상 방어군으로 성장했다. 1969년부터 1971년까지 매년 약 2만 2천 명의 베트남 공화국군 전투 사망자가 발생했다. 1968년부터 베트남 공화국은 모든 가능한 인력을 군에 동원하여 1972년까지 100만 명의 병력을 확보했다. 1970년에는 캄보디아 침공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고, 미군 주도 전쟁 시기에 비해 작전 횟수가 세 배나 증가했다. 그러나 미국의 기술 지원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공화국군의 장비 수준은 미국과 다른 동맹국에 비해 여전히 열세였다. 지휘관들은 훈련이 부족하고 부패했으며 사기가 저하된 경우가 많았다.
1972년, 북베트남군은 부활절 공세를 개시하여 베트남 비무장 지대를 넘어 남베트남을 공격했다. 이 공격은 보병, 포병, 기갑 부대를 결합한 전면 공격이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큰 손실을 입었고, 북베트남군은 꽝찌성과 국경 일대 지역을 점령했다.
응우옌 반 티우 대통령은 호앙 쑤언 람 장군을 해임하고 응우 꽝 뜨엉 장군으로 대체했다. 미국의 라인배커 작전을 통한 공중 지원과 베트남 공화국군의 격렬한 전투 끝에 부활절 공세는 저지되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반격하여 일부 북베트남군을 몰아냈지만, 꽝찌성에 대한 통제권은 유지하지 못했다.
1972년 말, 라인배커 II 작전은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전쟁을 협상으로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다. 1973년 파리 평화협정에 따라 미국은 베트남에서 모든 군대를 철수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홀로 싸워야 했지만, 미국이 남긴 무기와 기술을 보유했다. 미국은 베트남 공화국 공군에게 1,000대가 넘는 항공기를 남겨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공군력을 보유하게 했다.[20] 그러나 미국이 군사 원조를 축소하기 시작하면서 이 수치는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
1974년 여름,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리처드 닉슨이 사임하고 제럴드 포드가 대통령이 되었다. 의회는 남베트남에 대한 자금 지원을 삭감했다. 미국의 원조 중단, 남베트남 국민의 불만 증가, 정치 지도자와 군 참모총장의 부패와 무능력은 1975년 사이공 함락의 원인으로 꼽힌다.
후에 함락은 1975년 3월 26일에 시작되어 베트남 공화국군의 조직적인 패주로 이어졌고, 남베트남 정부는 붕괴되었다. 제18사단은 4월 9일부터 21일까지 쑤언록에서 버텼다가 후퇴했다. 응우옌 반 티우 대통령은 4월 21일에 사임하고 나라를 떠났다.[23] 사이공 함락으로 남베트남은 멸망했다.
4월 말, 5명의 베트남 공화국군 장군이 자살했다. 레 응우옌 비 장군은 라이케에서 즈엉 반 민의 항복 소식을 듣고 자살했다. 껀터의 레 반 흥과 응우옌 콰 남 장군은 저항을 포기하고 자살했다. 쩐 반 하이 준장은 동탐 기지에서 자살했고, 팜 반 푸 장군은 사이공의 한 병원에서 자살했다.
