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키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키쇼선은 홋카이도에 위치한 철도 노선으로, 미나미치토세역과 신토쿠역을 잇는 본선과 2019년 폐지된 신유바리-유바리 지선으로 구성되었다. 1892년 유바리선으로 시작하여 국유화, 복선화 및 단선화를 거쳐 1981년 현재의 세키쇼선으로 개편되었으며, 삿포로와 홋카이도 동부를 연결하는 특급 열차 운행의 주요 노선이다. 2016년 태풍 피해와 유바리 지선의 이용객 감소로 인해 유바리 지선은 2019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특급 열차와 일부 지역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브리엔츠 로트호른 철도
브리엔츠 로트호른 철도는 1892년 개통된 스위스 랙 철도로, 브리엔츠에서 로트호른 쿨름까지 운행하며 압트식 랙 레일을 사용하고, 한때 스위스에서 유일하게 증기 기관차로만 운행되었던 노선으로 현재도 증기 기관차와 디젤 기관차를 함께 운용한다. - 189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무로란 본선
무로란 본선은 홋카이도 여객철도에서 운영하는 철도 노선으로, 오샤만베역에서 이와미자와역, 히가시무로란역에서 무로란역까지 이어지며, 삿포로-하코다테 간 특급 열차 등이 운행되고, 일부 구간은 화물 수송도 이루어진다. - 세키쇼선 - 신유바리역
신유바리역은 홋카이도 유바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선의 철도역으로, 1892년 모미지야마역으로 개업하여 1981년 신유바리역으로 변경되었으며, 과거 유바리 지선 분기점이었으나 폐지 후 현재는 세키쇼선의 역으로 특급열차가 정차한다. - 세키쇼선 - 유바리역
유바리역은 1892년 개업하여 2019년 폐역된 홋카이도 유바리시의 철도역으로, 석탄 산업의 흥망성쇠를 겪으며 유바리 관광 안내 센터와 찻집으로 활용되고 있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삿쇼선
삿쇼선은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28.9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가쿠엔토시선'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2020년 구간 폐선 이후 현재는 삿포로역에서 홋카이도의료대학역 구간만 운영되고, 일부 구간은 복선 전철화되어 다양한 전동차가 운행된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네무로 본선
네무로 본선은 홋카이도 다키카와역과 네무로역을 잇는 JR 홋카이도의 철도 노선으로, 2024년 4월 1일 일부 구간 폐지로 분단되었으며, 자동폐색식과 특수자동폐색식으로 운영되고 일부 구간 최고 속도는 120km/h이다.
세키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세키쇼 선 |
로마자 표기 | Sekishō-sen |
종류 | 간선 철도 노선 |
노선 색상 | '#8cc63e' |
노선 기호 | ' (미나미치토세 역)' ' (오이와케 - 신토쿠 간)' |
약칭 | 유우세 (석탄 철도 시절) |
![]() | |
개요 | |
관할 | 홋카이도 |
기점 | 미나미치토세역 |
종점 | 신토쿠역 |
역 수 | 7 (여객역), 0 (일반역), 0 (화물역), 18 (신호장) |
노선 길이 | 132.4 km |
궤간 | 1,067 mm (협궤) |
선로 수 | 전 구간 단선 |
전철화 여부 | 전 구간 비전철화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
보안 장치 | ATS-DN |
최고 속도 | 120 km/h |
소유자 |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
운영자 |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제1종 철도 사업자)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제2종 철도 사업자) |
차량 기지 | 삿포로 운전소, 구시로 수송 차량소 |
연혁 | |
개업 | 1892년 11월 1일 (홋카이도 탄광 철도 유바리 선) |
국유화 | 1906년 10월 1일 |
전 구간 개통 | 1981년 10월 1일 |
민영화 | 1987년 4월 1일 |
폐지 | 1981년 7월 1일 (모미지야마 - 도노카와 간) 2019년 4월 1일 (유바리 - 신유바리 간) |
운행 정보 | |
운행 차량 | KiHa 40계 디젤 동차 KiHa 283계 디젤 동차 KiHa 261계 디젤 동차 |
운행 형태 | 특별 급행 열차 "오조라", "도카치" 등 |
2. 역사
1892년 홋카이도 탄광 철도가 유바리 탄광에서 생산되는 석탄 수송을 위해 오이와케-유바리 간 유바리선을 개통한 것이 세키쇼선의 시초이다.[52] 1906년 일본 정부는 홋카이도 탄광 철도를 국유화했고, 1912년부터 1919년 사이에 복선화했지만 1932년에 다시 단선으로 변경되었다.
