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합기업은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 형태로, 대한민국에서는 재벌, 독일에서는 콘체른, 일본에서는 게이레쓰 등으로 불린다.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는 매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을 발표하며,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포스코 등이 대표적인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한다. 복합기업은 다각화를 통해 위험을 분산시키고 내부 자본 시장을 형성할 수 있지만, 관리 비용 증가, 브랜드 희석, 복합 기업 할인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미국에서는 1960년대에 복합기업이 유행했지만, 1970년대에 금리 상승과 함께 쇠퇴했다. 홍콩의 Jardine Matheson, Swire Group, 일본의 게이레쓰, 중국의 Fosun International 등이 대표적인 해외 복합기업 사례이다. 미디어 복합기업은 시너지 창출을 위해 여러 사업을 통합하며, 월트 디즈니 컴퍼니, 컴캐스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인터넷 복합기업은 알파벳(구글의 모회사)과 같이 다양한 온라인 프로젝트를 소유하며, 알트리아 그룹, 네슬레 등은 식품 복합기업의 예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합 기업 - LVMH
LVMH는 1987년 모엣 헤네시와 루이비통의 합병으로 설립된 프랑스의 명품 기업으로, 패션, 가죽 제품, 향수, 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75개 이상의 브랜드를 소유하며, 기업 가치 5,000억 달러를 달성했다. - 복합 기업 - 후지필름
후지필름은 1934년 설립된 일본의 사진 필름 제조 회사로 사진 필름, 디지털 카메라, 의료 영상 장비 등을 생산하며, 사진 필름 시장 축소 후 화장품, 의약품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여 후지필름 홀딩스 산하에 여러 자회사를 두고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 기업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기업 - 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는 1962년 농업협동조합초급대학으로 시작하여 농협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협동조합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농협중앙회에 취업하는 3년제 특수전문대학이다.
복합기업 |
---|
2. 용어 정리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가족 구성원이나 친인척으로 구성된 기업 집단을 '''재벌'''이라고 부른다. 경제계에서 큰 세력을 가진 자본가, 기업가의 무리를 뜻하기도 한다.[46][47][48][49][50][51][52]
독일에서는 '''콘체른(Konzern)'''이라는 용어로 부르기도 한다.[50][53][54]
일본에서는 게이레쓰(系列)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 밖에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집괴 기업[55]
- 카르텔(Cartel)[56]
- 트러스트(Trust)[57]
3. 대한민국의 대규모 기업집단
대한민국의 공정거래위원회는 매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및 공시대상기업집단을 발표하여 대규모 기업집단을 공시한다.[1]
2024년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기준 대한민국의 대규모 기업집단과 지정 해제된 기업은 다음과 같다.
- '''지정 해제'''
- * 현대 (2016)
- * 메리츠금융 (2019, 금융전업)
- * 한진중공업 (2019)
- * 한국투자금융 (2022)
- * 대우건설 (2022)
- * IMM인베스트먼트 (2022)
- * 일진 (2023)
- * 대우조선해양 (2024)
3. 1. 주요 대규모 기업집단 (2024년)
대한민국한국어 공정거래위원회는 매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및 공시대상기업집단을 발표해 대규모 기업집단을 공시한다.2024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지정한 대한민국의 대규모 기업집단은 다음과 같다.
