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츠와나의 정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츠와나의 정치는 보츠와나 헌법에 의해 통치되는 의원 내각제 공화국이다. 1966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랫동안 민주주의를 유지해왔다. 보츠와나는 대통령, 의회, 사법부로 구성되며, 보츠와나 민주당이 1962년 독립 이후 2024년까지 집권해왔다. 2024년 총선에서 야당이 의회 과반수를 확보하고 대통령으로 두마 보코가 선출되면서 집권 여당이 바뀌었다. 보츠와나는 다이아몬드 산업에 기반한 혼합 경제 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외교적으로는 다자주의를 강조하며 주변국 및 국제 기구와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교육, 보건, 사회 기반 시설에 대한 투자를 통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권은 보토 철학에 기반하여 집단주의적 가치를 중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츠와나의 정치 - 보츠와나 민주당
    보츠와나 민주당은 1961년 창당되어 50년 이상 보츠와나를 집권한 중도우파 성향의 보수 정당이었으나, 국가 통합, 경제 개발, 정치적 민주주의를 핵심 가치로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을 통한 경제 성장에 주력했음에도 불구하고 2024년 총선에서 패배하여 야당으로 전락했다.
  • 보츠와나 - 보츠와나의 대통령
    보츠와나의 대통령은 국회의원들이 선출하는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으로, 국군 통수권과 법안 거부권을 가지며 부통령과 각료를 임명하는 등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고 임기는 5년, 최장 10년까지 가능하다.
  • 보츠와나 - 보츠와나의 역사
    보츠와나의 역사는 츠와나족 정착, 유럽 열강의 식민지 시대, 독립 운동을 거쳐 세레체 카마 초대 대통령의 지도력 아래 다이아몬드 산업을 육성하며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민주주의를 공고히 했으며, 목그웨트시 마시시 대통령 시기에는 부패 척결과 언론 자유 확대를 추진하다 2024년 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하여 새로운 정부가 출범했습니다.
보츠와나의 정치
지도
기본 정보
보츠와나의 국기
보츠와나의 국기
보츠와나의 국장
보츠와나의 국장
아프리카에서 보츠와나의 위치
아프리카에서 보츠와나의 위치
공용어영어 (공식), 츠와나어
수도가보로네
정치
정치 체제의회 공화국
대통령목그위치 마시시
부통령슬럼버 창
의회보츠와나 의회
상원족장 의회
역사
독립영국으로부터
날짜1966년 9월 30일
인구 통계
2022년 추정치2,605,069명
경제
통화보츠와나 풀라 (BWP)
기타 정보
ISO 3166 코드BW
인터넷 최상위 도메인.bw
국제 전화 코드+267

2. 역사

보츠와나의 역사는 식민지 시대 이전 츠와나족 중심의 전통 사회 구조에서 시작되었다. 19세기 대영 제국의 영향력 확대와 함께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으로 편입되었으며, 이는 훗날 독립 국가 보츠와나의 정치적, 법적 기반에 영향을 미쳤다.[3] 세레체 카마가 이끈 보츠와나 민주당(BDP) 주도로 1966년 독립을 이루었으며, 이후 BDP는 오랜 기간 집권당으로서 보츠와나 정치를 이끌었다.[2]

독립 이후 보츠와나는 세레체 카마, 퀘트 마시레, 페스투스 모가에, 이안 카마 등 BDP 소속 대통령들이 연이어 집권하며 정치적 안정을 유지하는 가운데 경제 발전을 추구했다. 그러나 집권당 내 파벌 갈등과 부패 스캔들이 발생하기도 했으며[6][5], 야당 세력도 점차 성장하였다. 특히 21세기 들어 이안 카마 정부 시기에는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8] 모크위치 마시시 대통령 집권 이후 전임 대통령 이안 카마와의 갈등이 심화되었고[8][9], 이는 2024년 보츠와나 총선에서 야권 연합인 민주변화를 위한 우산(UDC)이 승리하며 독립 이후 처음으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는 결과로 이어졌다.[10][11][12]

2. 1. 식민지 이전

오늘날 보츠와나가 위치한 지역은 역사적으로 주로 츠와나족을 포함한 반투족이 통제했다. 츠와나족이 지켜온 전통적인 법, 예를 들어 권위에 대한 존중이나 재산권 보호 등은 훗날 보츠와나의 정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발전해 온 중앙 집권적인 정치 구조 또한 유지되었다. 국가가 형성되기 전, 츠와나족의 정치는 주로 추장들이 이끌었으며, 이들은 오늘날 보츠와나 정치에서도 여전히 역할을 하고 있다. 19세기 초, 이러한 추장 중심의 사회는 국가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1] 이들 국가는 제한 정부의 형태를 띠었고, 여러 민족이 함께 살아가는 민족적 다원주의적 특징을 보였다.[2]

대영 제국은 1820년대부터 이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으며, 1885년에는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으로 삼아 대영 제국의 일부로 편입했다. 이로써 츠와나족은 영국 왕실의 신민이 되었고 영국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3] 독립을 위한 최초의 중요한 움직임은 급진적인 베추아날란드 인민당이 이끌었다. 보츠와나 민주당(BDP)은 세레체 카마에 의해 1962년에 협상된 독립 과정의 일환으로 결성되었다. 보츠와나는 1965년에 자치 정부가 되었고, 1966년에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 영국은 1971년까지 재정적으로 투자를 지속하고 일부 경비를 지불했다.[2] 식민지 이전 츠와나 사회와 식민지 영국 통치에서 비롯된 제도와 전통은 독립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며 보츠와나 정치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2. 영국 식민지 시대

대영 제국은 1820년대부터 이 지역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으며, 1885년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으로 선포하여 대영 제국의 일부로 편입했다. 이로써 츠와나족은 영국 왕실의 신민이 되었고 영국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3]

독립을 위한 최초의 중요한 움직임은 급진적인 성향을 보였던 베추아날란드 인민당이 이끌었다. 이후 세레체 카마가 주도하여 1962년 보츠와나 민주당(BDP)을 창당하고, 영국과의 협상을 통해 독립 과정을 추진했다. 보츠와나는 1965년에 자치 정부를 수립하였고, 1966년에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 독립 이후에도 영국은 1971년까지 재정적으로 투자를 지속하고 일부 경비를 지원했다.[2] 식민지 이전 츠와나 사회와 영국의 식민 통치 시기에서 비롯된 여러 제도와 전통은 독립 이후에도 유지되어 보츠와나 정치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3. 독립과 발전

