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마라 (러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라는 러시아의 볼가강과 사마라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사마라주의 행정 중심지이다. 1586년 요새 건설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볼가 지역의 주요 산업, 교통, 교육 및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한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빵 거래, 밀가루 제분업을 통해 경제가 크게 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련의 임시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다. 현재는 우주 발사체, 항공기, 화학 제품 등을 생산하는 주요 산업 도시이며, 2018년 FIFA 월드컵 경기가 열린 곳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마라 - 사마라 문화
    사마라 문화는 기원전 5천 년 초 볼가강 중류 지역에서 번성했으며, 독특한 도자기, 동물 희생 흔적, 말 매장 유적과 쿠르간 형태의 무덤, 다양한 부장품 등이 특징인 채석기 시대 문화이다.
  • 러시아의 주도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주도 - 오룔
    오룔은 러시아 오룔 주의 주도로, 1566년 요새로 건설되어 곡물 생산 및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혼란과 전쟁을 거쳐 재건되어 현재는 교육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도시이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사마라 (러시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주요 정보
볼가 강을 따라 보이는 사마라 전경
상단: 볼가 강을 따라 보이는 사마라 전경
사마라의 [[소유스 (로켓)|소유스 발사체]] 기념물
중간: 사마라 성심 교회, 소유스 발사체 (왼쪽에서 오른쪽)
사마라 성심 교회
중간: 사마라 성심 교회, 소유스 발사체 (왼쪽에서 오른쪽)
사마라 기차역
하단: 사마라 기차역, 사마라 지역 미술관 (왼쪽에서 오른쪽)
사마라 지역 미술관
하단: 사마라 기차역, 사마라 지역 미술관 (왼쪽에서 오른쪽)
공식 명칭Самара (사마라)
이전 명칭Куйбышев (쿠이비셰프)
위치러시아사마라주
도시 지위 획득1688년
건립1586년
시장옐레나 라푸시킨나
대표 기관사마라 도시 자치구 두마
행정 구역
연방 주체사마라주
자치구사마라 도시 자치구
행정 중심지사마라주
볼시스키 구
사마라 주 직할시
면적
총 면적541.382 제곱킬로미터
인구
2010년 인구 조사1,164,685명
인구 순위러시아 내 6위
2021년 추정 인구1,144,759명
광역 도시권 인구1,218,931명
일반 정보
시간대사마라 시간
우편 번호443XXX
지역 번호846
기타
웹사이트사마라 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사마라(러시아어: Самара)는 볼가강사마라강의 합류점에 위치한 도시이다. 도시의 이름은 인도이란어족에서 "여름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마라강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3] 이 지역은 기원전 5천년 경 사마라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쿠르간 가설에서는 원시인도유럽어 사용 지역과 관련짓기도 한다.[14]

사마라의 공식적인 역사는 1586년 러시아 남동부 국경 방어와 수로 교통 확보를 위한 요새 건설로 시작되었다.[6] 이후 볼가강 수운의 발달과 함께 러시아와 동방을 잇는 중요한 교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1851년에는 사마라 현의 중심지가 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는 곡물 거래와 제분업을 중심으로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러시아의 시카고"로 불리기도 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을 겪었으며, 1935년에는 볼셰비키 지도자 발레리안 쿠이비셰프를 기리기 위해 '''쿠이비셰프'''(Куйбышев)로 개명되었다.[2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모스크바 함락 시 소련의 임시 수도로 지정되어 정부 기관과 외교 사절단이 이전하기도 했다.[21][22] 전쟁 이후에는 항공 우주 산업을 포함한 군수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하며 폐쇄 도시로 지정되었다. 특히 인류 최초의 유인 우주선 발사체인 보스토크 로켓이 이곳에서 제작되었다.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도시 이름은 다시 '''사마라'''로 변경되었다. 현재 사마라는 러시아의 주요 산업 도시 중 하나이며, 다민족이 공존하는 역사·문화 도시로서의 면모도 지니고 있다.[39] 2018년 FIFA 월드컵 개최 도시 중 하나였으며, "노동 및 전투 영광의 도시"(2016년) 및 "노동 영웅 도시"(2020년) 칭호를 받았다.

2. 1. 초기 역사

사마라강의 이름은 인도이란어족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여름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3] 전설에 따르면 1357년 키예프의 알렉시우스 대주교가 이곳을 방문하여 큰 도시가 세워지고 결코 파괴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한다. 볼가강의 항구였던 사마라는 14세기 이탈리아 지도에도 등장한다.[6]

1905년 소보르나야 거리와 말 트램


사마라의 공식적인 역사는 1586년 볼가강사마라강이 만나는 합류점에 요새가 건설되면서 시작되었다.[6] 이 요새는 당시 러시아의 남동부 국경을 유목민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고, 카잔아스트라한 사이의 수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했다. 또한 동방 민족과의 교역 거점이기도 했으며, 1600년에는 세관이 설치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사마라 항구를 이용하는 선박이 늘어났고, 도시는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중동 지역을 잇는 외교 및 경제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한편, 사마라는 스테판 라진예멜리얀 푸가초프가 이끈 농민 반란군에게 문을 열어 전통적인 빵과 소금으로 환영하기도 했다. 표트르 대제를 비롯한 후대의 차르들도 이곳을 방문했다.[16][17]

