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회적 사실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적 사실주의는 19세기 유럽의 사실주의에서 비롯된 예술 운동으로, 사회, 정치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이 운동은 1930년대 미국 대공황 시기에 중요한 미술 운동으로 발전했으며, 사진, 회화,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났다. 멕시코 벽화 운동,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등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는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적 사실주의 - 보이 A
    보이 A는 아동 범죄자가 성인이 되어 사회에 복귀하는 과정을 그린 소설로, 여러 언어로 번역 출판되었고, 수상 경력도 있으며, TV 영화로도 제작되었지만, 실제 사건과의 유사성 논란도 있었다.
  • 사회적 사실주의 - 캐주얼 베이컨시
    《캐주얼 베이컨시》는 J.K. 롤링의 소설로, 영국 파그포드 마을에서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우기 위한 선거를 통해 사회 문제와 갈등을 드러내며, 개인의 책임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
  • 시각 예술 - 만화가
    만화가는 만화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사람으로, 작업 방식에 따라 단독 또는 분업으로 나뉘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담론 형성에 기여하고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시각 예술 - 박제
    박제는 동물의 사체를 보존하여 생전 모습과 유사하게 만드는 기술 및 결과물로, 종교적 목적에서 기원하여 예술 형태로 발전했으며, 학술 연구, 교육, 전시, 장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사회적 사실주의
사회적 사실주의
다른 이름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유형미술 운동
기원1934년
발상지소비에트 연방
시기1932년 ~ 1980년대
영향 받은 운동사실주의
사회주의
영향 준 운동사회주의 리얼리즘
특징
목표노동 계급의 조건을 묘사
주제사회 정치적 현실
스타일자연주의적 또는 사실주의적
매체회화
조각
영화
문학
주요 인물
화가베라 무히나
쿠즈마 페트로프-보드킨
알렉산드르 데이네카
이사크 브로드스키
보리스 이오간손
세르게이 게라시모프
아르카디 플라스토프
드미트리 날반디안
작가막심 고리키
니콜라이 오스트롭스키
미하일 숄로호프
알렉세이 톨스토이
알렉산드르 파데예프
콘스탄틴 페딘
영화감독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브세볼로트 푸도프킨
알렉산드르 도브첸코
프리드리히 에름레르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건축가레프 루드네프
베라 무히나

2. 역사

사회적 사실주의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 미국에서 두드러진 예술 운동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고난이 심화되는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났으며, 수십 년 동안 존재해 온 프랑스의 사회적 사실주의 전통에 영향을 받았다.[4]

사실주의는 눈으로 볼 수 있는 현실을 묘사하는 회화 양식으로, 19세기 중후반 프랑스에서 매우 인기 있는 예술 형태였다. 이는 사진의 도입과 함께 등장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객관적으로 현실적인" 것을 만들고자 하는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새로운 시각적 원천이었다. 사실주의는 19세기 중반 프랑스 문학과 예술을 지배했던 장르인 낭만주의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개인적인 편견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사실주의는 외부 현실의 이념을 믿었고 과장된 정서주의에 반항했다. 진실과 정확성은 귀스타브 쿠르베와 같은 많은 사실주의자들의 목표가 되었다.[21]

샤를 드 그루, 《축복》, 1860

2. 1. 기원

사회적 사실주의는 19세기 유럽의 사실주의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노레 도미에, 귀스타브 쿠르베, 장프랑수아 밀레의 예술을 포함한다.[1] 산업 혁명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1870년대에는 루크 필데스, 후베르트 폰 헤르코머, 프랭크 홀, 윌리엄 스몰과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이 ''The Graphic''에 널리 재현되었다.

러시아에서 이동파는 묘사된 상황을 야기한 사회 환경을 비판했으며, 차르 시대를 비난했다. 일리야 레핀은 자신의 예술 작품이 차르 시대의 "우리의 비열한 사회의 모든 괴물들을 비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말했다.[1] 비슷한 관심사는 20세기 영국의 예술가 국제 협회, 매스 옵저베이션 및 키친 싱크 스쿨에 의해 다루어졌다.[1]

사회적 사실주의 사진은 제이콥 A. 리스, 막심 드미트리예프의 작품과 같이 19세기 후반의 다큐멘터리 전통에서 파생되었다.[1]

귀스타브 쿠르베, ''오르낭의 매장''


이 용어는 더 넓은 범위에서 19세기 중반 프랑스 미술의 사실주의 운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세기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프랑스 예술가 귀스타브 쿠르베의 작품, 특히 1850년 프랑스 살롱 관람객들에게 충격을 안겨준 그의 19세기 그림 ''오르낭의 매장''과 ''돌 깨는 사람들''의 함의를 지칭하며, 이는 유럽의 사실주의와 오노레 도미에와 장 프랑수아 밀레의 작품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국제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1] 사회적 사실주의 양식은 1960년대에 유행에서 벗어났지만, 오늘날의 사고와 예술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2. 미국에서의 발전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 농업안정국(Farm Security Administration)과 공공산업진흥국(Works Progress Administration)에서 추진한 연방미술계획(Federal Art Project)은 미국의 사회적 사실주의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공공산업진흥국은 예술가들을 고용하여 시골에서 사진 기록 및 벽화 작업을 진행했으며, 이 기록들은 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제이콥 리스의 1888년작 ''Bandit's Roost''. 뉴욕시에서 범죄가 가장 많았던 지역을 묘사했다.


1900년경 로버트 헨리를 중심으로 한 애쉬캔 스쿨은 미국 사실주의 화가들을 통해 미국인상주의와 아카데미즘에 도전했다. 애쉬캔 스쿨 화가들은 회화, 삽화 등을 통해 뉴욕의 활력을 묘사하며 사회, 정치적 문제에 주목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H. 바바라 와인버그는 이들이 이민 문제와 도시 빈곤과 같은 현실을 기록하며 긍정적인 시각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5]

도로테아 랭의 ''이주 노동자 어머니''(1936). 대공황의 상징적인 사진이다.


존 슬론의 ''Sixth Avenue Elevated at Third Street''와 같은 애쉬캔 스쿨 작품은 대공황 시대의 예술에 영향을 미쳤다.[1] 1910년 멕시코 혁명 이후 멕시코 벽화가들의 영향도 컸다. 농업안전청(FSA) 프로젝트는 도로시아 랭, 워커 에반스, 벤 셤 등의 사진작가들을 통해 사회적 사실주의 사진의 정점을 보여주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농업 경제는 과잉 생산, 가격 하락 등으로 붕괴되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FSA를 통해 농촌 빈곤 문제에 대처했다. FSA는 사진가들을 고용하여 농촌의 현실을 기록했으며, 이는 8만 장 이상의 흑백 사진으로 남아 역사상 가장 유명한 다큐멘터리 사진 프로젝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9]

공공사업예술 프로젝트(Public Works of Art Project)는 대공황 시기 예술가 고용 프로그램으로, 1933년부터 1934년까지 운영되었다. 사업진흥국(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WPA)은 공공사업 프로젝트를 통해 실업자들을 고용했으며, 예술, 드라마, 미디어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3] WPA에 고용된 많은 예술가들이 사회적 사실주의와 관련되었으며, 이는 미국적 풍경화 및 지역주의와도 연관된다.[12]

멕시코에서는 프리다 칼로가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으며, 멕시코 벽화 운동은 미국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디에고 리베라, 데이비드 알파로 시케이로스 등이 이 운동의 주요 인물이다.[13]

사회적 사실주의는 사회주의 정치적 견해를 가진 화가들이 많았지만, 소련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는 달리 '공식 예술'이 아니며 주관성을 허용했다.[13] 1940년대 추상 표현주의의 등장으로 유행에서 벗어났지만,[1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전쟁 정보국(United States Office of War Information)에서 활동하거나, 이후에도 꾸준히 사회적 사실주의 작업을 이어간 예술가들이 많았다.[16]

안톤 레프레지에의 ''중국인 구타'' 벽화는 샌프란시스코 린콘 센터에 있으며, 1877년 샌프란시스코 폭동의 민족적 폭력을 묘사한다.


