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코르스키 항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코르스키 항공은 이호르 시코르스키가 1923년에 설립한 미국의 헬리콥터 제조업체이다. 1929년 유나이티드 항공 운송 공사의 일부가 되었고, 1942년 세계 최초의 실용적인 헬리콥터인 시코르스키 R-4를 개발했다. UH-60 블랙 호크와 SH-60 시호크를 포함한 다양한 헬리콥터를 생산하며, 1957년부터 대통령 헬리콥터를 공급해 왔다. 2015년 록히드 마틴에 인수되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다양한 헬리콥터와 고정익 항공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3년 설립된 제조 기업 - 컨솔리데이티드 에어크래프트
컨솔리데이티드 에어크래프트는 1923년부터 1940년대까지 군용 및 민간 항공기를 제작했으며, B-24 리버레이터, PBY 카탈리나 등의 대표 기종을 생산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군용 항공기를 공급했다. - 1923년 설립된 제조 기업 - 베가 (기업)
1923년 독일에서 설립되어 1975년 소니에 인수된 베가는 소니의 TV 브랜드로 유럽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나, LCD TV 시장 전환에 늦어져 BRAVIA 브랜드 런칭 후 점차 사라졌다. - 코네티컷주의 기업 - 바비리스
바비리스는 1959년 미국에서 설립되어 코네어에 인수된 헤어 스타일링 기기 브랜드로, 헤어 드라이어, 고데기, 컬링 아이언 등 전문적인 기기를 생산하며 자동 컬링 아이론을 최초로 개발하는 등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주목받았으나, 대표의 탈세 혐의나 전문 액체 사업부 매각 등의 이슈도 있었다. - 코네티컷주의 기업 - 오티스 엘리베이터
오티스 엘리베이터는 엘리샤 오티스가 1853년에 설립한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제조, 설치, 유지보수 기업으로, 안전 엘리베이터 발명과 세계적인 건축물 엘리베이터 설치를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대한민국에는 1910년 진출하여 LG산전과의 협력으로 한국 시장에 자리 잡았다. - 미국의 항공기 제작사 - 보잉
보잉은 1916년 설립되어 민간 및 군용 항공기, 우주선, 미사일 등을 설계, 제작, 유지보수하는 미국의 다국적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체이지만, 안전 문제와 정치적 영향력, 환경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미국의 항공기 제작사 - 세스나
세스나는 1927년 클라이드 세스나가 설립한 미국의 경비행기 및 비즈니스 제트기 제조 회사로, 한때 일반 항공기 제조 "빅3"로 불렸으나 제조물책임법 논란으로 생산을 중단했다가 1994년 생산을 재개하여 현재 텍스트론 에비에이션의 자회사로서 다양한 기종을 생산하고 있다.
시코르스키 항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시코르스키 |
![]() | |
형태 | 자회사 |
설립일 | 1923년 |
설립자 | 이고리 시코르스키 |
위치 | 미국코네티컷주스트랫퍼드 |
산업 | 항공 방위산업 |
제품 | 헬리콥터, 기타 항공기 |
직원 수 | 15,975명 (2014년 기준) |
모회사 | 유나이티드 항공기 및 수송 회사(1929-1934) 유나이티드 항공기 회사 (1934-1974)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1975-2015) 록히드 마틴 (2015-) |
자회사 | 슈바이저 항공기 (2012년 폐쇄) PZL 미엘레츠 (현재 록히드 마틴 자회사) |
웹사이트 | sikorsky.com |
주요 인물 | |
사장 | 폴 렘모 |
사업부 | |
사업부 이름 | 시코르스키 개발 비행 센터 |
사업부 위치 | 미국플로리다주웨스트팜비치 |
사업부 설립 | 1977년 |
2. 역사
우크라이나 키이우 출신 이민자인 이호르 시코르스키는 1923년 3월 5일 뉴욕주 루즈벨트 비행장 근처에 '''시코르스키 항공 엔지니어링 공사'''를 설립했다.[5][6] 회사명은 1925년 '''시코르스키 제조 회사'''로 변경되었고,[7] 시코르스키 S-38 비행정의 성공 이후 자본을 확보하여 '''시코르스키 항공 공사'''로 개편, 1929년 코네티컷주 스트랫퍼드로 이전했다. 같은 해 유나이티드 항공 운송 공사(이후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공사, UTC)의 일부가 되었다.[8][9]
초기에는 다발 엔진 항공기와 수륙양용기 개발에 주력했으나, 1930년대 후반 판매 부진으로 보우트 항공기와 합병된 후 실용적인 헬리콥터 개발로 방향을 전환했다. VS-300 시험 비행을 거쳐 1942년, 세계 최초로 안정적인 단일 로터 방식의 완전 제어 가능한 헬리콥터인 시코르스키 R-4를 개발하여 양산에 성공했으며, 이는 현대 헬리콥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다.
이후 시코르스키 항공은 UH-60 블랙 호크, SH-60 시호크 등 성공적인 군용 및 민간용 헬리콥터를 다수 개발하며 세계적인 헬리콥터 제조사로 자리매김했다. 1957년부터는 미국 대통령 전용 헬리콥터인 Marine One을 공급해왔다.
