첸쉬안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첸쉬안퉁은 중국의 언어 개혁가이자 문학 평론가로, 5·4 운동과 신문화 운동의 핵심 인물이다. 그는 중국의 전통 문화에 비판적이었으며, 중국어의 병음 문자화를 주장하고 문언문 폐지를 옹호했다. 또한 에스페란토를 지지하며 중국어 대체까지 제안했으며, 간체자, 한어 병음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천두슈에게 보낸 공개 서한에서 공자교 폐지를 위해 중국 문자 폐지를 주장하기도 했다. 첸쉬안퉁은 루쉰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그의 아들 첸산창은 중국 핵무기 개발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에스페란티스토 - 바진
중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바진은 5·4운동의 영향으로 아나키즘 사상에 심취하여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발표했으며, 대표작인 '격류 3부작'과 '애정 3부작'을 통해 봉건적 가족 제도와 부조리를 비판했고, 문화대혁명 기간 탄압 이후 복권되어 수상록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반성하고 현대문학관 및 문혁 박물관 건립을 제창하는 등 사회 활동을 펼치며 중국 문학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중국의 에스페란티스토 - 덩잉차오
덩잉차오는 중국 공산당 지도자이자 저우언라이의 배우자이며 중국 여성 운동의 선구자로, 5·4 운동 참여를 통해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여 혁명 활동에 헌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과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의장을 역임하는 등 중국 공산당의 요직을 두루 거치며 여성 해방과 지위 향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후저우시 출신 - 조맹부
조맹부는 시, 서, 화, 인에 모두 능했던 원나라의 예술가로, 서예에서 조체를 만들고 문인화를 부흥시켰으며, 대표작으로 《작화추색도》가 있다. - 후저우시 출신 - 예진황후
예진황후는 당 대종의 첩실이자 당 덕종의 생모로, 안사의 난으로 실종된 후 수십 년간 찾았으나 발견되지 못하고 당 헌종 때 추존되었으며, 그녀의 삶은 드라마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 중국의 언어학자 - 고염무
고염무는 명말청초의 유학자이자 사상가로, 주자학 비판과 경세치용 학풍 주창, 반청복명 운동 참여, 그리고 《일지록》 등의 저술 활동을 통해 청대 고증학의 선구자이자 청초 3대 유학자로 평가받으며 "천하흥망 필부유책"이라는 어록으로도 알려져 있다. - 중국의 언어학자 - 공손룡
공손룡은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변론가이자 철학자로, 명가 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며, '백마비마설'과 '견백론' 등의 독특한 논리를 통해 이름과 실체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논리학과 변론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첸쉬안퉁 | |
---|---|
인물 정보 | |
![]() | |
원어 이름 | 錢玄同 |
간체자 | 钱玄同 |
병음 | Qián Xuántóng |
웨이드-자일스 | Ch’ien Hsüan-t’ung |
출생 이름 | 錢夏 |
간체자 (출생 이름) | 钱夏 |
병음 (출생 이름) | Qián Xià |
자(字) | 德潛 |
간체자 (자) | 德潜 |
병음 (자) | Déqián |
직업 | 언어학자 |
출생 | 1887년 9월 12일 |
출생 장소 | 저장성후저우시구이안현 |
사망 | 1939년 1월 17일 |
사망 장소 | 중화민국 베이징시 |
학문 분야 | |
분야 | 언어학 |
근무지 | 베이징 대학 |
주요 관심사 | 문헌학 언어 계획 |
알려진 업적 | 간체자 한어 병음 |
학파 | 의고파 |
2. 생애
첸쉬안퉁은 청나라 진사를 역임했던 첸전창(錢振常, 전진상)의 아들로 저장성 우싱현(吳興縣, 현재의 저장성 후저우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글방에서 교육을 받았다. 일본 유학과 귀국 후 교육 활동 시기의 내용은 각각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첸쉬안퉁은 구제강과 함께 역사 서적 『고사변(古史辨)』 집필에 참여하면서 중국의 고전, 역사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1924년부터 1930년까지 루쉰, 저우쭤런 등과 함께 어사사(語絲社)를 조직하여 중국의 봉건주의, 군벌 통치, 북양정부(北洋政府)를 비판하는 문학 활동을 전개했다.
그의 아들 첸산창은 중국 초기 핵무기 프로그램에 중요한 역할을 한 핵물리학자였으며, 중국의 "원자 폭탄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했다.[3]
1939년 1월 17일 뇌출혈로 베이징에서 사망했으며, 향년 52세였다.
2. 1. 일본 유학 (1906-1910)
1906년 일본 와세다 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다. 1907년 도쿄에서 장빙린의 소개로 중국동맹회에 가입했고, 1908년에는 루쉰, 장빙린 등과 함께 중국의 고전, 언어, 문자를 연구했다.2. 2. 귀국과 교육 활동 (1910-1939)
첸쉬안퉁은 저장성 우싱현(吳興縣, 현재의 저장성 후저우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에는 글방에서 교육을 받았다. 1906년 일본 와세다 대학으로 유학을 떠났고, 1907년 도쿄에서 장빙린의 소개로 중국동맹회에 가입했다. 1908년 친구 루쉰, 장빙린 등과 함께 중국의 고전, 언어, 문자를 연구했다.[1]1910년 중국으로 귀국했고, 1913년 국립 베이징 고등사범학교(1923년 국립 베이징 사범대학으로 개편) 교원으로 임용되었으며, 1916년 교수로 승진했다. 1917년부터 1919년까지 천두슈가 주도한 잡지 『신청년』 편집인으로 활동하면서 문학 혁명을 주장하는 한편 5·4 운동의 핵심이 된 신문화운동을 전개했다.[1]
첸쉬안퉁은 구제강과 함께 역사 서적 『고사변』 집필에 참여했고, 1924년부터 1930년까지 루쉰, 저우쭤런 등과 함께 어사사(語絲社)를 조직하여 중국의 봉건주의, 군벌 통치, 북양정부를 비판하는 문학 활동을 전개했다.
