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무르 르네상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무르 르네상스는 14세기 후반 티무르 제국 시대에 일어난 문화 부흥을 의미한다. 티무르 제국은 티무르의 정복 활동으로 건립되었으며, 수도 사마르칸트를 중심으로 건축, 예술, 과학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울루그 베그는 천문학을 발전시켰으며, 후세인 바이카라 통치 시기 헤라트 궁정을 중심으로 문화가 절정에 달했다. 티무르 르네상스는 16세기 우즈베크인들의 정복으로 쇠퇴했지만, 오스만 제국, 사파비 제국, 무굴 제국 등 이슬람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티무르 르네상스 | |
---|---|
티무르 르네상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요 | |
참여 세력 | 티무르 왕조 화약 제국: 무굴 제국 오스만 제국 사파비 제국 |
장소 | 티무르 제국 (중앙아시아 및 페르시아) |
기간 | 14세기 ~ 16세기 |
관련 정보 | |
관련 사건 | 티무르 르네상스 |
2. 역사
1370년 티무르가 차가타이 칸국의 군벌로서 권력을 장악하고 서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을 정복하면서 티무르 제국이 건립되었다. 티무르는 정복지에서 파괴와 약탈을 일삼았지만, 예술가, 과학자 등은 수도 사마르칸트로 이주시켰다.
건축에 대한 티무르의 관심은 후손들에게 이어졌다. 티무르 사후 집권한 샤 루흐의 궁정을 방문한 중국 사신들은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2. 1. 티무르 제국의 성립과 발전
1370년 차가타이 칸국의 군벌이었던 티무르가 권력을 장악하고, 활발한 정복 활동을 통해 서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을 정복하면서 티무르 제국이 건립되었다. 티무르는 수많은 정복지에서 파괴, 약탈, 살육을 일삼았지만, 장인, 예술가, 과학자, 문학자들은 죽이지 않고 수도 사마르칸트로 이주시켰다.[17]15세기 초, 티무르 제국이 페르시아를 정복하면서 페르시아의 예술적 특징들이 티무르족의 몽골 예술과 결합되기 시작했다. 티무르 통치 말기에 샤리아(이슬람 전통 율법)가 제정되면서 사마르칸트는 이슬람 예술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17] 티무르는 사마르칸트를 위대한 건축의 도시로 만들었는데, 비비 하늠 모스크, 샤히 진다 성묘, 구르 에 아미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티무르는 유목민의 전통대로 도시 건축과 초원 생활을 결합시킨 정원(bagh)들을 교외에 조성했는데, 바기 치나르, 바기 딜구샤, 바기 비히슈트, 바기 볼란드 등이 있다. 이 정원들은 여러 개의 문이 달린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화려한 천막과 전각들이 세워져 있었다.[18]
1404년 사마르칸트를 방문한 클라비호에 따르면, 사마르칸트는 약 15만 명이 거주하는 대도시였다. 튀르크인, 아랍인, 무어인,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등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살았으며, 러시아-타타르 지방의 가죽과 린넨, 키타이(북중국) 지방의 비단과 사향, 인도 지방의 육두구, 정향, 시나몬 등 각종 특산품들이 거래되었다.[18]
샤 루흐의 아들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를 분봉받아 40년 동안 통치했다. 그는 사마르칸트, 부하라, 기즈다반에 마드라사를 건립했는데, 특히 1417년에 세워진 부하라 마드라사는 중앙아시아 건축물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그는 직경 40m의 원통형 천문대를 건설하고, 1437년 천문표를 만들어 1449년에 최종 완성했다. 이 표는 당시 이슬람권과 유럽권을 통틀어 가장 정확한 관측 결과를 담고 있었다. 그는 도서관을 세워 15,000권의 서적을 수집하고, 「네 울루스의 역사 (四汗國史)」를 직접 집필하기도 했다.[19]
