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친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친부는 주치 카사르의 후예에서 기원한 몽골 부족으로, 1491년 다얀 칸의 동몽골 통일 작전에 참여했다. 명나라 시기에는 요동 밖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으며, 차하르부를 따르다 누르하치에게 귀순하여 청나라에 복속되었다. 이후 청나라 황실과 혼인 관계를 맺고, 청나라 말기에는 셍게린친 등 유명 인물을 배출했다. 1638년 철리목맹을 결성했으며, 현대에는 게임 등에서 국가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코르친부 | |
---|---|
개요 | |
이름 | 코르친 몽골 |
언어 | 코르친 몽골어 방언 ( 몽골어 ) |
종교 | 티베트 불교 |
관련 민족 | 몽골족, 중국의 몽골족 |
위치 | |
![]() | |
인구 | |
1987년 | 1,347,000명 (중국) |
2. 역사
칭기즈칸의 동생 주치 카사르의 후예들로부터 비롯된 코르친부는 1491년 다얀 칸의 동몽골 통일 과정에 참여했다. 명나라 시기에는 눈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차하르부와 일시적인 군사 연합 관계를 맺기도 했지만, 1583년 경에는 차하르부에 복속되었다.
1624년 코르친부는 청나라에 귀순한 최초의 몽골 부족이 되었으며, 이후 청 황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효장문황후 등 여러 황후를 배출했다. 1891년 금단도 사건으로 카르친 몽골족이 코르친으로 도망쳐 왔고, 1900년대 이후 중국의 교육과 영향력이 확산되었다. 1931년 일본 제국의 만주 점령 시기에는 일본의 꼭두각시가 되기도 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국 공산당 내에서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아편 전쟁 이후 코르친 지역은 한족 농민들에 의해 대규모로 개간되어, 1902년부터 1908년까지 개간된 초원 면적이 2450km2에 달했다. 이로 인해 유목 중심의 목축 산업은 농업과 유목을 병행하는 산업으로 전환되었으며, 과거의 광활한 호르친 초원은 훈샨다크 사막과 호르친 사막으로 변모했다.[9]
청나라 시기 코르친부 각 기별 한족 이주 및 개간 현황은 다음과 같다.
기 | 주요 사건 |
---|---|
호르친 좌익 전기 | |
호르친 우익 전기 | |
호르친 좌익 중기 | |
호르친 우익 중기 | |
호르친 좌익 후기 | |
호르친 우익 후기 |
2. 1. 코르친부의 기원과 초기 발전
칭기즈칸의 동생 주치 카사르와 그 후예들이 속한 부하들에서 코르친부가 비롯되었다.[2] 1491년, 코르친부는 다얀 칸의 동몽골 통일 작전에 참전했으며, 하사르 후왕 치하에서 1만 가구로 편성되어 아바가코르친(阿巴噶科爾沁중국어)이라는 존칭으로 불렸다.명 가정 초기, 코르친 수령 퀴멍크타스하라(奎蒙克塔斯哈喇중국어)는 부중을 이끌고 어넌강, 어르구나강 유역에서 넨강 유역으로 이동했다. 이후 자라이트, 두르보트, 궈르로스부, 시보, 과르차, 사하르차 등을 점령하여 넨코르친부를 형성하였고, 후대에 통칭 코르친부로 불리게 된다. 이 부는 명나라 말기 요동 밖 지역의 강력한 몽골 부족 중 하나였다.
차하르부 투만 칸 집권 시기, 코르친부는 차하르부를 따랐다. 현대 연구자들은 초기 이들이 투만 칸과 일시적인 군사 연합에 불과했고, 심지어 투만 칸이 군사를 동원해 코르친부를 공격한 적도 있다고 주장한다. 1575년 투만 칸과 코르친의 관계가 현저히 완화되었고, 1583년에는 투만 칸이 코르친부 (내칼카)를 이끌고 "성유가 광녕, 요심, 개원, 철령을 약탈했다."는 기록이 있어, 연구자들은 이때 이미 코르친부가 차하르부에 속한 것으로 보고있다. 만력 초년, 코르친부는 개원, 철령 부서쪽 외부 지역에 자리를 잡았으며, 처치컨의 아들 옹궈다이, 저르드의 아들 투먼르(청나라 조정 이투메이)가 코르친부의 수령이었다. 이 동안 코르친부는 명나라와 시장을 나누었다. 1588년, 옹궈다이는 명경 약탈에 함께 나섰던 내칼카의 수장 놘투, 자루트부 이얼덩의 지역을 공격했고, 옹궈다이와 투먼르는 "혼동강으로 피난하라"고 했다.
