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론토 교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론토 교통국(TTC)은 1921년 설립된 토론토의 대중교통 운영 기관이다. 지하철, 버스, 노면 전차, 휠트랜스(Wheel-Trans)를 운영하며, 광역 토론토 지역의 대중교통 시스템과 연결된다. 1954년 지하철 첫 노선을 개통했으며, 현재 3개의 지하철 노선, 다양한 버스 노선, 11개의 노면 전차 노선을 운영한다. 안전을 위해 지정 대기 구역, 요청 정류 프로그램, 승객 지원 비상벨 등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 신용카드, 직불카드, 모바일 페이 등으로 요금 지불이 가능해졌다. 현재 5호선 에글린턴, 6호선 핀치 웨스트, 온타리오선 등의 노선 건설 및 연장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론토 교통국 - 토론토의 시내버스
    토론토의 시내버스는 1849년 윌리엄스 오토버스 버스 노선으로 시작되어 현재 토론토 교통국에서 6가지 유형의 다양한 버스 노선과 디젤, 하이브리드 전기, 전기 버스 등 다양한 차량을 운영하며, 2040년까지 배출가스 없는 버스 차량으로 전환을 목표하고 버스 우선 차로를 설치하여 운행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 토론토 교통국 - 토론토의 노면 전차
    토론토의 노면 전차는 1861년부터 운행된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시스템으로, 초기에는 말이 끄는 형태였으나 전기 노면 전차 도입과 시민들의 유지 노력으로 현재는 토론토 교통위원회에서 운영하며 현대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 온타리오주의 교통 - 프레스토 카드
    프레스토 카드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대중교통에서 사용되는 전자 요금 지불 시스템으로, 1998년 개발을 시작하여 여러 기술적 문제와 비판을 받았지만, 모바일 앱 출시 및 구글/애플 월렛 연동을 통해 사용 편의성을 개선했다.
  • 온타리오주의 교통 - 런던 국제공항
    1929년 개항한 런던 국제공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런던에 위치하며, 2차 대전 중 공군 기지로 사용되었고, 활주로 확장과 터미널 개축을 거쳐 현재는 국내외 항공 노선과 연례 에어쇼가 열리는 공항이다.
  • 토론토의 교통 - 토론토의 노면 전차
    토론토의 노면 전차는 1861년부터 운행된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시스템으로, 초기에는 말이 끄는 형태였으나 전기 노면 전차 도입과 시민들의 유지 노력으로 현재는 토론토 교통위원회에서 운영하며 현대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 토론토의 교통 -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시소거에 위치한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은 캐나다 최대 규모의 공항으로, 1939년 개항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사 기지로 사용되다가 1984년 레스터 B. 피어슨의 이름을 따 개명되었으며, 현재 1번 및 3번 터미널을 운영하며 다양한 노선을 통해 전 세계와 연결된다.
토론토 교통국
기본 정보
토론토 교통국 로고
로고
소유주토론토 시
운행 지역토론토
미시소가

마컴
대중교통 유형시내버스
지하철
전차
노선버스 노선 191개
지하철 노선 3개
전차 노선 11개
70개 역 (운행 중)
68개 역 (건설 중)
일일 승객 수2,303,000 명
연간 승객 수735,366,000 명
주요 인물Jamaal Myers (의장)
Greg Percy (임시 CEO)
본사William McBrien Building
1900 Yonge Street
토론토, 온타리오, 캐나다
웹사이트토론토 교통국 웹사이트
운행 시작일1921년 9월 1일
차량버스 2,100대
지하철 차량 848량
전차 204대
휠-트랜스 버스 214대
노선 길이
궤간지하철, 전차:
향후 경전철 노선:
추가 정보
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요크 대학교 역 (1호선), S-시리즈 (3호선), 노바 버스, 에글린턴 역 벽 타일, 플렉시티 아웃룩 전차, 토론토 로켓 지하철
지도 정보

2. 역사

토론토의 대중교통은 1849년 민간 운영 교통 서비스로 시작되었다. 이후 시에서 일부 노선을 운영했지만, 1921년 모든 노선을 인수하여 토론토 교통국(Toronto Transportation Commission)을 설립하여 운영을 시작했다. 당시에는 주로 노면 전차가 운영되었다. 1954년 현재의 공식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최초의 지하철 노선을 개통하여 토론토 시내 광범위한 지역으로 노선을 확장했다. 버스 등 지상 노선은 지하철을 보완하는 형태로 광범위하게 운영되고 있다. 2008년 9월 17일, 운행 문제와 유지보수를 개선하기 위해 대대적인 시설 개선을 실시했다.[132]

1936년 TTC에서 사용한 두 대의 버스. 왼쪽은 그레이 코치의 시외 버스 노선에서 사용되었고, 오른쪽은 토론토 시내 버스 노선에서 사용되었다.


버스, 노면 전차, 지하철 외에도 TTC는 1927년부터 1962년까지 토론토 섬 페리 서비스를 운영하다가 메트로 공원 및 문화부(현재 토론토 공원, 산림 및 레크리에이션)로 이관했다. 1927년부터 1990년까지 교외 및 지역 시외버스 운영업체인 그레이 코치(Gray Coach) 라인을 운영했는데, 토론토를 온타리오 주 남부 지역과 연결했다. 그레이 라인 투어와 연계하여 관광 버스를 운영했으며, 주요 터미널은 메트로 토론토 버스 터미널이었다. 1954년 그레이 코치는 메트로 토론토 확장으로 TTC와 합병되지 않은 독립 버스 운영업체의 교외 노선을 인수하며 더욱 확장되었다. 1980년대에 GTA 시외 서비스에서 치열한 경쟁에 직면했고, 1990년 스테이지코치 홀딩스에 매각된 후 3년 뒤 그레이하운드 캐나다와 온타리오 주 정부 사이에 운영이 분할되었다.

TTC의 슬로건인 "로켓을 타세요"는 1954년부터 1990년까지 운행되었던 빨간색으로 도색된 G 시리즈 열차에서 유래했다.


"빨간 로켓"으로 알려진 TTC 지하철 차량의 첫 번째 버전인 글로스터 지하철 차량은 퇴역했다. 현재 T 시리즈 열차도 빨간색 내부 색상 구성표를 가지고 있다. "로켓을 타세요"라는 슬로건, 일부 급행 버스의 "로켓" 명칭, 2011년 7월 21일 운행을 시작한 "토론토 로켓" 지하철 차량 등 TTC는 이 이름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4] 또 다른 슬로건은 "더 나은 방법"이다.

1950년대 초, 토론토는 20년간 지속된 경기 침체와 전쟁이 끝나고 도시가 교외로 확장하면서 기간 시설 투자와 비용 분담을 위해 온타리오 주는 1954년 1월 1일 토론토와 12개 교외 지자체를 광역토론토지자체(Municipality of Metropolitan Toronto)로 재편하였다.[221] 토론토교통국 또한 통합시 소관이 되면서 명칭도 Toronto Transit Commission으로 변경되었다.[221] 이후 온타리오 주의 지자체 개편은 계속 이루어졌는데, 1967년에는 7개의 작은 교외 지자체가 인접한 지자체로 통폐합되었고,[222] 1998년에는 광역토론토지자체가 단층 지자체인 토론토 시로 바뀌었지만, TTC는 통합시 산하 기관이었기 때문에 큰 변화는 없었다.[222]

1970년대와 80년대 토론토 교통국은 북미에서 모범적인 교통기관으로, 1979년부터 1990년까지 안전과 디자인 부문에서 여러 상을 수상했다.[228][229][230] 1990년대부터는 지하철 건설에 대한 정치적 논쟁, 경기 침체와 예산 삭감, 인구 급증 지역에 대한 대중교통 운행 지연 등으로 승객 수가 20% 가량 감소하였다.[231]

2000년대 이후, 토론토 교통국은 여전히 예산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온타리오 주와 연방 정부의 대중교통 확충 투자로 재기를 꿈꾸고 있다.

2. 1. 윌리엄스 옴니버스 (1849~1862)

토론토의 첫 대중교통은 1849년에 세인트로렌스 시장과 레드 라이언 여관(위에 있는 1886년 사진)을 잇는 노선으로 시작되었다.


1834년 토론토는 인구 1만 명도 채 되지 않는 소도시였지만, 킹스턴, 나이아가라, 배리, 런던으로 가는 역마차가 운행되었다.[213] 시내에는 다른 교통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말, 도보 또는 개인이 보유하는 마차로 이동하였다.[213]

1841년에 도시 인구가 21,000명으로 늘어나면서, 1849년에 토론토에서 목가구를 제조하는 소목장인 버트 윌리엄스가 '옴니버스'라고 불리는 6인승 역마차 네 대를 제작하여 킹 스트리트와 영 스트리트를 따라 세인트로렌스 시장에서 요크빌의 레드 라이언 호텔까지 운행하였다. 옴니버스는 유명세를 타서 윌리엄스는 10인승 역마차를 제작하였다. 이후 옴니버스가 추가 도입되면서 두 도로를 따라 몇 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213]

2. 2. 토론토 노면철도 회사 (1861~1891)

1890년 8월에 처치 스트리트를 따라 운행하는 토론토 노면 철도 회사의 마차철도


윌리엄스 옴니버스의 성공 이후, 1861년 필라델피아 출신으로 토론토에 정착한 알렉스 이스턴은 토론토에 노면철도를 건설하기 위해 지역 상인 단체를 조직했다.[213] 뉴욕, 필라델피아, 보스턴을 여행했던 이스턴은 노면철도 건설을 지지하며, '해든 카'(Haddon Car)라는 마차철도를 선보이고자 했다.[213] 1861년 3월 29일, 토론토 시의회는 이스턴의 단체(이후 토론토 노면 철도 회사(TSR)로 알려짐)에 30년 간 노면전차 운행권을 부여했다.[213] 이스턴은 회사 인력을 동원해 선로를 설치, 1861년 9월 11일 토론토 첫 노면철도를 개통했다.[213]

첫 노선은 윌리엄스 옴니버스와 동일하게 킹과 영을 따라 세인트로렌스 시장에서 요크빌까지 운행했다. 1861년 개통한 두 번째 노선은 퀸 스트리트를 따라 영 스트리트에서 던다스 스트리트(오늘날 오싱턴 애비뉴)의 정신병원까지 운행했다. 노면철도는 모두 마차철도였고, 마구간은 요크빌에 있었다.[213] 윌리엄스는 TSR에 대항하려 했으나, TSR은 자금력, 차량 크기, 시의회 지지 등에서 우위에 있었다. 1862년, 윌리엄스는 옴니버스 자산을 매각하고 소목장으로 복귀했다.[213]

토론토의 특수 궤간(1,495mm)은 이 시기에 확립되었는데, 표준궤(1,435mm)와 다른 이유는 불분명하다. 토론토 교통국 역사학자들은 증기 기관차의 선로 이용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설과, 영국 마차 궤간을 따라 전차와 일반 마차 모두 이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라는 설을 제시한다.[213] 당시 '진흙탕 요크'였던 토론토는 도로 포장 전까지 많은 개인 마차가 비포장 도로 대신 노면철도 선로를 이용했다.[213]

1870년대와 1880년대, 전기는 과학적 호기심에서 도시 조명과 차량 동력으로 발전했다. 존 조셉 라이트는 영과 킹의 상점에서 전기를 실험, 전구를 판매하고 상점과 공장에 전기를 공급했다.[214] 1883년, 라이트는 토론토전등회사를 설립, 토론토산업박람회에서 전기 철도 건설을 제안받았다.[214] 벨기에계 미국인 찰스 밴 디풀의 도움으로 1883년 박람회에 시범 전차 노선을 건설했으나 결과는 좋지 않았다.[214] 1884년, TSR 킹-엑시비션선 스트론 애비뉴 종점에서 박람회장까지 시험 선로를 성공적으로 건설했다.[214] 처음엔 제3궤도 방식이었으나, 1885년 트롤리 폴 방식으로 변경했다.[213] 1889년 시험 노선 운행 중단 후, 토론토시는 전차의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고려하여 전차 도입을 추진했다.[213]

2. 3. 토론토 철도 회사 (1891~1921)

1891년 5월 16일, 토론토 시는 노면철도를 공영화하려고 하였지만 시의 생각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토론토 시는 우선 TSR에게 가격을 제시하지 않고 운영권을 시에 넘겨줄 것을 요구하였다. TSR은 이에 대한 항의로 토론토의 노면철도 운행을 전면 중단하였다. 중재 끝에 상황은 진전되었고 5월 말에 140만 달러에 합의를 보고 공영 운행을 개시하였다.[215] 하지만 토론토시는 몇 달 지나지 않아 노면철도를 직접 소유하고 운영하기에는 너무 위험하다고 판단하였다. 토론토 시의회는 기존에 있던 노면철도를 전철화하겠다고 공언한 새로운 사업가 컨소시엄에 30년 동안 노면철도 운영권을 주었고 이 컨소시엄은 토론토철도회사(Toronto Railway Company, TRC)로 발족하였다.[215]

1900년에 킹과 영 스트리트에서 운행하던 토론토철도회사의 노면전차


TRC는 1891년 9월 1일에 운행을 시작하였고, 사업가들은 약속대로 1892년 8월 16일, 처치 스트리트에 새로운 전차 노선을 건설하였다. 이후 토론토의 마차철도는 모두 전철화되어 1894년 8월 31일, 도버코트를 따라 운행하던 마차를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토론토철도회사 대표는 윌리엄 매켄지로, 캐나다 북부 철도를 설립한 철도 산업의 거물이다. TRC 초창기에 매켄지는 몇 가지 혁신안을 제시하였고 그의 리더십은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TRC는 5센트 요금을 유지하였고, 무료 환승은 물론 어린이와 학생들을 위한 할인 요금을 도입하였다. 요금은 집표원이 차내를 돌아다니면서 커피잔과 같은 요금통에 돈을 집어넣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오늘날처럼 버스나 노면전차에 오르면서 요금을 내는 방식을 1910년 12월에 도입하려 하였지만 승객들의 반대로 이는 무산되었다.[216]

1893년부터 1904년까지, TRC는 교외 지역에 노면전차와 비슷한 차량으로 교외철도를 운행하였는데, 1893년에는 TRC가 레이크쇼어 로드를 따라 운행하는 토론토, 미미코 전기철도 및 조명회사를, 1895년에는 킹스턴 로드를 따라 운행하는 토론토, 스카보로 전기철도, 조명 및 전력회사를 인수하였다. 1904년에는 두 교외철도가 토론토, 요크 교외철도로 소유권이 넘어가면서 11년 간의 TRC 교외철도 운행이 막을 내렸다.

1897년 5월 23일에는 노면전차의 일요일 운행이 주민투표 끝에 개시되었다. 당시 교회는 일요일에 노면전차가 운행하면 다른 스포츠 행사나 알코올 판매와 같이 일요일에 부적절한 활동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는데, 주민투표에서는 일요일 운행안이 두 차례 부결되었고 세 번째에는 0.7% 차이로 통과되었다.[217]

2. 4. 토론토 시립 철도 (1912~1921)

토론토철도회사(TRC)의 운영권 만료가 다가오면서, TRC는 시설 유지 보수에 소홀해졌다. 매켄지는 토론토 노면전차보다는 캐나다 전체 철도 확장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고, 대륙횡단철도 건설에 상당한 돈을 투자하여 토론토 대중교통에 투자할 자금이 부족했다. 19세기 말, 토론토는 인접한 지자체를 흡수하며 TRC에 새로 편입된 지역에 노면전차 운행을 요구했다. 그러나 TRC는 운영권 갱신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기존 운영권은 기존 토론토 지역에만 해당되고, 새로 흡수된 지역은 해당되지 않는다며 이를 거절했고, 법원 또한 회사 측의 손을 들어주었다.[213]

TRC가 토론토시의 요청을 거절하면서 토론토시는 TRC의 대중교통 운영권 갱신에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운영권 만료가 10년이나 남은 상황에서 토론토시는 새로 흡수한 지역에 대중교통을 운행할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TRC가 새로운 지역으로 노면전차를 운행하지 않자, 토론토시는 직접 운행을 맡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토론토시립철도(Toronto Civic Railways)가 설립되어 댄포스, 이스트제럴드, 블루어웨스트, 세인트클레어, 랜즈다운에 전차 노선을 새로 건설했다. 새로운 전차 노선은 1921년 이후 시내 노선과 통일될 것을 고려하여 궤간은 기존의 토론토 궤간인 1,495mm로 건설되었다.[213]

토론토시의 결단으로 새로 흡수된 지역에 대중교통이 운행되었지만, 웨스트토론토와 노스토론토가 토론토시로 흡수되면서 토론토 및 요크 교외철도, 토론토교외철도와 같은 외곽 지역의 노면전차를 물려받았다. 토론토시립철도가 각각 별도의 요금을 징수하는 네 개의 노면전차 체계로 나뉘면서 토론토 내 대중교통 요금은 2센트에서 15센트까지 다양했다.[213] 토론토시는 TRC의 운영권이 1921년에 만료되는 대로 네 개의 체계를 하나로 통합할 계획이었다. 1920년 1월 1일, 토론토 시민들은 주민투표에서 모든 노면전차를 시가 관리하는 하나의 체계로 통일하는 방안에 찬성하였고, 1921년 9월 1일, 토론토시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토론토교통국(Toronto Transportation Commission, TTC)이 발족하였다.[213]

2. 5. 토론토 교통국 초창기 (1920~1950)

1920년대는 토론토 교통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였다. 토론토철도회사와 토론토시립회사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고, 운영권 만료로 시설 개선에 소홀했던 토론토철도회사로부터 노후 설비를 물려받아 개선해야 했다.[218] 수십 킬로미터의 선로를 개량하고, 575대의 철제 피터 위트 노면전차를 구매하는 등 장비 교체가 이루어졌다. TTC는 토론토교외철도를 포함한 다른 교외철도로부터 운영권을 흡수하였고 1927년에 들어서서 토론토의 모든 노면전차는 TTC가 운영하였다.

1929년 대공황으로 경제 전성기는 막을 내렸지만, TTC는 승객이 20% 감소하는 데 그치고 시설 개량을 지속했다. 1938년, TTC는 미국의 대중교통 회사 대표들이 디자인한 사장단회의위원회(Presidents' Conference Committee, PCC) 전차를 구매하였다. PCC 차량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대중교통 승객 수는 더욱 늘어났다. 이후 TTC는 신형 버스를 구매하고 지하철 건설을 위한 설계에 들어갔다.[213]

1942년, 토론토 교통국은 퀸과 영 스트리트에 지하 노면전차를 짓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1946년에는 영 스트리트에 지하철을 놓고 퀸 스트리트에는 지하 노면전차를 건설하는 방안이 주민투표에서 통과되었다.[219] 영 지하철은 1949년에 착공하였다.[220]

토론토의 대중교통은 1849년 민간 운영 교통 서비스로 시작되었다. 이후 시에서 일부 노선을 운영했지만, 1921년 모든 노선을 인수하여 토론토 교통국(Toronto Transportation Commission)을 설립하여 운영을 시작했다. 1954년 TTC는 현재의 이름을 채택하고, 최초의 지하철 노선을 개통했으며, 메트로 토론토(Metropolitan Toronto) 시를 포괄하도록 서비스 지역을 크게 확장했다.

1923년에 요크빌에서 운행하던 토론토 교통국 버스


토론토 교통국 형성까지의 교통 사업자 목록[140]
= 민영 마차 노선= 민영 마차 철도 노선= 민영 전기 철도 노선
= 민영 버스 노선= 민영 선박(페리) 사업= 공공 전기 철도 노선
= 공공 버스 노선= 공공 교통 기관


2. 6. 광역 토론토 (1950~1980)

1950년대 초, 토론토는 20년간 지속된 경기 침체와 전쟁이 끝나고 도시가 교외로 확장하면서 기간 시설 투자와 비용의 적절한 분담을 위해 온타리오 주는 1954년 1월 1일 토론토와 12개 교외 지자체를 광역토론토지자체(Municipality of Metropolitan Toronto)로 재편하였다.[221] 토론토교통국 또한 통합시 소관이 되면서 영어 명칭도 Toronto Transit Commission으로 변경되었다.[221] 새로 재편한 교통국은 기존 지역보다 7배 넓은 지역을 담당해야 했다.[213] 이후 온타리오 주의 지자체 개편은 계속해서 이루어졌는데, 1967년에는 7개의 작은 교외 지자체가 인접한 지자체로 통폐합되었고,[222] 1998년에는 기존에 통합시와 지자체 두 단계로 운영되던 광역토론토지자체는 단층 지자체인 토론토 시로 바뀌었지만, TTC는 통합시 산하 기관이었기 때문에 지자체 개편 이후로 별로 바뀐 건 없었다.[222]

1950년 유니언 역에 지어지는 영 지하철 건설 모습


재편 석 달 이후, 토론토 교통국은 캐나다의 첫 지하철을 개통하였다.[223] 영 스트리트를 따라 에글린턴 애비뉴에서 유니언역 (토론토)까지 이어진 이 노선은 개통하자마자 큰 성공을 거두었고, 곧바로 연장 계획으로 이루어졌다.[223] 첫 번째 지하철 노선은 승객이 지불한 요금으로 모두 충당하였지만, 버스 운행 규모가 네 배로 늘어나고 수익이 나지 않는 교외 지역에도 버스를 운행해야 했기에 지하철 연장 비용을 충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213] 도시는 대중교통이 확장하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였고, 이에 따라 일반 시민들은 대중교통보다는 자가용을 선호하였다. 지하철 연장 비용을 충당하는 데 통합시 뿐만 아니라 온타리오 주도 동참하였고, TTC의 모든 건축 사업은 결국 세금으로 충당되었다.[224] 하지만 토론토 지하철은 그에 맞게 연장되었다.

