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 방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양육 방식과 양육 습관의 차이
- 3. 양육 방식의 역사적 기원과 이론
- 4. 바움린드의 양육 유형론
- 5. 애착 이론
- 6. 다양한 양육 방식
- 6.1. 애착 양육
- 6.2. 자녀 중심 양육
- 6.3. 긍정적 양육
- 6.4. 자기애성 양육
- 6.5. 양육적 양육 (Nurturant parenting)
- 6.6. 과잉 보호 (Overparenting)
- 6.7. 무관심한 통제 (Affectionless control)
- 6.8. 슬로우 육아 (Slow parenting)
- 6.9. 독성 양육 (Toxic parenting)
- 6.10. 병리적 양육 (Pathogenic parenting)
- 6.11. 돌고래 양육 (Dolphin parenting)
- 6.12. '소수 민족' 양육 방식 ('Ethnic minority' parenting style)
- 6.13. 얼로페어런팅 (Alloparenting parenting style)
- 6.14. 무조건적 양육 (Unconditional parenting)
- 6.15. 강력 양육 (Strong parenting)
- 7. 기능 장애적인 양육 방식
- 8. 문화 간 차이
- 9. 성별에 따른 양육 방식의 차이
- 10. 차별적 양육
- 참조
1. 개요
양육 방식은 부모가 자녀를 키우는 데 사용하는 다양한 행동과 정서적 기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양육 방식은 양육 습관과 구분되며, 아동의 사회화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역사적으로 존 로크, 장 자크 루소 등 철학자들이 양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바움린드는 권위적,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 방식을 제시했다. 이후 맥코비와 마틴은 이를 확장하여 네 가지 양육 방식을 정의했다. 다양한 양육 방식에는 애착 양육, 자녀 중심 양육, 긍정적 양육, 자기애성 양육 등이 있으며, 기능 장애적인 양육 방식은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양육 방식은 문화적 차이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형제자매 간의 차별적인 양육은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아 - 보육
보육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돌봄을 의미하며, 국가별로 다양한 시스템과 형태를 가지며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와 불평등 문제도 존재한다. - 육아 - 베이비시터
베이비시터는 아이를 돌보는 직업 또는 그 직업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일본에서는 민간 자격증을 통해 전문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교육학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 교육학 -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은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 충족과 교육권 보장을 위해 법적으로 규정된 교육 계획으로, 학생, 학부모, 교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팀에 의해 개발 및 관리되지만, 운영 과정에서 어려움과 비판이 존재하며 국가별 차이가 있다. - 심리학 - 정동 (심리학)
정동은 심리학에서 감정가, 각성, 동기적 강도로 구성되며, 표현 방식, 원인, 뇌 과학적 연구와 관련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심리학 - 불안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고, 불안 장애는 과도한 불안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치료 방법이 존재한다.
양육 방식 | |
---|---|
개요 | |
정의 | 양육 방식은 자녀 양육에 대한 부모의 전반적인 접근 방식을 말한다. |
중요성 | 자녀의 사회성 발달, 학업 성취도, 심리적 적응에 큰 영향을 미친다. |
관련 연구 | Diana Baumrind, Eleanor Maccoby, John Martin 등의 학자들이 양육 방식 연구에 기여했다. |
주요 양육 방식 | |
권위주의적 양육 (Authoritarian Parenting) | 높은 통제와 낮은 반응성을 특징으로 한다. 부모는 엄격한 규칙을 설정하고 자녀의 의견을 거의 반영하지 않는다. "해야 한다", "하지 말아야 한다"와 같은 명령적인 어조를 사용한다. 자녀는 복종적이고 순종적이지만 불안, 우울, 낮은 자존감을 경험할 수 있다. |
권위 있는 양육 (Authoritative Parenting) | 높은 통제와 높은 반응성을 특징으로 한다. 부모는 합리적인 규칙을 설정하고 자녀의 의견을 경청하며 설명한다. 자녀의 독립성을 장려하고 지지적인 태도를 보인다. 자녀는 자존감이 높고 사회성이 좋으며 학업 성취도가 높을 가능성이 크다. |
허용적인 양육 (Permissive Parenting) | 낮은 통제와 높은 반응성을 특징으로 한다. 부모는 자녀에게 거의 제한을 두지 않고 지나치게 관대하다. 자녀의 요구를 쉽게 들어주고 규칙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지 않는다. 자녀는 충동적이고 자기 통제력이 부족하며 사회성이 떨어질 수 있다. |
무관심한 양육 (Uninvolved Parenting) | 낮은 통제와 낮은 반응성을 특징으로 한다. 부모는 자녀에게 무관심하고 방임적인 태도를 보인다. 자녀의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자녀는 낮은 자존감, 사회적 문제, 학업 부진을 경험할 수 있다. |
추가적인 양육 방식 | |
헬리콥터 양육 (Helicopter Parenting) | 자녀의 삶에 지나치게 관여하고 모든 어려움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양육 방식이다. 자녀의 독립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 |
자유방임형 양육 (Laissez-faire Parenting) | 자녀에게 최소한의 지침과 제한을 제공하는 양육 방식이다. 자녀는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책임을 져야 한다. |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부모의 성격 및 경험 | 부모 자신의 성장 배경, 가치관, 신념 등이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
사회문화적 요인 | 사회의 문화적 규범, 가치관, 경제적 상황 등이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
자녀의 특성 | 자녀의 기질, 성격, 발달 단계 등이 부모의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
양육 방식의 효과 | |
자녀의 사회성 발달 | 권위 있는 양육은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자녀의 학업 성취도 | 권위 있는 양육은 자녀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
자녀의 심리적 적응 | 안정적인 애착 관계와 지지적인 양육 환경은 자녀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된다. |
비판 및 논쟁 | |
문화적 차이 | 서구 문화에 기반한 양육 방식 연구 결과가 다른 문화권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상황적 요인 | 양육 방식의 효과는 자녀의 특성, 사회경제적 환경 등 다양한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2. 양육 방식과 양육 습관의 차이
크리스토퍼 스페라(Christopher Spera)의 2005년 문헌 고찰에 따르면, 달링(Darling)과 스타인버그(Steinberg)는 1993년 연구에서 양육 방식과 양육 습관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양육 방식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전반적인 정서적 분위기를 의미하며, 양육 습관은 특정 행동을 지칭한다.[151]
2. 1. 양육 습관의 영향
크리스토퍼 스페라(Christopher Spera)의 2005년 문헌 고찰에 따르면, 달링(Darling)과 스타인버그(Steinberg)는 1993년 연구에서 양육 방식과 양육 습관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양육 습관은 아이의 사회화를 위해 사용하는 특정 행동이며, 양육 방식은 부모가 아이를 키우는 정서적 기후(emotional climate)이다.[151] 램본(S. Lamborn), 돈부쉬(S. Dornbusch), 달링(N. Darling), 스타인버그(L. and Steinberg)는 청소년 발달에 양육 습관이 끼치는 영향에 주목한 연구를 도왔다.[156]한 연구는 아이의 성과와 지속적인 양육 행동의 조치 사이의 차이를 연관시켰다. 연구에서 언급된 요소로는 지지, 간여, 온정, 인식, 통제, 주시, 심한 처벌 등이 있다.[157][158] 부모의 지지, 감독, 엄격한 경계 설정은 고등학교 성적과 연관되며, 행동 문제와는 덜 연관되지만 정신 건강과는 더 잘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159] 이러한 요소들은 나이 제한이 없으며 미취학 아동부터 대학교까지 적용될 수 있다.[160]
3. 양육 방식의 역사적 기원과 이론
17세기부터 존 로크와 장 자크 루소는 양육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제시했으며, 이후 장 피아제, 에릭 에릭슨, 루돌프 드레이커스 등 다양한 학자들이 양육 이론을 발전시켰다.
