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로아스터 달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로아스터 달력은 조로아스터교에서 사용하는 달력으로,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바빌론 달력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다. 이후 헬레니즘 시대를 거치며 셀레우코스 제국과 파르티아, 사산 제국 시대를 거치며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현재는 카디미, 샤한샤히, 파슬리 세 가지 주요 달력이 존재하며, 각 달력은 윤년 규칙, 새해 시작일 등에 차이를 보인다. 이 중 파슬리 달력은 계절과 일치하도록 윤일을 추가하여 현대적인 달력으로 평가받지만, 전통적인 달력을 고수하는 신자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력 - 이슬람력
    이슬람력은 이슬람교에서 사용하는 태음력으로, 무함마드의 메디나 이주를 원년으로 하며, 12개의 달로 구성되어 종교적 목적과 공식 연대 표기에 사용된다.
  • 고대 역법 - 바빌로니아력
    바빌로니아력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태음태양력으로, 니푸르 달력에서 유래하여 메톤 주기를 통해 태음태양력으로 전환되었으며, 후대 달력에 영향을 미쳤고 7일 주기와 성일/악일 개념, 그리고 행정력(도식력)을 포함한다.
  • 고대 역법 - 아시리아력
    아시리아력은 아시리아인들이 사용하는 달력으로, 기원전 4750년을 원년으로 하여 12개의 달로 구성되며, 봄의 시작인 니산월 1일에 새해를 시작하고 윤달을 사용한다.
  • 태양력 -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은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제정하여 400년에 97번의 윤년을 두는 방식으로 개선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역법이다.
  • 태양력 -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제정한 역법으로, 365일의 평년과 366일의 윤년으로 구성되며, 태양년과의 오차로 인해 그레고리력으로 대체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조로아스터 달력
기본 정보
조로아스터교 깃발
조로아스터교 깃발
유형종교 달력
문화권조로아스터교
시작기원전 6세기
계절 구분태양력
사용조로아스터교 의식
일수365일 (윤년 없음)
월수12개월
일주일없음
역사
기원페르시아
발전아케메네스 제국, 파르티아, 사산 제국
구성 요소
월 이름파르바르딘 (Farvardin)
오르디베헤슈트 (Ordibehesht)
코르다드 (Khordad)
티르 (Tir)
아미르다드 (Amirdad)
샤흐레바르 (Shahrevar)
메르 (Mer)
아반 (Avan)
아다르 (Adar)
다에 (Dae)
바흐만 (Bahman)
에스판다르마즈 (Espandarmaz)
날짜 이름야즈드 (Yazd)
바흐만 (Bahman)
오르디베헤슈트 (Ordibehesht)
샤흐레바르 (Shahrevar)
에스판다르마즈 (Espandarmaz)
코르다드 (Khordad)
아미르다드 (Amirdad)
다에파다르 (Daepadar)
아다르 (Adar)
아반 (Avan)
코르시다드 (Khorshid)
마흐 (Mah)
티르 (Tir)
고쉬 (Gosh)
다에파미르 (Daepamir)
메르 (Mer)
스로쉬 (Srosh)
라쉬누 (Rashnu)
파르바르딘 (Farvardin)
바흐람 (Bahram)
라만 (Raman)
고바드 (Govad)
다에딘 (Daedin)
딘 (Din)
아르드 (Ard)
아쉬타드 (Ashtad)
아스만 (Asman)
자미야드 (Zamyad)
마라스판드 (Maraspand)
아노그란 (Anoghran)
관련 개념
가타력가타력

2. 역사

조로아스터교에서 사용하는 달력의 역사는 고대 아케메네스 제국(기원전 6세기 ~ 기원전 4세기)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에는 민간에서 바빌론 달력이 사용되었고, 조로아스터교 달력 역시 그 영향을 받았다.[4] 이후 이집트 달력의 영향을 받은 365일 달력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0][11]

헬레니즘 시대를 거치며 셀레우코스 제국은 왕의 재위 기간 대신 고정된 시작점에서 연도를 세는 방식을 도입했다. 파르티아 제국사산 제국 시기(기원전 3세기 ~ 서기 7세기)에는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224년경 기존 달력을 조로아스터교 달력으로 대체하며 새해 축제인 나우루즈의 날짜를 옮기고, 달력과 계절을 맞추기 위한 조정이 이루어졌다.[4][7][12] 특히 호르미즈드 1세 때 추가적인 개혁이 있었으며,[12][13][14] 이후 사산 제국의 마지막 군주인 야즈데게르드 3세가 즉위한 632년을 기준으로 하는 '야즈데게르드 시대(Yazdegerdi era영어)' 연대 계산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6][19]