순위 | 기업명 |
---|---|
1 | 삼성 |
2 | SK |
3 | 현대자동차 |
4 | LG |
5 | 포스코 |
6 | 롯데 |
7 | 한화 |
8 | HD현대 |
9 | GS |
10 | 농협 |
11 | 신세계 |
12 | kt |
13 | CJ |
14 | 한진 |
15 | 카카오 |
16 | LS |
17 | 두산 |
18 | DL |
19 | 셀트리온 |
20 | 에이치엠엠 |
21 | 중흥건설 |
22 | 미래에셋 |
23 | 네이버 |
24 | 현대백화점 |
25 | S-OIL |
26 | 부영 |
27 | 쿠팡 |
28 | 금호아시아나 |
29 | 하림 |
30 | SM |
31 | HDC |
32 | 영풍 |
33 | 효성 |
34 | 호반건설 |
35 | DB |
36 | KT&G |
37 | KCC |
38 | 장금상선 |
39 | 교보생명보험 |
40 | 코오롱 |
41 | OCI |
42 | 태영 |
43 | 넥슨 |
44 | 세아 |
45 | LX |
46 | 넷마블 |
47 | 에코프로 |
48 | 이랜드 |
49 | 한국앤컴퍼니 |
50 | 태광 |
51 | 금호석유화학 |
52 | 다우키움 |
53 | 두나무 |
54 | 삼천리 |
55 | 동원 |
56 | KG |
57 | HL |
58 | 한국GM |
59 | 아모레퍼시픽 |
60 | 대방 |
61 | 한국항공우주산업 |
62 | 애경 |
63 | 엠디엠 |
64 | 크래프톤 |
65 | 삼양 |
66 | 보성 |
67 | 동국제강 |
68 | 현대해상화재보험 |
69 | 중앙 |
70 | 글로벌세아 |
71 | 아이에스지주 |
72 | 유진 |
73 | 영원무역 |
74 | DN |
75 | 고려에이치씨 |
76 | 오케이금융그룹 |
77 | BGF |
78 | 대신증권 |
79 | 하이트진로 |
80 | 농심 |
81 | 신영 |
82 | 한솔 |
83 | 반도 |
84 | 삼표 |
85 | 하이브 |
86 | 소노인터내셔널 |
87 | 원익 |
88 | 파라다이스 |
3. 2. 과거 대규모 기업집단 (지정 해제)
4. 외국의 사례
1960년대 미국에서는 ITT, 링 템코 보트 등에서 콩글로머릿(복합기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32] 콩글로머릿은 이업종 간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그룹 전체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콩글로머릿은 이업종 진출의 어려움, 기대했던 시너지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 확대된 그룹의 수익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하지만, 업종을 넘어 시너지 효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기술적인 면과 브랜딩에서 매우 강력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각각 독립된 업무・업종이기 때문에, M&A, 독립, 해체・재편 등 사업 재구축 (리스트럭처링)이 비교적 부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33]
최근 기업들은 변화하는 시장에 대한 유연성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콩글로머릿의 구축과 해체 주기도 1990년대 이후 짧아지고 있지만, 콩글로머릿이라는 거대 기업 형태 자체가 걸림돌이 되는 경우도 많다. 거대 복합 기업체의 전성기는 1960년대~1980년대였다.
일본의 경우 전후 순수 지주회사가 인정되지 않아 복합기업 사례가 많지 않았다. 그러나 1997년 순수 지주회사가 허용된 이후에는 기동적인 M&A가 쉬워지면서 복합기업이 출현하기도 하였다. 2017년에는 스핀오프 세제가 도입되어 회사 분할 시 주식 매각에 대한 과세가 유예되면서 스핀오프가 쉬워졌다.
