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네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크네튬(Tc)은 원자 번호 43번의 은백색 방사성 금속 원소이다. 1871년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에서 존재를 예측했으며, 1936년 사이클로트론을 통해 인공적으로 합성되었다. 테크네튬은 지각에 극미량 존재하며, 주로 핵연료 재처리 과정에서 얻어진다. 주요 동위원소인 테크네튬-99m은 핵의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혈류, 뼈, 종양 등의 영상 진단에 활용된다. 테크네튬은 촉매, 부식 방지 등 공업적 용도로도 연구되지만, 방사성으로 인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크네튬 - 테크네튬 동위 원소
테크네튬 동위 원소는 모두 방사성을 띠는 인공 원소 테크네튬의 다양한 동위 원소들을 지칭하며,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는 반감기가 423만 년인 테크네튬-98이고, 테크네튬-99m은 의료 및 실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테크네튬-99는 핵폐기물로 다량 발생하지만 부식 억제제로의 활용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 - 인공 원소 - 플루토늄
플루토늄은 명왕성에서 유래된 이름의 방사성 은백색 금속 원소로, 산화 시 황갈색으로 변하며 여러 동소체와 산화 상태를 가지고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 연료, 우주 탐사용 열원으로 사용되지만 높은 방사능 독성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 인공 원소 - 로렌슘
로렌슘은 기호 Lr, 원자 번호 103번의 악티늄족 초우라늄 인공 방사성 원소로, 1961년과 1965년 각각 다른 방법으로 합성되어 발견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현재 13개의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고, 화학적 성질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3가 이온으로 존재하며 d-구역 원소의 특징을 보인다. - 전이 금속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전이 금속 - 백금
백금은 은백색의 귀금속으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촉매, 전기 접점 재료, 장신구, 자동차 배기가스 제어 장치 등에 사용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러시아에서 주로 생산된다.
| 테크네튬 | |
|---|---|
| 기본 정보 | |
![]() | |
| 원소 이름 | 테크네튬 |
| 영어 이름 | Technetium |
| 일본어 이름 | テクネチウム (Tekunechiumu) |
| 문화어 이름 | 테크네티움 |
| 그리스어 어원 | τεχνητος (technetos), "인공적인"을 의미하는 -ium 접미사 |
| 발음 | tek |
| 원자 기호 | Tc |
| 원자 번호 | 43 |
| 주기 | 5 |
| 족 | 7 |
| 블록 | d |
| 원자 질량 | 98 |
| 전자 배치 | Kr 4d5 5s2 |
| 껍질 당 전자 수 | 2, 8, 18, 13, 2 |
| 외관 | 빛나는 회색 금속 |
| 상 | 고체 |
| 밀도 | 98Tc: 11.359 g/cm3, 99Tc: 11.475 g/cm3 (20°C) |
| 녹는점 | 2430 K (2157 °C, 3915 °F) |
| 끓는점 | 4538 K (4265 °C, 7709 °F) |
| 승화점 | 해당 없음 |
| 임계점 | 해당 없음 |
| 융해열 | 33.29 kJ/mol |
| 기화열 | 585.2 kJ/mol |
| 열용량 | 24.27 J/(mol·K) |
| 증기압 | (추정) 1 Pa (2727 K), 10 Pa (2998 K), 100 Pa (3324 K), 1 kPa (3726 K), 10 kPa (4234 K), 100 kPa (4894 K) |
| 결정 구조 | 육방정계 조밀 격자 |
| 결정 구조 피어슨 기호 | hP2 |
| 격자 상수 | a = 274.12 pm, c = 439.90 pm (20 °C) |
| 산화 상태 | 7, 6, 5, 4, 3, 2, 1, -1, -3 (강산성 산화물) |
| 전기 음성도 | 1.9 (폴링 척도) |
| 이온화 에너지 | 1차: 686.9 kJ/mol, 2차: 1470 kJ/mol, 3차: 2850 kJ/mol |
| 원자 반지름 | 136 pm |
| 공유 반지름 | 147±7 pm |
| 반데르발스 반지름 | 205 pm |
| 자기 정렬 | 상자성 |
| 전기 저항 | 200 nΩ·m (20 °C) |
| 열 전도율 | 50.6 W/(m·K) |
| 열 팽창 계수 | 8.175×10-6/K (20 °C) |
| 음속 | 16,200 m/s (막대, 20 °C) |
| 자기 감수율 | +270.0×10-6 (298 K) |
| CAS 등록 번호 | 7440-26-8 |
| 발견 | |
| 예측 | 드미트리 멘델레예프(1871) |
| 발견 및 최초 분리 | 에밀리오 세그레, 카를로 페리에(1937) |
| 동위 원소 | |
| 주요 동위 원소 | 97Tc, 98Tc, 99Tc, 99mTc |
| 95mTc | 반감기: 61일, 붕괴 방식: ε (95Mo), γ (0.204, 0.582, 0.835 MeV), IT (0.0389 MeV, e-) |
| 96Tc | 반감기: 4.3일, 붕괴 방식: ε (96Mo), γ (0.778, 0.849, 0.812 MeV) |
| 97Tc | 반감기: 2.6×106년, 붕괴 방식: ε (97Mo) |
| 97mTc | 반감기: 91일, 붕괴 방식: IT (0.965 MeV, e-) (97Tc) |
| 98Tc | 반감기: 4.2×106년, 붕괴 방식: β- (0.4 MeV) (98Ru), γ (0.745, 0.652 MeV) |
| 99Tc | 반감기: 2.111×105년, 붕괴 방식: β- (0.294 MeV) (99Ru) |
| 99mTc | 반감기: 6.01시간, 붕괴 방식: IT (0.142, 0.002 MeV) (99Tc), γ (0.140 MeV) |
| 기타 정보 | |
| 이전 원소 | Mo |
| 다음 원소 | Ru |
| 위 원소 | Mn |
| 아래 원소 | Re |
2. 역사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를 제안한 이후, 과학자들은 몰리브데넘과 루테늄 사이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43번 원소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43번 원소는 쉽게 발견되지 않았고, 여러 차례 발견되었다는 주장들이 있었지만 모두 다른 원소이거나 혼합물로 밝혀졌다. 1936년 에밀리오 세그레가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해 몰리브데넘 시료를 분석하여 43번 원소를 발견하기 전까지는 수많은 실패가 있었다.
