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하는 열대 아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꽃봉오리와 어린 줄기를 식용하는 채소이다. 일본에서는 '묘가'라고 불리며, 일본, 대만, 한국 등지에서 자생한다. 꽃이삭, 어린 싹의 줄기를 식용하며, 일본에서는 채소로 재배한다. 양하는 숲속 식물로 음지에서 잘 자라며, 세 가지 변이종 품종이 있다. 주요 생산지는 일본 고치현이며, 항암 효능, 소화 촉진, 이뇨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문화적으로는 생강 문양이 무사들에게 사용되었으며, 하이쿠의 계절어로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꽃채소 - 브로콜리
    브로콜리는 녹색 꽃차례와 줄기를 식용하는 채소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에 이로운 효능이 있다.
  • 꽃채소 - 아티초크
    아티초크는 남유럽 지중해 연안 원산의 국화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꽃봉오리의 꽃받침과 꽃턱을 식용하며 독특한 맛과 풍미, 다양한 영양 성분과 효능을 지녀 전 세계적으로 요리에 활용되고 잎, 줄기, 뿌리는 차로도 이용된다.
  • 줄기채소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 줄기채소 - 죽순
    죽순은 대나무의 어린 순으로, 온대지방에서는 초봄, 열대지방에서는 여름에 땅속줄기에서 빠르게 자라 2~3개월 후 어린 대나무가 되며, 전 세계 약 100종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갓 채취한 죽순은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우후죽순'과 같은 속담에도 등장한다.
  • 생강과 - 카다멈
    카다멈은 그린 카다멈과 블랙 카다멈을 포함하는 향신료로, 인도, 과테말라,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생산되며 요리와 음료에 사용되는 고급 향신료이자 고대부터 사용된 사프란, 바닐라 다음으로 비싼 향신료이다.
  • 생강과 - 봉술
    봉술은 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뿌리줄기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인도네시아와 태국 요리에 활용되고 한의학에서는 봉출이라는 약재로, 전통 의학에서는 염증, 통증, 피부 질환 등에 사용되었으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비누 제조 등에 사용된다.
양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오가 꽃
미오가
학명Zingiber mioga
학명 명명자(Thunb.) Roscoe (1807)
일본어茗荷 (미ョー가)
영어Myoga, Japanese ginger
분류
식물계
문 (미분류)속씨식물군
강 (미분류)외떡잎식물군
생강목
생강과
생강속
미오가 (Z. mioga)
이명
용어
제주도 방언양애

2. 명칭

원래 일본에서는 "메가"라고 불렸다. "메가"는 "싹 향기"의 뜻이라는 설과, "형 향기(세노카, 이후 쇼가전화)"에 대응하는 "여동생 향기(메노카)"가 변하여 된 것이라는 설이 있다(단, "세"의 반대말은 "이모"이며, "메"는 "오"와 대응한다. 게다가, "세" "이모"는 (친한 이성을 가리키는) 나이 불문의 호칭이며, (동성 간의) 상하를 가리키는 것은 "에" "오토"이다[8][9].)

"묘가"로 전음된 이유에 관해서는, 일본어 내부의 변천으로 파악한다면 "메노카/메가" > "멘가" > "메우가" > "묘가"와 같은 추정을 하게 되지만, 중고의 자료에는 "뱌우가"라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생각하기 어렵다. 한어 "양하"의 오음 "냐우가"의 간섭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다[10]

다음과 같은 속설도 있다.

석가의 제자 중에, 주리반특이라는, 특히 머리가 나쁜 자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이름조차 잊어버렸기 때문에, 석가가 "반특"이라고 쓴 깃발을 만들게 하여, 등에 지게 했다. 그러나 깃발을 지고 있다는 것조차 잊어버리고, 마침내 죽을 때까지 이름을 기억할 수 없었다. 주리반특의 사후, 묘에서 낯선 풀이 돋아났다. 그래서 "이름"을 "짊어지다"는 의미에서, 이 풀을 "명아(茗荷)"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11]

영어 이름은, 일본어 이름 그대로 Myoga(미요가)라고 불리는 외, Japanese Ginger(재패니스 진저: 직역하면 "일본의 생강"이라는 의미)라는 이명도 있다.

