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의 승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 승리는 추축국이 승리한 가상의 역사를 다룬 대체 역사 작품들을 의미한다. 이 주제는 소설, 영화, TV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다루어졌으며,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 승리한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군사적 패배와 외국의 점령, 사회 경제적 지배를 묘사하며, 협력과 저항, 나치즘의 모순, 시간 여행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높은 성의 사나이》, 《SS-GB》, 《파더랜드》 등이 있다.

2. 역사적 배경

캐서린 버드킨이 "머레이 콘스탄틴"이라는 필명으로 1937년에 출판한 소설 《스와스티카 나이트》는 나치스가 지배하는 미래를 묘사한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3] 이 소설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기 전에 집필되었기 때문에 대체 역사라기보다는 미래 역사적인 경향을 보인다. 저널리스트 달라그 맥매너스는 《스와스티카 나이트》가 "무서울 정도로 논리가 맞고 그럴듯하다"고 평하며, "나치즘의 본질을 섬뜩하게 예언하고 통찰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31]

1941년에 출간된 헨리 볼럼 모튼의 《나, 제임스 블런트》는 나치스에 점령된 영국을 배경으로 한 선전 소설이다.[13][32] 이 소설은 일기 형식을 통해 영국 노동자들이 독일의 조선소와 스코틀랜드로 보내져 미국을 공격할 군함을 건조하는 등 군사 점령의 사회적, 경제적 결과를 묘사한다.

1945년 아돌프 히틀러 사후 몇 달 뒤, 헝가리 소설가 라슬로 가스파르가 나치 독일의 승리를 "가상역사"로 다룬 소설을 처음으로 세상에 내놓았다.[33] 《We, Adolf I》(아돌프 1세)라는 제목의 이 소설은, "독일이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승리하고, 최종적으로 승리한 히틀러가 새로운 근대의 황제로서 대관한다"는 내용이다. 프랑스에펠탑이나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 등의 요소를 담은 거대한 황제의 궁전이 베를린에 건설되고, 독재자는 자기애에서 세계를 지배할 후계자를 남기기 위해 일본의 황녀와의 결혼을 계획한다, 라는 가상 역사가 그려진다.

1946년, 수정파 시온주의자의사이자 정치 활동가인 야코프 바인셜이, 『Ha-Yehudi Ha'Aharon (היהודי האחרון)』이라는 제목의 히브리어 소설을 텔아비브에서 출판했다. 영문 번역 제목인 『The Last Jew』로도 알려져 있다. 이 소설은, "수백 년 후의 미래, 완전히 나치스와 '독재자들의 연맹'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마다가스카르에 숨어 있던 마지막 유대인이 발견된다"는 내용이다. 나치 지배자들은, 다음 올림픽에서 이 유대인들을 공개 처형할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이것이 현실이 되기 전에, 나치의 잘못된 식민 계획의 영향으로 달이 지구에 접근한다. 그 결과, 인류 문명과 함께 나치의 지배도 파멸된다는 줄거리이다. 2000년 시점에서는, 원본 히브리어 텍스트는 다른 어떤 언어로도 완역되지 않았다.[34] 요람 카니우크의 소설로 영문 번역된 ''The Last Jew''와는 전혀 다른 작품이다.[35]

연극에서는, 1947년에 초연된 『우리 시대의 평화』가 있다. "파시스트에 지배된 런던"을 무대로 하고, 점령 지배가 일반 사람들에게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그리고 있다. 잉글랜드 작가인 작가 노엘 코워드는, "영국에 대한 지상 침공" 당시의 게슈타포의 블랙 북 (체포 목록)에 자신의 이름을 올렸다. 처음 이 작품에 대한 반향은 작았지만, 코워드의 후속 작품과 비슷한 주제를 가진 후의 극에, 『Peace in Our Time』''은'' 21''세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36]

|섬네일|소설 ''보복 무기''에서 등장한 독일의 A-9 및 A-10 미사일.]]

