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코다테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코다테 본선은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가 관할하는 총 연장 458.4km의 철도 노선으로, 하코다테역에서 시작하여 오타루역, 삿포로역, 아사히카와역을 연결한다. 이 노선은 1,067mm 협궤를 사용하며, 92개의 역과 5개의 신호장을 갖추고 있다. 주요 운행 형태는 특급, 쾌속, 보통 열차이며,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 오타루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은 전철화되어 있다. 또한, 2030년 홋카이도 신칸센 삿포로 연장에 따라 노선 운영에 변화가 예상되며, 일부 구간은 버스 운행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데미야선
    데미야선은 홋카이도 오타루시의 남오타루역과 테미야역을 잇는 2.8km 철도 노선으로 1880년 개통되었으나 이용객 감소와 국철 경영 악화로 1985년 폐지되었고 폐선 부지는 산책로로 활용되고 있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삿쇼선
    삿쇼선은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28.9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가쿠엔토시선'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2020년 구간 폐선 이후 현재는 삿포로역에서 홋카이도의료대학역 구간만 운영되고, 일부 구간은 복선 전철화되어 다양한 전동차가 운행된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네무로 본선
    네무로 본선은 홋카이도 다키카와역과 네무로역을 잇는 JR 홋카이도의 철도 노선으로, 2024년 4월 1일 일부 구간 폐지로 분단되었으며, 자동폐색식과 특수자동폐색식으로 운영되고 일부 구간 최고 속도는 120km/h이다.
  • 189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반에쓰사이선
    반에쓰사이선은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역과 니가타현 니이쓰역을 잇는 1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이즈 지방과 니가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1897년 개통 이후 자연재해와 사고를 겪으며 시설 개량과 운영 방식 변화를 거쳐왔다.
  • 189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마쓰우라 철도 니시큐슈선
    마쓰우라 철도 니시큐슈선은 아리타역에서 사세보역까지 총 93.8km를 운행하며, 니모카 사용이 가능하고 일부 구간에서 쾌속 열차가 운행되는 철도 노선이다.
하코다테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아사리역 근처의 일본해 해안을 달리는 쾌속 에어포트 열차
오타루의 아사리역 근처의 일본해 해안을 달리는 쾌속 에어포트 열차
노선 종류지역 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홋카이도
기점하코다테역
종점아사히카와역
역 수78개 (본선)
6개 (지선)
노선 길이423.1km
궤간1,067mm
복선 구간복선 (나나에-모리(지선 포함), 와시노스 신호소-야마사키, 구로이와-기타토요쓰 신호소, 오샤만베-오타루 제외)
전철화 구간교류 20kV 50Hz 가공 전차선 (하코다테-신하코다테호쿠토, 오타루-아사히카와)
최고 속도130km/h (하코다테-오샤만베, 오타루-아사히카와)
95km/h (오누마-오시마사와라-모리, 오샤만베-오타루)
소유주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운영자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및 일본화물철도(JR 화물)
차량기지삿포로 차량기지 (이나호역 부근), 나에보 공장 및 차량기지
개요
노선 이름[[파일:JR logo (hokkaido).svg|35px|link=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
노선 색상'#2cb431'
노선 종류보통 철도(재래선・간선)
기점 (본선)하코다테역
기점 (지선)오누마역
종점 (본선)아사히카와역
종점 (지선)모리역
역 수일반역: 4개 역
여객역: 86개 역
화물역: 2개 역
신호장: 5개소
전보 약호하코호세
노선 기호(삿포로역)
(하코다테 - 오샤만베역 간, 나에보 - 시로이시역 간)
(시카베역 - 히가시모리역 간(지선))
(후타마타역 - 오타루 - 소엔역 간)
(아쓰베쓰역 - 아사히카와 간)
노선 기호에 대해서는 해당 기사도 참조
개업1880년 11월 28일 (관영 호로나이 철도 → 홋카이도 탄광 철도 소라치선)
1898년 7월 16일 (홋카이도 관설 철도 가미카와선)
1902년 12월 10일 (홋카이도 철도)
소유자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운영자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전선 제1종 철도 사업자)
일본화물철도(JR 화물)
(고료카쿠 - 오샤만베 간, 나에보 - 아사히카와 간, 오누마 - 오시마사와라 - 모리 간 제2종 철도 사업자)
차량기지하코다테 운수소・삿포로 운전소・나에보 운전소・아사히카와 운전소
사용 차량사용 차량을 참조
노선 거리423.1km (하코다테 - 아사히카와 간)
35.3km (오누마 - 오시마사와라 - 모리 간)
궤간1,067mm
선로 수복선(하코다테역 - 나나에역 간, 모리역 - 와시노스 신호장 간, 야마자키역 - 구로이와역 간, 기타토요쓰 신호장 - 오샤만베역 간, 오타루역 - 아사히카와역 간)
단선 (상기 이외)
전철화 구간하코다테 - 신하코다테호쿠토
오타루 - 아사히카와 간
상기 구간 이외 비전철화
전철화 방식교류20,000V・50Hz
가공 전차선 방식
최대 구배22.3‰ (신하코다테호쿠토역 - 오누마역 간 등)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아래 이외)
특수 자동 폐색식(전자 부호 조사식)
(오샤만베 - 오타루 간)
보안 장치ATS-DN(아래 이외)
ATS-SN(오샤만베 - 오타루 간)
최고 속도120km/h (하코다테 - 오샤만베 간・오타루 - 아사히카와 간)
95km/h (오누마 - 오시마사와라 - 모리 간・오샤만베 - 오타루 간)
노선도
역 목록

2. 노선 정보


소엔역 - 삿포로역 간은 삿쇼선의 단선 병설 때문에 삼선이다.
삿포로역 - 시로이시역 간은 지토세선의 복선 병설 때문에 복복선이다. 방향별 운전.
삿포로 화물 터미널역 - 아쓰베쓰역 간은 화물선의 단선 병설 때문에 삼선이다.

구간별 수송 밀도는 다음과 같다.

연도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
오샤만베역 -
오타루역 간
오타루역 -
삿포로역 간
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간
이와미자와역 -
아사히카와역 간
비고출처
1993년(헤이세이 5년)  43,96339,25812,036 
2005년(헤이세이 17년)  42,53942,52310,696 
2006년(헤이세이 18년)  42,70342,97610,823 
2007년(헤이세이 19년)  42,68743,19310,949 
2008년(헤이세이 20년)  42,89842,96610,577 
2009년(헤이세이 21년)  42,22642,50710,004 
2010년(헤이세이 22년)  42,48542,625  
2011년(헤이세이 23년)  42,66143,201  
2012년(헤이세이 24년)  43,42043,764  
2013년(헤이세이 25년)  44,70344,381  
2014년(헤이세이 26년)3,76567544,09943,0259,320 
2015년(헤이세이 27년)3,79969044,98143,9949,538 
2016년(헤이세이 28년)4,26565246,41743,4088,922 
2017년(헤이세이 29년)3,71265246,79343,5758,660전체: 동년도분부터 집계 방법 변경[59]
오타루역 - 삿포로역 간·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간: 신치토세 공항 접근 호조, 도토(道東) 방면 직통 특급 운전 재개로 전년도 대비 증가
2018년(헤이세이 30년)3,65062547,03942,9268,237 
2019년(레이와 원년)3,39761845,56541,2847,682코로나19(COVID-19) 확산의 영향 등으로 전년도 대비 감소
2020년(레이와 2년)1,44334928,61526,4723,739COVID-19의 영향으로 전년도 대비 대폭 감소
2021년(레이와 3년)1,63634029,58426,9854,180 
2022년(레이와 4년)2,71547936,35332,7766,164 
2023년(레이와 5년)2,98556940,83935,5786,784 



구간별 수지(영업 수익, 영업 비용, 영업 손익)와 영업 계수는 다음과 같다. 모두 관리비를 포함한 금액이다。▲는 마이너스를 의미한다.
참고: 오타루역 - 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구간은 삿포로권 각선[60]과 합산된 데이터만 공표되어 있으며, 단독 데이터는 불명。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
연도영업
수익
영업
비용
영업
손익
영업
계수
(엔)
비고출처
2014년45.66억88.48억▲42.81억194선구간별 최대 영업 손실폭
2015년46.97억96.66억▲49.69억206선구간별 최대 영업 손실폭[61]
2016년49.18억105.04억▲55.86억214선구간별 최대 영업 손실폭
2017년47.17억109.34억▲62.17억232해당 연도부터 집계 방법 변경
2018년44.88억110.9억▲66.02억247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의 영향으로 인한 운송 수입 감소, 궤도 수선 및 레일 교체 증가로 전년도 대비 확대
2019년43.1억110.76억▲67.66억257 
2020년20.33억99.67억▲79.34억490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전년도 대비 확대
2021년22.32억94.06억▲71.74억421 
2022년33.81억98.54억▲64.73억291 
2023년39.72억106.31억▲66.59억268 



오샤만베역 - 오타루역 구간
연도영업
수익
영업
비용
영업
손익
영업
계수
(엔)
비고출처
2014년4.39억25.06억▲20.67억570 
2015년4.59억26.27억▲21.68억573 
2016년4.3억27.55억▲23.24억640 
2017년4.44억28.64억▲24.2억646해당 연도부터 집계 방법 변경
2018년4.3억27.91억▲23.6억649 
2019년4.55억28.08억▲23.53억617 
2020년2.28억30.34억▲28.06억1,32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전년도 대비 확대
2021년3.4억30.24억▲27.89억1,287 
2022년3.73억30.46억▲26.74억817 
2023년4.63억30.89억▲26.26억667 



