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세버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팀 세버린은 1940년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한 영국의 탐험가이자 작가이다. 그는 고대 전설 속 항해와 여행을 재현하는 실험적인 탐험으로 유명하며, 아일랜드에서 뉴펀들랜드까지의 브렌단 항해, 아라비아 범선을 이용한 중국까지의 신드바드 항해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또한, 역사 소설 《바이킹》 시리즈와 《해적》 시리즈를 저술했으며, 1986년 왕립 지리학회 설립자 메달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키블 칼리지 동문 - 임란 칸
임란 칸은 파키스탄의 전 크리켓 선수이자 정치가로, 1992년 크리켓 월드컵 우승을 이끌고 파키스탄 총리로 재임했으나 불신임 투표로 실각한 인물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키블 칼리지 동문 - 필립 리 (정치인)
필립 리는 영국의 정치인이자 의사로, 보수당 국회의원을 지내다 브렉시트 이견으로 자유민주당으로 당적을 변경 후 낙선했으며, 에너지 및 기후 변화 특별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고 지역 의료 서비스 개선과 과학 기술 발전에 관심을 갖고 활동했다. - 콜럼버스 이전의 아메리카 이주의 역사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콜럼버스 이전의 아메리카 이주의 역사 - 투팍 잉카 유팡키
투팍 잉카 유팡키는 15세기 잉카 제국의 황제로서, 젊은 나이에 군대를 지휘하여 제국을 확장하고 내정을 정비했으며, 태평양 탐험 항해를 통해 폴리네시아의 섬들을 방문했다는 전설도 있다.
팀 세버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티모시 세버린 |
출생일 | 1940년 9월 25일 |
출생지 | 조르하트, 아삼 주, 영국령 인도 |
사망일 | 2020년 12월 18일 |
사망지 | 티몰리그, 웨스트 코크, 아일랜드 |
직업 | 탐험가, 역사학자, 작가 |
국적 | 영국 |
활동 기간 | 1978년–2020년 |
장르 | 역사 소설, 논픽션 |
교육 | 톤브리지 스쿨 |
모교 | 키블 칼리지, 옥스퍼드 |
웹사이트 | 팀 세버린 공식 웹사이트 |
작품 활동 |
2. 생애 및 경력
1940년에 영국령 인도 제국의 아삼 주에서 태어났다. 톤브리지 스쿨을 다녔으며, 옥스퍼드 키블 칼리지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하였다. 이미 대학생 시절인 1960년에는 스탠리 존슨, Michael de Larrabeiti과 함께 모터사이클로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을 시도한 적도 있었다. 이때는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서 비자를 발급받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는 바람에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13]
그 후에도 세버린은 전설 상의 기록이 실제의 경험적 사실에 얼마나 근거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 많은 항해와 여행을 재현하였다. 신드바드의 여행을 재현하기 위해 세버린은 전통적인 아라비아 범선을 다시 건조하여 오만에서 중국까지 항해하기도 했다. 오만의 술탄이 지원한 이 여행은 《신드바드의 모험》을 통해 묘사되었다.[15] 또한 그가 1978년에 저술한 책인 《브렌던의 모험》(The Brendan Voyage영어)에는 짐승의 가죽으로 만든 아일랜드의 전통적인 작은 배인 쿠라흐를 타고 아일랜드에서 뉴펀들랜드를 여행했던 한 아일랜드 수도사의 항해가 그의 재연을 통해 자세히 묘사되었다.
1976년부터 1977년에 걸쳐, 성 브렌단의 항해 전설을 검증하기 위해, 아일랜드 서해안 지역의 전통적인 가죽 보트 "카라"로 아일랜드에서 뉴펀들랜드 섬까지의 실험 항해를 했다.
1980년부터 1981년에 걸쳐 아라비아의 전통적인 목조 범선 다우로 무스카트에서 광저우까지 항해를 실행했다. 또한 1980년대 중반에는 고대 그리스의 갤리선을 복원하여, 이아손과 아르고 호의 전설을 검증하고자 그리스에서 흑해로의 항해를 하거나, 오디세우스의 전설을 검증하고자 트로이에서 이타카 섬까지 항해를 하는 등 활발한 실험 항해를 펼쳤다.
갤리선을 이용한 두 번의 실험 항해를 마친 후, 세베린은 육상 모험으로 무대를 옮겨 고드프루아 드 부용의 발자취를 따라 기마로 프랑스에서 예루살렘으로 향했다. 이어서 세베린은 몽골 제국의 기병들의 이동 경로를 역시 기마로 따라가기 위해 몽골에서 고비 사막을 넘어 카자흐스탄으로 들어가는 모험을 했다.
