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명 (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명(vocation)은 기독교에서 각 개인에게 주어진 특별한 목적과 삶의 방식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성직자 후보자에게 적용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은자, 출가자, 수녀 등 신앙을 엄격하게 따르는 사람들에게도 사용되었으며, 16세기 이전에는 주로 야훼가 인간에게 내리는 '부름'을 의미했다. 마르틴 루터와 장 칼뱅은 세속적인 직업까지 소명의 범위를 확장하며, 직업 윤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는 개인의 재능을 개발하여 직업을 선택하고 즐기는 데 초점을 맞추는 등 그 의미가 진화했다. 기독교 교리에서는 외적 소명과 내적 소명으로 구분되며, 윤리적 관점에서 직업 윤리와 연결된다.
초기 기독교부터 소명(vocation)은 성직자 후보자들에게 적용되는 단어였다.[24] 이후 이 용어는 은자, 출가자, 수녀의 관상적인 생활을 통해 신앙을 더욱 엄격하게 준수하려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었다.[2] 16세기 이전에는 주로 야훼가 인간에게 내리는 '부름'을 의미했는데,[25] 특히 불가타 성경에서 인류 전체에 대한 구원으로의 '부르심'이나, 사제직 또는 수도 생활로의 '부르심'을 지칭했다. 로마 가톨릭교는 결혼, 수도, 서품을 세 가지 소명으로 인정한다.[26][4]
야훼가 각 개인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게 재능과 선물로 창조하셨다는 믿음이 소명 개념의 중심에 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1]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이 소명 개념은 특히 특정한 소명적 삶의 헌신을 통해 교회와 인류에 봉사하라는 신성한 부름과 연관되어 있다. 더 넓은 의미에서, 기독교적 소명은 직업, 가정 생활, 교회 및 시민적 헌신에서 자신의 재능을 사용하여 공동선(共同善)을 위해 기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2. 역사
마르틴 루터[5]에 이어 장 칼뱅은 소명, 즉 신성한 부르심을 대부분의 세속적인 직업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히 강조했는데, 이 아이디어가 결코 새로운 것은 아니었다.[6][27][28] 루터는 각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하나님이 정하신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루터교의 소명 개념은 직업을 강조했지만, 일용할 양식을 얻기 위해 필요한 노동 외에 다른 노동에 대한 특별한 강조는 없었다. 칼뱅주의는 끈기 있고 훈련된 노동을 강조함으로써 소명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켰다.
장 칼뱅은 "소명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역할"을 정의하면서, 하나님이 인간에게 정해진 의무를 규정하셨고, 그러한 삶의 영역을 소명 또는 부르심이라고 칭했다.[7] 칼뱅주의자들은 하나님을 섬기는 일반적인 부르심과 자신의 유용성이 결정되는 어떤 직업에 종사하는 특별한 부르심의 두 가지 소명을 구별했다.[7][29] 칼뱅주의는 예정, 불가항력적 은혜, 선택받은 자의 개념과 관련된 첫 번째 유형의 소명에 대해 복잡한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 일부에게만 확장되는 ''vocatio universalis'', ''vocatio specialis''가 있었다. 또한 내적 및 외적 구분과 "vocatio efficax" 및 "inefficax" 유형의 부르심 사이에도 복잡한 구분이 있었다.[8][30] 과격 칼뱅주의는 다른 거의 모든 기독교 집단이 가지고 있는 회개하고 믿으라는 "보편적 부르심", 즉 소명이라는 개념을 거부한다.
청교도 목사 코튼 마더는 개인적인 소명의 의무에 대해 논하며, "어떤 특별한 일과 어떤 정해진 일에서 그리스도인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을 위해 선을 행함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다"라고 썼다.[9] 마더는 어떤 소명 없이 사는 것은 일반적으로 합법적이지 않다고 경고했다. "사람들은 '끔찍한 덫과 무한한 죄'에 빠질 것이기 때문이다."[9] 이 아이디어는 개신교 역사 전체에 걸쳐 지속되었다. 장 칼뱅이 1564년에 사망한 지 거의 3세기 후 토머스 칼라일은 "이 세상의 가장 최신의 복음은 '네 일을 알고 행하라'이다"라고 선포할 것이다.[10]
이러한 종교적 윤리의 유산은 세속적인 서구 사회에서 계속해서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소명으로 여겨지는 현대 직업에는 기술과 공동체적 도움의 결합이 암시되는 의료, 간병, 수의사 직업 등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종교 직업과 같이 보상이 영적이거나 기타 비재정적 용어로 여겨지는 직업도 소명으로 여겨진다. 정치와 같이 사회 봉사와 더 개인적인 보상이 더 균형을 이루는 경계선 직업은 종종 소명으로 간주될 수 있다.
