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장수도롱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장수도롱뇽은 현존하는 가장 큰 양서류로, 중국 고유종이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여러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8년 연구를 통해 최소 5개의 은폐종이 밝혀졌다. 이들은 형태, 크기, 유전적 특징에서 차이를 보인다. 중국에서는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었으며, 서식지 파괴, 남획, 질병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현재는 국가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사육 및 번식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유전자 오염 및 질병 확산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수도롱뇽속 - 일본장수도롱뇽
    일본장수도롱뇽은 일본 남서부에 서식하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양서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고 일본의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완전한 수생 동물이다.
중국장수도롱뇽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라하 동물원의 중국장수도롱뇽
프라하 동물원의 중국장수도롱뇽
학명Andrias davidianus
명명자Blanchard, 1871
한국어 이름중국장수도롱뇽
중국어 (간체)中国大鲵
중국어 병음Zhōngguó dàní
중국어 광둥어Daaih-ngàih
중국어 민난어Tuā-ngé
중국어 (간체)娃娃鱼
아기 물고기Wāwā yú
광둥어 병음Waa1-waa1 jyu4
영어 이름Chinese giant salamander
대략적인 분포
대략적인 분포
보존 상태위기 (CR)
인용IUCN SSC 양서류 전문가 그룹
CITES부록 I
인용CITES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양서강
도롱뇽목
장수도롱뇽과
장수도롱뇽속 (Andrias)
중국장수도롱뇽 (A. davidianus)
학명 (이명)
Sieboldia davidianaBlanchard, 1871
Megalobatrachus japonicus davidiChang, 1935
Megalobatrachus davidianusLiu, 1950
Andrias scheuchzeri davidianaWestphal, 1958
Cryptobranchus davidianusNaylor, 1981

2. 분류

중국장수도롱뇽은 도롱뇽목 장수도롱뇽과(Cryptobranchidae)에 속하는 양서류이다. 이 과는 약 1억 7천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기도 한다.[6]

현존하는 장수도롱뇽과에는 중국장수도롱뇽 외에도 여러 종이 포함된다.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는 일본장수도롱뇽( Andrias japonicusla )이 있으며, 최근 연구를 통해 별개의 종으로 밝혀진 남중국장수도롱뇽( Andrias sligoila ), 장시장수도롱뇽( Andrias jiangxiensisla ), 치먼장수도롱뇽( Andrias chenila ) 등이 있다. 또한 북아메리카에는 크기가 훨씬 작은 헬벤더( Cryptobranchus alleganiensisla )가 서식한다.[10][11]

오랫동안 중국 대륙에 서식하는 장수도롱뇽은 단일 종( Andrias davidianusla )으로 여겨졌으나, 2018년 이후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등 유전학 연구를 통해 실제로는 여러 암호종으로 구성된 복합체일 가능성이 강력하게 제기되었다.[8] 이들은 유전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일부는 이미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았다. 자세한 학명 논란과 종 분화 과정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학명 논란

중국장수도롱뇽의 해부학을 보여주는 이미지


이 종의 정확한 학명에 대해서는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한때 스위스에서 발견된 멸종한 화석 종에 부여된 ''Andrias scheuchzeri''라는 학명을 사용해야 하며, 이 경우 ''Andrias davidianus''는 주니어 동의어가 된다는 주장이 있었다.[9] 중국장수도롱뇽은 약 1억 7천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Cryptobranchidae과에 속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6] 이 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종은 5~6종으로, 중국장수도롱뇽 외에는 약간 더 작은 일본장수도롱뇽(''Andrias japonicus''), 더 큰 남중국장수도롱뇽(''A. sligoi''), 장시장수도롱뇽(''Andrias jiangxiensis''), 치먼장수도롱뇽(''Andrias cheni''), 그리고 북미에 서식하며 크기가 훨씬 작은 헬벤더(''Cryptobranchus alleganiensis'')가 있다.[10][11]

오랫동안 중국에 서식하는 오오산쇼우오속은 중국장수도롱뇽 한 종으로 여겨졌으나, 2018년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를 통해 실제로는 최소 5개의 야생 분지군과 사육 상태에서만 알려진 2개의 분지군으로 구성된 복합체임이 밝혀졌다.[57][8] 이 분지군들은 471만 년에서 1025만 년 전에 서로 분화되었으며, 각각 별개의 암호종으로 간주될 수 있을 정도의 유전적 차이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서로 잡종 교배가 가능하며, 일본장수도롱뇽과도 교배할 수 있다.[8]

이후 연구를 통해 이들 분지군 중 일부가 별개의 종으로 확인되었다. 2019년에는 박물관 표본(1922년 이전 채집)과 황산 지역 샘플(1992년 채집)의 미토콘드리아 DNA 사이토크롬 b 분자 계통 분석 결과, 기존에 ''A. davidianus''의 동의어로 처리되었던 ''Andrias sligoi''(남중국장수도롱뇽)가 유전적으로 뚜렷한 별개의 종으로 복원되었다. 이 종은 주로 중국 남부(주강 수계)에 분포하며, 1924년 에드워드 조지 볼렌저가 처음 기술하였다.[11][58] 종명 ''sligoi''는 1924년 홍콩에서 이 도롱뇽을 런던 동물원에 기증한 제6대 스라이고 후작 조지 브라운의 이름에서 유래했다.[58]

2022년에는 사육 상태에서만 유전 정보가 알려져 있던 분지군 중 하나가 ''Andrias jiangxiensis''(장시장수도롱뇽)라는 신종으로 기재되었다. 이 종은 다른 많은 지역의 개체군과 달리 장시성에서 유전적으로 순수한 야생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3][59] 2023년에는 황산에서 발원하는 강에 서식하는 또 다른 분지군이 ''Andrias cheni''(치먼장수도롱뇽)라는 신종으로 기재되었다.[11][12][60]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거 단일 종으로 여겨졌던 중국장수도롱뇽이 실제로는 여러 종의 복합체임을 보여준다.

