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학당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종학당재단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기관인 세종학당을 지정하고 지원하는 재단이다. 국어기본법에 근거하여 설립되었으며, 온라인 한국어 교육 플랫폼인 누리-세종학당을 운영한다. 2012년에 설립되어 한국어 보급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2024년 2월 기준 전 세계 85개국에 248개소의 세종학당을 운영하고 있다. 세종학당의 로고는 한글 'ㅎ'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각 학당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 이름의 첫 글자를 왼쪽 어깨에 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언어 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1954년 김흥배가 설립한 한국외국어대학교는 외국어 교육의 요람으로 시작하여 서울과 글로벌 캠퍼스에서 인문사회, 통번역, 이공계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제공하며 국제 교류가 활발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재단 -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되어 언론 산업 발전, 읽는 문화 확산, 언론진흥기금 조성 및 관리, 정부 광고 대행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재단 - 태권도진흥재단
태권도진흥재단은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원 조성 등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태권도원 조성 및 운영, 태권도 진흥 사업을 수행하며 태권도 발전과 국제 위상 제고를 목표로 한다. - 특수법인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번역 및 출판 지원, 국제 교류, 번역 교육, 정보 서비스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 특수법인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은 1954년 문화보호법에 따라 설립된 예술 관련 단체로, 문학, 미술, 음악, 연극·영화·무용 분과로 구성되어 예술원상 수여, 회원 선출, 예술 진흥 사업 등을 수행한다.
세종학당재단 | |
---|---|
기본 정보 | |
설립일 | 2007년 |
설립 주체 | 대한민국 정부 |
종류 | 문화 홍보 기관 |
본부 위치 | 한국 |
서비스 제공 지역 | 전 세계 |
주요 활동 | 한국어 교육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설치 근거
3. 주요 사업
세종학당재단은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 보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을 수행한다.
- 세종학당 지정 및 지원: 외국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기관이나 강좌를 대상으로 세종학당을 지정하고 운영을 지원하여 전 세계적인 한국어 교육 접근성을 높인다.[7] 2016년까지 총 144개의 학당이 설립되었으며, 라트비아, 미얀마, 바레인 등 9개국에 새로운 학당이 문을 열었다.[11] 2018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에도 학당이 추가되었다.[12]
- 누리-세종학당 개발 및 운영: 온라인 학습 플랫폼인 누리-세종학당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이 웹사이트는 한글 학습자와 교사를 위한 원격 교육 시스템과 한국어 학습 관련 통합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13][14] 누리-세종학당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대한민국 외교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법무부, 국립국어원, 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재단, 국제한국어교육재단, 국가브랜드위원회 등 여러 정부 부처가 협력하여 구축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아래 3단계 계획에 따라 개발되었다.
통합 (2009) | 확장 (2010) | 확산 (2011) | |
---|---|---|---|
시스템 | |||
콘텐츠 | |||
운영 환경 |
누리-세종학당은 전 세계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 한국어 교사 및 예비 교사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온라인 강좌 확대와 다국어 지원 강화를 지속하고 있다.
- 표준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세종학당에서 사용할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에 맞는 교재를 제작·보급하여 전 세계 학당에서 체계적이고 일관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 교원 양성 및 지원: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을 양성하고, 현지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국내 교원을 해외 학당으로 파견하는 것을 지원한다.
- 문화 교육 및 홍보: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다양한 한국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한국 문화를 알리는 홍보 활동을 전개한다.

- 기타 한국어 보급 사업: 위에 명시된 사업 외에도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보급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4. 연혁
지난 20년간 문화 및 상업적 세계화,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한국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했다. 특히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드라마와 음악 등 한국 문화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른바 '한류'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학생 수가 증가했으며, 한국인과 외국인 간의 국제결혼도 늘어났다.