삿포로권 각선(오타루역 - 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포함)
연도영업
수익
영업
비용
영업
손익
영업
계수
(엔)
비고출처
2014년397.21억423.83억▲26.62억107 
2015년406.19억427.94억▲21.75억105 
2016년406.68억461.36억▲54.67억113수선비 및 감가상각비 증가[62]로 영업 비용 증가
2017년420.74억445.66억▲24.92억106신치토세 공항으로의 접근 호조, 도토(道東) 방면 직통 특급 운전 재개, 감가상각비 증가로 전년도 대비 개선.
해당 연도부터 집계 방법 변경
2018년418.42억445.97억▲27.55억107수선비 증가로 전년도 대비 확대
2019년421.34억443.94억▲22.6억105외주에 의한 제설, 감가상각비 감소로 전년도 대비 개선
2020년245.16억423.94억▲178.78억17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전년도 대비 확대[63]
2021년272.66억421.25억▲148.59억154 
2022년365.15억436.83억▲71.68억120 
2023년423.65억453.65억▲30억107 



{| class="wikitable"

|+ 이와미자와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

! 연도

! 영업
수익

! 영업
비용

! 영업
손익

! 영업
계수
(엔)

! 비고

! 출처

|-

! 2014년

| 58.89억

| 84.07억

| ▲25.17억

| 143

|  

|

|-

! 2015년

| 60.51억

| 89.16억

| ▲28.65억

| 147

|  

|

|-

! 2016년

| 56.3억

| 95.9억

| ▲39.6억

| 170

|  

|

|-

! 2017년

| 57.16억

| 92.62억

| ▲35.47억

| 162

| 해당 연도부터 집계 방법 변경

|

|-

! 2018년

| 53.79억

| 89.93억

| ▲36.15억

| 167

|  

|

|-

! 2019년

| 51.67억

| 88.09억

| ▲36.42억

| 170

|  

|

|-

! 2020년

| 23.96억

| 81.73억

| ▲57.77억

| 341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전년도 대비 확대[64]

3. 운행 형태


  • 소엔-삿포로 3선 구간은 하코다테 본선 복선삿쇼선 단선이 나란히 달린다.
  • 삿포로-시로이시 복복선 구간은 하코다테 본선 복선과 지토세선 복선이 나란히 달린다.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은 하코다테시삿포로시를 잇는 특급 열차와 혼슈에서 오는 화물 열차(JR 화물 운행)의 주요 경로이다. 현재 이러한 우등·화물 열차는 오샤만베역 - 시로이시역 구간은 무로란 본선·지토세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12]

오샤만베역 - 오타루역 구간은 로컬선이 되었다. 오샤만베역에서 무로란 본선·지토세선을 거쳐 삿포로 방면으로 연결되는 루트를 "해선"이라고 통칭하는 것에 비해, 하코다테 본선의 이 구간은 "야마선"이라고 불리며, 통칭으로는 "야마선"쪽이 더 오래 전부터 존재한다[12]。 과거에는 야마선에도 많은 우등 열차가 다녔으며, 쇼와 40년대까지 C62형증기 기관차의 중련 견인 급행 열차 등 증기 기관차가 집결하여 SL 붐 시기에는 번성했다. 그러나 오타루역까지 단선인데다 급경사·급곡선이 이어져 속도 향상에 불리한 선형이었다. 반면 해선 경유는 30km 이상 돌아가지만,원래 선형도 좋고 소요 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비교적 연선 인구도 많았다. 게다가 야마선 구간은 선로 종별이 "병선"이며, 축중 경감 대책을 하지 않은 일부 기관차는 진입할 수 없다.

1960년 4월 운행을 시작한 기동차 급행 스즈란의 성공에 이어, 1961년 10월 다이어 개정으로 신설된 도내 최초의 특급 열차가 등장한 이후, 점차 하코다테역 - 삿포로역 간 주요 경로는 해선으로 옮겨졌다. 1986년 11월 1일 정기 우등 열차가 야마선에서 전폐된 후에는, 우스산 분화나 해선 수송 장애 시 우회, 또는 관광 시즌 임시 열차로 우등 열차가 야마선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을 뿐이다.

하코다테역 - 오타루역 구간은 홋카이도 신칸센 신 하코다테 호쿠토역 - 삿포로역 간 연장 시,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이 JR 홋카이도에서 제3 섹터로 경영 이관, 오샤만베역 - 요이치역 구간은 버스 전환될 전망이다. 요이치역 - 오타루역 구간은 요이치정이 철도 존속을 요구했지만, 지자체 간 협의 결과 해당 구간도 버스 전환을 허용하게 되어, JR 홋카이도 철도 노선으로는 오타루역 - 삿포로역 간만 유지되고, "야마선" 구간은 전폐, 버스 전환될 예정이다.

오타루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은 1968년 완성된 국철에 의한 도내에서 가장 오래된 전철화 구간을 포함하고 있으며[13], 삿포로시와 아사히카와시 두 도시를 잇는 특급 열차는 도내 최다 운행 횟수를 가지고 있으며, 아사히카와를 넘어 아바시리시왓카나이시까지 연결되는 JR 홋카이도의 가장 중요한 구간이다. 또한, 삿포로 도시권에 해당하는 오타루역 - 이와미자와역 구간은 근거리 이용객이 많아 쾌속을 포함한 보통 열차가 많이 운행되며, IC승차 카드 "Kitaca" 이용 구역이다. 2024년 3월 16일부터 기존 Kitaca 구역이 오타루역 - 아사히카와역 간으로 확대되었고, 하코다테역 - 신 하코다테 호쿠토역 간이 "하코다테 구역"으로 신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3. 1. 광역 수송

하코다테 본선은 홋카이도 철도의 발상 노선으로, 1880년부터 1882년까지 관영 호로나이 철도가 개통한 테미야역(현재 폐지) - 삿포로역 - 호로나이역(현재 폐지) 구간이 그 시작이다. 이후 홋카이도 탄광 철도, 홋카이도 철도(초대), 홋카이도청이 운영하는 홋카이도 관설 철도 등에 의해 건설되었다. 1905년 홋카이도 관영 철도는 국유 철도로 편입되었고, 1906년에는 홋카이도 탄광 철도와 홋카이도 철도가 국유화되었다.

홋카이도 철도는 미국 기술을 도입하여 건설되었으며, 미국식 증기 기관차와 객차가 사용되었다. "요시쓰네", "벤케이", "시즈카" 등으로 명명된 기관차(후의 7100형)는 현재도 철도 박물관, 교토 철도 박물관, 오타루시 종합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오누마역 - 모리역 구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송력 증강을 위해 건설된 구간이다. 이 구간에 병행하던 도시마 해안 철도, 오누마 전철 노선은 하코다테 본선 건설에 따라 매수, 폐지되었다.

오타루 축항역 - 젠바코역 구간은 해안선에 부설되었으나, 증기 기관차의 연기와 불티가 어업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어부들과 보상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전전에는 청함 항로와 치하쿠 항로를 통해 내지와 가라후토를 잇는 동맥이었지만, 오타루의 무역 및 어업 쇠퇴, 삿포로로의 금융 중심 기능 이전, 무로란·도마코마이 지구의 공업 발전 등으로 지위가 저하되기 시작했다. 또한, 항공 노선 확충으로 경쟁력을 잃으면서, 1986년 10월을 기해 오샤만베역 - 삿포로역 간의 우등 열차는 모두 폐지되었다.

1960년부터 15개년 계획으로 증기 운전 전폐를 위한 동력 근대화 계획이 시행되었으나, 석탄 수송 쇠퇴의 영향으로 신하코다테 호쿠토역 - 오샤만베역 간의 전철화는 현재까지 실현되지 않았다. 비전철화 구간에는 특급 및 화물 열차 운행이 많으며, 대부분의 구간이 복선화되어 있다.

1994년에는 가미스나가와 지선이 이용객 감소로 폐지되었다.

3. 1. 1.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전까지 특급 "호쿠토"[2]는 나나에에서 오누마 구간을 운행하며 오시마오노와 니야마를 경유하지 않았다. 현재 신하코다테호쿠토 (구 오시마오노)가 홋카이도 신칸센과 하코다테 본선의 재래선 간 주요 연결 지점이 되면서, 이 열차는 그에 맞춰 노선이 변경되었다.

상행 화물 열차는 사와라 지선을 경유하고, 하행 화물 열차는 본선을 경유한다.

3. 1. 2. 오샤만베역 - 삿포로역 구간

1986년(쇼와 61년) 10월을 기해 오샤만베역 - 삿포로역 간의 우등 열차는 모두 폐지되었다.[1] 이후 정기 우등 열차는 운행하지 않고, 임시 특급 열차가 니세코역 - 삿포로역 구간 등에서 운행되고 있다.

3. 1. 3. 삿포로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

삿포로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에는 특급 "카무이", "라일락"이 30분-1시간 간격으로 운행된다.[2] 소야 본선 경유 특급 "소야"와 세키호쿠 본선 경유 특급 "오호츠크"도 운행된다.[2] 지토세선 발착 특급 "스즈란", "오조라", "도카치"도 이 구간을 운행한다.