1981년, 미나미치토세-오이와케 구간과 네무로 본선의 신유바리-가미오치아이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면서 세키쇼선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유바리선은 오이와케-신유바리 구간은 세키쇼선 본선, 신유바리-유바리 구간은 세키쇼선 유바리 지선으로 재편되었다. 새로운 노선은 홋카이도 동부로 가는 주요 경로를 단축시켰다.
2016년 8월 25일, JR 홋카이도는 유바리 지선이 폐선된다고 발표했으며,[52] 2019년 4월 1일 폐선되었다.[53]
2. 1. 유바리선 시대 (1892년 ~ 1981년)
1892년 홋카이도 탄광 철도가 무로란 본선을 경유하여 석탄을 무로란 항으로 수송하기 위해 오이와케에서 유바리까지 '''유바리 선'''을 개통했다.1906년 철도 국유법에 의해 유바리선이 국유화되었다. 1912년에서 1919년 사이에 복선화되었으나, 1932년에는 단선으로 변경되었다.

1961년 1월 15일, 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 유바리역 간 (하코다테 본선, 무로란 본선, 유바리선 경유) 준급 열차 '''유바리''' 2왕복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와미자와, 오이와케 경유 Z자형 경로). 1968년 10월 1일에는 급행열차로 승격되었으나, 1972년 3월 15일에 폐지되었다.
1975년 12월 24일, 증기 기관차의 본선 운행이 종료되었다.
1981년에는 노보리카와 지선이 폐선되었다.
2. 2. 세키쇼선 연장 개통 (1981년 ~ 현재)
1968년, 일본철도건설공단은 삿포로와 도카치 지방을 잇는 주요 간선으로서 미나미치토세-오이와케 간, 신유바리-가미오치아이 신호장 간의 신선 구간 건설을 시작했다. 이 구간은 1981년 10월 1일에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으로 개통되었으며, 동시에 유바리선은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에 편입되었다. 오이와케에서 신유바리 직전까지는 구 유바리선을 개량하여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 본선으로 사용했다.신선 구간 개통 이전에는 삿포로에서 도토(도카치, 구시로, 네무로 방면)로 가려면 아사히카와역이나 다키카와역을 경유해야 했지만, 1981년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 개통으로 우등 열차가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을 경유하게 되면서 삿포로-도토 간 소요 시간이 약 40분 단축되었다.
총 공사비 694억엔이 투입된 난공사였던 신선 구간은 터널 27개(총 연장 42.8km), 교량 186개(총 연장 7.1km), 스노 쉘터 34개(총 연장 3.9km)로 구성되었다.
2016년 7월 29일, JR 홋카이도 사장은 어려운 경영 상황과 홋카이도 인구 감소를 이유로 철도 사업 재검토를 발표하며, 수송 밀도가 낮은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 유바리 지선(신유바리-유바리 간)도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2016년 8월 8일, 당시 유바리 시장은 JR 홋카이도에 유바리 지선 폐지를 제안하고 대체 교통 정책 협력을 요청했다. JR 홋카이도는 이를 수용하여 2019년 4월 1일에 유바리 지선을 폐지했다.
'''주요 연혁'''
- 1968년: 일본철도건설공단이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 신선 구간(미나미치토세-오이와케, 신유바리-가미오치아이) 건설 시작.
- 1981년: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 개통 (미나미치토세-신토쿠). 유바리선은 セキショウ線|세키쇼선일본어에 편입.
- 1985년: 유바리역 이전 (원래 위치에서 남쪽으로 1.3km).[52]
- 1986년: 오니토게 신호장 폐지.[52]
- 1990년: 유바리역 재이전 (800m 남쪽).[52]
- 1994년: 특급 '오조라' 탈선 사고 발생.
- 1997년: 고속화 개량 완료, 최고 속도 130km 운행.
- 2004년: 가에데 신호장 여객 취급 중지.
- 2011년: '슈퍼 오조라' 탈선 및 화재 사고 발생.
- 2012년: 히가시오이와케역 인근 화물열차 탈선 사고 발생.
- 2016년: 히가시오이와케 신호장, 도미사토 신호장 여객 취급 중지. JR 홋카이도 유바리 지선 폐지 발표.[52] 태풍 민들레와 태풍 라이언록 영향으로 일부 구간 운행 중단.
- 2019년: 유바리 지선 폐지.[53]
- 2024년: 다키노우에 신호장 여객 취급 중지.