옹궈다이 등은 혼동강으로 피신한 뒤, 해서여진 북부 지역을 장악해 여진 여러 부와 더욱 가깝게 지냈다. 건주여진의 누르하치가 떠오르자, 옹궈다이와 해서여진 부족 연맹은 구륵산 전투에 참전했다가 패전했다. 1608년에는 누르하치에게 다시 패배했지만, 이후 누르하치와 가까이 지내게 된다. 옹궈다이 사후, 아들 아오바가 코르친부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천계 4년 (1624년), 차하르부 링단 칸과의 관계를 끊고 부족민을 이끌고 누르하치에게 귀순했는데, 이는 청 왕조 몽골 부족 중 가장 먼저 귀순한 사례이다.[3]
옹궈다이의 부족 형제인 망구스, 밍안, 콩궈르 3형제 때부터 청 황실과 끊임없이 혼인하며 인척 관계를 쌓았다. 누르하치, 홍타이지, 순치제의 여러 비와 효단문황후, 효장문황후가 코르친부 출신이다. 청나라 말기 장령 셍게린친, 봉기군 수령 가다메이린 등도 몽골 코르친부 출신이다. 만주인이 티베트 불교를 알게 된 것도 몽골 코르친부와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거의 대대로 청나라 만주족 귀족과 통혼했다.
몽골 연대기 중 하나인 강가(恒河)의 흐름에서는 조치 카사르의 5세손을 부슈(Бушуу)로, 아그사칼다이(Агсахалдай), 알구 테무르(Аруг Төмөр), 에순쿠(Eсөнхү)를 거쳐 바토르 쉬쉬테이(баатар Шигүшидзйmn)가 카사르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고 기록한다. 많은 몽골 연대기에서 바토르 쉬쉬테이가 처음으로 언급되는 호르친부의 통치자이기 때문에 바토르 쉬쉬테이가 호르친부의 사실상 창시자라고 여겨진다.[6] 바토르 쉬쉬테이는 아다이 칸이나 타이순 칸을 섬기는 몽골의 유력 제후 중 한 명이었지만, 타이순 칸을 시해한 에센 타이시에게 살해당했다.
바토르 쉬쉬테이 사후, 그의 아들 보르나이가 호르친부의 통치자가 되었지만, 온류트 내에서 최유력자가 된 것은 베르구테이의 후예 모리하이 왕이었다. 모리하이 왕은 모란 칸을 옹립함으로써 권세를 떨쳤지만, 그 모란 칸과 대립하여 이를 시해했기 때문에 결국 보르나이에게 살해당했다.[7] 모리하이를 죽이고 그 세력을 흡수한 보르나이는 모리하이처럼 칸을 옹립할 수 없었고, 오이라트의 오슈 테무르에게 패하여 쇠퇴했다.
보르나이를 대신하여 호르친부의 통치자가 된 것은 그의 동생 우네 보라트였으며, 바트 몽케(후의 다얀 칸)가 즉위했을 무렵 몽골의 유력 제후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었다. 우네 보라트는 만두울 하안의 미망인 만두후이 하툰에게 눈독을 들여, 만두후이와 재혼하면 만두울의 유산을 물려받을 수 있고 칸으로도 즉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만두후이에게 구혼했다. 그러나 만두후이 하툰은 칭기스 칸의 혈통을 잇는 바트 몽케가 아직 건재한데 조치 카사르의 후예와 결혼할 수는 없다고 하여 바트 몽케와 결혼하고 그를 칸으로 즉위시켰다. 이후 우네 보라트의 동향은 불분명하지만, 후에 다얀 칸이 좌익 3 투멘과 다란 테리군에서 싸웠을 때 호르친부는 다얀 칸의 지휘하에 싸웠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에 다얀 칸에게 복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치 카사르로부터 14대 후, 보르나이의 손자인 퀴멘크타스하라(奎蒙克塔斯哈喇)에게는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장남 보디다라(博第達喇)는 조르골 노얀(卓爾郭勒諾顔), 차남 노문다라(諾捫達喇)는 갈지크 노얀(噶勒済庫諾顔)이라고 불렸다. 보디다라에게는 9명의 아들이 있었다.
2. 2. 명나라와의 관계
명 가정 초기, 코르친 수령 퀴멍크타스하라는 부중을 이끌고 어넌 강, 어르구나 강 유역에서 넨 강 유역으로 이동했다. 자라이트부, 두르보트부, 고르로스부와 시버족, 과르차부, 사하르차부 등을 점령하여 넨코르친부를 형성하였고, 후대에선 통칭 코르친부로 불린다. 이 부는 명나라 말기에 요동 밖 지역 강력한 몽골 부족 중 하나가 되었다.[2]차하르부 투만 칸 집권 시기, 코르친부는 차하르부를 따랐다. 현대 연구자들은 초기 이들이 투만 칸과 "일시적인 군사 연합에 불과했고, 심지어 투만 칸이 군사를 동원해 코르친부를 공격한 적도 있다. 1575년, 투만 칸과 코르친의 관계가 현저히 완화되었다."고 주장했다. 1583년, 투만 칸은 코르친부 (내칼카)를 이끌고 "성유가 광녕, 요심, 개원, 철령을 약탈했다." 연구자들은 이때 이미 차하르부에 속한 것으로 보고있다. 만력 초년, 코르친부는 개원, 철령 부서쪽 외부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처치컨의 아들 옹궈다이, 저르드의 아들 투먼르 (청나라 조정 이투메이)가 코르친부의 수령이다. 그러는 동안 코르친부는 명나라와 시장을 나누었다. 1588년, 옹궈다이와 함께 명경 약탈에 나섰던 내칼카의 수장 놘투, 자루트부 이얼덩의 지역을 공격했다. 옹궈다이와 투먼르는 "혼동강으로 피난하라", 즉 연강과 혼동강이 합류하는 것 외에는 피한다라고 했다.