1952년에는 캘리포니아의 한 천문학자가 S형 적색거성에서 테크네튬의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92] 이는 항성 내부에서 핵반응이 일어나 중원소가 합성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되었다. 최근 관측에 따르면 이러한 원소들은 S-과정에서 중성자 포획을 통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93]
1962년에는 벨기에령 콩고에서 얻은 피치블렌드에서 극미량의 99Tc가 분리되었는데, 이는 238U의 핵분열 산물이었다. 또한, 오클로 천연원자로에서도 상당량의 99Tc가 생성되어 99Ru으로 붕괴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94]
2. 1. 초기 예측 및 발견
드미트리 멘델레예프는 1871년 자신이 제안한 주기율표에서 몰리브데넘(원자 번호 42)과 루테늄(원자 번호 44) 사이, 망가니즈 아래에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원소가 있음을 알고 화학적 성질이 망가니즈와 비슷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에카망가니즈’라는 이름을 붙였다.[89]멘델레예프의 추측 이전부터 43번 원소를 찾았다는 주장이 여러 차례 있었다. 이는 테크네튬의 주기율표 위치를 고려할 때 다른 원소들에 비해 더 찾기 쉬울 것이라는 오판 때문이었다.
| 연도 | 주장자 | 제안된 이름 | 실제 물질 |
|---|---|---|---|
| 1828 | 고트프리트 오산 | 폴리늄 | 불순물이 섞인 이리듐 |
| 1846 | R. 헤르만 | 일메늄 | 불순물이 섞인 나이오븀 |
| 1847 | 하인리히 로제 | 펠로퓸 | 니오븀-탄탈 합금 |
| 1877 | 세르게이 케른 | 데이비움 | 이리듐-로듐-철 합금 |
| 1896 | 프로스페르 바리에르 | 루cium | 이트륨 |
| 1908 | 오가와 마사타카 | 니포늄 | 레늄[90] |
1925년 독일 과학자인 발터 노다크, 오토 베르크, 이다 타케가 공동으로 75번 원소와 43번 원소를 발견했다고 주장하고, 각각 레늄(rhenium)과 마수륨(masurium)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중 레늄은 75번 원소로 인정받았으나 마수륨은 논란 끝에 43번 원소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91]
1936년 중반, 이탈리아의 에밀리오 세그레는 미국 뉴욕에 있는 컬럼비아 대학과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를 방문하여 사이클로트론을 발명한 어니스트 로렌스를 만났다. 세그레는 로렌스를 설득하여 사이클로트론 실험으로 방사성이 된 몰리브데넘 시료를 얻었다. 1936년 12월, 시칠리아섬에 있는 팔메로 대학의 에밀리오 세그레와 카를로 페리에르는 이 몰리브데넘 시료를 분석하여 95mTc와 97Tc를 발견하였다. 팔메로 대학 측에서는 새로 발견된 원소에 자신들의 대학 이름을 라틴어로 옮긴 ‘파노르무스(panormus)’에서 이름을 따 파노르뮴(panormium)이라는 이름을 붙이길 원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인 1947년에 그리스어 테크네토스(τεχνητοςel, "인공적인"이라는 뜻)에서 이름을 따 ‘테크네튬’이라는 이름을 붙였다.[91]
2. 2. 이후 역사
드미트리 멘델레예프는 1871년 자신이 제안한 주기율표에서 몰리브데넘(원자 번호 42)과 루테늄(원자 번호 44) 사이, 망가니즈 아래에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원소가 있음을 알고 화학적 성질이 망가니즈와 비슷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에카망가니즈’라는 이름을 붙였다.[89]멘델레예프의 추측이 있기 이전부터 43번 원소를 찾았다는 주장이 여러 차례 있었다. 이는 테크네튬의 주기율표 위치를 고려할 때 다른 원소들에 비해 더 찾기 쉬울 것이라는 오판 때문이었다.
