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 반지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자 반지름은 원자핵으로부터 원자가 전자를 가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거리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며, 여러 정의와 측정 방법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19세기에는 원자 부피 개념에서 시작하여 X선 결정학을 통해 원자 크기를 결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원자 반지름은 반데르발스 반지름, 이온 반지름, 공유 결합 반지름, 금속 반지름, 보어 반지름 등 다양한 종류로 정의되며, 주기율표에서 주기와 족에 따라 규칙적인 경향을 보인다. 원자 반지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전자 껍질, 핵전하, 차폐 효과 등이 있으며, 란타넘족 수축과 d-블록 수축과 같은 현상도 원자 반지름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원자 반지름 | |
---|---|
원자 반지름 | |
정의 | 일반적으로 원자핵의 중심에서 가장 바깥쪽의 고립된 전자까지의 평균 또는 일반적인 거리 |
참고 자료 | 코튼, 윌킨슨, 《고급 무기화학》, 5판, 와일리, 1988년, 1385쪽 바스데방, 리치, 스피로, 《핵물리학 기초》, 슈프링거, 2005년, 13쪽, 그림 1.1 |
추가 정보 | 원자 반지름(げんしはんけい)이란? 의미와 사용법 - 코토뱅크 |
2. 역사
19세기에는 원자 반지름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전, 주어진 고체 또는 액체 물질에서 원자가 평균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의 상대적인 척도인 원자 부피라는 개념이 있었다.[3] 19세기 말에는 이 용어가 절대적인 의미로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몰 부피를 아보가드로 수로 나눈 값이었다.[4] 이러한 부피는 동일한 화합물이라도 결정 형태가 다르면 달랐다.[5] 하지만 물리학자들은 이를 원자 크기를 대략적으로 추정하는 데 사용하여 구리의 경우 10-8–10-7 cm를 얻었다.[6]
원자 반지름은 측정 방법과 원자의 상태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22][23] 원자 반지름의 값은 대상 원자의 상태와 문맥에 따라 달라진다.
원자 크기에 대한 최초의 추정은 1830년대에 특히 코시[7][8]와 같은 광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연결된 "분자"의 격자를 가정하여 빛의 분산 모델을 개발했다.[9] 1857년 클라우지우스는 기체 운동 모델을 개발했는데, 여기에는 평균 자유 경로에 대한 방정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1870년대에는 이것을 기체 분자 크기를 추정하는 데 사용했으며, 앞서 언급한 가시광선 파장과 비누 거품 막의 두께(막의 수축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두께)와의 비교를 통해 추정하기도 했다.[10] 1900년까지 수은 원자 지름에 대한 다양한 추정치는 평균 약 275pm였다.[7] (현대의 추정치는 300pm이다.)
1920년, X선 결정학을 사용하여 원자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 직후, 같은 원소의 모든 원자는 반지름이 같다는 것이 제안되었다.[11] 그러나 1923년, 더 많은 결정 데이터가 얻어지면서 원자를 구로 근사하는 것이 서로 다른 결정 구조에서 동일한 원자를 비교할 때 반드시 성립하는 것은 아님이 밝혀졌다.[12]
3. 원자 반지름의 정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자 반지름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3. 1. 반데르발스 반지름
(공유 결합이나 금속 상호 작용에 의해 결합되지 않은) 원소 단체 결정에서 원자핵 사이의 최소 거리의 절반이 가장 간단한 정의이다.[24] 반데르발스 반지름은 반데르발스 힘보다 다른 상호 작용이 지배적인 원소(금속 등)에도 정의할 수 있다. 반데르발스 힘은 양자 요동에 의한 원자 내의 분극에서 유래하므로, 더 쉽게 측정 및 계산 가능한 분극률을 바탕으로 반데르발스 반지름을 간접적으로 정의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25]
3. 2. 이온 반지름
란타넘족 수축으로 인해 Ln3+ 이온의 이온 반지름은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규칙적으로 감소한다.[19] 파얀스 규칙에 따르면 Ln3+ 이온의 크기 감소는 Ln(OH)3에서 Ln3+과 OH- 이온 사이의 공유 결합 성격을 증가시키고 염기성을 감소시켜 Yb(OH)3과 Lu(OH)3이 고농도의 뜨거운 NaOH에 녹기 어렵게 된다. Ln3+의 크기 순서는 La3+ > Ce3+ > ... > Lu3+이다.