미국은 베트남 공화국군에 M1 카빈 793,994정,[24] M1 개런드 220,300정과 M1C/M1D 소총 520정,[25] M16 소총 640,000정, M79 수류탄 발사기 3만 4천개, 무전기 4만개, 2.5톤 트럭 2만대, M41 워커 불독 경전차 214대, M577 지휘차량 77대, M113 (장갑차/ACAV) 930대, V-100 120대, M48 패튼 전차 190대를 제공했다. 1972년 11월 미국의 인핸스 및 인핸스 플러스 작전은 M48A3 패튼 전차 59대, M-113A1 ACAV 100대 이상, 항공기 500대 이상을 추가로 이전했다.[26]
케이스-처치 수정안은 파리 평화협정을 무효화했고, 미국은 1974년에 남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대폭 삭감했다. 남베트남으로 보내지는 연료와 탄약은 거의 없었고, 공군과 지상 차량은 예비 부품 부족으로 운행이 불가능했다. 병사들은 무전기 배터리가 없이 전투에 나섰고, 의무병들은 기본적인 보급품이 부족했다. 남베트남 소총과 포병은 하루에 3발의 탄약으로 제한되었다.[27]
25만 명이 넘는 베트남 공화국군 병사들이 재교육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수감 기간은 수주에서 18년까지 다양했다.[28] 전 베트남 공화국군 병사들은 지뢰밭 제거 작업에 강제 동원되었고, 수천 명이 질병과 기아로 사망했다. 남베트남 국립 군묘지는 파괴되었고, 그 근처에 베트남 공화국군의 대규모 무덤이 만들어졌다. 2000년대 초 자선 단체인 "귀환 사상자"는 일부 수용소 무덤에서 유해를 발굴하고 신원을 확인하며 묘지를 복구하려고 시도했다.[29]
3. 주요 편성
1956년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4개 일반 보병사단(각 8,100명)과 6개 경보병사단(각 5,800명)으로 구성되었다. 1959년 9월 미국의 자문에 따라 7개 완편 보병사단(각 10,450명)과 3개 군단 사령부로 재편되었다.[30] 1963년에는 4개 군단, 9개 사단, 1개 공수여단, 1개 특수부대(SF) 그룹, 3개 독립 연대, 1개 지역 방위 연대, 86개 레인저 중대, 19개 독립 대대 및 지원 부대로 구성되어 19만 2천 명으로 증강되었고, 1970년에는 35만 5,135명으로 증가하였다.[30]
군단급 부대는 제1군단, 제2군단, 제3군단, 제4군단과 제44특수전술구역이 있었다. 사단급 부대는 보병사단, 공수사단, 해병사단이 있었다.
특수부대로는 베트남 공화국 레인저(Biệt Động Quân), 베트남 공화국 특수부대 (Lực Lượng Đặc Biệt), 대통령 경호실 (Lữ đoàn Liên binh phòng vệ Tổng Thống Phủ) 등이 있었다.
기갑 부대는 베트콩 및 북베트남군과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M113 장갑차를 개량한 '''M113 ACAV'''는 베트남 전장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 제3기갑전대는 M113 ACAV를 활용한 새로운 전술과 용맹함으로 미 대통령 훈장을 받았다.[68][69] 1972년 북베트남의 "부활절 공세" 당시,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M41 경전차와 M72 LAW 로켓 등으로 T-54 전차를 앞세운 북베트남군의 대규모 기갑 공격에 맞서 싸웠으나, 큰 피해를 입었다. --
3. 1. 군단
- 제1군단
- 제2군단
- 제3군단
- 제4군단
- 제44특수전술구역
3. 2. 사단
사단 | 창설 및 변천 | 주둔지 및 주요 작전 지역 | 주요 전투 및 사건 | 구성 부대 |
---|---|---|---|---|
제1보병사단 | 1955년 프랑스군 제21기동단 개편[31] | 후에, "베트남 공화국 최정예 전투 부대 중 하나"로 평가 | * 4개 보병연대: 제1, 3, 51, 54연대 | |
제2보병사단 | 1955년 프랑스군 제32기동단 개편[31] | 꽝응아이, "상당히 우수한" 사단으로 평가 | * 3개 보병연대: 제4, 5, 6연대 | |
제3보병사단 | 1971년 꽝찌에서 창설 | 다낭 | 1972년 부활절 공세 붕괴 후 재편성, 1975년 다낭에서 궤멸 | * 3개 보병연대: 제2, 56, 57연대 |
