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주의적 여성주의는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과 급진적 페미니즘을 비판적으로 종합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이론이다. 여성 억압의 기원을 사유재산제와 계급 사회에서 찾으며,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상호작용을 통해 여성 억압이 재생산된다고 본다. 주요 쟁점으로는 교차성, 가사노동과 돌봄노동, 유해한 남성성, 성별 임금 격차 등이 있으며, 생태 페미니즘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의제와 결합하여 논의를 확장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과 여성 노동 운동의 성장 속에서 등장하여 여성 노동자의 권익 보호, 성폭력 추방 등을 주장하며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확산시켰다. 사회주의 여성주의는 여성 해방과 사회 변혁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며, 불평등 해소, 돌봄의 사회화, 민주주의 심화에 기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 신사파타주의
신사파티스타주의는 멕시코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이 추구하는 사상으로, 자유지상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에밀리아노 사파타의 사상 등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세계화에 반대하며 급진 민주주의와 자율성을 강조한다. -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는 여성 억압이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 억압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여성 해방을 추구하며, 여성 노동의 가치 인정, 가사노동의 사회화, 임금 격차 해소 등을 목표로 한다. - 여성주의 - 김활란
김활란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여성운동가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여성 교육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다. - 여성주의 - 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의 행복과 사회적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면서도, 생물학적, 정치적 관점에서 남녀의 차이를 언급하며 여성의 시민권을 제한적으로 인정하였다. - 사회주의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 사회주의 - 노동조합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만들어진 단체이며, 임금, 근무시간 등 노동조건에 대한 단체교섭 권한을 가지며 필요시 파업 등의 쟁의행위를 수행한다.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 |
---|---|
개요 | |
유형 | 사회주의와 여성주의의 융합 |
목표 | 여성 억압의 경제적, 문화적 근원으로부터의 해방 |
역사적 맥락 | |
기원 | 19세기 후반 |
주요 인물 | 클라라 체트킨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로자 룩셈부르크 |
이론적 기반 | |
핵심 개념 |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연관성 계급 투쟁과 여성 해방의 통합 사적 소유와 여성 억압의 관계 |
주요 주장 | |
경제적 평등 | 동일 노동에 대한 동일 임금, 양질의 보육 서비스 제공, 유급 출산 휴가 |
사회적 평등 | 성 역할 고정관념 타파, 교육 및 고용 기회 균등 |
정치적 평등 |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 여성 대표성 강화 |
문화적 평등 | 대중 매체에서의 성차별적 묘사 개선, 여성의 목소리 반영 |
실천적 활동 | |
노동 운동 | 여성 노동자의 권익 보호, 노동 조합 내 여성 참여 확대 |
정치 운동 | 여성의 정치 참여 장려, 여성 관련 법안 제정 촉구 |
사회 운동 | 여성의 권리 옹호, 성차별 반대 캠페인 전개 |
주요 쟁점 | |
계급과 성별의 관계 | 계급 투쟁 우선 vs. 성별 해방 우선 논쟁 |
자본주의 개혁 vs. 혁명 | 자본주의 체제 내 개혁 vs. 체제 전복 논쟁 |
다양한 여성 경험 포괄 | 인종, 계급, 성적 지향 등 다양한 여성 경험 반영 필요성 |
관련 단체 | |
국제 | 민주여성국제연맹 국제사회주의여성 |
대한민국 | 전국여성연대 민주노총 여성위원회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 급진적 여성주의 자유주의 여성주의 사회주의 여성주의 |
참고 문헌 | |
도서 | 클라라 체트킨, "여성과 자본주의"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붉은 사랑" |
외부 링크 | |
관련 웹사이트 | 여성주의 자료 센터 사회주의 여성주의 네트워크 |
2. 역사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클라라 체트킨,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등 초기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리버럴 페미니즘을 부르주아 페미니즘으로 비판하고, 노동계급 여성의 해방을 위한 투쟁을 강조했다.[38][39][40][41] 이들은 노동계급 혁명을 통해 남녀 불평등을 극복하고, 여성 평등에 대한 요구를 사회주의 강령에 포함시키려 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에서는 시카고 여성 해방 연합과 급진 여성과 같은 단체들이 여성 해방을 위해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를 모두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사회주의 페미니즘 운동을 주도했다.
아르헨티나의 빵과 장미는 사회주의 페미니즘 실천의 한 예시이다. 자유 사회주의당 또한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표방하는 정당이다.
