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유방임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방임주의는 정부의 최소한의 개입을 강조하는 경제 사상으로, 17세기 프랑스에서 유래했다. 초기에는 '우리에게 맡겨두시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중농주의 학파를 거쳐 애덤 스미스 등의 고전 경제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19세기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자유 무역을 옹호하는 사상으로 발전했지만, 20세기 이후에는 다양한 비판과 수정주의적 시도를 거치며 사회주의적 자유방임주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한국은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과 재벌 중심의 산업 구조를 통해 고도성장을 이루었으나, 양극화와 불평등 심화 등의 문제점을 겪으며 사회적 시장경제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경제사 - 프랑스 프랑
    프랑스 프랑은 프랑스 혁명 이후 도입되어 1999년 유로화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된 프랑스의 화폐로, 십진법에 기반하여 재정립되었고 금은복본위제와 금본위제를 거쳤으며, 경제적 변동으로 평가절하와 신프랑 도입을 겪은 후 유로화에 통합되었다.
  • 프랑스의 경제사 - 콜베르주의
    콜베르주의는 17세기 프랑스 재무장관 장-바티스트 콜베르의 중상주의 경제 정책으로, 수출 증대와 수입 억제를 통해 무역 흑자를 달성하고 국내 산업을 육성하려 했으나, 자유 시장 저해 및 혁신 저해 비판과 함께 20세기 후반에는 국가 주도의 기술 개발 모델로도 나타났다.
  • 자유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는 애덤 스미스에 의해 발전된 경제 이론으로, 정부의 경제 개입 최소화, 사유 재산, 개인 계약을 중시하며 봉건제와 중상주의에 반대한다.
  • 자유주의 - 존 로크
    존 로크는 경험론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잉글랜드의 철학자이자 정치사상가로서, 인간의 마음을 백지 상태로 보고 경험을 통해 지식이 형성된다고 주장했으며, 사회계약론과 자연권 사상을 발전시켜 자유주의 사상과 민주주의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정치 운동 - 반체제
    반체제는 지배적인 정치 체제나 권위에 반대하는 개인 또는 집단을 의미하며, 동구권에서는 공산주의 정권 비판적 지식인을, 소련에서는 체제 반대자를 지칭했으며, 암호화 기술을 활용하여 검열을 피하는 활동도 있었다.
  • 정치 운동 - 반핵 운동
    반핵 운동은 핵무기 개발, 생산, 사용, 그리고 원자력 에너지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바탕으로 하는 국제적인 사회 운동으로, 핵무기 폐기,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알리고,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안보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쟁이 발생하고 있다.
자유방임주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Laissez-faire
언어프랑스어
분야경제학, 정치학
사상자유주의
역사적 맥락
기원18세기 후반 프랑스
관련 인물뱅상 드 구르네
애덤 스미스
주요 개념
핵심 원칙정부의 경제 개입 최소화
개인의 경제적 자유 극대화
시장 자율 기능 강조
관련 용어자유 시장
경제적 자유
규제 완화
경제적 영향
지지효율성 증대
혁신 촉진
소비자 선택권 확대
비판불평등 심화
시장 실패 발생 가능성
환경 문제 악화
사회적 약자 보호 미흡
정치적 의미
정치적 함의개인주의적 정치 철학
작은 정부 지향
정부의 권한 제한
다양한 관점
고전적 자유주의국가의 최소 역할 강조
개인의 자유와 재산권 보호
신자유주의시장 경쟁의 활성화
정부 규제 완화
민영화 추진
비판적 관점불평등 및 사회적 문제 야기
시장의 한계 및 실패 가능성
한국어 정보
한국어 표기자유방임주의
한국어 설명정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최대한 보장하려는 경제 정책 사상
기타
관련 정보자본주의, 시장경제,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2. 어원 및 용례

"자유방임"이라는 용어는 1681년경 프랑스 재무장관 장-바티스트 콜베르와 프랑스 사업가 르장드르의 회의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중상주의자였던 콜베르가 상업 발전을 위해 국가가 무엇을 도울 수 있는지 묻자, 르장드르는 Laissez-nous faire|우리에게 맡겨 두시오프랑스어라고 간략히 답했다.[8]