| 년도 | 주장 | 실제 |
|---|---|---|
| 1828년 | 백금 광석에서 폴리늄(polinium) 발견 | 불순물이 섞인 이리듐 |
| 1846년 | 일메늄(ilmenium) 발견 | 불순물이 섞인 나이오븀 |
| 1847년 | 펠로퓸(pelopium) 발표 | 불순물이 섞인 나이오븀 |
멘델레예프의 추측 이후, 여러 과학자들이 43번 원소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 년도 | 과학자 | 주장 | 실제 |
|---|---|---|---|
| 1877년 | 러시아의 화학자 케른(Serge Kern) | 백금 광석에서 데이븀(davium, 영국 화학자 험프리 데이비에서 이름을 딴 것) 발견 | 이리듐, 로듐, 철의 혼합물 |
| 1896년 | 루큠(lucium) 발견 | 이트륨 | |
| 1908년 | 일본의 화학자 오가와 마사타카(←小川 正孝일본어) | 니포늄(nipponium) 발견 (일본(니폰←日本일본어)에서 이름을 따옴) | 주장 철회, 2004년 레늄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짐[90] |
| 1925년 | 독일 과학자 발터 노다크(Walter Noddack), 오토 베르크(Otto Berg), 이다 타케(Ida Tacke) | 75번 원소와 43번 원소를 발견, 각각 레늄(rhenium)과 마수륨(masurium) 명명 | 레늄은 75번 원소로 인정, 마수륨은 43번 원소가 아닌 것으로 판명[91] |
테크네튬은 은회색의 방사성 금속으로 백금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주로 회색 분말 형태로 얻는다. 결정은 밀집 육방정계 구조를 띤다. 테크네튬 원자의 방출 스펙트럼은 363.3nm, 403.1nm, 426.2nm, 429.7nm, 485.3nm의 파장을 갖는 빛이다[95]. 순수한 테크네튬은 상온에서 약한 상자성을 보이며, 7.46K 이하에서는 초전도체 성질을 나타낸다.
1936년, 이탈리아의 에밀리오 세그레는 미국 뉴욕에 있는 컬럼비아 대학과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를 방문하여 사이클로트론을 발명한 어니스트 로렌스를 만났다. 세그레는 로렌스를 설득하여 사이클로트론 실험으로 방사성이 된 몰리브데넘 시료를 얻었다. 1936년 12월, 이탈리아 시칠리아섬에 있는 팔메로 대학의 에밀리오 세그레와 카를로 페리에르는 이 몰리브데넘 시료를 분석하여 95mTc와 97Tc를 발견하였다. 팔메로 대학 측에서는 새로 발견된 원소에 자신들의 대학 이름을 라틴어로 옮긴 ‘파노르무스(panormus)’에서 이름을 따 파노르뮴(panormium)이라는 이름을 붙이길 원했으나 결국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인 1947년에 그리스어 테크네토스(←τεχνητοςel, "인공적인"이라는 뜻)에서 이름을 따 ‘테크네튬’이라는 이름을 붙였다.[91]
1952년에는 캘리포니아의 한 천문학자가 S형 적색거성을 분석하던 중 테크네튬의 스펙트럼(403.1nm, 423.8nm, 426.2nm, 429.7nm의 파장을 갖는 빛)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항성은 수명이 거의 다 된 별임에도 불구하고 수명이 짧은 원소들이 풍부하게 존재하였다.[92] 이는 항성 내부에서 핵반응이 일어나고 있으며 항성이 중원소를 합성할 수도 있다는 가설의 증거가 되었다. 최근 관측에 따르면 이러한 원소들은 S-과정에서 중성자 포획을 통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93]
한편, 지구상에 존재하는 테크네튬을 찾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1962년에는 벨기에령 콩고에서 얻은 피치블렌드 속에서 극미량의 99Tc가 분리되었으며, 238U의 핵분열 산물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오클로 천연원자로에서도 상당량의 99Tc가 생성되어 99Ru로 붕괴한다는 증거가 있다.[94]
3. 특성
화학적 성질은 망가니즈(Mn)와 레늄(Re)의 중간 정도로 예측되지만, 실제로는 화학적으로 비활성에 가깝고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레늄과 더 유사하다. 망가니즈와는 다르게 쉽게 양이온이 되지 않는다. 주 산화 상태는 +4, +5, +7이며, 이외에도 –3, -1, 0, +1, +2, +3, +6의 산화수를 가질 수 있다. 왕수, 질산, 진한 황산에는 녹지만 염산에는 녹지 않는다.
습한 공기 중에서는 산소와 느리게 반응하여 흑색의 TcO2와 노란색의 Tc2O7을 형성한다. 이들 중 Tc2O7을 물이나 질산, 진한 황산, 왕수 등의 산화제에 녹이면 과테크네튬산(HTcO4)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진한 붉은색의 강산이다. 수소와 반응하여 TcH92- 이온을 만드는데, 이는 레늄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3. 1. 물리적 특성
테크네튬은 은회색의 방사성 금속으로 백금과 비슷하게 생겼다. 주로 회색 분말 형태로 얻으며 결정은 밀집 육방정계 구조이다. 원자 테크네튬의 방출 스펙트럼은 363.3nm, 403.1nm, 426.2nm, 429.7nm, 485.3nm의 파장을 갖는 빛이다[95].
