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불란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불란산은 1974년~1975년 비첨사에서 발견된 옥사페남 계열의 화합물로, 페니실린의 유사체이다. 단독으로는 항균력이 약하지만, β-락탐계 항생 물질의 불활성화를 막는 β-락타마아제 저해 작용을 통해 아목시실린 등과 합제되어 사용된다. 스트렙토마이세스 클라불리게루스에 의해 생합성되며, 부비동염, 요로 감염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부작용으로 담즙정체성 황달, 급성 간염, 알레르기가 보고되었고, 신경조절 작용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오구멘틴, 클라바목스, 티멘틴 등의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 - 설박탐
설박탐은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로, 암피실린, 세포페라존 등과 함께 복합제 형태로 사용되어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를 보호하며, 최근에는 아시네토박터 패혈증 치료에 사용되는 설박탐/둘로박탐 복합제가 미국에서 승인받았다. -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 - 아비박탐
- 알코올 - 날록손
날록손은 오피오이드 수용체 길항제로서 아편류 과다 복용의 응급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클로니딘 과다 복용, 오피오이드 오남용 방지, 쇼크 치료 등에 활용되기도 하지만, 임산부나 간·신장 기능 장애 환자에게는 신중한 투여가 필요하고 금단 증상 및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약물이다. - 알코올 - 로페라미드
로페라미드는 급성 설사, 여행자 설사, 과민성 장 증후군 등에 사용되는 설사 치료제이지만, 혈변 설사나 세균성 장염에는 사용해서는 안 되며, 변비,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과 고용량 복용 시 심각한 부작용 및 남용의 위험이 있다. - 카복실산 - 올레산
올레산은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에 널리 분포하는 오메가-9 지방산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LDL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카복실산 - 아세트산
아세트산(CH₃COOH)은 식초의 주성분인 카르복실산으로, 다양한 화학적 합성법과 발효법으로 대량 생산되며, 산업 및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고농도에서는 부식성이 강해 주의해야 한다.
클라불란산 | |
---|---|
일반 정보 | |
![]() | |
![]() | |
IUPAC 명칭 | (2R,5R,Z)-3-(2-하이드록시에틸리덴)-7-옥소-4-옥사-1-아자-바이사이클로[3.2.0]헵테인-2-카복실산 |
상품명 | 해당 없음 |
Drugs.com | Drugs.com 클라불란산 정보 (국제) |
임신 범주 (미국) | B |
임신 범주 (호주) | B1 |
법적 지위 (호주) | 스케줄 4 |
법적 상태 | 처방전 필요 |
투여 경로 | 경구 정맥 주사 (IV) |
약물 동태 | |
생체 이용률 | 경구: 45–64% |
단백질 결합률 | ~25% |
대사 | 알려지지 않음 |
대사 산물 | 두 가지의 마이너 대사 산물 |
작용 시작 시간 | ≤0.67–2시간 (최고 농도 도달 시간) |
소멸 반감기 | 0.8–1.2시간 |
작용 시간 | 해당 없음 |
배설 | 소변: 35–65% (변화되지 않은 형태; 6시간 이내) |
식별자 | |
CAS 등록번호 | 58001-44-8 |
ATC 코드 | J01CR (페니실린과의 조합) |
PubChem CID | 5280980 |
DrugBank | DB00766 |
ChemSpider ID | 4444466 |
UNII | 23521W1S24 |
KEGG | D07711 |
ChEBI | 48947 |
ChEMBL | 777 |
동의어 | RX-10100; Serdaxin; Zoraxel |
속성 | |
분자식 | C8H9NO5 |
SMILES | O=C2N1[C@H](C(/O[C@@H]1C2)=C/CO)C(=O)O |
StdInChI | 1S/C8H9NO5/c10-2-1-4-7(8(12)13)9-5(11)3-6(9)14-4/h1,6-7,10H,2-3H2,(H,12,13)/b4-1-/t6-,7-/m1/s1 |
StdInChIKey | HZZVJAQRINQKSD-PBFISZAISA-N |
2. 역사
