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아리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아리아인은 중앙아시아의 인도이란인에서 기원하여 기원전 20세기부터 남쪽으로 이동, 펀자브 지방을 거쳐 북인도에 정착한 민족이다. 인도아리아어의 인도아대륙 도입은 이들의 이동으로 시작되었으며, 미타니 왕국 건설에도 관여했다. 인도아리아인은 '고귀한'을 의미하는 'aryā'라는 문화적 규범과 언어로 통합되었고, 중앙아시아 스텝 유목민, 이란 사냥꾼-채집인, 남아시아 사냥꾼-채집인의 혼합 후손이다. 이들은 힌두스탄인, 벵골인, 펀자브인, 싱할라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아시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사회,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유럽 - 원시 인도유럽 신화
    원시 인도유럽 신화는 문헌 기록은 없으나, 여러 인도유럽 민족 신화의 공통 요소를 비교언어학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우주론, 창조 신화, 신들의 계보 등을 다루며 이후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인도유럽 - 인도유럽인
    인도유럽인은 기원전 36세기 캅카스 산맥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원시 인도유럽인에서 기원하여, 기원전 24세기부터 20세기 사이에 동, 서로 이동하며 다양한 민족으로 분화되었다.
  • 인도유럽족 - 슬라브족
    슬라브족은 중앙 및 동유럽, 남동유럽에 주로 거주하며 슬라브어파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다양한 국가와 문화를 형성하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해왔고, 현재는 동슬라브족, 서슬라브족, 남슬라브족 등으로 나뉘며 다양한 종교를 가지고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 인도유럽족 - 알바니아인
    알바니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고대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여겨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12년 독립을 쟁취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의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종교를 믿으며 서구 국가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고 있다.
  • 인도아리아인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아리아인 - 베다 시대
    베다 시대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600년까지 이어진 시기로, 베다 문헌 편찬, 초기 카스트 제도 형성, 농경 사회 발전, 베다 종교(브라만교)의 성립을 특징으로 한다.
인도아리아인
지도 정보
민족 정보
민족인도아리아인
인구 전체약 12억 1000만 명
주요 거주 지역인도 (8억 5600만 명 이상)
파키스탄 (1억 6400만 명 이상)
방글라데시 (1억 5000만 명 이상)
네팔 (2600만 명 이상)
스리랑카 (1400만 명 이상)
미얀마 (100만 명 이상)
몰디브 (30만 명 이상)
언어인도아리아어군
종교힌두교
시크교
불교
자이나교
이슬람교
기독교
민족 계통인도이란인
기원 발상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
근연 민족이란족
기타 정보
주요 인도아리아어족 언어의 지역별 분포

2. 역사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인도이란인중앙아시아에서 안드로노보 문화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를 이루며 유목 생활을 했다. 기원전 20세기부터 이들 중 일부가 남쪽으로 이동하여 펀자브 지방을 거쳐 북인도에 정착하면서 인도아리아인으로 발전하였다.[9]

인도이란인 이동과 관련된 고고학적 문화 (EIEC 이후). 안드로노보 문화, BMAC, 야즈 문화는 인도이란인 이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GGC, 묘지 H, Copper Hoard, OCP, PGW는 인도아리아 이동과 관련된 문화 후보다.


인도아리아어는 인도아리아인들이 중앙아시아에서 북부 인도아대륙(오늘날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로 이동하면서 인도아대륙에 전파되었다. 이 이동은 전차 발명 이후 기원전 약 1800년경에 시작되었으며, 레반트중앙아시아에도 인도아리아어를 전파했다. 일부 인도아리아인들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북시리아에 미타니 왕국(기원전 1500~1300년경)을 세웠고, 다른 일부는 베다인이 되었다. 크리스토퍼 아이. 벡위스는 고대 중앙아시아의 인도유럽계 코카소이드인 우스니도 인도아리아계 기원이라고 주장한다.

인도아리아인의 기원이 된 프로토인도이란인은 신타슈타 문화(기원전 2100~1800년)와 아랄해 주변 스텝(오늘날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에서 번영했던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 1800~1400년경)와 관련이 있다. 프로토인도아리아인은 기원전 1800~1600년경 이란인과 분리되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로부터 종교적 신념과 관습을 일부 차용했고, 이후 레반트와 인도 북서부로 이동했다.[9] 인도아리아인의 이동은 폰토-카스피아 스텝의 프로토인도유럽인의 고향에서 시작된 인도유럽어족 확산의 일부였다. GGC, 묘지 H, Copper Hoard, OCP, PGW는 인도아리아인과 관련된 문화 후보다.