순수한 금속 단결정 테크네튬은 7,460 이하의 온도에서 제2종 초전도체가 된다.[26] 이 온도 이하에서 테크네튬은 런던 침투 깊이가 매우 높아 니오브를 제외한 다른 어떤 원소보다도 크다. 금속 형태는 약간 상자성을 띠는데, 이는 외부 자기장과 쌍극자가 정렬되지만, 장이 제거되면 임의의 방향을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25]
3. 2. 화학적 특성
테크네튬은 주기율표에서 7족에 속하는 원소로, 화학적 성질은 망가니즈와 레늄의 중간 정도로 예측되었지만, 실제로는 화학적으로 비활성에 가깝고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레늄과 더 유사하다. 망가니즈와는 다르게 쉽게 양이온이 되지 않는다. 주 산화 상태는 +4, +5, +7이며, 이외에도 –3, -1, 0, +1, +2, +3, +6의 산화수를 가질 수 있다. 왕수, 질산, 진한 황산에는 녹지만, 염산에는 녹지 않는다.[27]
금속 테크네튬은 습한 공기 중에서 천천히 변색되며,[27] 분말 형태에서는 산소 중에서 연소한다. 고압에서 수소와 반응하면 수소화물 TcH을 형성하고,[28] 탄소와 반응하면 TcC를 형성한다.[29] 테크네튬은 질산에 의한 하이드라진의 파괴를 촉매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원자가 상태 때문이다.[31]
가장 흔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테크네튬의 형태는 과테크네튬산나트륨, Na[TcO]이다. 과테크네튬산염 ()은 약한 산화제이며, 과테크네튬산과 테크네튬 헵톡사이드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테크네튬 헵톡사이드는 167pm과 184pm의 결합 길이를 갖는 두 종류의 Tc−O 결합을 가진 점대칭 구조를 채택한다.[34] 농축된 황산에서 [TcO]는 팔면체 형태 TcO(OH)(HO)로 변환된다.[36]
테크네튬은 이산화물, 이황화물, 이셀렌화물, 이텔루르화물을 형성한다. 과테크네이트를 황화 수소로 처리하면 불확실한 TcS이 형성되며, 이는 열적으로 분해되어 이황화물과 원소 황이 된다. 레늄과 달리 삼산화물은 테크네튬에 대해 분리된 적이 없지만, TcO는 질량 분석법을 사용하여 기체 상태에서 확인되었다.[37]
테크네튬은 복합체를 형성한다. 칼륨 염은 와 동구조이다.
TcCl, TcBr, TcBr, α-TcCl, β-TcCl, TcI, α-TcCl, β-TcCl 등 다양한 테크네튬 할로겐화물이 알려져 있다.[38][39] TcCl는 Tc 금속 또는 TcO의 염소화에 의해 얻어지며, 가열하면 해당 Tc(III) 및 Tc(II) 염화물을 생성한다.[39]
테크네튬 삼염화물에는 두 가지 다형체, α- 및 β-TcCl가 존재한다. α 다형체는 TcCl로도 표기된다.[40] β-TcCl는 몰리브덴 삼염화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쌍으로 배열된 팔면체 Tc 중심을 특징으로 한다. TcBr은 몰리브덴 삼브로마이드의 구조를 갖는다. TcI는 TiI의 고온 상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39]
테크네튬은 다양한 배위 착물을 유기 리간드와 형성하며, 핵의학과의 관련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42] 테크네튬은 Tc-C 결합을 갖는 다양한 화합물, 즉 유기테크네튬 착물을 형성한다. 이원 카르보닐 Tc(CO)은 흰색의 휘발성 고체이다.[43] 테크네튬은 또한 아쿠오-카르보닐 착물을 형성하며, 주요 착물 중 하나는 [Tc(CO)(HO)]이다.[46]
백금과 유사한 외관을 가진 은백색의 방사성 금속으로, 비중은 11.5, 녹는점은 2172 °C이다. 대부분 분말 형태로 얻어진다. 안정적인 결정 구조는 육방정계이다. 약간의 자성을 가진다.
다음은 주요 화합물 목록이다.
| 화합물명 | 화학식 | 기타 |
|---|---|---|
| 사산화 테크네튬(IV) | TcO2 | |
| 사산화 테크네튬(VII) | Tc2O7 | |
| 과테크네튬산 암모늄 | NH4TcO4 | |
| 과테크네튬산 | HTcO4 | |
| 육플루오린화 테크네튬 | TcF6 |
4. 동위 원소
테크네튬은 모든 동위 원소가 방사성인 원소들 중 가장 원자 번호가 작은 원소이다. 원자핵 속 양성자 개수가 홀수인 원자는 짝수인 원자에 비해 불안정하여 안정한 동위 원소의 개수도 적은 편이다.
