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집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집권은 권한이 중앙의 한 지점이나 한 사람에게 집중되는 것을 의미하며, 정치, 경제, 기업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고대 중국의 진나라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한국 역사에서는 고조선, 삼국시대부터 중앙집권화 경향이 나타나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강화되었다.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중앙집권적인 경향이 지속되었다. 중앙집권화는 신속한 의사결정과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역 불균형, 정부 비효율, 민주주의 쇠퇴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현대에는 프랑스가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로 여겨지며, 한국 역시 대통령 중심의 중앙집권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문화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 정치 문화 - 아나키즘
    아나키즘은 국가와 권위에 반대하며 다양한 분파로 나뉘는 정치 철학으로, 사회적 아나키즘은 생산 수단의 사회화를,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며, 21세기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국가 부재 시의 문제점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정치사 - 숙청
    숙청은 특정 조직이나 지역에서 개인이나 집단을 제거하는 행위로, 좁게는 독재 국가 등에서 반대파 제거를 위한 폭력 행위를, 넓게는 조직 내에서 사회적 지위 박탈, 해고 등의 행위를 포함하며, 주로 체제 유지를 위해 발생한다.
  • 정치사 - 섭정
    섭정은 군주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권한을 대신 행사하는 직책이며, 한국사에서는 대리청정이나 수렴청정으로 불리고 동서양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정책 - 과학 정책
    과학 정책은 국가가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수립하는 정책으로, 공공 사업 및 과학 자금 지원에 영향을 미치며,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 혁신 정책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 정책 - 개인정보처리방침
    개인정보처리방침은 개인 정보의 수집, 이용, 제공 등에 대한 기업이나 조직의 정책을 명시한 문서로, 컴퓨터 기술 발전과 함께 개인 정보 보호 필요성이 커지면서 각국에서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으나, 효용성과 소비자의 이해도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중앙집권
지도 정보
개요
정의권한과 통제가 더 집중되는 과정
영어Centralization
특징
권력 집중소수의 개인이나 집단에 권한 집중
의사 결정중앙에서 결정
자원 배분중앙에서 자원 배분
사회과학에서의 중앙집권화
정치정치 권력 집중
정치 체제의 변화
경제경제 자원 집중
경제 시스템 변화
시장 메커니즘의 약화
사회사회적 영향력 집중
사회 구조의 변화
행정행정 권한 집중
장점
효율성빠른 의사 결정 및 정책 집행
책임 소재 명확화책임 소재 명확
일관성정책 및 서비스 일관성 유지
규모의 경제대규모 생산 및 운영 효율성 향상
전문성 활용전문 지식 및 자원 집중
단점
관료주의의사 결정 지연 및 비효율성 발생 가능
경직성변화에 대한 적응력 저하
정보 왜곡하향식 정보 전달 과정에서 정보 왜곡 가능성
지역 불균형 심화지역 자율성 및 다양성 저해
권력 남용 가능성소수 집단에 의한 권력 남용 가능성
참여 감소의사 결정 과정에서 대중 참여 감소
다른 형태와의 비교
분권화권한이 여러 단위로 분산 (반대 개념)
탈중앙화권한이 네트워크 형태로 분산 (더욱 분산된 형태)
분야별 중앙집권화
정부중앙 정부가 권한 집중 (예: 단일 정부)
기업기업 내 의사 결정 권한을 소수 경영진이 집중
정보 시스템중앙 서버에 데이터 및 제어 집중
역사적 사례
절대 군주제군주에게 권력 집중
제국주의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지 지배
독재 정권독재자에게 권력 집중
계획 경제중앙 정부가 경제 계획 및 자원 배분 결정

2. 정치적 중앙집권화

정치적 중앙집권화는 의사결정 권한이 중앙 정부에 집중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중앙집권적인 행정 시스템이나 조직에서는 조직 전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나의 의사결정 조직이 전체를 통괄·관리한다. 피라미드형 계층 구조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층이 재원과 결정권을 가지고, 하층으로 갈수록 기능이 세분화되거나 재원과 결정권이 작게 제한되고, 상하 방향의 통제가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의하달과 정보 수집 기관으로서 중간 조직이 형성되며, 특히 행정에서의 중앙집권에서는 지방 기관(출장소)이 많이 설치된다.