제5보병사단 | 1959년 제6사단(능(Nung) 사단) 개칭 | 비엔호아, 응오딘지엠 쿠데타 관여, 사이공 북쪽 작전, 1970년 캄보디아 진입 | 1972년 안록 방어 | * 3개 보병연대: 제7, 8, 9연대 |
제7보병사단 | 1959년 프랑스군 제7기동단 개편 | 1961년~1975년 메콩 삼각주 복무 | * 3개 보병연대: 제10, 11, 12연대 | |
제9보병사단 | 1962년 메콩 삼각주 북부 편성 | * 3개 보병연대: 제14, 15, 16연대 | ||
제18보병사단 | 1965년 제10사단, 1967년 제18사단 개칭 | 쑤언록 | 1975년 3월~4월 쑤언록 전투 | * 3개 보병연대: 제43, 48, 52연대 |
제21보병사단 | 1959년 제11, 13경보병사단 통합 | 사이공 근교, 메콩 삼각주 | * 3개 보병연대: 제31, 32, 33연대 | |
제22보병사단 | 1959년 제2, 4경보병사단 통합 | 꼰뚬 근처, 중부 고원 지방, 1975년 빈딘성 | 1972년 붕괴, 중부 고원 전선 붕괴 후 사이공 남쪽 후퇴, 항복 | * 4개 보병연대: 제40, 41, 42, 47연대 |
제23보병사단 | 1959년 제5경보병사단 개칭 | 중부 베트남, 1970년 캄보디아 진입 | 1972년 꼰뚬 방어, 1975년 반메투엇 방어 중 궤멸 | * 4개 보병연대: 제43, 44, 45, 53연대 |
제25보병사단 | 1962년 꽝응아이 편성, 1964년 사이공 남서쪽 이동 | 1970년 캄보디아 진입, 1972년, 1975년 사이공 서쪽 접근로 방어 | * 3개 보병연대: 제46, 49, 50연대 | |
공수사단 | 1955년 프랑스군 공수단, 1965년 사단 확대 | 떤선녓 공군기지, 베트남 공화국 전역 소방대 역할 | 1970년 캄보디아, 1971년 라오스 전투 참여 | * 4개 공수여단 (각 여단은 3개 공수대대, 1개 공수포병대대) |
해병사단 |
3. 3. 특수 부대
- 베트남 공화국 특수부대 (Lực Lượng Đặc Biệt)
- 대통령 경호실 (Lữ đoàn Liên binh phòng vệ Tổng Thống Phủ)
- 레인저 부대(BDQ)
-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
3. 4. 기갑 부대
베트남 공화국 육군의 기갑 부대는 베트콩 및 북베트남군과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M113 장갑차를 개량한 '''M113 ACAV'''는 베트남 전장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 제3기갑전대는 M113 ACAV를 활용한 새로운 전술과 용맹함으로 미 대통령 훈장을 받았다.[68][69]1972년 북베트남의 "부활절 공세" 당시,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T-54 전차를 앞세운 북베트남군의 대규모 기갑 공격에 맞서 싸웠다. M41 경전차와 M72 LAW 로켓 등으로 저항했지만, 큰 피해를 입었다. --
미국은 베트남 공화국 육군에 M41 전차 214대, M113 장갑차 930대, M48 전차 190대 등을 제공했다.[73] 1972년 11월에는 M48A3 전차 59대, M113 ACAV 100대 등이 추가로 지원되었다.[74]
4. 주요 지휘관
- Cao Van Vien|까오반비엔영어
- Dang Van Quang|당반꽝영어
- Do Cao Tri|도까오찌영어
- 즈엉반민
- 레민다오
- 레응웬비
- 레반흥
- Ngo Quang Truong|응오꽝쯔엉영어
- Nguyen Van Hieu|응우옌반히에우영어
- 응우옌칸
- Nguyen Khoa Nam|응우옌콰남영어
- Nguyen Viet Thanh|응우옌비엣탄영어
- Nguyen Chanh Thi|응우옌찬티영어
- 응우옌반티에우
- Pham Van Dong (ARVN general)|팜반동영어
- Pham Van Phu|팜반푸영어
- Tran Van Minh|쩐반민영어
- Tran Van Hai|쩐반하이영어
- 리통바 (Ly Tong Ba)
- 응우옌혹로안 (Nguyen Ngoc Loan)
- 판중정 (Phan Trong Chinh)
- 응우옌득탕 (Nguyen Duc Thang)
5. 장비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주로 미국으로부터 받은 장비를 사용했다. 초기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및 한국 전쟁 시기의 구형 장비가 주를 이루었으나, 1960년대 중반부터는 보다 현대적인 장비로 교체되었다.
