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9세기에 활동한 비잔틴 제국 출신의 형제로, 슬라브족의 기독교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테살로니카에서 태어난 두 형제는 키릴로스가 글라골 문자를 창제하고 슬라브어로 성경을 번역하는 등 슬라브족의 언어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들의 선교 활동은 대모라비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슬라브어 전례를 확립하려 했으나 독일 성직자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키릴로스는 로마에서 사망하고, 메토디오스는 슬라브족 선교를 계속하다가 생을 마감했다.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슬라브족의 사도로 불리며,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모두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기념일로 지정되어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27년 출생 - 키릴로스 (9세기)
    키릴로스(9세기)는 9세기의 비잔틴 신학자이자 슬라브족 선교사로, 슬라브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 글라골 문자를 창제하여 슬라브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슬라브의 사도로 불리며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 827년 출생 - 도선
    신라 말기의 승려이자 풍수지리 사상가인 도선은 음양지리설과 풍수상지법을 바탕으로 한국 풍수지리 사상의 시조로 여겨지며, 그의 사상은 지리소왕설, 산천순역설, 비보사상 등으로 요약된다.
  • 그리스의 번역가 -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는 6세기 수도승이자 학자로, 성서학과 교회법에 능통했으며, 서기 연대표를 고안하고 부활절 계산법을 통해 교회 간의 논쟁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여 서방 교회의 법 체계와 달력 체계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의 번역가 - 요안니스 아르기로풀로스
    요안니스 아르기로풀로스는 1415년경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나 그리스 철학을 가르치고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번역을 통해 서유럽에 그리스 철학을 전파했으며, 1487년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 9세기 기독교 신학자 -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는 9세기 아일랜드 출신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샤를 2세의 초청으로 궁정학교에서 교수직을 맡아 스콜라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자연 분할론》 저술 및 위(僞) 디오니시오스 저작 번역을 통해 서유럽에 영향을 미쳤다.
  • 9세기 기독교 신학자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9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학자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였던 포티오스 1세는 명문가 출신으로 뛰어난 학식을 자랑하며 '포티오스 분열'을 야기하는 등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고 사후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기본 정보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가 키릴 문자를 들고 있는 모습', 불가리아의 도상화가 Z. 조그라프의 벽화, 1848년, 트로얀 수도원"
존경 대상동방 정교회
가톨릭 교회
성공회
루터교
칭호주교 및 고해자
사도와 동등한 자
유럽의 수호성인
슬라브족의 사도
수호불가리아
북마케도니아
체코
슬로바키아
트란스니스트리아
세르비아
류블랴나 대교구
유럽
토론토 슬로바키아 교구
코시체 교구
축일5월 11일, 5월 24일 (동방 정교회)
2월 14일 (현재 로마 가톨릭 달력)
7월 5일 (체코, 슬로바키아 로마 가톨릭 및 루터교)
출생826년 또는 827년 (키릴), 815년 (메토디우스)
출생지테살로니카, 비잔티움 제국 (현재 그리스)
사망869년 2월 14일 (키릴), 885년 4월 6일 (메토디우스)
사망지로마 (키릴), 대 모라비아 벨레흐라트 (메토디우스)
생애
직업신학자, 선교사
기타
영향키릴 문자 개발

2. 초기 생애와 배경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는 비잔틴 제국 테살로니카 주 테살로니카 (현재 그리스)에서 태어났다. 키릴로스는 827~828년경, 메토디오스는 815~820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키릴로스의 생애''에 따르면, 키릴로스는 일곱 형제 중 막내로 본명은 콘스탄티누스였으나, 사망 직전 로마에서 수도사가 되면서 키릴로스라는 이름을 얻었다.[10][11][12] 메토디오스는 미하일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미시아 올림푸스 산(현재 터키 북서부의 울루다그)에 있는 폴리크론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면서 메토디오스라는 이름을 얻었다.[13] 이들의 아버지는 레오로 비잔틴 테살로니카 테마의 드로웅가리오스였고, 어머니 이름은 마리아였다.

두 형제의 정확한 민족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가 슬라브족[14] 출신인지, 그리스인[15] 출신인지, 아니면 둘 다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6]

2. 1. 출생과 가문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는 당시 비잔틴 제국 테살로니카 주에 속했던 테살로니카 (현재 그리스)에서 태어났다. 키릴로스는 827~828년경, 메토디오스는 815~820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키릴로스의 생애''에 따르면, 키릴로스는 일곱 형제 중 막내로 본명은 콘스탄티누스였으나, 사망 직전 로마에서 수도사가 되면서 키릴로스라는 이름을 얻었다.[10][11][12] 메토디오스는 미하일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미시아 올림푸스 산(현재 터키 북서부의 울루다그)에 있는 폴리크론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면서 메토디오스라는 이름을 얻었다.[13] 아버지 레오는 비잔틴 테살로니카 테마의 드로웅가리오스였고, 어머니 이름은 마리아였다.