첸쉬안퉁은 중국 전통 문화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고 중국어를 병음 문자로 바꿀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들은 나중에 간체자, 한어 병음 등장으로 이어지게 된다.[1][2]
루쉰의 절친한 친구였던 첸은 백화문을 장려하며 린수와 같은 고전 문학가들을 공격했다. 그는 중국 문화 유산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한때 성을 이구(疑古, 疑古|고대 의심중국어)로 바꾸고 싶어하기도 했다. 또한 간체자 표준화, 표준 중국어 방언 및 병음 설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작업을 수행했다.[3]
1915년 9월 15일, 천두슈는 상하이에서 백화 운동을 추진하는 문학혁명의 중심적 계몽 잡지 "신청년"을 창간한 후에, 첸쉬안퉁, 루쉰, 후스, 리다자오, 우위, 저우쭤런 등이 잡지에 열성적으로 기고했다. 첸쉬안퉁은 문자 개혁과 한자 폐지를 주장하며, 문자 혁명 선전에 진력했고, 신문화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3. 신문화 운동과 문학 혁명
첸쉬안퉁은 1917년부터 1919년까지 천두슈가 주도한 잡지 『신청년』의 편집인으로 활동하면서 문학 혁명을 주장하는 한편 5·4 운동의 핵심이 된 신문화 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중국어를 병음 문자로 바꿀 것을 주장했는데, 이러한 주장들은 나중에 간체자, 한어 병음의 등장으로 이어지게 된다. 루쉰의 절친한 친구였던 첸쉬안퉁은 5·4 운동과 신문화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다. 그는 중국 고전과의 밀접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문언문 폐지를 옹호했으며, 에스페란토의 강력한 지지자로 한때 중국어를 에스페란토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1]
첸쉬안퉁은 천두슈에게 보낸 공개 서한에서 "공자교를 폐지하고 싶다면 먼저 중국 [문자]를 폐지해야 합니다. 일반 사람들의 유치하고 비문명적이며 완고한 사고방식을 없애고 싶다면, 먼저 중국어를 폐지하는 것이 더욱 필수적입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류반농과 함께 백화문을 장려하며 린수와 같은 고전 문학가들을 공격했고, 중국 문화 유산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다.[1]
3. 1. 어사사 활동 (1924-1930)
1924년부터 1930년까지 루쉰, 저우쭤런 등과 함께 어사사(語絲社)를 조직하여 중국의 봉건주의, 군벌 통치, 북양정부를 비판하는 문학 활동을 전개했다.4. 언어 개혁 사상
첸쉬안퉁은 일찍부터 중국의 전통 문화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고 중국어를 병음 문자로 바꿀 것을 주장했다. 첸쉬안퉁의 이러한 주장들은 나중에 간체자, 한어 병음의 등장으로 이어지게 된다.[1][2] 첸은 중국 문자를 폐지하면 구어도 파괴될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의 제안에 대해 중국이 로마자를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하며 반박했다.[1]
루쉰의 절친한 친구였던 첸은 5·4 운동과 신문화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다. 그는 중국 고전과의 밀접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문언문 폐지를 옹호했다. 그는 또한 에스페란토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한때 중국어를 에스페란토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1][2]
그는 류반농과 함께 백화문을 장려하며 린수와 같은 고전 문학가들을 공격했다. 그는 중국 문화 유산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한때 성을 이구(疑古, 疑古|이고중국어)로 바꾸고 싶어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간체자의 표준화, 표준 중국어 방언 및 병음 설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작업을 수행했다.
1915년 9월 15일, 천두슈는 상하이에서 백화 운동을 추진하는 문학혁명의 중심적 계몽 잡지인 "신청년"을 창간했다. 이후 첸쉬안퉁, 루쉰, 후스, 리다자오, 우위, 저우쭤런 등이 잡지에 열성적으로 기고했다. 첸쉬안퉁은 문자 개혁과 한자 폐지를 주장하며 문자 혁명의 선전에 진력했고, 신문화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5. 사망
첸쉬안퉁은 1939년 1월 17일 뇌출혈로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향년 52세였다.
6. 주요 저작
7. 평가 및 영향
첸쉬안퉁은 중국 전통 문화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고, 중국어를 병음 문자로 바꿀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들은 나중에 간체자, 한어 병음의 등장으로 이어지게 된다.[1][2] 그는 신문화 운동과 5·4 운동의 핵심 인물로서, 문언문 폐지를 옹호하고 백화문을 장려했다. 린수와 같은 고전 문학가들을 비판했으며, 중국 문화 유산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1] 심지어 자신의 성을 '의고(疑古, 고대 의심)'로 바꾸고 싶어할 정도였다.
첸쉬안퉁은 간체자 표준화, 표준 중국어 방언 및 병음 설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작업을 수행했다. 그는 류반농과 함께 백화문을 장려하며 신청년과 같은 잡지에 기고하여 문자 개혁과 한자 폐지를 주장하는 등 문자 혁명의 선전에 힘썼다.
그의 아들 첸산창은 중국 초기 핵무기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핵물리학자로, '중국 원자 폭탄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3]
참조
[1]
서적
A Billion Voices
Penguin Books
[2]
서적
Nationalism and Language Reform in China
http://www.pinyin.i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那年今日丨中国的"原子弹之父"钱三强诞生_科技湃_澎湃新闻-The Paper
http://www.thepaper.[...]
2017-10-16
[4]
웹사이트
銭玄同
http://www.guoxu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