개인 화기
- M1905 소총검 - M1 개런드 소총에 사용.
- M1 소총검 - M1 개런드 소총에 사용.
- M4 소총검 - M1 및 M2 카빈 소총에 사용.[42]
- M5 소총검 - M1 개런드 소총에 사용.[42]
- M7 소총검 - M16 소총에 사용.[42]
- 석궁 - 남베트남 몬타냐르족이 사용.[43]
- 콜트 M1911A1 - 베트남 공화국 육군의 표준 권총[44]
-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 .38 스페셜 권총, 일부 장교들이 사용.[44]
- M1917 리볼버 - .45 ACP 리볼버, 전쟁 초기에 사용.[45]
- 스미스 앤 웨슨 모델 10 - .38 스페셜 리볼버[44]

- M1 개런드[46]
- M1, M1A1, 및 M2 카빈[46]
- M16A1 - 1968년부터 M1 개런드와 M1/2 카빈을 대체.[47]
- CAR-15 - 초기 특수 작전 부대에서 사용. 나중에 XM177로 보충.
- XM177 (콜트 코만도)/GAU-5 - CAR-15의 추가 개발[49]
- MAS-36 소총 - 남베트남 민병대가 사용.[48]
- AK-47, AKM 및 Type 56 - 노획한 소총을 사용.[44]
- 칼 구스타프 m/45 - 1960년대 후반 스미스 앤 웨슨 M76으로 교체.[49]
- M3 그리스 건[49][45]
- 매드센 M-50 - CIA가 공급한 무기를 사용.[45]
- MAS-38 기관단총 - 남베트남 민병대가 사용.[50]
- MAT-49 기관단총 - 남베트남 민병대가 사용.[48]
- MP 40 기관단총 - CIA가 공급.[45]
- 톰슨 기관단총
- 우지 기관단총[51]
산탄총

기관총
- M60 기관총 - 전쟁 내내 표준 다목적 기관총으로 사용.[51]
- M1918 브라우닝 자동소총 - 전쟁 초기 단계에서 사용.[46]
- FM 24/29 경기관총 - 남베트남 민병대가 사용.[48]
- M1919 브라우닝 기관총 (M37 등의 변종 포함)[42]
- 브라우닝 M2HB .50구경 중기관총[49]
수류탄 및 지뢰

- AN-M8 - 백색 연막 수류탄[42]
- C4 폭약[53]
- Mark 2 파편 수류탄[42]
- M1 연막탄[53]
- M26 파편 수류탄 및 여러 하위 변종[42]
- M59 및 M67 파편 수류탄[42]
- AN/M14 TH3 열화 수류탄 - 장비 파괴 및 화재 발생 장치.[42]
- M15 및 M34 연막 수류탄 - 백린 사용.[42]
- M18 연막 수류탄 - 적색, 황색, 녹색, 보라색 신호/차폐 수류탄.[42]
- V40 미니 수류탄[42]
- OF 37 수류탄 및 DF 37 수류탄 - 1950년대 프랑스제 수류탄[42]
- M18/M18A1 클레이모어 - 사령부 발화 방향성 대인 지뢰[44]
유탄발사기
- M7 및 M8 소총 수류탄 발사기 - M1 개런드 및 M1 카빈 소총에 사용. M9 및 M17 소총 수류탄 발사.[54]
- M79 수류탄 발사기[49][54]
- M203 수류탄 발사기 - M16 소총 또는 XM177 카빈에 부착.[49][54]

