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이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 이름은 종교, 문화,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힌두교, 시크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 종교에 따라 독특한 이름이 사용된다. 힌두교는 이름, 중간 이름, 성을 사용하고, 시크교는 남녀 평등 사상에 따라 '싱'과 '카우르'를 이름 사이에 사용하며, 이슬람교와 기독교는 각 종교의 명명법을 따른다. 또한, 말레이시아, 아삼, 벵골, 오디샤, 고아, 구자라트, 북부 인도, 칸나다, 카슈미르, 말라얄람, 마라티, 펀자브, 타밀, 텔루구 등 문화권에 따라 이름의 구조와 특징이 다르다. 최근에는 서구식 이름이나 세계적인 인물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도 있으며, 이름 표기 및 호칭 방식 또한 지역별, 개인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문화 - 인도 고전 음악
인도 고전 음악은 인도 아대륙의 전통 음악으로 베다에서 기원하여 힌두스타니 음악과 카르나틱 음악으로 나뉘어 발전했으며, 라가와 탈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악기와 창법을 통해 연주되고 세계 각지에서 보존 및 발전되고 있다. - 인도의 문화 - 구루
구루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삶의 지혜와 영적 깨달음을 이끄는 존재를 뜻하며, 힌두교에서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지만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서구에서는 영적 지도자로서 관심이 높아졌으나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이름 - 미카엘라
미카엘라는 여러 언어에서 변형되어 사용되는 이름으로, 실존 인물, 가상 인물, 노래 제목, 드라마 제목 등으로 사용되며, 특정 국가에서는 이름날로 기념되기도 한다. - 이름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인도 이름 |
---|
2. 종교에 따른 이름
자이나교는 붓다와 같은 시대의 마하비라를 숭배하는 종교로, 자이나교도들은 이름 뒤에 'Jain'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상급 크샤트리아 계급인 타쿠르(Thakur)나 라지푸트(Rajput)를 중심으로 힌두교도들도 이름 뒤에 'Jain'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40]
인도 기독교인의 이름은 지난 2세기 동안 인도식 명명법과 서구식 명명법이 융합된 독특한 형태를 띤다. 예를 들어 'Xavier Antony Alex Miranda'와 같이 부계명(Xavier), 개인명(Antony), 미들네임(Alex), 성(Miranda)이 결합된 형태가 나타난다.[40]
2. 1. 힌두 이름
힌두교를 믿는 힌두들은 성과 이름은 반드시 있고 가운데 이름(미들네임)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마하라슈트라 주나 구자라트 주 같은 지역에서는 아버지의 이름이 자녀의 가운데 이름이 된다.[40] 간디의 풀네임은 모한다스 카람찬트 간디인데, 카람찬트가 간디 아버지의 이름이고, 간디 아들의 가운데 이름은 모한다스가 된다. 스와미 비베카난트와 같이 성은 쓰지 않고 이름과 가운데 이름만 쓰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럽 문화의 영향이다.[40] 힌두 여성은 결혼하면, 성을 남편 성으로 바꾼다.가족명(家族名)은 가족의 이름이지만, 그 유래는 다양하다.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고지명(故地名)
- 직업명(職業名)
- 카스트명(カースト名)
'''고지명(故地名)'''은 조상의 출신지인 마을 이름이다. 많은 인도인의 가족명은 고지명이다. 마하라슈트라 주에서는 고지명에 'kar'를 붙여 가족명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안드라프라데시 주에서는 고지명 그대로 가족명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직업명(職業名)'''은 그 이름을 가진 사람의 가족이 종사하는 직업의 명칭이 이름이 되는 것이다. 파르시(パールシー)는 직업명에 'wala'를 붙여 가족명으로 하지만, 당시의 직업에 따라 가족명을 개명하는 경우가 있다. 'wala'는 "~하는 사람", "~집"이라는 의미이다. 직업은 세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가족명도 수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 Screwala라면 "나사 공장", Cyclewala라면 "자전거 가게"라는 가족명이다.
- 그러나 Talukdar, Tehsildar, Tarafdar, Pillai 등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가족명이다.
'''카스트명(カースト名)'''은 조상의 직업을 나타낸다. 인도인은 일반적으로 같은 카스트, 많은 경우 같은 하위 카스트 내의 사람들끼리 결혼한다. 그러나 같은 카스트명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친족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에서 카스트명은 가족명과 구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Mohandas Gandhi(간디)라는 이름은 잡화상(Gandhi) 카스트에 속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는 정치 지도자가 되기 전에는 변호사였다. 그의 아내의 결혼 전 카스트명도, 그의 어머니와 할머니의 결혼 전 카스트명도 모두 Gandhi였다.
- 남인도의 Iyer, Iyengar, Gounder, Nair, Naidu, Reddy, Gowda, Tuluva 등은 카스트명이다.
이 외에도 가족명에는 다양한 유래가 있다.
'''조상의 학문적 공적'''에 유래하는 가족명.
- 마하라슈트라 주에서는 힌두교도에게 이러한 예가 있다.
'''창작된 이름'''에 의한 가족명.
- 인도 초대 총리였던 자와할랄 네루의 가족명인 "네루"는 그의 아버지가 카슈미르에서 알라하바드로 이주했을 때 사용한 가족명이다. 따라서 자와할랄 네루의 아내는 그와 같은 카스트임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가족명은 네루가 아니었다.
- 전 장관이었던 라제시 파일럿의 가족명 "파일럿"은 그가 공군 복무를 마쳤을 때 스스로 지은 이름이다.
'''시리아계 기독교도'''의 가족명. 많은 경우 히브리어 또는 그리스어 기원의 이름이 말라얄람어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수 세대 전 조상의 이름이기 때문에 세대 간에 변하지 않고 가족 고유의 이름이 된다.