2. 1. 서구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이론적 발전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과 급진적 페미니즘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이 둘을 비판적으로 종합하려는 시도에서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출발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가족, 사유 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에서 여성 억압의 기원을 사유재산제와 계급 사회의 등장에서 찾았다.[37] 클라라 제트킨,[38][39] 알렉산드라 콜론타이[40][41] 등 초기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리버럴 페미니즘을 부르주아 페미니즘으로 비판하고, 노동계급 여성의 해방을 위한 투쟁을 강조했다. 이들은 노동계급 혁명을 통해 남녀 불평등을 극복하고, 여성 평등에 대한 요구를 사회주의 강령에 포함시키려 했다.[37]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1909년에 부르주아 페미니스트와의 연합에 반대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콜론타이는 볼셰비키당의 지도자로서, 자본주의가 여성에게 불쾌하고 억압적인 입장을 형성한다고 보았다.[46] 그녀는 프롤레타리아트 여성과 부르주아 여성의 차이를 강조했지만, 자본주의 경제 하의 모든 여성이 억압받는다는 점을 지적했다.[46] 콜론타이는 부르주아가 노동 계급 여성을 이용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불의를 연장한다고 비판하며, 균형 잡힌 경제적 유토피아가 성 평등에 뿌리내리고 있다고 주장했다.[46]
미국 공산당의 메리 인먼은 가정이 생산의 중심지이며 주부가 생산적인 노동을 수행한다고 주장하며 당의 정통적 입장에 도전했다.[52] 그러나 CPUSA 지도부는 1941년에 인먼의 작업에 대해 이데올로기적 일탈을 이유로 공격했다.[53]
1978년 질라 R. 아이젠슈타인은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와 사회주의적 여성주의의 사례''라는 책을 편집하여, 마르크스주의의 계급 분석과 가부장제에 대한 페미니스트 분석을 결합하여 성과 계급이 불평등의 체계로서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대한 이론을 제시했다.[55]
도나 해러웨이는 1985년 "사이보그 선언"에서 기술과 젠더의 관계를 탐구하며,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선 새로운 페미니즘 정치학을 제시했다.[58] 해러웨이는 여성들이 네트워크화된 헤게모니 내에서 깊이 스며들어 있고, 착취당하며 공모하며, 그렇게 정치를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9] 그녀는 "유색 인종 여성"이라는 구절을 "친연성" 정치의 예시로 제시하며, 정체성보다는 "타자성, 차이, 특수성"을 강조했다.
2. 2. 한국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전개
1980년대 한국에서 민주화 운동과 여성 노동 운동이 성장하면서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1987년에 창립된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여성 노동자의 권익 보호, 성폭력 추방, 모성 보호, 호주제 폐지 등 다양한 의제를 제기하며 사회주의 페미니즘 확산에 기여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여성학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학문 영역에서도 중요한 이론적 틀로 자리 잡았다.우에노 지즈코와 같은 일본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의 이론이 한국에도 소개되었다. 한국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이론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급진적 페미니즘과 함께 여성 억압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으로 자리 잡았다.
3. 주요 쟁점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여성 억압을 이해하기 위해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를 핵심적으로 분석하며, 성별과 계급 간의 상호 연관성에 주목한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 가사노동과 돌봄노동: 앤 오클리는 여성의 무급 가사노동이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했으며,[2] 낸시 폴브레는 시장 중심적 경제 논리가 돌봄노동의 가치를 폄하한다고 비판했다.[2] 1825년 안나 휠러와 윌리엄 톰슨은 여성이 수행하는 가사 활동이 자본주의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2] 1843년 플로라 트리스타는 여성과 소녀들이 가사 업무로 인해 교육 기회를 박탈당한다고 지적했다.[2]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성별화된 노동 분업이 여성의 공적 영역 배제와 경제적 의존성을 야기한다고 강조한다.[21] 샬럿 퍼킨스 길먼은 가사 노동의 전문화를 통해 여성의 부담을 경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1] 대한민국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지원 확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유해한 남성성: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유해한 남성성이 남성, 여성, 논바이너리 모두에게 해롭다고 주장한다. 유해한 남성성은 강인함과 감정 억제를 강조하며, 라틴계 문화의 "마초성"은 남성과 여성에게 각각 특정 역할을 강요한다. 이는 남성 자살, 강간 문화, 폭력의 정상화에 기여한다. "락커룸 토크"와 "남자는 원래 그런거야"와 같은 표현은 성차별적 행동을 강화하고 여성에게 해를 끼친다. 최근 남성 인플루언서들의 유해한 남성성 조장은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주요 문제로 떠올랐으며, #97% 트렌드와 같이 여성들이 성희롱 경험을 공유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 성별 임금 격차: 현대 사회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가사 노동 무보수와 불충분한 임금에 주목한다. 여성은 서비스, 사무, 농업, 경공업 등 저임금 직종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일제가 아닌 시간제 근무 비율이 높고, 명백한 임금 차별을 겪는다.[22] 이는 가부장적이고 자본주의적인 조건 속에서 여성의 노동이 "부차적 임금"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22] 앨리슨 재거는 여성의 생식 기능으로 인한 임신 휴가, 산후 조리 서비스 등의 필요성이 직장에서 공정하게 보장되어야 하며, 무급 출산 휴가는 성별 임금 격차를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23]
3. 1. 교차성
클라우디아 존스는 1930년대에 마르크스주의, 흑인 민족주의, 페미니즘을 바탕으로 흑인 및 유색인종 여성들이 인종, 계급, 성별에 기반한 억압을 경험한다는 ''삼중 억압''을 이론화했다.[15] 존스는 더 나아가 백인 여성은 물론 흑인 및 유색인종 노동자 여성조차 식민주의 구조가 폐지되고 흑인 민족주의가 채택되지 않는다면 결코 해방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5]페미니스트 역사학자 린다 고든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성별과 계급을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교차적이라고 주장한다. 고든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기초가 여러 축에 놓여 있기 때문에,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1989년 킴벌리 크렌쇼 박사가 처음으로 교차성 개념을 명확히 하기 수십 년 전부터 교차성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16] 1980년대의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개인의 억압 경험을 만들어내는 중첩된 구조를 검토함으로써 교차성 개념을 예고했다.[17]