1986년에는 일련의 실험 항해 등의 탐험과 지리학사에 대한 공헌으로 왕립 지리학회로부터 금메달(창립자 메달)을 받았다.[14]
1993년에는 서복의 전설에서 영감을 얻어, 대나무 뗏목으로 홍콩과 북미 대륙 간 횡단을 시도했지만, 서경 145도의 해역에서 뗏목이 붕괴되어 항해는 실패로 끝났다. 1990년대 중반에는 카이 제도의 전통적인 항해 카누 "프라프 칼리스"를 현지 조선공을 고용하여 건조하고,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의 발자취를 따라 향료 제도를 순례하는 항해를 했다. 이 항해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무관심으로 인해 연구 비자 발급을 받지 못한 채 강행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항해의 의의에 감동한 현지 관료에 의해 비자 없이 장기 체류하는 것은 문제 삼지 않게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멜빌의 『백경』에 등장하는 모비 딕의 모델을 찾아 누쿠히바, 필리핀, 통가, 인도네시아 등의 바다를 돌았다. 2000년대 초반에는 로빈슨 크루소가 표류한 섬을 찾아 칠레 해안과 카리브해를 탐험했다.
세버린은 또한 역사 소설을 쓰기도 하였는데, 2005년에 처음 출간되었던 《바이킹》 시리즈, 2007년 모험소설 《해적》() 시리즈 등이 있다.
그는 1940년 인도 아삼 주, 조르하트에서 모리스 와킨스와 잉게 와킨스 사이에서 자일스 티모시 와킨스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그곳에서 차 농장을 관리했다.[4] 7세부터 잉글랜드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톤브리지 스쿨을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 케이블 칼리지에서 지리학과 역사를 공부했다. 그는 어린 시절 자신을 돌봐준 외할머니를 기리기 위해 세버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4]
세버린은 두 번 결혼했다. 그의 첫 번째 아내는 중세 스페인 문학 전문가인 도로시 셔먼이었고, 그 결혼은 이혼으로 끝났다. 그는 나중에 디 피터스와 결혼했다.[5]
세버린은 2020년 12월 18일 아일랜드 웨스트 코크 티몰리그 자택에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첫 번째 결혼에서 낳은 딸, 이다 애쉬워스와 두 명의 손자에 의해 살아남았다.[6][7]
2. 1. 초기 생애
팀 세버린은 1940년 영국령 인도 제국 아삼 주에서 태어났다.[4] 톤브리지 스쿨을 졸업하고 옥스퍼드 케이블 칼리지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하였다.[4] 대학생 시절인 1960년에는 스탠리 존슨, Michael de Larrabeiti과 함께 모터사이클로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을 시도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서 비자 발급 문제로 실패했다.그는 어린 시절 자신을 돌봐준 외할머니를 기리기 위해 세버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4]
2. 2. 개인사
팀 세버린은 1940년 영국령 인도 제국의 아삼 주에서 태어났다.[4] 톤브리지 스쿨을 졸업하고 옥스퍼드 키블 칼리지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하였다. 대학생 시절인 1960년에는 스탠리 존슨, Michael de Larrabeiti과 함께 모터사이클로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을 시도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서 비자 문제로 실패했다.그는 어린 시절 자신을 돌봐준 외할머니를 기리기 위해 세버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4]
세버린은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아내는 중세 스페인 문학 전문가인 도로시 셔먼이었으나 이혼했고, 이후 디 피터스와 재혼했다.[5]
2020년 12월 18일 아일랜드 웨스트 코크 티몰리그 자택에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첫 번째 결혼에서 낳은 딸 이다 애쉬워스와 두 명의 손자가 유족으로 남았다.[6][7]
3. 주요 탐험
1940년 영국령 인도 제국의 아삼 주에서 태어난 팀 세버린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했다.[13] 옥스퍼드 대학교 학부생 시절, 세버린은 스탠리 존슨, 마이클 드 라라베이티와 함께 『동방견문록』을 지침 삼아 오토바이를 타고 13세기에 마르코 폴로가 아시아를 여행했던 여정을 따라갔다.[13] 그들은 스위스를 거쳐 옥스퍼드에서 베네치아까지, 그리고 터키,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을 통과하며 모래 폭풍, 홍수, 오토바이 사고를 겪고 감옥에서 시간을 보내며 살아남았다. 세버린과 그의 안내자들은 페르시아의 "낙원의 사과"와 폴로가 묘사한 숨겨진 온천을 찾기 위해 데흐 박리 고개를 통해 낙타를 탔다. 그들은 중국 국경에서 비자 문제로 인해 여행을 완료할 수 없었고, 봄베이에서 배를 타고 영국으로 돌아왔다.
