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간 전투는 어둠 속에서 수행되는 군사 작전으로, 가시성 감소로 인해 아군과 적군의 식별, 지휘, 사격 등에 어려움이 따른다. 역사적으로 야간 전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전술과 기술의 발전을 거쳐왔으며, 특히 은밀한 행동, 시계 확보, 아군 식별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현대에는 야간 투시경, 열상 장비 등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복잡해졌으며, 한국군 역시 장비 현대화와 훈련 강화를 통해 야간 전투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싸움 - 비잔틴 성상파괴운동
비잔틴 성상파괴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까지 비잔틴 제국에서 성상 숭배를 둘러싸고 발생한 종교적, 정치적 논쟁과 갈등의 시기로, 레오 3세의 성상 파괴 명령으로 본격화되어 두 차례의 시대를 거치며 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성상 숭배 복원 후 비잔틴 미술과 동서 교회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 밤 - 야행성
야행성은 동물들이 포식자 회피, 수분 보존, 자원 경쟁 완화 등의 이점을 얻기 위해 밤에 활동하는 생활 방식이지만, 광공해와 서식지 교란으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인간의 경제 활동과 건강 문제와도 관련되는 개념이다. - 밤 - 박명
박명은 태양의 위치가 지평선 아래에 있을 때 나타나는 빛의 현상으로, 태양 고도각에 따라 시민박명, 항해박명, 천문박명으로 구분되며, 밝기 정도와 활용 목적, 위도별 지속 시간에서 차이를 보인다. - 군사학 - 전자전
전자전은 적의 전투 능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자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군사 작전이며, 전자 공격, 전자 보호, 전자 지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통신 방해, 레이더 교란, 스텔스 기술 등을 포함한다. - 군사학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야간 전투 | |
---|---|
개요 | |
유형 | 전투 |
교전 환경 | 야간 |
주요 특징 | 제한된 가시성 증가된 정보전 중요성 야간 투시 장치, 레이더, 열화상 장비 등 특수 장비 사용 조명탄, 포탄 등 특수 무기 사용 |
역사 | |
초기 야간 전투 | 고대부터 존재 |
현대 야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술 발전으로 중요성 증가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등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기술 및 장비 | |
주요 장비 | 야간 투시 장치 열화상 장비 레이더 조명탄 포탄 |
전략 및 전술 | |
주요 고려 사항 | 제한된 가시성 극복 정보 우위 확보 특수 장비 및 무기 효과적 사용 적의 야간 전투 능력 무력화 |
전술적 예시 | 매복 기습 특수 작전 |
기타 | |
관련 용어 | 야간 투시경 열영상 카메라 조명탄 적외선 |
참고 자료 | 관련 서적, 논문, 웹사이트 등 |
2. 야간전의 특징
야간전은 시야가 줄어들고, 방향 감각을 잃기 쉬우며, 심리적으로 불안감이 커지는 등 여러 어려움이 따른다.[28]
야간전은 어두워진 후 벌어지는 전투이며, 공격측이 적극적으로 야간전을 감행하는 것을 "야습"이라고 부른다.[10] 「야토치」, 「야가케」도 같은 의미이다.[11] 광열 인프라나 탐지 장치가 발달하지 않았던 전근대에는 밤에 적진을 공격하면 수비측이 기습을 당하기 쉬웠기 때문에, 역사 속 야습은 기습인 경우가 많다.[12]
인간은 야행성이 아니기 때문에 어둠 속에서의 행동에 익숙하지 않다. 야간 시력을 얻기 위해서는 대상에서 약간 시점을 빗겨 보는 특수한 시각 방식을 취해야 한다. 또한, 야간에는 어둡기 때문에 눈의 동공이 열리고, 시력이 저하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야시경과 GPS가 매우 발달한 현대에도 야전은 실행 부대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임무이며, 위험도가 매우 높다.
; 적과 아군의 식별
어둠 속에서는 적과 아군을 구별하기 어려워 아군 오사가 발생할 수 있다.[14] 따라서 의도적으로 야전을 실시할 때는 적과 아군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임진왜란에서 야습을 감행한 다나베노 고스미 군대는 암구호를 사용했고, 가와고에 성 전투에서 야습을 감행한 호조 우지야스 군대는 흰 천을 몸에 걸쳐[15] 적과 아군을 구별했다고 한다. 현대전에서는 피아 식별 장치나 전투복(ACU)의 적외선 칩 등을 장착하여 아군 오사를 방지한다.