2. 1. 초기 작품

캐서린 버드킨이 "머레이 콘스탄틴"이라는 필명으로 1937년에 출판한 소설 《스와스티카 나이트》는 나치 독일이 지배하는 미래를 묘사한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3] 이 소설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기 전에 집필되었기 때문에 미래 역사적인 경향을 보인다. 저널리스트 달라그 맥매너스는 《스와스티카 나이트》가 "무서울 정도로 논리가 맞고 그럴듯하다"고 평하며, "나치즘의 본질을 섬뜩하게 예언하고 통찰하고 있다"라고 말했다.[31]

1941년에 출간된 헨리 볼럼 모튼의 《나, 제임스 블런트》는 나치 독일에 점령된 영국을 배경으로 한 선전 소설이다.[13][32] 이 소설은 일기 형식을 통해 영국 노동자들이 독일의 조선소와 스코틀랜드로 보내져 미국을 공격할 군함을 건조하는 등 군사 점령의 사회적, 경제적 결과를 묘사한다.

2. 2. 전후 작품

전쟁 이후에는 추축국의 승리를 다룬 대체 역사 소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1962년에 출간된 필립 K. 딕의 《높은 성의 사나이》는 나치 독일일본 제국미국을 분할 점령한 세계를 묘사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3. 주요 특징

헬렌 화이트는 나치 독일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가상 세계는 1945년에 나치 독일과 추축국이 전쟁에서 패배한 현실 세계보다 더 가혹하고 암울한 곳이라고 말했다.[7] 추축국의 가상 군사적 승리에 대한 추측성 문학은 일반적으로 영국 연방과 미국에서 나온 영어 문학 작품인데, 그러한 주인공들이 군사적 패배와 외국의 군사 점령의 관점에서 사건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8] 대체 역사 소설의 문학적 톤은 추축국의 군사적 승리를, 독자가 외국의 점령과 사회 경제적 지배의 사회적으로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전개되는 정치적 음모를 보게 되는 우울한 배경으로 제시한다.[9]

렌 데이턴의 소설 ''SS-GB''(1978)의 사회적 이야기는 미국 특공대가 나치 점령하의 영국으로 진입하여 영국 핵 과학자들을 구출하는 것으로 끝나며, 영국 레지스탕스는 결국 미국의 군사적 해방을 희망한다. 레오 룻먼의 ''클래시 오브 이글스''(1990)에서 뉴욕 시민들은 미국에 대한 나치 점령에 반란을 일으킨다.

일부 묘사는 나치즘의 모순에 초점을 맞춰, 군사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이 시스템이 결국 자체적인 무게에 짓눌려 붕괴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암시한다. 로버트 해리스의 ''패더랜드''(1992)에서 대게르만 제국은 경제 위기에 직면하여 히틀러가 미국과의 화해를 추구하게 된다. 이야기의 결론에서 주인공들은 홀로코스트를 미국인들에게 폭로함으로써 이 노력을 좌절시킨다. 해리 터틀도브의 ''내 원수의 눈앞에서''(2003)는 나치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지 두 세대 후의 세계를 보여주며, 정치적 자유화와 민주화가 허용되는 시대와 장소를 배경으로 한다.[10] ''하츠 오브 아이언 IV''의 모드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는 경제 침체와 이전 동맹국들과의 적대적 관계로 인해 제국이 쇠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11] 또 다른 예시는 대체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울펜슈타인: 영블러드''의 플롯에서 찾을 수 있다. 고위 SS 장군들은 가상의 데스헤드와 프라우 엥겔, 그리고 히틀러 자신이 1960년대에 사망하고 미국이 해방되면서 대부분의 권력을 잃은 불안정하고 부패한 제국을 대체하기 위해 제4제국을 건설하려고 한다.[12]