UTC 산하에서 사업을 확장하며 Helicopter Support Inc.(HSI, 1998년 인수),[10][11] 소형 헬기 및 항공기 제작사 Schweizer Aircraft Corp.(2004년 인수),[12] 폴란드의 항공기 제조사 PZL Mielec(2007년 인수)[14][15] 등을 인수하며 사업 영역을 넓혔다. 그러나 2015년 11월, UTC는 시코르스키 항공을 록히드 마틴에 매각했다.[28]
시코르스키 항공은 2023년에 창립 100주년을 맞이했다.[20][21][22]
2. 1. 설립 초기 (1923년 ~ 1939년)

1923년 3월 5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민 온 이호르 시코르스키에 의해 뉴욕주 루즈벨트 비행장 근처에 '''시코르스키 항공 엔지니어링 공사'''가 설립되었다.[5][6] 1925년에는 회사명을 '''시코르스키 제조 회사'''로 변경했다.[7]
시코르스키 S-38 비행정의 성공에 힘입어 회사는 500만달러의 자본을 확보하고 '''시코르스키 항공 공사'''로 개편되었다. 이를 통해 코네티컷주 스트랫퍼드에 현대적인 항공기 공장을 건설하고 부지를 매입할 수 있었다. 1929년, 회사는 스트랫퍼드로 이전했으며, 같은 해 7월 유나이티드 항공 운송 공사(이후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공사, UTC)의 일부가 되었다.[8][9]
미국에서 이호르 시코르스키는 초기에 다발 엔진 육상기 개발에 집중했으며, 이후에는 수륙양용 항공기를 개발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들어 판매량이 감소하자, 유나이티드 항공은 시코르스키 부서를 보우트 항공기와 합병했다. 합병 이후 시코르스키는 실용적인 헬리콥터 개발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2. 2. 헬리콥터 개발 (1939년 ~ 1950년대)
미국에서 이호르 시코르스키는 처음에는 다발 엔진 육상기 개발에 집중했고, 이후에는 수륙양용 항공기를 개발했다. 1930년대 후반, 판매량이 감소하여 유나이티드 항공은 그의 부서를 보우트 항공기와 합병했다. 이후 그는 실용적인 헬리콥터 개발에 착수했다. 그는 처음으로 VS-300을 비행한 후, 1942년에 최초의 안정적이고, 단일 로터, 완전 제어 가능한 헬리콥터인 시코르스키 R-4를 개발하여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갔으며, 이후 대부분의 헬리콥터는 이를 기반으로 했다.1950년대까지 개발된 주요 초기 헬리콥터는 다음과 같다.
- '''S-51''': H-5라고도 불리는 초기 헬리콥터이다. 일본에서는 해상자위대가 1953년(쇼와 28년)부터 1961년(쇼와 36년)까지 사용했다.
- '''S-55''': S-51을 발전시킨 기종이다. 수송 헬리콥터로 군용, 민간용 모두 세계 각국에서 채용되어, 헬리콥터의 실용성을 실증한 파이오니어적인 존재이다. 전 세계에서 1,828대가 제조되었다. 토마스와 친구들의 헬리콥터인 해럴드의 모델이 된 헬리콥터이기도 하다.
- '''S-58''': S-55의 기체를 대형화하고, 엔진 출력도 증대하여 실용성을 높인 기체이다. 1954년에 초도 비행했으며, 전 세계에서 2,261대가 제조되었다.
2. 3. 헬리콥터 생산 확대 (1950년대 ~ 2015년)
시코르스키 R-4의 성공적인 개발 이후, 시코르스키 항공은 세계적인 헬리콥터 제조업체로 발돋움했다. 특히 1950년대부터 2015년 록히드 마틴에 인수되기 전까지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 공사(UTC) 산하에서 다양한 군용 및 민간용 헬리콥터를 개발하고 생산하며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이 시기 시코르스키는 UH-60 블랙 호크 및 SH-60 시호크와 같은 상징적인 모델들을 선보였으며, 시코르스키 S-72와 같은 실험적인 기체 개발에도 힘썼다.1957년부터는 미국 대통령 전용 헬리콥터인 Marine One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VH-3 시킹과 VH-60N 화이트호크 등이 이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헬리콥터 모델 개발 (1950년대 이후)
- '''S-51 (H-5)''': 초기 헬리콥터 모델 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해상자위대가 1953년부터 1961년까지 운용했다.
- '''S-55''': S-51을 발전시킨 수송 헬리콥터로, 군용과 민간용 양쪽에서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헬리콥터의 실용성을 널리 알린 선구적인 기종이다. 총 1,828대가 생산되었으며, 영국 애니메이션 토마스와 친구들의 헬리콥터 캐릭터 '해럴드'의 모델이기도 하다.
- '''S-58''': S-55의 기체를 대형화하고 엔진 출력을 증대시켜 실용성을 더욱 높인 모델이다. 1954년 첫 비행 이후 총 2,261대가 생산되었다.
- -
- '''S-61 (SH-3 시킹)''': 미국 해군의 요구로 개발된 쌍발 터빈 엔진 헬리콥터로, 주로 해상 구조 및 대잠 초계 임무에 투입되었다. 일본 해상자위대에서도 'HSS-2'라는 제식명으로 채용하여 미쓰비시 중공업이 라이선스 생산했다.
- -
- '''S-61R''': S-61의 파생형으로, 동체 후미에 로딩 램프를 설치하여 수송 능력을 강화했다. 미국 공군에서 CH-3C/E 시킹 및 HH-3E 졸리 그린 자이언트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 '''S-62''': S-55의 주요 부품을 활용하면서 터보샤프트 엔진을 탑재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모델이다. 터빈 엔진의 우수성을 보여주며 헬리콥터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일본 항공자위대가 구조 헬리콥터로 도입하여 1961년부터 1970년까지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25대를 생산(이 중 7대는 민간용)했다. 특히 뛰어난 상승 성능을 바탕으로 후지산 정상 레이더의 레이다 돔을 공수하는 작업에 투입되어 주목받았다. 항공자위대에서는 1963년부터 1982년까지 운용했다.
