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멘 무타와킬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멘 무타와킬 왕국은 1918년 오스만 제국이 붕괴된 후 이맘 야흐야가 독립을 선언하며 수립한 자이디 이맘이 통치하는 세습 전제 군주제 국가이다. 1934년 사우디-예멘 전쟁과 1948년 알와지리 쿠데타, 1962년 쿠데타 및 북예멘 내전을 겪었다. 1962년 아흐마드 국왕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이 즉위한 후 쿠데타로 군주제가 폐지되고 예멘 아랍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멸망했다. 자이디파 이맘이 통치했으며, 외교적으로는 이탈리아, 소련 등과 관계를 맺었으며, 영국과의 관계는 아덴 보호령 문제로 긴장 상태였다. 군사적으로는 육군과 공군을 보유했고, 예멘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1707년 연합법으로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이 합쳐져 탄생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은 단일 의회와 정부를 가진 국가였으며, 1801년 아일랜드 왕국과 통합되어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되었다.
  • 왕국 - 랑고바르드 왕국
    568년 랑고바르드족이 알보인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 반도를 침공하여 세운 랑고바르드 왕국은 파비아를 중심으로 이탈리아 북부 대부분을 지배하며 스폴레토와 베네벤토에 반독립적인 공국들을 세웠으나, 774년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대제에게 멸망하고 베네벤토 공국만이 남부 이탈리아에서 존속하며 명맥을 이었다.
  • 북예멘 - 예멘 내전 (1994년)
    1990년 남북 예멘 통일 후 정치적 갈등과 권력 불균형으로 1994년 발발한 예멘 내전은 구 남예멘 출신 알리 살렘 알비드 부통령의 분리 독립 시도로 격화되었으나 북부 세력의 승리로 종결되었고, 이는 2015년 예멘 내전의 원인이 되었다.
  • 북예멘 - 예멘의 통일
    예멘의 통일은 1990년 북예멘과 남예멘이 통합하여 예멘 공화국을 수립한 사건으로, 냉전 시대 분단 국가 중 최초의 합의에 의한 통일이었으나 정치적 갈등, 경제 문제, 내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예멘의 역사 - 사바 왕국
    사바 왕국은 고대 예멘 지역에서 기원전 1200년경 또는 기원전 8세기 이후에 존재하며 향신료 무역으로 번성했고, 아시리아와 교류했으며, 힘야르 왕국에 멸망했다.
  • 예멘의 역사 - 남아라비아 연방
    남아라비아 연방은 남아라비아 토후국 연방에 속한 토후국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아덴 식민지 등이 합류하며 확대되었으나,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으로 해체되었고 아덴 우표를 발행하기도 했다.
예멘 무타와킬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통칭북예멘
상태아랍 연합 공화국 회원 (1958년–1961년)
현재 국가예멘
지도
아라비아 반도 내 북예멘 지도 (1923년)
사우디-예멘 전쟁 (1934) 이전
지역 내 예멘 무타와킬 왕국
사우디-예멘 전쟁 (1934) 이후
국기 및 국가
예멘 무타와킬 왕국 국기
국기 (1927년–1970년)
예멘 국장 1962년
국장
국가Royal Salute (تحية ملكية)
정치
정치 체제이슬람 신정 절대 군주제
수도사나 (1918년–1948년) 타이즈 (1948년–1962년)
지도자 칭호국왕 이맘
주요 언어아랍어
종교자이드 시아이슬람교(국교)
역사
시작1918년 10월 30일
시작 사건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
사건 1국제 연합 가입
사건 1 날짜1947년 9월 30일
사건 29월 26일 혁명
사건 2 날짜1962년 9월 26일
종료1970년 12월 1일
종료 사건군주제 폐지
통화
통화북예멘 리알
기타
시간대+3
전화 코드967

2. 역사

예멘 빌라예트로서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받다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오스만 제국이 패망하자 1918년 말 이맘 야흐야가 사나에 입성하여 독립을 선언하고 자신을 예멘 자이디 토후국의 수장으로 선포했다.[20][21] 그는 대예멘주의 사상을 가지고 영국이 보호하던 남예멘의 아덴 보호령을 여러 차례 공격했다가 매번 영국군의 반격을 받고 패퇴했다.[34]

이후 사우디에게 멸망한 인접한 소국 아시르 이드리스 토후국의 인사들이 예멘 왕국으로 망명하여 오면서 예멘 왕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의 관계가 경색되었으며, 이는 1934년 3월 사우디-예멘 전쟁으로 이어졌다.[52] 전쟁은 동년 6월 타이프 조약으로 국경이 획정되면서 끝났다.[61]

1948년 라이벌 가문 알와지르 가문을 옹립하기 위한 알와지리 쿠데타가 일어나 야흐야가 살해되고 알와지르가 왕위에 올랐으나,[71] 수 주 만에 야흐야의 아들인 아흐마드 빈 야흐야가 북예멘 부족들의 지지를 다시 규합하여 이를 진압하고 왕위를 되찾았다.[75] 그의 통치 기간 중 1950년대에는 아랍 민족주의 열풍이 퍼지면서 국내 정치가 혼란해졌다.

1962년 이맘 아흐마드가 사망하여 아들 무함마드 알바드르가 왕위에 오른 직후, 동년 9월 26일 나세르의 영향을 받은 장교단의 쿠데타가 성공하여 군주제를 폐지하고 예멘 아랍 공화국을 선포했다.[83] 소련은 쿠데타 직후인 9월 29일 공화국을 인정했다.[84] 그러나 이맘은 사우디아라비아 국경 지대로 도피하여 북부의 자이디 부족의 지원으로 통제권을 되찾아 반격을 개시했다. 이에 따라 왕당파와 공화파 간에 내전(북예멘 내전)이 일어났으며,[83] 전쟁 기간 동안 이집트는 공화파를,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는 왕당파를 지원하였다.[84] 왕당파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망명정부를 두고 게릴라 전술로 저항을 이어갔으나 끝내 주요 도시를 탈환하지 못하였고, 1970년 사우디와의 협정으로 전쟁은 공화파의 승리로 끝났다.[86][87]

2. 1.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 (1918년)

1919년 예멘


사나에서 이맘 야히야와 그의 군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망하자, 1918년 10월 30일 무드로스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19] 이후 이맘 야히야는 사나에 입성하여 예멘의 독립을 선포하고, 3일 후 스스로를 예멘 자이디 토후국의 통치자로 선언했다.[20][21] 휴전 협정에 따라 오스만 제국은 예멘 전역에서 철수해야 했지만, 사나 총독 마흐무트 네딤 베이와 제40사단 사령관 갈리브 베이는 45일 동안 이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22]