2. 2. 종 분화



오랫동안 중국에 서식하는 오오산쇼우오속은 중국장수도롱뇽(Andrias davidianusla) 한 종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 종의 정확한 학명스위스 화석에서 묘사된 멸종한 종에게 부여된 Andrias scheuchzerila여야 하며, 이 경우 Andrias davidianusla는 주니어 동의어가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9] 중국장수도롱뇽은 약 1억 7천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Cryptobranchidae과에 속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6] 이 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종은 다섯 또는 여섯 종이며, 중국장수도롱뇽 외에는 약간 더 작은 일본장수도롱뇽(Andrias japonicusla), 약간 더 큰 남중국장수도롱뇽(A. sligoila), 장시장수도롱뇽(Andrias jiangxiensisla), 치먼장수도롱뇽(Andrias chenila), 그리고 훨씬 작은 북미의 헬벤더(Cryptobranchus alleganiensisla)가 있다.[10][11]

2018년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연구 결과, 기존에 단일 종으로 여겨졌던 중국장수도롱뇽이 실제로는 최소 5개의 뚜렷한 야생 분지군과 사육 상태에서만 알려진 2개의 분지군으로 나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8] 이 분지군들은 약 471만 년에서 1025만 년 전에 서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각 분지군이 별개의 암호종일 가능성을 시사한다.[8] 이렇게 유전적으로 깊은 분화에도 불구하고, 이들 사이에서는 잡종 교배가 가능하며, 심지어 일본장수도롱뇽과도 교배가 가능하다.[8]

이후 연구들을 통해 이들 분지군 중 일부는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2019년 연구에서는 박물관 표본과 야생 샘플의 DNA 분석을 통해, 1924년 에드워드 조지 볼렌저가 처음 기술했으나 나중에 A. davidianusla의 동의어로 처리되었던 남중국장수도롱뇽(Andrias sligoila)을 다시 독립된 종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종은 주로 주강 수계에 분포하며, 종명은 1924년 홍콩에서 이 종을 런던 동물원에 기증한 제6대 스라이고 후작 조지 브라운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1] 2022년에는 사육 상태에서만 존재한다고 여겨졌던 분지군 중 하나가 장시성에서 유전적으로 순수한 야생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장시장수도롱뇽(Andrias jiangxiensisla)이라는 신종으로 기재되었다.[13] 2023년에는 황산에서 발원하는 강에 서식하는 또 다른 분지군이 치먼장수도롱뇽(Andrias chenila)이라는 신종으로 기술되었다.[11][12]

3. 형태

중국장수도롱뇽은 크고 납작한 머리와 작고 눈꺼풀 없는 눈, 어둡고 주름진 피부가 특징이다.[14] 몸 색깔은 주로 얼룩덜룩한 짙은 갈색이지만 다양하며, 드물게 알비노 개체도 나타난다.[15] 피부에서는 포식자를 막기 위한 끈적한 흰색 분비물이 나온다.[10]

양서류 중에서는 남중국장수도롱뇽( ''Andrias sligoi'' ) 다음으로 큰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6] 성체는 평균적으로 1.15m 길이와 25kg에서 30kg 사이의 무게를 가진다.[16] 기록상으로는 최대 1.8m 길이와 50kg 이상의 개체도 확인되었다.[6][10][18]

독특하게 짖거나 우는 듯한 소리를 내는데, 이 소리가 아기 울음소리와 비슷하여 중국어로는 "아기 물고기"( 娃娃鱼 / 鲵|와와위/니zho )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19][20] 가까운 종인 일본장수도롱뇽과 비교하면 눈이 약간 크고 콧등이 평평한 경향이 있지만, 외형상 뚜렷한 차이점은 적다.[55]

3. 1. 외형

머리가 크고 눈이 작으며 어두운 색의 주름진 피부를 가지고 있다. 납작하고 넓적한 머리에는 넓은 입, 둥글고 눈꺼풀이 없는 눈이 있으며, 머리와 목 주변을 따라 한 쌍의 결절 줄이 있다.[14] 일반적인 몸 색깔은 얼룩덜룩하거나 점점이 박힌 무늬가 있는 짙은 갈색이지만, 다른 갈색 계열, 어두운 붉은색 또는 검은색일 수도 있다. 드물게 흰색 또는 주황색의 알비노 개체도 발견된 기록이 있다.[15] 피부 표면에는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적고 쌍을 이루며 나타나며, 몸 옆면의 융기는 눈에 띄지 않는다.[55] 몸에는 큰 엷은 갈색 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다.[55] 모든 종의 장수도롱뇽은 포식자를 쫓아내기 위해 끈적거리는 흰색 피부 분비물을 만들어낸다.[10]

성체 도롱뇽의 평균 몸길이는 1.15m이고, 평균 체중은 25kg에서 30kg 사이이다.[16] 최대 몸길이는 1.8m, 최대 체중은 50kg에 달할 수 있어, 남중국장수도롱뇽(''Andrias sligoi'')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양서류 종이다.[6] 전장 100cm에 달하는 개체도 있다.[55] 장자제의 농장에서 사육된 가장 긴 중국장수도롱뇽은 2007년에 1.8m를 기록했다.[10] 2015년 12월에는 충칭의 외딴 동굴에서 몸길이 1.4m, 체중 59kg인 개체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보고된 이 종의 최대 체중을 넘어서는 기록이다.[10][18]

중국장수도롱뇽은 짖거나, 칭얼거리거나, 쉿하는 소리 또는 우는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이 소리 중 일부는 어린 아이의 울음소리와 매우 비슷하여, 중국어로는 "아기 물고기"라는 뜻의 娃娃鱼 / 鲵|와와위/니zho로 불리기도 한다.[20]

같은 속에 속하는 일본장수도롱뇽과 비교했을 때, 중국장수도롱뇽은 눈이 약간 더 크고 콧등이 평평한 경향이 있다.[55] 하지만 외형상으로는 일본장수도롱뇽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이 적은 편이다.[55]

3. 2. 크기

머리가 크고 눈이 작으며 어두운 주름진 피부를 가지고 있다. 납작하고 넓적한 머리에는 넓은 입, 둥글고 눈꺼풀이 없는 눈, 그리고 머리와 목 주변을 따라 짝을 이루는 결절 줄이 있다.[14] 전형적인 색상은 얼룩덜룩하거나 점점이 박힌 패턴의 짙은 갈색이지만, 다른 갈색 계열, 어두운 적색 또는 검은색일 수도 있다. 흰색 또는 주황색인 알비노 개체도 기록되었다.[15] 피부 표면에 사마귀 모양의 돌기는 적고 쌍을 이루며, 몸 옆면의 융기도 눈에 띄지 않는다.[55] 대형의 엷은 갈색 반점이 들어간 개체가 많다.[55] 모든 종의 장수도롱뇽처럼 포식자를 쫓아내는 끈적거리는 흰색 피부 분비물을 생성한다.[10]