- '''S-64 스카이크레인 (CH-54 타르헤)''': '하늘의 크레인'이라는 별명을 가진 독특한 외형의 대형 헬리콥터이다. 주로 중량 화물 외부 인양 및 공중 소방 임무에 특화되어 있다. 미군에서는 CH-54 타르헤로 운용했다. 1962년 첫 비행 이후에도 개량이 계속되었으며, 1992년 미국의 에릭슨 에어크레인 사가 형식 증명과 제조권을 인수하여 현재는 해당 회사에서 생산 및 운용하고 있다.
- -
- '''S-65 (H-53 계열)''': 미군에서 H-53 계열로 운용하는 대형 수송 헬리콥터이다. 강력한 수송 능력을 바탕으로 병력 및 장비 수송, 기뢰 제거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된다. 일본 해상자위대에서는 개량형인 MH-53E 시 드래곤을 소해(기뢰 제거) 헬리콥터로 운용했다.
- -
- -
- '''S-69''': 2중 반전식 로터와 별도의 추진용 제트 엔진을 장착한 고속 실험기이다. 헬리콥터의 고속 비행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최고 속도 518km/h를 기록했다. 1973년 7월 첫 비행에 성공했다.
- '''S-70 (H-60 계열)''': 시코르스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모델 중 하나로 평가받는 중형 다목적 헬리콥터이다. 미국 육군의 UH-60 블랙 호크를 시작으로, 해군의 SH-60 시호크(대잠/대함), 공군의 HH-60 페이브 호크(탐색 구조), 해병대 및 대통령 전용기 VH-60N 화이트 호크 등 수많은 파생형이 개발되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육군을 포함한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기동 헬기이기도 하다. 일본의 각 자위대에서도 용도에 맞게 개량된 기종을 도입하여 미쓰비시 중공업이 라이선스 생산했다.
- -
- '''S-76''': 유선형의 미려한 동체 디자인이 특징인 민간용 중형 헬리콥터이다. 기업 임원 수송, 해상 유전 지원, 응급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초기 모델부터 이어진 기본적인 외형은 유지하면서 엔진 등 내부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개량되었다. 현행 모델은 S-76D이다. 일본에서는 해상보안청이 순시선 탑재 및 항공 기지 운용 헬리콥터로 사용했으며, 민간 항공사인 아사히 항공 등에서도 운용했다.
- '''S-92''': S-70과 S-76의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민간용 대형 헬리콥터로, 여러 국가 기업들이 참여한 국제 공동 개발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일본의 미쓰비시 중공업도 개발에 참여하여 동체 캐빈 등의 제작을 담당했다. 일본 경시청에서 운용하기도 했으나, 2019년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침수 피해로 해당 기체는 등록 말소되었다. 2023년부터는 VH-92 페트리엇이라는 제식명으로 개량되어 미국 해병대가 운용하는 새로운 미국 대통령 전용기로 임무를 시작했다.
사업 확장 및 변화
시코르스키는 헬리콥터 생산과 더불어 관련 사업 확장에도 적극적이었다. 1998년에는 시코르스키 헬리콥터의 부품 공급 및 정비 지원을 담당하는 Helicopter Support Inc.(HSI)를 인수하여 애프터마켓 서비스를 강화했다.[10][11]
2004년에는 소형 헬리콥터, 무인 항공기(UAV), 글라이더 등을 생산하던 Schweizer Aircraft Corp.를 인수했다.[12] 이를 통해 시코르스키는 기존의 중대형 헬리콥터 중심 라인업을 소형 기종까지 확장하며 상호 보완적인 제품군을 갖추게 되었다. 2005년에는 펜실베이니아주 코츠빌에 위치한 Keystone Helicopter Corporation을 인수하여 S-76 및 S-92 헬리콥터의 최종 조립 및 정비 역량을 확보했다.
2007년에는 뉴욕주 빅 플랫의 엘미라-코닝 지역 공항 인근에 신속한 프로토타입 제작 및 군용 파생형 개조를 위한 Hawk Works 센터를 열었으나,[13] 운영 효율화 과정에서 2011년과 201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인력을 감축하고 시설을 폐쇄했으며, 관련 작업은 다른 시설로 이전되었다.[17] 같은 해인 2007년, 시코르스키는 폴란드의 항공기 제조사인 PZL Mielec을 인수하여 국제 시장을 겨냥한 S-70i 블랙 호크 모델의 생산 기지로 활용하기 시작했다.[14][15]
2009년에는 민수 시장 공략 강화를 위해 상업용 헬리콥터의 개발, 생산, 마케팅을 전담하는 '시코르스키 글로벌 헬리콥터(Sikorsky Global Helicopters)' 사업부를 신설했다.[16] 이 사업부는 기존 시코르스키의 민간용 모델과 Schweizer Aircraft에서 인수한 헬리콥터 사업을 통합하여 운영했다.[16]
시코르스키의 주요 공장과 행정 사무소는 코네티컷주 스트랫퍼드에 위치해 있으며, 대규모 회사 소유의 개인 헬리포트도 있다.[18] 다른 시코르스키 시설은 코네티컷주 트럼불, 코네티컷주 쉘턴,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 (소규모 회사 헬리포트 포함);[19] 텍사스주 포트워스;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 앨라배마주 헌츠빌 및 앨라배마주 트로이에 있다. 시코르스키 소유의 자회사는 텍사스주 그랜드프레리 및 전 세계 다른 곳에 있다.