; 은밀 행동 및 등화 관제
어둠을 틈타 작전 행동을 수행하기 위해, 자군의 움직임을 적에게 들키지 않도록 등화 관제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쓰쿠시마 전투에서는 모리 모토나리 군대가 횃불을 드는 것을 금지하여 다음 날 아침의 기습을 성공시켰다.[16] 가미이즈미 노부쓰나 전래의 『훈열집』에서도 화승의 빛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하였다.
소형 총기류에는 플래시 서프레서와 같은 소염 장치가 사용된다. 현대 야간 작전 부대 차량은 조명에 덮개를 씌우거나 아래로 향하게 하여 등화 관제를 실시하며, 10식 전차와 같이 적외선 대책을 위한 구조를 갖추기도 한다.
; 시계 확보
서치라이트(탐조등)나 조명탄의 발명은 야간 전투의 기회를 늘렸다.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 제국군은 서치라이트로 일본 해군을 효과적으로 격퇴했다(뤼순항 봉쇄작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레이더와 암시장치가 실용화되면서 야간 작전 행동이 더욱 용이해졌다. 육상자위대의 74식 전차는 액티브형 적외선 암시 장치를, 90식 전차는 패시브식 열선 영상 장치를 탑재하여 야전 사격 능력을 높였다.
제2차 세계 대전기에는 야간 전투기가 다수 운용되었지만, 레이더의 발달로 현재는 주야 구분 없이 전투기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중국 병법서인 육도에서는 적은 병력으로 싸울 때 열세를 감추기 위해 야간전을 제시했다.
- 송나라 시대의 병법서인 무경총요에는 폭풍우 속이나 어두운 밤에 부대를 이끌기 위한 자석 "지남어"를 만드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 가미이즈미 노부쓰나의 전언에 따른 『훈열집』의 "야전" 항목에는 반궁(단궁)을 사용할 것을 기술하고 있다.
- 근대 이전의 기습전에서는 행동 시 소리의 문제가 있었다. 갑옷 소리나 대군으로 움직일 경우 접근음으로 눈치챌 수 있기 때문에 우천에 공격하는 경우도 있었다.
- 악취도 존재를 파악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 전국 시대 일본에서는 야전에 관해 식량이 추가 지급되었다.[22]
- 적 측의 야습에 대한 경계를 늦추기 위한 심리적 수단으로는 간자를 이용한 유언비어가 있다.
- 근대 이전에는 야전 시, 신앙과 징크스도 중시되었다.
2. 1. 시야 제한
어둠은 가시성을 크게 감소시켜 병사가 아군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지형을 파악하는 능력을 저하시키며, 특히 적의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 장교들은 어둠이 통제 유지, 이동, 사격, 방향 유지, 정찰, 경계 및 상호 지원을 포함한 지휘의 여러 측면을 방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8]미국 육군의 일본의 군사사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혼란 사례가 묘사되어 있다.
> 약 1180년경 후지강(시즈오카현)에서 헤이케 씨족과 겐지 씨족 군대가 대치했을 때, 물새 소리를 공격하는 겐지 군대의 소리로 착각하여 한밤중에 급히 후퇴한 사건이 일본사에 기록되어 있다.
시야 감소의 부작용은 병사들이 청각에 더 집중하게 되어 청각이 예민해진다는 것이다. 밤에는 총의 섬광이나 적의 탐조등 때문에 군인들이 방향 감각을 잃는 경우가 많다.[28] 지각의 어려움은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하며, 총격을 받는 군인들은 사격 발원지를 알 수 없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없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고독감, 무력감과 관련되어 적의 전력을 과대평가하거나 전투 상황을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만드는 경향을 유발한다.[28]
인공 조명 없이 완전한 어둠 속에서는 병사의 사격술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진 L. 다이어, 수어드 스미스, 낸시 R. 맥클루어의 보고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야간 투시 장비 도입 전에는 소총을 이용한 야간의 효과적인 사격이 매우 가까운 거리(일반적으로 50미터 이내)로 제한되었다. 표적 명중 능력은 병사가 조준경으로 표적을 획득하는 능력에 달려 있었고, 이는 자연 및 인공 조명의 양에 크게 좌우되었다.[29]
2. 2. 감각 변화
어둠의 가장 명백한 영향은 시야 감소이다. 이는 아군과 적군의 움직임, 지형을 파악하는 병사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장교는 어둠이 통제 유지, 이동, 사격, 방향 유지, 정찰 등 지휘의 여러 측면을 방해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28]시야 감소의 부작용은 병사들이 청각에 더 집중하게 되어, 소리에 더 민감해진다는 것이다. 일본사에 따르면, 후지강(시즈오카현)에서 헤이케 씨족과 겐지 씨족의 군대가 대치했을 때, 헤이케 군이 물새 소리를 겐지 군대의 공격으로 오인하여 후퇴한 사례가 있다.[28] 이처럼 밤에는 소리나 총기, 탐조등의 섬광으로 인해 방향 감각을 잃는 경우가 많다.[28] 이러한 지각의 어려움은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하고, 공격받는 병사들은 사격의 발원지를 알 수 없어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게 된다. 이는 고독감과 무력감으로 이어져 적의 전력을 과대평가하거나 전투 상황을 지나치게 비관하는 경향을 낳는다.[28]
2. 3. 심리적 영향
어둠은 병사의 지각 능력을 저하시켜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한다. 총격의 발원지를 알 수 없는 상황은 고립감과 무력감을 증폭시키고, 이는 적의 전력을 과대평가하거나 전황을 비관적으로 판단하게 만들어 전투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28]3. 야간전의 역사
야간전은 전술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역사적으로 그 효용성과 빈도가 크게 변화해 왔다.