오늘날에도 현대 미술에서 사회적 사실주의는 계속되고 있으며, 수 코(Sue Coe), 카라 워커(Kara Walker) 등 여러 예술가들이 활동하고 있다.[16]

2. 3. 멕시코 벽화 운동

미국에서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1910년 멕시코 혁명 이후 멕시코에서 활동한 벽화가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1910년 멕시코 혁명 이후 멕시코에서 활동한 벽화가들은 혁명 정신과 멕시코 원주민의 전통에 대한 자부심을 강조하는 선전적 성격의 벽화를 주로 제작했다. 여기에는 디에고 리베라의 ''정복에서 미래까지의 멕시코 역사'',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의 ''정화'', 다비드 알파로 시케이로스의 ''파업'' 등이 포함된다.[1] 이러한 벽화들은 에콰도르(오스왈도 과야사민의 ''파업'')에서 브라질(칸디도 포르티나리의 ''커피'')에 이르기까지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서도 사회적 사실주의를 장려했다.[1]

2. 4. 유럽 및 기타 지역

사회적 사실주의는 19세기 유럽의 사실주의에서 기원하며, 오노레 도미에, 귀스타브 쿠르베, 장프랑수아 밀레의 예술을 포함한다. 영국의 산업 혁명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1870년대에는 루크 필데스, 후베르트 폰 헤르코머, 프랭크 홀, 윌리엄 스몰과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이 ''The Graphic''에 널리 재현되었다.[1]

러시아에서는 이동파 또는 "사회적 사실주의"가 묘사된 상황을 야기한 사회 환경을 비판했으며, 차르 시대를 비난했다. 일리야 레핀은 자신의 예술 작품이 차르 시대의 "우리의 비열한 사회의 모든 괴물들을 비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말했다. 비슷한 관심사는 20세기 영국의 예술가 국제 협회, 매스 옵저베이션 및 키친 싱크 스쿨에 의해 다루어졌다.[1]

프랑스의 사실주의 운동은 다른 모든 서방 국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다소 늦게 발전했다. 특히 1860년대에 결성되어 1871년부터 전시회를 개최한 러시아의 이동파 또는 '방랑파' 그룹에는 일리야 레핀과 같은 많은 사실주의 화가들이 포함되어 있었고 러시아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중요한 흐름에서 60년 이상 소련 문화와 예술적 표현을 지배하게 될 사회주의적 사실주의가 발전했다. 사회주의 이념을 대표하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1930년대 좌파적 관점에서 사회적, 정치적 동시대 삶을 표현하는 예술 운동이었다. 사회적 관심사, 즉 프롤레타리아의 투쟁과 노동 계급이 겪어야 했던 일상 생활의 어려움을 묘사하고, 충성스러운 공산주의 노동자들의 가치를 영웅적으로 강조했다.

노동 계급의 영웅주의를 묘사함으로써 전달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이념은 혁명적 행동을 촉진하고 촉발하며 낙관주의와 생산성의 중요성을 전파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을 낙관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애국심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했으며, 이는 성공적인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투쟁에서 매우 중요하게 입증될 것이다. 노조 신문인 ''문학 가제타''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표현"이라고 묘사했다. 요제프 스탈린 통치 기간 동안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포스터 선전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졌다. 이는 사람들을 낙관적으로 유지하고 더 큰 생산 노력을 장려했는데, 이는 러시아를 산업화된 국가로 발전시키려는 그의 목표에 필수적인 것이었다.

''스몰니의 레닌'', 이사크 브로드스키, 1930


블라디미르 레닌은 예술은 인민에게 속해야 하고 프롤레타리아 편에 서야 한다고 믿었다. "예술은 그들의 감정, 생각, 요구에 기초해야 하며, 그들과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22] 레닌은 말했다. 그는 또한 문학은 프롤레타리아의 공동 대의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22] 1917년 혁명 이후, 새로 결성된 공산당 지도자들은 다양한 유형의 예술을 실험하도록 장려했다. 레닌은 소련이 지지해야 할 예술 스타일은 러시아의 문맹인 대중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고 믿었다(수프레마티즘 및 구성주의와 같은 추상 미술을 배제하면서).[23][24][25]

예술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이 벌어졌고 주요 의견 불일치는 부르주아 사회에서 나온 과거 예술과 아무런 관련이 없어야 한다고 믿는 "프롤레타리아 예술"을 옹호하는 사람들과, (가장 격렬하게는 레온 트로츠키) 노동 계급적 가치가 지배하는 사회의 예술은 부르주아 예술의 모든 교훈을 흡수해야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했다.

요제프 스탈린 파의 권력 장악은 공식 예술의 확립과 연계되었다. 1932년 4월 23일, 스탈린이 이끄는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결성한 조직은 소비에트 작가 연맹을 설립했다. 이 조직은 새롭게 지정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이념을 지지했다.

1934년까지 다른 모든 독립적인 예술 단체가 폐지되어 소비에트 작가 연맹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이 작품을 출판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이념을 지지하지 않는 모든 문학 작품이나 그림은 검열되거나 금지되었다. 요제프 스탈린 치하에서 도입된 이 새로운 예술 운동은 20세기의 가장 실용적이고 지속적인 예술적 접근 방식 중 하나였다. 공산주의 혁명과 함께 문화 혁명도 일어났다. 또한 스탈린과 그의 공산당은 소련 문화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표현된 것과 다른 대안적인 지정학적 이념을 표현하는 것을 제한했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쇠퇴는 1991년 소련의 해체와 함께 찾아왔다.

멕시코에서는 화가 프리다 칼로가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 주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일어난 멕시코 벽화 운동은 국경 북쪽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었다. 멕시코 벽화 운동은 정치적 뉘앙스로 특징지어지며, 그 대부분은 마르크스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혁명 이후 멕시코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 디에고 리베라, 데이비드 알파로 시케이로스,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 루피노 타마요는 이 운동의 가장 잘 알려진 지지자이다. 산티아고 마르티네스 델가도, 호르헤 곤잘레스 카마레나, 로베르토 몬테네그로, 페데리코 칸투 가르사, 장 샤를로, 그리고 몇몇 다른 예술가들도 이 운동에 참여했다.[13]

1910년 멕시코 혁명 이후 멕시코에서 활동한 벽화가들은 혁명 정신과 멕시코 원주민의 전통에 대한 자부심을 강조하는 선전적 성격의 벽화를 주로 제작했다. 여기에는 디에고 리베라의 ''정복에서 미래까지의 멕시코 역사'',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의 ''정화'', 그리고 다비드 알파로 시케이로스의 ''파업''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벽화들은 또한 에콰도르(오스왈도 과야사민의 ''파업'')에서 브라질(칸디도 포르티나리의 ''커피'')에 이르기까지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서도 사회적 사실주의를 장려했다.[1]

브루노 카루소, ''뉴스 가판대'', 잉크 (1952)


벨기에에서 사회적 사실주의의 초기 대표자는 19세기 예술가인 콩스탕탱 뫼니에와 샤를르 드 그루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17][18] 영국에서는 미국의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와 영국의 예술가 후베르트 폰 헤르코머, 루크 필데스와 같은 예술가들이 사회적 문제와 "현실" 세계의 묘사를 다룬 사실주의 회화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서유럽의 예술가들 또한 20세기 초에 사회적 사실주의를 받아들였는데, 여기에는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삽화가인 브루노 카루소, 독일의 예술가 케테 콜비츠, 게오르그 그로스, 오토 딕스, 막스 베크만; 스웨덴의 예술가 토르스텐 빌만; 네덜란드의 예술가 찰리 토루프와 파이크 코흐; 프랑스의 예술가 모리스 드 블라맹크, 로제 드 라 프레스네, 장 포트리에, 프랑시스 그루베르와 벨기에의 예술가 외젠 라에르망스와 콩스탕트 페르메케가 포함된다.[1][19][20]

이 시기의 정치적 양극화는 사회적 사실주의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구별되는 점을 여론에서 덜 분명하게 만들었고, 20세기 중반에는 추상 미술이 서유럽과 미국 모두에서 지배적인 운동으로 이를 대체했다.[1]

영화에서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특히 로베르토 로셀리니, 비토리오 데 시카, 루키노 비스콘티, 그리고 어느 정도 페데리코 펠리니의 영화를 통해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26][27]

초기 영국 영화는 찰스 디킨스토머스 하디의 문학 작품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을 활용했다.[28] 사회적 항의로서 현실주의의 가치를 강조한 최초의 영국 영화 중 하나는 제임스 윌리엄슨의 1902년작 ''A Reservist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War''였다. 이 영화는 보어 전쟁 참전 군인이 실업 상태로 귀향하는 모습을 기념했다. 1945년부터 1954년까지의 억압적인 검열은 영국 영화가 더 급진적인 사회적 입장을 드러내는 것을 막았다.[2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중산층은 일반적으로 영화의 현실주의와 절제를 받아들인 반면, 노동 계급은 일반적으로 할리우드 장르 영화를 선호했다. 따라서 현실주의는 교육과 진지함의 의미를 내포했다. 이러한 사회적, 미학적 구분은 곧 사회적 현실주의가 이제 예술 영화 작가와 연관되고, 주류 할리우드 영화는 멀티플렉스에서 상영되면서 주요 주제가 되었다.[28]