그러나 이러한 개혁에도 불구하고 달력은 점차 실제 계절과 어긋나기 시작했으며, 이는 중세 시대 이후에도 지속적인 문제로 남았다.[18][15]

2. 1. 아케메네스 제국 시기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4세기)

기원전 4세기 아케메네스 제국에서는 민간의 목적으로 바빌론 달력이 사용되었다. 가장 초기의 조로아스터교 달력(때때로 '아베스타 달력'이라고도 불리지만, 이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은 바빌론 달력의 영향을 받았는데, 예를 들어 일곱 번째 날과 그 달의 다른 특정 날들을 아후라 마즈다와 연관시키는 방식이 그러했다.[4]

바빌론 달력은 다른 고대 달력처럼 태음태양력 체계를 따랐으며, 약 6년에 한 번씩 윤달을 넣어 계절과의 차이를 조정했다.[4][5][6][7][8] 민간 달력에서 윤달 삽입이 항상 규칙적이지는 않았지만,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시대(기원전 380년경)에는 천문학자들이 19년 주기를 이용하여 윤달을 좀 더 체계적으로 넣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주기에 따르면 3, 6, 8, 11, 14, 19년째에는 'Addaru II|아다루 IIakk'라는 달을, 17년째에는 'Ululu II|울룰루 IIakk'라는 달을 추가했다.[7] 윤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309년에 나타난다.[9]

이 시기 달력의 첫 번째 달은 '파라와르딘'이라 불렸고, 파라와르딘의 첫 날이 바로 '새해' 즉, '노루즈'(나우루즈)였다. 모든 종교적 행사는 이 날을 기준으로 계산되었으며, 이론적으로 노루즈춘분에 해당했다.

한편, 아케메네스 제국의 통치자 캄비세스가 기원전 525년경 이집트를 정복한 이후에는 365일 길이의 달력이 도입되었다. 이 달력은 이집트 달력과 거의 동일한 체계를 사용했다.[10] 다만, 이 365일 달력이 도입되기 이전에 조로아스터교 의례를 위한 360일짜리 달력이 먼저 존재했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갈린다.[11]

2. 2. 헬레니즘 시기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2세기)

기원전 330년 알렉산드로스 3세가 페르시아를 침공한 이후, 셀레우코스 제국(기원전 312년~기원전 248년)은 연대를 계산하는 방식을 바꾸었다. 이전에는 왕의 재위 연도를 기준으로 했지만, 셀레우코스 제국은 고정된 시대의 시작점부터 연도를 세는 헬레니즘 방식을 도입했다. 이 시대는 현재 셀레우코스 시대로 알려져 있다.

2. 3. 파르티아 및 사산 제국 시기 (기원전 3세기 ~ 서기 7세기)

224년, 기존에 사용되던 바빌로니아 달력이 조로아스터교 달력으로 대체되었다. 이 변화로 새해 첫날인 1 파르와르딘과 새해 축제 나우루즈는 10월 1일로 옮겨졌다. 군주가 즉위한 해부터 재위 기간을 계산하는 옛 방식이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4][7][12] 또한 달력과 실제 계절을 맞추기 위해, 한 해의 마지막에 추가되던 5일(에파고메나이)을 여덟 달 뒤(아홉 번째 달 시작 전)로 옮기고, 농경 축제인 가한바르의 날짜도 조정했다.

이러한 변화는 혼란을 야기했는데, 새해가 기존보다 5일 빨라졌고 일부 사람들은 예전 날짜를 계속 따랐기 때문이다. 46년이 지나 사산 왕조호르미즈드 1세(재위 272년–273년) 때, 1 파르와르딘이 9월 19일에 해당하게 되자 새로운 달력 개혁이 이루어졌다. 개혁 초기에는 사람들이 새로운 축제 날짜를 바로 받아들이지 않아, 공식 축제가 기존 축제보다 5일 먼저 열리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사람들은 새로운 가타 날짜를 지켰지만, 원래의 5일 차이는 지속되었다. 호르미즈드 1세의 개혁은 기존의 날짜와 새로운 날짜를 연결하여 6일 동안 축제를 이어가는 방식으로 혼란을 줄이려 했다. 나우루즈는 예외적으로, 달의 첫째 날(1 파르와르딘)에 '작은 나우루즈'를, 여섯째 날(6 파르와르딘)에는 '큰 나우루즈'라는 특별한 축제를 열었다. 서기 10세기 무렵에는 '큰 나우루즈'가 전설적인 왕 자므셰드의 귀환이나 조로아스터의 생일(호르다드 살)과 연관되어 기념되었다.[12][13][14]