1780년 사마라는 심비르스크를 중심으로 한 심비르스크 현의 우예즈드(군) 중심 도시가 되었고, 재판소와 재무 위원회 등이 설치되었다. 1851년 1월 1일에는 새로 설치된 사마라 현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당시 인구는 약 2만 명이었다. 현의 중심지가 되면서 사마라의 경제, 정치, 문화 발전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1877년 러시아-투르크 전쟁 중에는 표트르 알라빈이 이끄는 사마라 시 두마 대표단이 불가리아에 사마라에서 제작된 깃발을 전달하며 양국의 연대를 상징하기도 했다.[19]

사마라의 옛 맥주 공장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사마라는 곡물 거래와 제분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크게 성장했다. 1880년대에는 사마라 맥주 공장이 세워졌고, 파스타, 철강, 제과, 성냥 공장 등 식품 공업과 경공업이 번성했다. 1877년에는 오렌부르크와의 철도가 개통되었고, 스보친, 크룰린, 시호발로프, 스미르노프 가문 등이 운영하는 상사들은 러시아뿐 아니라 해외에도 농산품과 식품을 수출하며 명성을 얻었다. 또한 석탄 산지인 돈바스와 금속 산지인 우랄 산맥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금속 공업과 기계 공업도 발달했다. 이러한 급속한 성장은 당시 빠르게 발전하던 미국의 도시들에 비견되어 "러시아의 뉴올리언스", "러시아의 시카고"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20세기 초 사마라의 인구는 10만 명을 넘어섰고, 볼가 지방의 중요한 교역 및 산업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2. 2. 소련 시대

1935년, 사마라는 볼셰비키 지도자 발레리안 쿠이비셰프를 기리기 위해 '''쿠이비셰프'''(Куйбышев)로 개명되었다.[20][49]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모스크바가 독일군에게 함락될 경우를 대비하여 쿠이비셰프는 소련의 임시 수도로 지정되었다.[21] 1941년 10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부 기관, 외교 사절단, 주요 문화 기관 등이 이곳으로 이전했다.[22][49] 이오시프 스탈린을 위한 스탈린 벙커가 건설되었으나 실제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전시 임시 수도로서의 역할을 기념하기 위해 1941년 11월 7일 도시의 쿠이비셰프 광장에서 혁명 기념일 군사 퍼레이드가 열렸으며, 이는 2011년부터 매년 기념 퍼레이드로 이어지고 있다. 1942년 3월 5일에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제7번 "레닌그라드"가 사무일 사모수드의 지휘와 볼쇼이 극장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쿠이비셰프 오페라 발레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쿠이비셰프는 소련의 주요 산업 중심지로서 전쟁 수행 능력에 크게 기여했다. 전쟁 초기부터 항공기, 총기, 탄약 등을 생산하여 전선에 공급했으며, 도시의 의료 시설 대부분은 후송 병원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폴란드군과 체코슬로바키아군 부대가 볼가 군관구 내에서 창설되기도 했다. 많은 쿠이비셰프 시민들이 자원하여 전선에서 싸웠다. 1943년 여름, 모스크바에 대한 위협이 감소함에 따라 수도 기능은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갔다.[22]

예수 승천 교회


1908년 사마라, 알렉산드르 2세 기념비


사마라의 회당


사마라의 고층 주택 지구, 겨울에 얼어붙은 볼가 강에서 바라본 모습


전후 쿠이비셰프에서는 방위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기존 공장들이 군수 생산 시설로 전환되고 새로운 공장들이 건설되면서, 쿠이비셰프는 외국인의 방문이 금지된 폐쇄 도시가 되었다. 1960년대에는 소련의 미사일 방어 및 우주 산업의 핵심 중심지로 부상했다. 인류 최초의 유인 우주선 발사체인 보스토크 로켓이 사마라의 프로그레스 공장에서 제작되었다. 1961년 4월 12일, 인류 최초의 우주 비행사인 유리 가가린은 우주 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한 후 쿠이비셰프에서 휴식을 취했으며, 프로그레스 공장 노동자들과의 즉석 만남에서 연설하기도 했다. 쿠이비셰프의 기업들은 소련 항공 산업 발전과 우주 프로그램 실현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대조국 전쟁 시기 쿠이비셰프의 역할을 상징하는 기념물 중 하나로 일리우신 Il-2 공격기가 있다. 1942년 말 쿠이비셰프에서 조립된 이 항공기는 1943년 카렐리야 상공에서 격추되었으나, 조종사 K. 코틀랴로프스키가 인근 호수에 불시착시켰다. 이 기체는 1975년 쿠이비셰프로 옮겨져 복원되었으며, 전쟁 중 후방 노동자들과 공군 조종사들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물로서 주요 도로 교차로에 전시되어 있다.

2. 3. 소련 붕괴 이후

1991년 1월, 도시 이름이 쿠이비셰프에서 역사적인 이름인 '''사마라'''로 다시 변경되었다. 사마라는 러시아의 주요 산업 도시 중 하나이며, 다양한 민족이 함께 거주하는 다민족 도시이기도 하다.[39] 특히 다수의 석유 및 석유화학 기업을 기반으로 이 지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18년에는 FIFA 월드컵 개최 도시 중 하나로 선정되어, 사마라 아레나에서 경기가 열렸다.