자치 정부 수립 이후, 1965년 베추아날랜드 총선이 치러졌고 보츠와나 민주당(BDP)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BDP는 전체 입법부 31석 중 28석을 차지했다. 보츠와나 인민당 소속 의원 3명이 야당을 구성했으며, 이들은 주로 도시 지역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초대 대통령 세레체 카마 정부는 식민지 시대 이전 부족 정부의 전통을 이어받아 협력적인 통치 방식을 추구했다. 주요 정책은 여러 부처와 위원회의 신중한 검토를 거쳐 결정되었다. 카마 대통령은 배타적인 국수주의를 경계하고 외국의 투자와 참여를 적극 장려하여 경제 발전을 도모했다.

카마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부통령 퀘트 마시레는 상당한 실권을 행사했다. 마시레는 부통령직과 함께 재무부 장관, 보츠와나 민주당(BDP) 사무총장을 겸임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그는 정부의 주요 정책을 구체화한 국가 개발 계획 수립과 실행을 주도했다. 주변국의 정세 불안으로 인해 1977년 보츠와나 방위군이 창설되었다. 그 이전까지는 보츠와나 경찰청이 국가 안보를 전담했다. 케네스 코마가 이끄는 좌파 성향의 보츠와나 국민 전선(BNF)이 창당되어 1969년 보츠와나 총선 이후 주요 야당으로 부상했다.

1980년 카마 대통령이 서거하자 부통령 마시레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보츠와나의 도시화가 진행되고 BDP의 전통적 정치적 기반이 약화되면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야당의 지지 기반이 점차 확대되었다.

1991년에는 부통령 피터 무시와 BDP 사무총장 다니엘 퀘라고베가 연루된 부패 스캔들을 조사하기 위해 Kgabo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보츠와나 정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으며, 집권 BDP 내 파벌 갈등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6][5] 무시 부통령이 사임하면서 페스투스 모가에가 후임 부통령으로 지명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BDP 내 파벌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무시와 퀘라고베를 중심으로 한 파벌은 '빅 투'(Big Two)로 불렸다. 이에 맞서 Mompati Merafhe와 그를 따르는 데이비드 마강, 바히티 테마네, 로이 블랙비어드, Chapson Butale 등은 '빅 파이브'(Big Five)라는 반대 파벌을 형성했다.[6] 이후 Merafhe는 제이콥 은케이트와 긴밀한 동맹을 맺고 자신들을 A-Team이라 칭했다.[5] '빅 투' 세력은 위원회 결정에 불복하여 법원에 항소했으나, 결국 국회에서 정직 처분을 받았다. 하지만 이들의 지지 세력은 1994년 총선에서 당내 영향력을 회복했다. BDP가 이처럼 내부 갈등을 겪는 동안, 보츠와나 국민 전선(BNF)은 13석을 확보하며 이전보다 훨씬 강력한 야당으로 자리매김했다.[6] 무시가 사망한 후, 퀘라고베는 포나체고 케디킬웨와 손을 잡고 자신들의 파벌을 바라타-파티로 개칭했다.[5]

1994년 총선에서 BDP의 성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학자 로렌스 슐렘머가 초빙되어 BDP에 정치 전략을 자문했다. 슐렘머는 BDP의 노쇠한 이미지를 벗고 파벌 문제에서 자유로운 새로운 인물로 지도부를 교체할 것을 권고했으며, 특히 차기 대통령 후보 선정에 주목했다.[5] 1997년에는 국민투표를 통해 여러 중요한 헌법 개혁이 이루어졌다. 주요 개혁 내용으로는 부통령의 대통령직 자동 승계 조항 신설, 투표 가능 연령 만 18세로 하향 조정, 독립적인 선거 관리위원회 설립 등이 있다.[6] 이러한 개혁은 마시레 대통령이 주도했으며, 특히 부통령 자동 승계 조항은 마시레가 자신의 후임자를 사실상 지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으로 평가받는다.[6][5]

2. 4. 21세기 보츠와나

1998년 퀘트 마시레 대통령이 물러나고 페스투스 모가에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모가에 대통령은 이안 카마를 부통령으로 임명했다. 두 사람은 표면적으로 특정 파벌에 속하지 않은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여당 내 특정 파벌(메라페-은케이트 A-팀)을 지지하며 당내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평가가 있다.[5] 같은 시기 야당인 보츠와나 국민전선(BNF)도 분열을 겪으며 1998년 보츠와나 의회당(BCP)이 창당되었다. BCP는 창당 초기 다수 의원의 합류로 제1야당 지위를 확보했으나, 1999년 보츠와나 총선에서는 BNF에 밀려 다시 제2야당이 되었다.

2008년 모가에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자, 초대 대통령 세레체 카마의 아들인 이안 카마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이어받았다.[7] 이안 카마 대통령 집권 시기인 2010년, 집권당인 보츠와나 민주당(BDP)은 카마 대통령이 특정 파벌(바라타-파티) 소속 의원들의 탈당을 종용하면서 창당 이래 첫 분열을 맞았다. 탈당파는 고몰레모 모츠왈레디를 중심으로 보츠와나 민주 운동(BMD)을 창당했다.[5] 프리덤 하우스는 2010년대 이안 카마 정부 하에서 언론인 탄압 사례가 발생하자 보츠와나의 민주주의 등급을 하향 조정했다.[8]