2. 3. 후금(청)과의 관계
1624년, 옹궈다이의 아들 아오바는 차하르부 링단 칸과의 관계를 끊고 부족민을 이끌고 누르하치에게 귀순했는데, 이는 청 왕조 몽골 부족 중 가장 먼저 귀순한 사례이다.[3] 누르하치는 코르친의 항복을 받고, 발효된 암말 젖을 만주족 황제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부여했다. 만주족 청나라의 후대 황제들은 이러한 초기 충성에 대해 코르친 귀족들에게 큰 보상을 했다.[3]옹궈다이의 부족 형제인 망구스, 밍안, 콩궈르 3형제때부터 청 황실과 끊임없이 혼인을 맺으며 인척관계를 쌓았다. 누르하치, 홍타이지, 순치제의 여러 비들, 효단문황후, 효장문황후가 코르친부 출신이다.[4] 효장문 황태후(1613–88) 및 효혜장 황후(1641–1717)와 같은 청나라의 주목할 만한 황후들은 코르친-보르지긴 출신이었다.[4]
후금의 천명 9년(1624년), 웅가다이의 아들 오바는 일족을 이끌고 후금에 귀순했다. 이 때문에 호르친부가 차하르부에 침공당했을 때, 후금은 이를 지원하여 포위를 풀어주었다. 천총 2년(1628년), 대군을 동원하여 차하르부를 정벌했다. 천총 3년(1629년), 호르친부는 후금의 명나라 정벌에 따라 준화주에서 승리하고 북경을 포위했다. 천총 5년(1631년), 대릉하를 포위하고 그 장수 조대수를 항복시켰다. 천총 6년(1632년), 후금의 대동·선부 공략에 참여했다. 천총 8년(1634년), 다시 명나라 정벌에 참여했다. 천총 10년(1636년) 봄, 후금군은 차하르부를 항복시키고 원나라의 전국의 옥새를 획득했다. 오바의 아들 토셰투지농바다리셰타이지인 우크샨, 만주실리, 부다치, 홍골, 라마스히, 둥골 등, 그리고 자라이트부, 돌베트부, 골로스부, 카라친부, 투메트부, 아오한부, 나이만부, 바린부, 자루트부, 아루 카라친부, 온구예트부의 여러 부족장들이 후금에 와서 조현하고 축하했다.
호르친부가 청나라에 귀순했을 때, 망구스는 딸 제르제를 태종(홍타이지)에게 시집보내 황후로 삼았다.(효단문황후) 망구스의 아들 자이산도 하르조르와 부무부타이의 딸 2명을 태종에게 시집보냈고, 부무부타이는 세조(순치제)의 생모로서 황태후로 봉해졌다.(효장문황후) 자이산의 아들 우크샨과 만주실리, 이 두 사람의 조카(자이산의 손자)인 줘얼지도 각각 딸을 세조에게 시집보냈다. 우크샨의 딸은 황후가 된 후 폐위되었고, 만주실리의 딸은 요절하여 도비로 시호되었으며, 줘얼지의 딸 2명은 황후(효혜장황후) 및 비(숙혜비)가 되었다.
숭덕 원년 (1638년), 코르친부 소속 6기로, 자라이트, 두르보트, 궈르로스와 전후로 10기를 합쳐 철리목 (철리목산, 지금의 싱안멍 코르친 우익중기경)에 회맹하면서 철리목맹이 시작되었다.