프로듀서 마이클 볼콘은 1940년대에 이러한 구분을 부활시켜 영국 영화 산업과 할리우드의 경쟁을 "현실주의와 반짝이"라는 용어로 표현했다. 이링 스튜디오의 수장이었던 볼콘은 금욕주의와 진실성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영화의 출현에 핵심적인 인물이 되었다. 비평가 리차드 암스트롱은 "다큐멘터리 운동의 객관적인 기질과 미학을 스튜디오 영화 제작의 스타와 자원과 결합하여 1940년대 영국 영화는 대중에게 감동적인 호소를 했다"고 말했다.[28]

영화의 사회적 현실주의는 변화하는 영국의 전시 사회를 반영하고 있었다. 여성들은 군대와 탄약 공장에서 남성과 함께 일하며 미리 정해진 성 역할을 거부했다. 배급, 공습, 개인의 삶에 대한 전례 없는 국가 개입은 더 사회적인 철학과 세계관을 장려했다. 이 시대의 사회 현실주의 영화에는 ''오늘의 목표''(1941), ''우리가 봉사하는 곳에서''(1942), ''우리처럼 많은 사람들''(1943), 그리고 ''이 행복한 혈통''(1944)이 있다. 역사학자 로저 맨벨은 "영화관이 [처음에는 공습의 두려움 때문에 폐쇄되었다가] 다시 문을 열었을 때, 대중은 고된 노동으로부터의 위안, 동료애, 긴장 완화, 감정적 탐닉, 그리고 그들이 찾을 수 있는 곳에서 인간성의 가치를 재확인하기 위해 몰려들었다"고 썼다.[28]

전후 시대에는 ''핌리코행 여권''(1949), ''푸른 등불''(1949), ''타이틀드 썬더볼트''(1952)와 같은 영화들이 부드러운 귀족적 가치를 반복하며, 전시 시대의 동지애와 급증하는 소비 사회 사이의 긴장을 조성했다.[28]

시드니 박스가 1946년 게인즈버러 픽처스의 수장으로 부임하면서 게인즈버러 멜로 드라마에서 전환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전시 시대에 성공을 거두었고 사회적 현실주의로 이어졌다. 단기적인 성관계, 간통, 사생아와 같은 문제들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번성했고[29] 박스는 "현란한 환상"이라고 칭한 것보다 현실주의를 선호했으며,[30] 이러한 문제들과 아동 입양, 청소년 비행, 이재민과 같은 사회적 문제들을 ''가지가 부러질 때''(1947), ''굿 타임 걸''(1948), ''생애의 초상''(1948), ''잃어버린 사람들''(1949), 그리고 ''브라운의 소년들''(1949)과 같은 영화로 부각시켰다. 또한 박스는 전후 영국에서 노동 계급 가족의 새로운 여가 형태가 급속히 확대되는 것을 ''홀리데이 캠프''(1947), ''이지 머니''(1948), 그리고 ''소년, 소녀, 그리고 자전거''(1949)에서 묘사했다.[31] 박스는 게인즈버러가 1951년에 폐쇄된 후에도 사회 현실주의 영화를 만들려는 의지를 굽히지 않았고, 1952년에는 "아직 톨푸들 순교자, 서프러제트 운동, 오늘날의 국민 건강 서비스, 특허 의약품의 스캔들, 세계의 석유 통제 또는 이윤을 위해 제조된 군비에 대한 영화는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32] 그러나 그는 이러한 유형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지는 않고, 대신 ''스트리트 코너''(1953), ''사랑하기에는 너무 어리다''(1959), ''하늘 아래의 지하철''(1959)과 같은 영화에서 낙태, 십대 매춘, 중혼, 아동 방치, 절도, 마약 밀매와 관련된 문제에 집중했다.[33]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영국 뉴 웨이브 운동이 등장했다. 카렐 라이스, 토니 리처드슨, 존 슐레진저와 같은 영국 작가들은 전후 사회 구조를 협상하는 평범한 영국인들의 이야기를 광각 샷과 솔직한 화법으로 전달했다. 검열 완화로 인해 영화 제작자들은 매춘, 낙태, 동성애, 소외와 같은 문제를 묘사할 수 있었다. 등장인물에는 공장 노동자, 사무실 말단 직원, 불만족스러운 아내, 임신한 여자 친구, 가출 청소년, 소외된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 우울한 사람들이 포함되었다. 뉴 웨이브 주인공은 일반적으로 전통 산업과 그와 관련된 문화가 쇠퇴하는 사회에서 방향 감각을 잃은 노동 계급 남성이었다.[28]

마이크 리켄 로치도 현대 사회 현실주의 영화를 만든다.[34]

사회적 사실주의는 1940년대와 1950년대의 힌두 영화에서도 채택되었는데, 여기에는 체탄 아난드의 니차 나가르(1946)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영화는 제1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비말 로이의 두 이커의 땅(1953)은 1954년 칸 영화제에서 국제상을 수상했다. 이러한 영화들의 성공은 인도 뉴 웨이브를 낳았으며, 리트윅 가탁의 나가릭(1952)과 사티야지트 레이의 아푸 삼부작(1955–59)과 같은 초기 벵골 예술 영화가 그 예이다. 인도 영화의 사실주의는 1920년대와 193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 예로는 V. 샨타람의 영화 ''인디안 샤일록''(1925)과 ''뜻밖의 일''(1937) 등이 있다.[37]

3. 주요 특징

사회적 사실주의는 낭만주의가 조장한 이상주의와 과장된 자아에 대한 반작용으로 발전했다. 산업 혁명의 결과 도시 중심지가 성장했고, 빈민가는 상류층의 부와 대조적으로 새로운 규모로 번성했다. 새로운 사회 의식을 가진 사회적 사실주의자들은 가난한 노동자 계층에 대한 동정심을 가지고 현대 생활의 추한 현실에 초점을 맞추었다.[7]

사회적 사실주의는 19세기 중반 프랑스 미술의 사실주의 운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세기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귀스타브 쿠르베의 ''오르낭의 매장''과 ''돌 깨는 사람들''과 같은 작품, 오노레 도미에와 장 프랑수아 밀레의 작품을 포함하여 국제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1]

더 제한적인 의미에서, 사회적 사실주의는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동안 중요한 예술 운동이 되었다. 이는 미국 풍경화 및 지역주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애쉬캔 학교와 멕시코 벽화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많은 사회적 사실주의 예술가들은 사회주의 (반드시 마르크스주의는 아님) 정치적 견해를 가졌지만, 이 운동은 소련동구권에서 사용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는 구별된다. 사회적 사실주의는 '공식 미술'이 아니며 주관성을 위한 공간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3]

사회적 사실주의는 회화, 사진,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나타났다.

3. 1. 사실적인 묘사



1900년경 로버트 헨리를 중심으로 한 일단의 미국 사실주의 화가들은 애쉬캔 스쿨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들은 미국의 인상주의와 아카데미즘에 도전했다.[5] 애쉬캔 스쿨 화가들은 회화, 삽화, 에칭, 석판화 등을 통해 당시의 사건과 사회, 정치적 수사법에 주목하며 뉴욕의 활력을 묘사했다.[5]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H. 바바라 와인버그는 이들이 "자신들의 시대에 긍정적인 빛을 비추었다"고 설명했다.[5]

조지 루크스의 ''Breaker Boy''와 존 슬론의 ''Sixth Avenue Elevated at Third Street''는 주목할 만한 애쉬캔 스쿨 작품이다. 애쉬캔 스쿨은 대공황 시대의 예술, 특히 토머스 하트 벤턴의 벽화 ''City Activity with Subway''에 영향을 미쳤다.[1]

1850년 프랑스 살롱 관람객들에게 충격을 준 귀스타브 쿠르베의 19세기 그림 ''오르낭의 매장''과 ''돌 깨는 사람들''은 유럽의 사실주의와 오노레 도미에, 장 프랑수아 밀레의 작품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국제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1] 사회적 사실주의 양식은 1960년대에 유행에서 벗어났지만, 오늘날의 사고와 예술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1910년 멕시코 혁명 이후 멕시코에서 활동한 벽화가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사회적 사실주의 사진은 1935년부터 1943년까지 도로시아 랭, 워커 에반스, 벤 셤 등의 농업안전청(FSA) 프로젝트를 통해 정점에 달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농업 경제는 과잉 생산, 가격 하락, 불리한 기상 조건, 증가된 기계화로 인해 붕괴되었다. 많은 농업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많은 소규모 농업 운영이 부채에 시달렸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1932년 대통령에 취임했을 때, 거의 2백만 가구의 농가들이 빈곤 속에서 살았고, 수백만 에이커의 농지가 황폐해졌다.[8]