톤의 관점에서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승리"라는 테마는 배경에 우울함을 필요로 하며, 독자나 시청자는 어둠과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플롯이 전개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수법은 "추축국의 승리"라는 테마에서도, 필립 K. 딕, 스티븐 프라이, 로버트 해리스, 필립 로스 등 많은 소설가에게서 볼 수 있다.[30]

3. 1. 나치 독일의 묘사

나치 독일은 기술적으로 발전했지만, 동시에 억압적이고 잔혹한 체제로 묘사된다.[30] 몇몇 작품에서는 나치 체제의 모순과 한계를 지적하며, 결국 자체적인 붕괴를 암시하기도 한다. 주간 어록 (NSDAP) 1941년 1월 26일은 "국가 사회주의는 승리의 보증"이라고 주장한다.[30] 필립 K. 딕, 스티븐 프라이, 로버트 해리스, 필립 로스 등 많은 소설가들은 "추축국의 승리"라는 테마에서 우울함을 배경으로 플롯을 전개한다.[30]

주간 어록 (NSDAP) 1941년 1월 26일은 "국가 사회주의는 승리의 보증"이라고 주장한다.

3. 2. 일본 제국의 묘사

일반적으로 "승리"라는 테마는 배경에 우울함을 필요로 하며, 독자나 시청자는 어둠과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플롯이 전개되는 것을 보게 된다.[30] 이러한 수법은 필립 K. 딕을 포함한 많은 소설가에게서 볼 수 있다.[30] 일부 작품에서는 나치 독일 대신 일본 제국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기도 한다. 필립 K. 딕의 《높은 성의 사나이》와 같은 작품에서는 독일과 일본 간의 갈등과 핵전쟁 위협을 다루기도 한다.

3. 3. 협력과 저항

헬렌 화이트는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가상 세계는 1945년에 나치 독일과 추축국이 전쟁에서 패배한 현실 세계보다 더 가혹하고 암울한 곳이라고 말했다.[7] 추축국의 가상 군사적 승리에 대한 추측성 문학은 일반적으로 영국 연방과 미국에서 나온 영어 문학 작품인데, 그러한 주인공들이 군사적 패배와 외국의 군사 점령의 관점에서 사건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8] 대체 역사 소설의 문학적 톤은 추축국의 군사적 승리를, 독자가 외국의 점령과 사회 경제적 지배의 사회적으로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전개되는 정치적 음모를 보게 되는 우울한 배경으로 제시한다.[9]

일부 작품들은 나치 점령에 대한 협력과 저항을 다룬다. 예를 들어, 렌 데이턴의 소설 ''SS-GB''(1978)에서는 미국 특공대가 나치 점령하의 영국으로 진입하여 영국 핵 과학자들을 구출하고, 영국 레지스탕스는 미국의 군사적 해방을 희망한다. 레오 룻먼의 ''클래시 오브 이글스''(1990)에서는 뉴욕 시민들이 미국에 대한 나치 점령에 반란을 일으킨다.

나치즘의 모순에 초점을 맞춘 작품들도 있다. 로버트 해리스의 ''패더랜드''(1992)에서 대게르만 제국은 경제 위기에 직면하여 히틀러가 미국과의 화해를 추구하지만, 주인공들이 홀로코스트를 미국인들에게 폭로함으로써 좌절된다. 해리 터틀도브의 ''내 원수의 눈앞에서''(2003)는 나치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지 두 세대 후의 세계를 보여주며, 정치적 자유화와 민주화가 허용되는 시대와 장소를 배경으로 한다.[10] ''하츠 오브 아이언 IV''의 모드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는 경제 침체와 이전 동맹국들과의 적대적 관계로 인해 제국이 쇠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11] ''울펜슈타인: 영블러드''에서는 고위 SS 장군들이 제4제국을 건설하려고 한다.[12]