이맘 야히야는 카시미드 시대부터 대예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다.[31] 그는 1914년 3월 오스만 제국과 영국이 결정한 자주색 선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하고,[32][33] 대예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1919년 영국이 통치하는 아덴 보호령으로 진격했지만, 예멘군은 영국군의 반격으로 물러났다.[34] 이맘 야히야가 퇴각한 후 영국군은 알 후다이다 항구를 점령하여 아시르 토후국에 넘겨주었다.[35][36] 후다이다를 잃은 후, 이맘 야히야는 1922년에 다시 아덴을 공격했으나, 영국 공군의 맹렬한 폭격으로 인해 후퇴해야 했다.[37][38]

1926년, 헤자즈-네지드 왕국과 예멘 사이에 나즈란의 영토 분할을 놓고 분쟁이 발생했다.[47]

이맘 야히야는 남예멘의 영국에게 압력을 가하고, 1927년 아덴 보호령을 침략하며 자주색 선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이에 대응하여 영국은 예멘, 특히 타이즈이프를 폭격하기 시작했다.[48][49] 예멘은 공군과 방공 시스템이 없어 대응할 수 없었고 많은 사상자를 냈다. 결국 이맘은 공격을 중단해야 했다.

이맘 야히야를 모든 예멘의 왕으로 처음 인정한 나라는 1926년에 체결된 이탈리아-예멘 조약을 통해 이탈리아 왕국이었다.

2. 2. 사우디-예멘 전쟁 (1934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오스만 제국이 패망하자, 1918년 예멘은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예멘 왕국은 아시르 이드리스 토후국의 망명 인사들을 받아들이면서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이는 1934년 3월 사우디-예멘 전쟁으로 이어졌다.[52]

전쟁 초기에 사우디군은 빠르게 진격하여 4월 7일과 21일에 각각 하자라(Hajara)와 나지란을 점령했다.[59] 1934년 5월, 예멘 산맥을 우회하여 알-후다이다를 점령하고 약탈을 시작했다. 왕립 해군이 질서 회복을 위해 도착하자 약탈을 중단했다.[57]

Hudeidia, 1934
후데이디아, 1934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이맘의 퇴위 등을 요구했지만, 이맘 야흐야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사우디군은 더 나은 무기를 가졌지만, 산악 지형에 익숙하지 않았고 예멘 군인들이 더 경험이 많았기 때문에 사나를 함락시키지 못했다. 결국 이븐 사우드는 예멘과 합의하기로 결정했다.[60]

1934년 5월 12일,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고, 1934년 6월 14일에 타이프 조약이 체결되었다.[61] 이 조약으로 현재의 예멘-사우디 아라비아 국경이 결정되었으며, 예멘 왕국은 나지란, 아시르, 지잔을 헤자즈-네지드 왕국에 넘겨주어야 했다.[62][63] 사우디군은 7월 7일에 예멘을 떠났다.[64]

한스 콘은 이 분쟁을 영국과 이탈리아의 이해관계 충돌로 보는 시각도 있었지만, 두 에미리트 간의 경쟁이 두 국가 간의 경쟁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2. 3. 알와지리 쿠데타 (1948년)

1948년, 알와지르 가문을 옹립하기 위한 알와지리 쿠데타가 일어나 이맘 야흐야가 살해되고 알와지르가 왕위에 올랐다.[71] 이맘의 시신에서는 50발의 총알이 발견되었다고 한다.[73] 알와지르는 압둘라 알와지르를 왕국의 통치자로 임명하고 입헌주의를 선포, 임시 슈라 의회를 설립했다. 의회에는 60명의 저명한 학자, 법학자들이 있었고, 이브라힘 빈 야흐야가 이끌었다.[71]

새 정부가 구성되었고, 각 부처 장관은 다음과 같이 임명되었다.

직책이름
수반알리 빈 압둘라
농업부 장관아흐메드 무하마드 누만
내무부 장관셰이크 무하마드 아흐메드 누만
교육부 장관무하마드 마흐무드 알-주바리
국무부 장관판사 압둘라 알-아그바리
국방부 장관후세인 압둘 카디르
재무부 장관종복 갈리브 알-와지히
교육부 장관판사 아흐메드 알-아그바리
경제 및 광업부 장관카라피
상공부 장관아흐메드 알-무타아
국무부 장관 겸 판사프린스 알리 빈 야흐야 하미데딘
국무부 장관하산 알-오마리



압둘라 알와지르, 1948년 3월


이브라힘 빈 야흐야는 아덴에서 카이로 신문에 "우리의 아버지 이맘 야흐야 하미데딘께서 돌아가셨습니다. 아흐메드 알-와지르가 이맘으로 선출되었고, 저는 의장입니다"라고 썼다.[74] 그러나 이 쿠데타는 아랍 국가들의 환영을 받지 못했다. 특히 사우디와 나머지 아랍 왕들은 새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다.[75]

쿠데타 발생 몇 주 만에 이맘 야흐야의 아들인 아흐마드 빈 야흐야가 북예멘 부족들의 지지를 다시 규합하여 쿠데타 세력을 진압하고 왕위를 되찾았다.[71] 그는 북예멘을 돌아다니며 부족들을 규합하고 사우디 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아 사나를 포위했다.[75] 그는 몇 주 후에 도시를 장악했고, 뒤에 데려온 부족들이 수도를 약탈하도록 허용했다. 사나 약탈은 7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약 25만 명의 부족민이 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73] 1948년 4월 8일, 압둘라 알-와지르는 참수형에 처해졌다. 쿠데타 동안 약 5,000명이 사망했다.[76]

2. 4. 북예멘 내전 (1962년-1970년)

이맘 아흐메드가 1962년 9월 사망하자 그의 아들 무함마드 알바드르가 왕위를 이었으나, 곧이어 이집트에서 훈련받고 나세르의 자유 장교 운동에서 영감을 받은 장교들이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들은 왕실 근위대 사령관 압둘라 아스 살랄을 중심으로 무함마드 알바드르를 폐위시키고 사나를 장악하여 예멘 아랍 공화국을 세웠다.[83] 이 사건은 북예멘 내전의 시작이었다.

소련은 쿠데타 직후인 1962년 9월 29일에 예멘 아랍 공화국을 즉각 승인했다.[84] 이맘은 사우디아라비아 국경 지대로 도피하여 북부의 자이디 부족의 지원을 받아 반격을 시작했고, 이는 곧 내전으로 확대되었다.[83] 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은 왕당파를 지원했고,[84] 1962년 10월 5일, 하산 왕자는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망명 왕당파 정부를 세웠다.