FSA는 이 시기 농촌 빈곤에 대처하기 위해 설계된 뉴딜 정책의 기관이었다. 이 기관은 사진가를 고용하여 필요성을 시각적으로 입증했다. 이 임무는 8만 장 이상의 흑백 사진을 만들어냈으며, 현재 역사상 가장 유명한 다큐멘터리 사진 프로젝트 중 하나로 여겨진다.[9]

3. 2. 사회 비판적 시각



미국에서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1910년 멕시코 혁명 이후 멕시코에서 활동한 벽화가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1] 1935년부터 1943년까지 도로시아 랭, 워커 에반스, 벤 셤 등의 농업안전청(FSA) 프로젝트를 통해 사회적 사실주의 사진이 정점에 달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호황을 누리던 미국의 농업 경제는 과잉 생산, 가격 하락, 불리한 기상 조건, 증가된 기계화로 인해 붕괴되었다. 많은 농업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많은 소규모 농업 운영이 부채에 시달렸다. 부채에 시달리는 농장들은 수천 개씩 압류되었고, 작물 재배자와 소작농들은 땅에서 쫓겨났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1932년 대통령에 취임했을 때, 거의 2백만 가구의 농가들이 빈곤 속에서 살았고, 수백만 에이커의 농지가 토양 침식과 열악한 농업 방식으로 인해 황폐해졌다.[8]

FSA는 이 시기 농촌 빈곤에 대처하기 위해 설계된 뉴딜 정책의 기관이었다. FSA는 사진가를 고용하여 필요성을 시각적으로 입증하고 FSA 프로그램이 그 필요를 충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임무는 8만 장 이상의 흑백 사진을 만들어냈으며, 현재 역사상 가장 유명한 다큐멘터리 사진 프로젝트 중 하나로 여겨진다.[9]

대공황 시기에 예술가들을 고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었던 공공사업예술 프로젝트(Public Works of Art Project)는 1933년 12월부터 1934년 6월까지 운영된 최초의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미국 재무부 산하 에드워드 브루스가 이끌었고, 시민사업관리국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10]

1935년에 설립된 사업진흥국(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WPA)은 수백만 명의 실업자(대부분 미숙련 남성)를 고용하여 공공 건물 및 도로 건설을 포함한 공공사업 프로젝트를 수행한 가장 크고 야심 찬 뉴딜 정책 기관이었다.[11] WPA는 훨씬 더 작은 규모로 유명한 프로젝트에서 음악가, 예술가, 작가, 배우 및 감독을 고용하여 대규모 예술, 드라마, 미디어 및 문맹 퇴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3] WPA에서 고용된 많은 예술가들이 사회적 사실주의와 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사실주의는 1930년대 미국에서 대공황 기간 동안 중요한 예술 운동이 되었다. 뉴딜 예술에 의해 장려된 미국의 예술 운동으로서 사회적 사실주의는 미국적 풍경화와 지역주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2]

멕시코에서는 화가 프리다 칼로가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 주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일어난 멕시코 벽화 운동은 국경 북쪽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되었다. 멕시코 벽화 운동은 마르크스주의적 성격을 띠는 등 정치적 뉘앙스로 특징지어지며, 혁명 이후 멕시코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 디에고 리베라, 데이비드 알파로 시케이로스,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 루피노 타마요는 이 운동의 가장 잘 알려진 지지자들이다. 산티아고 마르티네스 델가도, 호르헤 곤잘레스 카마레나, 로베르토 몬테네그로, 페데리코 칸투 가르사, 장 샤를로 등도 이 운동에 참여했다.[13]

사회적 사실주의를 따르는 많은 예술가들은 사회주의 (반드시 마르크스주의는 아님) 정치적 견해를 가진 화가였다. 따라서 이 운동은 소련동구권에서 사용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둘은 동일하지 않다. 사회적 사실주의는 '공식 예술'이 아니며 주관성의 공간을 허용한다. 특정 맥락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사회적 사실주의의 특정 분파로 묘사되었다.[13]

1940년대에 추상 표현주의가 등장하면서 사회적 사실주의는 유행에서 벗어났다.[14] 여러 WPA 예술가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전쟁 정보국(United States Office of War Information)에서 전쟁을 위한 포스터 및 기타 시각 자료를 제작하는 일을 찾았다.[15] 전쟁 후, 예술 시장의 주목을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회적 사실주의 예술가들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그리고 2000년대까지 경력을 이어갔다. 그 기간 동안 제이콥 로렌스, 벤 샨, 버나다 브라이슨 샨, 라파엘 소이어, 로버트 궈스미, 안토니오 프라스코니, 필립 에버굿, 시드니 굿맨, 그리고 에런 버크만과 같은 예술가들은 사회적 사실주의의 양식과 주제로 계속 작업했다.[16]

오늘날에도 현대 미술 세계에서 사회적 사실주의와 사회 의식적인 예술 제작은 계속되고 있으며, 수 코, 마이크 알레위츠, 카라 워커, 셀레스트 듀피-스펜서, 앨런 세쿨라, 프레드 로니디어 등을 포함한 예술가들이 활동하고 있다.[16]

3. 3. 다양한 예술 분야

미국의 경우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 농업안정국(Farm Security Administration)과 공공사업진흥국(Works Progress Administration)에서 추진한 연방미술계획(Federal Art Project)이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공공사업진흥국은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예술가들을 모집해 시골로 보내 사진 기록을 남기고 벽화를 그리게 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이때 기록으로 남은 자료들은 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는 자료로 유용함을 인정받고 있다.[4]

사회적 사실주의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 미국에서 두드러진 예술 운동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고난이 심화되는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났으며, 수십 년 동안 존재해 온 프랑스의 사회적 사실주의 전통에 영향을 받았다.[4]

사회적 사실주의는 19세기 유럽의 사실주의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노레 도미에, 귀스타브 쿠르베, 장프랑수아 밀레의 예술을 포함한다. 영국산업 혁명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1870년대에는 루크 필데스, 후베르트 폰 헤르코머, 프랭크 홀, 윌리엄 스몰과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이 ''The Graphic''에 널리 재현되었다.

러시아에서 이동파는 묘사된 상황을 야기한 사회 환경을 비판했으며, 차르 시대를 비난했다. 일리야 레핀은 자신의 예술 작품이 차르 시대의 "우리의 비열한 사회의 모든 괴물들을 비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말했다. 비슷한 관심사는 20세기 영국의 예술가 국제 협회, 매스 옵저베이션 및 키친 싱크 스쿨에 의해 다루어졌다.[1]

사회적 사실주의 사진은 제이콥 A. 리스, 막심 드미트리예프의 작품과 같이 19세기 후반의 다큐멘터리 전통에서 파생되었다.[1]

1900년경 로버트 헨리를 중심으로 한 일단의 미국 사실주의 화가들이 미국의 인상주의와 아카데미즘에 도전했는데, 이는 애쉬캔 스쿨로 알려지게 되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H. 바바라 와인버그는 이들 화가들을 "자신감과 의구심, 흥분과 불안이 교차하는 불안정하고 과도기적인 시대를 기록했다. 이들은 이민 문제와 도시 빈곤과 같은 가혹한 현실을 무시하거나 완만하게만 기록하면서, 자신들의 시대에 긍정적인 빛을 비추었다"고 설명했다.[5]

주목할 만한 애쉬캔 스쿨 작품으로는 조지 루크스의 ''Breaker Boy''와 존 슬론의 ''Sixth Avenue Elevated at Third Street''가 있다. 애쉬캔 스쿨은 대공황 시대의 예술, 특히 토머스 하트 벤턴의 벽화 ''City Activity with Subway''에 영향을 미쳤다.[1]

