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위 쿠데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위 쿠데타는 권력자가 기존의 헌법 질서를 무시하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거나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다. 역사적으로 로마 공화정, 프랑스 제2공화국, 나치 독일 등에서 발생했으며, 냉전 시대 이후에도 다양한 국가에서 나타났다. 친위 쿠데타는 성공 시 권력자의 장기 집권을 가능하게 하지만, 실패할 경우 권력 상실이나 탄핵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친위 쿠데타 - 10월 유신
10월 유신은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이 발표한 비상 조치로, 국회 해산, 헌법 정지, 유신헌법 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하고 사실상 종신 집권을 가능하게 한 체제이다. - 친위 쿠데타 - 8월 4일 체제
8월 4일 체제는 1936년 이오아니스 메탁사스가 그리스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정지시켜 수립한 권위주의 정권으로, 정치적 혼란과 공산주의 확대를 배경으로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사회를 통제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붕괴되었다. - 쿠데타 - 조지아 내전
조지아 내전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조지아의 독립 선언 이후 발생한 소수 민족 분리주의 운동과 대통령 축출, 러시아의 개입으로 인한 영토 분쟁으로,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다. - 쿠데타 - 잔지바르 혁명
잔지바르 혁명은 1964년 아랍인 지배를 종식시키고 잔지바르 인민공화국 수립을 가져왔으나, 아프리카계 주민 반란 과정에서 폭력과 학살이 발생했으며 탄자니아 역사와 아프리카 민족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헌정위기 - 에드워드 8세의 퇴위
에드워드 8세의 퇴위는 이혼녀 월리스 심슨과의 결혼을 반대하는 정부와 왕실의 압력, 사회적 관습에 부딪혀 1936년 스스로 왕위에서 물러난 사건으로, 영국 역사상 짧은 재위 기간과 함께 큰 논란을 남겼다. - 헌정위기 -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습격
2021년 1월 6일, 도널드 트럼프 지지자들이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 미국 국회의사당을 습격하여 5명이 사망하고 의회가 중단되었으며, 트럼프는 탄핵 및 소셜 미디어에서 차단되는 등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평가받았다.
친위 쿠데타 | |
---|---|
개요 | |
유형 | 쿠데타 |
목표 | 불법적으로 권력을 유지 또는 강화 |
특징 | 선출된 지도자가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권력을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행위 |
다른 이름 | 자가 쿠데타 자체 쿠데타 상층부 쿠데타 친위 쿠데타(본 문서 제목) |
어원 | |
스페인어 | 아우토골페 |
2. 역사적 배경
친위 쿠데타는 고대 로마 공화정 시대부터 그 개념이 존재했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기원전 81년경 집정관에서 독재관으로 전환하며 권력을 강화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역시 기원전 50년에서 기원전 48년 사이 (카이사르의 내전) 집정관에서 독재관으로 전환하며 권력을 강화했다.
2. 1. 중세 및 근세
1333년 6월 겐무 신정 당시 가마쿠라 막부의 고다이고 천황은 실권 없는 군주에서 전제군주로 전환하였다.
1772년 8월 19일 스웨덴 왕국의 구스타프 3세는 입헌군주에서 전제군주로 전환하였다. (자유 시대 종말)

1822년 10월 31일 멕시코 제1제국의 아구스틴 1세는 입헌군주에서 전제군주로 전환하였다.