이 일화는 1751년 프랑스 장관이자 자유무역 지지자인 르네 루이 드 보이에 드 폴미 달르장송의 ''Journal économique'' 기사에 처음 등장했다.[9] 달르장송은 이전에 "자유방임, 문명이 시작된 이래 모든 공공 권력의 모토가 되어야 할 것이다"라는 격언을 사용하기도 했다.[10]

1750년대 프랑스의 중농학파 경제학자 뱅상 드 구르네는 프랑수아 케네의 저술에서 이 용어를 채택하여 대중화했다.[12] 케네는 '자유방임'과 '자유통행'이라는 구절을 만들었는데,[13] '자유방임'은 중국어 용어 ''무위''(無爲)를 번역한 것이다.[14] 구르네는 Laissez faire et laissez passer|행하도록 내버려 두고 통과시켜라프랑스어라는 격언을 만들었다.[15]

피에르 르 페상 드 부아기유베르는 On laisse faire la nature|자연에 맡겨 두자프랑스어라는 구절을 언급하기도 했다.[17] 달르장송은 Pas trop gouverner|너무 많이 통치하지 마라프랑스어라는 모토로도 알려져 있었다.[18]

중농학파는 18세기 프랑스에서 ''자유방임''을 핵심 경제 원칙으로 삼았고, 애덤 스미스를 비롯한 경제학자들이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19] ''자유방임''은 중농학파와 고전 정치경제학과 관련이 깊다.[20] 중농학파는 과도한 중상주의적 규제에 반발하여, 개인이 이기적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자연 질서'를 믿었다.[19]

프랑스어 구절 ''자유방임''은 18세기 후반 중농학파 문학의 확산과 함께 영어권 국가에서 통용되기 시작했다.[21] 허버트 스펜서는 "비참한 ''자유방임''"을 언급하며, 완전한 자유방임주의 적용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22]

3. 역사

레세페르(자유방임주의)라는 용어는 (생산물의 “유통”을 중시했던) 프랑스의 중농주의자가 처음 사용했다.[128] 이 용어는 (부와 화폐의 “축적”을 중시했던) 중상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의 “슬로건”으로 사용되었다. 고전파 경제학(고전학파)의 창시자인 영국의 애덤 스미스는 저서 『국부론』(1776년)에서 이를 체계화했다.

애덤 스미스는 그의 저서에서 “자유경쟁에 의해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여 최대의 번영이 가져온다”고 주장했지만, 『국부론』에서 “자유방임”에 대해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후 1870년대에 알프레드 마셜에 의해 체계화된 신고전파 경제학(소위 신고전학파, 엄밀히 말하면 케임브리지 학파)에도 자유방임주의 사상이 계승되었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1926년 저서 『자유방임의 종언』에 의해 자유방임주의가 처음으로 부정되었다고 말해지기도 하지만,[129] 이에 대해서는 강한 반론도 있다.[130] 경제학자 橘木俊詔(키타기 타다노리)는 “레세페르는 현대에도 유력한 사상 중 하나로, 시장 원리주의·신자유주의라고 불리는 사상이 바로 그것이다. 정부의 개입을 배제하고, 규제 완화·자유주의에 의한 경쟁 촉진 정책이 경제를 강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영국의 마거릿 대처,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에 의한 구조 개혁 노선은 이러한 경제 사상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131]

3. 1. 유럽

''자유방임''이라는 용어는 1681년경 프랑스의 장-바티스트 콜베르와 르장드르 씨가 이끄는 프랑스 사업가 그룹 사이의 회의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8] 열렬한 중상주의자였던 콜베르는 상인들에게 어떻게 봉사하고 상업을 증진할 수 있는지 질문했고, 르장드르는 Laissez-nous faire프랑스어(우리에게 맡겨 두시오)라고 간략히 답했다.[8]