두 형제의 정확한 민족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가 슬라브족[14] 출신인지, 그리스인[15] 출신인지, 아니면 둘 다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6]

3. 하자르 선교 (860년)

860년경, 비잔틴 제국 미하일 3세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키릴의 대학 교수이자 초창기 그의 지도자)는 키릴을 하자르인에게 선교사로 파견했다. 하자르인들은 유대인과 사라센인과 모두 대화할 수 있는 학자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18] 메토디오스가 키릴과 함께 하자르 선교에 동행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후대의 창작일 수 있다. 라틴어로 쓰인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인 ''"Legenda"''는 그가 타우리카의 케르소네소스 타우리카 (오늘날의 크림반도)에서 하자르어를 배웠다고 주장한다.

4. 슬라브족 선교

로마의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산 클레멘테의 프레스코화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9세기 동로마 제국 출신의 선교사 형제로, 슬라브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 슬라브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이들은 글라골 문자를 창안하고 성경을 슬라브어로 번역하여 슬라브 민족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862년, 대모라비아의 라스티슬라프 공작은 동프랑크 왕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동로마 제국에 선교사 파견을 요청했다. 이에 미하일 3세 황제는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를 파견했다.[20][21] 형제는 대 모라바에서 슬라브어 전례를 장려하고 복음서동방 정교회 전례 서적을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번역했다.[22] 그러나 이는 슬라브족 전례를 반대하는 독일 성직자들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도 형제는 슬라브족을 위한 선교 활동을 지속했으며, 슬라브어의 특징에 맞게 글라골 문자를 창안했다. 글라골 문자의 후손인 키릴 문자는 오늘날에도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20]

4. 1. 대모라비아 선교 (863-885년)

862년, 대 모라바의 라스티슬라프 공작은 루트비히 2세에게서 독립하고자 비잔티움 제국의 미하일 3세 황제와 포티오스 총대주교에게 슬라브족 복음화를 위한 선교사 파견을 요청했다. 이는 종교적 이유보다는 정치적 동기가 더 컸다고 여겨진다. 라스티슬라프의 요청은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력을 확장할 좋은 기회였고, 황제는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를 파견했다.[20][21]

형제는 우선 조력자들을 훈련시켰고, 863년부터 복음서동방 정교회 전례 서적을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번역하고 글라골 문자를 고안하여 대 모라비아에서 슬라브어 전례를 장려했다.[22] 그러나 이는 슬라브족 전례를 반대하는 독일 성직자들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글라골 문자는 슬라브어의 특징에 맞게 만들어졌으며, 이 문자의 후손인 키릴 문자는 오늘날에도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20] 형제는 대 모라비아에서 사용된 최초의 슬라브족 민법을 작성하기도 했다.

번역 범위는 불확실하나, 신약성경시편이 먼저 번역되었고, 이후 구약성경의 다른 부분들이 번역된 것으로 보인다. 형제들이 어떤 전례를 원본으로 삼았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라틴 문자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4. 2. 슬라브어 전례와 독일 성직자들과의 갈등

862년, 대 모라바의 라스티슬라프 공작은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3세와 포티오스 총대주교에게 슬라브족을 위한 선교사를 요청했다. 이는 종교적 이유보다는 정치적 동기가 컸는데, 라스티슬라프는 루트비히 2세의 지원으로 왕위에 올랐으나 이후 프랑크로부터 독립을 꾀했기 때문이다. 흔히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가 모라바에 처음 기독교를 전파했다는 오해가 있지만, 라스티슬라프의 편지에는 이미 백성들이 이교를 버리고 기독교 율법을 따른다고 명시되어 있다.[19]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 선교사를 추방하고 콘스탄티노플에 교회적, 정치적 지원을 요청했다.[20] 황제는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를 파견했고, 이들은 조력자들을 훈련시키는 것으로 첫 임무를 시작했다. 863년, 형제는 복음서동방 정교회 전례 서적을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번역하고 대 모라비아에서 이를 장려했다.[22] 그러나 이들은 슬라브어 전례를 반대하는 독일 성직자들과 갈등을 겪었다.

이 선교를 위해 형제는 슬라브어 문자인 글라골 문자를 고안했다. 글라골 문자는 슬라브어의 특징에 맞게 만들어졌으며, 이 문자의 후손인 키릴 문자는 오늘날에도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20] 형제는 대 모라비아에서 사용된 최초의 슬라브족 민법을 작성했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파생된 교회 슬라브어는 여러 동방 정교회와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 전례에 사용된다.

형제가 얼마나 많은 성경을 번역했는지는 불확실하다. 신약성경시편이 가장 먼저 번역되었고, 이후 구약성경의 다른 부분들이 번역된 것으로 추정된다.