예멘 내전에 참전한 이집트 원정군


1962년 예멘의 왕당파 진영


1967년 전쟁 상황


내전 초기에는 55,000명의 이집트 군인과 3,000명의 공화파가 40,447명의 왕국군에 맞섰다.[84] 이집트는 이후 병력을 13만 명으로 증강했지만, 이는 6일 전쟁에서 패배를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왕당파는 예멘 부족과 협정을 맺어 공화파의 수적 우위를 줄였고, 1965년까지 약 22만 명으로 증가했다.

이집트는 1965년 말부터 화학 무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85] 1966년 12월 11일, 15개의 최루탄으로 인해 2명이 사망하고 35명이 부상을 입었다. 1967년 1월 5일, 하산 빈 야흐야 왕자의 본부인 키타프 마을에서 가스 공격으로 140명이 사망하고 130명이 부상을 입었다. 영국미국은 이집트를 압박했지만, 이집트는 혐의를 부인하고 네이팜탄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제 적십자 위원회는 경고했으며 6월 2일 제네바에서 우려를 표명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베른 대학교 법의학 연구소는 적십자 보고서를 토대로 가스가 포스겐, 겨자 가스, 루이사이트, 염소, 시안화 브로민일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가스 공격은 6일 전쟁 이후 3주 만에 중단되었다. 화학 공격으로 인해 약 1,500명이 사망하고 2,000명이 부상을 입었다.

적십자 대표 안드레 로셰와 압둘라 빈 알하산 왕자


갈등은 1967년까지 계속되었고, 이집트군은 철수했다. 1968년, 사나에 대한 마지막 왕당파 포위 공격 이후, 1970년 이슬람 회의에서 사우디와 합의가 이루어졌고, 1970년 12월 30일 첫 번째 영구 헌법이 채택되어 공화파 정권을 공고히 했다.[86][87] 분쟁 중 양측에서 1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집트 역사가들은 왕당파의 게릴라 전술로 인해 이 내전을 "이집트의 베트남 전쟁"이라고 부른다.

2. 5. 내전의 종식과 공화정 수립 (1970년)

1962년 이맘 아흐마드가 사망하고 아들 무함마드 알바드르가 왕위에 올랐으나, 같은 해 9월 26일 나세르의 영향을 받은 장교단이 쿠데타를 일으켜 군주제를 폐지하고 예멘 아랍 공화국을 선포했다. 소련은 쿠데타 직후인 9월 29일 공화국을 인정했다. 그러나 이맘은 사우디아라비아 국경 지대로 도피하여 북부의 자이디 부족의 지원으로 통제권을 되찾아 반격을 개시했다. 이에 따라 왕당파와 공화파 간에 내전(북예멘 내전)이 일어났으며, 전쟁 기간 동안 이집트는 공화파를,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는 왕당파를 지원하였다. 왕당파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망명정부를 두고 게릴라 전술로 저항을 이어갔으나 끝내 주요 도시를 탈환하지 못하였고, 1970년 사우디와의 협정으로 전쟁은 공화파의 승리로 끝났다.

3. 정치 제도

예멘 무타와킬 왕국은 시아파의 일파인 자이디파 이맘이 통치하는 세습 전제 군주제 국가였다.

3. 1. 역대 군주


  • 야히야 무함마드 하미드 에드-딘 (1926년 ~ 1948년)
  • 아흐마드 빈 야흐야 (1948년 ~ 1962년)
  • 무함마드 알-바드르 (1962년 ~ 1970년)


예멘 무타와킬 왕국은 단일 국가로, 절대 군주제가 시행되었다. 권력을 잡았던 자이디들은 이맘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맘에 대한 이해 때문에 예멘의 이맘들은 9.26 혁명까지 정치에 관심을 가졌다. 10명의 사이이드로 구성된 의회는 이맘이 사망한 후 권력을 승계할 이맘을 선출했다. 맘루크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도 그들의 발언은 예멘, 특히 자이디 종파가 더 집중된 북예멘 산악 지역에서 언급되었다. 1926년, 이맘 야흐야는 아들을 왕세자로 임명하여 세습 원칙으로 전환했다. 이로 인해 이맘직은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사람이 아닌 부자 간에 세습되었고, 이는 자이디 전통에서 이맘 임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일부 사이이드 계급의 적대감을 불러일으켰다.[47]

4. 외교 관계

무타와킬 왕국은 아랍 연맹(1945년), 국제 연합(1947년)과 같은 국제 기구의 회원국이었다. 당시 남예멘은 영국이 후원하고 있었기 때문에 예멘 전체를 대표했다.[89][2]

1948년 파리에서 열린 유엔 회의에 참석한 예멘 외교관
해리 S. 트루먼이 하산 빈 야흐야와 대화하고 있다


1926년 9월 2일, 예멘은 국제적으로 승인되었으며 소련과의 외교 접촉은 앙카라에서 이루어졌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1926년 사나 조약에 서명하여 이맘 야히야와 파트너십 관계를 맺었다.[90] 이탈리아 왕국은 이맘 야히야를 모든 예멘의 왕으로 인정했고,[91][92] 예멘 왕국에 야심을 품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항하여 외교적 지원을 제공했다.[92] 1937년 10월 15일, 이 조약은 다시 연장되었다. 소련-예멘 우호 및 통상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소련과의 관계도 발전했다.[93][94]

북부 국경은 1934년 사우디아라비아와 타이프 조약을 체결하여 결정되었으며 무역 등 다른 관계도 발전했다.[95] 타이프 조약은 20년마다 갱신되었고 1995년에 그 유효성이 확인되었다.[96][97]

아덴을 통제했던 영국과 예멘 전체를 통제하려 했던 예멘 왕국 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긴장되었다.[83] 이맘 야히야는 편지에서 "영국인"에 대해 "그들의 진정한 욕망과 주요 목표는 이슬람을 해체하고 분산시켜 우리를 지배하고 노예로 만드는 것이다"라고 썼다. 1928년 이후 영국에 대한 공격적인 정책은 변경되었고, 사나 우호 조약이 영국과 체결되었다.[98][99]
1958년 무하마드 알-바드르와 중국 외교관이 우호 및 협력 조약에 서명하고 있다


소련,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가 강화되었고, 이들 국가로부터 많은 원조가 제공되었다. 9월 26일 혁명이 내전으로 변하면서 이중적인 상황이 발생했는데,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및 이집트예멘 아랍 공화국을 인정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영국은 무타와킬 왕국을 인정했다.[100] 1970년에 체결된 협정의 결과, 모든 국가들이 예멘 아랍 공화국을 인정했다.