3. 2. 지역 수송

하코다테 본선은 홋카이도 철도의 시초가 되는 노선이다. 1880년부터 1882년까지 관영 호로나이 철도가 개통한 테미야역(현재 폐지) - 삿포로역 - 호로나이역(현재 폐지) 구간이 그 시작이다.

이후 홋카이도 탄광 철도, 홋카이도 철도(초대), 홋카이도청이 운영하는 홋카이도 관설 철도 등에 의해 노선이 확장되었다. 1905년 홋카이도 관영 철도는 국유 철도로 편입되었고, 1906년 철도 국유법에 의해 홋카이도 탄광 철도와 홋카이도 철도가 매수되어 국유 철도 노선이 되었다.

홋카이도의 철도는 영국의 영향을 받은 혼슈의 철도와 달리, 미국의 기술을 도입하여 건설되었다. 전면에 카우캐처를 장착하고 굴뚝에 거대한 다이아몬드 스택을 가진 미국식 증기 기관차가 수입되었으며, 보기차 객차가 사용되었다. "요시쓰네", "벤케이", "시즈카" 등으로 명명된 기관차(후의 7100형)는 현재도 철도 박물관(사이타마시), 교토 철도 박물관(교토시), 오타루시 종합 박물관 철도·과학·역사관(오타루시)에 보존되어 있다.

오누마역 - 도시마 사와라역 - 모리역 구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송력 증강을 위해 건설되었다. 이 구간에는 도시마 해안 철도(모리역 - 사와라역 간), 오누마 전철(현재의 오누마 공원역 - 시카베역 간)이라는 2개의 사철이 있었지만, 하코다테 본선 건설에 따라 매수, 폐지되었다.

오타루 축항역 - 젠바코역 구간은 이시카리만 해안선에 부설되었는데, 당시에는 기차의 연기와 불티가 어업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져 어부들과 보상 문제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 때문에 요이치역 - 시오야역 구간은 해변을 피해 선로가 부설되었다.

전전에는 청함 항로와 치하쿠 항로를 통해 내지와 가라후토를, 이후에도 혼슈와 도내 각 도시를 잇는 중요한 노선이었다. 그러나 오타루무역, 민간 항로, 어업 쇠퇴, 금융 중심 기능의 삿포로 이전, 무로란도마코마이 지구 공업 발전과 무로란 본선·치토세선 개량으로 인해 하코다테 본선의 지위는 점차 낮아졌다. 도내 최초의 특급 "오조라"를 시작으로, 새로운 우등 열차는 "해선" 경유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항공 노선 확충으로 국철은 혼슈 연락 경쟁력을 잃었고, 하코다테역에서 부채꼴로 전개되었던 도내 특급망도 삿포로를 기점으로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986년 10월에는 오샤만베역 - 삿포로역 간 우등 열차가 모두 폐지되었다.

1960년부터 15개년 계획으로 증기 운전 전폐를 위한 동력 근대화 계획이 시행되었고,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도 전철화 계획에 포함되었지만, 석탄 수송 쇠퇴의 영향으로 신하코다테 호쿠토역 - 오샤만베역 간 전철화는 현재까지 실현되지 않았다. 비전철화 구간에는 특급 및 화물 열차 운행이 많으며, 나나에역 - 모리역 간 8자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1994년에는 이용객 감소로 가미스나가와 지선이 폐지되었다.

3. 2. 1.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

1988년 3월 13일 해협선 개업과 함께 하코다테역 - 고료카쿠역 구간이 전철화(교류 20,000V 50Hz)되었다.[2]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 개통으로 고료카쿠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이 전철화(교류 20,000V 50Hz)되었고, 이 구간에 신칸센 접속 열차인 하코다테 라이너가 신설되었다.[2]

1961년 10월 1일, 궤도 강화로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 최고 속도가 기존 95km/h에서 100km/h로 향상되었다. 1989년 3월 11일에는 하코다테역 - 노다이역 간 최고 속도가 110km/h로, 노다이역 - 오샤만베역 간 최고 속도가 120km/h로 향상되었다. 1991년 3월 16일에는 하코다테역 - 노다이역 간 최고 속도가 다시 120km/h로 향상되어 우등 열차 소요 시간이 약 3분 단축되었다. 1994년 3월 1일 특급 슈퍼 호쿠토 운행 개시와 함께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 최고 속도가 130km/h로 향상되었다.[2]

1993년 11월,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에서 ATS-SN 사용이 개시되었다.[2] 2013년 11월 1일, 특급 열차 감속 및 감편에 따라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 최고 속도가 120km/h로 조정되었다.[2]

2024년 3월 16일, 하코다테역 - 신하코다테 호쿠토역 구간에서 IC 카드 Kitaca 사용이 가능해졌다.[2]

현재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에는 보통 열차와 쾌속 하코다테 라이너가 운행되고 있다. 또한,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 열차가 하코다테역 - 고료카쿠역 구간을 운행하며, 일부 하행 보통 열차는 후지시로 지선을 경유한다.[2]

3. 2. 2. 오샤만베역 - 오타루역 구간

오샤만베역에서 오타루역 구간에는 보통 열차와 쾌속 "니세코 라이너"가 운행되고 있으며, 구간 내 모든 역에 정차한다.[36]

3. 2. 3. 오타루역 - 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구간



오타루역 - 삿포로역 - 이와미자와역 구간은 삿포로 근교 구간으로,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오타루역 - 삿포로역 - 시로이시역 구간에는 쾌속 "에어포트"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소엔역 - 삿포로역 구간에는 삿쇼선(학원도시선) 열차가 운행된다.
  • 삿포로역 - 시로이시역 구간에는 지토세선 열차가 운행된다.
  • 오타루역・삿포로역 - 신치토세공항 구간에는 특별 쾌속 エアポート_(列車)|에어포트|에어포트 (열차)일본어가 운행된다.[2]
  • 오타루역・삿포로역 - 신치토세공항 구간에는 쾌속 エアポート_(列車)|에어포트|에어포트 (열차)일본어가 운행된다.
  • 테이네역 → 삿포로역 구간에는 홈 라이너가 운행된다. (하행선만)
  • 란코시역 → 굿찬역 - 삿포로역 구간에는 쾌속 ニセコライナー|니세코 라이너|니세코라이너일본어가 운행된다.


2020년까지 쾌속 "이시카리 라이너"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3. 2. 4. 이와미자와역 - 다키카와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

이와미자와역 - 다키카와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에서는 보통 열차가 운행되며, 일부 열차는 오타루, 삿포로 방면으로 직통 운행한다. 루모이 본선으로 직통 운행하는 보통 열차도 있는데, 이는 후카가와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에서 1왕복 운행된다.[2]

이 구간은 이시카리 평야의 곡창 지대를 북상하며, 국도 12호와 병주한다. 국도 12호에는 일본 제일의 직선 구간이 있듯이, 하코다테 본선 또한 이 구간은 긴 직선이 이어진다. 특급 「카무이」, 「라일락」을 비롯한 우등 열차와 721계, 731계, 733계, 735계 전동차에 의한 보통 열차도 그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연선은 때때로 시가지를 끼고 전원 풍경이 이어져 차창의 변화는 적다.

모세우시역 앞에서 이시카리강을 처음 건너며, 노우나이역 - 곤분역 구간은 경승지가무이코탄을 긴 가무이 터널로 통과한다. 1969년에 전환된 신선은 여러 산을 가무이 터널을 포함한 총 5개의 터널로 관통하며, 복선·전철화 때 곡선 완화와 거리 단축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지만, 대신 차창 풍경을 잃었다. 이시카리강의 굴곡에 맞춰 강가를 지나던 구선은 「아사히카와 사이클링 로드」로 정비되어 있으며, 도중의 가무이코탄역 터에는 아사히카와시의 유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재정비된 역사와 이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3량의 증기 기관차도 정태 보존되어 있다.

곤분역을 지나 다시 이시카리강을 건너면 종착역인 아사히카와역에 도착한다.

3. 3. 화물 수송

일본화물철도(JR 화물)의 화물 열차는 고료카쿠역 - 오샤만베역 구간과 삿포로 화물 터미널역 - 아사히카와역 구간에서 운행되고 있다. 오샤만베역 - 삿포로 화물 터미널역 구간은 무로란 본선, 지토세선을 경유한다.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은 하코다테시삿포로시를 잇는 특급 열차와 혼슈에서 오는 화물 열차(JR 화물에 의한 운행)의 주요 경로이다. 현재 이러한 우등·화물 열차는 오샤만베역 - 시로이시역 구간은 무로란 본선·지토세선 경유로 운행하고 있다.[12]

1960년 (쇼와 35년) 4월에 운행을 시작한 기동차 급행 (스즈란)의 성공에 이어, 1961년 (쇼와 36년) 10월 다이어 개정으로 신설된 도내 최초의 특급 열차가 등장한 이후, 서서히 하코다테역 - 삿포로역 구간의 주요 경로로서의 역할은 해선으로 옮겨졌다. 1986년 (쇼와 61년) 11월 1일에 정기 우등 열차가 야마선에서 전폐된 후에는, 우스산 분화나 해선에서의 수송 장애 시 우회, 또는 관광 시즌 임시 열차로 우등 열차가 야마선에 입선하는 경우가 있을 뿐이다.

과거 우스산 분화로 무로란 본선이 불통되었을 때 화물 열차는 DD51형 중련이 견인했다.