4. 3. 로마 방문과 교황의 승인 (867-869년)



콘스탄티누스와 메토디오스의 선교는 슬라브족 사이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부분적으로는 그들이 라틴어그리스어가 아닌 민족 고유의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대 모라비아에서 콘스탄티누스와 메토디오스는 동프랑크 왕국에서 온 선교사들과 마주쳤다. 그들은 교회의 서부, 즉 라틴 지부를 대표했으며, 특히 샤를마뉴에 의해 건국된 카롤링거 제국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며, 언어적, 문화적 통일성을 추구했다. 그들은 라틴 전례의 사용을 고집했고, 모라비아와 슬라브족을 그들의 정당한 선교 지역의 일부로 간주했다.[20]

마찰이 발생하자, 형제들은 기독교인들 사이의 불화를 일으키고 싶지 않아, 로마로 가서 교황을 만나 현장에서의 선교사들 간의 다툼을 피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기로 결정했다. 867년, 교황 니콜라오 1세 (858-867)는 형제들을 로마로 초청했다. 그들의 모라비아 선교는 이때 잘츠부르크의 아달빈 대주교 (859–873)와 파사우의 주교 에르만리히 (866-874)와의 분쟁의 초점이 되었다. 그들은 동일한 영토에 대한 교회 통제권을 주장했고, 라틴 전례만을 사용할 것을 원했다.[20]

형제들은 성 클레멘스의 유해와 제자들을 데리고 판노니아 (발라톤 공국)를 통과했는데, 그곳에서 코첼 공으로부터 좋은 대우를 받았다. 판노니아에서의 이러한 활동은 독일 주교단, 특히 75년 동안 판노니아의 특권을 가지고 있던 잘츠부르크의 주교와의 갈등을 지속시켰다. 865년 초, 아달빈 주교는 그곳에서 주교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아래 행정은 대사제 리에발드의 손에 있었고, 그는 본능적으로 그의 주장을 포기하고 싶어하지 않았지만, 잘츠부르크로 물러나야 했다.[20]

형제들은 로마로부터 지원을 요청했고, 868년에 그곳에 도착하여 따뜻하게 환영받았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그들이 성 클레멘스의 유해를 가져온 덕분이었으며, 슬라브족 영토에 대한 콘스탄티노플과의 경쟁은 로마가 형제들과 그들의 영향력을 높이 평가하게 만들었을 것이다.[20]

형제들은 그들의 학식으로 칭찬받았고, 콘스탄티노플에서의 영향력을 위해 육성되었다. 아나스타시우스 비블리오테카리우스는 나중에 키릴로스를 "사도적 삶의 사람"이자 "위대한 지혜의 사람"이라고 불렀다.[23] 그들의 모라비아 사업은 새로운 교황 아드리아노 2세 (867-872)로부터 지지를 받았고, 그는 새로운 슬라브 전례의 사용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이후 메토디오스는 교황에 의해 사제로 서품되었고, 다섯 명의 슬라브 제자들, 즉 성 고라즈드, 성 오흐리드의 클레멘스, 성 나움은 사제로, 성 안젤라르와 성 사바는 부제로 서품되었다.[24] 10세기부터 키릴로와 메토디오스는 이 다섯 제자들과 함께 불가리아 정교회에 의해 "일곱 성인"으로 공동 숭배받고 있다.[25][26] 새로 임명된 사제들은 일부 주요 교회의 제단에서 자신의 언어로 예배를 집전했다.

키릴로는 자신의 종말이 다가옴을 느끼고, 바실리아 수도사가 되었고 키릴로라는 이름을 받았다.[27] 그는 50일 후 로마에서 사망했다 (869년 2월 14일). ''Translatio'' (ix.)에는 그가 주교로 임명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명시되어 있다. 키릴로의 사망 후 메토디오스는 모든 모라비아와 판노니아를 관할하고 슬라브 전례를 사용할 권한을 가진 시르미움 (현재 세르비아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28]

4. 4. 키릴로스의 죽음과 메토디오스의 활동 (869-885년)

메토디오스는 슬라브족 사이에서 선교 활동을 계속 이어갔다. 처음에는 대모라바가 아닌 판노니아(발라톤 공국)에서 활동했는데, 이는 대모라바의 정치적 상황이 불안정했기 때문이다. 870년 라스티슬라프는 조카 스바토플루크에게 사로잡혀 바이에른의 카를로만에게 넘겨졌고, 레겐스부르크에서 열린 제국 의회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동프랑크의 통치자와 주교들은 메토디오스를 폐위시키려 했고, 메토디오스의 대주교 주장은 잘츠부르크의 권리를 위협한다고 여겨져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다. 격론 끝에 그들은 메토디오스를 독일로 보내 수도원에 2년 반 동안 가두었다.[29]

871년, ''바고아리움과 카란타노룸의 개종''이라는 강력한 진술에도 불구하고, 로마는 메토디오스를 옹호했다. 교황은 안코나의 바오로 주교를 보내 메토디오스를 복직시키고 그의 적들을 처벌하도록 했다. 873년, 교황 요한 8세는 메토디오스의 석방을 확보했지만, 슬라브 전례 사용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30] 교황의 의지가 우선되어 메토디오스는 자유와 대모라바와 판노니아 양쪽 모두에 대한 대주교의 권한을 확보했지만, 가톨릭교회에서의 미사에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스바토플루크는 대모라바에서 사실상 독립적으로 통치하며 독일 성직자들을 추방했고, 이는 메토디오스에게 방해받지 않는 활동 영역을 확보해 주었다. 메토디오스는 슬라브 전례 금지를 무시한 것으로 보이며, 프랑크 성직자들이 다시 이 지역에 들어와 갈등을 빚자, 로마에서 이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고, ''필리오케''에 관한 혐의와 함께 제기되었다.

