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헤드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헤드린은 히브리 성경에서 유래된 유대교의 최고 법정으로, 모세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산헤드린은 '최고 법원', '원로회' 등으로 번역되며, 71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 대산헤드린과 23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 소산헤드린으로 나뉘어 사법적 권한을 행사했다. 예수 재판과 초기 기독교 관련 기록에서 언급되며, 로마-유대 전쟁 이후에는 야브네, 티베리아스 등으로 위치를 옮겨가며 존속했다. 3세기 초부터 총대주교가 유대 공동체의 지도력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했으며, 4세기 중반에는 달력 제정 권한을 잃었다. 나폴레옹 1세는 "대 산헤드린"을 소집하여 유대교 최고 법정을 부활하려 시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의 고대사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이스라엘의 고대사 - 사마리아교
사마리아교는 그리심산을 하나님의 성소로 여기며,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고 모세의 토라를 유일한 성경으로 인정하며 유대교와 분리된 역사를 가진 종교이다. - 폐지된 입법부 - 대한제국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은 갑오개혁으로 설립되어 의회적 성격을 갖추었으나, 공화정 수립 루머로 황제의 견제를 받았으며, 독립협회 폐지 이후 자문기관으로 역할이 축소되다가 1907년 기능이 종식되었다. - 폐지된 입법부 - 소련 인민대표대회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으로 1989년 설립된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다양한 사회 단체와 지역을 대표하는 2,25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소련의 최고 입법 기구였으며, 자유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표들이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를 넘어 정치적 다양성을 가져왔으나 소련 붕괴를 촉진했고,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해산되었다. - 히브리어 낱말 - 미크바
미크베는 유대교에서 정결 의식을 위해 몸을 담그는 시설로, 자연적으로 모인 물을 사용하며, 월경이나 개종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되고 최근에는 사용과 관련한 논쟁이 있다. - 히브리어 낱말 - 카디마
카디마는 2005년 아리엘 샤론에 의해 창당된 이스라엘의 정당으로, 팔레스타인과의 분리 계획 추진을 목표로 출범하여 중도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2015년 해산되었다.
산헤드린 | |
---|---|
개요 | |
유형 | 랍비 법원 및 입법 기관 |
구성원 수 | 23 또는 71 (시대에 따라 다름) |
기능 | 할라카 (유대 법) 해석, 사법 판결, 종교적 가르침 |
어원 | |
아람어 | סַנְהֶדְרִין (Sanhedrin) |
그리스어 | Συνέδριον (Synedrion, "의회") |
한국어 | 의회, 회의 |
배경 | |
역사적 기원 | 베이트 하미드라시 (Beit HaMidrash, 학문의 집)에서 유래 |
일본어 | |
일본어 명칭 | サンヘドリン (Sanhedorin) |
설명 | 탈무드의 산헤드린에 대한 다른 용례 존재 |
유대교 | |
관련 주제 | 유대교 |
2. 히브리 성경의 기원
히브리 성경에서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으로부터 재판관을 세우라는 명령을 받았다.[2] 또한 (이스라엘 땅에 도착한 후) 지역 법정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중앙 성소에 "최고 법원"을 세우라는 명령을 받았다.[3]
