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린 침략의 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린 침략의 서』(LGÉ)는 중세 아일랜드 학자들에 의해 편찬된 문헌으로, 게일인의 기원을 설명하고, 기독교 이전의 신앙을 기독교적 관점에 통합하며, 왕조들의 계보를 조작하여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 문헌은 구약성서의 이스라엘 민족과 유사한 게일인의 서사시적 역사를 부여하여, 아일랜드의 기독교 세계 연대기 편입을 시도했다. 기독교 신학서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7-8세기에 신화적 역사가 파편적으로 전해지다가 9세기에 통합되었다. 현대에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신화로 간주되며, 여러 판본과 필사본이 존재한다.

2. 기원과 편찬 의도

『에린 침략의 서』는 중세 아일랜드의 수도원 학자들과 시인들이 주도하여 편찬한 책이다. 이들은 게일인의 기원을 설명하고, 기독교 이전의 토착 신앙을 기독교적 세계관에 통합시키며, 여러 왕조의 계보를 조작하여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57]

토마스 오 라힐러는 『에린 침략의 서』(이하 ''LGÉ''로 약칭)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LGÉ''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편찬 의도가 있다고 보았다.


  • 첫째, 이전의 서로 다른 민족들의 기억을 망각해 버림으로써 인구의 통일을 꾀함.
  • 둘째, 기독교 이전 토착종교의 신들을 일개 필멸자로 격하시킴으로써 그 영향력을 약화시킴.
  • 셋째, 여러 왕조들이 알맞게 끼워맞춰질 수 있는 족보를 조작해냄.[57]


저자들은 게일인에게 구약에서 이스라엘인들이 그랬던 것과 같은 장대하고 서사시적인 역사를 부여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이 만들어진 역사는 게일인이라는 민족을 아담으로 소급되는 기독교 세계의 정사에 끼워맞추기 위한 것이었다. 그래서 작중 사건들이 구약에서 이스라엘인들이 겪은 일들과 동시기에 일어났다는 식으로 연결되곤 한다.

''LGÉ''의 게일인들은 외국의 땅에서 노예 신세가 되었다가 탈출해서 광야를 떠돌고 끝내 "약속된 땅" 아일랜드에 이르게 된다. 또한 기독교 이전에 신앙된 드루이드교켈트 신화를 기독교 신학과 역사학의 관점으로 해석해서 습합시켰다.

그러나 기독교 이전의 흔적들이 완전히 지워진 것은 아니었다. 예컨대 ''LGÉ''에 실린 시들 중에는 게일인이 아일랜드를 정착했을 때 투어허 데 다넌 여신이 게일인 남편을 얻은 것을 노래하는 시가 있다. 또한 연속되는 침략의 패턴은 티마게네스가 오늘날의 프랑스 땅의 켈트족갈리아인이 중부 유럽에서 기원했음을 기록한 것을 연상시킨다. 티마게네스는 기원전 1세기 사람인데, 4세기 사람 암미나우스 마르켈리누스가 그를 인용하여 갈리아인의 조상은 동유럽에 살았으나 계속되는 전쟁과 홍수로 서쪽으로 밀려났다고 기록한 바 있다.[58]

로버트 알렉산더 스튜어트 매칼리스터는 ''LGÉ''가 두 개의 독립적인 요소가 융합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즉, 하나는 구약의 이스라엘인들의 역사에 대응되도록 꾸며낸 "게일인의 역사"이고, 다른 하나는 게일인 이전의 아일랜드 정착에 관한 이야기들이다(다만 그 역사성은 신빙성이 없다). 후자가 전자의 중간에 삽입된 것이 ''LGÉ''의 형태이다.