3. 특징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m 내외이다. 잎은 2줄로 어긋나게 붙는다. 잎새는 30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가늘고 뾰족하다. 잎집 부분은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겨울에는 땅 윗부분은 마른다. 땅속부분으로는 다육질의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고, 초가을에 땅속줄기의 마디 부분에서 꽃줄기가 나오며 그 끝이 땅 위로 드러나서 꽃이삭이 달린다. 꽃이삭은 다수의 꽃턱잎이 좌우 2줄로 겹쳐 있으며 전체 길이는 5cm~7cm로 약간 편평한 모양이다. 꽃턱잎은 홍갈색이고 꽃턱잎 사이에서 담황색의 꽃이 1개씩 핀다. 드물게 열매를 맺고 흰 헛종피에 싸인 구형의 검은 종자가 여문다.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지에 자생하고 있다.[7] 일본 외에는 대만한국의 일부에서도 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채소로 재배도 하고 있으며, 식용으로 하는 것은 일본뿐이다. 일본에서는 나라현도다이지 쇼소인 중창에 보관되어 온 『쇼소인 문서』에도 기술이 보이는 등, 그 역사는 오래되었다.

풀의 키는 40cm~100cm 정도까지 자란다.[12] 잎은 줄기 양쪽에 3~4개씩 어긋나기로 붙어 있으며, 길이는 20cm~30cm의 가늘고 긴 타원형으로 끝부분은 뾰족하다.[12] 전체적인 모습은 재배되는 생강과 비슷하다. 지상부에 보이는 잎을 동반한 줄기 모양의 것은 가짜 줄기이다.[13]

꽃은 담황색의 하루살이 꽃으로, 포기 밑동의 땅 근처에 길이 10cm 정도의 죽순 모양의 봉오리를 붙여 여러 개 핀다. 극히 드물게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온도가 높을 때 열매를 맺는다고 한다.

꽃이삭 및 어린 줄기가 식용으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꽃이삭인 "꽃생강"을 단순히 생강이라고 하지만, 어린 줄기를 차광하여 연백 재배한 "생강순"도 있다.[7] 암수한그루로, 꽃술에도 수술, 암술 모두 갖춰진 양성화가 개화하지만, 5배수체이기 때문에, 수정해도 어미와 같은 수의 염색체 수가 되는 것은 드물다. 번식은 지하경에 의한 영양 번식이 주를 이룬다.

4. 재배

일본의 전통 작물인 양하는 일본 시장으로 수출하기 위해 호주뉴질랜드에서 재배가 시작되었다.[3] 식용으로 재배되는 것은 일본뿐이라고 여겨진다.[7]

에도 시대에 와세다 마을, 나카자토 마을(현재의 신주쿠구 와세다쓰루마키초, 야마부키초)은 생강 생산지였으며, "우시고메의 생강은 뛰어나고 크고 맛있다"라고 칭송받았다. 붉은 빛깔이 아름답고 크며 늦게 수확하는 생강이다.

도쿄 고이시카와, 고히나타에 묘가다니라는 지명이 있는데, 이는 에도 시대에 우시고메 와세다에서 고이시카와까지 펼쳐진 생강 밭을 내려다보는 골짜기였던 데서 유래한다.

4. 1. 품종

일본의 전통 작물인 양하는 일본 시장으로 수출하기 위해 호주뉴질랜드에서 재배가 시작되었다.[3]

양하는 숲속 식물로서 성장에 필요한 특정 음지 조건을 갖는다. 영하 16도(-16°C)까지의 내한성을 가지며, 그보다 더 추운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다.[3]

세 가지 변이종 품종이 알려져 있는데, 'Dancing Crane', 'Silver Arrow' 및 'White Feather'가 그것이며, 변이종이 아닌 식물보다 내한성이 떨어진다.[3] 蕾(꽃봉오리)가 발생하는 시기에 따라 조생종인 "여름 양하"와 중생종 또는 만생종인 "가을 양하"가 있다.[7] 산지별 토착 재래종이 대부분이다.[7] 진전조생, 스와 1호, 스와 2호 등이 알려져 있다.