어둠은 가시성을 감소시켜 아군의 움직임과 지형 이해를 어렵게 하고, 특히 적의 움직임과 위치 파악에 영향을 미친다.[28] 지휘관들은 어둠이 통제력 유지, 이동, 사격, 방향 유지, 정찰, 보안, 상호 지원 등 지휘의 여러 측면에 어려움을 준다는 것을 인지했다. 가시성 감소의 부작용으로 청각이 예민해지지만, 총성이나 탐조등으로 인해 방향 감각을 잃기 쉽다.[28] 이러한 지각의 어려움은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하고, 고립감과 무력감으로 이어져 적의 힘을 과대평가하거나 전황을 비관하는 경향을 낳는다.[28]
인공 조명이 없으면 어둠 속에서 사격술이 저하된다. 야간 투시 장비가 도입되기 전에는 야간 소총 사격은 50미터 이내의 근거리로 제한되었다. 표적 명중률은 자연 및 인공 조명에 크게 의존했다.[29]
야간전은 공격 측에서 적극적으로 감행하는 경우 "야습"이라고 불리며,[10] "야토치", "야가케"라고도 한다.[11] 광열 인프라나 탐지 장비가 발달하지 않았던 전근대에는 야습이 기습인 경우가 많았다.[12] 그러나 클라우제비츠는 『전쟁론』에서 어둠 속 백병전은 방어 측에게 유리한 점이 있어 의외로 전술로 채택되는 경우가 적다고 언급하며, 대신 새벽 공격이 자주 이루어졌다고 한다.
인간은 야행성이 아니므로 어둠 속 행동에 익숙하지 않다. 어둠 속에서 시야를 확보하려면 망막의 간상 세포가 기능해야 하는데 (암순응), 여기에는 약 30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야간에는 동공이 확장되어 시력이 저하되고, 피로가 쉽게 쌓이며, 장애물 확인이 어려워 기동력이 떨어진다. 지도, 나침반, GPS 등을 사용하지만, 주간보다 정보가 부족하여 의사 결정과 행동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야습은 비겁하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있는데, 헤이안 시대 일본의 호겐의 난에서 미나모토노 타메토모가 야습을 제안[13]했지만 후지와라노 요리나가가 "천황의 계승 다툼에 야습은 부적절하다"며 기각한 사례가 있다. 고대 인도 서사시 『마하바라타』에는 야습을 금지하는 전투 규칙을 정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의도적이든 우발적이든 밤에 전투가 시작된 유명한 전투는 다음과 같다.[18]
시대 | 전투 |
---|---|
서양 고대 | 카탈라우눔 전투 |
아스카 시대 | 임신 난 |
헤이안 시대 | 호겐의 난, 구리카라 고개의 전투, 미쿠사야마 전투 |
센고쿠 시대 | 가와고에 성 전투, 이쓰쿠시마 전투, 데토리강 전투 |
미국 독립 전쟁 | 스토니 포인트 전투 |
미영 전쟁 | 스토니 크릭 전투 |
청일 전쟁 | 성환 전투, 웨이하이웨이 전투 |
러일 전쟁 | 랴오양 회전, 뤼순 공격 |
제1차 세계 대전 | 제브뤼헤 습격, 투압세 해전 |
노몬한 사건 | 제2차 노몬한 사건 |
제2차 세계 대전/태평양 전쟁 (대동아 전쟁) | 홍콩 전투, 솔로몬 제도 전투, 과달카날 전투, 제1차 솔로몬 해전, 사보섬 해전, 헨더슨 비행장 함포 사격, 제3차 솔로몬 해전, 룬가 해전, 빌라 스탐모어 해전, 클라만 해전, 콜롬방가라 섬 해전, 벨라만 해전, 제1차 벨라라벨라 해전, 제2차 벨라라벨라 해전, 부겐빌 섬 해전, 세인트 조지 곶 해전 |
마타판 곶 해전 | |
레이테 만 해전 | |
제4차 중동 전쟁 (다미에타 해전) | |
걸프 전쟁 | 사막의 폭풍 작전 |
기타: 2001년부터 시작된 아프가니스탄 대테러 전쟁에서 탈레반에 대한 야간 수색이 "야습 작전"으로 불리고 있다.[19][20]
3. 1. 고대 및 중세
고대에는 정규군 간의 야간 전투가 드물었으나, 포위 공격과 같이 특수한 상황에서는 밤낮으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디오도로스는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스파르타 군이 밤에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의 진영에 잠입하여 암살을 시도했다고 주장한다.[6]
