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 고전 음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 고전 음악은 힌두교의 베다 문헌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라가(raga)와 탈라(tala)를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음악 양식이다. 고대 인도에서는 '간다르바'와 '가나'라는 두 가지 음악 장르가 있었으며, 나타샤스트라는 고전 음악과 무용 전통의 기초가 되었다. 13세기에는 상기타 랏나카라가 라가와 탈라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이후 힌두스타니 음악과 카르나틱 음악으로 분화되었다. 힌두스타니 음악은 페르시아와 아랍의 영향을 받아 드루파드, 키얄, 타라나, 툼리 등의 형태로 발전했으며, 카르나틱 음악은 남인도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리듬과 구조가 강조되었다. 오디시 음악은 동인도에서 발전한 고유한 형태의 고전 음악이다. 인도 고전 음악은 시타르, 사로드, 비나, 타블라 등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며, 20세기 이후 라비 샹카르 등의 활약으로 서구 세계에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음악 - 가잘
    가잘은 아랍어에서 유래한 서정시 형식으로, 사랑, 이별, 아름다움을 주제로 하며, 카피야와 라디프라는 운율 규칙을 따르고, 이슬람 문화권에서 발전하여 남아시아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우르두어 가잘은 노래나 영화음악으로도 사용된다.
  • 인도의 음악 - 카왈리
    카왈리는 '예언자의 발언'을 뜻하는 아랍어 '카울'에서 유래한 음악 장르로, 카왈이 부르는 노래를 의미하며, 수피즘의 이상을 추구하는 신성한 음악으로 알라와 예언자, 수피 성자를 찬양하는 다양한 노래 형식을 포함하고, 13세기 후반 아미르 쿠스로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도의 문화 - 구루
    구루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삶의 지혜와 영적 깨달음을 이끄는 존재를 뜻하며, 힌두교에서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지만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서구에서는 영적 지도자로서 관심이 높아졌으나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인도의 문화 - 터번
    터번은 실용적인 기능과 장신구의 시각적 의미를 가지는 머리 두건으로, 기원전 235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화권에서 착용되었으며, 형태와 착용 방식은 지역, 종교, 사회적 지위 등에 따라 다양하고 현대 패션에도 활용된다.
인도 고전 음악
지도
인도 고전 음악
개요
정의인도 아대륙의 전통 예술 음악
학문적 전통에 기반한 음악 형식
특징스루티 기반의 음높이 체계
스바라 음계와 장식음
알랑카라 리듬 패턴
라가 (선율 모드) 및 탈라 (리듬 주기) 기반
즉흥 연주 중시
주요 개념상기타: 음악, 춤, 드라마를 포괄하는 개념
바댜: 악기를 의미
주요 장르
분류카르나틱 음악 (남인도)
힌두스타니 음악 (북인도)
오디시 음악 (동인도)
음악적 요소
음계스바라 (음계)
선율라가 (선율 모드)
리듬탈라 (리듬 주기)
미학적 개념라사 (감정)
기초스루티 (음높이)
역사
기원고대 인도의 사마베다 의식에서 유래
발전고대 인도 문헌에서 음악 이론 발전
무굴 제국 시대에 힌두스타니 음악 형성
18세기 이후 카르나틱 음악의 형태가 확립
특징
주요 악기시타르
사로드
탄푸라
타블라
므리당감
비나
반수리
바이올린
연주즉흥 연주가 중요시되며, 라가탈라를 기반으로 즉흥적인 변주를 함
신앙적 의미힌두교 사원에서 신에게 바치는 헌정 음악으로도 사용됨
사회적 역할사회적 행사와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
특징 (카르나틱 음악)
특징크리티 형식이 특징이며, 기타, 바이올린, 플루트, 비나, 므리당감 과 같은 악기를 사용
특징 (힌두스타니 음악)
특징드루파드, 카얄, 타라나, 투므리 형식이 특징이며, 시타르, 사로드, 산투르, 타블라, 파카와즈 와 같은 악기를 사용

2. 역사

인도 고전 음악의 기원은 고대 힌두교 경전인 베다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후 다양한 시대와 지역, 종교, 문화적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왔다.

14세기 이후 델리 술탄 왕조 시대의 사회·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북인도와 남인도의 음악 전통은 분리되기 시작했다. 16세기경, 북인도 고전 음악은 '힌두스타니 음악', 남인도 음악은 '카르나틱 음악'이라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갖게 되었다.

20세기 이후, 라비 샹카르 등의 활약으로 인도 고전 음악은 서구 세계에 널리 알려졌으며, 다양한 장르와의 퓨전을 통해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에서 라비 샹카르가 시타르를 연주하면서 인도 고전 음악은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1960년대 후반 히피 운동과 함께 비틀즈 멤버들이 인도를 방문하고, 롤링 스톤스브라이언 존스가 "페인티드 블랙"에서 시타르를 연주하는 등 인도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1980년대 이후 인도 고전 음악은 전 세계적으로, 특히 북아메리카에서 빠르게 수용되고 발전했다.