4. 사용 차량

하코다테 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711계 전동차(오타루 ~ 아사히카와)
  • 721계 전동차(오타루 ~ 이와미자와)
  • 731계 전동차(오타루 ~ 이와미자와)
  • 키하40계 동차
  • 키하54계 동차
  • 키하150계 동차
  • 키하201계 동차
  • 789계 1000번대 (오타루 ~ 신치토세 공항)
  • 키하261계 동차 (하코다테 ~ 삿포로)


721계

4. 1. 현재 사용 차량

하코다테 본선에는 다음과 같은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4. 1. 1. 전동차


  • 789계: 특급 "카무이", "라일락"으로 삿포로역 - 아사히카와역 간에 운용된다.
  • 721계: 오타루역 - 다키카와역 간의 보통 열차 및 쾌속 "에어포트"에 사용된다. 3량 편성 차량은 731계, 733계(0번대), 735계와 연결하여 운전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미자와역 - 아사히카와역 간의 보통 열차에도 사용되었지만, 737계로 교체되어 더 이상 운용되지 않는다. 6량 편성 차량은 오타루역 - 이와미자와역 간의 보통 열차와 특별 쾌속·쾌속 "에어포트"에 사용되며, 733계(3000번대)와 공통 운용된다.
  • 731계: 오타루역 - 다키카와역 간에 운용된다. 721계·733계(0번대)·735계와의 병결 운전이 있으며, 키하201계와의 협조 운전도 이루어진다.
  • 733계: 0번대(3량 편성)는 오타루역 - 다키카와역 간에 운용되며, 721계·731계·735계와 연결하여 운전되는 경우도 있다. 3000번대(6량 편성)는 오타루역 - 이와미자와역 간의 보통 열차와 특별 쾌속·쾌속 "에어포트"에 사용되며, 721계(6량)와 공통 운용된다. 1000번대(3량 편성)는 하코다테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의 쾌속·보통 "하코다테 라이너"로 사용된다.
  • 735계: 오타루역 - 다키카와역 간에 운용되며, 721계·731계·733계(0번대)와 연결하여 운전되는 경우도 있다.
  • 737계: 이와미자와역 - 아사히카와역 간의 보통 열차에 사용된다. 해당 구간에서 사용되던 721계 및 기동차의 운용을 대체했다.

4. 1. 2. 기동차

キハ283系일본어: 특급 "오호츠크" (삿포로 - 아사히카와 간)에서 운용되고 있다.[2]

キハ261系일본어: 1000번대는 특급 호쿠토로 운용되고 있다.

키하 40형: 하코다테 - 오샤만베 간, 이와미자와 - 아사히카와 간의 보통 열차 일부에 사용되고 있다.

키하 54형: 후카가와 - 아사히카와 간 (루모이 본선 열차)에서 운용된다.

키하 150형: 하코다테 - 오샤만베 간, 이와미자와 - 다키카와 간, 후카가와 - 아사히카와 간에서 운전된다.

키하 201계: 쾌속 "니세코 라이너" 및 보통 열차로 란코시 - 이와미자와 간에서 사용되고 있다.

H100형: 오샤만베 - 삿포로 간의 보통 열차와, 삿포로 - 아사히카와 간의 일부 보통 열차에서 사용되고 있다.

4. 2. 과거 사용 차량


  • 485계 1500번대: 특급 "카무이"에 사용되었다.
  • 781계: 특급 "카무이", "라일락", "화이트 애로우"에 사용되었다.
  • 711계: 급행 "카무이", "사치카제" 및 보통 열차에 사용되었다.
  • 785계: 특급 "라일락", "슈퍼 화이트 애로우", "슈퍼 카무이", 임시 특급 "모닝 익스프레스", "홈 라이너"에 사용되었다.
  • 키하 150형: 오샤만베역 - 삿포로역 간의 보통 열차에 사용되었다.
  • 키하 281계: 특급 "슈퍼 호쿠토", "호쿠토"에 사용되었다.
  • 키하 21형, 키하 22형: 급행 "라이덴", "이부리", "니세코", "세타나", 쾌속 "아이리스", "세타나" 및 보통 열차에 사용되었다.
  • 키하 24형: 급행 "세타나" 및 보통 열차에 사용되었다.
  • 키하 27형, 키하 56형: 급행 "라이덴", "라일락"(이후 삿포로 - 아사히카와역 간 특급과는 별개), 쾌속 "미드나이트" 및 보통 열차에 사용되었다.
  • 키하 82계: 특급 "호쿠카이"에 사용되었다.
  • 키하 183계: 특급 "오토리", "호쿠카이", "오호츠크", "호쿠토"에 사용되었다.
  • 스하 43계: 급행 '니세코', '테이네'에 연결되었다.
  • 50계 51형: 보통 열차에 사용되었다.
  • 14계: 급행 '하마나스', 급행 '니세코'에 연결되었다.
  • 24계 25형: 급행 '하마나스',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에 연결되었다.
  • E26계: 침대 특급 '카시오페아'에 연결되었다.

5. 역 목록

쾌속 ''하코다테 라이너''


특급 ''슈퍼 카무이''


하코다테 - 오샤만베 구간은 하코다테시삿포로시를 잇는 특급 열차와 혼슈에서 오는 화물 열차 (JR 화물 운행)의 주요 경로이다. 현재 우등·화물 열차는 오샤만베 - 시라이시 구간을 무로란 본선·지토세선 경유로 운행한다.

오샤만베 - 오타루 구간은 로컬선이다. 오샤만베에서 무로란 본선·지토세선을 거쳐 삿포로 방면으로 연결되는 루트를 "해선"으로 통칭하며, 하코다테 본선의 이 구간은 "야마선"으로 불린다. 과거 야마선에도 많은 우등 열차가 왕래했고, 쇼와 40년대까지 C62형증기 기관차의 중련 견인 급행열차 등 증기기관차가 집결하여 SL 붐 시기에는 번성했다. 그러나 오타루까지 단선에 급경사·급곡선이 연속되는 속도 향상에 불리한 선형이었다. 반면 해선 경유는 30km 이상 우회하지만, 선형이 좋고 소요 시간 단축 및 연선 인구 혜택이 있었다. 야마선 구간은 선로 종별이 "병선"으로, 축중 경감 대책을 하지 않은 일부 기관차는 진입할 수 없다.

1960년 기동차 급행 "스즈란" 성공 이후, 1961년 도내 최초 특급열차 등장으로 하코다테 - 삿포로 간 주요 경로는 해선으로 이전되었다. 1986년 정기 우등열차가 야마선에서 전폐된 후, 우스산 분화나 해선 수송 장애 시 우회, 관광 시즌 임시 열차로 야마선에 입선하는 경우가 있다.

하코다테 - 오타루 구간은 홋카이도 신칸센 신 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간 연장 시, 하코다테 - 오샤만베 구간은 JR 홋카이도에서 제3섹터로 경영 이관, 오샤만베 - 요이치 구간은 버스 전환될 전망이다. 요이치 - 오타루 구간은 요이치정이 철도 존속을 요구했으나, 지자체 간 협의로 버스 전환이 용인되어 JR 홋카이도 철도로는 오타루 - 삿포로 간만 유지, "야마선" 구간은 전폐, 버스 전환될 예정이다.

오타루 - 아사히카와 구간은 1968년 국철 도내 최초 전철화 구간을 포함하며, 삿포로와 아사히카와시를 잇는 특급열차는 도내 최다 운행 횟수를 가진 JR 홋카이도 최중요 구간이다. 삿포로 도시권 오타루 - 이와미자와역 구간은 근거리 이용객이 많아 쾌속 포함 보통 열차가 많이 운행되며, IC승차 카드 "Kitaca" 이용 구역이다. 2024년 3월 16일부터 Kitaca 구역이 오타루 - 아사히카와 간으로 확대, 하코다테 - 신 하코다테호쿠토 간이 "하코다테 구역"으로 신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하코다테 본선 역 목록'''