4. 1. 국제기구 가입

1947년 9월 30일, 예멘 왕국은 '예멘'(Yemen)을 대표하는 국가로서 유엔에 가입했다.[70]

4. 2. 대한민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3. 이탈리아, 소련과의 관계

이탈리아 왕국은 1926년에 체결된 이탈리아-예멘 조약을 통해 이맘 야히야를 모든 예멘의 왕으로 처음 인정했다.

이맘 야흐야는 반(反) 영국적이었고, 추축국, 특히 이탈리아 왕국과 가까웠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고립주의 정책을 추구했다. 전쟁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터키처럼 예멘에서도 기근에 시달렸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1926년 사나 조약에 서명하여 이맘 야흐야와 파트너십 관계를 맺었다.[90] 따라서 이탈리아 왕국은 이맘 야흐야를 모든 예멘의 왕으로 인정했다.[91][92] 또한, 예멘 왕국에 야심을 품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항하여 외교적 지원을 제공했다.[92] 1937년 10월 15일, 이 조약은 다시 연장되었다. 소련-예멘 우호 및 통상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소련과의 관계도 발전했다.[93][94]

4. 4. 영국과의 관계

이맘 야히야는 카시미드 시대부터 대예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다.[31] 1914년 3월 오스만 제국과 영국이 결정한 자주색 선을 인정하지 않고,[32][33] 1919년 대예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영국이 통치하는 아덴 보호령으로 진격했지만, 예멘군은 영국군의 반격으로 물러났다.[34] 이후 영국군은 알 후다이다 항구를 점령하여 아시르 토후국에 넘겨주었다.[35][36] 후다이다를 잃은 이맘 야히야는 1922년에 다시 아덴을 공격했으나, 아덴에서 50km 떨어진 곳에서 영국 공군의 맹렬한 폭격으로 인해 후퇴해야 했다.[37][38]

1926년 이탈리아-예멘 조약을 통해 이탈리아 왕국이 이맘 야히야를 모든 예멘의 왕으로 처음 인정했다. 1934년 영국은 중립 유지를 위해 양측과 우호 조약을 체결했지만,[53] 전쟁 전에 사우디 아라비아에 항공기와 무기를 지원했다.[54] 영국은 40년 동안 예멘의 독립을 유지했으며, 이맘 야히야는 자주색 선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국경 협상을 대가로 아덴을 공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55][56]

예멘 무타와킬 왕국의 남부 국경과 영국 제국의 아덴 보호령(후일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 간의 국경선은 야히야의 율법학자들이 협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사나 조약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정하지 않아 영국과의 분쟁을 야기했다. 1937년 10월 15일에는 이탈리아-예멘 조약이 연장되었다.

1948년 쿠데타로 이맘 야흐야가 사망한 후,[79] 그의 아들 이맘 아흐마드 빈 야흐야가 권력을 잡았다. 그의 통치는 남부 영국 주둔에 대한 마찰이 재발하면서 개발 증진, 개방성 확대, 대예멘 건설에 대한 열망을 가로막았다. 아흐마드 빈 야흐야는 아버지보다 약간 더 진보적이고 외국과의 관계에 개방적이었으나, 그의 정권은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독재적이었다.[80]

아흐마드 빈 야흐야는 아버지 이맘 야히야와 마찬가지로 대예멘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80] 1950년대, 아라비아 남부에서 영국의 지배를 인정하지 않고 예멘과 아덴 보호령을 분리하는 영국-오스만 국경, 자주색 선을 따라 일련의 국경 충돌이 일어났고,[82] 영국이 분쟁에서 승리했다.

영국과 예멘 왕국 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긴장되었다.[83] 이맘 야히야는 편지에서 "영국인"에 대해 "그들의 진정한 욕망과 주요 목표는 이슬람을 해체하고 분산시켜 우리를 지배하고 노예로 만드는 것이다"라고 썼다. 1928년 이후 영국에 대한 공격적인 정책은 변경되었고, 사나 우호 조약이 영국과 체결되었다.[98][99]

5. 군사

예멘군은 육군과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군대의 일부는 급여를 받는 전문 군인이었고, 나머지는 전시에 소집되는 부족 군인들이었다.

사나 군사 학교


1920년대의 예멘 대포


예멘 무타와킬 왕국 전투기


1926년 이탈리아로 파견된 예멘군 소속 최초의 항공 학생 그룹


예멘 공군 메달

5. 1. 육군



예멘군은 육군과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군대의 일부는 급여를 받는 전문 군인이었고, 나머지는 전시에 소집되는 부족 군인들이었다.

예멘이 독립하기 전에는 이맘의 권위 덕분에 부족을 통치할 권한이 있었지만, 이들은 정규군이 아니었다. 최초의 정규 예멘군은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이 부족 군인을 모집하여 4개 헌병대대와 3개 기병 연대를 창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예멘 영토에서 철수하고 이맘 야흐야가 예멘을 완전히 장악한 후, 처음에는 타이즈 여단을 포함한 오스만 제국 내 예멘 여단이 이맘 야흐야 편에 서기 시작했다.[47] 오스만 제국 시대의 잔존 세력들은 예멘 여단만으로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예멘을 방어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이맘 야흐야는 군대의 규모를 늘렸다. 사나, 담마르, 타이즈, 이브, 후다이다, 알 마흐위트, 리와 알 샴(사다), 하자 등 8개 여단이 창설되었다.

예멘 무타와킬 왕국은 비교적 작은 국가였고, 1918년 오스만 제국이 예멘에서 철수한 후, 충분한 수의 장교와 교리가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군대를 개혁하고 발전시키려는 시도로 인해 많은 혼란이 발생했다. 실용적인 측면보다는 이론적인 측면이 훈련을 지배했으며, 일부 장교는 지능이나 교육 수준이 아닌 이맘 야흐야와의 친밀도에 따라 승진했다. 이는 그들 중 일부가 군사적 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군사 훈련을 제공하려 했기 때문에 교육에 결함을 야기했다.[101]

이맘 야흐야는 그의 군사적 경험과 지역 내 권위 덕분에 그의 지역에 비해 대규모 군대를 보유했다.[102] 육군은 5개의 부서로 나뉘었다.[103]

  • '''이맘 친위대(Ukfa troops)''': 이맘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군부대였다. 이 부대에 소속되기 위해서는 뛰어난 성공을 보여주고 이맘에게 충성심을 증명해야 했다. 평균 5,000명의 병사로 구성되었다.[104]