성체 도롱뇽의 평균 길이는 1.15m이며, 평균 체중은 25kg에서 30kg 사이이다.[16] 전장은 100cm에 달하기도 한다.[55] 최대 길이는 1.8m, 최대 체중은 50kg까지 자랄 수 있으며, 이는 남중국장수도롱뇽( ''Andrias sligoi'' )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양서류 종이다.[6] 장자제의 한 농장에서 사육된 가장 긴 중국장수도롱뇽은 2007년에 1.8m를 기록했다.[10] 2015년 12월 충칭의 외딴 동굴에서는 길이 1.4m, 체중 59kg인 개체가 발견되기도 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보고된 최대 체중을 초과하는 기록이다.[10][18]

가까운 종인 일본장수도롱뇽과 비교하면 눈이 약간 크고, 콧등이 편평한 경향이 있으나,[55] 외관상 명확하게 구별되는 형태적 특징은 적다.[55]

4. 생태

중국장수도롱뇽은 전적으로 물속에서 생활하는 양서류로, 깨끗하고 바위가 많은 산간 계류나 호수, 때로는 지하강에서도 발견된다.[2][10] 주로 야행성으로 활동하며[55], 낮에는 바위틈과 같은 은신처에서 휴식을 취한다.[44][55]

시력이 매우 나빠 먹이를 찾을 때는 몸 측면에 있는 특수한 감각 기관을 통해 물의 미세한 진동을 감지한다.[21] 어류, 담수게와 같은 갑각류, 곤충, 다른 양서류 등 다양한 수생 동물을 먹이로 삼으며,[10][55] 때로는 동족 포식을 하기도 한다.[10][55] 먹이를 잡을 때는 크고 넓적한 입을 갑자기 벌려 물과 함께 강하게 빨아들이는 독특한 흡입 방식을 사용한다.[22]

수온 변화에 민감하여 특정 온도 범위 내에서 주로 활동하며, 20°C 이상의 수온에서는 먹이 활동이 줄어들고 35°C 이상의 고온은 치명적일 수 있다.[10] 필요시에는 신진대사를 조절하여 몇 년 동안 먹지 않고 생존할 수도 있다.[25]

암수 모두 영역을 가지며,[10] 번식기가 되면(주로 7~9월) 수컷은 수중 동굴과 같은 번식 장소를 마련하고 암컷을 유인한다.[44][55] 암컷은 수백 개의 알을 낳고, 수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약 50~60일간 보호한다.[2] 유생은 외부 아가미를 가지고 태어나 수년간 성장하여 성체가 되며, 수명은 최소 6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10]

4. 1. 서식지

중국장수도롱뇽 종 복합체는 원래 중국 중부, 서남부, 남부에 걸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서식지가 매우 단편화되었다.[1] 분포 범위는 서쪽의 칭하이에서 동쪽의 장쑤, 남쪽으로는 쓰촨, 광시, 광둥까지 이르며, 주로 양쯔강, 황허, 주강 유역에 서식한다.[2][55][56]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종 복합체는 최소 5개의 계통군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인다.[8]

이 외에도 사육 상태에서만 알려진 계통군이 있으며,[8] 티베트 고원 개체군에 대한 표본 정보는 부족하다.[8] 또한, 사육된 중국장수도롱뇽의 방생으로 인해 자연적인 분포 상황이 복잡해졌다.[1]

일본 교토부의 아오아오 삿포로 수족관에서 사육 중인 중국장수도롱뇽(''A. davidianus'')과 일본장수도롱뇽(''A. japonicus'')의 잡종.


중국장수도롱뇽은 전적으로 물속에서 생활하는 수생동물이며, 깨끗한 물이 흐르는 바위가 많은 산간 계류와 호수를 선호한다.[2] 주로 해발 100m에서 2000m 사이의 숲 지역에서 발견되며, 대부분의 기록은 300m에서 800m 사이에 집중되어 있다.[1][2][55] 칭하이(티베트 고원)에는 4200m 고도에 고립된 개체군이 보고되었으나, 오염으로 인해 현재 이 지역에서 서식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30]

이들은 강둑을 따라 어둡고 진흙이 많거나 바위가 많은 틈새에서 주로 서식하며,[44] 야행성으로 낮에는 수중 바위 밑 등에서 휴식을 취한다.[55] 서식하는 개울은 일반적으로 폭이 좁고(평균 6.39m), 물살이 빠르며, 깊이가 얕다(평균 1.07m).[31] 유체는 수심이 얕은 곳, 큰 개체는 깊은 곳에서 생활하는 경향이 있다.[55] 수온은 계절에 따라 다르며, 낮은 고도 지역의 일반적인 범위는 10°C에서 25°C이고, 높은 고도 지역은 3°C에서 20°C이다.[10] 알을 낳는 굴은 상대적으로 물살이 느린 곳에 위치한다.[31] 서식지의 바닥은 자갈과 작은 돌이 많고 약간의 식생이 있는 매우 바위가 많고 불규칙한 형태를 띤다.[31] 지하강에서도 발견되며,[10] 지상의 개체군이 밀렵에 취약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 개체군만 남아있기도 하다.[32]

타이완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는 도입종일 가능성이 있으나 정확한 분류학적 정체는 불분명하다.[1] 일본 교토부의 가모가와 수계에도 도입되었으며,[55][56] 이곳에서는 토종 일본장수도롱뇽(''A. japonicus'')과 잡종을 형성하여 생태계에 위협이 되고 있다.[10] 2024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일본에 도입된 종은 주로 "진짜" ''A. davidianus''(양쯔강 계통군)이지만, 사육 상태에서만 알려졌던 계통 U1의 유전적으로 순수한 개체도 야생에서 발견되었다.[5]

4. 2. 먹이

중국장수도롱뇽은 다양한 동물을 먹이로 삼는다. 주요 먹이로는 곤충, 다지류, 말꼬리벌레, 양서류(개구리와 도롱뇽), 담수게, 새우, 물고기(예: ''Saurogobio'' 및 ''Cobitis''), 그리고 아시아물두더지 등이 기록되어 있다.[10][55] 때로는 실수로 먹은 것으로 보이는 식물이나 자갈이 위장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특히 동족 포식 행동이 자주 관찰되는데, 친링산맥다바산맥 지역에서 조사한 79마리 중 5마리의 위에서 다른 중국장수도롱뇽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전체 먹이 무게의 28%를 차지할 정도였다.[10] 같은 연구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 먹이는 담수게(19마리에서 발견)였으며, 전체 먹이 무게의 23%를 차지했다.[10] 수생 곤충갑각류도 중요한 먹이원이다.[55] 드물게 조류를 잡아먹은 사례도 보고되었다.[55] 어린 개체를 잡아먹는 동족 포식도 일어난다.[55]