2. 4. 록히드 마틴 인수 (2015년 ~ 현재)
2015년,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UTC)는 시코르스키 항공이 다른 자회사보다 수익성이 낮다고 판단하여, 세금 부담이 큰 매각 대신 기업 분사를 고려했다.[23][24][25]그러나 2015년 7월 20일, 록히드 마틴은 UTC로부터 시코르스키 항공을 90억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발표했다.[26] 이는 록히드 마틴이 1995년 마틴 마리에타를 100억달러에 인수한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인수였다. 이 거래는 8개의 다른 관할 구역에서 검토를 거쳤으며, 최종 승인은 2015년 11월에 이루어졌다.[27] 매각은 2015년 11월 6일에 완료되었다.[28]
3. 주요 제품
시코르스키 항공은 개발하는 제품 모델에 일반적으로 "S-숫자" 형식의 번호를 부여한다. 창업자 이고르 시코르스키가 러시아 제국 시절 설계한 S-1부터 S-27까지의 초기 모델들이 있으며[30], 미국으로 이주한 후 개발된 모델들도 이 명명 규칙을 따른다. 특히 헬리콥터는 군에서 채택하면서 사용 목적에 따라 UH(다목적), SH(해상작전), MH(특수작전), CH(수송) 등 별도의 제식 명칭을 부여받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S-29-A와 같은 고정익 항공기, 특히 S-38, S-42 "클리퍼", VS-44 "엑스칼리버" 등 비행정 개발에 주력했으나, VS-300의 성공 이후 헬리콥터 개발로 중심을 옮겼다. 시코르스키의 헬리콥터는 군용, 민간용, 실험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보잉과 공동 개발한 RAH-66 코만치나 사이퍼와 같은 무인 항공기 개발에도 참여했다.
각 항공기 유형별 상세 모델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헬리콥터
시코르스키 항공은 헬리콥터 개발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기업이다. 창업자 이고르 시코르스키는 러시아 제국 시절부터 항공기 개발에 참여했으며, 미국으로 이주한 후 1939년 VS-300을 개발하여 현대적인 단일 로터 헬리콥터의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 시코르스키는 개발하는 거의 모든 모델에 S-번호를 부여하는데, S-1부터 S-27까지는 이고르 시코르스키가 러시아를 떠나기 전에 설계한 항공기들이다. 이후 개발된 헬리콥터들은 군에서 사용 목적에 따라 UH(다목적), SH(해상작전), CH(수송), MH(특수작전) 등 다양한 제식 명칭을 부여받기도 했다.시코르스키는 군용, 민간용, 실험용 등 다양한 목적의 헬리콥터를 개발해왔다. 군용 분야에서는 세계 최초로 양산된 헬리콥터인 R-4(S-47)를 시작으로, UH-60 블랙호크 (S-70 계열)와 같이 현대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군용 헬리콥터를 개발하여 세계 여러 국가에 공급했다. 민간용 헬리콥터 분야에서도 S-76 스피릿과 S-92 등 성공적인 모델을 통해 여객 수송, 응급 의료, 자원 개발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S-64 스카이크레인과 같은 특수 목적 헬리콥터는 대형 화물 운반 및 산불 진화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시코르스키는 헬리콥터 기술의 발전을 위해 동축 반전 로터 기술을 시험한 S-69, 고속 비행을 목표로 한 X2 기술 실증기 등 다양한 실험용 항공기 개발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차세대 헬리콥터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각 분류별 주요 헬리콥터 모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 군용 헬리콥터
시코르스키는 개발하는 거의 모든 항공기에 S-번호를 부여한다. S-1부터 S-27까지는 창업자 이고르 시코르스키가 러시아 제국을 떠나기 전에 설계한 모델들이다. 이후 모델, 특히 헬리콥터는 군에서 사용 목적(예: UH, SH, MH)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으며, 약간의 개량만 이루어진 경우에도 다른 명칭이 부여되기도 했다. 때로는 항공기가 시코르스키나 다른 제조사로 반환되어 추가 개조를 거치면서 동일한 기본 모델 번호 내에서도 다양한 파생형이 생겨났다.- VS-300: 시코르스키 최초의 성공적인 헬리콥터이자 현대 헬리콥터의 기본 형태를 제시한 실험기.
- 시코르스키 S-47 (R-4): 세계 최초로 대량 생산된 헬리콥터 (1940).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전에 투입되었다.
- 시코르스키 S-48 (R-5/H-5): R-4보다 더 높은 적재량, 내구성, 속도, 상승고도를 갖도록 설계된 헬리콥터 (1943). 한국 전쟁 등에서 구조 및 연락 임무에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해상자위대가 1953년부터 1961년까지 운용했다.
- 시코르스키 S-49 (R-6): R-4를 기반으로 동체를 새롭게 설계하여 개선한 모델.
- 시코르스키 S-51: S-48(H-5)을 기반으로 개발된 민수용 헬리콥터이지만, 군에서도 H-5라는 제식명으로 운용되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상업용 인증을 받은 헬리콥터이다 (1946).