15세기 중반, 티무르 제국의 수도는 헤라트로 옮겨졌고, 헤라트 역시 티무르 미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사마르칸트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민족 출신의 장인과 지식인들이 헤라트를 이슬람 세계의 예술·문화 중심지로 만들었다. 이 시기에 티무르 제국의 문화는 다른 문화와 융합, 발전했다.[20]
티무르 왕조의 문화는 15세기 후반 후세인 바이카라 통치 시기에 절정에 달했다. 전쟁과 혼란을 피해 수많은 학자, 문인, 예술가들이 헤라트에 모여들었기 때문이다. 알리셰르 나보이는 「파르하드와 시린」, 「레일리와 마즈눈」 등 많은 시집을 남겼고, 압드 알 라흐만 자미는 낙쉬반디 교단의 장로인 호자 아흐라르의 전기를 집필했다. 하피지 아브루, 압드 알 라자크 사마르칸디, 미르혼드, 크완다미르 등 역사가들이 활동했으며, 비흐자드, 마쉬하디 등도 이 시기를 빛낸 예술가들이다.[18]
2. 2. 티무르 제국의 쇠퇴와 멸망
티무르 르네상스는 16세기 우즈베크인들이 티무르 제국을 정복하면서 끝이 났다.[4]3. 문화
티무르 제국 시대의 문화는 15세기 후반 후세인 바이카라 통치 시기에 절정을 맞이했다. 헤라트 궁정을 중심으로 알리셰르 나보이, 압드 알 라흐만 자미 등 수많은 학자, 문인, 예술가들이 활동하며 티무르 제국 시대 전체를 통틀어도 비교할 대상이 없는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다.[18]
티무르 제국에서는 강철, 철, 황동, 청동 등을 재료로 하여 금속 세공품을 생산했다.[23] 특히 상감기법을 덧씌운 금속 세공품들은 세련되고 뛰어난 품질의 장식품으로 자주 언급된다.[32] 티무르 제국 붕괴 이후, 페르시아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여러 도시들에서 그들의 금속 세공방식이 사용되었다.[23]
3. 1. 예술
티무르 제국은 1370년 차가타이 칸국의 군벌 티무르가 건국했다. 티무르는 정복지의 장인, 예술가, 과학자, 문학자들을 수도 사마르칸트로 이주시켰다.
15세기 초 티무르 제국이 페르시아를 정복한 후, 페르시아 예술은 몽골 예술과 결합되기 시작했다. 티무르 통치 말기 샤리아(이슬람 전통 율법) 제정으로 사마르칸트는 이슬람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17] 티무르는 비비 하늠 모스크, 샤히 진다 성묘, 구르 에 아미르 등을 건설했다. 또한, 유목민 전통대로 도시 건축과 초원 생활을 결합시킨 정원(bagh)들을 교외에 조성했다. 바기 치나르, 바기 딜구샤, 바기 비히슈트, 바기 볼란드 등이 대표적이다. 1404년 사마르칸트를 방문한 클라비호는 이곳이 15만 명이 거주하는 대도시이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가죽, 린넨, 비단, 사향, 육두구, 정향, 시나몬 등 각종 특산품을 거래한다고 기록했다.[18]
건축에 대한 티무르의 관심은 후손들에게 이어졌다. 샤 루흐의 궁정을 방문한 중국 사신들은 벽돌로 지은 사각형 모양의 집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샤 루흐의 아들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 부하라, 기즈다반에 마드라사를 건립했다. 특히 1417년에 세워진 부하라 마드라사는 중앙아시아 건축물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그는 직경 40m의 천문대를 건설하고 천문표를 제작했으며, 15,000권의 서적을 수집하고 「네 울루스의 역사」를 집필했다.[19]
15세기 중반 티무르 제국의 수도는 헤라트가 되었고, 이곳 역시 티무르 미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다양한 민족 출신의 장인과 지식인들은 헤라트를 이슬람 세계의 예술·문화 중심지로 만들었다. 이 시기에 티무르 제국의 문화는 다른 문화와 혼합, 발전했다.[20]
티무르 왕조의 문화는 15세기 후반 후세인 바이카라 통치 시기에 절정에 달했다. 헤라트 궁정을 중심으로 알리셰르 나보이, 압드 알 라흐만 자미, 하피지 아브루, 압드 알 라자크 사마르칸디, 미르혼드, 크완다미르, 비흐자드, 마쉬하디 등 수많은 학자, 문인, 예술가들이 활동했다.[18]

티무르 건축은 셀주크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 청록색과 파란색 타일로 건물 외관을 장식하고, 내부에 스투코, 부조 등을 활용했다.[28] 티무르 건축은 중앙아시아 이슬람 예술의 정점이었다. 사마르칸트 및 헤라트에 지어진 건축물들은 일 칸국의 영향력을 인도까지 전파하여 무굴 건축을 탄생시키는 데 기여했다.