2. 1. 주요 참고 자료

『에린 침략의 서』 편찬에는 다음과 같은 기독교 신학서와 중세 역사서들이 큰 영향을 미쳤다.[57]

『에린 침략의 서』의 저자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5세기 저서 『신국론』과 같은 종교 텍스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 외에도, 9세기에 웨일스에서 쓰여진 『브리튼인의 역사』,[59][60] 유진 오커리의 『고대 아일랜드사 사본 자료에 관한 강의』(1861),[34] 10세기와 11세기에 쓰여진 역사시들, 그리고 다음 네 시인들의 작품이 참고되었다.

  • 오허 우어 플렌 (936년생–1004년몰)
  • 플란 마니스트레크 막 에크히그린 (1056년몰)
  • 타나더 (1075년경몰)
  • 길러 콜만 막 길러 삼한더 (1072년 활동)


11세기에 어떤 익명의 학자가 이러한 자료들을 종합하여 초기 판본의 『에린 침략의 서』를 완성했다. 이 책은 9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사용된 중세 게일어로 쓰여졌다.

3. 주요 내용

『에린 침략의 서』는 천지창조부터 게일인의 기원, 그리고 아일랜드에 도래한 여러 민족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크게 10개의 장으로 구성된다.[61]



"밀의 아들들의 도래", 스티븐 리드의 삽화

3. 1. 천지창조와 게일인의 초기 역사

창조 이후 모든 인류는 아담에서 노아의 아들들을 거쳐 비롯되었다. 그 중 야벳은 유럽인들의 조상(야벳족)인데, 야벳의 아들 마곡은 게일인과 스키타이인의 조상이 된다. 마곡의 손자 페누스 파르사드는 스키티아의 왕이자 게일인의 중시조가 된다. 페누스의 아들 넬(Nel)은 이집트 파라오의 왕녀 스코타와 결혼하여 고이델 글라스를 낳는다. 고이델 글라스는 바벨탑이 무너진 후 언어의 혼란 속에서 72개의 언어 중 좋은 부분을 골라 고이델어(게일어)를 만들었다.[61] 고이델의 후손인 고이델인(게일인)은 이스라엘인들이 이집트를 떠날 때(출애굽기)와 같은 시기에 이집트를 떠나 스키티아에 정착한다.

3. 2. 아일랜드에 도래한 민족들

반트리 만. 카사르 일행은 이곳에서 상륙했다고 한다.


『에린 침략의 서』는 여러 민족이 아일랜드에 차례로 도래했다고 기록한다.

3. 3. 왕조 시대

브레오간의 탑 꼭대기에서 아일랜드를 엿본 이스는 일행과 함께 섬으로 항해한다. 그는 알레아크 네이트로 가서 투아하 데 다난의 세 왕, 마크 컬, 마크 케흐트, 마크 그레인을 만난다. 그러나 그는 이름 모를 공격자들에게 살해당하고 그의 부하들은 이베리아로 돌아간다. 게일족은 그의 죽음을 복수하고 아일랜드를 차지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출항한다. 이들은 여기에서 밀 에스파인의 아들들(또는 밀레시안)이라고 불린다. "밀 에스파인"이라는 이름은 라틴어 "밀레스 히스파니아"(Miles Hispaniae, "히스파니아의 군인")에서 유래했다. 그들이 상륙한 후, 그들은 투아하 데 다난과 포모르족의 연합군과 싸운다. 그들은 타라로 가는 길에 아일랜드의 세 왕의 아내인 반바, 포들라, 에리우를 세 산에서 만난다. 각 여신은 게일족이 자신의 이름을 따서 땅의 이름을 짓도록 요구한다. 게일족 중 한 명인 아메르긴은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한다. 타라에서 그들은 세 왕을 만나 땅의 공동 왕권을 주장하는 그들을 만난다. 그들은 게일족이 육지에서 아홉 파도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 3일간의 휴전을 요청한다. 게일족은 동의했지만, 그들의 배가 아일랜드에서 아홉 파도 떨어진 곳에 이르자 투아하 데 다난은 그들이 육지로 돌아갈 수 없도록 큰 바람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아메르긴은 구절을 읊어 바람을 잠재운다. 살아남은 배들은 육지로 돌아오고 두 그룹은 아일랜드를 서로 나누기로 합의한다. 게일족은 지상 세계를, 투아하 데 다난은 지하 세계(즉, 저승)를 차지하고 시드 언덕으로 들어간다.