2018년 이안 카마 대통령이 퇴임하고 모크위치 마시시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마시시 대통령은 취임 직후 전임자였던 카마의 정책을 폐기하고 카마가 임명했던 고위 공직자들을 해임하는 등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로 인해 한때 정치적 동맹이었던 두 사람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어 정치적 경쟁자로 돌아섰고, 결국 카마는 BDP를 탈당했다. 카마는 신생 정당인 보츠와나 애국 전선(BPF)과 연대하고 야권 연합인 민주변화를 위한 우산(UDC)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치러진 2019년 보츠와나 총선은 보츠와나 역사상 가장 치열한 선거로 평가받았으나, 결과적으로 BDP가 52.7%의 득표율로 전체 57석 중 38석을 확보하며 정권 재창출에 성공했다.[8] 두 사람의 갈등은 2022년 마시시 정부가 카마 전 대통령을 불법 무기 소지 혐의로 기소하면서 더욱 깊어졌다. 신변의 위협을 느낀 카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사실상 망명했다.[9]

2024년 보츠와나 총선을 앞두고 야권 분열 양상이 나타나면서 BDP의 재집권이 유력시되었다. 그러나 예상을 뒤엎고 야권 연합인 민주변화를 위한 우산(UDC)이 의회 과반수를 확보하는 이변을 일으켰고, UDC의 대표인 두마 보코가 새로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반면, 오랜 기간 집권해 온 BDP는 4위 정당으로 추락하는 예상 밖의 결과를 맞았다.[10][11] 모크위치 마시시 대통령은 선거 결과에 승복하고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12]

3. 정치

보츠와나는 보츠와나 헌법에 따라 통치되는 의원 내각제 공화국이다.[13] 1966년 9월 30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현재의 헌법이 시행되고 있으며,[14]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랫동안 중단 없이 민주주의가 지속된 국가로 평가받는다.[26] 법체계는 로마-네덜란드법, 관습법, 영미법이 혼합된 형태이며, 정부는 수도인 가보로네에 위치한다.[14]

정치 체제는 삼권 분립 원칙에 따라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로 구성된다.

보츠와나 국회


입법부는 단원제인 국회(National Assembly)와 자문 기구인 추장 회의(Ntlo ya Dikgosi)로 이루어진다. 국회는 국민이 직접 선출하거나 국회에서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며, 법률 제정 권한을 가진다.[14][17][18] 추장 회의는 주로 전통적인 부족 관련 사안이나 헌법 개정 등에 대해 자문 역할을 수행하지만, 직접적인 입법 권한은 없다.[18]

행정부의 수반은 보츠와나 대통령으로,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13] 대통령은 국회에서 간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14][19] 행정부 내에서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16][19]

사법부는 항소 법원을 최고 법원으로 하며, 그 아래에 고등 법원, 치안 법원, 그리고 지역 사회의 분쟁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습 법원이 있다.[20][21][22]

지방 정부는 중앙 정부의 통제 하에 운영되며, 시의회, 타운 의회, 지구 의회 등으로 구성되어 교육, 보건, 복지 등 지역 행정을 담당한다.[23][22] 전통적인 부족 시스템과 부족장(코틀라 주재) 또한 지방 행정에 영향을 미친다.[22]

정당 정치는 오랫동안 보츠와나 민주당(BDP)이 집권하는 일당 우위 체제였으나,[25] 다당제가 보장되어 여러 야당이 활동해왔다.[26] 2024년 보츠와나 총선에서 야당 연합인 민주적 변화를 위한 우산당(UDC)이 승리하며 처음으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선거는 5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되며, 보츠와나 독립 선거 관리 위원회(IEC)가 관리한다.[29] 선거 제도는 단순 다수 득표제를 채택하고 있다.[26]

3. 1. 대통령

보츠와나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며, 보츠와나 육군 총사령관의 책임도 진다.[13][4] 대통령은 국민 의회에서 의원들의 호선으로 간접 선출된다.[14][19] 역사적으로 대통령직은 주요 부족과 연관되어 왔다.[4] 행정부는 보츠와나에서 가장 강력한 정부 부처로, 대통령은 상당한 권력을 행사하며 사실상 입법부도 이끌고 있다. 사법부는 대통령 권력에 대한 유일한 실질적 견제 장치로 평가받는다.[16][19] 대통령은 법안 서명을 거부하여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는 법안을 국회로 되돌려 보낸다.[4] 대통령은 국회 의원 중에서 1명의 부통령과 8명의 각료를 임명하여 내각을 구성하며, 이들은 대통령의 지휘를 받는다.[19][4]

자치 정부 수립 후, 1965년 베추아날랜드 총선에서 보츠와나 민주당(BDP)이 압승(31석 중 28석 차지)을 거두면서 세레체 카마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보츠와나 인민당 소속 의원 3명이 야당을 구성했다. 세레체 카마 정부는 식민지 이전 부족 정부와 유사한 협력적 통치를 기반으로 했으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여러 부처와 위원회의 검토를 거쳤다. 그는 또한 국수주의에 반대하며 외국의 참여를 장려했다.

카마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부통령이었던 퀘트 마시레는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부통령직 외에도 재무부 장관을 겸임했으며 BDP 사무총장이었다. 마시레는 정부 정책의 상당 부분을 분배하는 국가 개발 계획을 감독했다. 1977년에는 지역 불안정으로 인해 군대인 보츠와나 방위군이 창설되었는데, 이전까지는 보츠와나 경찰청이 모든 안보 책임을 담당했다. 한편, 케네스 코마가 이끄는 좌파 정당 보츠와나 국민 전선(BNF)이 창당되어 1969년 보츠와나 총선에서 야당이 되었다.

세레체 카마는 1980년 사망할 때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했으며, 사후 부통령이었던 마시레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들어 보츠와나의 도시화가 진행되고 BDP의 정치적 기반이 약화되면서 야당의 지지 기반이 확대되었다.