인도아리아인들은 '고귀한'을 뜻하는 ''aryā''라는 공유된 문화적 규범과 언어로 통합되었다. 지난 4천 년 동안 인도아리아 문화는 인도 내에서 발전했지만, 그 기원은 인도아리아인과 인도 토착 민족 집단의 가치와 유산이 융합된 것이다.[12] 이러한 문화와 언어 확산은 후원-의뢰인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다른 집단이 이 문화에 흡수, 동화되면서 상호 작용한 다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전적으로 대부분의 인도아리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중앙아시아 스텝 유목민, 이란 사냥꾼-채집인, 그리고 소수의 남아시아 사냥꾼-채집인(일반적으로 고대 조상 남인도인(AASI)으로 알려짐)의 혼합 후손이다.

토착 아리아주의는 인도아리아인이 인도아대륙 원주민이며 인도유럽어가 সেখান에서 중앙아시아와 유럽으로 퍼져 나갔다는 견해를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이념적이며 객관적인 자료와 주류 학계의 근거가 부족하다.

2. 1. 인도아리아인의 기원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인도이란인중앙아시아에서 안드로노보 문화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를 이루며 유목 생활을 했다. 기원전 20세기부터 이들 중 일부가 남쪽으로 이동하여 펀자브 지방을 거쳐 북인도에 정착하면서 인도아리아인으로 발전하였다.[9]

인도아리아어는 인도아리아인들이 중앙아시아에서 북부 인도아대륙(오늘날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로 이동하면서 인도아대륙에 전파되었다. 이 이동은 전차 발명 이후 기원전 약 1800년경에 시작되었으며, 레반트중앙아시아에도 인도아리아어를 전파했다. 일부 인도아리아인들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북시리아에 미타니 왕국(기원전 1500~1300년경)을 세웠고, 다른 일부는 베다인이 되었다. 크리스토퍼 아이. 벡위스는 고대 중앙아시아의 인도유럽계 코카소이드인 우스니도 인도아리아계 기원이라고 주장한다.

인도아리아인의 기원이 된 프로토인도이란인은 신타슈타 문화(기원전 2100~1800년)와 아랄해 주변 스텝(오늘날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에서 번영했던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 1800~1400년경)와 관련이 있다. 프로토인도아리아인은 기원전 1800~1600년경 이란인과 분리되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로부터 종교적 신념과 관습을 일부 차용했고, 이후 레반트와 인도 북서부로 이동했다.[9] 인도아리아인의 이동은 폰토-카스피아 스텝의 프로토인도유럽인의 고향에서 시작된 인도유럽어족 확산의 일부였다. GGC, 묘지 H, Copper Hoard, OCP, PGW는 인도아리아인과 관련된 문화 후보다.

인도아리아인들은 '고귀한'을 뜻하는 ''aryā''라는 공유된 문화적 규범과 언어로 통합되었다. 지난 4천 년 동안 인도아리아 문화는 인도 내에서 발전했지만, 그 기원은 인도아리아인과 인도 토착 민족 집단의 가치와 유산이 융합된 것이다.[12] 이러한 문화와 언어 확산은 후원-의뢰인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다른 집단이 이 문화에 흡수, 동화되면서 상호 작용한 다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토착 아리아주의는 인도아리아인이 인도아대륙 원주민이며 인도유럽어가 সেখান থেকে 중앙아시아와 유럽으로 퍼져 나갔다는 견해를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이념적이며 객관적인 자료와 주류 학계의 근거가 부족하다.

2. 2. 인도 정착과 베다 시대

인도아리아인의 원형은 중앙아시아 방면에서 안드로노보 문화와 남쪽에 자리하던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를 향유하며 유목 생활을 하던 인도유럽인 민족인 인도이란인이다. 이들은 기원전 20세기부터 남쪽과 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는데, 그 중 남쪽으로 이동한 분파가 펀자브 지방을 거쳐 북인도로 이주해 정착하면서 인도아리아인으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도 아리아인 여성