존 로크는 아동 발달에서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장 자크 루소는 아동이 세상과 상호작용하며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장 피아제는 인지 발달 이론을 통해 아이들이 세상을 인식하고 추론하는 방식을 설명했다.[18] 에릭 에릭슨은 8가지 생애 단계를 제시했다.[20][21] 루돌프 드레이커스는 청소년기 이전 아동의 비행이 사회 집단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서 발생한다고 보았다.[23]
프랭크 퓨레디는 부모의 행동이 결정적이지 않다고 믿으며 '영아 결정론'을 비판했다.[26] 팀 길은 저서 ''두려움 없음''에서 부모와 어린이 책임자의 과도한 위험 회피를 우려했다.[28] 주디스 리치 해리스는 ''양육 가정''에서 양육이 아동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으나,[30] 최근 연구는 부모가 자녀에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34]
3. 1. 존 로크의 교육론
존 로크는 1693년에 교육에 관한 몇 가지 고찰이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은 청교도적 관점에서 교육학의 기초로 잘 알려져 있다. 로크는 아이들이 경험을 통해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먼저 몸을 튼튼하게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1762년에는 프랑스 철학자 장 자크 루소가 에밀, 또는 교육론이라는 교육에 관한 책을 썼다.[16] 루소는 아이들이 어릴 때 책보다는 세상과 직접 부딪히며 배우는 것이 더 많다고 말했다. 루소는 슬로우 육아에, 로크는 계획적 양육에 더 가까운 주장을 펼쳤다.[17]3. 2. 장 자크 루소의 교육론
1762년, 프랑스 철학자 장 자크 루소는 교육에 관한 책 ''에밀, 또는 교육론''을 출판했다.[16] 그는 조기 교육은 책보다는 아이가 세상과 상호 작용하는 데서 더 많은 것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루소는 슬로우 육아에 더 가깝다.[17]3. 3.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은 아이들이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추론하는지를 설명한다.[18] 피아제의 이론은 '감각 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로 구성된 발달 단계 이론이다. 피아제는 아동 발달 및 심리학 분야의 선구자였으며, 과학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부모, 교육자 및 다른 이론가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19]3. 4. 에릭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발달 심리학자 에릭 에릭슨은 각 개인이 발달해야 하는 8가지 생애 단계를 제시했다. 8단계를 거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극복해야 할 위기가 있고, 다음 단계로의 성장을 장려하는 새로운 딜레마가 존재한다.[20][21] 각 단계에서 두 가지 상반된 힘을 이해하고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따라서 부모는 각 단계에서 적절한 일련의 양육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그의 8단계 중 처음 5단계는 아동기에 발생한다. 희망이라는 덕목은 신뢰와 불신 사이의 균형을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출생부터 1세까지 발생한다. 의지는 2세에서 3세 사이에 자율성과 수치심 및 의심 사이의 균형을 이룬다. 목적은 4세에서 6세 사이에 주도성과 죄책감의 균형을 이룬다. 능력은 7세에서 12세 사이에 근면함과 열등감의 균형을 이룬다. 성실은 13세에서 19세 사이에 정체성과 역할 혼란을 대조한다. 나머지 성인 덕목은 사랑, 배려, 지혜이다.[22]3. 5. 루돌프 드레이커스의 민주적 양육 이론
루돌프 드레이커스는 청소년 전기 아동의 비행은 사회 집단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아이들이 네 가지 잘못된 목표를 순서대로 추구한다고 주장했는데, 먼저 ''관심''을 구하고, 그것을 얻지 못하면 ''권력''을 추구하고, 다음으로 ''복수''를, 마지막으로 ''부적절함''을 느낀다고 했다.[23]드레이커스는 이러한 비행을 관리하고 학습과 행복을 장려하기 위해 민주적인 가족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처벌을 피하면서 정기적인 민주적 가족 회의를 여는 방식을 제안했다.[24] 또한, 아이들에게 책임감을 가르치고 올바른 규칙의 자연스러운 결과와 부적절한 행동의 논리적 결과를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논리적이고 자연스러운 결과"를 제시했다.[25]
3. 6. 프랭크 퓨레디와 팀 길의 비판적 양육 이론
프랭크 퓨레디는 육아와 가족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사회학자이다. 그는 부모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보다 덜 결정적이라고 믿는다. 그는 ''영아 결정론''[26]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유아기에 겪는 일에 의해 한 사람의 삶의 전망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진실성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거나 없다고 주장한다. 상업, 정부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은 끊임없이 부모에게 자녀를 위해 더 많은 것을 하고 더 걱정하도록 유도하려고 하지만, 그는 아이들이 거의 모든 상황에서 잘 발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 퓨레디는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스티브 피터슨의 말을 인용한다. "발달은 정말 일어나고 싶어합니다. 발달을 방해하려면 매우 열악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그냥] 아이를 벽장에 가두거나, 굶기거나, 프라이팬으로 머리를 때리지 마세요."[27] 마찬가지로 언론인 팀 길은 그의 저서 ''두려움 없음''에서 부모와 어린이 책임자의 과도한 위험 회피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28] 이러한 위험 회피는 아이들이 위험에 대처하고, 모험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성인 기술을 개발할 기회를 제한한다.[29]3. 7. 주디스 리치 해리스의 양육 가설 비판
주디스 리치 해리스는 1998년에 ''양육 가정''을 출판하여, 행동 유전학을 포함한 과학적 증거들이 심각한 아동 학대나 아동 방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형태의 양육이 아동 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30] 그녀는 유전적 영향과 아이들이 참여하는 또래 집단과 관련된 사회적 영향이라는 두 가지 주요 영향 요인을 제시했다.[31] 다양한 양육 방식의 효과는 모두 유전, 광범위한 문화, 그리고 아이들이 부모가 자신을 대하는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착각이라고 주장했다.[32] 그러나 해리스는 "부모의 양육이 이전보다 덜 중요해 보이는 것 같다"는 점을 "부모는 중요하지 않다"는 암시로 과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33]최근 연구는 부모가 자녀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부모의 성격 특성이 자녀의 성격 특성보다 자녀의 결과에 대한 더 나은 예측 변수라고 제안되었다.[34]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육아는 입양아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따뜻한 입양 양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양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줄이는 것으로 밝혀졌다.[35]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생후 27개월에 따뜻한 입양 양육은 6세 및 7세 아동의 외현화 문제의 낮은 수준을 예측했다.[36]
4. 바움린드의 양육 유형론
다이애나 바움린드는 '바움린드의 양육 유형'으로 알려진 양육 방식 분류에 집중한 연구자이다. 크리스토퍼 스페라(Christopher Spera)의 2005년 문헌 검토에 의하면, 달링(Darling)과 스타인버그(Steinberg)의 1993년 연구에서 양육 방식과 양육 습관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양육 습관은 아이의 사회화를 위하여 사용하는 특정 행동을 의미한다. 반면 양육 방식은 부모가 아이를 키우는 정서적 기후(emotional climate)이다.[151]
바움린드는 그녀의 연구에서 성공적인 양육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4가지 기본 요소, 즉 반응성 대 무반응성, 요구성 대 무요구성을 발견했다.[37] 부모의 반응성은 부모가 지지적이고 수용적인 방식으로 자녀의 필요에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나타낸다.[38][39][40][41] 부모의 요구성은 부모가 자녀의 행동에 대해 정해 놓은 규칙, 자녀가 이러한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기대, 그리고 이러한 규칙을 어길 경우 따르는 결과의 수준을 나타낸다.[42]
바움린드는 연구를 통해 권위적 양육, 권위주의적 양육, 허용적 양육의 세 가지 초기 양육 방식을 확인했다. 맥코비와 마틴은 양육 방식을 요구성과 무요구성의 두 가지 뚜렷한 범주로 나누어 바움린드의 세 가지 원래 양육 방식을 확장하여 방임적 양육을 포함한 네가지 양육 방식을 제시하였다.[43]
4. 1. 네 가지 양육 방식
다이애나 바움린드는 양육 방식을 분류하는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양육에 필요한 4가지 기본 요소로 반응성, 무반응성, 요구성, 무요구성을 제시했다.[37] 부모의 반응성은 자녀의 필요에 대한 지지와 수용 정도를, 부모의 요구성은 자녀 행동에 대한 규칙, 규칙 준수 기대, 위반 시 결과 수준을 의미한다.[38][39][40][41][42]바움린드는 권위적 양육, 권위주의적 양육, 허용적 양육의 세 가지 양육 방식을 제시했고, 맥코비와 마틴은 이를 확장하여 방임적 양육을 추가, 총 네 가지 양육 방식을 제안했다.[43]
요구적 | 무요구적 | |
---|---|---|
반응적 | 권위적 | 관대한 |
비반응적 | 권위주의적 | 방임적 |
바움린드는 부모가 처벌적이거나 무관심해서는 안 되며, 자녀에게 규칙과 애정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44] 이러한 양육 방식은 아동 학대가 아닌 정상적인 양육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45]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의 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46]
챈들러, 헤퍼, 터너는 양육 방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행동적 문제,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47]
4. 1. 1. 권위적 양육 방식
다이애나 바움린드는 양육 방식을 분류하는 연구를 주도했다. 그녀는 반응성과 요구성이라는 두 가지 기본 요소를 통해 양육 방식을 설명했다. 부모의 반응성은 자녀의 필요에 대한 지지와 수용 정도를 나타내며, 부모의 요구성은 자녀의 행동에 대한 규칙, 규칙 준수에 대한 기대, 그리고 규칙 위반 시 따르는 결과의 수준을 의미한다.[38][39][40][41][42]바움린드는 권위적 양육, 권위주의적 양육, 허용적 양육의 세 가지 양육 방식을 제시했다. 이후 맥코비와 마틴은 요구성과 무요구성이라는 두 범주를 추가하여 네 가지 양육 방식으로 확장했다.[43]
요구적 | 무요구적 | |
---|---|---|
반응적 | 권위적 양육 | 관대한 (허용적 양육) |
비반응적 | 권위주의적 양육 | 방임적 |
바움린드는 부모가 처벌적이거나 무관심해서는 안 되며, 자녀를 위해 규칙을 정하고 애정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44] 이러한 양육 방식은 아동 학대와 같은 비정상적인 경우가 아닌 정상적인 양육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45]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의 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일관성 부족, 부정적 의사소통 증가, 감독 감소, 모호한 규칙 설정, 더 반응적이고 덜 주도적인 태도, 가혹한 징계 행동 등이 이에 해당한다.[46]
챈들러, 헤퍼, 터너는 양육 방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행동적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학업 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47]
4. 1. 2. 권위주의적 양육 방식
다이애나 바움린드는 양육 방식을 분류하는 연구를 주도했다. 바움린드는 양육 방식을 반응성과 요구성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분했다. 부모의 반응성은 부모가 자녀의 필요에 얼마나 지지적이고 수용적인 방식으로 반응하는지를 나타낸다. 부모의 요구성은 부모가 자녀의 행동에 대해 정해 놓은 규칙과, 자녀가 이러한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기대, 그리고 규칙을 어길 경우 따르는 결과의 수준을 나타낸다.[42]바움린드는 권위적 양육, 권위주의적 양육, 허용적 양육의 세 가지 양육 방식을 확인했다. 이후 맥코비와 마틴은 바움린드의 연구를 확장하여 요구성과 무요구성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네 가지 양육 방식을 제시했다.