3. 3. 공유 결합 반지름
분자 내에서 다른 원자와 공유 결합하고 있는 원소의 원자 반지름을 공유 결합 반지름이라고 한다. 분자 내에서 공유 결합하고 있는 원자 사이의 거리(공유 결합 길이)를 각 공유 반지름의 합이라고 가정하여 유도된다.[24]
다음 표는 1964년 존 클라크 슬레이터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원소들의 공유 결합 반지름을 나타낸 것이다.[28] 단위는 피코미터(pm 또는 1×10⁻¹² m)이며, 정확도는 약 5pm이다.
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
주기 | |||||||||||||||||||
1 | H 25 | colspan="16" | | He | ||||||||||||||||
2 | Li 145 | Be 105 | colspan="10" | | B 85 | C 70 | N 65 | O 60 | F 50 | Ne | ||||||||||
3 | Na 180 | Mg 150 | colspan="10" | | Al 125 | Si 110 | P 100 | S 100 | Cl 100 | Ar | ||||||||||
4 | K 220 | Ca 180 | Sc 160 | Ti 140 | V 135 | Cr 140 | Mn 140 | Fe 140 | Co 135 | Ni 135 | Cu 135 | Zn 135 | Ga 130 | Ge 125 | As 115 | Se 115 | Br 115 | Kr | |
5 | Rb 235 | Sr 200 | Y 180 | Zr 155 | Nb 145 | Mo 145 | Tc 135 | Ru 130 | Rh 135 | Pd 140 | Ag 160 | Cd 155 | In 155 | Sn 145 | Sb 145 | Te 140 | I 140 | Xe | |
6 | Cs 260 | Ba 215 | * | Lu 175 | Hf 155 | Ta 145 | W 135 | Re 135 | Os 130 | Ir 135 | Pt 135 | Au 135 | Hg 150 | Tl 190 | Pb 180 | Bi 160 | Po 190 | At | Rn |
7 | Fr | Ra 215 | Lr | Rf | Db | Sg | Bh | Hs | Mt | Ds | Rg | Cn | Nh | Fl | Mc | Lv | Ts | Og | |
colspan="3" | | * | La 195 | Ce 185 | Pr 185 | Nd 185 | Pm 185 | Sm 185 | Eu 185 | Gd 180 | Tb 175 | Dy 175 | Ho 175 | Er 175 | Tm 175 | Yb 175 | ||||
colspan="3" | | Ac 195 | Th 180 | Pa 180 | U 175 | Np 175 | Pu 175 | Am 175 | Cm | Bk | Cf | Es | Fm | Md | No |
다음 표는 1967년 엔리코 클레멘티(Enrico Clementi) 등이 발표한 이론 모델을 바탕으로 계산된 원자 반지름을 나타낸다.[30] 값의 단위는 피코미터(pm)이다.