학자 메리 보이스는 399년에서 518년 사이 어느 시점에 6일간 이어지던 축제가 5일로 줄어들었다고 주장했다. 오늘날 주요 조로아스터교 축제인 가한바르는 5일 동안 지켜진다.[12][15][1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로아스터력의 기산일은 서기 632년 6월 16일이다. 이 날은 사산 제국의 마지막 군주인 야즈데게르드 3세가 즉위한 날로, 당시 관습에 따라 군주가 즉위한 해부터 재위 연도를 계산했다. 사산 왕조 멸망 이후 이슬람 통치 아래에서도 조로아스터교 공동체는 야즈데게르드 3세의 즉위년을 기준으로 연도를 계속 계산했다. 이 연대 계산법을 사용하는 날짜는 "야즈데게르드 시대(Yazdegerdi era영어)"를 뜻하는 Y.Z. 또는 AY라는 표기를 덧붙여 구분하기도 한다.[16][19]

2. 4. 중세 시대 (서기 7세기 ~ 서기 15세기)

야즈데게르드 3세(632년 ~ 651년)의 통치 시기에 이르러, 조로아스터교의 종교적 축제일은 실제 계절과 다시 어긋나기 시작했다. 이는 이전의 달력 개혁 이후에도 4년마다 하루씩 율리우스력과 비교하여 날짜가 계속 밀렸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632년에는 새해 첫날(노루즈)을 6월 16일에 기념하게 되었다.[18]

8세기에서 9세기 사이, 즉 이슬람 정복 초기에 쓰인 유사-아베스타어 문헌인 《분다히신》은 연대 표기 시 "알렉산더 시대" 대신 "조로아스터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를 "알렉산더보다 258년 전"으로 설정했다. 이는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가 제시한 연대와 일치한다.[17]

9세기의 조로아스터교 신학자 자스프람은 당시 달력이 계절과 점차 벌어지는 상황이 이상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불일치가 계속될 경우, 세상의 종말(최종 심판) 시점에는 달력과 실제 계절 간의 차이가 약 4년 정도 벌어질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15]

3. 달력의 종류

조로아스터교에서 사용하는 달력은 역사적 배경과 지역 공동체의 차이에 따라 여러 종류로 발전해 왔다. 현재 주로 사용되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달력으로는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 카디미 달력: '고대'를 의미하는 이름처럼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는 달력으로 여겨진다.[12][22]
  • 샤한샤히 달력: '제국' 달력이라고도 불리며, 특히 인도의 파르시 공동체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온 달력이다.[18]
  • 파슬리 달력: 20세기 초 계절 변화와의 일치를 목표로 개혁된 달력으로, 이란의 일부 조로아스터교 공동체에서 받아들여졌다.[15][25]


이들 달력은 주로 윤년 계산 방식과 새해(나우루즈) 시작일을 정하는 기준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각 달력이 형성되고 발전해 온 역사적 과정과 관련이 깊다.

3. 1. 카디미 (Qadimi) 달력

카디미(Qadimi, Kadimi, Kudmi)는 '고대'를 의미하며, 서기 1006년 이후 사용된 전통적인 조로아스터교 달력이다.[22]

서기 1006년, 조로아스터력의 첫 번째 달인 프라와르딘(Frawardin)이 북반구춘분과 다시 일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종교 축제일이 전통적인 날짜로 돌아왔고, 새해 첫날인 나우루즈(Nawruz) 역시 프라와르딘 1일에 기념하게 되었다.[12]

카디미 계산법에 따르면, 서기 2000년 7월 22일은 나우루즈였으며, 야즈데게르드 시대(Y.Z.) 1370년의 첫날에 해당했다.[18]

율리우스력으로 서기 1300년에는 야즈데게르드 시대 669년이 1월 1일에 시작되었고, 같은 해 12월 31일에는 670년이 시작되기도 했다.[18] 이는 카디미 달력이 365일로 고정되어 있어 율리우스력이나 그레고리력과 날짜가 점차 차이 나는 현상을 보여준다.

3. 2. 샤한샤히 (Shahanshahi) 달력

현재 주로 사용되는 조로아스터력의 기산일은 서기 632년 6월 16일이다. 사산 제국의 마지막 군주였던 야즈데게르드 3세가 즉위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데, 이는 당시 군주가 즉위한 해부터 재위 연도를 계산하던 관습에 따른 것이다. 조로아스터교 군주가 사라진 이후 이슬람 통치 하에서도 이 연도 계산 방식은 계속 사용되었다.