리그베다』에는 인도 아대륙의 여러 강 이름이 자주 언급되는데, 그중에서도 신두 강(현재의 인더스 강)과 사라스와티 강(현재 어떤 강에 해당하는지는 불명확하며, 가가르-하크라 고대 침식 지형이라는 설 등이 있다)은 언급 빈도가 높고 중요하다. 인도 아리아인이 흥성했던 지역은 "일곱 강의 땅"으로 불렸으며, 현재 아프가니스탄 동부에서 펀자브 주,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서부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 흥륭과 함께 다른 정착민들과의 다툼이 있었고, 특히 다사와 다스유와의 다툼이 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사는 주요 부족과는 달리 이 지역에 먼저 이주했던 아리아인으로 여겨지며, 비교적 원만하게 해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리그베다』에는 샴발라라는 자가 바라타족의 디보다사와 싸워 패배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바라타족에게 "다사"라는 이름이 붙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다스유는 철저하게 정벌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졌던 것 같다.

인도 아리아인은 말이 끄는 전차를 사용하고, 청동제 무기를 사용하고, 갑옷을 착용했기 때문에 전투에서 강력했고, 여러 다툼에서 승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승리의 영광은 『리그베다』에서 "요새 파괴자"라는 별명을 가진 인드라 신이 아리아인의 적을 물리치는 여러 이야기에 반영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인도 아리아인들은 여러 부족들의 집합체였으며, 때때로 부족 간에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판차자나라고 불리는 다섯 부족(바라타족, 트리츠족, 푸루족, 브리구족, 마투야족)을 중심으로 나뉘어 있었고, 특히 바라타족과 트리츠족이 강력했다. 『리그베다』에 따르면, 바라타족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마침내 바라타바르샤국(Bhāratavarṣa|바라타바르샤국영어)이라는 영역을 형성했다. 이에 맞서 푸루족, 브리구족, 마투야족 등 세 아리아인 부족장과 일곱 비아리아인 부족장이 연합하여 십왕전쟁을 일으켰으나, 트리츠족의 수다스 왕이 승리하여 트리츠족과 바라타족의 지배권이 확립되었다.

이후, 바라타족과 푸루족은 점차 협력하여 연합하여 쿠루족이라는 부족을 형성했다. 쿠루족은 다시 판찰라족과 연합하여 갠지스강 상류 지역을 정복했다.

3. 인도아리아제족

인도아리아제족은 크게 고대 부족들과 현대 민족들로 나눌 수 있다.

고대 부족들은 다음과 같다.

부족명
앙가
바흘리카
바라타
체디
데바
간다라
강가리다이
굽타
구르자라-프라티하라
캄보자
칼링가
카슈미르
케카야
카샤스
키카타
콜리야
코살라
쿠루
리차비
마드라
마가다
말라바
말라카
마츠야
모리아
니샤다
오드라
팍타
팔라
판찰라
푼드라
푸루
살바
살와
사라스와타
사우비라
샤크야
슝가
신두
수드라
수라세나
트리가르타
우트칼라
방가
바츠
비다르바
비데하
브리슈니
야다바
야두
야우데야



현대 민족들은 다음과 같다.

민족명
아삼인
아와디인
반자라인
벵골인
빌인
보즈푸리인
비슈누프리야 마니푸리인
브로크파인
착마인
디베히인
도그라인
가르왈리인
구자라트인
할바인
하리야나인
자운사리인
칼라시인
카슈미르인
카스인
코인
코히스타니인
콘카니인
쿠마우니인
쿠치인
마가히인
마이틸인
마라티인
마르와리인
나그푸리아인
오디아인
팔룰라인
파샤이인
파하리인
펀자브인
라자스탄인
로마인
로힝야인
사단인
사라키인
사우라슈트라인
시나인
신드인
싱할라인
타리인
타루인
티라히인
토르왈리인
워르리인


3. 1. 신화상

수리야밤사와 찬드라밤사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주요 왕조이다.

3. 2. 역사상

인도아리아인의 역사는 중앙아시아에서 인도 아대륙으로의 이동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기원전 1800년경 전차를 발명한 후 인도 아대륙 북부(오늘날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로 이동해 인도아리아어를 전파했다.[9] 이들은 신타슈타 문화(기원전 2100~1800년)와 안드로노보 문화(기원전 1800~1400년경)와 관련된 프로토인도이란인에서 발전했다.[9]

인도아리아인들은 ''aryā'' ('고귀한'이라는 뜻)라는 공유된 문화적 규범과 언어로 통합되었다. 이들은 폰토-카스피아 스텝의 프로토인도유럽인의 고향에서 시작된 인도유럽어족 확산의 일부였다.[10][11]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주요 인도아리아계 부족들은 다음과 같다.