국제 교류와 비즈니스가 활발해짐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지명, 인명 등 고유 명사의 한글 표기를 표준화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1990년대에 주로 만들어진 기존 한국어 사전 대신 최신 정보를 반영한 사전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5][6]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어 학습을 위한 통합적이고 표준화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련 기관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확대하기 위해 '세종학당' 개념을 도입했다.[7] 세종학당은 모든 한국어 교육 기관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정부는 한국어와 영어로 된 세종학당 공식 홈페이지(sejonghakdang.org)도 개설했다. 2011년 국어기본법 개정 이후 세종학당의 운영과 프로그램을 책임지는 중앙 기구로서, 이듬해인 2012년 재단법인 세종학당재단(KSIF)이 설립되었다.[8]
5. 조직
- 이사장
- * 이사회
- * 감사
- 사무총장
- * 기획총괄부
- * 학당지원부
- * 교육지원부
- * 콘텐츠지원부
- * 문화사업부
- * 경영지원팀
- * 홍보협력팀
5. 1. 이사장
세종학당재단은 2012년에 설립되었다.[8] 초대 이사장은 송향근으로, 2012년 10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역임했다. 제2대 이사장으로는 강현화가 2018년 9월부터 역임하고 있다.[9][10]5. 1. 1. 사무총장
(내용 없음)6. 세종학당
'''세종학당'''은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기관이다. 문화 상호주의에 입각한 문화 교류 활성화, 실용 한국어 교육 제공, 그리고 한국어 교육의 대표 브랜드 육성 및 확산을 목표로 한다.
한글은 조선의 세종대왕이 1446년에 창제한 한국어의 공식 표기 수단이다. 과거 해외의 한국어 교육 기관은 주로 한국 이민자 후손을 대상으로 했고, 대한민국 내 학습자는 외국인 유학생, 이주 노동자, 한국인 배우자 등이 대부분이었다.[3][4]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문화 및 상업적 세계화, 인터넷 발달 등으로 한국어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했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드라마와 음악 등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이른바 '한류'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함께 한국 유학생 증가, 국제결혼 증가 등 사회 변화도 한국어 학습 수요 증대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국제 교류와 비즈니스가 늘면서 지명, 인명 등 고유 명사의 한글 표기 표준화와 최신 한국어 사전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5][6]
이러한 배경 속에서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어 학습을 위한 통합적이고 표준화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련 기관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확대하기 위해 '세종학당'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7] 세종학당은 모든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브랜드로 육성될 계획이며, 정부는 세종학당 웹사이트(sejonghakdang.org)를 한국어와 영어로 개설했다. 2011년 국어기본법 제정 이후, 세종학당 운영과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중앙 기구로 2012년 재단법인 세종학당재단 (KSIF)이 설립되었다.[8] 송향근이 2012년 10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초대 이사장을 지냈고, 강현화가 2018년 9월부터 2대 이사장을 맡고 있다.[9][10]
정부는 기존에 다양한 명칭으로 운영되던 한국어 교육 기관들을 '세종학당'으로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했으며, 초기에는 '세종학당' 명칭과 표준 교재 및 과정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며 장기적인 통합 언어 교육 기관 운영 전략을 모색했다. 세종학당은 설립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누리-세종학당'''은 한글 학습자와 교사를 위해 원격 교육 시스템과 한국어 학습 관련 통합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이다.[13][14] 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대한민국 외교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법무부, 국립국어원, 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재단, 국제한국어교육재단과 국가브랜드위원회 등 대한민국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들이 협력하여 구축했다.
누리-세종학당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다음과 같은 3단계 계획에 따라 구축되었다.
통합 (2009) | 확장 (2010) | 확산 (2011) | |
---|---|---|---|
시스템 | |||
콘텐츠 | |||
운영 환경 |
누리-세종학당은 전 세계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 한국어 교사 및 예비 교사 모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온라인 학습 강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해 다국어 버전의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운영 중이다.
