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사자는 학명 ''Panthera leo persica''로도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사자와 형태적, 유전적으로 유사하여 ''P. l. leo''에 포함되기도 한다. 몸집이 아프리카사자보다 작고, 수컷은 머리 쪽에만 갈기가 있으며, 배에 세로 주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에는 지중해, 발칸반도, 인도 북부 등 광범위하게 분포했으나, 현재는 인도 구자라트 주의 기르 숲과 주변 보호구역에만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생존을 위해 서식지 보존, 재도입 프로젝트, 유전적 다양성 확보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자 - 타이곤
    타이곤은 수컷 호랑이와 암컷 사자 사이의 잡종으로, 어미 사자의 얼룩무늬와 아비 호랑이의 줄무늬를 가지며 유전적 결함으로 짧은 수명을 갖는 경향이 있고, 사육 상태에서 주로 발견된다.
  • 사자 - 유럽사자
    유럽사자는 플라이스토세 판테라 포실리스에서 진화하여 남유럽과 서유럽 남서부에 서식했으나 과도한 사냥 등으로 유서 시대에 멸종되었고 고대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시대 검투 경기 등 문화적 흔적을 남긴 사자의 한 종류이다.
  • 구자라트주 - 구자라트어
    구자라트어는 인도 구자라트 주를 중심으로 약 6천만 명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로, 12세기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어휘를 가진, 인도 헌법 지정 언어이자 구자라트 주의 공용어이다.
  • 구자라트주 - 구자라트인
    구자라트인은 인도 서부 구자라트 주에 주로 거주하며 상업과 무역에 종사해 온 민족 집단으로, 다양한 종교와 카스트를 포용하는 문화 혼합주의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며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1826년 기재된 포유류 - 브라질투코투코
    몸길이 18~28cm, 꼬리 길이 6~9cm의 설치류인 브라질투코투코는 붉은 갈색 털과 짧은 털로 덮인 꼬리, 작고 둥근 귀, 튼튼한 앞발과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 1826년 기재된 포유류 - 히말라야타르
    히말라야타르는 양과 염소의 친척으로, 히말라야 산악 지대에 서식하며 험준한 지형에 적응했지만, 침입종으로 간주되거나 서식지 파괴와 수렵으로 개체수 감소 위협을 받는다.
아시아사자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기르 국립공원의 아시아사자 수컷
기르 국립공원의 아시아사자 수컷
새끼와 함께 있는 암컷
암컷과 새끼
상태멸종 위기
학명Panthera leo persica
아종아시아사자
분포
서식지기르 숲 국립공원 (인도 구자라트 주)
면적20,000 제곱킬로미터
개체수
추정 개체수674마리 (2020년)
개체수 추이증가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아목고양이아목
고양이과
아과표범아과
표범속
사자
명명
명명자Meyer, 1826
이명P. l. asiaticus (Brehm, 1829)
P. l. bengalensis (Bennett, 1829)
P. l. indica (Smee, 1833)
P. l. goojratensis (de Blainville, 1843)
보존 상태
IUCN멸종 위기 (EN)
인용Breitenmoser, U., Mallon, D.P., Ahmad Khan, J. & Driscoll, C. 2008. http://www.iucnredlist.org/apps/redlist/details/15952/0 Panthera leo ssp. persica. In: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0.1.
기타
다른 이름Indian Lion (영어)

2. 명칭 및 분류

1826년, 요한 N. 마이어는 페르시아(이란)에서 가져온 아시아사자 가죽을 바탕으로 ''Felis leo persicus''라는 학명을 제안했다.[2] 19세기에는 여러 동물학자들이 아시아 각지에서 발견된 사자 동물 표본들을 묘사하며 다양한 학명을 제안했지만, 이들은 현재 ''P. l. persica''의 동의어로 간주된다.[3]


  • 1829년 에드워드 터너 베넷은 런던 타워 동물원에 있던 사자를 ''Felis leo bengalensis''로 명명하고, '벵갈 사자' 그림을 묘사했다.[4]
  • 1833년 월터 스미는 구자라트에서 온 갈기가 없는 수사자 두 마리의 가죽을 런던 동물학회에 전시하며 ''Felis leo goojratensis''라는 학명을 제안했다.[5]
  • 1834년 윌리엄 자딘 경, 7대 준남작은 인도에서 온 사자를 ''Leo asiaticus''로 명명했다.[6]
  • 1843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레인빌은 아시아 사자 두개골을 바탕으로 ''Felis leo indicus''라는 학명을 제안했다.[7]


2017년, 아시아사자는 바바리 사자와의 형태학적, 유전적 유사성을 근거로 ''P. l. leo''에 포함되었다.[8][9]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여전히 ''P. l. persica'' 학명을 사용한다.[10][11][12][13][14][1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시아사자는 북아프리카 사자와 유전적으로 더 가까우며, 약 186,000~128,000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24][25] 아시아사자는 홀로세 동안 서유라시아와 중동에서 사자의 멸종으로 인해 유전자 흐름이 중단될 때까지 북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 사자와 연결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진화

사자는 최소 70만 년 전에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의 ''판테라 포실리스''(Panthera fossilis)로 진화했으며, 이 종은 나중에 약 50만 년 전에 현대 사자와는 별개의 종인 ''판테라 스펠라에아''(Panthera spelaea, 흔히 동굴사자로 알려짐)로 진화했다.[17]