  • 1905년
  • * 4월 1일: 홋카이도 관설철도 소라치타 - 아사히카와 구간 철도 작업국(국유철도) 편입, 홋카이도 탄광철도 스나가와 - 소라치타 구간 차용, 가무이코탄 간이승강장 역으로 변경.
  • * 9월 15일: 홋카이도 관설철도·홋카이도 탄광철도·홋카이도 철도(초대) 간 여객·소화물·화물 연락 운송 개시.
  • 1906년 10월 1일: 홋카이도 탄광철도 오타루(초대) - 소라치타 구간 국유화, 관설선 편입.
  • 1907년
  • * 7월 1일: 홋카이도 철도(초대) 하코다테 - 오타루(초대) 구간 국유화, 관설선 편입.
  • * 11월 25일: 가미호로무이역 신설.
  • 1908년
  • * 5월 1일: 가메다역 화물역 변경.
  • * 5월 25일: 오누마공원역 신설.
  • * 8월 8일 - 17일: 홋카이도 경마회 주최 경마 위해 소엔 - 삿포로 간 기타고조 임시승강장 설치 (우천으로 8일부터 영업).
  • 1909년
  • * 8월 25일: 제니바코 - 삿포로 구간 복선화.
  • * 8월 26일: 노호로 - 에베츠 구간 복선화.
  • * 9월 26일: 가메다역 휴지.
  • * 10월 12일: 국유철도 선로 명칭 제정, 하코다테 - 아사히카와 구간 '''하코다테 본선''', 데미야 - 오타루(초대) 구간 '''데미야선''', 이와미자와 - 호로나이 구간 및 호로나이타 - 이쿠슌베츠 구간 '''호로나이선'''으로 명명.
  • * 12월 6일: 삿포로 - 노호로, 에베츠 - 이와미자와 구간 복선화.
  • 1910년
  • * 5월 1일: 오타루(초대) - 아사리 구간 복선화, 하코다테 - 구시로 간 직통 열차 운행 개시.
  • * 5월 16일: 나에보역 신설.
  • * 11월 21일: 오타루 축항역 신설.
  • 1911년
  • * 1월 11일: 가까운 글자 신호소 역으로 변경.
  • * 6월 20일: 아사리 - 제니바코 구간 복선화.
  • * 7월 1일: 하코다테 - 구시로 간 직통 열차(하코다테 - 아사히카와 간 급행) 1등 침대차 연결.
  • * 8월 5일: 오치베역 신설.
  • * 9월 1일: 가메다역 폐지, 고료카쿠역 신설.
  • 1913년
  • * 7월 19일: 고토니 - 삿포로 간 경마장 앞 임시승강장 개업.
  • * 8월 1일: 히메카와 신호소 개설.
  • * 9월 21일: 가미메나역 신설.
  • 1914년 10월 1일: 몬베츠역 나카노자와역으로 개칭.
  • 1916년
  • * 4월 10일: 하코다테 - 구시로 간 직통 열차 식당차 연결.
  • * 7월 15일: 차시나이역 신설.
  • 1919년: 히가시오카 신호장 신설.
  • 1920년
  • * 6월 15일: 오누마(초대) 군가와역, 오누마공원역 오누마(2대)으로 개칭.
  • * 7월 15일: 주오오타루역 오타루(2대), 오타루(초대) 미나미오타루역으로 개칭.
  • 1922년 4월 1일: 히메카와 신호소 히메카와 신호장으로 개칭.
  • 1923년 12월 17일: 이와미자와 - 히가시오카 신호장 구간 복선화, 히가시오카 신호장 폐지.
  • 1924년
  • * 5월 31일: 히가시오카 신호장 - 비바이 구간 복선화.
  • * 6월 1일: 소엔역 신설, 경마장 앞 임시승강장 폐지.
  • 1925년 10월 20일: 비바이 - 나이에 구간 복선화.
  • 1926년
  • * 8월 1일: 스나가와 - 가미스나가와 간 지선(가미스나가와 지선) 개업, 가미스나가와역 신설.
  • * 8월 21일: 홋카이도 철도(2대) 삿포로선(지토세선) 누마노하타역 - 나에보 구간 개업, 쓰키사무·히가시삿포로 역 신설.
  • * 12월 1일: 나이에 - 스나가와 구간 복선화.
  • 1930년
  • * 3월 20일: 모리 - 이시쿠라 간 이시다니 신호장 개설.
  • * 7월 1일: 오타루 - 아사히카와 간 준급 열차 신설.
  • 1931년 12월 1일: 비바이 - 미나미비바이 간 화물 지선(미나미비바이 지선) 개업, 미나미비바이역 신설.
  • 1932년
  • * 7월 1일: 오타루 축항 - 하마오타루 간 화물 지선 개업, (화)하마오타루역 신설.
  • * 9월 10일: 이와미자와시 이쿠슌베츠 강 제방 붕괴, 이와미자와 - 미네노베, 에베츠 호로무이 - 가미호로무이 구간 불통.
  • 1936년 9월 15일: 니야마 신호장 개설.
  • 1940년 9월 15일: 스나가와 - 다키카와 간 소라치타 신호장 개설.
  • 1941년 12월 15일: 하코다테 - 고료카쿠 구간 복선화.
  • 1942년
  • * 2월 10일: 도요누마 신호장 개설.
  • * 4월 1일: 혼고역 도지마오노역으로 개칭.
  • 1943년
  • * 2월 26일: 히가시야마 신호장 개설.
  • * 9월 30일: 니야마 신호장 - 군가와 간 고누마 신호장 개설.
  • 1944년
  • * 1월 25일: 비바이 - 미나미비바이 간 지선(미나미비바이 지선) 여객 영업 개시.
  • * 2월 1일: 히메카와 신호장 - 모리 간 모리카와 신호장 개설.
  • * 7월 1일: 기타토요쓰 신호장 개설.
  • * 9월 1일: 와시노스 신호장 개설.
  • * 9월 10일: 혼이시쿠라 신호장 개설.
  • * 9월 30일: 고료카쿠 - 깃쿄 구간 복선화, 가쓰라가와 신호장 개설.
  • 1945년
  • * 1월 25일: 도지마 해안 철도 모리 - 스나하라 구간 운수성 매수, 국유화, 하코다테 본선 지선 모리 - 오시마스나하라 구간 개업, 오시마스나하라·가케마·오시로나이·히가시모리 역 신설, 스나하라역 오시마스나하라역으로 개칭, 신카와·오시로나이 학교 뒤·오시다시·히가시가케마·도코자키 정류장 폐지.
  • * 6월 1일: 군가와(현 오누마) - 오시마스나하라 간 지선 연장, 군가와 - 모리 간 지선 전선 개통, 이케다엔·초시구치·시카베 역, 오시마누마지리 신호장(임시승강장) 신설, 초시구치 - 시카베 간 신혼베츠 신호장 개설.
  • * 7월 20일: 이시쿠라 - 노다오이 구간 복선화.
  • * 12월 1일: 모리카와 신호장 폐지.
  • 1946년
  • * 4월 1일: 이시다니 신호소 역으로 변경.
  • * 4월 22일: 우에노역 - 삿포로 간 직통 연합군 전용 열차 운행 개시.
  • 1947년 2월 20일: 도요누마 신호소 역으로 변경.
  • 1948년
  • * 7월 1일: 고누마 신호장 폐지.
  • * 11월 5일: 고주나이 임시승강장 신설.
  • * 12월 1일: 가미스나가와 지선 우즈라 임시승강장 신설.
  • 1949년
  • * 2월 20일: 시카베역 다카마치역으로 개칭.
  • * 6월 1일: 일본국유철도 시행, 일본국유철도(국철) 이관.
  • * 8월 1일: 히가시야마 신호장 임시승강장, 신혼베츠 신호장 역으로 변경(폐지 시기 불명).
  • 1950년
  • * 1월 25일: 긴분 - 아사히카와 오마치 간 화물 지선 개업, (화)아사히카와 오마치역 신설, 오야마역 신설.
  • * 2월 1일: 스나가와 - 소라치타 신호장 구간 복선화.
  • 1952년
  • * 4월 10일: 고주나이 임시승강장 역으로 변경.
  • * 11월 15일: 가루카와역 데이네역으로 개칭.
  • 1953년 10월 1일: 가미스나가와 지선 우즈라 임시승강장 역으로 변경.
  • 1956년
  • * 10월 20일: 소라치타 신호장 - 다키카와 구간 복선화, 소라치타 신호장 임시승강장 변경(폐지 시기 불명).
  • * 11월 1일: 도요호로역 신설.
  • * 12월 20일: 다카마치역 시카베역으로 개칭.
  • 1957년
  • * 8월 12일: 조잔케이 철도 기동차 삿포로 진입 개시.
  • * 10월 1일: 조잔케이 철도 여객 전철 나에보 진입 폐지.
  • 1958년
  • * 10월 1일: 오타루 - 다키카와 간 기동차 운행 개시.
  • * 12월 10일: 오치베 - 노다오이 구간 단선화.
  • 1959년
  • * 5월 1일: 가미스나가와 지선 시모우즈라 임시승강장 신설.
  • * 9월 22일: 삿포로 - 아사히카와·가미아시베츠역 간 준급 "가무이" 신설.
  • * 10월 1일: 노다오이역 노다생역으로 개칭.
  • * 12월 15일: 소엔 - 삿포로 시장 간 화물 지선 개업, (화)삿포로 시장역 신설.
  • * 12월 18일: 가미스나가와 지선 시모우즈라 임시승강장 역으로 변경, 히가시우즈라역 신설.
  • 1961년 10월 1일: 다키카와 - 에베오쓰 간 후카자와 신호장, 가무이코탄 - 이나오 간 하루시나이 신호장 개설, 하코다테 - 아사히카와 간(무로란 본선 경유) 특급 "오조라" 신설, 궤도 강화로 하코다테 - 오샤만베 간 최고 속도 95km/h에서 100km/h로 인상.
  • 1962년
  • * 7월 25일: 곰의 탕 신호장 - 군가와 구간 복선화, 니야마 - 군가와 간 곰의 탕 신호장 개설.
  • * 9월 4일: 깃쿄 - 나나에 구간 복선화.
  • 1964년
  • * 5월 1일: 오누마(2대) 오누마공원역으로 개칭.
  • * 6월 1일: 군가와역 오누마(3대)으로 개칭.
  • * 9월 27일: 오타루 - 미나미오타루 간 고가화.
  • * 10월 1일: 후카가와 - 노나이 구간 복선화, 하코다테 - 구시로·아바시리 간(무로란 본선 경유) 특급 "오토리" 신설.
  • 1965년
  • * 8월 12일: 오타루 - 미나미오타루 구간 복선화.
  • * 9월 25일: 삿포로 - 나에보 구간 삼선화.
  • * 9월 27일: 나카노자와 - 오샤만베 구간 복선화.
  • * 9월 29일: 후카자와 신호장 - 에베오쓰 간, 세세이시 - 후카가와 간 복선화.
  • * 10월 1일: 하코다테 - 아사히카와 간(무로란 본선 경유) 특급 "호쿠토" 신설.
  • * 11월: 오타루 - 아사히카와 간 전철화 착공 결정.
  • * 12월 13일: 오타루 - 아사히카와 간 전철 공사 기공식 개최.
  • 1966년
  • * 9월 24일: 야마자키 - 구로이와 간, 에베오쓰 - 세세이시 간 복선화.
  • * 9월 27일: 다키카와 - 후카자와 신호장 구간 복선화, 후카자와 신호장 폐지.
  • * 9월 28일: 구니누이 - 하코다테 기점 105.911km 지점(구니누이 - 나카노자와 간) 복선화.
  • * 9월 30일: 나나에 - 오누마 간 별선(후지시로 지선) 개통, 곰의 탕 신호장 폐지.
  • * 11월 10일: 제니바코 - 데이네 간 전철화 시험 선구 완성.
  • * 11월 15일: 제니바코 - 데이네 간 전철 시운전 개시.
  • * 12월 15일: 오아사역 신설.
  • * 12월 25일: 하코다테 기점 105.911km 지점 - 나카노자와 간 복선화.
  • 1967년 3월 1일: 하코다테 - 아사히카와 간 특급 "홋카이" 신설.
  • 1968년
  • * 4월 1일: 가리타역 니세코역으로 개칭.
  • * 7월 1일: 조잔케이 철도 삿포로 진입 폐지, 다키카와 - 아사히카와 간 전철 공사 착공.
  • * 8월 28일: 오타루 - 다키카와 간 전철화(교류 20,000V 50Hz).
  • * 9월 21일: 오치베 - 노다생 구간 재복선화.
  • * 9월 28일: 긴분 - 아사히카와 구간 복선화.
  • * 10월 1일: 시라이시 - 히가시삿포로 간 화물 지선 개업, 신삿포로(초대·화물역) 신설, 급행 "가무이" 1왕복 도내 국철선 첫 전철 급행화.
  • 1969년
  • * 8월 29일: 노다생 - 야마코시 구간 복선화.
  • * 9월 26일: 야마코시 - 야쿠모 구간 복선화.
  • * 9월 30일: 노나이 - 긴분 구간 복선화, 경로 변경, 가무이코탄·하루시나이 신호장 폐지, 다키카와 - 아사히카와 간 C57 201 견인 "SL 작별 열차" 운전.
  • * 10월 1일: 다키카와 - 아사히카와 간 전철화(교류 20,000V 50Hz).
  • * 11월 26일: 깃쿄 - 모리 간 CTC화(8월 1일부터 테스트 운용).
  • 1970년 9월 25일: 기타토요쓰 신호장 - 구니누이 구간 복선화.
  • 1971년
  • * 7월 1일: 삿포로 - 아사히카와 간 논스톱 급행 "사치카제" 신설.
  • * 8월 3일: 비바이 - 미나미비바이 간 지선(미나미비바이 지선) 여객 영업 폐지.
  • * 9월 21일: 가쓰라가와 - 이시타니 구간 복선화.
  • 1972년 10월 2일: 삿포로 - 아바시리 간 특급 "오호츠크" 신설.
  • 1973년
  • * 7월 16일: 신삿포로(초대·화물역) 삿포로 화물 터미널역으로 개칭.
  • * 9월 9일: 비바이 - 미나미비바이 간 화물 지선(미나미비바이 지선) 폐지, 미나미비바이역 폐지.
  • * 9월 10일: 지토세선 기타히로시마 - 나에보 간 선로 이설, 접속역 나에보에서 시라이시로 변경, 구 지토세선 히가시삿포로 - 쓰키사무 구간 하코다테 본선 화물 지선, 해당 구간 쓰키사무·히가시삿포로 역 하코다테 본선 편입.
  • * 12월 11일: 혼이시쿠라 - 이시쿠라 구간 복선화, 혼이시쿠라 신호장 임시승강장 변경.
  • 1974년 10월 31일: 이시타니 - 혼이시쿠라 구간 복선화.
  • 1975년 7월 18일: 삿포로 - 아사히카와 간 엘 특급 "이시카리" 신설.
  • 1976년
  • * 10월 1일: 히가시삿포로 - 쓰키사무 간 화물 지선 폐지, 쓰키사무역 폐지.
  • * 10월 2일: 고마가타케 - 히메카와 신호장 간 하행 화물 열차 탈선, 화차 41량 중 40량, 디젤 기관차 전복, 국철 최대 탈선 사고 발생, 인력 복구, 10월 3일 첫차부터 운행 개시.
  • 1978년 10월 2일: 소엔 - 삿포로 시장 간, 긴분 - 아사히카와 오마치 간 화물 지선 폐지, 삿포로 시장·아사히카와 오마치 역 폐지.
  • 1979년 9월 27일: 모리 - 가쓰라가와 구간 복선화.
  • 1980년 10월 1일: 엘 특급 "이시카리" "라일락"으로 개칭.
  • 1984년
  • * 2월 1일: 오타루 축항 - 하마오타루 간 화물 지선 폐지, 하마오타루역 폐지.
  • * 3월 31일: 가미메나역 폐지.
  • * 6월 10일 - 8월 24일: '84 오타루 박람회 개최, 오타루 축항 - 하마오타루 간 화물 지선 회장 앞 역(임시역) 설치.
  • * 9월 20일: 숲 공원역 신설.
  • * 11월 19일: 야쿠모 - 와시노스 구간 복선화.
  • 1985년 10월 1일: 호시요 역 신설.
  • 1986년 3월 3일: 삿포로 - 시라이시 간 최고 속도 100km/h에서 120km/h로 인상, 지토세선 지토세 공항 - 시라이시 간도 최고 속도 인상.