6. 1. 세종학당 현황
대한민국 정부는 외국어나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기관들을 통합하여 '세종학당'이라는 브랜드로 운영하고 있다.[7] 2011년 국어기본법 제정 이후, 세종학당의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해 2012년 세종학당재단(KSIF)이 설립되었다.[8] 세종학당재단 본부는 전 세계 학당들을 연결하고 지원하는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종학당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말 기준 전 세계 54개국 138개소였던 것이 2016년에는 라트비아, 미얀마, 바레인 등에 신규 학당이 설립되며 144개소로 늘어났다.[11] 2018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에도 학당이 추가되었다.[12]
2024년 2월 기준으로, 전 세계 85개국에 248개의 세종학당이 설립되어 운영 중이다.[15]
6. 1. 1. 지역별 현황
2024년 2월 기준으로, 전 세계 85개국에 248개의 세종학당이 설립되어 운영 중이다.[15] 지역별 상세 현황은 아래와 같다.국가 | 기관 수 | 위치 |
---|---|---|
아제르바이잔 | 2 | 바쿠, 히르달란 |
아르메니아 | 1 | 예레반 |
바레인 | 1 | 마나마 |
방글라데시 | 1 | 다카 |
캄보디아 | 2 | 포이펫, 시엠립 |
중국 | 19 | 베이징, 청두, 다롄, 항저우, 하얼빈, 홍콩, 쿤밍, 린이, 칭다오, 치치하얼, 상하이, 스자좡, 원저우, 우한, 시안, 옌볜, 옌청, 옌타이 |
조지아 | 1 | 트빌리시 |
인도 | 8 | 바라삿, 벵갈루루, 첸나이, 임팔, 뉴델리, 파트나 |
인도네시아 | 7 | 반둥, 자카르타, 수라바야, 탕게랑, 족자카르타 |
이란 | 2 | 이스파한, 테헤란 |
일본 | 16 | 지바, 후쿠오카, 히로시마, 가나가와, 고베, 교토, 오카야마, 오사카, 나가노, 나라, 사이타마, 삿포로, 센다이, 시모노세키, 도쿄 |
요르단 | 1 | 암만 |
카자흐스탄 | 3 | 알마티, 아스타나, 쉼켄트 |
키르기스스탄 | 5 | 비슈케크, 오슈, 소쿨루크 |
라오스 | 2 | 폰사반, 비엔티안 |
말레이시아 | 3 | 방기, 쿠알라룸푸르, 말라카 |
몽골 | 4 | 다르항, 울란바토르 |
미얀마 | 1 | 양곤 |
네팔 | 1 | 카트만두 |
파키스탄 | 1 | 이슬라마바드 |
사우디아라비아 | 1 | 리야드 |
팔레스타인 | 1 | 라말라 |
필리핀 | 6 | 발랑가, 카인타, 세부, 케손시티, 산후안, 타기그 |
스리랑카 | 2 | 콜롬보, 캔디 |
대만 | 3 | 가오슝, 타이난, 타이베이 |
타지키스탄 | 1 | 두샨베 |
태국 | 5 | 방콕, 치앙마이, 마하사라캄 |
투르크메니스탄 | 1 | 아슈하바트 |
아랍에미리트 | 2 | 아부다비, 아지만, 두바이 |
우즈베키스탄 | 7 | 데나우, 페르가나, 나망간, 사마르칸트, 타슈켄트 |
베트남 | 22 | 비엔호아, 빈즈엉, 껀터, 달랏, 다낭, 하이퐁, 하노이, 호치민 시, 후에, 흥옌, 꾸이년, 타이응우옌, 짜빈 |
7. 누리-세종학당
국어기본법 제19조의 2 제5항 제2호에 따라 세종학당재단이 운영하는 누리집(홈페이지)이다. 해외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하며, 한국어·한국문화 정보 보급 및 한국어 교육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학습자와 교원을 위한 콘텐츠를 각각 제공하며, 한국어 교육 수요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하여 공감대를 형성하고 참여자 간 경험 공유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주소는 누리-세종학당이다.
누리-세종학당은 한글 학습자와 교사를 위해 원격 교육 시스템과 한국어 학습 관련 통합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이다.[13][14] 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대한민국 외교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법무부, 국립국어원, 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재단, 국제한국어교육재단과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대한민국 정부 부처들이 공동으로 구축한 한국어 학습 웹사이트이다.