2. 3. 유바리 지선 폐지 (2019년)
2016년 8월 25일, JR 홋카이도는 유바리 지선이 폐선된다고 발표했으며,[52] 2019년 4월 1일에 폐선되었다.[53]JR 홋카이도 사장 시마다 오사무는 2016년 7월 29일에 열린 기자 회견에서, 어려운 경영 상황과 홋카이도에서 급속히 진행되는 인구 감소를 이유로 "JR 단독으로는 유지가 어려운 노선"을 발표하고, 지역 자치 단체와의 협의에 들어갈 것이라고 하였다. 이 회견에서 구체적인 노선명은 공표되지 않았지만, 수송 밀도가 낮은 세키쇼 선 유바리 지선(신유바리역 - 유바리역 간)도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6년 8월 8일, 당시 유바리 시장 스즈키 나오미치는 JR 홋카이도 본사에서 시마다 사장과 회담하여 유바리 지선의 폐지를 제안함과 동시에, 대체 교통 정책에 대한 협력을 요청했다. 이에 JR 홋카이도는 8월 17일에 시마다 사장이 스즈키 시장과의 회담에서 전면 협력할 것을 약속하고, 신유바리역 - 유바리역 간의 철도 사업 폐지를 공식적으로 신청했다.
2018년 3월 23일, 유바리 시와 JR 홋카이도는 유바리 지선 (신유바리역 - 유바리역 간) 16.1km의 철도 사업 폐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최종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 철도 사업 폐지일을 2019년 4월 1일로 할 것
- JR 홋카이도는 유바리 시에서 지속 가능한 교통 체계를 재구축하기 위한 비용으로 7.5억엔을 출연할 것
- JR 홋카이도는 유바리 시가 미나미시미즈사와 지구에 정비 중인 거점 복합 시설에 필요한 용지를 일부 양도할 것
같은 해 3월 26일, JR 홋카이도는 국토교통대신에게 유바리 지선 (신유바리역 - 유바리역 간)의 철도 사업 폐지 신고를 제출했다.
3. 운행 형태
세키쇼선은 삿포로와 홋카이도 동부(도토)를 연결하는 특급 열차와 지역 수송을 위한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미나미치토세와 신유바리 사이에는 약 2시간 간격으로 지역 열차가 운행된다. 신유바리와 신토쿠 사이에는 지역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데, 이는 해당 구간이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을 지나기 때문이다. 이 구간만 이용할 경우에는 특급 요금 없이 특급 열차의 자유석을 이용할 수 있다.
3. 1. 광역 수송
삿포로역과 오비히로역, 구시로역을 잇는 특급 열차인 오조라와 도카치가 키하283계 및 키하261계로 운행되고 있다. 2020년 3월 14일 기준으로 미나미치토세역 - 신토쿠역 구간에서 특급 "오조라"(1일 6왕복)와 특급 "도카치"(1일 5왕복)가 운행되고 있다.1997년 3월 22일에 고속화 개량이 완료되어, 차체 경사식 차량인 키하283계・키하261계에 의해 최고 속도 130km로 운행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에 (당 노선 외를 포함한) 화재 사고 등의 문제가 잇따라 발생하여, 현재는 최고 속도가 120km로 낮춰졌으며, 차체 경사 장치의 사용도 중단되었다.
삿포로역 - 오비히로역 간의 연간 여객 수송량은 약 200만 명으로, 삿포로역 - 아사히카와역 간, 삿포로역 - 히가시무로란역 - 하코다테역 간에 이어 홋카이도 내에서 3번째로 많다.
히로우치 신호장 - 니시신토쿠 신호장 구간은 산맥에서 불어 내려오는 바람의 통로가 되어 있어, 1994년의 특급 "오조라" 탈선 사고 이전에도 탈선이나 전복 사고가 자주 발생했다. 대책으로 방풍책을 설치하고 "조기 규제 구간"으로 지정하여, 풍속 20m 이상에서는 45km로 감속, 25m 이상에서는 운전을 중지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겨울철에는 고속 운전 시 차량에 부착된 눈이나 얼음이 떨어져 노반의 밸러스트를 말아 올리는 경우가 있다. 과거에는 열차 창문이 깨지는 사고도 발생했으며, 특급열차는 겨울철에 지토세선 내에서 감속 운전을 하는 경우가 있어 10 - 20분 정도 지연이 발생하기도 한다.