로켓, 무반동포, 미사일
- 바주카 - M9형은 전쟁 초기, M20 "슈퍼 바주카"는 M67 90mm 무반동총과 M72 LAW가 도입될 때까지 사용.[44]
- M72 LAW - 66mm 대전차 로켓 발사기.[54]
- XM202 - 실험적인 4연장 66mm 소이 로켓 발사기.[56]
- BGM-71 TOW - 유선 유도 대전차 미사일[57]
- M18 무반동포 - 57mm 휴대/삼각대 설치 무반동포, 전쟁 초기에 사용.[44]
- M20 무반동포 - 75mm 삼각대/차량 탑재 무반동포, 전쟁 초기에 사용.[44]
- M67 무반동포 - 90mm 휴대식 대전차 무반동포, 특수 부대에서 사용.[44]
- M40 무반동포 106mm 삼각대/차량 탑재 무반동포.[44]
박격포
- M2 박격포 - 60mm 박격포, M19 박격포와 함께 사용.[44]
- M19 박격포 - 60mm 박격포, M2 박격포와 함께 사용.[44]
- 브랑트 Mle 27/31[44]
- M1 박격포 - 81mm 박격포[44]
- M29 박격포 - 81mm 박격포[44]
- M30 박격포 107mm 박격포[44]
포병

- 105mm 곡사포 M101A1/M2A1[54]
- 105mm 곡사포 M102[54]
- M114 곡사포 (155mm)
- M108 (105mm) 자주포
- M109 (155mm) 자주포
- M110 203mm 자주포
- M107 175mm 자주포[54]
기갑차량

- M24 채피 - 경전차; 전쟁 초반 주력 전차, 최소 테트 공세 때까지 사용.[46]
- M41A3 워커 불독 - 경전차, 1965년부터 M24 채피 대체.[44]
- M48 패튼 중형전차 - 1971년부터 사용.[58]
- C15TA 장갑트럭 - 전쟁 초기에 사용.[58]
- 링스 정찰차 Mk II[58]
- M113 - APC(장갑병원정차)[54]
- M113 ACAV - 장갑 기병 돌격 차량[59]
- M3 정찰차 - 전쟁 초기에 사용.[46]
- M3 반궤도 장갑차 - 전쟁 초기에 사용.[46]
- 캐딜락 게이지 V-100 코만도 - 1967년 M8 장갑차 대체.[59]
- M8 그레이하운드 전쟁 초기에 사용.[46]
- M42 더스터 - 40 mm 대공포 장착.[59]
- M88 구난전차 - M48 차대 기반 장갑 구난 차량.[60]
- M578 경구난전차 - 장갑 구난 차량
기타 차량
- 위컴스 장갑 드라이진[61]
- M151 - 1/4톤 지프.[61]
- 도지 M37 - 3/4톤 트럭[62]
- M35 시리즈 2.5톤 6x6 카고 트럭[62]
- M135 2.5톤 트럭[62]
- M54 5톤 6x6 트럭[62]
6. 계급
베트남 공화국군의 계급 체계는 베트남 공화국 군 계급 및 계급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평가 및 영향
베트남 공화국군(남베트남군)은 초기에는 미군의 제2차 세계 대전 및 한국 전쟁 시대 무기를 사용했으나, 1960년대 중반부터는 현대적인 미국 무기로 점차 재무장되었다. 그러나 장교들의 부패와 훈련 부족, 미국의 지원 중단 등으로 인해 결국 멸망했다.