-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게르만 부족 동맹군은 3일 동안 3개 로마 군단(약 16,000~20,000명)을 지치게 하여 결국 전멸시켰다. 로마군은 여러 가지 방어적인 야간 전술을 시도했다.
- 카탈라우눔 평원의 전투에서는 밤이 되면서 예외적인 혼란이 발생했다.
- 터르고비슈테 야간 기습은 왈라키아의 블라드 3세와 오스만 제국의 메흐메트 2세 간의 전투였다. 전투와 사상자에 대한 기록은 엇갈리지만, 결국 왈라키아가 승리했으며, 왈라키아는 약 5,000명, 오스만군은 약 15,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 아샨티는 1826년 도도와에서 야간 기습을 감행했다.
헤이안 시대 일본에서 일어난 호겐의 난에서는, 미나모토노 타메토모가 야습을 건의[13]했지만, 후지와라노 요리나가가 "천황의 계승 다툼에서 야습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기각했다.
일본 센고쿠 시대의 주요 야간 전투는 다음과 같다.
- 가와고에 성 전투 - 일본 3대 야전(기습전) 중 하나로, '가와고에 야전'이라고도 불린다.
- 이쓰쿠시마 전투 - 일본 3대 야전 중 하나로, 모리 군은 전투 전날 밤에 등화 관제를 하고 이쓰쿠시마로 건너갔다.
3. 2. 근현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조명탄이 채택되어 야간 작전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조명탄은 조명이 필요한 방향으로 곡사포와 야포에서 발사되었다. 최초의 조명탄은 마그네슘 펠릿을 배출하는 개량된 파편탄이었으나, 곧 더 높은 광도와 지상으로의 하강을 연장하는 낙하산을 가진 개선된 설계로 대체되었다. 예광탄도 도입되어 병사들이 사격 궤적을 관찰하고 조준을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야간 사격이 더 쉬워졌다.[29]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밤은 전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은 야간전에 능숙했는데, 이는 연합군도 인정한 바이다. 일본군은 소련과의 충돌을 예상하여 소련의 압도적인 전차, 항공기, 포병 전력에 대항하기 위해 밤, 저녁, 새벽에 공격하는 것의 장점을 강조한 훈련 교범을 개발했다. 이러한 전술은 장비가 더 우수한 다른 연합군을 상대로도 유용하게 사용되었다.[4]
일본군은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중국과 해상에서 연합군을 상대로 수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도 승리했다. 전쟁 후반부에 이르러서야 연합군의 조기 경보 기술이 일본군의 야간 기습 공격을 무력화하여 그 효과를 감소시켰다. 일본군이 훈련된 정예 병력을 급조된 신병으로 교체한 후, 이러한 전술은 완전히 무너졌다.[4]
부비트랩은 트립와이어에 의해 작동하는 화공품 장치로, 적의 움직임을 조기에 감지하기 위해 길목 근처에 설치되었다. 1944년 독일군(Wehrmacht)은 이탈리아에서 광범위하게 부비트랩을 사용했는데, 이는 미 육군 레인저가 야간에 그들의 방어선을 반복적으로 침투한 후였다. 부비트랩은 제5군이 1월 20일 라피도 강에서 감행한 공격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다.[8]
현대에도 야간 야시경(나이트 비전)과 GPS가 매우 발달했지만, 야전은 실행 부대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임무이며, 위험도가 매우 높은 것은 예나 지금이나 거의 변함이 없다.