1967년, 팀 세버린은 미시시피강을 따라 여행한 모험가들의 경로를 따라가며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는 카누와 런치를 이용하여 강의 전체 길이를 탐험했다.[13]
1976년부터 1977년까지 팀 세버린은 성 브렌단의 항해 전설을 검증하기 위해, 아일랜드 서해안 지역의 전통적인 가죽 보트 "카라"를 타고 아일랜드에서 뉴펀들랜드 섬까지 실험 항해를 했다.[15]
세버린은 라틴어 텍스트 ''Navigatio Sancti Brendani Abbatisla''(성 브렌단 수도원의 항해)가 브렌단의 대서양 횡단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확신했다. 1976년 그는 전통적인 도구와 방식으로 제작한 36피트(11m) 길이의 2개의 마스트가 있는 코라클 복제품 ''브렌단''호를 만들었다. 이 배는 물푸레나무와 참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약 2마일(3km) 길이의 가죽 끈으로 묶고, 전통 방식으로 무두질한 황소 가죽 49개로 감싸고 양모 기름으로 밀봉했다.[15]
1976년 5월 17일, 세버린과 그의 승무원들은 ''브렌단''호를 타고 케리 주 딩글 반도에서 출발하여 13개월 이상 동안 4,500마일(7,200km)을 항해했다. 그들은 헤브리디스 제도, 페로 제도, 아이슬란드를 거쳐 1977년 6월 26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와담 섬에 상륙했다.[15] 세버린은 이 항해를 통해 "양의 섬", "새들의 낙원", "수정 탑" 등 이야기 속 전설적인 요소의 근원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했다. 그의 탐험 기록인 ''브렌단 항해''는 국제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5]
''브렌단''호는 현재 아일랜드 클레어 주의 크라가우노웬 야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5]
1940년 영국령 인도 제국 아삼 주에서 태어난 팀 세버린은 중세 시대 항해사 신드바드의 모험이 기록된 《천일야화》에서 영감을 받아, 1980년부터 1981년까지 신드바드의 항해를 재현했다.[15] 3년간의 연구 끝에 카부스 빈 사이드 알 사이드 오만 술탄의 후원으로, 9세기 후반의 라틴 돛을 단 면 돛 아랍 다우선의 복제품인 "소하르"호를 건조했다.[15] "소하르"호는 수르에서 7개월에 걸쳐 손으로 켠 나무 판자로 제작되었으며, 약 640km 길이의 코코넛 껍질 밧줄로 꿰매어졌다.
1980년 11월 21일 오만을 출발한 세버린과 25명의 선원들은 별을 보며 항해하여 8개월 동안 약 9,600km를 항해했다.[15] 수르에서 출발하여 아라비아해를 가로질러 동쪽으로 향했고, 인도의 말라바르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 락샤드위프를 거쳐 인도의 코지코드로 향했다. 이후 인도의 해안을 따라 스리랑카로 이동, 갈레에서 인도양을 건너는 길에 한 달 가까이 무풍대에 갇히고, 돛대가 부러지는 등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4월 17일 사방에 도착했다.[15] 그 후 말라카 해협을 거쳐 6월 1일 말라카와 싱가포르에 도착했고, 7월 6일에는 광저우에 도착했다.[15]
팀 세버린은 서사시 ''아르고호 원정기''를 바탕으로 1984년에 탐험을 했다.[15] 1981년 고대 그리스 선박과 텍스트를 연구했고, 스페체스의 조선공 바실리스 델리미트로스는 청동기 시대의 갤리선 아르고호의 축소 모형을 기반으로 길이 16.5m의 배를 손수 제작했다.[15] 1984년, 20명의 자원 노잡이들과 함께 세버린은 북부 그리스에서 출발하여 다르다넬스 해협, 마르마라 해, 보스포루스 해협을 거쳐 흑해로 진입,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파시스 강 삼각주에 도달했다.[15] 2,400km에 달하는 항해 중, 이아손과 아르고호 선원들이 방문했던 랜드마크 일부를 확인하고, 황금 양털 전설에 대한 가능한 설명을 찾았다.[15] 세버린은 이 탐험을 ''The Jason Voyage''(1985)에 기록했다. 1980년대 중반에는 고대 그리스의 갤리선을 복원하여, 이아손과 아르고 호의 전설을 검증하고자 그리스에서 흑해로의 항해했다.[14]
1985년, 팀 세버린은 《오디세이아》에 묘사된 오디세우스의 귀향 여정을 재현하기 위해 아르고를 활용하여 트로이에서 이오니아 제도의 이타카까지 항해했다.[15] 이 항해를 통해 세버린은 연꽃을 먹는 사람들의 땅, 네스토르 왕의 궁전, 하데스의 궁전, 방황하는 바위, 스킬라와 카리브디스, 그리고 사이렌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확정적으로 밝혀냈다.[15] 1987년에 출판된 《율리시스 항해》는 탐험 이야기, 탐험에 투입된 역사적 연구, 세버린과 그의 팀이 항해 중에 발견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15]
팀 세버린은 제1차 십자군 이후 900년이 지난 1987년부터 1988년까지 고드프루아 드 부용 공작과 다른 십자군들이 거쳐간 2,500마일의 여정을 재현했다. 세버린은 사라 도몬과 함께 말에 올라 벨기에에서 출발,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유고슬라비아(현재는 역사 속으로 사라짐), 불가리아, 터키, 시리아를 거쳐 예루살렘까지 여행했다.