2. 2. 근대
1851년 12월 2일, 프랑스 제2공화국의 대통령 샤를 루이 보나파르트 나폴레옹은 의회를 해산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프랑스 제2제정을 수립했다.[60] 이는 전형적인 친위 쿠데타의 사례로 꼽힌다.1933년 3월 23일, 독일국의 아돌프 히틀러는 수권법을 통해 의회를 무력화하고 지도자 겸 국가수상이 되어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쿠데타 일자 | 쿠데타 발발 국가 | 쿠데타를 한 지도자 | 쿠데타 당시 직위 | 쿠데타 이후 직위 | 참조 |
---|---|---|---|---|---|
1851년 12월 2일 | -- | 샤를 루이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 대통령 | 황제 | [60] |
1856년 9월 1일-11월 2일 (천경사변) | 태평천국 | 홍수전 | 천왕 | 천왕 | |
1857년 12월 17일 | 멕시코 제1공화국 | 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 | 대통령 | 대통령 | |
1891년 11월 3일 | 브라질 제1공화국 | 데오도루 다 폰세카 | 대통령 | 대통령 | |
1913년 10월 7일 | 멕시코 |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 대통령 | 대통령 | |
1925년 1월 3일 | 이탈리아 왕국 | 베니토 무솔리니 | 국무총리 | 두체 | |
1933년 3월 23일 (전권 위임법) | 독일국 | 아돌프 히틀러 | 국가수상 | 지도자 겸 국가수상 | |
1933년 3월 ~ 1934년 5월 |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총리 | 총리 | |
1933년 3월 31일 | 우루과이 | 가브리엘 테라 | 대통령 | 대통령 | |
1934년 3월 12일 | 에스토니아 | 콘스탄틴 패츠 | 수상 | 수상 | |
1934년 5월 15일 | 라트비아 | 카를리스 울마니스 | 수상 | 대통령 | |
1934년 6월 30일 (장검의 밤) | 독일국 | 아돌프 히틀러 | 지도자 겸 국가수상 | 지도자 겸 국가수상 | |
1936년 2월 | 칠레 | 아르투로 알레산드리 팔마 | 대통령 | 대통령 | |
1936년 8월 4일 (8월 4일 체제) | 그리스 왕국 | 요안니스 메탁사스 | 수상 | 수상 | |
1937년 11월 10일 | 브라질 제1공화국 | 제툴리우 바르가스 | 대통령 | 대통령 | |
1939년 4월 24일 | 볼리비아 | 게르만 부시 | 대통령 | 대통령 | |
1940년 2월 18일 | 파라과이 | 호세 펠릭스 에스티가리비아 | 대통령 | 대통령 | |
1942년 2월 21일 | 우루과이 | 알프레도 발도미르 페라리 | 대통령 | 대통령 | |
1944년 8월 23일 | -- | 미하이 1세 | 왕 | 왕 | [61] |
1946년 3월 30일 | 에콰도르 | 호세 마리아 벨라스코 이바라 | 대통령 | 대통령 | |
1947년 1월 13일 | 파라과이 | 이히니오 모리니호 | 대통령 | 대통령 | |
1951년 5월 16일 | -- | 마메르토 우리올라고이티아 | 대통령 | 대통령 | [62] |
1952년 5월 26일 ~ 7월 4일 (부산 정치 파동) | 제1공화국 | 이승만 | 대통령 | 대통령 | |
1953년 4월 ~ 1954년 9월 21일 | -- | 말리크 굴람 무함마드 | 총독 | 총독 | [63][64] |
1959년 7월 5일 | -- | 수카르노 | 대통령 | 종신대통령 | [65] |
1960년 5월 20일 | 모로코 | 무함마드 5세 | 국왕 | 국왕 | |
1960년 12월 15일 | 네팔 왕국 | 마헨드라 | 입헌군주 | 전제군주 | |
1962년 12월 12일 | 브루나이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 술탄 | 술탄 | |
1965년 6월 7일 | 모로코 | 하산 2세 | 국왕 | 국왕 | |
1966년 2월 22일 ~ 23일 | 우간다 | 아폴로 밀턴 오보테 | 수상 | 수상 | |
1970년 1월 30일 | 레소토 | 레아부아 조나단 | 수상 | 수상 | |
1970년 6월 22일 | 에콰도르 | 호세 마리아 벨라스코 이바라 | 대통령 | 대통령 | |
1971년 11월 17일 | 태국 | 타놈 끼띠카쫀 | 수상 | 수상 | |
1972년 9월 23일 | --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대통령 | 대통령 | [60][66] |
1972년 10월 17일 ~ 12월 27일 (10월 유신) | 제3공화국 | 박정희 | 대통령 | 대통령 | [67] |
1973년 4월 12일 | 에스와티니 | 소부자 2세 | 국왕 | 국왕 | |
1973년 6월 27일 (1973년 우루과이 쿠데타) | -- | 후안 마리아 보르다베리 | 대통령 | 대통령 | [57] |