2. 1. 고대

초기 인도 사상은 음절 낭송(vadya), 선율(gita), 춤(nrtta)의 세 가지 예술을 결합했다. 이러한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sangeeta는 현대 음악과 동등한 형태의 독립적인 예술 장르가 되었다. 이는 야스카(기원전 500년경) 이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그 이유는 그가 고대 인도 전통의 6개 베단가 중 하나인 니룩타 연구에서 이러한 용어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마베다(기원전 1000년경)와 같은 일부 고대 힌두교 경전은 전적으로 선율적인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11] 리그베다의 일부 구절도 음악에 맞춰졌다.[12]

《사마베다》(Samaveda)는 음악의 박자를 അടിസ്ഥാന으로 하는 형식과 의례의 목적에 따른 형식,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에는 스와라(swaras, 옥타브 음표)가 텍스트 위나 안에 표시되거나, 구절이 파르반(parvans, 매듭 또는 부분)으로 작성되는 등의 내장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스와라의 내장 코드는 노래의 뼈대와 같다. 스와라는 약 12가지의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스와라들의 다양한 조합이 서로 다른 라가(raga)의 이름으로 불린다. 특정 노래의 코드는 그 노래에 어떤 스와라 조합이 있는지 명확하게 알려준다. 노래의 가사 부분은 "사히티얌"(sahityam)이라고 하는데, 사히티얌은 가사를 사용하여 스와라를 모두 함께 부르는 것과 같다. 스와라 형태의 코드에는 어떤 음을 높게, 어떤 음을 낮게 불러야 하는지에 대한 표기까지 포함되어 있다. 《사마베다》의 찬가는 멜로디, 형식, 리듬, 그리고 운율적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사마베다》에만 국한되거나 고유한 것은 아니다. 《리그베다》(Rigveda) 또한 음악적 운율을 포함하고 있지만, 《사마베다》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정교함은 없다. 예를 들어, 가야트리 찬가(Gayatri mantra)는 정확히 여덟 음절의 운율적 세 줄로 구성되어 있으며, 3박자 리듬이 내장되어 있다.

4세기~5세기 서기, 남아시아 북서부 출신의 5명의 간다르바(Gandharvas, 천상의 음악가)가 네 가지 유형의 악기를 들고 있다. 간다르바는 베다 시대 문헌에서 논의된다.


고대 힌두교 전통에서는 'Gandharva'(정식, 작곡된, 의식 음악)와 'Gana'(비정식, 즉흥적인, 오락 음악)라는 두 가지 음악 장르가 나타났다. 'Gandharva' 음악은 천상의, 신성한 연관성을 암시했고, 'Gana'는 노래를 암시했다. 베다 시대 산스크리트어 음악 전통은 인도 아대륙에 널리 퍼져 있었고, Rowell에 따르면 고대 타밀어 고전들은 "기원전 후반기부터 남인도에 발달된 음악 전통이 존재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라고 한다.

고전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인 나타샤스트라는 인도의 수많은 고전 음악과 무용 전통의 기초가 된다. '나타샤스트라'가 완성되기 전에, 고대 인도 전통은 악기들을 음향 원리(재료가 아닌 작동 방식)에 따라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는데, 예를 들어 피리는 공기의 부드러운 출입으로 소리를 낸다. 이 네 가지 범주는 '나타샤스트라'에서 각각 현악기((현악기)), 관악기(관악기), 타악기(타악기), 막악기(막악기)에 관한 별도의 장으로 받아들여진다.

Levis Rowell이 언급한 바에 따르면, 이 중 "작은 청동 심벌즈" 형태의 타악기는 탈라에 사용되었다. 바라타가 저술한 '나타샤스트라'의 타악기에 관한 장은 거의 전적으로 탈라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논문이다. 초기 인도의 음악 이론에서는 타악기(막악기)와 달리 타악기(타악기)를 사용한 시간 유지는 별개의 기능으로 간주되었다.