3. 2. 지역 수송
미나미치토세 - 신유바리 구간에서는 키하40계 및 키하150형으로 보통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운행 계통상으로는 지토세선치토세역을 기점으로 하며, 일부 열차는 오이와케역에서 회차한다. 2024년 3월 16일 기준 하루 운행 횟수는 치토세역 - 오이와케역 간 하행 4편, 상행 3편, 치토세역 - 신유바리역 간 하행 2편, 상행 3편으로 총 6왕복(12편)이다.[39]2016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운행 횟수가 줄어들어 오이와케역 - 신유바리역 간은 하행 신유바리 방면 1일 4편, 상행 오이와케 방면 1일 6편이 운행되었다. 2019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오이와케역 - 신유바리역 간 운행 횟수는 더욱 줄어들어 하행 1일 2편, 상행 1일 3편이 운행되고 있다.
2025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치토세역 - 신유바리역 간의 보통 열차 전 12편에 H100형 기동차가 도입되어 키하40형 및 키하150형을 모두 대체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최대 11분이 단축될 예정이다.[39]
신유바리 - 신토쿠 구간은 개통 이후 특급 열차만 운행되고 있다. 이 구간에서는 특급 열차의 보통차 자유석을 이용하는 경우 특급 요금이 불필요한 특례가 적용된다.
3. 3. 과거 운행 열차
1961년(쇼와 36년) 1월 14일부터 1972년 (쇼와 47년) 3월 14일까지 삿포로역과 유바리역을 잇는 쾌속 열차로 준급 "유바리"(이후 급행으로 승격)가 이와미자와역과 오이와케역에서 2번 진행 방향을 바꾸는 Z자형 경로(삿포로역 - 하코다테 본선 - 이와미자와역 - 무로란 본선 - 오이와케역 - 유바리선 - 유바리역)로 운행되었다.; 정차역
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 구리야마역 - 유니역 - 오이와케역 - 타키노우에역 - 모미지야마역 (현 신유바리역) - 누마노사와역 - 시미즈사와역 - 시카노야역 - 유바리역
'''준급/급행 "유바리" 연혁'''
- 1961년(쇼와 36년) 1월 15일: 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 유바리역 간( 하코다테 본선, 무로란 본선, 유바리선 경유) 준급 열차 "유바리" 2왕복 운행 개시.
- 1966년(쇼와 41년) 3월 5일: 준급 열차 "유바리"의 유바리선 내 구간 보통 열차화.
- 1968년 (쇼와 43년) 10월 1일: 준급 열차 "유바리" 급행 열차로 승격.
- 1970년 (쇼와 45년) 10월 1일: 급행 열차 "유바리" 1왕복 폐지.
- 1972년(쇼와 47년) 3월 15일: 급행 열차 "유바리" 폐지.
3. 4. 화물 수송
일본화물철도는 오히비로 화물 및 구시로 화물과 삿포로, 오비히로와 혼슈를 잇는 화물 열차를 운행한다.[1] 당 노선에는 화물역이 없지만, 오비히로 화물역·구시로 화물역 - 삿포로 화물 터미널역 간 및 오비히로 화물역에서 혼슈 방면으로의 직통 열차가 이 노선을 경유하여 운행되고 있다(혼슈 방면 직통 열차는 오이와케역에서 무로란 본선으로 들어간다).[1] 과거에는 무로란 본선에서 오이와케역을 경유하여 혼와니시역 - 오비히로 화물역 간의 석유 수송 열차가 있었다.[1] 견인 기관차는 과거 DD51형이었지만, 2008년(헤이세이 20년) 3월 개정 시부터 DF200형으로 대체되었다.[1]4. 노선 데이터
- 관할: 홋카이도 여객철도(제1종 철도사업자), 일본화물철도(제2종 철도사업자, 미나미치토세-가미오치아이)[41]
- 구간: 미나미치토세-신토쿠 132.4km
- 궤간: 1067mm (협궤)
- 역 수: 25 (일반역 0, 여객역 7, 신호장 18)
- 복선 구간: 없음 (전 구간 단선)
- 전철화 구간: 없음 (전 구간 비전철화)
- 폐색 방식: 단선 자동 폐색식
- 최고 속도: 120km/h (미나미치토세-신토쿠)
- 최급 구배: 12‰