1991년에는 부통령 피터 무시와 BDP 사무총장 다니엘 퀘라고베가 연루된 부패 스캔들(Kgabo 위원회)이 불거지면서 보츠와나 정계를 뒤흔들었고, 이는 BDP 내 파벌주의 시대를 열었다.[6][5] 무시의 사임 후 페스투스 모가에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 사건은 BDP 내 파벌 갈등을 심화시켰다. 무시와 퀘라고베는 '빅 투(Big Two)'라는 파벌을 형성했고, 이에 맞서 Mompati Merafhe, 데이비드 마강, 바히티 테마네, 로이 블랙비어드, Chapson Butale 등은 '빅 파이브(Big Five)'라는 반대 파벌을 형성했다.[6] 이후 Merafhe는 제이콥 은케이트와 연대하여 'A-Team'을 결성했다.[5] 빅 투는 위원회 결과에 불복해 법원에 항소했으나 결국 국회에서 정직되었고, 이들의 지지자들은 1994년 총선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이러한 당내 갈등 속에서 BNF는 13석을 확보하며 강력한 야당으로 부상했다.[6] 퀘라고베는 무시 사후 포나체고 케디킬웨와 연대하여 '바라타-파티'로 파벌 이름을 변경했다.[5]

1994년 총선에서 BDP가 부진한 성적을 거두자, 남아프리카 학자 로렌스 슐렘머가 초빙되어 BDP에 정치 전략을 조언했다. 그는 BDP의 오랜 구성원, 특히 대통령직을 포함하여 파벌에 속하지 않은 새로운 인물로 교체할 것을 권고했다.[5] 1997년 국민투표를 통해 여러 헌법 개혁이 이루어졌다. 부통령이 대통령의 자동 후임자로 지정되었고, 투표 연령은 18세로 낮아졌으며, 독립 선거 관리위원회가 설립되었다.[6] 이러한 개혁은 마시레 대통령이 주도했는데, 자동 승계 조항을 통해 자신이 후임자를 지명할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분석도 있다.[6][5]

마시레는 1998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났고, 모가에 부통령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모가에는 이안 카마(초대 대통령 세레체 카마의 아들)를 부통령으로 선택했다. 두 사람은 표면적으로는 파벌에 속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메라페와 은케이트의 A-Team 파벌을 지지하면서 당내 파벌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5] 같은 시기, 야당인 BNF 내부에서도 분열이 일어나 1998년 보츠와나 의회당(BCP)이 창당되었다. 상당수 의원들이 탈당하여 BCP가 잠시 주요 야당이 되었으나, 1999년 보츠와나 총선에서는 다시 BNF 후보들이 의석을 차지했다.

모가에는 2008년 임기를 마치고 퇴임했으며, 부통령이었던 이안 카마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7] 2010년, 이안 카마 대통령이 바라타-파티 파벌에게 탈당을 권유하면서 BDP는 창당 이래 처음으로 분열을 겪었고, 탈당파는 고몰레모 모츠왈레디를 중심으로 보츠와나 민주 운동(BMD)을 결성했다.[5] 이안 카마 집권 시기에는 언론인 탄압 사례가 발생하면서 국제 인권 단체 프리덤 하우스가 2010년대 보츠와나의 민주주의 등급을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8]

이안 카마는 2018년 퇴임했고, 모크위치 마시시 부통령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마시시 대통령은 취임 직후 카마 전 대통령의 정책을 뒤집고 카마가 임명했던 고위 관리들을 교체하는 등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로 인해 한때 동맹이었던 두 사람은 정치적 라이벌 관계로 돌아섰고, 카마는 결국 BDP를 탈당했다. 그는 새로 창당된 보츠와나 애국 전선(BPF)과 연대하고 야권 연합인 민주변화 우산(Umbrella for Democratic Change, UDC)을 지지했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치러진 2019년 보츠와나 총선은 보츠와나 역사상 처음으로 경쟁이 치열한 선거가 되었으나, BDP는 52.7%의 득표율로 의회 57석 중 38석을 확보하며 집권을 유지했다.[8] 2022년, 마시시 정부가 불법 무기 소지 혐의로 카마 전 대통령을 기소하면서 두 사람의 갈등은 더욱 깊어졌고, 카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사실상 망명했다.[9]

3. 2. 의회



보츠와나의 입법부는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영국과 달리 입법부 수장은 행정 권한이 없으며, 보츠와나 헌법의 적용을 받는다. 헌법에 명시된 입법부의 공식적인 기능은 "보츠와나의 평화, 질서 및 훌륭한 정부를 위한 법률을 제정"하는 것이다.[13] 입법부는 행정부를 견제하도록 설계되었으나, 행정부의 권한을 직접적으로 제한할 힘은 거의 없다.[13][15][16]

보츠와나의 핵심 입법 기구는 63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의 국회(National Assembly)이다. 이 중 57명은 국민 투표로 직접 선출되고, 6명은 국회에서 선출된다. 보츠와나 대통령과 국회 의장은 당연직 의원으로 참여한다.[14][17] 법안이 효력을 갖기 위해서는 국회와 대통령의 승인을 모두 받아야 한다.[18] 국회는 정부에 정보를 요구하고 정책을 질의하기 위해 질의 시간 제도를 활용한다.[18]

형식적으로는 상원 격인 '''추장 회의'''(Ntlo ya Dikgosi|은틀로 야 디코시tn)가 존재하지만, 이는 헌법에 의해 설립된 자문 기구이다.[14][18] 추장 회의는 츠와나족의 8명의 추장, 대통령이 임명한 5명의 의원, 그리고 8명의 추장이 선출한 22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14][18] 헌법이나 전통 부족 법률에 영향을 미치는 법안은 추장 회의에 회부되어 검토를 거치며, 추장 회의는 해당 법안에 대한 입장을 담은 결의안을 통과시킨다. 그러나 추장 회의 자체에는 입법 권한이 없다.[18]

3. 3. 정당

보츠와나는 여러 정당이 활동하는 다당제 국가이다. 주요 정당으로는 초대 대통령 세레체 카마가 창당하여 독립 이후 오랫동안 집권해 온 보츠와나 민주당(BDP)이 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는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정당은 다음과 같다.

약칭정당명이념
UDC민주적 변화를 위한 우산당 (Umbrella for Democratic Change)사회민주주의
BDP보츠와나 민주당 (Botswana Democratic Party)보수주의
BNF보츠와나 국민 전선 (Botswana National Front)사회민주주의
BPP보츠와나 인민당 (Botswana People’s Party)사회주의
BCP보츠와나 의회당 (Botswana Congress Party)사회민주주의
BPF보츠와나 애국전선 (Botswana Patriotic Front)보수주의



자치 정부 수립 후, 1965년 베추아날랜드 총선에서 보츠와나 민주당(BDP)이 31석 중 28석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보츠와나 인민당(BPP) 소속 의원 3명이 야당을 구성했으며, 이들은 주로 도시 지역 선거구에서 선출되었다. 초대 대통령 세레체 카마 정부는 식민지 이전 부족 정부와 유사하게 협력을 중시하는 방식으로 국정을 운영했으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여러 부처와 위원회의 검토를 거쳤다. 카마는 외국 자본 유치에도 적극적이었다.