1974~1975년, 영국의 제약회사 비첨의 과학자들이 스트렙토마이세스 클라불리게루스(''Streptomyces clavuligerus'')라는 세균에서 클라불란산을 발견하였다.[30][31][13] 1981년, 비첨은 이 약물에 대한 미국 특허를 신청했고, 1985년에 특허를 받았다.[13]
클라불란산은 β-락탐 항생제의 특징인 β-락탐 고리를 가지고 있지만, 항균 활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화학 구조가 유사하여 β-락탐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특정 박테리아가 분비하는 효소인 β-락타마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클라불란산은 β-락탐 항생제의 특징인 β-락탐 고리를 가지고 있지만, 항균 활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화학 구조가 유사하여 β-락탐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하는 효소인 β-락타마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클라불란산은 스트렙토마이세스 클라불리게루스(''Streptomyces clavuligerus'')라는 균주에 의해 생성된다.[30][31] 아르기닌과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인산으로부터 생합성된다.[32][33] 베타-락탐 유사 구조로 인해 구조적으로 페니실린과 비슷해 보이지만, 페니실린과는 다른 합성 경로 및 합성 효소를 필요로 한다.
3. 특성
클라불란산은 자살 억제제로, β-락타마제의 활성 부위에 있는 세린 잔기에 공유 결합한다. 이는 클라불란산 분자를 재구성하여 활성 부위의 다른 아미노산을 공격하여 영구적으로 비활성화하고, 효소를 비활성화하는 훨씬 더 반응성이 높은 종을 생성한다.
이러한 억제 작용은 락타마제를 분비하는 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β-락탐 항생제의 항균 활성을 회복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합에도 내성을 보이는 일부 박테리아 균주가 나타났다.
구조는 옥사페남에 속하며, 기본 골격은 페니실린의 4위 황 원자가 산소 원자로 대체된 것이다. 단독으로는 항균력이 약하지만, β-락탐계 항생 물질을 불활성화하는 효소인 β-락타마아제를 비가역적으로 저해하는 작용이 있어, 페니실린과의 합제로 임상 응용되고 있다. β-락타마아제 저해 작용은 페니실리나아제에 대해서는 강하고, 세파로스포리나아제에 대해서는 약하다. 아목시실린, 티카실린 등과 조합된 제제가 시판되고 있다.[13]
4. 작용 기전
클라불란산은 자살 억제제로, β-락타마제의 활성 부위에 있는 세린 잔기에 공유 결합한다. 이는 클라불란산 분자를 재구성하여 활성 부위의 다른 아미노산을 공격, 영구적으로 비활성화시켜 효소를 억제한다.
이러한 억제 작용은 락타마제를 분비하는 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β-락탐 항생제의 항균 활성을 회복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박테리아 균주는 이러한 조합에도 내성을 보인다.[13]
5. 생합성
클라불란산 생합성에는 주로 클라바민산 합성효소, 베타-락탐 합성효소, N2-(2-카르복시에틸)-L-아르기닌 합성효소(CEA) 등 3가지 효소가 사용된다.[32] 각 효소 반응 기작은 아직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모든 중간단계 산물은 알려져 있다.
6. 의학적 용도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은 부비동염, 요로 감염, 신우신염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감염에 대한 1차 치료제이다. 이는 부분적으로 화학 요법 항생제로 그람 양성균보다 제어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는 그람 음성 세균에 대한 효능 때문이다.
7. 부작용
클라불란산을 페니실린과 병용할 경우 치료 중이나 직후에 담즙정체성 황달과 급성 간염의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달의 경우 자연적으로 치료되는 것이 대부분이나, 일부 사례에서는 매우 치명적으로 나타났다.[37][38][3][4]
영국 의약품 안전 위원회(CSM)는 아목시실린 내성 베타-락타메이스 생성 균주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의심되는 세균성 질환 환자에게, 아목시실린/칼라불란산 제제의 투여를 유보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14일 넘게 투여해서는 안 된다.