1974년 2월 8일 | 오트볼타 | 상굴레 라미자나 | 대통령 | 대통령 | |
1974년 11월 7일 | 볼리비아 | 우고 반젤 후아레즈 | 대통령 | 대통령 | |
1975년 6월 25일 (비상사태) | 인도 | 인디라 간디 | 수상 | 수상 | |
1975년 8월 26일 | 바레인 |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 아미르 | 아미르 | |
1981년 12월 13일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 국방성 장관 | 서기장 | |
1992년 4월 5일 | -- | 알베르토 후지모리 | 대통령 | 대통령 | [68] |
1993년 9월 21일 ~ 10월 4일 (1993년 러시아 체제 위기) | -- | 보리스 옐친 | 대통령 | 대통령 | [69][70][71][72] |
1994년 8월 17일 | 레소토 | 레치에 3세 | 국왕 | 국왕 | |
1997년 7월 | -- | 훈 센 | 총리 | 총리 | [73][74] |
2002년 10월 4일 2005년 2월 1일 | 네팔 왕국 | 갸넨드라 | 국왕 | 국왕 | |
2007년 11월 3일 | 파키스탄 | 페르베즈 무샤라프 | 대통령 | 대통령 | |
2009년 6월 29일 | 니제르 | 마마두 탄자 | 대통령 | 대통령 | |
2017년 3월 27일 | -- | 니콜라스 마두로 | 대통령 | 대통령 | [75] |
2019년 9월 30일 | -- | 마르틴 비스카라 | 대통령 | 대통령 | [76][77][78] |
2020년 2월 29일 | -- | 무히딘 야신 | 총리 | 총리 | [79] |
1999년 12월 31일2020년 7월 4일2020년 러시아 헌법 개정 | -- | 블라디미르 푸틴 | 대통령 | 대통령 | [80][81][82] |
2021년 5월 1일 | -- | 나이브 부켈레 | 대통령 | 대통령 | [83] |
2021년 7월 25일 | -- | 카이스 사이에드 | 대통령 | 대통령 | [84][85][86] |
2021년 10월 25일 | -- | 압델 파타 알브르한 | 과도주권위원회 의장 | [87] |
(카이사르의 내전)
3. 주요 친위 쿠데타 및 시도 사례
로마 공화정 율리우스 카이사르 집정관 독재관 1333년 6월
(겐무 신정)가마쿠라 막부 고다이고 천황 (실권 없는) 군주 전제군주 1772년 8월 19일
(자유 시대 종말)스웨덴 왕국 구스타프 3세 입헌군주 전제군주 1822년 10월 31일 멕시코 제1제국 아구스틴 1세 입헌군주 전제군주 1851년 12월 2일 프랑스 제2공화국 샤를 루이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대통령 황제 [60] 1856년 9월 1일-11월 2일
(천경사변)태평천국 홍수전 천왕 천왕 1857년 12월 17일 멕시코 제1공화국 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 대통령 대통령 1891년 11월 3일 브라질 제1공화국 데오도루 다 폰세카 대통령 대통령 1913년 10월 7일 멕시코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대통령 대통령 1925년 1월 3일 이탈리아 왕국 베니토 무솔리니 국무총리 두체 1933년 3월 23일
(전권 위임법)독일국 아돌프 히틀러 국가수상 지도자 겸 국가수상 1933년 3월 ~ 1934년 5월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엥겔베르트 돌푸스 총리 총리 1933년 3월 31일 우루과이 가브리엘 테라 대통령 대통령 1934년 3월 12일 에스토니아 콘스탄틴 패츠 수상 수상 1934년 5월 15일 라트비아 카를리스 울마니스 수상 대통령 1934년 6월 30일
(장검의 밤)독일국 -- 아돌프 히틀러 지도자 겸 국가수상 지도자 겸 국가수상 1936년 2월 칠레 아르투로 알레산드리 팔마 대통령 대통령 1936년 8월 4일
(8월 4일 체제)그리스 왕국 -- 요안니스 메탁사스 수상 수상 1937년 11월 10일 브라질 제1공화국 제툴리우 바르가스 대통령 대통령 1939년 4월 24일 볼리비아 -- 게르만 부시 대통령 대통령 1940년 2월 18일 파라과이 -- 호세 펠릭스 에스티가리비아 대통령 대통령 1942년 2월 21일 우루과이 알프레도 발도미르 페라리 대통령 대통령 1944년 8월 23일 루마니아 왕국 미하이 1세 왕 왕 [61] 1946년 3월 30일 에콰도르 호세 마리아 벨라스코 이바라 대통령 대통령 1947년 1월 13일 파라과이 -- 이히니오 모리니호 대통령 대통령 1951년 5월 16일 볼리비아 마메르토 우리올라고이티아 대통령 대통령 [62] 1952년 5월 26일 ~ 7월 4일