카마 대통령 재임 시절, 부통령 퀘트 마시레는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부통령직과 재무부 장관을 겸임하며 BDP 사무총장을 맡았고, 정부 정책의 핵심인 국가 개발 계획을 주도했다. 1977년에는 주변 지역의 불안정으로 인해 군대인 보츠와나 방위군이 창설되었으며, 이전까지는 보츠와나 경찰청이 국가 안보를 담당했다. 케네스 코마가 창당한 좌파 성향의 보츠와나 국민 전선(BNF)은 1969년 보츠와나 총선 이후 주요 야당으로 부상했다.

1980년 카마 대통령이 사망하자 마시레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들어 보츠와나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BDP의 정치적 기반이 약화되었고, 야당의 지지 기반은 점차 확대되었다. 1991년에는 부통령 피터 무시와 BDP 사무총장 다니엘 퀘라고베가 연루된 부패 스캔들을 조사한 Kgabo 위원회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BDP 내 파벌주의가 심화되었다.[6][5] 무시의 사임 후 페스투스 모가에가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BDP 내 파벌 갈등은 더욱 깊어졌는데, 무시와 퀘라고베를 중심으로 한 '빅 투(Big Two)' 파벌과 Mompati Merafhe, 데이비드 마강, 바히티 테마네, 로이 블랙비어드, Chapson Butale 등이 형성한 '빅 파이브(Big Five)' 파벌이 대립했다.[6] 이후 Merafhe는 제이콥 은케이트와 연대하여 'A-Team'을 결성했다.[5] 빅 투 파벌은 위원회 결과에 불복하여 법적 대응을 했으나 결국 국회에서 정직 처분을 받았고, 이들의 지지자들은 1994년 총선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이러한 당내 혼란 속에서 BNF는 13석을 확보하며 강력한 야당으로 부상했다.[6] 퀘라고베는 무시 사망 후 포나체고 케디킬웨와 손잡고 '바라타-파티' 파벌을 형성했다.[5]

1994년 선거에서 BDP의 성적이 부진하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학자 로렌스 슐렘머가 초빙되어 BDP에 정치 전략을 자문했다. 그는 기존의 파벌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인물로 당 지도부를 교체할 것을 권고했으며, 특히 대통령직 계승 구도에 주목했다.[5] 1997년 국민투표를 통해 부통령의 자동 대통령직 승계, 투표 연령 18세 하향, 독립 선거 관리위원회 설립 등 여러 헌법 개혁이 이루어졌다.[6] 이는 마시레 대통령이 자신의 후계자를 지명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기도 한다.[6][5]

1998년 마시레 대통령이 퇴임하고 모가에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이안 카마를 부통령으로 임명했는데, 두 사람 모두 표면적으로는 특정 파벌에 속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메라페와 은케이트의 A-팀 파벌을 지지하면서 당내 파벌 갈등을 심화시켰다.[5] 같은 해, 주요 야당이던 보츠와나 국민 전선(BNF)에서도 분열이 발생하여 보츠와나 의회당(BCP)이 창당되었다. BCP는 창당 직후 다수 의원을 확보하며 제1야당이 되었으나, 1999년 보츠와나 총선에서는 BNF에 밀려 의석을 잃었다.

2008년 모가에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자, 세레체 카마 전 대통령의 아들인 이안 카마가 대통령이 되었다.[7] 2010년, 카마 대통령이 바라타-파티 파벌 소속 의원들의 탈당을 유도하면서 BDP는 창당 이래 처음으로 분열을 겪었고, 탈당파는 고몰레모 모츠왈레디를 중심으로 보츠와나 민주 운동(BMD)을 창당했다.[5] 2010년대 들어 프리덤 하우스는 보츠와나에서 언론인 탄압 사례가 발생하자 국가의 민주주의 등급을 하향 조정했다.[8]

2018년 카마 대통령이 퇴임하고 모크위치 마시시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마시시 대통령은 카마 전 대통령의 정책을 뒤집고 그가 임명했던 고위 관료들을 교체하면서 두 사람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 카마는 BDP를 탈당하고 새로 창당된 보츠와나 애국 전선(BPF)과 연대하며 민주적 변화를 위한 우산당(UDC) 지지를 선언했다. 이로 인해 2019년 보츠와나 총선은 보츠와나 역사상 가장 경쟁적인 선거가 되었으나, BDP는 52.7%의 득표율로 57석 중 38석을 확보하며 집권을 유지했다.[8] 2022년 마시시 정부가 카마 전 대통령을 불법 무기 소지 혐의로 기소하자 갈등은 더욱 깊어졌고, 카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망명했다.[9]

2024년 보츠와나 총선을 앞두고 야당이 분열 양상을 보이면서 BDP의 재집권이 유력해 보였다. 그러나 예상을 깨고 야당 연합인 UDC가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역사적인 정권 교체를 이루었고, 두마 보코가 새로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반면, 오랜 집권 여당이었던 BDP는 4위로 추락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맞았다.[10][11] 마시시 대통령은 선거 결과에 승복하고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했다.[12]

보츠와나는 2024년까지 보츠와나 민주당(BDP)이 주도하는 일당 우위 국가였다. BDP는 1962년 세레체 카마에 의해 창당된 이후 모든 선거에서 승리하며 장기 집권했다.[25] 하지만 다당제가 보장되어 여러 야당이 선거에 참여하고 의회에서 의석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보츠와나의 야당은 과반수를 차지한 적은 없지만,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법적으로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아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해왔다.[26]

역사적으로 좌익 정치를 표방하는 보츠와나 국민 전선(BNF)이 가장 강력한 야당 역할을 해왔다.[26] 그러나 보츠와나 야당은 종종 분열되어 BDP에 대항하는 동시에 서로 경쟁하는 모습을 보였다.[26] 야당은 주로 도시 지역 주민, 다수 민족인 츠와나족 외의 소수 부족, 특정 부족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야당의 세력은 점차 강화되었다.