조로아스터교의 날짜는 "야즈데게르드 시대"를 의미하는 Y.Z.라는 접미사로 구분한다. "AY"라는 표기도 사용된다.[16][19]

소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야즈데게르드 시대보다 더 이른 시점을 기준으로 삼는 연도 계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조로아스터가 기원전 389년 3월 3일에 태어났다는 설에 근거한 것이다. 이 달력에 따르면, 서기 2000년 7월 22일은 조로아스터력 2390년의 첫 날이었다.[18]

또 다른 연도 계산 방식으로는 자라투스트라교(조로아스터교) 종교 시대(Z.E.R. 또는 ZRE)가 있다. 이는 1990년 캘리포니아의 조로아스터교 집회에서 채택된 방식으로, 조로아스터의 사명이 양자리 시대의 시작과 관련이 있다는 추정에 기반한다. 이 방식에서는 기원전 1738년 춘분을 기준으로 삼으며, 따라서 서기 2000년에 ZRE 3738년이 시작되었다. 이란과 해외 거주 조로아스터교 공동체 일부도 이 방식을 받아들였으며, 이란에서는 1993년에 채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럽 조로아스터교 신탁 기금의 자료에 따르면, 이란의 조로아스터교인들이 실용적인 이유로 이 방식을 채택한 반면, 해외 공동체는 여전히 YZ(야즈데게르드 시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20][21]

3. 3. 파슬리 (Fasli) 달력

20세기 초, 봄베이의 파르시인 쿠르셰드지 카마는 '자르토스티 파슬리 살 만달'(조로아스터 계절-연도 협회)을 설립했다. 1906년, 이 협회는 계절 변화와 일치하는 새로운 조로아스터 달력인 파슬리(Fasli) 달력을 제안했다. 이 달력은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 샤 1세 통치 시기인 1079년에 도입되어 농업 공동체에서 널리 사용된 잘랄리 달력에 기반을 두었다.[15]

파슬리 달력은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첫째, 4년마다 '아바르다드-살-가'(팔라비어: 루제바히작|루제바히작pal)라는 윤일을 추가하여 열대년과 거의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이 윤일은 필요에 따라 연말의 기존 다섯 '가타'일 뒤에 삽입된다. 둘째, 새해 첫날을 춘분에 고정하여 달력이 계절과 어긋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파슬리 협회는 자신들의 달력이 종교적으로 정확하며, 당시 사용되던 다른 두 달력(카디미, 샤한샤히)은 정치적인 목적의 달력이라고 주장했다.[25]

그러나 이 새로운 달력은 덴카르드의 가르침과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으며 인도 조로아스터교 공동체에서는 큰 지지를 얻지 못했다. 반면, 이란에서는 1930년대에 '바스타니'(전통적인) 달력이라는 이름으로 파슬리 달력을 채택하려는 움직임이 힘을 얻었다. 이는 1925년 이란 의회가 이미 춘분을 기준으로 하고 윤년을 두는 새로운 이란 달력을 도입한 것과 관련이 깊다. 이란 국립 달력 역시 조로아스터교의 달 이름을 사용했기 때문에, 파슬리 달력과의 통합이 비교적 수월했다. '바스타니' 달력은 많은 이란 조로아스터교인들에게 받아들여졌으나, 야즈드의 샤리파바디들과 같은 일부 정통파 신자들은 기존의 카디미 달력을 계속 사용했다.[26]

1906년(야즈데게르드력 1276년)을 기준으로, 파슬리 달력의 새해 첫날(노루즈)은 춘분이었지만, 카디미 달력은 8월 15일, 샤한샤히 달력은 9월 14일이 새해 첫날이었다. 이처럼 달력 간 새해 시작일의 차이가 컸다.

파슬리력은 그레고리력 1년과 길이가 같도록 설계되어, 이론적으로 첫 해는 서기 631년 3월 21일에 시작한다. 하지만 조로아스터 달력의 기산점이 되는 야즈데게르드 3세의 즉위일(서기 632년 6월 19일)이 파슬리력으로는 2년차에 해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그레고리력으로 2000년 3월 21일은 파슬리력으로 1370년 Y.Z.(야즈데게르드 시대) 또는 3738 ZRE(자라투스트라교 종교 시대)의 시작일이었다.