토론토 교통국은 1972년까지 운행 비용에서 흑자를 창출해냈지만 통합시 의회가 외곽 지역의 의원들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교통국은 통합시 외곽 지역에서 시내 지역으로 이동하는 승객들이 지불하던 추가 요금을 없애고 단일 요금제로 바꾸면서 상황이 달라졌다.[224] 1980년대 말에 들어서서 토론토 교통국의 연간 운영 비용은 2500억달러에 도달했고 북미에서 대중교통 운영에 대한 정부 지원금을 가장 적게 받는 기관이 되었다.[224]

지하철 연장은 계속 이루어졌지만 반면 토론토의 노면전차는 설 자리를 잃게 되었는데, 교통국은 노면전차가 현 시대에는 맞지 않는 구닥다리 교통수단이라고 생각하면서 1980년까지 모든 노면전차 노선의 운행을 중단할 계획을 세웠다.[225] 1970년대 후반, 스파다이나 고속도로와 자동차 위주의 도시 발전에 대한 지속적인 시위 끝에 지역 주민들은 교통국에 노면전차는 토론토 시내에 있어서 꼭 필요한 교통수단이라는 점을 전달하였다.[225] TTC는 1972년에 노면전차 폐선 정책을 철회하였고 로저스 로드 노면전차가 이 정책으로 폐선된 마지막 노선이었다.[226][227] 교통국은 로저스 로드에 쓰이던 노면전차를 신차로 교체할 때까지 유지 보수하였다.[227]

2. 7. 쇠퇴와 재기 (1980~)

1970년대와 80년대 토론토 교통국은 북미에서 모범이 되는 교통기관으로 자리잡았으며 1979년부터 1990년까지 교통국은 안전과 디자인에 있어서 여러 상을 수상받았다.[228][229][230] 1990년대부터는 지하철 건설에 대한 정치적인 논쟁, 경기 침체와 예산 삭감, 토론토에서 인구가 급성장하는 지역에 대중교통을 발빠르게 운행하지 못한다는 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승객 수가 역대 최고치인 연간 4억 6천만 명에서 20% 가량 감소하였다.[231] 이후 1995년 8월에 듀폰트역세인트클레어 웨스트역 사이에서 지하철 추돌에 따른 사망 사고가 발생해 지하철 안전이 최저점에 다다랐다. 이 사고는 기관사의 운전 미숙, 유지 보수 기준 미달과 안전 장치의 빈틈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232]

토론토 교통국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 뉴욕과 필라델피아의 교통기관 이사로 지내면서 좋은 평을 받은 데이비드 건을 새로운 이사로 선임하였다. 교통국의 예산은 여전히 부족하였는데, TTC는 여전히 북미에서 가장 적은 대중교통 지원금을 받고 있었지만 그 와중에도 대중교통을 개선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였다.[233] 1997년 9월 27일, 토론토는 운행이 중단된 지 31년 만에 스파다이나에 노면전차 운행을 재개하였고 셰퍼드 지하철과 하버프론트 노면전차도 개통하였다.[234]

2000년대 이후, 토론토 교통국은 여전히 부족한 예산 문제로 미래에 대한 고민이 깊은 편이지만 온타리오주와 연방 정부가 경전철이나 지하철 연장 등 대중교통 확충에 대해 꾸준히 투자를 하면서 교통국은 또 한 번의 재기를 꿈꾸고 있는 상황이다. 2017년에는 1호선 영-유니버시티다운즈뷰역 (오늘날 셰퍼드 웨스트역)에서 본 메트로폴리탄 센터역까지 연장되었고,[235] 5호선 에글린턴, 6호선 핀치 웨스트, 온타리오선,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과 워터프론트 이스트 경전철까지 다양한 노선이 공사 중에 있거나 구상 중이다. 한편 1985년에 지어진 3호선 스카버러는 2023년 7월에 운행이 중단되어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이 이루어질 때까지 셔틀버스가 운행 중이다.[236]

3. 체계

토론토 교통국(TTC)은 토론토에서 지하철, 시내버스, 노면전차를 비롯한 대중교통을 운영하며,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휠-트랜스라는 보조교통 서비스도 제공한다.[165]

경로 정보는 안내 센터(+1-416-393-INFO)에 전화하거나, TTC 웹사이트([http://www.ttc.ca TTC.ca]) 또는 구글 지도 길찾기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0년 2월부터 온라인 검색이 가능해져 주소, 주요 교차로, 랜드마크 등을 입력하여 경로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165]

노선 안내 및 안전 정보는 "What's On"이나 "Rocket Rider/TTC Customer News" 팸플릿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팸플릿은 일부 차량에 비치되어 있으며, 데이비스빌역 TTC 본사에서도 구할 수 있다. 블로어역에 있던 TTC 안내 센터는 폐쇄되었다.

2008년 12월 15일, 스파다이나 애비뉴와 하버프런트 애비뉴의 노면전차 정류장에 도착 예정 시간을 알려주는 "다음 차량 도착 안내 시스템"(NVAS)이 처음 설치되었다.[166] 스파다이나 역과 유니언 역에는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다음 열차 도착 시간을 표시한다. 스파다이나 역에는 510번 노면전차 모든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을 표시하는 액정 모니터도 있다. 지하철역에는 OneStop 미디어 스크린이 설치되어 다음 열차 도착 시간, 날씨, 시간, 뉴스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2011년 중반까지 모든 버스와 노면전차에 추적 시스템이 설치되어 인터넷과 SMS를 통해 열차 도착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67]

3. 1.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토론토에서 가장 많은 승객을 실어나르는 교통 수단이다. 2024년 기준으로 토론토 교통국에는 28개의 심야버스 노선을 포함해 총 192개의 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 2023년 기준으로, 토론토의 시내버스는 연간 3억 6,204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였고 평일에 하루 평균 113만 7천 명이 버스를 이용하였다.[211] 버스 노선은 도시 전체에 걸쳐 운행하고 지하철과 노면전차로 손쉽게 갈아탈 수 있으며, 갈아탈 때 무료로 환승할 수 있다. 지하철역 다수는 역 안에 버스 터미널이 있고 일부는 노면전차 터미널이 있어서 별도의 요금 지불이나 승차 태그가 필요하지 않다. 2022년 기준으로, 토론토 교통국에는 총 2,061대의 버스가 있으며, 차량 종류는 디젤, 하이브리드, 배터리로 운행하는 전기차와 가솔린 등이 있다. 버스 길이는 총 네 가지인데, 일반 버스는 12m, 굴절 버스는 18m, 미니버스는 8m나 6m이다.[237] 미니버스를 제외한 모든 버스는 교통약자 승객이 이용할 수 있는 저상버스이며, 모든 버스 전면에는 자전거를 싣고 갈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다.[238][239]

토론토의 시내버스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 7번에서 189번 버스는 일반 버스로, 대부분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1시 30분까지, 일요일에는 오전 8시부터 다음 날 오전 1시 30분까지 완행으로 운행하는 버스이다. 일반 버스 중에서 일부 버스는 늦은 저녁 시간대에는 운행하지 않거나 주말에는 운행하지 않는 등 일부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경우가 있다.
  • 200번대 버스는 계절편으로, 주로 날씨가 따뜻한 여름철에 토론토 동물원, 블러퍼스 공원이나 체리 호수욕장과 같은 토론토의 관광명소로 이어지는 셔틀버스이다.[240]
  • 900번대 버스는 급행 버스로, 노선 일부나 전체 구간에 걸쳐 주요 교차로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에만 정차하는 버스 노선이다.[241]
  • 300번대 버스는 심야 버스인 블루 나이트 버스로,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심야 시간대에만 운행한다.[238]
  • 400번대 버스는 커뮤니티 버스로, 주로 동네를 돌면서 슈퍼, 커뮤니티 센터, 양로원과 같은 주요 목적지로 실어나르는 버스이다. 지정된 버스 정류장 뿐만 아니라 노선 상 어느 지점에서든 승하차할 수 있다.[242]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에서 토론토 교통국(TTC) 소유 및 운영 버스인 오리온 VII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다. TTC는 북미에서 세 번째로 큰 버스 차량을 운영한다.


오늘날 버스는 TTC 운영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1960년경 이전에는 노면 전차에 비해 작은 역할을 했다. 버스는 1921년에 도시에서 운행을 시작하여 노면 전차 서비스가 없는 지역에 필요하게 되었다. 1920년대 초의 초기 실험 이후, 트롤리버스는 1947년부터 여러 노선에 사용되었지만, 모든 트롤리버스 노선은 1991년과 1993년 사이에 버스 운영으로 전환되었다. TTC는 항상 자사의 무궤도 전기 차량을 "트롤리 코치"라고 불렀다. 수백 대의 오래된 버스가 저상형 오리온 VII로 교체되었고, TTC는 많은 하이브리드 전기 버스를 확보했다. TTC의 하이브리드 버스는 2006년에 처음으로 도로를 달렸다.[16] 이후 2008년에 새로운 500대의 오리온 VII 차세대 하이브리드 버스가 추가되었다.[17][18] 새로운 주문으로 하이브리드 버스의 총 수는 500대가 넘어 뉴욕시 다음으로 두 번째가 되었다. 2001년부터 2006년까지의 오래된 TTC 오리온 VII는 표준 "빵 상자" 스타일인 반면, 2007년 이후의 새로운 버스는 오리온의 새로운 세련된 차체를 특징으로 한다.[19] 총 2,031대의 버스를 보유한 TTC는 뉴욕시의 메트로폴리탄 교통국(5,600대 이상)과 로스앤젤레스 군 메트로폴리탄 교통국(2,911대)에 이어 북미에서 세 번째로 큰 대중교통 버스 운영업체이다.

TTC는 또한 신체 장애인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인 휠-트랜스를 운영하며, 휠체어를 수용하고 이동성이 제한된 보행 고객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 특수 저상 버스를 사용한다.

TTC는 2015년 1월까지 모든 새로 주문한 버스가 운행되도록 153대의 관절 버스를 주문했다.[20][21] 약 18.29m 길이의 노바 LFS 아틱은 표준 약 12.19m 버스의 65명에 비해 약 112명의 승객을 수용한다.[22]

3. 2. 지하철

토론토 로켓 지하철 열차가 뮤지엄 역에 도착하는 모습. 이 역은 세 개의 지하철 노선을 따라 운영되는 70개의 역 중 하나이다.


토론토 지하철 시스템은 세 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있다.[24]

  • 1호선 옹게-유니버시티선: 캐나다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23] 1954년에 개통되었고 2017년에 마지막으로 연장된, 대부분 남북 방향의 U자형 노선이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 1966년에 개통되었고 1980년에 마지막으로 연장된 동서 방향 노선이다.
  • 4호선 셰퍼드선: 2002년에 개통된 동서 방향 노선이다.


1985년부터 2023년까지 3호선 스캐버러선은 부분적으로 고가로 운행되는 경전철 노선으로 스캐버러 지역을 운행했다.

세 개의 지하철 노선에는 총 678량의 차량이 운행되며, 4호선 셰퍼드선은 4량 1편성, 1호선 옹게-유니버시티선과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은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세 노선은 비수익 구간 연결을 공유하고 동일한 기술을 사용한다. 사용 중인 차량은 1호선과 4호선에는 토론토 로켓 열차, 2호선에는 T 시리즈 열차가 있다. 3호선 스캐버러선에는 28량의 S 시리즈 차량이 4량 1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S 시리즈 차량이 표준궤를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았다. 궤도 연결이나 장비도 공유하지 않았다. S 시리즈 열차에 대한 중요한 정비 작업 수행의 어려움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3호선 스캐버러선 서비스는 당초 2023년 11월에 영구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7월 24일 탈선 사고 이후 예정보다 4개월 앞당겨 폐쇄되었다. 최소 2030년까지 셰퍼드와 매코완까지 2호선 스캐버러 지하철 연장선이 개통될 때까지 해당 노선은 TTC 버스 서비스로 대체된다.

모든 지하철 노선은 일주일 내내 오전 5시 45분부터 다음 날 오전 1시 30분까지 운행한다 (각 방향의 마지막 열차는 오전 1시 45분경 운행). 단, 일요일에는 운행 시작 시간이 오전 8시로 지연된다. 야간에는 지하철과 역이 폐쇄되어 선로 및 역 자체의 정비 작업이 이루어진다. 야간에는 지상에서 운행하는 버스와 노면 전차가 운행된다. 이러한 야간 노선에는 300번대 번호가 부여되며, 파란색 띠가 추가된 일반적인 TTC 버스 정류장 표지판으로 표시되는 블루 나이트 노선이라고 한다.

경로 정보는 안내 센터(+1-416-393-INFO)로 전화하면 알 수 있다. 운행 정보는 인터넷에서 [http://www.ttc.ca TTC.ca]에 접속하거나, 2010년 10월부터는 구글 지도의 길찾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010년 2월 3일부터 온라인 검색이 가능해져 주소, 주요 교차로, 랜드마크 등을 입력하여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초기에는 베타 버전이었으나, 몇 가지 버그가 수정되었다.[165] 일부 운행 정보는 환승 장소의 버스 정류장에 게시되어 있으며, 위 전화번호로 검색할 수도 있다.

노선 안내 및 안전 관련 정보는 "What's On"이나 "Rocket Rider/TTC Customer News"와 같은 팸플릿을 참조하면 된다. 일부 차량에 비치되어 있다. 이 모든 정보는 데이비스빌역 TTC 본사에서 직접 문의할 수도 있지만, 이전에 블로어역에 있던 TTC 안내 센터는 폐쇄되었다.

2008년 12월 15일, 처음으로 "다음 차량 도착 안내 시스템"(Next Vehicle Arrival System, NVAS)[166]이 도착 예정 시간을 알리기 위해 스파다이나 애비뉴와 하버프런트 애비뉴의 노면전차 정류장에 설치되었다. 스파다이나역과 유니온역에는 각각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다음 열차의 도착 시간이 표시된다. 특히 스파다이나역에는 510번 노면전차 모든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이 표시되는 액정 모니터도 설치되었다. 도착 시간은 노면전차에 설치된 GPS를 통해 계산된다. 한편 지하철의 경우, 대부분의 역에 OneStop 미디어 스크린이라는 다음 열차 도착 예정 시간과 함께 날씨, 시간, 뉴스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있으며, 오래되고 시대에 뒤떨어진 "지하철 온라인 시스템"의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2011년 중반까지 모든 버스와 노면전차에 상기 추적 시스템이 설치되어 인터넷과 SMS를 통해 열차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67]

3. 3. 노면 전차

토론토의 노면전차(streetcar)는 북미에서 몇 안 되는 현존하는 노면 전차 중 하나로, 노선 연장 304.6km, 운행 노선 길이 82km에 11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어 북미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1861년부터 말이끄는 전차 운행을 시작했고, 전력 운행은 1892년부터 시작되었다.[35] 모든 노선은 가공 전차선 방식의 직류 600V를 사용한다. 현재 노면전차는 시가지 중심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1940년대부터 다른 지역은 버스 등으로 대체되었다. 온타리오 호에서 북쪽으로 6km 떨어진 세인트클레어 애비뉴(St. Clair Avenue) 이북으로는 노선이 운영되지 않는다. 모든 차량은 PCC 카이며, 765대가 운영되고 있다. 그중 540대는 새로 구입했고 나머지는 다른 도시에서 중고로 구입했다. 일부 노선에서는 ALRV를 사용한 2량 편성으로 운영되고 있다.[35]

던다스 거리를 달리는 토론토 교통국 노면전차


노면전차 퀸스키 역은 지하역


2007년 3월 16일, 토론토 시와 교통국은 노면전차 고속화를 위해 노면전차 전용 노선 건설을 시작했다.[150] 같은 해 11월, 차량에 다음 정류장을 안내하는 자동 방송 시스템인 지상차량 자동정류장 안내 시스템(SVASAS)이 설치되었다. 동시에 정류장 이름을 자동으로 표시하는 LED도 운전석 뒤에 설치되었다. 2013년 현재 거의 모든 차량에 설치가 완료되었다. 같은 해 10월, 온타리오주 인권위원회는 (자동 방송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여) 시각장애인 승객을 위해 음성으로 정류장을 안내해야 한다는 규정을 제정했다.

2013년 현재, 차량 248대가 수명이 다해감에 따라 204대를 신차로 교체할 예정이다. 신차량은 모두 초저상 트램이며, 최대 8% 경사, 최소 약 11m 곡선(주로 루프선), 1495mm 궤간(국제 표준궤는 1435mm) 등 특수한 노선에 대응하기 위해 1대당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이 입찰을 통해 신차 제작을 담당하며, Flexity Outlook 모델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제정 기준 75%를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업 운전은 빠르면 2014년에 개시될 예정이었다. 현재 노면에서 시험 주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배서스트 거리 시험 주행은 문제없이 종료되었다.[151] 신차량은 우선 510 Spadina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차량 제작이 완료되는 대로 다른 노선에도 확충할 계획이며, 모든 노선에 신차량이 도입되는 것은 2018년으로 예정되어 있다.[151]

Peter Witt 제작 구형 차량 1대와 PCC 카 2대, 총 3대를 전세용으로 보유하고 있다. 2009년과 2010년 여름, 5월부터 노동절 사이 주말에는 509 Harbourfront 노선에 2대를 영업용 차량으로 투입하기도 했다. (이전에는 그중 1대가 영업용으로 운영되었다.)

510 Spadina 노선, 509 Harbourfront 노선, 512 St. Clair 노선 3개 노선은 전용 궤도 구간이 있어 경전철(LRT)에 가깝다. 유니언 역, 스파다이나 역, 세인트 클레어 웨스트 역, 퀸스키 역은 지하철 환승역이자 지하역이다. 앞으로 전용 궤도 구간을 점차 늘려갈 계획이다.

경로 정보는 안내 센터(+1-416-393-INFO)로 전화하면 알 수 있다. 운행 정보는 [http://www.ttc.ca TTC.ca]에 접속하거나, 2010년 10월부터 구글 지도 길찾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010년 2월 3일부터 온라인 검색이 가능해져 주소, 주요 교차로, 랜드마크 등을 입력하여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초기에는 베타 버전이었으나, 몇 가지 버그는 현재 수정되었다.[165] 일부 운행 정보는 환승 장소 버스 정류장에 게시되어 있으며, 위 전화번호로도 검색할 수 있다.

노선 안내 및 안전 관련 정보는 "What's On"이나 "Rocket Rider/TTC Customer News" 팸플릿을 참조하면 된다. 일부 차량에 비치되어 있으며, 데이비스빌 역 TTC 본사에서 직접 문의할 수도 있다. 블로어 역에 있던 TTC 안내 센터는 폐쇄되었다.

2008년 12월 15일, 스파다이나 애비뉴(Spadina Avenue)와 하버프런트 애비뉴 노면전차 정류장에 도착 예정 시간을 알리는 "다음 차량 도착 안내 시스템"(Next Vehicle Arrival System, NVAS)[166]이 처음 설치되었다. 스파다이나 역과 유니언 역에는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다음 열차 도착 시간을 표시한다. 스파다이나 역에는 510번 노면전차 모든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을 표시하는 액정 모니터도 설치되었다. 도착 시간은 노면전차에 설치된 GPS로 계산된다. 지하철의 경우, 대부분 역에 OneStop 미디어 스크린이라는 다음 열차 도착 예정 시간, 날씨, 시간, 뉴스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가 있으며, 이는 낡은 "지하철 온라인 시스템"을 대체하고 있다. 2011년 중반까지 모든 버스와 노면전차에 추적 시스템이 설치되어 인터넷과 SMS로 열차 도착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67]

3. 4. 보조교통

토론토 교통국은 신체 장애인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인 휠-트랜스를 운영하며, 휠체어를 수용하고 이동성이 제한된 승객의 탑승을 돕도록 설계된 특수 저상 버스를 사용한다.

4. 시설

토론토 교통국(TTC)은 버스, 노면전차, 지하철 등을 운영하며, 이를 위한 역, 정류장, 차고지, 차량기지, 본부 건물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역과 정류장 ===

TTC의 지하철역은 단순한 지하철 이용 시설을 넘어, 다양한 버스와 노면전차 노선이 연결되는 주요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모든 역에는 프레스토 카드 자동판매기와 안내 데스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파이 이용도 가능하다. 2024년 3월 기준 69개 지하철역 중 53개 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250] 일부 역에는 소매점, 패스트푸드점, 빵집 등이 입점해 있다.[251]

핀치역이나 셰퍼드웨스트역과 같은 주요 외곽 역에는 환승 주차장과 마중 차량을 위한 대기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253][254] 지하철역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 또는 섬식 승강장 형태이며, 전광판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255]

TTC는 북미에서도 드물게 역 개찰구 내 요금 지불 구역에서 별도 환승 표 없이 지하철-버스/노면전차 간 환승이 가능하다.[256]

버스 및 노면전차 정류장은 대부분 지상에 위치하며, 빨간색과 흰색 바탕 표지판에 TTC 로고, 정차 노선, 정류장 번호, 휠체어 이용 가능 여부 등이 표시되어 있다.[258] 다수 정류장에는 벤치와 통유리 쉼터가 마련되어 있고, 쓰레기통도 비치되어 있다. 일부 정류장에는 태양광 전광판이 설치되어 다음 버스/전차 도착 시각을 알려준다.[259]

버스 정류장은 간단한 기둥만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지만, 지붕이 있는 정류장도 설치되어 있다. 지붕 있는 정류장은 광고 유무와 입구 개방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173]

토론토 교통국 버스 정류장 유형[174]
유형특징설치 위치
Kramer Design Associates Ltd. 제작, 캔틸레버 아치형 지붕2013년 11월부터 설치 중세인트 클레어 노면 전차
캔틸레버 아치형 (도로 쪽에만 벽이 있는 유형)도로 쪽에만 벽 설치세인트 클레어 노면 전차
경사 지붕 또는 원통형 볼트Daytech 제작, Viacom 및 CBS 시공스카버러 등 교외 지역
원통형 볼트 (도로 쪽에만 벽이 있는 유형)도로 쪽에만 벽 설치일부 노면 전차 노선
평평한 지붕토론토 시에서 설치한 구형에토비코
대형 평평한 지붕 (길이가 4개)길이가 4개인 대형스파다이나선
기타 가장 오래된 유형교외 지역



2013년부터는 태양광 패널과 전광판을 장착하여 다음 차량 도착 시간을 표시하는 정류장이 노면 전차 노선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있다.

=== 차고지 및 차량기지 ===

마운트데니스 차고지


에글린턴 차고지


2호선 차량이 주박하는 그린우드 차량기지


토론토 교통국은 버스와 노면전차를 위한 차고지와 지하철 차량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 버스 및 노면전차 ====

토론토의 버스와 노면전차는 도시 곳곳에 위치한 차고지 및 차량기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버스와 노면전차와 같은 지상 노선은 운행 지역에 따라 구역이 나뉜다. 각 구역에서는 관리자, 당직 이동 감독관, 통신센터와 해당 지역의 차량과 경로를 관리하는 차고 시설이 있다.

차고지/차량기지 이름종류위치개장일설명주박 차량비고
러셀 차량기지(Russell Carhouse)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동부 퀸 스트리트와 코노트 애비뉴1913년 (1924년 재건축)토론토철도회사의 도색공장으로 개장, 이후 토론토 교통국이 노면전차 차량기지로 재건축[261]
레슬리 차량기지(Leslie Barns)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동부 레이크쇼어 블루버드와 레슬리 스트리트2015년 11월 22일플렉시티 아웃룩 유지 보수, 4.33ac 규모, 내부에 30대, 외부에 100대 수용[262]플렉시티 아웃룩
레이크쇼어 차고지(Lakeshore Garage)버스토론토 시내 동부 커미셔너스 스트리트 (레이크쇼어 로드와 돈밸리 및 가디너 고속도로 사이)1980년 1월 4일셔본 차고지 대체, 7ac 규모[263]휠트랜스 보조교통, 커뮤니티 버스, OBI 오리온 II, 오버랜드 ELF
론세스베일 차량기지(Roncesvalles Carhouse)노면전차토론토 남서부 론세스베일 애비뉴와 퀸 스트리트 북쪽1895년 1월 22일토론토철도회사가 개장, 토론토에서 가장 오래된 차량기지[264]
마운트데니스 차고지(Mount Dennis Garage)버스토론토 서부 에글린턴 애비뉴와 웨스턴 로드2008년 11월 23일약 23574.98m2 규모, 약 12.19m 및 약 18.29m 겸용 리프트 16대, 일반 세차대 4대, 스팀 세차대 1대[265]OBI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37대, PTRA 캐털리스트 BE40 BEV 25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55대, NFI XDE-40 85대, NFI XDE-60 2대
맥니콜 차고지(McNicoll Garage)버스토론토 북동부 케네디 로드와 맥니콜 애비뉴2021년 3월 18일29000m2 규모, 세차대 두 대, 주유대 두 대, 약 12.19m 리프트 7대, 약 18.29m 리프트 3대, 사무실, 보조 작업 구역, 총 250대 수용[266]노바버스 LFS 40102 일반 버스와 굴절 버스
맬번 차고지(Malvern Garage)버스토론토 북동부 셰퍼드 애비뉴와 마컴 로드1983년 7월 21일약 21181.89m2 규모, 세차대 두 대, 주유대 두 대, 약 12.19m 리프트 12대와 약 18.29m 3대, 검수 피트 4개[267]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162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21대, 노바버스 LFS 40102 하이브리드 74대
버치마운트 차고지(Birchmount Garage)버스토론토 동부 버치마운트 애비뉴와 댄포스 로드1956년 6월 1일우드바인 차고지 이전, 약 8314.82m2 규모, 세차대 두 개, 주유대 두 개, 약 12.19m 리프트 10대와 검수 피트 4개, 전기 버스 충전소(팬터그래프)[268]노바버스 LFS 40102 DSL 212대, NFI X-E40 BEV 10대
애로우 로드 차고지(Arrow Road Garage)버스토론토 북서부 애로우 로드 서쪽, 셰퍼드 애비뉴와 핀치 애비뉴 사이1988년 11월 17일약 21367.70m2 규모, 세차대 두 개, 디젤 주유대 두 개, 약 12.19m 리프트 12대와 약 18.29m 리프트 2대, 검수 피트 4개[269]노바버스 LFS 40102 47대, LFS 40102 하이브리드 181대, LFS 60102 굴절버스 36대와 뉴플라이어 XE-40 BEV LF 차량 25대
에글린턴 차고지(Eglinton Garage)버스토론토 동부 콤스톡 로드 (파머시 애비뉴와 워든 애비뉴 사이)2002년 3월 31일댄포스와 구 에글린턴 차고지 대체, 세차대 두 개, 주유대 두 개, 바깥에 주박한 버스를 위한 난방 장치, 약 12.19m 리프트 14대와 검수 피트 4개[270]노바버스 LFS 40102 237대, BYD K9M 10대
윌슨 차고지(Wilson Garage)버스토론토 북부 다운즈뷰 전 캐나다 공군기지 근처1976년 3월 14일약 21367.70m2 규모, 세차대 두 대, 디젤 충전대 두 대, 검수 피트 3대, 276대 수용[271]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19대, DNBA - 오리온 VII LF 217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22대지하철 차량기지로도 같이 쓰고 있음
퀸스웨이 차고지(Queensway Garage)버스토론토 남서부 에반스 애비뉴1966년 1월 23일파크데일 차고지 교체, 약 11612.88m2 규모, 세차대 한 대, 디젤 주유대 한 대, 약 12.19m 리프트 열네 대[272]OBI 오리온 VII LF 디젤 171대, 노바버스 LFS 40102 52대
힐크레스트 단지(Hillcrest Complex)버스/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북쪽 배서스트 스트리트와 대번포트 로드1924년 3월 13일토론토 교통국에서 가장 큰 시설, 버스와 노면전차 주박 및 정비, 중검수, 보수 작업, 차량 도색 및 도장, 교통관제센터 위치, 130ha 규모[273][274]



==== 지하철 ====

토론토 지하철은 노선별로 이용하는 차량기지가 다르며, 지하철 차량기지는 다음과 같다.