시력이 매우 나쁘기 때문에 사냥할 때는 머리부터 꼬리까지 몸을 따라 배열된 특수한 감각 돌기(노드)에 의존한다. 이 감각 돌기를 통해 주변의 미세한 진동을 감지하여 먹이를 찾는다.[21] 주로 야행성으로[55], 사육 환경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활동은 초저녁부터 이른 밤 사이에 이루어진다.[10] 수온 변화에 민감하여, 물 온도가 20°C 이상으로 올라가면 먹는 양이 줄어들고, 28°C에 이르면 거의 먹지 않는다. 35°C의 고온은 중국장수도롱뇽에게 치명적이다.[10]

물속에서는 독특한 양방향 흡입 방식으로 먹이를 먹는다. 먹이에 천천히 접근하다가 갑자기 입을 크게 벌려 먹이와 함께 물을 강하게 빨아들인다. 이는 크고 넓적한 턱 구조 덕분에 가능하다. 먹이를 삼킨 후에는 입술 사이에 작은 틈을 만들어 물만 밖으로 내보낸다.[22] 땅 위에서는 비대칭적인 물기를 사용하여 먹이를 잡는데, 먹이가 있는 앞쪽 방향으로 무는 힘을 집중시킨다. 먹이를 잡은 후에는 물고 흔들어 제압한다. 대부분의 다른 도롱뇽과 달리 위쪽 뺨 부위의 뼈가 없어 더 강한 힘으로 물 수 있으며, 특히 성체의 무는 힘은 성장 중인 개체보다 훨씬 강하다.[23]

식도는 네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한 근육 조직이 음식을 위로 이동시킨다. 가장 바깥쪽 층에는 점액을 분비하는 섬모 세포가 있어 식도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게처럼 단단하고 큰 먹이를 삼킬 때 마찰을 줄여준다. 이러한 식도의 구조와 유연성 덕분에 큰 먹이도 삼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24]

중국장수도롱뇽은 필요할 경우 몇 년 동안 먹지 않고 버틸 수 있다. 이는 몸 안의 에너지 저장 능력과 간 기능 덕분인데, 간은 굶는 기간에 따라 특정 단백질의 생산을 조절하여 생존을 돕는다.[25]

4. 3. 행동

해발 100m에서 2000m 사이, 주로 300m에서 900m 높이에 있는 하천의 상류나 중류 지역에 서식한다.[55] 어린 개체는 수심이 얕은 곳에서, 몸집이 큰 개체는 수심이 깊은 곳에서 생활한다.[55] 야행성이며, 낮에는 물속 바위틈 같은 곳에서 휴식을 취한다.[55]

주로 어류, 개구리, 물속에 사는 곤충, 갑각류 등을 먹이로 삼는다.[55] 어린 개체를 잡아먹는 동족 포식을 하거나 새를 잡아먹은 기록도 있다.[55]

알을 낳아 번식하며, 5월에서 9월 사이, 주로 7월에서 9월 사이에 물속 돌 밑 같은 곳에 200개에서 1,500개 정도의 알을 구슬처럼 이어진 형태로 낳는다.[55] 사육 환경에서는 알이 30일에서 40일 만에 부화한 예가 있다.[55] 전체 길이 40cm에서 50cm 정도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55]

4. 4. 번식

독일 동물원의 30년 된 대형 중국장수도롱뇽


암수 모두 영역을 유지하며, 수컷의 영역은 평균 40m3, 암컷의 영역은 평균 30m3이다.[10] 번식은 수온이 20°C에 도달하면 시작되며,[44] 교미는 주로 7월부터 9월 사이에 이루어진다.[44][55] 이들은 배를 부딪히고, 옆으로 기울이고, 올라타고, 입을 맞대고 자세를 취하고, 쫓아가고, 구르고, 초대하고, 함께 사는 등 다양한 구애 행동을 보인다.[26]

암컷은 수중의 번식 공동이나 돌 밑 등에[2][55] 200개에서 1,500개 사이의 알을 구슬 모양으로 이어 낳는다.[55][2] 알은 낳았을 때 지름이 7mm 에서 8mm 정도지만, 물을 흡수하여 크기가 약 두 배로 커진다.[2] 수컷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 약 50~60일 동안 알을 지킨다.[2]

부화한 유충의 길이는 약 3cm이며,[10] 약 3세가 되어 몸길이가 20cm에 이를 때까지 외부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10] 외부 아가미는 생후 약 9~16개월 정도부터 서서히 작아지기 시작하는데, 이 속도는 물 속의 용존 산소량, 번식 밀도, 수온 및 개체별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27] 성체는 5~6세가 되어 몸길이가 40cm 에서 50cm 정도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10][55] 중국장수도롱뇽의 최대 수명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사육된 개체를 기준으로 최소 60년 이상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200년을 살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신뢰성은 낮다.[28]

5. 인간과의 관계

중국어 이름인 "와와위(娃娃魚)"는 붙잡혔을 때 아기(娃娃)와 같은 울음소리를 낸다는 속설에서 유래했다[55]중국에서는 식용, 약용, 미용품 재료 등으로 이용되며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야생 개체는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인위적인 이주 및 방생으로 인한 유전자 오염과 일본 등 다른 지역에서의 외래종 문제 및 토착종과의 잡종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5. 1. 식용 및 약용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중국장수도롱뇽을 식용 및 미용품으로 사용하며, 가죽도 이용한다[55]。 식용으로는 자양강장, 빈혈 방지, 월경 불순 등에 효능이 있다고 여겨진다[55]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1960년부터 양식이 시작되었고, 1970년대에는 사육 상태에서 번식시키는 데 성공했다[55]。 사육 하에서 번식된 3세대 이후의 개체만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규제하고 있다[55]