- Verghese 등.
'''영국계 인도인'''의 가족명, '''포르투갈계 고아인'''의 가족명 (Fernandes 등)도 특징적이다.
전형적인 힌두교도의 이름은 이름, 아버지 이름 등의 중간 이름, 그리고 성 등의 칭호로 구성된다. 하지만 지역별 특징에서 서술되어 있듯이,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2. 2. 시크 이름
시크교를 믿는 시크인들은 이름을 지을 때 보통 인도의 고전어인 산스크리트어나 페르시아어 이름에서 따온다. 남녀평등사상에 따라 남녀에 따른 별도의 구분은 없으나, 편의상 남자에게는 사자와 같은 용맹한 마음이란 뜻의 싱(Singh)을 붙이고[13] (예: Mahindar Singh Bawa) 여자에겐 공주란 뜻의 카우르(Kaur)를 이름과 성 사이에 붙여준다.[13] (예: Mahindar Kaur Bawa).시크교 신도들의 이름은 보통 '''이름''' – '''종교적 이름''' – '''성''' 형식을 따른다. 종교적 이름은 남성의 경우 항상 ''싱''(Singh)이고 여성의 경우 항상 ''카우르''(Kaur)이다. 시크교 여성은 결혼 후 남편의 성을 따른다. 성은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란짓 싱(Ranjit Singh)의 경우, 란짓(Ranjit)이 이름이고 싱(Singh)이 성이지만, 산다왈리아(Sandhawalia) 자트 씨족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성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바그완트 만(Bhagwant Singh Mann)처럼 자신의 자트 씨족인 만(Maan)을 성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여기서 바그완트(Bhagwant)는 이름, 싱(Singh)은 종교적 이름이다.
많은 시크교 신도들은 하위 계급(펀자브어로 ''got'', 힌디어로 ''고트라''(gotra)라고 함)의 이름을 성으로 붙인다.[29] ''got''은 특정 계급(펀자브어로 ''zat'', 힌디어로 ''자티''(jati)라고 함) 내의 외혼 집단이다.[29] ''zat''은 혼인이 허용되는 계급 집단으로, 그 아래에 여러 ''got''이 포함된다.[29] 시크교 신도 중 일부는 ''got'' 이름을 성으로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는데, 이는 시크교 교리에 어긋나는 계급 제도와 그로 인한 차별을 조장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29] 시크교 신도들은 같은 ''zat''에 속하면서 서로 다른 ''got''에 속한 사람과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29]
남성의 경우 ''사르다르''(Sardar), 여성의 경우 ''사르다르니''(Sardarni)를 칭호로 접두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많은 시크교 이름은 남녀 모두 사용할 수 있다.[13]
무굴 제국 시대에 성립한 시크교를 믿는 시크교도는, 교도 사회 전체에서 Singh(사자)라는 이름을 짓게 되어 있으며, 보통은 중간 이름으로서, 씨족 이름 앞에 붙여 사용하지만, 씨족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 시크교도도 있어, 그 경우 Singh는 유일한 중간 이름이 된다. 또는, 개인 이름이나 가족 이름의 끝에 -singh를 추가하는 경우도 있다. 이 이름은 어떠한 카스트나 출신지에 의해서도 차별받지 않는다는, 시크교도의 신앙에 기원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시크교도는 여성에게도 남성과 같은 이름을 붙이기 때문에, 펀자브 여성으로 남성과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시크교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인도의 전 대통령 자일 싱(Zail Singh)은 시크교도 학자였다.
- 크리켓 선수 나브조트 싱 시두(Navjot Singh Sidhu)도 시크교도이다.
시크교도 여성은 Kaur(공주, 암사자)라는 이름을 중간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연예인 중에는 Singh나 Kaur을 생략하고 이름과 씨족 이름만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예를 들어, 가수 수르짓 빈드라키아(Surjit Bindrakhia)의 본명은 수르짓 싱 빈드라키아(Surjit Singh Bindrakhia), 여배우 파르민더 나그라(Parminder Nagra)의 본명은 파르민더 카우르 나그라(Parminder Kaur Nagra)이다.
2. 3. 이슬람 이름
이슬람교도의 이름은 세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지어진다.2. 4. 기독교 이름
인도 기독교인의 이름은 지난 2세기 동안 인도식 명명법과 서구식 명명법이 독특하게 융합된 형태를 띠게 되었다. 예를 들어 'Xavier Antony Alex Miranda'와 같은 이름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Xavier'는 부계명(父名), 'Antony'는 개인명(個人名), 'Alex'는 미들네임(second name), 'Miranda'는 성(家族名)이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3. 문화권에 따른 이름
인도에서 가족 이름은 다양한 유래를 가지며, 주로 고지명, 직업명, 카스트명에서 비롯된다.
- 고지명(故地名): 조상의 출신 마을 이름을 따른다. 마하라슈트라주에서는 고지명에 'kar'를 붙여 가족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안드라프라데시주에서는 고지명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 직업명(職業名): 가족이 종사하는 직업의 명칭을 사용한다. 파르시는 직업명에 'wala'를 붙이는 경우가 많으며, 직업에 따라 가족명을 바꾸기도 한다. 예를 들어, 'Screwala'는 나사 공장, 'Cyclewala'는 자전거 가게를 의미한다.
- 카스트명(カースト名): 조상의 직업을 나타내는 카스트 이름을 사용한다. 간디는 잡화상 카스트를 의미하지만, 그는 변호사였다. 남인도의 Iyer, Iyengar, Gounder, Nair, Naidu, Reddy, Gowda, Tuluva 등은 카스트명이다.