미나미치토세-신토쿠 구간의 수송 밀도 및 수지는 다음과 같다. (네무로 본선 신토쿠 - 오비히로 구간과 통합 계산)
연도 | 수송 밀도 (명/일) | 영업 수익 (백만 엔) | 영업 비용 (백만 엔) | 영업 손익 (백만 엔) | 영업 계수 (엔) | 비고 |
---|---|---|---|---|---|---|
2014년 | 4,270 | 6,337 | 8,266 | ▲1,929 | 130 | |
2015년 | 4,213 | 6,274 | 7,961 | ▲1,686 | 127 | |
2016년 | 4,085 | 4,512 | 7,919 | ▲3,407 | 176 | 2016년 8월 태풍 피해로 도토 지역 특급열차 장기 운휴, 버스 대행 경비 증가 |
2017년 | 3,567 | 5,587 | 8,897 | ▲3,310 | 159 | 도토 지역 특급 열차 운행 재개, 집계 방법 변경 |
2018년 | 3,529 | 5,408 | 8,796 | ▲3,388 | 163 | |
2019년 | 3,246 | 5,137 | 9,112 | ▲3,975 | 177 | 코로나19 확산 등의 영향 |
2020년 | 1,570 | 2,353 | 7,976 | ▲5,623 | 339 | 코로나19 영향 |
2021년 | 1,902 | 2,879 | 7,879 | ▲5,000 | 274 | |
2022년 | 2,905 | 4,412 | 8,731 | ▲4,319 | 198 | |
2023년 | 2,788 | 4,581 | 8,653 | ▲4,072 | 189 |
5. 역 목록
역 번호 | 역 이름 | 일본어 이름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H14 | 미나미치토세 | 南千歳일본어 | 0.0 | 지토세 선 | 지토세시 |
고마사토 신호장 | 駒里信号場일본어 | 5.4 | 유후쓰 군 아비라정 | ||
니시하야키타 신호장 | 西早来信号場일본어 | 11.7 | |||
K15 | 오이와케 | 追分일본어 | 17.6 | 무로란 본선 | |
히가시오이와케 신호장 | 東追分信号場일본어 | 21.6 | 유바리 군 | ||
K17 | 가와바타 | 川端일본어 | 27.0 | 유니정 | |
다키노시타 신호장 | 滝ノ下信号場일본어 | 30.3 | 구리야마정 | ||
다키노우에 신호장 | 滝ノ上信号場일본어 | 35.8 | 유바리시 | ||
도미사토 신호장 | 十三里信号場일본어 | 40.2 | |||
K20 | 신유바리 | 新夕張일본어 | 43.0 | 유바리 지선 | |
가에데 신호장 | 楓信号場일본어 | 48.7 | rowspan="11" | | ||
오사와 신호장 | オサワ信号場일본어 | 55.7 | 유후쓰 군 무카와정 | ||
히가시오사와 신호장 | 東オサワ信号場일본어 | 59.6 | |||
세이후잔 신호장 | 清風山信号場일본어 | 67.3 | 유후쓰 군 시무캇푸촌 | ||
오니토게 신호장 | 鬼峠信号場일본어 | 72.5 | |||
K21 | 시무캇푸 | 占冠일본어 | 77.3 | ||
히가시시무캇푸 신호장 | 東占冠信号場일본어 | 81.3 | |||
다키노사와 신호장 | 滝ノ沢信号場일본어 | 85.7 | |||
호로카 신호장 | ホロカ信号場일본어 | 92.6 | |||
K22 | 도마무 | トマム일본어 | 98.6 | ||
구시나이 신호장 | 串内信号場일본어 | 104.2 |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 | ||
가미오치아이 신호장 | 上落合信号場일본어 | 108.3 | 가미카와 군 신토쿠정 | ||
신카리카치 신호장 | 新狩勝信号場일본어 | 113.9 | |||
히로우치 신호장 | 広内信号場일본어 | 120.1 | |||
니시신토쿠 신호장 | 西新得信号場일본어 | 125.6 | |||
K23 | 신토쿠 | 新得일본어 | 132.4 |
- 특급열차는 오조라, 도카치 문서를 참조한다.
- 보통 열차는 미나미치토세-신유바리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하며, 신유바리-신토쿠 구간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 지토세 선 구간은 복선, 세키쇼 선 구간은 전 노선 단선이며, 모든 역과 신호장에서 열차 교환이 가능하다.