사회주의 페미니즘에 교차성이 존재한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많은 페미니스트들, 특히 유색인종 여성들은 인종적 평등에 대한 인식된 결함에 대해 이 운동을 비판한다. 쿰-쿰 바브나니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학자인 마가렛 콜슨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운동 내의 인종차별주의가 많은 백인 페미니스트들이 인종차별주의의 제도적 본질을 인식하지 못한 데서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바브나니와 콜슨에 따르면, 인종, 계급, 성별은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요인 중 하나라도 세계관에서 제외하면 사회를 구성한다고 그들이 말하는 특권과 억압의 시스템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를 초래할 것이다.[19]
3. 2. 가사노동과 돌봄노동
앤 오클리는 ''섹스, 젠더, 사회''에서 가사노동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고, 여성의 무급 가사노동이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했다.[2] 낸시 폴브레는 ''보이지 않는 심장''에서 돌봄노동의 가치를 강조하고, 시장 중심적 경제 논리가 돌봄의 가치를 폄하한다고 비판했다.1825년 안나 휠러와 윌리엄 톰슨은 ''인류의 절반인 여성, 다른 절반인 남성이 정치적, 시민적, 가정적 노예 상태로 여성들을 유지하려는 주장에 대한 호소''에서 여성의 노동이 자본주의의 지속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설명하며, 요리, 청소, 세탁, 그리고 다른 모든 가사 활동이 실제 노동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휠러와 톰슨은 자본주의가 기능하기 위해서는 노동력이 필요하며, 여성이 아이를 낳고 이러한 가사 활동을 수행하지 않으면 자본주의는 실패할 것이라고 주장한다.[2]
1843년 프랑스 사회주의 운동가 플로라 트리스타는 "왜 내가 여성들을 언급하는가"라는 글에서 여성과 소녀들이 가사 업무에 투입되기 때문에 교육을 받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트리스타에 따르면, 소녀와 여성은 교육을 소홀히 하고 청소, 요리, 육아에 강제적으로 전념해야 하기 때문에 가사 영역 밖에서 수입이 되는 직업을 가질 수 없다.[2]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모성과 성별화된 노동 분업이 여성의 어머니로서의 역할로부터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여성의 공적 영역 배제의 근원이며, 남성에 대한 여성의 경제적 의존성을 만든다고 강조한다. 이들은 성별화된 노동 분업에 자연스러운 것은 없다고 주장하며, 여성이 출산과 양육과 관련된 노동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청소, 요리 및 기타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기대는 여성이 집 밖에서 경제 활동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박탈한다고 보여준다.[21]
샬럿 퍼킨스 길먼과 같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가사 노동의 전문화를 핵심으로 보았다. 이는 전문 보모와 가사 도우미를 고용하여 집 안의 여성으로부터 가사 노동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다.[21] 퍼킨스 길먼은 여성과 남성 모두의 창의성과 여가 활동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집을 재설계할 것을 권장하며, 스튜디오나 서재와 같은 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부엌과 식당을 없애는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변화는 집집마다 식사를 준비하고 소비하는 방식을 공동화하여 여성이 집집마다 식사를 제공해야 하는 부담에서 벗어나도록 할 것이다.
레오폴디나 포르투나티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인 ''재생산의 비의: 가사 노동, 매춘, 노동과 자본''의 저자이다. 실비아 페데리치는 급진적인 자율주의 페미니스트 마르크스주의 전통을 가진 이탈리아 학자, 교사, 활동가이다.[61] 페데리치의 ''칼리반과 마녀: 여성, 신체 및 원시적 축적''은 레오폴디나 포르투나티의 연구를 확장한 것이다. 페데리치는 여성의 무급 노동을 임금 노동에 기초한 자본주의 경제의 부상을 위한 역사적 전제 조건으로 설정하고, 공유지를 위한 역사적 투쟁과 공동체주의를 위한 투쟁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유물론적 여성주의는 여성 억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를 핵심으로 강조한다. 제니퍼 위케는 유물론적 여성주의를 "젠더 위계를 포함한 사회적 배열이 발전하는 물질적 조건을 조사하는 여성주의"로 정의한다.[63]
1975년 크리스틴 델피는 유물론적 여성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64] 로즈마리 헤네시는 유물론적 여성주의의 역사를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보다 유물론적 여성주의라는 용어를 선호했던 영국과 프랑스 여성주의자들의 연구에서 추적한다.[65] 델피는 유물론이 억압을 여성의 삶의 기본적인 현실로 보는 유일한 역사 이론이며, 가사 생산 방식이 가부장적 착취의 장이자 여성 억압의 물질적 기반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델피는 결혼이 남성에게 여성을 착취할 권리를 부여하는 노동 계약이라고 주장했다.[66]
돌로레스 헤이든의 ''거대한 가정 혁명''은 참고 자료이다. 헤이든은 유물론적 여성주의를 가사일, 요리 등 전통적인 여성의 가사 일과 관련하여 여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집단적 선택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의 가정 공간과 공적 공간 간의 관계를 재개념화하는 것으로 묘사한다.[67]
대한민국에서는 여성의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육아휴직 급여 인상,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강화 등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3. 3. 유해한 남성성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유해한 남성성이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과 논바이너리에게도 해롭다고 주장한다. 유해한 남성성은 남성이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행동은 강인하고 감정을 억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라틴계 문화에서 유해한 남성성은 "마초성"이라고 불린다. 마초성은 남성을 지정된 남성 역할에 묶어두는 반면 여성에게는 복종적인 역할을 부여한다. 마초성은 남성이 우월한 성이고 여성은 2등 시민이라는 생각을 강화한다. 남성에게 성 역할, 특히 이분법적인 성 역할을 따르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은 남성 자살, 강간 문화, 폭력의 정상화 위기에 기여한다.유해한 남성성은 락커룸 토크와 같은 일상생활에서 관찰될 수 있다. 락커룸 토크는 남성이 여성에 대해 가장 흔하게 성적인 발언을 쏟아내는 변명이다. 이러한 남성들이 특정 환경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이 정상화된다. 그러나 락커룸 토크는 특히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줄이려는 성적 위계를 강화하기 때문에 극도로 해롭다. 유해한 남성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는 "남자는 원래 그런거야"라는 문구이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남성의 무례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남성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도록 예외를 만들기 때문에 여성에게 해를 끼친다. 이러한 예시는 성차별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남성에게 여성을 원하는 대로 대할 수 있다는 그릇된 생각을 심어준다.
