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의 소리(VOI)는 인도네시아 독립 직후인 1945년 8월 23일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라디오 방송국이다. 해외 청취자를 대상으로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주권 인정을 돕는 역할을 했다. 1950년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9개 언어로 방송을 제공하고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RRI 디지털 앱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2003년 9월 11일에는 한국어 방송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방송 - TVRI
TVRI는 1962년 아시안 게임을 계기로 설립되어 정부 정책 홍보를 수행하다 공영 방송 기관으로 전환, 현재는 전국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운영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만, 부패 스캔들과 정치적 중립성 논란을 겪고 있으며 TVRI와 RRI 통합 방안이 논의 중인 인도네시아의 공영 방송이다. - 인도네시아의 방송 - 인도시아르
인도시아르는 1995년 개국한 인도네시아의 텔레비전 채널로, 초기에는 문화 프로그램 중심이었으나 현재는 드라마, 스포츠, 예능 등 다양한 장르를 편성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 드라마와 오디션 프로그램, 스포츠 경기 중계로 알려져 있다. - 1945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조선중앙방송
조선중앙방송은 1948년 2월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라디오 방송국으로, 김일성, 김정일 찬양, 주체사상 홍보 등을 주 내용으로 한국어 방송을 기본으로 한다. - 1945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조선의 소리 방송
조선의 소리 방송은 북한의 대외 라디오 방송으로, 1936년 JBBK에서 시작하여 1945년 라디오 평양으로 재설립 후 2002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여러 언어로 뉴스와 음악, 김씨 일가와 체제 선전을 전 세계에 송출한다. - 단파방송 - KBS 제1라디오
KBS 제1라디오는 1927년에 개국하여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1994년 광고방송을 폐지하고 수신료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라디오 채널이다. - 단파방송 - KBS 한민족방송
KBS 한민족방송은 1948년 서울중앙방송국 국제방송으로 시작하여 KBS 제3방송, 사회교육방송을 거쳐 200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수신료로 운영되고 해외 거주 한국인을 대상으로 뉴스, 음악, 이산가족 및 탈북자 관련 프로그램 등을 AM, 단파, 인터넷 라디오로 방송하는 한국어 라디오 방송이다.
| 인도네시아의 소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위치 | 중앙자카르타, 자카르타 |
| 국가 | 인도네시아 |
| 브랜드명 | RRI 인도네시아의 소리 |
| 언어 | 운영 참고 |
| 포맷 | 일반 |
| 소유주 | RRI |
| 자매 방송국 | RRI Programa 1 RRI Programa 2 RRI Programa 3 RRI Programa 4 |
| 이전 이름 |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 (1945–1950) |
| 이전 주파수 | 9925 kHz 11785 kHz 15150 kHz |
| 라이선스 기관 |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cs (SW radio) |
| 웹캐스트 | 실시간 청취 |
| 웹사이트 | RRI 인도네시아의 소리 |
| 운영 | |
| 방송 언어 | 인도네시아어 영어 일본어 독일어 스페인어 중국어 프랑스어 아랍어 |
| 주파수 | |
| 주파수 정보 | 3325 kHz 및 4755 kHz (SW, 10:00 a.m.–11:00 p.m. UTC) 3946/H/6660 (위성, Telkom-4) 온라인 (24시간) |
2. 역사
1945년 9월 11일 라디오 공화국 인도네시아(RRI)의 국제 방송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1945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직후, 새로운 공화국의 소식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한 필요성에 따라 설립된 것이다. 초기에는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Suara Indonesia Merdekaid)라는 이름으로 방송을 시작했으며, 1950년 현재의 명칭인 '인도네시아의 소리'(Suara Indonesiaid)로 변경했다.[4] 이후 방송 규모를 확장하여 1977년에는 일본어 방송을 시작했고, 2003년 9월 11일에는 한국어 방송을 개국했다. 한편, 모체인 RRI는 2000년 국영 방송에서 공영 방송 체제로 전환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45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이 이루어졌을 때, 새로 수립된 국가는 이 사실을 국내외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단이 필요했다. 같은 날 저녁 7시, 라디오 공화국 인도네시아(RRI)의 설립자인 M. 유수프 로노디푸로는 일본 점령 하에 있던 라디오 방송국 호소 쿄쿠(Hoso Kyoku)를 통해 독립 선언 관련 소식을 전했다. 그는 라디오 방송에 열정을 가진 아브둘라흐만 살레 박사의 지원을 받아 1945년 8월 23일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Suara Indonesia Merdekaid) 방송을 시작했다.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는 8월 25일에, 인도네시아 부통령 모하마드 하타는 8월 29일에 이 라디오를 통해 연설하며 독립을 알렸다.당시 라디오 방송은 전 세계 청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장 강력한 매체였다. 이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인도네시아 공화국 정부는 족자카르타에 있던 이전 네덜란드 식민 정부의 라디오 방송국 시설을 인수했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이 인도네시아 방송국의 이름은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로 정해졌다. 1945년 9월 11일, 이 방송국은 현재 '인도네시아의 소리'의 모체 조직인 라디오 공화국 인도네시아(RRI)로 공식 출범했다.