역사적으로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은 순환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러 세력이 분립하여 그중 큰 힘을 가진 자가 나타나 다른 세력을 지배하에 두고 중앙집권 국가가 형성된 후, 중앙에 의해 형성된 하부 조직 안에 유력한 자가 나타나 중앙의 권한이 축소되고 여러 세력으로 분산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근대 이전에는 국왕 중심의 군주제 국가가 중앙집권 체제를 이루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대에는 대통령 중심의 공화제 국가에서도 중앙집권 현상이 나타난다.

고대 국가 (고조선, 삼국시대)부터 중앙집권화 경향이 나타났으며, 고려조선 시대를 거치며 강화되었다.

2. 1. 권위의 중앙집중화

권위의 중앙집중화는 조직 내 권한이 중앙의 한 지점이나 한 사람에게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집중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은 중국의 진나라에서 처음 등장했다. 진나라 정부는 진시황을 섬기는 관료들의 계급에 의해 운영되는 등 매우 관료적이었다. 진나라에서는 한비자가 가르친 모든 것을 실천하여 진시황이 정복한 다른 나라의 영토를 포함한 모든 영토를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게 했다. 진시황과 그의 참모들은 중앙집중화되고 관료적인 정부 아래 엄격한 권력 중앙집중화를 통해 새로운 법률과 규정을 제정하여 중국의 봉건제를 종식시켰다.[2]

중앙집중식 건강 추적 시스템 다이어그램 (프랑스어)


이상적으로는 소수의 개인이 의사결정권을 가지게 된다. 중앙집권적인 행정 시스템이나 조직에서는 조직 전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극의 의사결정 조직이 전체를 통괄·관리한다. 피라미드형의 계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층이 재원과 결정권을 가지고, 하층으로 갈수록 기능이 세분화되거나 재원과 결정권이 작게 제한되고, 상하 방향의 통제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가진다.

역사는 일반적으로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순환이다. 여러 세력이 분립하여 그중 큰 힘을 가진 자가 나타나 다른 세력을 지배하에 두고 중앙집권 국가가 형성된 후, 중앙에 의해 형성된 하부 조직 안에 유력한 자가 나타나 중앙의 권한이 축소되고 여러 세력으로 분산되는 순환이 많이 보인다.

근대 이전에 성립한 중앙집권 국가에서는 최고 권력자를 국왕 등으로 하는 군주제 국가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반면, 현대에 성립한 국가에서는 최고 권력자를 대통령 등으로 하는 공화제 국가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고대 국가 (고조선, 삼국시대)부터 중앙집권화 경향이 나타났으며, 고려조선 시대를 거치며 강화되었다.

2. 1. 1. 고대 중국 정부의 중앙집권화 특징

고대 중국 정부에서 군주권은 제국 최고의 권력이었다. 황제는 국가의 모든 자원을 독점했고, 그의 성격과 능력이 국가의 번영을 결정했다. 이러한 독재는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고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복잡한 해결책을 피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한 가지 단점은 황제의 총애를 얻기 위해 경쟁하는 신하들이 스스로 권력을 축적하여 내분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3]

행정부는 중앙집권적인 권력을 갖고 있었다. 각 관료주의 직책의 임무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관리들이 정부를 운영하고 사실상 국가를 통치하면서 비효율성이 발생했다.