878년, 메토디오스는 이단 혐의와 슬라브어 사용 혐의로 로마로 소환되었으나, 교황 요한은 메토디오스의 변호에 설득당하여 그를 모든 혐의에서 벗어나게 하고 슬라브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여 돌려보냈다. 그의 후임인 카롤링거 주교 비칭은 슬라브 전례를 억압하고 메토디오스의 추종자들을 추방했다. 많은 이들이 불가리아의 보리스 세례자에게 피난처를 찾아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교회를 재조직했다. 한편, 교황 요한의 후임자들은 수세기 동안 지속된 라틴어 전용 정책을 채택했다.

메토디오스는 정통성을 입증하고 전례에 관해 복종할 것을 약속했으며, 신조에서 ''필리오케''를 생략한 것을 변호했다. 비록 ''필리오케''가 6세기 경에는 서부의 일부 라틴어를 사용하는 교회에서 들을 수 있었지만, 로마가 이를 따르는 것은 1014년이 되어서였다(니케아 신경 참조). 요한 8세는 확고하게 메토디오스를 지지했지만, 그의 죽음(882년 12월) 이후에는 그의 입지가 불안해졌다.

메토디오스는 885년 4월 6일에 사망했고[31] 그의 시신은 대모라바의 주요 대성당 교회에 묻혔다. 대모라바의 수도가 어느 도시였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며, 메토디오스의 시신이 어디에 있는지도 불확실하게 남아있다.[32]

메토디오스가 죽자 적대감이 공개적인 갈등으로 폭발했다. 오흐리드의 클레멘트는 885년 메토디오스가 죽은 후 고라즈드와 함께 대모라바에서 독일 성직자들과의 투쟁을 이끌었다. 메토디오스가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한 고라즈드는 교황 스테파노 5세에게 인정받지 못했다. 이 교황은 또한 슬라브 전례를 금지했고[33] 메토디오스의 후계자로 비칭을 임명했으며, 그는 즉시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제자들을 대모라바에서 추방했다.

클레멘트는 잠시 감옥에 갇힌 후 대모라바에서 추방되었고, 885년 또는 886년에 불가리아 제1제국의 국경에 나움, 앙겔라르와 함께 도착했으며, 아마도 고라즈드도 함께 했을 것이다(다른 자료에서는 고라즈드가 이미 그 당시 죽었다고 한다). 앙겔라르는 도착 후 곧 죽었지만, 클레멘트와 나움은 보리스 1세에 의해 불가리아의 수도 플리스카로 보내져 국가의 미래 성직자들에게 슬라브어를 가르치라는 지시를 받았다. 결국 그들은 오흐리드 문학 학교를 오흐리드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를 프레슬라프에 설립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는 원래 플리스카에 설립되었지만, 893년에 프레슬라프로 옮겨졌다.

4. 5. 메토디오스 사후 슬라브 전례의 쇠퇴

메토디오스는 슬라브족 사이에서 선교 활동을 계속했다. 처음에는 대모라바가 아닌 판노니아에서 활동했는데, 대모라바의 정치적 상황이 불안정했기 때문이다. 870년 라스티슬라프는 조카 스바토플루크 1세에게 사로잡혀 바이에른의 카를로만에게 넘겨졌고, 레겐스부르크에서 열린 제국 의회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동프랑크 통치자와 주교들은 메토디오스를 폐위시키려 했고, 그의 대주교 주장은 잘츠부르크의 권리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체포되었다.[29]

873년, 교황 요한 8세는 메토디오스의 석방을 확보했지만, 슬라브 전례 사용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30] 가톨릭교회에서의 미사에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스바토플루크 1세는 대모라바에서 사실상 독립적으로 통치하며 독일 성직자들을 추방했고, 메토디오스는 슬라브 전례 금지를 무시한 것으로 보인다.

878년, 메토디오스는 이단 혐의와 슬라브어 사용 혐의로 로마로 소환되었으나, 교황 요한은 메토디오스를 모든 혐의에서 벗어나게 하고 슬라브어 사용을 허가했다. 그의 후임 카롤링거 주교 비칭은 슬라브 전례를 억압하고 메토디오스의 추종자들을 추방했다. 많은 이들이 불가리아 제1제국의 보리스 1세에게 피난처를 찾았다.