이들은 승마 학교의 팔프레이(Mystery)와 십자군 기병의 군마의 후손인 헤비 아르덴(Carty)을 타고 이동했는데, 세버린은 이를 당시의 '주력 전차'라고 불렀다. 이 여정은 2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말과 기수는 1987/8년 겨울에 휴식을 취했다. 여러 해 동안의 해양 탐험 이후, 세버린이 장거리 육상 탐험으로 돌아온 것을 의미하는 여정이었다.
레바논 내전으로 인해 고드프루아 공작의 정확한 경로를 따를 수 없었던 세버린은 시리아와 요르단을 거쳐 예루살렘에 도착했다.
세버린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지리학을 전공했다. 대학 시절 첫 번째 대규모 모험으로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를 오토바이로 따라가는 것을 시도했다.[13] 갤리선을 이용한 두 번의 실험 항해를 마친 후, 세베린은 육상 모험으로 무대를 옮겨 고드프루아 드 부용의 발자취를 따라 기마로 프랑스에서 예루살렘으로 향했다. 이어서 세베린은 몽골 제국의 기병들의 이동 경로를 역시 기마로 따라가기 위해 몽골에서 고비 사막을 넘어 카자흐스탄으로 들어가는 모험을 했다.
옥스퍼드 대학교 재학 시절, 세버린은 13세기와 14세기에 중앙아시아를 여행한 최초의 유럽 여행가들에 대한 논문을 썼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그는 칭기즈 칸의 8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몽골 제국의 통신사들이 사용했던 경로를 따라 몽골 유목민들과 함께 말을 탔고, 고비 사막에서 낙타를 모는 사람들과 어울렸으며, 카자흐족과 유르트에서 식사를 했다. 그의 이야기는 여행기이자 연구 논문의 일부로, 1993년에 ''칭기즈 칸을 찾아서''(In Search of Genghis Khan)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1993년, 팀 세버린은 고대 중국 문헌에 기록된 서복의 불로초 탐사 항해를 재현하기 위해 베트남 삼손 해변에서 길이 60피트(18.3m), 너비 15피트(4.6m)의 대나무 뗏목을 제작했다.[14] 220개의 대나무와 등나무 밧줄로 만들어진 이 뗏목의 이름은 '서복'이었다.[14] 1993년 5월, 세버린과 선원들은 '서복'호를 타고 아시아를 출발했지만, 몬순, 해적, 태풍에 직면했고, 태평양 중간에서 뗏목이 부서지기 시작했다.[14] 105일 동안 5,500마일(8,850km)을 항해한 후, 목적지에서 약 1,000마일(1,600km) 떨어진 곳에서 뗏목을 포기해야 했다.[14]
세버린은 1994년에 출판된 ''중국 항해''에서 이 탐험을 통해 기원전 2세기의 대나무 뗏목이 서복의 기록처럼 태평양을 횡단하는 항해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썼다.[14] 하지만, 결국 홍콩과 북미 대륙 간 횡단을 시도했지만, 서경 145도의 해역에서 뗏목이 붕괴되어 항해는 실패로 끝났다.[14]
1990년대 중반, 팀 세버린은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의 발자취를 따라 향료 제도를 순례하는 항해를 했다.[14] 이 항해를 위해 세버린은 카이 제도의 전통적인 항해 카누인 "프라프 칼리스"를 현지 조선공을 고용하여 건조했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무관심으로 연구 비자 발급을 받지 못한 채 강행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항해의 의의에 감동한 현지 관료에 의해 비자 없이 장기 체류하는 것은 문제 삼지 않게 되었다.[14]
팀 세버린은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 딕》에 등장하는 페쿼드호의 항해 경로를 따라 흰 향유고래를 찾기 위한 탐험에 나섰다.[15] 이 탐험은 필리핀의 파밀라칸 섬과 같이 남태평양의 외딴 지역으로 이어졌다. 파밀라칸 섬 사람들은 손과 갈고리를 사용하여 고래상어를 사냥하고, 인도네시아 라메라 섬에서는 열린 배에서 작살을 사용하여 향유고래를 사냥한다.[15] 세버린은 탐험을 통해 멜빌의 묘사와 그가 발견한 현실을 비교하여 멜빌의 자료가 상당 부분 차용되었거나 조작되었음을 보여주었다.[15]
팀 세버린은 로빈슨 크루소가 표류한 섬을 찾아 2000년대 초반에 칠레 해안과 카리브해를 탐험했다.