현대 사자에 속하거나 속할 가능성이 있는 플라이스토세 화석은 요르단 아즈라크 분지의 쉬샨 습지(약 25만 년 전)[18], 이란 서부 자그로스산맥의 웨즈메 동굴(약 7만~1만 년 전)[19], 시리아의 나다우이예 아인 아스카르와 두아라 동굴[18] 등 중동의 여러 지역에서 보고되었다. 1976년에는 서벵골의 플라이스토세 퇴적물에서 사자 화석 유해가 보고되었다.[20] 스리랑카 바타돔바 동굴에서 발굴된 절치류 화석은 사자가 스리랑카에 후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서식했음을 나타내며, 이들은 약 39,000년 전에 멸종했을 수 있다.[21]

인도사자는 번식력이 낮으며, 유전적 다양성이 낮고 정자의 70-80%가 기형인 것도 낮은 번식력의 요인으로 보인다.

4. 형태적 특징

아시아사자는 아프리카사자보다 약간 작다. 수컷은 몸길이 약 190cm, 꼬리 길이 약 90cm, 몸무게 약 190kg이고, 암컷은 몸길이 약 165cm, 꼬리 길이 약 88cm, 몸무게 약 120kg이다.

털 색깔은 붉은 황갈색에서 모래색, 황갈색 회색까지 다양하며, 검은 반점이 섞여 있기도 하다. 특정 조명 아래에서는 은색 광택이 나타나기도 한다. 수컷은 머리 위쪽에만 적당한 갈기가 있으며, 귀가 항상 드러나 보인다. 뺨과 목의 갈기는 희미하며, 길이는 약 10cm 정도이다. 아시아사자의 두개골 중 약 절반은 분리된 눈확공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아프리카사자는 각 측면에 하나의 눈확구멍만 있다. 시상 능선은 더 강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눈확 뒤쪽 영역은 아프리카사자보다 짧다. 성체 수컷의 두개골 길이는 330mm에서 340mm이며, 암컷은 292mm에서 302mm이다.

아시아사자의 가장 눈에 띄는 형태적 특징은 배를 따라 이어진 세로 주름이다.[27] 꼬리 술은 아프리카사자보다 더 크다.

수컷의 어깨 높이는 최대 107cm에서 120cm이고, 암컷은 80cm에서 107cm이다.[28] 기르 숲의 두 마리 사자는 머리에서 몸까지 1.98m이고 꼬리 길이는 0.79m에서 0.89m이며 전체 길이는 2.82m에서 2.87m로 측정되었다. 기르 사자는 중앙 아프리카 사자와 크기가 비슷하며, 큰 아프리카 사자보다는 작다.[29] 성체 수컷 아시아사자는 평균 160.1kg의 무게가 나가며, 최대 190kg까지 나간다. 야생 암컷은 100kg에서 130kg이다.[30][31]

아시아사자(위)와 남아프리카사자(아래). 전자의 더 큰 꼬리 술, 머리에 덜 발달된 갈기, 눈에 띄는 복부의 피부 주름에 주목하라.


일반적으로 아시아사자는 덜 발달된 갈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아프리카사자와 다르다. 고대 그리스와 소아시아에 살았던 대부분 사자들의 갈기 또한 덜 발달되었고 배 아래, 옆구리 또는 자뼈까지 뻗지 않았다. 이러한 작은 갈기를 가진 사자들은 시리아, 아라비아 반도 및 이집트에서도 발견되었다.[33][34]

아프리카사자와 비교한 인도사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약간 작다.
  • 털 색깔이 옅다.
  • 털이 빽빽하다.
  • 수컷의 갈기도 거칠고 짧다.
  • 복부 피부에 길게 늘어진 주름이 있다.
  • 꼬리 털이 길다.

5. 분포 및 서식지

기르 숲의 서식지


인도에는 벵골호랑이도 분포하고 있지만, 사자는 나무가 듬성듬성 서 있는 장소에, 호랑이는 덤불이 무성한 장소에 서식하기 때문에 서로 만나는 경우는 없다.

과거 아시아사자는 이베리아 반도, 남부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발칸반도, 터키, 카프카스, 중동,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북부 등지에 서식했다. 발칸반도와 그리스에서는 기원후 100년경,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십자군 전쟁 때 사라졌다.[47] 터키에서는 1870년대 후반, 이라크에서도 멸종되었다. 이란에서는 1940년대까지 생존 기록이 있다.

계통지리학 분석 결과는 멸종된 바바리사자를 포함한 전 세계 서식지에서 수집된 사자의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 서열을 기반으로 하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사자가 모든 현대 사자보다 계통발생학적으로 기저에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 사자의 진화가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으며, 동아프리카남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뒷받침한다. 사자는 그곳에서 서아프리카, 북아프리카 동부, 아라비아 반도 주변을 거쳐 터키, 남유럽, 북인도로 마지막 20,000년 동안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사하라 사막, 콩고 우림, 동아프리카 지구대는 사자의 생물학적 분산에 자연적인 장벽이 된다.[22]

아시아사자는 동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 사자 그룹보다 북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사자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 두 그룹은 약 186,000–128,000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사자는 유전자 흐름이 홀로세 동안 서유라시아와 중동에서 사자의 멸종으로 인해 중단될 때까지 북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 사자와 연결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4][25]