3. 4. 시간 여행

4.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의 승리

4. 1. 중앙 동맹국의 묘사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이 승리했다는 가상의 역사를 묘사하는 대체 역사 작품들이 존재한다.[20][21] 이러한 작품 중 하나인 사키의 ''윌리엄이 왔을 때''는 독일이 승리하여 영국을 점령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20][21] 해리 터틀도브의 ''기묘한 생각들''은 21세기 말까지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후손들이 세계를 지배하며, 비밀 경찰을 통해 억압적인 통치를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키스 로머의 ''제국의 세계''에서는 독일 제국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했지만, 이후 혼란스러운 전쟁으로 인해 핵전쟁까지 발발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필립 호세 파머의 ''시간의 문''에서는 아돌프 히틀러 대신 카이저 빌헬름 4세가 통치하는 독일이 등장한다.

비디오 게임 하츠 오브 아이언 IV의 모드인 ''카이저라이히, 세계 대전의 유산'' 역시 독일 제국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22] 독일 제국미텔아프리카동유럽에 영토를 확보하고, 영국프랑스생디칼리슴 혁명으로 인해 망명 정부를 세운다. 이탈리아 왕국은 분열되고, 오스트리아-헝가리오스만 제국은 살아남는다. 러시아 내전백군의 승리로 끝나며, 미국대공황 상태를 유지한다.[22]

5. 작품 목록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 승리를 다룬 작품은 소설, 영화, TV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표되었다.

== 문학 ==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 승리를 다룬 문학 작품은 다양하게 출간되었다. 로버트 해리스의 《당신들의 조국》, 렌 디턴의 《SS-GB》, 필립 K. 딕의 《높은 성의 사나이》, 필립 로스의 《미국 반대 계획》 등이 대표적이다.

필립 K. 딕의 1962년 소설 『높은 성의 사나이』의 무대가 되는, 추축국이 승리한 세계.


이 외에도 프리츠 라이버의 ''빅 타임''(1957), 아이작 아시모프의 "리빙 스페이스(Living Space)"(1956), 노먼 스핀래드의 《아이언 드림》(1972), 해리 터틀도브의 ''마지막 기사''(1988), 머레이 데이비스의 ''콜라보레이터''(2003), 조 월턴의 ''파딩'', ''하페니'', ''하프 어 크라운'' 시리즈 (2006-2008), 오웬 시어스의 ''레지스탕스''(2007), C. J. 샘섬의 ''도미니언''(2012) 등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몇몇 작품들은 학술 논문의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존 키건의 "히틀러가 어떻게 전쟁에서 이길 수 있었는가", 나일 퍼거슨이 편집한 ''가상 역사: 대안과 반사실''에 포함된 앤드루 로버츠와 나일 퍼거슨의 "히틀러의 잉글랜드: 만약 독일이 1940년 5월에 영국을 침공했다면?", 마이클 벌리의 "나치 유럽: 만약 나치 독일이 소련을 이겼다면?" 등이 있다.

== 영화 ==

케빈 브라운로우가 감독한 영국의 영화인 ''이것이 일어났다''(1966)가 제작되었다. 1992년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파더랜드''(1994)도 제작되었다. ''당신들의 조국'' 영화판(1994)도 제작되었다. 이외에도 ''필라델피아 익스페리먼트 2''(1993), ''화이트홀의 잭부츠''(2010), ''레지스탕스''(2011) 등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 TV 드라마 ==

2015년 대체 역사 텔레비전 시리즈 ''높은 성의 사나이''에 사용된 캐나다밴쿠버의 영화 세트; 주요 연합국 도시를 추축국이 점령한 모습은 추축국의 가상 승리에 대한 작품에서 흔히 묘사된다.


높은 성의 사나이》 드라마와 《SS-GB》 드라마 등이 방영되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텔레비전 드라마로 방영되었다.