티무르 건축은 아흐메드 야사위 성묘, 구르 에 아미르 등으로 대표된다. 울루그 베그는 '페르시아식 마드라사'[29]와 '페르시아식 모스크'[29]를 건설했다. 티무르 왕공들의 영묘는 가장 세련되고 정교하며 화려한 페르시아식 건축물로 유명하다.[30]
선대칭은 샤히 진다 성묘, ''무살라흐'' 복합 단지, 가우하르 샤드 모스크 등에서 드러난다. 화려하고 다양한 장식들로 꾸며진 이중 돔 또한 특징이다.[31]
중국식 도자기 또한 티무르 제국의 상인들에 의해 생산되었다.[24]
3. 1. 1. 회화
티무르 미술은 페르시아의 전통적인 개념인 '책의 예술'을 흡수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더욱 발전시켰다. 티무르 왕조의 영향을 받은 예술가들은 양피지가 아니라 삽화가 그려진 종이 원고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풍부한 색상과 정교한 디자인으로 유명하다.[21]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고고학자이자 미술사학가인 수잔 얄만(''Suzan Yalman'')은 이 그림들에서 볼 수 있는 미니어처들의 뛰어난 묘사를 보고 "(원고 그림을 그린) 헤라트 학파는 종종 페르시아 미술의 시조로 간주된다"라고 평했다.[22][23]
티무르 제국의 은 상감기법은 특히 뛰어난 품질과 묘사로서 자주 인용된다. 그림은 원고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티무르 제국의 많은 예술가들은 복잡한 벽화 역시 제작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페르시아와 중국의 예술 전통에서 영감을 받아 풍경을 그렸다.[24] 이 그림의 소재는 다른 문화권에서 차용한 것이지만, 결국 티무르 벽화는 그들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발전해나갔다.[25] 티무르 제국이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는 하나, 몽골 예술 전통이 완전히 단계적으로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15세기의 티무르 예술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고도로 양식화된 인간 형상의 묘사는 몽골 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다.[26]
후세인 바이카라의 통치 기간 동안 예술 분야는 발전을 거듭했다. 그는 자신의 왕국에서 '학문의 은인이자 위대한 후원자'로 유명했고,[27] '트란스옥시아나 후기의 전형적인 티무르 통치자'로 묘사되었다. 또한 후세인은 마드라사를 포함하여 수많은 학문과 예술 관련 건축물들을 지었다. 그의 세련된 궁정과 관대하고 막대한 예술적 후원은 특히 그의 사촌이자 무굴 제국의 창건자였던 바부르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3. 1. 2. 조각
티무르 제국에서는 주로 강철, 철, 황동, 청동 등을 재료로 하여 금속 세공품을 생산했다.[23] 특히 상감기법을 덧씌운 금속 세공품들은 세련되고 뛰어난 품질의 장식품으로 자주 언급된다.[32] 티무르 제국이 붕괴한 후, 페르시아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여러 도시들에서 티무르 제국의 금속 세공방식이 사용되었다.[23]옥 조각품은 티무르 제국의 미술품에서 가끔씩만 모습을 드러내는 편이다.[24]

3. 2. 건축
티무르 건축은 이전에 페르시아에서 융성했던 셀주크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 대표적인 특징은 청록색과 파란색 타일로 건물 외관을 장식하고, 복잡한 선형 및 기하학적 패턴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때로는 건물 내부에 스투코나 부조 같은 장식을 활용하기도 했다.[28]티무르 건축은 중앙아시아 이슬람 미술의 정점이었다. 티무르와 그의 후계자들은 사마르칸트와 헤라트에 웅장한 건축물들을 많이 지었는데, 이는 일 칸국의 영향력을 인도까지 전파하여 무굴 건축을 탄생시키는 데 기여했다. 오늘날 카자흐스탄의 아흐메드 야사위 성묘나 우즈베키스탄의 구르 에 아미르 등이 대표적인 티무르 건축물이다. 인근에는 티무르 제국의 술탄 울루그 베그가 건설한 '페르시아식 마드라사'[29]와 '페르시아식 모스크'[29]가 있다. 오늘날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 남아 있는 티무르 왕공들의 영묘는 그 지역에서 가장 정교하고 화려한 페르시아식 건축물로 유명하다.[30]