2. 4. 청나라 시기
1624년, 누르하치는 흥안령 산맥 동쪽과 숭가리 강 서쪽을 떠돌던 코르친의 항복을 받았다. 이들은 청나라에 항복한 최초의 몽골 부족이었다.[3] 코르친은 발효된 암말 젖을 만주족 황제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만주족 청나라의 후대 황제들은 이러한 초기 충성에 대해 코르친 귀족들에게 큰 보상을 했다. 효장문 황태후(1613–88) 및 효혜장 황후(1641–1717)와 같은 청나라의 주목할 만한 황후들은 코르친-보르지긴 출신이었다.[4] 코르친은 남북 양익으로 나뉘었고, 각 익에는 세 개의 기(旗)가 있었다.[5]망구스, 밍안, 콩궈르 3형제는 옹궈다이의 부족 형제로, 이들 때부터 청 황실과 끊임없이 혼인하며 인척 관계를 쌓았다. 누르하치, 홍타이지, 순치제의 여러 비와 효단문황후, 효장문황후가 코르친부 출신이다. 청나라 말기 장령 셍게린친, 봉기군 수령 가다메이린 등도 몽골 코르친부 출신이다. 만주인이 티베트 불교를 알게 된 것도 몽골 코르친부와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거의 대대로 청나라 만주족 귀족과 통혼했다.
숭덕 원년 (1638년), 코르친부 소속 6기로, 자라이트, 두르보트, 궈르로스와 전후로 10기를 합쳐 철리목 (철리목산, 지금의 싱안멍 코르친 우익중기경)에 회맹하면서 철리목맹이 시작되었다. 1630년대 코르친부 목지가 결정되면서 철리목맹십기의 목지는 지금의 네이멍구자치구 퉁랴오시, 헤이룽장성 두얼보터 몽골족 자치현, 지린성 옛 궈르로스 몽골족 자치현 등에 고정되었다.
1624년, 호르친부의 왕족은 후금 (후의 청나라)의 누르하치와 인척 관계를 맺고 동맹을 맺었다. 후금(청나라)의 제2대 황제 홍타이지의 다섯 황후 중 셋은 호르친부 출신이었으며, 제3대 황제 순치제는 그 아들이기 때문에 제4대 황제 강희제와 함께 몽골어에 능통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내몽골 육맹의 절림(哲里木) 맹 4부 10기에 속했으며, 그 중 6기가 호르친(科爾沁)부였다. 또한 자오우다(昭烏達) 맹 8부 11기에는 아르호르친(阿魯科爾沁)부 1기가 있다.
숭덕 원년(1636년) 4월, 후금은 청으로 개칭하고, 황제 홍타이지는 조서를 내려 호르친부에 다섯 개의 자사크(Jasak, 扎薩克)를 설치했다. 바다리(Badari, 巴達礼), 만주실리, 부다치, 홍골, 라마시히에게 각각 친왕(cin wang), 군왕(giyūn wang), 진국공(토셰군) 작위를 수여했다. 숭덕 2년(1637년), 카므니칸(Kamnikan, 喀木尼堪) 부·조선 정벌에 종군한다. 숭덕 3년(1638년), 할하 (Halha, 喀爾喀)를 정벌한다. 숭덕 4년(1639년) 봄, 솔론 (Solon, 索倫)을 정벌한다. 가을, 명나라의 행산과 고교를 포위한다. 숭덕 8년(1643년), 다라요위 벨러 아바타이, 호군 통령 알진(Arjin, 阿爾津)을 따라 명나라 및 흑룡강 제부를 정벌했다.
순치 원년(1644년), 자라이트부, 돌베트부, 골로스부의 병사들은 예친왕 도르곤(Dorgon, 多爾袞)을 따라 산해관으로 들어가 유적 이자성을 패주시킨 후 망도까지 추격했다. 순치 2년(1645년), 예친왕 도도(Dodo, 多鐸)를 따라 강남을 평정했다. 순치 3년(1646년), 수니트 (Sunit, 蘇尼特) 부 출신의 반란자 탕지스(騰機思)를 토벌하고, 할하의 투셰트 칸(Tusiyetu han, 土謝圖汗), 체첸 칸(Cecen han, 車臣汗)을 격파하고 지원했다. 순치 7년(1650년), 호르친부는 자사크 하나를 더하고, 동골의 아들 장질룬(彰吉倫)에게 이를 통솔하게 하여 베일러(beile, 貝勒)에서 군왕 작위로 진급했다. 순치 13년(1656년), 순치제는 호르친부, 자라이트부, 돌베트부, 골로스부, 하라친부, 투메트부, 아오한부, 나이만부, 바아린부, 자루트부, 알호르친부, 온류트부, 우줌친 (Ujumucin, 烏珠穆沁)부, 호치트 (Hoocit, 浩斉特)부, 수니트 (Sunit, 蘇尼特)부, 아바가 (Abaga, 阿巴噶)부, 돌벤 후헤트부 (사자 부락), 우라트 (Urad, 烏喇特)부, 할하 좌익부, 오르도스부 (Ordos, 鄂爾多斯)부의 여러 자사크에게 칙서를 하사했다.