  • 《다른 남자》(1964)
  • 《영국인의 성》(1978)
  • 《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영원의 도시"(1967)
  • 《닥터 후》: "인페르노"(1970)
  • 《다크룸》: "잠시만요, 곧 돌아오겠습니다"(1981)
  • 《저스티스 리그》: "야만적인 시간"(2002)
  • 《스타 트렉: 엔터프라이즈》: "제로 아워"/"스톰 프론트"(2004)
  • 《미스핏츠》: 시즌 3, 에피소드 4(2011)
  • 《데인저 5》: 시즌 2, 에피소드 7 "히틀러랜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2015)
  • 《지구-X의 위기》(2017), 《슈퍼걸》, 《애로우》, 《플래시》, 그리고 《DC's 레전드 오브 투모로우》 간의 4부작 크로스오버 이벤트


== 게임 ==

머신게임즈에서 제작한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 시네마웨어의 로켓 레인저(1988), 스파크 언리미티드의 터닝 포인트: 폴 오브 리버티(2008), 에이도스 인터랙티브의 배틀스테이션즈: 퍼시픽(2009) 등의 게임이 출시되었다. 또한, 나치 독일이 영국을 점령한 후의 1960년대 중반을 배경으로 하는 생존 게임인 ''위 해피 퓨''(2018)도 있다. GURPS 롤플레잉 게임 ''인피니트 월드''에는 여러 나치 승리 대체 역사 중 최악의 타임라인인 ''Reich-5''가 등장한다.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에서 제작한 그랜드 전략 전쟁 게임 ''하츠 오브 아이언 IV''에는 추축국 승리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 많은 컨버전 모드가 제작되었다.

5. 1. 문학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 승리를 다룬 문학 작품은 다양하게 출간되었다. 로버트 해리스의 《당신들의 조국》, 렌 디턴의 《SS-GB》, 필립 K. 딕의 《높은 성의 사나이》, 필립 로스의 《미국 반대 계획》 등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프리츠 라이버의 ''빅 타임''(1957), 아이작 아시모프의 "리빙 스페이스(Living Space)"(1956), 노먼 스핀래드의 《아이언 드림》(1972), 해리 터틀도브의 ''마지막 기사''(1988), 머리 데이비스의 ''콜라보레이터''(2003), 조 월턴의 ''파딩'', ''하페니'', ''하프 어 크라운'' 시리즈 (2006-2008), 오언 시어스의 ''레지스탕스''(2007), C. J. 샘섬의 ''도미니언''(2012) 등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쓰여진 캐서린 버드킨의 《만자의 밤》(1937)은 대체 역사 소설은 아니지만 주목할 만하다.

몇몇 작품들은 학술 논문의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존 키건의 "히틀러가 어떻게 전쟁에서 이길 수 있었는가", 나일 퍼거슨이 편집한 ''가상 역사: 대안과 반사실''에 포함된 앤드루 로버츠와 나일 퍼거슨의 "히틀러의 잉글랜드: 만약 독일이 1940년 5월에 영국을 침공했다면?", 마이클 벌리의 "나치 유럽: 만약 나치 독일이 소련을 이겼다면?" 등이 있다.

5. 2. 영화

케빈 브라운로우가 감독한 영국의 영화인 ''이것이 일어났다''(1966)가 제작되었다.[15][37][47] 1992년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파더랜드''(1994)도 제작되었다.[15][37] ''당신들의 조국'' 영화판(1994)도 제작되었다.[47] 이외에도 ''필라델피아 익스페리먼트 2''(1993), ''화이트홀의 잭부츠''(2010), ''레지스탕스''(2011) 등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나치 독일이 일본과 싸워 승리했다는 설정의 ''인랑''(2000)도 있다.

5. 3. TV 드라마

이 지도는 ''높은 성의 사나이'' TV 드라마에서 묘사된 점령당한 미국을 그리고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 버전 『높은 성의 사나이』에서의 미국의 지도. "중립 지대"(Neutral Zone)의 수도 캐논시티(덴버)가 주요 무대가 되고 있다. 이 지도 밖에서도 독일 제국이 유럽과 아프리카에, 대일본 제국이 아시아에 영토를 넓히고 있으며, 우랄 산맥 부근에 중립 지대가 설치되어 있다고 하지만, 이야기는 주로 구 미국 합중국 영토와 원래의 독일 지역에서 전개된다.