1750년대 프랑스의 중농학파 경제학자 뱅상 드 구르네는 프랑수아 케네의 중국 관련 저술에서 이 용어를 채택하여 ''자유방임''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했다.[12] 케네는 ''자유방임''과 ''자유통행''이라는 구절을 만들었고,[13] ''자유방임''은 중국어 용어 ''무위''(無爲)를 번역한 것이다.[14] 구르네는 프랑스에서 무역 제한 철폐와 산업 규제 완화를 열렬히 지지했다.[15]

중농학파는 18세기 프랑스에서 ''자유방임''을 핵심 경제 원칙으로 삼았고, 애덤 스미스를 시작으로 유명한 경제학자들이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19] 애덤 스미스국부론에서 보이지 않는 손을 언급하며 자유 경쟁 시장의 효율성을 주장했으나, 자유방임주의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

19세기 유럽 자유주의는 자유방임주의를 필수적인 부분으로 받아들였다.[19] 특히 영국에서는 1843년에 창간된 '''이코노미스트'''지가 자유방임주의 자본주의의 영향력 있는 목소리가 되었다.[34] 자유방임주의 옹호자들은 대영제국 내 기근에 대한 식량 지원에 반대했다. 1847년, '''이코노미스트''' 창립자 제임스 윌슨은 "다른 사람을 부양하는 것은 아무의 책임도 아니다"라고 썼다.[35] 그러나 '''이코노미스트'''는 곡물법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 1845년 아일랜드 대기근은 1846년 곡물법 폐지를 가져왔으나, 이는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루어져 아일랜드 기근을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37]

맨체스터 자유주의자인 리처드 코브덴과 존 브라이트는 자유 무역을 옹호했다. 코브덴 사후, 코브덴 클럽(1866년 설립)은 그들의 활동을 계속했다.[38]

이탈리아에서는 철학자 베네데토 크로체가 자유방임주의 자본주의의 경제 이론을 나타내는 "리베리즘"(이탈리아어 liberismoit에서 유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40]

3. 2. 미국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미국'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요약 내용은 원본 소스에 없는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자유방임주의 모델

자유방임주의는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거나 없애는 경제 모델이다. 크게 자본주의적 모델과 사회주의적 모델로 나눌 수 있다.

자본주의적 자유방임주의는 '순수 자본주의' 또는 '무제한 자본주의'라고도 불리며, 이윤 추구를 최우선으로 한다.[66][65] 밀턴 프리드먼토머스 소웰 같은 자유 시장 경제학자들은 기업과 노동자 간의 관계가 자발적이며, 노동자들이 더 나은 조건을 찾아 이동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7][68]

사회주의적 자유방임주의는 좌파 자유지상주의 또는 자유시장 무정부주의라고도 불리며, 자본주의와는 다른 형태의 자유방임주의를 추구한다.[73][74][75] 18세기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의 상호주의에서 시작된 이 흐름은 벤저민 터커와 같은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들에 의해 발전되었다.[76][77] 현대에는 케빈 카슨, 로데릭 T. 롱, 가리 샤르티에 등의 학자들이 이 전통을 잇고 있다.[91][92] 이들은 자기 소유와 자유 시장이라는 고전적 자유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반자본주의, 반기업주의, 반계층적 입장을 옹호한다.[93][94]

케빈 카슨은 지적 재산권에 비판적이며, 벤저민 터커의 4대 독점(토지, 화폐, 관세, 특허) 외에도 국가가 운송 및 통신 보조금을 통해 부유층에게 부를 이전한다고 주장한다.[96][98] 가리 샤르티에는 재산권을 사회적 전략으로 이해하며, 자연법 원칙에 따라 개인의 연대적 부의 재분배를 옹호하고, 직장 민주주의를 지지한다.[104][106][108] 또한 토지 개혁, 노동자에 의한 공장 점거, 보이콧 등에 대한 자연법적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109][110][111]

4. 1. 자본주의

자유방임 자본주의는 순수 자본주의, 무제한 자본주의라고도 불리며, 정부 개입이 거의 없거나 최소화된[66] 자본주의를 의미한다.[65] 이는 이윤 추구를 최우선으로 하며, 무정부 자본주의와 유사한 경제적 개념을 공유한다.