현재는 인도의 구자라트 주 기르 숲 국립공원 및 보호구역과 그 주변 지역에만 생존해 있다. 1965년, 사우라슈트라의 기르 숲, 1412.1km2 면적이 아시아사자 보존을 위한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 보호구역과 주변 지역은 아시아사자를 지원하는 유일한 서식지이다.[39] 1965년 이후, 인적 활동이 허용되지 않는 258.71km2 면적의 국립공원이 설립되었다. 주변 보호구역에서는 말다리만이 가축을 방목할 권리를 가진다.[40]

사자는 기르와 기르나르의 두 산악 지대에 남아있는 숲 서식지에 서식하며, 이 지역은 구자라트에서 가장 큰 열대 및 아열대 건성 활엽수림, 가시 숲과 사바나 지역을 포함하며, 다양한 동식물에게 귀중한 서식지를 제공한다. 현재 아시아사자를 보호하기 위해 5개의 보호 구역이 존재한다: 기르 보호구역, 기르 국립공원, 파니아 보호구역, 미티얄라 보호구역, 기르나르 보호구역. 처음 세 곳의 보호 구역은 기르 보존 지역을 형성하며, 이 지역은 사자 개체군의 핵심 서식지인 1452km2 크기의 숲 지대이다. 나머지 두 보호구역인 미티얄라와 기르나르는 기르 보존 지역으로부터의 분산 거리에 있는 위성 지역을 보호한다. 인근 바르다 야생동물 보호구역에 사자를 위한 대체 서식지 역할을 할 추가 보호구역이 설립되고 있다.[39] 동쪽의 더 건조한 지역은 아카시아 가시 사바나로 덮여 있으며 연간 약 650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서쪽의 강수량은 연간 약 1000mm로 더 높다.[30]

2020년까지 최소 6개의 위성 개체군이 구자라트의 8개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보호 구역 네트워크 외부의 인간이 지배하는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44] 104마리가 해안 근처에 살고 있었다. 해안을 따라 사는 사자뿐만 아니라 해안과 기르 숲 사이의 사자들은 더 넓은 개별 영역을 가지고 있다.[45]

연도개체수수컷:암컷:어린 개체
1968177-
1974180-
197926176:100:85
198425288:100:64
199024982:100:67
199526594:100:71
2000327-
2005359-
201041197:162:152
2015523109:201:213


6. 생태 및 행동

아시아사자 수컷은 단독 생활을 하거나 최대 3마리의 수컷과 함께 느슨한 무리를 형성한다. 수컷 쌍은 함께 휴식을 취하고, 사냥하고, 먹이를 먹으며, 같은 장소에서 영역 표시 행동을 보인다.[59] 암컷은 최대 12마리의 다른 암컷과 함께 어울리며 새끼들과 함께 더 강력한 무리를 형성한다. 그들은 서로 큰 시체를 공유하지만 수컷과는 거의 공유하지 않는다. 암사자와 수사자는 일반적으로 짝짓기를 할 때만 며칠 동안 함께 지내지만, 함께 살거나 먹이를 먹는 경우는 드물다.[59][60]

무선 원격 측정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사자의 연간 행동 범위는 건기 및 우기 동안 144km2에서 230km2로 다양하다. 암컷의 행동 범위는 더 작으며 67km2에서 85km2 사이에서 다양하다.[61] 덥고 건조한 계절에는 먹이 종도 모여드는 무성한 초목과 그늘진 강가 서식지를 선호한다.[62][63] 수컷 연합은 하나 이상의 암컷 무리를 포함하는 행동 범위를 방어한다.[64] 그들은 함께 단일 사자보다 더 오랫동안 영역을 유지한다. 3~4마리의 개체로 구성된 연합의 수컷은 다른 수컷을 지배하는 한 수컷이 있는 두드러진 계층 구조를 보인다.[65]

기르 국립공원의 사자는 황혼형 동물이며 야행성으로, 얼룩사슴, 멧돼지 및 닐가이와 높은 시간적 중첩을 보인다.[66] 일반적으로 사자는 이용 가능 여부에 관계없이 190kg에서 550kg의 체중 범위 내에 있는 큰 먹이 종을 선호한다.[67] 소는 역사적으로 아시아 사자의 식단에서 기르 숲의 주요 구성 요소였다.

기르 국립공원 내에서 사자는 주로 치탈, 삼바 사슴, 닐가이, , 가축 물소를 잡아먹으며, 멧돼지를 덜 잡아먹는다.[61] 그들은 가장 흔하게 약 50kg 정도의 치탈을 잡아먹는다.[64] 여름에는 삼바 사슴이 언덕에서 내려올 때 삼바 사슴을 사냥한다. 야생 먹이 종이 없는 보호 구역 밖에서는 사자가 물소와 소를 사냥하며, 드물게 단봉낙타도 사냥한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물에서 100m 이내의 먹이를 사냥하고, 가까운 거리에서 먹이를 공격하며, 시체를 빽빽한 덮개로 끌고 간다.[61] 말다리 가축 사육사가 버린 죽은 가축을 먹기 위해 보호 구역 내의 특정 장소를 정기적으로 방문한다.[68] 건조하고 더운 달에는 캄레슈와르 댐 둑에서 머거 악어를 잡아먹기도 한다.[56]