사마라는 도시의 발전을 기념하는 여러 칭호를 받았다. 2016년 9월에는 "노동 및 전투 영광의 도시"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2020년 7월 2일에는 "노동 영웅 도시" 칭호가 추가로 수여되었다. 2021년 12월 10일, 노동 영웅 도시 선정을 기념하는 단지가 젊은 개척자 대로의 노동 영광의 거리에 설치되었으며, 이 단지의 중심에는 약 26m 높이의 유리 및 금속 비석이 세워졌다.

3. 지리

사마라는 볼가강과 사마르카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스텝 지형의 특성을 보인다.[23] 이러한 지리적 위치는 초기 정착촌 형성의 중요한 요인이었다. 기후는 대륙성 기후로,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추운 특징을 나타낸다. 자세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과정 및 기후 특성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도시 배치

사마라의 도시 개발은 16세기 사마라 요새 건설과 함께 시작되었다. 요새 건설 이전에는 이 지역에 볼가강 선박을 위한 부두가 있었다. 1586년 차르 표도르 이오안노비치의 칙령으로 공식적인 정착촌이 건립되었다. 도시의 위치는 유목 부족의 습격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 중부 및 하부 볼가 지역으로 러시아 국가를 확장하며, 볼가강과 사마르카강의 교차점에 위치한 스텝 지형의 이점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적 고려에 따라 결정되었다.[23]

요새는 11개의 탑을 갖춘 목조 건물로 해자와 도랑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면적은 5.2ha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요새 인구가 증가하고 주변 지역이 개발되었다.[23] 1586년 요새 건설과 동시에 볼가강 경사면에는 볼디르스카야 슬로보다(정착촌)가, 1645년경 볼가강 상류에는 보즈네센스카야 슬로보다가 형성되었다. 17세기 동안 이 정착촌들은 하나로 통합되었다.[24]

1688년, 정착촌은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이에 따라 첫 번째 경계 계획 수립이 필요해졌다. 18세기 초까지 도시는 볼가강 경사를 따라 좁은 띠 형태로 발달했다. 1703년부터 1706년까지 이전 요새 동쪽에 흙으로 된 다이아몬드 모양의 새로운 요새가 건설되었다. 당시 도시 배치는 체계적이지 않았고 기묘한 모양의 작은 블록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대부분 지역은 주거 건물로 채워졌고, 행정, 상업, 군사 건물은 요새에 집중되었다. 볼가강과 사마르카강 연안 지역은 선착장과 창고가 차지했다. 1717년 사마라에는 210채의 필리스틴(도시민) 가옥과 17채의 야사크(공납) 농민 가옥이 있었다. 국경 지대에 위치한 탓에 도시 성장은 더뎠으며, 18세기 말까지 면적은 61.2ha에 불과했고 볼가강을 따라 밀집된 형태를 유지했다.[23]

1763년, 예카테리나 2세 여제는 모든 도시에 대해 건물 및 거리에 대한 특별 계획 수립을 명령했다. 1770년대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모스크바의 석조 건물 위원회" 주도로 지방 도시 재건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었고, 이 시기에 사마라의 첫 번째 마스터 플랜 개발이 시작되었다. 1764년 정착촌으로 행정적 지위가 변경되었으나, 1780년 다시 군(郡) 도시 지위를 회복했다. 1765년과 1772년에는 대규모 화재 피해를 겪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782년, 사마라는 거리의 직사각형 격자 구조를 갖춘 첫 번째 마스터 플랜을 받게 되었다.

이 계획에 따라 도시 영토는 전면적인 재개발을 거쳤으며, 일부 교회, 가옥, 요새를 제외한 모든 건물이 철거되었다. 1796년에는 첫 번째 계획과 유사한 두 번째 재건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 결과 1804년까지 사마라의 면적은 70.4ha로 증가했다. 도시 북부는 130m × 260m 크기의 직사각형 구획을 기반으로 계획되었으나, 남부는 불규칙한 형태를 유지했다. 이 시기 주요 건물은 저층의 개인 주택 단지였다. 거리 방향은 '사마라 분기점'이라 불리는 수로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었다. 도시는 주거 지역(상업 시설 포함), 행정 및 종교 건물 구역 등으로 기능적으로 나뉘었다. 커뮤니티 센터는 교회 주변과 선착장에 위치했으며, 대장간은 도시 외곽에 자리 잡았다. 요새는 주거, 행정(사무실, 감옥, 창고), 공공(법원, 사상), 상업, 산업(창고, 부두, 대장간) 구역으로 나뉘어 3.6ha를 차지했다.[23]

1804년, 이전 계획을 모델로 삼아 사마라의 재건 및 확장을 위한 새로운 계획이 수립되었다. 도시 남쪽의 오래된 건물들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규칙적인 배치가 도입되었다. 1839년까지 이 계획은 거의 완전히 실행되어 사마라의 면적은 3.5배 증가한 246.4ha에 달했다. 도시는 볼가강과 사마르카강 사이 분수령 전체를 차지하게 되었고, 강둑에는 선착장, 곡물 창고, 창고, 소규모 산업 시설들이 들어섰다. 사마라 요새는 여전히 남아 있었지만 그 중요성은 점차 상실했다.