3. 1. 마르코 폴로 추적 (1961)
팀 세버린은 1940년 영국령 인도 제국의 아삼 주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했다.[13] 옥스퍼드 대학교 학부생 시절, 세버린은 스탠리 존슨, 마이클 드 라라베이티와 함께 『동방견문록』을 지침 삼아 오토바이를 타고 13세기에 마르코 폴로가 아시아를 여행했던 여정을 따라갔다.[13] 그들은 스위스를 거쳐 옥스퍼드에서 베네치아까지, 그리고 터키,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을 통과하며 모래 폭풍, 홍수, 오토바이 사고를 겪고 감옥에서 시간을 보내며 살아남았다. 세버린과 그의 안내자들은 페르시아의 "낙원의 사과"와 폴로가 묘사한 숨겨진 온천을 찾기 위해 데흐 박리 고개를 통해 낙타를 탔다. 그들은 중국 국경에서 비자 문제로 인해 여행을 완료할 수 없었고, 봄베이에서 배를 타고 영국으로 돌아왔다.3. 2. 미시시피 탐험 (1967)
1967년, 팀 세버린은 미시시피강을 따라 여행한 모험가들의 경로를 따라가며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는 카누와 런치를 이용하여 강의 전체 길이를 탐험했다.[13]3. 3. 브렌단 항해 (1976-1977)
1976년부터 1977년까지 팀 세버린은 성 브렌단의 항해 전설을 검증하기 위해, 아일랜드 서해안 지역의 전통적인 가죽 보트 "카라"를 타고 아일랜드에서 뉴펀들랜드 섬까지 실험 항해를 했다.[15]세버린은 라틴어 텍스트 ''Navigatio Sancti Brendani Abbatisla''(성 브렌단 수도원의 항해)가 브렌단의 대서양 횡단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확신했다. 1976년 그는 전통적인 도구와 방식으로 제작한 36피트(11m) 길이의 2개의 마스트가 있는 코라클 복제품 ''브렌단''호를 만들었다. 이 배는 물푸레나무와 참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약 2마일(3km) 길이의 가죽 끈으로 묶고, 전통 방식으로 무두질한 황소 가죽 49개로 감싸고 양모 기름으로 밀봉했다.[15]
1976년 5월 17일, 세버린과 그의 승무원들은 ''브렌단''호를 타고 케리 주 딩글 반도에서 출발하여 13개월 이상 동안 4,500마일(7,200km)을 항해했다. 그들은 헤브리디스 제도, 페로 제도, 아이슬란드를 거쳐 1977년 6월 26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와담 섬에 상륙했다.[15] 세버린은 이 항해를 통해 "양의 섬", "새들의 낙원", "수정 탑" 등 이야기 속 전설적인 요소의 근원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했다. 그의 탐험 기록인 ''브렌단 항해''는 국제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5]
''브렌단''호는 현재 아일랜드 클레어 주의 크라가우노웬 야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5]
3. 4. 신드바드 항해 (1980-1981)
1940년 영국령 인도 제국 아삼 주에서 태어난 팀 세버린은 중세 시대 항해사 신드바드의 모험이 기록된 《천일야화》에서 영감을 받아, 1980년부터 1981년까지 신드바드의 항해를 재현했다.[15] 3년간의 연구 끝에 카부스 빈 사이드 알 사이드 오만 술탄의 후원으로, 9세기 후반의 라틴 돛을 단 면 돛 아랍 다우선의 복제품인 "소하르"호를 건조했다.[15] "소하르"호는 수르에서 7개월에 걸쳐 손으로 켠 나무 판자로 제작되었으며, 약 640km 길이의 코코넛 껍질 밧줄로 꿰매어졌다.1980년 11월 21일 오만을 출발한 세버린과 25명의 선원들은 별을 보며 항해하여 8개월 동안 약 9,600km를 항해했다.[15] 수르에서 출발하여 아라비아해를 가로질러 동쪽으로 향했고, 인도의 말라바르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 락샤드위프를 거쳐 인도의 코지코드로 향했다. 이후 인도의 해안을 따라 스리랑카로 이동, 갈레에서 인도양을 건너는 길에 한 달 가까이 무풍대에 갇히고, 돛대가 부러지는 등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4월 17일 사방에 도착했다.[15] 그 후 말라카 해협을 거쳐 6월 1일 말라카와 싱가포르에 도착했고, 7월 6일에는 광저우에 도착했다.[15]
3. 5. 이아손과 아르고호의 항해 (1984)
팀 세버린은 서사시 ''아르고호 원정기''를 바탕으로 1984년에 탐험을 했다.[15] 1981년 고대 그리스 선박과 텍스트를 연구했고, 스페체스의 조선공 바실리스 델리미트로스는 청동기 시대의 갤리선 아르고호의 축소 모형을 기반으로 길이 16.5m의 배를 손수 제작했다.[15] 1984년, 20명의 자원 노잡이들과 함께 세버린은 북부 그리스에서 출발하여 다르다넬스 해협, 마르마라 해, 보스포루스 해협을 거쳐 흑해로 진입,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파시스 강 삼각주에 도달했다.[15] 2,400km에 달하는 항해 중, 이아손과 아르고호 선원들이 방문했던 랜드마크 일부를 확인하고, 황금 양털 전설에 대한 가능한 설명을 찾았다.[15] 세버린은 이 탐험을 ''The Jason Voyage''(1985)에 기록했다. 1980년대 중반에는 고대 그리스의 갤리선을 복원하여, 이아손과 아르고 호의 전설을 검증하고자 그리스에서 흑해로의 항해했다.[14]3. 6. 오디세우스 항해 (1985)