1975년 워싱턴 조약 발효 시점부터 장수도롱뇽속 전체가 워싱턴 조약 부속서 I에 포함되어 국제적인 거래가 엄격히 제한된다[52]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는 2010년 기준으로 국가 II급 중점 보호 야생 동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사육 및 판매에도 허가가 필요하다[55]。 야생 개체의 식용 금지, 번식기의 포획 제한, 보호구역 설정 등 다양한 보호 대책이 추진되고 있다[55]。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내 유전자 조사 결과, 인위적인 방류나 이입으로 인해 지역별 유전자 분포가 일치하지 않는 유전자 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55]2022년 기준, 유전적으로 순수한 개체군은 ''A. jiangxiensis'' 종만이 야생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9]。 ''A. sligoi'' 종은 야생에서 멸종된 것으로 보이며, 일본에서 사육되던 개체가 해당 종으로 밝혀졌으나 수컷만 남아있다[61]

일본에서도 가모가와 수계의 장수도롱뇽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DNA 분자 계통학 분석 결과, 중국장수도롱뇽 및 일본장수도롱뇽과의 잡종 개체가 발견되었다[55]。 이후 이러한 교잡종은 히로시마현 사에키구기후현의 나가라강, 이비강 등에서도 확인되었다[62][63]

5. 2. 사육

중국 장수도롱뇽은 중국 농장에서 대량으로 사육되지만, 번식용 개체(부모)는 종종 야생에서 포획된다.


중국에서는 매우 많은 수의 중국장수도롱뇽이 축산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번식용 개체는 야생에서 포획되거나 1세대 사육된 개체이다.[33] 이는 관련 산업이 비교적 새롭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부 농장에서는 2세대 사육 개체를 생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34] 등록된 통계에 따르면 2011년 산시성에서만 260만 마리의 중국장수도롱뇽이 농장에서 사육되었는데, 이는 5만 마리 미만으로 추정되는 중국 전체 야생 개체수를 훨씬 넘어서는 규모이다.[33] 산시성 농장(주로 친링 산맥 지역)은 2012년 중국 전체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했으며, 구이저우성을 비롯한 다른 여러 성에도 농장이 있다.[34] 2010년 산시성 남부의 43개 농장을 조사한 결과, 38개 농장이 이 종을 사육하고 있었으며, 각 농장에서는 그해 평균 약 10,300마리의 유생을 생산했다.[34] 산시성 친링 산맥 지역에서는 중국장수도롱뇽 사육, 약초 재배, 버섯 재배가 세 가지 가장 중요한 경제 활동이며, 수천 가구가 중국장수도롱뇽 농장을 통해 소득을 얻고 있다.[34]

중국장수도롱뇽 사육은 주로 식량 시장 공급을 목적으로 하지만,[15] 이것이 야생 개체군에 대한 압력을 줄이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2] 중국 정부는 사육된 개체의 방생을 지원하고 있으며(2011년 산시성에서만 8,000마리 방생), 이는 야생 개체군 보존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그러나 많은 농장에서 ''라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이 보고되고 있어, 방생 과정에서 남아있는 야생 개체군에게 질병을 전파할 위험이 있다.[33][34] 2018년 연구에 따르면, 사육되는 개체의 대다수(약 80%)가 황하 유역 기원(단배체형 B)이며 다른 지역 출신 개체들도 섞여 있다. 농장에서 방생 시 이러한 유전적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아, 특정 지역(황하) 개체들이 원래 서식 범위를 벗어난 지역에서 우세해지면서 고유한 지역 개체군을 위협하는 유전자 오염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8] 또한, 농장에서 처리되지 않은 폐수를 방출하는 것 역시 야생 개체군에게 질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된다.[34]

런던 동물원에 전시된 중국장수도롱뇽


중국 외 지역의 동물원에서도 중국장수도롱뇽을 사육하고 있다. 2008년 초 Species360 기록에 따르면 미국 동물원(애틀랜타 동물원, 신시내티 동물원, 세인트루이스 동물원)에 5마리, 유럽 동물원(드레스덴 동물원, 로테르담 동물원)에 4마리가 있었다.[35] 카를스루에 주립 자연사 박물관에서도 1마리를 사육 중이며, 이 개체는 박물관의 마스코트이기도 하다.[36] 2019년 기준, 런던 동물원은 2016년 불법 수입 과정에서 압수된 4마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한 마리를 전시하고 있다.[37] 스테인하트 수족관(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에서는 약 약 0.91m 길이의 중형 개체를 수년간 사육했으며, 현재 신축된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 건물의 "워터 플래닛" 구역에 전시 중이다.[38] 로스앤젤레스 동물원에도 2마리가 있다. Species360에 등록되지 않았지만 상하이 동물원 등 중국 내 동물원과 상하이, 시안의 수족관에도 다수의 개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오사카 가이유칸 수족관과 사이타마 수족관(사이타마현 하뉴시), 우에노 동물원에서도 중국장수도롱뇽을 전시하고 있다. 2014년 5월부터는 프라하 동물원에서 3마리의 성체를 포함한 33마리를 사육하고 있으며, 이 중 길이가 155cm에 달하는 개체는 유럽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중국장수도롱뇽을 식용 및 미용품 원료로 사용하며 가죽도 이용한다.[55] 식용 시에는 자양강장, 빈혈 방지, 월경 불순 등에 효능이 있다고 여겨진다.[55] 중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양식이 시작되었고, 1970년대에는 사육 상태에서의 번식에 성공했다.[55] 규정에 따라 사육 하에서 번식된 3세대 이후의 개체만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55]

1975년 워싱턴 조약 발효 시점부터 장수도롱뇽속 전체가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엄격히 제한된다.[52]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는 2010년 기준 국가 II급 중점 보호 야생 동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사육 번식 및 판매에도 허가가 필요하다.[55] 야생 개체의 식용 금지, 번식기 포획 제한, 보호구역 설정 등의 보호 대책이 추진되고 있다.[55]

5. 3. 도입 및 외래종 문제

타이완에서 발견되는 중국장수도롱뇽은 도입종일 가능성이 있지만, 정확한 분류학적 정체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

일본에서는 교토부에 도입되었으며,[10] 이곳에서 토종 일본장수도롱뇽과의 잡종화가 진행되어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10] 가모가와 수계의 장수도롱뇽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중국장수도롱뇽 및 이와 일본장수도롱뇽 간의 종간 잡종이 확인되었다.[55] 이러한 교잡종은 이후 히로시마현 사에키구기후현나가라강이비강에서도 발견되었다.[62][63] 2024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일본에 도입되어 일본장수도롱뇽(''A. japonicus'')과 잡종화된 중국 ''Andrias'' 종은 주로 '진짜' 중국장수도롱뇽(''A. davidianus'', 양쯔강 계통군)이지만, 이전까지 사육 상태에서만 알려졌던 계통(U1)의 유전적으로 순수한 개체도 최소 한 마리 이상 야생에서 발견되었다.[5]