20세기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프랑스 예술가 귀스타브 쿠르베의 작품, 특히 1850년 프랑스 살롱 관람객들에게 충격을 안겨준 그의 19세기 그림 ''오르낭의 매장''과 ''돌 깨는 사람들''의 함의를 지칭하며, 이는 유럽의 사실주의와 오노레 도미에와 장 프랑수아 밀레의 작품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국제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1] 사회적 사실주의 양식은 1960년대에 유행에서 벗어났지만, 오늘날의 사고와 예술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럽 사실주의에 뿌리를 둔 사회적 사실주의는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동안 중요한 예술 운동이 되었다. 미국 미술 운동으로서 이는 미국 풍경화 및 지역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미국 사회적 사실주의는 애쉬캔 학교 출신의 에드워드 호퍼, 토마스 하트 벤턴, 윌 바넷, 벤 섄, 제이콥 로렌스, 폴 멜츠너, 로마레 비어든, 라파엘 소이어, 아이작 소이어, 모지스 소이어, 레지날드 마시, 존 스튜어트 커리, 아놀드 블란치, 애런 더글러스, 그랜트 우드, 호레이스 피핀, 월트 쿤, 이저벨 비숍, 폴 카드머스, 도리스 리, 필립 에버굿, 미첼 시포린, 로버트 그와스미, 아돌프 데인, 해리 스턴버그, 그레고리오 프레스토피노, 루이스 로조윅, 윌리엄 그로퍼, 필립 거스턴, 잭 레빈, 랄프 워드 스택폴, 존 어거스터스 워커 등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포함한다. 또한 워커 에반스, 도로시아 랭, 마거릿 부어크-화이트, 루이스 하인, 에드워드 스타이켄, 고든 파크스, 아서 로스스타인, 매리언 포스트 월콧, 도리스 울만, 베레니스 애보트, 애런 시스킨드, 러셀 리 등의 작품으로 대표되는 사진 예술로도 확장된다.

멕시코에서는 화가 프리다 칼로가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멕시코에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주로 일어난 멕시코 벽화 운동이 있었는데, 이는 국경 북쪽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의 중요한 구성 요소였다. 멕시코 벽화 운동은 정치적 함축성을 특징으로 하며, 그 대부분은 마르크스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혁명 이후 멕시코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 디에고 리베라, 데이비드 알파로 시케이로스,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 루피노 타마요가 이 운동의 가장 잘 알려진 지지자들이다. 산티아고 마르티네스 델가도, 호르헤 곤잘레스 카마레나, 로베르토 몬테네그로, 페데리코 칸투 가르사, 장 샤를로와 여러 다른 예술가들이 이 운동에 참여했다.

사회적 사실주의를 따르는 많은 예술가들은 사회주의 (하지만 반드시 마르크스주의는 아님) 정치적 견해를 가진 화가였다. 따라서 이 운동은 소련동구권에서 사용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둘은 동일하지 않다. 사회적 사실주의는 '공식 미술'이 아니며, 주관성을 위한 공간을 허용한다.

미국에서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1910년 멕시코 혁명 이후 멕시코에서 활동한 벽화가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사회적 사실주의 사진은 1935년부터 1943년까지 도로시아 랭, 워커 에반스, 벤 셤 등의 농업안전청(FSA) 프로젝트를 통해 정점에 달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농업 경제는 과잉 생산, 가격 하락, 불리한 기상 조건, 증가된 기계화로 인해 붕괴되었다. 많은 농업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많은 소규모 농업 운영이 부채에 시달렸다. 부채에 시달리는 농장들은 수천 개씩 압류되었고, 작물 재배자와 소작농들은 땅에서 쫓겨났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1932년 대통령에 취임했을 때, 거의 2백만 가구의 농가들이 빈곤 속에서 살았고, 수백만 에이커의 농지가 토양 침식과 열악한 농업 방식으로 인해 황폐해졌다.[8]

사실주의는 눈으로 볼 수 있는 현실을 묘사하는 회화 양식으로, 19세기 중후반 프랑스에서 매우 인기 있는 예술 형태였다. 이는 사진의 도입과 함께 등장했는데, 이는 사람들이 "객관적으로 현실적인" 것을 만들고자 하는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새로운 시각적 원천이었다. 사실주의는 19세기 중반 프랑스 문학과 예술을 지배했던 장르인 낭만주의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개인적인 편견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사실주의는 외부 현실의 이념을 믿었고 과장된 정서주의에 반항했다. 진실과 정확성은 귀스타브 쿠르베와 같은 많은 사실주의자들의 목표가 되었다.[21]

프랑스의 사실주의 운동은 다른 모든 서방 국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다소 늦게 발전했다. 특히 1860년대에 결성되어 1871년부터 전시회를 개최한 러시아의 이동파에는 일리야 레핀과 같은 많은 사실주의 화가들이 포함되어 있었고 러시아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흐름에서 60년 이상 소련 문화와 예술적 표현을 지배하게 될 사회주의적 사실주의가 발전했다. 사회주의 이념을 대표하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1930년대 좌파적 관점에서 사회적, 정치적 동시대 삶을 표현하는 예술 운동이었다. 사회적 관심사, 즉 프롤레타리아의 투쟁과 노동 계급이 겪어야 했던 일상 생활의 어려움을 묘사하고, 충성스러운 공산주의 노동자들의 가치를 영웅적으로 강조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예술은 인민에게 속해야 하고 프롤레타리아 편에 서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예술은 그들의 감정, 생각, 요구에 기초해야 하며, 그들과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22] 또한 문학은 프롤레타리아의 공동 대의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22] 1917년 혁명 이후, 새로 결성된 공산당 지도자들은 다양한 유형의 예술을 실험하도록 장려했다. 레닌은 소련이 지지해야 할 예술 스타일은 러시아의 문맹인 대중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고 믿었다.

영화에서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26][2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중산층은 일반적으로 영화의 현실주의와 절제를 받아들인 반면, 노동 계급은 일반적으로 할리우드 장르 영화를 선호했다. 따라서 현실주의는 교육과 진지함의 의미를 내포했다. 이러한 사회적, 미학적 구분은 곧 사회적 현실주의가 이제 예술 영화 작가와 연관되고, 주류 할리우드 영화는 멀티플렉스에서 상영되면서 주요 주제가 되었다.[28]

사회적 사실주의는 1940년대와 1950년대의 힌두 영화에서도 채택되었는데, 여기에는 체탄 아난드의 니차 나가르(1946)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영화는 제1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비말 로이의 두 이커의 땅(1953)은 1954년 칸 영화제에서 국제상을 수상했다.

3. 4.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의 차이

사회적 사실주의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둘 다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회적 사실주의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비해 훨씬 온건한 모습을 보인다.[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소련 문화와 예술적 표현을 60년 이상 지배한 중요한 흐름에서 발전했다.[1] 1930년대 좌파적 관점에서 사회적, 정치적 동시대 삶을 표현하는 예술 운동으로, 사회적 관심사, 즉 프롤레타리아의 투쟁과 노동 계급이 겪어야 했던 일상 생활의 어려움을 묘사하고, 충성스러운 공산주의 노동자들의 가치를 영웅적으로 강조했다.[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이념은 노동 계급의 영웅주의를 묘사함으로써 혁명적 행동을 촉진하고 촉발하며 낙관주의와 생산성의 중요성을 전파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을 낙관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애국심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했으며, 이는 성공적인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투쟁에서 매우 중요했다. 노조 신문인 ''문학 가제타''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표현"이라고 묘사했다. 요제프 스탈린 통치 기간 동안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포스터 선전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했는데, 이는 사람들을 낙관적으로 유지하고 더 큰 생산 노력을 장려하여 러시아를 산업화된 국가로 발전시키려는 그의 목표에 필수적이었다.[1]

블라디미르 레닌은 예술은 인민에게 속해야 하고 프롤레타리아 편에 서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예술은 그들의 감정, 생각, 요구에 기초해야 하며, 그들과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으며,[22] 문학은 프롤레타리아의 공동 대의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22] 1917년 혁명 이후, 새로 결성된 공산당 지도자들은 다양한 유형의 예술을 실험하도록 장려했다. 레닌은 소련이 지지해야 할 예술 스타일은 러시아의 문맹인 대중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고 믿었다(수프레마티즘 및 구성주의와 같은 추상 미술은 배제).[23][24][25]

예술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이 벌어졌고, 주요 의견 불일치는 부르주아 사회에서 나온 과거 예술과 아무런 관련이 없어야 한다고 믿는 "프롤레타리아 예술" 옹호자들과, 레온 트로츠키를 필두로 노동 계급적 가치가 지배하는 사회의 예술은 부르주아 예술의 모든 교훈을 흡수해야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했다.