1840년 승인된 새로운 개발 계획에 따라 도시 영토는 기존 계획 구조를 유지하면서 분수령을 따라 더욱 확장되었다. 이 계획은 당시 목조 건물이 우세했던(석조 가옥은 10% 미만) 특성을 반영했다. 구획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되었고, 도시는 인접 농지를 편입하며 성장했다. 주요 무역 중심지로서 철도 건설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사마라는 1851년 지방 도시 지위를 획득했다. 1853년의 일반 계획은 도시 경계 내 건물만 규제했으나, 실제로는 혼란스럽게 성장하며 무두질 공장, 정유 공장, 벽돌 공장, 제분소 등 수많은 산업 시설이 들어섰다. 볼가강을 이용한 항해가 발달하면서 부두, 창고, 제재소 등이 볼가강 해안 전체를 차지하게 되었다. 1875년부터 1877년까지 오렌부르크로 향하는 사설 철도가 사마라강을 따라 건설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의 주거 지역은 스트루코프스키 정원의 작은 부분을 제외하고는 산업화된 강변과 분리되었다. 19세기 말까지 사마라는 (18세기 말 이전에 형성된 자사마르스카야 정착촌 제외) 규칙적인 계획을 갖춘 단일 계획 공간으로 발전했다.

쿠이비셰프(1935년부터 1991년까지 사마라의 명칭)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1956년까지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마스터 플랜 "대 쿠이비셰프"가 개발되었다. 이 계획은 도시를 주요 산업 중심지로 만들고 상당한 확장을 목표로 했다. 주요 구성 축은 볼가강과 사마라강의 분수령을 따라, 그리고 노보-사도바야 거리를 따라 설정되었다. 사마라 광장과 식물원 지역이 주요 도시 중심지로 강조되었다. 기존 역사적 건물들은 개조 및 재개발되었고, 새로운 공공 및 문화 시설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오래된 묘지와 교회들이 철거되었다.[23]

대조국 전쟁(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계획의 완전한 실행은 중단되었다. 1940년대에 대규모 방위 공장들이 쿠이비셰프로 이전하면서 전쟁 중과 전후 몇 년 동안 도시 면적이 50% 증가하여 1940년대 말에는 6651.3ha에 달했다. 공장들은 기존 도시의 동쪽, 철로를 따라 빈 지역에 배치되었고, 공장과 구 시가지 사이에는 새로운 주거 지역이 형성되었다. 새로운 건설은 인접 교외와 더 먼 주변 지역에서도 이루어졌다.

1949년에는 사마라의 새로운 일반 계획이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교통 시스템(새로운 고속도로 건설)이 개발되었고, 새로운 산업 및 주거 지역인 베짐얀카가 건설되었으며, 새로운 지역 개발과 함께 '마이크로 지구'(소규모 주거 단위) 개념이 도입되었다. 키롭스키 구역, 크랴시 마을, 드라이 사마르카 어귀 등이 건설되며 도시 개발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쿠이비셰프 광장과 차파예프 광장의 재건축, 중앙 문화 휴식 공원(TsPKiO) 조성 등 조경 작업도 이루어졌다. 새로운 도시 구조는 지역 사회 센터와 주요 고속도로를 통해 외딴 지역과 역사적 중심지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었다.[23]

그러나 1950년대 말까지 도시는 대규모 산업 기업 주변에 흩어져 있는 노동자 정착촌의 집합체 형태를 띠었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구 시가지(역사적인 상업 중심지)와 새로운 베짐얀카 산업 지구(사회주의 도시)라는 두 개의 중심지가 핵심 역할을 했다. 베짐얀카는 철도 노선과 버스 노선으로 구 시가지와 연결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이중 구조는 20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25]

1950년대 건설 과정에서 지역 건축가들은 노동자 정착촌들을 단일 도시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뛰어난 건축 앙상블을 형성했다. 혁명 광장, 쿠이비셰프 광장, 사마르스카야 광장, 차파예프 광장, 농업 광장, 키로프 광장, 포베다 거리, 키로프 거리, 금속 노동자 거리, 유니크 파이어니어스 거리, 쿠이비셰프 거리, 노보-사도바야 거리, 마슬렌니코프 거리, 소비에트 군대 거리 및 볼가 제방의 건물들이 대표적인 예이다.[25]

3. 2. 기후

사마라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fb'', ''Dfa'' 경계)를 보인다.[54] 볼가강과 가까워 여름철 습도가 다른 많은 러시아 도시보다 높은 편이며, 연중 29%에서 98% 사이를 오간다.[54] 내륙에 위치하여 여름은 덥고 겨울은 매우 추운 특징을 가지며, 2010년 러시아 열파 당시에는 40.4°C의 최고 기온이 기록되기도 했다.[54] 건조한 특성 때문에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다.