중국 내에서도 사육된 개체들의 무분별한 방생으로 인해[1] 각 지역 계통군의 유전자 풀이 교란되는 유전자 오염 문제가 심각하다.[55] 중국 내에서 실시된 유전자 조사 결과, 실제 서식하는 수계와 유전자 분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인위적인 이입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55] 2022년 연구에서는 유전적으로 순수한 개체군이 야생에 존재하는 종은 장시성에서 발견된 ''A. jiangxiensis''뿐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9] 주강 유역에 서식하던 ''A. sligoi''는 야생에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며, 일본에서 사육되던 개체가 해당 종으로 밝혀졌으나 생존 개체는 수컷뿐이다.[61]

6. 보존 상태

중국장수도롱뇽은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다. 과거 중국 전역에 비교적 흔하게 분포했으나,[1] 1950년대 이후 서식지 파괴남획 등 인간 활동으로 인해 지난 3세대 동안 개체수가 80% 이상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간의 소비가 주요 위협 요인으로, 중국에서 고급 식재료이자 전통 의학의 원료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이 종을 국가 2급 중점 보호 야생 동물로 지정하고[55] 1980년대 이후 14개의 자연보호구역을 설립하는 등[30] 보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법 포획(후핑산 자연보호구역에서 연 100마리 사냥)[30]과 서식지 파괴가 지속되어 개체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칭하이성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조사 결과 개체가 발견되지 않아 지역적 멸종 가능성까지 제기되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채광 활동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0] 또한, ''라나바이러스'' 감염병(중국장수도롱뇽 이리도바이러스, GSIV) 유행도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41]

국제적으로는 1975년 워싱턴 조약(CITES) 발효 시점부터 장수도롱뇽속 전체가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엄격히 제한된다.[52]

중국 내에서는 식용 및 상업적 목적으로 대규모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번식을 위해 야생 개체를 포획하는 경우가 많고,[33][34] 사육 과정에서 발생한 질병이 야생으로 퍼질 위험이 있다.[33][34] 특히, 지역 고유의 유전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양식된 개체들을 무분별하게 방생하면서 심각한 유전자 오염이 발생했다.[8][55] 유전자 분석 결과, 현재 야생에서 유전적으로 순수한 개체군은 ''A. jiangxiensis'' 종만이 확인될 정도로[59] 유전자 오염이 광범위하게 진행되었으며, ''A. sligoi'' 종은 야생에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61]

한편, 일본에서는 가모가와 수계 등지에서 중국장수도롱뇽 및 일본 고유종인 일본장수도롱뇽과의 종간 잡종이 발견되어 외래종 문제가 되고 있다.[55][62][63]

6. 1. 위협 요인





과거 중국장수도롱뇽은 중국에서 비교적 흔하고 널리 분포했으나,[1] 1950년대 이후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중국장수도롱뇽을 심각한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으로 분류했으며, 이는 지난 3세대 동안 인간 활동으로 인해 80% 이상 개체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서식지 파괴중국장수도롱뇽의 자연 서식지는 지난 수십 년간 심각한 파괴를 겪었다. 2000년까지 서식지의 90%가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14]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건설 및 산업화: 자유롭게 흐르는 계류에 서식하는 장수도롱뇽에게 댐 건설은 서식지를 말라버리게 하거나 흐름을 막아 큰 위협이 된다.[14] 과거 건설된 콘크리트 댐은 서식지를 파괴했지만, 최근에는 도롱뇽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이 설치되기도 한다.[42]
  • 수질 오염: 광산 활동으로 인한 오염 물질 유출, 농업 활동에 사용되는 살충제와 화학 물질 유입은 수질을 심각하게 악화시킨다.[44] 계류 내 다량 영양소 유입은 녹조 현상을 유발하여 물을 탁하게 만들고 수온을 상승시키며, 물 속 산소 농도를 감소시킨다.[44] 장수도롱뇽은 피부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므로 수질 저하는 생존에 치명적이다.[14][43]
  • 산림 벌채 및 토사 퇴적: 계류 주변 지역의 산림 벌채는 토양 침식을 유발하고 유출을 증가시켜 계류로 토사가 흘러 들어가 물을 오염시키고 서식 환경을 파괴한다.[14]
  • 채광 활동: 칭하이성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채광 활동 증가가 개체수 감소 또는 지역적 멸종의 원인으로 지목된다.[30]

남획 및 불법 포획인간의 소비는 중국장수도롱뇽의 주요 위협 요인이다. 중국에서 고급 식재료이자 전통 의학의 재료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 식용 및 약용 목적: 중국 토종 양서류의 75%가 식용으로 채집되며, 장수도롱뇽 역시 자양강장, 빈혈 방지 등의 효능이 있다고 믿어져 불법 포획이 성행한다.[55]
  • 법적 보호 미흡: 1989년 중국 정부는 이 종을 국가 2급 보호 야생 동물로 지정하고 워싱턴 조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하여 국제 거래를 금지했지만,[45][46] 불법 포획에 대한 처벌은 50CNY (약 6USD) 정도로 매우 낮아 실효성이 거의 없다. 이는 암시장 가격(1kg당 최대 250USD–400USD)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은 수준이다.[40]
  • 사냥 방법: 활갈고리라 불리는 대나무와 날카로운 갈고리로 만든 도구나 살충제를 이용하여 포획하거나 죽이는 경우가 많다.
  • 사육 농장 수요: 상업적 사육을 위해 야생 개체를 불법 포획하는 경우도 많다.