알리 자파레이는 파슬리력을 "거의 열대년에 가깝고, 윤년을 관찰하여 보정한다"고 설명했다.[22] 파슬리력은 그레고리력과 유사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28][25][29][30][31], 그레고리력 자체도 장기적으로는 춘분 날짜를 3월 21일로 완벽하게 고정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4. 달과 날의 이름

조로아스터교 달력에서 사용하는 달과 날의 이름은 각각 조로아스터교이나 신성한 개념에 바쳐졌으며, 그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달력에 이름을 헌정하는 것은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달력이 주요 신들의 위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조로아스터교의 모든 예배 행위에서 해당 날과 달의 신들이 언급되기 때문에 그들의 이름이 자주 불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27]

4. 1. 날짜 이름

조로아스터교 달력에서 날짜와 달의 이름을 조상신에게 붙이는 전통은 이집트의 유사한 관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달력이 처음 만들어진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7] 날짜에 신의 이름을 붙여 헌정하는 방식에 대한 가장 오래된 증거는 야스나 전례의 일부인 ''야스나'' 16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부분은 대부분 달력 날짜 이름으로 헌정된 30명의 신들을 숭배하는 내용이다. 또한, 30명의 달력 신에게 개별적으로 헌정된 두 부분으로 구성된 아베스타 텍스트인 ''시로자'' 역시 동일한 순서로 신들을 나열한다.

30일은 각각 다음과 같은 신에게 헌정되었다.

날짜헌정 대상 (아베스타어 / 의미)
1다드바 아후라 마즈다 (창조주 아후라 마즈다)
2보후 마나 (선한 생각)
3아샤 바히슈타 (최고의 진리)
4크샤트라 바이라 (바람직한 지배)
5스펜타 아르마이티 (신성한 헌신)
6하우르바타트 (완전함)
7아메레타트 (불멸)
8다드바 아후라 마즈다
9아타르 (불)
10아포 (물)
11흐바르 (태양)
12마 (달)
13티슈트랴 (시리우스 별)
14게우쉬 우르반 (소의 영혼, 모든 동물 창조 대표)
15다드바 아후라 마즈다
16미트라 (서약의 신)
17스라오샤 (순종)
18라슈누 (정의)
19프라바시 (수호령)
20베레트라그나 (승리)
21라만 (평화, 숨결)
22바타 (바람)
23다드바 아후라 마즈다
24다에나 (종교, 양심)
25아시 (보상)
26아르슈타트 (정의)
27아스만 (하늘)
28 (땅)
29만트라 스펜타 (신성한 주문)
30아나그라 라오차 (끝없는 빛)



파라바하르, ''프라바시''(수호령)의 묘사로 여겨지며, 이 프라바시에게 ''파르바르딘''의 달과 날이 헌정된다.


달력의 8일, 15일, 23일이 아후라 마즈다에게 네 번이나 헌정된 것은, 본래 이 날들이 아팜 나팟, 하오마, 다만 아프린에게 헌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정통파와 다른 신앙 그룹 간의 타협 결과일 수 있다. 특히 아후리 아팜 나팟에 대한 헌정은 기원전 4세기와 서기 3세기 사이에 아레드비 수라 아나히타 숭배가 매우 인기를 끌면서 문제가 되었을 수 있다. 아레드비 수라 아나히타는 기능적으로 아팜 나팟과 유사한 신격으로 여겨졌다. 오늘날에도 이 세 신(아팜 나팟, 하오마, 다만 아프린)은 다른 27명의 신들과 함께 불려지며, '달력 외' 신으로 간주되어 총 30개의 개별적인 신성 목록을 형성한다.

날짜별 헌정 대상을 그룹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 2일부터 7일까지의 날은 아메샤 스펜타(여섯 '신성한 불꽃', 후대 조로아스터교에서는 대천사로 여겨짐)에게 헌정된다.
  • 9일부터 13일까지의 날은 전례(니야예쉬)에서 중요한 다섯 야자타(, 물, 태양, 달, 별)에게 헌정된다.
  • 14일은 모든 동물 창조를 대표하는 게우쉬 우르반(소의 영혼)에게 헌정된다.
  • 16일부터 22일까지는 달의 후반부를 이끌며, 미트라(서약의 신)와 그의 동료들인 스라오샤, 라슈누(영혼의 심판관), 프라바시(수호령), 베레트라그나(승리), 라만(생명의 숨결), 바타(바람, 공간)에게 헌정된다.
  • 마지막 그룹(24일~30일)은 보다 추상적인 개념들을 나타내는 신들에게 헌정된다: 다에나(종교), 아시(보상), 아르슈타트(정의), 아스만(하늘), (땅), 만트라 스펜타(신성한 간구), 아나그라 라오차(끝없는 빛).