요구적 | 무요구적 | |
---|---|---|
반응적 | 권위적 | 허용적 |
비반응적 | 권위주의적 | 방임적 |
바움린드는 부모가 처벌적이거나 무관심해서는 안 되며, 자녀를 위해 규칙을 정하고 애정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44] 이러한 양육 방식은 아동 학대와 같은 비정상적인 양육이 아닌 정상적인 양육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다.[45]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 행동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일관성 부족, 부정적 의사소통 증가, 감시 감소, 모호한 규칙 설정, 더 가혹한 징계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챈들러, 헤퍼, 터너는 양육 방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및 행동적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47]
4. 1. 3. 허용적 양육 방식
다이애나 바움린드의 연구에서 발견된 양육 방식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인 부모의 반응성은 부모가 지지적이고 수용적인 방식으로 자녀의 필요에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나타낸다.[38][39][40][41] 반면 부모의 요구성은 부모가 자녀의 행동에 대해 정해 놓은 규칙, 자녀가 이러한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기대, 그리고 이러한 규칙을 어길 경우 따르는 결과의 수준을 나타낸다.[42]맥코비와 마틴은 양육 방식을 요구성과 무요구성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바움린드의 세 가지 원래 양육 방식(권위적 양육, 권위주의적 양육, 허용적 양육)을 확장했다. 이 구분을 통해 정의된 네 가지 새로운 양육 방식 중 하나가 관대한 양육 방식, 즉 허용적 양육 방식이다.[43]
요구적 | 무요구적 | |
---|---|---|
반응적 | 권위적/전파적 | 관대한 (허용적) |
비반응적 | 권위주의적/전체주의적 | 방임적 |
4. 1. 4. 방임적 양육 방식
다이애나 바움린드는 양육 방식을 분류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바움린드는 부모의 반응성과 요구성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양육 방식을 나누었다. 부모의 반응성은 자녀의 필요에 얼마나 지지적이고 수용적인 방식으로 반응하는지를 의미한다.[38][39][40][41] 부모의 요구성은 자녀의 행동에 대해 정해 놓은 규칙과 그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기대, 그리고 규칙을 어길 경우 따르는 결과의 수준을 의미한다.[42]맥코비와 마틴은 바움린드의 연구를 확장하여 양육 방식을 요구성과 무요구성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 방임적 양육 방식을 포함한 네 가지 양육 방식이 정의되었다.
요구적 | 무요구적 | |
---|---|---|
반응적 | 권위적 | 허용적 |
비반응적 | 권위주의적 | 방임적 |
방임적 양육 방식은 낮은 반응성과 낮은 요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양육 방식은 부모가 자녀에게 무관심하고, 적절한 지도와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바움린드는 부모가 처벌적이거나 무관심해서는 안 되며, 자녀를 위해 규칙을 정하고 애정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44]
4. 2. 문화적 차이
대부분의 양육 방식 연구는 영어권 국가에서 이루어졌으며, 권위 있는 양육 방식을 가진 부모의 자녀가 여러 영역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보여준다.[70] 그러나 아시아 인구 집단에서는 권위주의적 양육 방식이 권위 있는 양육 방식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부 연구에서는 스페인,[71] 포르투갈,[72] 브라질[73]에서 관대한 양육 방식이 우수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이러한 연구 방법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74] 더 최근의 연구에서는 스페인에서 다른 국가에서 사용된 동일한 설문지를 사용했을 때 권위 있는 양육 방식이 여전히 자녀에게 가장 좋은 방식임을 보여주었다.[75] 또한,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양육 방식의 결과가 문화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된 도구에 의존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강압으로서의 통제를 측정하는 연구에서는 그러한 통제가 청소년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허용적인 부모의 자녀에게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행동 통제를 측정할 때 그러한 통제는 긍정적이며, 권위 있는 부모가 최고의 결과를 얻는다.[76]부모 양육 방식에 대한 이론의 상당수는 고소득 국가, 특히 미국에서 얻은 증거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부모 양육 방식과 관행의 차이로 인해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 간에는 아동 발달에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128]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아이들은 여러 명의 주요 양육자를 가질 가능성이 높고, 이중 언어 환경에서 언어를 습득하며, 다양한 연령대의 또래 집단에서 함께 놀이를 한다.[129] 그러나 저소득, 중산층, 고소득 가정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양육 방식을 비교했을 때, 경제적 자원이 증가함에 따라 부모가 아닌 다른 양육자의 수는 감소한다.[130] 또한, 국제 연구에 따르면 중국 부모는 충동 조절에 더 관심이 많으며, 이는 미국 부모에 비해 권위적인 양육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131][132] 따라서 문화 내의 사회적 가치와 규범은 아이가 문화적 기대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부모 양육 방식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132]
아동이 부모 양육 방식에 반응하는 방식에 문화적 차이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133][134] 특히, 신체적 징계와 아동에 대한 체벌을 둘러싸고 지속적인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133][135][136] 일부 학자는 여러 저소득 국가와 같이 문화적으로 규범적인 민족 집단이나 국가에서는 체벌이 덜 해로울 수 있다고 주장하며,[137] 이들 국가에서 체벌의 유병률은 여전히 높다.[138] Lansford ''et al'' (2004)은 가혹한 양육 방식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소년에 비해 백인계 미국인 청소년에게서 더 많은 외현적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다.[13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동 발달과 건강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부모 양육 중재의 문화 간 이전 가능성과 고소득 국가에서 저소득 국가로의 이전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140]
일부 부모 양육 방식은 여러 문화에서 긍정적인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다른 부모 양육 방식은 특정 문화에만 해당되는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권위 있는 부모 양육 방식은 중국 및 백인계 미국인 청소년 모두에게 긍정적인 자존감 및 학업 성과와 관련이 있지만, "소수 민족" 부모 양육 방식의 긍정적인 효과는 중국 청소년에게만 해당된다.[131] 또한 문화적 차이뿐만 아니라 문화 내의 환경 간에도 차이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141] 예를 들어, 멕시코계 미국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부모의 순종 및 자율성에 대한 기대는 학교 및 기타 사회적 환경과 가정에서 다르다.[141] 인도에 거주하는 인도 부모와 다른 국가로 이민 간 인도 부모를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문화적 전통이 부모 양육 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지리적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이민 부모는 새로운 국가에서 전통적인 관습을 보존하기 위해 전통적인 인도 문화에 더 큰 비중을 둔다는 결론을 내렸다.[142] 따라서 이민 가족에서 문화에 따른 부모 양육 방식은 무의식적인 전통이 아닌 의식적인 강화의 결과일 수 있다.[142]
4. 3. 비판
바움린드의 유형론은 지나치게 광범위한 분류와 권위적인 양육 방식에 대한 부정확하고 지나치게 이상화된 묘사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비판을 받아왔다.[7] 저자 알피 콘(Alfie Kohn)은 바움린드가 "선호하는 접근 방식[권위적인 양육 방식]은 확고함과 배려의 조화로 간주되지만 실제로는 매우 전통적이고 통제 지향적이다."[77]라고 주장하며, 이 유형론이 "혼란스러워하는 '허용적인' 부모와 의도적으로 민주적인 부모 간의 차이를 모호하게 만든다"고 덧붙였다.[78] 콘이 선호하는 접근 방식은 권위주의에 반대하지만 존중하는 성인의 지도와 무조건적인 사랑을 장려하며, 이는 바움린드의 유형론에서는 설명되지 않는다.웬디 그롤닉(Wendy Grolnick) 박사는 권위적 양육에 대한 묘사에서 "확고한 통제"라는 용어 사용에 대해 비판하며, 강압적인 권력 행사(어린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관련됨)와 구조 및 높은 기대의 긍정적인 역할 사이를 명확히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9]
캐서린 C. 루이스(Catherine C. Lewis)는 권위적 양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서 부모의 통제와 관련된 긍정적인 효과가 부모가 통제를 행사하는 경향보다는 자녀가 순종하려는 의지에서 비롯될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80] 루이스는 또한 연구에서 확고한 통제의 효과를 그에 수반되는 다른 양육 방식의 효과와 충분히 분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자녀의 결과가 확고한 통제의 척도보다는 그러한 수반되는 양육 방식에 기인할 수 있다.