1985년, 팀 세버린은 《오디세이아》에 묘사된 오디세우스의 귀향 여정을 재현하기 위해 아르고를 활용하여 트로이에서 이오니아 제도의 이타카까지 항해했다.[15] 이 항해를 통해 세버린은 연꽃을 먹는 사람들의 땅, 네스토르 왕의 궁전, 하데스의 궁전, 방황하는 바위, 스킬라와 카리브디스, 그리고 사이렌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확정적으로 밝혀냈다.[15] 1987년에 출판된 《율리시스 항해》는 탐험 이야기, 탐험에 투입된 역사적 연구, 세버린과 그의 팀이 항해 중에 발견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15]3. 7. 십자군 원정 (1987-1988)
팀 세버린은 제1차 십자군 이후 900년이 지난 1987년부터 1988년까지 고드프루아 드 부용 공작과 다른 십자군들이 거쳐간 2,500마일의 여정을 재현했다. 세버린은 사라 도몬과 함께 말에 올라 벨기에에서 출발,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유고슬라비아(현재는 역사 속으로 사라짐), 불가리아, 터키, 시리아를 거쳐 예루살렘까지 여행했다.이들은 승마 학교의 팔프레이(Mystery)와 십자군 기병의 군마의 후손인 헤비 아르덴(Carty)을 타고 이동했는데, 세버린은 이를 당시의 '주력 전차'라고 불렀다. 이 여정은 2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말과 기수는 1987/8년 겨울에 휴식을 취했다. 여러 해 동안의 해양 탐험 이후, 세버린이 장거리 육상 탐험으로 돌아온 것을 의미하는 여정이었다.
레바논 내전으로 인해 고드프루아 공작의 정확한 경로를 따를 수 없었던 세버린은 시리아와 요르단을 거쳐 예루살렘에 도착했다.
3. 8. 칭기즈 칸 추적 (1990)
세버린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지리학을 전공했다. 대학 시절 첫 번째 대규모 모험으로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를 오토바이로 따라가는 것을 시도했다.[13] 갤리선을 이용한 두 번의 실험 항해를 마친 후, 세베린은 육상 모험으로 무대를 옮겨 고드프루아 드 부용의 발자취를 따라 기마로 프랑스에서 예루살렘으로 향했다. 이어서 세베린은 몽골 제국의 기병들의 이동 경로를 역시 기마로 따라가기 위해 몽골에서 고비 사막을 넘어 카자흐스탄으로 들어가는 모험을 했다.옥스퍼드 대학교 재학 시절, 세버린은 13세기와 14세기에 중앙아시아를 여행한 최초의 유럽 여행가들에 대한 논문을 썼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그는 칭기즈 칸의 8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몽골 제국의 통신사들이 사용했던 경로를 따라 몽골 유목민들과 함께 말을 탔고, 고비 사막에서 낙타를 모는 사람들과 어울렸으며, 카자흐족과 유르트에서 식사를 했다. 그의 이야기는 여행기이자 연구 논문의 일부로, 1993년에 ''칭기즈 칸을 찾아서''(In Search of Genghis Khan)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3. 9. 서복과 불로초 탐사 (1993)
1993년, 팀 세버린은 고대 중국 문헌에 기록된 서복의 불로초 탐사 항해를 재현하기 위해 베트남 삼손 해변에서 길이 60피트(18.3m), 너비 15피트(4.6m)의 대나무 뗏목을 제작했다.[14] 220개의 대나무와 등나무 밧줄로 만들어진 이 뗏목의 이름은 '서복'이었다.[14] 1993년 5월, 세버린과 선원들은 '서복'호를 타고 아시아를 출발했지만, 몬순, 해적, 태풍에 직면했고, 태평양 중간에서 뗏목이 부서지기 시작했다.[14] 105일 동안 5,500마일(8,850km)을 항해한 후, 목적지에서 약 1,000마일(1,600km) 떨어진 곳에서 뗏목을 포기해야 했다.[14]세버린은 1994년에 출판된 ''중국 항해''에서 이 탐험을 통해 기원전 2세기의 대나무 뗏목이 서복의 기록처럼 태평양을 횡단하는 항해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썼다.[14] 하지만, 결국 홍콩과 북미 대륙 간 횡단을 시도했지만, 서경 145도의 해역에서 뗏목이 붕괴되어 항해는 실패로 끝났다.[14]
3. 10. 알프레드 월리스와 향료 제도 탐험 (1990년대 중반)
1990년대 중반, 팀 세버린은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의 발자취를 따라 향료 제도를 순례하는 항해를 했다.[14] 이 항해를 위해 세버린은 카이 제도의 전통적인 항해 카누인 "프라프 칼리스"를 현지 조선공을 고용하여 건조했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무관심으로 연구 비자 발급을 받지 못한 채 강행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항해의 의의에 감동한 현지 관료에 의해 비자 없이 장기 체류하는 것은 문제 삼지 않게 되었다.[14]3. 11. 모비 딕 탐색 (1999)