자유방임 자본주의 지지자들은 헌법적으로 제한된 정부가 폭력과 사기를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밀턴 프리드먼토머스 소웰 같은 자유 시장 경제학자들은 기업과 노동자 간의 관계가 자발적이며, 부당한 대우를 받는 노동자는 더 나은 대우를 찾아 떠날 것이라고 주장한다.[67][68] 즉, 기업들은 상품의 가격과 품질뿐만 아니라 임금, 급여, 일과 삶의 균형을 기준으로 노동자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순수" 자본주의는 ''신디케이트''와 같은 디스토피아 작품의 모티프로 사용되기도 한다.[69][70]

4. 2. 사회주의

비록 ''자유방임주의''가 일반적으로 자본주의와 관련되어 있지만, 좌파 자유지상주의 또는 자유시장 무정부주의(자유시장 반자본주의, 자유시장 사회주의라고도 함)라고 불리는 사회주의와 관련된 유사한 자유방임주의 경제 이론 및 시스템이 존재한다.[73][74][75] 이의 첫 번째 예는 18세기에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이 개발한 상호주의이며, 이로부터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가 등장했다. 벤저민 터커는 미국의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로서, 국가 사회주의와 대조적으로 무정부주의적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자유방임주의 시스템을 채택한 저명한 인물이다.[76][77]

이러한 전통은 최근 케빈 카슨, 로데릭 T. 롱, 찰스 W. 존슨, 브래드 스팽글러, 셸든 리치먼, 크리스 매슈 시아바라, 가리 샤르티에와 같은 현대 학자들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은 자본주의국가주의의 특권으로 가득 차 있다고 믿고 자유 시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좌파 자유시장 무정부주의자 또는 시장 지향적 좌파 자유지상주의자라고 불리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지지자들은 자유방임주의의 자기 소유와 자유 시장이라는 고전적 자유주의 사상을 강력하게 옹호하면서, 이러한 사상들이 논리적으로 결론에 이르면 경제에서 반자본주의, 반기업주의, 반계층적 및 노동자 옹호적 입장, 대외 정책에서 반제국주의, 그리고 성, 성적 취향, 인종과 같은 문화적 문제에 대한 철저히 급진적인 견해를 지지한다고 주장한다.[91][92]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자유방임주의에 대한 비판가들은 진정한 자유방임주의 시스템은 반자본주의적이고 사회주의적일 것이라고 주장한다.[93][94]

케빈 카슨은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자유시장 자유지상주의사회주의의 가장 외곽"[95]에 있다고 묘사하며, 지적 재산권에 대해서도 매우 비판적이었다.[96] 카슨은 벤저민 터커, 토마스 호지스킨, 랄프 보르소디, 폴 굿맨, 루이스 멈퍼드, 엘리너 오스트롬, 피터 크로포트킨, 이반 일리치의 저술을 자신의 정치 및 경제에 대한 접근 방식의 영감의 원천으로 지목했다.[97]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 벤저민 터커의 4대 독점(토지, 화폐, 관세, 특허) 외에도, 그는 국가가 운송 및 통신 보조금의 형태로 조직 중앙 집중화를 보조함으로써 부유층에게 부를 이전했다고 주장한다. 카슨은 터커가 개별 시장 거래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이 문제를 간과했다고 믿는 반면, 그는 조직 문제에도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그의 최근 연구의 주요 초점은 분산 제조 및 비공식 및 가계 경제였다.[98] 카슨의 ''상호주의 정치 경제 연구''는 한계효용론적 비판을 노동가치설에 통합하려는 시도로 제시된다.[99]