테크네튬 동위 원소 중 비교적 안정한 것은 98Tc(반감기 420만 년), 97Tc(반감기 260만 년), 99Tc(반감기 21만 1천년) 등이다. 이 밖에 원자량 85에서 118 사이에 30가지의 방사성 동위 원소가 발견되었다. 이들 중 93Tc(반감기 2.73시간), 94Tc(반감기 4.88시간), 95Tc(반감기 20시간), 96Tc(반감기 4.3일)을 제외하고 대부분 반감기가 1시간 미만이다. 또, 수많은 준안정한 핵 이성질체가 발견되었는데 이들 중 비교적 안정한 것은 97mTc(반감기 91일), 95mTc(반감기 61일), 99mTc(반감기 6.01시간) 등이다. 이 중 99mTc은 감마 붕괴를 통해 오직 감마선만을 방출하면서 99Tc으로 붕괴하므로 감마선원으로 쓰이며, 핵의학에서 진단에 사용된다. 99Tc은 반대로 감마선 없이 베타 붕괴하므로 베타 입자원으로 쓰인다. 또, 235U의 핵분열 붕괴 산물이므로 가장 흔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동위 원소이기도 하다.[14][15][17][16][5][18][19][20][16][21][27][47][50][48][49][25]
테크네튬은 비교적 가벼운 원소임에도 불구하고 안정 동위 원소가 존재하지 않아, 표준 원자량이 정해지지 않는다. 중성자 수 55인 98Tc가 가장 장수명인 핵종이지만, 이것 또한 방사성 동위 원소이다.
일반적으로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의 수가 모두 짝수일 때 안정하고, 모두 홀수일 때는 불안정해진다.[85] 더욱이 양성자 수와 중성자 수 사이에는 가장 안정적인 비율이 있으며, 베타 안정선[86]이라고 불린다. 테크네튬의 경우 베타 안정선에 일치하는 98Tc는 '''양성자 수 43과 중성자 수 55'''로 홀수와 홀수의 불안정 핵종이다.
하지만 이것은 원자 번호가 홀수인 원소에 공통적인 현상이며, 대부분 그 다음으로 안정적인 핵종이 안정 동위 원소가 된다. "다음으로 안정적인 핵종"은 자동적으로 "질량수가 홀수인 핵종"이 되므로, 홀수의 같은 질량수를 가진 핵종 중에서 안정 핵종은 1개밖에 존재할 수 없는 제약(짝수의 같은 질량수를 가진 핵종은 안정 핵종이 복수 존재할 수 있다)[87]을 받게 되었다. 중성자 수 54인 97Tc는 97Mo에, 마찬가지로 56인 99Tc는 99Ru에 안정성에서 밀려 불안정 핵종이 되었다.
중성자 수가 더 많거나 적은 핵종은 애초에 안정성의 토대에 오르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테크네튬 이외의 원소는 안정 동위 원소를 얻었지만, 테크네튬만 안정 동위 원소를 얻지 못했다. 그리하여 테크네튬은 안정 동위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 방사성 원소가 되었다. 프로메튬도 비슷한 이유로 방사성 원소가 되었다.
5. 존재
지각에는 약 10-9 ppm의 테크네튬이 존재하는데, 주로 우라늄광에서 우라늄의 자발핵분열을 통해 그 양이 유지된다.[16][51][52] 자연에서는 매우 희귀하므로 주로 원자로의 다 쓴 핵연료봉이나 핵폐기물을 재처리하여 얻으며, 입자 가속기에서 100Mo에 양성자 빔을 쏘여 인공적으로 합성하기도 한다.
우주에서는 일부 적색거성의 흡수 스펙트럼에서 테크네튬이 관찰된 바 있다. 이러한 별들은 ‘테크네튬 별’로 불리기도 한다.[53]
지구 지각에는 테크네튬이 약 1조 분의 0.003 정도의 미량으로 존재한다. 테크네튬이 이렇게 희귀한 이유는 97Tc와 98Tc의 반감기가 420만 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구가 형성된 이후 이 기간이 천 번 이상 지났으므로, 원시 핵종 테크네튬 원자가 살아남을 확률은 사실상 0이다. 그러나 소량은 자연적인 핵분열 생성물로서 우라늄 광석에 존재한다. 1kg의 우라늄에는 약 1 나노그램(10−9 g), 즉 10조 개의 테크네튬 원자가 포함되어 있다.[16][51][52]
몇몇 적색 거성들은 S-, M-, N-형의 스펙트럼 유형을 가지며, 테크네튬의 존재를 나타내는 스펙트럼 흡수선을 보인다. 이러한 적색 거성들은 비공식적으로 테크네튬별로 알려져 있다.
현재, 테크네튬은 몇몇 항성의 스펙트럼선에서도 천연에서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지구상에서는 우라늄 광석 중에 미량의 자발 핵분열 생성물로서 발견된다.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동위 원소는 방사성 폐기물 중에서 분리하여 얻는 방법과, 중성자가 조사된 몰리브덴 동위 원소로부터 얻는 방법이 있다.
6. 용도
99mTc은 반감기가 짧고 감마선을 방출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핵의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95mTc은 반감기가 61일로, 자연에서 테크네튬의 이동을 추적하는 방사성 동위 원소 추적자로 이용된다.
테크네튬은 레늄, 팔라듐과 같이 촉매로 이용된다.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의 탈수소화 반응 등 일부 반응에서는 레늄이나 팔라듐보다도 효율적이다. 과테크네튬산 염은 소량으로도 철의 부식을 막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과테크네튬산 칼륨은 강철 속에 55ppm 정도의 적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어도 고온의 물 속에서 철의 부식을 막는다. 그러나 방사능 때문에 비등수형 원자로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촉매로 사용할 때도 주의가 필요하다.99Tc은 거의 베타 붕괴만 하고 감마선은 방출하지 않으며, 반감기가 약 21만 년으로 비교적 길어 베타 입자 방출이 느리고, 핵폐기물에서 높은 순도로 추출할 수 있어 베타선원으로 많이 사용된다.