1974년, 산림청은 야생 유제류 개체 수를 9,650마리로 추산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야생 유제류 개체 수는 1990년 31,490마리, 2010년 64,850마리로 꾸준히 증가했는데, 여기에는 치탈 52,490마리, 멧돼지 4,440마리, 삼바 4,000마리, 닐가이 2,890마리, 친카라 740마리, 네뿔영양 290마리가 포함되어 있다. 반대로, 가축 물소와 소의 개체 수는 재정착 이후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기르 보호 구역에서 가축이 직접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24,250마리였던 가축 개체 수는 1980년대 중반까지 12,500마리로 감소했지만, 2010년에는 23,440마리로 증가했다. 포식자와 먹이 군집의 변화에 따라 아시아 사자는 포식 패턴을 바꾸었다. 오늘날에는 보호 구역 내에서 가축 살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대신 대부분 주변 마을에서 발생한다. 약탈 기록에 따르면 2005년에서 2009년 사이에 기르 숲 안팎에서 사자가 연평균 2,023마리의 가축을 죽였으며, 위성 지역에서 696마리를 더 죽였다.[39] 우세한 수컷은 연합 파트너보다 약 47% 더 많은 양을 섭취한다. 연합이 클 때 파트너 간의 공격성이 증가하지만, 사냥감은 작다.[65]

7. 번식

아시아사자는 주로 10월과 11월 사이에 짝짓기를 한다.[69] 짝짓기는 3~6일 동안 지속되며, 이 기간 동안 보통 사냥을 하지 않고 물만 마신다. 임신 기간은 약 110일이다. 한 배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70]

출생 간격은 평균 24개월이며, 성체 수컷의 영아 살해 또는 질병 및 부상으로 인해 새끼가 죽는 경우는 예외이다. 새끼는 약 2세가 되면 독립한다. 준성체 수컷은 늦어도 3세가 되면 자신이 태어난 무리를 떠나 자신의 영역을 확보할 때까지 유목민이 된다.[60]

우세한 수컷은 연합 파트너보다 더 자주 짝짓기를 한다. 2012년 12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진행된 연구에서 암컷 3마리가 우세한 수컷을 선호하여 짝짓기 상대를 바꾸는 것이 관찰되었다.[65] 70건이 넘는 짝짓기 사건을 모니터링한 결과, 암컷은 자신의 생활 영역을 공유하는 여러 경쟁 무리의 수컷과 짝짓기를 했으며, 이러한 수컷들은 같은 새끼에게 관대했다. 암컷의 영역에 새로 진입한 수컷만이 낯선 새끼를 죽였다. 어린 암컷은 자신의 생활 영역 내 수컷과 주로 짝짓기를 했다. 나이든 암컷은 자신의 생활 영역 주변의 수컷을 선택했다.[71]

8. 생존 위협

아시아사자는 현재 단일 아집단으로 존재하여, 전염병이나 대규모 산불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사건으로 인해 멸종될 위험에 처해 있다.[1] 렌즈콩 등 콩과 작물, 망고 재배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스포츠 사냥, 밀렵, 우물에 빠져 익사하는 사고, 가축 공격에 대한 보복 살해 등이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1] 제한된 유전자풀로 인한 재앙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2018년에는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로 인해 약 25마리의 사자가 죽은 채 발견되기도 했다.[72][73]

최근에는 조직적인 밀렵 갱단이 벵골 호랑이 대신 구자라트 사자에게 관심을 돌리면서 밀렵 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자가 우물에 빠져 익사하는 사고도 여러 건 발생했다.[1]

9. 인간과의 관계

아시아사자는 인도와 중동 지역에서 인간과 오랜 역사를 함께 해왔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아시아사자의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보호구역 밖에서 서식하는 개체도 늘어났고, 이로 인해 지역 주민과의 갈등이 증가하기도 했다.

사자는 여러 문화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산스크리트어로 사자를 뜻하는 '싱하(siṃhaḥ)'는 시바의 이름이자 황도대의 사자자리를 의미한다.[95] 스리랑카의 이름인 '싱할라(Sinhala)'는 '사자의 거처'를 뜻하며,[96] 싱가포르의 이름은 말레이어로 사자를 뜻하는 '싱가(singa)'와 도시를 뜻하는 '푸라(pur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단어들은 산스크리트어 '싱하(siṃhaḥ)'와 요새화된 도시를 뜻하는 '푸르(pur)'에서 왔다.[95][97]

힌두 신화에서 반인반수 아바타르인 나라심하비슈누의 네 번째 화신이다.[98] 사자는 이란의 국가 상징이었으며, 사자와 태양은 사파비 왕조 시대부터 1979년까지 이란 국기에 사용되었다.[117] 코란의 알-무다시르에서는 부자들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부를 기부해야 한다는 무함마드의 가르침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비판하며, 그들의 태도를 사자(قَسْوَرَة|카스와라ar)에게 잡아먹히는 먹잇감의 반응에 비유하기도 한다.[111]

9. 1. 갈등

1990년대 중반 이후 아시아사자 개체 수가 증가하여 2015년에는 약 3분의 1이 보호구역 밖에 서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역 주민과 야생 동물 간의 갈등도 증가했다. 지역 주민들은 고전압 전기 울타리를 사용하여 농작물을 보호하지만, 일부는 사자를 두려워하여 가축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사자를 죽이기도 한다.[74] 2012년 7월에는 기르 국립공원 인근에서 사자가 사람을 공격하여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75]