사마라의 기후 (1991년~2020년, 극값 1852년~현재)
구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역대 최고 기온 (°C)5.2°C6.8°C18.6°C31.1°C35.9°C38.4°C39.4°C39.9°C34°C26°C14.7°C7.3°C39.9°C
월평균 최고 기온 (°C)-6.7°C-5.8°C0.9°C12.4°C21.4°C25.3°C27.3°C25.5°C19°C10.3°C0.7°C-5.2°C10.4°C
일평균 기온 (°C)-9.6°C-9.3°C-2.9°C7.5°C15.6°C19.8°C21.9°C19.9°C13.8°C6.5°C-1.7°C-7.8°C6.1°C
월평균 최저 기온 (°C)-12.3°C-12.5°C-6.2°C3.2°C10.3°C14.7°C16.8°C15°C9.6°C3.5°C-3.8°C-10.2°C2.3°C
역대 최저 기온 (°C)-44°C-36.9°C-36.1°C-20.9°C-4.9°C-0.4°C6°C4.1°C-3.4°C-15.7°C-28.1°C-41.3°C-44°C
평균 강수량 (mm)564442403848474146494652549
평균 강수일수 (≥ 0.1 mm)43511141514121414106122
평균 강설일수242014410.1000.341522104
평균 상대 습도 (%)83807967586467697376838374
평균 월간 일조시간 (시간)6410214921430530331027519010847462,113
출처: Pogoda.ru.net,[26] NOAA (일조시간, 1961년~1990년)[27]


4. 행정

사마라는 오블라스트의 행정 중심지이며,[28] 러시아의 행정 구역 체계 내에서 볼시스키군의 행정 중심지 역할도 수행하지만,[29] 군에는 직접 속하지 않는다.[30] 행정 구역상으로는 두 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인 '''사마라시'''로 별도로 통합되어 있으며,[28] 지방 자치체로서는 '''사마라 도시 구'''로 통합되어 있다.[31]

4. 1. 행정 구역

사마라는 오블라스트의 행정 중심지이다.[28] 러시아의 행정 구역 체계 내에서 볼시스키군의 행정 중심지 역할도 수행하지만,[29] 볼시스키군에 직접 속하지는 않는다.[30] 행정 구역상 사마라는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인 '''사마라시'''로 별도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군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행정 단위이다.[28] 지방 자치체로서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인 사마라는 '''사마라 도시 구'''로 통합되어 운영된다.[31] 2015년 4월에는 사마라 내 9개 구가 지방 자치체 지위를 부여받았다.[31]

4. 2. 시의회 (두마)

'''사마라 도시 구의 두마'''(Дума городского округа Самара|듀마 고로츠코고 오크루가 사마라ru)는 러시아 사마라의 단원제 시 의회이다. 총 37명의 의원이 5년 임기로 선출된다.

1870년, 그 해의 행정 개혁에 따라 사마라 시 의회가 처음 설립되었다.[33]

2015년부터는 2단계 선거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먼저 구 의원을 선출한 뒤, 이들이 시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방식이다.[32] 2019년 법 개정으로 2단계 시스템은 유지되었으나, 의원 정수는 기존 41명에서 37명으로 줄었다.

2020년에는 210명의 구의원이 선출되었고, 이들이 다시 37명의 시의회 의원을 선출했다.[34] 다음 선거는 2025년에 있을 예정이다.

2020년 선거 결과 각 정당별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의석
통합 러시아29
러시아 연방 공산당3
정의 러시아2
러시아 자유민주당2
로디나1


5. 인구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사마라의 인구는 1,173,393명으로, 2010년의 1,164,685명보다 증가하였다.

'''연도별 인구 변화'''
연도인구
189790,000
1926171,818
1939390,488
1959806,356
19701,044,849
19791,216,233
19891,254,460
20021,157,880
20101,164,685
20211,173,299



출처: 인구 조사 데이터

202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36]

민족 집단인구비율
러시아인979,10391.8%
타타르인29,5352.8%
아르메니아인6,0420.6%
우즈벡인5,9970.6%
타지크인5,6310.5%
기타40,2623.8%


5. 1. 종교

사마라의 성 게오르기 교회


사마라는 다양한 종교 단체가 공존하는 다종교 도시이다. 다수의 정교회 기독교 신자를 비롯하여, 소수의 아르메니아 사도 기독교 신자, 가톨릭 신자, 개신교 신자, 무슬림, 유대교 신자 등이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2009년 이후 러시아에서 시행된 "반(反) 극단주의" 법으로 인해 소수 종교에 대한 탄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마라의 지방 정부와 법원은 여호와의 증인의 법적 지위("지방 종교 단체" 또는 "LRO")를 박탈하고 해당 단체를 "극단주의" 단체로 지정하는 등 탄압의 대상으로 삼았다.[37] 2016년 11월, 러시아 연방 대법원은 사마라 지부의 여호와의 증인을 극단주의 조직으로 규정하고 활동을 금지한 사마라 지방 법원의 판결을 최종 확정했다.[38]

6. 경제

사마라는 볼가 지역의 주요 산업 중심지이며, 국민 소득과 산업 생산량 측면에서 러시아 상위 10개 도시에 속한다.

사마라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우주 및 항공 산업이 발달하여, 프로그레스 로켓 우주 센터에서는 우주 발사체, 인공위성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쿠즈네초프 설계국은 엔진을, 아비아코르는 항공기를 생산한다. 또한 압연 알루미늄과 블록 모듈 발전소 생산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39]

금속 및 기계 산업 분야에서는 볼가케이블, 사마라 케이블 회사 등에서 케이블을 생산하며, 다양한 크기의 베어링, 드릴 비트, 자동 전기 장비, 비행장 장비(스타트 공장), 트럭 탑재 크레인, 가스 펌핑 장치 등을 제조한다. 정유, 화학 및 극저온 제품 생산도 활발하며, 건축 자재 산업도 발달했다.[39][52] N・D・쿠즈네초프 기념 사마라 과학 기술 복합 단지가 위치하여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52]

식품 가공경공업 역시 발달하여, 러시아 초콜릿 공장에서 생산되는 초콜릿, 로드니크 보드카, 벡터 보드카, 지굴리 맥주 등이 대표적인 생산품이다.[39][52]

쿠루모치 국제공항


사마라 항


에너지 분야에서도 사마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64년 건설된 드루즈바 송유관의 기점으로, 서시베리아, 우랄, 카스피해 등지에서 생산된 석유가 모이는 곳이다. 이 송유관은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산 석유를 유럽으로 수출하는 주요 경로이다.