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지지했던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여성 케투트 탄트리는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에서 여러 차례 영어 방송을 진행했다. 그녀의 방송은 서방 세계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했기 때문에 "수라바야 수"(Surabaya Sue영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처럼 인도네시아 독립 초기, 라디오 방송은 신생 국가의 메시지를 해외에 전달하고 다른 국가들로부터 주권 인정을 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서방 특파원들에게 판매되던 인도네시아 공화국 관련 잡지의 이름이기도 했다.[3] 1950년,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현재의 이름인 '인도네시아의 소리'(Suara Indonesiaid)로 변경되었다.[4]
2. 2. 초기 활동
인도네시아가 1945년 8월 17일 독립을 선언했을 때, 새 국가는 이 사실을 전국과 전 세계에 알릴 효과적인 도구가 필요했다. 같은 날 저녁 7시, 라디오 공화국 인도네시아(RRI)의 설립자인 M. 유수프 로노디푸로는 일본 점령 하의 라디오 방송국인 호소 쿄쿠(Hoso Kyoku)에서 독립 선언 관련 뉴스를 낭독했다. 그는 또한 라디오 방송에 열정을 가진 아브둘라흐만 살레 박사의 지원을 받았다. 이들은 1945년 8월 23일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를 시작했다.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는 8월 25일에, 부통령 모하마드 하타는 8월 29일에 이 라디오를 통해 연설했다.당시 라디오 방송은 전 세계 청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장 강력한 매체였다. 이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새 인도네시아 공화국은 족자카르타에 있던 이전 네덜란드 식민지 정부 라디오 방송국을 인수했다.
전 세계에 방송하는 인도네시아 방송국은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로 명명되었다. 1945년 9월 11일, 이 방송국은 ''인도네시아의 소리''의 모체 조직인 라디오 공화국 인도네시아(RRI)가 되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지지했던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여성 케투트 탄트리는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에서 여러 영어 방송을 했다. 그녀의 방송은 서방 청취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을 지지했기 때문에 "수라바야 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초기, 라디오 방송은 새 국가의 메시지를 해외 청중에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는 다른 국가들이 주권을 인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서방 특파원들에게 판매된 인도네시아 공화국 잡지의 이름이기도 했다.[3]
1950년,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인도네시아의 소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
2. 3. 명칭 변경 및 발전
인도네시아가 1945년 8월 17일 독립을 선언했을 때, 새로운 국가는 이 사실을 국내외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단이 필요했다. 같은 날 저녁 7시, 라디오 공화국 인도네시아(RRI)의 설립자인 M. 유수프 로노디푸로는 일본 점령 하에 있던 라디오 방송국인 호소 쿄쿠(放送局)를 통해 독립 선언 뉴스를 낭독했다. 그는 라디오 방송에 열정을 가진 아브둘라흐만 살레 박사의 지원을 받아 1945년 8월 23일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Suara Indonesia Merdekaind) 방송을 시작했다.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는 8월 25일에, 부통령 모하마드 하타는 8월 29일에 이 라디오를 통해 연설했다. 당시 라디오 방송은 전 세계 청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장 강력한 매체였으며, 이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신생 인도네시아 공화국은 족자카르타에 있던 이전 네덜란드 식민지 정부 라디오 방송국 시설을 활용했다.1945년 9월 11일,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라디오 공화국 인도네시아(RRI)의 국제 방송 부문으로 공식 출범하며 현재의 '인도네시아의 소리'의 모태가 되었다.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지지했던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여성 케투트 탄트리는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에서 여러 차례 영어 방송을 진행했다. 그의 방송은 서방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의 입장을 대변했으며, 이로 인해 "수라바야 수(Surabaya Sueeng)"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처럼 독립 초기 라디오 방송은 인도네시아의 메시지를 해외에 전달하고 다른 국가들로부터 주권 인정을 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서방 특파원들에게 판매된 인도네시아 공화국 잡지의 이름이기도 했다.[3]
1950년,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인도네시아의 소리'''(Suara Indonesiaind)로 공식 명칭을 변경했다.[4] 이후 방송은 꾸준히 발전하여 1977년에는 일본어 방송을 시작했으며, 2000년에는 모체인 RRI가 국영 방송에서 공영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2003년 9월 11일에는 한국어 방송이 개국되어 한국 청취자들에게도 인도네시아의 소식을 전하기 시작했다.