- 시코르스키 S-52 (H-18/HO5S): 모든 로터 블레이드를 금속으로 제작한 최초의 헬리콥터 중 하나 (1947).
- 시코르스키 S-55 (H-19 치카소): 승객 10명을 수송할 수 있는 다목적 헬리콥터 (1949). 엔진을 기수 상부에 배치하는 독특한 설계로 넓은 동체 공간을 확보했다. 군용 및 민간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헬리콥터의 실용성을 입증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1,800대 이상 생산되었다.
- 시코르스키 S-56 (H-37 모하비): 피스톤 엔진을 사용하는 쌍발 대형 수송 헬리콥터 (1953). 후퇴 가능한 랜딩 기어를 특징으로 한다.
- 시코르스키 S-58 (H-34 초크토): S-55를 대형화하고 엔진 출력을 증강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모델 (1954). 최대 18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으며, 대잠수함전(ASW) 임무 수행도 가능했다. VIP 수송용 버전도 제작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2,200대 이상 생산되었다.
- 시코르스키 S-59 (XH-39): S-52(H-18) 2대를 개조하여 터보샤프트 엔진을 시험한 실험기 (1953).
- 시코르스키 S-60: 화물 운반용 "플라잉 크레인(flying crane)" 개념을 시험하기 위해 제작된 시제기 (1959). 1961년 추락했다.
- 시코르스키 S-61 (SH-3 시킹): 미국 해군의 요구로 개발된 쌍발 터빈 엔진 헬리콥터 (1959). 주로 대잠수함전(ASW), 탐색 구조(SAR), 병력 수송 임무에 사용되었다. 선체 하부가 보트 형태로 설계되어 수상 착륙이 가능하다. 일본 해상자위대에서도 HSS-2라는 명칭으로 채용하여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했다.
- 시코르스키 S-61R: S-61을 기반으로 동체 후미에 화물 적재용 램프를 설치하는 등 수송 능력을 강화한 파생형 (1963). 미국 공군에서 CH-3, HH-3 "졸리 그린 자이언트(Jolly Green Giant)"라는 제식명으로 채용하여 주로 탐색 구조 임무에 투입되었다. 미국 해안경비대에서는 HH-3F 펠리컨으로 운용했다.
- 시코르스키 S-62 (HH-52 시가드): S-55의 구동 계통을 활용하면서 터보샤프트 엔진을 탑재하고 수륙양용 능력을 갖춘 헬리콥터 (1958). 주로 미국 해안경비대에서 탐색 구조용으로 운용했다. 일본 항공자위대에서도 구조 헬리콥터로 채용하여 1963년부터 1982년까지 운용했으며,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1961년부터 1970년까지 25대를 생산했다.
- 시콜스키 S-64 (CH-54 Tarhe): "스카이크레인(Skycrane)"이라는 별칭으로 유명한 대형 화물 운반용 헬리콥터 (1962). 동체 없이 크레인과 같은 구조로 설계되어 부피가 큰 화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데 특화되었다. 미 육군에서 CH-54 타르헤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으며, 벌목, 건설, 공중 소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1992년 에릭슨 에어크레인(Erickson Air-Crane)사가 형식 증명과 제조권을 인수하여 현재도 개량형이 생산되고 있다.
- 시코르스키 S-65 (CH-53 시 스탤리온): 미국 해병대의 요구로 개발된 중/대형 수송 헬리콥터 (1964). 강력한 엔진과 대형 동체를 바탕으로 병력 및 화물 수송 능력이 뛰어나다. 이후 다양한 개량형이 개발되었다. 일본 해상자위대에서는 개량형인 MH-53E 시 드래곤을 소해 헬리콥터로 운용하고 있다.
- 시코르스키 S-67 블랙호크: 미국 육군의 AH-56 샤이엔 계획 실패 후 자체적으로 개발한 공격 헬리콥터 시제기 (1970). (UH-60 블랙호크와는 다른 기종이다.)
- 시코르스키 S-69 (XH-59): 동축 반전 로터와 추진용 제트 엔진을 결합한 고속 실험 헬리콥터 (1973). 최고 속도 518 km/h를 기록했다.
- 시코르스키 S-70: 미국 육군의 UTTAS(Utility Tactical Transport Aircraft System) 계획에 따라 개발된 다목적 헬리콥터 (1974). 미군에서는 H-60 계열로 제식화되어 다양한 임무에 맞게 개량되었다.
- UH-60 블랙호크: 기본형인 병력/물자 수송 헬리콥터.
- SH-60 시호크: 미국 해군용 해상 작전 헬리콥터. 대잠/대함 작전, 탐색 구조 등 수행.
- HH-60 페이브호크: 미국 공군용 전투 탐색 구조 헬리콥터.
- VH-60N 화이트호크: 미국 대통령 전용 헬리콥터 '마린 원'으로 사용되는 VIP 수송기.
일본의 각 자위대에서도 UH-60J(공중/해상), SH-60J/K(해상) 등을 채용하여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하고 있다.
- 시코르스키 S-72: NASA와 미국 육군을 위해 개발된 로터 시스템 연구용 항공기 (1975). 헬리콥터 로터와 고정익 날개를 결합한 복합 항공기 개념을 시험했다.
- 시코르스키 S-75: 미국 육군의 ACAP(Advanced Composite Airframe Program)에 따라 개발된 복합재 동체 구조 개념 실증 헬리콥터 (1984).
- 시코르스키 S-76: 14인승 상업용 헬리콥터 (1977). 민간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용으로도 사용된다. 일본 해상보안청 등에서 운용 중이다.