선대칭은 사마르칸트의 샤히 진다 성묘, 헤라트의 ''무살라흐'' 복합 단지, 마슈하드의 가우하르 샤드 모스크 등의 건축물에서 드러난다. 화려하고 다양한 장식들로 꾸며진 이중 돔 또한 특징 중 하나이다.[31]
3. 3. 과학
티무르 제국 시대에는 과학, 특히 천문학과 수학 분야가 크게 발전했다. 샤 루흐와 울루그 베그와 같은 통치자들은 과학 연구를 적극적으로 후원했으며, 잠쉬드 알 카시와 알리 쿠시 같은 학자들은 이 시기 과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에 연구소를 설립하여 학문 중심지로 만들었고, 알리 쿠시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을 초빙했다. 알리 쿠시는 천체물리학을 자연 철학과 분리하고 지구 자전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는 등 독창적인 연구를 수행했다.[39]
이 시기에는 천문학과 수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천문 관측 기구 개발과 아날로그 컴퓨팅 도구 발명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3. 3. 1. 천문학
울루그 베그 통치 시기는 티무르 제국의 과학 발전이 정점에 달했던 때였다. 잠쉬드 알 카시는 샤 루흐와 가우하르 샤드 궁정에서 활동하며 수학과 천문학 분야에서 큰 영향을 끼쳤고, 이 시기 헤라트 궁정에서는 수많은 학문적 업적이 탄생했다.[19]알 카시는 사인 함수 값을 육십진법으로 정확하게 계산하고, 황도좌표계와 적도좌표계 간 변환표를 제작했다.[33] 그의 저서 술람 앗 사마는 천체 거리와 크기 결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트라이퀘트럼, 혼천의, 분점 및 지점 측정기구, 사인·버사인 계산기, 알 쿠잔디의 육분의 등 천문 관측 기구 관련 논문도 작성되었다. 사마르칸트 천문대의 파크리 육분의, 이중 사분면 방위각 고도계, 조준의 포함 혼천의 등도 있었으나,[34]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다.
- -|]]|섬네일|왼쪽|천문 관측대의 울루그 베그와 알리 쿠시]]
천체 겹침 시간을 알아내고 선형 보간법에 사용되는 아날로그 컴퓨팅 도구인 결합판이 이 시기에 발명되었는데,[35][36] 이 기계식 천체 컴퓨터는 태양과 달의 경도,[36] 타원 궤도,[37] 위도, 황도 등 여러 천문학 문제를 관측으로 해결하도록 했다. 조준의와 자는 관측 정확도를 높였다.[38]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에 연구소를 설립하여 저명한 대학으로 발전시켰다. 중앙아시아 각지에서 온 학생들이 몰려들어 도시는 북적였고, 울루그 베그는 알리 쿠시 등 여러 학자들을 고용했다. 알리 쿠시는 자연 철학과 독립적인 천체물리학을 발전시키고, 지구 자전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했다. 그는 울루그 베그의 「지즈 이 술타니」에 기여하고, 오스만 제국의 산 이 세만 메드레스 설립에 참여했으며, 천문학 저술 활동도 했다.[39]
알리 쿠시는 '천문학이 철학에 의존한다는 추정에 관한' 논문에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 간섭에 반대하며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 대신 자연철학과 이슬람 천문학을 분리, 천문학이 경험과 수학에 의존하는 과학이 되도록 했다. 그는 '정지된 지구' 대신 '움직이는 지구' 개념을 주장했다. 에밀리 새비지-스미스는 이슬람 천문학자들이 태양 중심 우주 모델을 제안하지 않았다고 했지만,[40] 혜성 관찰을 통해 경험적 증거 기반 '동적 지구' 이론이 '정적 지구'보다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내렸다.[41][42][43]