강희 13년(1674년), 삼번의 난 때, 호르친부는 소속 병력을 징발하여 오삼계를 토벌했다. 강희 14년(1675년), 반란을 일으킨 차하르부의 불니 (Burni, 布爾尼) 친왕을 토벌한다. 호르친부는 그 후의 준가르·티베트 정벌에서도 종군한 공로가 있었기 때문에, 투셰트 친왕(Tusiyetu cin wang, 土謝圖親王), 달르한 친왕(Darhan cin wang, 達爾漢親王), 조리크투 친왕(Joriktu cin wang, 卓哩克図親王), 자사크투 귄왕(Jasaktu cin wang, 扎薩克圖郡王)의 네 작위는 타부에 비해 보상이 증가했다. 호르친부의 여섯 기는 좌우익으로 나뉘어, 투셰트 친왕은 우익을 장악하고, 자라이트부의 한 기, 돌베트부의 한 기를 관할했다. 달르한 친왕은 좌익을 장악하고, 오르도스부의 두 기를 관할하고, 제림(哲里木)에서 맹(아이마크)을 통치했다. 우익 중기는 바얀후샹(巴顔和翔)에 주둔하고, 좌익 중기는 이크탕가리크(伊克唐噶哩克) 포에 주둔하고, 우익 전기는 시라부르하스(席喇布爾哈蘇)에 주둔하고, 우익 후기는 엠투(額木図) 포에 주둔하고, 좌익 전기는 이유에클리보(伊岳克里泊)에 주둔하고, 좌익 후기는 샹푸르(双和爾) 산에 주둔했다.
좌익 중기의 자사크·달르한 친왕(扎薩克達爾漢親王)인 만주실리의 현손에 해당하는 수부탄발주르(色布騰巴勒珠爾)는, 건륭 11년(1746년) 3월에 글룬후진(固倫和敬) 공주와 결혼했다. 건륭 20년(1755년), 준가르를 평정한 공으로 쌍봉이 더해지고, 아무르사나의 반란으로 작위를 빼앗긴다. 건륭 23년(1758년), 다시 호쇼이 친왕(和碩親王)에 봉해진다. 건륭 37년(1772년), 정금천에서 또 후데(富徳)에게 붙어 아구이 (阿桂)를 탄핵했기 때문에, 작위를 빼앗긴다. 건륭 40년(1775년), 작위가 되돌려진다. 4대 후, 곤추크린친(棍楚克林沁)에 이르러, 토셰군(진국공)을 습명하고, 관직은 어전대신까지였고 사망했다. 그 후, 좌익 중기의 토사라푸군(보국공) 두 명, 좌익 후기의 토사라푸군(보국공) 한 명은 습명자가 끊어졌다. 좌익 후기의 자사크·도로이 귄왕(扎薩克多羅郡王)인 센겔린친(僧格林沁)은 군공으로 보드레가타이 호쇼이 친왕(博多勒噶台和碩親王)으로 진급했다. 동치 4년(1865년), 도로이 베일러(多羅貝勒) 한 명, 토사라푸군(보국공) 두 명이 증가한 것은 센겔린친의 공로에 의한 것이다.
센겔린친의 아들 보얀네모후(伯彦訥謨祜)는 처음에는 토사라푸군(보국공)에 봉해진다. 동치 3년(1864년), 베일러(貝勒)로 승진하고, 동치 4년(1865년) 7월, 보드레가타이 친왕(博多勒噶台親王)을 습명하고, 어전대신이 된다. 11월, 명에 의해 좌익 중기의 자사크·달르한 친왕(扎薩克達爾漢親王)의 소트남 푼수크(索特那木朋蘇克) 등과 봉천 마적을 토벌했다. 동치 5년(1866년) 2월, 마적을 정가둔에서 대파했다. 3월, 명에 의해 길림 여적을 잡았다. 광서 초, 광서제에 의해 겸 샹황기 령시위내대신을 수여받는다. 광서 17년(1891년)에 사망한다.
순치 연간(1643년 - 1661년)에 고(高), 동(董), 양(楊), 주(周), 량(梁), 류(劉)와 같은 한족 6성이 호르친 좌익 전기에 들어가 수수이허(秀水河) 연안으로 이주하여 개간을 시작했다.
