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는 충청남도에서 지정한 유형문화재 중 101호부터 200호까지의 목록을 다룬다. 이 목록에는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의 불교 문화재, 건축물, 역사적 인물 관련 유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불상, 불화, 사찰 건물, 범종, 향완, 비석 등이 있으며, 지정 해제되거나 보물로 승격된 문화재 정보도 제공한다.

2. 불교 문화재

충청남도 지역은 백제 시대 불교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통일신라고려 시대를 거치면서도 불교의 영향력이 강하게 남아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여 많은 불교 문화재들이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불교 문화재는 불상, 불화, 사찰 건물, 기타 불교 유물 등으로 나뉜다. 불상은 재료에 따라 석불, 목조 불상, 소조 불상 등으로 나뉘며, 불화는 사찰 법당 등에 봉안된 그림을 말한다. 사찰 건물은 불교 신앙의 중심 공간으로, 대웅전, 극락전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범종, 경판 등 다양한 불교 유물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불교 문화재로는 영탑사 약사여래상, 포저유서및송곡문집판각, 마곡사심검당및고방, 보령금강암석불및비편, 공주 영은사 청동범종, 무량사 동종, 공주영은사목조관음보살좌상, 무량사극락전후불탱, 갑사소조삼세불,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천안 성거산 천성사명 금동보살입상, 천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 16나한상 및 불입상, 개심사명 청동은입사 향완, 향천사 범종, 삼길암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일괄, 문수사 지장시왕탱화 및 복장유물일괄,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천안 은석사 목조여래좌상,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 서산간월암목조보살좌상,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상, 서산천장사아미타후불탱화, 금산 신안사 아미타삼존불좌상, 홍성고산사아미타불좌상, 공주갑사삼세불도,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 아산세심사신중도, 공주 상세동 산신도, 청양 화정사 범종 등이 있다.

2. 1. 불상

불상은 불교 신앙의 중심 대상으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재료에 따라 돌로 만든 석불, 나무로 만든 목조 불상, 흙으로 빚은 소조 불상 등으로 나뉜다.

2. 1. 1. 석불

돌을 깎아 만든 불상으로, 바위에 새긴 마애불과 독립적인 석불 좌상/입상 등이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중 석불 목록
번호명칭지정일
111호영탑사약사여래상1984년 12월 29일
118호용봉사마애불1985년 7월 19일
122호몽산리석가여래좌상1986년 11월 19일
132호서산여미리석불입상1989년 12월 29일
140호부여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1992년 12월 8일
158호보령금강암석불및비편2000년 9월 20일
169호천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 16나한상 및 불입상2002년 8월 10일
175호논산상도리마애불2004년 4월 10일


2. 1. 2. 목조 불상

나무로 만든 불상으로, 조선 후기에 많이 제작되었다. 공주 영은사 목조관음보살좌상木造觀音菩薩坐像|목조관음보살좌상중국어, 서산 간월암 목조보살좌상木造菩薩坐像|목조보살좌상중국어 등이 있다.

2. 1. 3. 소조 불상

흙으로 빚어 만든 불상으로,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제작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갑사 소조삼세불이 있다.

2. 2. 불화

불화는 불교의 교리나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사찰의 법당 등에 봉안되었다. 충청남도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문화재 불화들이 있다.

명칭지정 번호제작 시기내용
무량사 극락전 후불탱제163호1633년(인조)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이 좌우에 배치된 삼존불 형식
장곡사 설선당제151호??
아산 세심사 신중도제192호1895년(고종 32년)금어 약효가 제작. 제석천과 대범천을 중심으로 여러 신들의 모습을 담고 있음.


2. 3. 사찰 건물

寺刹중국어은 불교 신앙의 중심 공간으로, 대웅전, 극락전 등 다양한 건물들이 있다.

이름지정 번호사진소재지지정일
갑사 대웅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
갑사 대웅전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1984년 1월 11일
갑사 대적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갑사 대적전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1984년 1월 11일
보석사 대웅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3호
보석사 대웅전
충남 금산군 남이면 보석사1길 30 (석동리 711)1993년 11월 12일


2. 4. 기타 불교 유물

공주 영은사 청동범종, 무량사 동종, 아산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외에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는 다음과 같은 불교 유물들이 있다.