4. 2. 재배 방법

양하는 숲속 식물이므로 성장에 필요한 특정 음지 조건을 갖는다. -16°C까지의 내한성을 가지며, 그보다 더 추운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다.[3]

'Dancing Crane', 'Silver Arrow', 'White Feather'와 같은 세 가지 변이종 품종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변이종이 아닌 식물보다 내한성이 떨어진다.[3]

양하의 어린 싹


양하는 햇볕이 강한 곳에서는 잘 자라지 않으므로, 의 구석이나 나무 그늘이 되는 곳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 일조 시간이 짧은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뜰에서 손쉽게 재배할 수 있다. 다년생 식물이므로 한 번 심으면 매년 수확할 수 있지만, 3~4년마다 다시 심으면 생육이 좋아진다. 연작 장해는 잘 일어나지 않는다. "여름 양하"(조생종)는 이른 봄에 심어 여름에 수확하고, "가을 양하"(만생종)는 이른 봄에 심어 초가을부터 중추에 걸쳐 수확한다.

뿌리줄기를 심기 전에 퇴비를 미리 뿌려둔다. 양하의 뿌리줄기는 뿌리가 옆으로 뻗어 싹이 나온 것을 사용하며, 포기나누기를 할 때는 봄에 싹이 나오기 전에 뿌리를 파내어 3개의 싹 정도로 잘라 나눈다. 괭이로 깊이 7cm~8cm의 도랑을 파고, 포기 사이 30cm 간격으로 뿌리줄기를 심고 흙을 덮은 후 밟아준다. 심은 후 약 2~3주 후에 땅 위로 싹이 나온다. 2개월 후에는 키가 20cm 정도 되므로, 계분이나 비료 등으로 포기 사이에 첫 번째 웃거름을 주고, 이후 상태를 보면서 2주마다 2~3회 웃거름을 준다. 포기의 뿌리 부근에서 꽃줄기가 나오면, 꽃이 피기 전에 일찍 따서 수확한다. 겨울이 되면 지상부는 말라 죽지만, 이듬해 봄이 되면 다시 싹이 나온다.

4. 3. 주요 생산지

일본의 전통 작물인 양하는 일본 시장으로 수출하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재배가 시작되었다.[3] 고치현은 꽃양하의 최대 생산지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연중 재배로 2016년 4901ton을 생산하여 전국 점유율의 87%를 차지하고 있다.[14] 아키타현, 나라현 등이 뒤따르며, 노지 재배를 하고 있다.[14]

주요 생산지는 다음과 같다.

지역재배 방식비고
고치현하우스 연중 재배
나라현노지 재배꽃양하가 야마토 야채로 인정
와카야마현노지 재배
군마현노지 재배
아키타현노지 재배



지역재배 방식
미야기현연백 재배


5. 이용

양하는 주로 식용으로 사용되며, 영양 성분은 다음과 같다.

양하 꽃봉오리(생것) 100g당 영양 성분[15]
영양소
열량12kcal
수분95.6g
단백질0.9g
지방0.1g
탄수화물2.6g
식이섬유2.1g (수용성 0.4g, 불용성 1.7g)
나트륨1mg
칼륨210mg
칼슘25mg
마그네슘30mg
12mg
0.5mg
아연0.4mg
구리0.05mg
망가니즈1.17mg
셀레늄1ug
베타카로틴27ug
비타민 A3ug
비타민 E (α-토코페롤)0.1mg
비타민 K20ug
티아민 (비타민 B1)0.05mg
리보플라빈 (비타민 B2)0.05mg
나이아신 (비타민 B3)0.4mg
비타민 B60.07mg
엽산 (비타민 B9)25ug
판토텐산 (비타민 B5)0.2mg
비오틴 (비타민 B7)1.1µg
비타민 C2mg



양하의 독특한 향은 α-피넨이라는 성분 때문이며, 붉은색은 안토시아닌의 일종인 말비진 때문이다. α-피넨은 머리를 맑게 하고 식욕을 돋우며, 혈액 순환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여름철 식욕 부진이나 여름 감기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2][3]

5. 1. 한국에서의 이용

꽃이삭은 꽃양하라고 하며 식용한다. 어린 줄기를 어두운 곳에서 연백도장한 것을 양하죽이라 하며 식용한다. 양하는 번식력이 강해 갈지 않아도 잘 자라는데, 겨울에 겉겨 등을 깔아주면 추위에 상하지 않고 이듬해 봄에 일찍 발아한다. 양하죽을 얻을 때에는 발아 전에 50cm 정도 간격으로 심고 흙과 겉겨를 덮는다. 또한 그루터기를 캐어 온실에서 마찬가지로 덮고 연화 촉성시키는 것도 있다. 품종은 여름에 꽃이 피는 작은 여름양하와 가을에 꽃이 피는 큰 가을양하가 있다.