7. 문화

사마라에는 오페라 및 발레 극장,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홀, 5개의 드라마 극장이 있다. 자연사 및 향토사 박물관, 시립 미술관, 여러 영화관도 자리 잡고 있다. 도시의 우주 항공 산업 발전에 대한 기여를 기념하기 위해 우주 박물관(코스믹 사마라)이 세워졌으며, 사마라 국립 항공 우주 대학교에는 항공 우주 역사 전시관이 있다. 2000년대에는 다수의 현대 미술 갤러리도 건설되었다.

표트르 블라디미로비치 알라빈 이름을 딴 사마라 지역 향토사 박물관은 1886년 11월 13일에 설립된 볼가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박물관 중 하나이다. 박물관은 2500m2의 전시 공간, 270석 규모의 영화/강의 홀, 열람실을 갖춘 도서관을 제공한다. 약 23만 점의 소장품에는 풍부한 고고학 및 과학 컬렉션(고생물학, 광물학, 동물학, 식물학)과 민속학 및 민족지학 컬렉션이 포함된다. 방문객은 "사마라 지역의 자연 생태계", "지나간 시대의 귀중한 유산", "볼가 지역 원주민의 전통과 의식에 반영된 삶의 순환", "사마라 역사의 교차로" 등 다양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알라빈 박물관의 주요 분관 중 하나는 사마라에 있는 블라디미르 레닌 하우스-박물관으로, 연방 차원의 문화 유산이다. 19세기 말에 지어진 이전 상인의 저택 부지에 위치하며, 울리야노프 가족은 1893년 이곳 2층 아파트를 임대했다. 이 시기 블라디미르 울리야노프(블라디미르 레닌)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사마라 지방 법원에서 근무했다. 박물관은 1940년에 개관했으며, 2층에는 1890년부터 1893년까지 울리야노프 가족의 생활 환경을 재현한 기념 전시가 있다. 1층에는 상점의 모습을 예술적으로 재구성한 전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 다른 분관은 2012년에 개관한 아르누보 미술 박물관 전시관이다. 원래 상인의 아내이자 박애주의자인 알렉산드라 쿠를리나의 저택이었던 이 건물은 유럽과 러시아 아르누보 거장들의 작품을 보여주는 원본 파사드와 실내 장식이 잘 보존되어 있다. 박물관은 푸시킨 박물관, 아브람체보 박물관-보존구역, 모스크바 멀티미디어 아트 박물관 등 주요 러시아 박물관의 프로젝트를 유치하고 자체 컬렉션 전시회도 개최한다.

마지막 분관인 미하일 프룬제 하우스-박물관은 1891년에 지어진 건물에 1934년 개관했다. 2004년 박물관 70주년을 맞아, 이전에는 극비로 분류되었던 자료를 포함한 새로운 전시가 열렸다. 이 전시는 러시아 내전 당시 미하일 프룬제알렉산드르 콜차크 군대 간의 동부 전선 대립, 붉은 군대, 백군, 녹색 군 및 동부 전선 배후의 반소비에트 봉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마라는 인디 밴드와 여러 음악 축제를 통해 활발한 록 음악 문화를 가지고 있다. Protoka, Metafest, Volgafest와 같은 축제들이 열린다.

그루신스키 축제


사마라에서는 다음과 같은 국제 축제, 과학 회의 및 기타 사회 행사가 개최된다.

  • 그루신스키 축제(Грушинский фестиваль|ru): 1968년부터 시작된 연례 러시아 바드 송 축제로, 사마라 인근 마스트류코보 호수에서 열린다. 익사하는 친구들을 구하려다 사망한 싱어송라이터 발레리 그루신의 이름을 땄다.
  • 볼가강을 넘어선 록 (Рок над Волгой|ru):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러시아의 날에 맞춰 사마라에서 열린 국제 록 축제이다. 켄 헨슬리, 아쿠아리움, 스컹크 아난시, 람슈타인 등이 참여했다.
  • 메타페스트 (Метафест|ru): 2007년부터 마스트류코보 호수에서 열리는 연례 야외 멀티 포맷 음악 축제이다. 이반 스미르노프, 올가 아레피에바, Z-Star, 테오도르 바스타드 등이 참여했다.