| 연도 | 주요 내용 |
|---|---|
| 1945년 8월 17일 |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
| 1945년 8월 23일 |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Suara Indonesia Merdekaind) 방송 시작. |
| 1945년 9월 11일 | 라디오 공화국 인도네시아(RRI) 설립 및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 편입. (사실상 인도네시아의 소리 개국) |
|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기간 | 케투트 탄트리가 영어 방송 진행. |
| 1950년 | 자유 인도네시아의 소리에서 인도네시아의 소리(Suara Indonesiaind)로 명칭 변경.[4] |
| 1977년 | 일본어 방송 시작. |
| 2000년 | RRI가 국영 방송에서 공영 방송으로 전환. |
| 2003년 9월 11일 | 한국어 방송 개국. |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 위치한 송신소를 통해 운영되며, 전 세계 청취자를 대상으로 인도네시아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로 방송을 제작 및 송출한다.[5][6] 주요 송출 방식은 전통적인 단파 방송과 인터넷을 통한 라이브 스트리밍이며, 자카르타 지역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는 FM으로도 청취할 수 있다.
3. 방송 운영
2018년부터 인터넷 스트리밍으로는 24시간 방송 청취가 가능하며, 단파 방송은 4750 kHz와 3325 kHz 주파수를 통해 하루 12시간 송출된다.[7] 과거 방송 시작부터 해외 방송에 사용되었던 단파 주파수 9525 kHz, 11785 kHz, 15150 kHz는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다.[7]
VOI는 단파 방송 외에도 웹 사이트를 통해 뉴스를 제공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운영하며,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앱(RRI 디지털 앱), 시각 라디오 채널(RRI NET)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인도네시아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3. 1. 대상 청취자
VOI의 대상 청취자는 해외에 거주하는 인도네시아 시민, 인도네시아계 디아스포라 및 전 세계의 '일반 청취자'이다.[5]
현재 VOI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아랍어, 중국어, 일본어, 네덜란드어, 인도네시아어 등 9개 언어로 해외 청취자에게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과거에는 힌디어, 한국어, 태국어, 우르두어 방송도 송출된 바 있다. 한국 청취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방송은 2003년 9월 11일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중단된 상태이다.
청취자들은 단파 방송을 통해 주로 VOI를 접할 수 있으며, 자카르타 시내에서는 FM 라디오(거주 외국인 대상)로도 청취 가능하다. 또한 VOI는 웹 사이트를 운영하여 9개 언어로 뉴스를 제공하고, 2008년 4월 1일부터는 라이브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도 시작했다. 이 외에도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인도네시아 관련 최신 정보를 제공하며,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RRI 디지털 앱과 시각 라디오 채널인 RRI NET에서도 VOI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3. 2. 방송 언어
현재 VOI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아랍어, 중국어, 일본어, 네덜란드어, 인도네시아어 등 9개 언어로 해외 청취자 대상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6] VOI의 타겟 청취자는 해외 거주 인도네시아 시민, 인도네시아 디아스포라 및 전 세계의 일반 청취자이다.[5]
과거에는 힌디어, 한국어, 태국어, 우르두어로도 방송을 진행한 바 있다. 한국어 방송은 2003년 9월 11일에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이영주 아나운서가 전담했다. 이후 현지인이 방송을 진행하면서 한국어 발음이 다소 부정확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당시 한국어 방송은 단파와 FM을 통해 매일 1시간씩 한반도와 자카르타 시내를 향해 송출되었다. 일본어 방송은 1977년 6월 1일에 시작되었다.