히브리 성경에서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으로부터 재판관을 세우라는 명령을 받았다.[2] 또한 (이스라엘 땅에 도착한 후) 지역 법정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중앙 성소에 "최고 법원"을 세우라는 명령을 받았다.[3] 모세는 70명의 장로(''제케님'')를 임명하여 지도력의 짐을 함께 나누었고,[4] 미쉬나에 따르면, 이 70명의 장로와 모세 자신을 합쳐 "대 산헤드린"의 71명의 재판관이 되었다.[5] "소 산헤드린"은 23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되었다.[5]
모세가 백성을 이끄는 일이 자신에게 너무 어렵다고 선언했을 때, 하느님은 그에게 70명의 장로(''제케님'')를 임명하여 지도력의 짐을 함께 나누게 했다.[4] 미쉬나에 따르면, 이 70명의 장로와 모세 자신을 합쳐 "대 산헤드린"의 71명의 재판관이 되었다.[5] 이 장로들은 "백성의 장로들과 지도자"로 묘사되며,[6] 미드라쉬에 따르면, 이들은 파라오의 벽돌 할당량을 채우지 못해 이집트 노예 생활에서 매를 맞았던 지도자들이며, 탈출 후 첫 산헤드린의 일원으로 보상받았다.[7]
"소 산헤드린"의 23명의 재판관은 다음과 같은 주석에서 유래한다. "공동체"가 유죄 판결과 무죄 방면 모두에 대해 투표할 수 있어야 한다(Numbers 35:24–5|HEhe). "공동체"의 최소 규모는 10명이며,[8] 따라서 10대 10이다. 과반수를 얻으려면 한 명이 더 필요하지만 (11대 10), 단순 과반수로는 유죄 판결을 내릴 수 없으므로(Exodus 23:2|HEhe), 판사가 한 명 더 필요하다 (12대 10). 마지막으로, 법정은 교착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홀수의 재판관을 가져야 하므로 22명이 아닌 23명이다.[5]
3. 역사
역사적으로 처음 언급된 ''산헤드린'' (Συνέδριον|쉬네드리온grc)은 그리스어로 번역된 유대교 종교 서적인 솔로몬 시편 (17:49)에 나타난다. 유대의 하스몬 왕조 궁정은 기원전 76년까지 알렉산더 얀나이가, 그 이후에는 그의 아내 살로메 알렉산드라 여왕이 주재했으며, 이를 또는 ''산헤드린''이라고 불렀다.[9] 아울루스 가비니우스(Aulus Gabinius)는 기원전 57년에 5개의 synedra|쉬네드라la를 조직했다.[10]
요세푸스는 시리아의 로마 총독 아울루스 가비니우스(Aulus Gabinius)의 칙령(기원전 57년)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synhedrion''을 묘사하는데, 그는 유대교의 헌법과 당시 정부 형태를 폐지하고 이 나라를 5개 주로 나누었으며, 각 주의 수장에는 ''synhedrion''이 배치되었다. 예루살렘은 이 중 하나의 소재지였다.[11] 이후 헤롯 대왕(Herod the Great)이 ''synhedrion''의 허가 없이 혐의자를 처형한 혐의로 히르카누스 2세(Hyrcanus II)가 이끄는 ''synhedrion'' 앞에 소환되었다.[12]
미쉬나에 따르면 대산헤드린은 예루살렘 성전의 다듬은 돌의 방에서 유대교 휴일과 안식일을 제외하고 매일 회의를 열었다.
복음서에서는 예수의 체포가 산헤드린의 음모에 의한 것이며, 산헤드린 구성원들이 유다 이스카리옷을 매수하여 예수를 체포했다고 전한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베드로, 요한, 스테파노, 바울로 등은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파한 죄로 산헤드린에 끌려갔다.
제2차 성전 파괴 이후, 산헤드린은 야브네에서 권한이 축소된 채로 재건되었다. 총대주교청은 80년에 우샤로 이전했다가 116년에 다시 야브네로 이전했고, 다시 우샤로 돌아갔다. 바르 코흐바의 난 이후, 랍비 텍스트는 남부 갈릴리가 이스라엘 땅의 랍비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우샤, 베트 셰아림, 세포리스, 티베리아스에 족장 법정이 위치했다고 나타낸다.[16]
대 산헤드린은 140년에 셰파람으로 이동하였고, 이후 베이트 셰아림, 세포리스를 거쳐 220년에 티베리아스로 이동하였다. 감리엘 4세 (270–290)의 주재 기간 동안 로마의 박해로 인해, 산헤드린이라는 이름은 사라졌고 그 이후 권위 있는 결정은 ''베트 하미드라쉬''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363년, 율리아누스 배교자 황제는 성전 재건을 명령했다.[17] 랍비 힐렐 2세는 358 CE에 수학적 기반의 히브리력으로 변경을 권장했다. 이것은 대 산헤드린이 내린 마지막 보편적 결정이었다. 감리엘 6세 (400–425)는 산헤드린의 마지막 의장이었다. 425년에 그가 사망하자, 테오도시우스 2세는 나시라는 칭호를 불법화했다.