유해한 남성성은 유해한 남성성의 행동과 사고방식을 조장하는 인기 있는 남성 인플루언서가 증가함에 따라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더 널리 논의되는 문제가 되었다. 남성들은 틱톡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들어가 여성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유해한 생각을 공유한다. 이것은 오늘날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주요 문제가 되었으며, 유해한 남성성에 대항하기 위해 틱톡의 트렌드가 큐레이션되었다. 예를 들어, #97% 트렌드는 여성들이 성희롱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여성의 97%는 평생 동안 어떤 형태의 성희롱을 경험할 것이며, 따라서 이 트렌드는 여성이 남성으로 인해 엄청난 고통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3. 4. 성별 임금 격차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이론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들 간의 경제적 불평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현대 사회주의 여성주의자들은 보상받지 못하는 가사 노동에서 여성이 집 밖에서 하는 일에 대해 받는 불충분한 임금으로 관심사를 옮겼다. 일부 여성들은 남성이 지배하는 고임금 직업을 확보했지만, 대부분은 서비스, 사무, 농업, 경공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찾는다.[22] 여성주의 철학자 로즈마리 통은 성별 임금 격차에 대한 세 가지 흔한 이유를 제시한다. "여성이 저임금, 여성 지배적인 직업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여성의 높은 비율이 전일제가 아닌 시간제 근무를 한다는 점, 그리고 여성에 대한 명백한 임금 차별."[22]성별 임금 격차는 가부장적이고 자본주의적인 조건들을 통해 발생하고 지속되어 왔다. 서비스 기반 직업의 여성화와 가치 절하는 여성들을 저임금에 노출시켰다. 여성들이 더 높은 임금을 얻을 수 있는 대체 고용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해지면서 임금 격차가 커졌다. 가정에서 가사일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을 고용할 수 없는 경우, 여성들이 집 밖에서 일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된다. 집 안팎의 노동을 모두 해야 하는 상황은 보상받지 못하는 "이중 노동"으로 이어져 격차를 확대시킨다. 여성의 노동은 가부장제 하에서 "부차적 임금"으로 간주된다.[22] 심지어 전일제로 일하며 남성과 동일한 직업을 가진 여성들도 동등하게 임금을 받지 못한다. 텅은 "여성이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적게 임금을 받는다는 것은 매우 충격적인 생각"이라고 주장한다.[22]
성별 임금 격차는 특히 미국에서 만연한 문제이다. 앨리슨 재거는 저서 ''여성주의 정책과 인간 본성''[23]에서 여성과 남성 간의 생물학적 차이점을 설명하며, 이는 직무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재거는 "가장 명백하게, 여성의 생식 기능은 여성에게 임신 휴가, 산후 조리 서비스 및 젖먹이 아기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의미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23] 이는 직장에서 이를 계약에 공정하게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여성에게 무급 출산 휴가를 강요하는 것은 성별 임금 격차 문제로 이어진다. 왜냐하면 여성은 남성보다 훨씬 더 많은 생식적 필요를 가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보상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4. 비판과 과제
급진적 페미니즘 진영에서는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여성 억압 문제를 계급 문제로 환원시킨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이러한 비판은 계급 환원론적이라고 반박한다.[86][87][88]
독일 공산당원 클라라 체트킨과 볼셰비키 소속 소련 정치가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리버럴 페미니즘을 "계급주의에 박차를 가하는 페미니즘"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상위 계급 여성이 노동자 계급 여성의 고충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보았으며, 경제적 격차를 넘어선 여성 연대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89][90]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여성에게 자유를 가져다주는 보다 근본적인 계획을 지지한 콜론타이 등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계급 투쟁 관점에서 당시 여성 운동의 주류였던 양성 평등론을 부르주아적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이 노동자 계급의 환경을 개선하면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노동자 계급 선동 효과가 약화될 것을 우려했다. 대신,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서만 여성의 노동 환경을 포함한 모든 대우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91]
생태 페미니즘, 퀴어 이론 등 새로운 사회적 의제와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결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기후 위기, 4차 산업혁명, 디지털 성범죄 등 새로운 사회 문제에 대한 사회주의 페미니즘적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68][69][70][71]
197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많은 여성들이 유해 물질로 인한 지역 사회 오염, 원주민 토지에서의 핵무기 실험 등 다양한 문제에 맞서 조직적으로 활동했다. 모든 대륙에서 나타난 이러한 풀뿌리 활동은 지구상의 생명 유지 조건을 보호하기 위한 투쟁에서 상호 교차적이고 다문화적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생태 페미니즘(ecofeminism)으로 알려졌으며, 그 정치적 중요성은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다. 이 운동의 대표적인 저술은 다음과 같다.