3. 조선시대 건축물

예산 이성만 형제 효제비


예산 이성만 형제 효제비는 조선 연산군 때 이성만과 그의 아우 이순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이다. 1983년 9월 29일 지정되었으며,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에 있다.

갑사 대웅전은 공주시 계룡면 갑사의 중심 법당으로, 조선 선조 27년(1594)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선조 37년(1604)에 다시 지었다. 1984년 1월 11일 지정되었다.

갑사 대적전은 갑사에 있는 법당 중 하나로, 1984년 1월 11일 지정되었다.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에 있다.

김계휘 신도비는 조선 중기 문신 김계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1984년 7월 26일 지정되었으며,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고, 광산 김씨 종중이 관리한다.

신안사 극락전은 조선시대 불전으로, 1985년 7월 19일 지정되었다.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에 있다.

명종 대왕 태실 및 비는 조선 제13대 왕 명종의 태실과 비석이다. 1986년 11월 19일 지정되었으며,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에 있다.

영사암은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암자로, 1989년 4월 20일 지정되었다.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에 있으며, 김선경이 관리한다.

흥주사 만세루는 조선시대 누각으로, 1990년 9월 27일 지정되었다. 태안군 태안읍 상옥리에 있다.

마곡사 심검당 및 고방은 조선시대 건물로, 1991년 12월 3일 지정되었다.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에 있다.

서산객사는 조선시대 서산군의 객사로, 1991년 12월 3일 지정되었다. 서산시 동헌로에 있다.

태안 목애당은 조선시대 태안현의 관아 건물로, 1992년 8월 17일 지정되었다. 태안군 태안읍 남문리에 있다.

대천 한내돌다리조선시대 돌다리로, 1992년 8월 17일 지정되었다. 보령시 동대동에 있다.

보석사 대웅전조선시대 법당으로, 1993년 11월 12일 지정되었다. 금산군 남이면 보석사1길에 있다.

보덕사 극락전은 조선시대 법당으로, 1995년 10월 7일 지정되었다.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로에 있다.

장곡사 설선당은 조선시대 건물로, 1997년 12월 23일 지정되었다. 청양군 대치면 장곡길에 있다.

종학당(정수루, 숙사)은 조선시대 건물로, 1997년 12월 23일 지정되었다.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으며, 파평 윤씨 종중이 관리한다.

논산 충헌사는 조선 중기 문신 양응춘을 모신 사당으로, 2007년 11월 30일 지정되었다. 논산시에 있으며, 청주 양씨 대종회가 관리한다.

3. 1. 관아 건축

조선시대 지방 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던 관아 건물들은 현재까지 남아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대표적인 관아 건물로는 석성동헌, 홍산동헌, 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 등이 있다.

조선시대 관아 건축
번호명칭지정일사진
124호석성동헌1987년 8월 3일
141호홍산동헌1992년 12월 8일
174호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2003년 10월 30일


3. 2. 교육 시설

조선시대 유교 교육을 담당했던 서원, 향교 건물들이 이 섹션에 포함된다.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비고
제155호돈암서원 유경사논산시 연산면 임리 742000년 1월 11일
제125호흥학당부여군 장암면 의자로 6171987년 8월 3일풍양조씨 종중 관리


3. 3. 기타 건축물

고정리 양천허씨 정려는 조선시대 허숙과 그의 처 해주 최씨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1984년 7월 26일에 지정된 정려이다.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위치하며, 광산 김씨 종중이 관리한다.

경이정은 조선 선조 때 건립된 정자로,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태안읍성에 머물면서 군사들을 격려하고 훈련을 지휘하던 곳이다. 1986년 11월 19일에 지정되었으며,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에 있다.

청양 영모재는 조선 후기 효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이지천과 그의 아들 이홍의 위패를 모신 재실이다. 1998년 12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청양군 청양읍 장승길에 있고, 함평 이씨 종중이 관리한다.

4. 역사적 인물 관련 유물

조선시대 충청남도 지역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들의 유물로는 영정, 유품 및 고문서, 비석 등이 있다.


  • 영정: 인물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초상화로,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 김장생 문묘배향교지, 아계 이산해 영정, 부여김동효영정, 전운상영정, 부여정언욱영정및초본 등이 있다.