오타루를 중심으로 열차가 운행되며, 모든 정기 열차가 각역 정차로 지역 수송에 주력한다. 아침 란코시역 출발 삿포로역행, 저녁 삿포로 출발 굿찬역행 1일 1편 쾌속 '니세코 라이너'(구칭 '마린 라이너')도 이 구간 내 각역 정차한다. 보통 열차는 삿포로 직통 아침 1왕복 외 오타루역에서 계통 분리된다. 오타루 발착 열차는 대부분 굿찬역 회차이나, 오샤만베역 발착 직통, 시카리베츠역·요이치역 회차 구간 열차도 있다. 최근 굿찬 계통 분할 증가, 오샤만베·란코시역 발착 열차는 굿찬 회차가 많다.

오타루 근접 시 운행 편수 증가, 요이치 - 오타루 구간 1시간 1~2편(2시간 간격 경우 존재), 오샤만베 - 란코시 구간 1일 하행 4편·상행 5편 운행.

2010년 12월 4일 현재, 쾌속 '니세코 라이너' 1왕복, 아침 굿찬 출발 도마코마이역행 1편, 밤 오타루 출발 굿찬행 1편 제외 원맨 운전 실시. 예외는 해당 열차 키하 201계 운용, 오타루 - 굿찬·란코시 간 차장 승무.

5. 1. 하코다테 ~ 오타루 구간

(하코다테 역 앞 정류장)홋카이도하코다테시H 74고료카쿠五稜郭|고료카쿠일본어3.4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H 73기쿄桔梗|기쿄일본어8.3rowspan="3" |H 72오나카야마大中山|오나카야마일본어10.4가메다 군
나나에정H 71나나에七飯|나나에일본어13.8H 70신하코다테호쿠토新函館北斗|신하코다테호쿠토일본어17.9홋카이도 신칸센호쿠토시H 69니야마仁山|니야마일본어21.2rowspan="1" |가메다 군
나나에 정H 68오누마大沼|오누마일본어27.0사와라 지선H 67오누마 공원大沼公園|오누마코엔일본어28.0rowspan="5" |H 66아카이가와赤井川|아카이가와일본어31.7가야베 군
모리정H 65고마가타케駒ヶ岳|고마가타케일본어36.5H 64히가시야마東山|히가시야마일본어40.1H 63히메카와姫川|히메카와일본어44.2H 62모리森|모리일본어49.5사와라 지선H 61가쓰라가와桂川|가쓰라가와일본어52.2rowspan="14" |H 60이시야石谷|이시야일본어56.1H 59혼이시쿠라本石倉|혼이시쿠라일본어60.0H 58이시쿠라石倉|이시쿠라일본어62.1H 57오토시베落部|오토시베일본어66.1후타미 군
야쿠모정H 56노다오이野田生|노다오이일본어71.4H 55야마코시山越|야마코시일본어76.6H 54야쿠모八雲|야쿠모일본어81.1H 53와시노스 신호장鷲ノ巣|와시노스일본어84.2H 52야마사키山崎|야마사키일본어88.3H 51구로이와黒岩|구로이와일본어94.4H 50기타토요쓰北豊津|기타토요쓰일본어98.2야마코시 군
오샤만베정H 49군누이国縫|군누이일본어102.8H 48나카노사와中ノ沢|나카노사와일본어107.7H 47오샤만베長万部|오샤만베일본어112.3무로란 본선S 32후타마타二股|후타마타일본어120.9rowspan="18" |S 31와라비타이蕨岱|와라비타이일본어126.9S 30구로마쓰나이黒松内|구로마쓰나이일본어132.3슷쓰 군
구로마쓰나이정S 29넷푸熱郛|넷푸일본어140.4S 28메나目名|메나일본어155.8이소야 군
란코시정S 27란코시蘭越|란코시일본어163.4S 26곤부昆布|곤부일본어170.3S 25니세코ニセコ|니세코일본어179.6아부타 군니세코정S 24히라후比羅夫|히라후일본어186.6굿찬정S 23굿찬倶知安|굿찬일본어193.3S 22고자와小沢|고자와일본어203.6이와나이 군
교와정S 21긴잔銀山|긴잔일본어213.4요이치 군니키정S 20시카리베쓰然別|시카리베쓰일본어224.1S 19니키仁木|니키일본어228.2S 18요이치余市|요이치일본어232.6요이치정S 17란시마蘭島|란시마일본어237.9오타루시S 16시오야塩谷|시오야일본어244.8S 15오타루小樽|오타루일본어252.5

5. 2. 사와라 지선

나나에, 가메다 방면시키베鹿部14.6시키베, 가야베오시마누마지리渡島沼尻20.0모리, 가야베오시마사와라渡島砂原25.3가카리마掛澗29.0오시로나이尾白内31.9히가시모리東森33.5모리森35.3하코다테 본선 (본선)



전 구간 비전철화이며, 단선이다.