2. 1. 초기 기독교
소명(vocation)이라는 개념은 초기 기독교부터 성직 후보자들에게 적용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이후 이 용어는 은자, 출가자, 수녀의 관조적인 생활을 통해 신앙을 더욱 엄격하게 준수하려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기 시작했다.[24]
16세기 이전에는 우선적으로 야훼가 인간에게 내리는 '부름'을 의미했는데,[25] 특히 불가타에서 인류 전체에 대한 구원으로의 '부르심'이나, 성직 또는 종교 생활로의 '부르심'을 지칭했다.[3]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결혼, 종교적 삶, 그리고 성직 생활을 '소명'이 적용되는 주요 세 영역으로 인정했다.[26]
2. 2. 종교 개혁 이전
소명(vocation)이라는 개념은 초기 기독교부터 성직자 후보자들에게 적용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이후 이 용어는 은자, 출가자, 수녀의 관상적인 생활을 통해 신앙을 더욱 엄격하게 준수하려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기 시작했다.[24]
16세기 이전에는 우선적으로 야훼가 인간에게 내리는 '부르심'을 의미했는데,[25] 특히 불가타에서 인류 전체에 대한 구원으로의 '부르심'이나, 사제직 또는 수도 생활로의 '부르심'을 지칭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결혼, 종교적 삶, 그리고 성직 생활을 '소명'이 적용되는 주요 세 영역으로 인정했다.[26]
2. 3. 종교 개혁과 그 이후
초기 기독교부터 소명(vocation)은 성직 후보자들에게 적용되는 단어였다.[24] 이후 이 용어는 은자, 출가자, 수녀의 관조적인 생활을 통해 신앙을 더욱 엄격하게 준수하려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었다.[2] 16세기 이전에는 주로 야훼가 인간에게 내리는 '부름'을 의미했는데,[25] 특히 불가타에서 인류 전체에 대한 구원으로의 '부르심'이나, 성직 또는 종교 생활로의 '부르심'을 지칭했다.[3] 로마 가톨릭교회는 결혼, 종교적 삶, 그리고 성직 생활을 '소명'이 적용되는 주요 세 영역으로 인정했다.[26][4]
마르틴 루터는 장 칼뱅을 따라 이 개념을 확장하여 대부분의 세속적 직업도 소명에 포함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27][28][5][6] 루터는 각 개인이 일상 생활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소명을 따라야 한다고 가르쳤다. 루터교에서 소명에 대한 개념은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나 자신의 일용할 양식을 얻기 위한 노동 이상의 강조는 없었다.
칼뱅주의는 부르심에 대한 개념을 끊임없는 근면성실함과 연결지었다. 칼뱅은 "기독교인의 소명" 역할을 정의하였는데, 남성들의 삶의 영역에 특별히 주어진 직업적 소명으로 한정했다. 칼뱅주의자들은 야훼를 섬기는 일반적 소명과 자신의 유용성을 결정하는 특정 직업을 구분하였다.[29][7] 칼뱅주의는 예정, 불가항력적 은혜, 택정 등의 개념들과 함께 소명을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는 등 개념을 구체화하였다.[30][8] 극단적 칼뱅주의는 회개와 믿음으로의 "보편적 소명"이라는 개념을 거부하였다.
청교도 목사 코튼 마더는 개인적인 소명의 의무에 대해 논하며, "어떤 특별한 일과 어떤 정해진 일에서 그리스도인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을 위해 선을 행함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다"라고 썼다.[9] 마더는 어떤 소명 없이 사는 것은 일반적으로 합법적이지 않다고 경고했다. "사람들은 '끔찍한 덫과 무한한 죄'에 빠질 것이기 때문이다."[9] 이 아이디어는 개신교 역사 전체에 걸쳐 지속되었다. 장 칼뱅이 1564년에 사망한 지 거의 3세기 후 토머스 칼라일은 "이 세상의 가장 최신의 복음은 '네 일을 알고 행하라'이다"라고 선포할 것이다.[10]
이러한 종교적 윤리의 유산은 세속적인 서구 사회에서 계속해서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소명으로 여겨지는 현대 직업에는 기술과 공동체적 도움의 결합이 암시되는 의료, 간병, 수의사 직업 등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종교 직업과 같이 보상이 영적이거나 기타 비재정적 용어로 여겨지는 직업도 소명으로 여겨진다. 정치와 같이 사회 봉사와 더 개인적인 보상이 더 균형을 이루는 경계선 직업은 종종 소명으로 간주될 수 있다.