누리-세종학당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다음과 같은 3단계 계획에 따라 구축되었다.
통합 (2009) | 확장 (2010) | 확산 (2011) | |
---|---|---|---|
시스템 | |||
콘텐츠 | |||
운영 환경 |
누리-세종학당은 전 세계의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그리고 한국어 교사 및 예비 교사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온라인 학습 강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해 다국어 버전의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등 콘텐츠를 꾸준히 수집하고 개발하고 있다.
8. 로고
세종학당은 다음과 같은 상징으로 표현된다. <ㅎ> 모양은 한글을 상징하며, ㅎ의 왼쪽 어깨에 있는 모양은 학당이 위치한 각 도시의 이름과 초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울에 위치한 학당의 경우, '서울'의 첫 번째 한글 글자인 'ㅅ'이 왼쪽 어깨에 표시되어 있다.
9. 한국어 교육의 발전과 세종학당
한글은 한국어의 공식 표기 수단으로, 조선의 세종대왕이 1446년에 창제한 이후 한국인들이 사용해 왔다. 과거 한국 외 지역의 한국어 교육은 주로 한국 이민자들의 2세 또는 3세 후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한민국 내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이주 노동자 또는 한국인의 외국인 배우자들이 주요 학습자였다.[3][4]
지난 20년 동안 문화 및 상업적 세계화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한국어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했다. 특히 아시아를 중심으로 드라마와 음악 등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면서 이른바 '한류'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한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 학생 수가 늘어나고, 한국인과 외국인 간의 국제결혼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국제 교류와 비즈니스가 활발해지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지명, 인명 등 고유 명사의 한글 표기를 표준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또한, 1990년대에 주로 편찬된 기존 한국어 사전들을 대체할 최신 사전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5][6]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통합적이고 표준화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한국어 교육 기관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및 확대하기 위해 '세종학당' 설립을 추진했다.[7] 세종학당은 전 세계 한국어 교육 기관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세종학당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한국어와 영어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11년 국어기본법이 제정된 후, 세종학당의 운영과 교육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중앙 기관으로서 2012년에 재단법인 세종학당재단(KSIF)이 공식 출범했다.[8] 송향근이 2012년 10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초대 이사장을 지냈으며, 2018년 9월부터는 강현화가 제2대 이사장으로 재임 중이다.[9][10]
참조
[1]
뉴스
King Sejong Institute seeks more overseas branches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7-12-18
[2]
웹사이트
King Sejong Institute to add 19 branches in 16 countries
https://www.korea.ne[...]
[3]
뉴스
Seoul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centers in labor-exporting countries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2-05-10
[4]
뉴스
Gov't steps up efforts to encourage Korean language study overseas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2-05-10
[5]
뉴스
30 More Korean Language Centers to Open Around the World
http://english.chosu[...]
Chosun Ilbo
2012-04-16
[6]
뉴스
Gov't to Promote Korean Language, Taekwondo
http://english.chosu[...]
Chosun Ilbo
2012-04-16
[7]
웹사이트
Lee vows to spread Hangeul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2-02-16
[8]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ksif.or.[...]
[9]
웹사이트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History
https://www.ksif.or.[...]
[10]
웹사이트
세종학당재단 역대이사장
https://www.ksif.or.[...]
[11]
웹사이트
라트비아·미얀마·바레인 등 세종학당 9개소 신규 지정
http://www.dongponew[...]
dongponews
2016-06-10
[12]
뉴스
At a Korea-sponsored school, Americans learn the language with K-pop, dramas and more
https://www.nbcnews.[...]
NBC News
2018-10-08
[13]
뉴스
Korean language Web site adds service in Russian, Indonesian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2-05-10
[14]
웹사이트
Nuri-Sejonghakdang
http://www.sejonghak[...]
www.sejonghakdang.org
2015-02-13
[15]
웹사이트
King Sejong Institutes Worldwide
https://www.ksif.or.[...]
[16]
문서
제19조의2(세종학당재단 설립 등) ① 국가는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의 국어 보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세종학당재단(이하 "재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