5. 애착 이론
애착 이론은 존 볼비와 메리 앤즈워스가 발전시킨 이론으로, 부모와 자녀 간의 애착 관계가 자녀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81] 이 이론은 아이들이 외부 세계로부터 자신을 보호해 줄 보호자와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려는 측면을 다룬다.[81] 아이와 어머니 사이에 형성되는 유대감은 아이가 성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아이의 울음, 미소, 어머니에게 매달리는 행동을 통해 나타난다. 아기들은 위험, 두려움, 혼란을 느낄 때 이러한 애착 행동을 보이며, 스트레스가 사라지고 관계에서 안전함을 느끼면 주변 세상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82]
5. 1. 애착 유형
존 볼비와 메리 앤즈워스에 의해 애착 이론이 만들어졌다.[81] 이 이론은 부모와 자녀의 애착(특히 유아기)에 초점을 맞추며, 아이들이 외부 세계로부터 보호해 줄 보호자와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는 측면을 다룬다.[81] 아이와 어머니 사이에 형성되는 유대감은 아이가 성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아이와 어머니 사이의 애착은 “아이의 울음, 미소, 어머니에게 매달리는 행동”을 통해 볼 수 있으며, 아기들은 위험하거나, 두렵거나, 혼란스러울 때 이러한 애착 기술에 의존한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사라지고 그 관계 때문에 안전하다고 느끼면 유아 또는 어린이는 주변 세상을 탐구하고 바라보는 방식을 강화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82]애착 이론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안정 애착은 아이가 보호자가 없을 때 편안하게 주변 환경을 탐험하고, 두려움을 느낄 때 편안함과 안전을 위한 기반으로 보호자를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83]
- 불안정 애착은 아이가 스스로 환경을 탐험하는 것을 꺼리고 부모로부터 위로를 받는 것을 주저하는 경우를 말한다.[81]
5. 2. 청소년기의 애착 이론
애착 이론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아기와 초기 아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지만, 청소년과 부모의 관계 역시 안정 또는 불안정 애착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81] 유아기 동안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은 내적 작동 모델을 형성하는데, 이는 아이가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미래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대해 가지는 기대감 발달의 기반이 된다.[81] 청소년이 양육자와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애착을 유지하면 문제나 걱정거리에 대해 보호자에게 이야기하고, 친구나 중요한 타인과의 대인 관계가 더욱 강해지며, 자존감 또한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81] 부모는 이해심을 표현하고, 훌륭한 의사소통 기술을 발휘하며, 자녀가 안전하게 독립적인 활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청소년기에도 안정적인 애착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83]6. 다양한 양육 방식
크리스토퍼 스페라(Christopher Spera)의 2005년 문헌 검토에 따르면, 달링(Darling)과 스타인버그(Steinberg)의 1993년 연구에서 양육 방식과 양육 습관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양육 습관은 아이의 사회화를 위해 사용하는 특정 행동을 의미한다. 반면 양육 방식은 부모가 아이를 키우는 정서적 분위기(emotional climate)를 의미한다.[151]
한 연구 연합은 아이의 성과와 지속적인 양육 행동 간의 차이를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지지, 간여, 온정, 인식, 통제, 주시, 심한 처벌 등이 양육 행동의 예시로 제시되었다.[157][158] 부모의 지지, 감독, 엄격한 경계는 고등학교 성적과 관련이 있으며, 행동 문제와는 덜 관련되지만 정신 건강과는 더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159] 이러한 요소들은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다.[160]
다양한 양육 방식 중 하나로 애착 이론에 기반한 애착 양육이 있다.
6. 1. 애착 양육
애착 양육은 심리학적 애착 이론에 의해 구성된 양육 방식이다. 심리학에서 애착은 "사람들 간의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로 정의된다.[84] 애착에는 안정, 불안정, 저항, 혼란의 네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85]- 저항 애착 관계는 보통 아이가 애착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과장된 표현으로 특징지어진다.[86] 유아는 양육자와 함께 있을 때 환경을 탐구하는 것을 주저하고 양육자로부터 관심을 받는 것에 더 집중한다.[86]
- 혼란형은 아이가 부모에게 이상하거나 양가적인 행동을 외적으로 보이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부모에게 달려들었다가 즉시 물러나서 도망치고, 몸을 웅크리거나 심지어 부모를 때리는 경우가 있다.[87]
6. 2. 자녀 중심 양육
자녀 중심 양육은 블라이스, 데이비드 다니엘이 옹호하는 양육 방식으로, 각 자녀의 진정한 필요와 개별적인 인격에 초점을 맞춘다.[88] 일부 심리학자들은 자녀 중심 양육을 제대로 실천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89]6. 3. 긍정적 양육
긍정적 양육은 권위적 양육과 일반적으로 겹치는 양육 방식으로, 자녀의 발달 단계에 맞춰 일관된 지원과 지도를 제공하는 방식이다.[90]양육적 양육은 반응적이고 공감적인 특성을 가지며, 아이들이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주변 환경을 탐구하도록 기대되는 가족 모델이다.[95] 이러한 양육 방식은 아이의 자아상, 사회적 기술,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켜 성숙하고 행복하며 균형 잡힌 어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96] 가족의 양육적이고 참여적인 양육 수준이 낮을 때 청소년이 불법 약물 및 미성년 음주에 연루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는 양육 방식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준다.[97] 양육적 양육은 아이들에게 따뜻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부모는 자녀에게 적대감과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다.[97]
6. 3. 1. 집중적 양육
집중적인 양육은 부모가 음악 수업, 스포츠/육상, 교육/학업 향상과 같은 조직적인 과외 활동을 통해 자녀의 재능을 키우려는 시도로 특징지어지는 긍정적 양육의 한 형태이다.[91]6. 4. 자기애성 양육
자기애성 부모는 자기애 또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의 영향을 받는 부모를 말한다. 전형적으로 자기애성 부모는 자녀와 배타적이고 소유적인 관계를 가지며, 자녀가 성장하면서 독립하는 것에 대해 특히 질투심을 느끼고 위협을 받을 수 있다.[92] 그 결과, 자녀가 오로지 부모의 이익을 위해 존재한다고 여겨지는 자기애적 애착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93]자기애성 부모는 다음과 같은 특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보인다.
- 자기 중요성
- 경계 존중 없음
- 전쟁과 같은 의사소통
- 가스라이팅
- 피해자 코스프레
- 학대적인 행동/방임[94]
6. 5. 양육적 양육 (Nurturant parenting)
양육적 양육은 반응적이고 공감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는 아이들이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주변 환경을 탐구하도록 기대되는 가족 모델이다.[95] 이러한 양육 방식은 아이와 그들의 기질에 대한 발달 기회를 제공하고 장려한다. 이는 아이의 자아상, 사회적 기술,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어 성숙하고 행복하며 균형 잡힌 어른으로 성장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96] 가족의 양육적이고 참여적인 양육 수준이 낮을 때, 청소년이 불법 약물 및 미성년 음주에 연루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것은 양육 방식이 얼마나 강력하고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지 보여주는 한 예이다. 양육적 양육은 아이들에게 따뜻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부모가 자녀에게 적대감과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다.[97]6. 6. 과잉 보호 (Overparenting)
과잉 보호는 부모가 자녀의 삶 모든 측면에 관여하려 하고, 종종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 하며, 자녀의 독립적인 행동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억압하는 행위를 말한다.[98] 헬리콥터 부모는 자녀의 경험과 문제에 극도로 주의를 기울이고, 특히 교육 기관에서 자녀의 모든 장애물을 제거하려는 부모를 일컫는 21세기 초의 구어체 용어이다. 과잉 보호는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을 위한 필수적인 발달을 제한한다. 헬리콥터 부모는 특히 청소년기 후반부터 성년 초기에 걸쳐 헬리콥터처럼 머리 위를 맴돌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는데, 이 시기에는 독립심과 자립심을 키우는 것이 미래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99] 현대 통신 기술은 부모가 휴대폰, 이메일, 학업 성과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자녀를 감시할 수 있게 하여 이러한 스타일을 촉진했다.[100]6. 7. 무관심한 통제 (Affectionless control)
무관심한 통제적 양육 방식은 따뜻함과 보살핌이 부족하고(낮은 부모의 양육) 과도한 통제(예: 부모의 비판 및 간섭)를 결합한 것이다. 이는 어린이의 불안[101]과 기능 장애적 태도 및 낮은 자존감[102]과 관련이 있지만, 반드시 그 원인은 아니다.[101] 부모의 무관심한 통제가 자살 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103]6. 8. 슬로우 육아 (Slow parenting)