사육 산업의 문제점중국에서는 많은 수의 장수도롱뇽이 농장에서 사육되고 있지만(2011년 산시성에서만 260만 마리 이상),[33]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야생 개체 의존: 대부분의 번식용 개체는 야생에서 포획되거나 1세대 사육 개체이며, 2세대 이상 사육에 어려움을 겪는 농장이 많다.[33][34] 이는 야생 개체군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한다.
  • 질병 전파 위험: 많은 농장에서 ''라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이 발생하며, 사육 개체를 방생하거나 농장에서 처리되지 않은 폐수를 방출할 경우 야생 개체군에 질병이 확산될 위험이 크다.[33][34]
  • 유전자 오염: 2018년 연구에 따르면 사육 개체의 약 80%가 황하 기원(단배체형 B)이며, 다른 지역 고유 유전자형과 구분 없이 방생되어 원래 서식지가 아닌 곳에서 황하 개체군이 우세해지는 등 유전자 오염 문제가 심각하다.[8][55] 2022년 연구에서는 유전적으로 순수한 야생 개체군은 ''A. jiangxiensis'' 종만 남았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9]

질병최근 몇 년간 ''라나바이러스'' 감염 유행으로 개체수가 감소했다. 이 바이러스(중국장수도롱뇽 이리도바이러스, GSIV)는 어린 개체와 성체 모두에게 심각한 출혈을 일으킨다.[41]
기후 변화중국장수도롱뇽은 변온 동물로 수온 변화에 민감하다. 수온이 20°C 이상으로 올라가면 먹이 섭취를 멈추고, 28°C에서는 거의 중단하며, 35°C는 치명적이다.[10] 따라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은 이 종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된다.[10]
보존 노력의 한계1980년대 이후 14개의 자연보호구역이 설립되는 등 보호 노력이 있었지만,[30] 불법 포획이 계속되고 서식지 파괴가 심화되면서 개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보호 구역 내에서도 매년 불법 사냥이 발생하며(후핑산 자연보호구역에서 연 100마리),[30] 최근 조사에서는 야생 개체를 거의 발견하지 못해 많은 지역에서 심각하게 고갈되거나 멸종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47][49] 다만, 조사의 완전성에 대한 반론도 존재하며, 중국 ''Andrias'' 속의 정확한 멸종 정도는 불확실하다.[50] 인위적인 이입으로 인한 유전자 오염 역시 보존 노력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55]
기타일본에서는 가모가와 수계 등지에서 중국장수도롱뇽 및 일본 고유종과의 잡종이 발견되어 외래종 문제가 되고 있다.[55][62][63] ''A. sligoi'' 종은 야생에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61]

6. 2. 보호 노력



과거 중국장수도롱뇽은 중국에서 비교적 흔하고 널리 분포했으나,[1] 1950년대 이후 서식지 파괴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중국 정부는 이 도롱뇽을 2급 보호종으로 지정하고,[30] 1980년대 이후 14개의 자연보호구역을 설립하는 등[30] 보호 노력을 기울여 왔다. 1975년 워싱턴 조약(CITES) 발효 시점부터 장수도롱뇽속 전체가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 대상이기도 하다.[52]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체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후핑산 자연보호구역에서만 매년 100마리의 도롱뇽이 불법적으로 사냥당하고 있으며,[30] 최근 칭하이성에서는 조사 결과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아, 개체수가 현저히 낮거나 지역적으로 멸종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채광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0] 또한 ''라나바이러스''(Ranavirus) 감염병이 유행하면서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 바이러스는 중국장수도롱뇽 이리도바이러스(GSIV)로 명명되었으며, 어린 개체와 성체 모두에게 심각한 출혈을 유발한다.[41] 결과적으로 중국장수도롱뇽은 심각한 멸종 위기 종으로 지정되었으며, 지난 3세대 동안 인간 활동으로 인해 개체수가 8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위협 요인은 식용 및 전통 의학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인간의 소비이다.

중국 내에서는 식용 및 전통 의학 재료 확보를 목적으로 대규모 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33] 산시성에서만 2011년에 260만 마리가 넘는 개체가 농장에서 사육되었는데, 이는 5만 마리 미만으로 추정되는 전국 야생 개체수를 훨씬 웃도는 수치이다.[33] 산시성 농장은 2012년 중국 전체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했으며,[34] 구이저우성 등 다른 여러 성에도 농장이 존재한다.[34] 산시성 친링 산맥 지역에서는 중국장수도롱뇽 사육이 약초, 버섯 재배와 함께 3대 경제 활동 중 하나로, 수천 가구가 이에 의존하고 있다.[34]

정부는 사육된 개체의 방생을 지원하지만(2011년 산시성에서만 8,000마리 방생),[33] 이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번식용 개체는 여전히 야생에서 포획되거나 1세대 사육 개체에 의존하고 있어[33] 야생 개체군에 대한 압력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2] 둘째, 많은 농장에서 ''라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이 발생하고 있어, 방생 시 남아있는 야생 개체군에 질병을 퍼뜨릴 위험이 있다.[33][34] 농장에서 처리되지 않은 폐수 방출 역시 질병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34] 셋째, 사육 개체의 대다수(약 80%)가 황하 기원(단배체형 B)인데,[8] 지역적 유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방생으로 인해 다른 지역 고유종의 유전자 오염이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8][55] 2022년 기준, 유전적으로 순수한 개체군이 야생에 존재하는 종은 ''A. jiangxiensis''뿐이며,[59] ''A. sligoi''는 야생에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61]

서식지 복원 노력의 일환으로, 과거 도롱뇽의 이동을 막았던 콘크리트 댐에 도롱뇽이 쉽게 지나갈 수 있도록 계단을 설치하기도 했다.[42]

한편, 일본에서는 가모가와 수계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중국장수도롱뇽 및 일본장수도롱뇽과의 종간 잡종이 발견되었으며,[55] 이후 히로시마현 사에키구, 기후현의 나가라강과 이비강 등에서도 교잡종이 확인되어 외래종 유입 및 교잡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62][63]