4. 1. 미국
1960년대 미국에서는 낮은 금리와 약세-강세장이 반복되는 상황 속에서, 기업들이 차입매수를 통해 다른 기업들을 인수하는 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현상은 일종의 "복합기업 유행"으로 불렸으며, 경제 거품의 한 형태로 여겨졌다.[4] 당시 걸프 앤드 웨스턴 인더스트리(Gulf and Western Industries),[6] 링 템코 보우트(Ling-Temco-Vought),[6] ITT,[6] 리튼 인더스트리(Litton Industries),[6] 텍스트론(Textron),[6] 텔레다인(Teledyne)[6] 등이 대표적인 복합기업으로 꼽힌다.이들 복합기업은 인수 대상 기업의 주주들에게 공개 매수를 제안하여 주식을 확보하고, 현금 대신 채권, 워런트 등을 활용하여 거래를 진행했다.[9] 이후 대상 기업의 수익을 자사의 수익에 추가하여 주당 순이익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기업 가치를 높였다.[8]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회계 기준의 허점을 이용한 것이라는 비판도 있었다.[10]
인수합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업 재편은 해당 기업 직원들에게 혼란과 사기 저하를 야기했다.[12] 특히, 복합기업 본사가 주로 미국 서부 해안이나 미국 동부 해안에 위치한 반면, 인수 대상 기업들은 내륙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많은 내륙 도시들이 기업 본사를 잃고 황폐화되기도 했다.[12]
이러한 복합기업 유행은 금리 상승과 함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막을 내렸다.[14] 이후 기업들은 핵심 역량에 집중하고 주주 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하게 되었다.[18][19]
한편, 제너럴 일렉트릭(GE)은 금융 서비스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성공적인 다각화를 이루었다.[21] 또한, 뮤추얼 펀드의 확산으로 투자자들은 복합기업 주식 대신 펀드를 통해 여러 회사에 분산 투자하는 방식을 선호하게 되었다.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는 보험 자회사의 잉여 자본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에 투자하는 지주 회사로, 성공적인 복합기업의 예시로 꼽힌다.
20세기 후반에는 미디어 복합기업이 등장했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컴캐스트, 파라마운트 글로벌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들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유통, 플랫폼 장악 등 여러 영역에서 독점 논란을 빚기도 한다.
4. 2. 일본
일본에서는 전후 순수 지주회사가 인정되지 않아 복합기업 사례가 많지 않았다. 이 시기 대표적인 예로 야마하가 있다. 야마하는 피아노 등 악기 제조를 주력으로 하면서도, '야마하'라는 브랜드명으로 오토바이를 생산했다. 악기 제조와 오토바이 제조는 최종 제품에서 큰 시너지 효과는 없었지만, 악기 생산에서 얻은 강관 가공 기술을 활용해 발동기 부품으로 진출했기 때문에 기술적인 연관성은 있었다. 그러나 오토바이 제조 부문은 스핀오프되어 야마하 발동기로 독립했다. 토요타 자동 방직기 제작소에서 자동차 생산을 하던 시기도 비슷한 사례이다. 섬유 사업을 하던 가네보는 화장품, 의약품, 식품, 주택 사업을 전개하는 "펜타곤 경영"을 실시하여 복합기업의 모습을 보였다.철도 회사가 유원지나 프로 야구단, 백화점을 경영하는 것은 여객 수송 증가를 위한 것이고, NEC가 반도체나 전자 제품을 만든 것은 수직 통합의 사례이며, 유니참이 종이 도매상에서 생리용품 제조를 시작한 것이나 오카모토가 콘돔에서 타이어 생산으로 진출한 것은 인접 분야로의 확장이므로 복합기업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1997년 순수 지주회사가 허용되면서, 적극적인 M&A를 통해 다양한 기업을 산하에 두는 복합기업이 등장했다. 라이브도어는 적극적인 매수를 통해 다양한 기업을 거느렸지만, 경영 실패로 붕괴되었다. USEN은 유선 방송 사업을 주력으로 했으나, 순수 지주회사가 된 후 적극적인 매수를 통해 사업을 확장했지만, 결국 유선 방송 사업 외에는 모두 매각하고 빚을 지게 되었다.
2017년에는 스핀오프 세제가 도입되어 회사 분할 시 주주 등의 주식 매각에 대한 과세가 유예되면서 스핀오프가 쉬워졌다. 2020년 코시다카 홀딩스는 피트니스 사업과 가라오케 사업을 분리하여 복합기업 상태를 해소했다. 이는 일본 기업에서 스핀오프 세제를 활용한 첫 사례였다. 도쿄 전력은 2021년 사업 재편을 통해 복합기업 해소를 발표했지만, 주주들의 반대로 스핀오프 계획이 중지되었다.