슬로 육아는 부모가 자녀를 위해 미리 계획하고 조직하는 활동을 줄이는 대신, 자녀가 어린 시절을 즐기고 자신의 속도로 세상을 탐험하도록 장려하는 양육 방식이다.[104] 이 방식은 전자기기 사용을 제한하고, 단순한 장난감을 활용하며, 자녀가 가족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자신의 관심사를 개발하고, 스스로 성장하며, 스스로 결정을 내리도록 한다.[104]6. 8. 1. 게으른 육아
게으른 육아는 슬로 육아의 한 형태로, 아이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스스로 돌볼 수 있도록 하고, 부모도 자신을 돌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때 더 행복해질 수 있다는 생각에 기반한다.[104]6. 9. 독성 양육 (Toxic parenting)
독성 양육은 부모와 자녀 사이에 독성 관계가 형성된 열악한 양육 방식이다. 이는 자녀의 정체성 인식 능력을 완전히 파괴하고 자존감을 저하시키며, 자녀의 필요를 무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105] 이 양육 방식에서는 때때로 학대가 나타나기도 한다.[105] 독성 부모 밑에서 자란 성인은 대개 자신에게서 독성 양육 행동을 인식하지 못한다. 독성적이거나 학대적인 부모를 둔 아이들은 종종 심리적, 행동적 손상을 입으며 성장한다.[106] 독성 양육의 몇 가지 행동으로는 자녀의 말을 가로막기, 부정적인 사고의 반복, 자녀에게 지나치게 비판적인 태도, 죄책감을 이용해 자녀를 통제하려는 행위 등이 있다.[107]6. 10. 병리적 양육 (Pathogenic parenting)
병리적 양육은 자녀에게 심각한 정신 병리를 유발할 정도로 비정상적이고 왜곡된 양육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아동 심리 학대(DSM-5 V995.51)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착 시스템이 자발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기능 장애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아동의 애착 시스템에 대한 왜곡의 맥락에서 사용된다.[108]6. 11. 돌고래 양육 (Dolphin parenting)
돌고래 양육 방식은 정신과 의사 시미 강과 행복 연구원 숀 아처가 사용한 용어로, 돌고래의 본성과 유사한 양육 방식을 나타낸다. 돌고래는 "쾌활하고 사교적이며 지능적"이다.[109][110] 이는 "호랑이" 양육 방식과 대조된다.[109] 강에 따르면, 돌고래 양육 방식은 호랑이 양육 방식의 엄격함과 그녀가 "해파리 부모"라고 부르는 규칙과 기대가 없는 방식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다.[111] 돌고래 부모는 자녀의 활동을 과도하게 계획하는 것을 피하고, 과잉 보호를 자제하며, 행동과 학업 성공에 대한 기대를 설정할 때 자녀의 욕구와 목표를 고려한다.[112]6. 12. '소수 민족' 양육 방식 ('Ethnic minority' parenting style)
'소수 민족' 양육 방식은 권위주의적 양육 방식에서 파생된 미국에서 만들어진 민족 중심적 용어이며, 아시아계 이민자 가정의 자녀들에게서 많이 보이는 높은 학업 성취도를 이끌어내는 양육 방식을 의미한다.[113] 소수 민족 양육 방식은 자녀의 요구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에서는 엄격한 권위주의적 양육 방식과 다르다. 또한, 높은 수준의 요구를 하면서도 자녀의 요구를 최우선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권위적인 양육 방식과도 다르다.[113] 이 방식은 높은 요구와 높은 반응성을 결합하여 자녀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효과를 보인다.[113]6. 13. 얼로페어런팅 (Alloparenting parenting style)
얼로페어런팅은 생물학적 부모뿐만 아니라 확대 가족이나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자녀를 양육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양육 방식은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같은 중앙 아프리카 국가들, 특히 아카 수렵 채집 사회에서 흔하게 나타난다.[114] 얼로페어런팅은 지역 사회를 활용하여 부모의 부담을 덜어주고, 생물학적 부모가 일하거나 사회적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더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115] 스테파니 쿤츠(Stephanie Coontz)와 같은 일부 역사가들은 얼로페어런팅이 자녀와 성인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아이들이 확대된 관점을 통해 사랑과 신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116]6. 14. 무조건적 양육 (Unconditional parenting)
무조건적 양육 방식은 부모가 어떤 상황에서도 자녀에게 사랑과 지지를 제공하는 방식이다.[117] 이러한 유형의 양육은 보상이나 처벌을 수반하지 않고 자녀와의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아이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하므로 유익할 수 있다.6. 15. 강력 양육 (Strong parenting)
강력 양육은 부모가 원하는 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방식이다.[118]7. 기능 장애적인 양육 방식
기능 장애적인 양육 방식은 건강하지 못한 양육 방식의 징후들을 보이며,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양육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123]
- 정서적 학대 또는 성적 학대: 신체적 폭력을 사용하거나, 정서적, 성적으로 자녀를 학대하는 경우이다.[1]
- 완벽주의: 질서, 명성, 권력, 완벽한 외모에 집착하여 자녀의 실패를 막으려 한다.[1]
- 교조적 양육: 가혹하고 융통성 없는 규율을 강요하며, 자녀가 합당한 범위 내에서 반대, 권위에 대한 질문, 가치관 개발을 하지 못하게 한다.[1]
- 불공평한 양육: 한 자녀에게 극단적인 행동을 하면서 다른 자녀의 필요는 무시한다.[1]
- 박탈: 사랑, 지원, 필수품, 공감, 칭찬, 관심, 격려, 감독을 거부하거나, 자녀의 복지를 위협하는 통제 또는 방치를 의미한다.[1]
- 형제 간 학대 방치: 부모가 형제 간의 신체적, 성적 학대에 개입하지 않는 상황이다.[1]
- 유기: 자녀와 의도적으로 헤어지고, 연락을 원치 않으며, 장기적인 양육 계획 없이 고아로 남겨두는 경우이다.[1]
- 유화 정책: 나쁜 행동에 보상하고, 평화를 유지하며 성질 부리기를 피하기 위해 다른 자녀의 좋은 행동을 처벌한다.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평화")[1]
- 충성심 조작: 총애받지만 반항적인 자녀를 가장 충성스럽게 만들기 위해 자격 없는 보상과 과도한 관심을 주고, 충성스러운 자녀의 요구와 필요를 무시한다.[1]
- 헬리콥터 맘: 자녀의 삶, 형제자매 관계, 특히 사소한 갈등을 세부적으로 관리한다.[1]
- 사기꾼: 지역 사회에서 평판이 좋은 부모로, 자선/비영리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지만, 자녀 중 한 명 이상을 학대하거나 부당하게 대우한다.[1]
- 이미지 관리자: 아이들에게 집안의 싸움, 학대 등에 대해 말하지 못하게 경고하거나, 심각한 처벌로 위협한다. ("이 가족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1]
- 편집증: 자녀가 나쁜 일을 하거나 다른 사람이 해를 끼치려 한다는 비합리적인 두려움과 분노, 허위 비난을 동반한다.[1]
- 역할 반전: 어린 자녀가 부모를 돌보도록 기대한다.[1]
- 초평등주의: 어린 자녀가 나이 많은 자녀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도록 허용하거나, 나이 많은 자녀가 어린 자녀가 성숙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1]
- 경비견: 존경받는 배우자, 파트너, 자녀에게 불쾌감을 주는 가족 구성원을 맹목적으로 공격한다.[1]
- 응원자: 한 부모가 자녀를 학대하는 다른 부모를 "응원"한다.[1]
-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 부모가 관심을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녀를 아프게 하는 극단적인 상황이다.[1]
7. 1. 기능 장애 가정의 징후
기능 장애 가정에는 다음과 같은 징후들이 나타날 수 있다.[123]- 비현실적인 기대: 자녀에게 과도한 기대를 하는 것이다.
- 조롱[124]
- 조건부 사랑[124]: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사랑을 주는 것이다.
- 무시[124]: 특히 경멸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포함한다.
- 감정적 불관용[124]: 가족 구성원이 "잘못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 사회적 기능 장애 또는 고립[124]: 부모가 다른 가족, 특히 비슷한 또래의 자녀를 둔 가족에게 다가가기를 꺼리거나, "친구 없는" 자녀를 돕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경우가 해당된다.
- 억압된 언어[124]: 자녀가 반대하거나 권위에 질문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 "내면의 삶"의 부인[124]: 자녀가 자신의 가치 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 과소 또는 과잉 보호
- 무관심: ''"난 상관 안 해!"''와 같은 태도를 보인다.
- 폄하: ''"넌 아무것도 제대로 못 해!"''와 같이 자녀의 능력을 깎아내린다.
- 수치심: ''"부끄러운 줄 알아!"''와 같이 자녀에게 수치심을 준다.
- 쓴맛: 무슨 말을 하든 쓴 반언어적 어조를 사용한다.
- 위선: ''"내가 하라는 대로 해, 내가 하는 대로 하지 말고"''와 같이 말과 행동이 다르다.
- 사소한 잘못이나 사고에 대한 용서 부족
- 비판적인 발언 또는 악마화: ''"넌 거짓말쟁이야!"''와 같이 자녀를 비난하거나 악마처럼 묘사한다.
- 지나치게 비판적이고 적절한 칭찬을 하지 않음: 전문가들은 80–90%의 칭찬과 10–20%의 건설적인 비판이 가장 건강하다고 말한다.[125][126]
- 이중 잣대 또는 가치의 이중 체계를 통해 "혼합된 메시지"를 전달: 예를 들어 외부 세계용과 사적인 경우의 가치관이 다르거나, 각 자녀에게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르친다.
- 결석한 부모: 과도한 워커홀릭, 알코올/약물 남용, 도박 또는 기타 중독으로 인해 자녀에게 거의 접근할 수 없다.
-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는 충족되지 않은 프로젝트, 활동 및 약속: ''"나중에 하자"''와 같이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 다른 사람에게 마땅히 속해야 할 것을 한 자녀에게 주는 행위
- 성별 편견: 어느 한쪽 성별의 자녀에게는 공정하게 대하고 다른 쪽에게는 불공정하게 대한다.