6. 1. 핵의학
99mTc은 원자로의 핵폐기물에서 생성되는 테크네튬 동위 원소로, 반감기가 약 6시간이다. 주로 반감기가 2.7489일인 99Mo의 방사성 붕괴 결과물로 생성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핵의학 및 기타 의료 용도로 사용한다. 특히 방사성 붕괴하면서 142.6KeV의 감마선을 방출하므로 핵의학에서는 뇌, 심장, 갑상샘, 폐, 간, 쓸개, 신장, 뼈, 혈액, 종양 등의 촬영이나 연구 등에 이용한다.[16] 95mTc은 반감기가 61일로, 자연에서 테크네튬의 이동을 추적하는 방사성 동위 원소 추적자로 이용된다.
준안정 동위원소 테크네튬-99m은 핵분열 생성물로서 우라늄 또는 플루토늄의 핵분열로부터 원자로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테크네튬-99m ("m"은 이것이 준안정 핵 이성질체임을 나타냄)은 방사성 동위원소 의료 검사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테크네튬-99m은 의료 영상 장비가 인체 내에서 추적하는 방사성 추적자이다.[73] 이는 쉽게 감지할 수 있는 140 keV 감마선을 방출하고 반감기가 6.01 시간(즉, 약 94%가 24 시간 내에 테크네튬-99로 붕괴됨)이므로 이 역할에 적합하다.[25] 테크네튬의 화학적 특성은 다양한 생화학 화합물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각 화합물은 신체 내에서 테크네튬이 어떻게 대사되고 침착되는지를 결정하므로 이 단일 동위원소는 다양한 진단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50개 이상의 일반적인 방사성의약품이 뇌, 심근, 갑상선, 폐, 간, 담낭, 신장, 골격, 혈액, 종양의 영상 및 기능 연구를 위해 테크네튬-99m을 기반으로 한다.
β선을 방출하지 않고 적량의 γ선만을 방출하는 99mTc의 특성을 살려 핵의학이라는 의료 분야를 지원하는 중요한 원소이며, 인체 각부(뼈, 신장, 폐, 갑상선, 간, 비장 등)에 대한 신티그램에 사용한다. 이용 사례로는 혈류 측정제, 뼈 영상제, 종양 진단제의 방사선 진단 약품 등이 있다. 테크네튬을 포함하는 물질을 방사성 의약품으로 투여했을 때의 체내 동태 등은 충분히 해명되어 있으며, 검사 목적에 맞는 다양한 주사제가 공급되고 있다. 테크네튬 제제는 투여 후 24시간에 투여량의 30%가 소변으로 배설되지만, 핵종으로서의 물리적 반감기가 6시간 정도이므로 실효 반감기는 더 짧다. 2015년도 조사에서의 진단 참고 레벨은 검사 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300~1200MBq이다.
일본에서는 테크네튬을 포함하는 약제를 사용한 긴급 검사도 할 수 있을 정도의 이용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지만, 국산화되지 않아 캐나다를 중심으로 전량을 수입하고 있다(정확히는 β 붕괴에 의해 99mTc를 생성하는 99Mo(반감기 65.97시간)를 몰리브덴산 나트륨 등의 형태로 수입하여 붕괴에 의해 생성된 99mTc를 추출하여 이용한다(밀킹)). 이것들을 제조하고 있는 원자로는 현재 세계에서 캐나다, 네덜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벨기에의 각국에 있는 5기의 실험용 소형 원자로뿐이지만, 235U의 핵분열에 의한 생성물로서 99Mo를 얻는 관계상, 90% 이상의(즉, 핵무기급) 농축도의 235U를 사용하기 때문에 핵 확산의 우려가 있는 데다, 어느 생산로도 노후화로 인한 고장·긴급 정지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99mTc 정도는 아니지만 99Mo라도 반감기가 짧아 장기 재고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생산로의 가동 중지가 발생하면 즉시 테크네튬 제제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일본 국내 병원 등에서 신티그래피 검사를 할 수 없게 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의 원자력위원회는 2022년 4월, 테크네튬 99m 외에 몰리브덴 99, 악티늄 225, 아스타틴 211과 같은 의료용 방사성 물질의 국내 자급률을 높여야 한다고 하는 제언안을 정리했다[88]。
6. 2. 공업 및 화학
테크네튬은 레늄, 팔라듐과 같이 촉매로 이용된다.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의 탈수소화 반응 등 일부 반응에서는 레늄이나 팔라듐보다도 효율적인 촉매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방사능 때문에 안전하게 촉매로 사용하기는 어렵다.[79]과테크네튬산 염은 소량으로도 철의 부식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과테크네튬산 칼륨은 강철 속에 55ppm 정도의 적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어도 고온의 물 속에서 철의 부식을 막을 수 있다.[79] 이는 금속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방사능 때문에 비등수형 원자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79]99Tc은 거의 베타 붕괴만 하고 감마선은 방출하지 않는다. 반감기가 약 21만 년으로 비교적 길어 베타 입자 방출이 느리고, 핵폐기물에서 높은 순도로 추출할 수 있어 베타선원으로 많이 사용된다.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NIST)의 표준 베타 방출원이며, 장비 보정에 사용된다. 또한 광전자 장치 및 나노 규모 핵 배터리에도 사용이 제안되었다.[78]
몰리브데넘-99(테크네튬-99m의 모원소)는 몰리브데넘-98의 중성자 활성화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70] 다른 테크네튬 동위원소는 핵분열로 대량 생성되지 않고, 모원소의 중성자 조사를 통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테크네튬-97은 루테늄-96의 중성자 조사를 통해 만들 수 있다.[71] 1971년에는 몰리브덴-100 표적에 22 MeV 양성자를 충돌시켜 테크네튬-99m을 생산하는 방법이 입증되었다.[72] 최근에는 의료용 테크네튬-99m 부족으로 인해 동위원소 농축 몰리브덴-100 표적을 이용한 생산 방식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73][74]
7. 인체 영향 및 주의사항
테크네튬은 생물학적 역할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체내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 결과 수 주간 1g 당 99Tc 15μg을 포함한 식품을 섭취해도 혈액 조성 및 체중 변화 등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화학적인 독성은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96]. 그러나 미세한 테크네튬 입자가 폐에 들어가면 방사능으로 인해 폐암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서 취급해야 한다[97].