사마라의 건축은 15세기와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정교한 장식이 있는 수많은 목조 건물과 2,000개 이상의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현대식 건물 개발로 인해 많은 독특한 건축물들이 사라지고 있어 문화 유산 보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8. 스포츠

티어경기장크릴리야 소베토프축구1942러시아 프리미어 리그1부사마라 아레나CSK VVS 사마라아이스 하키1950VHL2부크리스탈 아이스 팰리스사마라농구1976러시아 농구 슈퍼 리그 12부MTL 아레나크릴리야 소베토프비치 사커2010러시아 비치 사커 선수권 대회1부볼가 경기장디나모-사마라풋살2018러시아 풋살 슈퍼 리그1부MTL 아레나



사마라는 국내 및 국제 아이스 스피드웨이 경기가 자주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사마라 팀은 2012-13 시즌 러시아 아이스 스피드웨이 프리미어 리그에서 우승하여[43] 2013-14 시즌에는 슈퍼 리그에 참가했다.

2018년 FIFA 월드컵 개최 도시 11곳 중 하나로 선정되어, 새로 건설된 45,000석 규모의 코스모스 아레나에서 총 6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들은 조별 예선 4경기, 16강 1경기, 8강 1경기로 구성되었다. 월드컵 이후 코스모스 아레나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소속 축구 클럽인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월드컵 기간 동안 시는 쿠이비셰바 광장에서 FIFA 팬 페스트를 개최했으며, 최대 20,000명의 팬들이 동시에 행사를 즐길 수 있었다. 월드컵 개최를 위해 시에 새로운 훈련장 3곳이 건설되었고, 공항 도로와 모스크바 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 두 곳이 정비되었다.

과거에는 여자 농구 클럽 팀인 VBM-SGAU가 있었으나, 2007년 시즌 전에 CSKA에 매각된 후 연고지를 모스크바로 이전했다.[51]

9. 교통

사마라는 주요 교통 요충지이다.[44]

사마라역


쿠루모치 국제공항


사마라를 지나는 주요 교통 인프라는 다음과 같다.

시내에서는 지하철과 노면전차 등 대중교통이 운행되고 있다.

9. 1. 대중교통

사마라의 대중교통은 사마라 지하철, 노면 전차, 시립 및 사설 버스 노선, 트롤리버스를 포함한다. 교외 지역은 통근 열차가 운행된다.

사마라 노면 전차는 사마라 대부분 지역을 연결하는 광범위한 경전철 시스템이다. 1915년에 처음 개통되었으며, 현재 25개 노선이 총 168.2km에 걸쳐 운행되고 있다. 총 423대의 노면 전차가 있으며, 대부분은 Tatra T3SU, 개조된 Tatra T3E 및 1대의 고유한 Tatra T3RF 기종이다.[46]

사마라 지하철은 단일 노선으로 운영되는 지하 급행 교통 시스템이다. 1987년에 개통되었으며, 2015년까지 노선이 확장되어 현재 10개 역이 운영 중이다. 11번째 역인 "테아트랄나야" 역은 2022년 1월부터 건설에 들어갔다.

시내에서는 시립 및 사설 버스 노선과 트롤리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10. 교육

사마라 과학 축제


사마라는 볼가 지역의 주요 교육 및 과학 중심지이다. 도시에는 188개의 일반 교육 학교, 리세, 고등학교, 그리고 초등 교육부터 고등 교육까지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전문학교가 있다. 또한 12개의 공립 고등 교육 기관과 13개의 사립 고등 교육 기관, 그리고 26개의 전문대학이 운영되고 있다.

사마라는 러시아의 주요 공학 및 기술 교육 기관 중 하나인 사마라 국립 항공우주 대학교(SSAU)가 위치한 곳이다. SSAU의 교수진과 졸업생들은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 시작부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또한 법학, 사회학, 영어학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럽 러시아의 존경받는 고등 교육 기관인 사마라 대학교도 사마라에 있다.

사마라 국립 기술 대학교(SamGTU)는 1914년에 설립되었으며, 11개의 단과대학에 20,000명 이상의 학생(2009년 기준)과 1,800명의 교직원이 있다. 캠퍼스에는 4개의 기숙사와 10개의 학습 건물이 있다. 사마라 국립 사회 과학 및 인문학 아카데미는 1911년 사마라 교사 연구소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12개의 단과대학에서 42개의 다양한 전공을 제공한다.[47]

과학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사마라 연구 센터는 물리 연구소의 사마라 지부, 이론 공학 연구소, 그리고 이미지 처리 시스템 연구소를 통합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주요 연구 기관들이 도시에 자리 잡고 있다.[39][52]

11. 자매 도시

사마라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48]

국가도시주/지역자매결연 연도
독일슈투트가르트바덴-뷔르템베르크 주1992
불가리아스타라자고라스타라자고라 주1992
미국세인트루이스미주리1994
중국정저우허난 성2002
이탈리아팔레르모시칠리아2008
터키데니즐리에게 해 지역2008
오스트리아크림잘츠부르크 주2010
중국헤이허 시헤이룽장 성2012
중국허페이안후이 성2015
대한민국통영시경상남도2016