2. 1. 2. 한국 역사에서의 중앙집권화

고대 국가(고조선, 삼국시대)부터 중앙집권화 경향이 나타났으며, 고려조선 시대를 거치며 강화되었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가 구축되었으며, 이는 왕권 강화와 관료제를 통해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 통치를 위한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가 구축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중앙집권적인 경향은 지속되었으며, 특히 박정희 정부 시기에는 경제 개발을 위한 강력한 중앙집권화가 이루어졌다. 현재는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중앙 정부의 권한이 강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 2. 권위의 중앙집중화의 장단점

권위의 중앙집중화는 조직 내에서 의사 결정 권한이 중앙에 집중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중앙집중화는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가진다.
장점

  • 책임과 의무의 명확성: 중앙집중화된 조직에서는 책임과 의무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어,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15]
  • 신속한 의사 결정: 의사 결정이 중앙에서 이루어지므로, 의사 결정 과정이 매우 직접적이고 명확하며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4]
  • 국가적 통일성 확보: 중앙 정부는 국가 전체의 이익을 고려하여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므로, 국가적 차원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5]

단점

  • 의사 결정 오류 가능성: 소수의 의사 결정권자에게 권한이 집중되므로, 의사 결정 과정에서 오류나 오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하위 부서는 의사 결정 권한이 없어, 효율적이고 조직적인 상위 부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진다.[15]
  • 지역 간 불균형: 중앙 정부 중심의 정책 결정은 각 지역의 특수한 상황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15]
  • 정부 비효율: 업무 정보 전달이 지연될 경우, 정부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15]
  • 민주주의 쇠퇴: 중앙집권화는 지방 및 지역 차원의 참여를 제한하여, 중앙 정부의 권력 남용과 부패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지역 지식과 전문성을 활용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6][7]


고대 중국의 경우, 황제는 국가의 모든 자원을 독점하고, 그의 성격과 능력이 국가의 번영을 결정했다. 이러한 전제군주제는 의사 결정 속도를 높였지만, 황제의 총애를 얻기 위한 신하들의 권력 다툼으로 내분이 발생하기도 했다.[3] 또한, 행정부는 중앙집권적인 권력을 가졌지만, 각 관료 직책의 임무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 관리들이 정부를 운영하고 사실상 국가를 통치하면서 비효율성이 발생했다.

중앙집권적인 행정 시스템이나 조직에서는 피라미드형의 계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층이 재원과 결정권을 가지고, 하층으로 갈수록 기능이 세분화되거나 재원과 결정권이 작게 제한되고, 상하 방향의 통제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가진다.

3. 경제적 중앙집권화

중앙집중식 대 분산식 수자원 부문 설계 비교도


중앙식 에어컨 장치


경제적 중앙집권화는 경제 활동과 자원이 중앙에 집중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레닌은 저서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대기업에서의 생산의 현저하고 급속한 집중은 자본주의의 가장 특징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라고 언급했다.[8] 그는 생산이 개별적이고 흩어져 있는 작은 작업장에서 대규모 공장으로 중앙 집중화되면서 자본주의가 세계로 이끌었다고 보았다. 이러한 생산 집중은 특정 수준에 이르면 카르텔, 신디케이트, 트러스트와 같은 독점 형태로 발전할 수 있다.[8]

3. 1. 생산 집중과 자본주의의 관계

V.I. 레닌은 저서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점점 더 커지는 기업으로의 생산 집중의 현저히 빠른 속도는 자본주의의 가장 특징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라고 주장했다.[8] 레닌은 생산의 발전을 연구하여 개별적이고 분산된 소규모 작업장에서 대규모 공장으로 중앙 집중화된 체계로 생산 개념을 발전시켰으며, 이것이 자본주의를 세계로 이끌었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생산 집중이 특정 수준으로 발전하면 카르텔(Cartel), 신디케이트(Syndicate), 트러스트(Trust)와 같은 정당 조직과 같은 독점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8]