2. 2. 중세

13세기 초, 사르가데바가 저술한 상기타 랏나카라는 라가와 탈라를 체계화하여 카르나틱 음악과 힌두스타니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4] 이 책은 카르나틱 음악과 힌두스타니 음악 전통 모두를 위한 결정적인 텍스트로 평가받는다.[4]

인도 고전 음악 텍스트
제목저자세기종교중요성
상기타 랏나카라사르가데바기원후 c. 1230년힌두교라가, 프라키르나카, 프라반다, 탈라, 바디아 및 니르티아 체계화;
카르나틱과 힌두스타니 고전 음악의 결정적인 텍스트
슈링가라하라라자 사캄바리기원후 c. 1300년힌두교고대 라가 목록, 89개의 파생 라가 및 120개의 탈라
라사타트바사무차야알라라자기원후 c. 1300년힌두교고전 음악에 관한 네 개의 장
상기토파니샤다사라수다칼라사기원후 c. 1350년자이나교음악 이론, 희귀한 탈라 포함
발라보단알 수 없음기원후 c. 1350년힌두교유실된 것으로 여겨지는 음악 텍스트 검토 및 인용
비슈바프라딥부바나난다기원후 c. 1350년힌두교라가, 탈라, 악기에 대한 주요 검토



14세기 이후 델리 술탄 왕조 시대의 사회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북인도와 남인도의 음악 전통은 분리되기 시작했다. 16세기경까지 북인도와 남인도의 음악 전통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게 되었으며,[4] 북인도 고전 음악은 '힌두스타니', 남인도 음악은 '카르나틱'(때로는 '카르나틱'으로 표기)이라고 불린다. 나지르 알리 자이라즈보이에 따르면, 북인도 전통은 14세기 또는 15세기 이후에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4]

2. 3. 근대

오디시 음악은 동인도의 독특한 고전 음악으로, 2천 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자간나타 신을 위한 전통적인 의례 음악이며, 고전 오디시 춤 공연 중에 불린다. 독특한 라가(ragas)와 탈라(talas), 그리고 독특한 연주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진정한 상기타-샤스트라(sangita-shastras) 또는 논문이 존재한다.

오디시 음악의 다양한 측면에는 오디시 프라반다(odissi prabandha), 차우파디(chaupadi), 찬다(chhānda), 짬푸(champu), 차우티사(chautisa), 자나나(janāna), 말라스리(mālasri), 바자나(bhajana), 사리마나(sarimāna), 줄라(jhulā), 쿠두카(kuduka), 코일리(koili), 포이(poi), 폴리(boli) 등이 있다. 발표 역학은 라간가(raganga), 바반가(bhabanga), 나티양가(natyanga), 드루바파당가(dhrubapadanga)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오디시 전통의 위대한 작곡가이자 시인으로는 12세기 시인 자야데바(Jayadeva), 발라마 다사(Balarama Dasa), 아티바디 자간나타 다사(Jagannatha Dasa (Odia poet)), 디나크루슈나 다사(Dinakrusna Dasa), 카비 삼라타 우펜드라 빤자(Kabi Samrata Upendra Bhanja), 바나말리 다사(Banamali Dasa), 카비수르자 발라데바 라타(Kabisurjya Baladeba Ratha), 압히만유 사만타 싱가라(Abhimanyu Samanta Singhara) 및 카비칼라한사 고팔라크루슈나 팟타나야카(Gopalakrusna Pattanayaka)가 있다.

2. 4. 현대

20세기 이후, 인도 고전 음악은 라비 샹카르 등의 활약으로 서구 세계에 널리 알려졌으며, 다양한 장르와의 퓨전을 통해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42] 1958년, 라비 샹카르는 미국에서 앨범 제작을 시작하여 1960년대 미국에서 인도 고전 음악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1967년까지 샹카르와 다른 예술가들은 서구의 록, 블루스, 소울 음악가들과 함께 록 음악 페스티벌에 출연했으며, 이러한 현상은 197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었다.[42] 특히,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에서 50만 명이 넘는 관객 앞에서 공연을 펼치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 히피 무브먼트와 라비 샹카르 등의 영향을 받아 조지 해리슨을 비롯한 비틀즈 멤버들이 인도를 방문하고, 롤링 스톤스브라이언 존스가 "페인티드 블랙"에서 시타르를 연주하는 등 인도 음악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졌다.

1980년대, 1990년대, 그리고 특히 2000년대 이후 인도 고전 음악은 전 세계적으로, 특히 이민자 공동체가 고전 음악 전통을 보존하고 후대에 전승하며 지역 축제와 음악 학교를 설립한 북아메리카에서 수용과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졌다.[42] 라마크리슈난 무르티, 산딥 나라얀, 판딧 비카시 마하라지, 애비 V, 마헤시 칼레를 포함한 많은 미국 출신 음악가들이 인도 고전 음악을 전문적으로 연주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20년에 공개된 영상에서 캐나다 가수 애비 V는 73가지의 서로 다른 인도 고전 라가를 라이브로 연주하는 영상을 공개했는데, 이 영상은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도 고전 음악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43]

3. 주요 특징

인도 고전 음악은 남아시아 음악의 한 장르로, 라가(Raga)와 탈라(Tala)라는 두 가지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한다.[34] 라가는 멜로디 구조의 기반을 형성하고, 탈라는 시간 순환을 유지한다.[34]