- 성에 대한 논의 및 노출: 너무 많거나 너무 일찍, 또는 너무 적거나 너무 늦음
- 확립된 규칙보다는 감정이나 가족 정치에 더 많이 기반한 잘못된 징계: 예를 들어 처벌에 예외 없음을 적용한다.
- 약물 남용, 인격 장애 또는 스트레스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감정 상태를 갖는 경우
- 다른 사람이 잘못된 행동을 보고하거나, 교사가 학교 문제를 보고할 때 부모가 항상 (또는 결코) 자녀의 편을 듦
- 희생양 삼기: 다른 아이의 잘못을 알고 있거나 무모하게 비난하는 행위이다.
- 자녀의 문제에 대한 "터널 시야" 진단: 예를 들어 부모는 자녀가 최근 질병으로 인해 결석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뒤처지면 게으르거나 학습 장애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나이 차이 및 성숙도 수준에 따라 어린 형제자매에게 권한을 전혀 주지 않거나 과도하게 부여
- 자녀가 참여하고 싶어하는 문화적으로 일반적이고 합법적이며 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대한 동의("축복")를 자주 보류
- "만물박사": 비난할 때 자녀의 입장을 들을 필요가 없거나, 자신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한 자녀의 의견을 들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 자녀가 과도하게 자격이 있거나 자격이 없는 활동에 정기적으로 자녀를 강제로 참여시킴: 예를 들어 유치원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9세 소년을 돌보거나, 어린 자녀를 포커 게임에 데려가는 경우가 있다.
- 구두쇠("구두쇠")가 되거나 선택적으로 자녀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도록 허용: 예를 들어 아버지는 은퇴 또는 "중요한 일"을 위해 돈을 절약하고 싶어 자녀에게 자전거를 사주지 않는다.
- 천성 대 양육에 대한 의견 불일치: 종종 비생물학적인 부모는 일반적인 문제를 자녀의 유전 탓으로 돌리는 반면, 잘못된 양육이 실제 원인일 수 있다.
7. 2. "자녀를 도구로 이용하는" 양육 방식
흔히 나타나는 부적절한 양육 행동 중 하나는 다른 부모의 권리나 이익에 반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자녀를 조작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부모에 대한 가십을 퍼뜨리는 것과 같은 언어적 조작, 직접 소통하는 대신 자녀를 통해 부모와 소통(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녀를 다른 부모가 그 소통에 대해 불쾌해할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 자녀를 통해 정보를 얻으려 시도하는 것(스파이 행위), 또는 자녀의 행동이 자녀에게 미치는 해로운 영향에 대한 충분한 고려나 전혀 고려 없이 자녀가 다른 부모를 싫어하게 만드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조작의 많은 사례는 별거나 이혼으로 인한 공동 양육 상황에서 발생하지만, 삼각관계라고 알려진 온전한 가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127]7. 3. 기타 기능 장애적인 양육 방식 목록
- 학대: 신체적 폭력을 사용하거나 정서적으로 또는 성적으로 자녀를 학대하는 경우이다.[1]
- 완벽주의: 질서, 명성, 권력 또는 완벽한 외모에 집착하여 자녀가 어떤 일에도 실패하는 것을 막으려 한다.[1]
- 교리: 가혹하고 융통성 없는 규율을 강요하며, 합당한 범위 내에서 자녀가 반대하거나, 권위에 질문하거나, 자신의 가치관을 발전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1]
- 불공평한 양육: 한 자녀에게 극단적인 행동을 하면서 다른 자녀의 필요를 계속 무시한다.[1]
- 박탈: 사랑, 지원, 필수품, 공감, 칭찬, 관심, 격려, 감독을 거부하거나, 자녀의 복지를 위험에 빠뜨리는 통제 또는 방치를 의미한다.[1]
- 형제 간의 학대: 부모가 형제가 다른 형제를 신체적 또는 성적으로 학대하는 경우 개입하지 않는 상황이다.[1]
- 유기: 자녀와 의도적으로 헤어지고, 더 이상의 연락을 원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장기적인 양육 계획을 찾지 않고, 고아로 남겨두는 부모를 뜻한다.[1]
- 유화 정책: 자신의 기준에 의해서도 나쁜 행동에 보상하고, 평화를 유지하고 성질 부리기를 피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다른 자녀의 좋은 행동을 처벌하는 경우이다.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평화")[1]
- 충성심 조작: 총애받지만 반항적인 자녀가 가장 충성스럽고 예의 바르게 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현재 가장 충성스러운 자녀의 요구와 필요를 미묘하게 무시하면서, 자격 없는 보상과 과도한 관심을 준다.[1]
- 헬리콥터 맘: 자녀의 삶 또는 형제자매 간의 관계, 특히 사소한 갈등을 세부적으로 관리한다.[1]
- 사기꾼: 지역 사회에서 평판이 좋은 부모로, 일부 자선/비영리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으며, 자녀 중 한 명 이상을 학대하거나 부당하게 대우한다.[1]
- 이미지 관리자: 아이들에게 집에서 일어나는 싸움, 학대 또는 피해에 대해 공개하지 않도록 경고하거나, 심각한 처벌에 직면하게 한다. ("이 가족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1]
- 편집증: 자녀가 좋지 않은 일을 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해를 끼치려 한다는 지속적이고 비합리적인 두려움과 분노와 허위 비난을 동반한다.[1]
- 역할 반전: 어린 자녀가 부모를 돌보도록 기대한다.[1]
- 초평등주의: 어린 자녀가 나이 많은 자녀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도록 허용하거나, 나이 많은 자녀가 어린 자녀가 성숙해질 때까지 몇 년을 기다려야 한다.[1]
- 경비견: 자신의 존경받는 배우자, 파트너 또는 자녀에게 약간의 불쾌감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는 가족 구성원을 맹목적으로 공격한다.[1]
- 응원자: 한 부모가 동시에 자녀를 학대하는 다른 부모를 "응원"한다.[1]
-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 부모가 의사 및 기타 전문가로부터 관심을 구하는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자녀를 아프게 하는 극단적인 상황이다.[1]
8. 문화 간 차이
양육 방식에 대한 이론들은 대부분 고소득 국가, 특히 미국의 사례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 간에는 양육 방식과 관행의 차이로 인해 아동 발달에 큰 차이가 존재한다.[128]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아이들은 여러 명의 양육자를 두고, 이중 언어 환경에서 언어를 배우며, 다양한 연령대의 또래 집단에서 함께 놀이를 한다.[129] 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정에서는 경제적 자원이 많을수록 부모 외 다른 양육자의 수는 줄어든다.[130] 국제 연구에 따르면 중국 부모는 충동 조절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는 미국 부모에 비해 권위적인 양육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131][132] 이처럼 문화 내의 사회적 가치와 규범은 아이가 문화적 기대를 충족하도록 돕는 양육 방식 선택에 영향을 준다.[132]
아동이 부모의 양육 방식에 반응하는 방식에도 문화적 차이가 있다.[133][134] 특히, 신체적 징계와 체벌을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33][135][136] 일부에서는 체벌이 문화적으로 용인되는 저소득 국가에서는 덜 해로울 수 있다고 주장하며,[137] 이들 국가에서 체벌은 여전히 만연하다.[138] Lansford ''et al''(2004)의 연구에서는 가혹한 양육 방식이 백인계 미국인 청소년에게서 더 많은 외현적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13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동 발달과 건강 개선을 위해 양육 중재의 문화 간 이전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140]
어떤 양육 방식은 여러 문화에서 긍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지만, 다른 양육 방식은 특정 문화에서만 나타나는 결과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권위 있는 양육 방식은 중국 및 백인계 미국인 청소년 모두에게 긍정적인 자존감 및 학업 성과와 관련이 있지만, "소수 민족" 양육 방식의 긍정적인 효과는 중국 청소년에게만 해당된다.[131] 문화적 차이뿐만 아니라 문화 내 환경 간에도 차이가 있다.[141] 예를 들어, 멕시코계 미국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부모의 순종 및 자율성에 대한 기대는 학교 및 기타 사회적 환경과 가정에서 다르다.[141] 인도에 거주하는 인도 부모와 다른 국가로 이민 간 인도 부모를 비교한 연구에서는, 문화적 전통이 양육 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지리적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이민 부모는 새로운 국가에서 전통적인 관습을 보존하기 위해 전통적인 인도 문화에 더 큰 비중을 둔다고 결론지었다.[142] 따라서 이민 가족에서 문화에 따른 양육 방식은 무의식적인 전통이 아닌 의식적인 강화의 결과일 수 있다.[142]
9. 성별에 따른 양육 방식의 차이
부모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다른 양육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143] 특히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그렇다.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는 딸에게 더 감정적이고 정신적으로 반응한다.[144] 이로 인해 아버지는 딸과 아들 사이에서 다른 양육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는 아들의 남성성에 초점을 맞춰 독립성에 대해 가르치는 경향이 있다. 아버지는 딸을 더 부드럽게 대하며 다른 사람을 돌보는 능력을 중시한다.[145]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어머니는 딸과 아들에 대해 감정적 또는 정신적 차이를 느끼지 않는다.[144] 어머니는 자녀의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한 양육 방식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146]
10. 차별적 양육
차별적인 양육 방식은 형제자매가 부모로부터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양육 스타일이나 행동을 받는 경우를 말한다.[52] 이는 자녀가 청소년인 가정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각 자녀가 부모의 행동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52] 연구에 따르면 부모를 권위적으로 인식하는 자녀는 일반적으로 더 행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기능하는 경향이 있다.[52] 가족 내의 차별화 정도를 분석할 때, 각 자녀에게 향하는 반응성(온정, 민감성, 긍정성의 구체적인 특성 포함), 통제, 관대함, 부정성의 수준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147] 차별적인 양육 방식은 종종 공유되지 않는 환경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형제자매가 같은 집에서 자라면서 서로 다른 경험을 하고, 환경에 따라 다른 개인적인 결과를 얻는 경우를 말한다.[148]
자녀가 둘 이상인 대부분의 가정에서 부모는 자녀가 가장 잘 반응하는 방식에 따라 양육 스타일을 조정하지만, 차별적인 양육 방식이 심하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47] 차별적인 양육 방식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양쪽 자녀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147] 이러한 영향의 심각성은 덜 선호되는 자녀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47] 덜 선호되는 자녀는 일반적으로 낮은 자존감과 우울증과 같은 다양한 개인적 발달 문제를 겪는다.[147] 반면, 선호되는 자녀는 자존감이 높고 학교에서 더 많은 친구를 사귀는 경향이 있다.[147]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선호되는 자녀와 덜 선호되는 자녀 모두 대인 관계에서 문제를 겪으며, 감정 조절에도 어려움을 겪는 경향이 있다.[147] 높은 수준의 차별적인 양육 방식은 형제자매 간의 행동 방식과 형제 관계의 갈등 수준에도 영향을 미친다.[147] 연구에 따르면 이는 부분적으로 자녀가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기 때문이다.[147]