2010년까지는 각 언어 방송이 하루 2시간씩 편성되어, 전체 외국어 방송 시간은 총 13시간에 달했다.[6]
3. 3. 프로그램 구성
인도네시아의 소리(VOI)는 해외에 거주하는 인도네시아 국민, 인도네시아계 이주민, 그리고 전 세계의 일반 청취자를 대상으로 한다.[5]
현재 VOI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아랍어, 중국어, 일본어, 네덜란드어, 인도네시아어 등 총 9개 언어로 해외 청취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과거에는 힌디어, 한국어, 태국어, 우르두어 방송도 송출된 바 있다. 한국어 방송은 2003년 9월 11일 시작되어 단파와 FM으로 매일 1시간씩 한반도와 자카르타 지역을 대상으로 송출되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2010년까지는 각 언어별로 하루 2시간씩 프로그램을 방송하여, 모든 언어 방송 시간을 합하면 총 13시간에 달했다. 당시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았다.[6]
이 프로그램들은 먼저 인도네시아어로 제작된 후 각 언어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모든 외국어 방송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같았다.[6]
2018년부터는 인터넷 스트리밍을 통해 24시간 방송을 들을 수 있으며, 단파로는 4750 kHz와 3325 kHz 주파수를 통해 하루 12시간 방송된다. 과거 해외 방송에 주로 사용되던 단파 주파수인 9525 kHz, 11785 kHz, 15150 kHz는 당분간 사용되지 않는다.[7]
단파 방송이 주요 송출 방식이지만, VOI는 웹 사이트도 운영한다. 웹사이트에서는 9개 언어로 뉴스를 볼 수 있으며, 2008년 4월 1일부터 라이브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스트리밍 서비스는 단파 방송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또한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도 인도네시아 관련 최신 정보를 전달한다. 모바일 사용자는 RRI 디지털 앱을 통해서도 VOI를 청취할 수 있으며, RRI의 시각 라디오 채널인 RRI NET에서는 관련 영상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3. 4. 송출 방식
인도네시아의 소리(VOI)는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송출한다. 주요 대상 청취자는 해외 거주 인도네시아 시민, 인도네시아 디아스포라 및 전 세계 사람들이다.[5]
현재 VOI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아랍어, 중국어, 일본어, 네덜란드어, 인도네시아어 등 9개 언어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해외 청취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과거에는 힌디어, 한국어, 태국어, 우르두어 방송도 진행했었다.
주요 송출 채널
과거 한국어 방송2003년 9월 11일에 시작된 한국어 방송은 단파와 FM을 통해 매일 1시간씩 한반도와 자카르타를 향해 송출되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처음에는 이영주 아나운서가 전담했으나 이후 현지인이 진행하면서 발음 문제 등이 지적되기도 했다.
일본어 방송 송출 정보 (2020년 1월 17일 기준)1977년 6월 1일 시작된 일본어 방송은 아래와 같이 송출된다.
| 방송 시간(JST, UTC+9) | 주파수(kHz) |
|---|---|
| 21:00-22:00 | 3325, 4750 |
| 21:00-22:00 | 라이브 스트리밍 |
- 출력: 10kW (무지향성)
4. 한국어 방송
'''인도네시아의 소리''' 한국어 방송은 2003년 9월 11일에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이영주 아나운서가 방송을 전담하였으나, 이후 퇴사하여 현재는 현지인이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현지인이 진행하면서 발음이 다소 부정확하다는 평가가 있다. 방송은 단파와 FM을 통해 매일 한 시간씩 한반도와 자카르타 시내를 대상으로 송출된다.
5. 주파수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단파(SW)와 FM 방송을 통해 송출된다. 여러 단파 주파수와 자카르타 지역의 FM 주파수를 사용하여 방송하며, 일부 과거에 사용되던 단파 주파수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자세한 주파수별 송출 정보 및 전체 방송 시간표는 각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단파 주파수
인도네시아의 소리는 다음 단파 주파수를 사용하여 방송한다.- 3325 kHz: 공중선 전력 10 kW, 팔랑카라야 송신기 사용 (무지향성 안테나).
- 4750 kHz: 공중선 전력 50 kW, 서자바 치망기스(Cimanggis) 송신기 사용.