- 과거 여객 취급 신호장: 히가시오이와케 신호장(2016년 폐지), 다키노우에 신호장(2024년 폐지), 도미사토 신호장(2016년 폐지), 가에데 신호장(2004년 폐지)
- 폐지 신호장: 오니토게 신호장(1986년 폐지)
5. 1. 본선 (미나미치토세-신토쿠)
세키쇼 선 미나미치토세-신토쿠 구간의 모든 역은 홋카이도에 있으며, 보통 열차는 미나미치토세-신유바리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신유바리-신토쿠 구간에는 보통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다.역 번호 | 역 이름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H14 | 미나미치토세 | 0.0 | 지토세 선 | 지토세시 |
고마사토 신호장 | 5.4 | 유후쓰 군 아비라정 | ||
니시하야키타 신호장 | 11.7 | |||
K15 | 오이와케 | 17.6 | 무로란 본선 | |
히가시오이와케 신호장 | 21.6 | 유바리 군 | ||
K17 | 가와바타 | 27.0 | 유니정 | |
다키노시타 신호장 | 30.3 | 구리야마정 | ||
다키노우에 신호장 | 35.8 | 유바리시 | ||
도미사토 신호장 | 40.2 | |||
K20 | 신유바리 | 43.0 | 유바리 지선 | |
가에데 신호장 | 48.7 | rowspan="11" | | ||
오사와 신호장 | 55.7 | 유후쓰 군 무카와정 | ||
히가시오사와 신호장 | 59.6 | |||
세이후잔 신호장 | 67.3 | 유후쓰 군 시무캇푸촌 | ||
오니토게 신호장 | 72.5 | |||
K21 | 시무캇푸 | 77.3 | ||
히가시시무캇푸 신호장 | 81.3 | |||
다키노사와 신호장 | 85.7 | |||
호로카 신호장 | 92.6 | |||
K22 | 도마무 | 98.6 | ||
구시나이 신호장 | 104.2 |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 | ||
가미오치아이 신호장 | 108.3 | (네무로 본선과 중복) | ||
신카리카치 신호장 | 113.9 | 가미카와 군 신토쿠정 | ||
히로우치 신호장 | 120.1 | |||
니시신토쿠 신호장 | 125.6 | |||
K23 | 신토쿠 | 132.4 |
5. 2. 유바리 지선 (신유바리-유바리, 2019년 폐지)
2019년에 폐지된 세키쇼선 유바리 지선(신유바리-유바리 구간)의 모든 역은 유바리시에 위치했다.[43] 폐지 직전에는 전 구간이 1폐색으로 되어 있어, 1개의 열차만 운행이 가능했으며, 신유바리역을 제외한 다른 역에서는 열차 교환이 불가능했다.[43]
2016년 3월 26일 개정 시점에서 신유바리역-유바리역 구간은 상하행 모두 하루 5편이 운행되었다. 이전에는 9왕복이었으나, 이 시점에서 폐지를 예상하고 감편이 이루어졌다.[40] 2019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정기 열차 운행은 종료되었고, 최종 영업일인 3월 31일까지는 모든 열차가 임시 열차로 취급되어 하루 8편이 운행되었다.
세키쇼선 내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구간으로, 2013년도 수송 밀도는 110명이었다.
폐지 후에는 유바리 철도(유테츠 버스)가 대체로 신유바리역-레이스이 리조트(철도 폐지 시점의 유바리역 앞)-유바리시 탄광 박물관 구간에 하루 10왕복(일부는 환승 필요, 단 운임은 동일)의 버스를 운행했다.[45] 이는 기존 유바리 철도 버스 유바리 시내선의 증편 및 버스 정류장 증설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예산은 JR 홋카이도가 폐선 시 유바리시에 지불한 7.5억원(대행 버스의 지역 부담액 20년분 상당)으로 충당되었다.[46]
2023년 10월 1일, 유테츠 버스는 운전사 부족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신유바리역 앞 - 구리야마역 앞 - 신삿포로역 앞 노선 등을 폐지했다.[49]
5. 3. 과거 여객 취급 신호장
- 히가시오이와케 신호장(구 히가시오이와케역, K16): 2016년 3월 26일 여객 취급 폐지
- 다키노우에역(K18): 2024년 3월 16일 여객 취급 폐지[1]
- 도미사토역(K19): 2016년 3월 26일 여객 취급 폐지
- 가에데 신호장(구 가에데역, 3대): 2004년 3월 13일 여객 취급 폐지
5. 4. 폐지 신호장
오니토게 신호장은 1986년 3월 3일에 폐지되었다. 세이후잔 신호장과 시무캇푸 사이에 있었으며, 거리는 72.5km였다.6. 사고
세키쇼선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고가 발생했다.