테크네튬의 모든 동위원소는 주의해서 취급해야 한다. 가장 흔한 동위원소인 테크네튬-99는 약한 베타 방출체이며, 이러한 방사선은 실험실 유리 기구 벽에 의해 차단된다. 테크네튬을 취급할 때의 주요 위험은 먼지 흡입이며, 폐에서의 이러한 방사성 오염은 심각한 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작업에는 흄 후드에서 주의해서 취급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글로브 박스는 필요하지 않다.
참조
[1]
서적
Selected Values of the Crystallographic Properties of Elements
ASM International
2018
[2]
논문
Determination of the first ionization potential of technetium
2010-05-24
[3]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hemical Rubber Company Publishing
[4]
논문
Technetium, the missing element
1996
[5]
뉴스
History of the Origin of the Chemical Elements and Their Discoverers
http://www.nndc.bnl.[...]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9-05-05
[6]
논문
Untersuchungen über das Ilmenium
https://zenodo.org/r[...]
[7]
논문
Discovery of a new element 'nipponium': re-evaluation of pioneering works of Masataka Ogawa and his son Eijiro Ogawa
2004
[8]
논문
Ogawa's nipponium and its re-assignment to rhenium
2022
[9]
논문
Technetium
http://pubs.acs.org/[...]
2009-11-11
[10]
뉴스
Ida Tacke and the warfare behind the discovery of fission
http://www.hypatiama[...]
2009-05-05
[11]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X. Recently discovered elements
1933
[12]
서적
A tale of seven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The History of Element 43—Technetium
https://pubs.acs.org[...]
2023-01-02
[14]
서적
Exploring Chemical Elements and their Compounds
TAB Books
[15]
서적
A Mind Always in Motion: The autobiography of Emilio Segrè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16]
간행물
Emsley
2001
[17]
논문
Technetium: The element of atomic number 43
1947
[18]
웹사이트
Technetium
http://elements.vand[...]
2009-05-05
[19]
서적
The Transuranium People: The inside 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03-31
[20]
논문
Technetium in the stars
1952
[21]
간행물
Schwochau
2000
[22]
논문
Pivotal role of 99Tc NMR spectroscopy in solid-state and molecular chemistry
2024-11-11
[23]
논문
"99Tc NMR of Supported Technetium Nanoparticles"
https://www.research[...]
2001
[24]
서적
The CRC Handbook
CRC press
2004–2005
[2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Chemical Elements
https://archive.org/[...]
Reinhold Book Corporation
1968
[26]
간행물
Technetium as a material for AC superconductivity applications
http://www.bnl.gov/m[...]
2009-05-05
[27]
웹사이트
Technetium
http://periodic.lanl[...]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09-10-11
[28]
논문
Synthesis of technetium hydride TcH1.3 at 27 GPa
https://link.aps.org[...]
2023-02-06
[29]
논문
Tc carbide and new orthorhombic Tc metal phase
https://www.jstage.j[...]
2005
[30]
논문
Route to stabilization of nano-technetium in an amorphous carbon matrix: Preparative methods, XAFS evidence, and electrochemical studies
https://pubs.acs.org[...]
2023-10-31
[31]
논문
The technetium-catalysed oxidation of hydrazine by nitric acid
1984
[32]
논문
Coextraction of pertechnetate and zirconium by tri-n-butyl phosphate
1985
[33]
논문
Hydration of the pertechnetate anion. DFT study
https://www.scienced[...]
2021-11-15
[34]
논문
Technetium(VII)-oxid: Ein Übergangsmetalloxid mit Molekülstruktur im festen Zustand
1969
[35]
서적
Technetium(VII) Oxide, in Inorganic Syntheses
1977
[36]
논문
Speciation of heptavalent technetium in sulfuric acid: Structural and spectroscopic studies
http://radchem.nevad[...]
2011-11-14
[37]
논문
High-temperature oxide and hydroxide vapor species of technetium
[38]
간행물
Binary Technetium Halides
http://digitalschola[...]
