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혜는 서울대학교 성악과를 수석 졸업하고 독일 칼스루에 음악대학에서 최고연주자 과정을 졸업한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성악가이다. 1999년 유럽 무대에 데뷔한 후, 하노버 국립 오페라 단원으로 활동하며 유럽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고악기 연주에 기반한 바로크와 고전 시대 음악을 주로 연주하며, 르네 야콥스 등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연했다. 다양한 국가 행사에서 애국가와 독창을 했으며, 드라마 OST 참여, 방송 출연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 다수의 음반을 발매했으며, 2011년 헨델의 '아그리피나'로 BBC 뮤직 매거진 어워드를 수상하고 그래미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가수 - 채선엽 채선엽은 이화여고, 이화여전, 줄리어드 음악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음악학과 과장, 예술대학 학장, 재단 이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교육자이며, 피아니스트와 소프라노로 활동하며 1966년 이화여대에서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가수 - 홍혜경 홍혜경은 1957년 서울 출생으로, 미국 줄리아드 음악학교에서 유학하고 메트로폴리탄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다양한 배역을 소화하며 활동한 한국 3대 소프라노 중 한 명이다.
철원군 출신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 - 박근령 박근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 육영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고, 202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임선혜는 유학생 시절이던 1999년 12월, 벨기에 안트베르펜에서 거장 필립 헤레베헤가 지휘한 콘서트의 협연자로 유럽 무대에 데뷔하였다. 이 무대에서 모차르트의 《대미사 C단조》 중 'Et Incarnatus Est (성령으로 인하여 육신을 취하시어)'와 모차르트의 솔로 모테트 《Exsultate Jubilate (환호하라, 기뻐하라)》를 불렀다.[51][9] 2000년 초에는 프랑크푸르트 오페라에서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의 바르바리나 역으로 유럽 오페라 무대에 데뷔하였고, 이어 같은 극장에서 몬테베르디의 《포페아의 대관식》에서 아모레 및 발렛토 역을 맡았다.[52][10]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하노버 국립 오페라의 단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배역을 소화했다.[52][10]
하노버 오페라단 활동 이후 프리랜서 성악가로 전향하여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 각지에서 활발히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고음악 분야, 즉 바로크와 고전 시대 오페라 및 오라토리오를 작곡 당시의 연주 방식을 살려 부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주요 레퍼토리는 바흐, 헨델, 하이든, 모차르트 등의 작품이다. 2017년에 발매한 독집 컴필레이션 음반 《Portrait》에도 이 네 작곡가의 곡들이 담겨 있다.[53][11] 고음악계의 거장 르네 야콥스와는 오랜 기간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수많은 오페라와 콘서트 무대에 함께 섰고, 바흐의 수난곡, 모차르트, 헨델, 하이든의 오페라 등 다수의 음반을 녹음했다. 야콥스는 자서전에서 임선혜를 "내가 아는 가장 뛰어난 연기자 겸 가수 중 하나"라고 평가하기도 했다.[54][12] 또한 테라데야스[55][13], 솔레르[56][14], 가스만[57][15], 콘티[58][16] 등 현대에 잘 알려지지 않은 작곡가들의 작품을 발굴하고 해석하여 무대에 올리는 데에도 열정을 보이고 있다.
바로크와 고전파 음악 외에도 르네상스 음악(버드), 벨칸토(로시니, 도니체티), 낭만파(멘델스존, 슈만, 포레, 말러), 그리고 현대 음악(풀랑크, 슐호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한다. 지휘자 만프레트 호넥과는 말러의 교향곡 2번과 4번, 풀랑크의 오페라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콩스탕스 수녀 역), 바흐의 《요한 수난곡》,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수잔나 역), 《이도메네오》(일리아 역), 《레퀴엠》 등을 카네기 홀, 무지크페라인, 베를린 필하모니 등 세계적인 무대에서 함께 연주했다.[59][17] 클래식 외 장르에도 도전하여, 모리 예스톤의 뮤지컬 《팬텀》의 2015년 한국 초연 무대와 2019년, 2021년 공연에서 여주인공 크리스틴 다에 역을 맡아 열연했다.[60][18][61][19][62][20]
르네 야콥스, 만프레트 호넥, 파비오 비온디, 윌리엄 크리스티, 필립 헤레베헤, 시기스발트 퀴켄, 안드레아스 스페링, 이반 피셔, 주빈 메타, 정명훈, 톤 코프만, 조반니 안토니니,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 켄트 나가노, 리카르도 샤이 등 세계 유수의 지휘자들과 협연했다. 또한 베를린 고음악 아카데미,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피츠버그 교향악단, 뉴욕 필하모닉 등 저명한 오케스트라 및 연주 단체들과 함께 무대에 섰다.