3. 개념
개신교에서 신부가 됨으로써 삶을 하느님께 헌신하라는 하느님의 부르심은 종종 영어식 표현인 "소명"으로 표현되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여전히 "성소"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소명"이라는 단어의 두 가지 의미는 고린도전서 7:20에서 사용되었으며, 사도 바울은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처신하라"라고 말한다.[11] 소명이라는 개념은 하나님이 각 사람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춰 재능과 은사를 부여하셨다는 기독교적 믿음의 핵심이다. 가장 넓은 의미에서, ''가톨릭교회 교리서''에 명시된 바와 같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소명"이다.[12] 더욱 구체적으로,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에서, 소명이라는 개념은 특별히 교회와 인류를 위한 봉사에 대한 하나님의 부르심과 관련되며, 이는 특정 사람과의 결혼, 종교적 헌신으로서의 봉헌, 교회에서의 사제직 서품, 심지어 독신으로서의 거룩한 삶과 같은 특정 소명적 삶의 헌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 넓은 의미에서, 기독교적 소명은 더 큰 공동선을 위해 자신의 재능을 직업, 가정생활, 교회, 시민적 헌신에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오늘날의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의 소명이 존재한다.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하느님에 의해 불려 하느님께 헌신하고, 사제, 부제, 수도자 (전도자, 선교사, 수도회의 재속 회원 포함) 등 교회의 성직자·수도자로서의 사명을 부여받는 것을 의미한다. 소명 후에는 교구 (재속) 또는 수도회에 소속된다. 넓은 의미로는 모든 가톨릭 신자는 성직자나 수도자가 아니더라도, 세례와 견진을 통해 주 그리스도로부터 교회에 맡겨진 사명인 "사도직"에 참여하며 소명을 받았다고 본다. 이 때문에 일반 신자는 모두 평신도 사도직을 수행하며, 사회 속에 복음을 전파해야 한다. 또한, 성직자 외 신자인 수도자나 일반 신자는 성체 봉사자 (특별 성체 봉사자), 제대 봉사자 (집회 전례 사식자), 병자 방문 봉사자 등 평신도 봉사직 (자발 교령 "미니스테리아 퀘담"에 의해 1973년에 폐지된 성직 계위에 상당)을 맡을 수 있으며, 이것 역시 소명이라고 하지만 넓은 의미의 소명의 연장선으로 여겨진다.
오늘날의 개신교회에서, 주로 하느님에 의해 불려 하느님께 헌신하고, 전도자, 목사, 선교사 등 교회의 봉사자로서의 사명을 부여받는 것을 의미한다.(calling) 종교 개혁 이후의 개신교의 이해에서, 성직 외에 일반 직업에 하느님의 인도하심 안에서 천직으로 종사하는 것.(Vocation)
3. 1.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야훼가 각 개인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게 재능과 선물로 창조하셨다는 믿음이 소명 개념의 중심에 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1]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이 소명 개념은 특히 특정한 소명적 삶의 헌신을 통해 교회와 인류에 봉사하라는 신성한 부름과 연관되어 있다. 더 넓은 의미에서, 기독교적 소명은 직업, 가정 생활, 교회 및 시민적 헌신에서 자신의 재능을 사용하여 공동선(共同善)을 위해 기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모두에서, 부제와 사제가 되려는 후보자는 교회에서 이 직무로 부름을 받았다고 일컬어진다. 이 용어는 또한 봉헌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사용된다.