차별적인 양육 방식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한 가지 이론은 사회적 비교이다.[149] 사회적 비교는 청소년이 보호자로부터 받는 대우와 형제자매가 받는 대우를 비교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대우에 대한 비교는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자녀의 자존감 형성 및 가족 역학 내에서 인식되는 역할에 매우 중요하다.[150] 세월이 흐르고 청소년이 성장하고 성숙해짐에 따라 가정 내 차별적인 양육 방식에 대한 인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이 보호자의 의도적인 차별적인 대우(의도적인지 여부에 관계없이)를 인식하는 경우, 우울증, 불안 등 내면화된 증상과 위험 감수, 비행과 같은 외적 분출을 통해 보호자에게 불공정한 대우를 비언어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0] 부모의 차별적 대우는 연구자들에 의해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관적인 현상"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인식에 근거하기 때문이다.[150]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남아 있지만, 알려진 바에 따르면 차별적인 양육 방식에서 비롯되는 사회적 비교에 기인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Practices,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 School Achievement
2005-06-01
[2]
간행물
Parenting
Routledge
2006-06-30
[3]
서적
The Developing Person Through the Life Span
Worth Publishers
2011-02-18
[4]
뉴스
7 Ways Your Childhood Affects How You'll Parent
https://www.psycholo[...]
2015-07-30
[5]
서적
Encyclopedia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2008
[6]
논문
Effects of Authoritative Parental Control on Child Behavior
1966
[7]
논문
Current research on parenting styles, dimensions, and beliefs
2017-06
[8]
논문
Six Dimensions of Parenting: A Motivational Model
2005-05
[9]
논문
Socialization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1948
[10]
논문
The critical role of nurturing environments for promoting human well-being
2012
[11]
논문
Impact of Parenting Practices on Adolescent Achievement: Authoritative Parenting, School Involvement, and Encouragement to Succeed
1992-10
[12]
논문
Family processes and the competence of adolescents and primary school children
1988-02
[13]
논문
Family Acceptance and Family Control as Predictors of Adjustment in Young Adolescents: Linear, Curvilinear, or Interactive Effects?
1994-08
[14]
논문
Unpacking Authoritative Parenting: Reassess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1999-08
[15]
논문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2002-08
[16]
서적
Émile, ou De l'éducation
https://archive.org/[...]
Amsterdam, J. Néaulme
[17]
서적
Encyclopedia of Special Education
Wiley
2014
[18]
서적
Developmental Psychology: From Infancy to Adulthood
Pearson Education Australia
[19]
논문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Critical Review
https://zenodo.org/r[...]
2019
[20]
서적
Identity: Youth and Crisis
W. W. Norton & Company
[21]
논문
An Eriksonian measure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s
1969-07
[2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Psychology
2016
[23]
논문
Psychology in the Classroom by Rudolf Dreikurs
1957-Winter
[24]
간행물
Parenting Education
http://www.encyclope[...]
Gale, Farmington, USA
2003
[25]
서적
Elsevier's Dictionary of Psychological Theories
Elsevier
2006
[26]
서적
Paranoid Parenting: Why Ignoring the Experts May Be Best for Your Child
Allen Lane
[27]
웹사이트
Baby Steps
http://www.gladwell.[...]
2000-01-10
[28]
서적
No fear: Growing up in a Risk Averse Society
http://www.gulbenkia[...]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29]
논문
Playing it too safe
2007
[30]
논문
The Nurture Assumption: Why Children Turn Out the Way they Do by Judith Rich Harris
1999-03
[31]
서적
Reader's guide to the social sciences
[32]
논문
The Nurture Assumption: Why Children Turn Out The Way They Do
2000-05-13
[33]
뉴스
The Parent Trap
https://www.washingt[...]
1998-09-29
[34]
논문
Is parent personality associated with adolescent outcomes for their child? A response surface analysis approach
2023-01-06
[35]
논문
Charting the trajectories of adopted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impact of early adversity and postadoptive parental warmth
2021-08
[36]
논문
Warm Parenting and Effortful Control in Toddlerhood: Independent and Interactive Predictors of School-Age Externalizing Behavior
2016-08
[37]
논문
Child care practices anteceding three patterns of preschool behavior
1967-02
[38]
논문
Parental Disciplinary Patterns and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1978-03
[39]
서적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A Cultural Approach
Pearson Education
[40]
서적
An Introduction to Development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Wiley
2017-09-21
[41]
서적
Interpersonal Development
2017
[42]
서적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A Cultural Approach
Pearson
[43]
서적
Manual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 development
John Wiley and Sons
1983
[44]
문서
A topical approach to life-span development, third Ed.
McGraw-Hill
2007
[45]
웹사이트
Parenting Style and Its Correlates
http://www.athealth.[...]
2009-06-14
[46]
웹사이트
Become a Positive Parent - 5 Types of Parenting Styles
https://lifeguideblo[...]
2019-10-04
[47]
논문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Students
2009-05
[48]
웹사이트
Encyclopedia
https://www.encyclop[...]
2022-01-21
[49]
서적
The Developing Person Through the Life Span
Worth Publishers
2011
[50]
웹사이트
All about th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http://mama.essortme[...]
Pagewise
2007-09-23
[51]
문서
Parenting Styles
[52]
서적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A Cultural Approach
Pearson
[53]
서적
The Developing Person Through the Life Span
Worth Publishing
2011
[54]
논문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Emotion Dysregulation: The Role of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Family Chronic Stress
2019-12
[55]
간행물
The Role of Parents in the Development of Peer Group Competence
1992
[56]
서적
The Developing Person Through the Lifespan
Worth Publishers
2011
[57]
논문
Beyond Parental Control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Understanding Chinese Parenting through the Cultural Notion of Training
[58]
웹사이트
What's Your Parenting Style?
http://www.theantidr[...]
Parents. The Anti-Drug. National Youth Anti-Drug Media Campaign.
2009-06-14
[59]
논문
Effectiveness of laws and policies governing permissive parenting in pursuit of the reduction of severe child abuse in Germany
2020
[60]
논문
Parenting Styles and Aggression Among Young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http://repository.lo[...]
2019-08
[61]
웹사이트
Knowing Yourself and Your Children
http://www.drma.com/[...]
2014-12-07
[62]
논문
The Relation of Parenting Style to Adolescent School Performance
[63]
논문
Parental permissiveness, control, and affect and drug use among adolescents
2013-03
[64]
웹사이트
Parenting
http://www.kingdomso[...]
2019-12-06
[65]
웹사이트
Teens and alcohol study: Parenting style can prevent binge drinking
http://news.byu.edu/[...]
Brigham Young University
2014-12-09
[6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 Self and Other
2013
[67]
논문
The Impact of Authoritative & Neglectful Parenting Style on Educational Performance of Learners at High School Level
http://www.raijmr.co[...]
2014-11
[68]
웹사이트
Parental neglect and its effect
https://www.whiteswa[...]
2018-09-21
[69]
논문
Parenting Style and Youth Outcomes in the UK
2011-06
[70]
간행물
Parenting Style and Its Correlates
1999-03
[71]
논문
Consequences of the family socialization in the Spanish culture
http://www.psicothem[...]
2004
[72]
논문
Parenting and Adolescents' Self-esteem: The Portuguese Context
2013-03-11
[73]
논문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s' Self-Esteem in Brazil
2007-06
[74]
논문
Relaciones familiares y desarrollo adolescente
2006-01-12
[75]
논문
Testing the alleged superiority of the indulgent parenting style among Spanish adolescents
2016-11
[76]
논문
Measurement and Function of the Control Dimension in Parenting Styles: A Systematic Review
2019
[77]
논문
A7 Punished by Rewards
http://dx.doi.org/10[...]