12. 저명한 인물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1950년

참조

[1] 문서 Law #189-GD
[2] 웹사이트 Глава Самары Елена Лапушкина проголосовала на выборах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http://samadm.ru/med[...] City of Samara 2018-04-02
[3] 웹사이트 Дума городского округа Самара {{!}}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 Самарская городская Дума http://www.gordumasa[...] Samara City Council 2016-08-10
[4] 문서 Пояснительная записка к Генеральному плану г.о. Самара. Приложение 1. Основные технико-экономические показатели http://city.samara.r[...]
[5] 웹사이트 Samara Oblast (Russia): Population, Cities and Settlement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6] 서적 Democracy, Civic Culture and Small Business in Russia's Regions: Social Processes in Comparative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8-20
[7] 서적 Guide to the Great Siberian Railway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Ways of Communication
[8] 웹사이트 Samara city, Russia travel guide http://russiatrek.or[...] 2016-08-10
[9] 웹사이트 RUSSIA: Privolžskij Federal'nyj Okrug: Volga Federal District https://www.citypopu[...] City Population.de 2021-08-04
[10] 간행물 Волга - русская река. Из истории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аргументации https://cyberleninka[...] 2013
[11] 웹사이트 Набережная Самары https://63samara.ru/[...] 2024-07-19
[12] 웹사이트 Definition of SAMARA https://www.merriam-[...]
[13] 웹사이트 Топография крепости Самара 1586-1706 гг., этимология и предшествующие упоминания топонима в письменных источниках (Topography of the Samara fortress, etymology and preceding mentioning of the toponim in the written sources) https://www.academia[...] www.academia.edu 2015-12-11
[14] 뉴스 Mysterious Indo-European homeland may have been in the steppes of Ukraine and Russia https://www.science.[...] Science 2015-02-17
[15] 서적 Explorers: Tales of Endurance and Exploration https://archive.org/[...] DK Publishing
[16] 웹사이트 Юрий Смирнов: "Императоры всероссийские не обходили стороной Самарскую губернию" https://volga.news/a[...] 2024-07-19
[17] 웹사이트 Романовы в Самаре: история императорских визитов в город https://progorodsama[...] 2024-07-19
[18] 웹사이트 The Jewish Community of Samara, Russia https://www.bh.org.i[...] 2018-06-27
[19] 웹사이트 В Самаре воссоздали одну из ключевых битв русско-турецкой войны 1877-1878 годов - ТАСС https://tass.ru/obsc[...] 2024-07-19
[20] 웹사이트 Краткая справка по истории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деления Самарской губернии http://regsamarh.ru/[...] 2024-11-23
[21] 뉴스 Kuibyshev and Why It Became the USSR Capital https://trove.nla.go[...] 2024-11-23
[22] 서적 The Greatest Battle: Stalin, Hitler, and the Desperate Struggle for Moscow That Changed the Course of World War II Simon & Schuster
[23] 문서 Эволюция архитектурно-планировочной структуры Самары с конца XVIII по начало XXI веков
[24] 문서 Генезис компонентов планировочной структуры Самары с 1586 до 90-х годов XX века
[25] 문서 От рабочих посёлков к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му городу: развитие архитектурно-планировочной структуры Самары-Куйбышева в 1930–1950-е годы
[26] 웹사이트 Pogoda.ru.net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1-11-08
[27] 웹사이트 Kujbysev/Bezencuk (Samara)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10-29
[28] 문서 Charter of Samara Oblast
[29] 문서 '{{OKATO reference|36 214}}'
[30] 문서 '{{OKATO reference|36 401}}'
[31] 문서 Law #23-GD
[32] 웹사이트 Дума городского округа Самара VI созыва http://gordumasamara[...]
[33] 서적 Самарские губернаторы Самарский Дом Печати 1996
[34] 웹사이트 Дума городского округа Самара VII созыва http://gordumasamara[...]
[35] 웹사이트 Состоялось первое заседание Думы Самары VII созыва http://gordumasamara[...]
[36]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63.rosstat.g[...] Территориальный орган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по Самарской области 2023-05-25
[37] OSCE RELIGIOUS FREEDOM CONCERNS IN RUSSIA: STATEMENT BY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JEHOVAH'S WITNESSES IN RUSSIA http://www.osce.org/[...]
[38] SOVA Center Misuse of Anti-Extremism in November 2016 http://www.sova-cent[...] SOVA Center 2016-12-12
[39] webarchive Home page | Samara City Administration http://city.old.webz[...]
[40] 웹사이트 Ekho planety https://books.google[...] 2023-08-26
[41] 웹사이트 Название страницы http://www.site.com/ 2024-03-28
[42] 웹사이트 Concrete tsunami is wiping out Russian heritage, say architects https://www.theguard[...] 2020-11-24
[43] 웹사이트 Russia http://www.icespeedw[...] Icespeedway.co.uk 2022-03-16
[44] 웹사이트 SCTMS » Travel https://english.sctm[...]
[45] Russian Railways Russian Railways: The History of Railways, 21st Century http://eng.rzd.ru/st[...]
[46] 웹사이트 Транспортный оператор Самары – Транспорт нашего города http://tosamara.ru/t[...] 2018-07-05
[47] 웹사이트 Об академии http://www.pgsga.ru/[...] 2011-08-31
[48] 웹사이트 Международные связи https://samadm.ru/ab[...] Samara 2020-02-03
[49] 서적 The Greatest Battle 2007
[50] 웹사이트 Pogoda.ru.net http://pogoda.ru.net[...] 2007-09-08
[51] 문서 http://www.cskabaske[...]
[52] 문서 Home page | Samara City Administration http://city.old.webz[...]
[5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사마라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지리[...]
[54] 웹인용 Pogoda.ru.net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5-12-10
[55] 웹인용 Kujbysev/Bezencuk (Samar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