  • 데이비스빌 차량기지(Davisville Yard): 데이비스빌역 바로 옆에 위치, 1954년 개장, 토론토에서 가장 오래된 지하철 차량기지[275]
  • 그린우드 차량기지(Greenwood Yard): 던랜즈역그린우드역 사이에 위치, 1966년 개장[276]
  • 빈센트 주박선(Vincent Yard): 킬역 근처 위치, 킬 주박선으로도 불림, 1966년 개장, 1978년 운행 중단, 2017년 재개장[277]
  • 윌슨 차량기지(Wilson Yard): 윌슨 차고지와 같은 곳에 위치, 1978년 개장[271]


이 외에도 건설 중인 경전철 노선인 5호선 에글린턴은 에글린턴 차량기지, 6호선 핀치 웨스트는 핀치 차량기지에서 유지 보수 예정이다.

=== 본부 ===

데이비스빌역 옆에 위치한 토론토 교통국 본부 건물인 맥브라이언 빌딩


토론토 교통국의 본사인 윌리엄 맥브라이언 빌딩(William McBrien Building)은 데이비스빌 역(Davisville station) 위, 지하철 정비 시설인 데이비스빌 차량기지(Davisville Yard) 옆에 있다.


토론토 교통국(TTC)의 본부는 영 스트리트 1900번지에 위치한 윌리엄 맥브라이언 빌딩이다. 1958년에 개장하였으며, 데이비스빌역 바로 위에 있다.[278] 본부 1층에는 TTC의 고객서비스센터가 있으며, 평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개장하며, 주말과 공휴일에는 휴무한다.[279]

맥브라이언 빌딩은 길이 50m, 폭 28m, 바닥면적 11000m2이다.

현재 본사를 요크 밀스 로드 근처 4050 영 스트리트에 신축 예정지로 이전할 계획이 있다. 이 부지는 통근자 주차장으로, 요크 밀스 역(York Mills station)으로 가는 TTC 출입구가 있다.

=== 기타 고객 서비스 ===

토론토 교통국(TTC) 이용 관련 문의, 칭찬, 불만, 제안 사항은 다음 방법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279]

구분내용
홈페이지TTC 웹사이트를 통해 의견 제출
교통국 본부영 스트리트 1900번지 윌리엄 맥브라이언 빌딩 1층 고객서비스센터 방문 (평일 오전 8시 30분 ~ 오후 4시 30분 운영, 주말 및 공휴일 휴무)[279]
전화일반 문의 (24시간): 1-416-393-4636 (ARS 전화)
상담원 연결 (매일 오전 8시 ~ 오후 6시, 공휴일 휴무): 1-416-393-4636
고객센터 (매일 오전 7시 ~ 오후 10시, 공휴일 휴무): 416-393-3030
청각장애인 릴레이 서비스 (평일 오전 8시 ~ 6시, 공휴일 휴무): 1-800-855-0511
엘리베이터 서비스엘리베이터 서비스 (24시간): 1-416-539-5438
다국어 서비스매일 오전 8시 ~ 오후 6시, 1-416-393-4636에 전화 후 0번 누르고 원하는 언어(예: Korean)로 정보 확인[279]


분실물 센터베이역에 분실물 보관소가 있으며, 평일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주말 및 공휴일 휴무)[280] 전화 문의는 평일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 1-416-393-4100으로 가능하다. (공휴일 휴무)[280]
버스 및 노면전차 대여특별 행사를 위해 버스나 노면전차를 대여하려면 평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1-416-393-7880으로 전화하거나 이메일(charters@ttc.ca)로 문의할 수 있다.[279]
휠트랜스휠트랜스 버스 예약은 전화(1-416-393-4222) 또는 [http://mywheel-trans.ttc.ca 휠트랜스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된다. 고객센터는 1-416-393-4111번이다.[279]

=== 접근성 ===

노약자의 저상 전차 승차를 돕고 있는 전차 운전사


TTC의 모든 버스와 노면전차는 휠체어나 전동스쿠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모든 지하철 전동차 또한 노약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이용할 수 있다. 절반 이상의 지하철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281]

지하철역의 절반 이상에 지상에서 지하철 승강장까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일반 버스 또는 휠트랜스로 갈아탈 수 있다. 이 역들은 휠체어나 전동 스쿠터가 지나갈 수 있도록 넓은 개찰구가 있고, 미닫이식 자동문과 눈에 띄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휠체어, 스쿠터나 기타 이동 장치를 이용하는 승객은 모든 지하철 칸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차량에는 좌석, 손잡이, 노란색 비상 경보 스트립 또는 당김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차 안에서 휠체어 및 스쿠터 전용석은 차량 외부에 표시된 파란색과 흰색 표시를 찾아 해당 문에서 탑승하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비슷한 표시가 전동차 내부에도 있다.[282]

심야버스와 커뮤니티 버스를 포함한 모든 버스는 휠체어와 스쿠터 승객을 위한 램프가 장착된 저상버스이다. 버스 정류장에 있는 파란색 휠체어 기호를 통해 이동 기기 접근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든 버스는 앞문이 열릴 때 노선 번호와 종점을 알리는 자동 안내방송이 나오며, 버스 앞면, 측면, 후면에도 행선지 정보가 표시된다. 정보가 보이지 않거나 들리지 않으면 버스 기사에게 문의할 수 있다. 모든 버스는 앞문에 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앞문을 밑으로 내릴 수도 있다.[238]

대부분의 노면전차 정류장은 휠체어나 스쿠터 승객도 이용할 수 있지만, 일부 승차가 불가능한 정류장도 남아있다. 보조기기를 위한 고상 승강장이 없는 경우에는 두 번째 문에서 경사 램프가 내려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승차 후에는 교통약자 전용석에 기기를 고정하고, 하차 시에는 일반 하차벨이나 코드가 아닌 파란색 하차벨을 누르면 된다. 버스와 노면전차 모두 교통약자의 승차를 돕기 위해 운전사가 직접 내려와서 승하차를 도와주기도 한다.[283]

2005년에 입법된 온타리오주 장애인 접근성법(AODA)에 따라 토론토 교통국은 모든 차량에 장애인 우선석을 지정하였다. 장애가 있거나 신체적 제약이 있는 승객을 위해 법에 따라 이 좌석을 양보해야 하며, 우선 좌석에 앉아 있는 장애인 승객은 다른 장애인 승객을 위해 자리를 옮길 필요는 없다. 전동차, 버스 및 전차 내 파란색으로 지정된 좌석은 장애인 우선석으로, 자리를 양보하지 않는 승객은 235달러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282]

=== 주차장 ===

TTC는 대중교통으로 갈아타는 승객들을 위해 15개 지하철역에 환승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주차장은 평일 오전 5시부터 오전 2시까지 유료로 개방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요금은 동전, 비자, 마스터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또는 그린 P 모바일 페이 앱을 통해 지불할 수 있다. 요금은 역마다 다르지만 보통 하루에 5USD에서 7USD 수준이다.[284]

주차장이 있는 지하철역은 다음과 같다.[284]

토론토 교통국(TTC)을 대신하여 토론토 주차국(Toronto Parking Authority)이 지하철역 30곳에 총 13,981대의 주차 공간을 갖춘 통근자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70] 2009년 4월 1일부터 메트로패스(Metropass) 소지자에 대한 무료 주차가 폐지되었다. 현재 러시아워에 주차 시설을 이용하는 모든 승객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71] 요금은 위치에 따라 다르며, 평일 오전 5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2USD에서 7USD까지 다양하다. 다른 시간대에는 할인 또는 무료 주차를 제공하는 주차장도 있다.[71] 모든 TTC 소유 주차장은 노상 주차장이지만, 요크데일 주차장과 같이 같은 이름의 쇼핑센터 지하 주차장에 위치한 주차장도 있다.

4. 1. 역과 정류장

토론토 교통국(TTC)의 지하철역은 단순한 지하철 이용 시설을 넘어, 다양한 버스와 노면전차 노선이 연결되는 주요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모든 역에는 프레스토 카드 자동판매기와 안내 데스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파이 이용도 가능하다. 2024년 3월 기준 69개 지하철역 중 53개 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이동 편의성을 높였다.[250] 일부 역에는 소매점, 패스트푸드점, 빵집 등이 입점해 있어 간단한 식음료를 구매할 수 있다.[251]

핀치역이나 셰퍼드웨스트역과 같은 주요 외곽 역에는 환승 주차장과 마중 차량을 위한 대기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253][254] 지하철역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 또는 섬식 승강장 형태이며, 전광판을 통해 다음 열차 도착 시각, 뉴스, 광고, 날씨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255]

TTC는 북미에서도 드물게 역 개찰구 내 요금 지불 구역에서 별도 환승 표 없이 지하철-버스/노면전차 간 환승이 가능하다. 이는 요금 지불 구역 내에서 버스나 노면전차 뒷문 승차를 가능하게 하고, 종이 환승표 사용을 줄이며, 운전사의 요금 확인 부담을 덜어준다.[256]

버스 및 노면전차 정류장은 대부분 지상에 위치하며, 빨간색과 흰색 바탕 표지판에 TTC 로고, 정차 노선, 정류장 번호, 휠체어 이용 가능 여부 등이 표시되어 있다.[258] 다수 정류장에는 벤치와 통유리 쉼터가 마련되어 비나 눈을 피할 수 있고, 쓰레기통도 비치되어 있다. 일부 정류장에는 태양광 전광판이 설치되어 다음 버스/전차 도착 시각을 알려준다.[259]

버스 정류장은 간단한 기둥만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지만, 지붕이 있는 정류장도 설치되어 있다. 지붕 있는 정류장은 광고 유무와 입구 개방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173]

토론토 교통국 버스 정류장 유형[174]
유형특징설치 위치
Kramer Design Associates Ltd. 제작, 캔틸레버 아치형 지붕2013년 11월부터 설치 중세인트 클레어 노면 전차
캔틸레버 아치형 (도로 쪽에만 벽이 있는 유형)도로 쪽에만 벽 설치세인트 클레어 노면 전차
경사 지붕 또는 원통형 볼트Daytech 제작, Viacom 및 CBS 시공스카버러 등 교외 지역
원통형 볼트 (도로 쪽에만 벽이 있는 유형)도로 쪽에만 벽 설치일부 노면 전차 노선
평평한 지붕토론토 시에서 설치한 구형에토비코
대형 평평한 지붕 (길이가 4개)길이가 4개인 대형스파다이나선
기타 가장 오래된 유형교외 지역



2013년부터는 태양광 패널과 전광판을 장착하여 다음 차량 도착 시간을 표시하는 정류장이 노면 전차 노선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있다.

4. 2. 차고지 및 차량기지

토론토 교통국은 버스와 노면전차를 위한 차고지와 지하철 차량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 버스 및 노면전차 ====

차고지/차량기지 이름종류위치개장일설명주박 차량비고
러셀 차량기지(Russell Carhouse)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동부 퀸 스트리트와 코노트 애비뉴1913년 (1924년 재건축)토론토철도회사의 도색공장으로 개장, 이후 토론토 교통국이 노면전차 차량기지로 재건축[261]
레슬리 차량기지(Leslie Barns)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동부 레이크쇼어 블루버드와 레슬리 스트리트2015년 11월 22일플렉시티 아웃룩 유지 보수, 4.33ac 규모, 내부에 30대, 외부에 100대 수용[262]플렉시티 아웃룩
레이크쇼어 차고지(Lakeshore Garage)버스토론토 시내 동부 커미셔너스 스트리트 (레이크쇼어 로드와 돈밸리 및 가디너 고속도로 사이)1980년 1월 4일셔본 차고지 대체, 7ac 규모[263]휠트랜스 보조교통, 커뮤니티 버스, OBI 오리온 II, 오버랜드 ELF
론세스베일 차량기지(Roncesvalles Carhouse)노면전차토론토 남서부 론세스베일 애비뉴와 퀸 스트리트 북쪽1895년 1월 22일토론토철도회사가 개장, 토론토에서 가장 오래된 차량기지[264]
마운트데니스 차고지(Mount Dennis Garage)버스토론토 서부 에글린턴 애비뉴와 웨스턴 로드2008년 11월 23일약 23574.98m2 규모, 약 12.19m 및 약 18.29m 겸용 리프트 16대, 일반 세차대 4대, 스팀 세차대 1대[265]OBI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37대, PTRA 캐털리스트 BE40 BEV 25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55대, NFI XDE-40 85대, NFI XDE-60 2대
맥니콜 차고지(McNicoll Garage)버스토론토 북동부 케네디 로드와 맥니콜 애비뉴2021년 3월 18일29000m2 규모, 세차대 두 대, 주유대 두 대, 약 12.19m 리프트 7대, 약 18.29m 리프트 3대, 사무실, 보조 작업 구역, 총 250대 수용[266]노바버스 LFS 40102 일반 버스와 굴절 버스
맬번 차고지(Malvern Garage)버스토론토 북동부 셰퍼드 애비뉴와 마컴 로드1983년 7월 21일약 21181.89m2 규모, 세차대 두 대, 주유대 두 대, 약 12.19m 리프트 12대와 약 18.29m 3대, 검수 피트 4개[267]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162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21대, 노바버스 LFS 40102 하이브리드 74대
버치마운트 차고지(Birchmount Garage)버스토론토 동부 버치마운트 애비뉴와 댄포스 로드1956년 6월 1일우드바인 차고지 이전, 약 8314.82m2 규모, 세차대 두 개, 주유대 두 개, 약 12.19m 리프트 10대와 검수 피트 4개, 전기 버스 충전소(팬터그래프)[268]노바버스 LFS 40102 DSL 212대, NFI X-E40 BEV 10대
애로우 로드 차고지(Arrow Road Garage)버스토론토 북서부 애로우 로드 서쪽, 셰퍼드 애비뉴와 핀치 애비뉴 사이1988년 11월 17일약 21367.70m2 규모, 세차대 두 개, 디젤 주유대 두 개, 약 12.19m 리프트 12대와 약 18.29m 리프트 2대, 검수 피트 4개[269]노바버스 LFS 40102 47대, LFS 40102 하이브리드 181대, LFS 60102 굴절버스 36대와 뉴플라이어 XE-40 BEV LF 차량 25대
에글린턴 차고지(Eglinton Garage)버스토론토 동부 콤스톡 로드 (파머시 애비뉴와 워든 애비뉴 사이)2002년 3월 31일댄포스와 구 에글린턴 차고지 대체, 세차대 두 개, 주유대 두 개, 바깥에 주박한 버스를 위한 난방 장치, 약 12.19m 리프트 14대와 검수 피트 4개[270]노바버스 LFS 40102 237대, BYD K9M 10대
윌슨 차고지(Wilson Garage)버스토론토 북부 다운즈뷰 전 캐나다 공군기지 근처1976년 3월 14일약 21367.70m2 규모, 세차대 두 대, 디젤 충전대 두 대, 검수 피트 3대, 276대 수용[271]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19대, DNBA - 오리온 VII LF 217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22대지하철 차량기지로도 같이 쓰고 있음
퀸스웨이 차고지(Queensway Garage)버스토론토 남서부 에반스 애비뉴1966년 1월 23일파크데일 차고지 교체, 약 11612.88m2 규모, 세차대 한 대, 디젤 주유대 한 대, 약 12.19m 리프트 열네 대[272]OBI 오리온 VII LF 디젤 171대, 노바버스 LFS 40102 52대
힐크레스트 단지(Hillcrest Complex)버스/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북쪽 배서스트 스트리트와 대번포트 로드1924년 3월 13일토론토 교통국에서 가장 큰 시설, 버스와 노면전차 주박 및 정비, 중검수, 보수 작업, 차량 도색 및 도장, 교통관제센터 위치, 130ha 규모[273][274]



==== 지하철 ====


  • 데이비스빌 차량기지(Davisville Yard): 데이비스빌역 바로 옆에 위치, 1954년 개장, 토론토에서 가장 오래된 지하철 차량기지[275]
  • 그린우드 차량기지(Greenwood Yard): 던랜즈역그린우드역 사이에 위치, 1966년 개장[276]
  • 빈센트 주박선(Vincent Yard): 킬역 근처 위치, 킬 주박선으로도 불림, 1966년 개장, 1978년 운행 중단, 2017년 재개장[277]
  • 윌슨 차량기지(Wilson Yard): 윌슨 차고지와 같은 곳에 위치, 1978년 개장[271]


이 외에도 건설 중인 경전철 노선인 5호선 에글린턴은 에글린턴 차량기지, 6호선 핀치 웨스트는 핀치 차량기지에서 유지 보수 예정이다.

4. 2. 1. 버스 및 노면전차



토론토의 버스와 노면전차는 도시 곳곳에 위치한 차고지 및 차량기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버스와 노면전차와 같은 지상 노선은 운행 지역에 따라 구역이 나뉜다. 각 구역에서는 관리자, 당직 이동 감독관, 통신센터와 해당 지역의 차량과 경로를 관리하는 차고 시설이 있다. 토론토 교통국의 차고지와 차량기지는 다음과 같다.

차고지/차량기지 이름종류위치개장일설명주박 차량비고
러셀 차량기지(Russell Carhouse)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동부 퀸 스트리트와 코노트 애비뉴1913년 (1924년 재건축)토론토철도회사의 도색공장으로 개장, 이후 토론토 교통국이 노면전차 차량기지로 재건축[261]
레슬리 차량기지(Leslie Barns)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동부 레이크쇼어 블루버드와 레슬리 스트리트2015년 11월 22일플렉시티 아웃룩 유지 보수, 4.33ac 규모, 내부에 30대, 외부에 100대 수용[262]플렉시티 아웃룩
레이크쇼어 차고지(Lakeshore Garage)버스토론토 시내 동부 커미셔너스 스트리트 (레이크쇼어 로드와 돈밸리 및 가디너 고속도로 사이)1980년 1월 4일셔본 차고지 대체, 7ac 규모[263]휠트랜스 보조교통, 커뮤니티 버스, OBI 오리온 II, 오버랜드 ELF
론세스베일 차량기지(Roncesvalles Carhouse)노면전차토론토 남서부 론세스베일 애비뉴와 퀸 스트리트 북쪽1895년 1월 22일토론토철도회사가 개장, 토론토에서 가장 오래된 차량기지[264]
마운트데니스 차고지(Mount Dennis Garage)버스토론토 서부 에글린턴 애비뉴와 웨스턴 로드2008년 11월 23일약 23574.98m2 규모, 약 12.19m 및 약 18.29m 겸용 리프트 16대, 일반 세차대 4대, 스팀 세차대 1대[265]OBI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37대, PTRA 캐털리스트 BE40 BEV 25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55대, NFI XDE-40 85대, NFI XDE-60 2대
맥니콜 차고지(McNicoll Garage)버스토론토 북동부 케네디 로드와 맥니콜 애비뉴2021년 3월 18일29,000 m² 규모, 세차대 두 대, 주유대 두 대, 약 12.19m 리프트 7대, 약 18.29m 리프트 3대, 사무실, 보조 작업 구역, 총 250대 수용[266]노바버스 LFS 40102 일반 버스와 굴절 버스
맬번 차고지(Malvern Garage)버스토론토 북동부 셰퍼드 애비뉴와 마컴 로드1983년 7월 21일약 21181.89m2 규모, 세차대 두 대, 주유대 두 대, 약 12.19m 리프트 12대와 약 18.29m 3대, 검수 피트 4개[267]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162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21대, 노바버스 LFS 40102 하이브리드 74대
버치마운트 차고지(Birchmount Garage)버스토론토 동부 버치마운트 애비뉴와 댄포스 로드1956년 6월 1일우드바인 차고지 이전, 약 8314.82m2 규모, 세차대 두 개, 주유대 두 개, 약 12.19m 리프트 10대와 검수 피트 4개, 전기 버스 충전소(팬터그래프)[268]노바버스 LFS 40102 DSL 212대, NFI X-E40 BEV 10대
애로우 로드 차고지(Arrow Road Garage)버스토론토 북서부 애로우 로드 서쪽, 셰퍼드 애비뉴와 핀치 애비뉴 사이1988년 11월 17일약 21367.70m2 규모, 세차대 두 개, 디젤 주유대 두 개, 약 12.19m 리프트 12대와 약 18.29m 리프트 2대, 검수 피트 4개[269]노바버스 LFS 40102 47대, LFS 40102 하이브리드 181대, LFS 60102 굴절버스 36대와 뉴플라이어 XE-40 BEV LF 차량 25대
에글린턴 차고지(Eglinton Garage)버스토론토 동부 콤스톡 로드 (파머시 애비뉴와 워든 애비뉴 사이)2002년 3월 31일댄포스와 구 에글린턴 차고지 대체, 세차대 두 개, 주유대 두 개, 바깥에 주박한 버스를 위한 난방 장치, 약 12.19m 리프트 14대와 검수 피트 4개[270]노바버스 LFS 40102 237대, BYD K9M 10대
윌슨 차고지(Wilson Garage)버스토론토 북부 다운즈뷰 전 캐나다 공군기지 근처1976년 3월 14일약 21367.70m2 규모, 세차대 두 대, 디젤 충전대 두 대, 검수 피트 3대, 276대 수용[271]DBNA - 오리온 VII LF 하이브리드 19대, DNBA - 오리온 VII LF 217대, 노바버스 LFS 60102 굴절버스 22대지하철 차량기지로도 같이 쓰고 있음
퀸스웨이 차고지(Queensway Garage)버스토론토 남서부 에반스 애비뉴1966년 1월 23일파크데일 차고지 교체, 약 11612.88m2 규모, 세차대 한 대, 디젤 주유대 한 대, 약 12.19m 리프트 열네 대[272]OBI 오리온 VII LF 디젤 171대, 노바버스 LFS 40102 52대
힐크레스트 단지(Hillcrest Complex)버스/노면전차토론토 시내 북쪽 배서스트 스트리트와 대번포트 로드1924년 3월 13일토론토 교통국에서 가장 큰 시설, 버스와 노면전차 주박 및 정비, 중검수, 보수 작업, 차량 도색 및 도장, 교통관제센터 위치, 130ha 규모[273][274]



오늘날 버스는 TTC 운영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1921년에 도시에서 운행을 시작하여 노면 전차 서비스가 없는 지역에 필요하게 되었다. 1947년부터 여러 노선에 트롤리버스가 사용되었지만, 1991년과 1993년 사이에 버스 운영으로 전환되었다. TTC는 수백 대의 오래된 버스를 저상형 오리온 VII로 교체했고, 많은 하이브리드 전기 버스를 확보했다. TTC의 하이브리드 버스는 2006년에 처음으로 도로를 달렸다.[16] 2008년에 500대의 오리온 VII 차세대 하이브리드 버스가 추가되었다.[17][18] 총 2,031대의 버스를 보유한 TTC는 뉴욕시의 메트로폴리탄 교통국(5,600대 이상)과 로스앤젤레스 군 메트로폴리탄 교통국(2,911대)에 이어 북미에서 세 번째로 큰 대중교통 버스 운영업체이다.