2009년에는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직접 집전한 성령강림대축일 장엄미사에서 헬무트 뮐러-브륄의 지휘로 하이든의 《하르모니미사》 등을 부르며 소프라노 솔리스트로 참여하는 영예를 안았다.[63][21] 인천에서 열린 2014년 아시안 게임 폐회식에서는 애국가를 독창했으며,[64][22] 2017년 한중정상회담 축하 공연(베이징),[65][23] 2019년 세계 인권의 날 기념식(서울),[66][24] 2020년 현충일 추념식(대전)[67][25] 등 다수의 국가적, 사회적 중요 행사에서 연주하며 자리를 빛냈다.
대중문화 분야에서도 활동하여 2016년 SBS TV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의 사운드트랙 '꼭 돌아오리(Will Be Back)'를 녹음했고,[68][26] 2017년에는 엠넷의 TV 프로그램 《더 마스터 - 음악의 공존》에 5회 출연했다.[69][27] 때로는 방송 진행자로도 나서, 2015년 KBS 클래식 극장을 진행했으며[70] 2022년부터는 한경아르떼 TV의 음악 프로그램 '임선혜의 옴브라 마이 푸'를 진행하고 있다.[71][28][72][29] 또한 2009년부터 직접 기획한 '희망나눔 콘서트' 시리즈를 비롯한 여러 자선 공연에 꾸준히 참여하며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51][9]
4. 주요 녹음 및 음반상
임선혜는 활발한 음반 활동을 통해 다수의 국제적인 음반상을 수상하며 음악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그의 독집 앨범과 참여 앨범은 독일 음반 비평가상, 프랑스 디스크 리릭 아카데미의 Orphée d'Or프랑스어, BBC 뮤직 매거진 어워드, 에코 클라식 어워드, 국제 클래식 음악상(ICMA) 등 유럽의 권위 있는 상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31][32][30][36][37][38][39][40][41] 특히 르네 야콥스와 함께 작업한 모차르트와 헨델 오페라 녹음들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 중 《티토 황제의 자비》와 《아그리피나》는 그래미상 최우수 오페라 레코딩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36]
| 2020 || 에르빈 슐호프: 모든 가곡들 (Sämtliche Liederde) || 소프라노 독창자 || 피아노 클라우스 지몬 || bastille musique || 2021년 1분기 독일 음반 비평가상 수상[32], 프랑스 ResMusica프랑스어지 이달의 음자리표(Les Clef de mois프랑스어) 2021 선정[33]
|-
| 2020 || 그라우프너: Antiochus & Stratonicade (안티오쿠스와 스트라토니카) || 미르테니아(Mirtenia) 역 || 보스턴 초기 음악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음악감독: 폴 오데트 & 스티븐 스텁스, 악장: 로버트 미얼리 || CPO ||
|-
| 2019 || 민국 (民國, 3·1 운동 100주년 기념 음반) || 소프라노 독창자 || 국립합창단, 서울시립교향악단, 지휘 최웅 || ㈜플럭서스 || [34][35]
|-
| 2017 || 버드: 콘소트 음악과 노래 (Consort Music and Songs영어) || 소프라노 독창자 || B-Five 리코더 앙상블 || Coviello Classics ||
| 2014 || 헨델: 오를란도 (Orlandoit) || 도린다(Dorinda) 역 || 바로크 오케스트라 B’Rock, 지휘: 르네 야콥스 || Archive ||
|-
| 2014 || 김효근: 주님께 모든 것을 맡깁니다 (Guide Us, We Surrender Ourselves to You영어) || 소프라노 독창자 || || 프랑스 세실협회(Association Cécile프랑스어) ||
|-
| 2013 || 바흐: 마태 수난곡 (St. Matthew Passionde) || 소프라노 독창자 || RIAS 실내 합창단, 베를린 국립 및 대성당 소년 합창단, 베를린 고음악 아카데미, 지휘: 르네 야콥스 || Harmonia Mundi ||
|-
| 2012 || 모차르트: 가짜 여정원사 (La Finta Giardinierait) || 세르페타(Serpetta) 역 ||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지휘: 르네 야콥스 || Harmonia Mundi ||
|-
| 2011 || 헨델: 아그리피나 (Agrippinait) || 포페아(Poppea) 역 || 베를린 고음악 아카데미, 지휘: 르네 야콥스 || Harmonia Mundi || BBC 뮤직 매거진 어워드 2012 수상, 2012 그래미상 베스트 오페라 레코딩 부문 노미네이트[36]
|-
| 2011 || 포레: 레퀴엠 (Requiem프랑스어) || 소프라노 독창자 || 바이에른 방송 합창단, 뮌헨 실내 관현악단, 지휘: 페터 데이크스트라 || Sony || 에코 클라식 어워드 2012 올해의 합창녹음 수상[37]