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
주기 | |||||||||||||||||||
1 | H 53 | colspan="16" | | He 31 | ||||||||||||||||
2 | Li 167 | Be 112 | colspan="10" | | B 87 | C 67 | N 56 | O 48 | F 42 | Ne 38 | ||||||||||
3 | Na 190 | Mg 145 | colspan="10" | | Al 118 | Si 111 | P 98 | S 88 | Cl 79 | Ar 71 | ||||||||||
4 | K 243 | Ca 194 | Sc 184 | Ti 176 | V 171 | Cr 166 | Mn 161 | Fe 156 | Co 152 | Ni 149 | Cu 145 | Zn 142 | Ga 136 | Ge 125 | As 114 | Se 103 | Br 94 | Kr 88 | |
5 | Rb 265 | Sr 219 | Y 212 | Zr 206 | Nb 198 | Mo 190 | Tc 183 | Ru 178 | Rh 173 | Pd 169 | Ag 165 | Cd 161 | In 156 | Sn 145 | Sb 133 | Te 123 | I 115 | Xe 108 | |
6 | Cs 298 | Ba 253 | * | Lu 217 | Hf 208 | Ta 200 | W 193 | Re 188 | Os 185 | Ir 180 | Pt 177 | Au 174 | Hg 171 | Tl 156 | Pb 154 | Bi 143 | Po 135 | At 127 | Rn 120 |
7 | Fr | Ra | Lr | Rf | Db | Sg | Bh | Hs | Mt | Ds | Rg | Cn | Nh | Fl | Mc | Lv | Ts | Og | |
colspan="3" | | * | La 226 | Ce 210 | Pr 247 | Nd 206 | Pm 205 | Sm 238 | Eu 231 | Gd 233 | Tb 225 | Dy 228 | Ho 226 | Er 226 | Tm 222 | Yb 222 | ||||
colspan="3" | | Ac | Th | Pa | U | Np | Pu | Am | Cm | Bk | Cf | Es | Fm | Md | No |
3. 4. 금속 반지름
다음은 1967년 엔리코 클레멘티(Enrico Clementi) 등이 발표한 이론 모델을 바탕으로 계산된 금속 결합 반지름을 나타낸 표이다.[20] 금속 결합 반지름은 금속 결합으로 서로 결합된 원소의 원자 간 거리에서 추정되는 원자 반지름이다. 값의 단위는 피코미터(pm)이다.족 (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
주기 (행) | colspan=20 | | ||||||||||||||||||
1 | H 53 | colspan=17 | | He 31 | ||||||||||||||||
2 | Li 167 | Be 112 | colspan=11 | | B 87 | C 67 | N 56 | O 48 | F 42 | Ne 38 | ||||||||||
3 | Na 190 | Mg 145 | colspan=11 | | Al 118 | Si 111 | P 98 | S 88 | Cl 79 | Ar 71 | ||||||||||
4 | K 243 | Ca 194 | Sc 184 | Ti 176 | V 171 | Cr 166 | Mn 161 | Fe 156 | Co 152 | Ni 149 | Cu 145 | Zn 142 | Ga 136 | Ge 125 | As 114 | Se 103 | Br 94 | Kr 88 | |
5 | Rb 265 | Sr 219 | Y 212 | Zr 206 | Nb 198 | Mo 190 | Tc 183 | Ru 178 | Rh 173 | Pd 169 | Ag 165 | Cd 161 | In 156 | Sn 145 | Sb 133 | Te 123 | I 115 | Xe 108 | |
6 | Cs 298 | Ba 253 | * | Lu 217 | Hf 208 | Ta 200 | W 193 | Re 188 | Os 185 | Ir 180 | Pt 177 | Au 174 | Hg 171 | Tl 156 | Pb 154 | Bi 143 | Po 135 | At 127 | Rn 120 |
7 | Fr | Ra | Lr | Rf | Db | Sg | Bh | Hs | Mt | Ds | Rg | Cn | Nh | Fl | Mc | Lv | Ts | Og | |
* | La 226 | Ce 210 | Pr 247 | Nd 206 | Pm 205 | Sm 238 | Eu 231 | Gd 233 | Tb 225 | Dy 228 | Ho 226 | Er 226 | Tm 222 | Yb 222 | |||||