저자 | 저서 | 국가 |
---|---|---|
캐롤린 머천트 | 자연의 죽음 | 미국 |
마리아 미스 | 세계 규모의 가부장제와 축적 | 독일 |
반다나 시바 | 살아남기: 여성, 생태, 개발 | 인도 |
아리엘 살레 | 정치로서의 생태 여성주의: 자연, 마르크스, 그리고 포스트모던 | 호주 |
생태 여성주의는 유럽 중심적 인식론, 과학, 경제, 문화에 대한 심오한 비판을 포함하며, 현대 행성 생태계 붕괴에 대한 여성주의적 대응으로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아나르코페미니즘은 아나키즘과 페미니즘을 결합한 사상으로, 가부장제를 강제적인 위계질서로 보고 분산화된 자유연합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본다. 아나르코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에 대한 투쟁이 계급투쟁과 국가에 대항하는 투쟁의 본질적인 부분이라고 믿는다. L. 수잔 브라운은 "아나키즘이 모든 권력 관계에 반대하는 정치 철학인 만큼, 본질적으로 페미니스트적"이라고 주장한다.[26] 미하일 바쿠닌은 가부장제와 법이 여성을 남성의 지배에 복종시킨다고 비판하며, 남녀에게 동등한 권리가 주어져야 여성이 독립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할 자유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권위주의적인 법률적인 가족과 여성의 완전한 성적 자유의 종말을 예견했다.[27]
엠마 골드만, 볼테린 드 클레어, 루시 파슨스 등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들은 아나르코페미니즘의 선구자였다.[28] 스페인 내전 당시 아나르코페미니스트 단체인 무헤레스 리브레스es(자유 여성)는 이베리아 아나키스트 연맹es과 연결되어 아나키스트와 페미니스트적 이상을 옹호했다.[29] 페데리카 몬체니는 여성 해방이 사회 혁명을 앞당길 것이며, 성차별에 대한 혁명은 지적이고 투쟁적인 '미래의 여성'으로부터 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예술과 문학을 통해 여성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고 보았다.[30]
아르헨티나에서는 버지니아 볼텐이 ''라 보스 데 라 무헤르es''(여성의 목소리)라는 신문을 출판했는데(1896-1897), 이 신문은 스스로를 "공산주의 아나키즘의 발전을 위해 헌신"한다고 묘사하며 여성 억압의 다중적 본질을 중심 주제로 다루었다.