2023년에는 부분 스핀오프 제도가 도입되어 감세 요건이 완화되면서, 향후 복합기업이나 자회사 상장 해소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5. 복합 기업의 장단점
복합기업은 여러 사업 부문을 동시에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장점과 단점을 가진다. 1960년대 미국에서 복합기업 유행이 일어났을 때, 많은 기업들이 차입매수를 통해 소규모 기업들을 인수하며 급성장했다. ITT, 링 템코 보우트(Ling-Temco-Vought) 등이[6]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성장은 경제 거품의 한 형태였으며, 금리 상승과 함께 복합기업의 수익은 감소하기 시작했다.[17]
복합기업은 다각화를 통해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 사업 부문이 어려움을 겪더라도 다른 부문의 안정이나 성장을 통해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자본 시장이 발달하지 않은 경우 내부 자본 시장을 창출하여 자본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복합기업은 관리 계층 증가로 인한 비용 증가, 회계 정보 유용성 감소, 경영진의 분석 어려움, 문화적 충돌, 혁신 저해, 집중력 부족, 브랜드 희석, 너무 커서 망할 수 없다는 위험 등 여러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5. 1. 장점
기업은 통상 업무 관계가 있는 회사와 합병하지만, 업무 내용상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기업을 인수하는 등 전혀 다른 업종에 진출하여 기업 그룹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형태를 '''콩글로머릿'''이라고 한다. 콩글로머릿은 이업종 간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그룹 전체의 활성화 (주가나 기업 자산의 안정화, 리스크 헤지 포함)를 기대할 수 있다.업종을 넘어 시너지 효과를 얻었을 경우, 기술적인 면과 브랜딩에서 매우 강력하다. 또한 각각이 독립된 업무・업종이기 때문에, M&A, 독립, 해체・재편 등 사업 재구축 (리스트럭처링)이 비교적 부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적극적으로 시도되었다.[33]
5. 2. 단점
복합기업은 여러 사업 부문을 운영하면서 다음과 같은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단점 |
---|
추가적인 관리 계층으로 인한 비용 증가 |
사업별 구분이 어려워 회계 정보의 유용성 감소 |
복잡성으로 인해 경영진, 투자자, 규제 기관의 분석 어려움 |
서로 다른 사업 부문 간 문화적 충돌 가능성 |
혁신 개발 저해 가능성 |
관련 없는 사업 관리로 인한 집중력 부족 |
브랜드 희석 가능성 |
"너무 커서 망할 수 없다"는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 |
복합기업은 사업 간의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지 않고, 오히려 복잡성이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주가가 본질적 가치보다 낮아지는 "복합기업 할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35] 예를 들어, 과거 이토요카도는 저평가주, 세븐일레븐은 성장주로 여겨졌으나, 지주회사인 세븐&아이 홀딩스 통합 후 주가가 하락했는데, 이는 복합기업 할인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35]
6. 미디어 복합기업
1999년 나오미 클라인의 저서 ''노 로고''에서는 미디어 기업 간의 여러 합병 및 인수 사례를 통해 기업 간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복합기업'''을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 워너미디어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인터넷 접속, 콘텐츠, 영화, 케이블 시스템, 텔레비전 등 여러 사업을 포함했다. 이러한 다양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통해 교차 홍보와 규모의 경제를 달성했다. 그러나 이 회사는 2004년 이후 워너 뮤직 그룹, 워너 북스, AOL, 타임 워너 케이블, 타임을 포함한 많은 사업체를 매각하거나 분사했다.
- 클리어 채널 커뮤니케이션은 한때 다양한 TV 및 라디오 방송국과 광고판 사업을 소유했으며, 미국 전역의 많은 콘서트장과 영국 및 기타 국가의 다양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소유한 공개 회사였다. 이 하나의 기업에 협상력이 집중되면서 모든 사업 부서에 더 나은 거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국에서 플레이리스트(주장에 따르면, 때로는 블랙리스트 위협과 결합됨)를 약속하여 엔터테인먼트 부서가 조직한 이벤트에 출연하는 아티스트로부터 더 나은 거래를 확보했다. 이러한 정책은 불공정하고 심지어 독점적이라고 비판을 받았지만, 복합 기업 전략의 분명한 이점이다. 2005년 12월 21일, 클리어 채널은 라이브 네이션의 자산 매각을 완료했으며, 2007년에는 TV 방송국을 다른 회사에 매각했는데, 그중 일부는 클리어 채널이 소규모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라이브 네이션은 이전에 클리어 채널 커뮤니케이션이 소유했던 이벤트 및 콘서트장을 소유하고 있다.