인도 고전 음악은 정교하고 표현력이 풍부하며, 서양 고전 음악과 마찬가지로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으로 나눈다. 7개의 기본 음은 힌두스타니 음악에서는 ''Sa Re Ga Ma Pa Dha Ni'', 카르나틱 음악에서는 ''Sa Ri Ga Ma Pa Dha Ni''이며, 서양 음악의 ''Do Re Mi Fa So La Ti''와 유사하다. 그러나 인도 음악은 평균율 조율 시스템과 달리 순정률 조율을 사용하며, 즉흥 연주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인도 고전 음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라가와 탈라: 인도 고전 음악의 두 가지 기본 요소이다.
  • 선율과 리듬: 라가(Raga)는 선율을 구성하고 탈라(Tala)는 리듬을 구성한다.
  • 단선율: 인도 전통 음악은 단선율이며, 단일 멜로디 라인을 따른다.

3. 1. 라가 (Raga)

라가(Raga)는 인도 음악의 중심 개념으로, 그 표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인도 음악의 특징인 라가는 한두 문장으로 정의하기 어렵다.[47] 라가는 음표의 높낮이, 지속 시간 및 순서를 포함하는 음악적 실체이며, 단어가 구를 형성하여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34] 라가는 정해진 규칙을 따르기도 하지만, 예술가의 자유로운 표현 또한 허용한다. 즉, 예술가는 기본적인 표현에 장식을 추가하여 동일한 메시지를 전달하면서도 다양한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다.[34]

라가는 주어진 음표 집합을 가지며, 음악적 모티프가 있는 선율로 구성된다.[47] 음악가는 전통적으로 정해진 음표만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음계의 특정 단계를 강조하거나 즉흥적으로 연주할 자유가 있다.[47] 인도 전통에서는 각 라가에 대해 음악가가 음표에서 음표로 이동하는 특정 순서를 제안하여, 연주가 각 라가에 고유한 분위기, 정서, 내면의 감정, 즉 '라사(Rasa)'를 창출하도록 한다.[47] 이론적으로 수천 개의 라가가 가능하지만, 실제로 인도 고전 음악 전통에서는 수백 개의 라가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예술가들은 40~50개의 라가를 레퍼토리로 가지고 있다. 인도 고전 음악에서 라가는 '탈라(Tala)'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각 단위는 '마트라(Matra)'라고 한다.[34]

라가는 곡이나 음계가 아니며, 많은 라가가 동일한 음계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47] 라가는 선율과 음계의 중간 개념이며, "멜로디적 특징의 독특한 배열"로 개념화될 수 있다.[47] 라가와 예술가의 목표는 음악으로 라사(정수, 감정, 분위기)를 창조하는 것이며, 이는 인도 고전 무용이 공연 예술로 하는 것과 같다. 인도 전통에서 고전 무용은 다양한 라가에 맞춰진 음악과 함께 공연된다.

인도 고전 음악은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으로 나누며, 7개의 기본 음은 힌두스타니 음악에서는 ''Sa Re Ga Ma Pa Dha Ni'', 카르나틱 음악에서는 ''Sa Ri Ga Ma Pa Dha Ni''이다. 이는 서양 음악의 ''Do Re Mi Fa So La Ti''와 유사하다. 그러나 인도 음악은 평균율이 아닌 순정률 조율을 사용하며, 즉흥 연주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기본 음계는 네 개, 다섯 개, 여섯 개 또는 일곱 개의 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스와라''(스바라스)라고 한다. 스와라 개념은 고대 ''나티아 샤스트라'' 28장에 나오며, 음높이 측정 단위 또는 가청 단위를 ''슈루티''라고 부른다.[39]

이 일곱 음계는 북인도(힌두스타니)와 남인도(카르나틱)의 두 주요 라가 시스템에서 공유된다. 솔페지오(''사르감'')는 ''sa, ri (카르나틱) 또는 re (힌두스타니), ga, ma, pa, dha, ni, sa''로 학습된다. 이 중 ''sa''와 ''pa''는 변경할 수 없는 기준점이며, 나머지는 두 시스템 간에 차이가 있다.