기 | 주요 사건 |
---|---|
호르친 좌익 전 기 | |
호르친 우익 전 기 | |
호르친 좌익 중 기 | |
호르친 우익 중 기 | |
호르친 좌익 후 기 | |
호르친 우익 후 기 |
아편 전쟁 이후 제림 맹의 개간은 가장 격렬하게 진행되어, 골로스 후기, 자라이트, 돌베트 3기에 편입된 한족 농민 호는 159844호로 1220558명이 되었으며, 이 한족 농민 호는 당시 3기 몽골 호의 8.9배, 인구는 9.8배가 되었다. 1902년부터 1908년까지 불과 6년 동안 제림 맹의 개간된 초원 면적은 2450km2에 달했다. 이러한 한족 농민에 의한 대규모 개간은 170년 동안 광활하고 비옥한 호르친 초원을 경작지로 만들어 유목에 의한 목축 산업은 농업·반농반목 산업으로 전가되었다. 현재 청나라 전기에 존재했던 호르친 대초원은 청나라 중기부터 중화민국 시기에 걸친 개간으로 훈샨다크 사막과 호르친 사막으로 변했다[9]。
호르친부가 청나라에 귀순했을 때, 망구스(莽古斯)는 딸 제르제를 태종(홍타이지)에게 시집보내 황후로 삼았다.(효단문황후) 망구스의 아들 자이산(寨桑)도 하르조르와 부무부타이의 딸 2명을 태종에게 시집보냈고, 부무부타이는 세조(순치제)의 생모로서 황태후로 봉해졌다.(효장문황후) 자이산의 아들 우크샨(烏克善)과 만주실리(満珠習礼), 이 두 사람의 조카(자이산의 손자)인 줘얼지(綽爾済)도 각각 딸을 세조에게 시집보냈다. 우크샨의 딸은 황후가 된 후 폐위되었고, 만주실리의 딸은 요절하여 도비로 시호되었으며, 줘얼지의 딸 2명은 황후(효혜장황후) 및 비(숙혜비)가 되었다.
2. 5. 근현대
1491년, 코르친부는 다얀 칸의 동몽골 통일 작전에 참전했다. 1624년, 링단 칸과의 관계를 끊고 부족민을 이끌고 누르하치에게 귀순했는데, 이는 청 왕조 몽골 부족 중 가장 먼저 귀순한 사례이다.[3] 누르하치는 코르친의 항복을 받았으며, 이들은 청나라에 항복한 최초의 몽골 부족이 되었다. 코르친은 발효된 암말 젖을 만주족 황제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만주족 청나라의 후대 황제들은 이러한 초기 충성에 대해 코르친 귀족들에게 큰 보상을 했다. 효장문 황태후(1613–88) 및 효혜장 황후(1641–1717)와 같은 청나라의 주목할 만한 황후들은 코르친-보르지긴 출신이었다.[4]옹궈다이의 부족 형제인 망구스, 밍안, 콩궈르 3형제때부터 청 황실과 끊임없이 혼인 관계를 맺었다. 누르하치, 홍타이지, 순치제의 여러 비와 효단문황후, 효장문황후가 코르친부 출신이다. 청나라 말기 장령 셍게린친, 봉기군 수령 가다메이린 등이 몽골 코르친부 출신이다. 만주인이 티베트 불교를 알게 된 것도 몽골 코르친부와 관련이 있고, 이들은 거의 대대로 청나라 만주족 귀족과 통혼했다.
1891년 한족 금단도 추종자들의 반몽골 반란으로 인해 수천 명의 카르친 몽골족이 코르친으로 도망쳤다. 1900년 이후에는 중국 교육과 중국의 영향이 확산되었다. 일본 제국이 1931년 내몽골 일부와 만주 전체를 점령했을 때, 코르친 지도자들은 일본 제국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1948년의 농촌 계급 투쟁과 내전은 매우 유혈 사태였고 분열을 일으켰다. 그 이후로 그들은 중국 공산당의 내몽골 기구 내에서 강력한 정치 세력이 되었다.
아편 전쟁 이후 제림 맹의 개간은 가장 격렬하게 진행되어, 골로스 후기, 자라이트, 돌베트 3기에 편입된 한족 농민 호는 159,844호로 1,220,558명이 되었으며, 이 한족 농민 호는 당시 3기 몽골 호의 8.9배, 인구는 9.8배가 되었다. 1902년부터 1908년까지 불과 6년 동안 제림 맹의 개간된 초원 면적은 24.5억m2에 달했다. 이러한 한족 농민에 의한 대규모 개간은 170년 동안 광활하고 비옥한 호르친 초원을 경작지로 만들어 유목에 의한 목축 산업은 농업·반농반목 산업으로 전환되었다. 현재 청나라 전기에 존재했던 호르친 대초원은 청나라 중기부터 중화민국 시기에 걸친 개간으로 훈샨다크 사막과 호르친 사막으로 변했다[9]。
순치 연간(1643년 - 1661년)에 한족 6성이 호르친 좌익 전기에 들어가 개간을 시작했다.
기(旗) | 시기 | 내용 |
---|---|---|
호르친 좌익 전 기 | ||
호르친 우익 전 기 | 광서 30년(1904년) | 카이퉁현(현재 지린성 퉁위현) 설치. |
호르친 좌익 중 기 | ||
호르친 우익 중 기 | ||
호르친 좌익 후 기 | ||
호르친 우익 후 기 |
유럽 유니버설리스 IV와 ''에이지 오브 히스토리 2'' 같은 대규모 전략 게임에서 코르친을 플레이 가능한 국가로 선택할 수 있다. ''에이지 오브 히스토리 2''에서 코르친의 수도는 바이청이다.