5. 2. 일본에서의 이용

양하는 일본 원산의 향신 채소이다[1]. 식용으로 사용되는 부분은 단단하게 뭉쳐진 꽃봉오리 부분이며, 상쾌한 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2]. 일본의 여름 식탁에 빠질 수 없는 식재료로, 향과 아삭한 식감을 좋아하여 초절임으로 만들거나 잘게 썰어 고명이나 국물 재료로 먹는다[2].

식용으로 사용되는 꽃봉오리 부분


식재료로서의 주된 제철은 여름에 나오는 소형의 "여름 양하"가 6월~8월, 가을에 나오는 대형의 "가을 양하"가 8월~10월로 알려져 있다[2][3]. 꽃봉오리가 통통하고 윤기가 있으며, 끝에서 꽃봉오리가 나오지 않은 것이 시장 가치가 높은 상품으로 여겨진다[2][3]. 꽃이 이미 핀 꽃 달린 양하는 요리의 장식으로 사용된다[3].

일반적으로 "꽃생강", "생강"이라고 불리는 것은 꽃줄기이며[4], 내부에는 개화 전의 꽃봉오리가 3~12개 정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 부분을 "화뢰"라고 부르기도 한다. 어린 싹을 연백 재배하여 약한 빛으로 엷은 홍색으로 착색한 것을 "생강순(생강줄기)"이라고 부른다[2]. "생강순"은 이나 초절임 등으로 해서 먹는다[3]. 땅에서 나온 꽃줄기가 꽃피기 전의 것은 "생강의 아이"라고 불린다.

독특한 향과 은은한 매운맛이 호평을 받아 면류나 냉두부의 향신료 등 향신채로 이용된다[3]. 그 외, 튀김이나 초절임, 된장국의 재료, 생선회의 곁들임, 식초 절임 등 독립된 식재료로도 사용된다[4].농가에서는 산초, 미츠바와 함께 과수원이나 정원, 수림의 그늘에 약미용으로 키워두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아크가 있으므로 요리에 사용할 때는 손질로 잘라서 물에 담가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오랫동안 담가두면 향기까지 달아난다[4].

나라현요시노 지방에서는 생강의 새싹이나 잎을 "타코나"라고 부르며, 잎으로 고등어 초밥을 싼 "타코나 초밥"을 만든다[5]. 일부 지방에서는 미ょうがぼち (기후현), 미ょうが饅頭 (구마모토현), 가마구이 떡 (돗토리현 동부)과 같은 생강 잎을 사용한 과자가 먹고 있다.

가식부 100그램(g)당 열량은 12킬로칼로리(kcal) 정도이다[2]. 미네랄의 일종인 망가니즈가 약간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4], 칼슘이나 , 비타민 D와 함께 뼈의 형성에 기여한다고 한다[4]. 무기 성분으로는 질소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 섬유 (조섬유)가 많다. 독특한 향기 성분은 α-피넨이라는 성분이며[2], 홍색의 성분은 수용성 식물 색소 안토시아닌의 일종인 말비진이다. 식물 체내에서는 포도당 1분자와 결합하여 말비진모노글리코시드로서 존재한다. α-피넨에는 머리를 시원하게 하거나 식욕 증진, 혈액 순환을 좋게 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2][3]. 식욕이 없는 여름철의 여름 감기 예방에도 이용되고 있다[3].

수확한 생강을 보존할 때는 랩 등으로 싸서 건조를 막고 냉장 보관하면 1주일 정도 보존할 수 있다[3].