  • '''승리군''': 1919년에 창설되었으며, 최초의 병사들은 오스만 제국의 전 예멘 군인이었다. 군대가 처음 창설되었을 때 병기고에는 다양한 종류의 약 40만 정의 소총과 다양한 구경과 무게의 경·중포 포대가 가득했다. 매년 각 부족은 정해진 수의 병사를 국가에 보내야 했다. 각 부족에는 부족 구성원의 행동, 보상 및 비행을 보고하는 서기가 있었다. 병사가 훔치거나 허가 없이 군대를 떠난 경우, 부족장은 피해에 대해 이맘에게 보상해야 했다.[102] 반란 부족 진압, 군사 작전 수행, 국가의 이맘, 왕자 및 공무원 보호 외에도, 군대는 권위를 유지하고 세금을 징수하는 것과 같은 작전도 수행했다.[105][106][107]

  • '''국방군''': 승리군의 부적절함으로 인해 1937년에 창설되었다. 사우디와 영국과의 전쟁 이후 예멘의 상당 부분을 잃은 후, 이맘 야흐야는 그의 군대가 현대화와 더 나은 훈련 조건을 필요로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승리군에서의 개혁 시도가 실패하고 장교들 사이에서 불만이 발생했으며, 지식인들의 압력 하에 이맘 야흐야는 "모든 총기 소유자에게 연령에 관계없이 의무 복무를 기반으로 하는 정규 국방군인 새로운 군대를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헤자즈 왕국이 몰락한 후, 하산 타신 알-파키르(Hasan Tahsin al-F akîr) 중장이 예멘으로 와서 1930년부터 1944년까지 군사 고문으로 이맘 야흐야를 도왔다. 국방 지원 동안 그는 군대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승리군과 달리 훈련은 이론보다는 경험에 기반했지만, 이 훈련 기간은 병사들이 군사 훈련, 전투 기술 및 군사 훈련을 숙달하기에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았다.[108] 이는 의무 군 복무를 하는 모든 예멘인으로 구성되었다. 군대에 징집된 후, 그들은 10년 동안 주기적으로 훈련을 받았다.

  • '''국가군''': 승리군 및 국방군과 유사한 독립적인 군대였다. 사령관은 무함마드 하미드(Muhammed Hamid) 대령이었다.

  • '''바라니군(부족군)''': 자발적으로 복무하는 비정규 부대였다.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되었으며, 보통 1~2년 동안 복무했으며, 자신의 소총과 보급품을 가져왔다. 예멘은 경쟁 국가와의 전쟁에서 항상 부족 지지자들에게 주로 의존해 왔다. 이 부족들은 일반적으로 북부, 북서부 및 동부 지역에 거주한다. 이러한 유형의 전사들은 "전통 국가군"으로 분류되며, 부족 추장들이 이끌고 있으며, 정규 편성은 없다.[109]


1958년 사나의 포병 훈련소


예멘 왕국이 처음 건국되었을 때, 오스만 제국은 아라비아 반도와 아나톨리아보다 발칸 반도에 더 많은 투자를 했으며, 농업 외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그들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훔친 무기[114] 외에는 이탈리아 왕국영국에서 구입한 소총 외에는 다른 무기가 없었다. 이 때문에 이맘 야흐야는 192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왕국(또는 독일) 및 오스트리아의 도움을 받아 탄약 공장 설립을 명령했다.

1934년 사우디-예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이맘은 군대를 현대화하고 확장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는 이탈리아로부터 6대의 경전차, 2,000정의 소총, 4문의 대공포, 4문의 대포 및 일부 통신 장비를 구입했다. 이라크 왕국으로부터 소수의 소총과 통신 장비를 받았다. 이탈리아는 또한 사나에 비행학교를 열었다.[115]

알바드르가 전차 중 하나를 사찰하는 모습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서방 국가들이 예멘의 무장에 압력을 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맘 무하마드 알바드르는 예멘 군대를 강화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이집트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과 합의하여 이집트에서 군사 전문가와 장교들을 데려왔다. 또한 동구권소련, 체코슬로바키아, 중국 등 일부 국가와 예멘에 무기 공급, 유지 보수, 예멘 군인 훈련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그 결과 34대의 경전차, 50문의 100mm 구경 전차, 100문의 야포, 70대의 병력 수송차, 1대의 장갑차, 70대의 수송 트럭이 구매되었다.[116] 이 협정은 예멘 군의 역사에 큰 진전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개혁은 1962년 9월 26일 혁명이 발발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 1957년, 육군사관학교가 재개교했고 사나와 타이즈에 새로운 군사 학교가 개교했다.
  • 1958년, 항공대학, 부사관학교, 포병 훈련소, 새로운 육군사관학교가 설립되었다.
  • 1959년, 타이즈에 경찰대학이 설립되었다.
  • 소련과 이집트에서 군인들을 위한 교관들이 파견되었다.
  • 새로운 부대가 설립되었다.
  • '''알바드르 연대''': 예멘 군 최초의 장갑 부대.
  • '''국가군''': 승리군 및 방어군과 유사한 군대.
  • '''예멘 사령부''': 알바드르 휘하의 군대 직접 통제를 위한 일반 사령부.


예멘 무타와킬 왕국은 북예멘 내전 이전 정규군으로 다양한 계급의 병력 40,447명을 보유했다.

부대병력
승리군22,090명
국방군15,990명
국가군1,396명
알 바드 연대971명


5. 2. 공군



독일이탈리아의 도움으로 예멘 공군은 1926년에 창설되었다. 영국 공군이 1920년대 영국-예멘 국경 분쟁 중 예멘을 폭격했고, 예멘은 항공기나 대공포가 없어 이에 대응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맘 야히야는 이탈리아 왕국에 항공기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했다. 1926년 1월, 이탈리아와 항공기 6대를 인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그중 처음 3대는 4월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1926년, 12명의 예멘인이 비행 훈련을 받기 위해 이탈리아로 보내졌고, 이탈리아 팀의 도움으로 예멘에 비행 학교가 설립되었다. 이탈리아에서 도착한 비행기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이 확인된 후, 이맘 야히야는 이탈리아인들에게 이 상황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 이후 이탈리아는 예멘에 더 나은 항공기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더 나은 비행기 중 하나가 8월에 예멘에 도착했다. 같은 해에 그는 독일에서 융커스가 설계한 융커스 A 35와 융커스 F 13 항공기를 구입했다. 예멘으로 인도된 융커스 A35 항공기는 두 달도 채 안 되어 추락하여 탑승자 3명 전원이 사망했다. 이러한 사건 직후 영국과의 국경 분쟁이 시작되면서 이맘 야히야는 공군 창설 노력을 중단해야 했고, 그의 모든 항공기는 금지되었다.[110]