이 외에도 가족 이름은 조상의 학문적 공적, 창작된 이름, 시리아계 기독교도의 경우 히브리어나 그리스어 기원의 이름을 말라얄람어로 받아들인 것 등 다양한 유래를 가진다. 영국계 인도인이나 포르투갈계 고아인의 가족 이름도 특징적이다.
인도 전역, 특히 브라만 카스트에서는 숭배하는 신의 이름이 이름의 일부로 기능하기도 하지만, 법적인 이름으로 인정되는 경우는 드물다.
벵골인(서벵골주)은 공식 문서에 기재되지 않는 별명(다크 Naam)을 가지기도 하며, 마하라슈트라주에서는 서양의 first-middle-last 방식과 유사하게 이름을 짓는다.
구자라트주에서는 “이름·아버지 이름·성”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대부분이며, 타밀인들은 전통적으로 성(姓)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영국의 지배와 함께 행정상의 필요에 따라 추가 이름(부명) 사용이 권장되었다.
안드라프라데시주의 텔루구인들은 대부분 "가족 이름·개인 이름·카스트 이름" 형태로 이름을 가지며, 카르나타카주의 칸나다인 이름에는 출신지명, 가족 이름/카스트 이름/칭호, 아버지 이름, 개인 이름이 포함된다.
케랄라주에서는 카스트를 공개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아버지의 이름을 덧붙이는 부명 관습이 널리 행해진다.
무굴 제국 시대에 성립한 시크교를 믿는 시크교도는 Singh(사자)이라는 이름을 짓게 되어 있으며, 시크교도 여성은 Kaur(공주)라는 이름을 중간 이름으로 사용한다.
3. 1. 아삼 이름
아삼 이름은 '''이름''' – '''중간 이름''' – '''성''' 또는 '''이름''' – '''성''' 형식을 따른다. 다양한 아삼 왕국, 특히 아홈 왕국(Ahom kingdom)에서 사용한 파이크 제도(Paik system)는 지휘할 수 있는 파이크의 수에 따라 남성에게 작위를 부여했으며, 이러한 작위는 오늘날에도 성으로 자주 사용된다. 보라(20), 사이카(Saika)(100), 하자리카(Hazarika)(1000)와 같은 작위는 그들의 조상이 20명, 100명 또는 1000명의 부하를 지휘했음을 의미한다. 최고위 계급에는 푸칸(Phukan), 바루아(Barua), 라지코와(Rajkhowa)와 같은 작위가 부여되었다. 푸칸과 같은 일부 작위는 아삼어가 아닌 타이 아홈어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성은 어떤 공동체 사람이라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난다 찬드라 바루아(Binanda Chandra Barua)에서 비난다는 이름, 찬드라는 중간 이름, 바루아는 성이며, 그의 조상이 파이크 제도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했음을 나타낸다.[3]고고이(Gogoi)(아홈족)과 사르마(브라만)(예: 히만타 비스와 사르마(Himanta Biswa Sarma))와 같이 공동체 특유의 성도 있다. 보로족, 디마사족, 카르비족과 같은 부족 공동체는 유사한 이름 체계를 따르지만, 성은 일반적으로 씨족 이름이다.[3]
3. 2. 벵골 이름
벵골 이름은 수브하스 찬드라 보스와 같이 '''이름''' – '''미들네임''' – '''성'''의 형식을 따른다.벵골 브라민의 성에는 아차르야, 바네르지, 바그치, 바두리, 바타차르지, 차크라보르티, 차테르지, 강굴리, 고스와미, 고샬, 라히리, 마이트라, 무케르지, 사냐랄 등이 있다. 브라민의 성은 종종 씨족이나 고트라의 이름이지만, ''차크라보르티''나 ''바타차르야''와 같이 명예직일 수도 있다.
흔한 바이디아 성에는 센굽타, 다스굽타, duttagupta, 굽타, 다스-샤르마, 센-샤르마 등이 있다.
벵골 카야스타의 성에는 바수, 보스, 두타, 고슈, 초우두리, 로이 초우두리, 레이, 구하, 미트라, 싱/시나, 팔, 데/데이/데브/데브, 팔리트, 찬다/찬드라, 다스, 담, 카르, 난디, 나그, 솜 등이 있다.[4]
벵골인(서벵골주)에서는, 특히 힌두교도들 사이에서, 공식 문서에 기재되지 않는 다크 Naam(Daak naam) 또는 별명을 본명과 성 외에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3. 3. 오디아 이름
오디아 이름은 '이름 – 중간 이름 – 성' 또는 '이름 – 성' 형식을 따른다.오디아 성은 직업에 기반한 카스트에서 유래한다. 예를 들어, 흔한 성인 카르(Kar), 모하파트라(Mohapatra), 다쉬(Dash)(다스(Das)와는 다름)는 브라만 성이다. 마찬가지로 미슈라(Mishra), 난다(Nanda), 라트(Rath), 사트파티(Satpathy), 판다(Panda), 파니그라히(Panigrahi), 트리파시(Tripathy)는 모두 브라만(Brahmin) 성이다.
모한티(Mohanty), 다스(Das), 초우드리(Choudhury), 레이(Ray), 카눈고(Kanungo), 망가라지(Mangaraj), 보히다르(Bohidar), 박시(Bakshi), 파트나익(Patnaik), 사만타레이(Samantaray), 라우트레이(Routray), 마하세나파티(Mahasenapati), 스리카라나(Srikarana), 촛트레이(Chhotray), 다스 모하파트라(Das Mohapatra)는 카란 성이다. 다른 성으로는 사만트(Samant), 싱하르(Singhar), 순다라야(Sundaraya), 자그데브(Jagdev), 발리알싱(Baliarsingh), 하리찬단(Harichandan), 마르드라지(Mardraj), 스리찬단(Srichandan), 프라티하리(Pratihari), 파이크레이(Paikray), 파타사니(Patasani), 파리다(Parida), 사말(Samal), 사후(Sahu), 나야크(Nayak), 무둘리(Muduli)가 있다.