9. 2. 문화

산스크리트어로 사자를 뜻하는 단어는 सिंह|siṃhaḥsa이며, 이는 시바의 이름이자 황도대의 ''사자자리''를 의미한다.[95] 스리랑카의 산스크리트어 이름은 '사자의 거처'를 뜻하는 싱할라(Sinhala)이다.[96] 싱가포르말레이어 단어 singa|싱가ms (사자)와 pura|푸라ms (도시)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이 단어들은 다시 산스크리트어 सिंह|siṃhaḥsa와 पुर|pursa(요새화된 도시)에서 유래되었다.[95][97]

힌두 신화에서 반인반수 아바타르인 나라심하비슈누의 네 번째 화신이다.[98]

사자는 이란의 국가 상징이었으며, 사자와 태양은 사파비 왕조 시대부터 1979년까지 이란 국기에 사용되었다.[117]

코란의 알-무다시르에서는 부자들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부를 기부해야 한다는 무함마드의 가르침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비판하며, 그들의 태도를 포식자에게 잡아먹히는 먹잇감의 반응인 "قَسْوَرَة(qaswarah)"(قَسْوَرَة|카스와라ar) (사자, 맹수, 사냥꾼을 의미)에 비유한다.[111]

10. 보존 노력

인도에서 아시아사자는 CITES 부속서 I에 포함되어 보호받고 있다.[38] 1950년대부터 인도 정부와 생물학자들은 아시아사자의 생식 건강과 전염병 예방을 위해 이전 서식지에 야생 개체군을 재건할 것을 권고했다.

1956년 우타르프라데시 주에 찬드라 프라바 야생동물 보호구역이 설립되었고, 1957년 야생 아시아사자 세 마리가 방사되었으나 1965년 11마리로 늘어난 후 모두 사라졌다.[77] 1990년대 초 아시아사자 재도입 프로젝트가 추진되어 마디아프라데시 주의 쿠노 야생동물 보호구역이 가장 유망한 장소로 평가되었으나, 구자라트 주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었다.[78] 2013년 인도 대법원은 구자라트 주에 기르 사자 일부를 마디아프라데시 주로 보내라고 명령했지만, 현재 쿠노로 사자를 옮기는 계획은 위기에 처해 있다.[80][81][82]

이란은 1977년 기르 사자를 아르잔 국립공원으로 이송하여 사자 개체수를 복원하려 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실패했다.[49][54] 그러나 2019년 테헤란 동물원은 영국더블린 동물원에서 아시아사자를 들여와 번식을 시도하고 있다.[85][86]

1990년대 후반까지 인도 동물원에서는 아프리카사자와의 무작위 교배로 유전적 오염이 발생했다.[87] DNA 지문 연구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개체를 식별하여 보존 번식 프로그램에 활용하고 있다.[89] 현재 인도에서는 순수 혈통의 아시아사자만 번식하고 있다. 1994년 유럽 멸종 위기 종 프로그램(EEP)이 시작되었고, 2005년까지 80마리의 아시아사자가 EEP에 포함되었다.[92]

일본의 요코하마 동물원 즈라시아는 개원 초기부터 아시아사자를 사육하여 번식에 성공했으며, 우에노 동물원노게야마 동물원에서도 사육하고 있다.[124]

10. 1. 국제 협약

''판테라 레오 페르시카''는 CITES 부속서 I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도에서 완전히 보호받고 있다.[38]

10. 2. 재도입 프로젝트

1950년대에 생물학자들은 인도 정부에 아시아사자의 생식 건강을 보장하고 전염병 발생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시아사자의 이전 서식지에 최소한 하나의 야생 개체군을 재건할 것을 권고했다. 1956년 인도 야생동물 위원회는 우타르프라데시 정부의 제안을 받아들여 찬드라 프라바 야생동물 보호구역을 새로운 재도입을 위한 보호구역으로 설립했다. 1957년, 수컷 1마리와 암컷 2마리의 야생 아시아사자가 보호구역에 방사되었고, 이 개체군은 1965년에 11마리로 늘어났으나 이후 모두 사라졌다.[77]

아시아사자 재도입 프로젝트는 1990년대 초 아시아사자를 재도입하기 위한 대체 서식지를 찾기 위해 추진되었다. 인도 야생동물 연구소의 생물학자들은 여러 잠재적 이주 장소를 평가했는데, 마디아프라데시 북부에 있는 팔푸르-쿠노 야생동물 보호구역이 가장 유망한 장소로 평가되었고, 그 뒤를 이어 시타 마타 야생동물 보호구역과 다라 국립공원이 선정되었다.[78]

그러나 구자라트 주 관계자들은 기르 보호구역이 아시아사자의 세계 유일의 서식지 지위를 잃게 될 것을 우려하여 이주에 반대했다. 2013년 4월, 인도 대법원은 구자라트 주에 기르 사자 중 일부를 마디아프라데시로 보내 두 번째 개체군을 형성하라고 명령했다.[80] 법원은 야생동물 당국에 이 이전을 완료하는 데 6개월의 시간을 주었으나, 현재 쿠노로 사자를 옮기는 계획은 위기에 처해 있다.[81][82]

1977년, 이란은 아르잔 국립공원으로 기르 사자를 이송하여 사자 개체수를 복원하려 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실행되지 못했다.[49][54] 그러나 2019년 2월, 테헤란 동물원은 영국의 브리스톨 동물원에서 수컷 아시아사자를, 6월에는 더블린 동물원에서 암컷을 들여와 번식을 시도하고 있다.[85][86]