Ac | Th | Pa | U | Np | Pu | Am | Cm | Bk | Cf | Es | Fm | Md | No |
3. 5. 보어 반지름
보어의 원자 모형(1913)에 의해 예측된 바닥 상태의 전자 궤도 반지름이다.[26][27] 수소, 단일 이온화 헬륨, 포지트로늄 등 전자를 하나만 가지는 원자와 이온에만 적용할 수 있다. 모형 자체는 폐기되었지만, 수소 원자의 보어 반지름은 여전히 중요한 물리 상수로 간주된다.4. 실험적으로 측정된 원자 반지름
19세기에는 원자 반지름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전, 주어진 고체나 액체 물질에서 원자가 평균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의 상대적 척도인 원자 부피 개념이 있었다.[3] 19세기 말에는 이 용어가 몰 부피를 아보가드로 수로 나눈 값이라는 절대적인 의미로도 사용되었다.[4] 물리학자들은 이를 원자 크기를 대략적으로 추정하는 데 사용했으며, 구리의 경우 10-8–10-7 cm를 얻었다.[6]
1830년대에 코시[7][8]와 같은 광학자들이 연결된 "분자"의 격자를 가정하여 빛의 분산 모델을 개발하면서 원자 크기에 대한 최초의 추정이 이루어졌다.[9] 1857년 클라우지우스는 기체 운동 모델을 개발했는데, 여기에는 평균 자유 경로에 대한 방정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1870년대에는 이것을 기체 분자 크기를 추정하는 데 사용했으며, 가시광선 파장과 비누 거품 막의 두께(막의 수축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두께)와의 비교를 통해 추정하기도 했다.[10] 1900년까지 수은 원자 지름에 대한 다양한 추정치는 평균 약 275±20 pm였다.[7]
1920년, X선 결정학을 사용하여 원자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 직후, 같은 원소의 모든 원자는 반지름이 같다는 것이 제안되었다.[11] 그러나 1923년, 더 많은 결정 데이터가 얻어지면서 원자를 구로 근사하는 것이 서로 다른 결정 구조에서 동일한 원자를 비교할 때 반드시 성립하는 것은 아님이 밝혀졌다.[12]
다음 표는 1964년 J. C. 슬레이터가 발표한 원소들의 실험적으로 측정된 '''공유 결합''' 원자 반지름을 보여준다.[17] 값은 피코미터(pm 또는 1×10−12 m) 단위이며, 정확도는 약 5 pm이다.
족 | 1 (알칼리 금속) | 2 (알칼리 토금속) | 3 (3족 원소) | 4 (4족 원소) | 5 (5족 원소) | 6 (6족 원소) | 7 (7족 원소) | 8 (8족 원소) | 9 (9족 원소) | 10 (10족 원소) | 11 (11족 원소) | 12 (12족 원소) | 13 (붕소족) | 14 (탄소족) | 15 (질소족) | 16 (칼코겐) | 17 (할로젠) | 18 (비활성 기체) | |
---|---|---|---|---|---|---|---|---|---|---|---|---|---|---|---|---|---|---|---|
주기 | |||||||||||||||||||
1 (1주기 원소) | H 25 | colspan=16 | | He | ||||||||||||||||
2 (2주기 원소) | Li 145 | Be 105 | colspan=10 | | B 85 | C 70 | N 65 | O 60 | F 50 | Ne | ||||||||||
3 (3주기 원소) | Na 180 | Mg 150 | colspan=10 | | Al 125 | Si 110 | P 100 | S 100 | Cl 100 | Ar | ||||||||||
4 (4주기 원소) | K 220 | Ca 180 | Sc 160 | Ti 140 | V 135 | Cr 140 | Mn 140 | Fe 140 | Co 135 | Ni 135 | Cu 135 | Zn 135 | Ga 130 | Ge 125 | As 115 | Se 115 | Br 115 | Kr | |
5 (5주기 원소) | Rb 235 | Sr 200 | Y 180 | Zr 155 | Nb 145 | Mo 145 | Tc 135 | Ru 130 | Rh 135 | Pd 140 | Ag 160 | Cd 155 | In 155 | Sn 145 | Sb 145 | Te 140 | I 140 | Xe | |
6 (6주기 원소) | Cs 260 | Ba 215 | * | Lu 175 | Hf 155 | Ta 145 | W 135 | Re 135 | Os 130 | Ir 135 | Pt 135 | Au 135 | Hg 150 | Tl 190 | Pb 180 | Bi 160 | Po 190 | At | Rn |
7 (7주기 원소) | Fr | Ra 215 | Lr | Rf | Db | Sg | Bh | Hs | Mt | Ds | Rg | Cn | Nh | Fl | Mc | Lv | Ts | Og | |