메토디오스는 885년 4월 6일에 사망했고[29] 그의 시신은 대모라바의 주요 대성당 교회에 묻혔지만,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30]

메토디오스 사후, 교황 스테파노 5세는 슬라브 전례를 금지하고[31] 메토디오스의 후계자로 비칭을 임명했다. 비칭은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제자들을 대모라바에서 추방했다. 오흐리드의 클레멘트를 포함한 제자들은 불가리아 제1제국으로 피신하여 보리스 1세의 지원 아래 오흐리드 문학 학교와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를 설립하여 슬라브어 교육과 종교 활동을 이어갔다.

5. 글라골 문자와 키릴 문자

글라골 문자키릴 문자는 가장 오래된 슬라브 알파벳으로,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 및/또는 그들의 제자들이 복음서와 전례서를 슬라브어로 번역하기 위해 만들었다.[32][33]

초기 글라골 문자는 863년에서 885년 사이 대모라비아에서 정부 및 종교 문서와 책에 사용되었고, 키릴로스가 설립한 대 모라비아 아카데미(''Veľkomoravské učilište'')에서 교육용으로 사용되었다.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제자들이 글라골 문자를 단순화하여 개발했으며, 그리스 문자와 더 유사했다. 키릴 문자그리스 문자글라골 문자에서 파생되었다.[34] 점차 글라골 문자를 대체하여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알파벳이 되었고, 제1 불가리아 제국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며, 나중에 키예프 루스의 동 슬라브 영토로 퍼져나갔다. 이후 대부분의 슬라브 세계로 확산되어 동방 정교회 슬라브 국가에서 표준 알파벳이 되었다.

5. 1. 글라골 문자 창제

바슈카 비문은 크로아티아에서 만들어진 초기 글라골 문자의 예시이다.


1938년 불가리아의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에 관한 만화. 캡션에는 "형제 키릴,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파벳을 배워 자유()와 무정부 상태()는 같지 않다는 것을 알리세요."라고 적혀 있다.


글라골 문자키릴 문자는 가장 오래된 슬라브 알파벳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 형제 및/또는 그들의 제자들이 복음서와 전례서를 슬라브어로 번역하기 위해 만들었다.[32][33]

초기 글라골 문자는 863년(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도착)과 885년(그들의 제자 추방) 사이에 대 모라비아에서 정부 및 종교 문서와 책에 사용되었으며, 키릴로스가 설립한 대 모라비아 아카데미(''Veľkomoravské učilište'')에서 사용되었다. 이곳에서 메토디오스 등이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추종자들이 교육을 받았다. 이 알파벳은 전통적으로 키릴로스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이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 사용을 승인하는 교황 서한 ''Industriae tuae''(880)에서 "철학자 콘스탄틴이 발명했다"고 명시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발명"은 형제가 이전 문자 형태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 그 이전에는 슬라브어에 고유한 문자가 없었다.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제자들이 글라골 문자를 단순화하여 개발했으며, 이는 그리스어 알파벳과 더 유사했다. 키릴 문자그리스 문자글라골 문자에서 파생되었다.[34] 키릴 문자는 점차 글라골 문자를 대체하여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알파벳이 되었고, 이는 제1 불가리아 제국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며, 나중에 키예프 루스의 동 슬라브 영토로 퍼져나갔다.

5. 2. 키릴 문자의 발전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제자들이 글라골 문자를 단순화하여 개발했으며, 이는 그리스 문자와 더 유사했다. 키릴 문자그리스 문자글라골 문자에서 파생되었다.[34] 키릴 문자는 점차 글라골 문자를 대체하여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알파벳이 되었고, 이는 제1 불가리아 제국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며, 나중에 키예프 루스의 동 슬라브 영토로 퍼져나갔다. 키릴 문자는 결국 대부분의 슬라브 세계로 확산되어 동방 정교회 슬라브 국가에서 표준 알파벳이 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그리고 그들의 제자들의 업적은 동유럽 전역에 기독교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865년 기독교를 받아들인 후 불가리아의 종교 의식은 비잔틴 제국에서 파견된 성직자들에 의해 그리스어로 진행되었다. 보리스 1세는 비잔틴의 영향력 증가와 국가 약화를 우려하여 고대 슬라브어 채택을 불가리아의 정치적 독립과 안정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보았고, 슬라브어로 신학을 가르칠 두 개의 문학 학교(아카데미)를 플리스카오흐리드에 설립했다. 프레슬라프의 나움이 893년에 프레슬라브로 이전된 플리스카 문학 학교의 기반을 다지는 동안, 오흐리드의 클레멘트는 보리스 1세로부터 오흐리드 문학 학교에서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미래의 성직자들에게 신학을 가르치도록 위임받았다. 클레멘트는 7년(886-893) 동안 슬라브어와 글라골 문자로 약 3,500명의 학생들을 가르쳤다.

6. 유산과 기념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소피아의 SS.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국립 도서관, 북마케도니아의 SS.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대학교(스코페), 불가리아의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오스 대학교, 슬로바키아트르나바에 있는 대학교 등의 이름에 사용되고 있다. 체코 올로모우츠의 팔라츠키 대학교 신학부는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신학부"''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미국 미시간주 오차드 레이크에는 SS.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신학교가 있다.