과거에 사용되었던 9525 kHz, 11785 kHz, 15150 kHz 주파수(각 250 kW)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단파 방송은 서부 인도네시아 표준시(WIB) 기준 매일 17:00부터 다음 날 04:00까지 (UTC 기준 10:00 ~ 21:00) 3325 kHz와 4750 kHz 주파수로 송출된다. 언어별 방송 시간은 다음과 같다.
| 언어 | 방송 시간 (WIB) | 방송 시간 (UTC) |
|---|---|---|
| 영어 | 17:00 - 18:00 | 10:00 - 11:00 |
| 중국어 | 18:00 - 19:00 | 11:00 - 12:00 |
| 일본어 | 19:00 - 20:00 | 12:00 - 13:00 |
| 영어 II | 20:00 - 21:00 | 13:00 - 14:00 |
| 인도네시아어 | 21:00 - 22:00 | 14:00 - 15:00 |
| 중국어 II | 22:00 - 23:00 | 15:00 - 16:00 |
| 아랍어 | 23:00 - 24:00 | 16:00 - 17:00 |
| 스페인어 | 24:00 – 01:00 | 17:00 – 18:00 |
| 독일어 | 01:00 - 02:00 | 18:00 - 19:00 |
| 네덜란드어 | 02:00 – 03:00 | 19:00 – 20:00 |
| 프랑스어 | 03:00 - 04:00 | 20:00 - 21:00 |
=== 일본어 방송 ===
일본어 방송은 1977년 6월 1일에 단파 송출을 시작했다. 2020년 1월 17일 기준으로 일본어 방송은 다음과 같이 1시간 동안 송출된다.
5. 2. FM 주파수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서는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FM 방송이 송출된다. 자카르타 지역의 FM 주파수는 89.1 MHz이다. 방송 시간은 매일 서부 인도네시아 표준시 기준 19:00부터 20:00까지 1시간 동안이며, 이는 한국 표준시로는 21:00부터 22:00에 해당한다. 2013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어, 영어, 스페인어, 아랍어, 중국어(표준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8개 언어로 방송하며, 인터넷을 통해서도 청취할 수 있다.5. 3. 방송 시간 (한국 표준시 기준)
매일 1시간 방송한다.| 한국 표준시 (KST) | 서부 인도네시아 표준시 (WIB) | 단파 주파수 | FM 주파수 |
|---|---|---|---|
| 21:00 ~ 22:00 | 19:00 ~ 20:00 | 3325, 4750 kHz | 89.1 mHz |
| 언어 | 한국 표준시 (KST) | 서부 인도네시아 표준시 (WIB) | 협정 세계시 (UTC) |
|---|---|---|---|
| 19:00 ~ 20:00 | 17:00 ~ 18:00 | 10:00 ~ 11:00 | |
| 20:00 ~ 21:00 | 18:00 ~ 19:00 | 11:00 ~ 12:00 | |
| 21:00 ~ 22:00 | 19:00 ~ 20:00 | 12:00 ~ 13:00 | |
| 22:00 ~ 23:00 | 20:00 ~ 21:00 | 13:00 ~ 14:00 | |
| 23:00 ~ 24:00 | 21:00 ~ 22:00 | 14:00 ~ 15:00 | |
| 00:00 ~ 01:00 | 22:00 ~ 23:00 | 15:00 ~ 16:00 | |
| 01:00 ~ 02:00 | 23:00 ~ 24:00 | 16:00 ~ 17:00 | |
| 02:00 ~ 03:00 | 00:00 ~ 01:00 | 17:00 ~ 18:00 | |
| 03:00 ~ 04:00 | 01:00 ~ 02:00 | 18:00 ~ 19:00 | |
| 04:00 ~ 05:00 | 02:00 ~ 03:00 | 19:00 ~ 20:00 | |
| 05:00 ~ 06:00 | 03:00 ~ 04:00 | 20:00 ~ 21:00 |
단파를 이용한 일본어 방송은 1977년 6월 1일에 시작되었다.
'''일본어 방송 상세 (2020년 1월 17일 기준)'''
- 출력: 10kW (무지향성)
- JST = UTC+9
이전에 사용되던 주파수 9525kHz(예비 주파수 11785kHz, 15150kHz)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Voice of Indonesia
https://www.lyngsat.[...]
2023-09-19
[3]
서적
Revolt in Paradis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960
[4]
웹사이트
Voice of Indonesia - Background
http://en.voi.co.id/[...]
2013-01-04
[5]
웹사이트
Vision and Mission
[6]
간행물
Repositioning VOI
The Hague University
2007
[7]
웹사이트
Voice of Indonesia - Vision and Mission
http://en.voi.co.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