카슨은 자본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한것에 대하여 "'자본주의'라는 용어는 원래 자유 시장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자본가들이 국가를 통제하고 국가가 자본가들을 대신하여 시장에 개입하는 국가주의적 계급 시스템의 한 유형을 가리켰다"고 주장한다.[100] 카슨은 "중세의 낡은 계급 사회로부터 직접 새로운 계급 사회로서 발생한 자본주의는 이전의 봉건적 토지 정복만큼이나 엄청난 강탈 행위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도 그 특권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지속적인 국가 개입에 의해 유지되어 왔으며, 그러한 특권 없이는 생존이 상상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101] 카슨은 진정한 자유방임주의 시스템에서는 노동과 자본으로부터 이윤을 얻는 능력이 무시할 만할 것이라고 주장한다.[102] 카슨은 경멸적 용어인 속물적 자유지상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었는데, 이는 기업 자본주의와 경제적 불평등을 옹호하는 데 자유 시장 수사학을 사용하는 것을 묘사하는 구절이다. 카슨에 따르면, 이 용어는 칼 마르크스가 "의도적으로 점점 더 변명적인 태도를 취하고 [경제 생활에 존재하는] 모순을 포함하는 사상들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말하려는 격렬한 시도를 한다"고 묘사한 속물적 정치 경제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103]

가리 샤르티에는 재산권에 대한 이해를 사회적 전략으로 제시하며, 별개의 소유권에 대한 여러 가지 중복되는 논리의 중요성과 실용적인 합리성의 자연법 원칙을 반영하고, 데이비드 흄이 사용한 방식과 유사하게 이러한 권리에 대한 강력하지만 절대적인 보호를 옹호한다.[104] 이러한 설명은 자기 소유의 개념에서 재산권을 추론하는 로크적 및 신로크적 견해와, 집단 및 개인의 소유물에 대한 광범위한 임의적 간섭을 허용할 수 있는 결과주의적 설명 모두와 구별된다.[105] 샤르티에는 이러한 설명을 사용하여 개인에 의한 연대적 부의 재분배가 종종 도덕적으로 요구되지만, 특정 분배 패턴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 주도의 시도라기보다는 개인과 풀뿌리 네트워크가 특정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서의 자연법적 근거를 명확하게 설명한다.[106] 그는 보조성과 같은 자연법 원칙에 뿌리를 둔 직장 민주주의에 대한 자세한 주장을 제기하며, 그것을 도덕적으로 바람직하고 불의의 제거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옹호하지만, 국가에 의해 명령받아야 할 것으로 옹호하지는 않는다.[108]

샤르티에는 토지 개혁과 노동자에 의한 공장 점거에 대한 자연법적 접근 방식에 대해 논의했다.[109] 그는 일반적으로 재산권 이론을 바탕으로 지적 재산권 보호에 반대하며[110] 보이콧에 대한 일반적인 자연법적 설명을 개발한다.[111] 그는 진정으로 자유화된 시장의 지지자들은 자본주의를 명시적으로 거부하고 세계 반자본주의 운동과 연대해야 하지만, 반자본주의 운동이 강조하는 남용은 자발적인 협력과 교환이 아니라 국가가 용인하는 폭력과 국가가 보장하는 특권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샤르티에에 따르면, "[자유 시장 옹호자]들이 자신들이 반대하는 것을 '자본주의'라고 명명하는 것은 타당하다."[101][112]

5. 비판

여러 경제학자와 철학자들이 자유방임 경제에 대해 비판해 왔다. 애덤 스미스는 자본주의 체제의 도덕적 모호성을 인정하고 지주, 노동자, 자본가의 문제점을 지적했다.[113] 그는 도덕과 법 없이는 사회가 실패할 것이라고 분명히 밝혔다.[114]

토마스 홉스는 자유방임 상태에서 사회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15] 데이비드 맥널리 등 시장 폐지론자들은 시장 논리가 본질적으로 불공정하고 불평등한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한다.[117]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자유방임 교리가 부적절한 연역 추론에 의존하며, 시장 해결책과 국가 개입 중 어느 것이 더 나은지는 상황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9]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자유 경쟁 은행 시스템은 내생적으로 불안정하다고 지적했다.[120] 칼 폴라니는 자기 조절 시장이 사회 혼란을 야기한다고 비판했다.[121][122]