성서의 열왕기를 본떠, 에베르와 에리몬 시대부터 기원 5세기 초까지 아일랜드의 다양한 왕들, 그들 대부분이 전설적이거나 반전설적인 인물들의 행적을 설명한다.[1]

4. 현대적 해석과 비판

토마스 오 라힐러는 『에린 침략의 서』(LGÉ)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이 책에 세 가지 편찬 의도가 있다고 주장했다.[57]

번호내용
1인구 통일을 위해 이전 민족들의 기억을 지우려 함.
2기독교 이전 토착 종교의 신들을 필멸자로 격하시켜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함.
3여러 왕조들을 끼워 맞출 수 있는 족보를 조작하려 함.



저자들은 게일인에게 구약의 이스라엘인과 같은 장대한 역사를 부여하고자 했다. 이는 게일인을 아담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기독교 세계의 역사에 포함시키려는 의도였다. 그래서 『에린 침략의 서』의 사건들은 구약 속 이스라엘인들의 경험과 동시대에 일어난 것처럼 연결된다. 게일인들은 외국 땅에서 노예가 되었다가 탈출하여 광야를 떠돌고, 마침내 "약속된 땅" 아일랜드에 도착한다. 또한, 기독교 이전 드루이드교켈트 신화를 기독교 신학과 역사학 관점에서 해석하여 융합시켰다.

『에린 침략의 서』 형성에 큰 영향을 준 기독교 신학서는 다음과 같다.



그러나 기독교 이전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린 침략의 서』에 실린 시 중에는 게일인이 아일랜드에 정착했을 때 투어허 데 다넌 여신이 게일인 남편을 얻은 것을 노래하는 시가 있다. 또한, 연속되는 침략 패턴은 티마게네스가 오늘날의 프랑스 땅의 켈트족갈리아인이 중부유럽에서 기원했음을 기록한 것을 연상시킨다. 암미나우스 마르켈리누스는 티마게네스를 인용하여 갈리아인의 조상은 동유럽에 살았으나 계속되는 전쟁과 홍수로 서쪽으로 밀려났다고 기록했다.[58]

아일랜드의 신화적 역사는 7세기-8세기에 수많은 파편으로 흩어져 전해졌다. 9세기에 웨일스에서 쓰여진 『브리튼인의 역사』에는 아일랜드 초기 역사에 대한 두 가지 이야기가 있다.[59][60] 하나는 이베리아반도에서 여러 민족들이 차례로 건너와 아일랜드를 식민했다는 것으로, 『에린 침략의 서』와 유사하다. 다른 하나는 게일인들 자신의 기원에 관한 것으로, 그들이 어떻게 아일랜드인의 "조상"이 되었는지를 이야기한다.

로버트 알렉산더 스튜어트 매칼리스터는 『에린 침략의 서』가 "게일인의 역사"와 게일인 이전의 아일랜드 정착에 관한 이야기(역사성은 낮음)라는 두 가지 독립적인 요소가 융합된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라틴어로 쓰여진 "에린 침략의 서"(''Liber Occupationis Hiberniae'')가 있었을 것이라는 설도 제기했다.

이 두 이야기는 9세기를 거치면서 게일인 역사-시인들에 의해 풍부해졌다. 10세기와 11세기에는 역사시들이 쓰여졌고, 이는 이후 『에린 침략의 서』로 집대성된다. 11-12세기 판본에 실린 시들 대부분은 다음 네 시인들의 작품에 기반한다.