  • 카르텔(Cartel) - 경제학에서 카르텔은 시장에서 가격을 통제하거나 새로운 경쟁자의 진입을 배제하기 위해 경쟁 업체 간에 체결된 협정이다. 다양한 전술을 사용하여 판매 가격, 구매 가격을 고정하거나 생산량을 줄이기로 합의한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공식 조직이다.[9]
  • 신디케이트(Syndicate) - 신디케이트는 특정 사업을 거래하거나 공유된 이익을 추구하거나 증진하기 위해 결성된 개인, 회사, 기업 또는 단체로 구성된 자기 조직적인 그룹이다.
  • 트러스트(Trust) - "트러스트는 ... 단순히 한 사람이 토지 또는 동산이든 재산의 소유권을 다른 사람(수익자라고 함)의 이익을 위해 보유하는 경우이다. 이보다 더 일반적이고 유용한 것은 없다. 그러나 이 단어는 이제 특정 유형의 상업 계약에 느슨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그 영향에 대한 대중적이고 비합리적인 공포 때문에 그 용어 자체가 오염되었다."[10]

3. 2. 한국 경제의 중앙집중화

한국 경제는 대기업 중심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경제력 집중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 구조는 V.I. 레닌이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생산 집중이 특정 수준으로 발전하면 카르텔, 신디케이트, 트러스트와 같은 독점 형태로 이어진다는 점을 보여준다.[8]

  • 카르텔(Cartel): 시장에서 가격을 통제하거나 새로운 경쟁자의 진입을 막기 위해 경쟁 업체 간에 맺는 협정이다. 판매 가격, 구매 가격을 고정하거나 생산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9]
  • 신디케이트(Syndicate): 특정 사업을 거래하거나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결성된 개인, 회사, 기업, 단체의 자발적인 조직이다.
  • 트러스트(Trust): 한 사람이 다른 사람(수익자)의 이익을 위해 재산 소유권을 보유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특정 유형의 상업 계약을 의미한다.[10]


중앙집중화는 정보 흡수 능력 저하나 상층부의 판단 능력 저하로 이어져 기능 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하부 조직은 결정권이 없으므로 중앙 조직이 건전하게 기능해야만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대에서 소로"의 서열 때문에 상층(국가)의 입장과 결정권이 우선시되고, 하층(도시나 마을)의 입장과 결정권은 경시되기 쉽다. 이는 업무 획일화와 개별 사안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어렵게 만든다.

현장에 주어지는 책임과 권한이 제한되어 조직 간의 연계가 약해지고, 조직을 횡단하는 업무에서 정보 전달 지연, 업무 지연, 비효율화가 발생하기 쉽다. 이는 "칸막이 행정의 폐해"로 불리기도 한다.

특히 한국의 경우 수도권에 경제 활동과 자원이 집중되어 지방과 중앙 간의 정보 격차와 경제 격차가 심각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균형 발전을 추구하는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정책 방향과도 배치된다.

4. 기업 경영에서의 중앙집권화

기업 경영에서 중앙집권화는 의사 결정 권한이 최고 경영진에게 집중되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에서 의사 결정 권한이 어디에 있는지는 기업이 다루어야 할 조직적인 문제이다. 핵심 질문은 권한이 기업의 중심에서 모든 것을 관리해야 하는지(중앙집중화), 아니면 중심에서 멀리 위임해야 하는지(분권화) 여부이다.[16]

많은 대기업은 여러 곳에서 운영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사업부와 시장이 추가될 때 어느 정도의 분권화와 중앙 집중화를 수반한다.[11] 2021년 연구에 따르면, 세계 금융 위기 이전에 중앙 본부에서 지역 공장 관리자에게 더 많은 권한을 위임한 기업은 그 이후 위기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부문에서 중앙 집중화된 기업보다 성과가 더 좋았다.[12]

4. 1. 중앙집권적 경영의 특징

최고 경영진이 의사 결정 권한을 집중 보유한다. 실행은 다른 수준의 경영진의 도움을 받아 최고 경영진이 결정한다. 하위 관리자는 최고 관리자가 지시하고 통제하는 직무를 수행한다.[16]

중앙집권적인 행정 시스템이나 조직에서는 조직 전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극의 의사결정 조직이 전체를 통괄·관리한다.

피라미드형의 계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층이 재원과 결정권을 가지고, 하층으로 갈수록 기능이 세분화되거나 재원과 결정권이 작게 제한되고, 상하 방향의 통제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가진다.