TTC는 신체 장애인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인 휠-트랜스를 운영하며, 휠체어를 수용하고 이동성이 제한된 보행 고객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 특수 저상 버스를 사용한다.

TTC는 2015년 1월까지 모든 새로 주문한 버스가 운행되도록 153대의 관절 버스를 주문했다.[20][21] 약 18.29m 길이의 노바 LFS 아틱은 표준 약 12.19m 버스의 65명에 비해 약 112명의 승객을 수용한다.[22]

2008년 세인트클레어 애비뉴의 자체 선로를 따라 세인트클레어 역 방향으로 동쪽으로 출발하는 512번 세인트클레어 노선을 운행하는 CLRV


2016년 스파다이나 애비뉴와 킹 스트리트에서의 ALRV(왼쪽)과 플렉시티 아웃룩(오른쪽)


토론토 트램 시스템은 북미에서 여전히 도로 위의 선로를 따라 운행되는 몇 안 되는 시스템 중 하나이다. 19세기 중반부터 운영되어 왔으며, 1861년에는 말이끄는 전차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1892년에는 600V DC 상공 전기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트램 노선은 현재 도심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만, 세인트클레어 애비뉴의 512번 세인트클레어 트램 노선과 레이크쇼어 블러바드에서 이토비코크 지역을 지나 미시소거와의 이토비코크 크릭 시 경계 근처까지 운행되는 501번 퀸 노선의 서쪽 부분과 같이 도심에서 더 멀리 운행되는 노선도 있다.

1987년 9월부터 2019년까지 TTC는 CLRV 트램의 더 긴 버전인 2량짜리 ALRV 트램을 운영했다.

2019년 12월 29일 TTC의 CLRV 트램이 퇴역한 후, TTC의 모든 트램 차량은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의 저상식 플렉시티 아웃룩 차량으로 구성되며, 그중 첫 번째 차량은 2014년 8월 31일 510번 스파다이나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35] 2008년 12월 15일, TTC는 다음 차량 도착 시스템(NVAS)[45]을 출시하여 특정 노선에서 다음 차량의 도착 시간을 알려주었다. 모든 TTC 노면 전차는 GPS 수신기를 장착하여 업그레이드되었으며 현재 NVIS를 사용하고 있다.

실시간 노선 정보는 토론토 공개 데이터 이니셔티브를 통해 NVAS에서 SMS로 버스/노면 전차 정류장 기둥에 표시된 정류장 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보내거나 NVAS 데이터를 사용하는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46]

일부 TTC 정류장에는 다음 버스 또는 노면 전차가 도착할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예: 501 퀸 노선 정류장)


2011년 중반부터 모든 버스와 노면 전차에는 추적 기능이 활성화되어 온라인과 SMS를 통해 이용객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48]

4. 2. 2. 지하철



토론토 지하철 시스템은 세 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 1호선 영-유니버시티선: 캐나다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23] 1954년에 개통되었고 2017년에 마지막으로 연장된, 대부분 남북 방향의 U자형 노선이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 1966년에 개통되었고 1980년에 마지막으로 연장된 동서 방향 노선이다.
  • 4호선 셰퍼드선: 2002년에 개통된 동서 방향 노선이다.


1985년부터 2023년까지 3호선 스캐버러선은 부분적으로 고가로 운행되는 경전철 노선으로 스캐버러 지역을 운행했다.

세 개의 지하철 노선에는 총 678량의 차량이 운행되며, 4호선 셰퍼드선은 4량 1편성, 1호선 영-유니버시티선과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은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세 개의 지하철 노선은 비수익 구간 연결을 공유하고 동일한 기술을 사용한다. 사용 중인 차량은 1호선과 4호선에는 토론토 로켓 열차, 2호선에는 T 시리즈 열차가 있다. 3호선 스캐버러선에는 28량의 S 시리즈 차량이 4량 1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S 시리즈 차량이 을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았다. 궤도 연결이나 장비도 공유하지 않았다. S 시리즈 열차에 대한 중요한 정비 작업 수행의 어려움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3호선 스캐버러선 서비스는 당초 2023년 11월에 영구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7월 24일 탈선 사고 이후 예정보다 4개월 앞당겨 폐쇄되었다. 최소 2030년까지 셰퍼드와 매코완까지 2호선 스캐버러 지하철 연장선이 개통될 때까지 해당 노선은 TTC 버스 서비스로 대체된다.[24]

모든 지하철 노선은 일주일 내내 오전 5시 45분부터 다음 날 오전 1시 30분까지 운행한다 (각 방향의 마지막 열차는 오전 1시 45분경 운행). 단, 일요일에는 운행 시작 시간이 오전 8시로 지연된다. 야간에는 지하철과 역이 폐쇄되어 선로 및 역 자체의 정비 작업이 이루어진다. 야간에는 지상에서 운행하는 버스와 노면 전차가 운행된다. 이러한 야간 노선에는 300번대 번호가 부여되며, 파란색 띠가 추가된 일반적인 TTC 버스 정류장 표지판으로 표시되는 블루 나이트 노선이라고 한다.

토론토 지하철은 노선별로 이용하는 차량기지가 다르며, 지하철 차량기지는 다음과 같다.

  • 데이비스빌 차량기지(Davisville Yard): 토론토에서 가장 오래된 지하철 차량기지로, 토론토 지하철이 처음으로 개통한 1954년에 개장하였다. 이 기지는 이름 그대로 데이비스빌역 바로 옆에 위치해있으며, 토론토 교통국의 본부도 이곳에 위치해있다. 데이비스빌 차량기지는 1호선 영-유니버시티 및 4호선 셰퍼드 열차가 주박하고, 전동차 유지 보수 시설이 구비되어있다.[275]
  • 그린우드 차량기지(Greenwood Yard): 그린우드 차량기지는 던랜즈역그린우드역 사이에 위치한 차량기지로, 1966년에 2호선 블루어-댄포스가 개통하면서 개장하였다. 그린우드에는 2호선 열차가 주박하고 전동차의 유지 보수도 책임진다.[276]
  • 빈센트 주박선(Vincent Yard): 빈센트 주박선, 또는 킬역 근처에 있다고 해서 킬 주박선으로 불리는 이곳은 1966년에 2호선이 개통하면서 그린우드 차량기지와 같이 개장하였지만, 그린우드와 달리 보수 시설이 없었던 나머지 필요성이 저조해져 1978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교통국은 2011년부터 1호선의 본 연장을 앞두고 이 주박선을 다시 활용하기로 하고 2014년 8월에 착공하여 2017년 6월에 완공하였다. 지금은 2호선 열차가 이 선로에 주박하고 있다.[277]
  • 윌슨 차량기지(Wilson Yard): 윌슨 차량기지는 윌슨 차고지와 같은 곳에 위치해있으며, 1978년 1월에 1호선이 윌슨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개장하였다. 윌슨 차량기지에는 1호선 열차가 주박하고, 전동차 유지 보수 시설이 구비되어있다.[271]


이 외에도 지금 지어지고 있는 경전철 노선인 5호선 에글린턴은 에글린턴 차량기지에서, 6호선 핀치 웨스트는 핀치 차량기지에서 유지 보수할 예정이다.

4. 3. 본부



토론토 교통국(TTC)의 본부는 영 스트리트 1900번지에 위치한 윌리엄 맥브라이언 빌딩이다. 찰스 돌핀이 설계한 이 건물은 1958년 2월 7일에 데이비스빌역 바로 위에 개장하였다. 7층 건물인 이 건물은 영 지하철 개통 직후에 숨을 거둔 TTC 이사 윌리엄 C. 맥브라이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78] 본부 1층에는 TTC의 고객서비스센터가 있으며, 평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개장하며, 주말과 공휴일에는 휴무한다.[279]

맥브라이언 빌딩은 길이 50m, 폭 28m, 바닥면적 11,000 m²이다. 외부는 온타리오주 퀸스턴에서 채석한 석회암으로 만들어졌고, 1층 로비에는 밝은 갈색 이탈리아 대리석이 늘어서있다. 지상층에는 데이비스빌역의 버스 터미널과 지하철역 입구가 있으며, 건물은 현재 7층에서 향후 10층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맥브라이언 빌딩 개장 전, TTC 본부는 영과 프론트 스트리트에 있는 전 토론토무역위원회 건물에 자리잡았는데, 이 건물은 1890년에 지어지고 1958년에 철거되었다.

현재 본사를 요크 밀스 로드 근처 4050 영 스트리트에 신축 예정지로 이전할 계획이 있다. 이 부지는 통근자 주차장으로, 요크 밀스 역(York Mills station)으로 가는 TTC 출입구가 있다. Build Toronto가 이전 작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많은 시장 후보들로부터 정치적 반대에 직면하고 있다.[69]

4. 4. 기타 고객 서비스

토론토 교통국(TTC) 이용 관련 문의, 칭찬, 불만, 제안 사항은 다음 방법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279]

구분내용
홈페이지TTC 웹사이트를 통해 의견 제출
교통국 본부영 스트리트 1900번지 윌리엄 맥브라이언 빌딩 1층 고객서비스센터 방문 (평일 오전 8시 30분 ~ 오후 4시 30분 운영, 주말 및 공휴일 휴무)[279]
전화일반 문의 (24시간): 1-416-393-4636 (ARS 전화)
상담원 연결 (매일 오전 8시 ~ 오후 6시, 공휴일 휴무): 1-416-393-4636
고객센터 (매일 오전 7시 ~ 오후 10시, 공휴일 휴무): 416-393-3030
청각장애인 릴레이 서비스 (평일 오전 8시 ~ 6시, 공휴일 휴무): 1-800-855-0511
엘리베이터 서비스엘리베이터 서비스 (24시간): 1-416-539-5438
다국어 서비스매일 오전 8시 ~ 오후 6시, 1-416-393-4636에 전화 후 0번 누르고 원하는 언어(예: Korean)로 정보 확인[279]


분실물 센터베이역에 분실물 보관소가 있으며, 평일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주말 및 공휴일 휴무)[280] 전화 문의는 평일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 1-416-393-4100으로 가능하다. (공휴일 휴무)[280]
버스 및 노면전차 대여특별 행사를 위해 버스나 노면전차를 대여하려면 평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1-416-393-7880으로 전화하거나 이메일(charters@ttc.ca)로 문의할 수 있다.[279]
휠트랜스휠트랜스 버스 예약은 전화(1-416-393-4222) 또는 [http://mywheel-trans.ttc.ca 휠트랜스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된다. 고객센터는 1-416-393-4111번이다.[279]
교통약자 배려모든 버스와 노면전차는 휠체어 및 전동스쿠터 이용이 가능하며, 모든 지하철 전동차와 절반 이상의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교통약자의 이용을 돕고 있다.[281] 지하철, 버스, 노면전차에는 장애인 우선석이 지정되어 있으며, 이를 양보하지 않으면 235달러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282]

4. 5. 접근성



토론토 교통국(TTC)의 모든 버스와 노면전차는 휠체어나 전동스쿠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모든 지하철 전동차 또한 노약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이용할 수 있다. 절반 이상의 지하철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281]

지하철역의 절반 이상에 지상에서 지하철 승강장까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일반 버스 또는 휠트랜스로 갈아탈 수 있다. 이 역들은 휠체어나 전동 스쿠터가 지나갈 수 있도록 넓은 개찰구가 있고, 미닫이식 자동문과 눈에 띄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휠체어, 스쿠터나 기타 이동 장치를 이용하는 승객은 모든 지하철 칸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차량에는 좌석, 손잡이, 노란색 비상 경보 스트립 또는 당김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차 안에서 휠체어 및 스쿠터 전용석은 차량 외부에 표시된 파란색과 흰색 표시를 찾아 해당 문에서 탑승하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비슷한 표시가 전동차 내부에도 있다.[282]

시각장애인, 저시력자 및 청각장애인을 위해 지하철 승강장 가장자리에 노란색 타일이 설치되어 있고, 승강장 가운데 바닥에 길찾기 경로가 있다. 지하철 문이 열리거나 닫힐 때 알림 소리와 점멸등이 깜빡이며, 해당 지하철 차량의 종착역과 다음 역을 알리는 안내방송, 색 대비가 분명한 계단, 지정대기구역(DWA)에 설치된 점자 및 돌출글자, 역에서 나오는 안내방송 등이 제공된다.[282]

심야버스와 커뮤니티 버스를 포함한 모든 버스는 휠체어와 스쿠터 승객을 위한 램프가 장착된 저상버스이다. 버스 정류장에 있는 파란색 휠체어 기호를 통해 이동 기기 접근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든 버스는 앞문이 열릴 때 노선 번호와 종점을 알리는 자동 안내방송이 나오며, 버스 앞면, 측면, 후면에도 행선지 정보가 표시된다. 정보가 보이지 않거나 들리지 않으면 버스 기사에게 문의할 수 있다. 모든 버스는 앞문에 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앞문을 밑으로 내릴 수도 있다.[238]

대부분의 노면전차 정류장은 휠체어나 스쿠터 승객도 이용할 수 있지만, 일부 승차가 불가능한 정류장도 남아있다. 보조기기를 위한 고상 승강장이 없는 경우에는 두 번째 문에서 경사 램프가 내려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승차 후에는 교통약자 전용석에 기기를 고정하고, 하차 시에는 일반 하차벨이나 코드가 아닌 파란색 하차벨을 누르면 된다. 버스와 노면전차 모두 교통약자의 승차를 돕기 위해 운전사가 직접 내려와서 승하차를 도와주기도 한다.[283]

2005년에 입법된 온타리오주 장애인 접근성법(AODA)에 따라 토론토 교통국은 모든 차량에 장애인 우선석을 지정하였다. 장애가 있거나 신체적 제약이 있는 승객을 위해 법에 따라 이 좌석을 양보해야 하며, 우선 좌석에 앉아 있는 장애인 승객은 다른 장애인 승객을 위해 자리를 옮길 필요는 없다. 전동차, 버스 및 전차 내 파란색으로 지정된 좌석은 장애인 우선석으로, 자리를 양보하지 않는 승객은 235달러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282]

4. 6. 주차장

TTC는 대중교통으로 갈아타는 승객들을 위해 15개 지하철역에 환승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주차장은 평일 오전 5시부터 오전 2시까지 유료로 개방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오전 2시부터 오전 5시까지는 역 주차장을 이용할 수 없다. 요금은 동전, 비자, 마스터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또는 그린 P 모바일 페이 앱을 통해 지불할 수 있다. 요금은 역마다 다르지만 보통 하루에 5USD에서 7USD 수준이다.[284]

주차장이 있는 지하철역은 다음과 같다.[284]

토론토 교통국(TTC)을 대신하여 토론토 주차국(Toronto Parking Authority)이 지하철역 30곳에 총 13,981대의 주차 공간을 갖춘 통근자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70] 2009년 4월 1일부터 메트로패스(Metropass) 소지자에 대한 무료 주차가 폐지되었다. 현재 러시아워에 주차 시설을 이용하는 모든 승객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71] 요금은 위치에 따라 다르며, 평일 오전 5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2USD에서 7USD까지 다양하다. 다른 시간대에는 할인 또는 무료 주차를 제공하는 주차장도 있다.[71] 모든 TTC 소유 주차장은 노상 주차장이지만, 요크데일 주차장과 같이 같은 이름의 쇼핑센터 지하 주차장에 위치한 주차장도 있다.

토론토 시내에는 30개의 통근용 주차장이 있으며, 모두 지하철역 인근에 위치해 있다. 총 13,981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2009년 4월 1일부터 메트로패스 소지자의 무료 주차 서비스는 폐지되었으며, 피크 시간대에 주차장을 이용하는 경우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주차 요금은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장소에서 평일 오전 5시부터 오후 3시까지 주차 시 2USD에서 6USD의 요금이 부과된다. 그 외 시간과 요일에는 무료로 주차할 수 있다.[177] 모든 주차장은 지붕이 없다.

5. 요금

토론토 교통국(TTC)의 요금은 단일 요금제로, 토론토 시내를 이동할 때 추가 요금 없이 하나의 요금을 지불한다. 요금은 현금, 프레스토 카드, 일회용 티켓인 프레스토 티켓, 신용카드, 직불 카드, 전자지갑 등으로 지불할 수 있다. 과거에 사용되던 성인용 토큰, 학생 및 노인용 티켓, 1일권, 주말 이용권은 더 이상 판매하지 않지만, 여전히 요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과거 요금은 현금, 티켓(13~19세 학생 및 65세 이상 노인), 토큰(편도)으로 지불하거나, 사전 구매한 패스(월간, 주간, 1일)를 이용했다. 2010년 기준 성인 요금은 편도 3캐나다 달러이었으며, 토큰 가격은 지속적으로 인상되었다.[157][158] 1990년 이후 TTC 요금은 인플레이션보다 빠르게 상승했다.[159][160]

2011년 말까지 위조 토큰 및 패스 감지를 위한 신형 요금함을 지하철, 버스, 노면전차에 설치하려 했다. 이 시스템으로 연간 100만달러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발표했다. 설치에는 5300만달러가 소요되며, 예산 확보에 최소 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새 요금함은 PRESTO 판독기가 없어 임시방편이며, 개조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현재 일부 버스 노선에서 시험 운영 중이다.[164]

온타리오 주 교통부는 PRESTO라는 새로운 비접촉식 IC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을 도입했다. 2007년 유니언 역에서 운영을 시작했으며,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163]

5. 1. 현금

현금 승차 시에는 캐나다 달러로 지불해야 하며, 만 20세 이상 64세 이하 어른은 3.35CAD, 만 13세 이상 19세 이하 청소년은 2.4캐나다 달러, 만 65세 이상 노인은 2.3캐나다 달러이다. 만 12세 이하 아동은 무료로 승차할 수 있다.[285] 지하철역에서는 개찰구 근처에 있는 안내데스크에서 현금을 지불하고 안내데스크 옆 개찰구를 지날 수 있다.[286] 전차와 버스를 탑승할 때에는 요금함에 현금을 넣으면 되고, 잔돈은 거슬러주지 않는다. 휠트랜스도 요금은 동일하며, 보호자와 동승하는 경우에는 보호자가 TTC에서 발급한 보호자 신분증이 있는 경우 무료로 탑승할 수 있다.[287]

5. 2. 프레스토 카드

빅토리아파크역에 설치된 프레스토 카드 자판기


프레스토 카드는 토론토 교통국 뿐만 아니라, GO 트랜싯, 유니언 피어슨 급행과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의 8개 대중교통 기관은 물론 오타와OC 트랜스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선불 교통카드이다. 프레스토 카드를 통해 성인 요금은 물론, 노인, 청소년, 아동, 대학생 할인 요금과 저소득층을 위한 페어패스(Fair Pass) 할인 요금도 지불할 수 있다.[288] 프레스토 카드는 4달러에 구매할 수 있고, 토론토의 모든 지하철역과 로블로스, 쇼퍼스 드러그 마트, 슈퍼스토어 등지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프레스토 카드 홈페이지에서도 주문할 수 있다.[289]

프레스토 카드의 충전 유형에는 크게 잔액 충전 방식과 정기권 충전 방식 두 가지가 있다. 잔액 충전 방식은 카드를 찍을 때마다 일회권 요금이 차감되는 방식이고, 정기권 충전 방식은 한 달 동안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285] 프레스토 카드에 잔액을 충전해서 일회권 요금을 지불할 경우, 어른은 3.3달러, 청소년은 2.35USD, 노인은 2.25USD가 차감되고, 만 12세 이하 아동은 무료로 승차할 수 있다.[285] 정기권은 1개월과 12개월로 나뉘는데, 1개월 정기권은 어른은 156USD, 청소년과 노인은 128.15USD를 지불해야 하고, 12개월 정기권은 12개월 동안 매달 자동이체로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어른은 143USD, 청소년과 노인은 117.45USD를 지불해야 한다.[285] 1개월 정기권은 해당 달 첫날로부터 12일 이전부터 해당 달 8일까지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월 정기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12월 20일부터 1월 8일까지 정기권을 프레스토 카드에 충전할 수 있다.[285]

프레스토 카드 잔액 충전은 프레스토 앱 (구글 플레이 스토어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구글 월렛, 프레스토 카드 구매처, 프레스토 카드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다만 프레스토 카드를 홈페이지에서 충전할 경우 잔액이 반영되는 데 4시간에서 7시간 정도 소요된다. 카드 잔액이 어느정도 떨어지면 자동으로 충전하는 오토로드(Autoload) 기능도 있는데, 모바일 앱이나 홈페이지, 우편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290] 정기권 또한 프레스토 앱, 구글 월렛, 프레스토 카드 구매처, 프레스토 카드 홈페이지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291] 프레스토 카드 앱이나 홈페이지, 우편을 통해 정기권을 자동으로 갱신할 수도 있다.[292]

주 교통부에서 발표한 새로운 비접촉식 IC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 "PRESTO"는 GTA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2007년부터 유니온 역에서 운영이 시작되었다. 이후 돈밀스 역, 다운즈뷰 역, 핀치 역, 이즐링턴 역에서 2010년부터 운영이 시작되었다. 요크 지역 교통국이나 GO 트랜짓 등은 요금 징수에 PRESTO만을 사용하는 역을 소유하고 있지만, 토론토 교통국은 이에 동조하지 않겠다고 밝히는 등 교통국 자체가 PRESTO에 대한 투자에 소극적이라고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5년 정도를 목표로 모든 역에 PRESTO 관련 설비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163]

5. 3. 신용카드 및 모바일 페이

2023년 8월부터 토론토 교통국의 지하철, 버스, 전차에서 신용카드, 직불카드 및 모바일 페이를 통해 요금을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 카드 및 모바일 페이로 지불하는 경우에는 프레스토 일회권 요금과 동일한 3.3캐나다 달러이 차감된다.[293] 요금 지불은 프레스토 카드와 마찬가지로 프레스토 단말기에 카드나 모바일 페이가 장착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를 찍으면 된다.[293] 하지만 어른 요금만 차감되므로 청소년, 노인 또는 다른 할인을 받고 있다면 프레스토 카드를 통해 요금을 지불하는 것이 좋다.[294]

5. 4. 프레스토 티켓

토론토 교통국(TTC)은 비접촉식 IC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인 "프레스토(PRESTO)"를 도입하였다. 이 카드는 광역 토론토 지역(GTA)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2007년부터 유니온 역에서 운영이 시작되었다. 이후 2010년부터는 돈밀스 역, 다운즈뷰 역, 핀치 역, 이즐링턴 역에서도 운영되고 있다.[163]

요크 지역 교통국이나 GO 트랜짓은 프레스토만 사용하는 역을 소유하고 있지만, 토론토 교통국은 이에 동조하지 않고 프레스토 투자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향후 5년 안에 모든 역에 프레스토 관련 설비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163]

2013년 기준으로 프레스토 카드를 사용하면 2.65USD에 이용할 수 있었다.[162]

5. 5. 환승

토론토 교통국의 환승은 크게 2시간 환승과 편도 연속 환승 두 가지로 나뉜다.