3. 3. 2. 수학
잠쉬드 알 카시는 티무르 제국 시대에 활동한 저명한 수학 및 천문학 분야 학자였다. 그는 샤 루흐와 가우하르 샤드의 궁정에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기록으로 남겼다.[17]울루그 베그 통치 시기 티무르 제국의 과학 발전은 정점에 달했다. 알 카시는 사인 함수 값을 육십진법으로 소수점 아래 4자리까지 정확하게 계산하고, 각도에 따른 변화와 차이를 상세히 기록했다. 그는 황도 좌표계와 적도 좌표계 간 변환표를 제작했으며,[33] 술람 앗 사마를 저술하여 지구, 달, 태양, 별 등 천체 간 거리와 크기 결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당시 트라이퀘트럼, 혼천의, 모아예두딘 우르디의 분점 및 지점 측정 기구, 사인·버사인 계산기, 알 쿠잔디의 육분의 등 천문 관측 기구 관련 논문이 작성되었다. 사마르칸트 천문대의 파크리 육분의, 이중 사분면 방위각 고도계, 조준의 포함 혼천의 등도 있었으나,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다.[34]
천체 겹침 시간 계산과 선형 보간법에 사용되는 아날로그 컴퓨팅 도구인 결합판이 발명되었고,[35][36] 이 기계식 천체 컴퓨터는 태양과 달의 경도,[36] 타원 궤도,[37] 위도, 황도 등 천문학적 문제를 관측으로 해결하도록 돕고, 조준의와 자를 통해 관측 정확도를 높였다.[38]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에 연구소를 설립하여 곧 명문 대학으로 발전시켰다.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온 학생들로 도시는 북적였고, 울루그 베그는 알리 쿠시 등 여러 수학자와 과학자를 고용했다. 알리 쿠시는 자연 철학에서 독립된 천체물리학을 발전시키고, 논문에서 지구 자전의 경험적 증거를 제시했다. 그는 울루그 베그의 천문학 저서 지즈 이 술타니에 기여하고, 오스만 제국의 산 이 세만 메드레스 설립에 참여했으며, 천문학 저술 활동을 했다.[39]
알리 쿠시는 '천문학이 철학에 의존한다는 추정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을 배제하고 자연 철학과 이슬람 천문학을 분리하여 천문학이 경험과 수학에 의존하는 과학이 되도록 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지된 지구' 대신 '움직이는 지구' 개념을 주장했다. 에밀리 새비지-스미스는 이슬람 천문학자들이 태양 중심 우주 모델을 제안하지 않았다고 언급했지만,[40] 혜성 관측을 통해 경험적 증거 기반 '동적 지구' 이론이 '정적 지구'보다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41][42][43]
3. 3. 3. 의학
울루그 베그의 통치 기간 동안 티무르 제국의 과학적 발전은 정점을 찍었다. 이 시기에는 천문학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잠쉬드 알 카시는 각 차수에 대해 사인 함수를 육십진법에 따른 4자리 수로 정확하게 계산했으며,[33] 각 도마다의 변동과 그 차이를 세세히 기록했다. 또한 황도좌표계에서 적도좌표계로의 변환과 같이 천구의 좌표계 간 변환을 다루는 표를 제작했다.[33]지구, 달, 태양, 별과 같은 천체의 거리와 크기를 결정하는 데 있어 이전의 천문학자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 술람 앗 사마가 집필되었고,[33] 천문관측기구에 관한 논문이 작성되기도 했다. 이 논문에는 트라이퀘트럼이나 혼천의, 모아예두딘 우르디의 분점 및 지점 측정기구와 사인·버사인 계산기, 알 쿠잔디의 육분의 등이 언급되어 있다.[33] 한편으로는 사마르칸트 천문대의 파크리 육분의, 이중 사분면 방위각 고도계, 조준의가 포함된 혼천의 등도 있었지만[34] 잘 알려지지는 않았다.