3. 2. 개신교
개신교에서 소명은 특정 목사를 임명하기 위해 교회가 초청하는 것을 의미하며, 1560년부터 사용된 기록이 있다.[13] 복음주의에서는 하나님 앞에서 신중한 목적 의식을 갖는 것이 목회 사역을 추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되며, '소명' 또는 '부르심'이라고 불린다. 야훼가 각 개인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도록 재능과 선물을 부여하여 창조하였다는 믿음이 소명 개념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3. 3.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부름을 "교회의 의무, 지위 또는 책임으로, 신권 지도자가 회원에게 부여하는 것... [봉사]할 기회"라고 설명한다.[14] 교회는 평신도 성직자 제도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회원은 부름 수행에 대해 어떠한 보상도 받지 않는다.[15] 저명한 교회 지도자 J. 루번 클라크는 "주님을 섬기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디에서 섬기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섬기는가이다. [교회]에서 사람은 적절하게 부름받은 자리에 있으며, 그 자리를 구하거나 거절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16] 봉사를 시작하기 전에, 그 사람은 해당 부름에 대해 교회 회원들에게 지지 투표를 받는다.[17] 그 후, 그 사람은 안수를 통해 그 부름에서 봉사하도록 성임된다.[1]
4. 성서에서의 소명
야훼가 각 개인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게 재능과 선물로 창조하셨다는 믿음이 소명 개념의 중심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1]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이 소명 개념은 특히 특정한 소명적 삶의 헌신을 통해 교회와 인류에 봉사하라는 신성한 부름과 연관되어 있다. 더 넓은 의미에서, 기독교적 소명은 직업, 가정 생활, 교회 및 시민적 헌신에서 자신의 재능을 사용하여 공동선(共同善)을 위해 기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신교에서 신부가 됨으로써 삶을 하느님께 헌신하라는 하느님의 부르심은 종종 영어식 표현인 "소명"으로 표현되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여전히 "성소"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소명"이라는 단어의 두 가지 의미는 고린도전서 7:20에서 사용되었으며, 사도 바울은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처신하라"라고 말한다.[11]
- 구약성서에서 중요한 소명은 이스라엘(민족)의 소명이다. 이스라엘은 이집트에서 부름받았으며, 주의 이름으로 불리는 존재, 주의 소유된 백성이다. 이스라엘의 소명은 주와의 언약 관계이다.
- 구약성서의 인물 아브라함, 모세, 사무엘, 예레미야, 이사야에게도 소명의 사건이 있다.
- 신약성서에서의 소명은 예수 그리스도의 소명이다.
- 신약성서에서, 부름받은 백성의 사명과 과제의 관계에서, 사도직과 같은 특별한 직무에 대한 소명이 있다.
4. 1. 구약성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다.[31] 개신교에서 신부가 됨으로써 삶을 하느님께 헌신하라는 하느님의 부르심은 종종 영어식 표현인 "소명"으로 표현되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여전히 "성소"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소명"이라는 단어의 두 가지 의미는 고린도전서 7:20에서 사용되었으며, 사도 바울은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처신하라"라고 말한다.[11]구약성서에서 중요한 소명은 이스라엘(민족)의 소명이다. 이스라엘은 이집트에서 부름받았으며, 주의 이름으로 불리는 존재, 주의 소유된 백성이다. 이스라엘의 소명은 주와의 언약 관계이다. 구약성서의 인물 아브라함, 모세, 사무엘, 예레미야, 이사야에게도 소명의 사건이 있다.
4. 2. 신약성서
소명 개념의 중심에는 야훼가 각 개인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도록 재능과 선물로 창조하셨다는 믿음이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1] 개신교에서 신부가 됨으로써 삶을 하느님께 헌신하라는 하느님의 부르심은 종종 영어식 표현으로 "소명"으로 표현되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여전히 "성소"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소명"이라는 단어의 두 가지 의미는 고린도전서 7:20에서 사용되었으며, 사도 바울은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처신하라"라고 말한다.[11]신약성서에서의 소명은 예수 그리스도의 소명이다. 부름받은 백성의 사명과 과제의 관계에서, 사도직과 같은 특별한 직무에 대한 소명이 있다.
5. 기독교 교리에서의 소명
야훼가 각 개인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게 재능과 선물로 창조하셨다는 믿음이 소명 개념의 중심에 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1]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이 소명 개념은 특히 특정한 소명적 삶의 헌신을 통해 교회와 인류에 봉사하라는 신성한 부름과 연관되어 있다. 더 넓은 의미에서, 기독교적 소명은 직업, 가정 생활, 교회 및 시민적 헌신에서 자신의 재능을 사용하여 공동선(共同善)을 위해 기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신교에서 신부가 됨으로써 삶을 하느님께 헌신하라는 하느님의 부르심은 종종 영어식 표현인 "소명"으로 표현되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여전히 "성소"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소명"이라는 단어의 두 가지 의미는 고린도전서 7:20에서 사용되었으며, 사도 바울은 "각 사람은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처신하라"라고 말한다.[11]
교리적인 측면에서 소명은 구원론의 구원의 질서에서 첫 번째 위치를 차지하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이다. 이 소명은 외적 소명(보편적 소명)과 내적 소명(유효 소명)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외적 소명은 시대, 민족, 계급 등에 제한되지 않고, 차별 없이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를 통한 복음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제공을 의미한다. 내적 소명은 외적 소명이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도록 유효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신약성경의 소명은 대부분 내적 소명과 관련이 있다.