1846년에 설립된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단은 우크라이나의 민족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한 러시아 제국 내의 단명한 친 우크라이나 조직이었다.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류블랴나 대교구의 주요 수호성인이며, 류블랴나 대성당은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광장(Ciril–Metodov trgsl)에 있다.[42] 그들은 또한 코시체 희랍 가톨릭 교구 (슬로바키아)[5]와 토론토 슬로바키아 희랍 가톨릭 교구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

남셰틀랜드 제도의 리빙스턴 섬에 있는 탕그라 산맥의 성 키릴 봉우리와 성 메토디오스 봉우리는 이 형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성 키릴의 유해는 로마의 산 클레멘테 바실리카 내의 성당에 안치되어 있다. 이 성당에는 사소페라토의 성모상이 있다.

펜실베이니아주 댄빌의 SS.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바실리카는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수녀회의 본원 성당이다.[43]

1909년에 처음 설립된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훈장은 불가리아의 국가 포상 시스템의 일부이다.

2021년, 불가리아 해군이 새로 인수한 연구 선박은 성인의 이름을 따서 ''SS.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로 선박 명명되었다.[44]

6. 1. '슬라브족의 사도'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행렬


키릴로스는 사후 수십 년 동안 제자들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고, 그의 명성은 전도 대상 민족들과 더 넓은 기독교 교회로 퍼져나갔다. 키릴로스는 형제 메토디오스와 함께 거룩한 인물로 칭송받았다. 장례 행렬 동안 로마 거리의 군중들은 키릴로스를 성인으로 추대할 것을 요청했다. 두 형제는 1880년 교황 레오 13세의 ''그란데 무누스''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슬라브족의 사도"로 알려져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에서 존경받고 있다. 그들의 축일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2월 14일(성 키릴로스 사망일),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11일(율리우스력 사용 시 그레고리력으로 5월 24일)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는 7월 7일에 기념되었으며, 슬라브어 문자 도입과 복음 전파를 기념한다. 1980년 두 형제는 "유럽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35]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날은 1851년 5월 11일 플로브디프에서 나이덴 게로프에 의해 "불가리아 문자의 날"로 처음 세속적으로 기념되었다.[36] 1803년 5월 22일 슈멘에서 아르메니아 여행자가 "불가리아 문자의 축하"를 언급하기도 했다.[37]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잉글랜드 교회에서 단과 축일[38]로, 감독 교회 달력에서 작은 축일로 2월 14일기억된다.[2]

이 날은 현재 다음과 같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기념된다.

국가기념일날짜기타
불가리아"불가리아 교육 및 문화와 슬라브 문자 날" (불가리아어: Ден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просвета и култура и на славянската писменост)5월 24일불가리아 문화, 문학, 알파벳을 기념하는 국경일. "알파벳, 문화 및 교육의 날"(불가리아어: Ден на азбуката, културата и просвещението)로도 불림. 불가리아 국립 도서관의 수호성인.
북마케도니아"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슬라브 계몽가 날" (Св. Кирил и Методиј, Ден на словенските просветителиmk)5월 24일국경일. 2006년 10월 제정, 2007년 초 의회 통과.[39] "솔룬 형제"(Солунските браќаmk)의 날로도 불림.
체코"슬라브 선교사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날" (체코어: Den slovanských věrozvěstů Cyrila a Metoděje)7월 5일국가의 성인으로 존경, 체코 공화국의 국경일
슬로바키아"성 키릴로스와 메토드 날" (슬로바키아어: Sviatok svätého Cyrila a Metoda)7월 5일국가의 성인으로 존경, 슬로바키아의 국경일
러시아"슬라브 문학과 문화의 날" (러시아어: День славян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и культуры)5월 24일슬라브 문화, 문학, 알파벳 기념. 교회 행사 (교회 율리우스력 5월 11일). 공휴일은 아님.



성인들의 축일은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11일, 로마 가톨릭 교회와 성공회 친교에서는 2월 14일에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날"로 기념된다. 서방 기독교의 루터교 교회는 두 성인을 2월 14일 또는 5월 11일에 기념한다. 비잔틴 예식 루터교 교회는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날을 5월 24일에 기념한다.[41]

6. 2.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성인

오늘날에 비해 키릴로스가 사망한 후 수십 년 동안 시성 과정은 덜 복잡했다. 키릴로스는 제자들에 의해 그가 죽은 직후 성인으로 여겨졌고, 그의 추종자들은 그가 전도했던 민족들 사이로 퍼져나갔다. 그는 그의 형제 메토디오스와 함께 거룩한 사람으로 유명했다. 두 형제가 교황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80년 레오 13세의 ''그란데 무누스''에서였다. 그들은 "슬라브의 사도"로 알려져 있으며,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 모두에게 존경받고 있다. 그들의 축일은 현재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2월 14일(성 키릴로스 사망일과 일치)이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11일(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레고리력에 따라 5월 24일)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옛 성서력에 따르면 7월 7일에 기념되었다. 두 형제는 1980년에 "유럽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35]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잉글랜드 교회에서 단과 축일[38]로, 감독 교회 달력에서 작은 축일로 2월 14일기억된다.[2]