1940년대 말에서 1960년대에는 공군 창설 운동이 부활했다. 레바논에서 중고 융커스 Ju 52/3m 수송기, 이집트에서 C64 노르스만, 이탈리아 공화국에서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 항공기를 획득했다.[111] 1955년, 사우디 아라비아가 2대의 USAAF AT-6C 훈련기를 예멘 무타와킬 왕국에 기증했다. 1957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24대의 일리우신 Il-10 공격기에 대한 무기 협정을 체결했다.[112] 그러나 지원 물자와 부품 부족으로 인해 이 항공기 중 어떤 것도 비행할 수 없었다. 같은 기간에 소련에서 밀 Mi-1 2대와 밀 Mi-4 4대의 헬리콥터, 일리우신 Il-14 수송기를 구입했으며, 예멘에 소련 비행 학교가 개교했다. 비행 학교에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제작된 10대의 즐린 Z-26 훈련기가 장비되었다.[113]

6. 지리

예멘 지도


무타와킬 왕국은 아시아의 국가였다.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이 나라는 서쪽으로는 홍해, 북쪽으로는 사우디 아라비아, 남쪽으로는 영국의 보호를 받는 아덴 보호령아덴 식민지, 동쪽으로는 오만, 남서쪽으로는 바브엘만데브 해협과 접해 있었다. 타이프 조약과 사나 우호 조약에서 결정된 국경을 제외하고는 국가의 경계가 불분명했다.[117]

무타와킬 왕국의 영토는 대략 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길이는 450km, 너비는 490km이다. 북위 17°와 13°, 동경 43°와 45°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국토 면적은 약 195000km2로, 거의 전적으로 육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수는 미미한 부분을 차지했다.[117]

예멘의 산들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이다. 예멘의 고원은 이 지역에서 가장 습한 지역으로, 연간 강수량은 약 55.88cm 이상이었다. 강수량의 대부분은 여름철에 발생했다. 산악 지형이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수 있었다. 예멘에는 영구적인 강, 하천, 호수 등이 없었다. 이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는 대부분의 급류는 홍해로 흘러 들어갔다.[118] 국가 내에는 사막 기후가 영향을 미쳤으며, 먼지와 모래 폭풍이 일년 내내 관찰되었다.

7. 종교

북예멘 종파 지도


북부 고지대의 자이디파는 수 세기 동안 예멘에서 정치적, 문화적으로 지배적인 세력이었다. 독특한 사회 문화적 구조를 가진 예멘 지역으로 이주하여 국가를 건설한 이후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자이디파의 존재는 정치적으로 모호하고 불안정한 과정을 거치며 때때로 중단되었다. 자이디파의 종교적·정치적 지배를 받아들이지 않은 수니파의 첫 번째 반란은 예멘 이맘 알하디 일랄학 야흐야 시대에 일어났다.[119]

무타와킬 왕국이 통치했던 지역의 종파는 자이디파가 약 55%, 수니파가 약 45%였다.

7. 1. 예멘 유대인

유대교는 예멘에 전해진 최초의 아브라함 종교였다. 기독교이슬람교가 전래되기 전까지 예멘의 주류 종교였다. 1948년까지 약 5만 명의 예멘 유대인들이 예멘 무타와킬 왕국에 거주했다.[120] 하산 통치 기간 동안 유대인들은 추방되었지만, 나중에 경제적인 이유로 공예가였던 유대인들은 도시와 무슬림으로부터 격리된 별도의 지역에 정착했다. 18세기 후반, 예멘의 이맘들은 법적 해석을 바탕으로 고아 칙령으로 알려진 법을 제정했다.[121]

고아 칙령은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1872–1918) 동안 무시되었다.[122] 그러나 1921년, 이맘 야흐야가 예멘에서 완전히 지배력을 갖게 되자 이 법을 부활시켰다.[121] 영국 역사가 튜더 파피트는 이 상황을 "유대인 아이들을 러시아 차르 군대에 강제 징집하는 잔혹한 조치"에 비유했다. 처음에는 오스만 제국만큼 당국에 의해 칙령이 시행되지 않았다. 어떤 곳에서는 당국이 도망가 숨는 아이들을 눈감아주었지만, 이맘이 이 문제에 대해 끈질기게 요구하면서 군대가 더 중심적인 지역에서 도망간 아이들을 수색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유대인 아이들을 숨긴 혐의를 받는 유대 공동체 지도자들은 체포되어 감옥에서 고문을 받았다.

고아 칙령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은 압두르라흐만 알-에르야니였으며, 미슈파하 신문의 작가 중 한 명인 도리트 미즈라히에 의해 유대인 출신이라고 주장되었다.[123] 그녀는 1910년 이베의 유대인 가정에서 자카리아 하다드로 태어났다고 한다. 여덟 살 때 전염병으로 부모가 사망한 후, 그와 다섯 살 된 여동생은 고아 칙령에 의해 보호받았다. 그는 형제와 함께 별도의 보호 가정에 보내졌고 압두르라흐만 알-에르야니로 개명되었다. 에르야니는 나중에 예멘 아랍 공화국에서 종교 기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북예멘을 이끈 유일한 민간인이 되었다.[124] 그러나 온라인 신문인 YemenOnline과의 인터뷰에서 알-에르야니 가족의 여러 구성원은 인터뷰에서 압두르라흐만 알-에르야니가 유대인이라는 주장을 부인했다. 그들에 따르면, 이는 1967년 이스라엘 언론인 Haolam Hazeh가 제기한 왜곡이다. 자카리아 하다드는 실제로 압두르라흐만 알-에르야니의 이복 형제이자 경호원인 압둘라힘 알-하닷이다.[125]

유대인들은 부정한 존재로 여겨졌고, 따라서 유대인들은 무슬림이나 무슬림의 음식을 만지는 것이 금지되었다.[126]