알레르기 역시 보고되었다.[39][5]
8. 신경조절 작용 (연구 중)
2005년에 1,040개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약물과 건강기능식품을 스크리닝한 결과, 세프트리악손과 같은 많은 β-락탐이 별아교세포 글루탐산 수송체 1 (GLT-1) 발현을 상향조절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14][15][16] 이후, 클라불란산 역시 β-락탐으로서 이 작용을 공유한다는 것이 밝혀졌다.[14][20]
클라불란산은 측좌핵, 내측 전전두피질, 척수에서 GLT-1 발현을 증가시키고, 글루탐산성, 도파민성, 세로토닌 신경전달을 조절하며, 사이토카인 종양 괴사 인자 α (TNF-α) 및 인터류킨-10 (IL-10) 조절을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14][22][27]
세프트리악손은 경구 투여 생체 이용률이 낮고, 뇌 약물 투과율이 낮으며, 항생제 활성을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14] 반면 클라불란산은 이러한 단점을 가지지 않으며, ''생체 내''에서 세프트리악손보다 더 강력하다.[14]
β-락탐에 의한 GLT-1 발현 상향 조절의 작용 기전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14][16] 다만, 클라불란산의 일부 효과(예: 도파민 방출 증가)는 SNARE 단백질 Munc18-1 및 Rab4와의 상호작용과 관련될 수 있다.[17][18]
클라불란산은 중추 신경계 작용과 관련하여 불안, 성적 행동, 중독, 신경병성 통증, 염증성 통증, 간질, 파킨슨병, 치매, 뇌졸중 모델에서 전임상 연구를 통해 연구되었다.[14][22][19][17] 설치류 및/또는 원숭이를 포함한 동물에서 클라불란산은 불안 완화, 항우울, 성적 자극, 기억력 향상, 진통, 항중독, 프로-도파민성, 옥시토신 효능제, 신경 보호 효과를 보였다.[14][17][20][21]
발기 부전,[22] 우울증,[26][23][24] 약물 의존,[25] 및 통증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가 인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17] 이러한 질환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혼합된 예비 결과가 보고되었다.[27][22][26][24]
클라불란산은 발기 부전, 불안 장애, 주요 우울 장애, 신경퇴행성 질환,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Revaax Pharmaceuticals (현재 Ocuphire Pharma)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발되었으나,[27][22][26] 2014년에 이러한 적응증에 대한 개발은 중단되었다.[27] 개발 당시 클라불란산의 개발 코드명은 RX-10100이었고, 잠정적인 상품명은 Serdaxin 및 Zoraxel이었다.[27] 개발은 중단되었지만, 2024년 현재까지 잠재적인 신경계 관련 용도로 클라불란산에 대한 관심은 계속되고 있다.[14][25]
9. 시판 제품 (대한민국)
제품명 | 성분 | 투여 경로 |
---|---|---|
오구멘틴 정 | 클라불란산칼륨 + 아목시실린 수화물 | 경구 투여 |
클라바목스 소아용 드라이 시럽 | 클라불란산칼륨 + 아목시실린 수화물 | 경구 투여 |
티멘틴 | 클라불란산칼륨 + 티카실린이나트륨 | 정맥 내 투여 |
참조
[1]
웹사이트
Clavulanic acid: Uses, Interactions, Mechanism of Action
https://go.drugbank.[...]
2014-07-08
[2]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
[3]
간행물
British National Formulary
British Medical Association and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2004
[4]
저널
Drug Record - Amoxicillin-Clavulanate
http://livertox.nih.[...]
2012
[5]
저널
Hypersensitivity to clavulanic acid in children
http://www.elsevier.[...]
