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무 (백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무는 백제 동성왕 시기에 남제에 파견된 인물로, 건위장군 광릉태수의 관직을 받았다. 개로왕 때부터 대 중국 외교에서 활동했으며, 490년에는 동성왕의 요청으로 남제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양무의 출신과 관련하여, 광릉태수라는 관직을 통해 중국 동북부 출신이거나, 낙랑군 유민의 후손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백제 국왕 막부의 속료로서, 중국계 성씨를 가진 인물들이 대중국 외교에서 활약했으며, 백제왕은 이들을 통해 귀족 세력을 견제하려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장군 - 흑치상지
    흑치상지는 백제 부흥 운동에 참여했다가 당나라에 투항하여 당나라 장군으로 활약하며 티베트, 돌궐과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모함으로 옥사 후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백제의 장군 - 곤지
    곤지는 백제 개로왕의 아들이자 문주왕의 동생으로, 일본에 파견되어 가와치 지역 개척에 기여했으며 귀국 후 내신좌평에 임명되었고 무령왕 탄생 설화와 관련되어 일본에서 숭배받는 인물이다.
  • 백제의 외교관 - 동성자막고
    동성자막고는 554년 백제에서 일본에 파견되어 오경박사 등과 함께 백제의 선진 문물을 일본에 전파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 백제의 외교관 - 왕인
    왕인은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하고 학문을 가르친 백제의 학자로, 실존 여부와 출신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일본에 문물을 전파한 인물로 숭상받는다.
  • 5세기 한국 사람 - 고조다
    고조다는 고구려 장수왕의 아들이자 문자명왕의 아버지로, 태자와 고추대가를 역임했으나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손자인 문자명왕이 왕위를 이었다.
  • 5세기 한국 사람 - 이사부
    이사부는 신라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우산국 정벌, 병부령 역임, 국사 편찬 건의, 가야 정벌 참여 등 신라의 영토 확장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양무 (백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양무
원어명楊茂
한글양무
한자楊茂
히라가나요우 보우
로마자 표기Yang Mu
직책
직책백제의 행건위장군조선태수
군주백제 개로왕
군주 칭호국왕
개인 정보
출생일미상
출생지미상
사망일미상
사망지미상
매장지미상
국적백제
성별남성
부모미상
경력 정보
계급미상
근무미상
참전미상

2. 생애

남제 무제(武帝)로부터 건위장군광릉태수(建威將軍廣陵太守)를 받았다. 백제 동성왕 및 백제 개로왕 때에 중국과의 외교에서 활동했으며, 행건위장군조선태수(行建威將軍朝鮮太守)로서 사마(司馬)를 겸하였다. 490년에 동성왕의 요청에 따라 남제에 파견되었다.

3. 인물 및 배경

490년, 동성왕은 실추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그 중 하나는 고구려 수군에 의해 황해의 해상 교통로가 차단된 것에 따른 고립을 타개하기 위해 대 중국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었다.[6]。같은 해, 양무(楊茂)는 행건위장군 조선태수 겸 사마의 직함으로, 행건위장군 광양태수 겸 장사 고달 및 행선위장군 겸 참군 회매와 함께 남제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이때, 동성왕은 친서로 무제에게 사신의 관직을 하사해 줄 것을 요청했고, 무제는 양무에게 건위장군 광릉태수의 관직을 하사했다.[6]

개로왕 시대인 467년471년유송에 사신으로 파견되었고, 동성왕 시대에도 계속해서 대 중국 외교의 최전선에서 활약했다. 그 공으로 남제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는데, 양무의 관직이 광릉태수라는 점에 주목하여, 백제의 화북 진출과 관련짓는 견해가 있지만, 이러한 중국계 관리의 대 중국 외교 등용은 중국 입조 시 백제 사신이 더 좋은 대우를 받기 위한 것이며, 실질적인 의미는 없다.[7]。그러나, 양무의 관직이 광릉태수라는 점으로 미루어 양무의 출신이 "광릉", 즉 중국 동북부일 가능성을 시사한다.[7]。한편, 가토 겐키치는, 313년조선식민지낙랑군 멸망 후, 지배층의 한인계 유민은 백제를 비롯한 신라, 고구려 등으로 분산·흡수되었지만, 490년에 남제에 사신으로 함께 파견된 고달조선식민지낙랑군의 낙랑고씨의 흐름을 잇는 인물로 판단되는 점[8], 23년낙랑군에서 반란을 일으킨 왕조를 살해한 낙랑군의 "군결조리" 양읍 등, 낙랑군에서 군료가 된 토착 한인의 양씨도 있었으며, 낙랑왕씨나 낙랑고씨와 마찬가지로, 낙랑양씨도 백제에 귀속되었을 가능성이 고려되는 점 등을 근거로, 양무는 낙랑양씨의 흐름을 잇는 인물로 판단하고 있다.[8]