천체들이 겹치는 시간을 알아내고 선형 보간법을 사용하는 데 쓰이는 아날로그 컴퓨팅 도구인 결합판이 발명되었는데,[35][36] 이 기계식 천체 컴퓨터는 태양 및 달의 참 경도,[36] 타원 궤도,[37] 태양, 달, 천체의 위도, 태양 황도 등 여러 천문학 문제를 관측만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관측 결과를 더욱 정확히 하기 위해서 조준의와 자가 구비되어 있기도 했다.[38]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에 연구소를 설립했는데, 이것은 얼마 지나지 않아 저명한 대학으로도 이름을 떨쳤다. 중앙아시아 전역, 그리고 그 밖의 지역에서 온 학생들이 술탄의 수도에 있는 아카데미에 입학하고자 찾아왔으므로 도시는 늘 여러 사람들로 북적였다. 그 결과 울루그 베그는 알리 쿠시를 비롯한 여러 수학자와 과학자들을 고용할 수 있었다. 알리 쿠시는 자연 철학과 독립적인 천체물리학을 발전시켰고, 자신의 논문에서 지구 자전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했다. 그는 울루그 베그의 유명한 천문학 저서 「지즈 이 술타니」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오스만 제국의 다양한 전통 이슬람 과학연구를 위한 최초의 과학센터 중 하나인 산 이 세만 메드레스의 설립에도 참여했으며, 그밖에 천문학에 관한 여러 과학 저작과 서적의 저자이기도 했다.[39]
알리 쿠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철학과 이슬람 천문학을 완전히 분리하여 천문학이 순수하게 경험과 수학에 의존하는 과학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서 그는 '움직이지 않는 지구 (정적 지구)'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 대신 '움직이는 지구 (동적 지구)'라는 개념을 주장할 수 있었다.[41][42][43]
4. 유산
티무르 제국은 1370년 티무르가 차가타이 칸국을 장악하고 서아시아를 정복하며 세워졌다. 티무르는 정복지의 장인, 예술가, 과학자, 문학자들을 사마르칸트로 이주시켰다.[17] 15세기 초 페르시아 정복 후, 페르시아 예술이 몽골 예술과 결합했다. 샤리아 제정 후 사마르칸트는 이슬람 미술 중심지가 되었다.[17] 티무르는 비비하눔 모스크, 샤히 진다 성묘, 구르 에 아미르 등을 건설하고, 교외에 '바기 치나르', '바기 딜구샤', '바기 비히슈트', '바기 볼란드' 등 정원(bagh)들을 조성했다. 1404년 사마르칸트는 15만 명이 거주하는 대도시였으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들어 비단, 사향, 육두구, 정향, 시나몬 등 특산품들이 거래되었다.[18]
건축에 대한 티무르의 관심은 후손들에게 이어졌다. 샤 루흐의 궁정은 화려한 건축물로 유명했다.
샤 루흐의 아들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에 마드라사를 건립하고 천문대를 건설, 1449년 정확한 천문표를 완성했다. 그는 15,000권의 서적을 수집하고 「네 울루스의 역사」를 집필했다.[19]
15세기 중반, 헤라트는 티무르 미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다양한 민족 출신 장인과 지식인들이 헤라트를 이슬람 세계 예술·문화 중심지로 만들었다.[20]
후세인 바이카라 통치 시기(1469년~1506년) 티무르 문화는 절정에 달했다. 알리셰르 나보이, 압드 알 라흐만 자미, 하피지 아브루, 압드 알 라자크 사마르칸디, 미르혼드, 크완다미르, 비흐자드, 술탄 알리 마쉬하디 등이 활동했다.[18]
티무르 미술은 '책의 예술'을 발전시켰다. 삽화가 그려진 종이 원고가 사용되었으며, 풍부한 색상과 정교한 디자인이 특징이다.[21] 수잔 얄만은 헤라트 학파를 페르시아 미술의 시조로 평가했다.[22][23] 티무르 제국의 은 상감기법은 뛰어난 품질로 유명하다. 벽화는 페르시아와 중국 예술 전통에서 영감을 받은 풍경을 묘사했다.[24] 몽골 예술 전통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고, 15세기 티무르 예술에서 고도로 양식화된 인간 형상 묘사는 몽골 문화에서 비롯되었다.[26]
후세인 바이카라는 학문의 은인이자 위대한 후원자였으며,[27] 마드라사를 포함한 건축물들을 지었다. 그의 궁정과 후원은 바부르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잠쉬드 알 카시는 수학과 천문학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학자였다. 그는 샤 루흐와 가우하르 샤드의 궁정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울루그 베그 통치 기간 동안 과학 발전은 정점을 찍었다. 알 카시는 사인 함수를 정확하게 계산하고,[33] 천구 좌표계 변환 표를 제작했다. 「술람 앗 사마」는 천체 거리와 크기 결정의 어려움을 해결했다. 트라이퀘트럼, 혼천의, 육분의 등 천문관측기구가 제작되었다.[34]
천체들이 겹치는 시간을 알아내고 선형 보간법을 사용하는 데 쓰이는 아날로그 컴퓨터인 결합판이 발명되었다.[35][36]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에 연구소를 설립, 대학으로 발전시켰다. 알리 쿠시를 비롯한 학자들이 고용되었다. 알리 쿠시는 자연 철학과 독립적인 천체물리학을 발전시키고, 지구의 자전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했다. 그는 「지즈 이 술타니」에 기여하고, 산 이 세만 메드레스 설립에 참여했다.[39]
알리 쿠시는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철학과 이슬람 천문학을 분리, 천문학이 경험과 수학에 의존하는 과학이 되도록 했다. 그는 '움직이는 지구' 개념을 주장했다. 에밀리 새비지-스미스는 이슬람 천문학자들이 지동설을 제안하지 않았다고 했지만,[40]). 그들은 혜성 관찰을 통해 '동적 지구' 이론이 더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내렸다.[41][42][43]
티무르 제국 멸망 후 오스만 제국,[44] 사파비 제국, 무굴 제국[22] 등은 티무르 르네상스 유산을 받아들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Art of the Timurid Period (ca. 1370–1507)
https://www.metmuseu[...]