높은 성의 사나이》 드라마와 《SS-GB》 드라마 등이 방영되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텔레비전 드라마로 방영되었다.

  • 《다른 남자》(1964)
  • 《영국인의 성》(1978)
  • 《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영원의 도시"(1967)
  • 《닥터 후》: "인페르노"(1970)
  • 《다크룸》: "잠시만요, 곧 돌아오겠습니다"(1981)
  • 《저스티스 리그》: "야만적인 시간"(2002)
  • 《스타 트렉: 엔터프라이즈》: "제로 아워"/"스톰 프론트"(2004)
  • 《미스핏츠》: 시즌 3, 에피소드 4(2011)
  • 《데인저 5》: 시즌 2, 에피소드 7 "히틀러랜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2015)
  • 《지구-X의 위기》(2017), 《슈퍼걸》, 《애로우》, 《플래시》, 그리고 《DC's 레전드 오브 투모로우》 간의 4부작 크로스오버 이벤트
  • ''The Plot Against America'' (2020년)

5. 4. 게임

머신게임즈에서 제작한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11], 시네마웨어의 로켓 레인저(1988), 스파크 언리미티드의 터닝 포인트: 폴 오브 리버티(2008), 에이도스 인터랙티브의 배틀스테이션즈: 퍼시픽(2009) 등의 게임이 출시되었다.[11] 또한, 나치 독일이 영국을 점령한 후의 1960년대 중반을 배경으로 하는 생존 게임인 ''위 해피 퓨''(2018)도 있다. GURPS 롤플레잉 게임 ''인피니트 월드''에는 여러 나치 승리 대체 역사 중 최악의 타임라인인 ''Reich-5''가 등장한다.[11]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에서 제작한 그랜드 전략 전쟁 게임 ''하츠 오브 아이언 IV''에는 추축국 승리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 많은 컨버전 모드가 제작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The Time of the Other: Alternate History and the Conquest of America http://strangehorizo[...] 2002-07-15
[2] 웹사이트 Nazi coin from 'future' FOUND – sparking claims of parallel universe WW3 https://www.dailysta[...] 2024-11-01
[3] 웹사이트 "Swastika Night'': ''Nineteen Eighty-Four''{{'s}} lost twin" https://www.theguard[...] 2009-11-12
[4] 뉴스 Review: Peace in Our Time is a Play for Our Time https://www.houstoni[...] 2016-12-18
[5] 웹사이트 Carl Tighe: ''Pax Germanica — The Future Historical''. Journal of European Studies, Vol. 30, 2000. https://www.questia.[...] 2017-08-31
[6] 웹사이트 If Hitler had won World War Two… https://www.telegrap[...] 2005-07-11
[7] 문서 Helen White, ''Round-up of New Essays in Twentieth History Popular Culture''. Alan Wiedemann (Ed.).
[8] 웹사이트 SS-GB: Why the Renewed Obsession with Alternative Nazi Histories? http://theconversati[...] 2021-02-15
[9] 뉴스 Alternative History: What Might Have Been Had Hitler Won? http://www.haaretz.c[...] 2016-12-18
[10] 문서 Michael Kornfeld, "Face It, Sometimes There is Just No Happy Ending, None Whatsoever" in ''Round-up of New Essays in Twentieth History Popular Culture'', Alan Wiedemann, Editor.
[11] 웹사이트 The New Order is a narrative-driven Hearts of Iron 4 mod that's compelling and bleak https://www.wargamer[...] 2023-04-25
[12] 웹사이트 Wolfenstein Youngblood Ending Sets Up Wolfenstein 3 In The Craziest Way https://screenrant.c[...] 2024-11-01
[13] 웹사이트 "I, James Blunt", by Kenneth Fields https://hvmorton.com[...] 2020-01-18
[14] 웹사이트 Israeli Alternate Histories http://www.sf-f.org.[...] 2000-11-02
[15] 뉴스 World War Two: The Rewrite https://www.independ[...] 2009-06-26
[16] 서적 What is American?: New Identities in U.S. Culture https://books.google[...] LIT 2004