또한, 상의하달과 정보 수집 기관으로서 중간 조직이 형성된다. 특히, 행정에서의 중앙집권에서는 지방 기관(出先機関)이 많이 설치된다.

이러한 형태를 취하는 행정 제도나 조직의 특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 상층부에서는 전체적인 정보를 쉽게 수집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하기 용이하다. 또한,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적으로 일률적인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 명령의 상명하달과 권한의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결정과 실행 사이의 확실성이 높아지고 책임 소재도 명확해진다.
  • 전반적으로 소수의 의사결정자에게는 행동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 통일적인 판단에 의해 규모의 경제가 발휘된다.

4. 2. 한국 기업의 중앙집권적 경영

한국의 대기업은 주로 중앙집권적인 경영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빠른 의사 결정과 강력한 추진력을 가능하게 한다.[16][11] 하지만, 이러한 경영 방식은 혁신을 저해하고, 수직적인 조직 문화를 만들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중앙집권적 경영은 상층부에서 전체적인 정보를 쉽게 수집하고 파악하기 용이하며, 일률적인 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명령 하달과 권한 우선순위가 명확하여 결정과 실행 사이의 확실성이 높아지고 책임 소재가 분명해진다.[12] 소수의 의사 결정자에게는 행동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통일적인 판단에 의해 규모의 경제가 발휘된다.

그러나 중앙집권적 경영은 정보를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되거나 상층부의 판단 능력이 저하될 경우 기능 부전에 빠질 수 있다. 하부 조직은 결정권이 없으므로 중앙 조직이 건전하게 기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대에서 소로"의 서열 때문에 상층의 입장과 결정권이 우선시되고 하층의 입장과 결정권이 경시되기 쉽다. 따라서 업무가 획일화되기 쉽고, 개별 사안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현장에 맡겨지는 책임과 권한이 제한되므로 조직 간의 연계가 희박해지고, 조직을 횡단하는 업무에서는 정보 전달 저해, 업무 지연, 비효율화가 발생하기 쉽다. 이는 "칸막이 행정의 폐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지방과 중앙 간에 정보 격차와 경제 격차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5. 중앙집권화의 역사 (일본 사례 중심)

일본에서 중앙집권화는 율령제 시대와 메이지유신 시대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2] 율령 시대에는 고대(아스카, 오쓰쿄, 나라, 교토 등)에 중앙집권적 정권이 위치했고, 메이지유신기에는 메이지 정부가 도쿄에 본거지를 두었다.

근대 이전에는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군주제 국가에서 중앙집권 체제가 구축되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에는 대통령을 중심으로 하는 공화제 국가에서도 중앙집권 체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프랑스는 전통적으로 중앙집권적인 국가로 알려져 왔으나, 1980년대 이후 지방으로 권한을 위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독일은 역사적으로 분권적인 체제를 유지해 왔으며, 현재도 연방제를 통해 지방 분권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연방 공화국은 과거 독일 제국에 비해 연방 정부의 권한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각국에서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사이의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1. 율령제 시대

일본에서 중앙집권 국가가 성립한 시기는 율령제 시대와 메이지유신 시대가 대표적이다. 율령 시대의 중앙집권적 정권은 고대(아스카, 오쓰쿄, 나라, 교토 등)에 위치했다.[2]

율령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다.

구분소재지
중앙정부나라
상위 지방관청대재부, 다가성
하위 지방관청국부 소재지



율령 시대에는 오기칠도와 령제국이라는 지방 구분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행정권을 가진 도는 대재부가 다스리는 사이카이도뿐이었고, 행정권을 가진 단위는 령제국과 이었다.