현대 경제학에서 자유방임주의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기업의 이윤 추구 동기만으로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사회적 요구와 안전 제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로버트 쿠트너는 국가가 자본주의를 관리하는 능력이 약화되면서 민주적 거버넌스 문제가 심화되었다고 주장한다.[123]

일부 비평가들은 원자본주의가 품질, 내구성, 지속 가능성, 환경 보호, 도덕성 등을 무시한다고 지적한다.[124]

6. 한국적 관점

경제학자 다치바나키 도시노리(橘木俊詔)는 "레세페르는 현대에도 유력한 사상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시장 원리주의·신자유주의라고 불리는 사상이 바로 그것이며, 정부의 개입을 배제하고 규제 완화·자유주의에 의한 경쟁 촉진 정책이 경제를 강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영국의 마거릿 대처,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구조 개혁 노선은 이러한 경제 사상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131]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4-08-01
[2] 서적 An Austrian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Economic Thought Edward Elgar Publishing
[3] 웹사이트 The Taxable Surplus of Land: Measuring, Guarding and Gathering It http://schalkenbach.[...]
[4] 간행물 Quick Reference Handbook Set, Basic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revised)
[5] 웹사이트 Laissez-faire http://www.businessd[...] Business Dictionary
[6] 간행물 Quick Reference Handbook Set, Basic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7] 웹사이트 Adam Smith https://www.britanni[...]
[8] 웹사이트 Journal Oeconomique http://commons.wikim[...]
[9] 서적 Lettre au sujet de la dissertation sur le commerce du marquis de Belloni' https://books.google[...] Journal Oeconomique
[10] 서적 The End of Laissez Faire
[11] 웹사이트 https://fr.wiktionar[...]
[12] 서적 Orientalism in Early Modern France: Eurasian Trade Exoticism and the Ancien Regime Berg Publishers
[13]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3-05-31
[14] 서적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Routledge
[15] 서적 Eloge de Vincent de Gournay https://books.google[...] Oeuvres of Turgot
[16] 간행물 Eloge a Gournay Mercure
[17] 간행물 Dissertation de la nature des richesses, de l'argent et des tributs
[18] 간행물
[19] 서적 Laissez Faire and the General-Welfare Stat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 서적 Economic Thought and Policy London
[21] 서적 Principles of Trade https://books.google[...] Works of Benjamin Franklin, Vol.2
[22] 서적 Justice Part IV of Ethics
[23] 서적 A Political Economy of Lebanon 1948–2002: The Limits of Laissez-faire Brill
[24] 학술지 Economic History – The Decline of Laissez Faire
[25] 서적 Invisible Hand: The Wealth of Adam Smith The Minerva Group, Inc.
[26] 서적 The Invisible Hand W. W. Norton & Company
[27] 서적 The mathematical century: the 30 greatest problems of the last 100 years (2006)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10-22
[28] 서적 Adam Smith and the Origins of American Enterprise: How the Founding Fathers Turned to a Great Economist's Writings and Created the American Economy Macmillan
[29] 서적 Third Millennium Capitalism: Convergence of Economic, Energy, and Environmental Forc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30] 서적 Individual Liberty: Selections from the Writings of Benjamin R. Tucker Vanguard Press
[31] 웹사이트 Wu-Wei in Europe. A Study of Eurasian Economic Thought http://hsozkult.gesc[...]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05-03
[32] 서적 Rousseau and the Revolution Simon and Schuster
[33] 서적 Rousseau and the Revolution Simon and Schuster
[34] 학술지 The London Economist and the High Tide of Laissez Faire
[35] 서적 The Great Irish Fam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서적 On Fairness and Efficiency The Policy Press
[37] 서적 A Death-Dealing Famine: The Great Hunger in Ireland Pluto Press