장점과 한계남베트남군은 미국의 지원으로 상당한 규모의 장비를 보유했다. M113 장갑차를 개량한 '''M113 ACAV'''를 활용하여 베트콩을 상대로 뛰어난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68][69] 또한, 미군의 항공 지원 하에 1972년 북베트남의 부활절 공세를 저지하는 등 끈질긴 저항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남베트남군은 장교단의 부패와 훈련 부족, 그리고 미군의 지원 중단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1975년 미국의 지원 중단은 남베트남군의 사기를 크게 저하시켜 멸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72]
멸망과 그 이후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남베트남이 멸망하면서 남베트남군도 해체되었다. 남베트남군 장병들은 사회주의 정권에 의해 재교육 수용소로 보내져 강제 노역과 정치 개조를 강요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이들이 사망했다.[70]
한국과의 관계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한국군은 남베트남군과 함께 북베트남군 및 베트콩과 싸웠다. 한국 사회에서는 남베트남군의 멸망을 통해 자주국방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epublic of Vietnam Armed Forces [RVNAF] Strength
https://www.globalse[...]
2018-03-15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http://mcel.pacificu[...]
[3]
웹사이트
Casualties – US vs NVA/VC
http://www.rjsmith.c[...]
[4]
서적
Heroes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2001
[5]
서적
Urban Guerrilla Warfa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7-04-20
[6]
서적
War in the Shadows: The Guerrilla in History, Volume 2
https://books.google[...]
Doubleday & Co.
[7]
서적
Vietnam: Explaining America's Lost War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3-25
[8]
학술지
A Brief Overview of the Vietnam National Army and the Republic of Vietnam Armed Forces (1952–1975)
http://www.vietnam.t[...]
2009-10-10
[9]
백과사전
[10]
웹사이트
Vietnamese National Army gallery (May 1951 – June 1954)
http://www.ecpad.fr/[...]
[11]
서적
Bay Vien, le maitre de Cholon
Hachette
[12]
서적
The Politics of Heroin
Lawrence Hill Books
[13]
웹사이트
Photo: U.S. advisor confers with ARVN 3rd Cav commander in front of a South Vietnamese M113
http://www.landscape[...]
2010-06-11
[14]
웹사이트
3d Armored Cavalry Squadron (ARVN) earned Presidential Unit Citation (United States) for extraordinary heroism
http://www.apd.army.[...]
2010-06-11
[15]
서적
United States Army in Vietnam: Advice and Support: The Final Years, 1965–1973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88
[16]
서적
ARVN: Life and Death in the South Vietnamese Army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6
[17]
서적
The Francis N. Dawson Papers: US Policy Toward Indochina 1940–53, Reports for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Far Eastern Affairs
US Military History Institute
1969
[18]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Vietnam 1964–68, Vol. 4
Govt. Printing Office
1994
[19]
서적
Make For the Hills: The Autobiography of the World's Leading Counter Insurgency Expert
1989
[20]
웹사이트
VNAF, '51–'75
http://www.vnaf.net/
2018-03-15
[21]
웹사이트
Work in Progress: "The Vietnam-Soviet Union-China Triangle Relations during the Vietnam War (1964–1973) from Vietnamese Sources" with Pham Quang Minh
https://www.wilsonce[...]
2022-12-28
[22]
서적
Armoured Warfare in the Vietnam War: Rare Photographs from Wartime Archives.
2014
[23]
서적
Flashbacks
Random House / St Martins Press
1991
[24]
웹사이트
Foreign Military Assistance
http://www.bavarianm[...]
2018-03-15
[25]
서적
Rifl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26]
문서
Starry/Dunstan
[27]
웹사이트
Heroic Allies
http://vnafmamn.com/[...]
2017-09-01
[28]
뉴스
SURVIVING COMMUNIST 'REEDUCATION CAMP'
https://www.washingt[...]
1994-05-15
[29]
웹사이트
Excavations of Burial Sites at Vietnamese Re-Education Camps by The Returning Casualty
http://www.southeast[...]
[30]
서적
The Development and Training of the South Vietnamese Army, 1950–72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1975
[31]
서적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1955–75
Osprey
2012
[32]
문서
The Organization of the Ranger Groups is highly tentative, as the battalions were rather frequently switched between different groups. As an example, the much decorated 34th Battalion served in different periods with the 3rd, 5th and 6th Groups.
[33]
문서
Formed 1966. Attached to I Corps.