10. 3. 사육

1990년대 후반까지, 인도의 동물원에서 사육된 아시아사자는 서커스에서 몰수한 아프리카사자와 무작위로 교배되어 사육 중인 아시아사자 개체군에 유전적 오염을 야기했다.[87] 이러한 교배는 아시아사자를 위한 유럽 및 미국의 멸종 위기 종 번식 프로그램을 중단시켰는데, 이는 창립 개체들이 인도에서 수입된 사육 아시아사자였고, 아프리카와 아시아 사자의 종내 잡종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87] 북미 동물원에서는 여러 인도-아프리카 사자 교배종이 부주의하게 번식되었고, 연구자들은 "번식력, 생식 성공, 정자 발달이 극적으로 향상되었다"고 언급했다.[87][88]

DNA 지문 연구는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개체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보존 번식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다.[89] 2006년, 인도 중앙 동물원 관리국은 "잡종 사자는 보존 가치가 없으며, 그들에게 자원을 쓰는 것은 가치가 없다"고 밝히며 인도-아프리카 잡종 사자의 번식을 중단했다.[87][90] 현재 인도에서는 순수 토종 아시아사자만 번식하고 있다.

1994년, 아시아사자를 위한 유럽 멸종 위기 종 프로그램(EEP)이 시작되었다.[92] 유럽 동물원 및 수족관 협회(EAZA)는 1999년에 첫 번째 유럽 스터드북을 출판했다. 2005년까지 EEP에는 인도 외에 유일한 사육 개체군인 80마리의 아시아사자가 있었다.[92]

일본의 요코하마 동물원 즈라시아에서는 개원 초기부터 아시아사자를 사육했으며, 3번의 번식에 성공했다.[124] 우에노 동물원노게야마 동물원에서도 아시아사자를 사육하고 있다.