참조

[1] 서적 Taiz in Power https://sanaacenter.[...] Sana’a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2022-05-03
[2] 웹사이트 Yemen https://www.un.org/e[...] 2023-05-09
[3] 문서 الـمـفـصـّل في تـاريـخ العـرب قبـل الإسـلام Dār al-ʻIlm li-l-Malāyīn 1968-02-17
[4] 서적 The Qur??n in Context: Historical and Literary Investigations Into the Qur??nic Milieu https://books.google[...] Brill 2023-02-05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2010
[6] 서적 Kinship and Marriage in Early Arabia
[7] 웹사이트 Yemen http://www.tdvia.org[...] TDV İslâm Ansiklopedisi 2022-04-16
[8] 웹사이트 İslam Ansiklopedisi, Cengiz Tomar http://www.tdvia.org[...] 2015-02-13
[9] 서적 Sabaic Dictionary University of Sanaa, YAR 1982
[10] 서적 Enemies from the East?: V. S. Soloviev on Paganism, Asian Civilizations, and Islam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07
[11] 서적 Cyclopædia of India and of Eastern and Southern Asia, Commercial, Industrial and Scientific: Products of the Mineral, Vegetable and Animal Kingdoms, Useful Arts and Manufactures, Band 5 Printed at the Scottish & Adelphi presses 1873
[12] 문서 1962
[13] 웹사이트 An Ottoman-Arab city in Yemen: Yemen https://dergipark.or[...] Dergipark 2022-06-23
[14] 웹사이트 Yemen Chronology https://www.worldsta[...] Worldstatesmen 2022-06-16
[15] 웹사이트 Turkish traces in Yemen http://www.ufukotesi[...] Ufuk Ötesi 2022-04-16
[16] 간행물 Yémen – Géographie, religion, histoire, politics Lecourrierdumaghrebetdelorient
[17] 웹사이트 Yemen in the First World War, Activities of Governor Mahmut Nedim Bey, Representative of the Ottoman Empire, in Yemen* - PDF Free Download https://docplayer.bi[...] 2023-03-12
[18] 문서 Turkish War in the First World War
[19] 문서 From Mudros to Mudanya -1 Prime Ministry Printing House 1973
[20] 백과사전 Mütevekkil-Al-Ellah, Yahyâ Hamîdüddin https://islamansiklo[...] 2022-06-30
[21] 웹사이트 Chronologie du Yémen en guerre https://www.lesclesd[...] 2022-06-22
[22] 문서 Turkish War in the First World War
[23] 문서 Turkish War in the First World War
[24] 뉴스 Ayşe Hür column dated 29 March 2015 https://web.archive.[...]
[25] 문서 BOA. DH. KMS D: 53-1 G:76 1919-06-22
[26] 문서 (BEO, nr. 349609, 353194; Öke – Karaman, pp. 31-64)
[27] 문서 Yemen-Turkey Relations during the War of Independence/Imam Yahya-Mustafa Kemal Pasha Correspondence
[28] 문서 (Seyhun, p. 138; Ehiloğlu, p. 191-204)
[29] 문서 (ibid., p. 106)
[30] 웹사이트 Date, politics and beyond: Yemen file from past to present https://www.mepanews[...] 2022-09-17
[31] 서적 Britain and Saudi Arabia 1925-1939 The Imperial Oasis, 1983 London, Frank Cass
[32] 서적 Kings of Arabia: the rise and set of the Turkish Sovereignty in the Arabian Peninsula
[33] 백과사전 Yemen null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09-22
[34] 서적 History of Arabia, Encyclopædia Britannica (Macropædia Vol. 1) 1979
[35] 뉴스 المملكة المتوكلية اليمنية https://www.marefa.o[...] 2022-06-23
[36] 서적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37] 문서 Muddle of the Middle East, Volume 1
[38] 서적 A History of Modern Yeme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Will Yemen Be Divided Again? 5126-will-yemen-be-divided-again/ https://uwidata.com/[...] UwiData 2019-08-28
[40] 웹사이트 حول تنكيل الإمام يحيى بقبائل صنعاء سنة 1922م https://republicanye[...]
[41] 웹사이트 هكذا نكّل الإمام يحيى بقبائل صنعاء سنة 1922 https://republicanye[...] 2018-10-22
[42] 서적 Unmaking North and South: Cartographies of 1934
[43] 문서 Unmaking North and South: Cartographies of the Yemeni Past, 1857-1934 Columbia University Press
[44] 간행물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0-01-01
[45] 서적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46] 서적 1925–1939: The Imperial Oasis Psychology Press
[47] 논문 Chronologie du Yémen contemporain (1904-1970) https://journals.ope[...] 2001-07-01
[48] 문서 A History of Modern Yemen
[49] 문서 Muddle of the Middle East, Volume 1
[50] 문서 Dictionary Of Modern Arab History
[51] 문서 In the Heart of the Desert: The Story of an Exploration Geologist and the Search for Oil in the Middle East Green Mountain Press
[52] 뉴스 War talk in Arabia http://nla.gov.au/nl[...] 1933-11-16
[53] 뉴스 Britain Neutral. http://nla.gov.au/nl[...] 1934-05-09
[54] 서적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0
[55] 웹사이트 المملكة المتوكلية اليمنية والاستعمار البريطاني https://yemen-nic.in[...]
[56] 웹사이트 Yemen After the Withdrawal of the Ottoman Empire from the Field https://www.fikircog[...]
[57] 뉴스 Victors in Yemen http://nla.gov.au/nl[...] 1934-05-16
[58] 문서 The Making of Saudi Arabia, 1916-1936: From Chieftaincy to Monarchical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Resort to War: 1816–2007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0-02-16
[60] 뉴스 Arabia. http://nla.gov.au/nl[...] 1934-05-09
[61] 뉴스 Arabain Affairs. http://nla.gov.au/nl[...] 1934-06-16
[62] 뉴스 Saudi and Yemen http://nla.gov.au/nl[...] 1934-06-16
[63] 문서 Saudi Arabia: The Coming Storm
[64] 웹사이트 'File 6/27 Foreign Interests: Sa''udi-Yemen Dispute' [42r] (83/174) https://www.qdl.qa/e[...] 2018-05-31
[65] 웹사이트 Muhammad Mahmoud al-Zubairi: The Conscience of Yemen https://almadaniyama[...] 2017-11-30
[66] 웹사이트 Yemen – Countries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67] 문서 موسوعة الاعلام
[68] 문서 Saudi-Yemeni Relations: Domestic Structures and Foreign Influ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69] 뉴스 مة https://republicanye[...] 2021-10-18
[70] 문서 1948: The First Arab-Israeli War https://web.archive.[...] Yale University Press 2016-06-26
[71] 웹사이트 CSP - Major Episodes of Political Violence, 1946-2012 http://www.systemicp[...] 2023-03-20
[72] 웹사이트 Marib: A Yemeni Government Stronghold Increasingly Vulnerable to Houthi Advances https://sanaacenter.[...] 2023-03-20