[38] 웹사이트 London Club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ttp://www.nuff.ox.a[...] 2008-12-30
[39] 논문 The British Government and the Oil Companies 1912–1924: The Search for an Oil Policy
[40] 서적
[41] 서적 The Theory of Democracy Revisited Chatham House
[42] 뉴스 Le due facce della medaglia neoliberale – Pandora Rivista https://www.pandorar[...] 2015-04-25
[43] 웹사이트 Croce ed Einaudi: un confronto su liberalismo e liberismo https://www.treccani[...]
[44] 서적 Liberalismo politico e liberalismo economico
[45] 서적 Liberalismo Ideazione
[46] 기타 Adam Smith의 "국부론"
[47] 기타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에서의 자유주의 용어 비교
[48] 웹사이트 Liberismo e liberalismo nella polemica fra Croce ed Einaudi http://www.fondazion[...]
[49] 서적 Potere o legge economica? Rubbettino
[50] 서적 The Great Challenge: The Myth of Laissez-Faire in the Early Republic George Braziller Inc.
[51] 웹사이트 The Great Challenge: The Myth of Laissez-faire in the Early Republic https://www.kirkusre[...] Kirkusreviews.com 1989-06-01
[52] 논문 Daniel Webster, the Boston Associates, and the U.S. Government's Role in the Industrializing Process, 1815–1830
[53] 서적 Abraham Lincoln: Redeemer President https://archive.org/[...] W.B. Eerdmans Pub. Co
[54] 웹사이트 From Sea to Shining Sea: The Heroes and Villains of the First Transcontinental Railroad https://theobjective[...] 2019-05-10
[55] 논문 The Effects of U.S. Trade Protection for Autos and Steel https://www.brooking[...]
[56] 논문 The New Protectionism: U.S. Trade Policy in Historical Perspective
[57] 서적 Capitalism: The Unknown Ideal New American Library, Signet
[58] 기타
[59] 기타
[60] 기타
[61] 기타
[62] 기타
[63] 기타
[64] 기타
[65] 서적 Capitalism and Freedom: The Contradictory Character of Globalisation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66] 서적 Public Goods, Public Enterprise, Public Choic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Contemporary Attack on Govern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67] Youtube Milton Friedman on Labor Unions – Free To Choose https://www.youtube.[...] 2011-02-22
[68] 웹사이트 Economics vs. 'Need', by Dr. Thomas Sowell https://www.creators[...] 2013-06-11
[69] 논문 Rethinking the End of Modernity 2005-07-01
[70] 논문 Bad Networks: From Virus to Cancer in Post-Cyberpunk Narrative 2017
[71] 웹사이트 Brief Introduction To Left-Wing Laissez Faire Economic Theory: Part One http://c4ss.org/cont[...] 2021-08-18
[72] 웹사이트 Brief Introduction To Left-Wing Laissez Faire Economic Theory: Part Two https://c4ss.org/con[...] 2021-05-16
[73] 서적 Markets Not Capitalism: Individualist Anarchism Against Bosses, Inequality, Corporate Power, and Structural Poverty Minor Compositions/Autonomedia 2011
[74] 서적 Markets Not Capitalism: Individualist Anarchism Against Bosses, Inequality, Corporate Power, and Structural Poverty Minor Compositions/Autonomedia 2011
[75] 웹사이트 Socialism: A Perfectly Good Word Rehabilitated http://c4ss.org/cont[...] 2016-03-10
[76] 웹사이트 State Socialism and Anarchism http://fair-use.org/[...] 2019-03-11
[77] 서적 Meanings of the Market: The Free Market in Western Culture Berg Publishers 1997
[78] 서적 Organization Theory: A Libertarian Perspective BookSurge 2008
[79] 서적 The Homebrew Industrial Revolution: A Low-Overhead Manifesto BookSurge 2010
[80] 서적 Reason and Value: Aristotle versus Rand Objectivist Center 2000
[81]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Roderick Long http://en.liberalis.[...] 2020-03-27
[82] 서적 Liberty, Equality, Solidarity: Toward a Dialectical Anarchism http://radgeek.com/g[...] Ashgate 2010
[83] 웹사이트 Market Anarchism as Stigmergic Socialism http://bradspangler.[...] 2011-05-10