참조

[1] 논문 "''Andrias davidianus''" "[[IUCN]]" 2023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 Andrias davidianus (Blanchard, 1871) http://research.amnh[...] Research.amnh.org 2010-02-04
[4] 웹사이트 "''Andrias davidianus''" http://amphibiaweb.o[...]
[5] 논문 Discovery of ex situ individuals of Andrias sligoi, an extremely endangered species and one of the largest amphibians worldwide 2024-01-31
[6] 웹사이트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http://www.chinesegi[...]
[7] 웹사이트 Creating a Future for Wild Chinese Salamanders http://www.sospecies[...] 2016-07-08
[8] 논문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exemplifies the hidden extinction of cryptic species
[9] 웹사이트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5.2. Genus ''Andrias'' 2008-12-28
[10] 논문 The giant salamanders (Cryptobranchidae): Part B. Biogeography, ecology and reproduction http://www.redlist-a[...] 2014
[11] 논문 Historical museum collections clarify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ryptic species radiation in the world's largest amphibians
[12] 웹사이트 欢迎访问动物学杂志 http://dwxzz.ioz.ac.[...] 2023-11-21
[13] 논문 Discovery of a wild, genetically pure Chinese giant salamander creates new conservation opportunities 2022-05-18
[14] 웹사이트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http://www.arkive.or[...] 2014-10-23
[15] 문서 "''Andrias davidianus'' (Blanchard, 1871)" http://salamandersof[...] "''Salamanders of China''" 2016-02-23
[16]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Sterling Pub Co Inc. 1983
[17] 웹사이트 Newly described Chinese giant salamander may be world's largest amphibian https://news.mongaba[...] 2019-09-17
[18] 웹사이트 重庆现百斤野生娃娃鱼 年龄或超200岁(图) http://fj.people.com[...] 2015-12-04
[19] 서적 A Natural History of Amphibia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뉴스 Largest Base for Endangered Giant Salamander Underway http://www.china.org[...] Xinhua News Agency 2006-08-18
[21] 웹사이트 World's Weirdest Creatures http://www.noeman.or[...] Noeman.org 2010-02-04
[22] 논문 Biomechanics and hydrodynamics of prey capture in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reveal a high-performance jaw-powered suction feeding mechanism 2013-05-06
[23] 논문 3D Bite Modeling and Feeding Mechanics of the Largest Living Amphibian,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Amphibia:Urodela) 2015-04-08
[24] 논문 Heterogeneous vesicles in mucous epithelial cells of posterior esophagus of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https://www.ejh.it/i[...] 2015-08-25
[25] 논문 Differential Proteomic Analysis of Chinese Giant Salamander Liver in Response to Fasting 2020-03-18
[26] 논문 Observation of the Breeding Behavior of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aianus'') Using a Digital Monitoring System 2018
[27] 논문 Mechanisms of Caspases 3/7/8/9 in the Degeneration of External Gills of Chinese Giant Salamanders (Andrias davidianus) 2022-07-29
[28] 웹사이트 This Giant Salamander Isn't 200 Years Old, But It's Still Super Rare http://news.national[...] 2015-12-16
[29] 웹사이트 "''Andrias cheni'' Xu, Gong, Li, Jiang, Huang, and Huang, 2023" https://amphibiansof[...]
[30] 논문 A survey for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Blanchard, 1871) in the Qinghai Province http://amphibian-rep[...]
[31] 논문 Habitat characteristics of ''Andrias davidianus'' in Zhangjiajie of China
[32] 문서 Conservation status of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Chengdu Institute of Bi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hengdu, Sichuan Province, China. 2010
[33] 뉴스 Chinese Giant Salamander: millions farmed, nearly extinct in the wild http://news.mongabay[...] 2015-11-13
[34] 논문 Development of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farming industry in Shaanxi Province, China: conservation threats and opportunities. http://discovery.ucl[...]
[35] 웹사이트 Andrias davidianus in zoos https://archive.toda[...] isis.org
[36] 웹사이트 State Museum of Natural History Karlsruhe - terrarium exhibits https://www.smnk.de/[...]
[37] 뉴스 Zoo unveils smuggled giant salamander https://www.bbc.com/[...] BBC 2019-04-03
[38] 웹사이트 Exhibits of th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http://www.calacadem[...] Calacademy.org 2010-02-04
[39] 웹사이트 Zoo Praha ukáže největšího velemloka v Evropě http://www.novinky.c[...] 2014-05-27
[40] 웹사이트 Chinese giant salamander conservation http://www.zsl.org/c[...] 2015-11-30
[41] 논문 Pathological and microbiological findings from mortality of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2014
[42] 웹사이트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http://www.edgeofexi[...] 2013-12-02
[43] 뉴스 Giant salamander: Human threat, human promise http://news.bbc.co.u[...] 2015-11-30
[44] 웹사이트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http://edgeofexisten[...]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3-12-02
[45] 논문 Genetic diversity of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based on the novel microsatellite markers
[46] 논문 The decline of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Andrias davidianus'' and implications for its conservation
[47] 논문 Imminent extinction in the wild of the world's largest amphibian 2018-05-21
[48] 논문 Chinese giant salamanders being eaten into extinction https://www.cnet.com[...] 2018-05-22
[49] 논문 Human demand pushes Chinese giant salamander to brink of extinction, study says https://www.cbsnews.[...] 2018-05-22
[50] 논문 Discovery of a wild, genetically pure Chinese giant salamander creates new conservation opportunities 2022-05-18
[51] 문서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https://cites.org/si[...]
[52] 간행물 Andrias davidianus https://www.speciesp[...] UNEP 2020
[53] 간행물 Andrias davidianus https://doi.org/10.2[...] 2004
[54] 웹사이트 Andrias davidianus https://amphibiansof[...]
[55] 서적 オオサンショウウオ科 チュウゴクオオサンショウウオ クリーパー社 2010
[56] 웹사이트 チュウゴクオオサンショウウオ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2021-12-01
[57] 논문 The Chinese giant salamander exemplifies the hidden extinction of cryptic species https://doi.org/10.1[...] 2018-05
[58] 논문 Historical museum collections clarify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ryptic species radiation in the world's largest amphibians, https://doi.org/10.1[...]
[59] 논문 Discovery of a wild, genetically pure Chinese giant salamander creates new conservation opportunities https://www.zoores.a[...] 2022-05-18
[60] 웹사이트 Andrias cheni Xu, Gong, Li, Jiang, Huang, and Huang, 2023 {{!}}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https://amphibiansof[...] 2024-06-12
[61] 논문 Discovery of ex situ individuals of Andrias sligoi, an extremely endangered species and one of the largest amphibians worldwide https://www.nature.c[...] 2024-01-31
[62] 웹사이트 オオサンショウウオと外来種との交雑個体 広島で発見相次ぐ https://web.archive.[...] NHK 2022-10-13
[63] 웹사이트 清流・長良川のオオサンショウウオ ~オオサンショウウオの生息条件の解明~ https://giahs-ayu.jp[...] 2024-01-29
[64] 저널 Andrias davidianus IUCN 2004
[65] 문서 Andrias davidianus (Blanchard, 1871) 중국장수도롱뇽
[66] 웹사이트 Andrias davidianus http://amphibiaweb.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