현재 사용되는 날짜와 달의 이름은 해당 신성한 이름이나 개념의 중세 페르시아어 형태에 해당하지만, 일부 이름에서는 셈족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슈트랴는 '티르'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나부-*티리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달의 8일, 15일, 23일의 이름은 각각 '다에-파 아다르', '다에-파 메르', '다에-파 딘'으로 불리는데, 이는 바빌론 달력의 영향을 받아 달을 네 기간으로 나누는 관습을 반영한다. 이 이름들은 중세 페르시아어로 각각 아타르, 미트라, 다에나의 '창조주'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분은 각 달을 대략적인 '주(週)' 개념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이어진다. 첫 번째 주는 1일부터 7일까지, 두 번째 주는 8일부터 14일까지, 세 번째 주는 15일부터 22일까지(8일), 네 번째 주는 23일부터 30일까지(8일)로 구성된다. 연말에 추가되는 가타 기간의 날들은 이러한 주 구분에 포함되지 않는다.[28]

4. 2. 달 이름

조로아스터교에서는 달력의 각 날짜뿐만 아니라 12개의 달에도 각각 야자타(신성한 존재 또는 숭배할 만한 존재)의 이름이 붙여졌다. 이는 고대 이집트의 유사한 관습에 영향을 받았으며, 달력이 제정된 아케메네스 제국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이다.[37]

현재 사용되는 달 이름은 신성한 이름이나 개념의 중세 페르시아어 형태에 해당하며, 일부 이름에서는 셈족 언어의 영향도 나타난다(예: 티슈트랴 → 티르).[37] 열두 달 중 열한 달은 특정 야자타의 이름과 직접 연결되지만, 열 번째 달인 '데(Dae)'는 아후라 마즈다의 고유한 이름 대신 '창조주'(아베스타어 ''Dadvah'', 중세 페르시아어 ''Dae'')라는 칭호를 따서 명명되었다. 달 이름 목록 자체는 현존하는 아베스타 경전에는 완전한 형태로 전해지지 않으나, 후대의 주석서, 지역 달력, 실제 사용을 통해 알려져 있다. 여러 지역 변형에서 고대 이란어의 속격 단수 형태("~의 달")가 보존되어 있어, 이 이름들이 단순히 중세의 창작이 아닌 고대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오늘날 사용되는 순서대로 달 이름과 그 아베스타어 원형은 다음과 같다.

#달 이름 (중세 페르시아어)아베스타어 원형 (의미: "~의 달")
1파르바르딘Frauuašinąmae (수호령들의)
2아르디베헤슈트Ašahe Vahištaheae (최고의 진리/정의의)
3호르다드Haurvatātōae (완전함의)
4티르Tištryeheae (시리우스 별의)
5아메르다드Amərətātōae (불멸의)
6샤흐레바르Xšaθrahe Vairyeheae (바람직한 주권/왕국의)
7메흐르Miθraheae (계약/언약의)
8아반Apąmae (물의)
9아자르Āθrōae (의)
10Daθušō [Ahurahe Mazdå]ae (창조주의)
11바흐만Vaŋhə̄uš Manaŋhōae (선한 생각의)
12에스판드 또는 에스판다르마즈Spəntayå Ārmatōišae (신성한 경건/헌신의)



특정 달과 그 달의 이름과 동일한 신에게 헌정된 날짜가 겹치는 날은 '이름의 날 축제일'(Jashan)로 특별하게 기념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달(파르바르딘)의 19번째 날(파르바르딘)은 프라바시를 기리는 특별한 날이다. 아후라 마즈다는 달력에서 네 번(매달 1일, 8일, 15일, 23일) 이름이 기념되므로, 그에게 헌정된 열 번째 달(데)에는 총 네 번의 이름의 날 축제가 있다.

고대에는 '데' 달이 한 해의 첫 번째 달이었고, '파르바르딘' 달이 마지막 달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예를 들어, 조로아스터의 사망 당시 나이에 대한 9세기 기록(''Zadspram'' 23.9)이나, 프라바시를 기리는 주요 축제인 프라와르디간이 프라바시의 이름의 날(파르바르딘 달 19일) 직후가 아닌 한 해의 마지막 끝에 위치하는 점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5. 축제

조로아스터교 달력에는 다양한 종교 축제가 있다.