현대 인도 음악 학교에서는 멜라카르타 및 타트를 참조하여 악보와 분류를 따른다.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사용되는 타트는 비슈누 나라얀 바트칸데가 만든 악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3. 2. 탈라 (Tala)

탈라(ताल|Talasa)는 인도 고전 음악에서 시간의 순환을 나타내는 리듬의 틀이다. 각 탈라는 특정한 박자 수와 강세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음악의 전체적인 구조를 결정한다.[34] 탈라는 인도 음악에서 음악적 시간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서양 음악의 박자와 개념적으로 유사하지만,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강세 패턴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대신 계층적 배열은 음악 작품이 어떻게 연주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35]

탈라는 특정 노래나 춤 부분의 시작부터 끝까지 순환하는 조화 속에서 반복되는 박자 구조를 형성한다.[35] 그러나 탈라는 고전적인 유럽 음악의 박자에는 없는 특정한 질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탈라는 고전 서양 박자보다 훨씬 길다. 29박자를 기반으로 하는 틀의 경우, 연주될 때 한 주기가 약 45초 걸린다. 또한, 전통적인 유럽 박자의 전형적인 "강한 박자, 약한 박자" 구성이 부족하다. 고전 인도 전통에서 탈라는 강한 박자와 약한 박자의 순열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유연성으로 인해 박자의 강세는 음악 구절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35]

인도 음악에서 탈라는 "음악의 박자에 대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35] 각 단위를 마트라(matra, 박자 및 박자 사이의 지속 시간)라고 한다.[34]

남인도 카르나틱 음악 체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탈라는 아디 탈라(adi tala)이다.[35] 북인도 힌두스타니 음악 체계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탈라가 틴탈(teental)이다.[35] 인도 고전 음악의 두 가지 주요 체계에서, 모든 탈라의 첫 번째 박자는 삼(sam)이라고 불린다.[35]

4. 주요 전통

인도 고전 음악은 크게 북인도의 힌두스타니 음악과 남인도의 카르나틱 음악 두 가지 주요 전통으로 나뉜다. 14세기까지 인도 아대륙(현대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에서 하나의 통합된 체계였으나, 델리 술탄 왕조 시대의 사회·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북부와 남부가 분리되었다. 이후 16세기경부터 두 전통은 서로 다른 형태를 띠게 되었다.[4]


  • 힌두스타니 음악: 무굴 제국의 영향을 받아 페르시아아랍 음악의 요소를 흡수하며 발전했다. 드루파드, 키얄, 타라나, 툼리 등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 카르나틱 음악: 힌두스타니 음악이 확립된 후 독립적으로 발전한 고대 인도 고전 음악이다. 푸란다라 다사(1484–1564)는 카르나틱 음악의 "피타마하"(위대한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로 여겨진다.


인도 고전 음악은 벵골 고전 음악과 같은 많은 지역 양식을 수용하고 발전시켜 왔다. 또한, 아대륙 외부의 영향도 수용했는데, 예를 들어 힌두스타니 음악은 아랍과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영향은 '라가', '탈라', '마트라'와 같은 고전적 기반과 악기에도 영향을 미쳤다.[19]

4. 1. 힌두스타니 음악 (Hindustani Music)

무굴 제국의 영향을 받아 페르시아아랍 음악의 요소를 흡수하며 발전한 힌두스타니 음악은 북인도에서 발전했다. 힌두스타니 음악에는 드루파드(Dhrupad), 키얄(Khyal), 타라나(Tarana), 툼리(Thumri) 등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주로 사용되는 악기에는 시타르(Sitar), 사로드(Sarod), 탄푸라(Tanpura), 타블라(Tabla) 등이 있다.[27]

힌두스타니 음악은 북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에서 주로 나타나며, 탈레반이 음악을 금지하기 전에는 아프가니스탄에서도 큰 영향을 미쳤다. 힌두스타니 음악은 드루파드, 키얄(또는 카얄), 타라나, 그리고 준고전적인 툼리의 네 가지 주요 형태로 나타난다.[24][25][26] 드루파드는 오래된 형식이고, 키얄은 드루파드에서 발전했으며, 툼리는 키얄에서 발전했다. 툼리에는 루크나우 가라나, 바나라스 가라나, 펀자브 가라나의 세 가지 주요 학파가 있으며, 이들은 민속 음악의 혁신을 결합한다. 타파(Tappa)는 가장 민속적인 형태이며, 고전 음악 구조에 체계화되고 통합되기 전에는 라자스탄과 펀자브 지역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벵골 음악가들이 자신들만의 타파를 개발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키얄은 힌두스타니 음악의 현대적인 형태이며, "상상력"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인도 이슬람 공동체 내 수피 음악가들에게 중요한 형태였으며, ''카왈(Qawwal)''들은 키얄 형식으로 민요를 불렀다.

힌두교 경전인 ''나티아 샤스트라''에 묘사된 고대 형태인 드루파드(또는 드루바파드)는 인도 아대륙 전역에서 발견되는 고전 음악의 핵심 형태 중 하나이다. 이 단어는 움직이지 않고 영구적인 것을 의미하는 ''드루바(Dhruva)''에서 유래한다.