- 시코르스키 S-80 (CH-53E 슈퍼 스탤리온, MH-53E 시 드래곤): S-65(CH-53)를 기반으로 엔진을 3개로 늘리고 동체를 확장하여 수송 능력을 대폭 향상시킨 대형 수송 헬리콥터 (1974). 미국 해병대(CH-53E)와 미국 해군(MH-53E)에서 운용 중이다.
- 시코르스키 S-92: S-70을 기반으로 개발된 중형 수송 헬리콥터 (1995). 민수용으로 개발되었으나 군용 파생형인 H-92 슈퍼호크와 캐나다군의 CH-148 사이클론 등이 있다. 2023년부터 미국 해병대에서 대통령 전용기인 VH-92 패트리엇으로 운용을 시작했다.
- 시코르스키 S-300C: 슈바이처 항공기(Schweizer Aircraft)를 인수한 후 생산하는 경량 헬리콥터. 주로 훈련용으로 사용된다.
- 시코르스키 S-333: S-300C 기반의 터빈 엔진 탑재형 경량 헬리콥터.
- 시코르스키 S-434: S-333의 개량형.
- 시코르스키 X2: 동축 반전 로터와 후미의 추진 프로펠러를 결합하여 고속 비행을 목표로 개발된 기술 실증기.
3. 1. 2. 민간용 헬리콥터
S-51은 H-5를 기반으로 개발된 민수용 헬리콥터로, 1946년에 등장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상업용 인증을 받은 헬리콥터이다.S-55는 1949년 첫 비행한 10인승 수송 헬리콥터이다. S-51을 발전시킨 모델로, 군용과 민간용 양쪽에서 널리 사용되며 헬리콥터의 실용성을 증명한 선구적인 기체로 평가받는다. 전 세계적으로 1,800대 이상 생산되었으며, 토마스와 친구들에 등장하는 캐릭터 '해럴드'의 모델이기도 하다.
S-58은 1954년 첫 비행했으며, S-55보다 동체를 키우고 엔진 출력을 높여 실용성을 향상시킨 18인승 헬리콥터이다. VIP 수송용 모델도 있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2,200대 이상 생산되었다.
S-61은 본래 미국 해군의 대잠 초계기 및 구조용 헬리콥터(SH-3 시킹)로 1959년 개발되었으나, 민간용 파생형도 존재하여 여객 수송 등에 사용되었다.
S-62는 1958년 첫 비행한 수륙양용 헬리콥터로, S-55의 부품을 활용하면서 터보샤프트 엔진을 탑재하여 성능을 개선했다. 주로 해안경비대(HH-52)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일본에서는 민간용으로도 일부 생산되었다.
S-64 스카이크레인은 '하늘의 크레인'이라는 별명을 가진 대형 화물 운반용 헬리콥터로 1962년 첫 비행했다. 미군에서는 CH-54 타르헤로 운용했으며, 독특한 구조를 이용하여 무거운 화물을 직접 매달아 공수하거나 산불 진화 작업 등에 특화되어 사용된다. 1992년 에릭슨 에어크레인 사가 형식 증명과 제조권을 인수하여 현재도 개량형이 생산 및 운용되고 있다.
S-70은 1974년 첫 비행한 UH-60 블랙호크와 SH-60 시호크의 기본 모델이다. 주로 군용으로 개발되었지만, 뛰어난 다목적 성능을 바탕으로 소방, 인명 구조, 물자 수송 등 민간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S-76 스피릿은 1977년 첫 비행한 14인승 상업용 헬리콥터이다. 유선형 디자인이 특징이며, 처음부터 민간 시장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기업 임원 수송, 석유 시추 플랫폼 인력 수송, 응급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현재는 S-76D 모델이 생산되고 있다.
S-92는 1995년 첫 비행한 중형 헬리콥터로, 미쓰비시 중공업 등 여러 국가 기업이 참여한 국제 공동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탄생했다. 민간 수송 시장을 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넓은 객실 공간과 향상된 안전성을 특징으로 한다. 군용 파생형(H-92 슈퍼호크, CH-148 사이클론) 및 미국 대통령 전용기(VH-92)로도 사용된다.
시코르스키는 슈바이처 에어크래프트를 인수한 후, S-300C, S-333, S-434 등 경량 헬리콥터 모델도 생산 라인업에 추가했다. 이 모델들은 주로 비행 훈련이나 개인용, 항공 촬영, 농업 지원 등 경량 작업에 사용된다.