5. 1. 노루즈 (Nowruz)

조로아스터교의 연도는 카디미(Qadimi)와 샤한샤히(Shahenshahi) 관습에 따라 12번째 달의 마지막 5일 동안 지내는 '묵타드'(Muktad)와 가타(Gatha)일의 5일 동안 지내는 또 다른 5일의 묵타드, 즉 '하마스파스마이뎀'(Hamaspathmaidyem) 축제로 마무리된다. 12번째 달의 마지막 바로 전날은 '마레슈판드 자샨'(Marespand Jashan)이라고 불린다.[12][25]

파슬리(Fasli) 관습에서의 각 행사 날짜는 평년과 윤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르다.[25]

구분묵타드하마스파스마이뎀 & 가타일마레슈판드 자샨윤일 (아바르다드-살-가)
파슬리 관습 (평년)3월 11일 ~ 3월 20일3월 16일 ~ 3월 20일3월 14일해당 없음
파슬리 관습 (윤년)3월 10일 ~ 3월 19일3월 15일 ~ 3월 19일3월 13일3월 20일



파슬리 관습의 윤년에는 3월 20일에 해당하는 윤일이 있는데, 이를 '아바르다드-살-가'(Avardad-sal-gah)라고 부른다. 이 날은 다섯 번째 가타일인 '와히슈토이슈트'(Vahishtoisht)가 중복되는 날로 간주되지만, 묵타드나 하마스파스마이뎀 기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25][29][27]

5. 2. 가한바르 (Gahambars)

조로아스터교의 연도는 카디미와 샤한샤히 관습에 따라 12번째 달의 마지막 5일 동안 5일의 ''묵타드''와 가타일의 5일 동안 또 다른 5일의 묵타드, 즉 ''하마스파스마이뎀'' 축제로 마무리된다. 12번째 달의 마지막 전날은 ''마레슈판드 자샨''이다.[12][25]

파슬리 관습의 평년에는 묵타드가 3월 11일부터 20일까지, 하마스파스마이뎀과 가타일은 3월 16일부터 20일까지 지켜진다. 마레슈판드 자샨은 3월 14일에 열린다.[25]

파슬리 관습의 윤년에는 묵타드가 3월 10일부터 19일까지, 하마스파스마이뎀과 가타일은 3월 15일부터 19일까지 지켜진다. 마레슈판드 자샨은 3월 13일에 열린다. 3월 20일의 윤일은 ''아바르다드-살-가''라고 불리며, 다섯 번째 가타일인 ''와히슈토이슈트''의 중복으로 간주되지만, 묵타드나 하마스파스마이뎀으로는 계산되지 않는다.[25][29][27]

6. 천문학적 및 신비적 측면

조로아스터교의 세 가지 달력 전통은 월의 시작 원리에 있어서 유사하다. 이는 아르메니아 달력 및 마야 하압 달력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이란 (잘랄리) 달력, 율리우스력, 그리고 프랑스 혁명력과는 다르다. 이 달력들은 서양 점성술의 별자리와 마찬가지로 월의 시작점을 춘분/동지에 고정한다. 카디미와 샤한샤히 조로아스터 달력은 프랑스 혁명력 및 콥트력과 유사하게 5일의 윤일을 사용한다(하지만 마지막 두 달력은 윤년에 여섯 번째 윤일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의 연도는 열대년을 따라 천천히 이동한다.[29]

월의 이름은 조로아스터 달력의 기원 시기를 떠올리게 한다. 메리 보이스(Mary Boyce)에 따르면,[34] 가장 신성하고 깊은 교리적 의미를 지닌 나우루즈는 조로아스터 자신이 세운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7. 현대적 발전과 과제

파슬리 달력은 인도 외 지역, 특히 서양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많은 파르시들은 윤일을 추가하는 것이 전통적인 규칙에 어긋난다고 여겨, 여전히 샤한샤히 달력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29]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날짜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달을 복원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아직 실행되지 않고 있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샤한샤히 달력과 카디미 달력의 시작일은 그레고리력에 비해 계속해서 앞당겨질 것이다. 현재 방식대로라면, 수정되지 않은 카디미 달력은 서기 2508년에 그레고리력 기반의 파슬리 달력과 날짜가 일치하게 되며, 샤한샤히 달력의 새해 첫날인 노루즈는 2632년 3월 21일에 돌아올 것으로 예상된다.[29] 샤한샤히 달력의 경우, 한 달 전체를 삽입하여 날짜를 조정하자는 제안도 있었다.[28]

1992년에는 세 가지 주요 조로아스터교 달력(샤한샤히, 카디미, 파슬리) 모두 특정 달의 첫날이 같은 날짜에 위치하는 드문 기회가 있었다. 이를 계기로 많은 조로아스터교인들이 달력 통합을 제안했지만, 공동체 내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일부는 이 시기를 이용해 파슬리 달력을 채택하기도 했다. 달력 통합에 반대한 이유 중 하나로, 일부 사제들은 달력을 변경할 경우 사용하던 종교적 도구들을 다시 봉헌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 상당한 비용이 든다는 점을 들었다.[35]