드루파드는 스타이(또는 아스타이), 안타라, 산차리, 아보가라고 불리는 최소 네 개의 절을 가지고 있다. 스타이 부분은 중간 옥타브의 첫 번째 4음 음계와 낮은 옥타브 음표를 사용하는 멜로디이다. 안타라 부분은 중간 옥타브의 두 번째 4음 음계와 높은 옥타브 음표를 사용한다. 산차리 부분은 이미 연주된 스타이와 안타라의 부분을 사용하여 구축되는 개발 단계이며, 세 개의 옥타브 음표로 구축된 멜로디적 자료를 사용한다. 아보가는 마무리 부분으로, 리듬 변화와 함께 친숙한 스타이의 시작점으로 청취자를 되돌리는데, 마치 부드러운 작별 인사처럼 ''다군(dagun)''(절반), ''티군(tigun)''(3분의 1), ''차우군(chaugun)''(4분의 1)과 같은 이상적인 수학적 분수로 감소된 음표를 사용한다. 때때로 보가(Bhoga)라고 불리는 다섯 번째 절이 포함되기도 한다. 보통 철학적 또는 바크티(Bhakti)(신 또는 여신에 대한 감정적인 헌신) 주제와 관련이 있지만, 일부 드루파드는 왕을 칭찬하기 위해 작곡되었다.

즉흥 연주는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매우 중요하며, 각 ''가라나''(학파 전통)는 자체 기법을 개발해 왔다. 표준 작품(반디시)으로 시작하여 ''비스타르(vistar)''라는 과정을 통해 확장한다. 즉흥 연주 방법은 고대의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인 기법 중 하나는 ''알랍(Alap)''이라고 하며, 그 뒤를 ''조르''와 ''잘라(Jhala)''가 따른다. ''알랍''은 가능한 음조 조합을 탐구하고, ''조르''는 속도나 템포(더 빠름)를 탐구하는 반면, ''잘라''는 박자 패턴을 유지하면서 복잡한 조합을 탐구한다. 카르나틱 음악과 마찬가지로 힌두스타니 음악은 다양한 민요를 수용해 왔는데, 예를 들어 카피(Kafi)와 자이자이완티(Jaijaiwanti)와 같은 라가는 민요를 기반으로 한다.

힌두스탄 음악은 새로운 라가의 창조와 시타르와 사로드와 같은 악기의 개발을 포함하여 아랍페르시아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4. 2. 카르나틱 음악 (Carnatic Music)

카르나틱 음악은 인도 아대륙 남부에서 발전한 음악 형태로, 힌두스타니 음악이 확립된 후 독립적으로 발전한 고대 인도 고전 음악이다.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힌두스타니 음악이 확립된 후에야 비로소 독자적인 음악으로 자리 잡았다.[21][20]

카르나틱 음악은 힌두스타니 음악보다 리듬이 더 강하고 구조적이다. 라가를 멜라카르타로 논리적으로 분류하고 서양 고전 음악과 유사한 고정된 작곡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카르나틱 라가의 변주는 일반적으로 힌두스타니 음악의 동등한 것보다 템포가 훨씬 빠르고 짧다. 또한 반주자는 힌두스타니 음악회보다 카르나틱 음악회에서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의 전형적인 음악회 구조는 보컬리스트 아리야쿠디 라마누자 아이엔가르에 의해 마련되었다. 시작곡은 바르남이라고 불리며 음악가들을 위한 준비 운동이다. 경건함과 축복을 위한 요청이 이어지고, 그 다음에 라감(무박자 멜로디)과 타남(멜로리듬 주기 내의 장식, ''조르''에 해당) 사이의 일련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크리티라고 불리는 찬송가와 혼합된다. 그런 다음 라가의 팔라비 또는 주제가 이어진다. 카르나틱 음악에는 표기된 서정시가 있으며, 연주자의 이념에 따라 장식과 처리를 추가하여 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마노다르맘이라고 한다.

주요 주제에는 예배, 사원 묘사, 철학 및 나야카-나야키카(산스크리트어 "영웅-여주인공") 주제가 포함된다. 티야가라자(1759–1847), 무투스와미 딕시타르(1776–1827) 및 샤야마 사스트리(1762–1827)는 카르나틱 음악의 중요한 역사적 학자였다. 엘리너 젤리엇에 따르면, 티야가라자는 카르나틱 전통에서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는 푸란다라 다사의 영향을 경건하게 인정했다.[22]