파벌주의는 보츠와나 정당 정치의 고질적인 문제로, BNF에서 분리되어 창당된 보츠와나 의회당(BCP)을 포함하여 여러 정당이 분열을 겪었다. 야당 간 연합을 이루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BDP의 과반 의석 확보를 저지하지는 못했다.[26] 2012년 BNF, 보츠와나 민주 운동(BMD), 보츠와나 인민당(BPP)이 연합하여 민주적 변화를 위한 우산당(UDC)을 결성했다.[27][28] 이 UDC가 2024년 총선에서 승리하며 보츠와나 정치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3. 4. 사법부

보츠와나는 로마-네덜란드법, 관습법, 영미법이 혼합된 법체계를 가지고 운영된다.[14]

보츠와나의 최고 법원은 항소 법원이다. 보츠와나 헌법 제99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국회의장이 정하는 수의 항소 법원장과 판사들로 구성된다.[20] 현재 항소 법원에는 8명의 판사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영연방의 다른 나라 출신 외국인이다. 아직까지 보츠와나 국적의 판사가 항소 법원에 임명된 적은 없다.[21]

고등 법원은 모든 법률에 따라 형사 및 민사 사건을 제한 없이 심리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록 법원이다. 헌법 제95조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대법원장과 국회가 정하는 수의 판사들로 구성된다.[20] 고등 법원에는 16명의 상임 판사가 있다. 1992년 이전까지는 외국인 판사들이 2~3년의 단기 계약으로 임명되었으나, 1992년에 처음으로 보츠와나 국적의 판사가 임명되었다. 고등 법원은 로바체, 가보로네, 프란시스타운 세 곳에 분원이 있다.[21]

대부분의 사건은 부족장이 주재하는 관습 법원에서 해결된다. 절차가 비교적 간편하여 지역 사회에서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22] 또한 치안 법원도 운영되고 있다. 치안 법원은 고등 법원의 하급 법원으로, 다양한 민사, 형사, 가족법 관련 사건을 다룬다. 전국에 19개의 치안 법원이 있으며, 50명의 치안 판사 중 17명은 외국인이다.[21]

3. 5. 지방 정부

보츠와나 정부는 중앙 집권적인 성격을 띠며, 지방 정부의 권한은 국가 법률로 정해진다. 지방 정부의 권한은 1965년에 제정된 '지방 정부(지구 의회)법'에 근거한다. 가장 기본적인 지방 정부 단위는 지방 의회이다. 도시 지역은 시장과 의회 의장이 이끄는 시의회가 관리한다.[23] 작은 마을에는 타운 의회가 있고, 농촌 지역은 지구 의회로 조직된다. 이들 의회는 주로 교육, 보건, 도로 건설 및 관리, 공급, 지역 개발, 그리고 주민들의 일반적인 복지 문제를 책임진다. 지방 정부는 자체적으로 충분한 세금을 걷지 못하기 때문에, 필요한 예산의 대부분은 중앙 정부로부터 지원받는다.[22]

전통적인 부족 시스템 또한 지방 행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각 부족은 부족장(Chief)이 이끌며 이들은 지방 정부 운영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부족장은 해당 지역 공동체의 전통적인 부족 회의인 Kgotla|코틀라tsn를 주재하고, 관습법에 따른 재판을 담당한다.[22] Kgotla|코틀라tsn는 보츠와나가 독립하기 이전부터 존재해 온 전통적인 통치 방식으로, 부족장이 동등한 자 중의 으뜸(Primus inter pares)으로서 공동체를 이끌었던 형태를 보여준다. 특히 츠와나족의 추장들은 역사적으로 다른 아프리카 사회의 지도자들보다 주민들에 대한 책임감이 강한 편이었는데, 이는 이 지역의 주요 생업인 소 사육이 농경에 비해 사람들에게 더 많은 이동성과 자율성을 부여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4] 부족이 사용하는 토지는 토지 위원회가 소유하고 분배하는데, 이 위원회는 부족 공동체가 선출한 위원들과 토지부 장관이 임명한 위원들로 구성된다.[22]

행정적으로 보츠와나는 28개의 구역(District)으로 나뉜다.[24] 각 구역은 구역 관리관(District Commissioner)이 책임자인 구역 행정부에 의해 관리된다.[22]

4. 외교 관계

보츠와나의 외교 정책대통령이 책임지며, 외무부 장관을 통해 수행된다.[33] 보츠와나는 전통적으로 다자주의를 외교의 기본 원칙으로 삼고 있으며,[32] 내륙국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수출 중심 경제 구조는 주변국 및 국제 기구와의 긴밀한 협력을 필수적으로 만들었다.[33][32]

독립 이후 오랫동안 현실주의에 입각한 외교 정책을 펼쳤으나, 이안 카마 대통령 재임 기간에는 인권 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기하는 이상주의적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34]

4. 1.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관계

보츠와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인종 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시행하던 시기에는, 보츠와나는 이러한 차별적 통치에 반대하여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다.[32]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 폐지 이후 자유화되면서 양국 관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4]

4. 2. 짐바브웨와의 관계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자유화되면서 보츠와나의 주요 외교 정책 관심사는 이웃 국가인 짐바브웨의 불안정성으로 옮겨갔다.[4]

4. 3. 국제기구와의 협력

보츠와나의 외교 정책대통령이 책임지며, 외무부 장관을 감독한다. 아프리카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보츠와나의 정치적, 경제적 성공은 보츠와나가 지역 및 세계 문제에서 더 큰 역할을 하도록 이끌었다. 20세기 말까지 보츠와나는 주변 국가 및 국제 기구에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보내기 시작했다.[33] 보츠와나는 외교 정책에서 다자주의를 강조해 왔다.[32] 내륙국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수출 중심 경제는 다른 국가들과 강력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도록 유도했으며,[33] 적은 인구와 불안정한 정부와의 근접성은 보츠와나가 안보와 자원 확보를 위해 국제 기구와 긴밀히 협력하도록 만들었다.[32]