3. 4. 고아 이름
콘카니족은 '''이름''' - '''중간 이름''' - '''마을 이름/성''' 형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름 다음에는 아버지의 이름이 오지만, 이는 현재 주로 전통적으로 부계 사회인 힌두교도들에게서 관찰된다.[5]마을 이름은 포르투갈인들이 도착한 후 사람들이 조상들의 마을에서 이주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마을 이름에는 접미사 ''kar'' 또는 '~출신'이 붙었다.[6]
원래 힌두교도였던 주민들 중 많은 수가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거의 모든 콘카니 가톨릭 신자들은 로드리게스, 페르난데스, 페레이라, 드 소우자와 같은 포르투갈식 성을 사용한다.[7][8] 로마 가톨릭 브라만(Bamonn) 카스트에 속하는 가톨릭 가족들은 프라부, 바트 등과 같은 힌두교 성의 루소폰어화된 버전을 사용한다.[9]
3. 5. 구자라트 이름
구자라트어 이름은 '''이름''', '''아버지 이름''', '''성'''의 형식을 따른다. 예를 들어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가 있다.[10] 결혼 후 여성은 남편의 아버지 이름을 새로운 가운데 이름으로 사용한다. 성은 가족 이름으로, 지명, 직업, 종교 또는 카스트 이름, 또는 별명에서 유래한다. 이름과 접미사는 성별과 종교에 따라 다르다.[10] 많은 구자라트 가정에서는 아버지의 여동생이 조카의 이름을 짓는 영광을 누린다.[11][12]전통적으로 이름은 종교에서 빌려오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대에는 문학, 영화, 정치인으로부터 이름을 따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부족 집단 사이에서 산스크리트어 타츠사마 이름이 타드바바 및 데슈야 이름에 비해 이름의 원천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대에는 듣기 좋은 의미 없는 이름을 만들거나, 영국과 인도의 역사로 인해 영어 교육을 받은 대도시 사람들 사이에서 외국 이름을 차용하는 경우도 있다.
3. 6. 북부 인도 이름
북부 인도 지역의 이름 짓는 관습은 '''이름''' - '''중간 이름''' - '''성'''의 표준 패턴을 따른다. 중간 이름은 이름에 붙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많다. 때로는 중간 이름이 아버지의 이름이 되기도 한다. 성은 대부분 카스트 관련 이름이지만, 쿠마르(Kumar)와 같이 카스트와 무관한 성도 있다. 예를 들어 바잔랄 샤르마(Bhajan Lal Sharma)의 경우, 바잔(Bhajan)이 이름, 랄(Lal)이 중간 이름, 샤르마(Sharma)가 카스트를 나타내는 성이다. 많은 여성들, 특히 시골 지역 여성들은 결혼할 때 '데비'(Devi, 여신이라는 뜻)나 '쿠마리'(Kumari, 공주라는 뜻)라는 성을 사용한다(예: 결혼 전 풀란 말라(Phoolan Mallah)로 알려진 풀란 데비(Phoolan Devi)). 북인도의 무슬림들은 이슬람식 작명 관습을 따른다.[13]3. 7. 칸나다 이름
칸나다어 이름은 카르나타카 지역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진다.북부 카르나타카: '''이름''' - '''아버지 이름''' - '''성''' 순서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 성은 지명, 음식, 의복, 사찰, 직업 등 다양한 곳에서 유래한다.[14]
- ''Katti''는 군인, ''Karadis''는 지역 민속 예술과 관련된 접미사이다.
- 농업 관련 성으로는 ''Vastrad''(천), ''Kubasad''(블라우스), ''Menasinkai''(고추), ''Ullagaddi''(양파) 등이 있다.
- 집 관련 성으로는 ''Doddamani''(큰 집), ''Hadimani''(길가 집), ''Kattimani''(앞에 플랫폼이 있는 집) 등이 있다.
- ''Badigar''는 목수의 성이며, ''Mirjankar'', ''Belagavi'', ''Hublikar'', ''Jamkhandi''는 지명에서 유래한 성이다.
해안 카르나타카: 지역마다 성이 다르다.
- ''Hegde'', ''Hebbar'' 등은 브라만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 ''Ballal'', ''Shetty'', ''Rai'' 등은 분트 공동체에서 주로 사용한다.
- '''마을 이름''' - '''아버지 이름''' - '''이름''' - '''성''' 또는 '''이름''' - '''아버지 이름''' - '''성''' 두 가지 시스템이 모두 존재한다.
남부 카르나타카: '''마을 이름''' - '''아버지 이름''' - '''이름''' - '''성''' 순서를 따른다.
- 예시:
- H[aradanahalli] D[evegowda] Kumaraswamy: 하라다나할리 (고향), Devegowda (아버지 이름), Kumaraswamy (이름)
- '''T[umkur] M[ahesh] Pranav''': 툼쿠르 (고향), Mahesh (아버지 이름), Pranav (이름)
- 기혼 여성은 '''남편 이름''' - '''이름''' 또는 그 반대 순서를 사용한다. (예: 수말라타 암바레시, 암바레시는 남편 이름)[13]
- 카나다 브라만은 ''Rao'', ''Murthy'', ''Poojari'', ''Bhat''과 같은 성을 사용한다.