[1]
웹사이트
ethnologue.com information
https://archive.toda[...]
3. 역대 자사크 수장
이름 재위 기간 비고 아오바 1626년 ~ 1632년 바다리 1633년 ~ 1671년 아오바의 장남 바야스후랑 1672년 ~ 1673년 바다리의 장남 아라샨 1674년 ~ 1688년 바야스후랑의 장남 샤진 1688년 ~ 1702년 바다리의 차남 아라샨 1702년 ~ 1711년 재임 어르자이투 1712년 ~ 1720년 아라샨의 장남 아라부탄 1720년 ~ 1759년 취자부 1759년 ~ 1767년 나왕 1767년 라센나무자르 1767년 ~ 1782년 노르부린친 1782년 ~ 1840년 서등돈루부 1840년 ~ 1856년 바바오도르지 1856년 ~ 1890년 서왕노르부상바오 1890년 ~ 1901년 예시하이슌 1902년 ~ 1944년 샤진 1675년 ~ 1694년 아비다 1694년 ~ 1722년 도르지 1723년 ~ 1746년 트구스어르크투 1746년 ~ 1759년 구무자부 1759년 ~ 1799년 산인지야투 1799년 ~ 1823년 다르마자푸 1823년 ~ 1841년 산인후비투 1841년 ~ 1848년 왕추크린친 1848년 ~ 1861년 다무린왕지르 1861년 ~ 1881년 민주르세단 1881년 ~ 1887년 카이비 1887년 ~ 1910년 만주시리 1652년 ~ 1665년 흐타 1665년 ~ 1669년 반디 1671년 ~ 1710년 루부장군부 1710년 ~ 1752년 서부텅바르주르 1752년 ~ 1755년 서왕누르부 1755년 ~ 1773년 왕자르두르지 1774년 ~ 1798년 단정왕부 1798년 ~ 1808년 부얀운두르후 1808년 ~ 1838년 수트나무펑수크 1838년 ~ 1874년 군부왕지르 1874년 ~ 1884년 나무지르서렁 1884년 ~ 1951년 우크샨 1636년 ~ 1665년 비르타가르 1666년 ~ 1667년 어치르 1668년 ~ 1682년 두르바 1682년 ~ 1688년 바트마 1688년 ~ 1725년 아르탄거후르 1725년 ~ 1736년 자무바르자무수 1737년 ~ 1761년 공거라부탄 1761년 ~ 1795년 라왕 1795년 ~ 1804년 가르상동루부 1804년 ~ 1826년 바투 1826년 ~ 1861년 지크덩왕쿠르 1861년 ~ 1891년 단서리트왕주르 1891년 ~ 1894년 어르더무비리크투 1894년 ~ 1906년 서왕돤루부 1908년 ~ 1903년 서부텅바르주르 1743년 ~ 1775년 어르저트무르어르크바바이 1775년 ~ 1793년 어르저투 1794년 ~ 1819년 지크모트 1819년 ~ 1848년 군추크린친 1848년 ~ 1884년 나수투 1884년 ~ 1901년 다라이 1901년 ~ ? 치타트 1649년 ~ 1653년 어르더니 1653년 ~ 1675년 비리크투 1676년 ~ 1710년 누먼어르흐투 1710년 ~ 1743년 아왕장부 1743년 ~ 1759년 라센가르당 1759년 ~ 1801년 상지자부 1801년 ~ 1805년 동모트 1805년 ~ 1841년 지크모트랑부 1841년 ~ 1872년 나란거후르 1872년 ~ ? 초르지 1661년 ~ 1668년 어치르 1670년 ~ 1681년 바크센구르 1682년 ~ 1720년 아라부탄 1720년 ~ 1735년 사무피르자무수 1735년 ~ 1757년 산인차군 1757년 ~ 1810년 서렁두르지 1810년 ~ 1823년 바거라푸탄 1823년 ~ 1859년 상루부두트사이 1859년 ~ 1866년 앙가코우 1866년 ~ 1883년 지크덩다크자이와 1884년 ~ 1905년 지크덩누르부린친자무수 1906년 ~ ? 라센 1726년 ~ 1750년 다르마다두 1750년 ~ 1753년 반주르 1753년 ~ 1786년 시디 1786년 ~ 1820년 아슈가 1820년 ~ 1827년 아민우르투 1827년 ~ 1881년 반잔라크산 1881년 ~ ? 린친두르지 ? ~ ? 양상바라 1902년 ~ ? 우르후마르 1724년 ~ 1732년 마하마유르 1732년 ~ 1770년 시다센리 1770년 ~ 1828년 바투 1828년 ~ 1853년 윤두안파르라이 1853년 ~ 1877년 하스바투르 1877년 ~ ? 투나흐 1661년 ~ 1688년 부니 1688년 ~ 1722년 사마디 1722년 ~ 1728년 라센서왕 1728년 ~ 1765년 서당가마르 1765년 ~ 1798년 누르부 1798년 ~ 1822년 보루트 1822년 ~ 1841년 파라바 1841년 ~ 1862년 치모트두르 1862년 ~ 1875년 드러그르멍크 1875년 ~ 1904년 도르지 1904년 ~ ? 