3. 1. 3. 실험용 헬리콥터
시코르스키 항공은 헬리콥터 기술 발전을 위해 다양한 실험용 항공기를 개발해왔다. 이들 중 일부는 양산으로 이어지지 못했지만, 후속 모델 개발에 중요한 기술적 기반을 제공했다. 주요 실험용 헬리콥터는 다음과 같다.모델 | 명칭 | 개발 연도 | 최대 이륙 중량 | 비고 |
---|---|---|---|---|
S-46 | VS-300 | 1939 | 약 521.63kg | 미국 최초의 실용적인 단일 로터 헬리콥터 시제기. |
S-50 | 소형 헬리콥터 계획, 목업(mock-up)만 제작됨. | |||
S-53 | XHJS-1 | 1947 | 미국 해군용 유틸리티 헬리콥터 프로토타입 (2대 제작). | |
S-54 | 1948 | R-4B를 "세스키-탠덤(Sesqui-tandem)" 구성으로 개조한 실험기. | ||
S-59 | XH-39 | 1953 | 약 1524.52kg | H-18 2대를 터보샤프트 엔진으로 개조. 프로토타입 1대 포함. |
S-60 | Sikorsky S-60 | 1959 | 약 9525.43kg | CH-37 파생 "플라잉 크레인(flying crane)" 프로토타입, 1961년 추락. |
S-67 | 블랙호크(Blackhawk) | 1970 | 약 11009.59kg | 공격용 헬리콥터 프로토타입. 전작: S-66 AAFSS 경쟁 기종. |
S-68 | S-58T의 개조안, 제작되지 않음.[31] | |||
S-69 | XH-59A | 1973 | 약 5669.90kg | 동축 반전 로터와 보조 추진용 터보제트 엔진을 갖춘 복합 헬리콥터 실험기. |
S-71 | AAH | 미국 육군 첨단 공격 헬리콥터(Advanced Attack Helicopter) 프로그램 제안 기종. S-70 동력 계통 사용.[32][33][34] | ||
S-72 | RSRA | 1976 | 약 11814.71kg | NASA 및 미 육군 로터 시스템 연구용 항공기. X-윙 프로그램 시험 플랫폼으로 활용됨. |
S-73 | HLH | 약 53523.86kg | 미국 육군 중량물 수송 헬리콥터(Heavy Lift Helicopter) 프로그램 제안 기종. | |
S-75 | ACAP | 1984 | 약 3841.92kg | 첨단 복합재 동체 프로그램(Advanced Composite Airframe Program) 기술 실증기. 프로토타입 2대 제작. |
S-78 | 1975 (제안) | 약 7946.93kg (-20) 약 9070.48kg (-29) | S-70 기반의 20인승(-20) 및 29인승(-29) 상업용 모델 제안. 초기 명칭 S-70C. S-76 이후 재검토되었으나 제작되지 않음.[35] | |
Firefly | 2010 (공개) | S-300C 기반 전기 동력 기술 시연기. | ||
X2 | 2008 | 약 2721.55kg | 동축 반전 로터와 후방 추진 프로펠러를 결합한 고속 복합 헬리콥터 기술 시연기. | |
RAH-66 코만치 | 코만치(Comanche) | (1991-2004) | 보잉과 공동 개발한 스텔스 정찰/공격 헬리콥터 시제기. 예산 문제로 프로그램 취소. | |
S-97 Raider | 레이더(Raider) | 2015 | 약 4989.51kg | X2 기술 기반 고속 복합 헬리콥터. 미국 육군 무장 항공 정찰(AAS) 프로그램 제안. |
S-100 (SB>1 Defiant) | 디파이언트(Defiant) | 2019 | 보잉과 공동 개발. X2 기술 기반 복합 헬리콥터. 미국 육군 미래 장거리 기동 항공기(FLRAA) 프로그램 경쟁 시제기. | |
S-102 (Raider X) | 레이더 X(Raider X) | 2023 | X2 기술 기반 복합 헬리콥터. 미국 육군 미래 공격 정찰 항공기(FARA) 프로그램 경쟁 시제기.[36] | |
S-103 (Defiant X) | 디파이언트 X(Defiant X) | SB>1 Defiant 기반의 FLRAA 프로그램 최종 제안 모델.[37] |
3. 2. 고정익 항공기
- 시코르스키 S-28: 4개의 엔진을 장착하고 32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복엽 여객기. 시코르스키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설계한 항공기 (1919)
- 시코르스키 S-29-A: 쌍발 엔진을 장착한 화물 복엽기. 미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시코르스키 항공기. 하워드 휴즈의 영화 '''지옥의 천사들'''에 등장 (1924)
- 시코르스키 S-30: 쌍발 엔진 복엽 여객기/우편기. 제작되지 않음 (1925)
- 시코르스키 S-31: 단발 엔진 복엽기 (1925)
- 시코르스키 S-32: 단발 엔진, 2인승 복엽기 (1926)
- S-33 "메신저": 단발 엔진 복엽기 (1925)
- 시코르스키 S-34: 쌍발 엔진 세스퀴플레인 비행정 시제기 (1927)
- 시코르스키 S-35: 3개의 엔진을 장착한 복엽 수송기 시제기 (1926)
- S-36 "암피비온": 8인승 쌍발 엔진 세스퀴플레인 비행정 (1927)
- S-37 "가디언": 8인승 쌍발 엔진 세스퀴플레인. 시코르스키가 설계한 마지막 육상 기반 고정익 항공기 (1927)
- 시코르스키 S-38: 8인승 쌍발 엔진 세스퀴플레인 비행정. 미국 해군에서는 PS 및 RS라는 제식명칭으로 사용 (1928–1933)
- 시코르스키 S-39: S-38을 기반으로 한 5인승 단발 엔진 비행정 (1929–1932)
- S-40 "플라잉 포레스트": 4개의 엔진을 장착하고 28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단엽 비행정 (1931)
- 시코르스키 S-41: 쌍발 엔진 단엽 비행정. S-38의 확장된 단엽기 버전. 미국 해군에서는 RS-1이라는 제식명칭으로 사용 (1931)
- 시코르스키 XP2S: 쌍발 엔진 정찰 비행정 시제기 (1932)
- 시코르스키 XSS: 미국 해군용 정찰 비행정 (1933)
- S-42 "클리퍼": 4개의 엔진을 장착한 비행정 (1934–1935)
- 시코르스키 XBLR-3: 폭격기 시제기. 시코르스키가 설계한 마지막 고정익 항공기 (1935-1936)
- S-43 "베이비 클리퍼": 쌍발 엔진 수륙양용 비행정. S-42의 축소된 쌍발 엔진 버전. 미국 육군에서는 OA-1, 미국 해군에서는 JRS-1이라는 제식명칭으로 사용 (1935–1937)
- VS-44 "엑스칼리버": 4개의 엔진을 장착한 비행정 (1937)
- 시코르스키 S-45: 6개의 엔진을 장착한 비행정. 팬 아메리칸 항공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제작되지 않음 (1938)
참조
[1]
웹사이트
Daniel C. Schultz · Lockheed Martin
https://web.archive.[...]