참조

[1] IUCN Panthera leo (Asiatic subpopulation) (amended version of assessment) 2024-01-27
[2] Doctoral thesis Dissertatio inauguralis anatomico-medica de genere felium University of Vienna
[3]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Taylor and Francis Ltd.
[4] 서적 The Tower Menagerie, Comprising the Natural History of the Animals Contained in That Establishment; With Anecdotes of Their Characters and History https://archive.org/[...] Robert Jennings
[5] 학술지 Felis leo, Linn., Var. goojratensis https://archive.org/[...]
[6] 서적 Natural History of the Felinae. Series: Naturalist's library H. G. Bohn
[7] 서적 Ostéographie, ou Description iconographique comparée du squelette et du système dentaire des mammifères récents et fossiles pour servir de base à la zoologie et à la géologie. J.B. Ballière et fils 2014-08-29
[8] 학술지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19-08-18
[9] 학술지 Divided infraorbital foramen in the lion (Panthera leo): its implications for colonisation history, population bottlenecks, and conservation of the Asian lion (P. l. persica) http://www.repositor[...] 2019-08-16
[10] 학술지 Dispersion of the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and its survival in human-dominated landscape outside the Gir forest, Gujarat, India
[11] 학술지 Estimation of the Status of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Population in Gir Lion Landscape, Gujarat, India https://www.cabdirec[...]
[12] 학술지 Chronological distribution of the tiger Panthera tigris and the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in their common range in Asia
[13] 학술지 Using longitudinal data to evaluate the behavioural impact of a switch to carcass feeding on an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14] 학술지 Spatio-temporal partitioning and coexistence between leopard (Panthera pardus fusca) and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in Gir protected area, Gujarat, India
[15] 학술지 Bio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Cheetah (Acinonyx jubatus venaticus) in ancient, medieval and modern Rajasthan: Study of plans to relocate them in Rajasthan
[16] 학술지 From Caves to the Savannah, the Mitogenome History of Modern Lions (Panthera leo) and Their Ancestors
[17] 학술지 The evolutionary history of extinct and living lions
[18] 학술지 Faunal remains from recent excavations at Shishan Marsh 1 (SM1), a Late Lower Paleolithic open-air site in the Azraq Basin, Jordan https://www.cambridg[...] 2019-03-00
[19] 학술지 Carnivores and their prey in the Wezmeh Cave (Kermanshah, Iran): a Late Pleistocene refuge in the Zagros https://onlinelibrar[...] 2009-11-00
[20] 학술지 Occurrence of fossil lion and spotted hyena from Pleistocene deposits of Susunia, Bankura District, West Bengal http://www.i-scholar[...] 2020-12-13
[21] 학술지 A second extinct big cat from the late Quaternary of Sri Lanka https://www.research[...] 2019-02-16
[22] 학술지 The origin, current diversity and future conservation of the modern lion (Panthera leo)
[23] 학술지 The evolutionary dynamics of the Lion Panthera leo revealed by host and viral population genomics
[24] 학술지 Genetic diversity, evolutionary history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of the lion (Panthera leo) in West and Central Africa http://dspace.learni[...] 2017-01-17
[25] 학술지 Phylogeographic patterns in Africa and High Resolution Delineation of genetic clades in the Lion (Panthera leo)
[26] 학술지 Biochemical genetic variation in geographic isolates of African and Asiatic lions http://www.cbs.umn.e[...]
[27] 학술지 Evidence for African origins of founders of the Asiatic lion Species Survival Plan http://dobzhanskycen[...] 2012-12-29
[28] 서적 Natural History of the Mammalia of India and Ceylon https://archive.org/[...] Thacker, Spink and Co.
[29] 학술지 Comparative growth of wild male and female lions (Panthera leo)
[30] 서적 Mammals as predators: the proceedings of a symposium held by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and the Mammal Society, London. Volume 65 of Symposia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31] 학술지 Asiatic Lion: Ecology, Economics, and Politics of Conservation 2019-00-00
[32] 학술지 Panthera leo http://www.science.s[...]
[33] 서적 Mlekopitajuščie Sovetskogo Soiuza. Moskva: Vysšaia Škola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34] 학술지 Lost populations and preserving genetic diversity in the lion Panthera leo: Implications for its ex situ conservation
[35] PhD thesis Ecology of wildlif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ion (Panthera leo persica) in Gir Wildlife Sanctuary, Saurashtra, Gujurat Saurashtra University 1987-00-00
[36] 서적 Big Cats Voyageur Press
[37] 학술지 The past and present distribution of the lion in south eastern Asia https://archive.org/[...]
[38] 서적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2019-08-13
[39] 학술지 A conservation success story in the otherwise dire megafauna extinction crisis: The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of Gir forest
[40] 학술지 The Asiatic Lion and the Maldharis of Gir Forest http://sa.indiaenvir[...] 2012-12-30
[41] 서적 Human Animal Conflict in Agro-Pastoral Context: Issues & Policies 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42] 학술지 The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50 years journey for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arnivore and its habitat in Gir Protected Area, Gujarat, India http://indianforeste[...] 2021-12-25
[43] 뉴스 Lion population roars to 650 in Gujarat forests http://timesofindia.[...] 2017-08-09
[44] 학술지 Building walls around open wells prevent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Mammalia: Carnivora: Felidae) mortality in the Gir Lion Landscape, Gujarat, India
[45] 뉴스 Why are India's lions increasingly swapping the jungle for the beach? https://www.theguard[...] 2023-05-19
[46] 학술지 The Quaternary lions of Ukraine and a trend of decreasing size in ''Panthera spelaea'' 2022
[47] 학술지 Past and present distribution of the North African-Asian lion subgroup: a review
[48] 웹사이트 Men with live lion http://archive.asia.[...] 1880-01-01
[49] 서적 Lion and Gazelle: The Mammals and Birds of Iran Images Publishing
[50] 서적 Wildlif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 Saudi Arabia National Commission for Wildlif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Publishing 2019-01-26
[51] 서적 Hunting in Turkey BBA
[52] 서적 The mammals of Iraq Museum of Zoology, University of Michigan
[53] 학술지 The lair of the lion in Iran https://www.research[...] 2018-01-12
[54] 서적 The complete fauna of Iran I. B. Tauris
[55] 서적 Simba: The Life of the Lion Howard Timmins
[56] 서적 Gir Forest and the saga of the Asiatic lion https://books.google[...] Indus
[57]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Taylor and Francis