2011-11-11
[6]
저널
ORF17 from the clavulanic acid biosynthesis gene cluster catalyzes the ATP-dependent formation of N-glycyl-clavaminic acid
2006-01
[7]
저널
Two sets of paralogous genes encode the enzymes involved in the early stages of clavulanic acid and clavam metabolite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clavuligerus
2004-03
[8]
저널
New reactions in clavulanic acid biosynthesis
2002-10
[9]
저널
Clavulanic acid: a beta-lactamase-inhiting beta-lactam from Streptomyces clavuligerus
1977-05
[10]
저널
A single monomeric iron center in clavaminate synthase catalyzes three nonsuccessive oxidative transformations
1996-07
[11]
저널
Kinetic mechanism of the beta-lactam synthetase of Streptomyces clavuligerus
2000-09
[12]
저널
Origin of the β-Lactam Carbons in Clavulanic Acid from an Unusual Thiamine Pyrophosphate-Mediated Reaction
[13]
저널
Beta-lactamase inhibitors and reversal of antibiotic resistance
1991-06
[14]
저널
Clavulanic Acid and its Potential Therapeutic Effe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https://www.research[...]
2024-01
[15]
저널
Ceftriaxone as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Hyperglutamatergic States: Bridging the Gap Between Preclinical Results and Clinical Translation
2022
[16]
저널
Beta-lactam antibiotics offer neuroprotection by increasing glutamate transporter expression
2005-01
[17]
저널
Review of Antibiotic and Non-Antibiotic Properties of Beta-lactam Molecules
2016
[18]
저널
Clavulanic acid increases dopamine release in neuronal cells through a mechanism involving enhanced vesicle trafficking
2011-10
[19]
저널
β_lactam antibiotics against drug addiction: A novel therapeutic option
2023-11
[20]
저널
Clavulanic acid: a competitive inhibitor of beta-lactamases with novel anxiolytic-like activity and minimal side effects
2009-08
[21]
저널
Clavulanic Acid Improves Memory Dysfunction and Anxiety Behaviors through Upregulating Glutamatergic Transporters in the Nucleus Accumbens of Mice Repeatedly Exposed to Khat Extract
2023-10
[22]
저널
An update on emerging drugs for the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2018-12
[23]
저널
Innovative drugs to treat depression: did animal models fail to be predictive or did clinical trials fail to detect effects?
2014-04
[24]
저널
Results of a proof-of-concept, dose-finding,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RX-10100 (Serdaxin®) in subjec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2012-06
[25]
저널
Clavulanic Acid Decreases Cocaine Cue Reactivity in Addiction-Related Brain Areas, a Randomized fMRI Pilot Study
2024-04
[26]
저널
Emerging drug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2012-03
[27]
웹사이트
Clavulanic acid
https://adisinsight.[...]
2021-12-29
[28]
문서
Justin Evans, et al
[29]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
[30]
저널
ORF17 from the clavulanic acid biosynthesis gene cluster catalyzes the ATP-dependent formation of N-glycyl-clavaminic acid
http://www.jbc.org/c[...]
2006-01
[31]
저널
Two sets of paralogous genes encode the enzymes involved in the early stages of clavulanic acid and clavam metabolite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clavuligerus
http://aac.asm.org/c[...]
2004-03
[32]
저널
New reactions in clavulanic acid biosynthesis.
2002-10
[33]
저널
Clavulanic Acid: a Beta-Lactamase-Inhibiting Beta-Lactam from Streptomyces clavuligerus
1977-05-01
[34]
저널
A single monomeric iron center in clavaminate synthase catalyzes three nonsuccessive oxidative transformations.
1996-07
[35]
저널
Kinetic mechanism of the beta-lactam synthetase of Streptomyces clavuligerus.
2000-09-19
[36]
논문
Origin of the β-Lactam Carbons in Clavulanic Acid from an Unusual Thiamine Pyrophosphate-Mediated Reaction
[37]
서적
British National Formulary
British Medical Association and Royal Pharmaceut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38]
웹인용
Drug Record - Amoxicillin-Clavulanate
http://livertox.nih.[...]
2013-04-24
[39]
논문
Hypersensitivity to clavulanic acid in children
http://www.elsevier.[...]
2020-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