University of Nevada
2014-05
[39]
논문
Recent advances in technetium halide chemistry
[40]
논문
Synthesis and structure of technetium trichloride
[41]
논문
Polynuclear technetium halide clusters
http://www.maik.rssi[...]
2002
[42]
논문
Technetium and gallium derived radiopharmaceuticals: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chemistry of two important radiometals for the molecular imaging era
[43]
논문
Technetium carbonyl
1961
[44]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ditechnetium decacarbonyl
1965
[45]
논문
Unit cell and space group of technetium carbonyl, Tc2(CO)10
1962
[46]
서적
Medicinal Organometallic Chemistry
[47]
서적
Principle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with a new prefa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48]
웹사이트
Chart of nuclides
http://www.nndc.bnl.[...]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9-11-11
[49]
서적
The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4–2005
[50]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6
[51]
논문
Analysis of naturally produced technetium and plutonium in geologic materials
1997
[52]
논문
Nature's uncommon elements: Plutonium and technetium
https://digital.libr[...]
1999
[53]
논문
Technetium in the Sun
1951
[54]
서적
Technetium and Rhenium: Their chemistry and its applications
Springer-Verlag
1996
[55]
서적
Technetium in the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6
[56]
논문
99Tc in the environment: Sources, distribution, and methods
http://www.radiochem[...]
2005
[57]
논문
Technetium-99 behaviour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 field observations and radiotracer experiments
https://www.jstage.j[...]
2000
[58]
서적
Mineral Components in Food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6
[59]
논문
Gut transfer and doses from environmental technetium
2001
[60]
논문
Biotransformation of pertechnetate by ''Clostridia''
https://zenodo.org/r[...]
2002
[61]
논문
Technetium-99 in generator systems
http://jnm.snmjourna[...]
2012-05-11
[62]
특허
Silver coated charcoal step
[63]
서적
Medical Isotope Production Without Highly Enriched Uranium
National Academies Press
2009
[64]
뉴스
Nuclear forensics sleuths trace the origin of trafficked material
http://arq.lanl.gov/[...]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09-11-11
[65]
간행물
Development and Processing of LEU Targets for Mo-99 Production
http://www.rertr.anl[...]
2009-05-05
[66]
논문
The technetium shortage
2010
[67]
논문
Bioaccumulation of Tc, Pu, and Np on Bottom Sediments in Two Types of Freshwater Lakes of the Moscow Oblast
2003
[68]
서적
Radioactivity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7
[69]
간행물
Alternative disposal concepts for high-level and transuranic radioactive waste disposal
http://nepis.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79
[70]
뉴스
Manual for reactor produced radioisotopes
http://www-pub.iaea.[...]
IAEA
2003-01
[71]
서적
Effluent and environmental radiation surveillance: a symposium
https://books.google[...]
ASTM International
1980
[72]
논문
Production of 99mTc on a Medical Cyclotron: a Feasibility Study
http://jnm.snmjourna[...]
1971-11
[73]
뉴스
The element that can make bones glow
https://www.bbc.co.u[...]
2015-05-30
[74]
논문
Cyclotron production of 99mTc: an approach to the medical isotope crisis
http://jnm.snmjourna[...]
2010
[75]
논문
Excitation functions for the cyclotron production of 99mTc and 99Mo
1999-05-25
[76]
논문
Evaluation of proton induced reactions on 100Mo: New cross sections for production of 99mTc and 99Mo
2003-01-01
[77]
논문
Theoretical modeling of yields for proton-induced reactions on natural and enriched molybdenum targets
2011
[78]
보고서
University Research Program in Robotics REPORT
http://www.osti.gov/[...]
University of Florida
2007-10-12
[79]
웹사이트
Technetium (Tc)
https://www.american[...]
2024-05-24
[80]
서적
EPA: 402-b-04-001b-14-final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08-04
[81]
서적
Technetium in the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6
[82]
웹사이트
Technetium: technetium(III) iodide compound data
http://openmopac.net[...]
OpenMOPAC.net
2007-12-10
[83]
웹사이트
Technetium: technetium(I) fluoride compound data
http://www.openmopac[...]
OpenMOPAC.net
2007-12-10
[84]
논문
Technetium: The Element of Atomic Number 43
1947
[85]
문서
原子核の壊変
https://atomica.jaea[...]
原子力百科事典 ATOMICA
[86]
문서
3.3.1 ベータ安定線
http://www.th.phys.t[...]
東京工業大学
[87]
문서
β崩壊 第3章 原子核の安定性
http://kato.html.xdo[...]
原子核物理学 加藤静吾のホームページ
[88]
뉴스
医療用放射性物質の自給急務■原子炉停止で輸入停滞
読売新聞
2022-05-11
[89]
뉴스
History of the Origin of the Chemical Elements and Their Discoverers
http://www.nndc.bnl.[...]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9-05-05
[90]
저널
Discovery of a new element 'nipponium': re-evaluation of pioneering works of Masataka Ogawa and his son Eijiro Ogawa
[91]
뉴스
Elentymolgy and Elements Multidict, "Technetium"
http://elements.vand[...]
2009-05-05
[92]
저널
Technetium in the stars
[93]
문서
[94]
문서
[95]
서적
The CRC Handbook
http://books.google.[...]
CRC press
[96]
서적
Technetium in the environment
http://books.google.[...]
Springer
[9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