  • 2시간 환승: 프레스토 카드, 프레스토 티켓, 직불카드, 신용카드, 전자지갑으로 요금을 낸 경우, 처음 사용 시점부터 2시간 동안 무료로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296] 이는 토론토 교통국뿐 아니라 광역 토론토 지역의 다른 대중교통에도 적용된다. GO 트랜싯 버스나 통근열차로 환승하면 GO 요금에서 TTC 요금이 차감된다.[297] 이를 이용해 토론토 시내에서 GO 트랜싯 통근열차를 타고 TTC로 다시 환승하면 GO 트랜싯 요금만 내면 된다.[298]
  • 편도 연속 환승: 현금, 티켓, 토큰으로 요금을 낸 경우, 지하철역, 전차 내 환승 발권기, 버스 기사에게서 종이 환승표를 받는다. 이 환승표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동안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지 않는 한) 토론토 시내 TTC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미시소가의 마이웨이나 요크 지방자치구의 요크 지역 교통국 등은 TTC 환승표를 받지 않으므로 별도 요금을 내야 한다. 토론토에서 미시소거나 요크 지역으로 가는 버스에서 현금, 티켓, 토큰으로 요금을 낸 경우, 마이웨이나 YRT 요금을 추가로 내야 3구역 종이 환승표를 받아 마이웨이나 YRT로 환승할 수 있다.[296]


주 교통부의 비접촉식 IC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인 "PRESTO"는 2007년부터 유니언 역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2010년부터는 돈밀스 역, 다운즈뷰 역, 핀치 역, 이즐링턴 역에서도 운영 중이다. 요크 지역 교통국이나 GO 트랜싯은 PRESTO만 사용하는 역이 있지만, 토론토 교통국은 PRESTO 투자에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향후 5년 안에 모든 역에 PRESTO 설비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163]

2011년 말까지 위조 토큰, 패스를 감지하는 신형 요금함을 지하철, 버스, 노면전차에 설치하려 했다. 이 시스템으로 연간 100만달러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발표했다. 설치에는 5300만달러가 소요되며, 예산 확보에 최소 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새 요금함은 PRESTO 판독기가 없어 임시방편이며, 개조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현재 일부 버스 노선에서 시험 운영 중이다.[164]

5. 6. 할인 제도

토론토 교통국(TTC)은 아동, 청소년, 노인 외에도 다양한 할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요금은 현금, 티켓(학생 및 노인용), 토큰(편도용)으로 지불하거나, 사전 구매한 패스(월간, 주간, 1일)를 이용할 수 있다. 2010년 기준 성인 요금은 편도 3캐나다 달러이었으며, 토큰 가격은 지속적으로 인상되었다.[157][158]

1990년 이후 TTC 요금은 인플레이션보다 빠르게 상승했다.[159][160] 2013년 기준 요금은 아래 표와 같다.

2013년 기준 요금표 [161][162]
요금 종류성인학생·노인어린이
현금 (편도)3캐나다 달러2캐나다 달러0.75CAD
토큰·티켓토큰 3장 7.95CAD
7장 18.55CAD
학생·노인 티켓 5장 9캐나다 달러
10장 18캐나다 달러
어린이 티켓 10장 6캐나다 달러
메트로패스(1개월)128.5캐나다 달러106캐나다 달러해당 없음
메트로패스 할인 플랜117.75CAD95.75CAD해당 없음
위클리패스(1주일)38.5캐나다 달러30.5캐나다 달러해당 없음
다운타운 익스프레스
(급행)
※일반 요금에 추가
현금 2.65CAD
토큰
급행권
현금 1.8캐나다 달러
학생·노인 티켓
급행권
현금 0.6캐나다 달러
어린이 티켓
급행권
데이패스(1일권)10.75CAD
GTA 위클리패스55캐나다 달러
고등교육 학생용 메트로패스106캐나다 달러
프레스토(PRESTO) 사용 시2.65CAD



환승은 편도 구간에 한해 무료이며, 환승 티켓은 요금 지불 장소에서 받아야 한다.[161]

온타리오주 교통부는 PRESTO라는 새로운 비접촉식 IC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을 도입했다. 2007년 유니언 역에서 운영을 시작했으며,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163] TTC는 위조 토큰 및 패스 감지를 위한 신형 요금함을 설치할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164]

이 외에도 저소득층, 대학생, 동반 보호자, 시각장애인을 위한 할인 제도가 있다.

5. 6. 1. 저소득층

토론토시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64세 이하 저소득층 주민은 토론토시의 대중교통 할인 정책인 페어패스(Fair Pass)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페어패스로 요금을 지불할 경우 일회권 요금은 36% 할인되고, 1개월 정기권 요금은 21% 할인된다.[299]

페어패스에 지원하려면 소득 증명과 주소 증명이 필요하다. 소득 증명으로는 온타리오주의 저소득층 수당인 온타리오 웍스(Ontario Works) 수당, 장애인보조수당인 온타리오장애보조프로그램(ODSP), 토론토시 아동복지과의 육아수당을 받는다는 증명이나, 캐나다 국세청의 세금 신고서, 서비스 캐나다에서 발행하는 실업수당 영수증, 캐나다연금계획(CPP)에서 발행하는 연금 영수증 또는 그 외에 월급명세서나 소득을 증명할 수 있는 다른 서류를 지참하면 된다. 또한 위 영수증에 본인 주소가 나와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소 증명을 위해 온타리오주 운전면허증, 온타리오주 신분증, 은행 잔액증명서, 공과금 고지서, 임차계약서, 아동수당 영수증, 모기지 납부 영수증이나 주택보유세 고지서 중 하나를 지참하면 된다. 페어패스는 토론토시 홈페이지나 팩스를 통해 접수할 수 있다.[299]

5. 6. 2. 대학생

토론토 대학생은 1개월권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통국에서 발행하는 대학생 신분증이 필요한데, 배서스트역에 있는 토론토 교통국 신분증 센터나 학교 캠퍼스에서 가을 학기 개강 전후로 신분증 사진을 찍을 수 있다.[300] 신분증을 발급받으려면 토론토 시내에 있는 온타리오주에서 공인한 공립 또는 사립 대학 재학 증명서, 정부 발행 신분증 또는 학교 학생증이 필요하다. TTC 신분증 발급 수수료는 배서스트역에서는 5.25CAD, 학교 캠퍼스에서는 7CAD이다.[300]

배서스트역 신분증 센터는 평일 오후 3시부터 7시,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2시까지 운영하며 일요일에는 휴무한다.[301] TTC 신분증을 발급받은 대학생은 쇼퍼스 드러그 마트 지점이나 데이비스빌역의 토론토 교통국 고객센터에서 신분증을 제시하고 대학생 1개월권을 구매할 수 있다.[302] 대학생 1개월권은 128.15CAD로, 성인 요금보다 약 17% 저렴하다.[285] 대학생 전용 프레스토 카드는 다음 해 10월 31일에 만료되며, 매년 신분증을 갱신해야 한다.[303]

5. 6. 3. 동반 보호자

토론토 교통국의 휠트랜스 보조교통을 이용할 때 동반 보호자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호자가 무료로 시승할 수 있다. 동반 보호자가 필요한 경우 본인이 배서스트역 신분증 센터나 데이비스빌역에 위치한 토론토 교통국 고객센터에 직접 방문하거나, 토론토 교통국 본부로 우편을 보내 보호자 전용 신분증과 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교통국 신분증은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다.[304]

5. 6. 4. 시각장애인

토론토에 거주하는 시각장애인은 캐나다국립시각장애인협회(CNIB)를 통해 발급받는 교통카드를 이용해 토론토 교통국 내 대중교통을 무료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CNIB에 찾아가 협회에서 시각장애인들에게 발급하는 신분증을 제시하면 교통카드를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다. 교통카드는 1년 동안 유효하다.[305]

6. 차량



토론토 교통국(TTC)의 버스 운행은 1960년대 이전에는 노면전차에 비해 작은 역할을 했지만, 현재는 TTC 운영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1921년 노면 전차 서비스가 없는 지역에 버스 운행을 시작했고, 1947년부터는 트롤리버스도 여러 노선에 도입했다. 그러나 1991년과 1993년 사이에 모든 트롤리버스 노선은 일반 버스로 전환되었다.

TTC는 지속적으로 버스를 현대화하고 있다. 구형 버스를 저상형 오리온 VII로 교체했으며, 2006년에는 하이브리드 버스를 도입하기 시작했다.[16] 2008년에는 500대의 오리온 VII 차세대 하이브리드 버스를 추가 도입하여,[17][18] 하이브리드 버스 보유 대수로는 뉴욕에 이어 북미에서 두 번째가 되었다.[19]

2023년 현재, TTC는 총 2,031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뉴욕시의 메트로폴리탄 교통국(5,600대 이상)과 로스앤젤레스 군 메트로폴리탄 교통국(2,911대)에 이어 북미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이다.

TTC는 신체 장애인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인 휠-트랜스를 운영하며,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고 이동성이 제한된 승객의 승하차를 돕는 특수 저상 버스를 사용한다.

2013년에는 굴절버스가 도입되었고, 2015년 1월에는 153대의 노바 LFS 아틱 굴절버스를 도입했다.[20][21] 18m 길이의 이 버스는 12m 길이의 일반 버스보다 많은 승객(약 112명)을 수용할 수 있다.[22]

6. 1. 지하철



토론토 지하철 시스템은 세 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 1호선 영-유니버시티 : 캐나다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23] 1954년에 개통되었고 2017년에 마지막으로 연장된, 대부분 남북 방향의 U자형 노선이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1966년에 개통되었고 1980년에 마지막으로 연장된 동서 방향 노선이다.
  • 4호선 셰퍼드 : 2002년에 개통된 동서 방향 노선이다.


1985년부터 2023년까지 3호선 스캐버러는 부분적으로 고가로 운행되는 경전철 노선으로 스캐버러 지역을 운행했다.

세 개의 지하철 노선에는 총 678량의 차량이 운행되며, 4호선 셰퍼드선은 4량 1편성, 1호선 영-유니버시티선과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은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세 노선은 비수익 구간 연결을 공유하고 동일한 기술을 사용한다. 사용 중인 차량은 1호선과 4호선에는 토론토 로켓 열차, 2호선에는 T 시리즈 열차가 있다.

S 시리즈 차량은 다른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아 궤도 연결이나 장비를 공유하지 않았다. S 시리즈 열차에 대한 중요한 정비 작업 수행의 어려움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3호선 스캐버러선 서비스는 2023년 7월 24일 탈선 사고로 인해 영구 폐쇄되었다. 최소 2030년까지 셰퍼드와 매코완까지 2호선 스캐버러 지하철 연장선이 개통될 때까지 해당 노선은 TTC 버스 서비스로 대체된다.[24]

모든 지하철 노선은 일주일 내내 오전 5시 45분부터 다음 날 오전 1시 30분까지 운행한다 (각 방향의 마지막 열차는 오전 1시 45분경 운행). 단, 일요일에는 운행 시작 시간이 오전 8시로 지연된다. 야간에는 지하철과 역이 폐쇄되어 선로 및 역 자체의 정비 작업이 이루어진다. 야간에는 지상에서 운행하는 버스와 노면 전차가 운행된다. 이러한 야간 노선에는 300번대 번호가 부여되며, 파란색 띠가 추가된 일반적인 TTC 버스 정류장 표지판으로 표시되는 블루 나이트 네트워크 노선이라고 한다.

2013년, 토론토 교통국(TTC)은 대부분의 지하철 노선에 그룹 역 관리자를 배치했으며, 1호선 보건(Vaughan) 연장선 개통에 따라 추가 관리자를 고용했다.[119]

  • 1호선 영-유니버시티선 및 4호선 셰퍼드선
  • * 1호선과 4호선의 핀치역에서 세인트 클레어역까지
  • * 세인트 앤드류역에서 서머힐역까지
  • * 요크데일역에서 오스구드역까지
  • * 보건 메트로폴리탄 센터역에서 윌슨역까지
  •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 및 (구) 3호선 스캐버러선
  • * 2호선과 3호선(2023년 7월 3호선 폐쇄 전까지)의 브로드뷰역에서 케네디역까지
  • * 캐슬 프랭크역에서 스패다이나역까지
  • * 배서스트역에서 킵링역까지


TTC 노동조합 조합원들은 1952년 이후 여러 차례 파업을 벌였다. 2011년 3월 30일, 롭 포드 시장과 토론토 시의회의 요청에 따라 온타리오 주는 법률을 제정하여 TTC를 필수 서비스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직원들의 파업권을 박탈했다.[120] 2023년 5월 8일, 온타리오 고등법원 판사는 TTC가 "필수 서비스"의 사법적 정의를 충족하지 못했고 따라서 파업 제한은 위헌이라는 이유로 이러한 지정을 뒤집었다.[121]

6. 1. 1. T1

T1 전동차는 토론토 교통국이 1992년에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 생산을 주문하여 1995년부터 2001년 사이에 도입한 전동차이다. 이전 H시리즈와 많은 기술적 사양을 공유했으며, 동일한 차량 연결 구성을 채택하고 H시리즈의 디자인 발전 요소를 적극 반영하였다.[306] H시리즈는 각 모델마다 가감속 단일 핸들 컨트롤러, 에어컨, 캠축에서 초퍼 제어로 변경, 재생 브레이크 등의 기능을 추가하며 개선되었다. T1은 회전형에서 전후 방향 조이스틱형 컨트롤러로 변경하는 등 이러한 발전을 따르면서 뉴욕 지하철의 새로운 컴퓨터 기술을 접목해 더욱 현대적인 열차가 되었다. T시리즈 차량은 이전의 모든 차량이 사용하던 직류 추진 대신 교류 추진을 사용한 최초의 전동차였으며, 이전 차량은 현재 모두 폐차되었다. 다른 개선 사항으로는 더 넓은 출입구, 휠체어 승객 이용 시 기존 좌석을 위로 올릴 수 있는 기능, 차량 중앙선을 따라 있던 수직 지지대 제거 등이 있어 휠체어 승객의 이용 편의를 높였다.[306]

키플링역에 정차 중인 T1 차량

6. 1. 2. 토론토 로켓

토론토 로켓(Toronto Rocket)은 토론토 지하철의 5세대 최신 전동차로, 2017년에 1호선 영-유니버시티가 본으로 연장하면서 기존에 남아있던 H시리즈 전동차를 교체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2011년 7월에 1호선에 처음 도입되었고 2016년 5월에는 4호선에도 도입되었다. TR은 봄바디어 모비아 시리즈의 새로운 디자인을 반영하였고, 북미에서 처음으로 차량 사이에 출입문 없이 뻥 뚫려있는 개방형 차량으로 차량간 이동을 자유롭게 하였다.[307] 이 차량은 또한 토론토 지하철에서 통신기반열차제어(CBTC) 신호 체계와 호환이 가능한 유일한 전동차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1호선의 신호 체계가 기존 블록 제어형 신호에서 CBTC로 개선되었고, 신호 자동화에 따라 기존 2인 승무에서 1인 승무로 바뀌었다. 휠체어, 전동 스쿠터, 자전거, 유모차를 위한 교통약자 지정석이 두 배로 늘었고, 다음 정차역을 알리는 전광판과 LED 노선도 또한 추가되었다.[307]

로즈데일역에 정차 중인 토론토 로켓 차량


6. 2. 전차

토론토의 노면전차(streetcar)는 북미에서도 몇 안 되는 현존하는 노면전차 중 하나이며, 11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어 북미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1861년부터 마차를 이용한 운행을 시작했으며, 전력을 이용한 운행은 1892년부터 시작되었다. 모든 노선에서 가공 전차선 방식의 직류 600V를 사용한다. 노면전차는 현재 시가지 중심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1940년대부터 다른 지역은 버스 등 다른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1995년까지 토론토 교통국(TTC)은 765대의 PCC형 트램을 운영했으며, 그중 540대는 새로 구입한 것이었다. 나머지는 다른 도시들이 PCC 트램 차량을 매각하면서 구입한 것이다.

1987년 9월부터 2019년까지 토론토 교통국(TTC)은 CLRV 트램의 더 긴 버전인 2량짜리 ALRV 트램을 운영했다.

2019년 12월 29일 토론토 교통국(TTC)의 CLRV 트램이 퇴역한 후, 토론토 교통국(TTC)의 모든 트램 차량은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Bombardier Transportation)의 저상식 플렉시티 아웃룩 차량으로 구성되며, 그중 첫 번째 차량은 2014년 8월 31일 510번 스파다이나 노선(510 Spadina)에서 운행을 시작했다.[35]

킹 스트리트를 따라 운행 중인 플렉시티 아웃룩


토론토의 모든 전차는 2014년 8월부터 2019년 12월 사이에 도입된 플렉시티 아웃룩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존에 쓰였던 캐나다경전철차량(Canadian Light Rail Vehicle)과 굴절 전차인 굴절경전철차량(Articulated Light Rail Vehicle)은 2019년 12월에 운행을 중단하였다. 플렉시티 아웃룩은 휠체어나 유모차 등이 이용할 수 있는 토론토의 첫 저상 전차로, 장애인, 노약자, 유아 동반 승객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출입문은 총 네 개이고 에어컨이 장착되어있으며, 차량 내부에는 총 70석이 있고, 자전거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다. 차량 안에는 또한 TTC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자판기와 프레스토 카드 단말기가 마련되어있다. 이 자판기로 토론토의 모든 전차는 기관사에게 요금을 내는 대신 검표원의 요구에 따라 요금을 냈다는 증명을 제시하는 것으로 요금 제도가 바뀌었다. 현재 지어지고 있는 5호선 에글린턴도 비슷한 전동차를 사용하는데, 궤간과 회차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상호 호환이 불가능하다.[308]

노면전차이지만, 3개 노선(510 Spadina 노선, 509 Harbourfront 노선, 512 St. Clair 노선)은 전용 궤도 구간이 있어 경전철(LRT)에 가까운 노선이 된다. 지하철 환승역인 유니언 역, 스파다이나 역, 세인트 클레어 웨스트 역과 퀸스키 역은 지하역이다.

6. 3. 버스

토론토 교통국(TTC)의 버스 운행은 1960년대 이전에는 노면 전차에 비해 작은 역할을 했지만, 현재는 TTC 운영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1921년 노면 전차 서비스가 없는 지역에 버스 운행을 시작했고, 1947년부터는 트롤리버스도 여러 노선에 도입했다. 그러나 1991년과 1993년 사이에 모든 트롤리버스 노선은 일반 버스로 전환되었다.

TTC는 지속적으로 버스를 현대화하고 있다. 구형 버스를 저상형 오리온 VII로 교체했으며, 2006년에는 하이브리드 버스를 도입하기 시작했다.[16] 2008년에는 500대의 오리온 VII 차세대 하이브리드 버스를 추가 도입하여,[17][18] 하이브리드 버스 보유 대수로는 뉴욕시에 이어 북미에서 두 번째가 되었다.[19]

2023년 현재, TTC는 총 2,031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뉴욕시의 메트로폴리탄 교통국(5,600대 이상)과 로스앤젤레스 군 메트로폴리탄 교통국(2,911대)에 이어 북미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이다.

또한, TTC는 신체 장애인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인 휠-트랜스를 운영한다. 휠-트랜스는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고 이동성이 제한된 승객의 승하차를 돕는 특수 저상 버스를 사용한다.

2013년에는 굴절버스가 도입되었고, 2015년 1월에는 153대의 노바 LFS 아틱 굴절버스를 도입했다.[20][21] 18m 길이의 이 버스는 12m 길이의 일반 버스보다 많은 승객(약 112명)을 수용할 수 있다.[22]

6. 3. 1. 디젤버스

토론토의 시내버스는 디젤 저상버스, 굴절버스, 하이브리드 버스, 전기 버스 등 네 종류로 나뉜다. 디젤 저상버스는 1999년 뉴플라이어의 D40LF 기종으로 시작하여 2016년에 운행을 중단하였다.[310] 이후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오리온에서 제작한 오리온 VII 저상버스와 2015년부터 2018년에 노바버스에서 제작한 노바 LFS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309]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오리온 VII 220대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2005년에는 250대가 추가되었다.[311][312] 2006년과 2007년에는 UWE 난방이 제거된 180대를, 2010년과 2012년 사이에는 하이브리드 대신 일반 디젤 버스를 주문하였다.[313]

2013년에 굴절버스가 도입되었고, 2015년과 2016년 사이에는 12m 길이의 LFS 디젤버스 213대 이상을, 2017년과 2018년 사이에는 오리온 VII 버스를 교체하기 위해 382대를 추가로 구매하였다. 2018년에 주문한 270대에는 차량 외부 CCTV와 버스 내부 USB 단자가 설치되었다.[312][314]

6. 3. 2. 굴절버스

토론토 교통국에 굴절버스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82년으로 제너럴 모터스 버스가 1982년부터 1987년까지 운행하였고, 이후 오리온 이카루스 버스가 1987년부터 2003년까지 운행하였다.[315] 현재 토론토에서 운행하는 굴절버스는 2013년에 노바버스에서 제작한 3세대 굴절버스로, 길이 18m의 이 버스는 12m 버스보다 승객을 45% 더 많이 실어나를 수 있다.[316] 버스에는 휠체어 전용석 2개와 교통약자 지정석 9석이 있다. 굴절버스는 문이 3개 있으며, LED 조명과 자동 냉난방 시설을 갖추고 있다. '친환경 디젤' 엔진은 전기 엔진 제어와 배기처리시설을 통해 엔진 배기량을 줄이도록 설계되었다.[317] 2017년 4월 말, 토론토 교통국은 노바버스의 굴절버스 한 대가 급발진하면서 노바버스에서 도입한 모든 굴절버스의 운행을 중단하였는데, 이후 노바버스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도입해 급발진 문제를 해결하였다.[318]

29A번 더퍼린 버스로 운행 중인 2014년에 도입된 노바버스 LFS 알틱 버스

6. 3. 3. 하이브리드버스

TTC가 운행하는 하이브리드 버스는 두 가지 기종이 있다. 하나는 오리온이 2006년부터 2009년 사이에 제작한 오리온 VII이고, 다른 하나는 노바버스가 2018년과 2019년 사이에 제작한 LFS 하이브리드이다.[309] 오리온 VII 하이브리드버스는 휠체어 램프가 장착된 저상버스로, 디젤버스에 비해 연료 절감 효과가 10%에서 30% 가량 예상되었다.[319] 하지만 실제로는 연료 절감 효과가 10%에 불과했으며, 배터리 문제로 18개월에 한 번씩 교체해야 했다. 또한 하이브리드버스는 700000USD로 디젤 버스보다 200000USD 더 비쌌다.[320]

노바버스의 LFS 하이브리드는 디젤 발전기가 버스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일반 전기버스와는 다르게 배터리를 밤사이에 충전하지 않는다. 이 하이브리드버스는 디젤버스에 비해 25%의 연료 절감 효과가 있으며, 내리막길이나 제동 시에 생산된 에너지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된다.[321] 버스는 온보드 배터리로부터 유도되는 전기 모터로 돌아가며, 출입문, 냉난방, 파워스티어링 등은 전기로 구동한다.[322] 2022년 2월, TTC는 노바버스와 뉴플라이어에서 하이브리드 버스를 총 336대 주문하였고, 이는 2023년과 2024년 사이에 순차적으로 도입되고 있다.[323]

6. 3. 4. 전기버스

토론토 교통국(TTC)은 2040년까지 모든 버스를 무공해 버스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24] 이를 위해 2018년부터 전기버스 시범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9년 4월에 첫 전기버스가 도입되었다.[324][325]

6번 베이 노선을 운행하는 2019년에 도입된 프로테라의 전기버스


현재 운행 중인 전기버스는 리튬 이온 전지로 구동되며, 3시간 정도면 완전히 충전된다.[325] 한 번 충전으로 약 200km를 주행할 수 있지만, 추운 날씨에는 난방 때문에 주행 거리가 30~50% 감소한다.[325] 전기버스는 디젤버스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49.2톤 줄이고, 연료비를 56000USD 절감할 수 있다.[325] 또한 운행 시 15~20%, 정차 시 85% 더 조용하다.[325]

2023년 4월, 버치마운트 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을 위한 오버헤드 급속 충전기 10대가 설치되었다.[326] 이 충전기는 팬터그래프를 사용하여 버스 지붕의 수신기와 접촉하며, 기존 플러그인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공간을 덜 차지한다.[326]

2023년 4월 말, 연방정부와 토론토시는 기존 버스를 전기버스로 교체하기 위해 7억캐나다 달러 (연방정부 3.49억캐나다 달러, 시 3.51억캐나다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327] 이 자금으로 무공해 버스 340대, 버스 충전기 248기를 구입하고, 8개 차고지의 전기버스 인프라를 확충할 예정이다.[327]

6. 4. 보조교통

토론토 교통국의 보조교통인 휠트랜스 차량


장애인, 노약자 및 기타 교통약자를 위해 운행하는 휠트랜스는 버스, 미니밴, 세단 택시로 운행한다. 2024년 2월 기준, 토론토 교통국은 다음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309]

  • 아메리칸 버스 프로덕트 제작 8인승 프랜들리 버스 (2008년~2012년 제작): 20대
  • 크리에이티브 캐리지 제작 6인승 프로마스터 (2017년~2021년 제작): 147대
  • ARBOC와 크리에이티브 캐리지 제작 7인승 프로마스터 플러스 (2019년~2022년 제작): 121대


TTC는 신체 장애인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인 휠-트랜스를 운영하며, 휠체어를 수용하고 이동성이 제한된 보행 고객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 특수 저상 버스를 사용한다.