1966년부터 1994년까지 보츠와나와 국경을 접한 국가들은 불안정하거나 보츠와나에 적대적이었다. 보츠와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차별적인 아파르트헤이트 통치 기간 동안 이 국가와 공식적인 관계를 맺지 않았다.[32] 보츠와나는 건국 초기에 군대가 없었다. 보츠와나 방위군은 결국 지역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해 창설되었다.[33] 1994년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민주화되면서 보츠와나의 주요 외교 정책 관심사는 이웃 국가인 짐바브웨의 불안정성이 되었다.[4]

독립 국가로서의 역사 대부분 동안 보츠와나는 현실주의 외교 정책을 펼쳤다. 이안 카마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보츠와나는 인권 침해를 이유로 정부를 정기적으로 비판하는 이상주의 외교 정책으로 전환했다. 이 시기에 보츠와나는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중 국제 형사 재판소를 지지하거나 독재 국가의 인권 침해를 비난하는 유일한 국가인 경우가 많았다.[34]

5. 경제

보츠와나는 혼합 경제 체제를 가진 상위 중소득 국가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손꼽히는 경제 강국 중 하나이다. 1966년 독립 이후 수립된 초기 정부는 국가 개발 계획을 통해 재정 자립을 목표로 하는 경제 정책의 기틀을 마련했다.[31]

독립 초기 보츠와나 경제는 사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1967년 다이아몬드 매장지가 발견되면서 채굴을 통한 상품 경제 중심으로 경제 구조가 재편되었다.[31] 이러한 변화와 함께 자유 시장 원칙과 사유 재산 보호를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정책, 그리고 다이아몬드 수입의 신중한 관리는 이후 수십 년간 높은 경제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4][31] 보츠와나는 탈식민지 이후 급격한 규제나 재분배 정책을 시행하지 않은 드문 사례로 꼽힌다.[4]

하지만 높은 성장에도 불구하고, 도시와 농촌 간의 심각한 소득 불평등과 높은 실업률(2015년 기준 20%)[16]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산업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경제 다변화는 독립 이후 꾸준히 추진되어 온 핵심 정책 목표이지만, 보츠와나 국립 개발 은행, 보츠와나 개발 공사 등 여러 정부 주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있다. 최근에는 경제적 불평등 완화를 위해 재분배 정책을 강화하며 복지 국가로서의 성격을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31]

5. 1. 다이아몬드 산업

1967년 다이아몬드 매장지 발견은 보츠와나 경제의 근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31] 독립 초기 보츠와나 경제는 사육에 크게 의존했으나, 다이아몬드 발견 이후 정부는 채굴을 통한 상품 경제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게 되었다. 이는 기존의 쇠고기 사육, 제조업, 관광 등 소규모 산업을 보완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31]

보츠와나 정부는 신자유주의 정책 기조 아래 자유 시장 경제 원칙을 따르고 사유 재산 보호에 힘썼다. 특히, 탈식민지화 이후 다른 사하라 이남 국가들과 달리 급격한 규제 강화나 재분배 정책을 시행하지 않았다.[4][31] 이러한 정책과 더불어 다이아몬드 산업의 수입을 재정적으로 책임감 있게 관리한 덕분에, 보츠와나는 독립 이후 수십 년간 세계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었다.[4]

그러나 높은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다이아몬드 산업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경제 구조의 취약점으로 지적된다. 보츠와나 정부는 보츠와나 국립 개발 은행, 보츠와나 개발 공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경제 다변화를 꾸준히 시도해왔으나, 아직까지 다이아몬드 산업 의존도를 크게 낮추지는 못했다. 또한,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 불평등 문제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재분배 경제 정책을 강화하며 복지 국가로서의 성격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31]

5. 2. 경제 다변화 노력

보츠와나의 경제는 다이아몬드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러한 단일 산업 의존 구조는 보츠와나 경제의 취약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따라서 경제 구조를 다양화하는 것은 보츠와나 역사 전체에 걸쳐 국가의 중요한 경제 정책 목표 중 하나였다.

1967년 다이아몬드 매장지가 발견되기 전까지 식민지 베추아날란드의 경제는 소 사육에 집중되어 있었고, 이는 독립 초기 보츠와나의 주요 산업이었다. 그러나 다이아몬드 발견 이후 정부는 채굴을 통한 상품 경제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게 되었다.[31]

경제 다변화를 위해 정부는 다른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자 여러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대표적으로 국립 개발 은행, 보츠와나 개발 공사, 재정 지원 정책(Financial Assistance Policy), 그리고 경제 다변화 추진(Promoting Economic Diversification)과 같은 정책들이 추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가 경제가 여전히 다이아몬드 산업에 크게 의존하는 상황을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못했다는 평가가 있다.

5. 3. 사회 문제

보츠와나의 복지 프로그램은 비교적 제한적이며 자산 조사를 거치고, 국가 수준의 사회 보장은 없다.[31] 또한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공공 복지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4]

HIV/AIDS는 이 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보건 문제로, 보츠와나의 HIV/AIDS 유행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 중 하나이다. 특히 1990년대에 유행병 대응 과정에서 외부의 원조를 충분히 받지 못하면서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31]

6. 사회

(내용 없음)

6. 1. 복지 정책

보츠와나는 주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유하여 교육, 보건, 사회 기반 시설과 같은 공공 서비스에 높은 수준의 지출을 할 수 있었다. 2014년 기준으로 교육 및 기술 개발부가 정부 예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31] 독립 이전 50km에 불과했던 포장 도로는 독립 후 50년 동안 약 10000km까지 늘어났다.[4]

보츠와나의 복지 프로그램은 비교적 제한적이며 자산 조사를 거쳐야 하고, 국가 차원의 포괄적인 사회 보장 제도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31] 주로 건조한 환경 탓에 가뭄이 잦아 공공 복지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4] HIV/AIDS는 보츠와나에서 가장 심각한 보건 문제로, 세계적으로도 유행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다. 1990년대 HIV/AIDS 유행 당시 국제 사회의 지원이 부족하여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웠고, 이는 확산의 한 원인이 되었다.[31]