영국과 같은 서구 지역의 상황은 복합적이다. 영국 내 대부분의 조로아스터교인은 샤한샤히 달력을 따르는 인도계 파르시이다. 그러나 이란계 조로아스터교인들은 대부분 파슬리 달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럽 조로아스터교 신탁 기금(Zoroastrian Trust Funds of Europe)과 같은 단체는 두 달력에 따른 기념일을 모두 인정하고 기념하고 있다.[21][36]

참조

[1] 간행물 Allen's Indian Mail, and Register of Intelligence for British and Foreign India, China, and All Parts of the East, vol. 9 https://books.google[...] 1851
[1] 간행물 The Directory & Chronicle for China, Japan, Corea, Indo-China, Straits Settlements, Malay States, Sian, Netherlands India, Borneo, the Philippines, &c https://books.google[...] 1882
[2] 서적 Kharshedji Rustamji Cama, 1831-1909: A Memoir 1923
[2] 간행물 Parsiana 26 2003
[2] 위키 Wikipedia
[3] 간행물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17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3
[4] 서적 Textual Sources for the Study of Zoroastrian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5] 서적 The chronology of ancient nations; an english version of the Arabic text of the Athâr-ul-Bâkiya of Albîrûnî, or "Vestiges of the past" http://archive.org/d[...] London, Pub. for the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 Ireland by W.H. Allen and co. 1879
[6] 서적 Zoroastrianism – Its Antiquity and Constant Vigour Mazda Publishers 1992
[7] 서적 Chronology of the Ancient World Thames & Hudson 1968
[8] 간행물 Calendars http://www.iranicaon[...]
[9] 간행물 Revue Archéologique 1889
[10] 웹사이트 Calendars in Antiquity: Empires, States, and Societies https://books.google[...] 2012
[11] 간행물 Further on the Calendar of Zoroastrian Feasts 2005
[12] 간행물 On the Calendar of Zoroastrian Feasts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London 1970
[13] 웹사이트 Zoroastrian festivals http://www.michaelst[...]
[14] 웹사이트 Khordad Sal (Birthday of Zoroaster) http://www.bbc.co.uk[...] BBC 2009-10-02
[15] 서적 Die Religion Zarathushtras. Geschichte – Gegenwart – Rituale. Band (Volume) 3. Kohlhammer Verlag 2004
[16] 간행물 The Persian Calendar https://www.jstor.or[...] 1996
[17] 간행물 The 'Traditional Date of Zoroaster' Explained 1977
[18] 서적 The Book of Calendars Gorgias Press 2002
[19] 웹사이트 ZCS website – Zoroastrian Calendar Services http://www.zcserv.co[...]
[19] 웹사이트 Zoroastrian Heritage: Zoroastrian Calendar http://heritageinsti[...] 2007-2011
[19] 웹사이트 True Zoroastrian Year: An invitation to think http://www.heritagei[...] 1963-03-09
[20] 웹사이트 The Precise Iranian Calendar made simple http://www.zoroastri[...]
[21] 문서 Zoroastrian Festivals celebrated by Zoroastrian Trust Funds of Europe Incorporated Zoroastrian Trust Funds of Europe
[22] 웹사이트 No-Rooz, The Zarathushtrian New Year http://www.iranchamb[...]
[23] 웹사이트 Calculator http://www.imcce.fr/[...]
[24] 웹사이트 The Denkard http://www.avesta.or[...]
[25] 웹사이트 Compendium of Fasli Zoroastrian Calendars 1379 AY through 1400 AY http://zoroastrian.r[...] 2009-09-07
[26] 웹사이트 The Zoroastrian Calendar http://www.ahuramazd[...]
[27] 웹사이트 365-Day Fasli-Bastani/Gregorian Perpetual Calendar Grid http://www.heritagei[...] 2007-2011
[28] 웹사이트 The Zoroastrian religious calendar http://www.avesta.or[...]
[29] 웹사이트 Moonwise website http://www.moonwise.[...]
[30] 웹사이트 Webster's Online Dictionary http://www.websters-[...]
[31] 웹사이트 Iranian Calendar http://scienceworld.[...] Wolfram Research
[32] 웹사이트 Calendar http://www.en.iran.i[...] Ministry of Iran (Islamic Republic of)
[33] 웹사이트 Time of the New Year http://www.ghandchi.[...] SCI Usenet Newsgroup 1994-03-16
[34] 웹사이트 Festivals, i. Zoroastrian http://www.iranicaon[...]
[35] 웹사이트 Zoroastrian Calendar http://www3.sympatic[...]
[36] 웹사이트 Calendar of Religious Festivals: A treasury of diversity http://www.shapworki[...] The Shap Working Party on Education in Religions 2011-10-17
[37] 서적 A History of Zoroastrianism E. J. Brill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