3. 1. 초기 산헤드린
히브리 성경에서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으로부터 재판관을 세우라는 명령을 받았다.[2] 또한 이스라엘 땅에 도착한 후, 지역 법정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중앙 성소에 "최고 법원"을 세우라는 명령을 받았다.[3]
모세가 백성을 이끄는 일이 자신에게 너무 어렵다고 선언했을 때, 하느님은 그에게 70명의 장로(''제케님'')를 임명하여 지도력의 짐을 함께 나누게 했다.[4] 미쉬나에 따르면, 이 70명의 장로와 모세 자신을 합쳐 "대 산헤드린"의 71명의 재판관이 되었다.[5] 이 장로들은 "백성의 장로들과 지도자"로 묘사되며,[6] 미드라쉬에 따르면, 이들은 파라오의 벽돌 할당량을 채우지 못해 이집트 노예 생활에서 매를 맞았던 지도자들이며, 탈출 후 첫 산헤드린의 일원으로 보상받았다.[7]
"소 산헤드린"의 23명의 재판관은 다음과 같은 주석에서 유래한다. "공동체"가 유죄 판결과 무죄 방면 모두에 대해 투표할 수 있어야 한다. "공동체"의 최소 규모는 10명이며,[8] 따라서 10대 10이다. 과반수를 얻으려면 한 명이 더 필요하지만 (11대 10), 단순 과반수로는 유죄 판결을 내릴 수 없으므로, 판사가 한 명 더 필요하다 (12대 10). 마지막으로, 법정은 교착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홀수의 재판관을 가져야 하므로 22명이 아닌 23명이다.[5]
역사적으로 처음으로 언급된 ''산헤드린'' (Συνέδριον|쉬네드리온grc)은 그리스어로 번역된 유대교 종교 서적인 솔로몬 시편 (17:49)에 나타난다.
유대의 하스몬 왕조 궁정은 기원전 76년까지 알렉산더 얀나이가, 그 이후에는 그의 아내인 살로메 알렉산드라 여왕이 주재했으며, 이를 또는 ''산헤드린''이라고 불렀다.[9] 이 초기 산헤드린의 정확한 성격은 명확하지 않다. 이는 현자나 사제들로 구성된 단체였을 수도 있고, 정치, 입법 및 사법 기관이었을 수도 있다. 이 단체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기록은 아울루스 가비니우스(Aulus Gabinius)의 행정 기간 동안으로, 요세푸스에 따르면 그는 기원전 57년에 로마 행정부가 반란을 의심하지 않는 한 종교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기에 5개의 synedra|쉬네드라la를 조직했다.[10] 산헤드린은 제2성전이 파괴된 후에야 현자들로만 구성되었다.[9]
요세푸스는 시리아의 로마 총독인 아울루스 가비니우스(Aulus Gabinius)의 칙령(기원전 57년)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synhedrion''을 묘사하는데, 그는 유대교의 헌법과 당시의 정부 형태를 폐지하고 이 나라를 5개의 주로 나누었으며, 각 주의 수장에는 ''synhedrion''이 배치되었다. 예루살렘은 이 중 하나의 소재지였다.[11] 그 후, 요세푸스는 헤롯 대왕(Herod the Great) (당시 갈릴리의 총독)이 ''synhedrion''의 허가 없이 혐의자를 처형한 혐의로 대제사장 히르카누스 2세(Hyrcanus II)가 이끄는 ''synhedrion'' 앞에 소환되었다고 묘사한다.[12] 하지만, 결국 헤롯은 이 ''synhedrion''의 많은 구성원을 죽이게 된다.[13]