2021-03-11
[2]
저널
The Legacy of the Timurids
https://www.cambridg[...]
2009-09-24
[3]
저널
Socioeconomic Bases of Cultural Patronage under the Later Timurids
https://www.cambridg[...]
2016-11-07
[4]
서적
A Companion to the Worlds of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4-15
[5]
간행물
The Connoisseur
[6]
서적
Europe in the second millenium: a hegemony achieved?
[7]
서적
World History as the History of Foundations, 3000 BCE to 1500 CE
[8]
서적
Periods of World History: A Latin American Perspective
[9]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10]
백과사전
Timurids
http://www.bartleby.[...]
Columbia University
2006-11-08
[11]
웹사이트
The Art of the Timurid Period (ca. 1370–1507)
http://www.metmuseum[...]
2016-11-07
[12]
웹사이트
Timurids
http://www.infopleas[...]
2016-11-07
[13]
서적
Strange Parallels: Volume 2, Mainland Mirrors: Europe, Japan, China, South Asia, and the Islands: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800-1830
[14]
서적
Imperial Identity in the Mughal Empire
[15]
서적
Sufism and Society: Arrangements of the Mystical in the Muslim World, 1200–1800
[16]
서적
The Silk Road: A Very Short Introduction
[17]
서적
Tamerlane: Sword of Islam, conqueror of the world
HarperCollins
[18]
서적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2016
[19]
서적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1990
[20]
백과사전
Timurids
2007
[21]
웹사이트
Iransaga - Persian Art, The Timurids
http://www.artarena.[...]
2017-11-16
[22]
웹사이트
The Art of the Timurid Period (ca. 1370–1507)
https://www.metmuseu[...]
2017-11-16
[23]
웹사이트
METALWORK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11-16
[24]
백과사전
Timurids
Columbia University
2006-11-08
[25]
논문
Dynastic Imagery in Early Timurid Wall Paintings
https://archnet.org/[...]
Los Angeles Museum of Art
[26]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Islam, 1250–1800
Yal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ḤOSAYN BĀYQARĀ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Foundation
2019-04-09
[28]
백과사전
Timurid dynasty
http://www.britannic[...]
2007
[29]
서적
Great Architecture of the World
Da Capo Press
[30]
서적
The Great Arab Conquests: How the Spread of Islam Changed the World We Live In
Da Capo Press
[31]
서적
Sir Banister Fletcher's a History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 Press
[32]
저널
The Compilation of One Object of Timurid Metalwork (12th Century) in the National Museum of Iran with Two Objects in National Museum of Yerevan-Armenia
http://csjonline.org[...]
[33]
웹사이트
Ghiyath al-Din Jamshid Mas'ud al-Kashi
[34]
참고문헌
[35]
참고문헌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40]
간행물
Islamic Influence on Copernicus
http://www.shpltd.co[...]
2010-03-25
[41]
논문
[42]
서적
Freeing Astronomy from Philosophy: An Aspect of Islamic Influence on Science
[4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ediev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The Timurids and the Turkmen - The David Collection
https://www.davidmus[...]
2017-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