- '''미디어 복합 기업의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4대 주요 미디어 복합 기업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 컴캐스트,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및 파라마운트 글로벌이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아메리칸 방송 회사(ABC)와 연결되어 약 360억달러의 매출을 올리는 최대 미디어 기업을 만들었다. 월트 디즈니가 ABC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뉴스 및 프로그램을 통제한다. 또한 월트 디즈니는 700억달러 이상에 폭스의 대부분을 인수했다. 제너럴 일렉트릭이 NBC를 소유했을 때, NBC에서 제너럴 일렉트릭에 불리한 보도를 허용하지 않았다. (NBC유니버설은 현재 컴캐스트가 소유하고 있다).[28] 비아컴은 2019년 CBS와 합병하여 비아컴CBS가 되었으며(현재 파라마운트 글로벌), 2000년에는 비아컴이 생존 회사로 합병되었지만, 비아컴은 당시 FCC 규정으로 인해 2006년에 CBS를 매각했다.
7. 인터넷 복합기업
알파벳(구글의 모회사)[29]과 같은 기업들은 현대 미디어 복합 기업 그룹에 속하며, 브랜드 관리와 같은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터넷 복합 기업으로, 비교적 새로운 발전이다. 대부분의 경우 인터넷 복합 기업은 여러 개의 중소 규모 온라인 또는 하이브리드 온라인-오프라인 프로젝트를 소유한 기업으로 구성된다. 많은 경우, 새로 합류한 기업들은 더 높은 투자 수익률, 사업상의 연락처 접근, 그리고 다양한 은행으로부터 더 나은 대출 금리를 얻게 된다.[30]
8. 식품 복합기업
참조
[1]
웹사이트
Conglomerate Boom: What It Is, How It Works, Example
https://www.investop[...]
2024-05-16
[2]
논문
The Decline and Fall of the Conglomerate Firm in the 1980s: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an Organizational Form
https://www.jstor.or[...]
1994
[3]
웹사이트
Conglomerate
https://www.investop[...]
2023-11-23
[4]
서적
Deep Value: Why Activist Investors and Other Contrarians Battle for Control of Losing Corpor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09-29
[5]
뉴스
The Forgotten History of How 1960s Conglomerates Derailed the American Dream
https://www.saturday[...]
Saturday Evening Post Society
2018-11-01
[6]
간행물
1989
[7]
서적
The New Reality of Wall Street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20-10-11
[8]
서적
Deep Value: Why Activist Investors and Other Contrarians Battle for Control of Losing Corpor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09-29
[9]
서적
The Go-Go Years: The Drama and Crashing Finale of Wall Street's Bullish 60s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20-09-28
[10]
서적
The Go-Go Years: The Drama and Crashing Finale of Wall Street's Bullish 60s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20-09-28
[11]
서적
The Go-Go Years: The Drama and Crashing Finale of Wall Street's Bullish 60s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20-09-28
[12]
서적
The Go-Go Years: The Drama and Crashing Finale of Wall Street's Bullish 60s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20-09-28
[13]
서적
The Go-Go Years: The Drama and Crashing Finale of Wall Street's Bullish 60s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20-09-28
[14]
서적
The Go-Go Years: The Drama and Crashing Finale of Wall Street's Bullish 60s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20-09-28
[15]
서적
Deep Value: Why Activist Investors and Other Contrarians Battle for Control of Losing Corpor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09-29
[16]
서적
The New Reality of Wall Street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20-10-11
[17]
웹사이트
Hitachi Ltd – Company Profile; Information, Business Description, History, Background Information on Hitachi, Ltd
http://www.reference[...]