(부산 정치 파동)대한민국 제1공화국 이승만 대통령 대통령 1953년 4월 ~ 1954년 9월 21일 파키스탄 자치령 말리크 굴람 무함마드 총독 총독 [63][64] 1959년 7월 5일 인도네시아 수카르노 대통령 종신대통령 [65] 1960년 5월 20일 모로코 무함마드 5세 국왕 국왕 1960년 12월 15일 네팔 왕국 -- 마헨드라 입헌군주 전제군주 1962년 12월 12일 브루나이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술탄 술탄 1965년 6월 7일 모로코 하산 2세 국왕 국왕 1966년 2월 22일 ~ 23일 우간다 아폴로 밀턴 오보테 수상 수상 1970년 1월 30일 레소토 -- 레아부아 조나단 수상 수상 1970년 6월 22일 에콰도르 호세 마리아 벨라스코 이바라 대통령 대통령 1971년 11월 17일 태국 타놈 끼띠카쫀 수상 수상 1972년 9월 23일 필리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대통령 [60][66] 1972년 10월 17일 ~ 12월 27일
(10월 유신)대한민국 제3공화국 박정희 대통령 대통령 [67] 1973년 4월 12일 에스와티니 소부자 2세 국왕 국왕 1973년 6월 27일
(1973년 우루과이 쿠데타)우루과이 후안 마리아 보르다베리 대통령 대통령 [57] 1974년 2월 8일 오트볼타 -- 상굴레 라미자나 대통령 대통령 1974년 11월 7일 볼리비아 우고 반젤 후아레즈 대통령 대통령 1975년 6월 25일
(비상사태)인도 인디라 간디 수상 수상 1975년 8월 26일 바레인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아미르 아미르 1981년 12월 13일 폴란드 인민 공화국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국방성 장관 서기장 1992년 4월 5일 페루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 대통령 [68] 1993년 9월 21일 ~ 10월 4일
(1993년 러시아 체제 위기)러시아 보리스 옐친 대통령 대통령 [69][70][71][72] 1994년 8월 17일 레소토 레치에 3세 국왕 국왕 1997년 7월 캄보디아 훈 센 총리 총리 [73][74] 2002년 10월 4일
2005년 2월 1일네팔 왕국 갸넨드라 국왕 국왕 2007년 11월 3일 파키스탄 페르베즈 무샤라프 대통령 대통령 2009년 6월 29일 니제르 마마두 탄자 대통령 대통령 2017년 3월 27일 베네수엘라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 대통령 [75] 2019년 9월 30일 페루 마르틴 비스카라 대통령 대통령 [76][77][78] 2020년 2월 29일 말레이시아 무히딘 야신 총리 총리 [79] 1999년 12월 31일2020년 7월 4일2020년 러시아 헌법 개정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대통령 [80][81][82] 2021년 5월 1일 엘살바도르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 대통령 [83] 2021년 7월 25일 튀니지 카이스 사이에드 대통령 대통령 [84][85][86] 2021년 10월 25일 수단 압델 파타 알브르한 과도주권위원회 의장 [87] 260년 중국 위나라 조모 황제 (쿠데타 실패) 1993년 5월 25일 ~ 6월 5일
(과테말라 헌정 위기)과테말라 호르헤 세라노 엘리아스 대통령 쿠데타 실패, 국외도주 [88] 2001년 7월 1일 ~ 25일 인도네시아 압두라만 와힛 대통령 탄핵 [89] 2020년 2월 23일 ~ 3월 1일 말레이시아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총리 총리 [90] 2020년 11월 4일 ~ 2021년 1월 6일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패배 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대통령 [91][92][93] 2022년 12월 7일 페루 페드로 카스티요 대통령 [94] 2022년 10월 30일 ~ 2022년 12월 31일2023년 1월 8일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패배 후 브라질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95][96] 2023년 이스라엘 사법 개혁2022년 12월 29일에 총리에 취임한 이후 이스라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 총리 [97][98][99][100][101][102][103] 2024년 12월 3일 ~ 4일(2024년 대한민국 비상계엄) 대한민국 제6공화국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친위 쿠데타 실패국회에서 탄핵 의결 후 내란 수괴로 수사 중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