|-
| 2011 || 테라데야스: Sesostriit (세소스트리) || 세소스트리(Sesostri) 역 || 레알 콤파니아 오페라 데 카마라, 지휘: 후안 바우티스타 오테로 || RCOC || Orphée d’Or palmarés프랑스어 2011 수상[38]
|-
| 2010 || 말러: 교향곡 제 4번 (Symphony No. 4영어) || 소프라노 독창자 ||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 만프레트 호네크 || Exton || 국제 클래식 음악상(ICMA) 2012 수상[39]
|-
| 2010 || 모차르트: 마술피리 (The Magic Flute영어) || 파파게나(Papagena) 역 || 베를린 고음악 아카데미, 지휘: 르네 야콥스 || Harmonia Mundi || BBC 뮤직 매거진 어워드 2011 수상[40]
|-
| 2010 || 솔레르: Il Sognoit & La Dora Festiggianteit (꿈 & 도라강의 축제) || 소프라노 독창자 || 레알 콤파니아 오페라 데 카마라, 지휘: 후안 바우티스타 오테로 || RCOC || Orphée d’Or palmarés프랑스어 2010 수상[38]
|-
| 2009 || 하이든: 하르모니미사 (Harmonienmessede) || 소프라노 독창자 || 쾰른 대성당 합창단, 쾰른 실내 관현악단, 지휘: 헬무트 뮐러-브륄 || Naxos || 요제프 하이든 서거 200주년 헌정 음반
|-
| 2009 || 모차르트: 이도메네오 (Idomeneoit) || 일리아(Ilia) 역 ||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지휘: 르네 야콥스 || Harmonia Mundi || 2009년 독일 음반 비평가상 수상[41]
|-
| 2009 || 테라데야스: Artaserseit (아르타세르세) || 세미라(Semira) 역 || 레알 콤파니아 오페라 데 카마라, 지휘: 후안 바우티스타 오테로 || RCOC || Orphée d’Or palmarés프랑스어 2009 수상[38]
|-
| 2008 || 모차르트: Demofoonteit - Fragments of an Opera (데모폰테 - 오페라 단편) || 소프라노 독창자 || 카펠라 콜로니엔시스, 지휘: 브루노 바일 || Arts Productions ||
|-
| 2007 || 모차르트: 돈 조반니 (Don Giovanniit) || 체를리나(Zerlina) 역 ||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지휘: 르네 야콥스 || Harmonia Mundi ||
|-
| 2006 || 모차르트: 티토 황제의 자비 (La Clemenza di Titoit) || 세르빌리아(Servilia) 역 ||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지휘: 르네 야콥스 || Harmonia Mundi || 2006년 그래미상 베스트 오페라 레코딩 및 베스트 클래식 앨범 부문 노미네이트[36]
|-
| 2005 || 바흐: B단조 미사 (Mass in B minor영어) || 소프라노 독창자 || 드레스덴 실내 합창단, 쾰른 실내 관현악단, 지휘: 헬무트 뮐러-브륄 || Naxos ||
|-
| 2005 || 멘델스존: 파울루스 (Paulusde) || 소프라노 독창자 || 함부르크 성 미카엘 교회 합창단,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아카데미, 지휘: 크리스토프 쇠너 || Mitra ||
'''하이든: 하모니미사 (교황 베네딕토 16세 집전 성령강림대축일 미사)''' (Haydn: Harmonienmesseger). 임선혜(소프라노 독창자) 등, Kölner Domchor, Kölner Kammerorchester, 지휘 Helmut Müller-Brühl. Naxos, 2010.
'''하이든: 기사 오를란도''' (Haydn: Orlando Paladinoita). 임선혜(Eurilla 역) 등,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지휘 르네 야콥스. Euroarts, 2010.
'''글룩: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Gluck: Orpheus und Eurydikeger). 피나 바우쉬 안무의 댄스 오페라. 임선혜(Amor 역) 등, Balthasar-Neumann-Ensemble & Choir, 지휘 Thomas Hengelbrock. Bel Air Classique, 2009.
'''모차르트: 돈 조반니''' (Mozart: Don Giovanniita). 임선혜(Zerlina 역) 등,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지휘 르네 야콥스. Harmonia Mundi, 2008.
4. 3. 사운드트랙 참여
''Will Be Back (꼭 돌아오리)'' - SBS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OST Part 9 (201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