전 목사 야마키 마사하루는 지적 장애가 있는 의붓 동생을 양육하면서 "부모님, 특히 아내의 어머니는 앞으로 우리들의 고생을 예상하고 망설이는 말을 여러 번 했습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망설임이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하나님으로부터의 소명이었기 때문입니다."[22]라고 기독교인으로서 의연하게 말했다.
5. 1. 외적 소명과 내적 소명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1]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이 소명 개념은 특히 특정한 소명적 삶의 헌신을 통해 교회와 인류에 봉사하라는 신성한 부름과 연관되어 있다. 더 넓은 의미에서, 기독교적 소명은 직업, 가정 생활, 교회 및 시민적 헌신에서 자신의 재능을 사용하여 공동선(共同善)을 위해 기여하는 것을 포함한다.교리적인 측면에서 소명은 구원론의 구원의 질서에서 첫 번째 위치를 차지하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이다. 이 소명은 외적 소명(보편적 소명)과 내적 소명(유효 소명)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외적 소명은 시대, 민족, 계급 등에 제한되지 않고, 차별 없이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를 통한 복음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제공을 의미한다. 내적 소명은 외적 소명이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도록 유효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신약성경의 소명은 대부분 내적 소명과 관련이 있다.
전 목사 야마키 마사하루는 지적 장애가 있는 의붓 동생을 양육하면서 "부모님, 특히 아내의 어머니는 앞으로 우리들의 고생을 예상하고 망설이는 말을 여러 번 했습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망설임이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하나님으로부터의 소명이었기 때문입니다."[22]라고 기독교인으로서 의연하게 말했다.
6. 윤리적 관점에서의 소명
야훼가 각 개인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게 재능과 선물로 창조하셨다는 믿음이 소명 개념의 중심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1]
윤리적인 관점에서 소명은 직업 윤리와 관련이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직업이 성직과 속직으로 이원적으로 구분되어 성직자만이 소명(vocatio)으로 여겨졌다. 루터와 같은 종교 개혁자들은 직업에서의 성직과 속직의 구분을 부정하고 모든 직업에 소명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종교 개혁자들은 고린도전서 7장 20절에 있는 그리스어 "클레시스(召命)"를 "직업"과 동일시했다.
6. 1. 중세와 종교 개혁
소명(vocation)이라는 개념은 초기 기독교부터 성직 후보자들에게 적용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이후 이 용어는 은자, 출가자, 수녀의 관조적인 생활을 통해 신앙을 더욱 엄격하게 준수하려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기 시작했다.[24]16세기 이전에는 우선적으로 야훼가 인간에게 내리는 '부름'을 의미했는데,[25] 특히 불가타에서 인류 전체에 대한 구원으로의 '부르심'이나, 성직 또는 종교 생활로의 '부르심'을 지칭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결혼, 종교적 삶, 그리고 성직 생활을 '소명'이 적용되는 주요 세 영역으로 인정했다.[26] 마르틴 루터는 장 칼뱅을 따라 이 개념을 확장하여 대부분의 세속적 직업도 소명에 포함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27][28]
루터는 각 개인이 일상 생활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소명을 따라야 한다고 가르쳤다. 루터교에서 소명에 대한 개념은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나 자신의 일용할 양식을 얻기 위한 노동 이상의 강조는 없었다. 칼뱅주의는 부르심에 대한 개념을 끊임없는 근면성실함과 연결지었다.
칼뱅은 "기독교인의 소명" 역할을 정의하였는데, 남성들의 삶의 영역에 특별히 주어진 직업적 소명으로 한정했다. 칼뱅주의자들은 야훼를 섬기는 일반적 소명과 자신의 유용성을 결정하는 특정 직업을 구분하였다.[29] 칼뱅주의는 예정, 불가항력적 은혜, 택정 등의 개념들과 함께 소명을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는 등 개념을 구체화하였다.[30] 극단적 칼뱅주의는 회개와 믿음으로의 "보편적 소명"이라는 개념을 거부하였다.
윤리적인 관점에서 소명은 직업 윤리와 관련이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직업이 성직과 속직으로 이원적으로 구분되어 성직자만이 소명(vocatio)으로 여겨졌다. 루터와 같은 종교 개혁자들은 직업에서의 성직과 속직의 구분을 부정하고 모든 직업에 소명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종교 개혁자들은 고린도전서 7장 20절에 있는 그리스어 "클레시스(召命)"를 "직업"과 동일시했다.