푸란다라 다사(1484–1564)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함피에 살았던 힌두교 작곡가이자 음악학자였다.[21][20] 그는 카르나틱 음악의 "피타마하"(문자 그대로 "위대한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로 여겨진다. 푸란다라 다사는 수도승이자 힌두교 신 크리슈나(비슈누, 비탈 아바타르)의 신자였다.[21] 그는 고전 인도 음악 이론을 체계화하고 음악가들이 예술을 배우고 완성하기 위한 연습을 개발했다. 그는 널리 여행하며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고 가르쳤으며, 수많은 남인도와 마하라슈트라 바크티 운동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2] 그의 ''라가''에 대한 가르침과 ''술라디 삽타 탈라''(문자 그대로 "원시적인 일곱 탈라")라고 불리는 체계적인 방법론은 현대에도 사용되고 있다.[20] 16세기 푸란다라 다사의 노력은 인도 고전 음악의 카르나틱 양식을 시작했다.[22]

일반적으로 카르나틱 음악은 고전 음악에 대한 더 오래되고 세련된 접근 방식을 나타내는 반면, 힌두스타니 음악은 외부 영향으로 진화했다고 여겨진다.[23]

4. 3. 오디시 음악 (Odissi Music)

오디시 음악은 동인도의 독특한 종류의 고전 음악으로, 고전 오디시 춤 공연 중에 불린다.

자간나타 신을 위한 전통적인 의례 음악인 오디시 음악은 2천 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진정한 상기타-샤스트라(sangita-shastras) 또는 논문, 독특한 라가(ragas)와 탈라(talas), 그리고 독특한 연주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오디시 음악의 다양한 측면에는 오디시 프라반다(odissi prabandha), 차우파디(chaupadi), 찬다(chhānda), 짬푸(champu), 차우티사(chautisa), 자나나(janāna), 말라스리(mālasri), 바자나(bhajana), 사리마나(sarimāna), 줄라(jhulā), 쿠두카(kuduka), 코일리(koili), 포이(poi), 폴리(boli) 등이 포함된다. 발표 역학은 대략 라간가(raganga), 바반가(bhabanga), 나티양가(natyanga), 드루바파당가(dhrubapadanga)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오디시 전통의 위대한 작곡가이자 시인들로는 12세기 시인 자야데바(Jayadeva), 발라마 다사(Balarama Dasa), 아티바디 자간나타 다사(Jagannatha Dasa (Odia poet)), 디나크루슈나 다사(Dinakrusna Dasa), 카비 삼라타 우펜드라 빤자(Kabi Samrata Upendra Bhanja), 바나말리 다사(Banamali Dasa), 카비수르자 발라데바 라타(Kabisurjya Baladeba Ratha), 압히만유 사만타 싱가라(Abhimanyu Samanta Singhara) 및 카비칼라한사 고팔라크루슈나 팟타나야카(Gopalakrusna Pattanayaka)가 있다.

5. 악기

인도의 고대 전통에서는 악기를 소리 내는 방식에 따라 현악기(현악기), 관악기(관악기), 타악기(타악기), 막악기(막악기)의 4가지 그룹으로 분류했다.[36]

비나


반수리


므리당감


카르탈


힌두스타니 음악에서는 시타르, 사로드, 수르바하르, 에스라지, 비나, 탄푸라, 반수리, 셰나이, 사랑기, 바이올린, 산투르, 파카바즈, 타블라 등을 사용한다.[37] 카르나틱 음악에서는 비나, 베누, 고투바디암, 하모늄, 므리당검, 칸지라, 가탐, 나다스와람, 바이올린 등을 사용한다.[38]

탄푸라는 라가 연주 내내 일정한 음조(드론)를 유지하여 음악의 기준점과 배경을 제공하는 현악기이다. 탄푸라의 조율은 연주되는 라가에 따라 다르며, 전통적으로 독주자의 제자가 연주한다. 사랑기와 하모늄은 반주 악기로 사용된다.[37]

5. 1. 현악기



인도 고전 음악에 사용되는 현악기는 다음과 같다.

  • '''시타르(Sitar):'''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현악기이다.
  • '''사로드(Sarod):'''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사용되는 현악기이다.
  • '''비나(Veena):''' 남인도 카르나틱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현악기이다.
  • '''탄푸라(Tanpura):''' 드론(Drone)음을 내는 현악기로, 힌두스타니와 카르나틱 음악 모두에서 사용된다.
  • '''바이올린(Violin):''' 서양 악기이지만, 인도 고전 음악, 특히 카르나틱 음악에서 널리 사용된다.[37][38]
  • '''사랑기''' :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반주를 위한 악기로 사용된다.

5. 2. 관악기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악기에는 반수리, 셰나이 등이 있다.[37]

  • '''반수리(Bansuri)''': 대나무로 만든 플루트이다.
  • '''셰나이(Shehnai)''': 오보에와 유사한 관악기로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사용된다.

5. 3. 타악기



인도 고전 음악에 사용되는 타악기는 다음과 같다.

  • 타블라: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 쌍의 북이다.
  • 므리당감: 카르나틱 음악에서 주로 사용되는 양면 북이다.
  • 가탐: 남인도에서 사용되는 항아리 모양의 타악기이다.