2016-03-10
[2]
뉴스
Sikorsky Aircraft's big impact on region
https://web.archive.[...]
2014-09-14
[3]
웹사이트
Sikorsky Development Flight Center
http://bomanite.com/[...]
2019-02-09
[4]
웹사이트
Surface Vehicles – Igor I Sikorsky Historical Archives
https://sikorskyarch[...]
[5]
웹사이트
About Sikorsky
https://web.archive.[...]
2009-06-05
[6]
서적
The Story of the Winged-S
Dodd, Mead & Company
[7]
서적
The Story of the Winged-S
Dodd, Mead & Company
[8]
문서
Spenser 1998
[9]
서적
The Story of the Winged-S
Dodd, Mead & Company
1952
[10]
문서
http://hsius.com/SAS[...]
[11]
웹사이트
Spare Parts
http://www.hsius.com[...]
2019-01-11
[12]
웹사이트
Sikorsky's Acquisition of Schweizer is Complete
https://web.archive.[...]
2008-03-18
[13]
웹사이트
Sikorsky opens HAWK WORKS™ completion center for military helicopters
http://www.globalsec[...]
2007-10-05
[14]
웹사이트
Sikorsky breathes new life into PZL Mielec
https://web.archive.[...]
2010-06-29
[15]
웹사이트
First S-70iTM Helicopter Fully Assembled at Sikorsky Facility in Poland
https://web.archive.[...]
2010-06-29
[16]
문서
Sikorsky Press Release
2009-02-23
[17]
뉴스
Sikorsky to close N.Y. plant, cut 570 jobs
http://www.ctpost.co[...]
2012-09-25
[18]
웹사이트
Sikorsky Heliport
http://www.airnav.co[...]
airnav.com
2002-08-13
[19]
웹사이트
Sikorsky Bridgeport Heliport
http://www.airnav.co[...]
airnav.com
2002-08-13
[20]
웹사이트
Sikorsky, A 100-year legacy of innovation
https://www.lockheed[...]
2024-01-22
[21]
Youtube
'#Sikorsky100: Our People'
https://www.youtube.[...]
2023-12-20
[22]
웹사이트
Sikorsky Celebrates 100th Anniversary by Highlighting its Enduring Support of Missions in Europe at Paris Air Show
https://news.lockhee[...]
2024-01-22
[23]
웹사이트
United Technologies To Explore Strategic Alternatives For Its Sikorsky Aircraft Business
https://web.archive.[...]
2015-11-03
[24]
웹사이트
UTC Weighs Sikorsky's Future
https://wayback.arch[...]
2014-01-27
[25]
뉴스
Sikorsky Not Profitable Enough For United Technologies
http://aviationweek.[...]
2015-03-12
[26]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to Acquire Sikorsky Aircraft and Conduct Strategic Review of IT and Technical Services Businesses
http://lockheedmarti[...]
2015-07-20
[27]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receives final regulatory approval needed to close Sikorsky acquisition| Vertical Magazine - The Pulse of the Helicopter Industry
http://www.verticalm[...]
2016-03-10
[28]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Completes Acquisition of Sikorsky Aircraft · Lockheed Martin
http://www.lockheedm[...]
2016-03-10
[29]
웹사이트
AHS Congratulates AeroVelo for Human Powered Helicopter First Flight
http://vtol.org/news[...]
2012-08-28
[30]
문서
Sikorsky Builds Marine Corps Heavy Lift
https://sikorskyarch[...]
[31]
웹사이트
S-68, Commercial Transport
http://www.sikorskya[...]
Sikorsky Archives
2013-06
[32]
웹사이트
Sikorsky History - Part 4
http://www.helis.com[...]
2016-03-10
[33]
웹사이트
American airplanes: Sikorsky
http://aerofiles.com[...]
Aerofiles.com
2009-04-26
[34]
웹사이트
Sikorsky S-71 profile for AAH
http://alanqua.devia[...]
2010-10-17
[35]
서적
Jane's All The World's Aircraft
Jane's Information Services
1976
[36]
웹사이트
Sikorsky Lifts the Army
https://sikorskyarch[...]
[37]
웹사이트
Sikorsky Lifts the Army
https://sikorskyarch[...]
[38]
웹사이트
Turbo-Train
http://sikorskyarchi[...]
2010-06-28
[39]
웹사이트
Gunboat
https://www.sikorsky[...]
2020-05-02
[40]
웹사이트
SIKORSKY PLANT LOCATIONS TIMELINE
http://www.sikorskya[...]
[41]
웹사이트
Sikorsky Product History "S-29A"
http://www.sikorskya[...]
[42]
웹사이트
About Sikorsky
http://www.sikorsky.[...]
2008-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