[73] 서적 Yemen: The Unknown Arabia The Overlook Press 2000
[74] 간행물 Yemen: The Eighth End https://content.time[...] 2023-03-20
[75] 웹사이트 Tribes and Politics in Yemen http://www.jepeterso[...] 2023-03-20
[76] 논문 World Military and Social Expenditures, 1982 by Ruth Leger Sivard (World Priorities [Leesburg, Va.]; 44 pp.; $4.00 [paper]) 1983-04
[77] 서적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0
[78] 서적 Peaks of Yemen I Summon: Poetry as Cultural Practice in a North Yemeni Tribe https://www.ucpre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06-07
[79] 웹사이트 History of Yemen – Key Figures in Yemen's history https://www.nationso[...] 2022-07-30
[80] 간행물 Yemen: After Ahmad the Devil https://content.time[...] 2022-04-16
[81] 웹사이트 في مثل هذا اليوم قتل أحمد حميد الدين ليطوى بذلك سجل الإمامة في اليم ن وإلى الأبد http://yemenews.net/[...] 2022-07-21
[82] 서적 Ungoverned Territories: Understanding and Reducing Terrorism Risks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2022-06-16
[83] 서적 The government and politic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Westview Press 1995
[84] 서적 Yemen Army: North Yemen Civil War, Mutawakkilite Kingdom of Yemen
[85] 웹사이트 Kingdom of Yemen/Yemen Arab Republic/North Yemen (1948-1990) https://uca.edu/poli[...] University of Central Arkansas 2022-07-02
[86] 웹사이트 History of Yemen – Key Figures in Yemen's history https://www.nationso[...] Nations Online 2022-06-23
[87] 문서 Halliday. 1975: p. 95 vdd
[88] 서적 Yemen: The Unknown Arabia The Overlook Press 2000
[89] 웹사이트 Arab League https://www.britanni[...] 2024-08-07
[90] 웹사이트 The foreign office and Anglo-Italian involvement in the Red Sea and Arabia, 1925-28. http://www.articlear[...] 2009-01-07
[91] 웹사이트 Newspaper https://s1.nyt.com/t[...] 2023-12-23
[92] 문서 Text in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vol. 67, pp. 384-391.
[93] 웹사이트 April 17, 2015 22 http://ricolor.org/h[...]
[94] 웹사이트 Республика Йемен http://yemen-club.ru[...] 2008-02-02
[95] 웹사이트 The Treaty of Taif, 1934 http://www.al-bab.co[...] 2012-02-05
[96] 뉴스 Peace Negotiations in Arabian War http://nla.gov.au/nl[...] 2023-03-20
[97] 웹사이트 The Treaty of Taif, 1934 http://www.al-bab.co[...] 2012-02-05
[98] 웹사이트 معاهدة الصداقة والتعاون المتبادل بين اليمن وبريطانيا 11 ف براير 1934 م https://yemen-nic.in[...] 2022-06-21
[99] 웹사이트 Historical Stations in the Path of a Revolution http://www.14october[...] 2022-06-21
[100] 서적 Politics and government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91
[101] 문서 تأسيس الجيـش اليمنـي ودوره العسكـري والسياسـي 1337- 1382هـ/ 1918- 1962م ، رسالة ماجستير ، أحمد علي أحمد حسن الزراعي ، جامعة صنعاء ، الباب الأول :تأسيس الجيش النظامي وتنظيماته الإدارية والعسكرية ، الفصل الأول: الجيـش المظفر النظامي ، ص 24
[102] 웹사이트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يمنية https://areq.net/m/%[...] 2022-06-25
[103] 서적 The establishment of the Yemeni army and its military and political role 1918–1962 AD
[104] 문서 1940-1943 1940-1943 1940-1943 ص 281- 282.سلطان ناجي: مرجع سابق، ص 122.
[105] 문서 هيئة العمليات الحربية : مطبوعة، الورقة الثالثة. (Translation: Military Operations Authority: printed, third page)
[106] 서적 اليمن في عيون الرحالة الاجانب مرکز الدراسات والبحوث الأمني 2011
[107] 서적 وثائق أولى، عن الثورة اليمنية دار الآداب، بيروت 1985
[108] 문서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بين الامس واليوم:الحديث عن قوات مسلحة منظمة قبل قيام الثورة أمر يبتعد عن الدقة
[109] 간행물 الموسوعة العسكرية المؤسسة العربية للدراسات والنشر 1977-08-01
[110] 서적 Hot Skies Over Yemen, Volume 1: Aerial Warfare Over the South Arabian Peninsula, 1962-1994 Helion & Company Publishing 2017
[111] 서적 Hot Skies Over Yemen, Volume 1: The Air War Over the Southern Arabian Peninsula, 1962-1994 Helion & Company Publishing 2017
[112] 서적 Hot Skies Over Yemen, Volume 1: The Air War Over the Southern Arabian Peninsula, 1962-1994 Helion & Company Publishing 2017
[113] 서적 Hot Skies Over Yemen, Volume 1: The Air War Over the Southern Arabian Peninsula, 1962-1994 Helion & Company Publishing 2017
[114] 서적 Ah O Yemen – 1904 Rebellion https://studylibtr.c[...] Tarihçi Kitabevi 2022-06-19
[115] 웹사이트 Gulf Coalition Operations in Yemen (Part 1): The Ground War https://www.washingt[...] 2022-07-09
[116] 학위논문 سياسي (1337-1382هــ/1918-1962مـ) جامعة صنعاء
[117] 웹사이트 Eddins, Gary Allen. The International Importance of Yemen https://dra.american[...] 2023-03-18
[118] 서적 Yemen on the Threshold American Friends of the Middle East 1960
[119] 웹사이트 Zeydıyye https://islamansiklo[...] 2022-08-15
[12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Jews of Yemen https://aish.com/his[...] 2022-08-09
[121] 서적 The Jew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Modern Tim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122] 웹사이트 The Jews of Yemen https://www.jewishvi[...] Jewishvirtuallibrary.org 2014-10-28
[123] 뉴스 Our man in Sanaa: Ex-Yemen president was once trainee rabbi http://www.haaretz.c[...] Haaretz
[124] 뉴스 Abdul-Rahman al-Iryani, Ex-Yemen President, 89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8-03-17
[125] 웹사이트 Haaretz Dreams http://www.yemenonli[...] 2014-10-28
[126] 서적 Jewish Communities in Exotic Places Jason Aronson 2000
[127] 뉴스 المواصلات في زمن الإمام يحيى https://republicanye[...] 2022-08-08
[128] 뉴스 الفرنسية "لوسيل فيفرييه" تروي جانباً من جحيم الإمامة في اليمن https://republicanye[...] 2023-03-13
[129] 문서 Yemen-Turkey Relations in the Period of National Struggle
[130] 서적 Taiz in Power https://sanaacenter.[...] Sana’a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2023-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