[34]
문서
Formed 1966. Attached to II Corps.
[35]
문서
Formed 1966. Attached to III Corps.
[36]
문서
Formed 1968. Attached to IV Corps.
[37]
문서
Formed 1970. Attached to III Corps.
[38]
문서
Formed 1973. Attached to the Airborne Division.
[39]
문서
Formed in 1974. (Possibly never fully operational)
[40]
문서
Formed in 1975. (Possibly never fully operational)
[41]
문서
Actually just one single overstrength battalion. While included in the Ranger Command, it had strong links with the LLDB special forces, and used the LLDB green berrets.
[42]
서적
Vietnam War US & Allied Combat Equipments. Elite 216
Osprey Publishing
[43]
웹사이트
Montagnard Crossbow, Vietnam
https://www.awm.gov.[...]
Australian War Memorial
2019-02-04
[44]
서적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1955–75. Men at Arms 458
Osprey Publishing
[45]
서적
Green Beret in Vietnam 1957–73. Warrior 28
Osprey Publishing
[46]
서적
Personal firepower.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etnam War 15
Bantam Books
[47]
서적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The War in Vietnam 1960–1968 Part 3
https://www.jcs.mil/[...]
Office of Joint History Office of th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48]
서적
Small Arms of the World (11 ed.)
The Stackpole Company
[49]
서적
Weapons of the Navy SEALs
Berkley Publishing Group
[50]
서적
Small Arms of the Vietnam War: A Photographic Study
Warriors Publishing Group
[51]
서적
US MACV-SOG Reconnaissance Team in Vietnam. Warrior 159
Osprey Publishing
[52]
잡지
Combat Shotguns of the Vietnam War
https://www.american[...]
2002-03
[53]
서적
Viet Cong and NVA Tunnels and Fortifications of the Vietnam War. Fortress 48
Osprey Publishing
[5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2nd ed.)
[55]
서적
War in the Shallows: U.S. Navy and Coastal and Riverine Warfare in Vietnam 1965-8
https://www.history.[...]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56]
보고서
XM191 Multishot Portable Flame Weapon
https://apps.dtic.mi[...]
Army Concept Team in Vietnam
[57]
서적
Mounted Combat in Vietnam. Vietnam Studies
Department of the Army
[58]
서적
Armor of the Vietnam War (2) Asian Forces. Armor at War 7017
Concord Publications
[59]
서적
Armour of the Vietnam Wars. Vanguard 84
Osprey Publishing
[60]
서적
Armor of the Vietnam war (1) Allied forces. Armor at War 7007
Concord Publications
[61]
서적
Armor in Vietnam, A Pictorial History. In Action Series 6033
Squadron/Signal Publications
[62]
서적
Vietnam Gun Trucks. New Vanguard 184
Osprey Publishing
[6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http://mcel.pacificu[...]
[64]
웹사이트
Casualties – US vs NVA/VC
http://www.rjsmith.c[...]
[65]
웹사이트
Vietnamese National Army gallery (May 1951 – June 1954)
http://www.ecpad.fr/[...]
French Defense Ministry archives ECPAD
[66]
서적
Bay Vien, le maitre de Cholon
Hachette
[67]
서적
The Politics of Heroin
Lawrence Hill Books
[68]
웹사이트
Photo: U.S. advisor confers with ARVN 3rd Cav commander in front of a South Vietnamese M113
https://web.archive.[...]
2010-06-11
[69]
웹사이트
3d Armored Cavalry Squadron (ARVN) earned Presidential Unit Citation (United States) for extraordinary heroism
https://web.archive.[...]
2010-06-11
[70]
서적
Flashbacks
St Martins Press / Random House
[71]
웹사이트
VNAF, '51–'75
http://www.vnaf.net/
[72]
서적
Flashbacks
Random House / St Martins Press
1991
[73]
웹사이트
Foreign Military Assistance
http://www.bavarianm[...]
[74]
문서
Starry/Dunst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