팀 세버린은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 딕》에 등장하는 페쿼드호의 항해 경로를 따라 흰 향유고래를 찾기 위한 탐험에 나섰다.[15] 이 탐험은 필리핀의 파밀라칸 섬과 같이 남태평양의 외딴 지역으로 이어졌다. 파밀라칸 섬 사람들은 손과 갈고리를 사용하여 고래상어를 사냥하고, 인도네시아 라메라 섬에서는 열린 배에서 작살을 사용하여 향유고래를 사냥한다.[15] 세버린은 탐험을 통해 멜빌의 묘사와 그가 발견한 현실을 비교하여 멜빌의 자료가 상당 부분 차용되었거나 조작되었음을 보여주었다.[15]3. 12. 로빈슨 크루소의 섬 탐험 (2000년대 초)
팀 세버린은 로빈슨 크루소가 표류한 섬을 찾아 2000년대 초반에 칠레 해안과 카리브해를 탐험했다.4. 저술 활동
1940년에 영국령 인도 제국의 아삼 주에서 태어났다.[15] 톤브리지 스쿨을 다녔으며, 옥스퍼드 키블 칼리지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하였다. 대학생 시절인 1960년에는 스탠리 존슨, Michael de Larrabeiti과 함께 모터사이클로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을 시도한 적도 있었다. 이때는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서 비자를 발급받는 과정에 문제가 생기는 바람에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15]
그 후에도 세버린은 전설 상의 기록이 실제의 경험적 사실에 얼마나 근거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 많은 항해와 여행을 재현하였다.[15] 신드바드의 여행을 재현하기 위해 세버린은 전통적인 아라비아 범선을 다시 건조하여 오만에서 중국까지 항해하기도 했다. 오만의 술탄이 지원한 이 여행은 《신드바드의 모험》을 통해 묘사되었다.[15] 또한 그가 1978년에 저술한 책인 《브렌던의 모험》(The Brendan Voyage영어)에는 짐승의 가죽으로 만든 아일랜드의 전통적인 작은 배인 쿠라흐를 타고 아일랜드에서 뉴펀들랜드를 여행했던 한 아일랜드 수도사의 항해가 그의 재연을 통해 자세히 묘사되었다.[15]
세버린은 역사 소설을 쓰기도 하였는데, 2005년에 처음 출간되었던 《바이킹》 시리즈, 2007년 모험소설 《해적》(The Adventures of Hector Lynch영어) 시리즈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그의 저서가 번역되어 출판되기도 했다. 미즈구치 시게오가 번역한 《브렌던 항해기》(산리오, 1979), 요코오 타테지가 번역한 《신드바드의 바다로》(츠쿠마 쇼보, 1986), 마츠다 타다노리가 번역한 《칭기스칸의 궤적: 몽골 기마 문화의 빛과 그림자》(산고칸, 1994)가 있다.
4. 1. 논픽션
팀 세버린은 1940년 영국령 인도 제국의 아삼 주에서 태어났다.[15] 톤브리지 스쿨을 졸업하고 옥스퍼드 대학교 키블 칼리지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하였다.[15] 대학생 시절인 1960년에는 스탠리 존슨, Michael de Larrabeiti과 함께 모터사이클로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을 시도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서 비자 문제로 실패했다.[15]세버린은 전설 상의 기록이 실제 사실에 얼마나 근거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항해와 여행을 재현했다.[15] 신드바드의 여행을 재현하기 위해 전통적인 아라비아 범선을 건조하여 오만에서 중국까지 항해했으며, 이 여행은 《신드바드의 모험》을 통해 묘사되었다.[15] 1978년에 저술한 《브렌던의 모험》(The Brendan Voyage영어)에는 짐승 가죽으로 만든 아일랜드 전통 배 쿠라흐를 타고 아일랜드에서 뉴펀들랜드까지 항해한 아일랜드 수도사의 항해가 묘사되어 있다.[15]
그의 저서로는 ''마르코 폴로 추적''(1964), ''미시시피 탐험가''(1968), ''황금 앤틸리스 제도''(1970), ''아프리카의 모험''(1973), ''사라지는 원시인''(1973), ''모험가와 탐험가''(1973), ''오리엔탈 어드벤처: 동방의 탐험가''(1976), ''브렌단 항해''(1978), ''신밧드 항해''(1983), ''제이슨 항해: 황금 양털을 찾아서''(1986), ''율리시스 항해''(1987), ''십자군''(1989), ''칭기즈 칸을 찾아서''(1991), ''중국 항해''(1994), ''향신료 제도 항해''(1997), ''모비 딕을 찾아서''(1999), ''로빈슨 크루소를 찾아서''(2002),[10] ''시베리아를 정복한 남자''(2014)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그의 저서가 번역되어 출판되기도 했다. 미즈구치 시게오가 번역한 《브렌던 항해기》(산리오, 1979), 요코오 타테지가 번역한 《신드바드의 바다로》(츠쿠마 쇼보, 1986), 마츠다 타다노리가 번역한 《칭기스칸의 궤적: 몽골 기마 문화의 빛과 그림자》(산고칸, 1994)가 있다.