colspan=18 | | |||||||||||||||||||
* | La 195 | Ce 185 | Pr 185 | Nd 185 | Pm 185 | Sm 185 | Eu 185 | Gd 180 | Tb 175 | Dy 175 | Ho 175 | Er 175 | Tm 175 | Yb 175 | |||||
Ac 195 | Th 180 | Pa 180 | U 175 | Np 175 | Pu 175 | Am 175 | Cm | Bk | Cf | Es | Fm | Md | No |
4. 1. 주기율표에서의 경향
원자의 전자는 아우프바우 원리에 따라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부터 전자껍질을 채운다. 각 새로운 주기는 다음 비어 있는 s-궤도함수를 채우는 앞 두 원소로 시작하는데, 원자의 s-궤도함수 전자는 일반적으로 원자핵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각 주기의 첫 번째 원소에서 원자 반지름이 크게 증가한다.각 주기에서 각 원소의 원자 반지름은 일반적으로 양성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이는 양성자 수의 증가는 원자의 전자에 작용하는 인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더 큰 인력은 전자를 양성자에 더 가깝게 끌어당겨 원자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각 족을 따라 내려갈수록 각 원소의 원자 반지름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더 많은 전자 에너지 준위가 차지되어 있고 따라서 양성자와 전자 사이의 거리가 더 크기 때문이다.
증가하는 핵전하는 증가하는 전자 수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쇄되는데, 이 현상을 차폐라고 한다. 이는 핵으로부터의 인력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원자의 크기가 각 열을 따라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전자 차폐는 원자의 핵이 전자에 대한 인력을 감소시키므로, 원자핵에서 더 멀리 떨어진 더 높은 에너지 상태를 차지하는 전자는 인력이 감소하여 원자의 크기가 증가한다. 그러나 5d-블록(루테튬에서 수은)의 원소들은 4f-부껍질의 약한 차폐 때문에 이 경향이 예측하는 것보다 훨씬 작다. 이 현상을 란타넘족 수축이라고 한다. 악티늄족에도 유사한 현상이 존재하지만, 초우라늄 원소의 일반적인 불안정성으로 인해 5f-블록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측정이 어렵고 초악티늄족에 대한 측정은 거의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충분히 무거운 원소의 경우, 원자 반지름은 상대론적 효과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18] 이것은 강하게 대전된 핵 근처의 전자가 빛의 속도의 상당한 비율로 이동하여 상당한 질량을 얻기 때문이다.
원소의 원자 반지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현상은 다음과 같다.
요인 | 원리 | 증가하는… | 경향 | 반지름에 미치는 영향 |
---|---|---|---|---|
전자껍질 | 양자 역학 | 주양자수와 방위 양자수 | 각 열을 따라 아래로 증가 | 원자 반지름 증가 |
핵전하 | 핵 속 양성자가 전자에 작용하는 인력 | 원자 번호 | 각 주기(왼쪽에서 오른쪽)를 따라 증가 | 원자 반지름 감소 |
차폐 | 내부 전자가 최외각 전자에 작용하는 반발력 | 내부 껍질의 전자 수 | 핵전하의 영향 감소 | 원자 반지름 증가 |
란타넘족 수축은 란타넘(원자번호 ''Z'' = 57)에서 이터븀(원자번호 ''Z'' = 70)까지 순차적으로 채워지는 4f-전자부껍질의 전자가 더 바깥쪽의 부껍질로부터 증가하는 핵전하를 차폐하는 데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이다. 란타넘족 원소 바로 다음에 있는 원소들은 예상보다 원자 반지름이 작고, 바로 위에 있는 원소들의 원자 반지름과 거의 동일하다.[19] 따라서 루테튬은 이트륨보다 약간 작고, 하프늄은 지르코늄과 거의 동일한 원자 반지름 및 화학적 성질을 가지며, 탄탈륨은 나이오븀과 유사한 원자 반지름을 가진다. 란타넘족 수축의 영향은 백금(원자번호 ''Z'' = 78)까지 눈에 띄지만, 그 이후에는 불활성 쌍 효과에 의해 가려진다.