타블라 연주자는 일반적으로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리듬을 유지한다. 타악기 연주자는 곡을 시작할 때 독주자와 음정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죽을 고정하는 가죽 끈에 끼운 나무 조각을 망치로 두드리거나 가죽 표면을 적시는 등의 방법으로 조율한다.[37]

6. 관련 단체

상기트 나탁 아카데미는 인도의 국립 공연 예술 아카데미로, 공연 예술 분야에서 인도 최고의 영예인 상기트 나탁 아카데미 상을 수여한다.

SPIC MACAY는 1977년에 설립되어 인도와 해외에 500개 이상의 지부를 두고 있으며, 매년 약 5,000회의 인도 고전 음악 및 무용 관련 행사를 개최한다고 주장한다.[44] 프라야그 상기트 사미티 등의 단체는 인도 고전 음악 관련 자격증 및 강좌를 제공한다.[45]

아킬 바라티야 간다르바 마하비디얄라야 만달은 인도 고전 음악과 무용의 발전과 보급을 위한 기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https://www.shabdkos[...]
[2] 웹사이트 Definition https://swarsaad.org[...]
[3] 논문 The tradition of Indian classical music and dance known as ''Sangeeta'' is fundamentally rooted in the sonic and musical dimensions of the Vedas (Sama veda), Upanishads and the Agamas, such that Indian music has been nearly always religious in character
[4] 서적 A New History of the Humanities: The Search for Principles and Patter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Music of Indi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13-07-23
[6] 서적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7] 서적 Romance of the Rag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8] 웹사이트 Austin IFA : Introduction to Carnatic Music http://www.austinifa[...] 2018-07-30
[9] 웹사이트 Music http://www.ravishank[...] 2018-07-30
[10] 웹사이트 Music (GCSE – Indian music and Gamelan) https://www.trinity.[...] 2018-07-30
[11] 서적 Music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12]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Penguin
[13] 서적 Sangitaratnakara of Sarngadeva https://archive.org/[...] Adyar Library Press
[14] 서적 A New History of the Humanities: The Search for Principles and Patter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Carving Devotion in the Jain Caves at Ellor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6] 서적 Ellor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kakkas Purāṇa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8] 논문 Review: Textes des Purāṇas sur la Théorie musicale by Alain Daniélou, N. R. Bhatt https://www.jstor.or[...] BRILL Academic
[19] 서적 The Dastgah Concept in Persian Mus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acred Music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1]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Indian Context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2] 서적 Hinduism: New Essays in the History of Religion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23] 서적 The rāgas of Northern Indian music Munshiram Manoharlal
[24] 서적 Imaging Sound: An Ethnomusicological Study of Music, Art, and Culture in Mughal Ind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서적 Love of God and Social Duty in the Rāmcaritmānas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26] 서적 Heartland Excursions: Ethnomusicological Reflections on Schools of Mus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7]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8]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Exploring the World of Music https://books.google[...] Kendall/Hunt
[3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ritical Improvisation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 논문 Music in Muslim India
[32] 서적 Songs from Kabul: The Spiritual Music of Ustad Amir Mohammad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33] 서적 Music of Afghanistan: Professional Musicians in the City of Hera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논문 An Overview of Hindustani Music in the Context of Computational Musicology
[35] 서적 The Concis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Volume 2 https://books.google[...] Routledge
[36] 서적 Sanskrit Drama in Performanc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7] 웹사이트 Musical Instruments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www.metmuseu[...] 2009-04-00
[38] 웹사이트 Carnatic Music – Karnataka Sangeetha https://www.karnatak[...] 2022-10-29
[39] 간행물 Harmonic Implications of Consonance and Dissonance in Ancient Indian Music http://ethnomusicolo[...]
[40] 웹사이트 Natyasastra Chapter 28 http://sanskritdocum[...]
[41] 서적 A History of Sino-Indian Relations: 1st Century A.D. to 7th Century A.D. APH Publishing
[42] 뉴스 Carnatic music in America -then and now https://www.thehindu[...] 2021-02-05
[43] 뉴스 Carnatic ragas have so much versatility: Abby V https://timesofindia[...] 2023-07-31
[44] 웹사이트 About Spic Macay and Indian classical music https://web.archive.[...] SPIC MACAY 2013-01-31
[45] 웹사이트 Prayag Sangeet Samiti faces shortage of Bharatnatyam, Kuchipudi trainers https://timesofindia[...] 2014-06-09
[46] 서적 Hinduism: New Essays in the History of Religion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47] 논문 An Overview of Hindustani Music in the Context of Computational Musicology
[48] 서적
[49] 서적 A New History of the Humanities: The Search for Principles and Patter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The Music Of Indi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13-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