6. 효능

양하는 항암 효능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5] 소화 촉진, 이뇨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봉오리를 잘게 썰어 맛과 향을 즐기는 약재로 이용되지만, 약용적인 사용법으로는 뿌리줄기를 갈아 즙을 습포 재료로 동상 부위에 붙이는 방법이 있으며, 양하를 끓인 물은 동창 치료의 민간요법에 사용되었다.[20] 또한, 줄기나 잎을 건조시킨 것을 입욕제로 사용하여 피로 회복에 활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7. 문화

민간에서는 양하를 먹으면 건망증이 심해진다는 속설이 있지만, 학술적인 근거는 없다. 오히려 양하의 향기 성분에는 집중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21]

『세설고사원』에 따르면, 원래 『동파지림』에는 "생강을 많이 먹으면 지혜를 손상시킨다"고 기록되어 있었다. 일본에서는 생강(生薑)과 양하(茗荷)의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양하로 바뀌었다고 한다.[18] 또한 『본초강목』에 따르면 도홍경이 "양하는 오래 복용하면 뜻이 적어지고 지혜가 적어지며 심기를 손상시킨다"고 기록했다고 한다.[19]

석가의 제자인 주리반특의 고사(#명칭)에서 "건망증이 심해진다"는 민간 속설이 파생되었다. 낙어와 유사한 민담 '생강 여관'이 널리 알려지면서 일반화되었다.


  • 영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전국 시대 무사 등은 전투에서 목숨이 살아남는 "명가"에 걸고 양하 문양을 선호하여 사용했다. "그림자 양하", "나베시마 양하" 등이 그 예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가문 문양으로 10대 가문 문양에 꼽힌다.
  • 하이쿠에서는 여름의 계절어로, 소면향신료 등으로 먹는다.[21]
  • 가미가타 라쿠고의 "하치고로 보즈"에서, 출가하여 득도한 하치고로가 주지 스님에게 받은 출가명을 기억하지 못하고, 주지 스님은 수리반특의 이야기를 하다가 "양하"라는 이름의 유래도 가르쳐주는 장면이 있다.[22]
  • "양하가 없으면 생강이 있다"라는 말장난이 있다.[23]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 24 p 332, 蘘荷 rang he, Zingiber mioga (Thunberg) Roscoe, Trans. Linn. Soc. London, Bot. 8: 348. 1807. http://www.efloras.o[...]
[3] 간행물 Zingiber mioga and its Cultivars, https://www.rhs.org.[...] The Plantsman.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4-12
[4] 서적 Nobu West, p. 252 https://books.google[...] Nobu and Mark Edwards 2007
[5] 논문 Suppressive Effects of Mioga Ginger and Ginger Constituents on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Generation, an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Pro-Inflammatory Genes in Macrophages, http://www.lieberton[...] Antioxidants & Redox Signaling 2005-11
[6] YList 2022-11-12
[7] 웹사이트 みょうがの需給動向 https://vegetable.al[...] 独立行政法人農畜産業振興機構 2022-03-11
[8] 웹사이트 え【▽兄】 https://dictionary.g[...] goo辞書 2023-06
[9] 웹사이트 せ【▽兄/▽夫/背】 https://dictionary.g[...] goo辞書 2023-06
[10] 웹사이트 ミョウガ/茗荷/みょうが https://gogen-yurai.[...] 語源由来辞典 2023-06
[11] 문서 旬の食材百科
[12] 웹사이트 ミョウガ https://www.city.nod[...] 野田市 2020-02-25
[13] 웹사이트 物忘れする? ミョウガ https://archive.fo/k[...] 所さんの目がテン!(日本テレビ) 2005-06-26
[14] 웹사이트 旬の食材百科(ミョウガ) https://www.foodslin[...] フーズリンク 2022-11-12
[15]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6]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7] 웹사이트 タコナ(茗荷の葉)寿司・スイレンボク https://556koro56.se[...] こころはコロコロ日録 2018-03-15
[18] 서적 諺語大辭典: 全 https://books.google[...] 藤井乙男 1910
[19] 웹사이트 本草綱目/菜之一 (Wikisource) http://zh.wikisource[...]
[20] 논문 東京家政大学構内の役に立つ野草 http://ir.tokyo-kase[...] 東京家政大学 1997
[21] 뉴스 【暦めくり】みょうが 忘れた頃に成長 読売新聞 2018-07-13
[22] 웹사이트 【上方落語メモ第1集】その17 / 八五郎坊主 http://kamigata.fan.[...] 2023-04-11
[23] 웹사이트 仕様がなければ茗荷がある(シヨウガナケレバミョウガガアル)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11-05
[24]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