요제프 스탈린 파의 권력 장악은 공식 예술의 확립과 연계되었다. 1932년 4월 23일, 스탈린이 이끄는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결성한 조직은 소비에트 작가 연맹을 설립하여 새롭게 지정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이념을 지지했다.[1]

1934년까지 다른 모든 독립적인 예술 단체가 폐지되어 소비에트 작가 연맹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이 작품을 출판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이념을 지지하지 않는 모든 문학 작품이나 그림은 검열되거나 금지되었다. 요제프 스탈린 치하에서 도입된 이 새로운 예술 운동은 20세기의 가장 실용적이고 지속적인 예술적 접근 방식 중 하나였다. 공산주의 혁명과 함께 문화 혁명도 일어났다. 또한 스탈린과 그의 공산당은 소련 문화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표현된 것과 다른 대안적인 지정학적 이념을 표현하는 것을 제한했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쇠퇴는 1991년 소련의 해체와 함께 찾아왔다.[1]

사회적 사실주의는 '공식 미술'이 아니며, 주관성을 위한 공간을 허용한다. 특정 맥락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사회적 사실주의의 특정 분파로 묘사되어 왔다.[1]

4. 주요 예술가

사회적 사실주의와 관련된 예술가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예술가국적분야활동 연도
애보트, 베레니스미국사진1923–1991
아난드, 체탄인도영화1944–1997
바넷, 윌미국회화, 삽화, 판화1930–2012
비어든, 로마레미국회화1936–1988
베크만, 막스독일회화, 판화, 조각불명–1950
벨로우스, 조지미국회화, 삽화1906–1925
벤턴, 토머스 하트미국회화1907–1975
빌만, 토르스텐스웨덴판화, 삽화, 회화1930–1988
비숍, 이저벨미국회화, 그래픽 디자인1918–1988
블랑쉬, 아놀드미국회화, 에칭, 삽화, 판화1923–1968
보겐, 알렉산더폴란드/ 이스라엘회화, 에칭, 삽화, 판화1916–2010
부어크-화이트, 마가렛미국사진1920년대–1971
브로카, 리노필리핀영화1970–1991
캐드머스, 폴미국회화, 삽화1934–1999
카마레나, 호르헤 곤잘레스멕시코회화, 조각1929–1980
카루소, 브루노이탈리아회화, 삽화, 판화1943–2012
카스테혼, 호안스페인회화, 조각, 삽화1945–현재
샤를로, 장프랑스회화, 삽화1921–1979
추아 미아 티싱가포르회화1956-1976
카운히언, 노엘호주회화, 판화1930년대–1986
커리, 존 스튜어트미국회화1921–1946
데언, 아돌프미국석판화, 회화, 판화1920년대–1968
델가도, 산티아고 마르티네스콜롬비아회화, 조각, 삽화1925–1954
드 라 프레스네, 로제프랑스회화1912–1925
드 블라맹크, 모리스프랑스회화1893–1958
딕스, 오토독일회화, 판화1910–1969
더글러스, 애런미국회화1925–1979
에번스, 워커미국사진1928–1975
에버굿, 필립미국회화, 조각, 판화1926–1973
포트리에, 장프랑스회화, 조각1922–1964
가르사, 페데리코 칸투멕시코회화, 조각, 조각1929–1989
가타크, 리트윅인도영화, 연극1948–1976
그로퍼, 윌리엄미국석판화, 회화, 삽화1915–1977
그로스, 게오르크독일회화, 삽화1909–1959
그루버, 프랑시스프랑스회화1930–1948
과야사민, 오스왈도에콰도르회화, 조각1942–1999
거스턴, 필립미국회화, 판화1927–1980
궨스미, 로버트미국회화불명–1988
헨리, 로버트미국회화1883–1929
하인, 루이스미국사진1904–1940
허쉬, 조셉미국회화, 삽화, 판화1933–1981
호퍼, 에드워드미국회화, 판화1895–1967
칼로, 프리다멕시코회화1925–1954
코흐, 파이크네덜란드회화1927–1991
콜비츠, 케테독일회화, 조각, 판화1890–1945
쿤, 월트미국회화, 삽화1892–1939
라망간, 조엘필리핀영화, 텔레비전, 연극1991–현재
랭, 도로시어미국사진1918–1965
로렌스, 제이콥미국회화1931–2000
리, 도리스미국회화, 판화1935–1983
리, 러셀미국사진1936–1986
레빈, 잭미국회화, 판화1932–2010
로조윅, 루이스미국회화, 판화1926–1973
루크스, 조지미국회화, 삽화1893–1933
마시, 레지날드미국회화1922–1954
멜츠너, 폴미국회화1913–1966
몬테네그로, 로베르토멕시코회화, 삽화1906–1968
마이어스, 제롬미국회화, 드로잉, 에칭, 삽화1867–1940
오로스코, 호세 클레멘테멕시코회화1922–1949
오하라, 마리오필리핀영화1976–2012
파크스, 고든미국사진, 영화1937–2006
피핀, 호레이스미국회화1930–1946
포르티나리, 칸디도브라질회화1928–1962
프레스토피노, 그리고리오미국회화1930년대–1984
레이, 사티야지트인도영화1947–1992
라이스, 카렐영국영화1955–1990
리처드슨, 토니영국영화1955–1991
리베라, 디에고멕시코회화1922–1957
로스틴, 아서미국사진1934–1985
로이, 비말인도영화1935–1966
슐레진저, 존영국영화1956–1991
샨, 벤미국회화, 삽화, 그래픽 아트, 사진1932–1969
시포린, 미첼미국회화불명–1976
시케이로스, 다비드 알파로멕시코회화1932–1974
시스킨드, 아론미국사진1930년대–1991
슬론, 존 프렌치미국회화1890–1951
소여, 아이작미국회화1930년대–1981
소여, 모세스미국회화1926–1974
소여, 라파엘미국회화, 삽화, 판화1930–1987
스택폴, 랄프미국조각, 회화1910–1973
스타이켄, 에드워드미국사진, 회화1894–1973
스턴버그, 해리미국회화, 판화1926–2001
타마요, 루피노멕시코회화, 삽화1917–1991
투롭, 샬리네덜란드회화, 석판화1916–1955
울먼, 도리스미국사진1918–1934
워커, 존 오거스터스미국회화1926–1967
윌리엄슨, 제임스영국영화1901–1933
윌슨, 존 우드로우미국석판화, 조각1945-2001
울컷, 마리온 포스트미국사진1930년대–1944
웡, 마틴미국회화1946–1999
우드, 그랜트미국회화1913–1942
일한, 아틸라[62]터키1942-2005


4. 1. 회화

이 용어는 더 넓은 범위에서 19세기 중반 프랑스 미술의 사실주의 운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세기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프랑스 예술가 귀스타브 쿠르베의 작품, 특히 1850년 프랑스 살롱 관람객들에게 충격을 안겨준 그의 19세기 그림 ''오르낭의 매장''과 ''돌 깨는 사람들''의 함의를 지칭하며, 이는 유럽의 사실주의와 오노레 도미에와 장 프랑수아 밀레의 작품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국제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1]

사회적 사실주의 양식은 1960년대에 유행에서 벗어났지만, 오늘날의 사고와 예술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용어의 더 제한적인 의미에서, 유럽 사실주의에 뿌리를 둔 사회적 사실주의는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동안 중요한 미술 운동이 되었다. 미국 미술 운동으로서 이는 미국 풍경화 및 지역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미국 사회적 사실주의는 애쉬캔 학교 출신의 에드워드 호퍼, 토마스 하트 벤턴, 윌 바넷, 벤 섄, 제이콥 로렌스, 폴 멜츠너, 로마레 비어든, 라파엘 소이어, 아이작 소이어, 모지스 소이어, 레지날드 마시, 존 스튜어트 커리, 아놀드 블란치, 애런 더글러스, 그랜트 우드, 호레이스 피핀, 월트 쿤, 이저벨 비숍, 폴 카드머스, 도리스 리, 필립 에버굿, 미첼 시포린, 로버트 그와스미, 아돌프 데인, 해리 스턴버그, 그레고리오 프레스토피노, 루이스 로조윅, 윌리엄 그로퍼, 필립 거스턴, 잭 레빈, 랄프 워드 스택폴, 존 어거스터스 워커 등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포함한다.

멕시코에서는 화가 프리다 칼로가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멕시코에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주로 일어난 멕시코 벽화 운동이 있었는데, 이는 국경 북쪽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사회적 사실주의 운동의 중요한 구성 요소였다. 멕시코 벽화 운동은 정치적 함축성을 특징으로 하며, 그 대부분은 마르크스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혁명 이후 멕시코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 디에고 리베라, 데이비드 알파로 시케이로스,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 루피노 타마요가 이 운동의 가장 잘 알려진 지지자들이다. 산티아고 마르티네스 델가도, 호르헤 곤잘레스 카마레나, 로베르토 몬테네그로, 페데리코 칸투 가르사, 장 샤를로와 여러 다른 예술가들이 이 운동에 참여했다.