5. 3. 오타루 ~ 아사히카와 구간

2024년 3월 16일에 시행된 시간표 개정에 따라 낮 시간대에는 특별 쾌속 공항 열차(시간당 1편)가 오타루역까지 연장 운행하며, 모든 쾌속 공항 및 쾌속 니세코 라이너 열차는 오타루역과 데이네역 사이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4]

거리
(km)
SRAAN환승 노선소재지
오타루小樽|오타루일본어252.5*++ 오타루시
미나미오타루南小樽|미나미오타루일본어254.1*++ 
오타루치코小樽築港|오타루칫코일본어256.2*++ 
아사리朝里|아사리일본어259.3-*+ 
제니바코銭函|제니바코일본어268.1-*+ 
호시미ほしみ|호시미일본어271.0-*+ 삿포로시 데이네구
호시오키星置|호시오키일본어272.6-*+ 
이나호稲穂|이나호일본어273.7-*+ 
데이네手稲|데이네일본어275.7*++ 
이나즈미코엔稲積公園|이나즈미코엔일본어277.0--- 
핫사무発寒|핫사무일본어279.2--- 삿포로시 니시구
핫사무추오発寒中央|핫사무추오일본어281.0--- 
고토니琴似|고토니일본어282.5*++ 
소엔桑園|소엔일본어284.7*++가쿠엔토시선삿포로시 주오구
삿포로札幌|삿포로일본어286.3+++삿포로시 기타구
나에보苗穂|나에보일본어288.5--삿포로시 주오구/히가시구
시로이시白石|시로이시일본어292.1-지토세선삿포로시 시로이시구
아쓰베쓰厚別|아쓰베쓰일본어296.5 삿포로시 아쓰베쓰구
신린코엔森林公園|신린코엔일본어298.5 
오아사大麻|오아사일본어300.8 에베쓰시
노포로野幌|노포로일본어304.2 
다카사고高砂|다카사고일본어305.5 
에베쓰江別|에베쓰일본어307.3 
도요호로豊幌|도요호로일본어313.5 
호로무이幌向|호로무이일본어316.7 이와미자와시
가미호로무이上幌向|가미호로무이일본어322.6 
이와미자와岩見沢|이와미자와일본어326.9
미네노부峰延|미네노부일본어335.3 비바이시
고슈나이光珠内|고슈나이일본어339.8 
비바이美唄|비바이일본어343.7 
자시나이茶志内|자시나이일본어348.1 
나이에奈井江|나이에일본어354.3 나이에정, 소라치군
도요누마豊沼|도요누마일본어359.0 스나가와시
스나가와砂川|스나가와일본어362.2 
다키카와滝川|다키카와일본어369.8다키카와시
에베오쓰江部乙|에베오쓰일본어378.2 
모세우시妹背牛|모세우시일본어385.7 모세우시정, 우리우군
후카가와深川|후카가와일본어392.9후카가와시
오사무나이納内|오사무나이일본어400.3
지카부미近文|지카부미일본어419.1 아사히카와시
아사히카와旭川|아사히카와일본어423.1

6. 폐지된 역 및 신호장

역명폐지일
가메다역1911년
구마노유 신호장1966년
고누마 신호장1948년
이케다엔역2022년 3월 12일[5]
나가레야마온센역2022년 3월 12일[5]
신혼베쓰 신호장1949년
히가시야마역2017년 3월 4일
모리카와 신호장1945년
가쓰라가와역2017년 3월 4일
모토이시쿠라역2022년 3월 12일[5]
나카노사와역2024년 3월 16일[4]
와라비타이역2017년 3월 4일
가미메나역1984년
야마미치역1904년 7월 18일
하리우스역2006년 3월 18일
기타5조 임시승강장1908년
경마장 앞 임시승강장1924년
히가시오카 신호장1923년
고슈 신호장1924년
소라치타 신호장1956년
후카자와 신호장1966년
이노역2021년 3월 13일


7. 폐지된 구간

8. 과거 여객 취급 신호장

조시구치 신호장일본어 (구 조시구치 역일본어), 히메카와 신호장일본어 (구 히메카와 역일본어), 이시야 신호장일본어 (구 이시야 역일본어), 와시노스 신호장일본어 (구 와시노스 역일본어), 기타토요쓰 신호장일본어 (구 기타토요쓰 역일본어)이 과거 여객 취급 신호장이었다.

9. 과거 접속 노선

하코다테역에서는 세이칸 연락선[1]과, 고료카쿠역에서는 하코다테 시영 전차 고료카쿠에키마에 정류장[2]과 접속했었다.

오누마역(현재의 오누마코엔역)에서는 오누마 전철[3]과 접속했었다. 오누마 전철은 조시구치역[4]에도 신조시구치역[5]을 설치하여 접속했었다.

모리역에서는 오시마 해안 철도[6], 구니누이역에서는 세타나선[7], 구로마쓰나이역에서는 스쓰 철도선[8], 굿찬역에서는 이부리선[9]과 접속했었다.

오자와역에서는 요이치역까지 요이치 린코 궤도[10]가 운행되었고, 미나미오타루역에서는 테미야선 (화물선)[11]과 접속했었다.

테이네역에서는 게이세키 궤도[12], 소엔역에서는 삿포로 시영 전차 (소엔선) 소엔에키마에 정류장[13]과 접속했었다.

삿포로역에서는 나에보역까지, 시라이시역에서는 조잔케이 철도[14], 노포로역에서는 홋카이도 탄광 기선 유바리 철도선[15]과 접속했었다.

이와미자와역에서는 호로나이선[16], 비바이역에서는 미쓰비시 광업 비바이 철도선[17], 스나가와역에서는 우타시나이선[18], 후카가와역에서는 신메이선[19]과 접속했었다.

10. 향후 예정

2010년 (헤이세이 22년) 3월, JR 홋카이도는 하코다테 본선의 오타루역 이남 전 구간을 경영 분리하는 방침을 내세웠기 때문에, 2030년도에 예정된 홋카이도 신칸센삿포로역 연장 시에는, 본 노선의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이 경영 분리될 예정이다.[40][41] 오샤만베역 - 요이치역 구간은 2022년2월 3일에 연선 자치단체가 철도 존속을 단념하고 폐지를 받아들여 버스로 전환하는 데 합의했다.[42][43][44] 신칸센 개업에 따른 병행 재래선의 폐지는, 제3섹터 철도로의 전환을 제외하면 1997년 10월 1일 나가노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다카사키역 - 나가노역 간 선행 개업에 따른 신에쓰 본선요코카와역 - 가루이자와역 간의 폐지 이후 두 번째 사례이다. 요이치역 - 오타루역 구간은 오타루시로의 통근·통학이 많은 요이치정이 제3섹터에서의 철도 존속을 요구하여, 버스 전환에 긍정적인 오타루시와의 의견 조율이 이루어지지 않아 결론이 연기되었다. 오타루시는 2022년 1월 31일 시장의 정례 기자 회견에서, "버스 전환을 시야에 둔 움직임을 진행하고 싶다"라고 언급했다. 3월 26일에 열린 도와 연선 자치단체(오타루시·요이치정)의 3자 협의에서 요이치역 - 오타루역 간의 철도 존속을 단념하고, 폐지를 받아들여 버스로 전환하는 데 합의했다. 3월 27일에는 연선 자치단체(오타루시·요이치정·니키정·교와정·굿찬정·니세코정·란코시정·구로마쓰나이정·오샤만베정)과 도의 협의에서 오샤만베역 - 오타루역 간의 폐선·버스 전환이 결정되었다.

2023년 10월, 홋카이도 등으로부터 대체 버스 운행을 제안받은 홋카이도 중앙 버스 등의 버스 사업자 3사가 2024년 문제 등에 따른 버스 운전기사 부족으로 인해, 홋카이도에서 제시된 운행 계획안에서의 운행은 곤란하다고 답변하여, 버스 전환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다. 홋카이도 등은 다른 버스 사업자에게도 협력을 요구하는 한편, 이용자가 적은 일부 구간은 택시 등, 버스 이외의 교통 기관으로의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요이치정장은 2024년 6월 요이치정 의회에서 "(요이치 - 오타루 간의) 버스 전환 합의는 신속하고 대량 수송의 확보가 전제. 그것이 무너지는 경우에는 합의를 철회한다"라고 말했다.