란타넘족 수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5가지 관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Ln3+ 이온의 크기는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규칙적으로 감소한다. 파얀스 규칙에 따르면 Ln3+ 이온의 크기 감소는 Ln(OH)3에서 Ln3+과 OH− 이온 사이의 공유 결합 성격을 증가시키고 염기성을 감소시켜 Yb(OH)3과 Lu(OH)3이 고농도의 뜨거운 NaOH에 녹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Ln3+의 크기 순서는 La3+ > Ce3+ > ..., ... > Lu3+이다.
# 이온 반지름이 규칙적으로 감소한다.
#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제로 작용하는 경향이 규칙적으로 감소한다.
# d-블록 전이 원소의 2주기와 3주기 원소들은 성질이 매우 유사하다.
# 결과적으로 이들 원소는 천연 광물에서 함께 발견되며 분리하기 어렵다.
d-블록 수축은 란타넘족 수축보다 덜 두드러지지만 비슷한 원인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 3d 전자의 차폐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첫 번째 전이 금속 전이 금속 원소의 첫 번째 행 다음 원소들, 즉 갈륨(''Z'' = 31)부터 브롬(''Z'' = 35)까지의 원자 반지름과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19]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원자 반지름이 변하는 경향은 전자껍질에서 전자의 배치로 설명할 수 있다. 음으로 대전된 전자는 원자핵 내부의 양으로 대전된 양성자에 끌리기 때문에, 껍질은 일반적으로 안쪽부터 차례로 채워진다. 따라서 원자 번호가 같은 주기 내에서 증가할 때 추가되는 전자는 아직 빈 공간이 있는 최외각 껍질에 추가되는 반면, 원자핵의 양성자 증가(=양전하 증가)에 의해 핵과 전자 사이의 인력이 증대되므로, 원자 반지름은 점차 수축하는 경향이 된다. 비활성 기체에 도달하면 최외각 껍질은 전자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가 되고, 다음 알칼리 금속으로 옮겨갈 때 추가되는 전자는 새로운 껍질에 배치되므로, 알칼리 금속의 원자 반지름이 인접한 비활성 기체와 비교하여 급증한다.
핵전하 증가의 영향은 차폐 효과로 알려진 현상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쇄됨으로써, 같은 족에서 원자 번호가 증가할수록 원자 반지름이 커지는 경향이 설명된다. 차폐 효과는 최외각 전자가 내부에 있는 전자로부터 받는 반발력에 기인하며, 내각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의 증가에 따라 커진다. 여기에는 란타넘족 수축이나 d-블록 수축으로 알려진 주목할 만한 예외가 존재한다.
5. 이론적으로 계산된 원자 반지름
다음 표는 1967년 엔리코 클레멘티(Enrico Clementi) 등이 발표한 이론 모델을 바탕으로 계산된 원자 반지름을 보여준다.[20] 값은 피코미터(pm) 단위이다.