[84] 웹사이트 Why Left-Libertarian? http://sheldonfreeas[...] The Freeman, Foundation for Economic Education 2020-01-03
[85] 웹사이트 Workers of the World Unite for a Free Market http://www.thefreema[...] Foundation for Economic Education 2014-07-22
[86] 웹사이트 Libertarian Left: Free-market anti-capitalism, the unknown ideal http://www.theameric[...] The American Conservative 2012-05-09
[87] 서적 Total Freedom: Toward a Dialectical Libertarianism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0
[88] 서적 Economic Justice and Natur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89] 서적 Markets Not Capitalism Minor Compositions/Autonomedia 2011
[90] 서적 Markets Not Capitalism: Individualist Anarchism Against Bosses, Inequality, Corporate Power, and Structural Poverty Minor Compositions/Autonomedia 2011
[91] 서적 Markets Not Capitalism: Individualist Anarchism Against Bosses, Inequality, Corporate Power, and Structural Poverty Minor Compositions 2011-11-05
[92] 웹사이트 http://c4ss.org/cont[...] 2019-09-29
[93] 웹사이트 Brief Introduction To Left-Wing Laissez Faire Economic Theory: Part One http://c4ss.org/cont[...] 2021-08-18
[94] 웹사이트 Brief Introduction To Left-Wing Laissez Faire Economic Theory: Part Two https://c4ss.org/con[...] 2021-05-16
[95] 웹사이트 Introductions – Kevin Carson https://c4ss.org/con[...] 2019-03-29
[96] 웹사이트 Intellectual Property – A Libertarian Critique http://c4ss.org/cont[...] c4ss.org 2009-05-23
[97]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c4ss.org/cont[...] 2012-10-16
[98] 웹사이트 Industrial Policy: New Wine in Old Bottles http://c4ss.org/cont[...] c4ss.org 2009-05-26
[99] 웹사이트 Studies in Mutualist Political Economy http://www.mutualist[...] 2011-04-15
[100] 간행물 Carson's Rejoinders https://www.mises.or[...] 2006-01
[101] 웹사이트 Libertarian Left http://www.amconmag.[...] The American Conservative 2011-08-14
[102] 간행물 Bluffer's Guide to Revolutionary Economics http://www.anxietycu[...] 2002-01
[103] 서적 Theories of Surplus Value, III
[104] 서적 Anarchy and Legal Order: Law and Politics for a Stateless Society Cambridge UP 2013
[105] 간행물 Natural Law and Non-Aggression 2010-06
[106] 서적 Justice
[107] 서적 Justice
[108] 논문 Pirate Constitutions and Workplace Democracy
[109] 서적 Justice
[110] 논문 Intellectual Property and Natural Law
[111] 서적 Justice
[112] 웹사이트 Advocates of Freed Markets Should Embrace "Anti-Capitalism" https://c4ss.org/con[...]
[113] 서적 Capitalism as a Moral System: Adam Smith's Critique of the Free Market Economy Edward Elgar
[114] 논문 Adam Smith's Moral Sentiments as Foundation for His Wealth of Nations
[115] 서적 Of Man, Being the First Part of Leviathan Collier & Son
[116] 웹사이트 Enlightenment https://www.history.[...] 2009
[117] 서적 Against the Market: Political Economy, Market Socialism and the Marxist Critique Verso
[118] 서적 Keynes and His Battles Edward Elgar Publishing
[119] 서적 John Maynard Keynes Routledge
[120] 논문 Why Didn't Hayek Favor Laissez Faire in Banking? http://cameroneconom[...]
[121] 서적 The Great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Farrar & Rinehart
[122] 논문 Polanyi Was Right, and Wrong https://www.deirdrem[...]
[123] 웹사이트 Globalization and Its Critics https://prospect.org[...] The American Prospect 2001-12-19
[124] 서적 Toxic Capitalism: The Orgy of Consumerism and Waste: Are We the Last Generation on Earth?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125] 웹사이트 Müntefering's criticism of raw capitalism strikes a chord http://www.ft.com/cm[...]
[126] 언어
[127] 언어
[128] 인물
[129] 인물
[130] 인물
[131] 서적 朝日おとなの学びなおし 経済学 課題解明の経済学史 朝日新聞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