3. 1. 출신 배경

490년, 동성왕은 왕권 강화를 위해 대 중국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자 했다.[6] 양무(楊茂)는 행건위장군 조선태수 겸 사마 직함으로 남제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무제에게서 건위장군 광릉태수 관직을 받았다.[6]

양무는 개로왕 시대부터 대 중국 외교에서 활약했으며, 그 공으로 남제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7] 양무의 관직이 광릉태수라는 점에서 백제의 화북 진출과 관련짓는 견해도 있지만, 실질적인 의미는 없으며, 중국 입조 시 백제 사신이 더 좋은 대우를 받기 위한 것이었다.[7] 그러나 광릉태수라는 직함은 양무가 중국 동북부 출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7]

가토 겐키치는 313년 조선식민지낙랑군 멸망 후 지배층 한인계 유민이 백제 등에 흡수되었고, 490년 남제에 함께 파견된 고달이 낙랑고씨의 흐름을 잇는 인물로 판단되는 점[8], 23년 낙랑군에서 반란을 일으킨 왕조를 살해한 양읍낙랑군 토착 한인 양씨도 있었으며, 이들이 백제에 귀속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양무를 낙랑양씨의 흐름을 잇는 인물로 판단한다.[8]

4. 백제 국왕 막부와 양무

고대 시대의 조선, 중국, 일본 삼국 제국의 중앙 정치 제도를 보면, 국가의 일반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외조와 최고 집권자의 측근으로 군주권을 지탱하던 내조가 병존했다.[9] 사료에 따르면 백제의 국왕 막부는 구이신왕 5년(424년)부터 동성왕 17년(495년)까지 약 70년 동안 존재했다.[10] 구이신왕은 중국동진안제로부터 의희 12년(416년)에 "사지절 도독 백제 제군사 진동장군 백제왕"에 책봉되었고, 이 책봉과 함께 중국 왕공부의 막부제를 모방하여 자신의 막부를 개설한 것으로 보인다.[10] 이와 관련하여 고구려광개토왕중국으로부터 요동·대방 2국왕에 책봉된 후, 막부를 개설한 사실이 참고가 된다.[10]

5세기백제에서는 국왕 막부가 개설되어 내조적 기능이 수행되었고, 그 속료의 장사, 사마, 참군 등의 직함을 가진 인물들이 국왕의 측근에서 근시 신료로서 기능했다.[10] 구이신왕, 개로왕, 동성왕대의 시대가 다른 국왕 막부의 속료 10명을 일별하면, 왕족인 여례를 제외하면, 장씨 3명, 고씨, 양씨, 회씨, 모씨, 진씨가 각 1명씩이고, 진씨, 해씨를 비롯한 백제의 유력 귀족의 성씨를 가진 인물이 전혀 없다. 이는 백제의 국왕 막부가 전통귀족과는 출신이 다른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음을 시사하지만, 국왕 막부가 국왕의 사적인 세력 기반이라는 점과 그 내조적 기능을 보면 당연한 인적 구성이며, 백제왕은 전통 귀족과는 다른 성격의 인물을 막부 속료로 발탁했다. 주목할 점은 중국계 성씨를 가진 인물이 많다는 것이며, 낙랑군·대방군한인 유민을 막부 속료로 기용한 것으로 보인다.[10] 이 점은 고구려광개토왕의 국왕 막부가 중국 출신의 망명객 에 의해 관장되었다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며, 백제의 국왕 막부의 속료가 대중국 외교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것은 이러한 출신 신분에 기인했다.[10] 백제왕전통귀족과는 출신 신분이 다른 인물을 자신의 막부 속료로 발탁하여, 그것을 개인적인 세력 기반으로 삼아, 상좌평 중심의 귀족 세력의 견제에서 벗어나려 했다.[11]