성인들의 축일은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11일에, 로마 가톨릭 교회와 성공회 친교에서는 2월 14일에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날"로 기념된다. 서방 기독교의 루터교 교회는 두 성인을 2월 14일 또는 5월 11일에 기념한다. 비잔틴 예식 루터교 교회는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날을 5월 24일에 기념한다.[41]

6. 3. 슬라브 문화와 문학의 날

오늘날과 비교하면 키릴로스가 사망한 후 수십 년 동안 시성 과정은 덜 복잡했다. 키릴로스는 그의 제자들에 의해 그가 죽은 직후 성인으로 여겨졌다. 그의 추종자들은 그가 전도했던 민족들 사이로 퍼져나갔고, 그 후 더 넓은 기독교 교회로 퍼져나갔다. 그는 그의 형제 메토디오스와 함께 거룩한 사람으로 유명했다. 그의 장례 행렬 동안 로마 거리에서 늘어선 군중들은 키릴로스에게 성인 지위를 부여하라는 요청을 했다. 두 형제가 교황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 1880년 레오 13세의 ''그란데 무누스''에서였다. 그들은 "슬라브의 사도"로 알려져 있으며, 로마 가톨릭과 정교회 기독교 모두에게 여전히 존경을 받고 있다. 그들의 축일은 현재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2월 14일(성 키릴로스 사망일과 일치하도록),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11일(그러나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레고리력에 따라 5월 24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옛 성서력에 따르면 7월 7일에 기념된다. 이 축하는 또한 슬라브어로 문자를 도입하고 두 형제가 복음을 설교한 것을 기념한다. 두 형제는 1980년에 "유럽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35]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날을 "불가리아 문자의 날"로 처음 기록된 세속적인 축하는, 불가리아 역사에 의해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진 대로, 1851년 5월 11일 플로브디프 마을에서 열렸다. 동시에 현지 불가리아 학교는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라는 이름을 받았다. 이 두 가지 행위는 모두 저명한 불가리아 교육자 나이덴 게로프에 의해 시작되었다.[36] 그러나 아르메니아 여행자는 1803년 5월 22일 슈멘 마을을 방문했을 때 "불가리아 문자의 축하"에 대해 언급했다.[37]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잉글랜드 교회에서 단과 축일[38]로, 그리고 감독 교회 달력에서 작은 축일로 2월 14일기억된다.[2]

이 날은 현재 다음과 같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기념된다.

국가기념일날짜기타
불가리아"불가리아 교육 및 문화와 슬라브 문자 날" (불가리아어: Ден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просвета и култура и на славянската писменост)
"알파벳, 문화 및 교육의 날"로도 알려짐.
5월 24일불가리아 문화와 문학, 알파벳을 기념하는 국경일.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불가리아 국립 도서관의 수호성인이며, 도서관 앞에는 그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불가리아 정교회에서 가장 기념되는 성인이며, 두 형제의 아이콘은 모든 교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북마케도니아"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슬라브 계몽가 날" (Св. Кирил и Методиј, Ден на словенските просветителиmk)
"솔룬 형제"의 날로도 알려져 있음.
5월 24일국경일. 마케도니아 공화국 정부는 2006년 10월에 국경일의 법령을 제정했고, 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는 2007년 초에 해당 법률을 통과시켰다.[39] 이전에는 학교에서만 기념되었다.
체코"슬라브 선교사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날" (체코어: Den slovanských věrozvěstů Cyrila a Metoděje)7월 5일체코 공화국의 국경일.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그곳에서 국가의 성인으로 존경받는다.[40]
슬로바키아"성 키릴로스와 메토드 날" (슬로바키아어: Sviatok svätého Cyrila a Metoda)7월 5일슬로바키아의 국경일.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는 그곳에서 국가의 성인으로 존경받는다.[40]
러시아"슬라브 문학과 문화의 날" (러시아어: День славян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и культуры)5월 24일슬라브 문화와 문학, 알파벳을 기념. 교회적인 행사 (교회의 율리우스력에서는 5월 11일). 공휴일은 아니다.