3. 3. 현대
현대에도 야간전은 여전히 실행 부대에게 큰 부담을 주는 임무이며, 위험도가 매우 높다. 야간 야시경(나이트 비전)과 GPS가 매우 발달했지만, 방어 측에서 수행하는 야간 초병 임무 역시 긴장감을 강요받는다.[28]야간에는 시야 거리가 짧아져 장사정 무기의 유리함이 줄어들고, 항공기 운용에도 제약이 생긴다. 따라서 주간에는 적의 장사정 무기나 항공 전력에 압도당하는 상황에서도, 야간 전투를 통해 효과적으로 싸울 가능성이 있다.[29]
1986년 이란-이라크 전쟁 말 제1차 알-파우 전투에서 이란군은 야간과 악천후 시에만 이동하여 이라크군의 장갑차 우위를 감소시켰다. 이란군은 전투 전에 야간전에 대한 훈련을 받았다.
4. 야간전의 전술
야간전에서는 가시성이 크게 줄어들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생긴다. 아군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지형을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지며, 특히 적의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28] 지휘관들은 어둠 속에서 통제, 이동, 사격, 방향 유지, 정찰, 보안, 상호 지원 등 여러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28]
후지 강 전투(1180년)에서는 겐지군과 대결하던 헤이케군이 물새 소리를 적군으로 오인하여 퇴각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야간에는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28]
가시성이 감소하면 청각에 더 의존하게 되고, 총의 섬광이나 탐조등은 군인들의 방향 감각을 잃게 할 수 있다.[28]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은 적의 힘을 과대평가하거나 상황을 비관적으로 만들 수 있다.[28]
인공 조명이 없으면 사격술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야간 투시 장비가 도입되기 전에는 야간 소총 사격의 유효 거리가 50미터 이내로 제한되었다.[29]
따라서 야간 전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철저한 준비다. 여기에는 훈련, 정찰, 계획이 포함되며, 고위 장교와 하급 부대 지휘관 모두의 지휘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3]
4. 1. 공격 전술
야간 공격은 적의 방어 태세를 무너뜨리고 기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활용된다. 은밀 기동, 화력 집중, 신속한 돌파 등을 통해 적을 제압한다.야간에 교전을 시작하거나 지속할지 여부는 대개 공격 부대에 의해 결정된다. 야간에 지속되는 전투는 주간 공격으로 얻은 이점을 활용하거나, 방어 부대가 재집결하거나 증원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야간에 시작된 전투는 다음 날까지 유지할 이점(예: 영토 또는 포로)을 얻거나, 해가 뜨기 전에 철수하기 전에 적을 괴롭히고 사기를 저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기습으로 간주된다.
역사적으로 야간 전투는 주간 전투에 비해 더 큰 위험과 보상을 수반한다. 방어 측이 완전히 기습을 당하고 공격에 거의 대응 사격을 하지 못하면서 승리는 압도적일 수 있다. 반대로, 공격군이 암흑 속에서 매복을 당하면서 혼란스럽게 허둥대면서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하여 패배는 재앙이 될 수 있다.
4. 2. 방어 전술
야간 방어는 적의 기습을 조기에 탐지하고 격퇴하는 데 중점을 둔다. 경계를 강화하고, 감시 장비를 활용하며, 매복 등을 통해 적의 접근을 차단한다.역사적으로 야간 전투는 주간 전투에 비해 더 큰 위험과 보상이 따랐다. 방어 측이 완전히 기습당하면 공격에 거의 대응 사격을 하지 못하면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둘 수 있다. 반대로, 공격군이 어둠 속에서 매복을 당하면 혼란스럽게 허둥대면서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하여 패배할 수 있다.[28]
4. 3. 아군 식별 및 등화 관제
어둠 속에서는 적과 아군을 구별하기 어려워 아군 오사가 발생할 수 있다.[14]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야간 전투에서는 여러 가지 식별 방법이 사용된다.- 피아 식별 장치: 현대전에서는 전투기나 전차에 피아 식별 장치를 장착하여 아군을 식별한다.