2010-08-25
[18]
서적
Mergers and Acquisitions from A to Z
https://books.google[...]
AMACOM Books
2024-06-19
[19]
서적
The Innovator's Solution: Creating and Sustaining Successful Growth
https://books.googl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24-06-19
[20]
뉴스
China conglomerate Fosun to scour for deals with $1bn fund
http://www.ft.com/in[...]
2012-06-24
[21]
웹사이트
Conglomerates: Cash Cows or Corporate Chaos?
http://www.investope[...]
2009-05-28
[22]
뉴스
BP to strip out four layers of management
http://business.time[...]
2007-09-25
[23]
뉴스
Culture clash: The risks of mergers
http://news.bbc.co.u[...]
2000-01-17
[24]
논문
Surviving Post-merger 'Culture Clash': Can Cultural Leadership Lessen the Casualties?
[25]
웹사이트
Innovation and Inertia
http://ecorner.stanf[...]
[26]
웹사이트
Conglomerate
http://moneyterms.co[...]
2009-05-28
[27]
웹사이트
Conglomerate Discount
http://www.investope[...]
2015-03-31
[28]
웹사이트
How Comcast 'Stole' NBCUniversal From General Electric
https://www.forbes.c[...]
2024-12-13
[29]
웹사이트
G is for Google
https://googleblog.b[...]
2018-05-02
[30]
웹사이트
What Are the Sources of Funding Available for Companies?
https://www.investop[...]
2024-12-13
[31]
문서
KDDI
[32]
웹사이트
わが国のM&Aの動向と課題
http://www.esri.go.j[...]
経済社会総合研究所
2013-03-23
[33]
citation
マネジメントの日米逆転が始まる-その9
https://www.jipangu.[...]
[34]
서적
潰えた野望-なぜバーグマスター社は消えたのか
ダイヤモンド社
1992
[35]
웹사이트
コングロマリットとは?主な手法や効果、注意点、企業事例を紹介
https://izul.co.jp/m[...]
2023-06-30
[36]
뉴스
東芝分割
日本経済新聞
2021-11-25
[37]
웹사이트
子会社株式の現物配当(株式分配型スピンオフ)及び特定子会社の異動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pdf.irpocket[...]
株式会社コシダカホールディングス(2019年10月10日作成)
2020-01-26
[38]
웹사이트
スピンオフ税制、初の適用 コシダカHD、傘下事業を分離上場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2019年10月10日作成)
2020-01-26
[39]
웹사이트
http://www.moneyterm[...]
[40]
웹사이트
http://www.investope[...]
[41]
웹사이트
복합 기업 :: 네이버 영어사전
http://endic.naver.c[...]
[42]
문서
국립 국어원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43]
문서
국립 국어원
https://stdict.korea[...]
[44]
웹사이트
http://www.investope[...]
[45]
문서
기업 형태
http://www.encyber.c[...]
두산 백과사전
[46]
문서
국립 국어원
https://stdict.korea[...]
[47]
문서
국립 국어원
https://stdict.korea[...]
[48]
문서
국립 국어원
https://stdict.korea[...]
[49]
문서
국립 국어원
http://korinfo.sejon[...]
[50]
문서
재벌
http://www.encyber.c[...]
두산 백과사전
[51]
문서
한국의 재벌
http://www.encyber.c[...]
두산 백과사전
[52]
문서
재벌 해체
http://www.encyber.c[...]
두산 백과사전
[53]
문서
국립 국어원
https://stdict.korea[...]
[54]
문서
세계의 재벌
http://www.encyber.c[...]
두산 백과사전
[55]
문서
복합 기업
http://www.encyber.c[...]
두산 백과사전
[56]
문서
카르텔
http://www.encyber.c[...]
두산 백과사전
[57]
문서
트러스트
http://www.encyber.c[...]
두산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