1994-12
[78]
서적
Unconditional Parenting: Moving from Rewards and Punishments to Love and Reason
Simon and Schuster
2006
[79]
논문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Power Assertion, Control, and Structure: Commentary on Baumrind
2012
[80]
논문
The effects of parental firm control: A reinterpretation of findings
1981-11
[81]
서적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A Cultural Approach
Pearson Education
[82]
논문
Adolescent-parent attachment: Bonds that support healthy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83]
논문
The origins of attachment theory: John Bowlby and Mary Ainsworth
1992-09
[84]
서적
The Developing Person Through the Life Span
2011
[85]
서적
The Developing Person Through the Life Span
2011
[86]
웹사이트
AboutKidsHealth
https://www.aboutkid[...]
2022-06-26
[87]
웹사이트
Disorganized Attachment: How Disorganized Attachments Form & How They Can Be Healed
https://www.psychali[...]
2022-06-27
[88]
웹사이트
wethechildrenfoundation.com
[89]
웹사이트
The Failure of Child-Centered Parenting
https://www.psycholo[...]
2020-07-20
[90]
웹사이트
The Positive parenting centre
http://www.the-posit[...]
2014-12-10
[91]
논문
Educational Investment, Family Context, and Children's Math and Reading Growth from Kindergarten through the Third Grade
2008-01
[92]
문서
Clone Being
2004
[93]
문서
Codependency
1995
[94]
웹사이트
Traits of Children with Narcissistic Parents
https://michaelgquir[...]
2022-06-27
[95]
논문
Predictors of nurturant parenting in teen mothers living in three generational families
1994-06-01
[96]
웹사이트
Nurturant Parenting: Characteristics & Impact on Kids – Cafewhiz
https://cafewhiz.com[...]
2019-12-10
[97]
논문
Nurturant-Involved Parenting and Adolescent Substance Use: Examining an Internalizing Pathway through Adolescent Social Anxiety Symptoms and Substance Refusal Efficacy
PubMed Central
2017
[98]
논문
Overparenting and Narcissism in Young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ontrol
2018-11
[99]
논문
Smothering Mothering: 'Helicopter parents' are landing big in child care cases
2010-11
[100]
뉴스
Hovering Parents No Big Deal for Freshmen
2008-01-24
[101]
서적
Psychiatric Disorders: Current Topics and Interventions for Educators
https://books.google[...]
Corwin Press
2017-09-24
[102]
서적
Understanding Depress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7-09-24
[103]
논문
Parental affectionless control and suicidality
[104]
웹사이트
What is Slow-Parenting?
https://archive.nyti[...]
The New York Times
2009-04-08
[105]
웹사이트
12 Types of Parenting Styles and Child Discipline Strategies
http://www.positive-[...]
Positive-parenting-ally.com
2012-05-02
[106]
논문
Behavioural consequences of child abuse
2013-08
[107]
웹사이트
4 Examples of Toxic Parenting and How to Fix Them
https://www.quickand[...]
2024-11-12
[108]
문서
Foundations: An Attachment-Based Model of Parental Alienation
2015-02
[109]
웹사이트
Dolphin Parenting: Raising Kids to Be Smart and Happy
http://health.usnews[...]
2013-08-01
[110]
서적
The Dolphin Way: A Parent's Guide to Raising Healthy, Happy, and Motivated Kids—Without Turning into a Tiger
Jeremy P. Tarcher, Inc.
2014
[111]
웹사이트
What's a 'Dolphin Parent'? Psychiatrist Decodes Parenting Styles
http://www.parenting[...]
2014-09-09
[112]
간행물
A Case for Parenting the Dolphin–Not Tiger–Mom Way
https://time.com/946[...]
2014-05-11
[113]
논문
Asian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Views from Eastern and Western Perspectives
https://www.ingentac[...]
2015-03-01
[114]
논문
The effects of residential locality on parental and alloparental investment among the Aka foragers of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2005-03
[115]
웹사이트
Alloparenting and How it Really Does Take a Village to Raise a Child
http://motherhoodinp[...]
2016-04-27
[116]
웹사이트
What Scientific Term or Concept Ought to be More Widely Known?
https://www.edge.org[...]
2017
[117]
웹사이트
16 Parenting Styles - Psychology and Impact on Children
https://amyandrose.c[...]
2021
[118]
웹사이트
Is Commando Parenting style good for your child?
https://www.aaida.in[...]
2020-09-24
[119]
웹사이트
What 'gentle parenting' can teach us about car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https://www.popsci.c[...]
2021-07-28
[120]
웹사이트
What Is Gentle Parenting?
https://health.cleve[...]
2022-08-05
[121]
논문
The Study of Comprising Parenting Style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2013-12-20
[122]
서적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2022
[123]
서적
The Abusing Family
https://archive.org/[...]
Insight Books
1990-04
[124]
서적
If You Had Controlling Parents: How to Make Peace with Your Past and Take Your Place in the World
Diane Publishing Company
[125]
웹사이트
Praise, encouragement and rewards
https://raisingchild[...]
Raising Children Network
2011-04-10
[126]
뉴스
13 Signs Of A Toxic Parent That Many People Don't Realize
https://www.lifehack[...]
2016-01-02
[127]
논문
Problem-Solving Therapy: New Strategies for Effective Family Therapy. By Jay Haley. San Francisco, Calif.: Jossey-Bass, 1976. 275 pp. $13.95
http://dx.doi.org/10[...]
1977-05
[128]
논문
Cultural differences in parenting styles and their effects on teens' self-esteem, perceived paren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satisfaction
https://kilthub.cmu.[...]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07-01-01
[129]
논문
Some Growth Points in African Child Development Research: Child Development in Africa: Views From Inside
2014-12
[130]
논문
Mothers' and Fathers' Behaviors Toward Their 3- to 4-Month-Old Infants in Lower, Middle, and Upper Socioeconomic African American Families
2005-09
[131]
논문
Maternal Socialization Goals, Parenting Styles, and Social-Emotional Adjustment Among Chinese and European American Young Adults: Testing a Mediation Model
2010-10-29
[132]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in Beijing, China and the western United States
2005
[133]
논문
Corporal punishment by parents and associated child behaviors and experiences: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2002
[134]
논문
The Ethnic Context of Child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 Implications for Child and Family Interventions
2007-06-25
[135]
논문
The Long-Term Health Consequences of Child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11-27
[136]
논문
Children's assessments of corporal punishment and other disciplinary practices: The role of age, race, SES, and exposure to spanking
2010-05
[137]
논문
The Special Problem of Cultural Differences in Effects of Corporal Punishment
https://scholarship.[...]
2010
[138]
간행물
Child disciplinary practices at home: Evidence from a range of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https://data.unicef.[...]
2010
[139]
논문
Ethnic differences in the link between physical discipline and later adolescent externalizing behaviors
2004-05
[140]
논문
Transporting Evidence-Based Parenting Programs for Child Problem Behavior (Age 3–10) Between Countri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1
[141]
논문
Parents' Goals for Children: The Dynamic Coexistence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Cultures and Individuals
2008-02
[142]
논문
Parenting and Adolescent Identity: A Study of Indian Families in New Delhi and Geneva
2006-09
[143]
웹사이트
Influence on children's gender development
https://www.extensio[...]
2014-12-11
[144]
논문
Child gender influences paternal behavior, language, and brain function
2017-06
[145]
논문
Are sons and daughters treated more differently by fathers than by mothers?
https://linkinghub.e[...]
1987-09-01
[146]
논문
Editorial Board
http://dx.doi.org/10[...]
1998-01
[147]
논문
Differential parenting and children's social understanding
2017-08
[148]
논문
Differential parenting and sibling jealousy: Developmental correlates of young adults' romantic relationships
2007-12
[149]
논문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1954-05
[150]
논문
Individual and Sibling Characteristics: Parental Differential Treatment and Adolescent Externalizing Behaviors
2018-12
[151]
논문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Practices,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 School Achievement
https://archive.org/[...]
2005-06-01
[152]
백과사전
Parenting
Routledge
2006-06-30
[153]
서적
The Developing Person Through the Life Span
Worth Publishers
2011-02-18
[154]
논문
The critical role of nurturing environments for promoting human well-being.
2012
[155]
웹인용
Parenting Styles
http://search.credor[...]
James J. Ponzetti Jr
2014-10-22
[156]
논문
Impact of Parenting Practices on Adolescent Achievement: Authoritative Parenting, School Involvement, and Encouragement to Succeed
https://archive.org/[...]
1992
[157]
논문
Family processes and the competence of adolescents and primary school children
http://dx.doi.org/10[...]
1988-02
[158]
논문
Family Acceptance and Family Control as Predictors of Adjustment in Young Adolescents: Linear, Curvilinear, or Interactive Effects?
http://dx.doi.org/10[...]
1994-08
[159]
논문
Unpacking Authoritative Parenting: Reassess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http://dx.doi.org/10[...]
1999-08
[160]
논문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https://archive.org/[...]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