5. 2. 메이지유신 이후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의 중앙집권 국가는 메이지 정부가 도쿄에 본거지를 두면서 성립하였다.[1]

구분내용
중앙정부도쿄
상위 지방관청중앙정부 각 부처의 “○○지방△△국”
하위 지방관청현청 소재지



“○○지방”이라는 명칭은 존재했지만, “○○지방”의 범위는 고키시치도(五畿七道)처럼 통일되어 있지 않고 중앙정부 각 부처마다 제각각이었다.[1] 또한,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정의조차 명확하게 규정되어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1]

5. 3. 현대 일본의 지방자치

일본은 일본국헌법에 지방자치가 명시되어 있고, 자치단체장 직선제와 지방 의회 설치 등 분권적인 제도가 시행되고 있어 전형적인 중앙집권제는 아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직무에는 국가 사무를 대행하는 기관위임사무의 비중이 커 중앙정부의 "출장소"와 같다는 비판도 있었다. 현재는 지방분권을 추진하는 관점에서 기관위임사무가 법정수탁사무로 재편되고 있으며, 법정수탁사무에 대해서도 지방분권 추진 관점에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경단련 회장인 오쿠다 세키와 모로이 겐 등은 중앙 정부가 재원과 권한을 가진 채 지방을 "출장소"와 같은 위치로 두고 지방분권을 추진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총무성 주도로 이루어지는 상향식 시정촌 합병과 도도부현 제도 추진은 지방분권이라는 구호와는 달리 중앙집권의 재편 강화로 이어진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6. 현대 중앙집권 국가



현재 대표적인 중앙집권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정치 체제특징
프랑스공화제선진국 중 가장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로 여겨지며, 과거 센강의 우안에 모든 권력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묘사되기도 했다.[2]
일본쇼와 헌법 하의 민주주의일본어에서 정부라는 단어는 중앙정부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지방정부나 관료·수장을 가리키는 경우가 없는 것도 중앙집권의 표현이다.
중국공화제 (중국공산당에 의한 일당제)일국양제가 채택되어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의 특별행정구에 의한 연방제로 볼 수도 있다.
한국공화제대통령 중심의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가지고 있다.
북한공화제 (조선노동당에 의한 일당제)실제로는 세습에 의한 전제정치
인도네시아공화국공화제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공화제 (베트남공산당에 의한 일당제)1988년까지는 위성정당이 존재했다.
라오스인민민주공화국공화제 (라오스인민혁명당에 의한 일당제)
태국표면적으로는 입헌군주제, 헌법상으로는 외견상 입헌군주제오랫동안 지속된 수도 방콕 중심의 정치에 대해 지방을 우군으로 삼은 탁신 친나왓의 등장이 정치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폴란드공화제
페루공화제


참조

[1] 웹사이트 Thesaurus results for CENTRALIZATION https://www.merriam-[...] 2022-02-07
[2]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Eastern and Southern Asia Marshall Cavendish 2007
[3] 서적 The Cycle of Growth and Decline - On the Ultrastable Structure of Chinese Society: Chapter 7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1992
[4] 웹사이트 What is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the Authority? | Total MBA Guide. http://www.mbaoffici[...] 2015-11-04
[5] 논문 Dictatorship, Democracy, and Development 1993-01-01
[6] 논문 Violent conflicts and governance challenges in West Africa: the case of the Mano River basin area 2004-09-01
[7] 논문 The grabbing hand: Government pathologies and their cures http://www.hup.harva[...] 2002
[8] 서적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International Publishers 1939
[9] 서적 Economics. Prentice Hall 2003
[10] 간행물 The Legality of "Trusts" 1888
[11] 웹사이트 Centralised versus decentralised structures | Business | tutor2u. http://beta.tutor2u.[...] 2015-11-05
[12] 논문 Turbulence, Firm Decentralization, and Growth in Bad Times https://www.aeaweb.o[...] 2021
[13] 웹사이트 Important Features of centralization | BMS.co.in. http://www.bms.co.in[...] 2015-11-05
[14] 뉴스 [중국 천하통일 48] 진시황제 자신이 세운 통일 진나라 스스로 멸망시키다 http://kor.theasian.[...]
[15] 뉴스 지금은 국가 거버넌스를 분권형으로 혁신할 때 http://pub.chosun.co[...]
[16] 웹사이트 기업집중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