미쉬나는 이 시기의 산헤드린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대산헤드린은 예루살렘 성전의 다듬은 돌의 방에서 회의를 열었다. 이는 유대교 휴일과 안식일을 제외한 매일 소집되었다. 그 구성원에는 코헨(사제), 레위인, 그리고 딸들이 사제와 결혼할 수 있을 정도로 순수한 혈통을 가진 평범한 유대인들이 포함되었다.[14]
전승에 따르면 산헤드린의 기원은 모세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산헤드린이라는 그리스어 명칭은 그 기원이 헬레니즘 시대에 있음을 시사한다. 랍비 전승에 따르면 산헤드린의 멤버가 되기 위한 조건은 모세로부터 전해지는 세미카(Semikhah, 권위 부여)를 구전(口傳)으로 받았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3. 2. 예수 재판과 초기 기독교
예수 재판과 관련하여 복음서에 이 그리스어 신약에 22번 언급된다. "사도행전" 5장에서는 랍비 가말리엘이 등장하는 "대 "과 관련하여, 또한 7장에서는 성 스테파노의 돌에 맞아 죽음에 관하여 언급된다. 이 단체는 대제사장 또는 주요 제사장, 그리고 "장로" 및/또는 바리새인이 이끄는 법정으로 묘사된다.[15]
복음서에서는 예수의 체포가 이 최고 법원의 음모에 의한 것이며, 최고 법원의 구성원들이 유다 이스카리옷을 매수하여 예수를 체포했지만, 예수에게 아무런 죄를 찾아낼 수 없었기 때문에 거짓 증인을 내세워 신에 대한 모독죄로 사형을 선고하고, 로마 총독 본디오 빌라도에게 넘겼다고 한다. 이는 당시 산헤드린에게 사형을 집행할 권한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산헤드린은 원래 사형을 포함한 모든 형벌을 집행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나, 서기 30년경, 로마의 지시에 의해 사형 집행이 금지되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사도 베드로, 요한, 스테파노, 바울로 등의 사람들은 모두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파한 죄로 산헤드린에 끌려갔다.
3. 3. 로마-유대 전쟁과 이후
제2차 성전 파괴 이후, 산헤드린은 요하난 벤 자카이와 로마 황제 베스파시아누스의 합의에 따라 야브네에서 권한이 축소된 채로 재건되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바리새파가 다른 집단만큼 1차 반란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인식을 부분적으로 받아들였다. 따라서 야브네의 산헤드린은 거의 전적으로 바리새파 학자들로 구성되었다. 로마 제국 정부는 산헤드린을 인정하여 산헤드린 수장을 지방장관 지위를 가진, 자신들의 급여를 받는 정부 관료로 간주했다. 로마의 법률은 그 권한 범위를 심각하게 축소했지만 종교 문제에 대한 최종 권한은 인정했다.[16] 로마는 혁명적인 요소를 진압하려는 시도로, 사실상 유대교의 한 형태를 유일하게 인정되는 종교 형태로 선언하여 분파 집단에 대한 박해가 발생했으며, 이들 집단은 로마 정부 앞에서 산헤드린의 과오를 찾으려 했다.
총대주교청은 80년에 가말리엘 2세의 주재 하에 우샤로 이전했다가 116년에 다시 야브네로 이전했고, 다시 우샤로 돌아갔다.