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
주기 | colspan=20 | | ||||||||||||||||||
1 | H 53 | He 31 | |||||||||||||||||
2 | Li 167 | Be 112 | B 87 | C 67 | N 56 | O 48 | F 42 | Ne 38 | |||||||||||
3 | Na 190 | Mg 145 | Al 118 | Si 111 | P 98 | S 88 | Cl 79 | Ar 71 | |||||||||||
4 | K 243 | Ca 194 | Sc 184 | Ti 176 | V 171 | Cr 166 | Mn 161 | Fe 156 | Co 152 | Ni 149 | Cu 145 | Zn 142 | Ga 136 | Ge 125 | As 114 | Se 103 | Br 94 | Kr 88 | |
5 | Rb 265 | Sr 219 | Y 212 | Zr 206 | Nb 198 | Mo 190 | Tc 183 | Ru 178 | Rh 173 | Pd 169 | Ag 165 | Cd 161 | In 156 | Sn 145 | Sb 133 | Te 123 | I 115 | Xe 108 | |
6 | Cs 298 | Ba 253 | * | Lu 217 | Hf 208 | Ta 200 | W 193 | Re 188 | Os 185 | Ir 180 | Pt 177 | Au 174 | Hg 171 | Tl 156 | Pb 154 | Bi 143 | Po 135 | At 127 | Rn 120 |
7 | Fr | Ra | Lr | Rf | Db | Sg | Bh | Hs | Mt | Ds | Rg | Cn | Nh | Fl | Mc | Lv | Ts | Og | |
* | La 226 | Ce 210 | Pr 247 | Nd 206 | Pm 205 | Sm 238 | Eu 231 | Gd 233 | Tb 225 | Dy 228 | Ho 226 | Er 226 | Tm 222 | Yb 222 | |||||
Ac | Th | Pa | U | Np | Pu | Am | Cm | Bk | Cf | Es | Fm | Md | No |
6. 원자 반지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자의 전자는 아우프바우 원리에 따라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부터 전자껍질을 채운다. 각 주기는 다음 비어 있는 s-궤도함수를 채우는 두 원소로 시작하며, s-궤도함수 전자는 원자핵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 각 주기의 첫 번째 원소에서 원자 반지름이 크게 증가한다.[18]
각 주기에서 원자 반지름은 양성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데, 이는 원자의 전자에 작용하는 인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더 큰 인력은 전자를 양성자에 더 가깝게 끌어당겨 원자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반면, 각 족을 따라 내려갈수록 원자 반지름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더 많은 전자 에너지 준위가 채워져 양성자와 전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이다.[18]
증가하는 핵전하는 증가하는 전자 수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쇄되는데, 이를 차폐라고 한다. 이는 핵으로부터의 인력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원자의 크기가 각 족을 따라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전자 차폐는 원자핵이 전자에 대한 인력을 감소시키므로, 원자핵에서 더 멀리 떨어진 전자는 인력이 감소하여 원자의 크기가 증가한다. 그러나 5d-블록(루테튬에서 수은)의 원소들은 4f-부껍질의 약한 차폐 때문에 이 경향이 예측하는 것보다 훨씬 작은데, 이를 란타넘족 수축이라고 한다. 악티늄족에도 유사한 현상이 존재하지만, 초우라늄 원소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측정이 어렵다.[18]
충분히 무거운 원소의 경우, 원자 반지름은 상대론적 효과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18] 이는 강하게 대전된 핵 근처의 전자가 빛의 속도의 상당한 비율로 이동하여 상당한 질량을 얻기 때문이다.
원소의 원자 반지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현상은 다음과 같다.
요인 | 원리 | 증가하는 변수 | 경향 | 원자 반지름에 미치는 영향 |
---|---|---|---|---|
전자껍질 | 양자 역학 | 주양자수와 방위 양자수 | 각 족을 따라 아래로 증가 | 증가 |
핵전하 | 원자핵 내 양성자가 전자에 작용하는 인력 | 원자 번호 | 각 주기에 따라 증가(왼쪽에서 오른쪽) | 감소 |
차폐 효과 | 내부 전자로부터 최외각 전자에 작용하는 반발력 | 내각에 있는 전자의 수 | 핵전하에 의한 효과를 감소시킴 | 증가 |
란타넘(원자 번호 ''Z'' = 57)에서 이터븀(원자 번호 ''Z'' = 70)까지 4f-전자부껍질의 전자는 더 바깥쪽 부껍질로부터 증가하는 핵전하를 차폐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 란타넘족 원소 바로 다음에 있는 원소들은 예상보다 원자 반지름이 작고, 바로 위에 있는 원소들의 원자 반지름과 거의 동일하다.[19] 따라서 루테튬은 이트륨보다 약간 작고, 하프늄은 지르코늄과 거의 동일한 원자 반지름(및 화학적 성질)을 가지며, 탄탈륨은 나이오븀과 유사한 원자 반지름을 가진다. 란타넘족 수축의 영향은 백금(원자번호 ''Z'' = 78)까지 눈에 띈다.[19]
란타넘족 수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5가지 결과가 나타난다.