7. 거버넌스

토론토 교통국(TTC)은 토론토 시의 기관으로, 시의원과 시민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통해 토론토 시의회에 책임을 진다.[92] 1954년 제정된 「토론토 대도시 자치구법」(Municipality of Metropolitan Toronto Act)[93]에 따라 토론토 교통위원회에서 현재의 TTC로 출범하였다.[94] 2006년 「토론토 시 법」(City of Toronto Act)이 개정되면서 TTC는 개정된 법률에 따라 계속 운영되고 있다.[95][92]

토론토 시 조례 제279조는 TTC에 대한 추가적인 재정 및 정책 요건과 TTC 이사회 요건을 규정한다.[96] TTC 자체 조례 제1호는 시스템 사용을 규제하며, 2009년에 최종 개정되었다.[80]

7. 1. 이사회

토론토 교통국은 2006년 토론토시법(City of Toronto Act, 2006)에 따라 토론토 시의회 산하에 설치된 공공 법인이다. 이 법은 교통국에 독점 권한을 부여하고 특정 권한과 행정 사항을 규정한다.[328]

TTC 이사회는 시의원과 일반 시민 10명으로 구성된다. 이사회는 매년 균형 예산을 제출하고, 시의회는 운영 보조금을 승인한다. 요금과 배차 간격은 이사회가 결정한다.[328] 이사회 회의는 매달 열리며, 모든 이사회 의원은 시의회 산하 위원회에서 활동한다. 시의원 위원은 시의회 추천으로, 시민 위원은 공공 임명 절차를 거쳐 임명된다. TTC 위원장은 시의회 투표로, 부위원장은 이사회 투표로 선출된다.[329]

이사회 내에는 감사 및 위험관리위원회가 있다. 위원 3명은 이사회 임원 중에서 선출되며, 분기별 회의를 통해 재무, 위험 관리, 내부 통제, 감사, 법규 준수를 감독한다.[330] 인사위원회는 이사회 위원 중 2명을 선출하여 노동 관계, 인사, 보건 및 안전, 보상 관련 의무 이행을 돕고, CEO 성과 평가를 담당한다.[331]

토론토 시는 TTC의 권한과 구조에 대한 완전한 권한을 가진다. TTC는 이사회와 의장을 통해 토론토 시의회에 책임을 진다.[92] 1954년 제정된 「토론토 대도시 자치구법」[93]에 따라 TTC가 출범했으며,[94] 2006년 「토론토 시 법」 개정에 따라 계속 운영되고 있다.[95][92] 토론토 시 조례 제279조는 TTC 이사회 요건 등 추가적인 재정 및 정책 요건을 명시한다.[96] TTC 자체 조례 제1호는 시스템 사용을 규제하며, 2009년에 최종 개정되었다.[80]

TTC 이사회는 토론토 시의원 6명과 시민 4명으로 구성된다.[97] 시민 이사는 시민 임명 위원회를 통해 임명된다.[98] 토론토 시장이 TTC 의장을 임명하며, 현재 의장은 자말 마이어스(Jamaal Myers)이다. 의장은 시의원이어야 하며, 이사회는 부의장을 선출한다.[92]

TTC 의장 목록
의장재임 시작재임 종료
필립 W. 엘리스(Philip W. Ellis)19211929
프레더릭 L. 허바드[99]19291930
윌리엄 C. 맥브라이언(William C. McBrien)[100]19311932
S.J. 맥마스터(S.J. McMaster)19321933
윌리엄 C. 맥브라이언(William C. McBrien)19331954
윌리엄 G. 러셀(William G. Russell)19541955
앨런 A. 램포트[101]19551959
찰스 A. 월턴[102]1959년 1월 3일1960년
클라렌스 C. 다우니[103][104]19601963
랄프 C. 데이[105]1963년 2월 12일1972년 6월 27일
프랭클린 I. 영(Franklin I. Young)[102]1972년 7월 5일1973년 5월 28일
칼 L. 말레트(Karl L. Mallette)[106]1973년 8월 14일1975년 1월 21일
G. 고든 허럴버트(G. Gordon Hurlburt)[107]1975년 1월 21일1979년 3월 31일
줄리안 포터(Julian Porter)1979년 5월 15일1987년
제프리 S. 라이언스(Jeffrey S. Lyons)[108]19871989
로이스 그리핀[109][110]19891991
마이클 콜(Michael Colle)19911994
폴 크리스티19941998
하워드 모스코(Howard Moscoe)19982000
브라이언 애쉬턴20002002
베티 디세로(Betty Disero)20022003
하워드 모스코(Howard Moscoe)20032006
아담 지암브론(Adam Giambrone)[111]2006년 12월 1일2010년 12월 1일
캐런 스틴츠(Karen Stintz)[112]2010년 12월 1일2014년 2월 19일
마리아 아우지메리(Maria Augimeri)2014년 2월 19일2014년 11월 30일
조시 콜(Josh Colle)[113]2014년 12월 1일2018년 12월 13일
제이 로빈슨(Jaye Robinson)2018년 12월 13일2022년 11월 24일
존 번사이드(Jon Burnside)[114]2022년 11월 24일2023년 8월 8일
자말 마이어스(Jamaal Myers)2023년 8월 8일현직


7. 2. 예산

2024년 기준 토론토 교통국의 운영 예산은 총 지출 25.68억캐나다 달러, 수입 13.37억캐나다 달러로, 12.31억캐나다 달러의 보전 재원이 필요하다. 이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이다.[332] 총 지출의 94%는 일반 대중교통에, 6%는 휠트랜스 보조교통에 사용된다. 수입의 48%는 토론토시 지원금, 39%는 승객 요금, 7%는 온타리오주 임시 지원금(뉴딜 정부지원금), 3%는 예비비, 나머지 3%는 기타 보조 수입으로 충당한다.[333]

토론토 교통국은 2024년부터 2038년까지 15개년 자본투자계획을 수립하여 총 478.55억캐나다 달러의 자본이 필요한 상태이다.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123.977억캐나다 달러가 필요하며, 이 중 64%는 지하철, 14%는 버스, 11%는 노면전차, 5%는 교통국 시설, 6%는 모든 교통 수단에 사용될 예정이다.[332] 2038년까지 15개년 계획에는 총 478.55억캐나다 달러가 필요하며, 이 중 58%는 지하철, 18%는 버스, 11%는 토론토시의 기후변화대비계획(트랜스폼TO), 노면전차와 시설이 각각 5%, 나머지 3%는 모든 교통 수단에 사용될 예정이다. 총 478억캐나다 달러 중 정부 지원 확정액은 123억캐나다 달러에 불과하며, 354억캐나다 달러는 미확보 상태이다.[332] 지원 확정된 123억캐나다 달러 중 64.8%는 토론토시, 11.6%는 온타리오주, 21.2%는 캐나다 연방 정부, 2.4%는 기타 재원으로 충당되어 주 정부와 연방 정부의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332]

1921년 설립 이후 1971년까지 토론토 교통국은 자체적으로 운영 및 자본 조달을 했다. 세계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상당한 준비금을 축적하여 전후 지하철 확장과 교외 지역 버스 서비스 확장을 가능하게 했다. 1971년부터 메트로 토론토 정부와 온타리오주가 운영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교외 지역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비용 상승과 높은 임금 인상 때문이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적자와 정부 지원이 급증했고, 1990년대 경기 침체로 서비스 감축과 이용객 감소가 발생했다.

1997년, 마이크 해리스 주지사의 온타리오 진보보수당 정부는 '상식혁명'을 통해 에글린턴 웨스트 노선에 대한 주 정부 재정 지원 4200만캐나다 달러 삭감, 시 대중교통 지원금 7.18억캐나다 달러 삭감으로 TTC는 연간 9580만캐나다 달러의 자금 부족에 직면했다.[7] 1996년 서비스 축소 이후 지속적인 재정난을 겪었으나, 2007년 토론토 시의회의 새로운 세금 도입으로 서비스 감축은 막을 수 있었다. 2011년부터 TTC는 주 정부 지원 없이 운영되는 북미 최대 대중교통 운영업체가 되었다.[8] 2009년부터 자본 프로젝트에 대한 연방 정부 지원을 받았으며,[9] 북미에서 요금 대비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대중교통 시스템 중 하나로 꼽힌다.[10] 2011년 운영 예산은 14.5억캐나다 달러였으며, 요금 수입이 70%, 시 지원금이 30%를 차지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주 및 연방 정부 지원은 없었다.[11] 몬트리올 교통공사는 운영 예산의 약 10%,[12] OC 트랜스포는 9%를 주 정부로부터 지원받고 있어[13]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14]

2020년 8월, 온타리오주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승객 감소와 수입 감소 보상을 위해 TTC 운영에 4.04억캐나다 달러를 지원하고 추가 지원을 약속했다. TTC는 2020년 7억캐나다 달러의 자금 부족을 예상했다.[15]

7. 3. 산하기관

토론토 교통국 산하 부서는 다음과 같다.[334]

부서명설명
일반교통부토론토시 내외 승객을 위한 지하철, 노면전차,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을 운행한다.
일반교통 차량 정비부차량 및 장비 수리, 예방 정비를 통해 일반 대중교통 운영을 지원하고 안전 관련 법규를 준수한다.
일반교통 연료 및 에너지 관리부일반 대중교통 차량에 연료와 에너지를 공급한다.
일반교통 인프라 및 시설부대중교통 운행에 필요한 보안, 건물, 시설 등을 유지 보수한다.
일반교통 관리부일반 대중교통 운영 전반을 통합 관리하고 지원한다.
휠트랜스부장애인 및 교통약자를 위한 접근성 높은 교통수단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행한다.
휠트랜스 차량 정비부휠트랜스 차량 및 장비 수리, 예방 정비를 통해 휠트랜스 운영을 지원하고 안전 관련 법규를 준수한다.
휠트랜스 연료 및 에너지 관리부휠트랜스 차량에 연료와 에너지를 공급한다.
휠트랜스 관리부휠트랜스 운영 전반을 통합 관리하고 지원한다.


7. 4. 정부 관계

토론토 교통국(TTC)은 지방자치단체의 법적 지위가 약하기 때문에 주정부에 정치적으로 의존하며, 주요 사업에는 연방정부의 자금 지원도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는 주정부가 만든 기관으로, 주정부는 지자체의 권한과 의무를 규정하고, 정치에 직접 개입하거나, 심지어 지자체를 폐지할 권한도 가진다.[335] 연방정부는 주정부가 승인하면 지자체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데, 보통 주정부 예산 부족으로 연방 지원금을 거절하는 경우는 드물다.[335]

2024년 기준, TTC의 총 연간 예산은 26억캐나다 달러이고, 연 수입은 13.37억캐나다 달러이다. 승객 요금 및 기타 수입은 42%를 차지하며, 나머지 56%는 정부 지원금으로 충당한다.[335] 특히 지하철 확장과 같은 주요 사업은 토론토시 도시개발계획에 반영되어야 하고, 온타리오주의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토론토시, 온타리오주, 캐나다 연방 정부의 지원금을 받아 건설된다. 도시철도 건설에는 상당한 예산이 필요하므로 세 단계 정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토론토시는 1998년 통합시로, 시내와 외곽 지역의 정치적 요구를 모두 수렴해야 대중교통 사업이 추진될 수 있다. 다운타운 릴리프선이나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 등은 지역 간 이해관계가 상충되어 첨예한 대립을 야기할 수 있다.[335]

2006년 온타리오주는 GO 트랜싯 운영과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 교통수단 조율을 위해 메트로링스를 설립하였다.[335] 메트로링스의 주요 사업은 25개년 광역교통계획인 '빅 무브'(Big Move)로, 5호선 에글린턴 건설, 유니언역 리모델링, 유니언 피어슨 급행 등에 투자하였다.[335] 그러나 메트로링스는 자체 세금 징수 권한이 없고, 지자체간 대중교통 조율은 여전히 미흡하다.[335] 연방 정부의 지원도 일회성이 대부분이어서 정기적인 지원을 위한 영구자금조달 수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335]

토론토 시는 TTC의 권한과 구조에 대한 완전한 권한을 가진다. TTC는 시의원과 시민들로 구성된 이사회와 의장을 통해 토론토 시의회에 책임을 진다.[92] 1954년 「토론토 대도시 자치구법」[93]에 따라 토론토 교통위원회에서 TTC가 출범했다.[94] 2006년 「토론토 시 법」[95] 개정 후에도 TTC는 계속 운영되고 있다.[92] 토론토 시 조례 제279조는 TTC에 대한 추가 요건과 이사회 요건을 규정한다.[96] TTC 조례 제1호는 시스템 사용을 규제하며, 2009년에 개정되었다.[80]

8. 안전

토론토 교통 시스템은 대체로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1954년 이후 여러 사고가 발생했다.


  • 1963년 3월 27일, 유니온역 근처 인입선에서 지하철 차량 6량이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승객들은 모두 무사히 대피했다.[183]
  • 1975년 12월 12일, 워든역 동쪽 워든가 건널목에서 버스와 GO 트랜짓 전철이 충돌하여 9명이 사망하고 2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이는 토론토 교통국과 GO 트랜짓 역사상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사고로, 이 건널목은 이후 입체 교차로로 개선되었다.
  • 1976년 10월 15일, 크리스티역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하여 차량이 전소되고 역 시설이 심각한 피해를 보았다. 이 사건으로 크리스티역을 포함한 구간이 이틀 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184][185]
  • 1995년 8월 11일, 러셀힐 지하철 사고로 3명이 사망하고 3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이 사고는 신호 시스템 결함으로 발생했다.
  • 1995년 후반, 빅토리아파크역에서 역무원이 강도에 의해 살해당했다. 범인은 다른 2건의 살인 사건으로 체포된 에이드리언 킨키드로, 현재 무기징역을 복역 중이다.[186]
  • 1997년 9월 27일, 던다스역에서 23세 여성이 선로에 밀려 사망했다. 범인은 허버트 찬으로,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고 15년간 복역 중이다.[187]
  • 1999년 1월 2일부터 4일까지 강한 눈보라가 온타리오주 중심부와 미국 동부 해안을 강타하여 교통 시스템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교통국은 새로운 폭설 시 운행 정책을 제정하게 되었다.[188]
  • 2000년 12월 8일, 올드밀역 부근에서 쓰레기 수거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여 차량이 전소되고 역이 이틀간 폐쇄되었다. 이후 교통국은 역 쓰레기 수거에 운반 트럭을 사용하고 있다.[189]
  • 2003년 8월 14일, 북미 대륙 동부에서 발생한 대규모 정전으로 18편성의 전철이 역 사이에 멈춰 섰다. 노면전차와 버스도 운행에 차질을 빚었다. 8월 18일까지 운행이 재개되지 않아 역사상 가장 긴 운행 중단 기간이었다. 교통국은 새로운 재난 대책 매뉴얼을 제정하게 되었다.
  • 2007년 4월 23일, 사업용 차량이 전선과 제거하지 않고 남겨둔 작업장에 진입하여 정비공 1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 교통국은 산업 안전보건 지표 위반으로 25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191][192] 사망한 기관사는 대마를 흡입했던 것으로 밝혀졌다.[193]
  • 2011년 5월 13일, 윌슨역 터미널에서 2대의 버스가 충돌했다.
  • 2011년 8월 30일, 던밀스역행 버스가 크레인을 운반하던 트럭과 추돌하여 버스 승객 1명이 사망하고 최소 13명이 부상을 입었다.[194][195][196][197] 버스 운전사는 안전 확보 의무 태만과 대마 소지로 체포되었다.[198][199][200]
  • 2012년 7월 22일, 퀸가에서 버스가 건물에 돌진하여 2명이 부상을 입었다. 버스는 돌진 전 차량과 택시를 각각 들이받았다.[201][202]
  • 2012년 9월 14일, 요크데일역에서 정비사 2명이 사업용 차량에 치여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 사고로 아침 러시아워에 큰 영향을 미쳤다.[203]
  • 2013년 8월 13일, 스틸스가에서 컨테이너 트럭이 버스와 정면 충돌하여 1명이 사망하고 12명이 부상을 입었다.[204]


토론토 교통국은 이러한 사고 외에도 다양한 안전 장치와 프로그램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8. 1. 안전 장치

지하철역 승강장 내 조성된 지정대기구역(DWA)


토론토 대중교통에는 비상 상황에 대비한 다양한 안전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버스에서는 운전기사에게 알리고, 노면전차에서는 인터콤으로 기관사와 통화할 수 있다. 버스와 전차 기사는 알람과 양방향 라디오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경고음과 경고등으로 주변 경찰이나 행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336]

지하철역에서는 TTC 직원이나 전임경찰관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승강장에는 지정대기구역(DWA)이 있고, 이곳의 인터콤으로 TTC 직원과 연결된다. 직원은 필요에 따라 경찰, 소방관, 구급대원을 호출한다. 승객이 선로에 떨어지거나 차문에 끼였을 때는 승강장 양쪽 끝의 전기 차단기로 선로 전기를 차단할 수 있다. 모든 지하철역 승강장과 출입구, 버스와 노면전차 환승 구역에는 공중전화가 있으며, 비상시 911 통화는 무료이다.[336]

지하철 전동차 안에서는 휴대전화가 안 터질 수 있으므로, 창문 위 노란색 띠를 눌러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다. 그러면 다음 역에 정차하고 지하철 관제소에 알람이 울려 직원이 911에 전화한다.[336]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안전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 '''승객 지원 비상벨(Passenger Assistance Alarm)''' : 1977년부터 설치된 장치로, 차량 내 창틀 부분에 있는 노란색 띠를 누르면 비상벨이 울린다. 화재, 응급 환자 발생, 추행 등의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비상벨이 울리면 열차가 긴급 정지하고 다른 열차 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긴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역 직원에게 알리는 것이 좋다.

  • '''러시아워 안전 대책''' :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에는 주요 역에 구급차를 대기시켜 응급 환자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고, 러시아워의 지연을 최소화한다.[171]

  • '''긴급 정전 시스템''' : 파란색 램프로 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승강장 양 끝에 설치된 전화로 사령실 전용 번호(3555)를 다이얼하여 역과 선로의 전기를 차단할 수 있다.

  • '''긴급 정지 시스템(PGEV - Passenger/Guard Emergency Valve)''' : 문이 열린 채로 수하물이 끼인 채 출발하거나, 탈선 등 심각한 긴급 상황 발생 시 열차를 정지시키기 위한 레버이다. 모든 급행 철도 노선에 설치되어 있다.

  • 약 12,000대의 '''감시 카메라'''가 역과 차량 내(버스, 노면 전차 포함)에 설치되어 있다.[172]

  • '''지하철 알림''' : 범죄 및 범죄자 정보를 OneStop 화면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린다. 광고 화면에 안전성 향상을 위한 알림이 흐르는 경우도 있다.

  • '''교통국 경비대'''

8. 1. 1. 중간 정차 요청

매일 오후 9시부터 다음 날 오전 5시까지 혼자서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은 운전기사에게 두 정거장 사이에 정차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336] 이 제도는 1991년에 밤중에 혼자 다니는 여성 승객들을 위해 도입되었으며,[337] 2011년 10월 3일에 많은 승객들의 요청과 LGBTQ 권리 단체인 퀘어 온타리오(Queer Ontario)의 요청에 따라[338] 기존의 여성 승객 뿐만 아니라 혼자 다니는 모든 승객들이 요청할 수 있도록 제도가 바뀌었다.[338] 두 정거장 사이에 정차하고자 하는 승객은 버스 운전사에게 사전에 어디에 정차할 지 알려주어야 하며, 운전사는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는 지점에 내려다준다. 중간 지점에 정차하는 승객은 앞문을 통해 하차한다. 이 제도는 노면전차에는 해당되지 않는다.[336]

8. 1. 2. 자살 예방 프로그램

2011년 6월, 토론토 교통국(TTC)은 지하철역에서 자살을 시도하는 승객을 위한 '크라이시스 링크'(Crisis Link)라는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339] 이 프로그램은 지정대기구역(DWA)에 있는 공중전화의 파란색 버튼을 누르면 토론토 디스트레스 센터(Distress Centres of Toronto)로 연결되어 24시간 정신건강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339]

지하철역 내 자살 위험이 높은 곳에는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표지판도 설치되었다.[339] 이 프로그램에는 시스템 공중전화에 141개의 단축 다이얼 버튼과 역 플랫폼에 200개의 포스터가 포함되어 있다.[75]

토론토 교통국은 베르테르 효과(모방 자살)를 우려하여 오랫동안 자살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2009년 정보 공개 이후에는 안전 계몽 활동 및 '크라이시스 링크' 설치 등 자살 방지 노력을 하고 있다.[207] 내부 직원들을 위한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을 통해 자살 징후를 보이는 이용자를 돕도록 교육하고 있다.[208]

8. 1. 3. 세이프TTC

2017년 9월, 토론토 교통국은 승객이 다른 승객에게 괴롭힘이나 신변의 위협을 받는 경우, iOS 및 안드로이드 앱인 세이프TTC(SafeTTC)를 통해 신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고 내용은 교통국의 관제소로 전송되며, 필요에 따라 긴급 출동을 할 수 있다.[336]

  • '''지정 대기 구역(DWA)'''

지하철 역 승강장. 주황색으로 빛나는 것이 DWA임.


: 모든 지하철역 승강장에는 지정 대기 구역(DWA: Designated Waiting Areas)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은 방범 카메라의 시야 내에 있으며, 안전을 위해 조명이 밝고, 직원 호출용 인터폰, 공중전화, 벤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 '''요청 정류 프로그램(Request Stop)'''

: 밤 9시부터 새벽 5시 사이에 버스를 혼자 이용하는 경우, 운전사에게 원하는 하차 장소를 알리면 정류장 이외의 장소에서도 내릴 수 있다. 이는 1991년 발생한 대량 강간 살인 사건으로 인해 마련되었다. 처음에는 여성만을 대상으로 했으나, 2011년 10월 13일 여론과 LGBTQ 권리 단체인 퀘어 온타리오(Queer Ontario)의 요청에 따라[170] 모든 승객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심야 이후에는 버스 노선이 블루 나이트 네트워크(Blue Night Network)라는 특별 노선으로 변경되므로 모든 버스 노선이 24시간 운영되는 것은 아니다.)