[58] 서적 Faunal Heritage of Rajasthan, Indi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Vertebrat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9] 서적 The Asiatic lion: a study of ecology and behaviour Department of Forestry and Natural Resources
[60] 서적 Reproductive strategy and behaviour of male Asiatic Lions Wildlife Institute of India
[61] 서적 Ecology of the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Wildlife Institute of India
[62] 학술지 Asia's Envy, India's Pride
[63] 학술지 Home range and habitat preference of female lions (''Panthera leo persica'') in Gir forests, India
[64] 서적 Great Cats Merehurst
[65] 학술지 Selfish partners: resource partitioning in male coalitions of Asiatic lions
[66] 학술지 Spatio-temporal partitioning and coexistence between leopard (''Panthera pardus fusca'') and Asiatic lion (''Panthera leo persica'') in Gir protected area, Gujarat, India
[67] 학술지 Prey preferences of the lion (''Panthera leo'') http://www.ibs.bialo[...] 2012-12-30
[68] 보고서 Ecology of Asiatic Lions in Gir, P. A., and Adjoining Human-Dominated Landscape of Saurashtra, Gujarat Wildlife Institute of India
[69] 보고서 Annual Report https://books.google[...] Durrell Wildlife Conservation Trust 1972-01-01
[70] 학술지 The Gir Lions
[71] 논문 Battle of the sexes: a multi-male mating strategy helps lionesses win the gender war of fitness
[72] 뉴스 Did The Failure To Set Up A 'Second Home' For in Madhya Pradesh Cause Lion Deaths in Gir? https://www.indiatim[...] 2018-10-05
[73] 뉴스 Asiatic lions in Gujarat's Gir forest dying of Canine Distemper Virus: ICMR https://www.hindusta[...] 2018-10-05
[74] 서적 Human Animal Conflict in Agro-Pastoral Context: Issues & Policies 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75] 뉴스 Man-eater lion kills 50-year-old in Amreli, preys on him http://www.dnaindia.[...] 2012-03-28
[76] 서적 Red Data Book on Indian Animals. Part. 1: Vertebrata (Mammalia, Aves, Reptilia and Amphibia), The http://faunaofindia.[...] White Lotus Press 2022-10-12
[77] 서적 Field Days: A Naturalist's Journey Through South and Southeast Asia Universities Press
[78] 간행물 Executive summary of the Asiatic lion PHVA. First draft report.
[79] 웹사이트 Asia's Lions Live in One Last Place on Earth—And They're Thriving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6-08-10
[80] 뉴스 Supreme Court gives Madhya Pradesh lions' share from Gujarat's Gir http://www.indianexp[...] The Indian Express Ltd. 2013-04-17
[81] 뉴스 Tired of Gujarat reluctance on Gir lions, MP to release tigers in Kuno https://timesofindia[...] 2017-01-27
[82] 뉴스 Stalemate on translocation of Gir lions Kuno Palpur in Madhya Pradesh to be used as tiger habitat now https://www.hindusta[...] 2017-01-27
[83] 뉴스 Rajasthan to be home for cheetahs https://web.archive.[...] 2009-08-09
[84] 뉴스 Russia, Iran exchange tigers for leopards but some experts express doubts https://web.archive.[...] 2010-08-06
[85] 뉴스 Return To Motherland: Asiatic lion returns to Iran after 80 years https://web.archive.[...] 2019-10-14
[86] 뉴스 From Dublin to Tehran: Persian Lioness Joins Male Companion https://ifpnews.com/[...] Iran Front Page 2019-10-14
[87] 서적 Engineer in the Garden Random House
[88] 서적 Conservation Genetics: Case Histories from Natur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9] 논문 Genetic variation in Asiatic lions and Indian tigers https://web.archive.[...]
[90] 뉴스 Hybrid lions at Chhatbir Zoo in danger http://timesofindia.[...] 2006-09-18
[91] 서적 Annual Report 1972: Durrell Wildlife Conservation Trust https://books.google[...]
[92] 논문 Asiatic Lion Studbooks: a short history https://web.archive.[...]
[93] 웹사이트 The Asiatic lion captive breeding programme https://web.archive.[...]
[94] 학회자료 Rock Art—The Way Ahead: South African Rock Art Research Association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Southern African Rock Art Research Association
[95] 서적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Prin. V. S. Apte's The practical Sanskrit-English dictionary Prasad Prakashan 1957-1959
[96] 논문 Chinese account of Ceylon https://books.google[...] 1836-05-01
[97] 서적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Prin. V. S. Apte's The practical Sanskrit-English dictionary Prasad Prakashan 1957-1959
[98]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99] 서적 Tantrik Literature and Culture : Hermeneutics and Expositions Buddhist World Press
[100] 서적 The Mahabharata John Bruno Hare 1883-1896
[101] 서적 The Anvari Suhaili; or the Lights of Canopus Being the Persian version of the Fables of Pilpay; or the Book Kalílah and Damnah rendered into Persian by Husain Vá'iz U'L-Káshifí https://books.google[...] Stephen Austin, Bookseller to the East-India College
[102] 서적 The Mega Yearbook 2018 – Current Affairs & General Knowledge for Competitive Exams with 52 Monthly ebook Updates & eTests Disha Publications 2017-09-28
[103] 서적 Indian Hist (Opt)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Education 2006-10-15
[104] 서적 The History and Doctrine of Budhism: Popularly Illustrated: with Notices of the Kappooism, Or Demon Worship, and of the Bali, Or Planetary Incantations, of Ceylon https://archive.org/[...]
[105] 논문 Some Observations on Stone Winged Chimeras at Ancient Chinese Tomb Sites
[106] 서적 The Art of Lion Dance Joey Yap Research Group 2021-11-27
[107] 서적 Cambodia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108] 서적 Iran Musées Royaux D'Art et D'Histoire
[109] 서적 The Seventy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110] 학술지 An extinct Mesopotamian lion subspecies
[111] 코란
[112] 서적 The Book of the Lion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13] 서적 Mammals of the Holy Land https://archive.org/[...] Texas Tech University Press
[114] 서적 The Companions of Badr Ta-Ha Publishers
[115] 서적 Myths from Mesopotamia: Creation, the Flood, Gilgamesh, and Others Oxford University Press
[116] 뉴스 Iraq secure much-needed win over rivals Iran in friendly http://www.iraqi-foo[...] 2017-11-28
[117] 백과사전 Flags (of Persia) http://www.iranicaon[...] 2016-03-10
[118] 서적 Mythographi Graeci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2017-11-23
[119] 보고서 Annual Report 2017 https://tcaabudhabi.[...] 2019-06-29
[120] IUCN Panthera leo ssp. persica
[121] 웹사이트 Asiatic lion population in Gujarat rises to 523 https://web.archive.[...]
[122] 웹사이트 Boost to Gujarat pride: Lion numbers cross 500 http://timesofindia.[...]
[123] 웹사이트 College of Biological http://www.cbs.umn.e[...]
[124] 웹사이트 インドライオン来園 http://www.m-kajimur[...] よこはま動物園 2017-06-08
[125] 웹사이트 インドライオン3姉妹の話 https://www.hama-mid[...] 2017-06-10
[126] 웹사이트 インドライオン、繁殖へオス来園 ズーラシア https://www.nikkei.c[...] 2017-06-13
[127] 웹사이트 インドライオン「バドゥリ」がやってきました! https://www.hama-mid[...] 2017-06-08
[128] 웹사이트 インドライオンのメス「チャンディ」死亡 https://www.tokyo-zo[...] 2016-02-12
[129] 웹사이트 インドライオン「アニタ」が死亡しました https://www.tokyo-zo[...] 2017-03-29
[130] 웹사이트 野毛山動物園でインドライオン「ラージャー」の誕生日会 肉をプレゼント https://www.hamakei.[...] 2016-02-04
[131] IUCN Panthera leo ssp. pers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