사회적 사실주의를 따르는 많은 예술가들은 사회주의 (하지만 반드시 마르크스주의는 아님) 정치적 견해를 가진 화가였다. 따라서 이 운동은 소련동구권에서 사용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둘은 동일하지 않다. 사회적 사실주의는 '공식 미술'이 아니며, 주관성을 위한 공간을 허용한다. 특정 맥락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사회적 사실주의의 특정 분파로 묘사되어 왔다.

4. 2. 사진

미국의 경우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 농업안정국(Farm Security Administration)과 공공산업진흥국(Works Progress Administration)에서 추진한 연방미술계획(Federal Art Project)이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공공산업진흥국은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예술가들을 모집해 시골로 보내 사진 기록을 남기게 했다. 이때 기록으로 남은 자료들은 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는 자료로 유용함을 인정받고 있다.

사회적 사실주의 사진은 1935년부터 1943년까지 도로시아 랭, 워커 에반스, 벤 셤 등의 농업안전청(FSA) 프로젝트를 통해 정점에 달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호황을 누리던 미국의 농업 경제는 과잉 생산, 가격 하락, 불리한 기상 조건, 증가된 기계화로 인해 붕괴되었다. 많은 농업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많은 소규모 농업 운영이 부채에 시달렸다. 부채에 시달리는 농장들은 수천 개씩 압류되었고, 작물 재배자와 소작농들은 땅에서 쫓겨났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1932년 대통령에 취임했을 때, 거의 2백만 가구의 농가들이 빈곤 속에서 살았고, 수백만 에이커의 농지가 토양 침식과 열악한 농업 방식으로 인해 황폐해졌다.[8]

FSA는 이 시기 농촌 빈곤에 대처하기 위해 설계된 뉴딜 정책의 기관이었다. 이 기관은 사진가를 고용하여 필요성을 시각적으로 입증하고 FSA 프로그램이 그 필요를 충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궁극적으로 이 임무는 8만 장 이상의 흑백 사진을 만들어냈으며, 현재 역사상 가장 유명한 다큐멘터리 사진 프로젝트 중 하나로 여겨진다.[9]

4. 3. 영화

사회적 사실주의 영화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으며, 로베르토 로셀리니, 비토리오 데 시카, 루키노 비스콘티, 그리고 어느 정도 페데리코 펠리니의 영화를 통해 나타난다.[26][27]

초기 영국 영화는 찰스 디킨스토머스 하디의 문학 작품에서 발견되는 사회적 상호 작용을 활용했다.[28] 사회적 항의로서 현실주의의 가치를 강조한 최초의 영국 영화 중 하나는 제임스 윌리엄슨의 1902년작 ''A Reservist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War''였다. 이 영화는 보어 전쟁 참전 군인이 실업 상태로 귀향하는 모습을 기념했다. 1945년부터 1954년까지의 억압적인 검열은 영국 영화가 더 급진적인 사회적 입장을 드러내는 것을 막았다.[2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중산층은 일반적으로 영화의 현실주의와 절제를 받아들인 반면, 노동 계급은 일반적으로 할리우드 장르 영화를 선호했다. 이러한 사회적, 미학적 구분은 곧 사회적 현실주의가 이제 예술 영화 작가와 연관되고, 주류 할리우드 영화는 멀티플렉스에서 상영되면서 주요 주제가 되었다.[28]

프로듀서 마이클 볼콘은 1940년대에 이러한 구분을 부활시켜 영국 영화 산업과 할리우드의 경쟁을 "현실주의와 반짝이"라는 용어로 표현했다. 이링 스튜디오의 수장이었던 볼콘은 금욕주의와 진실성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영화의 출현에 핵심적인 인물이 되었다. [28]

영화의 사회적 현실주의는 변화하는 영국의 전시 사회를 반영하고 있었다. 여성들은 군대와 탄약 공장에서 남성과 함께 일하며 미리 정해진 성 역할을 거부했다. 배급, 공습, 개인의 삶에 대한 전례 없는 국가 개입은 더 사회적인 철학과 세계관을 장려했다. 이 시대의 사회 현실주의 영화에는 ''오늘의 목표''(1941), ''우리가 봉사하는 곳에서''(1942), ''우리처럼 많은 사람들''(1943), 그리고 ''이 행복한 혈통''(1944)이 있다. [28]

전후 시대에는 ''핌리코행 여권''(1949), ''푸른 등불''(1949), ''타이틀드 썬더볼트''(1952)와 같은 영화들이 부드러운 귀족적 가치를 반복하며, 전시 시대의 동지애와 급증하는 소비 사회 사이의 긴장을 조성했다.[28]

시드니 박스가 1946년 게인즈버러 픽처스의 수장으로 부임하면서 게인즈버러 멜로 드라마에서 전환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전시 시대에 성공을 거두었고 사회적 현실주의로 이어졌다. 단기적인 성관계, 간통, 사생아와 같은 문제들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번성했고[29] 박스는 "현란한 환상"이라고 칭한 것보다 현실주의를 선호했으며,[30] 이러한 문제들과 아동 입양, 청소년 비행, 이재민과 같은 사회적 문제들을 ''가지가 부러질 때''(1947), ''굿 타임 걸''(1948), ''생애의 초상''(1948), ''잃어버린 사람들''(1949), 그리고 ''브라운의 소년들''(1949)과 같은 영화로 부각시켰다. 또한 박스는 전후 영국에서 노동 계급 가족의 새로운 여가 형태가 급속히 확대되는 것을 ''홀리데이 캠프''(1947), ''이지 머니''(1948), 그리고 ''소년, 소녀, 그리고 자전거''(1949)에서 묘사했다.[31]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영국 뉴 웨이브 운동이 등장했다. 카렐 라이스, 토니 리처드슨, 존 슐레진저와 같은 영국 작가들은 전후 사회 구조를 협상하는 평범한 영국인들의 이야기를 광각 샷과 솔직한 화법으로 전달했다. 검열 완화로 인해 영화 제작자들은 매춘, 낙태, 동성애, 소외와 같은 문제를 묘사할 수 있었다. 등장인물에는 공장 노동자, 사무실 말단 직원, 불만족스러운 아내, 임신한 여자 친구, 가출 청소년, 소외된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 우울한 사람들이 포함되었다. 뉴 웨이브 주인공은 일반적으로 전통 산업과 그와 관련된 문화가 쇠퇴하는 사회에서 방향 감각을 잃은 노동 계급 남성이었다.[28]

마이크 리켄 로치도 현대 사회 현실주의 영화를 만든다.[34]

사회적 사실주의는 1940년대와 1950년대의 힌두 영화에서도 채택되었는데, 여기에는 체탄 아난드의 니차 나가르(1946)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영화는 제1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비말 로이의 두 이커의 땅(1953)은 1954년 칸 영화제에서 국제상을 수상했다. 이러한 영화들의 성공은 인도 뉴 웨이브를 낳았으며, 리트윅 가탁의 나가릭(1952)과 사티야지트 레이의 아푸 삼부작(1955–59)과 같은 초기 벵골 예술 영화가 그 예이다. 인도 영화의 사실주의는 1920년대와 193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 예로는 V. 샨타람의 영화 ''인디안 샤일록''(1925)과 ''뜻밖의 일''(1937) 등이 있다.[37]
사회적 사실주의와 관련된 영화 (일부):