- 적외선 칩: 전투복(ACU)에 적외선 칩을 부착하여 주야간 구분 없이 아군 오사를 방지한다.[14]
- 암구호: 임진왜란에서 다나베노 고스미의 군대는 암구호를 사용했고, 가와고에 성 전투에서 호조 우지야스의 군대는 흰 천을 몸에 걸쳐[15] 아군을 식별했다고 한다. 사격 구역을 가로지를 때에도 암구호를 사용하여 적과 아군을 구별한다.[14]
등화 관제는 야간에 적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빛과 소리를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 은밀 행동: 이쓰쿠시마 전투에서 모리 모토나리 군대는 횃불을 금지하여 기습을 성공시켰고,[16] 가미이즈미 노부쓰나 전래의 『훈열집』(오에가 병법서를 전국 시대풍으로 개정한 병서)에서도 화승의 빛을 경계했다. 일본 육군은 야간에 소리와 음성을 내지 않도록 했고, 돌격 시에도 함성을 지르지 않도록 했다.
- 소염 장치: 소화기 등 소형 총기류에는 플래시 서프레서와 같은 소염 장치를 사용하여 발사 시 발생하는 불꽃을 줄인다.
- 차량 등화 관제: 야간 작전 부대의 차량은 조명에 덮개를 씌우거나 아래로 향하게 하여 빛을 통제한다. 적외선을 사용한 암시 장치에 대한 대책(적외선 스텔스)도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 육상자위대의 10식 전차는 적외선 스텔스성이 향상되었다.
4. 4. 시계 확보
어둠 속에서 적을 정확하게 조준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서치라이트(탐조등)나 조명탄을 사용하여 시계를 확보한다.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 제국군은 연안 포대에 갖춘 서치라이트로 일본 해군을 효과적으로 격퇴했다(뤼순항 봉쇄작전).[29] 그러나 투압세 해전에서는 러시아 제국 해군과 오스만 제국 해군 모두 어둠 속에서 유효한 함포 사격을 하지 못했다.[29]제2차 세계 대전에서 레이더와 암시 장치가 실용화되면서 야간 작전 행동이 더욱 용이해졌다. 현대에는 야간 투시 장비나 열상 장비를 활용하여 야간에도 정확한 조준이 가능하다. 육상자위대의 74식 전차는 액티브형 적외선 암시 장치를, 90식 전차는 패시브식 열선 영상 장치를 탑재하여 야전에서의 사격 능력을 높이고 있다.
5. 현대 한국군의 야간전
한국군은 북한의 야간 기습 및 침투 위협에 대비하여 야간전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IGHT COMBAT BY RUSSIAN CAVALRY
http://www.lonesentr[...]
[2]
서적
Night Combat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Night Combat Operations
http://www-cgsc.army[...]
[4]
문서
Eight United States Army Military History Section: Japanese Research Division
https://www.scribd.c[...]
[5]
문서
Shooting With Night Vision Goggles and Aiming Lights
http://apps.dtic.mil[...]
[6]
웹사이트
Diodorus on the Battle of Thermopylae
http://ancienthistor[...]
[7]
서적
The Fall of the Asante Empire: The Hundred-Year War For Africa's Gold Coas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0
[8]
서적
World War II River Assault Tactics
Osprey
2013
[9]
Weblio
night raid
[10]
goo辞書
夜襲
2020-09-24
[11]
goo辞書
夜討ち
2020-09-24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関八州古戦録
学習研究社
2008
[16]
서적
歴史群像シリーズ9 毛利元就
学習研究社
1988
[17]
서적
液冷戦闘機「飛燕」 日独合体の銀翼
文春文庫
2006
[18]
문서
[19]
뉴스
アフガン米司令官、夜襲を制限 市民の反発回避へ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0-03-06
[20]
뉴스
タリバーン封じ、夜襲頼み 米兵「爆弾を作っているのは誰だ」 アフガンあす大統領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4-04-04
[21]
서적
日本史の探偵手帳
文春文庫
2019
[22]
서적
日本人の給与明細 古典で読み解く物価事情
角川ソフィア文庫
2015
[23]
서적
天狗党の跡を行く
暁印書館
1983
[24]
서적
那珂の伝説 下
筑波書林
1984
[25]
웹사이트
NIGHT COMBAT BY RUSSIAN CAVALRY
http://www.lonesentr[...]
[26]
서적
Night Combat
https://books.google[...]
[27]
웹사이트
Night Combat Operations
http://www-cgsc.army[...]
[28]
문서
Eight United States Army Military History Section: Japanese Research Division
https://www.scribd.c[...]
[29]
웹인용
Shooting With Night Vision Goggles and Aiming Lights
http://apps.dtic.mil[...]
2023-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