- ''Gowda''는 원래 마을 수장에게 주어지는 칭호였으나, 오늘날에는 보칼리가 성으로 주로 사용된다.
카르나타카주의 칸나다인 이름은 일반적으로 출신지명, 가족 이름/카스트 이름/칭호, 아버지 이름, 개인 이름으로 구성된다.
1. 출신지명은 이름 앞에 온다. (예: ''Mangalooru'' Manjunatha에서 Mangalooru는 출신지명)
2. 아버지 이름은 두 번째에 온다. (예: Kuppalli ''Venkatappa'' Puttappa에서 Venkatappa는 아버지 이름)
3. 가족 이름/카스트 이름/칭호는 이름 마지막에 온다. (예: Panemangalooru Ramesh ''Shenoy''에서 Shenoy는 가족 이름)
3. 8. 카슈미르 이름
카슈미르인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이름 - 중간 이름(선택 사항) - 성' 순서를 따른다. (예: 자와할랄 네루)애칭이 성을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라즈단(Razdan)이나 네루(Nehru)와 같은 일부 성은 원래 카울(Kaul) 가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15]
3. 9. 말라얄리 이름
말라얄람인의 성은 나이르(Nair), 메논(Menon), 필라이(Pillai), 남부트리(Nambootri), 파니카르(Panikkar), 쿠룹(Kurup) 등을 포함한다. 일부 말라얄람인들은 타밀인이나 남부 카르나타카 주 사람들과 유사하게 '''마을 이름 – 아버지 이름 – 이름''' 순으로 짓는다. 무슬림 말라얄람인들도 이 방식을 따르지만, 이름은 이슬람식 이름을 따른다.메논, 나이르 및 관련 공동체 구성원들은 종종 어머니의 집 이름을 사용하거나 직접 카스트 이름을 추가한다.[16] 예를 들어 칸노스 카루나카란의 경우, '카루나카란'은 그의 이름이고 '칸노스'는 어머니의 집 이름이다. P. K. 바수데반 나이르의 경우, '바수데반'은 그의 이름이고 '나이르'는 그의 카스트 성이다.[17] 대부분의 말라얄람인들은 '''이름 – 아버지 이름 – 할아버지 이름/집 이름/마을 이름 – 성/카스트 칭호''' 순으로 이름을 쓴다. 예를 들어 슈릴락슈미 다나팔란 사두 쿤즈필라의 경우, 슈릴락슈미는 이름, 다나팔란은 아버지 이름, 사두는 할아버지 이름, 쿤즈필라는 성/카스트 칭호이다. 슈릴락슈미 다나팔란 S K. 와 같이 쓸 수도 있다.
과거(20세기까지) 말라얄람인 기독교인(나스라니)들은 기독교 이름만 사용했고, 일반적으로 '''가족/집 이름 – 아버지 이름 – 세례 이름''' 명명 관습을 사용했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인들은 '''이름 – 성 – 아버지 이름''', '''이름 – 아버지 이름''', '''이름 – 성''', '''이름 – 아버지 이름 – 할아버지 이름''' 등 다양한 명명 관습을 사용한다. 시리아 기독교인 이름은 '''부계 이름'''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라카파람빌 쿠리엔 안토니는 A. K. 안토니로 더 잘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정치인의 이름은 안토니이고 아버지의 이름은 쿠리엔이며, 그의 가족 이름은 아라카파람빌이다. 20세기에는 두 개 이상의 음절을 합쳐 아베이(AB), 아지(AG), 비비(BB), 비지(BG), 시비(CB) 등의 이름을 만들기도 했다. 오늘날 여러 시리아 기독교인들은 딥팍, 라훌, 니투, 아샤 등 인기 있는 인도 이름으로 자녀의 이름을 짓는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와 이삭, 여호수아, 다윗, 사울, 에스겔, 디모데와 같은 성경 이름이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
3. 10. 마라티 이름
마라티족은 힌두교를 믿으며, 부계적인 이름 체계를 따른다. 마라티 이름은 '이름/본명', '아버지/남편 이름', '성/가문 이름'으로 구성된다.[18] 예를 들어, '마하데브 고빈드 라나데'는 마하데브가 본명, 고빈드는 아버지의 이름, 라나데는 성이다. '조츠나 무쿤드 칸데카르'의 경우 조츠나는 본명, 무쿤드는 남편의 이름, 칸데카르는 남편의 성이다.[18]마라티족의 가족 이름은 다양한 유래를 가지는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고지명(故地名): 조상의 출신지인 마을 이름이다. 마하라슈트라주에서는 고지명에 'kar'를 붙여 가족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Tendulkar'는 'Tendol' 출신임을 의미한다.
- 직업명(職業名): 가족이 종사하는 직업의 명칭이다. 파르시는 직업명에 'wala'를 붙여 가족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Screwala'는 '나사 공장'을 의미한다.
- 카스트명(カースト名): 조상의 직업을 나타내는 카스트 이름이다. 예를 들어, 'Mohandas Gandhi'는 잡화상(Gandhi) 카스트에 속함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조상의 학문적 공적(예: Sastri, Dwivedi, Trivedi, Chaturvedi)이나 창작된 이름(예: 네루, 라제시 파일럿)에서 유래한 가족명도 있다.
마하라슈트라주에서 남자아이의 이름은 조부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가 있다. 중간 이름은 머리글자로 약칭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성은 전통적으로 남편의 이름을 중간 이름으로 사용하고, 아버지의 성씨를 남편의 성씨로 바꾼다.