  • 유품 및 고문서: 초려 이유태 유고, 용서·봉계·성재공 문집판각, 포저유서및송곡문집판각, 아계 이산해 유품 등이 있다.

4. 1. 영정

아계 이산해 영정

  •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 (한자: 田日祥影幀및閒遊圖): 조선 중기의 문신인 전일상(田日祥, 1577~1641)의 초상화와 한유도이다. 1987년 12월 30일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호음리에 위치하고 소유자 전용국이 관리하고 있다.

  • '''아계 이산해 영정''' (한자: 鵝溪 李山海影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영의정을 지낸 아계 이산해(李山海, 1539~1609)의 초상화이다. 2009년 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하고 한산이씨 아계공파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4. 2. 유품 및 고문서

초려 이유태 유고는 충남 공주시 상왕동 302 공주대학교박물관에 있으며, 1984년 1월 11일에 지정되었다.

용서·봉계·성재공 문집판각은 충남 논산시 부적면 부황리 산29 파평윤씨충헌공파종중에 있으며, 1996년 11월 30일에 지정되었다.

포저유서및송곡문집판각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마곡사에 있으며, 1987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전일상영정및한유도는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호음리 22에 있으며, 소유자(관리자)는 전용국이다. 1987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김장생문묘배향교지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 178에 있으며, 소유자(관리자)는 김길중이다. 1987년 12월 30일에 지정되었다.

아계 이산해유품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으며, 소유자(관리자)는 한산이씨 아계공파종회이다. 2009년 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4. 3. 비석

역사 속 인물들의 업적과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들이다.

명칭지정일소재지설명
예산 이성만 형제 효제비1983년 9월 29일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06-2조선 시대 형제인 이성만과 이순만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김계휘 신도비1984년 7월 26일충남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 산 13-1김계휘의 학문적 업적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서산 김두징 묘비1995년 10월 7일충남 서산시 인지면 남정리 산116-5김두징의 충절과 효심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서산 김두징 묘비

5. 지정 해제 및 승격 문화재

일부 문화재는 가치가 재평가되어 유형문화재 지정이 해제되거나, 국보 또는 보물로 승격되었다.

지정 해제 및 승격된 문화재 목록
번호명칭지정 해제 및 승격 내용
101호사택지적비1983년 9월 29일 지정, 2014년 12월 31일 해제, 보물 제1845호로 승격
108호효교비1984년 7월 26일 지정, 2012년 7월 1일 해제, 세종시 유형문화재 제2호로 재지정
119호비암사삼층석탑1985년 7월 19일 지정, 2012년 12월 31일 해제, 세종 유형문화재 제3호로 재지정
130호채제공선생영정1989년 4월 20일 지정, 2006년 12월 29일 해제, 해제사유 미상
134호두계은농재1990년 9월 27일 지정, 2013년 11월 11일 해제, 충남 기념물 제190호로 재지정
136호오천수영관아1991년 12월 3일 지정, 2010년 12월 30일 해제, 보존가치가 없으므로 해제
142호추포황신선생종가유물1992년 12월 8일 지정, 1998년 12월 29일 해제, 국립박물관에 기증
144호공주중동성당1995년 3월 6일 지정, 1998년 7월 25일 해제, 충남 기념물 제142호로 재지정
148호부여금사리성당1996년 11월 30일 지정, 1998년 7월 25일 해제, 충남 기념물 제143호로 재지정
149호무량사괘불1996년 11월 30일 지정, 1997년 8월 8일 해제, 보물 제1265호로 승격
153호남평조씨병자일기1998년 7월 25일 지정, 2012년 7월 1일 해제, 세종시 유형문화재 제4호로 재지정
156호돈암서원응도당2000년 1월 11일 지정, 2008년 7월 10일 해제, 보물 제1569호로 승격
164호무량사극락전소조아미타삼존불2002년 1월 10일 지정, 2008년 6월 27일 해제, 보물 제1565호로 승격
177호부여무량사삼전패2004년 4월 10일 지정, 2015년 3월 4일 해제, 보물 제1860호로 승격
182호연기비암사영산회괘불탱화2007년 9월 20일 지정, 2012년 12월 31일 해지, 세종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재지정
183호연기 비암사 소조아미타불좌상2007년 9월 20일 지정, 2012년 7월 1일 해제, 세종시 유형문화재 제13호로 재지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