바르 코흐바의 난 이후, 랍비 텍스트는 남부 갈릴리가 이스라엘 땅의 랍비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고 나타낸다. 이 지역은 우샤, 베트 셰아림, 세포리스, 그리고 마지막으로 티베리아스에 위치한 족장 법정의 위치였다.[16]
대 산헤드린은 140년에 셰파람으로 이동하여 시몬 벤 감리엘 2세의 주재하에 있었고, 이후 베이트 셰아림으로, 그리고 나중에는 유다 하나시 (165–220)의 주재 하에 세포리스로 이동했다. 마지막으로, 220년에 유다 하나시의 아들인 감리엘 3세 (220–230)의 주재하에 티베리아스로 이동하여, 더 많은 협의체가 되었지만, 여전히 유다 2세 (230–270)의 주재하에 파문 권한을 유지했다.
감리엘 4세 (270–290)의 주재 기간 동안 로마의 박해로 인해, 산헤드린이라는 이름은 사라졌고; 그 이후 권위 있는 결정은 ''베트 하미드라쉬''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363년에, 기독교에서 배교한 황제 율리아누스 배교자 (355–363 CE 재위)는 성전 재건을 명령했다.[17] 이 프로젝트의 실패는 363년 갈릴리 지진과, 이 프로젝트에 대한 유대인들의 양가적인 감정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파괴 행위나 우발적인 화재도 가능성이 있다. 신의 개입은 당시 기독교 역사가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견해였다.[18] 율리아누스의 친유대인 입장에 대한 반작용으로, 후기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 (379–395 CE 재위)는 산헤드린의 소집을 금지하고 서임을 불법으로 선언했다. 서임을 받은 모든 랍비에게 사형이 선고되었고, 서임이 일어난 마을의 완전한 파괴도 명령했다.[19]
히브리력은 증인의 증언에 기초했기 때문에, 이를 수집하는 것이 너무 위험해졌고, 랍비 힐렐 2세는 358 CE에 비밀리에, 아마도 마지막으로 열린 회의에서 채택된 수학적 기반의 달력으로의 변경을 권장했다. 이것은 대 산헤드린이 내린 마지막 보편적 결정을 나타냈다.
감리엘 6세 (400–425)는 산헤드린의 마지막 의장이었다. 425년에 그가 사망하자, 테오도시우스 2세는 고대 산헤드린의 마지막 잔재인 나시라는 칭호를 불법화했다. 426년의 황제 칙령은 족장의 세금 (post excessum patriarchorumla)을 황실 금고로 돌렸다.[19] 족장제의 폐지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20] 마지막 족장이자 한때 황제에 의해 총독의 지위까지 오른 감리엘 6세는[21] 황실 당국과 사이가 틀어졌을 수 있다.[20] 그 후, 유대인들은 점차 공직에서 배제되었다.[22] 그러나 429년에 작성된 법은 팔레스타인의 각 동로마 지방에 산헤드린이 존재한다고 언급한다.[23]
4. 권한
산헤드린은 다른 유대 법정이 가질 수 없는 권한을 가진 기관이었다. 왕을 재판하고, 성전과 예루살렘의 경계를 확장하며, 모든 법률 관련 질문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었다.[24] 23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 소산헤드린은 사형 판결을 내릴 수 있었고, 71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 대산헤드린만이 자유로운 선택에 따른 전쟁에 백성을 보낼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25]
탈무드의 소책자 산헤드린에 따르면, 대 산헤드린(בית דין הגדולhe)은 71명, 소 산헤드린(בית דין הקטןhe)은 23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되었다. 각 도시는 소 산헤드린을 가질 수 있었지만, 대 산헤드린은 하나만 존재하여 소 산헤드린에서 결정된 사건에 대한 항소를 처리하는 대법원 역할을 했다. 재판관의 홀수는 동점 가능성을 없애기 위한 것이었다.
어떤 경우에는 소산헤드린(23명)만 소집하면 되었고, 국가적으로 중요한 문제(예: 전쟁 선포)나 소산헤드린이 결정적인 판결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에만 대산헤드린(71명)을 소집했다.[28]
제2성전 시대 말에 이르러 산헤드린은 성경과 랍비 전통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유대교 종교 및 정치 생활의 모든 측면을 입법하면서 중요성의 정점에 달했다.