성인들의 축일은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11일에, 로마 가톨릭 교회와 성공회 친교에서는 2월 14일에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날"로 기념된다. 서방 기독교의 루터교 교회는 두 성인을 2월 14일 또는 5월 11일에 기념한다. 비잔틴 예식 루터교 교회는 성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의 날을 5월 24일에 기념한다.[41]

6. 4. 한국에서의 연구와 기념

소피아의 SS.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국립 도서관, 북마케도니아의 SS.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대학교(스코페) 등은 두 성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문서 In the 21st century this date in the Julian Calendar corresponds to 24 May in the Gregorian Calendar
[2] 웹사이트 Cyril and Methodius, Missionaries, 869, 885 https://www.episcopa[...] 2022-07-21
[3] 웹사이트 Notable Lutheran Saints http://www.resurrect[...] 2019-07-16
[4] 웹사이트 Methodius http://www.catholic-[...] 2007-02-18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Eparchy of Košice http://www.grkatke.s[...]
[6] 웹사이트 Figures of (trans-) national religious memory of the Orthodox southern Slavs before 1945: an outline on the examples of SS. Cyril and Methodius https://www.research[...] 2018-11-15
[7] 문서 Liturgy of the Hours, Volume III, 14 February
[8] 웹사이트 Egregiae Virtutis https://www.vatican.[...] 2009-04-26
[9] 문서 Cyril and Methodius
[10] 서적 Vita Constantini slavica https://books.google[...] Denkschriften der kaiserl.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870
[11] 웹사이트 Chapter 18 of the Slavonic Life of Constantine http://www.clas.ufl.[...]
[12] 문서 English Translation of the 18th Chapter of the Vita Constantini Liturgy of the Hours 14 February
[13] 웹사이트 SS.Cyril and Methodius http://www.carpatho-[...] 2018-05-02
[14] 서적 The Western Experience with Powerweb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2
[15]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Cornell University Press
[16] 서적 Saintly Support: A Prayer For Every Problem Andrews McMeel Publishing 2003
[17] 서적 The Lives of the Ninth-century Popes (Liber Pontificalis): The Ancient Biographies of Ten Popes from A.D. 817-891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Pope Benedict XVI. "Saints Cyril and Methodius", General Audience 17 June 2009, Libreria Editrice Vaticana https://w2.vatican.v[...] W2.vatican.va 2019-01-29
[19] 서적 Vizantiiskoe missionerstvo Iazyki slavianskoi kul'tury 2003
[20] 문서 Cyril and Methodius, Saints
[21] 웹사이트 From Eastern Roman to Byzantine: transformation of Roman culture (500-800) http://www.iun.edu/~[...] Indiana University Northwest 2017-08-31
[22] 웹사이트 Sts. Cyril and Methodius http://www.pravmir.c[...] Pravmir 2017-08-31
[23] 문서 Vir apostolicae vitae...sapientissimus vir MGH Epist. 1928
[24] 웹사이트 Sv. Gorazd a spoločníci http://www.frantiska[...] 2015-08-27
[2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Saints OUP Oxford 2011
[26] 웹사이트 Seven Saints https://www.kashtite[...] Kashtite.com 2019-01-29
[27] 문서 It was and is customary on becoming a monk in the Eastern Orthodox tradition to receive a new name
[28] 서적 Jugoslovenski književni leksikon Matica srpska 1971
[29] 웹사이트 Житїе Меөодїя (Life of Methodius) http://lib.pushkinsk[...]
[30] 서적 Short Life of Cyril & Methodius. Translated by Ján STANISLAV: Životy slovanských apoštolov Cyrila a Metoda v legendách a listoch Matica slovenská 1950
[31]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Collins 2000
[32] 백과사전 Sts. Cyril and Methodius https://www.newadven[...] Robert Appleton Company 2020-08-09
[33] 문서 Major alphabets of the world, Cyrillic and Glagolitic alphabets 2008
[34] 웹사이트 In Pictures: Ohrid, Home of Cyrillic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9-01-29
[35] 웹사이트 MACEDONIA http://www.hri.org/M[...] 2018-05-02
[36]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я", Том 6 Българско Възраждане 1856–1878 Издателство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академия на науките 1987
[37] 간행물 Jubilee speech of the Academician Ivan Yuhnovski, Head of th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http://195.96.224.7/[...]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2003-06-27
[38]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39] 웹사이트 Announcement about the eleventh session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on 24 October 2006 http://www.vlada.mk/[...]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2006-10-24
[40] 웹사이트 Holiday date http://www.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2009-03-11
[41] 웹사이트 День Св. Кирила та Мефодія, просвітителів слов'янських http://ukrlc.org/?p=[...] Ukrainian Lutheran Church 2018-09-19
[42] 웹사이트 The Ljubljana Metropolitan Province http://en.katoliska-[...] 2014-03-05
[43] 웹사이트 Sisters of Saints Cyril and Methodius http://www.sscm.org Sscm.org 2013-06-14
[44] 뉴스 Bulgaria's First Military Research Vessel Christened Ss. Cyril and Methodius https://www.bta.bg/e[...] 2022-07-07
[45] 웹사이트 (PDF) Figures of (trans-) national religious memory of the Orthodox southern Slavs before 1945: an outline on the examples of SS. Cyril and Methodius https://www.research[...] 2018-11-15
[46] 웹사이트 Egregiae Virtutis http://www.vatican.v[...] 2009-04-26
[47] 웹인용 Figures of (trans-) national religious memory of the Orthodox southern Slavs before 1945: an outline on the examples of SS. Cyril and Methodius https://www.research[...] 2018-11-15
[48] 문서 Liturgy of the Hours, Volume III 14 Febru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