6. 2. 인권

프리덤 하우스는 2022년 세계 자유 보고서에서 보츠와나를 100점 만점에 72점으로 평가하며 '자유 국가'로 분류했다. 정치적 권리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여성과 소수 민족의 정치 참여 부족, 정보 공개법 부재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시민적 권리 역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언론의 자유와 파업권 제한에 대한 우려가 함께 언급되었다.[35] 국제투명성기구는 보츠와나를 아프리카에서 부패가 가장 적은 국가 중 하나로 꾸준히 평가해왔으며,[23] 종종 서유럽의 자유 민주주의 국가들과 비교되기도 한다. 그러나 정부에 대한 견제와 균형 장치가 부족하여 대통령이 정책 결정에 광범위한 재량권을 행사하고 자의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는 점은 잠재적인 문제로 지적된다.[16] 독립 초기, 군사력 증강보다는 공공 사업에 집중했던 정책이 정부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정치적 안정에 기여한 요인으로 평가받는다.[4]

보츠와나의 인권 개념은 서구의 개인주의적 전통보다는 보토 철학(Botho)과 같은 공동체 중심의 전통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이 때문에 시위, 파업, 공개적인 비판 등 직접적인 방식의 인권 운동은 외부에서 유입된 비문명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대신 보츠와나의 활동가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물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인권 증진에 힘쓴다. 인권 관련 비정부 기구(NGO)는 비교적 드문 편이며, 가장 활발한 단체 중 하나는 보츠와나 윤리, 법률 및 HIV/AIDS 네트워크(BONELA)이다. 이 단체는 HIV 대응을 주요 활동으로 삼으면서도 여성, 아동, 성소수자(LGBT) 인권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36]

6. 3. 보토 철학

보츠와나의 인권 개념은 개인주의적 전통보다는 보토 철학과 같은 집단주의적 전통에 의해 형성된다. 시위, 파업, 공개 비판과 같은 인권에 대한 대립적인 접근 방식은 종종 비문명적인 외국의 발명품으로 여겨진다. 보츠와나의 활동가들은 대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한다. 인권 비정부 기구는 보츠와나에서는 비교적 드물다. 가장 활발한 단체 중 하나는 보츠와나 윤리, 법률 및 HIV/AIDS 네트워크로, HIV 대응을 강조하지만 여성, 아동, LGBT 사람들의 권리와 같은 다른 분야도 다룬다.[36]

참조

[1] 논문 'Pre-colonial culture, post-colonial economic success? The Tswana and the African economic miracle: AFRICAN ECONOMIC MIRACLE' https://onlinelibrar[...] 2009-09-14
[2] 논문 State Formation and Governance in Botswana https://academic.oup[...] 2006
[3] 논문 British Bechuanaland: The Price of Protection https://www.jstor.or[...] 1973
[4] 논문 The Political Foundations of Development: The Case of Botswana http://link.springer[...] 2006
[5] 논문 The 2010 split of the Botswana Democratic Party https://www.research[...] 2013
[6] 논문 President Festus Mogae: The Regent Who Became King https://www.jstor.or[...] 2018
[7] 웹사이트 Botswana's Mogae wins $5m award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3-09-30
[8] 논문 Botswana's 2019 General Elections: A Referendum on General Ian Khama https://www.cambridg[...] 2021
[9] 웹사이트 Ex-Botswana president Ian Khama vows to make successor 'one-term' president https://www.news24.c[...] 2023-09-30
[10] 웹사이트 Botswana election: BDP party loses power after nearly six decades to Duma Boko's UDC https://www.bbc.com/[...] 2024-11-02
[11] 웹사이트 Botswana opposition wins election; BDP ousted from power after 58 years https://www.aljazeer[...] 2024-11-02
[12] 뉴스 Botswana president concedes defeat in election after party’s six-decade rule https://www.theguard[...] 2024-11-02
[13] 논문 'The Mutation of Parliament into a "Registration Chamber": Executive Dominance over the Legislature in Botswana' https://www.jstor.or[...] 2013
[14] 간행물 Botswan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9-28
[15] 논문 'A democracy with weak oversight intitutions : an application to the "African miracle", Botswana' https://journals.co.[...] 2014-09-01
[16] 논문 Botswana at 50: democratic deficit, elite corruption and poverty in the midst of plenty 2017-01-02
[17]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parliame[...] 2022-11-14
[18] 논문 How many bicameral legislatures are there? https://doi.org/10.1[...] 2004-12-21
[19] 논문 The Uneasy Relationship Between Parliament and the Executive in Botswana https://www.jstor.or[...] 2013
[2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Botswana http://www.chr.up.ac[...]
[21] 웹사이트 The Hierarchy of the Courts http://www.gov.bw/en[...]
[22] 논문 Role of local government in Botswana for effective service delivery: Challenges, prospects and lessons https://search.infor[...] 2020-08-23
[23] 논문 Is decentralisation in Botswana a democratic fallacy? https://journals.co.[...] 2017
[24] 웹사이트 2022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reliminary Results https://www.statsbot[...]
[25] 보고서 Political Parties in Botswana https://www.africapo[...] Electoral Institute for Sustainable Democracy in Africa 2022-11-14
[26] 논문 The Politics of Opposition Electoral Coalitions and Alliances in Botswana https://www.jstor.or[...] 2016
[27] 웹사이트 'Umbrella for Democratic Change'' party to be registered' https://www.sundayst[...] 2024-03-31
[28] 웹사이트 Umbrella MPs in double membership https://www.mmegi.bw[...] 2024-03-31
[29] 논문 An assessment of Botswana's electoral management body to deliver fair elections https://doi.org/10.1[...] 2015-01-02
[30] 논문 The management of elections: the case of Botswana https://journals.co.[...] 2010
[31] 논문 Weathering the Storm: Botswana's Culture of Care 2014
[32] 논문 Botswana and the Multilateral Foreign Policy 2019
[33] 서적 African Foreign Policies https://www.taylorfr[...] Taylor & Francis
[34] 논문 Botswana's Experimentation with 'Ethical Foreign Policy' https://saccps.org/p[...]
[35] 웹사이트 Botswana: Freedom in the World 2022 Country Report https://freedomhouse[...] 2022-11-15
[36] 논문 Viewing international concepts through local eyes: activist understandings of human rights in Botswana and South Africa https://www.tandfonl[...] 2019-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