무헤레스 리브레스es는 스페인의 아나키즘 여성 조직으로, 1936년 루시아 산체스 사오르닐 등에 의해 설립되어 약 30,000명의 회원을 보유했다. 이들은 여성 해방과 사회 혁명이라는 두 목표가 동등하게 중요하며 병행하여 추구되어야 한다는 "이중 투쟁" 개념을 기반으로 활동했다. [33] 루시아 산체스 사오르닐은 스페인의 시인이자 아나키즘 및 페미니즘 운동가로, ''무헤레스 리브레스''의 창립자 중 한 명이다. 그녀는 남성 필명으로 레즈비언적인 주제를 탐구하기도 했다.[34]
지난 수십 년 동안, 아나르코페미니즘에 대한 두 편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리베르타리아스''(1996)는 무헤레스 리브레스에 관한 시대극이며, ''니 디오스, 니 파트론, 니 마리도''(2010)는 버지니아 볼텐과 ''라 보스 데 라 무헤르'' 출판을 중심으로 한다.[35][36]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와 사회주의적 여성주의의 사례''(1978)는 질라 R. 아이젠슈타인이 편집한 에세이 모음집이다. 사회학자 론다 F. 레빈은 이 책을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입장에 대한 훌륭한 논의"이자 "마르크스주의의 계급 분석과 가부장제에 대한 페미니스트 분석을 결합하여 성과 계급 불평등 체계의 교차성을 제시하는 초기 진술 중 하나"로 평가했다.[55] 아이젠슈타인은 '자본주의적 가부장제'를 "자본주의 계급 구조와 위계적인 성 구조 사이의 '상호 강화적인 변증법적 관계'"로 정의하며,[56] "여성을 성적 계급으로 인식하는 것은 자유주의에 대한 페미니즘의 전복적인 질을 드러낸다"고 주장한다.[57]
4. 1. 계급 환원론 비판
급진적 페미니즘 진영 일각에서는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여성 억압 문제를 계급 문제로 환원시킨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이러한 비판이 계급 환원론적이라고 반박한다.[86][87][88]독일 공산당원 클라라 체트킨과 볼셰비키 소속 소련 정치가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리버럴 페미니즘을 "계급주의에 박차를 가하는 페미니즘"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상위 계급 여성이 노동자 계급 여성의 고충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보았으며, 경제적 격차를 넘어선 여성 연대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89][90]
콜론타이와 같은 마르크스주의를 지지하는 여성들은 계급 투쟁의 관점에서 당시 여성 운동의 주류였던 양성 평등론을 부르주아적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이 노동자 계급의 환경을 개선하면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노동자 계급 선동 효과가 약화될 것을 우려했다. 대신, 이들은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여성에게 자유를 가져다주는 보다 근본적이고 정치적인 계획을 지지했으며,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서만 여성의 노동 환경을 포함한 모든 대우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91]
4. 2. 새로운 사회적 의제와의 결합
생태 페미니즘, 퀴어 이론 등 새로운 사회적 의제와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결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기후 위기, 4차 산업혁명, 디지털 성범죄 등 새로운 사회 문제에 대한 사회주의 페미니즘적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68][69][70][71]197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많은 여성들이 유해 물질로 인한 지역 사회 오염, 원주민 토지에서의 핵무기 실험 등 다양한 문제에 맞서 조직적으로 활동했다. 모든 대륙에서 나타난 이러한 풀뿌리 활동은 지구상의 생명 유지 조건을 보호하기 위한 투쟁에서 상호 교차적이고 다문화적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생태 여성주의(ecofeminism)로 알려졌으며, 그 정치적 중요성은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다. 이 운동의 대표적인 저술은 다음과 같다.
저자 | 저서 | 국가 |
---|---|---|
캐롤린 머천트 | 자연의 죽음 | 미국 |
마리아 미스 | 세계 규모의 가부장제와 축적 | 독일 |
반다나 시바 | 살아남기: 여성, 생태, 개발 | 인도 |
아리엘 살레 | 정치로서의 생태 여성주의: 자연, 마르크스, 그리고 포스트모던 | 호주 |
생태 여성주의는 유럽 중심적 인식론, 과학, 경제, 문화에 대한 심오한 비판을 포함하며, 현대 행성 생태계 붕괴에 대한 여성주의적 대응으로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5.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성별, 계급, 인종, 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클라우디아 존스는 삼중 억압을 이론화했고,[15] 린다 고든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본질적으로 교차적이라고 주장한다.[16] 1980년대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교차성 개념을 예고했다.[17] 쿰-쿰 바브나니와 마가렛 콜슨은 인종, 계급, 성별이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19]
사회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 해방이 모든 사람의 사회적, 경제적 정의와 함께 추구되어야 한다고 믿으며, 남성 우월주의 종식을 사회 정의의 핵심으로 보지만, 상호 강화되는 많은 형태의 억압 중 하나로 여긴다.[72] 돌봄노동의 사회화와 공공성 강화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인 한국 사회에서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이다.
5. 1. 불평등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성별 불평등뿐만 아니라 계급, 인종, 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클라우디아 존스는 1930년대에 흑인 여성, 기타 유색인종 노동자 여성과 그들의 필요를 공산당에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는 공산당이 백인 남성 프롤레타리아의 문제로 기본값을 설정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존스는 흑인 및 유색인종 여성이 인종, 계급, 성별에 기초한 억압을 경험한다는 개념인 ''삼중 억압''을 이론화했다.[15]페미니스트 역사학자 린다 고든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성별과 계급을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교차적이라고 주장한다. 킴벌리 크렌쇼 박사가 교차성 개념을 명확히 하기 수십 년 전부터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교차성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16] 1980년대의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개인의 억압 경험을 만들어내는 중첩된 구조를 검토함으로써 교차성 개념을 예고했다.[17]
엘리자베스 라포브스키 케네디는 이러한 사회 구조에 대한 더 폭넓은 분석이 사회주의 페미니즘에서 시작되었고 페미니스트 학문의 촉매 역할을 했다고 말한다. 케네디는 최초의 여성학 프로그램 중 상당수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에 의해 설립되었다고 말한다.[1]
쿰-쿰 바브나니와 마가렛 콜슨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운동 내의 인종차별주의가 많은 백인 페미니스트들이 인종차별주의의 제도적 본질을 인식하지 못한 데서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인종, 계급, 성별은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요인 중 하나라도 제외하면 사회를 구성하는 특권과 억압의 시스템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를 초래한다고 말한다.[19]
사회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 해방이 모든 사람의 사회적, 경제적 정의와 함께 추구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들은 남성 우월주의 종식을 위한 투쟁을 사회 정의의 핵심으로 보지만, 유일한 문제는 아니며 상호 강화되는 많은 형태의 억압 중 하나로 여긴다.[72]
5. 2. 돌봄의 사회화와 공공성 강화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돌봄노동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돌봄의 사회화와 공공성 강화를 주장한다. 이는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한국 사회에서 지속 가능한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과제이다.6. 결론
Women's International Terrorist Conspiracy from Hell(W.I.T.C.H.)는 1968년과 1969년 사이 미국에서 결성된 여러 페미니스트 단체의 이름으로,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은 게릴라 극장 형태의 "잽(zaps)" 시위를 통해 여성 혐오에 맞서고 사회 변화를 추구했다. W.I.T.C.H.의 활동은 이후 LGBT 활동가들의 잽 행동 시위 전술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실천적 노력은 여성 해방과 사회 변혁을 위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며, 한국 사회의 특수한 맥락을 고려하여 더욱 평등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학술지
Socialist Feminism: What Difference Did It Make to the History of Women's Studies?