  • 오허 우어 플렌(936년–1004년)
  • 플란 마니스트레크 막 에크히그린(1056년 사망)
  • 타나더(1075년경 사망)
  • 길러 콜만 막 길러 삼한더(1072년 활동)


11세기에 익명의 학자가 이 시들과 다른 시들을 합쳐 산문 형태로 만들었고, 이것이 초기 판본의 『에린 침략의 서』가 되었다. 이 책은 9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사용된 게일어인 중세 게일어로 쓰여졌다.

『에린 침략의 서』는 수백 년 동안 정확한 사료로 여겨졌다. 17세기 세흐룬 케틴은 『에린 지식 기초』를 쓰면서, 『에린 왕국 편년사』의 저자들은 『에린 침략의 서』를 광범위하게 이용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그 역사성이 비판받고 있다. 현대적 평가는 “역사적 날조 내지는 "유사역사"의 전통”에 위치하며,[66] “대체적으로 거짓으로 그럴싸”하고 “허구”적 측면들을 부각한다. 로버트 알렉산더 스튜어트 매칼리스터는 『에린 침략의 서』에 정확한 역사적 사실은 하나도 없다고 주장했다.

게일인이 아일랜드에 온 이야기는 기독교 저자들이 게일인을 이스라엘인과 비슷하게 만들기 위해 창조한 것으로 보인다.[55][67] 스키티아를 게일인의 기원 지역으로 설정한 것은 게일인의 또다른 이름인 "스코티인"이 "스키타이"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다른 중세 유사역사가들도 이와 비슷하게 작업했다.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의 『고트인, 반달인, 수에비의 왕사』는 이름의 유사성만으로 고트인과 게타이인이 같은 계통이며, 스키타이인과 함께 마곡의 후손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베리아 기원설은 "이베리아"와 "히베르니아"의 발음 유사성,[55][68] 이시도루스가 이베리아를 “종족들의 어머니 (땅)”이라고 쓴 것, 파울루스 오로시우스가 아일랜드가 “이베리아와 브리타니아 사이”에 있다고 기록한 것이 이유이다.[69] 게일인이 마이오티스 늪에 정착했다는 설정은 『프랑크인의 역사의 서』에서, 크레타시칠리아를 거쳐갔다는 것은 『아이네이스』에서 가져온 것이다. 투어허 데 다넌포모르 부분은 켈트족 신화에서 유래했는데, 특히 노르드 신화에시르-바니르 전쟁과 비교되기도 한다.[70] 피르 볼그는 인간으로서 포모르와 같은 역할을 한다.[71]

대부분의 학자들은 『에린 침략의 서』가 역사가 아닌 신화라고 여기지만, 일부는 실제 사건에 기반한다고 주장한다. 1940년대에 토마스 오 라힐러는 오 라힐러 역사모형을 만들었다. 그는 아일랜드에 켈트족의 네 차례 이주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 크루힌인 또는 프리타니인(기원전 700년-기원전 500년)
  • 부일그인 또는 에란인(기원전 500년경)
  • 라긴인과 돔난인과 갈리엔인(기원전 300년경)
  • 게일인(기원전 100년경)


그는 『에린 침략의 서』의 일부 "침략"은 이 역사를 묘사한 것이고, 나머지는 저자들이 창조한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아일랜드의 비게일 켈트족들이 기원전 100년 이후로도 번성했으리라 주장했다.

5. 판본

《에린 침략의 서》는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그 사이에 최대 136편의 시가 있었다. 두 버전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많은 요소가 동일하게 유지된다.[4] 5개의 교본이 있으며, 12개 이상의 중세 필사본에 남아 있다. 주요 판본은 다음과 같다.