4. 1. 총대주교의 권한 (3세기 초)
기원전 191년 이전에는 대제사장이 산헤드린의 의장 역할을 했습니다.[26] 그러나 기원전 191년, 산헤드린이 대제사장에 대한 신뢰를 잃으면서 나시 직책이 만들어졌습니다. 힐렐 (기원전 1세기 말 ~ 서기 1세기 초) 이후, 나시는 거의 예외 없이 힐렐의 후손이었습니다. 산헤드린에서 나시 다음으로 높은 지위에 있는 구성원은 아브 베이트 딘 또는 '법정의 수장'이라고 불렸으며 (은 '심판의 집의 아버지'를 의미), 산헤드린이 형사 법정으로 소집될 때 이를 주재했습니다.[27]5. 나시 (의장)
기원전 191년 이전에는 대제사장이 산헤드린의 당연직 수장 역할을 수행했지만,[26] 기원전 191년에 산헤드린이 대제사장을 불신하게 되면서 의장직은 새로운 직함인 나시에게로 넘어갔다. 산헤드린은 위대한 이스라엘 땅의 탈무드 학원의 수석 학자들이 이끌었으며, 산헤드린이 쇠퇴하면서 그들의 영적, 법적 권위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고, 이 기구 자체는 고대 세계 전역의 유대인들의 자발적인 기부에 의해 지원되었다.
힐렐 가문의 일원, 즉 다윗 왕의 후손인 나시(공)는 회의의 의장으로서 거의 왕과 같은 권위를 누렸다. 그의 기능은 종교적이라기보다는 정치적이었지만, 그 직함의 영향력은 세속적인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았다.[21] 총대주교는 유다 하나시 아래에서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그는 미쉬나를 편찬했다.[21]
의장 | 재임 기간 | |
---|---|---|
요세 벤 요에제르 | 기원전 170년 | 기원전 140년 |
여호수아 벤 페라흐야 | 기원전 140년 | 기원전 100년 |
시므온 벤 세타흐 | 기원전 100년 | 기원전 60년 |
쉬마야 | 기원전 65년 | 기원전 31년경 |
힐렐 | 기원전 31년경 | 서기 9년 |
라반 시몬 벤 힐렐 | 9 | ? |
라반 가말리엘 | 30 | 50 |
라반 시몬 벤 가믈리엘 | 50 | 70 |
라반 요하난 벤 자카이 | 70 | 80 |
라반 가말리엘 2세 (야브네) | 80 | 118 |
랍비 엘리에제르 벤 아자리아 | 118 | 120 |
공위 시대 (바르 코흐바의 난) | 120 | 142 |
라반 시몬 벤 가믈리엘 2세 | 142 | 165 |
랍비 유다 1세 하나시(대통령) | 165 | 220 |
가말리엘 3세 | 220 | 230 |
유다 2세 네시아 | 230 | 270 |
가말리엘 4세 | 270 | 290 |
유다 3세 네시아 | 290 | 320 |
힐렐 2세 | 320 | 365 |
가말리엘 5세 | 365 | 385 |
유다 4세 | 385 | 400 |
가말리엘 6세 | 400년경 | 425 |
6. 부활 시도
나폴레옹 1세가 소집한 "대 산헤드린"은 유명 인사 회의에서 표현된 원칙에 법적 승인을 부여하기 위한 유대교 최고 법정이었으나, 전통적인 산헤드린의 할라카 절차를 따르지는 않았다.