http://web.b.ebscoho[...]
[2]
서적
Women and work: Feminism, labour, and social reproduction
Pluto Press
[3]
웹사이트
The Personal is Political
http://www.carolhani[...]
2021-01-21
[4]
웹사이트
What is Socialist Feminism?
http://www.feministe[...]
2007-05-28
[5]
사전
Socialist Femi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0-20
[6]
뉴스
Socialist Feminism vs. Other Types of Feminism
https://www.thoughtc[...]
2017-03-16
[7]
학술지
New Alliances: Socialist-Feminism in the Eighties
1989-01-01
[8]
학술지
Marx on Women's Question
https://www.jstor.or[...]
2001
[9]
웹사이트
How Marx and Engels fought for women's liberation
https://isj.org.uk/j[...]
2024-09-28
[10]
웹사이트
The Chicago Women's Liberation Union: An Introduction
http://www.uic.edu/o[...]
University of Illinois
2011-11-25
[11]
학술지
Socialist Feminism: What Difference Did It Make to the History of Women's Studies?
2008
[12]
학술지
Socialist Feminism: What Difference Did It Make to the History of Women's Studies?
https://www.jstor.or[...]
2008
[13]
서적
Why Women Have Better Sex Under Socialism
Nation Books
[14]
서적
An Intelligent Women's Guide to Capitalism and Socialism
Houghton Mifflin Harcourt
[15]
학술지
Socialist Feminism and Triple Oppression: Claudia Jones and African American Women in American Communism
2014
[16]
학술지
'Intersectionality', Socialist Feminism and Contemporary Activism: Musings by a Second-Wave Socialist Feminist
https://zonafranca.u[...]
2016-07-12
[17]
학술지
Socialist Feminism: The Legacy of the "Second Wave"
2013
[18]
웹사이트
Marxist Feminism
https://literariness[...]
2020-04-16
[19]
학술지
Transforming Socialist-Feminism: The Challenge of Racism
2005
[20]
학술지
New Alliances: Socialist-Feminism in the Eighties
1989
[21]
서적
Women and Economics
https://archive.org/[...]
Small, Maynard & Company
[22]
서적
Feminist thought : a more comprehensive introduction
Westview Press
2009
[23]
서적
Feminist politics and human nature /
http://hdl.handle.ne[...]
Totowa, N.J.
1983
[24]
웹사이트
womenstrikeus.org
http://womenstrikeus[...]
[25]
웹사이트
International Women's Day 2020
https://www.unwomen.[...]
2020-12-04
[26]
서적
Beyond Feminism: Anarchism and Human Freedom
AK Press
[27]
웹사이트
What is Anarcha-Feminism?
http://www.infoshop.[...]
[28]
문서
Dunbar-Ortiz, p.9.
[29]
문서
Ackelsberg.
[30]
학술지
Spencer Sunshine: "Nietzsche and the Anarchists" (2005)
http://radicalarchiv[...]
2004-2005
[31]
서적
Women's movement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Latin Americ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32]
웹사이트
No God, No Boss, No Husband: The world's first Anarcha-Feminist group
http://libcom.org/hi[...]
Libcom.org
2012-09-29
[33]
학술지
Mujeres Libres: Women anarchists in the Spanish Revolution
http://flag.blackene[...]
Workers Solidarity
2012-09-29
[34]
뉴스
Tener referentes serios de lesbianas elimina estereotipos
http://elpais.com/di[...]
El Pais
2007-12-06
[35]
웹사이트
"Ni Dios, Ni Patrón, Ni Marido" (2009) by Laura Mañá
http://www.cinenacio[...]
Cinenacional.com
2012-09-29
[36]
웹사이트
Ni Dios, Ni Patron, Ni Marido - Trailer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10-07-13
[37]
서적
Eleanor Marx (1855–1898): Life, Work, Contacts
Ashgate
[38]
웹사이트
"On a Bourgeois Feminist Petition"
http://www.marxists.[...]
1895
[39]
웹사이트
"Lenin On the Women's Question"
http://www.marxists.[...]