리그베다』에는 인더스 강과 사라스와티 강을 포함한 여러 강 이름이 언급된다. 인도 아리아인이 번성했던 지역은 "일곱 강의 땅"으로 불렸으며, 현재 아프가니스탄 동부에서 펀자브 주,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서부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말이 끄는 전차청동제 무기, 갑옷을 사용하여 전투에서 강력했으며, 인드라 신이 이들의 승리를 도왔다고 여겨진다.

인도 아리아인들은 여러 부족들의 집합체였으며, 이들 부족은 판차자나(Panchajana|판차자나영어)라고 불리는 다섯 부족 (바라타족, 트리츠족, 푸루족, 브리구족, 마투야족)을 중심으로 나뉘어 있었다. 이 중 바라타족과 트리츠족이 강력했으며, 십왕전쟁에서 트리츠족의 수다스 왕이 승리하여 트리츠족과 바라타족의 지배권이 확립되었다. 이후, 바라타족과 푸루족은 연합하여 쿠루족을 형성했고, 쿠루족은 다시 판찰라족과 연합하여 갠지스강 상류 지역을 정복했다.

3. 3. 현대

현대에 남아시아에는 힌두스탄인, 벵골인, 펀자브인, 싱할라인 등 다양한 인도아리아계 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카슈미르 지방과 네팔 등지, 벵골 지방, 구자라트 주, 고아 주, 마디아프라데시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카르나타카 주, 텔랑가나 주, 타밀나두 주 등지에 분포한다. 스리랑카싱할라인도 인도아리아계에 속한다.

미얀마벵골계 로힝야인은 버마족과의 혼혈이 이루어졌다. 유럽에 퍼져 있는 롬인(집시) 또한 인도아리아인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인도아리아인은 인종적으로 코카소이드이지만, 원주민인 오스트랄로이드와의 혼혈도 이루어졌다.

4. 유전적 특징

인도아리아인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a가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 인도 북부에서는 48.9%를 차지한다.

인도아리아인은 원래 코카소이드 계통이지만, 오래전부터 남아시아 토착 민족과의 혼혈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획득했다. 예를 들어, 인도 북부의 카슈미르 지방과 네팔 등에서는 티베트계 민족과, 벵골 지방과 구자라트 주, 고아 주, 마디아프라데시 주, 안드라프라데시 주, 카르나타카 주, 텔랑가나 주, 타밀나두 주 등을 포함한 남부의 마라타인과 방글라데시 등에 분포하는 벵골인드라비다인과의 혼혈이 있었다. 또한 스리랑카싱할라인도 이에 해당한다. 미얀마에서는 벵골계 로힝야인이 버마족 일부와 혼혈되기도 했다. 유럽에 사는 로마인은 인도아리아인이 기원이다.

5. 현대 인도 사회와 인도아리아인

인도아리아인은 현대 인도 사회에서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인도 북부와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힌두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인도 인구의 상당 부분을 구성한다.

참조

[1] 웹사이트 India https://www.cia.gov/[...] 2021-11-16
[2] 웹사이트 Pakistan https://www.cia.gov/[...] 2022-02-04
[3] 웹사이트 Bangladesh https://www.cia.gov/[...] 2022-02-04
[4] 웹사이트 Population of Lhotshampas in Bhutan https://web.archive.[...] UNHCR 2016-03-23
[5] 뉴스 How ancient DNA may rewrite prehistory in India https://www.bbc.com/[...] bbc 2018-12-23
[6] 뉴스 New reports clearly confirm 'Arya' migration into India https://www.thehindu[...] thehindu 2019-09-13
[7] 뉴스 Aryans or Harappans—Who drove the creation of caste system? DNA holds a clue https://theprint.in/[...] theprint 2021-06-29
[8]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Routledge
[9] 서적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10] 서적 Die Reise unserer Gene. Eine Geschichte über uns und unsere Vorfahren. Propyläen Verlag
[11] 웹사이트 All Indo-European Languages May Have Originated From This One Place https://www.iflscien[...] 2018-05-24
[12] 서적 India: The Ancient Past: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 to AD 1200 Routledge 2007-06-11
[13] 논문 Ancestry-Specific Analyses Reveal Differential Demographic Histories and Opposite Selective Pressures in Modern South Asian Popul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