  • ''꼭대기 방'' (1958)
  • ''토요일 밤과 일요일 아침(Saturday Night and Sunday Morning)'' (1960)
  • ''장거리 달리기 선수의 고독(The Loneliness of the Long Distance Runner)'' (1962)
  • ''사랑의 한 방식(A Kind of Loving)'' (1962)
  • ''보디 앤 소울'' (1947)
  • ''도둑의 고속도로'' (1949)
  • ''영 러버'' (1949)
  • ''아웃레이지'' (1950)
  • ''하드, 패스트 앤 뷰티풀'' (1951)
  • ''빅 아미스트'' (1953)
  • ''히치하이커'' (1953)
  • ''리틀 퓨지티브'' (1953)
  • ''솔트 오브 더 어스'' (1954)
  • ''온 더 보워리'' (1957)
  • ''쉐도우'' (1959)
  • ''디 엑자일스'' (1961)
  • ''더 쿨 월드'' (1963)
  • ''낫싱 벗 어 맨'' (1964)
  • ''완다'' (1970)
  • ''더스티 앤 스위츠 맥기'' (1971)
  • ''킬러 오브 쉽'' (1978)
  • ''노던 라이츠'' (1978)
  • ''부쉬 마마'' (1979)
  • ''엘 노르테'' (1983)
  • ''마이 브라더스 웨딩'' (1983)
  • ''블레스 데어 리틀 하트'' (1984)
  • ''스트레인저 댄 파라다이스'' (1984)
  • ''다운 바이 로'' (1986)
  • ''보더 라디오'' (1987)
  • ''아메리칸 미'' (1992)
  • ''클레릭스'' (1994)
  • ''프라이데이'' (1995)
  • ''8 마일'' (2002)
  • ''하프 넬슨'' (2006)
  • ''찹 샵'' (2007)
  • ''프라운랜드'' (2007)
  • ''더 비지터'' (2007)
  • ''프로즌 리버'' (2008)
  • ''슈가'' (2008)
  • ''웬디 앤 루시'' (2008)
  • ''미크스 컷오프'' (2010)
  • ''윈터스 본'' (2010)
  • ''네브래스카'' (2013)
  • ''탱저린'' (2015)
  • ''아메리칸 허니'' (2016)
  • ''문라이트'' (2016)
  • ''더 라이더'' (2017)
  • ''패티 케이크$'' (2017)
  • ''플로리다 프로젝트'' (2017)
  • ''샌프란시스코의 마지막 흑인'' (2018)
  • ''리브 노 트레이스'' (2018)
  • ''로마'' (2018)
  • ''네버 레어리 썸타임즈 올웨이즈'' (2020)
  • ''레드 로켓'' (2021)


예술가국적분야활동 연도
아난드, 체탄인도영화1944–1997
브로카, 리노필리핀영화1970–1991
가타크, 리트윅인도영화, 연극1948–1976
라망간, 조엘필리핀영화, 텔레비전, 연극1991–현재
레이, 사티야지트인도영화1947–1992
라이스, 카렐영국영화1955–1990
리처드슨, 토니영국영화1955–1991
로이, 비말인도영화1935–1966
슐레진저, 존영국영화1956–1991
윌리엄슨, 제임스영국영화1901–1933


5. 대표 작품

토마스 하트 벤튼(Thomas Hart Benton), ''칠마크 사람들'', 1920, 허쉬혼 박물관과 조각 정원(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워싱턴 D.C.


벤 샨(Ben Shahn), ''사코와 반제티의 수난''(The Passion of Sacco and Vanzetti) (1967, 모자이크)의 세부 묘사, 시라큐스 대학교(Syracuse University), 시러큐스, 뉴욕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감자 먹는 사람들''(The Potato Eaters)

6. 영향

사회적 사실주의는 여러 영화 감독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대표적인 감독들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Social Realism https://web.archive.[...] Museum of Modern Art 2009
[2] 웹사이트 Social Realism https://www.moma.org[...] MOMA
[3] 논문 The Aesthetic Theory of Social Realism 1957-12
[4] 웹사이트 SOCIALIST REALISM https://www.tate.org[...] 2021-01-03
[5] 웹사이트 The Ashcan School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3-02-07
[6] 문서 1850; Dresden, destroyed 1945
[7] 웹사이트 Social Realism http://instruct.west[...] 2008-05-04
[8] 간행물 Resettlement Administration https://web.archive.[...] Oklahoma Historical Society 2013-02-07
[9] 웹사이트 Farm Security Administration Photography http://www.oberlin.e[...] Oberlin College & Conservatory 2013-02-07
[1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ew Deal Art Projects https://web.archive.[...] 2005-07-29
[11] 서적 Encyclopedia of U.S. Labor and Working-Class History 2007
[12] 웹사이트 Regionalism: An American Art Movement - Artlove.co https://artleove.co/[...]
[13] 웹사이트 Social Realism, New Masses & Diego Rivera https://the-artifice[...] 2020-10-26
[14] 웹사이트 Raphael Soyer {{!}} artnet http://www.artnet.co[...] 2019-02-12
[15] 웹사이트 Getting the Message Out https://www.archives[...] 2019-02-12
[16] 웹사이트 Social Realism - Concepts & Styles https://www.theartst[...] 2019-02-12
[17] 웹사이트 Constantin Meunier https://www.britanni[...] Britannica
[18] 서적 Charles de Groux and Social Realism in Belgian Painting, 1848-1875 https://books.google[...] Ohio State University.
[19] 서적 Documentary Graphic Novels and Social Realism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 서적 Art International https://books.google[...] J. Fitzsimmons
[21] 웹사이트 Nineteenth-Century French Realism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2] 서적 New Essentials of Unification Thought - Google Books (pg.337) https://books.google[...]
[23] 서적 Inside the Soviet Writers' Union https://books.google[...] I.B.Tauris 1990
[24] 서적 Art of the 20th Century, Part 1 https://books.google[...] Taschen 2000
[25] 서적 The Magical Chorus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8
[26] 서적 Realism and Popular Cinema. Inside popular fil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27] 웹사이트 World Cinema: The rise and fall of Italian Neo-realism - Flickering Myth https://www.flickeri[...]
[28] 웹사이트 Social Realism http://www.screenonl[...] BFI Screen Online 2013-02-04
[29] 서적 Fifty Key British Fil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30] 서적 From Holiday Camp to High Camp: Women in British Feature Film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6
[31] 서적 Sydney Box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6
[32] 서적 British Cinema of the 1950s: The Decline of Defer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3] 서적 British Cinema of the 1950s: The Decline of Defer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4] 웹사이트 British Realism https://www.criterio[...] 2019-07-12
[35] 웹사이트 FREE CINEMA (BRITISH SOCIAL REALISM) – Movie List https://mubi.com/lis[...] 2019-07-12
[36]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Social Realism http://www.screenonl[...]
[37] 간행물 Neo Realism in Indian Cinema https://www.academia[...]
[38] 웹사이트 The New Social Realism of American Cinema https://filmschoolre[...] 2018-01-17
[39] 웹사이트 American Neorealism, Part One: 1948-1984 | UCLA Film & Television Archive https://www.cinema.u[...]
[40] 웹사이트 Jarmusch in Tucson https://www.criterio[...]
[41] 웹사이트 Why Clerks Still Works https://thebaffler.c[...] 2019-12-06
[42] 웹사이트 It's a Neorealist World https://www.artnews.[...] 2020-09-22
[43] 웹사이트 Jim Jarmusch. Stranger Than Paradise. 1984 | MoMA https://www.moma.org[...]
[44] 웹사이트 Exploring the New Age of Neorealism on Film https://www.slashfil[...] 2020-03-04
[45] 웹사이트 The Neo Neo-Realist, PopMatters https://www.popmatte[...] 2005-11-28
[46] 서적 In the Peanut Gallery with Mystery Science Theater 3000 - Google Books (pgs. 62-63) https://www.google.c[...]
[47] 웹사이트 15 Great American Movies Influenced by Italian Neo-Realism http://www.tasteofci[...] 2015-02-26
[48] 웹사이트 15 Great American Movies Influenced by Italian Neo-Realism http://www.tasteofci[...] 2015-02-26
[49] 웹사이트 UCR ARTS https://ucrarts.ucr.[...]
[50] 웹사이트 Gregory Nava's film 'El Norte' marks 25th anniversary https://www.latimes.[...] 2009-01-28
[51] 웹사이트 Critical Discussion Transforms Art: Haile Gerima, the L.A. Rebellion, and Cinema as Life, PopMatters https://www.popmatte[...] 2019-11-18
[52]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Neo-Realism https://brooklynrail[...] 2008-07-16
[53] 간행물 About "Neo-Neo Realism" http://www.newyorker[...] 2009-03-19
[54] Youtube How Sean Baker Became America's Neorealist https://www.youtube.[...] 2022-01-06
[55] 웹사이트 American Neorealism https://www.criterio[...]
[56] 문서 Northern Lights – The Public Cinema https://publiccinema[...]
[57] 문서 American Neorealism Now https://www.criterio[...]
[58] 문서 American Neorealism https://www.criterio[...]
[59] 문서 The Trouble with Lupino - Comparative Cinema http://www.ocec.eu/c[...]
[60] 웹사이트 The Criterion Channel's March 2024 Lineup https://www.criterio[...] 2024-02-14
[61] 문서 Who Needs Social Realism? - Jewish Currents https://jewishcurren[...]
[62] 간행물 Atti̇lâ İlhan'in Özgün Toplumcu-Gerçekçi̇li̇k Anlayişi: "Sosyal Reali̇zm" https://dergipark.or[...] 2019-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