[40]
웹사이트
"The Social Basis of the Woman Question"
http://www.marxists.[...]
1909
[41]
웹사이트
"Women Workers Struggle For Their Rights"
http://www.marxists.[...]
1919
[42]
웹사이트
On a Bourgeois Feminist Petition
http://www.marxists.[...]
1895
[43]
웹사이트
Lenin on the Women's Question
http://www.marxists.[...]
[44]
웹사이트
The Social Basis of the Woman Question
http://www.marxists.[...]
1909
[45]
웹사이트
Women Workers Struggle For Their Rights
http://www.marxists.[...]
1919
[46]
간행물
Alexandra Kollontai: Precursor of Eurofeminism
https://www.jstor.or[...]
1982
[47]
간행물
Emancipation Through Communism: The Ideology of A. M. Kollontai
1973
[48]
간행물
Bolshevism, the Woman Question, and Aleksandra Kollontai
https://www.jstor.or[...]
1976
[49]
간행물
Class, Race and Gender: The Triangle of Oppression
https://www.jstor.or[...]
1994
[50]
간행물
Conversing with Stalin, Surviving the Terror: The Diaries of Aleksandra Kollontai and the Internal Life of Politics
https://www.jstor.or[...]
2010
[51]
간행물
Alexandra Kollontai and Marxist Feminism
https://www.jstor.or[...]
2001
[52]
서적
Red Feminism: American Communism and the Making of Women's Liberati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53]
백과사전
Mary Inman (1894–1985)
Garland Publishing Co.
1990
[54]
문서
The Radical Women Manifesto: Socialist Feminist Theory, Program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http://www.redletter[...]
Red Letter Press
2001
[55]
서적
Legacies of the insurgent sociologist
Brill Press
[56]
서적
Feminist Theory and Literary Practice
Pluto Press
[57]
서적
Capitalist Patriarchy and the Case for Socialist Feminism
Westview Press
[58]
웹사이트
Haraway_CyborgManifesto.HTML
https://web.archive.[...]
[59]
간행물
The cyborg coyote: generating theory in the borderlands
[60]
서적
"A Cyborg Manifesto":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Feminism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Routledge
[61]
웹사이트
Silvia Frederici biography at Interactivist
http://info.interact[...]
[62]
간행물
Why a materialist feminism is (Still) Possible—and necessary
2001-05
[63]
서적
Feminism and postmodernism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64]
서적
Materialist feminism : a reader in class, difference, and women's lives
Routledge
[65]
서적
Materialist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discourse
Routledge
[66]
간행물
A Materialist Feminism is Possible
1980-03
[67]
서적
Routledg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 : global women's issues and knowledge
Routledge
[68]
서적
The Death of Nature: Women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Harper & Row
1980
[69]
서적
Patriarchy and Accumulation on a World Scale
https://www.zedbooks[...]
Zed Books
1986
[70]
서적
Staying Alive: Women, Ecology and Development
https://www.zedbooks[...]
Zed Books
1989
[71]
서적
Ecofeminism as Politics: Nature, Marx and the Postmodern
https://www.zedbooks[...]
Zed Books
1997
[72]
간행물
Socialist Feminism: What Difference Did It Make To The History Of Women's Studies?
[73]
문서
"Ein Blick über die Berliner Mauer (1974)"
https://feministberl[...]
Cristina Perincioli, "Berlin wird feministisch"(2015) p.172-177
[74]
웹사이트
Cwlu Herstory
http://www.cwluherst[...]
[75]
서적
In Our Time: Memoir of a Revolution
https://archive.org/[...]
The Dial Press
[76]
웹사이트
Historical Dow Jones Closing Prices 1961-1970
http://www.automatio[...]
2013-03-15
[77]
서적
Mass Media and the Shaping of American Feminism, 1963-1975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78]
문서
Big Flame 1970-1984: Who We Were
http://bigflameuk.wo[...]
Archive Archie
[79]
웹사이트
Sojourner Truth Organization - 1969-1983 - Workplace Papers - Review of "Reflections on Organizing" (1970)
http://www.sojourner[...]
[80]
서적
The Left In Britain, 1956-1968
Penguin
1976
[81]
서적
A Historical Glossary of British Marxism
Pauper's Press
1987
[82]
서적
Disaster: The Rise And Fall of News On Sunday - Anatomy of a Business Failure
1988
[83]
웹사이트
Big Flame, The (1969)
http://www.screenonl[...]
[84]
서적
資本制と家事労働
海鳴社
1985
[85]
웹사이트
家父長制と資本制 - 岩波書店
http://www.iwanami.c[...]
[86]
문서
On a Bourgeois Feminist Petition
http://www.marxists.[...]
1895
[87]
문서
Lenin on the Women’s Question
http://www.marxists.[...]
[88]
웹사이트
クララ ツェトキンとは
https://kotobank.jp/[...]
2022-01-18
[89]
문서
The Social Basis of the Woman Question
http://www.marxists.[...]
1909
[90]
문서
Women Workers Struggle For Their Rights
http://www.marxists.[...]
1919
[91]
서적
コロンタイと日本
新樹社
2001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