7. 현대적 관점
야훼가 각 개인을 특정한 목적과 삶의 방식에 맞게 재능과 선물로 창조하셨다는 믿음이 소명 개념의 중심에 있다.[31] 가톨릭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이고 선천적인 소명"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1]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에서 이 소명 개념은 특히 특정한 소명적 삶의 헌신을 통해 교회와 인류에 봉사하라는 신성한 부름과 연관되어 있다. 기독교적 소명은 직업, 가정 생활, 교회 및 시민적 헌신에서 자신의 재능을 사용하여 공동선(共同善)을 위해 기여하는 것을 포함한다.[31]
1908년 엔지니어 프랭크 파슨스에 의해 진로 지도가 시작된 이래, "소명"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진화해 왔으며, 개인의 재능과 능력을 개발하여 직업을 선택하고 즐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8]
레랜드 라이켄은 하나님께서 특정한 직업에 부르시는 것을 복음의 부르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이는 직업적 충성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며, "직업에 대한 현대적 개념은 불충분해지고" "자신의 직업 선택의 임의성은 제거된다"고 말한다.[19]
교황 프란치스코는 사업을 "고귀한 소명"이라고 언급하며, 사업이 부와 번영을 창출하고 "우리의 세상을 개선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특히 "일자리 창출을 공동선에 대한 봉사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할 때" 더욱 그렇다고 강조했다.[20]
윤리적인 관점에서 소명은 직업 윤리와 관련이 있다. 중세 유럽에서는 직업이 성직과 속직으로 이원적으로 구분되어 성직자만이 소명(vocatio)으로 여겨졌다. 루터와 같은 종교 개혁자들은 직업에서의 성직과 속직의 구분을 부정하고 모든 직업에 소명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종교 개혁자들은 고린도전서 7장 20절에 있는 그리스어 "클레시스(召命)"를 "직업"과 동일시했다.
8. 한국 사회에서의 소명
8. 1. 더불어민주당과 소명
8. 2. 진보 진영과 소명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Latin and Greek Theological Terms: Drawn Principally from Protestant Scholastic Theology
Baker Book House Company
[2]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hrist's Faithful - Hierarchy, Laity, Consecrated Life
https://www.vatican.[...]
[3]
문서
OED, "Call", 6 "To nominate by a personal "call" or summons (to special service or office);''esp.'' by Divine authority..."
OED
[4]
간행물
Familiaris Consortio
https://www.vatican.[...]
1981-11-22
[5]
서적
Luther on Vocation
[6]
서적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7]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8]
서적
Abraham Calov's doctrine of vocatio in its systematic contex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9]
서적
A Christian at his Calling
[10]
서적
Past and Present
https://archive.org/[...]
Scribner, Welford
[11]
문서
King James Version
[12]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part 3, section 2, chapter 2, article 6
https://www.vatican.[...]
2023-03-11
[13]
문서
OED, "call", 6b
OED
[14]
웹사이트
Calling
http://mormon.org/mo[...]
2009-05-05
[15]
백과사전
Clergy
http://contentdm.lib[...]
Brigham Young University
2009-05-05
[16]
웹사이트
I'll Go Where You Want Me to Go
https://www.churchof[...]
2009-05-05
[17]
문서
Callings
https://eom.byu.edu/[...]
[18]
서적
Vocation: Discerning Our Callings in Life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
문서
Work and Leisure
[20]
문서
Laudato si
https://www.vatican.[...]
2024-01-28
[21]
웹사이트
召命-種々の道 カトリック召命チーム
http://c-v-team.com/[...]
[22]
문서
『さわやかな風のように』
キリスト新聞社
[23]
문서
OED, "Call", 6 "To nominate by a personal "call" or summons (to special service or office);''esp.'' by Divine authority..."
OED
[24]
웹인용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hrist's Faithful - Hierarchy, Laity, Consecrated Life
https://www.vatican.[...]
[25]
문서
OED, "Call", 6 "To nominate by a personal "call" or summons (to special service or office);''esp.'' by Divine authority..."
OED
[26]
간행물
Familiaris Consortio
https://www.vatican.[...]
1981-11-22
[27]
서적
Luther on Vocation
[28]
서적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9]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30]
서적
Abraham Calov's doctrine of vocatio in its systematic contex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31]
웹인용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part 3, section 2, chapter 2, article 6
https://www.vatican.[...]
2023-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