  • '''승객 지원 비상벨(Passenger Assistance Alarm)'''

: 차량 내 창틀 부분에 있는 노란색 띠 부분을 누르면 비상벨을 울릴 수 있다. 화재, 응급 환자 발생, 추행 등의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누르면 열차가 긴급 정지하고 다른 열차의 지연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긴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역 직원에게 알리도록 안내하고 있다. 1977년부터 설치되었다.

  • '''러시아워 안전 대책'''

: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에는 주요 역에 구급차를 대기시켜 응급 환자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고, 러시아워의 지연을 최소화한다.[171]

  • '''긴급 정전 시스템'''

: 파란색 램프로 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승강장 양 끝에 설치된 전화로 사령실 전용 번호(3555)를 다이얼하여 역과 선로의 전기를 차단할 수 있다.

  • '''긴급 정지 시스템(PGEV - Passenger/Guard Emergency Valve)'''

: 긴급 상황(문이 열린 채로 수하물이 끼인 채 출발하거나, 탈선 등 심각한 긴급 상황) 시 열차를 정지시키기 위한 레버이다. 모든 급행 철도 노선에 설치되어 있다.

  • 약 12,000대의 '''감시 카메라'''가 역과 차량 내(버스, 노면 전차 포함)에 설치되어 있다.[172]

  • '''지하철 알림'''

: 범죄 및 범죄자 정보를 OneStop 화면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린다. 광고 화면에 안전성 향상을 위한 알림이 흐르는 경우도 있다.

  • '''교통국 경비대'''

8. 2. 검표원 및 전임경찰

노면전차에 승차하는 TTC 검표원


토론토 교통국에는 대중교통 내 요금 지불 여부를 확인하는 검표원과, 지하철 내 범죄 수사 및 비상시 출동을 담당하는 전임경찰관(Special Constable)이 있다. 이들은 1997년 설치된 토론토 교통국 산하 대중교통단속부(Transit Enforcement Unit) 소속이다.[340]

전임경찰관은 온타리오주 경찰법에 따라 토론토경찰위원회에서 일부 경찰 권한을 위임받은 대중교통 단속원이다. 이들은 토론토 교통국 소유지 내에서 캐나다 형법, 마약 및 약물 규제법, 온타리오주 주류 면허법 및 사유지 무단침입법 위반 사항을 단속할 수 있다.[341] 검표원은 토론토 교통국의 내부 규칙 및 온타리오주 사유지 무단침입법 위반 사항을 단속하며, 주로 무임승차나 부정승차를 단속한다.[342]

토론토 교통국은 검표원과 전임경찰을 포함한 단속원에 대한 민원을 접수하는 담당 기관을 별도로 운영하며, 이 기관은 TTC의 다른 기관과는 독립적으로 운영된다.[343] TTC 검표원과 전임경찰에 대한 민원은 교통국의 고객센터나 담당 기관의 이메일을 통해 제기할 수 있다.[344]

9. 미래 계획

현재 우선순위 TTC 확장 계획은 다음과 같다.[31]


  • 1호선 영-유니버시티선 북쪽 연장: 요크 지역 리치먼드힐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핀치 역에서 7번 고속도로와 영 스트리트에 위치한 리치먼드힐 센터 터미널까지 이어진다. 예상 비용은 54억 달러이며, 온타리오선 완공 후 개통될 것으로 예상된다.[28][32]
  • 4호선 셰퍼드선 연장: 이전의 셰퍼드 이스트 경전철 프로젝트를 대체하며, 매코완 로드와 셰퍼드 애비뉴에서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 연장선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이전에는 5호선을 동쪽으로 토론토대학교 스카버러 캠퍼스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있었지만,[33] 별도의 에글린턴 이스트 경전철 계획으로 대체되었다.[34]

9. 1. 지하철 연장

현재 지어지고 있는 모든 노선이 완공된 때를 반영한 미래 지하철 노선도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2019년 4월 10일 토론토 시내 엑시비션역에서 사이언스 센터역까지 15.5km 길이의 지하철 노선인 온타리오선 건설 계획을 발표하였다.[345] 이 노선은 엑시비션역에서 레이크쇼어 웨스트선 통근열차로, 오스구드역퀸역에서 1호선 영-유니버시티와 환승이 가능하며, 이스트하버역에서는 GO 트랜싯의 레이크쇼어 이스트선스토우빌선, 페이프역에서는 2호선 블루어-댄포스와 환승할 수 있다. 사이언스 센터역에서는 5호선 에글린턴과 환승할 수 있다. 당초 2027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2030년으로 연기되었다.[346] 온타리오선은 2027년 3월 27일에 착공하였다.[347]

에글린턴 애비뉴를 따라 건설 중인 5호선 에글린턴의 1단계 구간(마운트데니스역 - 케네디역)은 2011년에 착공하여 2024년 현재 개통을 기다리고 있다. 2단계 구간은 마운트데니스역에서 서쪽 렌포스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며, 2021년 7월에 착공하였다.[348]

1호선 영-유니버시티를 현재 핀치역에서 리치먼드힐 7번 도로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2007년 온타리오주의 대중교통 계획 '무브온타리오 2020'에 반영되었으나, 1호선 포화 문제로 인해 다운타운 릴리프선이나 스마트트랙 같은 우회 노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349] 2020년 온타리오 주정부와 요크 지역은 영 지하철 연장에 합의했으며,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350]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은 2호선 블루어-댄포스를 동쪽으로 연장하여 폐선된 3호선 스카버러를 대체하는 계획이다. 토론토 시의회는 2013년 10월 8일 3호선 대체 방안을, 2014년에는 2호선을 스카버러 타운 센터로 연장하여 3호선을 폐선하는 계획을 세웠다.[351] 2019년 온타리오주는 매코원 로드와 셰퍼드 애비뉴까지 세 정거장을 추가하는 방안으로 변경했다.[352]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은 2021년 6월 23일에 착공, 2029년이나 2030년에 개통을 목표로 한다.[353]

핀치 웨스트역에서 험버 대학까지 핀치 애비뉴를 따라 이어지는 경전철 노선인 6호선 핀치 웨스트는 2019년에 착공하여 2024년에 개통을 앞두고 있다.[354]

4호선 셰퍼드돈밀스역에서 매코원 로드까지 연장하여 2호선 스카버러 지하철 연장 구간과 연결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더그 포드 주지사는 2019년 4월 이 계획에 대한 자금 지원 의사를 밝혔다.[355] 2020년 2월 메트로링스는 셰퍼드 지하철을 셰퍼드-영역에서 셰퍼드 웨스트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포함했고, 2023년 11월에는 4호선을 매코원 로드에서 메도우베일 로드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고려하였다.[356][357]

토론토시는 케네디역에서 맬번까지 5호선 에글린턴과는 별개로 에글린턴 이스트 경전철 건설 계획을 세웠다. 이 노선은 GO 트랜싯 에글린턴, 길드우드역, 토론토 대학교 스카버러 캠퍼스에 정차할 예정이다.[358]

9. 2. 전차 연장

토론토시는 토론토의 호숫가 지역인 이스트베이프론트와 포트랜즈 지역의 개발을 위해 유니언역에서 베이 스트리트, 퀸스키, 체리 스트리트를 따라 빌리어스섬까지 노면전차 노선을 건설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359] 이 사업은 토론토시가 호숫가 발전을 담당하는 공공 단체인 워터프론트 토론토와 토론토 교통국과 더불어 같이 계획하고 있으며, 2023년 4월 기준 이 사업은 설계가 30% 완료된 상태이다.[360] 이 사업을 위해 기존 유니언역 노면전차 종점과 퀸스키역을 확장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361]

9. 3. 버스 계획

2020년 7월, 토론토 교통국은 5개년 서비스 계획과 10개년 미래 계획을 수립하면서 버스전용차로 설치 방안을 포함시켰다.[362] 래피드TO (RapidTO)라고 불리는 이 계획에는 에글린턴 애비뉴 이스트, 제인 스트리트, 더퍼린 스트리트, 핀치 애비뉴 이스트, 스틸즈 애비뉴 웨스트에 순차적으로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는 방안이 포함되었고, 2020년 10월에 총 8.5km 구간의 24시간 버스전용차로가 에글린턴 애비뉴, 킹스턴 로드, 모닝사이드 애비뉴를 따라 브림리 로드에서 토론토 대학교 스카버러 캠퍼스까지 조성되었다.[363] 이와 동시에 토론토시는 제인 스트리트에도 버스전용차로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364]