# Ln3+ 이온의 크기는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규칙적으로 감소한다. 파얀스 규칙에 따르면 Ln3+ 이온의 크기 감소는 Ln(OH)3에서 Ln3+과 OH− 이온 사이의 공유 결합 성격을 증가시키고 염기성을 감소시킨다.
# 이온 반지름이 규칙적으로 감소한다.
#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제로 작용하는 경향이 규칙적으로 감소한다.
# d-블록 전이 원소의 2주기와 3주기 원소들은 성질이 매우 유사하다.
# 이들 원소는 천연 광물에서 함께 발견되며 분리하기 어렵다.
d-블록 수축은 란타넘족 수축보다 덜 두드러지지만 비슷한 원인에서 발생한다. 3d 전자의 차폐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첫 번째 전이 금속 원소 다음 원소들, 즉 갈륨(''Z'' = 31)부터 브롬(''Z'' = 35)까지의 원자 반지름과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19]
7.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Advanced Inorganic Chemistry
Wiley
[2]
서적
Fundamentals in Nuclear Phys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3]
서적
The English Cyclopaedia: A New Dictionary of Univers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Bradbury and Evans
1859
[4]
학술지
The Laws and Nature of Cohesion
https://books.google[...]
1892-07-22
[5]
서적
A Dictionary of chemistry and the allied branches of other sciences v. 3, 1882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 Company
1882
[6]
서적
Electrical World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893
[7]
학술지
A Determination of the Nature of the Electric and Magnetic Quantities and of the Density and Elasticity of the Ether, II
https://link.aps.org[...]
1900-02-00
[8]
학술지
On the size of atoms
https://books.google[...]
1870-07-01
[9]
서적
A History of Optics from Greek Antiquity to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
[10]
서적
The American chemist: a monthly journal of theoretical, analytical and technic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C. F. & W. H. Chandler
1877
[11]
학술지
The arrangement of atoms in crystals
https://zenodo.org/r[...]
[12]
학술지
On the Hypothesis of Constant Atomic Radii
[13]
서적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Cornell University Press
[14]
학술지
Quantum-Mechanical Relation between Atomic Dipole Polarizability and the van der Waals Radius
https://journals.aps[...]
2021-05-09
[15]
학술지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 – Binding of Electrons by Positive Nuclei
http://web.ihep.su/d[...]
2011-06-08
[16]
학술지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I. – Systems containing only a Single Nucleus
http://web.ihep.su/d[...]
2011-06-08
[17]
학술지
Atomic Radii in Crystals
[18]
학술지
Relativistic effects on chemical properties
https://escholarship[...]
1979-08-01
[19]
서적
Modern Inorganic Chemistry
McGraw-Hill
[20]
학술지
Atomic Screening Constants from SCF Functions. II. Atoms with 37 to 86 Electrons
[21]
웹사이트
原子半径(げんしはんけい)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5-06
[22]
서적
Advanced Inorganic Chemistry
Wiley
[23]
문서
실험값(empirical data)과 계산값(calculated data)의 차이
[24]
서적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Cornell University Press
[25]
학술지
Quantum-Mechanical Relation between Atomic Dipole Polarizability and the van der Waals Radius
https://journals.aps[...]
2021-05-09
[26]
학술지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 – Binding of Electrons by Positive Nuclei
http://web.ihep.su/d[...]
2011-06-08
[27]
학술지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Part II. – Systems containing only a Single Nucleus
http://web.ihep.su/d[...]
2011-06-08
[28]
학술지
Atomic Radii in Crystals
[29]
서적
Modern Inorganic Chemistry
McGraw-Hill
[30]
학술지
Atomic Screening Constants from SCF Functions. II. Atoms with 37 to 86 Electr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