[17] comic Marvel Knights Captain America http://www.marvelmas[...] Marvel Comics 2004
[18] comic A-Next Marvel Comics 1999-08
[19] comic A-Next Marvel Comics 1999-09
[20] 서적 Reading Saki: the Fiction of H. H. Munro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14
[21] 간행물 'The Unrest-Cure' and Saki's Uneasy Anti-Semitism 2007-08
[22] 웹사이트 Hearts of Iron 4's Kaiserreich mod is the best historical strategy sandbox https://www.pcgamesn[...] 2021-12-30
[23] 웹사이트 Alternative History: What Might Have Been Had Hitler Won? http://www.haaretz.c[...] 2020-04-04
[24] 웹사이트 The Time of the Other: Alternate History and the Conquest of America http://www.strangeho[...] 2002-07-15
[25] 문서 Carl Tighe: ''Pax Germanica - the Future Historical''. Journal of European Studies, Vol. 30, 2000. https://www.questia.[...]
[26] 문서 "CAPUT LXVIII. Chronologia." http://www.uni-mannh[...]
[27] 웹사이트 Alternative History: What Might Have Been Had Hitler Won? http://www.haaretz.c[...] 2020-04-04
[28] 웹사이트 "Swastika Night'': ''Nineteen Eighty-Four''{{'s}} lost twin" https://www.theguard[...] 2020-04-04
[29] 뉴스 Review: Peace in Our Time Is a Play For Our Time https://www.houstoni[...] 2016-12-18
[30] 웹사이트 Alternative History: What Might Have Been Had Hitler Won? http://www.haaretz.c[...] 2020-04-04
[31] 웹사이트 "Swastika Night'': ''Nineteen Eighty-Four''{{'s}} lost twin" https://www.theguard[...] 2020-04-04
[32] 문서 https://hvmorton.com[...]
[33] 웹사이트 Alternative History: What Might Have Been Had Hitler Won? http://www.haaretz.c[...] 2020-04-04
[34] 문서 Eli Eshed, "Israeli Alternate Histories" (in Hebrew) published by the Israeli Society for Science Fiction and Fantasy, November 2, 2000
[35] 서적 The Last Jew: A Novel https://books.google[...] Grove/Atlantic, Inc. 2007-12-01
[36] 뉴스 Review: Peace in Our Time Is a Play For Our Time https://www.houstoni[...] 2016-12-18
[37] 뉴스 World War Two: The Rewrite https://www.independ[...] 2009-06-26
[38] 서적 What is American?: New Identities in U.S. Culture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4
[39] 웹사이트 Marvel Knights Captain America Vol. 4: Cap Lives http://www.marvelmas[...] 2020-04-04
[40] 문서 A-Next #11-12
[41] 웹인용 Alternate History Month Contest http://www.sfsite.co[...] Steven Silver's SF Web Site 2008-11-30
[42] 웹인용 Uchronia: The Alternate History List http://www.uchronia.[...] Uchronia: The Alternate History List 2008-11-30
[43] 웹인용 The Time of the Other: Alternate History and the Conquest of America http://www.strangeho[...] Strange Horizons 2002-07-15
[44] 웹인용 Alternate History 101 http://www.geocities[...] 2001-08-13
[45] 웹인용 Alternative History: What Might Have Been Had Hitler Won? http://www.haaretz.c[...] Haaretz
[46] 웹인용 H. Bruce Franklin- Star Trek in the Vietnam Era http://www.depauw.ed[...] 2012-03-25
[47] 웹인용 World War Two: The Rewrite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2006-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