참조

[1] 웹사이트 The Board https://www.ttc.ca/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3-08-11
[2] 웹사이트 TTC Operating Statistics 2021 https://www.ttc.ca/t[...]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2-12-05
[3] 뉴스 Sick transit: TTC dirty, leaky, decaying https://www.thestar.[...] Toronto Star 2014-12-27
[4] 뉴스 Toronto's new subway trains delayed https://www.thestar.[...] 2014-12-27
[5] 웹사이트 Mixed Signals: Toronto Transit in a North American Context https://coderedto.co[...]
[6] 문서 TTC annual reports
[7] 웹사이트 Ontario's Environment and the Common Sense Revolution: A Four Year Report http://www.cielap.or[...] 1999-09-19
[8] 웹사이트 TTC Operating Statistics https://web.archiv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1-09-19
[9] 웹사이트 TTC Operating Statistics https://web.archiv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1-12-23
[10] 웹사이트 Is the TTC the priciest transit system in North America? http://www.blogto.co[...] 2012-02-19
[11] 웹사이트 City Budget 2012: Toronto Transit Commission Operating Budget Analyst Notes http://www.toronto.c[...] City of Toronto 2014-12-27
[12] 웹사이트 Budget 2011 en bref http://www.stm.info/[...]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2014-12-27
[13] 문서 http://agendaminutes[...]
[14] 웹사이트 Unless City Transfers More Money, TTC Will Need to Hike Fares 10 Cents—Every Year for the Next Four Years | news https://web.archive.[...] Torontoist 2012-02-19
[15] 뉴스 The TTC will get $400 million emergency bailout, province says https://www.thestar.[...] 2020-08-12
[16] 웹사이트 TTC Commission Meetings http://www.ttc.ca/po[...]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4-12-27
[17] 뉴스 TTC going diesel again after hybrid bus glitch https://www.thestar.[...] 2014-12-27
[18] 웹사이트 TTC Funding agreement arrives by Malvern bus https://web.archiv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2-02-19
[19] 웹사이트 Orion International – ProductsOrion VII http://www.orionbus.[...] Orion International 2014-12-27
[20] 뉴스 TTC rolls out articulated buses on 7 Bathurst route http://www.cp24.com/[...] 2014-07-12
[21] 뉴스 Five things to know about the TTC's new 'bendy' buses hitting the road this winter http://news.national[...] 2014-07-12
[22] 뉴스 No new lines, but some GTA transit improvements on track this year https://www.thestar.[...] 2014-12-27
[23] 웹사이트 Canada's First Subway https://www.toronto.[...] 2023-09-05
[24] 웹사이트 The future of TTC's Line 3 Scarborough (SRT) https://www.ttc.ca/a[...] TTC 2022-04-30
[25] 웹사이트 Toronto LRT woes: Finch West lawsuit underway, Eglinton Crosstown won’t open before 2025 https://toronto.city[...] 2024-11-05
[26] 뉴스 Ontario Reaches Major Milestone on Eglinton Crosstown LRT Construction https://news.ontario[...] 2017-11-30
[27] 웹사이트 Metrolinx: For a Greater Region - Finch West LRT http://www.metrolinx[...] 2019-07-22
[28] 웹사이트 Ontario Government Lines Up New Toronto Transit Plan https://urbantoronto[...] 2019-07-22
[29] 웹사이트 Ford, Tory break ground on new Ontario Line, promise support to impacted businesses https://toronto.ctvn[...] 2022-03-27
[30] 웹사이트 Eglinton Crosstown West Extension http://www.metrolinx[...] 2020-06-08
[31] 웹사이트 Transit expansion in the Greater Toronto Area https://www.ontario.[...] 2020-07-27
[32] 웹사이트 Yonge Subway Extension http://www.vivanext.[...] 2019-07-22
[33] 웹사이트 Eglinton East Light Rail Transit https://www.toronto.[...] 2022-08-18
[34] 웹사이트 Eglinton East Light Rail Transit https://www.toronto.[...] Coty of Toronto 2024-05-24
[35] 웹사이트 New Streetcars: Meet your new ride http://www.ttc.ca/Ab[...]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4-12-27
[36] 웹사이트 TTC announces final day to use old TTC tickets https://www.ttc.ca/n[...]
[37] 웹사이트 Deadline to use TTC tickets, tokens, day passes extended until June 2025 https://www.cp24.com[...]
[38] 웹사이트 New TTC fares coming April 3, 2023 https://www.ttc.ca/r[...] TTC 2023-04-04
[39] 뉴스 TTC approves 10 cent fare hike https://toronto.city[...] 2011-12-14
[40] 뉴스 TTC approves 10-cent fare hike https://www.thestar.[...] 2014-12-27
[41] 웹사이트 2017 TTC Fare Increase http://www.ttc.ca/Fa[...] 2017-12-30
[42] 웹사이트 The City of Toronto's Fair Pass Discount Program https://www.ttc.ca/F[...] 2019-04-13
[43] 웹사이트 Presto Fare System https://ttc.ca/Fares[...] 2016-09-21
[44] 웹사이트 Presto fare card system now operating across the TTC http://globalnews.ca[...] 2017-12-30
[45] 웹사이트 TTC Next Vehicle Information System http://www3.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4-12-27
[46] 웹사이트 Stay Informed http://ttc.ca/Riding[...] 2019-04-13
[47] Twitter TTCHelps
[48] 뉴스 Updated: NextBus lets TTC riders track buses by GPS http://news.national[...] 2011-07-11
[49] 보도자료 A new way to plan your TTC trip — User feedback sought as TTC unveils beta trip planner http://www.ttc.ca/N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0-02-02
[50] 보도자료 Google Transit adds TTC to trip planning feature https://www.ttc.ca/N[...]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0-10-12
[51] 웹사이트 A First Look at iOS 9's Transit in Apple Maps (Updated for watchOS 2) http://www.ilounge.c[...] 2015-08-11
[52] 웹사이트 GO Train/Toronto Subway Connections Current and Proposed http://transittoront[...]
[53] 웹사이트 Ontario rolling out GTA-wide transit fare integration on Feb. 26 https://www.cbc.ca/n[...] 2024-02-06
[54] 웹사이트 Ontario's One Fare Program: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ttc.ca/r[...] Toronto Transit Commission
[55] 학술논문 Toronto Transit Commission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ystem evaluation of operationa tests 1980
[56] 웹사이트 PROCUREMENT AUTHORIZATION AMENDMENT –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YSTEM (CIS) CELLULAR SERVICES http://mobile.ttc.ca[...] 2013-04-24
[57] 뉴스 Rogers ordered to open TTC wireless network to all carriers: Minister https://www.thestar.[...] 2023-09-11
[58] 웹사이트 TTC welcomes subway 5G service and more stable 9-1-1 calling, looks forward to system-wide rollout https://www.ttc.ca/n[...]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3-08-23
[59] 웹사이트 Toronto Subway & Tunnel Service https://www.freedomm[...] Freedom Mobile
[60] 웹사이트 Wi-Fi In Our Stations https://www.ttc.ca/C[...]
[61] 뉴스 Rogers, TTC ending free Wi-Fi in subway stations will widen 'digital divide', say critics https://www.thestar.[...] 2024-09-12
[62] 보도자료 TTC All 170 TTC bus routes now accessible http://www.ttc.ca/N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1-12-20
[63] 웹사이트 Legacy TTC streetcars to make final trip down Queen street http://www.ttc.ca/N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9-12-27
[64] 웹사이트 Riding the Bus https://www.ttc.ca/T[...]
[65] 웹사이트 Riding the Streetcar https://www.ttc.ca/T[...]
[66] 웹사이트 The Fixer: Say goodbye to one-sided transit shelters https://www.thestar.[...] 2013-01-17
[67] 웹사이트 TTC Bus Shelters http://www.transitst[...]
[68] 웹사이트 Chief Executive Officer's Report http://www.ttc.ca/PD[...]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2-08-10
[69] 뉴스 Proposal for new TTC Headquarters draws flak https://www.theglobe[...] 2010-05-06
[70] 보도자료 TTC to end free commuter parking for Metropass holders https://www.ttc.ca/N[...]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08-09-26
[71] 웹사이트 TTC Parking http://www3.ttc.ca/R[...]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2-02-19
[72] 웹사이트 Letter to Councillor Karen Stintz regarding the TTC's Request Stop Program http://queerontario.[...] QueerOntario 2011-09-28
[73] 보도자료 TTC and Toronto EMS place more paramedics in Toronto's subway system http://www3.ttc.ca/N[...]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09-03-20
[74] 뉴스 The TTC is watching you on the bus, the subway http://www.gazette.u[...] 2007-10-25
[75] 보도자료 TTC, Distress Centres of Toronto, Bell Canada partner in new suicide prevention program http://www3.ttc.ca/N[...]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1-06-16
[76] 웹사이트 TTC launches initiative to combat harassment and improve safety http://ttc.ca/News/2[...]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7-09-06
[77] 웹사이트 ThisIsWhere http://thisiswhere.c[...] Toronto Transit Commission
[78] 뉴스 New SafeTTC app allows passengers to report harassment https://www.cbc.ca/n[...] 2017-09-06
[79] 웹사이트 Fare Evasion on the TTC: The Auditor General's Report https://stevemunro.c[...] Steve Munro 2019-02-23
[80] 웹사이트 TTC By-law No. 1 http://www.ttc.ca/Ri[...] Toronto Transit Commission 1990-12-07
[81] 뉴스 TTC backtracks on $500,000 station art installation https://www.thestar.[...] 2017-12-22
[8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ttc.ca/A[...]
[8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ttc.ca/A[...]
[8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ttc.ca/C[...]
[85] 웹사이트 TTC radio – some background information http://transittoront[...] Transit Toronto 2006-11-10
[86] 웹사이트 What do all those TTC emergency plans mean? http://transittoront[...] Transit Toronto 2009-09-29
[87] 웹사이트 Subway/RT P.A. Code Numbers http://transittoront[...] Transit Toronto 2006-11-10
[88] 웹사이트 Global News named content provider for TTC screens by PATTISON Onestop https://globalnews.c[...]
[89] 웹사이트 Toronto Crime Stoppers Launches 'UNDERGROUND ALERT' http://www.222tips.c[...] Toronto Crime Stoppers 2007-06-12
[90] 뉴스 Wanted Criminals To Show Up On Subway Monitors https://toronto.city[...] 2007-06-12
[91] 웹사이트 TTC begins rollout of next train arrival signs http://www3.ttc.ca/M[...]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08-09-03
[92] 웹사이트 City of Toronto Agencies and Corporations: Board Governance Structures https://www.toronto.[...]
[93]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Metropolitan Toronto Act https://www.ontario.[...] 2014-07-24
[94] 웹사이트 Milestones https://www.ttc.ca/A[...]
[95] 웹사이트 City of Toronto Act https://www.ontario.[...] 2014-07-24
[96] 웹사이트 Toronto Municipal Code #279 https://www.toronto.[...]
[97] 웹사이트 Toronto Transit Commission https://www.toronto.[...] 2017-08-25
[98] 뉴스 Committee picks four white men for TTC board; told to try again https://www.theglobe[...]
[99]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100] 뉴스 The Late Fred McBrien 1938-07-04
[101] 뉴스 Mayor Gave City Sunday Sport, Planning 1999-11-20
[102] 간행물 The Coupler http://www.toronto.c[...] Toronto Transit Commission
[103] 간행물 The Coupler http://www.toronto.c[...] Toronto Transit Commission 1965-04
[104] 간행물 The Coupler http://www.toronto.c[...] Toronto Transit Commission 1982-09
[105] 서적 Municipal Handbook, City of Toronto https://books.google[...] City of Toronto 1940
[106] 잡지 The Coupler http://www.toronto.c[...] Toronto Transit Commission 1973-09-00
[107] 잡지 The Coupler http://www.toronto.c[...] Toronto Transit Commission 1973-02-00
[108] 웹사이트 Well-known Torontonian Jeff Lyons dies at 75 | Toronto & GTA | News | Toronto Su http://www.torontosu[...] Torontosun.com 2015-09-26
[109] 신문 New TTC boss drives car to work but she's looking to improve service Toronto Star 1989-04-13
[110] 신문 TTC chief shows tougher side Toronto Star 1990-11-24
[111] 웹사이트 Councillor Adam Giambrone Profile City of Toronto http://www.toronto.c[...] 2010-02-12
[112] 웹사이트 TTC marks its 90th anniversary TTC news release https://www.ttc.ca/n[...] 2011-09-01
[113] 웹사이트 Mike Colle, former councillor, MPP hoping for council return as son Josh Colle retires from municipal politics https://www.cbc.ca/n[...] 2018-07-25
[114] 웹사이트 Tory puts key allies, newcomers in powerful positions at City Hall https://www.cbc.ca/n[...] 2022-11-24
[115] 뉴스 Rick Leary to be next TTC CEO, city's transit chair confirms https://www.cbc.ca/n[...] 2018-07-10
[116] 뉴스 Former Metrolinx executive appointed interim TTC CEO. ‘It is an audition’ https://www.thestar.[...] 2024-09-06
[117] 웹사이트 TTC workers report an increase in 'violent incidents' in survey https://www.thestar.[...] 2022-12-16
[118] 웹사이트 Toronto calls on feds to amend Criminal Code amid rising attacks on transit workers https://web.archive.[...]
[119] 뉴스 Meet your TTC station managers https://web.archive.[...] 2013-04-18
[120] 뉴스 Ontario bans strikes by the TTC https://www.thestar.[...] 2011-03-30
[121] 뉴스 TTC not an 'essential service,' workers can go on strike, court rules https://toronto.ctvn[...] 2023-05-09
[122] 웹사이트 TTC workers are set to strike on Friday and 'there will be no TTC service' if they do https://www.narcity.[...] 2024-06-08
[123] 웹사이트 TTC strike avoided after last minute deal reached with union https://globalnews.c[...] 2024-06-08
[124] 웹사이트 TTC strike averted as union, management reach last-minute deal https://www.cbc.ca/n[...] 2024-06-08
[125]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the fraudsters that fleeced the TTC for $6 million and counting https://web.archive.[...] 2018-03-20
[126] 웹사이트 More than 200 people dismissed amid TTC benefits fraud investigation: officials https://globalnews.c[...]
[127] 웹사이트 TTC Subsidiary Companies https://web.archive.[...]
[128] 뉴스 Toronto transit chief says searches unlikely http://www.ctv.ca/se[...] CTV.ca 2005-07-24
[129] 뉴스 TTC carried record 514 million rides last year http://www.thestar.c[...] The Toronto Star 2013-01-11
[130] 웹사이트 2011 Operating Statistics http://www3.ttc.ca/A[...]
[131] 뉴스 Toronto’s new subway trains delayed http://www.thestar.c[...] 2010-12-23
[132] 뉴스 Sick transit: TTC dirty, leaky, decaying http://www.thestar.c[...] Toronto Star 2008-03-08
[133] 웹사이트 TTC Operating Statistics http://www3.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134] 웹사이트 TTC Operating Statistics http://www3.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135] 웹사이트 Is the TTC the priciest transit system in North America? http://www.blogto.co[...] Blogto.com 2011-12-17
[136] 웹사이트 http://www.toronto.c[...]
[137] 웹사이트 p.7 https://web.archive.[...]
[138] 웹사이트 http://agendaminutes[...] 2012-02-00
[139] 웹사이트 Unless City Transfers More Money, TTC Will Need to Hike Fares 10 Cents—Every Year for the Next Four Years | news http://torontoist.co[...] Torontoist
[140] 웹사이트 Transit History of Toronto http://home.cc.umani[...]
[141] 문서 Metropolitan Street Railway
[142] 문서 Toronto and Scarboro' Electric Railway, Light and Power Company
[143] 문서 Toronto and Mimico Electric Railway and Light Company
[144] 문서 Schomberg and Aurora Railway
[145] 문서 Toronto Civic Railways
[146] 문서 North Yonge Railways
[147] 문서 Del-Ray Coach Lines
[148] 문서 West York and District Bus Service
[149] 문서 West York Coach Lines
[150] 문서 토론토의 노면 전차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 궤도 병용이다.
[151]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www.ttc.ca/Ab[...]
[152] 웹사이트 TTC Commission Meetings http://www.ttc.ca/po[...] Toronto Transit Commission
[153] 뉴스 TTC going diesel again after hybrid bus glitch http://www.thestar.c[...] 2008-10-18
[154] 웹사이트 TTC Funding agreement arrives by Malvern bus http://www3.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155] 웹사이트 Orion International - ProductsOrion VII http://www.orionbus.[...] Orionbus.com
[156] 뉴스 New TTC Buses http://www.thestar.c[...] 2013-01-02
[157] 웹사이트 TTC approves 10 cent fare hike - CityNews http://www.citynews.[...] CityNews 2011-12-14
[158] 웹사이트 TTC approves 10-cent fare hike http://www.thestar.c[...] 2011-12-14
[159] 웹사이트 Consumer Price Index, historical summary http://www40.statcan[...] 0.statcan.ca 2012-01-20
[160] 웹사이트 TTC Fares from 1969 to Present http://www.transitst[...] Transitstop.net
[161] 웹사이트 TTC Prices http://ttc.ca/Fares_[...] Toronto Transit Commission
[162] 웹사이트 TTC Prices http://ttc.ca/Fares_[...] Toronto Transit Commission
[163] 웹사이트 Twitter / Brad Ross: @JamesKew presto is at lea https://x.com/bradTT[...] Twitter.com 2010-01-28
[164] 뉴스 TTC tests fare box designed to spot fakes http://www.cbc.ca/ca[...] 2010-01-28
[165] 웹사이트 The new TTC Trip Planner http://www3.ttc.ca/T[...] Toronto Transit Commission
[166] 웹사이트 TTC Next Vehicle Information System http://www3.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167] 뉴스 Updated: NextBus lets TTC riders track buses by GPS http://news.national[...] News.nationalpost.com 2013-07-26
[168] 웹사이트 TTC All 170 TTC bus routes now accessible http://www3.ttc.ca/N[...]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1-12-20
[169] 웹사이트 Ontario Transit Services Expected To Announce All Transit Stops http://www.ohrc.on.c[...] Ontario Human Rights Commission 2007-10-25
[170] 웹사이트 » Letter to Councillor Karen Stintz regarding the TTC’s Request Stop Program http://queerontario.[...] Queerontario.org 2013-07-26
[171] 웹사이트 TTC TTC and Toronto EMS place more paramedics in Toronto's subway system http://www3.ttc.ca/N[...]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09-03-20
[172] 웹사이트 The TTC is watching you on the bus, the subway http://www.gazette.u[...] The Gazette 2007-10-25
[173] 뉴스 The Fixer: Say goodbye to one-sided transit shelters http://www.thestar.c[...] Thestar.com 2013-01-17
[174] 웹사이트 http://www.transitst[...]
[175] 웹사이트 Save Otter Loop? - Transit Toronto - Weblog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06-04-03
[176] 뉴스 Proposal for new TTC Headquarters draws flak http://www.theglobea[...] Theglobeandmail.com 2012-02-19
[177] 웹사이트 TTC Parking http://www3.ttc.ca/R[...]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2-02-19
[178] 웹사이트 The Toronto Transit Commission - TTC http://www.toronto.c[...] Toronto.ca 2012-02-12
[179] 웹사이트 TTC unveils new subway washrooms http://www.citytv.co[...] Citytv.com 2013-07-26
[180] 웹사이트 new TTC washrooms at Finch Station - Bing Afbeeldingen http://www.bing.com/[...] Bing.com 2013-07-26
[181] 웹사이트 Reasons for Selection, 2009 Greater Toronto's Top Employers Competition http://www.eluta.ca/[...] 2009-01-28
[182] 뉴스 Ontario bans strikes by the TTC http://www.thestar.c[...] The Star 2011-03-30
[183] 웹사이트 The Gloucester Series Cars (1954-1990)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11-02-16
[184] 웹사이트 The Camshaft Control Hawkers (Series H1, H2, H3 and H4)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11-02-16
[185] 웹사이트 An Essay on Original Subway Station Design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08-01-10
[186] 뉴스 Kinkead found guilty http://www.cbc.ca/ne[...] CBC 1999-07-01
[187] 웹사이트 Toronto's News: CityNews Rewind: Woman Pushed To Her Death In Random Subway Attack http://www.citynews.[...] CityNews.ca 2008-05-21
[188] 웹사이트 Winter Action Plan (2008) http://www.ttc.ca/po[...]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09-09-20
[189] 웹사이트 Content: Subway Fire and Shuttle Buses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09-03-25
[190] 웹사이트 TTC Commission Meetings http://www.ttc.ca/po[...]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2-02-13
[191] 웹사이트 CityNews: Part of Subway Likely to Stay Closed Until Tuesday After Fatal Accident http://www.citynews.[...] Citynews.ca 2007-04-23
[192] 뉴스 Service over safety: TTC employees http://www.torontosu[...] Toronto Sun 2008-11-24
[193] 뉴스 National http://www.theglobea[...] globeandmail.com 2009-03-25
[194] 웹사이트 Toronto TTC bus accident leaves woman dead, several injured (Includes interview) http://digitaljourna[...] Digitaljournal.com 2013-07-26
[195] 뉴스 One dead, 11 injured in TTC bus crash http://www.thestar.c[...] thestar.com 2011-08-31
[196] 웹사이트 Toronto transit bus crash kills 1, injures 11 http://ottawa.ctv.ca[...] CTV Ottawa "30 August 2011"
[197] 웹사이트 One woman dead, 11 injured in TTC bus crash http://www.cp24.com/[...] CP24 "30 August 2011"
[198] 뉴스 TTC driver charged in fatal crash http://www.cbc.ca/ne[...] CBC News 2011-10-12
[199] 웹사이트 TTC justified in firing employee who stole to feed a drug addiction: arbitrator http://www.globaltor[...] Global Toronto 2011-08-18
[200] 웹사이트 TTC bus driver facing charges in fatal crash http://www.globaltor[...] Global Toronto 2011-10-12
[201] 웹사이트 Two transported to hospital after TTC bus collides with building http://toronto.ctvne[...] CTV News 2012-07-22
[202] 웹사이트 Two people injured after TTC bus hits building http://www.cp24.com/[...] CP24 2012-07-22
[203] 웹사이트 Subway resumes after TTC worker killed by train http://www.thestar.c[...] The Toronto Star 2012-09-14
[204] 웹사이트 http://www.cbc.ca/ne[...]
[205] 웹사이트 Information and Privacy Commissioner of Ontario orders TTC to release suicide statistics http://www3.ttc.ca/N[...] Th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09-11-26
[206] 웹사이트 TTC talks suicide in secret http://www.torontosu[...] The Toronto Sun 2009-12-17
[207] 웹사이트 TTC copes with death by subway http://www.torontosu[...] The Toronto Sun 2009-11-27
[208] 웹사이트 Blood on the tracks http://www.nationalp[...] The National Post 2009-11-27
[209] 웹사이트 Subway Suicide Prevention http://www3.ttc.ca/A[...] The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0-02-17
[210] 웹사이트 TTC TTC, Distress Centres of Toronto, Bell Canada partner in new suicide prevention program http://www3.ttc.ca/N[...]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1-06-16
[211] 웹인용 Transit Planning https://www.ttc.ca/t[...] 2024-03-10
[212] 웹인용 2022 Operating Statistics https://www.ttc.ca/t[...] 2024-03-10
[213] 웹인용 A Brief History of Transit in Toronto https://transittoron[...] 2024-03-22
[214] 웹인용 Turning on Toronto: Consolidating Power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3-22
[215] 웹인용 Setting the Scene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3-23
[216] 웹인용 Trolley Thursday 1/13/22 - The Toronto Railways (Part 1) https://trolleytuesd[...] 2024-05-20
[217] 뉴스 A look back at when you couldn't ride a streetcar on a Sunday https://torontosun.c[...] 2024-03-23
[218] 웹인용 The Peter Witts https://transittoron[...] 2023-03-29
[219] 웹인용 Canada’s First Subway – The Back Story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3-29
[220] 웹인용 Canada’s First Subway – Construction Begins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3-29
[221] 웹인용 Canada’s First Subway – Canada’s First Subway Opens!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3-29
[222] 뉴스 Amalgamation: 10 years later https://www.thestar.[...] 2024-03-29
[223] 웹인용 A History of the Original Yonge Subway https://transittoron[...] 2024-03-29
[224] 웹인용 A History of Fares on the TTC https://transittoron[...] 2024-03-29
[225] 뉴스 The car that saved Toronto’s streetcars https://www.railwaya[...] 2024-03-29
[226] 웹인용 TTC Contemplates the Future of Streetcars: 1952, 1971, 1972 https://stevemunro.c[...] 2024-03-29
[227] 웹인용 Remembering the Rogers Road Streercar https://spacing.ca/t[...] 2024-03-29
[228] 웹인용 Annual Report 1979 https://cdn.ttc.ca/-[...] 2024-03-29
[229] 웹인용 Annual Report 1980 https://cdn.ttc.ca/-[...] 2024-03-29
[230] 웹인용 Annual Report 1988 https://cdn.ttc.ca/-[...] 2024-03-29
[231] 웹인용 TTC Weekday Ridership From 1976 to 2018 https://stevemunro.c[...] 2024-03-29
[232] 뉴스 20 years after Russell Hill, Toronto's deadliest subway crash https://www.thestar.[...] 2023-03-29
[233] 뉴스 How Ailing TTC Turned Corner https://transittoron[...] 2024-03-29
[234] 웹인용 Harbourfront & Spadina Light Rapid Transit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3-29
[235] 웹인용 Operating Statistics - 2017 https://www.ttc.ca/t[...] 2024-05-20
[236] 웹인용 Line 3 Bus Replacement Plan https://www.ttc.ca/r[...] 2024-05-20
[237] 웹인용 2022 Operating Statistics https://www.ttc.ca/t[...] 2024-03-30
[238] 웹인용 Riding the Bus https://www.ttc.ca/a[...] 2024-03-30
[239] 웹인용 Taking your bike on TTC vehicles https://www.ttc.ca/r[...] 2024-03-30
[240] 웹인용 TTC seasonal services are back with a new look https://www.ttc.ca/n[...] 2024-03-30
[241] 웹인용 TTC launches the 900 Express Bus Network (Updated) https://stevemunro.c[...] 2024-03-30
[242] 웹인용 Accessibility & the TTC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3-30
[243] 웹인용 The future of TTC’s Line 3 Scarborough (SRT) https://www.ttc.ca/a[...] 2024-03-29
[244] 뉴스 'Alarming' reports raise questions about state of Scarborough RT before crash https://www.thestar.[...] 2024-03-29
[245] 웹인용 TTC Service Details https://www.ttc.ca/c[...] 2024-03-29
[246] 웹인용 The Toronto Flexity Outlook Light Rail Vehicles https://transittoron[...] 2024-03-30
[247] 웹인용 Streetcar Service Changes https://www.ttc.ca/s[...] 2024-03-30
[248] 웹인용 TTC Service Details https://www.ttc.ca/c[...] 2024-05-20
[249] 웹인용 Wheel-Trans https://www.ttc.ca/w[...] 2024-03-30
[250] 웹인용 Elevators and Escalators https://www.ttc.ca/a[...] 2024-03-30
[251] 웹인용 A guide to TTC station eats https://www.blogto.c[...] 2024-03-30
[252] 웹인용 Washrooms at TTC subway stations https://www.ttc.ca/r[...] 2024-03-30
[253] 웹인용 Parking https://www.ttc.ca/r[...] 2024-03-30
[254] 웹인용 Passenger pick-up and drop-off https://www.ttc.ca/r[...] 2024-03-30
[255] 웹인용 TTC unveils new subway information screens https://www.blogto.c[...] 2024-03-30
[256] 웹인용 Proof-of-Payment (POP) https://www.ttc.ca/F[...] 2024-03-30
[257] 웹인용 Fare evasion https://www.ttc.ca/F[...] 2024-03-30
[258] 뉴스 TTC unveils new-look bus stop poles and maps for bus shelters https://www.toronto.[...] 2024-03-30
[259] 뉴스 TTC launches solar-powered transit shelter https://toronto.ctvn[...] 2024-03-30
[260] 뉴스 The Fixer: Say goodbye to one-sided transit shelters https://www.thestar.[...] 2024-03-30
[261] 웹인용 Russell (Connaught) Carhouse https://transittoron[...] 2024-03-31
[262] 웹인용 Leslie Barns https://transittoron[...] 2024-03-31
[263] 웹인용 Lakeshore Garage https://transittoron[...] 2024-03-31
[264] 웹인용 Roncesvalles Carhouse https://transittoron[...] 2024-03-31
[265] 웹인용 Mount Dennis Garage https://transittoron[...] 2024-03-31
[266] 웹인용 McNicoll Garage https://transittoron[...] 2024-03-31
[267] 웹인용 Malvern Garage https://transittoron[...] 2024-03-31
[268] 웹인용 Birchmount Garage https://transittoron[...] 2024-03-30
[269] 웹인용 Arrow Road Garage https://transittoron[...] 2024-03-30
[270] 웹인용 New Eglinton Garage https://transittoron[...] 2024-03-30
[271] 웹인용 The Wilson Bus Garage and Subway Yard https://transittoron[...] 2024-03-31
[272] 웹인용 Queensway Garage https://transittoron[...] 2024-03-31
[273] 웹인용 The Hillcrest Complex https://transittoron[...] 2024-03-31
[274] 웹인용 Consolidation: The TTC in the Twenties – Divisional Carhouses and Hillcrest Yard https://www.toronto.[...] 2024-03-31
[275] 웹인용 The Davisville Subway Yards https://transittoron[...] 2024-03-31
[276] 웹인용 The Greenwood Subway Yards https://transittoron[...] 2024-03-31
[277] 웹인용 The Vincent (Keele) Subway Yard https://transittoron[...] 2024-03-31
[278] 뉴스 A brief look at Toronto’s rich history of mayoral resignations https://www.tvo.org/[...] 2024-04-01
[279] 웹인용 Contact us https://www.ttc.ca/c[...] 2024-04-01
[280] 웹인용 Lost articles https://www.ttc.ca/c[...] 2024-04-01
[281] 웹인용 Easier access on the TTC https://www.ttc.ca/a[...] 토론토 교통국 2024-04-01
[282] 웹인용 Riding the Subway https://www.ttc.ca/a[...] 토론토 교통국 2024-04-01
[283] 웹인용 Riding the Streetcar https://www.ttc.ca/a[...]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84] 웹인용 Parking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85] 웹인용 Fares & passes https://www.ttc.ca/F[...]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86] 웹인용 Fare information https://www.ttc.ca/F[...]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87] 웹인용 Day of your trip https://www.ttc.ca/w[...]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88] 웹인용 New to Presto https://www.prestoca[...] 메트로링스 2024-04-05
[289] 웹인용 Get a PRESTO Card https://www.prestoca[...] 메트로링스 2024-04-05
[290] 웹인용 Loading Funds https://www.prestoca[...] 메트로링스 2024-04-05
[291] 웹인용 Loading a Transit Pass https://www.prestoca[...] 메트로링스 2024-04-05
[292] 웹인용 Setting up Autorenew https://www.prestoca[...] 메트로링스 2024-04-05
[293] 웹인용 Ontario Launching Credit and Debit Payment on TTC https://www.ttc.ca/n[...] 토론토 교통국 2023-08-10
[294] 웹인용 Pay your fare with your debit or credit card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95] 웹인용 Buy Tickets & TTC Day Passes https://www.prestoca[...] 메트로링스 2024-04-05
[296] 웹인용 Transfers https://www.ttc.ca/F[...]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97] 웹인용 Ontario's One Fare Program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98] 웹인용 TTC Times Two with Metrolinx - Transfer Routes https://www.ttc.ca/F[...]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299] 웹인용 Fair Pass Transit Discount Program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05
[300] 웹인용 FAQ for Post-Secondary Students https://www.ttc.ca/F[...] 토론토 교통국 2024-04-06
[301] 웹인용 TTC Bathurst Station Photo ID Office https://www.ttc.ca/c[...] 토론토 교통국 2024-04-05
[302] 웹인용 TTC Monthly Pass on Presto https://www.ttc.ca/F[...] 토론토 교통국 2024-04-06
[303] 웹인용 Fare Types and Discounts https://www.prestoca[...] 메트로링스 2024-04-06
[304] 웹인용 Support Person Assistance Card https://www.ttc.ca/F[...] 토론토 교통국 2024-04-06
[305] 웹인용 CNIB transit card https://www.ttc.ca/F[...] 토론토 교통국 2024-04-06
[306] 웹인용 The T-1 (Toronto) Series Cars https://transittoron[...] James Bow 2020-04-04
[307] 웹인용 The Toronto Rocket Trains (T35A08) https://transittoron[...] James Bow 2020-04-04
[308] 웹인용 The Toronto Flexity Freedom Light Rail Vehicles https://transittoron[...] James Bow 2021-04-27
[309] 웹인용 Service Summary – February 18, 2024 to March 30, 2024 https://cdn.ttc.ca/-[...] 토론토 교통국 2024-04-12
[310] 웹인용 TTC Service Summary May 10, 2009 to June 20, 2009 http://www.ttc.ca/PD[...] 토론토 교통국 2024-04-12
[311] 웹인용 Project Funding Approval Forty-Foot Low-Floor Diesel Bus Procurement Program http://www.ttc.ca/Ab[...] 토론토 교통국 2024-04-12
[312] 웹인용 Procurement Authorization Amendment - Purchase 285 Forty Foot Low Floor Clean Diesel City Buses https://ttc.ca/About[...] 토론토 교통국 2024-04-14
[313] 웹인용 Board Meeting - July 19, 2006 https://www.ttc.ca/A[...] 토론토 교통국 2024-04-12
[314] 다중출처 TTC says buses, streetcars to start taking external-facing video https://globalnews.c[...] Katherine Aylesworth 2024-04-14
[315] 웹인용 Articulated buses returning to fleet in 2013 https://www.ttc.ca/C[...] 토론토 교통국 2024-04-14
[316] 웹인용 TTC introduces new articulated bus https://www.ttc.ca/n[...] 토론토 교통국 2024-04-14
[317] 웹인용 Articulated Buses https://www.ttc.ca/A[...] 토론토 교통국 2024-04-14
[318] 웹인용 TTC grounds articulated bus fleet over safety concern https://www.ttc.ca/n[...] 토론토 교통국 2024-04-14
[319] 웹인용 Green Fleet Plan for TTC, Police, Fire & EMS 2008-2011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14
[320] 뉴스 TTC going diesel again after hybrid bus glitch https://www.thestar.[...] 2024-04-14
[321] 웹인용 TTC Green Initiatives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4-14
[322] 웹인용 New hybrid electric buses have arrived at the TTC https://www.ttc.ca/n[...] 토론토 교통국 2024-04-14
[323] 웹인용 TTC adds 336 new hybrid-electric buses to its fleet https://www.ttc.ca/n[...] 토론토 교통국 2024-04-14
[324] 뉴스 TTC tests battery-powered buses as it gears up for a green future https://www.thestar.[...] 2024-04-14
[325] 뉴스 TTC receives first battery-powered, zero-emissions bus https://www.thestar.[...] 2024-04-14
[326] 뉴스 Toronto officials unveil 10 new charging stations for TTC battery-electric buses https://www.cbc.ca/n[...] 2024-04-14
[327] 웹인용 Government of Canada invests in Zero Emission Public Transit Infrastructure in Toronto https://www.canada.c[...] Infrastructure Canada 2024-04-14
[328] 웹인용 2020 Operating Statistics https://www.ttc.ca/t[...] 토론토 교통국 2024-06-14
[329] 웹인용 Toronto Transit Commission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14
[330] 웹인용 Audit and Risk Management Committee https://www.ttc.ca/P[...] 토론토 교통국 2024-06-14
[331] 웹인용 Human Resources Committee https://www.ttc.ca/P[...] 토론토 교통국 2024-06-14
[332] 웹인용 2024 Capital and Operating Budget Notes - Toronto Transit Commission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6-14
[333] 웹인용 Staff Recommended 2024 TTC Conventional and WheelTrans Operating Budgets and 2024-2033 Capital Budget and Plan https://cdn.ttc.ca/-[...] 토론토 교통국 이사회 2024-06-14
[334] 웹인용 2019 Staff Recommended Operating and Capital Budget Notes - Toronto Transit Commission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6-14
[335] 웹인용 Staff Recommended 2024 TTC Conventional and Wheel-Trans Operating Budgets and 2024-2033 Capital Budget and Plan https://www.railwaya[...] 토론토시 2024-04-14
[336] 웹인용 TTC Safety Guide: Emergency Protocols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4-19
[337] 웹인용 Annual Report 1991 https://cdn.ttc.ca/-[...] 토론토 교통국 2024-04-19
[338] 뉴스 TTC extends Request Stop service to everyone https://xtramagazine[...] 2024-04-19
[339] 웹인용 Crisis Link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4-19
[340] 웹인용 At a Glance: TTC Special Constables https://www.ttc.ca/e[...] 토론토 교통국 2024-04-19
[341] 뉴스 TTC riders, know your rights https://thevarsity.c[...] 2024-04-19
[342] 웹인용 Transit Fare Inspection and Enforcement Model Update https://www.toronto.[...] 토론토 교통국 2024-04-19
[343] 웹인용 Fare Inspector & Special Constable Complaints (FISCC) Office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4-19
[344] 웹인용 Submit a Complaint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4-19
[345] 뉴스 Ontario Line will be built by 2027 — leaving experts, politicians looking for details https://www.thestar.[...] 2024-04-21
[346] 뉴스 $11-billion Ontario Line may not open until 2030, three years later than Ford’s initial promise https://www.thestar.[...] 2024-04-21
[347] 뉴스 Ford, Tory break ground on new Ontario Line, promise support to impacted businesses https://toronto.ctvn[...] 2024-04-21
[348] 웹인용 Eglinton Crosstown West Extension https://www.metrolin[...] 메트로링스 2024-04-21
[349] 뉴스 Yonge subway extension to York Region takes step forward https://www.thestar.[...] 2024-04-21
[350] 뉴스 Region of York, province of Ontario sign preliminary agreement for Yonge North Subway Extension https://www.masstran[...] 2024-04-21
[351] 뉴스 A Scarborough subway: Do the numbers add up? https://www.theglobe[...] 글로브 앤드 메일 2024-04-21
[352] 웹인용 Scarborough Subway Extension https://www.metrolin[...] 메트로링스 2024-04-21
[353] 뉴스 Ontario breaks ground on Scarborough subway extension https://toronto.ctvn[...] CTV News 2024-04-21
[354] 뉴스 Ontario LRT Update https://www.railwaya[...] Railway Age 2024-04-21
[355] 뉴스 What you need to know about Doug Ford's contentious plan for transit in the GTA https://www.cbc.ca/n[...] CBC News 2024-04-21
[356] 웹인용 Sheppard Extension https://www.metrolin[...] 메트로링스 2024-04-21
[357] 웹인용 Sheppard Extension public consultations underway https://www.metrolin[...] 메트로링스 2024-04-21
[358] 웹인용 Eglinton East Light Rail Transit (EELRT) Functional (10%) Design Phase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21
[359] 웹인용 Waterfront East Light Rail Transit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21
[360] 웹인용 Waterfront East LRT Extension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21
[361] 웹인용 Waterfront East LRT Extension Transit Network Update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21
[362] 웹인용 Bus Lane Implementation Plan https://www.toronto.[...] 토론토 교통국 2024-04-21
[363] 웹인용 RapidTO: Eglinton East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21
[364] 웹인용 RapidTO: Jane Street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4-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