  • '''제1차 개정 (R¹):''' 《레인스터의 서》(c. 1150) 및 《페르모이의 서》(1373)에 보존되어 있다.
  • '''미니우구드(Min):''' 제2차 개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현존하는 자료는 제2차 개정의 사본에 접미사로 붙어 있다.
  • '''제2차 개정 (R²):''' 최소 7개의 별도 텍스트로 남아 있으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레칸 대서》(1418)이다.
  • '''제3차 개정 (R³):''' 《볼리모트의 서》(1391)와 《레칸 대서》에 모두 보존되어 있다.
  • '''오클레리의 개정 (K):''' 프란체스코회 필경사이자 네 명의 대가 중 한 명인 미헬 오 클레리가 1631년에 작성했다. 초기 현대 아일랜드어로 작성되었지만, R. A. 스튜어트 맥알리스터는 독립적인 개정판으로 인정했다.[11]


다음은 LGE의 버전을 포함하는 현존하는 필사본을 요약한 표이다.

약어필사본위치개정판비고
A스토 A.2.4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D의 직접적이고 부실한 사본
B볼리모트의 서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Bβ 이후 1쪽이 손실되었으며, β¹β²는 B에서 파생되었다.
βH.2.4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1728년 리처드 티퍼가 작성한 B의 필사본
β¹H.1.15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1745년경 타드 오 네크탄이 작성한, 손실된 B의 필사본 사본
β²스토 D.3.2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B의 동일한 손실된 필사본의 익명 사본
D스토 D.4.3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
EE.3.5. no. 2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페르모이의 서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는 한 개의 분해된 MS, F의 일부이다.
스토 D.3.1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
HH.2.15. no. 1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L레인스터의 서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Λ레칸 대서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 Min레칸 대서의 LGE 첫 번째 텍스트
M레칸 대서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레칸 대서의 LGE 두 번째 텍스트
PP.10266아일랜드 국립 도서관
RRawl.B.512보들리 도서관, Min산문 텍스트만 전체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시는 잘려 있음
스토 D.5.1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 Min, 는 한 개의 분해된 MS, V의 일부이다.
스토 D.4.1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 Min
스토 D.1.3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 Min
23 K 32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K미헬 오 클레리 저자의 정본 사본. K는 여러 종이 필사본에 포함되어 있지만, "공식적인 자필본"인 이 우선한다.[11]