3. 11. 펀자브 이름
펀자브 힌두교도들은 일반적으로 북인도식 작명 관습을 따르고, 무슬림들은 일반적으로 이슬람식 작명 관습을 따른다. 무굴 제국 시대에 성립한 시크교를 믿는 시크교도는 교도 사회 전체에서 싱(Singh, 獅子)이라는 이름을 짓게 되어 있으며, 보통은 중간 이름으로서, 씨족 이름 앞에 붙여 사용하지만, 씨족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 시크교도도 있어, 그 경우 Singh는 유일한 중간 이름이 된다. 또는, 개인 이름이나 가족 이름의 끝에 -singh를 추가하는 경우도 있다. 이 이름은 어떠한 카스트나 출신지에 의해서도 차별받지 않는다는, 시크교도의 신앙에 기원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시크교도는 여성에게도 남성과 같은 이름을 붙이기 때문에, 펀자브 여성으로 남성과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시크교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1]하지만, 이 Singh는 북인도에서는 힌두교도에 의해서도 중간 이름으로서 즐겨 사용된다.[1]
시크교도 여성은 카우르(Kaur, 姫・雌獅子)라는 이름을 중간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1]
연예인 중에는 Singh나 Kaur을 생략하고 이름과 씨족 이름만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예를 들어, 가수 수르짓 빈드라키아(Surjit Bindrakhia)의 본명은 수르짓 싱 빈드라키아(Surjit Singh Bindrakhia), 여배우 파르민더 나그라(Parminder Nagra)의 본명은 파르민더 카우르 나그라(Parminder Kaur Nagra)이다.[1]
3. 12. 타밀 이름
타밀 이름은 일반적으로 '이니셜(마을 이름) - 이니셜(아버지 이름) - 이름 - 성' 순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M. G. 라마찬드란에서 'M'은 마두르를, 'G'는 아버지 이름인 고팔란을 나타낸다.[31] 'R. 카르틱'에서 'R'은 아버지 이름인 라비찬드란을 의미한다.[31]아버지의 이름을 성으로 사용하는 부계명칭이 널리 사용된다.[31] 한 세대의 이름이 다음 세대의 성이 되는 것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주로 이니셜로 표기되며, 여권 등에는 전체 이름을 적을 때 이니셜을 성으로 확장한다.[31] 예를 들어 'R. 쿠마레시'는 '쿠마레시 라마이야'(라마이야의 아들 쿠마레시)로 표기한다.[31] 쿠마레시의 아들이 비자이라면, 그의 이름은 'K. 비자이' 또는 '비자이 쿠마레시'가 된다.[31]
결혼한 타밀 여성은 보통 남편의 이름을 새 이니셜이나 성으로 채택한다.[31] K. 아니타(쿠마레시의 딸 아니타)는 결혼 후 S. 아니타(사라바난의 아내 아니타)로 이름을 바꿀 수 있다.[31] 그러나 이 관습은 가족마다 다르며, 여러 세대에 걸쳐 이어지지는 않는다.
1930년대부터 드라비다 운동의 영향으로 인도, 싱가포르 등지의 타밀 사람들은 성을 버렸다.[32][33] 성이 카스트 신분과 동일시되어 사회적 낙인을 초래한다는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다.[32][33]
부계명칭이나 남편 이름을 성으로 사용하는 것은 서구로 이주하여 인도식 이름 규칙을 설명하지 않고도 자신의 이름으로 불리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채택한 관습이며, 여성에게 더 흔하다. 여성들은 종종 아버지나 남편의 이름을 채택하여 여러 세대에 걸쳐 사용하기도 한다.
타밀 카스트 이름에는 파라이야르, 비슈와카르마, 아차리, 코나르, 이다이야르, 레디아르, 우다야르, 야다바르, 아이옌가르, 아이예르, 필라이, 무달리아르, 테바르, 나다르, 체티아르, 곤더, 나이커, 반니야르 등이 있다.[34][35] 이름은 '수니타 람 쿠마르 아이예르'와 같이 지어진다. 특정 가족이 가족 이름보다 카스트 이름을 선호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름 외에 이니셜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35]
3. 13. 텔루구 이름
텔루구족의 이름 짓는 방식은 인도의 다른 지역과 다르다. 성은 소유격으로, 이름 앞에 온다. 이는 이름이 뒤에 오는 것과 대비된다.[36] 성을 먼저 쓰는 관습은 중국, 일본, 한국인, 베트남 및 헝가리인에게서도 볼 수 있다.[36]"성, 이름" 형식은 북인도에서 성이 일반적으로 마지막에 오거나 성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남인도의 다른 지역과 대조된다. 이는 인도 내부와 세계 다른 지역에서 다양한 정도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37]
때때로 카스트 이름이 끝에 추가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Neelam Sanjiva Reddy에서 Neelam은 성, Sanjiva는 이름, Reddy는 카스트 이름이다.
일부 텔루구 이름은 성과 함께 두 개의 이름이 주어지는 약간 다른 관례를 따를 수도 있다. Aakula Anjaneya Prasad라는 이름에서 Aakula는 성이고 Anjaneya Prasad는 이름이다.
안드라프라데시주의 텔루구인들은 대부분 전통적으로 "가족 이름·개인 이름·카스트 이름"의 형태로 이름을 갖고 있다. 카스트 이름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가족 이름은 대부분 고향 지명이지만, 가족의 직업명을 가족 이름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가족 이름이 같으면 친족으로 여겨진다.
- Nara Chandrababu Naidu라는 이름의 경우, Nara가 가족 이름, Chandrababu가 개인 이름, Naidu가 카스트 이름이다. 하지만 이 카스트 이름은 과거 어느 시점에 왕으로부터 부여받은 일족의 칭호이다. 안드라프라데시주 북부 출신의 Naidu는 Kamma 카스트 사람으로 여겨지고, 동주 남부 출신의 Naidu는 Kapu 카스트 사람으로 여겨진다.