백제의 국왕 막부의 속료[12]
시기인명기보유 관직백제왕 사서 관직임명 추인 관직 (작호)임명 요청 사유국가
구이신왕 5년 (424년)장위장사사절유송
개로왕 18년 (472년)여례부마도위·장사챔피언 장군·불사후미상사신북위
개로왕 18년 (472년)장무사마용양장군·대방태수미상사신북위
동성왕 8년 (490년)고달장사행 건위장군·광양태수건위장군·광양태수선례·사신·변효변숙저·근로공무남제
동성왕 8년 (490년)양무사마행 건위장군·조선태수건위장군·조선태수선례·사신·지행청일·공무불폐남제
동성왕 8년 (490년)회매참군행 선위장군선위장군선례·사신·집지·주밀·루치근효남제
동성왕 17년 (495년)모유장사행 용양장군·낙랑태수용양장군·낙랑태수사신·재관망사 유공시무 견위수명 도난불고남제
동성왕 17년 (495년)왕무사마행 건무장군·성양태수건무장군·성양태수사신·재관망사 유공시무 견위수명 도난불고남제
동성왕 17년 (495년)장새참군행 진무장군·조선태수진무장군·조선태수사신·재관망사 유공시무 견위수명 도난불고남제
동성왕 17년 (495년)진명?행 양무장군양무장군사신·재관망사 유공시무 견위수명 도난불고남제


4. 1. 백제 국왕 막부 속료

백제의 국왕 막부는 424년 구이신왕 5년부터 495년 동성왕 17년까지 약 70년 동안 존재했다.[10] 구이신왕은 중국 동진으로부터 "사지절 도독 백제 제군사 진동장군 백제왕"에 책봉되면서 중국 왕공부의 막부제를 모방하여 자신의 막부를 개설한 것으로 보인다.[10] 고구려 광개토대왕중국 으로부터 요동·대방 2국왕에 책봉된 후 막부를 개설한 사실이 참고가 된다.[10]

5세기 백제에서는 국왕 막부가 개설되어 내조적 기능이 수행되었고, 그 속료인 장사, 사마, 참군 등의 직함을 가진 인물들이 국왕의 측근에서 근시 신료로서 기능했다.[10] 백제 국왕 막부 속료는 전통 귀족과는 출신이 다른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중국계 성씨를 가진 인물이 많았다.[10] 이들은 낙랑군·대방군한인 유민으로 보이며, 대중국 외교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10] 백제왕은 이들을 개인적인 세력 기반으로 삼아 귀족 세력을 견제하려 했다.[11]

백제의 국왕 막부의 속료[12]
시기인명기보유 관직백제왕 사서 관직임명 추인 관직 (작호)임명 요청 사유국가
구이신왕 5년 (424년)장위장사사절유송
개로왕 18년 (472년)여례부마도위·장사챔피언 장군·불사후미상사신북위
개로왕 18년 (472년)장무사마용양장군·대방태수미상사신북위
동성왕 8년 (490년)고달장사행 건위장군·광양태수건위장군·광양태수선례·사신·변효변숙저·근로공무남제
동성왕 8년 (490년)양무사마행 건위장군·조선태수건위장군·조선태수선례·사신·지행청일·공무불폐남제
동성왕 8년 (490년)회매참군행 선위장군선위장군선례·사신·집지·주밀·루치근효남제
동성왕 17년 (495년)모유장사행 용양장군·낙랑태수용양장군·낙랑태수사신·재관망사 유공시무 견위수명 도난불고남제
동성왕 17년 (495년)왕무사마행 건무장군·성양태수건무장군·성양태수사신·재관망사 유공시무 견위수명 도난불고남제
동성왕 17년 (495년)장새참군행 진무장군·조선태수진무장군·조선태수사신·재관망사 유공시무 견위수명 도난불고남제
동성왕 17년 (495년)진명?행 양무장군양무장군사신·재관망사 유공시무 견위수명 도난불고남제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中華的崩潰與擴大:魏晉南北朝 https://books.google[...] 台湾商務印書館 2018-03-01
[2] 서적 중국계 백제관료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2-09
[3] 뉴스 한국 고대사회 外來人의 존재양태와 사회적 역할 https://cms.dankook.[...] 檀國大學東洋學硏究院 2017-07
[4] 뉴스 5호16국·남북조 상쟁기 이주민과 고구려·백제 http://contents.nahf[...] 国史編纂委員会
[5] 서적 백제의 주민과 이주 여성 한국여성사학회 2017
[6] 뉴스 양무 楊茂,?~? https://www.doopedia[...]
[7] 뉴스 양무(楊茂) http://encykorea.aks[...]
[8] 간행물 フミヒト系諸氏の出自について https://iss.ndl.go.j[...] 古代学協会
[9] 서적 百済内朝制度試論 学習院大学史学会 2003-03-20
[10] 서적 百済内朝制度試論 学習院大学史学会 2003-03-20
[11] 서적 百済内朝制度試論 学習院大学史学会 2003-03-20
[12] 서적 百済内朝制度試論 学習院大学史学会 2003-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