358년경 산헤드린이 해체된 이후, 여러 차례 재건 시도가 있었다. 아라비아,[33] 칼리프 우마르 시대의 예루살렘,[33] 바빌론(이라크)[34]에서 산헤드린을 개혁하려는 시도가 있었을 수 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러한 시도는 후대 랍비 당국에 의해 주목받지 못했으며 이에 대한 정보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마이모니데스(1135–1204)는 ''세미카''와 산헤드린 재건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합리주의적 해결책을 제안했다.[35][36] 이후 1538년 랍비 야곱 베랍, 1830년 랍비 이스라엘 슈클로버, 1901년 랍비 아론 멘델 하코헨, 1940년 랍비 츠비 코브스케르, 1949년 랍비 예후다 레이브 마이몬, 2004년 이스라엘 랍비 단체가 마이모니데스의 권고를 실행하려 시도했다.
6. 1.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대 산헤드린"

"대 산헤드린"은 나폴레옹 1세가 소집한 유대교 최고 법정으로, 정부가 제출한 12가지 질문에 대한 유명 인사 회의에서 표현된 원칙에 법적 승인을 부여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이 법정은 전통적인 산헤드린의 할라카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
1806년 10월 6일, 유명 인사 회의는 유럽의 모든 유대교 공동체에 선언문을 발표하여 10월 20일에 소집될 산헤드린에 대표를 파견하도록 초대했다. 히브리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로 작성된 이 선언문은 부활한 이 기구의 중요성과 제국의 보호자의 위대함을 과장된 어조로 이야기하고 있다. 나폴레옹의 행동이 많은 독일 유대인들에게 그들의 정부가 영향을 받아 시민권을 부여할 것이라는 희망을 불러일으킨 반면, 다른 사람들은 이를 정치적 책략으로 여겼다. 프로이센과의 전쟁(1806–07)에서 황제가 폴란드를 침공하고 유대인들이 그의 군대에 큰 봉사를 했을 때, 그는 웃으며 "산헤드린은 적어도 나에게 유용하다"고 말했다.[33] 베를린의 다비드 프리들랜더와 그의 친구들은 이를 나폴레옹이 파리 시민들에게 제공한 구경거리라고 묘사했다.
6. 2. 현대의 부활 시도
나폴레옹 1세가 소집한 "대 산헤드린"은 유명 인사 회의에서 표현된 원칙에 법적 승인을 부여하기 위한 유대교 최고 법정이었다. 이 법정은 전통적인 산헤드린의 할라카 절차를 따르지는 않았다.1806년 10월 6일, 유명 인사 회의는 유럽의 모든 유대교 공동체에 선언문을 발표하여 10월 20일에 소집될 산헤드린에 대표를 파견하도록 초대했다. 히브리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로 작성된 이 선언문은 부활한 이 기구의 중요성과 제국의 보호자의 위대함을 과장된 어조로 이야기하고 있다. 나폴레옹의 행동이 많은 독일 유대인들에게 그들의 정부가 영향을 받아 시민권을 부여할 것이라는 희망을 불러일으킨 반면, 다른 사람들은 이를 정치적 책략으로 여겼다. 프로이센과의 전쟁(1806–07)에서 황제가 폴란드를 침공하고 유대인들이 그의 군대에 큰 봉사를 했을 때, 그는 웃으며 "산헤드린은 적어도 나에게 유용하다"고 말했다.[33] 베를린의 다비드 프리들랜더와 그의 친구들은 이를 나폴레옹이 파리 시민들에게 제공한 구경거리라고 묘사했다.

358년경 산헤드린이 해체된 이후, 이를 재건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아라비아,[33] 칼리프 우마르 시대의 예루살렘,[33] 바빌론(이라크)[34]에서 산헤드린을 개혁하려는 시도가 있었을 수 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러한 시도는 후대 랍비 당국에 의해 주목받지 못했으며 이에 대한 정보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마이모니데스(1135–1204)는 ''세미카''와 산헤드린 재건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합리주의적 해결책을 제안했다.[35][36] 1538년 랍비 야곱 베랍, 1830년 랍비 이스라엘 슈클로버, 1901년 랍비 아론 멘델 하코헨, 1940년 랍비 츠비 코브스케르, 1949년 랍비 예후다 레이브 마이몬, 2004년 이스라엘 랍비 단체가 마이모니데스의 권고를 실행하려 시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reek Lexicon :: G4892 (KJV)
http://www.bluelette[...]