- 이 사람을 부를 때는 Naidu garu (나이두 씨) 또는 Chandrababu Naidu garu (찬드라바부 나이두 씨)이다 (Nara garu (나라 씨)는 아니다).
- Rao라는 칭호는 어떤 카스트의 사람일 가능성도 있다. 전 인도 총리였던 P. V. Narasimha Rao는 브라만 카스트 사람이고, 전 안드라프라데시주 총리였던 Jalagam Vengal Rao는 Velama 카스트 사람이다.
- Reddy는 힌두교 지주를 나타내는 카스트 이름이다. Patel, Iyer, Mudaliar 등도 카스트 이름이다.
- 브라만 가계에서는 Niogi는 왕으로부터 장관으로 임명되었던 사람의 자손의 카스트 이름이고, Vaideeki는 종교적 교육자의 자손의 카스트 이름이다.
- Velanati나 Telaganya는 조상의 출신지에 따른 가족 이름이다.
최근에는 카스트 이름 대신 칭호를 사용하는 것이 전통이라기보다는 유행이 되고 있다. 또한, 이들 이외의 명명법도 많이 존재하여 텔루구인의 명명법을 일괄적으로 논하는 것은 어려워지고 있다.
- Raghunadh Polavarapu라는 이름은 Raghunadh가 개인 이름이고 Polavarapu가 가족 이름이다.
4. 현대 인도 이름의 특징
인도인 중에는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이름과 다른 '''출생 이름'''이 있는 경우도 있다. 출생 이름은 점성술에 기반하여 길한 글자로 시작하는 이름이다.[1]
최근 인도에서 이름 짓는 방식의 특징 중 하나는 세계적인 위인의 이름을 따서 아이의 이름을 짓는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위인의 성(family name) 등의 보조 이름이 아이의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1]
독특함을 노린 이름도 늘어나고 있다.[1]
5. 이름 표기 및 호칭
많은 인도인들은 “이름·성” 또는 “이름·중간 이름·성”과 같은 형태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성은 가족 이름, 신의 이름, 아버지 이름 등 다양하게 붙인다. 성은 상대방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부를 때 사용되기도 하므로, 대화할 때는 예를 들어 힌디어의 경우, 일본어의 “様”에 해당하는 “지 (जी ; -ji)”(주로 힌두교도 사이에서 사용됨)나 “사하브 (साहब् ; -saheb)”, “사히브 (साहिब् ; -sahib)”(주로 이슬람교도 사이에서 사용됨)과 같은 경칭이 붙는다.[39]
현재는 이름만 가지고 있거나, 한 사람이 네 개의 이름을 가지는 경우는 드물다. 개인명은 일반적으로 인도인이 상대방을 부를 때 사용하는 이름이며, 법적인 문서나 공식적인 기록에도 이 이름이 사용된다. 가까운 친척이나 친한 친구 사이에서는 개인명으로 서로 부른다.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이 사회적으로 가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름 앞에 "위의/아래의"와 같은 형용사를 붙이거나 다른 별명으로 부른다.
정중하게 부르는 경우에는 श्री / श्रीमती(슈리 / 슈리마티. 영어의 Mr./Ms.에 해당한다. 타밀어에서는 திரு / திருமதி(틸 / 틸마티) 등 언어에 따라 다르다.)를 이름 앞에 붙여 부른다. 더욱 경의를 표하는 경우에는 श्री / श्रीमती를 붙인 이름 뒤에 추가로 "님"(जीhi ジー, साहब् サーハ브 등)을 붙인다. 지역에 따라서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에서는 이름으로 부르지 않고, 칭호 등의 덧붙이는 말을 श्री / श्रीमती에 붙여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일부 지역, 특히 비도시 지역에서는 결혼한 여성을 부를 때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남편의 이름)의 아내", "(자녀의 이름)의 어머니"라고 부르는 관습이 있다. 가족 이름은 생략하여 표기되는 경우, 개인 이름의 앞이나 뒤에 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oushad Shafi Ulooji("Ulooji 집의 Shafi의 아들인 Noushad"라는 이름)는 Noushad S. U. 또는 S. U. Noushad로 표기할 수 있다.
남인도에서는 머리글자(initial)의 사용법에 고유한 특징이 있어, 이름의 어느 부분이 개인 이름인지에 대해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타밀인은 보통 개인 이름만 가지고 있으므로, 사회적 혼란을 막기 위해 아버지의 이름이 머리글자로 이름의 일부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Gopal의 아들 Raman은 G. Raman, Dinesh의 아들 Raman은 D. Raman이다.
하지만 원래 이름은 개인 이름 뒤에 아버지 이름이 오는 형식이다. 따라서 머리글자로 표시된 아버지 이름 등을 생략하지 않고 모두 표기하는 경우, 그것은 개인 이름 뒤에 붙여야 한다.
- P. Chidambaram은 Chidambaram Palaniyappan이며, Palaniyappan Chidambaram이 아니다. 개인 이름은 어디까지나 Chidambaram이다.
- 체스 명수 V. Anand는 머리글자를 사용하지 않고 표기하는 경우 Anand Vishwanathan이다.
- 독립운동 지도자였던 C. Rajagopalachari는 원래 Rajagopalachari Chakravarty라는 이름이다.