가르비 1724년 ~ 1738년 차한다라 1738년 ~ 1742년 노관다라 1742년 ~ 1802년 왕친 1802년 ~ ? 하다 1750년 ~ 1803년 패자 라센의 3남 바트마 1803년 ~ 1825년 하다의 장남 부다치 1636년 ~ 1644년 바이스가르 1645년 ~ 1657년 어치르 1657년 ~ 1718년 사후라크 1718년 ~ 1731년 샤진드르거르 1731년 ~ 1749년 나왕서부텅 1749년 ~ 1784년 라센돤루부 1784년 ~ 1798년 민주르두르지 1798년 ~ 1834년 소노나무룬부무 1834년 ~ 1867년 다트바자무수 1867년 ~ 1873년 건둔잔산 1873년 ~ 1881년 우타이 1881년 ~ ? 홍궈르 1636년 ~ 1641년 어센 1646년 ~ 1665년 어지인 1666년 ~ 1696년 다다부 1696년 ~ 1707년 이센반디 1707년 ~ 1747년 라트나자무수 1747년 ~ 1776년 상두이자부 1776년 ~ 1782년 로보장잔산 1782년 ~ 1814년 린친자르산 1814년 ~ 1858년 시리바잔르 1858년 ~ 1877년 민루푸자부 1877년 ~ 1904년 군추크수롱 1904년 ~ ? 동궈르 1636년 ~ 1643년 진국공 장지룬 1648년 ~ 1664년 다라패륵(1648년 ~ 1650년), 자사크다라군왕(1650년 ~ 1664년) 부다리 1664년 ~ 1684년 자가르 1684년 ~ 1685년 다이부 1685년 ~ 1710년 아라부탄 1710년 ~ 1716년 루보장라센 1716년 ~ 1738년 치모트두르지 1738년 ~ 1782년 바르주르 1782년 ~ 1783년 소트나무두부자이 1783년 ~ 1825년 셍게린친 1825년 ~ 1865년 자사크보두르가타이친왕(1854년 ~ 1865년) 보얀느모후 1865년 ~ 1891년 아무르링궤 1891년 ~ ? 서부텅두르지 1738년 ~ 1743년 고산패자 소노모서릉 1743년 ~ 1771년 진국공 나쉰바투 1771년 ~ ? 보국공 라마 센시 1636년 ~ 1647년 스렁 1648년 ~ 1661년 두센샤르 1661년 ~ 1697년 투누마르 1697년 ~ 1725년 라마 자부 1725년 ~ 1754년 부얀드르그르 1754년 ~ 1755년 민주르두르지 1755년 ~ 1768년 사무피르자무수 1768년 ~ 1802년 스왕두르지 1802년 ~ 1834년 두부친왕단 1834년 ~ 1840년 우르지지르가르 1840년 ~ 1872년 트구스비리크투 1872년 ~ 1888년 라센민주르 1889년 ~ ? 보얀느모후 1855년 ~ 1865년 보국공(1855년 ~ 1864년), 다라패륵(1864년 ~ 1865년) 나르수 1865년 ~ 1890년 아무르링궤 1890년 ~ 1891년 원두수 1891년 ~ 1893년 아르탄어치르 1893년 ~ ? 랑부린친 1855년 ~ 1858년 부얀투구루크치 1858년 ~ 1871년 부얀바리크치 1871년 ~ 1884년 보디수 1884년 ~ ? 온두수 1865년 ~ 1891년 나순바다르후 1891년 ~ 1900년 나순아르비지후 1900년 ~ ?
4. 현대 문화
참조
[2]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3]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4]
서적
Marriage and inequality in Chinese society
[5]
간행물
Occasional Papers
Mongolia Society
[6]
문서
岡田英弘は現存するモンゴル部族の系譜でエセンの時代を遡るものはなくエセンと同時代人が実際上の始祖となっており、このことは同時代にモン골 사회의 재편성이 행해진 것을 시사하고 있다、と指摘している(岡田2010,67頁)
[7]
문서
モンゴル年代記ではモーリハイを殺した人物をホルチン部のウネ・ボラトとするが、明朝の史料ではウネ・ボラトに関する記述がないこと、後にボルナイがモーリハイの勢力を吸収していることなどから実際にモーリハイを殺したのはボルナイではないかと推測されている(井上2002,12頁)
[8]
문서
『清史稿』列伝三百五
[9]
논문
内モンゴル高原における砂漠化の一要因 : 経済史の観点から
https://hdl.handle.n[...]
新潟大学大学院現代社会文化研究科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