[2]
Bibleverse
Exodus 18:21–22
[3]
Bibleverse
Deuteronomy 17:9–12
[4]
Bibleverse
Numbers 11:16–17,24–25
[5]
Mishnah
Sanhedrin 1:6
[6]
Bibleverse
Numbers 11:16
[7]
Alhatorah
Exodus 5:14
[8]
Bibleverse
Numbers 14:27
[9]
서적
Wanderings: Chaim Potok's History of the Jews
https://archive.org/[...]
Knopf
1978
[10]
간행물
Sanhedrin
Macmillan
1972
[11]
Antiquities
Antiquities 14:5
[12]
Antiquities
Antiquities 14:167-180
[13]
Antiquities
Antiquities 14:175
[14]
Sanhedrin
Sanhedrin 4:2
[15]
논문
Sanhedrin, Sanhedriyyot, or Mere Invention?
http://www.jstor.org[...]
2008
[16]
서적
Mishnah and the social formation of the early Rabbinic Guild: a socio-rhetorical approach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 Press
2011-07-18
[17]
Res Gestae
Res Gestae
[18]
웹사이트
Julian and the Jews 361–363 CE
http://www.fordham.e[...]
[19]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10-15
[20]
서적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2011-07-18
[21]
EB1911
Jews
[22]
서적
History of the Jewish nation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under Titus
https://books.google[...]
T. Constable and co.
2011-07-18
[23]
간행물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5-02
[24]
Citation
The Mishnah
Oxford University Press
[25]
Citation
The Mishnah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Mesorah Publications
1982
[27]
웹사이트
Sanhedrin
http://academic.broo[...]
CUNY
[28]
Babylonian Talmud
Sanhedrin 2a
http://images.e-daf.[...]
[29]
서적
Mishnah and the social formation of the early Rabbinic Guild: a socio-rhetorical approach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 Press
2011-07-21
[30]
서적
Torah for Toda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1-07-18
[31]
서적
The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an authoritative and popular presentation of Jews and Judaism since the earliest times
https://books.google[...]
The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inc.
2011-07-18
[32]
웹사이트
Researchers say Tiberias basilica may have housed Sanhedrin
http://www.haaretz.c[...]
2004-03-22
[33]
문서
The Persian conquest of Jerusalem in 614 compared with Islamic conquest of 638
http://www.alsadiqin[...]
[34]
Sefer Yuchsin
[35]
서적
Mishnah, with Maimonides' Commentary (Seder Nezīqīn)
Mossad Harav Kook
1965
[36]
서적
Sefer Mishneh Torah (Maimonides' Code of Jewish Law)
[37]
웹아카이브
http://www.bluelette[...]
2012-07-20
[38]
문서
The Mishnah (Sanhedrin 1:1) arrives at the number twenty-three based on an exegetical derivation
[39]
문서
개역한글판 성서에 나오는 공회와 개신교 사도신조에 나오는 거룩한 공회는 다르다. 전자는 이스라엘 사회의 재판기구이고, 후자는 거룩한 [[보편적 교회]](Holy Catholic Church)이다.
[40]
성경
마태오 복음서 26:57-66, 마르코 복음서 14:53-64, 루가 22:66-67
[41]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42]
문서
단 [[루가 복음서]]에서는 날이 밝자 산헤드린 의회에서의 재판이 열렸다고 말한다. 루가22:66-67 마태오, 마르코복음서의 기술이 유대교 율법에 맞지 않음을 의식한 것으로 생각된다.
[43]
성경
사도행전 23장
[44]
성경
사도행전 6장-7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