- 2011년 5월 27일, 구시로발 삿포로행 슈퍼 오조라 14호 열차가 홋카이도 시무캇푸에 있는 니니우 터널에서 탈선 및 화재가 발생했다. 승객과 승무원 245명 전원이 대피했고, 39명이 연기 흡입 및 경미한 화상으로 치료를 받았다.[4]
- 2012년 2월 16일, 화물 열차가 히가시오이와케역에서 적색 신호를 통과하여 눈 가림막 벽과 충돌해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JR 화물 DF200형 디젤 기관차와 객차 4량이 탈선했지만, 운전자는 부상을 입지 않았다. 이 사고로 6편의 열차 운행이 취소되었다.[7]
6. 1. 2011년 슈퍼 오조라 탈선 및 화재 사고
2011년 5월 27일, 구시로발 삿포로행 슈퍼 오조라 14호 열차(6량 편성)의 2번째 객차가 탈선하면서, 오후 9시 55분경 홋카이도 시무캇푸에 있는 길이 685m의 니니우 터널 1호선 안에서 비상 정지했다. 열차에 화재가 발생했으며, 승무원을 포함한 탑승자 245명 전원이 대피했다. 39명이 연기 흡입 및 경미한 화상으로 치료를 받았다.[4] 불에 탄 열차는 2011년 5월 29일에 터널에서 제거되었다.[5]6. 2. 2012년 히가시오이와케역 화물열차 탈선 사고
2012년 2월 16일 오후 8시 50분경, 화물 열차가 적색 신호를 통과한 후 히가시오이와케역에 인접한 눈 가림막 벽과 충돌하여 탈선했다.[6][7]구시로 화물 터미널에서 삿포로 화물 터미널로 향하는 상행 컨테이너 화물 열차는 평소에는 히가시오이와케역을 무정차 통과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날은 지연된 하행 ''슈퍼 오조라'' 13호 열차가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적색 신호에 걸렸다. 운전자는 브레이크를 밟았다고 전해지지만, 열차는 멈추지 못하고 단선 철도를 보호하는 선로전환기에 의해 탈선하여 분기점을 보호하는 눈 가림막 벽을 들이받았다. JR 화물 DF200형 디젤 기관차와 열차의 컨테이너 객차 4량이 탈선했지만, 25세의 젊은 운전자는 부상을 입지 않았다. 이 사고로 6편의 열차 운행이 취소되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Notice on train timetable changes in March 2024
https://www.jrhokkai[...]
2024-03-24
[2]
웹사이트
JR Hokkaido says it can't maintain half of its railways
http://www.japantime[...]
2013-05-10
[3]
웹사이트
The last operating of Yūbari branch line, it closed and will be replaced by bus
https://www.asahi.co[...]
The Asahi Newspapers Co., Ltd.
2019-03-31
[4]
웹사이트
39 affected by smoke on JR express inside Shimukappu tunnel
http://www.hokkaido-[...]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1-05-28
[5]
웹사이트
JR Sekisho Line: derailed ''Super Ōzora'' express moved out of tunnel
http://www.hokkaido-[...]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1-05-29
[6]
웹사이트
JR Sekisho Line: Freight train hits wall - 4 wagons derailed, no injuries
http://mainichi.jp/s[...]
The Mainichi Newspapers
2012-02-16
[7]
뉴스
Brake failure? Freight train derails in Hokkaido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12-02-17
[8]
서적
鉄道電報略号
null
1959-09-17
[9]
뉴스
紅葉映える石勝路 列車包む歓迎の肌 占冠
1981-10-01
[10]
뉴스
喜び満載 一番列車快走 国鉄石勝線が開業 着工以来19年ぶり
1981-10-01
[11]
간행물
根室線(富良野・新得間)の鉄道事業廃止届の提出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3-03-31
[12]
뉴스
難工事やっと貫通 道内最長の新登川ずい道
1971-06-09
[13]
뉴스
石勝線の49年度開業は有望 予算大幅に増額
1971-04-16
[14]
뉴스
石勝線 来年春開業はムリ “引き締め”で工事遅れる
1974-09-17
[15]
뉴스
列車はいつ走る?焦る地元 工事遅れるローカル11線 響く国の抑制策 石勝3線も来秋以降に
1975-01-27
[16]
뉴스
鉄建公団事業計画 石勝3線54年度開業へ 美幸線は55年度
1977-05-18
[17]
뉴스
国鉄石勝3線 開業工事にゴーサイン 年来の夢やっと オープン54年度末か55年度
1977-06-25
[18]
뉴스
まるで“地下鉄” 話題を満載国鉄石勝線
1979-09-06
[19]
뉴스
追分線 国鉄、公団は持て余し気味 今さら“乗れぬ相談”とは 二十億円も使って
1969-10-01
[20]
뉴스
苦しくなった追分線 磯崎総裁発言に大きい波紋 “大投資どうなる” ほかの新線建設にも不安
1970-05-24
[21]
간행물
JR廃線に伴う踏切撤去工事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city.yub[...]