하코다테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은 병행 재래선 여부에 대해 이견이 있어, 해당 구간은 병행 재래선이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는 하코다테시는 JR에 의한 운행 지속을 요구했다. 그러나, 2011년 4월에 당선된 하코다테 시장은 같은 해 11월 24일, 버스 전환을 하지 않는 것 등을 조건으로 경영 분리 용인을 표명했다. 하코다테 상공 회의소를 비롯한 단체가 여전히 반대하여 정식 결정이 늦어졌지만, 12월 21일에는 경영 분리에 동의했다.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은 연선 자치단체의 많은 곳이 여객 노선으로서는 대부분을 폐선 및 버스 전환하고 싶다는 의향을 보이고 있지만, 동 구간은 홋카이도와 혼슈 간의 철도 물류의 대동맥이 되는 화물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만약 동 구간을 폐선으로 했을 경우, 물류망이 단절되어 도내의 지역 경제 (특히 농수산업)에 큰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장은 2022년 5월에 동 구간의 존폐에 대해, "자사만으로의 화물 노선 보유는 곤란"이라고 하여, "제3섹터 등에 의한 철도 유지가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국토교통대신은 이 문제를 받아들여,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을 화물 노선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홋카이도청, JR 홋카이도, JR 화물과의 4자 협의를 진행할 것을 2022년 9월 20일에 표명했다. 2023년 7월 26일에는 앞서 언급한 4자가 삿포로 시내에서 연 협의회에서, 해당 구간에서의 철도 화물 기능을 유지하는 방침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신칸센 연장에 따른 병행 재래선에서는 처음으로 화물 전용 노선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2022년 8월 31일에 개최된 홋카이도와 연선 자치단체에 의한 협의회에서는,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간 전 구간을 제3섹터로 유지하는 경우 경영 분리 후 30년간 누계 816억 엔의 적자가 예상된다는 수지 예측을 공표했다. 홋카이도는 연선 자치단체에 대해, 적자 압축을 목적으로 후지시로 지선의 여객 운행을 중단하는 안을 제안하고 있다.

2016년 11월 16일, JR 홋카이도가 공표한 자료 가운데, 본 구간은 "경영 분리될 때까지, 시설의 슬림화 등에 힘쓰고, 효율적인 운영을 해나가겠습니다"라고 했다.

오타루역 - 삿포로역 간은 삿포로 도시권 수송의 사명을 띠고 있기 때문에 보통 열차 (쾌속 포함)의 수와 이용객 모두 많고, 신치토세 공항역 방면이나 이와미자와역 방면과 일체적인 운용을 하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신칸센 개업 후에도 JR 홋카이도가 경영을 계속할 예정이다.

2024년 4월 1일에 공표된 "JR 홋카이도 그룹 중기 경영 계획 2026"에서는, 홋카이도 신칸센 삿포로 연장 후에 재래선의 개량에 의한 고속화 (궤도 강화·선형 개량·최고 속도의 향상·고가화에 의한 건널목 해소 등)를 실시, 삿포로역 - 아사히카와역 간 (136.8km)의 소요 시간을 최속 1시간 25분 (2024년 시점)에서 최속 60분으로 단축하는 구상이 제시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長万部―小樽間の在来線廃止へ…北海道新幹線延伸でバスの運行に : 経済 : ニュース : 読売新聞オンライン https://www.yomiuri.[...] 2022-03-28
[2] 웹사이트 Train Guide https://www.jrhokkai[...] Hokkaido Railway Company 2020-04-23
[3] 웹사이트 ICカードKitacaエリアを拡大します! ~2024年春、函館・旭川各エリアでKitacaサービスを開始します~ https://www.jrhokkai[...] 2022-09-14
[4] 웹사이트 JR北海道,3月16日に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3-12-15
[5] 웹사이트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2021-12-17
[6] 웹사이트 JR北海道,3月16日に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3-12-15
[7] 웹사이트 旧深名線 第三雨竜川橋梁 https://www.google.c[...] 2021-12-31
[8] 뉴스 JR函館線で貨物列車脱線 帰省の足に影響、けが人なし http://www.nikkei.co[...] 2013-08-17
[9] 서적 鉄道電報略号 null 1959-09-17
[10] 문서 旧名「第一茶羅津内T」。
[11] 문서 旧名「第二茶羅津内T」。
[12] 문서 "[[1882年]](明治15年)に[[官営幌内鉄道]]によって開業した、[[石狩平野]]から[[石狩湾]]沿いに敷設された鉄道路線([[三笠駅 (北海道)|三笠駅]] - 札幌駅 - [[手宮駅]]間)に対する通称のため。"
[13] 문서 都市部の[[路面電車]]を除く[[私鉄]]では、[[旭川電気軌道東川線]]([[1927年]]〈昭和2年〉)[[2月15日]]、[[直流電化|直流]]600 Vで部分開業)、[[大沼電鉄]]([[1929年]]〈昭和4年〉1月5日、直流600 Vで開業)、[[定山渓鉄道線|定山渓鉄道]]([[1918年]]〈大正7年〉開業、1929年〈昭和4年〉10月25日、直流1,500 Vで電化)の例がある。
[14] 서적 札幌工事局七十年史 日本国有鉄道札幌工事局
[15] 서적 札幌工事局七十年史 日本国有鉄道札幌工事局
[16] 서적 昭和ニュース事典第4巻 昭和6年-昭和7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7] 뉴스 通報 ●函館本線函館起点105K911M・中の沢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66-12-22
[18] 뉴스 国鉄今週の切替え工事 交通協力会 1968-09-15
[19] 뉴스 函館本線桔梗-森間 CTCの使用開始 交通協力会 1969-11-27
[20] 뉴스 通報 ●函館本線北豊津・國縫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70-09-24
[21] 뉴스 通報 ●函館本線桂川・石谷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71-09-20
[22] 뉴스 通報 ●函館本線函館起点58k880M・石倉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73-12-10
[23] 뉴스 通報 ●函館本線石谷駅・函館起点58k880M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74-10-30
[24] 뉴스 貨物列車の40両脱線 機関車もろとも 無事なのは車掌車だけ 1976-10-02
[25] 뉴스 函館本線が復旧 1976-10-04
[26] 뉴스 通報 ●函館本線森・桂川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79-09-26
[27] 뉴스 通報 ●函館本線八雲・鷲ノ巣間増設線路の使用開始について(運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84-11-17
[28] 문서 留萠発着列車については深川駅 - 旭川駅間のみの愛称。
[29] 서적 JNR編集時刻表 弘済出版社 1987-04-01
[3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0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0-08-01
[31]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5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5-07-01
[32]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33] 문서 さっぽろ駅には地下鉄[[札幌市営地下鉄東豊線|東豊線]]も乗り入れているが、代替輸送の対象にはなっていない。
[34] 웹사이트 広報おしゃまんべ No.895 https://www.town.osh[...] 長万部町役場 2022-02-04
[35] 뉴스 貨物列車脱線のJR函館線、19日始発から運転再開 https://www.nikkei.c[...] 2024-11-18
[36] 뉴스 長万部-小樽の代替バス、鉄道並み困難 運行3社、運転手不足 https://www.hokkaido[...] 2023-10-28
[37] 뉴스 バス運転手不足、今後の鉄路廃止議論にも影響 バス転換も難しい https://www.asahi.co[...] 2023-11-02
[38] 뉴스 北海道新幹線「並行在来線」バス転換協議が中断へ https://toyokeizai.n[...] 2023-11-07
[39] 뉴스 並行在来線バス転換、利便性確保を 余市町長「崩れるなら合意撤回」 https://www.hokkaido[...] 2024-06-24
[40] 웹사이트 新幹線開業後の並行在来線はどうなるのか https://hokkaidofan.[...] 北海道リレーション株式会社 2010-05-14
[41] 웹사이트 【Q&A】18.並行在来線とはそもそも何なのか http://www.shinkanse[...]
[42] 뉴스 長万部―函館、鉄道の維持希望 JR貨物支社長、三セク想定 https://web.archive.[...] 2022-05-27
[43] 뉴스 北海道を襲う物流危機 「運べない時代」の到来か https://www.sankei.c[...] 2022-09-03
[44] 뉴스 函館線を貨物線として維持、国が協議へ 北海道やJRと旅客と分離 https://www.asahi.co[...] 2022-09-12
[45] 뉴스 函館線の貨物網維持へ協議入り表明 国交相、北海道やJR2社と https://www.asahi.co[...] 2022-09-20
[46] 뉴스 函館線「貨物維持が妥当」 25年度めどに結論―国や道、JR https://www.jiji.com[...] 2023-07-26
[47] 뉴스 沿線自治体首長、歓迎も課題注視 函館―長万部の鉄道貨物維持 https://digital.hako[...] 2023-07-28
[48] 간행물 JR北海道グループ中期経営計画2026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4-03-29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뉴스 北海道新幹線開業後も新函館北斗駅に停まらない普通列車がある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16-02-20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64] 문서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68] 문서
[69] 문서
[70] 문서
[71] 문서 石北本線の正式な起点は宗谷本線新旭川駅だが、運転系統上、全列車が旭川駅に乗り入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