4. 2. 소설
세버린은 역사 소설을 쓰기도 하였는데, 2005년에 처음 출간되었던 《바이킹》 시리즈, 2007년 모험소설 《해적》(The Adventures of Hector Lynch영어) 시리즈 등이 있다.세버린은 역사 소설도 썼다. 2005년에 처음 출판된 ''바이킹 시리즈''(The Viking Series)는 세계를 여행하는 젊은 바이킹 모험가에 관한 이야기이다. 2007년에는 17세기 말에 17세의 해적에 관한 ''헥터 린치의 모험''(The Adventures of Hector Lynch) 시리즈를 출판했다.
- 브렌던 항해기, 팀 세버린 저, 미즈구치 시게오 역, 산리오, 1979
- 신드바드의 바다로, 팀 세버린 저, 요코오 타테지 역, 츠쿠마 쇼보, 1986
- 칭기스칸의 궤적: 몽골 기마 문화의 빛과 그림자, 팀 세버린 저, 마츠다 타다노리 역, 산고칸, 1994
4. 2. 1. 바이킹 시리즈
- '''오딘의 아이''' (2005)
- '''맹세한 형제''' (2005)
- '''왕의 남자''' (2005)
4. 2. 2. 색슨
주어진 `summary`가 비어 있으므로, `source`에 있는 정보만을 사용하여 내용을 구성합니다. `source`는 팀 세버린의 작품 목록을 나타내고 있으며, 섹션 제목 "색슨"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지시사항에 따라 주어진 정보만을 사용해야 하므로, 작품 목록을 섹션 내용으로 구성합니다.- ''꿈의 책'' (2012)
- ''황제의 코끼리'' (2013)
- ''교황의 암살자'' (2015)
4. 2. 3. 헥터 린치의 모험
- ''해적''(2007)
- ''버커니어''(2008)
- ''바다 강도''(2009)
- ''사략선''(2014)
- ''프리부터''(2017)
5. 수상 및 영예
팀 세버린은 1986년 왕립 지리학회 설립자 메달을 수상하였다.[11] 또한 왕립 스코틀랜드 지리학회 리빙스턴 메달,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및 코크 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1] 아일랜드 해양 연구소 금메달도 수상하였다.[11]
참조
[1]
뉴스
Explorer and filmmaker Tim Severin dies aged 80
https://www.irishexa[...]
2020-12-18
[2]
뉴스
Birthdays
Guardian News & Media
2014-09-25
[3]
뉴스
Tim Severin Notice
https://twitter.com/[...]
RTE NSO
[4]
뉴스
Tim Severin, Seafarer Who Replicated Explorers' Journeys, Dies at 80
https://www.nytimes.[...]
2021-01-17
[5]
뉴스
Obiturary: Adventurer who rebuilt ancient craft to retrace epic, historic routes
https://www.heraldsc[...]
[6]
웹사이트
Death Notice of Tim Severin
https://rip.ie/death[...]
[7]
뉴스
Explorer, writer and film-maker Tim Severin dies aged 80
https://www.rte.ie/n[...]
2020-12-29
[8]
뉴스
5 Set Out From Tralee For U.S. in Open Boat
1976-05-18
[9]
뉴스
Leather Boat Sailors Reach Canada
1977-06-27
[10]
웹사이트
"In Search of Robinson Crusoe'' by Tim Severin"
http://www.fantastic[...]
FantasticFiction
2009-07-26
[11]
웹사이트
Tim Severin – explorer, author, film-maker
http://www.timseveri[...]
2008-01-29
[12]
뉴스
Explorer, writer and film-maker Tim Severin dies aged 80
https://www.rte.ie/n[...]
2020-12-19
[13]
서적
Timothy Severin, Tracking Marco Polo
Routledge & Kegan Paul PLC
1964
[14]
웹사이트
Medals and Awards, Gold Medal Recipients
http://www.rgs.org/N[...]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6-11-30
[15]
간행물
A Banquet Dinner Lecture with Tim Severin
http://archive.reaso[...]
왕립 지리학회
2009-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