夕張市
2019-03-12
[22]
간행물
JR石勝線旧夕張支線 宙に浮く廃線跡地利用法 売却先もなく再整備への資金投入も後回し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9-08-29
[23]
뉴스
鹿の谷橋りょう 橋桁の一部撤去 夕張 市道への落雪防止
北海道新聞社
2019-12-27
[24]
논문
二股(3ッ口)トンネル 新狩勝隧道
[25]
논문
昭和56年度国鉄・民鉄信号保安新設備の概要
https://dl.ndl.go.jp[...]
信号保安協会
1982-06
[26]
서적
追分町史
https://doi.org/10.1[...]
追分町
1986-08
[27]
서적
徹底チェック 特急全列車【東日本編】
中央書院
1994-09-02
[28]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1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1-08-01
[29]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2-07-01
[3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7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7-07-01
[31]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5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5-07-01
[32]
뉴스
石勝線・根室本線の代行バス、新得便を追加設定…十勝清水駅も停車
https://response.jp/[...]
2016-10-02
[33]
간행물
石勝線・根室線 トマム〜芽室間の運転再開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16-12-14
[34]
간행물
【社長会見】一部特急列車の「全車指定席化」と「おトクなきっぷ」のリニューアル等について〜より安心で快適な列車、おトクで便利な商品体系に生まれ変わります〜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3-11-15
[35]
간행물
20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株式会社
2023-12-15
[36]
웹사이트
大雨の影響でJR石勝線に土砂が流れ込む 9月1日はすでに運休決定 JR北海道
https://m.stv.jp/new[...]
STV
2024-08-31
[37]
웹사이트
「おおぞら」「とかち」全便、2日まで運休 JR石勝線土砂流入 占冠で足止めの乗客、7時間半後にバス移動
https://kachimai.jp/[...]
十勝毎日新聞
2024-08-31
[38]
웹사이트
石勝線4日夕に運転再開へ 3日も特急全て運休
https://kachimai.jp/[...]
十勝毎日新聞
2024-09-02
[39]
간행물
2025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4-12-13
[40]
뉴스
JR北海道が来春減便 80本維持、望む声強く
http://dd.hokkaido-n[...]
北海道新聞社
2015-10-23
[41]
서적
平成28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42]
뉴스
夕張地区ダイヤ改正のお知らせ
http://www.yutetsu.c[...]
夕張鉄道
2017-09-15
[43]
뉴스
10月1日からデマンド交通・タクシー乗車料金補助が開始されます
https://www.city.yub[...]
夕張市
[44]
뉴스
~市内南北軸を結ぶ路線バス運行開始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city.yub[...]
夕張市
[45]
뉴스
2019年4月1日ダイヤ改正のお知らせ
https://www.yutetsu.[...]
夕張鉄道
2019-03-25
[46]
뉴스
<みなぶん>路線バス、曲がり角の先は?(3) JRの代替 前提に疑問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20-02-17
[47]
뉴스
鉄道を「返上」した北海道・夕張 市民「バスで便利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0-03-28
[48]
웹사이트
夕鉄バス時刻表新夕張駅前~新さっぽろ駅前継立・由仁駅・長沼北広島・大谷地経由行 2020年3月1日改正
https://www.yutetsu.[...]
夕張鉄道
2024-07-07
[49]
뉴스
バス路線の廃止について(令和5年8月11日)
https://www.yutetsu.[...]
夕張鉄道
2023-08-11
[50]
문서
본선 132.4km + 지선 16.1km
[51]
문서
네무로 본선과의 중복 구간을 제외하면 124.4km이다. 일본에서는 신호장/신호소는 선구의 기종점이 될 수 없게 규정되어 있어, 신호장/신호소에서 합류할 경우 합류 이후 첫 역이 기종점이 되어 중복 구간이 발생한다.
[5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apantime[...]
2019-04-02
[53]
웹인용
JR石勝線の夕張支線が最終運行 廃線し、バス転換へ
https://www.asahi.co[...]
The Asahi Newspapers Co., Ltd.
2019-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