학교 학적 등록에서는 반드시 아버지 이름의 머리글자가 개인 이름과 함께 등록된다. 또한 정부의 각종 기록에서는 아버지 이름의 머리글자 사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따라서 아버지 이름의 머리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증명서 발급이나 은행 거래 등에서 불법으로 간주되어 불이익을 받거나, 경우에 따라 차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타밀나두주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 제도에 적응하기 위해 전통적인 가족 이름에 의한 명명법이 버려진 예도 있다. 아버지의 이름 또는 남편의 이름이 보조 이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족 이름을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사회에서는 이러한 아버지 이름과 남편 이름이 가족 이름으로 간주되고 있다.
여권 등의 문서에는 머리글자 대신 이름 전체가 기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산 증명서 등의 경우에는 같은 형식으로 아버지 이름, 할아버지 이름, 남편 이름 또는 출생지가 기재되지만, 머리글자를 사용하는 것도 허용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공적인 기록에서는 머리글자 사용이 의무화되어 있으며, 아버지 이름을 개인 이름 뒤에 붙인 형식의 이름은 인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P. Chidambaram과 Chidambaram Palaniyappan은 모두 한 사람의 이름이지만, 법적으로는 P. Chidambaram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름을 짧게 줄여 쓰는 경우에는 머리글자 부분을 생략하고, 아버지 이름을 개인 이름 뒤에 붙인다. 예를 들어, M. Gopal Krishnan의 아들 G. Raja Ravi Varma의 이름을 줄여 쓰는 경우, Raja Gopal로 한다.
여성의 경우, 결혼 전에는 아버지 이름의 머리글자를 사용하고, 결혼 후에는 남편 이름의 머리글자를 사용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 진출과 함께, 특히 취업 여성 사이에서는 결혼 후에도 계속 아버지 이름의 머리글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여성의 졸업 증명서나 이력서는 대부분 결혼 전 기록이며 머리글자는 아버지의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은 결혼으로 인한 개명 후의 이름을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된다. 아버지 이름 그대로의 머리글자를 사용하면서 결혼 후에는 남편 이름을 더 개인 이름 뒤에 붙이는 경우도 일부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Connection Between 12 Rashi and Name Initials
https://dazelled.com[...]
[2]
논문
Caste Aside? Names, Networks and Justice in the Courts of Bihar, India
https://publicera.kb[...]
2024-10-21
[3]
웹사이트
Assamese Surnames that originated from Job Roles
https://www.indiatod[...]
2023-05-25
[4]
서적
Discovery of North-East India: Geography, History, Culture, Religion, Politics, Sociology, Science, Education and Economy. North-East In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5]
서적
Kaleidoscope of women in Goa, 1510–1961
https://archive.org/[...]
Concept Publishing Company
[6]
문서
Upheaval
[7]
서적
Where East looks West: success in English in Goa and on the Konkan Coast
Multilingual Matters
[8]
문서
(출처 미상)
[9]
문서
(출처 미상)
[10]
논문
PERSONAL NAMES: Their Structure, Variation, and Grammar in Gujarat
1982
[11]
서적
Gujarat, part 3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Limited
[12]
웹사이트
100 Cute Gujarati Baby Names With Meanings (ગુજરાતી નામો)
https://www.momjunct[...]
2023-08-21
[13]
웹사이트
UK Naming Guide
https://www.fbiic.go[...]
UK Government
2006
[14]
뉴스
Names have interesting surnames in north Karnataka
http://timesofindia.[...]
2011-03-11
[15]
서적
Toward Freedom: An Autobiography of JawaharLal Nehru
[16]
웹사이트
Should I call myself a Nair?
https://syngrafi.med[...]
2019-11-03
[17]
웹사이트
Members - Kerala Legislature
http://www.niyamasab[...]
[18]
서적
Panorama of Indian anthroponomy : (an historical, socio-cultural & linguistic analysis of Indian personal name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5
[19]
논문
Personal Names in Marathi
1986
[20]
서적
Maharashtra in the Age of Shivaji
https://books.google[...]
R.J. Deshmukh Deshmukh
1969
[21]
서적
The Modern Review, Volume 16
https://books.google[...]
Modern Review Office
[22]
서적
Colloques internationaux du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Issue 582
Ed. du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1979
[23]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Session, Volume 38
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India
1967
[24]
논문
Their surnames
Bennett, Coleman & Company
1970-07
[25]
서적
Home, Family and Kinship in Maharashtra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Castes and Tribes of H.E.H. the Nizam's Dominions, Volume 1
https://books.google[...]
Times Press
[27]
서적
Homo hierarchicus: the caste system and its implica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서적
Caste, Conflict and Ideology: Mahatma Jotirao Phule and Low Caste Protest in Nineteenth-Century Western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8-22
[29]
서적
The Sikh Diaspora: Migration and the Experience Beyond Punjab
South Asia Books
[30]
웹사이트
Understanding Diversity and Deras within the Sikh Panth (Community): Some Critical Reflections. Journal of Sikh & Punjab Studies EBSCOhost
https://openurl.ebsc[...]
2023-03-01
[31]
뉴스
First name, middle name, surname... real name?
http://www.thehindu.[...]
2010-04-04
[32]
서적
In Quest of Dravidian Roots in South Africa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School of Dravidian Linguistics
2002
[33]
서적
A Subaltern History of the Indian Diaspora in Singapore: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Untouchability 1872-196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3-31
[34]
서적
Some Contributions of South India to Indian Culture
Asian Educational Services
[35]
서적
The Kural
[36]
서적
A Grammar of the Telugu Language
https://books.google[...]
printed at the Christian Knowledge Society's Press
1857
[37]
서적
Telugu Personal Names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4
[38]
서적
Hibiscus on the Lake Twentieth-century Telugu Poetry from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9]
웹사이트
Indexes: A Chapter from The Chicago Manual of Style
https://web.archive.[...]
2014-12-23
[40]
문서
벵골출신의 종교인으로 요가를 보급한 인물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