R. A. 스튜어트 맥알리스터는 1937년부터 1942년 사이에 최초의 완전한 영어 번역을 제작했다.[4]

참조

[1] 서적 Ireland's Immortals: A History of the Gods of Irish Myt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3]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4] 서적 Irish Orientalism: A Literary and Intellectual History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8
[5] 간행물 Res Gestae http://www.tertullia[...]
[6] 간행물 Lecture XIII https://archive.org/[...] James Duffy, Dublin
[7] 웹사이트 NENNIUS (NEMNIUS, NEMNIUUS) (Fl. C. A.D. 800), monk and antiquary |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https://biography.wa[...] 2022-10-09
[8] 간행물 Some aspects of the chronology of the Historia Brittonum 1974
[9] 서적 The Origin Legends of Early Medieval Britain and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0] 서적 Celtic Gods and Heroes Dover Publications, 2000
[11] 문서
[12]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A Guide to Irish Mythology Irish Academic Press
[16] 간행물 Ireland before the Conquest '"Northern Chronicle" Office' 1892
[17] 문서
[18] 문서
[19]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Infobase Publishing
[20] 간행물 Did the Irish Come from Spain? http://www.historyir[...]
[21] 서적 Myth, Legend & Romance
[22] 웹사이트 Online Index to the Lebor Gabála Érenn (Book of Invasions) based on R.A.S. Macalister's translations and notes: O – P https://celt.ucc.ie/[...] Corpus of Electronic Texts
[23] 서적 Ulster: An Illustrated History Batsford Books 1989
[24] 서적 The Celtic Realms: History and Civilization Weidenfeld & Nicolson 1967
[25] 서적 The Concept of the Goddess Routledge 2008-12-23
[26] 서적 The Pagan Religions of the Ancient British Isles: Their Nature and Legac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7] 서적 Ireland's Immortals: A History of the Gods of Irish Myt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29]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30] 서적 Ireland's Immortals: A History of the Gods of Irish Myth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서적 Celtic Gods and Heroes Dover Publications, 2000
[32] 웹사이트 Irish Historical Mysteries: The Milesians http://homepage.eirc[...] 2022-10-09
[33] 간행물 Res Gestae http://www.tertullia[...]
[34] 간행물 Lecture XIII https://archive.org/[...] James Duffy, Dublin
[35] 웹사이트 NENNIUS (NEMNIUS, NEMNIUUS) (Fl. C. A.D. 800), monk and antiquary |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https://biography.wa[...] 2022-10-09
[36] 간행물 Some aspects of the chronology of the Historia Brittonum 1974
[37] 문서 According to {{Harv|O'Donovan|1849|pp=xxiii–xxiv}} the manuscript K1 in the Royal Irish Academy is actually a fair copy of Mícheál Ó Cléirigh's autograph made by his fellow-master Peregrine O'Clery. The author's original manuscript was probably sent to [[ルーヴェン|Louvain]].
[38]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39] 문서 Monaghan, p.85
[40] 문서 Monaghan, p.85
[41] 문서 Monaghan, p.376
[42] 서적 A Guide to Irish Mythology Irish Academic Press
[43] 간행물 Ireland before the Conquest "Northern Chronicle" Office 1892
[44] 문서 John Carey, in an introduction to the 1993 edition of R. A. Stewart Macalister's English translation; Francis John Byrne, in his ''Irish Kings and High-Kings'' (pp. 9–10) refers to the work as "a fantastic compound of genuine racial memories, exotic Latin learning and world history derived from Orosius and Isidore of Seville, euhemerised Celtic mythology, dynastic propaganda, folklore, and pure fiction".
[45]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46] 문서 Monaghan, p.331
[47]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48] 문서 Monaghan, Patricia.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49] 간행물 Did the Irish Come from Spain? http://www.historyir[...]
[50] 문서 Ó hÓgáin, Myth, Legend & Romance
[51] 웹사이트 Online Index to the Lebor Gabála Érenn (Book of Invasions) based on R.A.S. Macalister's translations and notes: O - P https://celt.ucc.ie/[...] 2008
[52] 서적 The Concept of the Goddess Routledge 2008-12-23
[53] 서적 The Pagan Religions of the Ancient British Isles: Their Nature and Legac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4] 인용 Ireland's Immortals: A History of the Gods of Irish Myth Princetown University Press
[55]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56] 인용 Celtic Gods and Heroes Dover Publications, 2000
[5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homepage.eirc[...] 2020-03-22
[58] 인용 Res Gestae http://www.tertullia[...]
[59] 웹사이트 s-NENN-IUS-0800 https://biography.wa[...]
[60] 간행물 Some aspects of the chronology of the Historia Brittonum 1974
[61]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62] 문서 Monaghan, p.85
[63] 문서 Monaghan, p.376
[64] 인용 A Guide to Irish Mythology Irish Academic Press
[65] 간행물 Ireland before the Conquest "Northern Chronicle" Office 1892
[66] 문서 John Carey, in an introduction to the 1993 edition of R. A. Stewart Macalister's English translation; Francis John Byrne, in his ''Irish Kings and High-Kings'' (pp. 9–10) refers to the work as "a fantastic compound of genuine racial memories, exotic Latin learning and world history derived from Orosius and Isidore of Seville, euhemerised Celtic mythology, dynastic propaganda, folklore, and pure fiction".
[67] 문서 Monaghan, p.331
[68] 문서 Monaghan, Patricia.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69] 인용 Did the Irish Come from Spain? http://www.historyir[...]
[70] 문서 Ó hÓgáin, Myth, Legend & Romance
[71] 웹사이트 Online Index to the Lebor Gabála Érenn (Book of Invasions) based on R.A.S. Macalister's translations and notes: O - P https://celt.ucc.ie/[...] 2018-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